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3725A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표시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23725A KR20140123725A KR20130040900A KR20130040900A KR20140123725A KR 20140123725 A KR20140123725 A KR 20140123725A KR 20130040900 A KR20130040900 A KR 20130040900A KR 20130040900 A KR20130040900 A KR 20130040900A KR 20140123725 A KR20140123725 A KR 201401237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exible display
- hovering
- display unit
- point
- outpu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표시방법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변형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호버링 신호 입력부로부터 호버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호버링 신호에 기초하여 호버링 포인트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호버링 포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표시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출력 표시영역에 출력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출력을 보다 정확한 영역에 표시하도록 지원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의 등장으로 인해 오늘날의 휴대 장치는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지원 등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 장치는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키면서 휴대성 및 편리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는 이러한 발전의 일 예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는 부피를 최소로 차지하면서도 넓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말거나 접는 것도 가능하도록 제작되어 휴대 장치의 휴대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평판 디스플레이에 비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말리거나 접히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화면에 표시되는 영역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말리거나 접힌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전체 화면을 출력하는 경우 일정 출력 영역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말리거나 접힌 부분에 해당하는 영역에 대한 출력은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서 출력을 더욱 정확한 영역에 표시하도록 지원하는 전자장치 및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표시방법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변형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호버링 신호 입력부로부터 호버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호버링 신호에 기초하여 호버링 포인트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호버링 포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표시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출력 표시영역에 출력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변형되는 동안 호버링 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호버링 신호 입력부; 출력을 표시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수용하거나 연장하는 수용부; 상기 호버링 신호를 수신하여 호버링 포인트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호버링 포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표시영역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출력 표시영역에 상기 출력을 표시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표시 방법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변형되는 동안 개선된 화면 운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블록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의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접히거나 휜 상태에서 화면 표시영역 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접히거나 휜 상태에서 화면 표시영역 산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출력 리사이징(re-sizing) 및 화소값 조정에 따른 출력을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블록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의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접히거나 휜 상태에서 화면 표시영역 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접히거나 휜 상태에서 화면 표시영역 산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출력 리사이징(re-sizing) 및 화소값 조정에 따른 출력을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표시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전자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스마트 폰(smart phone), 테블릿, PC, PM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호버링 상태”는 터치 입력 기구(예를 들어, 전자 펜이나 사용자의 손가락 등)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접촉하기 전 터치 입력 기구를 인식하고 터치 입력 기구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아래 설명과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블록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수용부(110),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 터치패널(140), 표시패널(150), 저장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10)는 중심축(114)을 중심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를 수용하거나 연장할 있다. 즉, 사용자는 수용부(110)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를 말아서 보관하거나 이동할 수 있으며, 수용부(110)로부터 외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를 연장함에 따라 출력 표시영역(180)을 확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110)는 원기둥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를 를 수용하거나 연장하는 것이 가능한 형태라면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용부(110)가 원기둥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출력 표시영역(180)을 결정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가 수용부(110)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10) 아랫면(112)의 둘레와 수용부(110) 옆면의 일 모서리(111)가 접하는 부분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가 수용되거나 연장되는 경계선(113) 상의 수직하는 위치 중 수용부(110) 일 모서리(111)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의 수용부(110) 상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용부(110) 옆면의 일 모서리(111) 상의 어느 지점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보다 정확한 출력 표시영역(180)를 결정하기 위해 수용부(110) 옆면의 일 모서리(111) 상에 추가적인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일 측 세로축 모서리(132) 끝단 부분 즉, 도 1a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하단 가로축 모서리(131)와 세로축 모서리(132)가 접하는 부분에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2)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가 접히거나 휠 때 보다 정확한 출력 표시영역(180)을 결정하기 위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상단 가로축 모서리(133)와 세로축 모서리(132)가 접하는 부분에도 호버링 신호 입력부(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는 호버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1)는 수용부(110)에 배치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가 수용되거나 연장되는 동안 호버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2)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일부분이 접히거나 휘는 동안에도 호버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는 전자기 유도 방식 등을 이용하여 호버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기 유도 방식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는 코일(coil) 및 추가적으로 공진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와 터치패널(140) 내에 포함되는 EMR(Electro-Magnetic Resonance) 패드(미도시) 사이의 상대적 변위 변화에 따라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 내에 포함된 코일에 전류가 유도될 수 있다. 코일에 유도된 전류에 의해 자기장 신호 즉, 호버링 신호가 생성되면 생성된 호버링 신호를 EMR 패드가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70)는 수신된 호버링 신호에 기초하여 호버링 포인트(A)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호버링 포인트(A)는 호버링 상태에서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로부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 상에 수선을 그은 경우 수선의 발에 해당되는 지점을 의미한다. 