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3692A -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3692A
KR20140123692A KR1020130040811A KR20130040811A KR20140123692A KR 20140123692 A KR20140123692 A KR 20140123692A KR 1020130040811 A KR1020130040811 A KR 1020130040811A KR 20130040811 A KR20130040811 A KR 20130040811A KR 20140123692 A KR20140123692 A KR 20140123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alloy
semi
finished product
product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광준
이정무
김형욱
박영삼
정상수
정윤철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40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3692A/ko
Publication of KR20140123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2Anodisation
    • C25D11/04Anodisation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202/00Physical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은, 중량%로 0.25~0.35%의 실리콘(Si)과, 0.3~0.7%의 마그네슘(Mg)과, 2.47% 이상의 망간(Mn)과, 0.02~0.05%의 아연(Zn)과, 0.1~0.2%의 철(Fe)과, 0.1%이하의 지르코늄(Zr)과, 0.2%이하의 타이타늄(Ti) 및 잔부(殘部)인 알루미늄(Al)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알루미늄합금을 다이캐스팅하여 반제품을 성형하고, 상기 반제품을 양극 산화 처리한 후 100~220℃ 범위 내에서 1시간 이상 가열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A anodized die-casting aluminum alloy product with high strengt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마그네슘(Mg), 망간(Mn), 실리콘(Si)의 함량이 제어된 알루미늄합금을 다이캐스팅하고 양극 산화 처리한 후 가열시에 온도 조건을 제어하여 열처리 효과를 발현할 수 있도록 한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해원소인 니켈(Ni) 및 코발트(Co) 미첨가하여 친환성성을 가지며, 타이타늄(Ti), 실리콘(Si), 철(Fe)의 함량을 제어하여 미세한 결정립을 갖도록 한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기술이 급격히 발달함에 따라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고, 특히 전자기기에 금속 소재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표면처리 기술이 요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도장, 도금 등이 주로 이루어지나 최근에는 판재나 가공재 등에 주로 이용되어 미려한 금속감을 보일 수 있는 아노다이징기술을 다이캐스팅에 적용하는 것이 연구되어 있다.
아노다이징(Anodizing) 기술을 다이캐스팅에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판재 프레스 가공 후 아노다이징 처리나 열간 압출이나 단조 후 가공을 통해 아노다이징을 하는 것보다 형상구현, 추가 가공에 따른 비용증가, 생산성 측면에서 유리함을 가져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은 ADC12가 주로 이용되나, 높은 Si함량으로 인해 아노다이징에 어려움이 있다. 판재는 A5052 등이 이용되고, 열간 가공재의 경우 A6061 등의 소재가 주로 이용된다.
그리고, 다이캐스팅 공정의 특성상 용탕의 유동에 따른 아노다이징 얼룩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A5052나 A6061을 다이캐스팅에 적용시 다이캐스팅 공정의 특성에 따라 급냉조직이 형성되고 균질화 처리가 어려워 편석된 조직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아노다이징 적용시 판재나 가공재의 경우보다 아노다이징 특성이 좋지 않다.
특히,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니켈, 납, 베릴륨, 코발트, 카드뮴, 수은 등을 유해원소로 규정하여 시장 진출에 제한을 하고 있다.
