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3093A - 사이클론 언더플로우에서 미세 물질을 저감시킨 하이드로사이클론 - Google Patents

사이클론 언더플로우에서 미세 물질을 저감시킨 하이드로사이클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3093A
KR20140123093A KR1020147025174A KR20147025174A KR20140123093A KR 20140123093 A KR20140123093 A KR 20140123093A KR 1020147025174 A KR1020147025174 A KR 1020147025174A KR 20147025174 A KR20147025174 A KR 20147025174A KR 20140123093 A KR20140123093 A KR 20140123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cyclone
barrier fluid
inlet
flow
feed slur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5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첼 크라머
Original Assignee
안드리츠 에너지 앤드 인바이런먼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드리츠 에너지 앤드 인바이런먼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안드리츠 에너지 앤드 인바이런먼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123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0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02Construction of inlets by which the vortex flow is generated, e.g. tangential admission, the fluid flow being forced to follow a downward path by spirally wound bulkheads, or with slightly downwardly-directed tangential admission
    • B04C5/04Tangential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01D45/16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generated by the winding course of the gas stream, the centrifugal forces being generated solely or partly by mechanical means, e.g. fixed swirl v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08Vortex chamber constructions
    • B04C5/081Shapes or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14Construction of the underflow ducting; Apex constructions; Discharge arrangements ; discharge through sidewall provided with a few slits or perforations
    • B04C5/18Construction of the underflow ducting; Apex constructions; Discharge arrangements ; discharge through sidewall provided with a few slits or perforations with auxiliary fluid assist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04C2009/008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with injection or suction of gas or liquid into the cycl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08Vortex chamber constructions
    • B04C5/103Bodies or members, e.g. bulkheads, guides, in the vortex cham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ometry (AREA)
  • Cyclones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 슬러리(6)를 위한 접선방향 유입구(4)를 갖는 유입 영역(2), 이 유입 영역(2)에 인접하고 분리 영역(3), 및 중량 물질 또는 조대 입자의 배출을 위한 언더플로우 노즐(8)을 포함하는 분리 영역(3)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사이클론(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리어 유체 유동(7)의 공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유입구(5)가 접선방향 유입구(4)의 영역에 제공되며, 상기 배리어 유체 유동(7) 및 공급 슬러리(6)는 적어도 하이드로사이클론(1)의 상부 영역에서 박판(10)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사이클론(1)을 작동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이클론 언더플로우에서 미세 물질을 저감시킨 하이드로사이클론{HYDROCYCLONE WITH FINE MATERIAL REDUCTION IN THE CYCLONE UNDERFLOW}
본 발명의 대상은 공급 슬러리(feed slurry)를 위한 접선방향 유입구를 갖는 유입 영역, 및 이 유입 영역에 이어지고 중량 물질, 조대 물질 또는 조대 입자의 배출을 위한 언더플로우 노즐을 구비하는 분리 영역을 구비하는 하이드로사이클론(hydrocyclone)이다. 본 발명의 대상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사이클론을 작동하는 방법이다.
하이드로사이클론은 현탁액(suspension) 또는 혼합물을 위한 원심분리장치이다. 이것에 의해서, 주로 고체 입자가 분리 또는 선별된다. 마찬가지로, 그것에 의해 예를 들어 오일/물 혼합물과 같은 에멀젼(emulsion)이 분리될 수 있다. 하이드로사이클론은 습식 연도 가스 정화 플랜트에서 석고 탈수하는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경우에, 흡수기(absorber)로부터 빼낸 현탁액은 하나 이상의 하이드로사이클론에 의해 부분적으로 탈수되고, 그 후에 밴드 필터 상을 통과하거나 원심 분리기 내를 통과한다. 이러한 방법의 결과로, 석고는 잔류 수분이 거의 10% 미만으로 되고, 그 다음에 반출될 수 있다.
