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3603A - 이동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3603A
KR20140123603A KR1020147027251A KR20147027251A KR20140123603A KR 20140123603 A KR20140123603 A KR 20140123603A KR 1020147027251 A KR1020147027251 A KR 1020147027251A KR 20147027251 A KR20147027251 A KR 20147027251A KR 20140123603 A KR20140123603 A KR 20140123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base station
relay station
station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7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1765B1 (ko
Inventor
야스시 마루타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3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05Moving wireles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고정 중계국과 이동 중계국이 동일한 기지국에 접속되는 환경 하에서도 고정 중계국 및 이동 중계국을 적절히 동작시키기 위해서, 이동 통신 시스템 (1) 을 형성하는 중계국들 (20_1 및 20_2) 각각은, 각각의 중계국이 이동 가능한 중계국인지 아닌지 여부의 유형을 나타내는 유형 정보를 기지국 (10) 에 통지한다. 기지국 (10) 은, 중계국들 (20_1 및 20_2) 각각에 대해, 유형에 따른 구성 및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 또한, 유형이 이동 가능한 중계국을 나타내는 경우, 기지국 (10) 은 구성 및 제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상위 계층 제어 디바이스를 통해 인접 기지국에 통지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 중계국, 및 중계국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특히 무선 중계국에 대한 구성 (configuration) 및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LTE-A (Long Term Evolution Advanced) 에서는, 무선 기지국 (eNB:enhanced Node B) 의 커버리지 확대, 불감 지대의 해소 등을 목적으로 하고 무선으로 중계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무선 중계국 (RN:Relay Node) 의 도입이 검토되어, 무선 중계국 사양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여러 유형의 무선 중계국들 중에서 계층 3 정보를 중계하는 무선 중계국 (Type1 RN) 의 채용이 결정되고 있다 (예를 들어, 비특허 문헌 1 참조).
Type1 RN 은, 이동국 (UE:User Equipment) 으로/으로부터 eNB 와 동등의 신호를 송신/수신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Type1 RN 은, Type1 RN 자국과 기능 중의 무선 기지국 (DeNB:Donner eNB) 간에 신호를 송신/수신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후의 설명에서, 용어 "eNB" 는, DeNB 를 나타낸다. 또한, RN 과 eNB 간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백홀 링크 (Backhaul Link)" 라고 지칭하고, 이 백홀 링크를 통해 송신되는 신호를 "백홀 신호" 라고 지칭한다. 한편, RN 과 UE 간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액세스 링크 (Access Link)" 라고 지칭하고, 이 액세스 링크를 통해 송신되는 신호를 "액세스 링크 신호" 라고 지칭한다.
여기서, Type1 RN 로부터 UE 로의 다운링크 액세스 링크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eNB 로부터 Type1 RN 으로의 다운링크 백홀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동일하다. 또한, UE 로부터 Type1 RN 으로의 업링크 액세스 링크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Type1 RN 으로부터 eNB 로의 업링크 백홀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동일하다.
따라서, Type1 RN 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동일 주파수에서 신호가 기본적으로 시-분할로 핸들링된다. eNB 는 시-분할 방식으로 스케줄링에 관한 제어를 수행한다.
Type1 RN 의 변형들로서 백홀 신호와 액세스 링크 신호에 대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Type1a RN, 백홀 신호와 액세스 링크 신호에 대해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지만 공간적인 고립을 보증하는 (즉, 신호를 시-분할 방식으로 핸들링할 필요가 없는) Type1b RN 이 정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Type1 RN, Type1a RN, 및 Type1b RN 의 각각 또는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이후의 설명에서는, Type1 RN, Type1a RN, 및 Type1b RN 를 서로 구별하지 않고 "RN" 으로서 총칭한다. 또한, 일부 경우에서 무선 중계국 (RN) 을 "중계국" 으로 약칭하고 무선 기지국 (eNB) 을 "기지국" 으로 약칭한다.
