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3822A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3822A
KR20140123822A KR1020130041155A KR20130041155A KR20140123822A KR 20140123822 A KR20140123822 A KR 20140123822A KR 1020130041155 A KR1020130041155 A KR 1020130041155A KR 20130041155 A KR20130041155 A KR 20130041155A KR 20140123822 A KR20140123822 A KR 20140123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refrigerant
temperature
expansion valve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1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3358B1 (ko
Inventor
류병진
김병수
김범찬
고영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1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358B1/ko
Publication of KR20140123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4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 F25B2400/0409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for the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5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 F25B2700/21152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at the discharge side of the compr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6Temperatures of a condenser
    • F25B2700/21161Temperatures of a condenser of the fluid heated by the condenser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시 가스(flash gas)를 압축기에 인젝션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증발하는 증발기; 및 상기 응축기에서 상기 증발기로 유동되는 냉매의 일부를 상기 압축기로 인젝션하는 인젝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젝션 모듈은, 상기 응축기에서 상기 증발기로 유동되는 냉매의 일부를 팽창하는 인젝션 팽창밸브; 및 상기 응축기에서 상기 증발기로 유동되는 냉매의 일부를 상기 인젝션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와 열교환을 하여 과냉각하는 인젝션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인젝션 팽창밸브는 상기 인젝션 열교환기에서 과냉된 냉매의 온도와 상기 인젝션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의 온도의 차이인 근접온도에 따라 개도가 조절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래시 가스(flash gas)를 압축기에 인젝션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팽창밸브 및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장치이다. 즉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기, 실내를 난방시키는 난방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가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로 구성되는 경우, 냉방운전과 난방운전에 따라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의 유로를 바꾸는 절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냉방운전시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는 절환부를 통과하여 실외 열교환기로 유동을 하고 실외 열교환기는 응축기 역할을 한다. 그리고, 실외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냉매는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후, 실내 열교환기로 유입된다. 이 때, 실내 열교환기는 증발기로 작용을 하게 되고, 실내 열교환기에서 증발된 냉매는 다시 절환부를 통과하여 압축기로 유입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난방운전 또는 냉방운전시 응축된 냉매 일부를 압축기에 인젝션(injection)하여 효율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응축된 냉매의 일부가 기체로 된 플래시 가스가 인젝셔되는 경우 인젝션시 이를 제어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플래시 가스를 인젝션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플래시 가스가 인젝션되는 경우 이를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증발하는 증발기; 및 상기 응축기에서 상기 증발기로 유동되는 냉매의 일부를 상기 압축기로 인젝션하는 인젝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젝션 모듈은, 상기 응축기에서 상기 증발기로 유동되는 냉매의 일부를 팽창하는 인젝션 팽창밸브; 및 상기 응축기에서 상기 증발기로 유동되는 냉매의 일부를 상기 인젝션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와 열교환을 하여 과냉각하는 인젝션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인젝션 팽창밸브는 상기 인젝션 열교환기에서 과냉된 냉매의 온도와 상기 인젝션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의 온도의 차이인 근접온도에 따라 개도가 조절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증발하는 증발기; 및 상기 응축기에서 상기 증발기로 유동되는 냉매의 일부를 상기 압축기로 인젝션하는 인젝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젝션 모듈은, 상기 응축기에서 상기 증발기로 유동되는 냉매의 일부를 팽창하는 인젝션 팽창밸브; 및 상기 응축기에서 상기 증발기로 유동되는 냉매의 일부를 상기 인젝션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와 열교환을 하여 과냉각하는 인젝션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젝션 모듈이 상기 응축기에서 상기 증발기로 유동되는 냉매 일부를 상기 압축기로 인젝션하는 단계; 및 상기 인젝션 팽창밸브의 개도가 상기 인젝션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의 온도와 상기 인젝션 열교환기에서 과냉된 냉매의 온도의 차이인 근접온도에 따라 조절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플래시 가스를 압축기에 인젝션하여 냉난방 성능을 극대화하고 압축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플래시 가스 인젝션시 적절한 제어 인자로 인젝션 되는 냉매를 팽창하는 인젝션 팽창밸브를 제어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플래시 가스 인젝션시 인젝션 팽창밸브를 적절히 제어하여 인젝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시 냉매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시 냉매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인젝션 팽창밸브의 개도 조절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시 냉매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시 냉매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10)와, 실외에 설치되어 실외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120)와,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는 실내 열교환기(130)와,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를 냉방운전시 실외 열교환기(120)로 안내하고 난방운전시 실내 열교환기(130)로 안내하는 절환부(190)와, 난방운전시 실외 열교환기(120)에서 실내 열교환기(130)로 유동되는 냉매의 일부를 팽창하여 압축기(110)로 인젝션하는 제 1 인젝션 모듈(170)과, 난방운전시 실외 열교환기(120)에서 실내 열교환기(130)로 유동되는 냉매의 일부를 팽창하여 압축기(110)로 인젝션하는 제 2 인젝션 모듈(180)을 포함한다.
압축기(110)는 유입되는 저온 저압의 냉매를 고온 고압의 냉매로 압축시킨다. 압축기(110)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실린더 및 피스톤을 이용한 왕복동 압축기 또는 선회 스크롤 및 고정 스크롤을 이용한 스크롤 압축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압축기(110)는 스크롤 압축기이다. 압축기(110)는 실시예에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압축기(110)는, 냉방운전시 실내 열교환기(130)에서 증발된 냉매가 유입되거나 난방운전시 실외 열교환기(120)에서 증발된 냉매가 유입되는 제 1 유입포트(111)와, 제 2 인젝션 모듈(180)에서 팽창되어 증발된 비교적 저압의 냉매가 유입되는 제 2 유입포트(112)와, 제 1 인젝션 모듈(170)에서 팽창되어 증발된 비교적 고압의 냉매가 유입되는 제 3 유입포트(113)와,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포트(114)를 포함한다.
제 2 유입포트(112)는 압축기(110)에서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실의 저압측에 형성되고 제 3 유입포트(113)는 압축기(110) 압축실의 고압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유입포트(111)로 유입되는 냉매는 제 2 유입포트(112)로 유입되는 냉매보다 압력과 온도가 낮으며, 제 2 유입포트(112)로 유입되는 냉매는 제 3 유입포트(113)로 유입되는 냉매보다 압력과 온도가 낮다. 제 3 유입포트(113)로 유입되는 냉매는 토출포트(114)로 토출되는 냉매보다 압력과 온도가 낮다.
압축기(110)는 제 1 유입포트(111)로 유입된 냉매를 압축실에서 압축하며 압축실의 저압측에 형성된 제 2 유입포트(112)로 유입되는 냉매와 합류시켜 압축시킨다. 압축기(110)는 합류된 냉매를 압축하며 압축실의 고압측에 형성된 제 3 유입포트(113)로 유입되는 냉매와 합류하여 압축시켜 압축시킨다. 압축기(110)는 합류된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포트(114)로 토출시킨다.
기액분리기(160)는 냉방운전시 실내 열교환기(130)에서 증발된 냉매 또는 난방운전시 실외 열교환기(120)에서 증발된 냉매에서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한다. 기액분리기(160)는 절환부(190)와 압축기(110)의 제 1 유입포트(111) 사이에 구비된다. 기액분리기(160)에서 분리된 기상 냉매는 압축기(110)의 제 1 유입포트(111)로 유입된다.
