KR20140126068A - 부유식 수상구조물 - Google Patents

부유식 수상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6068A
KR20140126068A KR1020130044122A KR20130044122A KR20140126068A KR 20140126068 A KR20140126068 A KR 20140126068A KR 1020130044122 A KR1020130044122 A KR 1020130044122A KR 20130044122 A KR20130044122 A KR 20130044122A KR 20140126068 A KR20140126068 A KR 20140126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upper plate
fastening
support frame
reinforced 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4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2951B1 (ko
Inventor
김병영
Original Assignee
김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영 filed Critical 김병영
Priority to KR1020130044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951B1/ko
Publication of KR20140126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26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 B63B5/02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made predominantly of wood
    • B63B5/06Decks; Shells
    • B63B5/08Decks; Shells with single-layer pla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32Vegetable materials or material comprising predominately vegetable material
    • B63B2231/34Wood or woo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52Fibre reinforced plastics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구조적으로 경량화되고 견고하며 외부 충격에 대하여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상부에 적재물이 적재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구비되되,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지지바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부; 및 상부에 상기 지지프레임부와 결합되는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부력에 의해 상기 상판 및 상기 지지프레임이 부유되도록 상부가 덮개부에 의해 덮이고 내부에 부유공간이 구비된 선체로 형성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중공형 부유부를 포함하는 부유식 수상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부유식 수상구조물{floating marine structure}
본 발명은 수상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적으로 경량화되고 외부 충격에 대하여 내구성이 개선된 부유식 수상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댐과 같은 내수면이나 근해에 그물망으로 구획을 지어 그 안에서 물고기 또는 굴 따위를 양식하는 이른바 가두리 양식장이 성행하고 있다. 상기 가두리양식은 인공적인 수조를 설치하지 않고 자연환경 그대로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과, 필요에 따라서는 이동도 쉽게 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을 갖추고 있어서 양식업 분야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가두리 양식장은 대개 바다나 호수 가운데로 깊이 들어간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이곳에 사람이 작업을 위해 접근하거나 또는 양식장과 육지 간의 물건을 나르기 위해서는 바다나 물에 부유되는 수상구조물이 필요한데, 통상 그 운반량이 상당하고 횟수도 많아서 일반적인 소형 배보다는 바지선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바지선(barge)은 부선(艀船)으로도 불리며, 하천이나 운하 등의 내륙 수로나 항만 내에서 무거운 화물을 싣고 항행하기 위해 만들어지고 있는 바닥이 평평한 선박이다. 상기 바지선은 통상 엔진을 싣고 있지 않으므로 자력으로 항행하지 못하고 예인선에 견인되거나 토우 보트에 가압되거나 하면서 항행한다. 이러한 상기 바지선은 항만에서 앞바다에 정박한 화물선으로부터 내려지는 화물을 강가의 공장 또는 창고에 운송하기 위해 사용되며, 최근에는 연안해역의 가두리 양식장 또는 굴, 미역 등과 같은 해산물을 채취 후 적재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가두리 양식장 또는 바다에서 채취한 해산물의 적재용으로 사용되는 상기 바지선은 목재 또는 스틸 재질의 상판 하측으로 스티로폼 재질의 부유물을 연결하여 사용되고 있는바, 상기 스티로폼 재질의 부유물은 파도 또는 외부 충격에 쉽게 파손되며, 파손되어 떨어져 나가는 스티로폼 조각은 심각한 해양오염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장시간 사용시 적재 하중의 중량에 의해 상기 스티로폼 부유물이 수축되어 부양력이 현저히 저하되며, 수초 또는 어패류 등이 부착되어 생식하는 경우 상기 부착된 수초 또는 어패류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스티로폼이 함께 떨어져나가 내구력 및 부양력이 점점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75587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구조적으로 경량화되고 외부 충격에 대하여 내구성이 개선된 부유식 수상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 적재물이 적재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구비되되,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지지바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부; 및 상부에 상기 지지프레임부와 결합되는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부력에 의해 상기 상판 및 상기 지지프레임이 부유되도록 상부가 덮개부에 의해 덮이고 내부에 부유공간이 구비된 선체로 형성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중공형 부유부를 포함하는 부유식 수상구조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중공형 부유부는 전방 및 후방이 실질적인 유선형상을 이루며, 상기 부유공간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격벽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덮개부의 전방 및 후방에는 각각 선체균형을 위한 물주입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바는 금속바의 외면에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된 커버부의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체결관통홀이 형성된 연장체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지지바가 정렬 및 삽입되는 정렬홈이 형성되되, 상기 정렬홈의 테두리에는 상기 체결관통홀을 관통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판의 중앙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수납부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수납부의 