종래의 하이드로사이클론은 통상 접선방향 유입구(유입구 노즐) 및 언더플로우 노즐 또는 아펙스 노즐(apex nozzle)을 갖는 인접하는 원추형 세그먼트를 갖는 원통형 세그먼트로 구성된다. 와류 파인더(vortex finder) 또는 오버플로우 노즐(overflow nozzle)은 침지관의 형태로 상방으로부터 사이클론의 내부로 축방향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버플로우 또는 상부 유동은 특정의 경량 및/또는 미세립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언더플로우는 특정의 중량 및/또는 조대립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버플로우는 반드시 "상부에서" 또는 유입 영역에서 하이드로사이클론을 빠져나갈 필요는 없다. 예시적인 실시예로서는, 하이드로사이클론이 병류 원리(cocurrent principle)로 작동하는 것, 즉 언더플로우 및 오버플로우가 하이드로사이클론을 동일한 방향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구상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지시 용어 "상부(top)" 및 "하부(bottom)"는 유입류 및 언더플로우와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하이드로사이클론의 실제 위치는 가능한 한 이와 무관하고, 그에 따라 심지어 수평으로 장착된 하이드로사이클론이 흔히 사용된다.
역류 원리(countercurrent principle)의 하이드로사이클론에 있어서, 액체는 접선방향 유입구를 통해 원형 경로를 따라 원통형 세그먼트 내로 강제되고, 하향 와류로 하방으로 유동한다. 원추형 세그먼트의 테이퍼에 의해, 내측으로의 체적 변이 및 가속이 생기고, 원추부의 하측 영역에서 축적(build-up)이 생긴다. 이것은 오버플로우 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내부의 상방 와류의 형성을 야기한다. 사이클론의 벽 상에 특정의 중량 부분(예를 들면, 고형물, 조대 물질, 조대 입자)을 분리하여, 언더플로우 노즐을 통해 배출하는 반면, 특정의 경량 또는 미세립 부분을 오버플로우 노즐을 통해 방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리 및 선별 작용의 기본적인 원리는 원심력 및 유동력의 상호작용에 의해 설명된다. 원심력은 대형의 특정 중량 입자(조대 물질)에 보다 큰 범위에 걸쳐서 작용하고, 그에 따라 이들 입자가 사이클론 벽으로 외측으로 분리되는 반면, 소형의 경량 입자의 경우에는, 보다 큰 비표면적으로 인해 이러한 입자에 작용하는 유동력(저항력)이 중대한 것이다.
종래의 하이드로사이클론에 있어서, 유입류 내의 미세 입자의 균일한 분산은 오버플로우와 언더플로우 사이의 체적 유량의 분배에 따른 입자 사이즈 등급의 분배를 보장한다. 이것은 미세 물질이 보통은 언더플로우/유입류 체적 분리(체적 유량)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조대 물질과 분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종래의 하이드로사이클론은, 통상적으로, 그 밀도가 유체와 유사하거나 그 입자 사이즈가 작은(< 5㎛) 분산상을 언더플로우로부터 저감시키지 못하고 있다.
최근에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DE102009057079A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개발이 한 단계 더 나아가 순수 유체로부터 세정 유동을 유도함으로써, 언더플로우로부터 미세립 부분을 분리하고자 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세정 수류는 통상 사이클론의 하측 영역 또는 원추부에 접선방향으로 도입된다. 이러한 희석의 결과로, 조대 물질 배출물, 즉 언더플로우에서의 미세 물질 농도가 저감된다. 이러한 경우의 단점은 도입된 액체 및 그에 수반된 난류가 이미 분리된 중량 부분을 코어 유동 내로 다시 씻어낸다는 것이다. 이것은 오버플로우의 순도를 감소시킨다. 이러한 단점 때문에, 언더플로우에서의 미세 물질의 저감은 제한된 범위에서만, 주로 추가로 도입된 수류에 대응하는 범위에서만 실행될 수 있다. 특허문헌 EP 1 069 234 B1은 아펙스 노즐 내의 중앙에 배치된 유입관을 통해 희석 액체를 직접 코어 유동 내로 추가하는 것을 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언더플로우 내의 미세 물질 또는 미세 입자 및 오버플로우 내의 조대 물질 또는 조대 입자의 부적절한 배출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분리성을 향상시킨 하이드로사이클론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유입류 내의 체적 농도에 비해 언더플로우에서 미세 물질이 감소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물 또는 다른 유체의 배리어층을 도입함으로써, 순수상(pure phase)이 이용가능해지고, 이에 의해 조대 물질이 침전해야 하는 반면, 미세립 부분이 대부분 원 스트림에서 뒤에 남는 하이드로사이클론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배리어 유체의 공급은 현탁액 공급과 무관하게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유입구를 통해 이루어진다. 배리어 유체 스트림은 박판(lamella)에 의해 현탁액 또는 공급 슬러리로부터 분리되어, 원통형 세그먼트 내에 도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박판은 입구 영역에서의 혼합을 방지하는 일, 및 안정한 프로파일이 형성된 후에만 유동층의 접촉을 허용하는 일을 담당한다.
