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5517A - 터치스크린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5517A
KR20140125517A KR20130043374A KR20130043374A KR20140125517A KR 20140125517 A KR20140125517 A KR 20140125517A KR 20130043374 A KR20130043374 A KR 20130043374A KR 20130043374 A KR20130043374 A KR 20130043374A KR 20140125517 A KR20140125517 A KR 20140125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oordinates
pointing
coordinates
input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3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7904B1 (ko
Inventor
오상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3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904B1/ko
Priority to US14/256,806 priority patent/US9857907B2/en
Publication of KR20140125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12.5D-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and also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input means within a short range in the Z direction, possibly with a separate measurement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의 처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터치스크린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포인팅 기구가 지시하는 포인팅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포인팅 영역이 변경된 경우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를 변경하는 단계;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 좌표들 중 상기 변경된 선택 개수에 해당되는 개수만큼을 이용하여 보정 좌표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 좌표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INPUT FROM TOUCHSCREEN}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의 처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자 장치는 입력 수단으로써 화면에 설치된 터치패널을 구비하고, 터치스크린(즉, 터치패널이 설치된 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생성하고, 데이터를 처리하여 입력에 대응되는 터치스크린상의 위치(location)를 인식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전자 장치는 보간법(interpolation) 알고리즘이나 노이즈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위치(예, 터치스크린상의 좌표)를 보정할 수도 있다. 특히, 보정 과정에서 전자 장치는 "흔들림 현상(일명, 지터(jitter))"을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지터는 전자 유도 방식(Electro-Magnetic Resonance; EMR)의 터치 패널을 갖는 전자 장치에서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지터에 의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펜을 움직임 없이 들고 있음에도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대응되는 포인터가 흔들릴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아이콘이 선택되고,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나아가, 포인팅 기구(pointing means)(예, 손가락이나 펜)가 지시하는 터치스크린의 포인팅 영역(pointing region)에 따라 상기 지터가 제거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서 포인팅 영역은 포인팅 기구가 터치된 영역 또는 포인팅 기구가 호버링(hovering)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또한, 깊이(depth)에 따라서도 상기 지터가 제거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서, 깊이는 터치스크린과 포인팅 기구(예, 펜촉, 손끝)간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지터를 제거함으로써 입력의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터치스크린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포인팅 기구가 지시하는 포인팅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포인팅 영역이 변경된 경우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를 변경하는 단계;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 좌표들 중 상기 변경된 선택 개수에 해당되는 개수만큼을 이용하여 보정 좌표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 좌표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메모리;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표시부;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수신된 로우 데이터를 이용하여 입력 좌표를 검출하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 및 상기 터치스크린 컨트롤러로부터 입력된 입력 좌표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포인팅 기구가 지시하는 포인팅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포인팅 영역이 변경된 경우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를 변경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 좌표들 중 상기 변경된 선택 개수에 해당되는 개수만큼을 이용하여 보정 좌표를 계산하고, 상기 보정 좌표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과 가변 노이즈 필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표시부; 및 상기 메모리에 액세스하여 상기 가변 노이즈 필터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노이즈 필터는,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포인팅 기구가 지시하는 포인팅 영역을 검출하는 기능과, 상기 포인팅 영역이 변경된 경우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를 변경하는 기능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 좌표들 중 상기 변경된 선택 개수에 해당되는 개수만큼을 이용하여 보정 좌표를 계산하는 기능과, 상기 보정 좌표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상기 프로세서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지터를 제거함으로써 입력의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터를 제거하기 위한 입력 좌표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터치스크린의 영역 구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의 변경 과정(즉, 단계 23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증가 변환에 따른 입력 좌표 선택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감소 변환에 따른 입력 좌표 선택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좌표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개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이하 설명에서 전자 장치는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PC,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 TV,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수첩, 데스크탑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예컨대, MP3 플레이어), 음향기기, 스마트 손목시계, 게임용 단말기,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가전기기(예, 냉장고, TV, 세탁기) 등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표시부(110), 메모리(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10)는 제어부(130) 특히, AP(131)의 제어 하에 다양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예컨대, 제어부(130)가 정보를 처리(예컨대, 디코딩(decoding))하여 표시부(110)의 메모리(예, 프레임 버퍼)에 저장하면, 표시부(110)는 프레임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1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플랙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패널(111)은 표시부(110)의 화면에 설치된다. 예컨대, 터치패널(111)은 표시부(110)의 화면에 위치하는 애드 온 타입(add-on type)이나 표시부(110) 내에 삽입되는 온 셀 타입(on-cell type) 또는 인 셀 타입(in-cell type)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널(111)은 표시부(110)의 화면 즉, 터치스크린에 대한 포인팅 기구(예, 손가락이나 펜)의 제스처(예, 터치, 탭, 드래그, 플릭 등)에 응답하여 입력 신호(예, 터치이벤트, 접근 이벤트, 호버링(hovering) 이벤트 등)를 발생하고, 입력 신호를 AD(Analog to Digital) 변환하여 제어부(130) 특히,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32)로 전달한다.