상측으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커버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판은 방부목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판의 외면은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로 감싸도록 코팅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부유식 수상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중공형 부유부가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로 선체 형상으로 사출 성형되어 내식성이 개선되고, 그 내부가 복수개의 격벽으로 구획되어 일측에 물이 침투되어도 격벽에 의해 타측의 부유공간의 부유력은 유지될 수 있고, 선체균형을 위한 전후방측 부유공간에만 물주입공을 통해 물을 주입하여 상기 부유식 수상구조물의 전후좌우 균형을 유지하기 용이하므로 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선체 형상으로 이루지는 상기 중공형 부유부 상부에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덮개부가 구비되되,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지지바가 정렬 및 삽입되는 정렬홈이 형성되어 조립이 용이하므로 작업효율성이 개선되고, 파도 또는 외부 충격에도 상기 중공형 부유부가 회전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어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상판의 중앙부에 상기 관통수납부가 구비되되, 상기 관통수납부 내측으로 채취물을 수납후 상부를 개폐커버로 선택적으로 폐쇄함으로써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관통수납부가 하측의 물과 연통되므로 채취물을 더욱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수상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수상구조물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수상구조물의 측면을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4는 도 3의 "C"부분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도 2의 A-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수상구조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수상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수상구조물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수상구조물의 측면을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C"부분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수상구조물(100)은 상판(10), 지지프레임부(20) 그리고 중공형 부유부(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부유식 수상구조물(100)이라 함은 육지와 가두리 양식장 사이를 이동하면서 양식장에서 획득한 어획물 또는 양식장에 필요한 물품을 운반하기 위한 바지선 및 뗏목 등과 같은 운반선을 통칭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판(10)은 상부에 적재물이 적재되도록 구비되는 평판형의 플레이트로서 외면이 섬유강화플라스틱(FRP:fiber reinforced plastics) 재질로 감싸도록 코팅층(12)이 형성되는 방부목재(11)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상판(10)은 평판의 방부목재(11)를 준비한 후 그의 외면에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을 여러겹 도포 및 점착되도록 하여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섬유강화플라스틱 코팅층(12)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FRP:fiber reinforced plastics)은 유리 및 카본섬유로 강화된 플라스틱계 복합재료로서, 일반 스틸 재질 또는 비방부처리된 목재로 형성된 종래의 상판보다 파도 등의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 및 내식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가벼워 상기 상판(10)의 중량이 현저히 감소될 뿐만 아니라 해상에서 사용될 경우 파도 및 염분에 의한 피해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방부처리된 상기 방부목재(11)를 사용함으로써 내식성이 더욱 개선되어 상기 상판(10)의 코팅층(12)이 일부 파손되어도 물 또는 염분에 의해 상기 상판(10) 내부가 부식되는 등의 2차 피해가 최소화되는 등 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판(10)의 상측 가장자리는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접이식 핸드레일(16)이 형성되며, 별도의 예인수단에 의해 상기 수상구조물(100)을 예인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10)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로프를 묶어 상기 예인수단과 연결하도록 로프고정대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수상구조물에는 동력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수상구조물이 이동될 수 있도록 별도의 운전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10)의 하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부(2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부(20)는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지지바(21,22)를 포함하여 구비되되, 상기 지지바(21,22)는 금속바(23)의 외면에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된 커버부(2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종방향 지지바(22)라 함은 상기 수상구조물(100)의 선수로부터 선저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지지보강대를 의미하며, 상기 횡방향 지지바(21)라 함은 선수로부터 선미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 구비되는 지지보강대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종방향은 길이방향과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상판(10)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판(10)의 상부에 적재되는 적재물에 대한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부(20)가 구비되되, 상기 지지프레임부(20)는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개의 횡방향 지지바(21)와 상기 횡방향 지지바(21)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복수개의 종방향 지지바(2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바(21,22)는 금속 재질의 바(bar) 형태로 구비되되, 상기 금속바(23)의 외면에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된 커버부(2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일반 스틸 재질로 구비되는 상기 금속바(23)의 외면을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커버부(24)로 감싸도록 사출 성형함으로써 물 또는 염분에 대한 