절환부(190)는 냉난방 절환을 위한 유로 절환 밸브로서, 압축기(110)에서 압축된 냉매를 냉방운전시 실외 열교환기(120)로 안내하고, 난방운전시 실내 열교환기(130)로 안내한다. 실시예에 따라, 절환부(190)는 4개의 유로를 절환할 수 있는 다양한 밸브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절환부(190)는 압축기(110)의 토출포트(114) 및 기액분리기(160)와 연결되고, 실내 열교환기(130) 및 실외 열교환기(120)와 연결된다. 절환부(190)는 냉방운전시 압축기(110)의 토출포트(114)와 실외 열교환기(120)를 연결하고, 실내 열교환기(130)와 기액분리기(160)를 연결한다. 절환부(190)는 난방운전시 압축기(110)의 토출포트(114)와 실내 열교환기(130)를 연결하고, 실외 열교환기(120)와 기액분리기(160)를 연결한다.
절환부(190)는 서로 다른 유로를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유로 절환을 위한 사방밸브이다. 실시예에 따라 절환부(190)는 삼방밸브 2개의 조합 등 다양한 밸브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외 열교환기(120)는 실외 공간에 배치되며, 실외 열교환기(120)를 통과하는 냉매가 실외공기와 열교환을 한다. 실외 열교환기(120)는 냉방운전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로 작용하고, 난방운전시 냉매를 증발하는 증발기로 작용한다.
실외 열교환기(120)는 절환부(190) 및 실외 팽창밸브(140)와 연결된다. 냉방운전시 압축기(110)에서 압축되어 압축기(110)의 토출포트(114) 및 절환부(190)를 통과한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120)로 유입된 후 응축되어 실외 팽창밸브(140)로 유동된다. 난방운전시 실외 팽창밸브(140)에서 팽창된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120)로 유입된 후 증발되어 절환부(190)로 토출된다.
실외 팽창밸브(140)는 냉방운전시 완전 개방되어 냉매를 통과시키고, 난방운전시 개도가 조절되어 냉매를 팽창한다. 실외 팽창밸브(140)는 실외 열교환기(120) 및 제 2 인젝션 모듈(180)과 연결된다. 실외 팽창밸브(140)는 실외 열교환기(120)와 제 2 인젝션 모듈(180) 사이에 구비된다.
실외 팽창밸브(140)는 냉방운전시 실외 열교환기(120)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통과시켜 제 2 인젝션 모듈(180)로 안내한다. 실외 팽창밸브(140)는 난방운전시 제 2 인젝션 모듈(180)에서 실외 열교환기(120)로 유동되는 냉매를 팽창한다.
실내 열교환기(130)는 실내 공간에 배치되며, 실내 열교환기(130)를 통과하는 냉매가 실내공기와 열교환을 한다. 실내 열교환기(130)는 냉방운전시 냉매를 증발하는 증발기로 작용하고, 난방운전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로 작용한다.
실내 열교환기(130)는 절환부(190) 및 실내 팽창밸브(150)와 연결된다. 냉방운전시 실내 팽창밸브(150)에서 팽창된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130)로 유입된 후 증발되어 절환부(190)로 토출된다. 난방운전시 압축기(110)에서 압축되어 압축기(110)의 토출포트(114) 및 절환부(190)를 통과한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130)로 유입된 후 응축되어 실내 팽창밸브(150)로 유동된다.
실내 팽창밸브(150)는 냉방운전시 개도가 조절되어 냉매를 팽창하고 난방운전시 완전 개방되어 냉매를 통과시킨다. 실내 팽창밸브(150)는 실내 열교환기(130) 및 제 1 인젝션 모듈(170)과 연결된다. 실내 팽창밸브(150)는 실내 열교환기(130)와 제 1 인젝션 모듈(170) 사이에 구비된다.
실내 팽창밸브(150)는 냉방운전시 제 1 인젝션 모듈(170)에서 실내 열교환기(130)로 유동되는 냉매를 팽창한다. 실내 팽창밸브(150)는 난방운전시 실내 열교환기(130)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통과시켜 제 1 인젝션 모듈(170)로 안내한다.
제 1 인젝션 모듈(170)은 운전조건에 따라 실내 열교환기(130)와 실외 열교환기(120) 사이에서 유동되는 냉매의 일부를 압축기(110)로 인젝션하거나 과냉각한다.
제 1 인젝션 모듈(170)은 난방운전시 실내 열교환기(130)에서 제 2 인젝션 모듈(180)로 유동되는 냉매의 일부를 팽창하여 압축기(110)의 고압측으로 인젝션한다. 제 1 인젝션 모듈(170)은 실내 팽창밸브(150), 인젝션 밸브(173), 과냉 밸브(174) 및 제 2 인젝션 모듈(180)과 연결된다.
제 1 인젝션 모듈(170)은 난방운전시 실내 열교환기(130)로부터 유동되는 냉매의 일부를 압축기(110)의 제 3 유입포트(113)로 안내하여 압축기(110)의 고압측으로 인젝션하며, 실내 열교환기(130)로부터 유동되는 냉매의 다른 일부를 제 2 인젝션 모듈(180)로 안내한다.
제 1 인젝션 모듈(170)은 냉방운전시 실외 열교환기(120)로부터 제 2 인젝션 모듈(180)을 거쳐 유동되는 냉매의 일부를 팽창하여 기액분리기(160)로 안내할 수 있으며, 실외 열교환기(120)로부터 제 2 인젝션 모듈(180)을 거쳐 유동되는 냉매의 일부를 과냉각하여 실내 팽창밸브(150)로 안내할 수 있다.
제 1 인젝션 모듈(170)은 냉방운전시 작동하지 않고 제 2 인젝션 모듈(180)로부터 유동되는 냉매를 바이패스하여 실내 팽창밸브(150)로 안내할 수 있다.
제 1 인젝션 모듈(170)은, 유동되는 냉매의 일부를 팽창하는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와, 유동되는 냉매의 다른 일부를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에서 팽창된 냉매와 열교환하여 과냉각하는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를 포함한다.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는 실내 팽창밸브(150) 및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와 연결된다.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는 난방운전시 실내 열교환기(130)에서 압축기(110)로 인젝션되는 냉매를 팽창하며 냉방운전시 제 2 인젝션 열교환기(182)에서 기액분리기(160)로 유동되는 냉매를 팽창할 수 있다.
난방운전시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는 실내 열교환기(130)에서 열교환되어 실내 팽창밸브(150)를 통과한 냉매의 일부를 팽창하여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로 안내한다. 난방운전시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는 통과하는 냉매의 압력이 제 3 유입포트(113)가 연결되는 압축기(110)의 고압측 압력과 같도록 개도를 조절한다.
냉방운전시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는 제 2 인젝션 모듈(180)로부터 유동되어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를 통과한 냉매의 일부를 팽창하여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로 안내할 수 있다. 냉방운전시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는 폐쇄되어 제 1 인젝션 모듈(170)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는 실내 팽창밸브(150),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 제 2 인젝션 팽창밸브(181), 제 2 인젝션 열교환기(182), 인젝션 밸브(173) 및 과냉 밸브(174)와 연결된다.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는 난방운전시 실내 열교환기(130)에서 유동되는 냉매와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에서 팽창된 냉매를 열교환하며 냉방운전시 제 2 인젝션 모듈(180)로부터 유동되는 냉매와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에서 팽창된 냉매를 열교환한다.
난방운전시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는 실내 열교환기(130)에 열교환되어 실내 팽창밸브(150)를 통과한 냉매의 일부를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에서 팽창된 냉매와 열교환한다. 난방운전시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에서 과냉각된 냉매는 제 2 인젝션 모듈(180)로 유동되고 증발된 냉매는 인젝션 밸브(173)를 거쳐 압축기(110)의 제 3 유입포트(113)로 인젝션된다.