포인팅 기구가 터치스크린에 접근하면, 터치패널(111)은 이에 응답하여 접근 이벤트를 발생한다. 접근 이벤트는 포인팅 기구의 움직임과 그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포인팅 기구가 터치스크린에 호버링하면, 터치패널(111)은 이에 응답하여 호버링 이벤트를 발생하고, 호버링 이벤트를 예컨대,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32)로 전달한다. 여기서 호버링 이벤트에는 로우(raw) 데이터 예컨대, 하나 이상의 좌표(x, y)를 포함할 수 있다. 포인팅 기구가 터치스크린에 터치하면, 터치패널(111)은 이에 응답하여 터치 이벤트를 발생한다. 여기서 터치이벤트는 로우 데이터 예컨대, 하나 이상의 좌표(x, y)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터치패널(111)은 손 제스처를 감지하는 손 터치패널과 펜 제스처를 감지하는 펜 터치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복합 터치패널일 수 있다. 여기서 손 터치패널은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으로 구현된다. 물론 손 터치패널은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손 터치패널은 손 제스처에 의해서만 이벤트를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물체(예, 정전용량 변화를 가할 수 있는 전도성 재질의 물체)에 의해서도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펜 터치패널(일명, 디지타이저(digitizer) 센서 기판)은 전자 유도 방식(Electro-Magnetic Resonance; EMR)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펜 터치패널은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특수 제작된 터치용 펜(140)에 의해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펜 터치패널은 키 이벤트를 발생할 수도 있다. 예컨대, 펜에 설치된 키가 눌리면, 펜의 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변화된다. 펜 터치패널은 자기장의 변화에 응답하여 키 이벤트를 발생하고, 이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32)로 전달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전자 장치(100)의 운용에 따라 발생되거나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20)는 데이터 임시 저장소로써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120)는 입력 좌표 버퍼(12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0)의 AP(131)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32)로부터 수신한 좌표(예컨대, 터치 좌표, 호버링 좌표 등)를 입력 좌표 버퍼(121)에 저장할 수 있다. 입력 좌표 버퍼(121)는 제어부(130) 특히, AP(131)의 제어 하에 좌표의 저장을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 좌표 버퍼(121)는 4개의 좌표를 저장하고, 시간적으로 먼저 저장된 좌표를 먼저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좌표가 호버링 좌표인 경우, 해당 호버링 좌표에 대응되는 깊이를 입력 좌표 버퍼(121)에 저장할 수 있다. 물론 깊이는 별도의 버퍼에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의 AP(131)는 입력 좌표 버퍼(121)의 저장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입력 좌표 버퍼(121)에 저장되는 좌표의 개수가 제어부(130)에 의해 가변적일 수 있다. 한편, 버퍼는 메모리(120)가 아닌 다른 저장 공간(예, AP(131))에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메모리(120)는 전자 장치(100)의 사용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다양한 설정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120)는 터치스크린의 포인팅 영역별로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포인팅 영역은 상술한 바와 같이, 포인팅 기구가 터치된 영역 또는 포인팅 기구가 호버링(hovering)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중앙보다 외곽에서 지터가 더 심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 표 1과 같은 포인팅 영역 설정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포인팅 영역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
중앙영역 4
외곽영역 8
최외곽 영역 16
귀퉁이영역 32
또한 메모리(120)는 깊이별로 입력 좌표(즉, 입력 좌표 버퍼(121)에 저장된 좌표)의 선택 개수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깊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과 포인팅 기구(예, 펜) 간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과 포인팅 기구 간의 거리가 멀수록 지터가 더 심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 표 2와 같은 깊이 설정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깊이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
제1 설정 범위(0< depth ≤ D1) 4
제2 설정 범위(D1< depth ≤ D2) 8
제3 설정 범위(D2 < depth) 16
또한 메모리(120)는 포인팅 영역과 깊이에 대응되는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컨대, 다음 표 3과 같은 포인팅 영역 & 깊이 설정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포인팅 영역 깊이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

중앙 영역