유해원소 중 니켈과 코발트의 경우 알루미늄과 결합하여 강도 증가를 기대할 수 있으며, 납의 경우 절삭성을 향상시켜 후가공이 용이하도록 하는 특성을 가지나,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20406호에는 열처리를 하지 않고도 고강도를 유지하면서 주조성이 좋은 알루미늄과 아연 합금을 제공하기 위하여 실리콘(Si) 0.35~0.5wt%, 마그네슘(Mg) 0.55~0.9 wt%, 구리(Cu) 2.0~2.1 wt%, 아연(Zn) 19.5~40.5 wt%, 철(Fe) 0.6 wt% max, 망간(Mn) 0.2 wt% max, 니켈(Ni) 0.05 wt% max, 티타늄(Ti) 0.03~0.05 wt%, 기타 불순물 0.05 wt% max 및 잔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합금이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91669호에 개시된 알루미늄 합금의 경우 강도를 향상시키긴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유해물질인 니켈(Ni)이 1.5wt.% 이하 포함되어 있어 친환경소재와는 거리가 멀다. 그러나 근래에는 전자제품 적용 소재의 친환경 및 인체유해성에 대한 규제가 높아지고 있으며, 니켈, 납, 베릴륨, 코발트 등의 유해원소에 대하여 사용이 금지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유해원소를 함유하지 않는 아노다이징이 가능한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종래의 아노다이징이 가능한 알루미늄 합금은 유동성이 좋지 않아 다이캐스팅 공정시 성형성에 문제가 있고, 기계적 물성 또한 기존의 상용소재에 비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84640호에는 아노다이징이 가능한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다이캐스팅 소재의 경우 잔존 가스로 인하여 후속 열처리가 불가하므로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며, 강도를 높이고자 하면 연신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그네슘(Mg), 망간(Mn), 실리콘(Si)의 함량이 제어된 알루미늄합금을 다이캐스팅하고 양극 산화 처리한 후 가열시 온도 조건을 제어하여 열처리 효과를 발현할 수 있도록 한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해원소인 니켈(Ni) 및 코발트(Co)를 미첨가하여 친환성성을 가지며, 타이타늄(Ti), 실리콘(Si), 철(Fe)의 함량을 제어하여 미세한 결정립을 갖도록 한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은, 중량%로 0.25~0.35%의 실리콘(Si)과, 0.3~0.7%의 마그네슘(Mg)과, 2.47% 이상의 망간(Mn)과, 0.02~0.05%의 아연(Zn)과, 0.1~0.2%의 철(Fe)과, 0.1%이하의 지르코늄(Zr)과, 0.2%이하의 타이타늄(Ti) 및 잔부(殘部)인 알루미늄(Al)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알루미늄합금을 다이캐스팅하여 반제품을 성형하고, 상기 반제품을 양극 산화 처리한 후 100~220℃ 범위 내에서 1시간 이상 가열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은 반제품보다 12% 이상 큰 항복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은 140㎫ 이상의 항복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제품은 158㎫ 이상의 인장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제품은 5.9% 이상의 연신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은, 중량%로 0.25~0.35%의 실리콘(Si)과, 0.3~0.7%의 마그네슘(Mg)과, 2.47% 이상의 망간(Mn)과, 0.02~0.05%의 아연(Zn)과, 0.1~0.2%의 철(Fe)과, 0.1%이하의 지르코늄(Zr)과, 0.2%이하의 타이타늄(Ti) 및 잔부(殘部)인 알루미늄(Al)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알루미늄합금을 다이캐스팅하여 제조된 반제품을 전처리하는 전처리단계와, 상기 반제품을 양극 산화처리하는 표면처리단계와, 양극 산화처리된 반제품을 100~220℃ 범위 내에서 1시간 이상 가열하여 강도를 높이는 강도향상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면처리단계는, 상기 반제품을 양극 산화처리하는 아노다이징과정과, 세척하는 제1세척과정과, 상기 반제품의 표면을 염료로 착색하는 착색과정과, 상기 반제품의 표면을 실링하는 실링과정과, 상기 반제품을 세척하는 제2세척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도향상단계는, 상기 반제품의 항복강도를 12% 이상 증가시키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서는, 마그네슘(Mg), 망간(Mn), 실리콘(Si)의 함량이 제어된 알루미늄합금을 다이캐스팅하고 양극 산화 처리한 후 온도 조건을 제어하여 가열하였다.
이에 따라 아노다이징 성능은 유지하되 열처리 효과를 발현하여 인장강도와 항복강도가 향상되고 연신율이 증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유해원소인 니켈(Ni) 및 코발트(Co)를 미첨가하여 친환성성을 가지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미세한 결정립 크기로 성형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우측 사진)과 양극 산화 처리 전(좌측 사진)의 외관을 보인 실물 사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의 제조방법에서 일 단계인 표면처리단계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공정 순서도.