이 후, 제어부(170)는 호버링 포인트(A)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출력 표시영역(180)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상세히 후술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는 터치패널(140) 및 표시패널(150)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패널(140)은 표시패널(150)에 안착(place on the display unit)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패널(140)은 표시패널(150) 위에 위치하는 애드 온 타입(add-on type)이나 표시패널(150) 내에 삽입되는 온 셀 타입(on-cell type) 또는 인 셀 타입(in-cell type)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패널(140)은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로부터 생성된 호버링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터치 패널은 EMR(Electro-Magnetic Resonance)패드를 포함하고, EMR 패드는 호버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격자 또는 다이아몬드 형태의 센서 어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패널(140)은 호버링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하면 제어부(170)는 수신된 호버링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수신된 호버링 신호의 세기에 의해 EMR패드의 센서 어레이에서 특정 센서의 위치에 상응하는 호버링 포인트(A)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14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가 수용부(110)로 수용되거나 연장되는 동안 수용부(110)에 배치된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1)로부터 호버링 신호를 수신하여 호버링 포인트(A)를 산출할 수 있다. 또는, 터치패널(140)은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2)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일부분이 접히거나 휘는 동안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2)로부터 호버링 신호를 수신하여 호버링 포인트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널(140)은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패널(140)은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접촉에 응답하여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벤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터치패널(140)에서 터치 영역(즉,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펜 등에 의해 터치된 영역)에 포함된 좌표들을 제어부(170)로 전달하고, 제어부(170)는 터치 영역에 포함된 좌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터치 좌표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터치패널(140)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좌표의 변화 및 터치 이벤트 세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쳐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검출된 사용자의 제스쳐에 상응하는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표시패널(150)은 전자장치(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70)에 의해 호버링 포인트(A)가 산출되고, 출력 표시영역(180)이 결정되면 제어부(170)는 표시패널(150)에 표시되는 출력을 리사이징(re-sizing)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가 수용부(110)로 수용되거나 연장되는 경우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일부가 접히거나 휘어지는 경우 표시패널(150)은 제어부(170) 제어 하에 출력을 리사이징(re-sizing)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표시영역(180)이 결정되면 제어부(170)는 리사이징(re-sizing) 전 출력의 가로 또는 세로 비율을 조정하여 표시하거나, 출력 표시영역(180)의 경계선을 따라 표시되는 출력을 리사이징(re-sizing)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150)은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화소값이 조정되어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리사이징된 출력 부분에 대해서는 화소값을 그대로 유지시키고, 수용부(110) 내부로 수용된 부분, 리사이징을 통해 출력의 가로 또는 세로 비율이 조정되어 데이터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 및 사용자 시야 외의 영역에 대해서만 화소값을 조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 시야 외의 영역은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2)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일부가 접히거나 휘어질 때, 전자장치(100)의 평면도 상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으로 정의한다. 특히, 사용자 시야 외의 영역에 대하여 제어부(170)는 블랙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수용부(110) 내부로 수용되는 부분 및 사용자 시야 외의 영역에 대한 화소값을 조정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표시패널(150)은 TFT LCD(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ed Diode) 또는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및 PMOLED(Pass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전자종이(e-paper) 및 LITI(Laser Induced Thermal Imag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70)의 보조기억장치(secondary memory unit)로써, 디스크, 램(RAM) 및 플래쉬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전자장치(100)에서 생성되거나 무선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장치 예를 들어, 서버, 데스크 탑 PC, 태블릿 PC 등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60)는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와 터치패널(140) 사이의 상대적 변위 변화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와 터치패널(140) 사이의 상대적 변위가 변화함에 따라 호버링 포인트 또한 다른 지점으로 변경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변경되는 호버링 포인트(A)를 계속적으로 저장함으로써 호버링 포인트(A)의 궤적을 추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로부터 호버링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에도 어느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로부터 호버링 신호가 생성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0)는 전자장치(100)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를 비롯하여,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를 들어,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방송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전자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전자장치(100) 내부의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배터리에서 내부 구성들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7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가 수용부(110)로 수용되거나 연장되는 동안 터치패널(140)로부터 수신된 호버링 신호에 기초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 상의 호버링 포인트(A)를 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7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일부가 접히거나 휘는 동안에도 수신된 호버링 신호에 기초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 상의 호버링 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70)는 결정된 호버링 포인트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출력 표시영역(180)을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호버링 포인트로부터 기정의된 수식 등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출력 표시영역(180)에 해당되는 좌표 값들을 산출할 수 있다. 이어 제어부(170)는 산출된 좌표 값들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출력 표시영역(180)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들 외에도 전자장치(10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 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하는 키 입력부,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오디오 처리부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논지를 흐릴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의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01에서 제어부(170)는 표시패널(150)에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되는 데이터는 사진 등의 이미지, 영상, 텍스트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데이터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계 201이 필수적이지 않을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표시패널(150) 에 데이터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뿐만 전자장치(100)가 턴-오프 상태로부터 턴-온되는 시점에서도 이하에서 설명하는 기능이 실행되어 리사이징(re-sizing) 및 화소값 조정이 가능하다.