0< depth ≤ D1 4
D1< depth ≤ D2 4
D2 < depth 8

외곽 영역
0< depth ≤ D1 8
1< depth ≤ D2 16
2 < depth 16

최외곽 영역
0< depth ≤ D1 16
1< depth ≤ D2 32
2 < depth 32

귀퉁이 영역
0< depth ≤ D1 32
1< depth ≤ D2 64
2 < depth 64
상기 표1, 표 2 및 표 3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하나의 예시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표 1 및 표 3에서 포인팅 영역은 4개로 구분된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그 이상도 될 수 있고 그 이하도 될 수 있다. 또한 표 2 및 표 3에서 깊이는 3개로 구분된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그 이상도 될 수 있고 그 이하도 될 수 있다.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 또한 다양한 값들로 설정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부팅 프로그램, 하나 이상의 운영체제 및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특히, 메모리(120)는 지터를 제거하기 위해 보정 알고리즘(122) 및 가변 노이즈 필터(123)를 포함할 수 있다. 보정 알고리즘(122)은 내재화 어플리케이션(embedded application)이거나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3rd party application)일 수 있다. 또한 보정 알고리즘(122)은 운영체제의 일부 구성일 수도 있다. 또한 보정 알고리즘(122)은 지터를 제거하기 위해, 공지된 다양한 알고리즘(예, 보간법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가변 노이즈 필터(123)는 입력 좌표 버퍼(121)에 저장된 다수의 좌표를 평균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변 노이즈 필터(123)는 포인팅 영역을 검출하는 루틴과, 포인팅 영역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루틴과, 포인팅 영역이 변경될 경우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를 변경하는 루틴(예, 포인팅 영역이 중앙 영역에서 외곽 영역으로 변경된 경우 선택 개수를 4개에서 8개로 변경)과, 변경된 선택 개수의 최근 입력 좌표들을 입력 좌표 버퍼(121)에서 읽어 오는 루틴과, F(읽어 온 입력 좌표들) 즉, 보정 좌표(출력 좌표로 지칭될 수도 있음)를 계산하는 루틴과, 계산된 보정 좌표(=F(읽어 온 입력 좌표들))를 어플리케이션(예,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으로 출력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F()는 임의의 함수이다. 예컨대, F()는 읽어 온 입력 좌표들의 평균을 구하는 함수일 수 있다. 또한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입력(예컨대, 포인팅 기구의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결과물을 피드백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은 시각적인 피드백(예, 화면에 결과물이 표시), 청각적인 피드백(예, 음악 출력) 및 촉각적인 피드백(예,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보정 좌표(출력 좌표)에 대응되는 기능(예, 포인터 표시)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변 노이즈 필터(123)는 깊이를 검출하는 루틴과, 깊이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루틴과, 깊이가 변경될 경우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를 변경하는 루틴(예, 깊이가 제 1 설정 범위에서 제 2 설정 범위로 변경된 경우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를 4개에서 8개로 변경)과, 변경된 선택 개수의 최근 입력 좌표들을 입력 좌표 버퍼(121)에서 읽어 오는 루틴과, F(읽어 온 입력 좌표들)를 계산하는 루틴과, 계산된 보정 좌표(출력 좌표)를 어플리케이션으로 출력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변 노이즈 필터(123)는 포인팅 영역과 깊이를 검출하는 루틴과, 검출된 포인팅 영역과 검출된 깊이를 기반으로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를 결정하는 루틴(예컨대, 포인팅 영역이 중앙 영역이고 깊이가 제 1 설정 범위인 경우 선택 개수는 4개로 결정됨)과, 결정된 선택 개수의 최근 입력 좌표들을 입력 좌표 버퍼(121)에서 읽어 오는 루틴과, F(읽어 온 입력 좌표들)를 계산하는 루틴과, 계산된 보정 좌표(출력 좌표)를 어플리케이션으로 출력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가변 노이즈 필터(123)는 내재화 어플리케이션(embedded application)이거나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3rd party application)일 수 있다. 또한 보정 알고리즘(122)은 운영체제의 일부 구성일 수도 있다.
메모리(120)는 메인 메모리(main memory)와 보조 메모리(secondary 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메모리는 예컨대, 램(RAM)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메모리는 디스크, 램(RAM), 롬(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인메모리는 보조 메모리로부터 로딩된 각종 프로그램 예컨대, 부팅 프로그램, 운영체제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30)로 배터리의 전원이 공급되면 먼저 부팅 프로그램이 메인메모리로 로딩(loading)된다. 이러한 부팅 프로그램은 운영체제를 메인메모리로 로딩한다. 운영체제는 어플리케이션들을 메인메모리로 로딩한다. 제어부(130)(예컨대, AP(131))는 메인메모리에 액세스하여 프로그램의 명령어(루틴)를 해독하고, 해독 결과에 따른 기능(예컨대, 가변 노이즈 필터링 등)을 실행한다. 즉 각종 프로그램들은 메인메모리로 로드되어 프로세스로써 동작한다.