냉방운전시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는 제 2 인젝션 모듈(180)로부터 유동된 냉매를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에서 팽창된 냉매와 열교환할 수 있다. 냉방운전시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에서 과냉각된 냉매는 실내 팽창밸브(150)로 유동되고 증발된 냉매는 과냉 밸브(174)를 거쳐 기액분리기(160)로 유동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냉방운전시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에서 증발된 냉매는 과냉 밸브(174)를 거쳐 압축기(110)의 제 1 유입포트(111)로 안내될 수 있다.
냉방운전시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가 폐쇄된 경우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는 제 2 인젝션 모듈(180)로부터 유동된 냉매를 바이패스하여 실내 팽창밸브(150)로 안내할 수 있다.
인젝션 밸브(173)는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와 압축기(110)의 제 3 유입포트(113) 사이에 배치된다. 인젝션 밸브(173)는 난방운전시 개방되고 냉방운전시 폐쇄된다. 인젝션 밸브(173)는 난방운전시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에서 팽창되어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기(110)의 제 3 유입포트(113)로 안내한다.
과냉 밸브(174)는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와 기액분리기(160) 사이에 배치된다. 과냉 밸브(174)는 난방운전시 폐쇄되고 냉방운전시 개방된다. 과냉 밸브(174)는 냉방운전시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에서 팽창되어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에서 증발된 냉매를 기액분리기(160)로 안내한다. 기액분리기(160)로 안내된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130)에서 열교환된 냉매와 합류한다.
실시예에 따라 과냉 밸브(174)는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와 압축기(110)의 제 1 유입포트(1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과냉 밸브(174)는 냉방운전시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에서 팽창되어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에서 열교환된 냉매를 압축기(110)로 안내한다.
상술한 제 1 인젝션 모듈(170)은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 및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로 구성되지 아니하고, 기상 냉매가 인젝션 되도록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하는 기액분리기일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인젝션 모듈(170)은 냉방운전시 유동되는 냉매를 과냉각할 수 없다.
제 2 인젝션 모듈(180)은 운전조건에 따라 실내 열교환기(130)와 실외 열교환기(120) 사이에서 유동되는 냉매의 일부를 압축기(110)로 인젝션한다.
제 2 인젝션 모듈(180)은 난방운전시 제 1 인젝션 모듈(170)에서 실외 열교환기(120)로 유동되는 냉매의 일부를 팽창하여 압축기(110)의 저압측으로 인젝션한다. 제 2 인젝션 모듈(180)은 제 1 인젝션 모듈(170), 압축기(110)의 제 2 유입포트(112) 및 실외 팽창밸브(140)와 연결된다.
제 2 인젝션 모듈(180)은 난방운전시 제 1 인젝션 모듈(170)로부터 유동되는 냉매의 일부를 압축기(110)의 제 2 유입포트(112)로 안내하여 압축기(110)의 저압측으로 인젝션하며, 제 1 인젝션 모듈(170)로부터 유동되는 냉매의 다른 일부를 실외 팽창밸브(140)로 안내한다.
제 2 인젝션 모듈(180)은 냉방운전시 실외 열교환기(120)로부터 유동되는 냉매의 일부를 압축기(110)의 제 2 유입포트(112)로 안내하여 압축기(110)의 저압측으로 인젝션하며, 실외 열교환기(120)로부터 유동되는 냉매의 다른 일부를 제 1 인젝션 모듈(170)로 안내할 수 있다.
제 2 인젝션 모듈(180)은 냉방운전시 작동하지 않고, 실외 열교환기(120)로부터 유동되는 냉매를 바이패스하여 제 1 인젝션 모듈(170)로 안내할 수 있다.
제 2 인젝션 모듈(180)은, 유동되는 냉매의 일부를 팽창하는 제 2 인젝션 팽창밸브(181)와, 유동되는 냉매의 다른 일부를 제 2 인젝션 팽창밸브(181)에서 팽창된 냉매와 열교환하여 과냉각하는 제 2 인젝션 열교환기(182)를 포함한다.
제 2 인젝션 팽창밸브(181)는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 및 제 2 인젝션 열교환기(182)와 연결된다. 제 2 인젝션 팽창밸브(181)는 실내 열교환기(130)에서 압축기(110)로 인젝션되는 냉매를 팽창한다.
난방운전시 제 2 인젝션 팽창밸브(181)는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에서 토출되어 분지된 냉매의 일부를 팽창하여 제 2 인젝션 열교환기(182)으로 안내한다. 난방운전시 제 2 인젝션 팽창밸브(181)는 통과하는 냉매의 압력이 제 2 유입포트(112)가 연결되는 압축기(110)의 저압측 압력과 같도록 개도를 조절한다.
냉방운전시 제 2 인젝션 팽창밸브(181)는 실외 열교환기(120)에서 열교환되어 실외 팽창밸브(140)를 통과한 냉매의 일부를 팽창하여 제 2 인젝션 열교환기(182)으로 안내할 수 있다. 냉방운전시 제 2 인젝션 팽창밸브(181)는 폐쇄되어 제 2 인젝션 모듈(180)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제 2 인젝션 열교환기(182)는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 제 2 인젝션 팽창밸브(181), 압축기(110)의 제 2 유입포트(112) 및 실외 팽창밸브(140)와 연결된다. 제 2 인젝션 열교환기(182)는 난방운전시 제 1 인젝션 모듈(170)로부터 유동되는 냉매와 제 2 인젝션 팽창밸브(181)에서 팽창된 냉매를 열교환하고, 냉방운전시 실외 열교환기(120)에서 유동되는 냉매와 제 2 인젝션 팽창밸브(181)에서 팽창된 냉매를 열교환한다.
난방운전시 제 2 인젝션 열교환기(182)는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에서 토출되어 분지된 냉매의 일부를 제 2 인젝션 팽창밸브(181)에서 팽창된 냉매와 열교환한다. 난방운전시 제 2 인젝션 열교환기(182)에서 과냉각된 냉매는 실외 팽창밸브(140)로 유동되고 증발된 냉매는 압축기(110)의 제 2 유입포트(112)로 인젝션된다.
냉방운전시 제 2 인젝션 열교환기(182)는 실외 열교환기(120)에서 열교환되어 실외 팽창밸브(140)를 통과한 냉매를 제 2 인젝션 팽창밸브(181)에서 팽창된 냉매와 열교환할 수 있다. 냉방운전시 제 2 인젝션 열교환기(182)에서 과냉각된 냉매는 제 1 인젝션 모듈(170)로 유동되고 증발된 냉매는 압축기(110)의 제 2 유입포트(112)로 인젝션 될 수 있다.
냉방운전시 제 2 인젝션 팽창밸브(181)가 폐쇄된 경우 제 2 인젝션 열교환기(182)는 실외 열교환기(120)에서 열교환되어 실외 팽창밸브(140)로부터 유동된 냉매를 바이패스하여 제 1 인젝션 모듈(170)로 안내할 수 있다.
상술한 제 2 인젝션 모듈(180)은 제 2 인젝션 팽창밸브(181) 및 제 2 인젝션 열교환기(182)로 구성되지 아니하고, 기상 냉매가 인젝션 되도록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하는 기액분리기일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시 작용을 설명한다.
압축기(110)에서 압축된 냉매는 토출포트(114)에서 토출되어 b 지점을 통과하여 절환부(190)로 유동된다. 난방운전시 절환부(190)는 압축기(110)의 토출포트(114)와 실내 열교환기(130)를 연결하므로, 절환부(190)로 유동된 냉매는 c 지점을 통과하여 실내 열교환기(130)로 유동된다.