단계 203에서 제어부(170)는 호버링 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전자기 유도 방식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를 수용부(110)로부터 수용되거나 연장되면 그에 따라 수용부(110)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 및 터치패널(140) 사이에 상대적인 변위가 변화할 수 있다. 상대적 변위가 변화됨에 따라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에 포함된 코일(coil)에 전류가 유도되고, 코일에 유도된 전류가 흐름으로써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는 자기장 신호 즉, 호버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터치패널(140)은 생성된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일부가 접히거나 휘면 그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일 측 꼭지점 부분에 배치된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 및 터치패널(140) 사이에 상대적인 변위가 변화할 수 있다. 상대적 변위가 변화됨에 따라 제어부(170)가 호버링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가 수용부(110)로부터 수용되거나 연장되는 경우와 동일하다. 제어부(170)가 호버링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201로 돌아갈 수 있다.
단계 203에서 수신된 호버링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170)는 단계 205에서는 호버링 포인트를 산출할 수 있다. 호버링 포인트는 호버링 상태에서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로부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 화면 상에 수선을 내릴 때 수선의 발에 해당하는 지점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터치패널(140) 내에 포함된 EMR패드는 격자 또는 다이아몬드 형태의 센서 어레이 구성될 수 있다. 센서 어레이는 호버링 신호를 각각 감지할 수 있는 다수의 센서들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된 호버링 신호는 제어부(170)로 전달되고, 제어부(170)는 수신된 호버링 신호에 기초하여 센서 어레이를 구성하는 다수의 센서들 중 가장 큰 세기의 호버링 신호를 수신한 센서가 위치한 지점을 호버링 포인트로 산출할 수 있다.
단계 207에서는 단계 205에서 산출된 호버링 포인트(A)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 출력될 출력 표시영역(180)을 결정할 수 있다. 출력 표시영역(180) 결정과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a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의 수용부(110)로 수용되거나 연장된 상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를 나타내고 있다. 수용부(110)는 원기둥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를 수용하거나 연장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한 형태라면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10) 아랫면(112)의 둘레 일 측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가 수용되거나 연장되는 경계선(113) 상의 수직한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1)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보다 정확한 출력 표시영역(180)을 결정하기 위해 수용부(110)의 일 모서리(111) 상에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들이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1)로부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 상의 수선을 내린 경우 수선의 발에 해당하는 지점의 호버링 포인트(A) 좌표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출력 표시영역(180)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호버링 포인트(A)를 지나면서 수용부(110)의 일 모서리(111)와 평행한 선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가 수용되거나 연장되는 경계선(113)을 출력 표시영역(180)의 왼쪽 경계선(113)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출력 표시영역(180)의 오른쪽 경계선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세로축 모서리(132)에 해당하는 선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가 수용부(110)로 수용되거나 수용부(110)로부터 연장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표시영역(180)의 세로축 길이는 변하지 않고 유지되는 반면, 가로축 길이(d1)는 변경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접히거나 휜 상태에서 출력 표시영역 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일 측 모서리에 적어도 하나의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서는 수용부(110)에 배치된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1) 외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하단 가로축 모서리(131) 및 상단 가로축 모서리(133)와 세로축 모서리(132)가 접하는 부분에 각각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2, 120-3)가 배치된 것을 도시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4a에서는 하단 가로축 모서리(131)와 세로축 모서리(132)가 접하는 부분에 배치된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2)를 포함하는 부분이 접히거나 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반면, 상단 가로축 모서리(133)와 세로축 모서리(132)가 접하는 부분에 배치된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3)를 포함하는 부분도 접히거나 휠 수 있다. 