제어부(13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전자 장치(100)의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배터리에서 상기 구성들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131)와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3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32)는, 터치패널(111)로부터 호버링 이벤트가 전달되면, 호버링이 발생됨을 인식한다.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32)는 호버링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에서 호버링 영역을 결정하고, 호버링 영역에서 호버링 좌표(x, y)를 계산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32)는 계산된 호버링 좌표를 예컨대, AP(Application Processor)(131)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호버링 좌표는 픽셀 단위일 수 있다. 예컨대, 화면의 해상도가 640(가로 픽셀의 개수)*480(세로 픽셀의 개수)인 경우, X축 좌표는 (0, 640)이고, Y축 좌표는 (0, 480)이다. AP(131)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32)로부터 호버렁 좌표가 수신될 경우, 포인팅 기구가 터치스크린에 호버링된 것으로 결정하고 터치패널(111)로부터 호버링 좌표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포인팅 기구의 호버링이 해제(release)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AP(131)는 호버링 좌표가 변화되고 그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이동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AP(131)는 포인팅 기구의 움직임이 발생된 것으로 결정한다. AP(131)는 포인팅 기구의 이동에 응답하여 포인팅 기구의 위치변화량(dx, dy) 및 포인팅 기구의 이동 속도 등을 산출할 수 있다. AP(131)는 호버링 좌표, 포인팅 기구의 호버링 해제 여부, 포인팅 기구의 이동 여부, 포인팅 기구의 위치변화량 및 포인팅 기구의 이동 속도 등을 기반으로, 터치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제스처를 드래그(Drag), 플릭(Flick), 핀치인(pinch in), 핀치아웃(pinch out), 바운더리 인(boundary in) 및 바운더리 아웃(boundary out) 등 중에서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바운더리 인은 예컨대, 터치스크린의 테두리 부분(예, 베젤(bezel))에서 터치스크린 쪽으로 포인팅 기구가 이동하는 제스처일 수 있다. 바운더리 아웃은 터치스크린에서 테두리 쪽으로 포인팅 기구가 이동하는 제스처일 수 있다. 또한 호버링 이벤트는 깊이를 산출하기 위한 감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호버링 이벤트는 3차원 좌표 (x, y, z)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z 값이 깊이를 의미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32)는 터치패널(111)로부터 터치이벤트가 전달되면, 터치가 발생됨을 인식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32)는 터치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에서 터치 영역을 결정하고, 터치 영역에서 터치 좌표(x, y)를 계산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32)는 계산된 터치 좌표를 예컨대, AP(131)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좌표는 픽셀 단위일 수 있다. AP(131)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32)로부터 터치 좌표가 수신될 경우, 포인팅 기구가 터치패널(111)에 터치된 것으로 결정하고, 터치패널(111)로부터 터치 좌표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포인팅 기구의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AP(131)는 터치 좌표가 변화되고 그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이동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포인팅 기구의 움직임이 발생된 것으로 결정한다. AP(131)는 포인팅 기구의 이동에 응답하여 포인팅 기구의 위치변화량(dx, dy) 및 포인팅 기구의 이동 속도 등을 산출할 수 있다. AP(131)는 터치 좌표, 포인팅 기구의 터치 해제 여부, 포인팅 기구의 이동 여부, 포인팅 기구의 위치변화량 및 포인팅 기구의 이동 속도 등을 기반으로, 터치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제스처를 터치, 멀티 터치, 탭(Tap), 더블 탭(Double Tap), 롱 탭(Long tap), 탭 앤 터치(Tap & touch), 드래그(Drag), 플릭(Flick), 프레스(Press), 핀치인(pinch in), 핀치아웃(pinch out), 바운더리 인, 바운더리 아웃 등 중에서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AP(131)은 메모리(1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특히 AP(131)는 가변 노이즈 필터(123)를 실행할 수 있다. 가변 노이즈 필터(123)는 AP(131)가 아닌 다른 프로세서 예컨대, CPU에 의해서도 실행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AP(131) 이외에 다양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하나 이상의 중앙처리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그래픽처리유닛(Graphic Processing Unit; GPU)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전자 장치(100)가 이동통신모듈(예컨대, 3세대(3-Generation) 이동통신모듈, 3.5세대(3.5-Generation) 이동통신모듈 또는 4세대(4-Generation) 이동통신모듈 등)을 구비한 경우,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r; C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전자 장치(100)가 카메라를 구비한 경우, ISP(Image Signal Processo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프로세서들은 각각, 두 개 이상의 독립 코어(예, 쿼드 코어(quad-core))가 단일 집적 회로로 이루어진 하나의 패키지(package)로 통합될 수 있다. 예컨대, AP(131)은 하나의 멀티 코어 프로세서로 통합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프로세서들(예, AP와 ISP)은 하나의 칩으로 통합(SoC; System on Chip)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프로세서들(예, AP와 ISP)은 멀티 레이어(multi layer)로 패키징(packaging)된 것일 수 있다.