또한, 3 GPP 의 RAN 회합 (RAN#60, 2010년 2월) 에서, LTE-A 의 실제 애플리케이션들의 시작에서 (Release 10), RN 으로서 고정 RN 만을 고려하는 것이 합의되었다. 여기서, 고정 RN 은 그 명칭대로 설치 후에 이론상으로는 이동하지 않는 무선 중계국을 의미한다.
한편, 장래에 버스나 전철 등에 이동 RN 을 설치함으로써, 이동 중의 UE 를 수용 가능한 이동 RN 의 도입이 필수이다. 이동 RN 의 도입으로, 고정 RN 과 이동 RN 은 동일한 eNB 에 의해 형성되는 셀 내에 필연적으로 혼재할 수도 있는 (즉, RN 들 양자 모두가 동일한 eNB 에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예측된다.
선행 기술 문헌
비특허 문헌
NPL 1 : 3GPP TR 36.814 V9.0.0 (2010-03),"Further Advancements for E-UTRA Physical Layer Aspects", 제 9 장
그러나, 고정 중계국 및 이동 중계국이 동일한 기지국에 접속되는 환경 하에서는 고정 중계국 및 이동 중계국을 적절히 동작시키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는, 고정 중계국 및 이동 중계국에 대한 적합한 제어 및 구성이 상이하지만, 이들 제어 및 구성을 수행하는 기지국은 기지국 자체의 제어하에 있는 중계국이 고정 중계국인지 또는 이동 중계국인지 여부를 전혀 결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목적은 고정 중계국 및 이동 중계국이 동일한 기지국에 접속되는 환경 하에서도, 고정 중계국 및 이동 중계국을 적절히 동작시키는 것이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은 제 1 기지국; 및 제 1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서 무선 중계를 실시하는 중계국을 포함한다. 중계국은, 중계국 자체가 이동 가능한 중계국인지 아닌지 여부의 유형을 나타내는 유형 정보를 제 1 기지국에 통지한다. 제 1 기지국은, 이 유형에 따른 구성 및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중계국에 대해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중계국은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서 무선 중계를 실시하는 것이다. 이 중계국은,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을 실시하는 제 1 통신 수단; 이동국과의 무선 통신을 실시하는 제 2 통신 수단; 및 제 1 및 제 2 통신 수단들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제어 수단은 제 1 통신 수단을 통해 유형 정보를 기지국에 통지하도록 구성되는데, 이 유형 정보는 중계국이 이동 가능한 중계국인지 아닌지 여부의 유형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제어 방법은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서 무선 중계를 실시하는 중계국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제어 방법은, 중계국이 이동 가능한 중계국인지 아닌지 여부의 유형을 나타내는 유형 정보를 기지국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은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서 무선 중계를 실시하는 중계국으로 하여금, 이 중계국이 이동 가능한 중계국인지 아닌지 여부의 유형을 나타내는 유형 정보를 기지국에 통지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실행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중계국 및 이동 중계국이 동일한 기지국에 접속되는 환경 하에서도, 고정 중계국 및 이동 중계국을 적절히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기지국이, 기지국 자체의 제어 하에 놓인 중계국이 고정 중계국인지 또는 이동 중계국인지 여부를 인식하고, 이에 의해 고정 중계국 및 이동 중계국 각각에 대해 적합한 구성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들에 대해 공통적으로 사용된 중계국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사용된 중계국의 동작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사용된 기지국의 동작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이동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사용된 기지국의 동작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사용된 중계국의 동작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및 제 2 예시적인 실시형태들 및 중계국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이 도 1 내지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한 엘리먼트들을 가리키고, 그들의 중복 설명은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된다.
또한, 각각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LTE-A 에 준거한 이동 통신 시스템이 일례로서 설명된다. 한편, 각각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기술은, LTE-A 이외의 다른 통신 표준들을 채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제 1 예시적인 실시형태]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 (1) 은, eNB (10), 이동 RN (20_1), 및 고정 RN (20_2) 을 포함한다.