도 4 는 비교예의 조성, 기계적 특성, 성형성 및 아노다이징성을 나타낸 표.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조성, 기계적 특성, 성형성 및 아노다이징성을 나타낸 표.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비교예의 항복강도, 인장강도 및 연신율을 비교한 그래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의 제조방법에서 강도향상단계의 실시 조건 변화에 따른 항복 강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이하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100)'이라 칭함)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우측 사진)과 양극 산화 처리 전(좌측 사진)의 외관을 보인 실물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100)은 다이캐스팅된 반제품(10)에 양극 산화 처리 등의 표면처리단계(S200)를 실시하고, 이후 강도향상단계(S300)를 통해 강도를 향상시킨 것으로서, 강도향상단계(S300)에서 특정 온도 범위 내에서 일정 시간 범위로 가열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100)은 구성 원소의 조성 범위를 한정함으로써 다이캐스팅 공정의 성형성을 높이고 인장강도, 항복강도 및 연신율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100)은 반제품(10)보다 12% 이상 큰 항복강도를 갖게 되어 140㎫ 이상의 항복강도를 가지며, 상기 반제품(10)은 158㎫ 이상의 인장강도와, 5.9% 이상의 연신율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기계적 성질은 아래에서 상세히 하기로 한다.
이하 상기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100)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의 제조방법에서 일 단계인 표면처리단계(S200)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공정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100)은 알루미늄합금을 다이캐스팅하여 제조된 반제품(10)을 전처리하는 전처리단계(S100)와, 상기 반제품(10)을 양극 산화처리하는 표면처리단계(S200)와, 양극 산화처리된 반제품(10)을 100~220℃ 범위 내에서 1시간 이상 가열하여 강도를 높이는 강도향상단계(S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처리단계(S100)는 다이캐스팅 공정을 통해 제조된 반제품(10)의 표면을 디게이팅(Degating), 버핑(Buffing), 샌드블라스팅(sand blasting), 화학연마 등의 방법으로 가공하는 과정이다.
상기 전처리단계(S100) 이후에는 표면처리단계(S200)가 실시된다. 상기 표면처리단계(S200)는 도 1과 같이 반제품(10)의 표면을 착색하는 과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아노다이징 공정을 채택하여 검정색을 착색하였다.
상기 표면처리단계(S200)는 도 3과 같이 아노다이징과정(S210)과, 제1세척과정(S220), 착색과정(S230), 실링과정(S240) 및 제2세척과정(S250)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완성된다.
상기 표면처리단계(S200) 이후에는 본 발명의 요부 단계인 강도향상단계(S300)가 실시된다.
상기 강도향상단계(S300)는 제2세척과정(S250) 이후에 특정 온도 범위와 시간 동안 열을 제공하여 제품(100)을 완성하고, 이때 상기 제품(100)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강도향상단계(S300)는 별도의 열처리단계를 실시하지 않고 건조과정 중에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을 제어하여 건조 및 강도 향상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비교예의 조성 및 기계적 특성을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 4에는 비교예의 조성, 기계적 특성, 성형성 및 아노다이징성을 나타낸 표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100)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조성, 기계적 특성, 성형성 및 아노다이징성을 나타낸 표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품(100)은, 중량%로 0.25~0.35%의 실리콘(Si)과, 0.3~0.7%의 마그네슘(Mg)과, 2.47% 이상의 망간(Mn)과, 0.02~0.05%의 아연(Zn)과, 0.1~0.2%의 철(Fe)과, 0.1%이하의 지르코늄(Zr)과, 0.2%이하의 타이타늄(Ti) 및 잔부(殘部)인 알루미늄(Al)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그네슘(Mg)과 망간(Mn)은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0.7wt.% 이상 함유되는 경우 변색을 유발하므로 함량에 제한을 두었다.