펜(140)은 전자 장치(100)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전자 장치(100)의 부속품으로써, 펜대와, 펜대의 끝에 배치된 펜촉과, 펜촉에 인접하게 펜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발생하는 코일과, 자기장을 변화시키기 위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펜(140)의 코일은 펜촉의 부근에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터치패널(111)은 자기장을 감지하고, 자기장에 대응되는 이벤트를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이동통신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예, 예, 와이파이(Wi-Fi)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방송 수신 모듈(예, DMB 모듈), 스피커, 마이크, 이어잭, 진동 모터, 카메라,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GPS 수신 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터를 제거하기 위한 입력 좌표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터치스크린의 영역 구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10에서 제어부(130)는 터치패널(111)을 통해 포인팅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300)은 중앙 영역(310), 외곽 영역(320), 최외곽 영역(330) 및 귀퉁이 영역(34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터치패널(111)로부터 이벤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벤트를 이용하여 현재 입력 좌표 Input_current를 계산하고, 계산된 입력 좌표 Input_current를 입력 좌표 버퍼(121)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계산된 입력 좌표 Input_current에 해당되는 포인팅 영역 PR(Point Region)_current를 결정한다. 예컨대, 계산된 입력 좌표 Input_current가 중앙 영역(310)에 속한 경우, 제어부(130)는 중앙 영역(310)을 포인팅 영역으로 결정한다.
단계 220에서 제어부(130)는 포인팅 영역의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이전 입력 좌표 Input_previous를 입력 좌표 버퍼(121)에서 읽어 온다. 여기서 이전 입력 좌표 Input_previous는 입력 좌표 Input_current보다 앞서 저장된 입력 좌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예컨대, 이전 입력 좌표 Input_previous는 입력 좌표 Input_current보다 바로 앞에 저장된 입력 좌표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이전 입력 좌표 Input_previous에 해당되는 포인팅 영역 PR_previous을 확인한다. PR_currrent와 PR_previous가 동일한 경우, 제어부(130)는 포인팅 영역이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한다. PR_currrent와 PR_previous가 다른 경우, 제어부(130)는 포인팅 영역이 변경된 것으로 결정한다.
PR_currrent와 PR_previous가 다른 경우, 단계 230에서 제어부(130)는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를 변경한다. 이러한 변경 과정에서 제어부(130)는 표 1과 같은 '포인팅 영역 설정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단계 240에서 제어부(130)는 변경된 개수의 최근 입력 좌표들을 입력 좌표 버퍼(121)에서 선택한다. PR_currrent와 PR_previous가 동일한 경우, 단계 250에서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개수의 최근 입력 좌표들을 입력 좌표 버퍼(121)에서 선택한다.
단계 260에서 제어부(130)는 단계 240 또는 단계 250에서 선택된 입력 좌표들을 이용하여 보정 좌표(출력 좌표)를 계산한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선택된 입력 좌표들을 평균하여 보정 좌표(출력 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 단계 270에서 제어부(130)는 보정 좌표(출력 좌표)에 대응되는 기능(예, 포인터 표시)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의 변경 과정(즉, 단계 23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PR_currrent와 PR_previous가 다른 경우, 단계 231에서 제어부(130)는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가 증가하는 변환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포인팅 기구의 포인팅 위치(예, 포인팅 좌표)가 터치스크린의 중앙에서 바깥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포인팅 영역이 변경된 경우(예컨대, 포인팅 영역이 중앙 영역(310)에서 외곽 영역(320)으로 변경된 경우), 제어부(130)는 선택 개수의 변환을 증가 변환으로 결정한다. 포인팅 기구의 포인팅 위치가 터치스크린의 바깥쪽에서 중앙으로 이동함에 따라 포인팅 영역이 변경된 경우(예컨대, 포인팅 영역이 외곽 영역(320)에서 중앙 영역(310)으로 변경된 경우), 제어부(130)는 선택 개수의 변환을 감소 변환으로 결정한다.
선택 개수의 변환이 증가 변환으로 결정된 경우, 단계 232에서 제어부(130)는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를 n1(기설정된 개수)에서 n2로 늘릴 수 있다. 이렇게 늘리는 과정에서 제어부(130)는 표 1과 같은 '포인팅 영역 설정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예컨대, 포인팅 영역이 중앙 영역(310)에서 외곽 영역(320)으로 변경된 경우, 제어부(130)는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를 4개에서 8개로 늘릴 수 있다.