이들 중에서, eNB (10) 는 셀 (2) 을 형성하고, 이에 의해 셀 (2) 내에 위치하는 이동 RN (20_1), 고정 RN (20_2), 및 UE (30_3) 와 무선 전파 채널들을 통해 통신을 실시한다.
한편, 이동 RN (20_1) 은, 셀 (3_1) 을 형성하고, 이에 의해 셀 (3_1) 내에 위치하는 UE (30_1) 와의 통신을 실시한다. 또한, 이동 RN (20_1) 은, eNB (10) 와 UE (30_1) 사이의 무선 중계를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이동 RN (20_1) 은, UE (30_1) 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액세스-링크 신호로부터 계층 3 정보를 추출하고, 이 계층 3 정보를 업링크 백홀 신호로서 eNB (10) 로 송신한다. 또한, 이동 RN (20_1) 은 eNB (10) 로부터 다운링크 백홀 신호를 수신하고, 이 다운링크 백홀 신호로부터 UE (30_1) 전용의 계층 3 정보를 추출하여 이 추출된 계층 3 정보를 계층 1 정보로 변환한다. 그 다음에, 이동 RN (20_1) 은 이 계층 1 정보에 각종의 제어 정보 엘리먼트들을 부가하여 UE (30_1) 로 송신되게 한다.
유사하게, 고정 RN (20_2) 은 셀 (3_2) 를 형성하고, 이에 의해 셀 (3_2) 내에 위치하는 UE (30_2) 와의 무선 통신을 실시한다. 또한, 고정 RN (20_2) 은 eNB (10) 와 UE (30_2) 사이에서 무선 중계를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고정 RN (20_2) 은 UE (30_2) 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액세스-링크 신호로부터 계층 3 정보를 추출하고, 이 계층 3 정보를 업링크 백홀 신호로서 eNB (10) 로 송신한다. 또한, 고정 RN (20_2) 은 eNB (10) 로부터의 다운링크 백홀 신호를 수신하고, 이 다운링크 백홀 신호로부터 UE (30_2) 전용의 계층 3 정보를 추출하여 이 추출된 계층 3 정보를 계층 1 정보로 변환한다. 그 다음에, 고정 RN (20_2) 은 계층 1 정보에 각종의 제어 정보 엘리먼트들을 부가하여 UE (30_2) 로 송신되게 한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때때로 이동 RN 및 고정 RN 을 부호 20 으로 총칭한다는 것에 주목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이동국들은 때때로 부호 30 으로 총칭된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RN (20) 은 백홀 링크 통신기 (21), 액세스 링크 통신기 (22), 및 제어기 (23) 를 포함한다.
이들 중에서, 백홀 링크 통신기 (21) 는 통상적으로 백홀 링크에 대한 아날로그 프론트-엔드로서 동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백홀 링크 통신기 (21) 는 eNB (10) 로부터 수신된 다운링크 백홀 신호에 대해 증폭, 주파수 변환, A/D 변환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스들을 실행하고, 이들 프로세스들에 의해 획득된 기저대역 신호를 제어기 (23) 에 제공한다. 또한, 백홀 링크 통신기 (21) 는 제어기 (23) 로부터 출력된 기저대역 신호에 대해 D/A 변환, 주파수 변환, 증폭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스들을 실행하고, 이들 프로세스들에 의해 획득된 업링크 백홀 신호를 eNB (10) 로 송신한다.
또한, 액세스 링크 통신기 (22) 는 통상적으로 액세스 링크에 대한 아날로그 프론트-엔드로서 동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액세스 링크 통신기 (22) 는 UE (30) 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액세스-링크 신호에 대해 증폭, 주파수 변환, A/D 변환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스들을 실행하고, 이들 프로세스들에 의해 획득된 기저대역 신호를 제어기 (23) 에 제공한다. 또한, 액세스 링크 통신기 (22) 는 제어기 (23) 로부터 출력된 기저대역 신호에 대해 D/A 변환, 주파수 변환, 증폭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스들을 실행하고, 이들 프로세스들에 의해 획득된 다운링크 액세스-링크 신호를 UE (30) 로 송신한다.