망간(Mn)은 마그네슘(Mg)보다 강도 향상 효과가 크므로 2.47wt.% 이상 포함시켰으며 타이타늄(Ti)과 지르코늄(Zr)은 결정립 미세화를 위해 미량 첨가하였다.
그리고, 마그네슘(Mg)과 실리콘(Si)의 경우 강도향상단계(S300)에서 가열에 의한 석출상 형성을 위해 첨가된다.
철(Fe)은 금형의 소착 방지에 우수한 역할을 하나 부식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0.2중량%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타이타늄(Ti)은 주조립을 미세화하기 위해 포함된다.
한편, 비교예는 실시예의 조성과 대비할 때 마그네슘(Mg), 지르코늄(Zr), 타이타늄(Ti)이 미포함되거나, 실리콘(Si), 지르코늄(Zr)의 함량을 낮게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비교예와 실시예에 대하여 다이캐스팅 공정을 실시하여 성형성을 비교한 결과, 실시예1 내지 실시예4는 도 1과 같이 크랙이나 미충전 없이 양호하게 성형되었으나, 비교예는 성형성이 좋지 않았다.
그리고, 아노다이징성 역시 실시예의 경우 도 1과 같이 양호한 착색이 이루어졌으나 비교예는 그렇지 않았다.
인장특성을 비교해보면, 실시예는 반제품(10) 상태에서 105 내지 126㎫의 항복강도와, 158 내지 200㎫의 인장강도 및 5.9 내지 8.8%의 연신율을 나타내었으나, 비교예는 항복강도, 인장강도 및 연신율에서 모두 실시예보다 낮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그래프로 표시하면 도 6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100)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비교예의 항복강도, 인장강도 및 연신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강도향상단계(S300) 중 가열온도와 가열시간 변화에 따른 항복 강도 변화를 설명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100)의 제조방법에서 강도향상단계(S300)의 실시 조건 변화에 따른 항복 강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100)은 강도향상단계(S300)를 통해 반제품(10)보다 항복강도가 12%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반제품(10)의 경우 105 내지 126㎫의 항복강도와, 158 내지 200㎫의 인장강도 및 5.9 내지 8.8%의 연신율을 갖는 상태였으나, 제품(100)의 경우 강도향상단계(S300)에 대하여 220℃의 온도 이하에서 1시간 이상 가열된 경우 140㎫ 이상의 항복강도를 나타내어 크게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강도향상단계(S300)는 제2세척과정(S250) 이후에 건조과정과 병행하여 반제품의 건조 및 강도 향상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별도의 열처리단계를 실시하지 않고 100 내지 220℃의 온도 범위 내에서 1시간 이상의 시간동안 가열할 수 있는 범위 내라면 다양한 순서에 실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10. 반제품 100. 제품
S100. 전처리단계 S200. 표면처리단계
S210. 아노다이징과정 S220. 제1세척과정
S230. 착색과정 S240. 실링과정
S250. 제2세척과정 S300. 강도향상단계

Claims (8)

  1. 중량%로 0.25~0.35%의 실리콘(Si)과, 0.3~0.7%의 마그네슘(Mg)과, 2.47% 이상의 망간(Mn)과, 0.02~0.05%의 아연(Zn)과, 0.1~0.2%의 철(Fe)과, 0.1%이하의 지르코늄(Zr)과, 0.2%이하의 타이타늄(Ti) 및 잔부(殘部)인 알루미늄(Al)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알루미늄합금을 다이캐스팅하여 반제품을 성형하고, 상기 반제품을 양극 산화 처리한 후 100~220℃ 범위 내에서 1시간 이상 가열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은 반제품보다 12% 이상 큰 항복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은 140㎫ 이상의 항복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제품은 158㎫ 이상의 인장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제품은 5.9% 이상의 연신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
  6. 중량%로 0.25~0.35%의 실리콘(Si)과, 0.3~0.7%의 마그네슘(Mg)과, 2.47% 이상의 망간(Mn)과, 0.02~0.05%의 아연(Zn)과, 0.1~0.2%의 철(Fe)과, 0.1%이하의 지르코늄(Zr)과, 0.2%이하의 타이타늄(Ti) 및 잔부(殘部)인 알루미늄(Al)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알루미늄합금을 다이캐스팅하여 제조된 반제품을 전처리하는 전처리단계와,
    상기 반제품을 양극 산화처리하는 표면처리단계와,
    양극 산화처리된 반제품을 100~220℃ 범위 내에서 1시간 이상 가열하여 강도를 높이는 강도향상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단계는,
    상기 반제품을 양극 산화처리하는 아노다이징과정과,
    세척하는 제1세척과정과,
    상기 반제품의 표면을 염료로 착색하는 착색과정과,
    상기 반제품의 표면을 실링하는 실링과정과,
    상기 반제품을 세척하는 제2세척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향상단계는,
    상기 반제품의 항복강도를 12% 이상 증가시키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