절환부(190)에서 실내 열교환기(130)로 유동된 냉매는 실내공기와 열교환을 하여 응축된다. 실내 열교환기(130)에서 응축된 냉매는 d 지점을 통과하여 실내 팽창밸브(150)로 유동된다. 난방운전시 실내 팽창밸브(150)는 완전 개방되므로 냉매를 통과시켜 g 지점을 거쳐 제 1 인젝션 모듈(170)로 안내한다.
실내 팽창밸브(150)로부터 유동되는 냉매의 일부는 e 지점을 통과하여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로 유동되고, 다른 일부는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로 안내된다.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로 유동된 냉매는 팽창된 후 j 지점을 통과하여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로 유동한다.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에서 팽창된 냉매는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로 안내되어 실내 팽창밸브(150)에서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로 유동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증발된다.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에서 증발된 냉매는 k 지점을 통과한 후 난방운전시 개방된 인젝션 밸브(173)를 통과하여 압축기(110)의 제 3 유입포트(113)로 유동된다. 제 3 유입포트(113)로 유동된 냉매는 압축기(110)의 고압측으로 인젝션되어 압축된 후 토출포트(114)로 토출된다.
실내 팽창밸브(150)로부터 유동되는 냉매의 일부는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에서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에 의하여 팽창된 냉매와 열교환되어 과냉각된다.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에서 과냉각된 냉매는 o 지점을 통과하여 제 2 인젝션 모듈(180)로 유동한다.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로부터 유동되는 냉매의 일부는 f 지점을 통과하여 제 2 인젝션 팽창밸브(181)로 유동되고, 다른 일부는 제 2 인젝션 열교환기(182)로 안내된다.
제 2 인젝션 팽창밸브(181)로 유동된 냉매는 팽창된 후 l 지점을 통과하여 제 2 인젝션 열교환기(182)로 유동한다. 제 2 인젝션 팽창밸브(181)에서 팽창된 냉매는 제 2 인젝션 열교환기(182)로 안내되어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에서 제 2 인젝션 열교환기(182)로 유동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증발된다. 제 2 인젝션 열교환기(182)에서 증발된 냉매는 m 지점을 통과하여 압축기(110)의 제 2 유입포트(112)로 유동된다. 제 2 유입포트(112)로 유동된 냉매는 압축기(110)의 저압측으로 인젝션되어 압축된 후 토출포트(114)로 토출된다.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로부터 유동되는 냉매의 일부는 제 2 인젝션 열교환기(182)에서 제 2 인젝션 팽창밸브(181)에 의하여 팽창된 냉매와 열교환되어 과냉각된다. 제 2 인젝션 열교환기(182)에서 과냉각된 냉매는 n 지점을 통과하여 실외 팽창밸브(140)로 안내된다.
실외 팽창밸브(140)로 유동된 냉매는 팽창된 후 h 지점을 통과하여 실외 열교환기(120)로 안내된다. 실외 열교환기(120)로 유동된 냉매는 실외공기 열교환을 하여 증발된다. 실외 열교환기(120)에서 증발된 냉매는 i 지점을 통과하여 절환부(190)로 유동된다.
절환부(190)는 난방운전시 실외 열교환기(120)와 기액분리기(160)를 연결하므로, 실외 열교환기(120)에서 절환부(190)로 유동된 냉매는 기액분리기(160)로 유동된다. 기액분리기(160)로 유동된 냉매는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가 분리된다. 기액분리기(160)에서 분리된 기상 냉매는 a 지점을 통과하여 압축기(110)의 제 1 유입포트(111)로 유입된다. 제 1 유입포트(111)로 유동된 냉매는 압축기(110)에서 압축된 후 토출포트(114)로 토출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시 작용을 설명한다.
압축기(110)에서 압축된 냉매는 토출포트(114)에서 토출되어 b 지점을 통과하여 절환부(190)로 유동된다. 냉방운전시 절환부(190)는 압축기(110)의 토출포트(114)와 실외 열교환기(120)를 연결하므로, 절환부(190)로 유동된 냉매는 i 지점을 통과하여 실외 열교환기(120)로 유동된다.
절환부(190)에서 실외 열교환기(120)로 유동된 냉매는 실외공기와 열교환을 하여 응축된다. 실외 열교환기(120)에서 응축된 냉매는 h 지점을 통과하여 실외 팽창밸브(140)로 유동된다. 냉방운전시 실외 팽창밸브(140)는 완전 개방되므로 냉매를 통과시켜 n 지점을 거쳐 제 2 인젝션 모듈(180)로 안내한다.
제 2 인젝션 모듈(180)로 유동된 냉매는 제 2 인젝션 열교환기(182)에서 과냉각된다. 제 2 인젝션 열교환기(182)에서 과냉각된 냉매의 일부는 f 지점을 통과하여 제 2 인젝션 팽창밸브(181)로 안내된다. 제 2 인젝션 팽창밸브(181)에서 팽창된 냉매는 l 지점을 통과하여 제 2 인젝션 열교환기(182)에서 실외 열교환기(120)로부터 유동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증발한다.
제 2 인젝션 열교환기(182)에서 증발된 냉매는 m 지점을 통과하여 압축기(110)의 제 2 유입포트(112)로 유동된다. 제 2 유입포트(112)로 유동된 냉매는 압축기(110)의 저압측으로 인젝션되어 압축된 후 토출포트(114)로 토출된다.
제 2 인젝션 열교환기(182)에서 과냉각된 냉매는 o 지점을 통과하여 제 1 인젝션 모듈(170)로 유동한다.
제 1 인젝션 모듈(170)로 유동된 냉매는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에서 과냉각된다.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에서 과냉각된 냉매의 일부는 e 지점을 통과하여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로 안내된다.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에서 팽창된 냉매는 j 지점을 통과하여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에서 제 2 인젝션 열교환기(182)로부터 유동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증발한다.
냉방운전시 인젝션 밸브(173)는 폐쇄되고 과냉 밸브(174)는 개방되므로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에서 증발된 냉매는 k 지점을 통과하여 과냉 밸브(174)로 유동된다. 과냉 밸브(174)를 통과한 냉매는 기액분리기(160)로 유동되어 실내 열교환기(130)에서 증발된 냉매와 합류한다.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에서 과냉각된 냉매의 일부는 g 지점을 통과하여 실내 팽창밸브(150)로 안내된다.
실내 팽창밸브(150)에서 팽창된 냉매는 d 지점을 통과하여 실내 열교환기(130)로 안내된다. 실내 열교환기(130)로 유동된 냉매는 실내공기 열교환을 하여 증발된다. 실내 열교환기(130)에서 증발된 냉매는 c 지점을 통과하여 절환부(190)로 유동된다.
절환부(190)는 냉방운전시 실내 열교환기(130)와 기액분리기(160)를 연결하므로, 실내 열교환기(130)에서 절환부(190)로 유동된 냉매는 기액분리기(160)로 유동된다. 기액분리기(160)로 유동된 냉매는 과냉 밸브(174)로부터 유동된 냉매와 합류되어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가 분리된다. 기액분리기(160)에서 분리된 기상 냉매는 a 지점을 통과하여 압축기(110)의 제 1 유입포트(111)로 유입된다. 제 1 유입포트(111)로 유동된 냉매는 압축기(110)에서 압축된 후 토출포트(114)로 토출된다.