또한, 제어기 (23) 는 통상적으로 백홀 링크 통신기 (21) 및 액세스 링크 통신기 (22) 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기 (23) 는 액세스 링크 통신기 (22) 로부터 출력된 신호로부터 계층 3 정보를 추출하고, 이 계층 3 정보를 백홀 링크 통신기 (21) 에 제공한다. 또한, 제어기 (23) 는 백홀 링크 통신기 (21) 로부터 출력된 신호로부터 UE (30) 전용의 계층 3 정보를 추출하고, 이 계층 3 정보를 계층 1 정보로 변환한다. 그 다음에, 제어기 (23) 는 계층 1 정보에 각종 제어 정보 엘리먼트들을 부가하여 액세스 링크 통신기 (22) 에 제공되게 한다.
또한, 제어기 (23) 는, RN (20) 이 이동 RN 인지 또는 고정 RN 인지 여부의 유형을 나타내는 유형 정보 (24) 를 제어기 (23) 자체 내에 (메모리, 레지스터 등에) 저장한다. 제어기 (23) 는 이 유형 정보 (24) 를 백홀 링크 통신기 (21) 를 통해 eNB (10) 에 통지한다. 다시 말하면, 이동 RN (20_1) 은, RN (20_1) 자체가 이동 RN 이라고 eNB (10) 에 통지한다. 한편, 고정 RN (20_2) 은, RN (20_2) 자체가 고정 RN 이라고 eNB (10) 에 통지한다.
다음으로,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동작 예가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RN (20) 은 미리결정된 타이밍에서 유형 정보 (24) 를 eNB (10) 에 통지한다 (단계 S11). 그 다음에, RN (20) 은 eNB (10) 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따라 그리고 유형 정보 (24) 에 따라 RN (20) 자체를 제어한다 (단계 S12).
유형 정보 (24) 를 통지하는 타이밍의 예들은 각종 타이밍들, 예컨대 RN 이 가동될 때, 셀의 형성 후에 RN 으로서의 동작들이 시작되기 전, 및 이들 동작들이 시작된 직후를 포함한다. 또한, RN 의 유형이 불변이기 때문에, 원칙적으로는 유형 정보 (24) 를 eNB 에 통지하는 것을 반복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이동 RN 이 그 DeNB 를 다음의 제 2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변경하는 경우에, 유형 정보 (24) 가 새로운 DeNB 에 통지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eNB (10) 는 RN (20) 으로부터 유형 정보 (24) 를 수신하고 (단계 S21), 그 다음에 유형 정보 (24) 로 나타난 유형에 따른 구성 및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RN (20) 에 대해 수행한다 (단계 S22). RN (20) 에 대한 구성 및 제어는 이동 RN 과 고정 RN 간에 서로 다르도록 수행될 수도 있으나, 다음의 예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고정 RN (20_2) 에 대한 구성 시에, eNB (10) 는 다운링크 백홀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참조 신호로서 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를 할당한다. DMRS 의 패턴으로서, 셀 (2) 내의 다른 고정 RN 에 대해 할당되는 패턴과는 다른 패턴이 사용된다.
따라서, 고정 RN (20_2) 를 향해 송신되는 다운링크 백홀 신호 (보다 구체적으로는, R-PDCCH (Relay-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및 R-PDSCH (Relay-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에 대해 빔포밍 또는 프리코딩 (precording) 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전술된 빔포밍 및 프리코딩 기술들은 단지 고정 RN 과 eNB 사이의 전파 채널들이 비교적 안정적이기 때문에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이동 RN 에 대해서는 빔포밍 및 프리코딩이 적합하지 않다. 이는, 일반적으로 이동 RN 이 전파 채널들에서의 넓은 변동들을 갖는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동 RN (20_1) 에 대한 구성 시에, eNB (10) 는 다운링크 백홀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참조 신호로서 CRS (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 를 할당한다. CRS 의 패턴은 셀 (2) 에 특정되고, 셀 (2) 내의 UE 및 다른 이동 RN 과 공유된다.