KR1020130040811A 2013-04-15 2013-04-15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236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811A KR20140123692A (ko) 2013-04-15 2013-04-15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811A KR20140123692A (ko) 2013-04-15 2013-04-15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692A true KR20140123692A (ko) 2014-10-23

Family

ID=51994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811A KR20140123692A (ko) 2013-04-15 2013-04-15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369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707B1 (ko) * 2018-09-21 2019-05-31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내식성과 열전도도가 우수한 고강도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과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 합금 주조품의 제조방법
KR101984710B1 (ko) * 2018-10-12 2019-05-31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내식성과 열전도도가 우수한 고강도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
KR20220058691A (ko) * 2020-10-29 2022-05-10 주식회사 영광와이케이엠씨 옥살산 아노다이징에서 알루미늄 합금의 후처리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알루미늄 합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707B1 (ko) * 2018-09-21 2019-05-31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내식성과 열전도도가 우수한 고강도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과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 합금 주조품의 제조방법
KR101984710B1 (ko) * 2018-10-12 2019-05-31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내식성과 열전도도가 우수한 고강도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
KR20220058691A (ko) * 2020-10-29 2022-05-10 주식회사 영광와이케이엠씨 옥살산 아노다이징에서 알루미늄 합금의 후처리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알루미늄 합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4583B1 (ko) 강도가 향상된 아노다이징용 알루미늄 합금 및 개선된 아노다이징 방법
JP5719939B2 (ja) ダイカスト用アルミニウム合金
JP6901397B2 (ja) 高度に成形された包装製品用アルミニウム合金及びその作製方法
CN105296811A (zh) 手机部件用高强6xxx系铝合金及其加工方法
CN105112747A (zh) 一种7xxx铝合金
WO2015169232A1 (en) Aluminum alloy and method of prepairing the same
JP6054658B2 (ja) 缶ボディ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43234B1 (ko)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
EP3750646A1 (en) Method for forming an aluminum alloy sheet part
KR101642850B1 (ko) 강도와 압출성 및 광택도가 우수한 7000계 알루미늄합금 압출재
KR20140091858A (ko)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5182748A1 (ja) アルミニウム合金部材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アルミニウム合金部材
US9920401B2 (en) Aluminum base alloy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for die casting
CN105063442A (zh) 一种铝合金
KR20140123692A (ko) 양극 산화 처리되어 고강도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합금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282696A (zh) 一种高强高韧铝合金
KR20120084640A (ko) 아노다이징이 가능한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과 이의 다이캐스팅 및 아노다이징 공법
KR101709472B1 (ko) 다이캐스팅 주조로 제조되는 아노다이징용 알루미늄 합금
CN109182852A (zh) 一种高光亮度5系铝合金抛光型材的制备方法及型材
JP2010189730A (ja) 飲料缶胴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の製造方法
CN106191552A (zh) 一种可阳极氧化压铸铝合金的制备方法
CN105603270A (zh) 一种发动机构件用压铸铝合金及其生产方法
KR101571603B1 (ko) 애노다이징 처리된 알루미늄 합금 다이캐스트 제품
KR20150089187A (ko) 다이캐스팅용 고강도 알루미늄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33772B1 (ko)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합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