실시예에 따라, 냉방운전시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는 폐쇄되어 제 1 인젝션 모듈(170)이 냉매를 과냉각하지 않을 수 있다.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가 폐쇄된 경우 제 1 인젝션 모듈(170)로 유동된 냉매는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를 통과하여 e 지점, j 지점 및 k 지점으로 유동되지 않고 실내 팽창밸브(150)로 유동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대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제어부(10)와, 냉매의 응축시 응축온도를 측정하는 응축 온도센서(11)와, 냉매의 증발시 증발온도를 측정하는 증발 온도센서(12)와, 제 1 인젝션 모듈(170)에서 과냉각된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1 메인 출구 온도센서(13a)와, 제 1 인젝션 모듈(170)에서 팽창된 후 증발되기 전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1 인젝션 입구 온도센서(13b)와, 제 1 인젝션 모듈(170)에서 증발된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1 인젝션 출구 온도센서(13c)와, 제 1 인젝션 모듈(170)에서 압축기(110)로 인젝션 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1 인젝션 온도센서(13d)와, 제 2 인젝션 모듈(180)에서 과냉각된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2 메인 출구 온도센서(14a)와, 제 2 인젝션 모듈(180)에서 팽창된 후 증발되기 전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2 인젝션 입구 온도센서(14b)와, 제 2 인젝션 모듈(180)에서 증발된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2 인젝션 출구 온도센서(14c)와, 제 2 인젝션 모듈(180)에서 압축기(110)로 인젝션 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2 인젝션 온도센서(14d)와, 압축기(110)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토출온도를 축정하는 토출 온도센서(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절환부(190), 압축기(110), 실외 팽창밸브(140), 실내 팽창밸브(150),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 제 2 인젝션 팽창밸브(181), 인젝션 밸브(173) 및 과냉 밸브(174)를 제어한다. 제어부(10)는 절환부(190)를 조절하여 냉방운전과 난방운전을 절환한다. 제어부(10)는 부하에 따라 압축기(110)의 운전속도를 제어한다. 제어부(10)는 난방운전시 실외 팽창밸브(140)의 개도를 조절하고 냉방운전시 실외 팽창밸브(140)를 개방한다. 제어부는 난방운전시 실내 팽창밸브(150)를 개방하고 냉방운전시 실내 팽창밸브(150)의 개도를 조절한다. 제어부(10)는 난방운전시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의 개도를 조절하고 냉방운전시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의 개도를 조절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난방운전시 제 2 인젝션 팽창밸브(181)의 개도를 조절하고 냉방운전시 제 2 인젝션 팽창밸브(181)의 개도를 조절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난방운전시 인젝션 밸브(173)를 개방하고 냉방운전시 인젝션 밸브(173)를 폐쇄한다. 제어부(10)는 난방운전시 과냉 밸브(174)를 폐쇄하고 냉방운전시 과냉 밸브(174)를 개방한다.
응축 온도센서(11)는 난방운전시 실내 열교환기(130)에서 냉매가 응축하는 온도 또는 냉방운전시 실외 열교환기(120)에서 냉매가 응축하는 온도인 응축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응축 온도센서(11)는 다양한 지점에 위치하여 냉매의 응축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난방운전시 d 지점에 구비되고 냉방운전시 h 지점에 구비된다. 실시예에 따라 응축 온도센서(11)는 난방운전시 실내 열교환기(130)에 구비되고 냉방운전시 실외 열교환기(120)에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냉매의 응축온도는 난방운전시 실내 열교환기(130)를 유동하는 냉매의 압력을 측정하여 환산할 수 있으며, 냉방운전시 실외 열교환기(120)를 유동하는 냉매의 압력을 측정하여 환산할 수 있다.
증발 온도센서(12)는 난방운전시 실외 열교환기(120)에서 냉매가 증발하는 온도 또는 냉방운전시 실내 열교환기(130)에서 냉매가 증발하는 온도인 증발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증발 온도센서(12)는 다양한 지점에 위치하여 냉매의 증발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난방운전시 i 지점에 구비되고 냉방운전시 c 지점에 구비된다. 실시예에 따라 증발 온도센서(12)는 난방운전시 실외 열교환기(120)에 구비되고, 냉방운전시 실내 열교환기(130)에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냉매의 증발온도는 난방운전시 실외 열교환기(120)를 유동하는 냉매의 압력을 측정하여 환산할 수 있으며, 냉방운전시 실내 열교환기(130)를 유동하는 냉매의 압력을 측정하여 환산할 수 있다.
제 1 메인 출구 온도센서(13a)는 난방운전시 실내 열교환기(130)로부터 유동되어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에서 과냉각된 냉매의 온도인 제 1 인젝션 과냉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제 1 메인 출구 온도센서(13a)는 다양한 지점에 위치하여 제 1 인젝션 과냉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난방운전시 o 지점에 구비된다.
제 1 인젝션 입구 온도센서(13b)는 난방운전시 실내 열교환기(130)로부터 유동되어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에서 팽창된 냉매의 온도인 제 1 인젝션 팽창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제 1 인젝션 입구 온도센서(13b)는 다양한 지점에 위치하여 제 1 인젝션 팽창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난방운전시 j 지점에 구비된다.
제 1 인젝션 출구 온도센서(13c)는 난방운전시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에서 팽창되어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에서 증발된 냉매의 온도인 제 1 인젝션 증발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제 1 인젝션 출구 온도센서(13c)는 다양한 지점에 위치하여 제 1 인젝션 증발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난방운전시 k 지점에 구비된다.
제 1 인젝션 온도센서(13d)는 난방운전시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에서 증발되어 제 3 유입포트(113)를 통하여 압축기(110)의 고압측으로 인젝션되는 냉매의 온도인 제 1 인젝션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제 1 인젝션 온도센서(13d)는 다양한 지점에 위치하여 제 1 인젝션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난방운전시 제 3 유입포트(113)에 구비된다.
제 2 메인 출구 온도센서(14a)는 난방운전시 제 1 인젝션 모듈(170)로부터 유동되어 제 2 인젝션 열교환기(182)에서 과냉각된 냉매의 온도(n 지점) 또는 냉방운전시 실외 열교환기(120)로부터 유동되어 제 2 인젝션 열교환기(182)에서 과냉각된 냉매의 온도(o 지점)인 제 2 인젝션 과냉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제 2 메인 출구 온도센서(14a)는 다양한 지점에 위치하여 제 2 인젝션 과냉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난방운전시 n 지점에 구비되고, 냉방운전시 o 지점에 구비된다.
제 2 인젝션 입구 온도센서(14b)는 난방운전시 제 1 인젝션 모듈(170)로부터 유동되어 제 2 인젝션 팽창밸브(181)에서 팽창된 냉매의 온도(l 지점) 또는 냉방운전시 제 2 인젝션 열교환기(182)로부터 유동되어 제 2 인젝션 팽창밸브(181)에서 팽창된 냉매의 온도(l 지점)인 제 2 인젝션 팽창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제 2 인젝션 입구 온도센서(14b)는 다양한 지점에 위치하여 제 2 인젝션 팽창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l 지점에 구비된다.
제 2 인젝션 출구 온도센서(14c)는 제 2 인젝션 팽창밸브(181)에서 팽창되어 제 2 인젝션 열교환기(182)에서 증발된 냉매의 온도(m 지점)인 제 2 인젝션 증발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제 2 인젝션 출구 온도센서(14c)는 다양한 지점에 위치하여 제 2 인젝션 증발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m 지점에 구비된다.