선택 개수의 변환이 감소 변환으로 결정된 경우, 단계 233에서 제어부(130)는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를 n1에서 n3로 줄일 수 있다. 이렇게 줄이는 과정에서 제어부(130)는 표 1과 같은 '포인팅 영역 설정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예컨대, 포인팅 영역이 외곽 영역(320)에서 중앙 영역(310)으로 변경된 경우, 제어부(130)는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를 8개에서 4개로 줄일 수 있다.
도 5는 증가 변환에 따른 입력 좌표 선택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표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증가 변환 전, 포인팅 영역은 중앙 영역(310)이고 이에 따라,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는 4개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입력 좌표 버퍼(121)에 저장된 입력 좌표들 중 I1, I2, I3 및 I4가 최근에 저장된 입력 좌표들인 것으로 가정한다. I1, I2, I3 및 I4 중에는 I4가 가장 늦게(가장 최근)에 저장된 입력 좌표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와 같은 가정 하에, 포인팅 영역이 중앙 영역(310)에서 외곽 영역(320)으로 변경되면, 제어부(130)는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를 4개에서 8개로 증가 변환한다. 증가 변환에 응답하여 제어부(130)는 8개의 입력 좌표들을 선택한다. 특히, 제어부(130)는 입력 좌표 버퍼(121)에 저장된 입력 좌표들 중 최근에 저장된 4개의 입력 좌표 I1, I2, I3 및 I4를 선택하고, 부족한 수만큼(즉, 4(=8(n3) - 4(n1)) 가장 최근에 저장된 입력 좌표 I4를 반복적으로 선택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130)는 출력 좌표(= F(I1, I2, I3, I4, I4, I4, I4, I4))를 계산한다. 여기서 F()는 I1, I2, I3, I4, I4, I4, I4 및 I4의 평균을 계산하는 함수일 수 있다.
도 6은 감소 변환에 따른 입력 좌표 선택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표 1 및 도 6을 참조하면, 감소 변환 전, 포인팅 영역은 외곽 영역(320)이고 이에 따라,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는 8개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입력 좌표 버퍼(121)에 저장된 입력 좌표들 중 I1, I2, I3, I4, I5, I6, I7 및 I8이 최근에 저장된 입력 좌표들인 것으로 가정한다. I1, I2, I3, I4, I5, I6, I7 및 I8 중에는 I5, I6, I7 및 I8가 다른 것들보다 늦게(즉, 최근) 저장된 입력 좌표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와 같은 가정 하에, 포인팅 영역이 외곽 영역(320)에서 중앙 영역(310)으로 변경되면, 제어부(130)는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를 8개에서 4개로 감소 변환한다. 감소 변환에 응답하여 제어부(130)는 4개의 입력 좌표들을 선택한다. 즉 제어부(130)는 I1, I2, I3, I4, I5, I6, I7 및 I8 중에서 최근에 저장된 I5, I6, I7 및 I8를 선택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130)는 출력 좌표(= F(I5, I6, I7, I8))를 계산한다. 여기서 F()는 I5, I6, I7 및 I8의 평균을 계산하는 함수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좌표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10에서 제어부(130)는 터치패널(111)을 통해 깊이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터치패널(111)로부터 호버링 이벤트를 수신하고, 수신된 호버링 이벤트를 이용하여 현재 입력 좌표 Input_current와 현재 깊이 D_current를 계산하고, 현재 입력 좌표 Input_current와 현재 깊이 D_current를 입력 좌표 버퍼(121)에 저장한다. 여기서 현재 깊이 D_current는 다른 버퍼에 저장될 수도 있다.
단계 720에서 제어부(130)는 깊이의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이전 입력 좌표 Input_previous의 이전 깊이 D_previous를 입력 좌표 버퍼(121)에서 읽어 온다. 여기서 이전 입력 좌표 Input_previous는 입력 좌표 Input_current보다 앞서 저장된 입력 좌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예컨대, 이전 입력 좌표 Input_previous는 입력 좌표 Input_current보다 바로 앞에 저장된 입력 좌표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이전 깊이 D_previous가 속한 설정 범위를 확인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현재 깊이 D_current가 속한 설정 범위를 확인한다. 두 설정 범위가 동일한 경우, 제어부(130)는 깊이의 범위가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한다. 두 설정 범위가 다른 경우, 제어부(130)는 깊이의 범위가 변경된 것으로 결정한다.