따라서, 이동 RN (20_1) 이 셀 (2) 내의 어디에 위치하든지 이동 RN (20_1) 은 다운링크 백홀 신호를 수신하고 정확하게 복조할 수 있다.
이동 RN 과 고정 RN 간의 서로 다른 제어의 예들은, 전파 채널들이 열악한 컨디션에 있을 수도 있는 이동 RN 에, 고정 RN 에 의해 사용된 것 보다 큰 전력을 사용하는 업링크 백홀 신호를 송신하도록, 그리고 업링크 백홀 신호의 생성을 위해 고정 RN 의 것보다 적은 수의 그 다중 레벨들 및 낮은 코딩 레이트에서 변조를 수행하도록 명령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RN 의 유형을 eNB 에 통지하는 것은 이동 RN 및 고정 RN 각각에 적합한 구성 및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동 RN 및 고정 RN 이 동일한 eNB 에 접속되는 환경 하에서도, 이동 RN 및 고정 RN 을 적절히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예시적인 실시형태]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 (1a) 은, 이 시스템 (1a) 이 2 개의 eNB 유닛들 (10_1 및 10_2) 및 이들 eNB 들 (10_1 및 10_2) 을 서로 접속시키는 기지국 제어 디바이스 (4) 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전술된 제 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도 1 에 나타낸 이동 통신 시스템 (1) 과 상이하다. 기지국 제어 디바이스 (4) 는 eNB 들 (10_1 및 10_2) 을 코어 네트워크 (5) 에 접속시키는 기능을 포함한다. eNB 들 (10_1 및 10_2) 과 기지국 제어 디바이스 (4) 간의 전파 채널들, 및 기지국 제어 디바이스 (4) 와 코어 네트워크 (5) 간의 전파 채널들은 유선 또는 무선 접속들일 수도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또한, eNB 들 (10_1 및 10_2) 각각은 코어 네트워크 (5) 에 접속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고, 기지국 제어 디바이스 (4) 는 코어 네트워크 (5) 를 통해 eNB 들 (10_1 및 10_2) 에 접속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이동 RN (20_1) 은 eNB (10_1) 에 의해 형성된 셀 (2_1) 내에 위치한다. 한편, 고정 RN (20_2) 은 eNB (10_2) 에 의해 형성된 셀 (2_2) 내에 배치된다. 또한, eNB (10_1) 는 셀 (2_1) 내에 위치한 UE (30_3) 와의 무선 통신을 실시한다. 또한, eNB (10_2) 는 셀 (2_2) 내에 위치한 UE (30_4) 와의 무선 통신을 실시한다.
다음으로,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동작 예가 도 6 내지 도 8 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eNB (10_1) 는 전술된 제 1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이 도 4 에 나타낸 전술된 단계들 S21 및 S22 를 실생하고, 이에 의해 이동 RN (20_1) 에 대한 구성 및 제어를 수행한다.
그러나, 전술된 제 1 예시적인 실시형태와 달리, eNB (10_1) 는, 이동 RN (20_1) 에 대한 구성 및 제어 후에 유형 정보 (24) 가 이동 RN 을 나타내는지 아닌지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 S23).
결과적으로, "유형=이동 RN" 이 만족되면, eNB (10_1) 는 전술된 구성 및 제어에 대한 정보 (이하, "구성/제어 정보" 로 지칭됨) 를 기지국 제어 디바이스 (4) 를 통해 인접 eNB (10_2) 에 통지한다 (단계 S24). 구체적으로, eNB (10_1) 는 이 구성/제어 정보를 기지국 제어 디바이스 (4) 에 통지한다. 이 때, 기지국 제어 디바이스 (4) 는 eNB 들의 배치 등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고, 이에 의해 eNB (10_2) 를 eNB (10_1) 에 인접한 것으로서 지정한다. 그 다음에, 기지국 제어 디바이스 (4) 는 구성/제어 정보를 eNB (10_2) 로 전송한다. 2 개 이상의 eNB 들이 eNB (10_1) 에 인접하는 경우에서, 기지국 제어 디바이스 (4) 는 구성/제어 정보를 모든 인접 eNB 들로 전송할 수도 있다.