내식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24)의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체결부(2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장체결부(25)는 상기 상판(10) 및 후술되어지는 덮개부(32)와 상기 지지바(21,22)가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관통홀(25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부(20)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상판(10)의 하측으로 상기 중공형 부유부(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중공형 부유부(30)는 상기 상판(10)의 하측에 적어도 한 쌍 이상 복수개로 배치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판의 양측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공형 부유부(30)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프레임부(20)와 결합되도록 체결부재(26)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홈(34a)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관통홀(25a), 상기 체결홈(34a) 그리고 상기 상판(10)이 상기 체결부재(26)에 의해 상호 체결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중공형 부유부(30)는 부력에 의해 상기 상판(10) 및 상기 지지프레임부(20)가 부유되도록 내에 부유공간(31)이 구비된 선체로 형성되며, 상기 부유공간(31)의 상부가 덮개(32a)에 의해 폐쇄되는 덮개부(3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중공형 부유부(30)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바지선 또는 가두리 양식장과 같은 수상구조물(100)에는 스티로폼 재질의 부이가 주로 사용되었는데, 상기와 같은 스티로폼 재질의 부이는 파도 또는 외부 충격에 쉽게 파손되며, 파손되어 떨어져 나가는 스티로폼 조각은 심각한 해양오염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스티로폼 재질의 부유물은 장시간 사용시 적재 하중에 견디지 못하고 수축되어 부양력이 현저히 저하되며, 수초 또는 어패류 등이 부착되어 생식하는 경우 상기 부착된 수초 또는 어패류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스티로폼이 함께 떨어져나가 내구력 및 부양력이 점점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수상구조물(100)에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형성된 상기 중공형 부유부(30)가 구비되는데,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사출성형 함으로써 파도 또는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뿐만 아니라, 개선된 내구성에 의해 파손되어 떨어져 나가는 부산물이 현저히 감소되어 해양오염의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공형 부유부(30)는 물과의 마찰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전방 및 후방이 실질적인 유선형상을 이루며 상기 종방향 지지바(22)와 평행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어 체결된다.
이때, 상기 부유공간(31)은 길이방향, 즉 선수로부터 선미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개의 격벽(35)에 의해 구획되며, 상부에 상기 덮개(32a)에 의해 폐쇄되는 상기 덮개부(32)의 전방 및 후방에는 각각 선체균형을 위한 물주입공(36)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중공형 부유부(30)의 내측으로 상기 부유공간(31)이 형성되며, 상기 부유공간(31)에 의해 발생되는 부력으로 상기 상판(10) 및 상기 지지프레임부(20)를 지지하여 부유된다. 이때, 상기 부유공간(31)은 복수개의 격벽(35)에 의해 구획되어 각각 독립된 공간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격벽(35)이 형성된 구조는 상기 중공형 부유부(30)가 외부 충격에 의해 일부분이 파손되어 상기 부유공간(31)의 내측으로 물이 침투되더라도 상기 격벽(35)에 의해 분리된 나머지 부유공간(31)에 영향을 주지 않고 부력이 유지됨으로써 상기 수상구조물(100)의 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10)에 적재물이 적재되되, 어느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적재되어 상기 수상구조물(100)의 균형이 깨지는 경우 상기 적재물이 적재된 반대편, 즉 대각선으로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부유공간(31)에 물을 채워넣음으로써 상기 수상구조물(100)이 평형을 이룰 수 있도록 밸러스트 탱크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중공형 부유부(30)의 상부는 상기 덮개부(32)에 의해 폐쇄되는데, 상기 덮개부(32)에는 상기 지지바(21,22)가 정렬 및 삽입되는 정렬홈(3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정렬홈(33)의 테두리(34)에는 상기 체결관통홀(25a)을 관통한 체결부재(26)가 체결되는 체결홈(34a)이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상판(10)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판(10)의 하측에는 상기 종방향 및 횡방향의 지지바(21,22)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상기 지지프레임부(2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부(20)와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중공형 부유부(30)가 체결되되, 상기 중공형 부유부(30)의 상단부를 덮도록 구비되는 상기 덮개부(32)에는 상기 정렬홈(3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정렬홈(33)은 상기 지지프레임부(20)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부(2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즉, 상기 지지프레임부(20)의 간격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상기 정렬홈(33)에 상기 지지프레임부(20)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중공형 부유부(30)가 상기 상판(10) 하측의 기설정된 위치에 정확히 자리할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프레임부(20)가 상기 정렬홈(33)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므로 파도와 같은 외부 충격에도 상기 중공형 부유부(30)가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덮개부(32)의 전방 및 후방에는 각각 선체균형을 위한 물주입공(36)이 형성되되, 상기 물주입공(36)은 상기 격벽(35)에 의해 구획된 상기 부유공간(31)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주입공(36)은 상기 상판(10)과 연통되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판(10)측으로부터 물을 주입 또는 배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렬홈(33)의 테두리(34)에는 상기 체결관통홀(25a)을 관통한 체결부재(26)가 체결되는 체결홈(34a)이 형성되는데, 상기 정렬홈(33)의 테두리(34), 지지프레임부(20)에 형성되는 상기 커버부(24) 그리고 상기 상판(10)이 상호 체결되도록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된다.