이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어느 일부가 접히거나 휘는 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2개의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2, 120-3)에 의해 발생되는 호버링 신호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2, 120-3)와 터치패널(140) 사이의 상대적 변위 변화를 저장부(160) 내에 테이블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변경되는 호버링 포인트(A)를 계속적으로 저장부(160)에 저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호버링 포인트(A)의 궤적을 추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2, 120-3)로부터 호버링 신호가 2개 생성되는 경우에도 어느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로부터 호버링 신호가 생성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 내에 포함되는 코일(coil)의 감긴 횟수 및 공진회로 소자값을 달리하여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를 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 내에 포함되는 코일(coil)의 감긴 횟수 및 공진회로를 구성하는 소자값이 다르게 제작하면 코일에 유도되는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 신호 즉, 호버링 신호의 주파수 및 크기 등이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2, 120-3)로부터 수신되는 호버링 신호를 구분할 수 있으며, 구분된 호버링 신호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어느 부분이 접히거나 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b는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2)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일부가 접히거나 휜 상태에서의 전개도를 나타낸다. 도 4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일부가 접히거나 휜 상태에서 화면 표시영역(180)을 결정하기 위해서 호버링 포인트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하단 가로축 모서리(131)에 접힌 지점(E) 및 세로축 모서리(132)에 접힌 지점(D)을 각각 연결한 선과 E지점 및 D지점의 좌표를 결정하여야 한다.
먼저, 제어부(170)는 호버링 포인트(A)와 B지점의 중점(C)에 해당되는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 4b에서 수용부(110)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 간의 경계선(113) 상의 하단 지점을 원점(O)으로 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가로축을 X축, 세로축을 Y축으로 하는 2차원 좌표 평면이 구성된다고 정의할 수 있다. 또한, 호버링 포인트(A)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a, b)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접히거나 휘기 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세로축 모서리(132)의 길이를 l2, 하단 가로축 모서리(131)의 길이를 l1이라고 하면, B지점의 좌표는 (l1, 0)이 된다. 제어부(170)는A지점 좌표와 B지점 좌표에 기초하여 A지점 좌표와 B지점 좌표의 중점 즉, C지점의 좌표를 ((a+l1)/2, b/2)로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E지점 및 D지점을 연결하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기 위해 직선의 기울기 즉, - (a - l1) / b 를 구할 수 있다. 이어 제어부(170)는 C지점의 좌표 및 직선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E지점과 D지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E지점과 D지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다음 [수학식 1]과 같다.
다음으로 B지점의 X축 좌표 및 원점(O)의 Y축 좌표를 [수학식 1]에 대입하여 아래 [수학식 2]와 같이 E지점과 D지점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70)는 호버링 포인트(A)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E지점 및 D지점을 각각 연결한 선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산출된 선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가 접히거나 휜 상태에서 화면 표시영역(180)을 결정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접히거나 휜 상태에서 출력 표시영역 산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수용부(110)에 배치된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1) 외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하단 가로축 모서리(131) 및 상단 가로축 모서리(133)와 세로축 모서리(132)가 접하는 부분에 각각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2, 120-3)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a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세로축 모서리(132)를 포함하는 부분이 접히거나 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세로축 모서리(132)를 포함하는 부분이 접히거나 휜 상태에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전개도를 나타낸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가로축 모서리(131, 133)가 동일한 길이만큼 접히거나 휜 경우 제어부(170)는 2개의 호버링 포인트의 X좌표들을 산출하여 표시영역(180)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2, 120-3)로부터 수신되는 호버링 포인트(A)의 X좌표는 동일하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X좌표에 해당하는 길이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 표시영역(180)의 가로축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가로축 모서리들(131, 133)의 길이가 다르게 접히거나 휜 경우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5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가 접히거나 휜 상태에서 출력 표시영역(180)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호버링 포인트(A)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하단 가로축 모서리(131)에 접힌 지점(G) 및 상단 가로축 모서리(133)에 위치한 지점(F)을 각각 연결한 선과 G지점 및 F지점의 좌표를 결정하여야 한다.