제 2 인젝션 온도센서(14d)는 제 2 인젝션 열교환기(182)에서 증발되어 제 2 유입포트(112)를 통하여 압축기(110)의 저압측으로 인젝션되는 냉매의 온도인 제 2 인젝션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제 2 인젝션 온도센서(14d)는 다양한 지점에 위치하여 제 2 인젝션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난방운전시 제 2 유입포트(112)에 구비된다.
토출 온도센서(16)는 압축기(110)에서 압축된 후 토출포트(114)로 토출되는 냉매의 토출온도(b 지점)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토출 온도센서(16)는 다양한 지점에 위치하여 압축기(110)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b 지점에 구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인젝션 팽창밸브의 개도 조절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인젝션 모듈(170) 및/또는 제 2 인젝션 모듈(180)이 냉매를 압축기(110)에 인젝젼한다(S210). 난방운전시 제어부(10)가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 및 제 2 인젝션 팽창밸브(181)를 개방하면 제 1 인젝션 모듈(170)은 압축기(110)의 제 3 유입포트(113)를 통하여 냉매를 압축기(110)의 고압측으로 인젝션하고, 제 2 인젝션 모듈(180)은 압축기(110)의 제 2 유입포트(112)를 통하여 냉매를 압축기(110)의 저압측으로 인젝션한다.
냉방운전시 제어부(10)가 제 2 인젝션 팽창밸브(181)를 개방하면 제 2 인젝션 모듈(180)은 압축기(110)의 제 2 유입포트(112)를 통하여 냉매를 압축기(110)의 저압측으로 인젝션한다.
제어부(10)가 인젝션 모듈(170, 180)에서 플래시 가스 인젝션이 가능한지 판단한다(S220). 제어부(10)는 플래시 가스 인젝션 가능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여 제 1 인젝션 모듈(170) 및/또는 제 2 인젝션 모듈(180)이 플래시 가스를 인젝션할 수 있는지 판단한다.
플래시 가스 인젝션 가능 조건은 토출과열도 및/또는 인젝션 과열도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에 따라 정하여진다.
토출과열도는 토출 온도센서(16)가 측정한 압축기(110)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인 토출온도와 응축 온도센서(11)가 측정한 응축기에서 응축되는 냉매의 온도의 차인 응축온도의 차이다. 즉, (토출과열도) = (토출온도) - (응축온도) 이다. 난방운전시 실내 열교환기(130)가 응축기로 작용하고 냉방운전시 실외 열교환기(120)가 응축기가 작용하므로, 응축온도는 난방운전시 실내 열교환기(130)에서 응축되는 냉매의 온도(d 지점)이고, 냉방운전시 실외 열교환기(120)에서 응축되는 온도(h 지점)이다.
제어부(10)는 토출과열도가 설정된 토출과열도보다 높은 경우 플래시 가스 인젝션 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인젝션 과열도는 제 1 인젝션 출구 온도센서(13c) 또는 제 2 인젝션 출구 온도센서(14c)가 측정한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 또는 제 2 인젝션 열교환기(182)에서 증발된 냉매의 온도인 인젝션 증발온도와 제 1 인젝션 입구 온도센서(13b) 또는 제 2 인젝션 입구 온도센서(14b)가 측정한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 또는 제 2 인젝션 팽창밸브(181)에서 팽창된 냉매의 온도인 인젝션 팽창온도 간의 온도차이다. 즉, (인젝션 과열도) = (인젝션 증발온도) - (인젝션 팽창온도) 이다.
제어부(10)는 인젝션 과열도가 설정된 범위 내에서 설정된 시간동안 유지되는경우 플래시 가스 인젝션 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난방운전시 제 1 인젝션 모듈(170) 및 제 2 인젝션 모듈(180)이 모두 냉매를 압축기(110)에 인젝션 하므로, 제어부(10)는 제 1 인젝션 모듈(170)과 제 2 인젝션 모듈(180) 각각에 대하여 플래시 가스가 인젝션이 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다.
즉, 제 1 인젝션 출구 온도센서(13c)가 측정한 제 1 인젝션 증발온도와 제 1 인젝션 입구 온도센서(13b)가 측정한 제 1 인젝션 팽창온도의 차인 제 1 인젝션 과열도가 설정된 범위 내에서 설정된 시간동안 유지되고, 토출과열도가 설정된 토출과열도보다 높은 경우, 제어부(10)는 제 1 인젝션 모듈(170)이 플래시 가스를 인젝션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제 2 인젝션 출구 온도센서(14c)가 측정한 제 2 인젝션 증발온도와 제 2 인젝션 입구 온도센서(14b)가 측정한 제 2 인젝션 팽창온도의 차인 제 2 인젝션 과열도가 설정된 범위 내에서 설정된 시간동안 유지되고, 토출과열도가 설정된 토출과열도보다 높은 경우, 제어부(10)는 제 2 인젝션 모듈(180)이 플래시 가스를 인젝션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인젝션 모듈(170) 및 제 2 인젝션 모듈(180) 중 적어도 하나가 플래시 가스 인젝션 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 1 인젝션 모듈(170) 및 제 2 인젝션 모듈(180) 모두 플래시 가스 인젝션 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냉방운전시 제 2 인젝션 모듈(180)만 냉매를 압축기(110)에 인젝션 하므로, 제 2 인젝션 출구 온도센서(14c)가 측정한 제 2 인젝션 증발온도와 제 2 인젝션 입구 온도센서(14b)가 측정한 제 2 인젝션 팽창온도의 차인 제 2 인젝션 과열도가 설정된 범위 내에서 설정된 시간동안 유지되고, 토출과열도가 설정된 토출과열도보다 높은 경우, 제어부(10)는 제 2 인젝션 모듈(180)이 플래시 가스를 인젝션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0)는 토출과열도 및 인젝션 과열도 모두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플래시 가스 인젝션 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0)는 토출과열도 및 인젝션 과열도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플래시 가스 인젝션 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플래시 가스 인젝션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일반적인 제어방법에 따라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며 플래시 가스 인젝션 가능 조건을 만족하는지 감시한다.
플래시 가스 인젝션 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0)는 근접온도 차이에 따라 플래시 가스 인젝션 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인젝션 모듈(170, 180)의 인젝션 팽창밸브(171, 181)의 개도를 근접온도에 따라 조절한다(S230).
근접온도는 제 1 메인 출구 온도센서(13a) 또는 제 2 메인 출구 온도센서(14a)가 측정한 제 1 인젝션 열교환기(172) 또는 제 2 인젝션 열교환기(182)에서 과냉된 냉매의 온도인 인젝션 과냉온도와 제 1 인젝션 입구 온도센서(13b) 또는 제 2 인젝션 입구 온도센서(14b)가 측정한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 또는 제 2 인젝션 팽창밸브(181)에서 팽창된 냉매의 온도인 인젝션 팽창온도 간의 차이다. 즉, (근접온도) = (인젝션 과냉온도) - (인젝션 팽창온도) 이다.
난방운전시 제 1 인젝션 모듈(170)이 플래시 가스 인젝셕 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0)는 제 1 메인 출구 온도센서(13a)가 측정한 제 1 인젝션 과냉온도와 제 1 인젝션 입구 온도센서(13b)가 측정한 제 1 인젝션 팽창온도의 차인 제 1 근접온도에 따라 제 1 인젝션 모듈(170)의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의 개도를 조절한다.
난방운전 또는 냉방운전시 제 2 인젝션 모듈(180)이 플래시 가스 인젝셕 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0)는 제 2 메인 출구 온도센서(14a)가 측정한 제 2 인젝션 과냉온도와 제 2 인젝션 입구 온도센서(14b)가 측정한 제 2 인젝션 팽창온도의 차인 제 2 근접온도에 따라 제 2 인젝션 모듈(180)의 제 2 인젝션 팽창밸브(181)의 개도를 조절한다.