상세히 도 4를 참고하면, 외면에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코팅(12)층이 형성된 방부목재(11)로 구비되는 상기 상판(1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10)의 하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부(20)가 구비되되, 상기 지지프레임부(20)는 내측으로 금속바(23)가 구비되며 상기 금속바(23)를 감싸도록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되는 상기 커버부(24)의 일측에 상기 체결관통홀(25a)이 형성된 상기 연장체결부(25)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10)과 상기 지지프레임부(20)를 부력에 의해 지지하도록 상기 중공형 부유부(30)가 구비되되, 상기 중공형 부유부(30)는 상측에 상기 지지프레임부(20)가 정렬 및 삽입되도록 상기 정렬홈(33)이 형성되며, 상기 정렬홈(33)의 테두리(34)에는 상기 커버부(24)에 형성된 상기 체결관통홀(25a)을 관통한 상기 체결부재(26)가 체결되는 상기 체결홈(34a)이 형성된다.
즉, 상기 상판(10), 지지프레임부(20) 그리고 상기 중공형 부유부(30)가 순차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재(26)에 의해 체결되되, 상기 상판(10), 지지프레임부(20) 그리고 상기 중공형 부유부(30)의 외측이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물 또는 염분에 내식성 및 내구성이 개선되어 상기 수상구조물(100)의 사용수명이 현저히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26)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구비되어 물 또는 염분에 부식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도 2의 A-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판(10)의 중앙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수납부(13)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수납부(13)의 상측으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개폐커버(1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판(10)의 중앙부는 상기 상판(10)의 하측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상기 중공형 부유부(30) 사이의 공간을 의미한다.
상세히, 상기 상판(10)의 중앙부에는 하측의 물과 연통되는 관통수납부(13)가 형성되되, 상기 관통수납부(13)의 내면에는 복수개의 어망고정부(14)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어망고정부(14)는 물고기 또는 굴, 미역 등과 같은 채취물을 수용한 그물망을 상기 수상구조물(100)에 보관하기 위해 걸거나 묶어서 고정할 수 있도록 고리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수납부(13)의 상측으로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상기 개폐커버(1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개폐커버(15)는 도면에서와 같이 일측이 힌지로 연결되고 타측에는 잠금수단으로 잠글 수 있는 고정구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개폐커버(15)는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구비되거나 별도로 분리되는 뚜껑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관통수납부(13)의 상측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구조라면 그 형태를 제한하지 않는다.
즉, 상기와 같이 상기 상판(10)의 중앙부에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한 개폐커버(15)가 구비된 상기 관통수납부(13)가 형성됨으로써, 채취한 수산물이 도난되거나 훼손되지 않고 더욱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부유식 수상구조물(100)은 상기 중공형 부유부(30)가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로 선체 형상으로 사출 성형되어 내식성이 개선되고, 그 내부가 복수개의 격벽(35)으로 구획되어 일측에 물이 침투되어도 상기 격벽(35)에 의해 타측의 부유공간의 부유력은 유지될 수 있고, 선체균형을 위한 전후방측 부유공간에만 물주입공(36)을 통해 물을 주입하여 상기 부유식 수상구조물(100)의 전후좌우 균형을 유지하기 용이하므로 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선체 형상으로 이루지는 상기 중공형 부유부(30) 상부에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덮개부가 구비되되,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지지바(21,22)가 정렬 및 삽입되는 정렬홈(33)이 형성되어 조립이 용이하므로 작업효율성이 개선되고, 파도 또는 외부 충격에도 상기 중공형 부유부(30)가 회전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어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상판(10)의 중앙부에 상기 관통수납부(13)가 구비되되, 상기 관통수납부(13) 내측으로 채취물을 수납후 상부를 개폐커버(15)로 폐쇄함으로써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관통수납부(13)가 하측의 물과 연통되므로 채취물을 더욱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상판 11 : 방부목재
12 : 코팅층 13 : 관통수납부
14 : 어망고정부 15 : 개폐커버
16 : 핸드레일 20 : 지지프레임부
21 : 횡방향 지지바 22 : 종방향 지지바
23 : 금속바 24 : 커버부
25 : 연장체결부 25a : 체결관통홀
26 : 체결부재 30 ; 중공형 부유부
31 : 부유공간 32 : 덮개부
32a : 덮개 33 : 정렬홈
34 : 테두리 34a : 체결홈
35 : 격벽 36 : 물주입공
100 : 부유식 수상구조물

Claims (5)

  1. 상부에 적재물이 적재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구비되되,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지지바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부; 및