구성/제어 정보는 이동 RN (20_1) 에 실제로 명령된 각종 파라미터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이 구성/제어 정보의 내용들에 특정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구성/제어 정보는 셀 ID,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타이밍들, 전파 채널들의 품질에 대한 정보, 수용된 교통량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이동 RN (20_1) 에 대한 구성/제어 정보는 인접 eNB (10_2) 에 사전에 통지된다. 따라서, 이동 RN (20_1) 이 도 7 의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eNB (10_2) 의 셀 (2_2) 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이동 RN (20_1) 은 그 자체의 셀 (3_1) 을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UE (30_1) 를 수용하면서, UE (30_1) 와의 통신의 임의의 접속해제를 야기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RN (20_1) 은 새로운 UE (30_4) 를 즉시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다시 셀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동 RN (20_1) 에 대한 처리 부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이동 RN (20_1) 에 대한 구성 및 제어의 수행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eNB (10_2) 에 대한 처리 부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동 RN (20_1) 은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작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RN (20_1) 은 도 3 에 나타낸 전술된 단계들 S11 및 S12 를 실행하고, 이에 의해 RN 으로서의 동작을 시작한다. 한편, 이동 RN (20_1) 은, RN (20_1) 자체가 인접 eNB (10_2) 로 이동한 것을 검출하는 경우 (단계 S13), 이동 RN (20_1) 은 유형 정보 (24) 를 인접 eNB (10_2) 에 통지한다 (단계 S14). 이동 RN (20_1), 은 통상적인 UE 와 같이, CRS 및 방송 정보의 변화에 기초하여 인접 eNB (10_2) 로의 이동을 쉽게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eNB (10_2) 는, eNB (10_1) 와 같이 이동 RN (20_1) 에 대한 구성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eNB 들 간의 구성/제어 정보의 통지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기지국 제어 디바이스 (4) 와 eNB 들 (10_1 및 10_2) 간의교통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형태 및 상세들에서의 각종 변경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서 설명된 RN (20) 의 각각의 프로세스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그램은 임의의 유형의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이용하는 컴퓨터에 저장 및 제공될 수 있다.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임의의 유형의 유형적인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예들은, 자기 저장 매체 (예컨대, 플로피 디스크,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 광 자기 저장 매체 (예를 들어, 광학 자기 디스크), CD-ROM (Read Only Memory), CD-R, CD-R/W, 및 반도체 메모리 (예를 들어, 마스크 ROM, PROM (Programmable ROM), EPROM (Erasable PROM), 플래시 ROM, RAM (Random Access Memory)) 를 포함한다. 프로그램은, 임의의 유형의 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이용하는 컴퓨터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예는, 전기 신호, 광 신호, 및 전자파를 포함한다. 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유선 통신 라인, 예컨대 전선 및 광 섬유 등을 통해, 또는 무선 통신 라인을 통해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제공할 수 있다.
이 출원은, 2010 년 4 월 27 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10-102344 호를 기초로 하고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개시물은 참조로서 그 전체가 본원에 포함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 중계국, 및 중계국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적용될 수 있고, 특히 중계국에 대한 구성 및 제어를 수행하는 목적에 적용된다.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의 전체 또는 일부는 다음의 부기와 같이 설명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부기 1)
지기국과 이동국 사이에서 무선 중계를 실시하는 중계국으로 하여금,
이 중계국이 이동 가능한 중계국인지 아닌지 여부의 유형을 나타내는 유형 정보를 기지국에 통지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하는 제어 프로그램.
(부기 2)
중계국으로 하여금 또한,
기지국으로부터의, 유형에 따라 결정되는 명령에 따라 중계국을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하는 부기 1 에 따른 프로그램.
(부기 3)
중계국으로 하여금 또한,
중계국이 이동 가능한 중계국이고, 이 중계국이 상이한 기지국에 의해 형성된 셀로 이동한다는 것이 검출되는 경우, 상이한 기지국에 유형 정보를 통지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하는 부기 1 또는 부기 2 에 따른 프로그램.