먼저, 제어부(170)는 호버링 포인트(A)와 B지점의 중점에 해당하는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도 4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5b에서도 수용부(110)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 간의 경계선(113) 중 하단 지점을 원점(O)으로 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가로축을 X축, 세로축을 Y축으로 하는 2차원 좌표 평면이 구성된다고 정의할 수 있다. 또한, 호버링 포인트(A)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a, b)로 정의하고, 접히거나 휘기 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세로축 모서리(132)의 길이를 l2, 하단 가로축 모서리(131)의 길이를 l1이라고 하면, B지점의 좌표를 (l1, 0)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C지점의 좌표를 ((a + l1) / 2, b / 2)로 산출할 수 있다. G지점의 좌표를 구하기 위해 제어부(170)는 [수학식 1] 및 G지점의 Y축 좌표가 0인 점을 이용하여 G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G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는 각각 (b^2 / (2 * (a - l1)) + (a + l1) / 2, 0) 로서 도 4의 E지점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산출될 수 있다. 따라서, G점의 좌표는 (l1, (l1 - a)^2 / (2b) + b / 2)로 산출될 수 있다.
반면, 도 4와 달리 도 5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세로축 모서리(132)가 접히거나 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기 때문에 F지점의 좌표를 구하는 방식은 도 4에서 D지점의 좌표를 구하는 방식과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F 지점의 좌표를 구하기 위해 호버링 포인트(A)와 G지점을 이은 직선의 기울기를 먼저 구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 의해 호버링 포인트(A)와 G지점의 X좌표 및 Y좌표로부터 호버링 포인트(A)와 G를 이은 직선의 기울기는 b / [a - {b^2 / (2*(a - l1)) + (a - l1) / 2}] 로 산출된다. 호버링 포인트(A)와 G지점을 이은 직선의 기울기와 호버링 포인트(A)와 F를 연결한 직선이 수직인 점을 이용하여, 호버링 포인트(A)와 F지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수학식 3]과 같다.
다음으로 [수학식 3]과 F지점의 Y좌표가 l2인 점을 이용하여 아래 [수학식 4]와 같이 F지점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70)는 호버링 포인트(A)로부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하단 가로축 모서리(131)에서 접힌 지점(E) 및 상단 가로축 모서리(133)에서 접힌 지점(F)를 각각 연결한 선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산출된 선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가 접힌 상태에서 출력 표시영역(180)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209에서 제어부(170)는 단계 207에서 결정된 출력 표시영역(180)에 기초하여 출력을 리사이징(re-sizing)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가 수용부(110)로 수용되거나 연장되는 경우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일부가 접히거나 휘어지는 경우 제어부(170)는 리사이징(re-sizing)된 출력을 표시하도록 표시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표시영역(180)이 결정되면 제어부(170)는 출력의 가로 또는 세로 비율을 조정하여 표시하거나, 출력 표시영역(180)의 경계선을 따라 출력을 리사이징(re-sizing)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진 등과 같은 이미지 또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패널(150)에 출력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70)는 이미지 또는 영상 데이터가 왜곡되지 않도록 화면의 가로 또는 세로 비율이 조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텍스트 데이터가 화면에 출력될 경우 제어부(170)는 출력 표시영역(180)의 경계선을 따라 텍스트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계 211에서 제어부(17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화소값을 조정하여 표시패널(15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리사이징된 출력에 대해서는 화소값을 그대로 유지시키고, 수용부(110) 내부로 말린 부분, 리사이징을 통해 화면의 가로 또는 세로 비율이 조정되어 데이터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 및 사용자 시야 외의 영역에 대해서만 화소값을 조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 시야 외의 영역은 호버링 신호 입력부(120-2)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일부가 접히거나 휘어질 때, 전자장치(100)의 평면도 상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으로 정의한다. 제어부(170)는 사용자 시야 외의 영역에 대하여 화소값을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제어부(170)는 사용자 시야 외의 영역에 대해 블랙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출력 리사이징(re-sizing) 및 화소값 조정에 따른 출력을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의 왼쪽 일부는 수용부(110)에 말린 상태이고, 오른쪽 일부는 접히거나 휜 상태를 나타낸다. 출력 표시 영역(180)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의 세로축의 비율이 유지된 상태에서 가로축의 비율만 조정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리사이징된 표시영역(610) 왼쪽 세로축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가 말리거나 펼쳐지는 경계선(113)으로 결정하고, 오른쪽 세로축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 왼쪽 세로축에 평행한 선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리사이징된 표시영역(610)에 대한 화소값은 그대로 유지하고, 리사이징된 표시영역(610) 외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 영역은 블랙 상태로 출력할 수 있다.