제어부(10)는 근접온도와 설정된 목표 근접온도의 차인 근접온도 차이에 따라 인젝션 팽창밸브(171, 181)의 개도를 조절한다. (근접온도 차이) = (근접온도) - (목표 근접온도) 이다.
목표 근접온도는 기설정된 것으로서, 난방운전시 목표 근접온도와 냉방운전시 목표 근접온도는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난방운전시 목표 근접온도는 냉방운전시 목표 근접온도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난방운전시 제 1 인젝션 모듈(170)에 대한 목표 근접온도와 제 2 인젝션 모듈(180)에 대한 목표 근접온도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여 근접온도 차이에 따른 인젝션 팽창밸브(171, 181)의 개도 조절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근접온도 차이가 설정된 최대 차이값 보다 큰 경우 제어부(10)는 인젝션 팽창밸브(171, 181)의 개도를 설정된 개도 만큼 증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근접온도 차이가 설정된 최대 차이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10)는 인젝션 팽창밸브(171, 181)의 개도를 증가한다. 실시예에 따라, 근접온도 차이가 최대 차이값 초과인 경우 제어부(10)는 인젝션 팽창밸브(171, 181)의 개도를 증가할 수 있다.
근접온도 차이가 설정된 최소 차이값보다 크고 최대 차이값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10)는 인젝션 팽창밸브(171, 181)의 개도를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근접온도 차이가 최소 차이값 초과이고 최대 차이값 미만인 경우 제어부(10)는 인젝션 팽창밸브(171, 181)의 개도를 유지한다. 실시예에 따라, 근접온도 차이가 최소 차이값 이상이고 최대 차이값 이하인 경우 제어부(10)는 인젝션 팽창밸브(171, 181)의 개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근접온도 차이가 최소 차이값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10)는 인젝션 팽창밸브(171, 181)의 개도를 설정된 개도 만큼 감소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근접온도 차이가 최소 차이값 이하인 경우 제어부(10)는 인젝션 팽창밸브(171, 181)의 개도를 감소한다. 실시예에 따라, 근접온도 차이가 최소 차이값 미만인 경우 제어부(10)는 인젝션 팽창밸브(171, 181)의 개도를 감소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인젝션 팽창밸브(171, 181)의 개도를 동일한 크기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어부(10)는 근접온도 차이가 설정된 최대 차이값 보다 큰 경우증가되는 인젝션 팽창밸브(171, 181)의 개도는 근접온도 차이가 최소 차이값보다 작은 경우 감소되는 인젝션 팽창밸브(171, 181)의 개도와 동일하다.
제어부(10)는 인젝션 모듈(170, 180)이 플래시 가스 인젝션 해제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근접온도 차이에 따라 인젝션 팽창밸브(171, 181)의 개도를 조절한다.
제어부(10)가 인젝션 모듈(170, 180)의 플래시 가스 인젝션을 해제할 수 있는지 판단한다(S240). 제어부(10)는 플래시 가스 인젝션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여 판단하여 플래시 가스 인젝션에 따른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 및/또는 제 2 인젝션 팽창밸브(181)의 개도 조절을 중단하여야 하는지 판단하다.
플래시 가스 인젝션 해제 조건은 토출과열도 및/또는 시스템 압력 변동이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에 따라 정하여진다.
토출과열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토출 온도센서(16)가 측정한 압축기(110)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인 토출온도와 응축 온도센서(11)가 측정한 응축기에서 응축되는 냉매의 온도의 차인 응축온도의 차이다. 즉, (토출과열도) = (토출온도) - (응축온도) 이다. 난방운전시 실내 열교환기(130)가 응축기로 작용하고 냉방운전시 실외 열교환기(120)가 응축기가 작용하므로, 응축온도는 난방운전시 실내 열교환기(130)에서 응축되는 냉매의 온도(d 지점)이고, 냉방운전시 실외 열교환기(120)에서 응축되는 온도(h 지점)이다.
제어부(10)는 토출과열도가 설정된 토출과열도보다 낮은 경우 플래시 가스 인젝션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설정된 토출과열도는 상술한 플래시 가스 인젝션 가능 조건의 설정된 토출과열도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시스템 압력 변동은 난방운전시 고압측 압력의 변동이고 냉방운전시 저압측 압력의 변동이다.
난방운전시 고압측 압력은 실내 열교환기(130)에서 응축되는 냉매의 압력인 응축압력이다. 난방운전시 응축압력은 응축 온도센서(11)가 측정한 응축온도로부터 환산되거나 실내 열교환기(130)에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난방운전시 응축압력의 변동이 기준 압력 변동 범위를 넘는 경우 플래시 가스 인젝션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냉방운전시 저압측 압력은 실내 열교환기(130)에서 증발되는 냉매의 압력인 증발압력이다. 냉방운전시 증발압력은 증발 온도센서(12)가 측정한 증발온도로부터 환산되거나 실내 열교환기(130)에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냉방운전시 증발압력의 변동이 기준 압력 변동 범위를 넘는 경우 플래시 가스 인젝션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냉방운전시 기준 압력 변동 범위는 난방운전시 기준 압력 변동 범위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0)는 토출과열도 및 시스템 압력 변동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플래시 가스 인젝션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0)는 토출과열도 및 시스템 압력 변동 모두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플래시 가스 인젝션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난방운전시 제 1 인젝션 모듈(170)과 제 2 인젝션 모듈이 모두 인젝션 가능 조건을 만족하여 근접온도 차이에 따라 제 1 인젝션 팽창밸브(171)의 개도 및 제 2 인젝션 팽창밸브(181)의 개도가 조절될 때, 플래시 가스 인젝션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 1 인젝션 모듈(170) 및 제 2 인젝션 모듈(180) 모두 근접온도 차이에 따른 인젝션 팽창밸브(171, 181)의 개도 조절을 중지한다.
제어부(10)는 플래시 가스 인젝션 해제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 플래시 가스 인젝션 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인젝션 모듈(170, 180)에 대하여 근접온도 차이에 따른 인젝션 팽창밸브(171, 181)의 개도 조절을 계속하여 수행한다.
제어부(10)는 플래시 가스 인젝션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일반적인 제어방법에 따라 공기조화기를 제어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0: 압축기
120: 실외 열교환기
130: 실내 열교환기
140: 실외 팽창밸브
150: 실내 팽창밸브
160: 기액분리기
170: 제 1 인젝션 모듈
171: 제 1 인젝션 팽창밸브
172: 제 1 인젝션 열교환기
173: 인젝션 밸브
174: 과냉 밸브
180: 제 2 인젝션 모듈
181: 제 2 인젝션 팽창밸브
182: 제 2 인젝션 열교환기
190: 절환부

Claims (17)

  1.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증발하는 증발기; 및
    상기 응축기에서 상기 증발기로 유동되는 냉매의 일부를 상기 압축기로 인젝션하는 인젝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젝션 모듈은,
    상기 응축기에서 상기 증발기로 유동되는 냉매의 일부를 팽창하는 인젝션 팽창밸브; 및
    상기 응축기에서 상기 증발기로 유동되는 냉매의 일부를 상기 인젝션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와 열교환을 하여 과냉각하는 인젝션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인젝션 팽창밸브는 상기 인젝션 열교환기에서 과냉된 냉매의 온도와 상기 인젝션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의 온도의 차이인 근접온도에 따라 개도가 조절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젝션 팽창밸브는 플래시 가스 인젝션 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근접온도에 따라 개도가 조절되는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가스 인젝션 가능 조건은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인 토출온도와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되는 냉매의 온도인 응축온도의 차인 토출과열도에 따라 정하여지는 공기조화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가스 인젝션 가능 조건은 상기 인젝션 열교환기에서 증발된 냉매의 온도와 상기 인젝션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의 온도의 차인 인젝션 과열도에 따라 정하여지는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젝션 팽창밸브는 상기 근접온도와 설정된 목표 근접온도의 차가 최대 차이값보다 큰 경우 개도가 증가되고,
    상기 인젝션 팽창밸브는 상기 근접온도와 상기 목표 근접온도의 차가 최소 차이값보다 작은 경우 개도가 감소되고,
    상기 인젝션 팽창밸브는 상기 근접온도와 상기 목표 근접온도의 차가 상기 최대 차이값과 상기 최소 차이값 사이인 경우 개도가 유지되는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젝션 팽창밸브는 플래시 가스 인젝션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근접온도에 따른 개도 조절이 중단되는 공기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가스 인젝션 해제 조건은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인 토출온도와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되는 냉매의 온도인 응축온도의 차인 토출과열도에 따라 정하여지는 공기조화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가스 인젝션 해제 조건은 시스템 압력 변동에 따라 정하여지는 공기조화기.