두 설정 범위가 다른 경우, 단계 730에서 제어부(130)는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를 변경한다. 이러한 변경 과정에서 제어부(130)는 표 2와 같은 '깊이 설정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단계 740에서 제어부(130)는 변경된 개수의 최근 입력 좌표들을 입력 좌표 버퍼(121)에서 선택한다. 일례로, 표 2와 도 5를 참조하면, 깊이가 제 1 설정 범위에서 제 2 설정 범위로 변경되면, 제어부(130)는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를 4개에서 8개로 증가 변환한다. 증가 변환에 응답하여 제어부(130)는 8개의 입력 좌표들을 선택한다. 특히, 제어부(130)는 입력 좌표 버퍼(121)에 저장된 입력 좌표들 중 최근에 저장된 4개의 입력 좌표 I1, I2, I3 및 I4를 선택하고, 부족한 수만큼(즉, 4(=8(n3) - 4(n1)) 가장 최근에 저장된 입력 좌표 I4를 반복적으로 선택한다. 다른 예로, 깊이가 제 2 설정 범위에서 제 1 설정 범위로 변경되면, 제어부(130)는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를 8개에서 4개로 감소 변환한다. 감소 변환에 응답하여 제어부(130)는 4개의 입력 좌표들을 선택한다. 즉 제어부(130)는 I1, I2, I3, I4, I5, I6, I7 및 I8 중에서 최근에 저장된 I5, I6, I7 및 I8를 선택한다.
두 설정 범위가 동일한 경우, 단계 750에서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개수의 최근 입력 좌표들을 입력 좌표 버퍼(121)에서 선택한다.
단계 760에서 제어부(130)는 단계 740 또는 단계 750에서 선택된 입력 좌표들을 이용하여 보정 좌표(출력 좌표)를 계산한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선택된 입력 좌표들을 평균하여 보정 좌표(출력 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 단계 770에서 제어부(130)는 보정 좌표(출력 좌표)에 대응되는 기능(예, 포인터 표시)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포인팅 영역 및/또는 깊이 범위의 변경에 따라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가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인팅 영역 및/또는 깊이 범위에 상관없이 지터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지터가 제거됨으로써 입력의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펜을 움직임 없이 들고 있으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포인터도 흔들림 없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펜이 이동함에 따라 포인팅 영역이 변경(예컨대, 포인팅 영역이 지터가 심한 외곽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지터가 약한 중앙으로 변경 또는 그 반대)되더라도, 표시되는 포인터가 끊김없이 않고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포인팅 위치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이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또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와,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롬(ROM)과, 램(RAM)과,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0: 전자 장치
110: 표시부 111: 터치패널
120: 메모리 121: 입력 좌표 버퍼
122: 보정 알고리즘 123: 가변 노이즈 필터
130: 제어부 131: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132: 터치스크린 컨트롤러

Claims (15)

  1. 전자 장치에서 터치스크린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포인팅 기구가 지시하는 포인팅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포인팅 영역이 변경된 경우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를 변경하는 단계;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 좌표들 중 상기 변경된 선택 개수에 해당되는 개수만큼을 이용하여 보정 좌표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 좌표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포인팅 기구의 포인팅 위치가 상기 터치스크린의 중앙에서 바깥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포인팅 영역이 변경된 경우, 상기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를 늘리는 단계와,
    상기 포인팅 기구의 포인팅 위치가 상기 터치스크린의 바깥쪽에서 중앙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포인팅 영역이 변경된 경우, 상기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를 줄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좌표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가 제 1 선택 개수에서 제 2 선택 개수로 늘어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 좌표들 중 상기 제 1 선택 개수의 최근 입력 좌표들을 선택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 좌표들 중 가장 최근에 저장된 입력 좌표를, 상기 제 1 선택 개수와 상기 제 2 선택 개수의 차이만큼, 반복적으로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최근 입력 좌표들과 상기 차이만큼 반복적으로 선택된 가장 최근 입력 좌표들의 평균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좌표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가 상기 제 1 선택 개수에서 제 3 선택 개수로 줄어든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 좌표들 중 상기 제 3 선택 개수의 최근 입력 좌표들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최근 입력 좌표들의 평균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영역은,
    상기 포인팅 기구가 터치된 영역 또는 상기 포인팅 기구가 호버링(hovering)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기구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깊이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깊이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메모리;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표시부;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수신된 로우 데이터를 이용하여 입력 좌표를 검출하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 및
    상기 터치스크린 컨트롤러로부터 입력된 입력 좌표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포인팅 기구가 지시하는 포인팅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포인팅 영역이 변경된 경우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를 변경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 좌표들 중 상기 변경된 선택 개수에 해당되는 개수만큼을 이용하여 보정 좌표를 계산하고, 상기 보정 좌표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포인팅 기구의 포인팅 위치가 상기 터치스크린의 중앙에서 바깥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포인팅 영역이 변경된 경우, 상기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를 늘리고,
    상기 포인팅 기구의 포인팅 위치가 상기 터치스크린의 바깥쪽에서 중앙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포인팅 영역이 변경된 경우, 상기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가 제 1 선택 개수에서 제 2 선택 개수로 늘어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 좌표들 중 상기 제 1 선택 개수의 최근 입력 좌표들을 선택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 좌표들 중 가장 최근에 저장된 입력 좌표를, 상기 제 1 선택 개수와 상기 제 2 선택 개수의 차이만큼, 반복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최근 입력 좌표들과 상기 차이만큼 반복적으로 선택된 가장 최근 입력 좌표들의 평균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가 상기 제 1 선택 개수에서 제 3 선택 개수로 줄어든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 좌표들 중 상기 제 3 선택 개수의 최근 입력 좌표들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최근 입력 좌표들의 평균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영역은,