1, 1a  이동 통신 시스템
2, 2_1, 2_2, 3_1, 3_2 셀
4  기지국 제어 디바이스
5  코어 네트워크
10, 10_1, 10_2 eNB
20  RN
20_1  이동 RN
20_2  고정 RN
21  백홀 링크 통신기
22  액세스 링크 통신기
23  제어기
24  유형 정보
30, 30_1 - 30_4 UE

Claims (2)

  1.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1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서 무선 중계를 실시하는 중계국을 포함하고,
    상기 중계국은, 상기 중계국 자체가 이동 가능한 중계국인지 아닌지 여부의 유형을 나타내는 유형 정보를 상기 제 1 기지국에 통지하며,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기 중계국에 대해 상기 유형에 따른 구성 (configuration) 및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고,
    상기 유형이 상기 이동 가능한 중계국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기 구성 시에 상기 중계국으로 하여금 상기 제 1 기지국 자체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복조하게 하는 참조 신호로서 상기 제 1 기지국 자체에 의해 형성된 셀에 특정된 참조 신호를 할당하며,
    상기 유형이 상기 이동 가능한 중계국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기 구성 시에 상기 중계국으로 하여금 상기 제 1 기지국 자체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복조하게 하는 참조 신호로서 상기 중계국에 특정된 참조 신호를 할당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 기지국; 및
    상기 제 1 및 제 2 기지국들을 접속시키는 상위 계층 제어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형이 상기 이동 가능한 중계국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기 구성 및 제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기지국에 통지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KR1020147027251A 2010-04-27 2011-02-09 이동 통신 시스템 KR1016517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02344 2010-04-27
JP2010102344 2010-04-27
PCT/JP2011/000731 WO2011135764A1 (ja) 2010-04-27 2011-02-09 移動通信システム、中継局、並びに中継局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7306A Division KR101651717B1 (ko) 2010-04-27 2011-02-09 이동 통신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0655A Division KR20150093859A (ko) 2010-04-27 2011-02-09 이동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603A true KR20140123603A (ko) 2014-10-22
KR101651765B1 KR101651765B1 (ko) 2016-08-26

Family

ID=4486109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0655A KR20150093859A (ko) 2010-04-27 2011-02-09 이동 통신 시스템
KR1020147027251A KR101651765B1 (ko) 2010-04-27 2011-02-09 이동 통신 시스템
KR1020127027306A KR101651717B1 (ko) 2010-04-27 2011-02-09 이동 통신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0655A KR20150093859A (ko) 2010-04-27 2011-02-09 이동 통신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7306A KR101651717B1 (ko) 2010-04-27 2011-02-09 이동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07985B2 (ko)
EP (1) EP2566278B1 (ko)
JP (1) JP5678957B2 (ko)
KR (3) KR20150093859A (ko)
CN (1) CN102870491B (ko)
WO (1) WO20111357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114079D0 (en) * 2011-06-13 2011-09-28 Neul Ltd Mobile base station
JP5784460B2 (ja) * 2011-11-07 2015-09-24 シャープ株式会社 リレー局装置、基地局装置、通信システム、リレータイプ通知方法および集積回路
GB2497078A (en) * 2011-11-24 2013-06-05 Sharp Kk Mobile relay handover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WO2013125226A1 (en) * 2012-02-24 2013-08-29 Nec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3313233B (zh) * 2012-03-08 2017-03-2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传输网关地址的方法、装置及系统
CN103326770B (zh) * 2012-03-19 2016-04-06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支持移动中继站和固定中继站共存的方法和相应的设备
GB2504756A (en) * 2012-08-09 2014-02-12 Sharp Kk Changing the Physical Cell Identifier of a Mobile Relay Node to prevent PCI collisions
US10771166B1 (en) * 2019-05-20 2020-09-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relay arrange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2243A (ko) * 2005-10-18 2007-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릴레이 스테이션의 보안 제공 방법
KR20080109857A (ko) * 2006-04-19 2008-12-17 노키아 코포레이션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중계국에 대한 핸드오버 또는 위치 갱신 최적화 방법
US20080316968A1 (en) * 2007-03-05 2008-12-25 Kabushiki Kaisha Toshiba Fast relay station handover
JP2009100338A (ja) * 2007-10-18 2009-05-07 Fujitsu Ltd 通信制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8987B2 (ja) 1999-06-15 2011-03-09 株式会社キーエンス 拡大観察装置及び拡大観察方法