도 6b는 리사이징 표시영역(610)은 출력 표시영역(180)의 경계선과 동일하게 결정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호버링 포인트(A)로부터 각각 D지점 및 E지점을 연결한 선을 산출할 수 있으며, 호버링 포인트(A)로부터 각각 D지점 및 E지점을 연결한 선을 경계선으로 하는 영역을 리사이징 표시영역(61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70)는 리사이징된 표시영역(610)에 대한 화소값은 그대로 유지하고, 리사이징된 표시영역(610) 외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30) 영역은 블랙 상태로 출력할 수 있다. 도 6b와 같이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수용부(110) 내부로 말리는 부분 및 사용자 시야 외의 영역에 대한 화소값을 조정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100)의 표시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가 전자장치(100)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가 말린 상태 또는 접힌 상태에서 데이터를 보다 정확한 영역에 표시하도록 지원하여 뛰어난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100)의 표시 장치 및 방법은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전자장치 110 : 수용부
120 : 호버링 신호 입력부 130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140 : 터치 패널 150 : 표시 패널
160 : 저장부 170 : 제어부
180 : 출력 표시영역 610 : 리사이징 표시영역
120 : 호버링 신호 입력부 130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140 : 터치 패널 150 : 표시 패널
160 : 저장부 170 : 제어부
180 : 출력 표시영역 610 : 리사이징 표시영역
Claims (18)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변형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호버링 신호 입력부로부터 호버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호버링 신호에 기초하여 호버링 포인트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호버링 포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표시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출력 표시영역에 출력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표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변형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호버링 신호 입력부로부터 호버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수용부로부터 수용되거나 연장되는 동안 상기 수용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호버링 신호 입력부로부터 제 1 호버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이고,
상기 수신된 호버링 신호에 기초하여 호버링 포인트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제 1 호버링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호버링 포인트를 산출하는 단계이고,
상기 호버링 포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표시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호버링 포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출력 표시영역을 결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표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변형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호버링 신호 입력부로부터 호버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부가 접히거나 휘는 동안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호버링 신호 입력부로부터 제 2 호버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이고,
상기 수신된 호버링 신호에 기초하여 호버링 포인트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호버링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호버링 포인트를 산출하는 단계이고,
상기 호버링 포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표시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호버링 포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표시영역을 결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표시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호버링 포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표시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측 모서리 한쪽 끝단이 접히거나 휘는 동안, 상기 모서리 한쪽 끝단이 접히거나 휘기 전 상기 제 2 호버링 신호 입력부의 위치 및 제 2 호버링 포인트 사이의 중점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중점을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접힌 점들 사이의 직선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직선으로부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접히거나 휜 점들의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호버링 포인트로부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접히거나 휜 지점들 각각에 이르는 선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표시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호버링 포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표시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측 모서리 양쪽 끝단이 접히거나 휘는 경우, 상기 일측 모서리 양쪽 끝단이 접히거나 휘기 전 상기 제 2 호버링 신호 입력부의 위치 및 제 2 호버링 포인트 사이의 중점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중점을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접히거나 휜 점들 중 상기 수용부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점과 제 2 호버링 포인트를 지나는 직선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직선을으로부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접히거나 휜 점들 중 상기 수용부로부터 거리가 먼 점의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수용부로부터 거리가 먼 점 및 상기 제 2호버링 포인트를 지나는 직선을 산출하여 산출된 직선을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접히거나 휜 점들 중 상기 수용부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점의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호버링 포인트로부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접히거나 휜 지점들 각각에 이르는 선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표시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표시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출력 표시영역에 출력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출력 표시영역에 대해 상기 출력을 리사이징(re-siz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표시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사이징(re-sizing)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출력 표시영역에 대한 가로 또는 세로의 비율을 조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표시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사이징(re-sizing)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출력 표시영역의 경계선을 따라 상기 출력을 리사이징(re-siz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표시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출력 표시영역에 출력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화소값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표시 방법.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변형되는 동안 호버링 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호버링 신호 입력부;
출력을 표시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수용하거나 연장하는 수용부;