    상기 포인팅 기구가 터치된 영역 또는 상기 포인팅 기구가 호버링(hovering)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포인팅 기구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깊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깊이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전자 유도 방식의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5.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과 가변 노이즈 필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표시부; 및
    상기 메모리에 액세스하여 상기 가변 노이즈 필터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노이즈 필터는,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포인팅 기구가 지시하는 포인팅 영역을 검출하는 기능과, 상기 포인팅 영역이 변경된 경우 입력 좌표의 선택 개수를 변경하는 기능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 좌표들 중 상기 변경된 선택 개수에 해당되는 개수만큼을 이용하여 보정 좌표를 계산하는 기능과, 상기 보정 좌표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상기 프로세서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130043374A 2013-04-19 2013-04-19 터치스크린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102147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374A KR102147904B1 (ko) 2013-04-19 2013-04-19 터치스크린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US14/256,806 US9857907B2 (en) 2013-04-19 2014-04-18 Method and device for accuracy enhancement of touchscreen inp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374A KR102147904B1 (ko) 2013-04-19 2013-04-19 터치스크린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517A true KR20140125517A (ko) 2014-10-29
KR102147904B1 KR102147904B1 (ko) 2020-08-25

Family

ID=51728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374A KR102147904B1 (ko) 2013-04-19 2013-04-19 터치스크린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57907B2 (ko)
KR (1) KR1021479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3715A (ko) * 2015-10-13 2017-04-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표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치 입력 검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45285B (zh) * 2017-05-12 2019-12-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提取方法及终端
KR20230047281A (ko) * 2021-09-30 2023-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싱 방법 및 표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1446A (ja) * 1999-02-10 2000-08-22 Sharp Corp 表示一体型タブレット装置及びタブレット自動補正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US20080309631A1 (en) * 2007-06-13 2008-12-18 Apple Inc. Integrated multi-touch surface having varying sensor granularity
US20100134444A1 (en) * 2007-03-30 2010-06-03 Yoichiro Yahata Image processing device, control program,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KR20110055810A (ko) * 2009-11-20 2011-05-2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보정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650B1 (ko) 2004-11-17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의 잡음 회피 장치 및 방법
KR100735561B1 (ko) 2005-11-02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로부터 발생되는 잡음을 저감하는 방법 및 장치
JP5121963B2 (ja) * 2011-03-31 2013-01-16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及び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1446A (ja) * 1999-02-10 2000-08-22 Sharp Corp 表示一体型タブレット装置及びタブレット自動補正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US20100134444A1 (en) * 2007-03-30 2010-06-03 Yoichiro Yahata Image processing device, control program,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US20080309631A1 (en) * 2007-06-13 2008-12-18 Apple Inc. Integrated multi-touch surface having varying sensor granularity
KR20110055810A (ko) * 2009-11-20 2011-05-2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보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3715A (ko) * 2015-10-13 2017-04-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표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치 입력 검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904B1 (ko) 2020-08-25
US9857907B2 (en) 2018-01-02
US20140313148A1 (en)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0642B2 (en) Mouse function provision method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102010955B1 (ko) 프리뷰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단말
US2015001288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chat window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KR102189787B1 (ko)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입력 처리 방법
KR102133365B1 (ko)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102022288B1 (ko) 터치 입력 방법 및 휴대 단말
TW201421350A (zh) 於外部顯示裝置上顯示觸控裝置之畫面的方法
US9658865B2 (en) Method of editing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for implementing the same
EP2808774A2 (en) Electronic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 in response to user input
US201403517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sitioning of visual items
KR20150052481A (ko) 콘텐츠 표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KR20140073258A (ko) 어플리케이션 정보 제공 방법 및 휴대 단말
KR102147904B1 (ko) 터치스크린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140105354A (ko) 터치 감응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106354B1 (ko) 전자장치에서 터치 입력을 이용한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7223226B (zh) 用于多点触摸输入的装置和方法
US201700173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mart device manipulation utilizing sides of device
US9977567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40032851A (ko) 터치 입력 처리 방법 및 휴대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