    상부에 상기 지지프레임부와 결합되는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부력에 의해 상기 상판 및 상기 지지프레임이 부유되도록 상부가 덮개부에 의해 덮이고 내부에 부유공간이 구비된 선체로 형성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중공형 부유부를 포함하는 부유식 수상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부유부는 전방 및 후방이 실질적인 유선형상을 이루며, 상기 부유공간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격벽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덮개부의 전방 및 후방에는 각각 선체균형을 위한 물주입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수상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금속바의 외면에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된 커버부의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체결관통홀이 형성된 연장체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지지바가 정렬 및 삽입되는 정렬홈이 형성되되, 상기 정렬홈의 테두리에는 상기 체결관통홀을 관통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수상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중앙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수납부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수납부의 상측으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커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수상구조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방부목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판의 외면은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로 감싸도록 코팅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수상구조물.
KR1020130044122A 2013-04-22 2013-04-22 부유식 수상구조물 KR101502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122A KR101502951B1 (ko) 2013-04-22 2013-04-22 부유식 수상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122A KR101502951B1 (ko) 2013-04-22 2013-04-22 부유식 수상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068A true KR20140126068A (ko) 2014-10-30
KR101502951B1 KR101502951B1 (ko) 2015-03-16

Family

ID=51995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122A KR101502951B1 (ko) 2013-04-22 2013-04-22 부유식 수상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29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523B1 (ko) * 2020-09-22 2021-06-23 김명숙 부잔교 및 바지선용 부력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231B1 (ko) 2022-08-29 2023-01-19 주식회사 대성에프앤비 충격 완충장치가 형성된 부유식 수상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3938A (ja) * 1994-12-15 1996-06-25 Nippon Shokubai Co Ltd 航行用生簀
KR100558428B1 (ko) * 2002-07-03 2006-03-07 장병원 인조 초가 및 그 제조방법
JP2008237225A (ja) * 2007-07-30 2008-10-09 Nippon Suisan Kaisha Ltd 魚の捕獲・運搬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運搬用浮体
KR101027624B1 (ko) * 2008-08-12 2011-04-06 문원배 선박용 조립식 부력 탱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523B1 (ko) * 2020-09-22 2021-06-23 김명숙 부잔교 및 바지선용 부력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2951B1 (ko) 201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3959B1 (en) Use of prefabricated components in floating structures
US20080112759A1 (en) Artificial reef anchor structure
US20210107605A1 (en) Rotational molded narrow beam catamaran with modular attachments
KR20160145247A (ko) Frp 쌍동 바지선
KR101502951B1 (ko) 부유식 수상구조물
KR20090013028A (ko) 물고기의 포획·운반 방법 및 거기에 사용하는 운반용 부체
US4622912A (en) Draft reduction system for ships
US7007620B2 (en) Modular ships for transporting and installing precast modular intermodal concrete shapes
CN211832414U (zh) 深海养殖沉浮平台
KR100762520B1 (ko) 에프알피 바지선
JP4560773B2 (ja) 簡易マリーナ装置
JP5270711B2 (ja) サンゴ群集の移植方法
AU2015351153B2 (en) Planing boa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0710080A (ja) 潜水式タンクバージ及び輸送方法
CN209064316U (zh) 泡沫养殖船
JPS61115794A (ja) フロ−トオンフロ−トオフ船
JPH08163938A (ja) 航行用生簀
EP0101171A1 (en) Barge carrying vessel
US11472516B2 (en) Raft sampling bench
KR810001873B1 (ko) 부유성 운반체 운송용 선박
CN214397134U (zh) 一种鱼苗放流用船舶
Hetharia et al. Design and future application of mobile fish platform for local fishermen in the archipelago regions
Van Buurt Implementation of an ongoing FAD programme in Curacao (Netherlands Antilles) during the period 1993-2000
GB2123354A (en) Barge carrying vessel
KR101251917B1 (ko) 해상 유어장 바지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