상기 호버링 신호를 수신하여 호버링 포인트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호버링 포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표시영역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출력 표시영역에 상기 출력을 표시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수용부로부터 수용되거나 연장되는 동안 상기 수용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호버링 신호 입력부로부터 제 1 호버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1 호버링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호버링 포인트를 산출하며, 상기 제 1 호버링 포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출력 표시영역을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부가 접히거나 휘는 동안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호버링 신호 입력부로부터 제 2 호버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호버링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호버링 포인트를 산출하며,
상기 제 2 호버링 포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표시영역을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측 모서리 한쪽 끝단이 접히거나 휘는 동안, 상기 모서리 한쪽 끝단이 접히거나 휘기 전 상기 제 2 호버링 신호 입력부의 위치 및 제 2 호버링 포인트 사이의 중점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중점을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접힌 점들 사이의 직선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직선으로부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접히거나 휜 점들의 좌표를 산출하하고,
상기 제 2 호버링 포인트로부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접히거나 휜 지점들 각각에 이르는 선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표시영역을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측 모서리 양쪽 끝단이 접히거나 휘는 경우, 상기 일측 모서리 양쪽 끝단이 접히거나 휘기 전 상기 제 2 호버링 신호 입력부의 위치 및 제 2 호버링 포인트 사이의 중점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중점을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접히거나 휜 점들 중 상기 수용부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점과 제 2 호버링 포인트를 지나는 직선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직선으로부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접히거나 휜 점들 중 상기 수용부로부터 거리가 먼 점의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수용부로부터 거리가 먼 점 및 상기 제 2 호버링 포인트를 지나는 직선을 산출하여 산출된 직선을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접히거나 휜 점들 중 상기 수용부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점의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제 2 호버링 포인트로부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접히거나 휜 지점들 각각에 이르는 선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표시영역을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출력 표시영역에 대해 상기 출력을 리사이징(re-sizing)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출력 표시영역에 대한 가로 또는 세로 비율을 조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출력 표시영역의 경계선을 따라 상기 출력을 리사이징(re-sizing)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화소값을 조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40900A KR20140123725A (ko) | 2013-04-15 | 2013-04-15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표시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40900A KR20140123725A (ko) | 2013-04-15 | 2013-04-15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표시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3725A true KR20140123725A (ko) | 2014-10-23 |
Family
ID=51994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40900A KR20140123725A (ko) | 2013-04-15 | 2013-04-15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표시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123725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41162A1 (ko) * | 2020-01-09 | 2021-07-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2013
- 2013-04-15 KR KR20130040900A patent/KR2014012372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41162A1 (ko) * | 2020-01-09 | 2021-07-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42546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gesture thereof | |
US10152088B2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US917060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f a device for executing operations | |
KR102090964B1 (ko) |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 |
US9690377B2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haptic feedback | |
US10579248B2 (en) |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mage by using scroll bar | |
KR102155836B1 (ko) | 터치 스크린 상에서 객체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 |
US20130232439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urning pages in terminal | |
KR102645332B1 (ko) |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영역들 간 인터랙팅을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 |
US20140176421A1 (en) | Displaying method for flexible display devic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KR20140092059A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휴대 장치 | |
US20150193112A1 (en) | User interface device, user interface method, and program | |
US20150177972A1 (en) | Unlock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 |
KR20130034765A (ko) | 휴대 단말기의 펜 입력 방법 및 장치 | |
CN114374751A (zh) | 包括柔性显示器的电子装置和操作电子装置的屏幕的方法 | |
JP7189291B2 (ja) | 位置検出センサおよび位置検出装置 | |
EP303239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information by using on-screen keyboard | |
EP3043254A1 (en) |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 |
US10114501B2 (en) |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ing a touch input and a hovering inpu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1388793B1 (ko) | 디지타이저 펜, 입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JP5782420B2 (ja) |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CN116391224A (zh) | 电子装置及其屏幕控制方法 | |
US9652143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put of electronic device | |
JP6411067B2 (ja) | 情報処理装置及び入力方法 | |
KR20140094958A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실행 방법 및 그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