US7986915B1 (en) * 2006-02-24 2011-07-26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a wireless multi-hop relay network
US7822384B2 (en) * 2006-10-12 2010-10-2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mobile ad hoc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s and related devices
CN101287268B (zh) * 2007-04-13 2012-05-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中继站连接关系更新的方法
EP2449847B1 (en) * 2009-06-29 2017-07-26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utilising protocols
GB0917069D0 (en) * 2009-09-29 2009-11-11 Nokia Siemens Networks Oy A method and apparatus
EP2545744B1 (en) * 2010-03-12 2016-05-1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Relay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US9265033B2 (en) * 2011-03-11 2016-02-1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eiving downlink sig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ame, and device for receiving same and device for transmitting same
US20130343477A9 (en) * 2011-11-04 2013-12-26 Research In Motion Limited PUSCH Reference Signal Design for High Doppler Frequenc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2243A (ko) * 2005-10-18 2007-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릴레이 스테이션의 보안 제공 방법
KR20080109857A (ko) * 2006-04-19 2008-12-17 노키아 코포레이션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중계국에 대한 핸드오버 또는 위치 갱신 최적화 방법
US20080316968A1 (en) * 2007-03-05 2008-12-25 Kabushiki Kaisha Toshiba Fast relay station handover
JP2009100338A (ja) * 2007-10-18 2009-05-07 Fujitsu Ltd 通信制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1135764A1 (ja) 2013-07-18
JP5678957B2 (ja) 2015-03-04
WO2011135764A1 (ja) 2011-11-03
EP2566278B1 (en) 2018-12-26
US20130021963A1 (en) 2013-01-24
KR20150093859A (ko) 2015-08-18
KR20130004921A (ko) 2013-01-14
KR101651717B1 (ko) 2016-08-26
KR101651765B1 (ko) 2016-08-26
EP2566278A1 (en) 2013-03-06
CN102870491A (zh) 2013-01-09
US9007985B2 (en) 2015-04-14
CN102870491B (zh) 2015-07-15
EP2566278A4 (en) 2016-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765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JP5852719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5693744B2 (ja) 中継システムにおけるダウンリンクチャネル測定指示方法および装置とダウンリンクチャネル測定実行方法および装置
EP2487979B1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relay node
US9425914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lay deployment in a TDD communication network
US10136378B2 (en) Relay station apparat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lay station
US8548486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relay st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for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0130272190A1 (en) Dynamic Configuration of Relay Nodes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WO2011114729A1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2022511267A (ja) 通信のための方法、デバイス及びプログラム
US9577740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EP2422545B1 (en) Partitioning resources on a target side of a handover of a user equipment based on data traffic indication
US20130064117A1 (en) Relay node simulator and test method
US20130201903A1 (en) Connection method and radio base station
KR101400715B1 (ko) 협력 전송 기법 및 네트워크 코딩 전송 기법을 이용한 통신장치 및 그 방법
US9253708B2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relay node, and wireless base station
KR20110082043A (ko) 채널 리소스를 재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시스템, 및 장치
JP5803942B2 (ja) 無線中継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中継装置の制御方法
IL225062A (en) Relay station, base station and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3056944B (zh) 用于通信的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TWI387262B (zh) 用於一多躍式無線網路之中央控制裝置、訊號傳輸裝置、訊號轉發裝置及其傳輸方法
KR101090543B1 (ko) 이동 통신 중계기의 접근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7014863A (zh) Ue到网络中继场景中的网络共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729

Effective date: 201605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