  9.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증발하는 증발기; 및
    상기 응축기에서 상기 증발기로 유동되는 냉매의 일부를 상기 압축기로 인젝션하는 인젝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젝션 모듈은,
    상기 응축기에서 상기 증발기로 유동되는 냉매의 일부를 팽창하는 인젝션 팽창밸브; 및
    상기 응축기에서 상기 증발기로 유동되는 냉매의 일부를 상기 인젝션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와 열교환을 하여 과냉각하는 인젝션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젝션 모듈이 상기 응축기에서 상기 증발기로 유동되는 냉매 일부를 상기 압축기로 인젝션하는 단계; 및
    상기 인젝션 팽창밸브의 개도가 상기 인젝션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의 온도와 상기 인젝션 열교환기에서 과냉된 냉매의 온도의 차이인 근접온도에 따라 조절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플래시 가스 인젝션 가능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젝션 팽창밸브의 개도는 상기 인젝션 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근접온도에 따라 조절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가스 인젝션 가능 조건은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인 토출온도와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되는 냉매의 온도인 응축온도의 차인 토출과열도에 따라 정하여지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가스 인젝션 가능 조건은 상기 인젝션 열교환기에서 증발된 냉매의 온도와 상기 인젝션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의 온도의 차인 인젝션 과열도에 따라 정하여지는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젝션 팽창밸브의 개도가 조절되는 단계는,
    상기 근접온도와 설정된 목표 근접온도의 차가 최대 차이값보다 큰 경우 상기 인젝션 팽창밸브의 개도가 증가되는 단계; 및
    상기 근접온도와 상기 목표 근접온도의 차가 최소 차이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인젝션 팽창밸브의 개도가 감소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젝션 팽창밸브의 개도는 상기 근접온도와 상기 목표 근접온도의 차가 상기 최대 차이값과 상기 최소 차이값 사이인 경우 유지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플래시 가스 인젝션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근접온도에 따른 개도 조절이 중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가스 인젝션 해제 조건은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인 토출온도와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되는 냉매의 온도인 응축온도의 차인 토출과열도에 따라 정하여지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가스 인젝션 해제 조건은 전체 시스템 압력 변동에 따라 정하여지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130041155A 2013-04-15 2013-04-15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03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155A KR102103358B1 (ko) 2013-04-15 2013-04-15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155A KR102103358B1 (ko) 2013-04-15 2013-04-15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822A true KR20140123822A (ko) 2014-10-23
KR102103358B1 KR102103358B1 (ko) 2020-04-22

Family

ID=51994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1155A KR102103358B1 (ko) 2013-04-15 2013-04-15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35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9548A (zh) * 2017-03-22 2017-06-13 美的集团武汉制冷设备有限公司 具有中间补气的压缩装置、控制方法和空调器
WO2017096992A1 (zh) * 2015-12-10 2017-06-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带有中间补气的压缩系统、空调系统及其判断控制方法
CN106969563A (zh) * 2017-03-22 2017-07-21 美的集团武汉制冷设备有限公司 具有中间补气的压缩装置、温度控制方法和空调器
WO2019147085A1 (ko) * 2018-01-25 2019-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0103521A1 (zh) * 2018-11-19 2020-05-28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补气增焓系统及其控制方法
CN113280463A (zh) * 2021-06-10 2021-08-20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提升室内舒适性的空调控制方法、空调器及存储介质
WO2022065964A1 (ko) * 2020-09-28 2022-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
CN114353359A (zh) * 2021-12-20 2022-04-15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空调回油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7870A (ko) 2022-04-15 2023-10-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스인젝션 타입의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7975A (ja) * 2008-06-27 2010-01-14 Daikin Ind Ltd エコノマイザーサイクル冷凍装置
KR20100063173A (ko) * 2008-12-03 2010-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54821A (ko) * 2009-11-18 2011-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KR20130026685A (ko) * 2011-09-06 2013-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7975A (ja) * 2008-06-27 2010-01-14 Daikin Ind Ltd エコノマイザーサイクル冷凍装置
KR20100063173A (ko) * 2008-12-03 2010-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54821A (ko) * 2009-11-18 2011-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KR20130026685A (ko) * 2011-09-06 2013-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6992A1 (zh) * 2015-12-10 2017-06-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带有中间补气的压缩系统、空调系统及其判断控制方法
US10330350B2 (en) 2015-12-10 2019-06-25 Gree Electric Appliances, Inc. Of Zhuhai Air conditioning system, compression system with gas secondary injection and judg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6839548A (zh) * 2017-03-22 2017-06-13 美的集团武汉制冷设备有限公司 具有中间补气的压缩装置、控制方法和空调器
CN106969563A (zh) * 2017-03-22 2017-07-21 美的集团武汉制冷设备有限公司 具有中间补气的压缩装置、温度控制方法和空调器
WO2019147085A1 (ko) * 2018-01-25 2019-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0103521A1 (zh) * 2018-11-19 2020-05-28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补气增焓系统及其控制方法
WO2022065964A1 (ko) * 2020-09-28 2022-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
CN113280463A (zh) * 2021-06-10 2021-08-20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提升室内舒适性的空调控制方法、空调器及存储介质
CN113280463B (zh) * 2021-06-10 2022-04-22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提升室内舒适性的空调控制方法、空调器及存储介质
CN114353359A (zh) * 2021-12-20 2022-04-15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空调回油控制方法
CN114353359B (zh) * 2021-12-20 2023-11-24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空调回油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358B1 (ko) 202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23822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8671706B2 (en) Heat pump
US10197325B2 (en) Air conditioner with two injection circuit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US9618237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989281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144606B1 (en) Air conditioner
JP2010085051A (ja) 冷凍装置及び熱源機
KR20180137800A (ko) 공기조화기
US8635879B2 (en) Heat pump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336720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1450543B1 (ko) 공기조화 시스템
US10436487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KR20120053381A (ko) 냉동 사이클 장치
KR20110062455A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1392316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1973202B1 (ko) 공기 조화기
WO2020179005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450545B1 (ko) 공기조화 시스템
JP2013217602A (ja) 熱源機、冷凍空調装置、制御装置
KR20150109750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28576B1 (ko) 냉동 사이클 장치
KR101397660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2015010974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11345A (ko) 냉장시스템
KR20140123820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