원추형 영역에의 배리어층의 공급이 또한 구상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사이클론 직경의 단차형 확대부가 제공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배리어 수류는 현탁액의 어떠한 변위 없이 도입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하이드로사이클론 벽은 또한 동시에 박판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은, 관례적으로 어떠한 농축 없이 침전 경로에 걸쳐서 진정한 입자 분리를 달성하기 위해서, 주 유동과 상호작용을 하지 않거나 미미한 상호작용만을 하는 침전 보조층(배리어 유체 유동)의 형성에 의해 가능한 한 규정된 침전 조건을 얻는 것이다.
미세립 부분(미세 물질)은 코어 유동 내에 대부분 남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배리어 유체 유동은 고리 형태로 공급 슬러리를 둘러싼다. 그러므로, 미세 물질 또는 미세 입자는 유입류에서의 체적 농도에 비해(심지어 투여된 배리어 유체량 또는 배리어 수량을 고려하더라도), 언더플로우에서 감소되거나 이상적으로는 완전 분리된다. 배리어 유체 스트림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 영역에 접선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안정한 원형 배리어 유체 유동이 사이클론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박판은 본래 원통형 또는 원추형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경우에, 이 박판은 유입 영역 또는 원통형 세그먼트에 있어서 배리어 유체 유동의 유입 영역으로부터 분리 영역 또는 원추형 세그먼트에의 전이부까지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원추형 영역에서 고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안정한 원형 유동이 배리어 유체층 및 공급 슬러리 모두 내에 형성될 수 있게 하기에 충분한 시간이 유지된다.
박판이 하단부에서 끝이 점점 가늘어지거나 가능한 한 얇게 제조되는 경우, 배리어 유체 스트림 및 공급 슬러리가 가능한 한 와류 없이 혼합될 수 있게 하는데 유리하다. 2개의 유동은 또한 가능한 한 서로 분리될 때까지 박판 아래로 더 유동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는, 공급 슬러리의 유동 방향에서 보아 박판의 하류측에 유동 분리기가 배치되며, 이러한 유동 분리기에 의해 혼합된 배리어 유체 스트림 및 공급 슬러리가 다시 서로 분리된다. 이미 분리된 층의 이후 혼합은 유동 분리기에 의해 저감되거나 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박판과 유동 분리기 사이의 거리는 조정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분리하는 입자 사이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유동 분리기를 사용함으로써, 배리어 유체 스트림이 언더플로우, 즉 중량 또는 조대 물질이 풍부한 부분을 형성하고, 중량 물질이 없는 공급 슬러리가 오버플로우를 형성하는 하이드로사이클론의 일 실시예를 구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경우에, 언더플로우 및 오버플로우가 하이드로사이클론으로부터 하방으로 배출되는 것을 생각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하이드로사이클론은 병류 원리로 작동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하이드로사이클론이 본질적으로 원통형 구성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박판은 또한 공급 슬러리와 배리어 유체 유동 사이의 연결부를 형성하는 보상 오리피스(compensating orifice)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2개의 층이 서로 만나기 전에 배리어 유체와 현탁액 사이의 압력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적으로, 이러한 경우에, 배리어 유체에는 현탁액보다 다소 높은 압력이 항상 작용한다.
추가의 세정수 또는 희석수가 언더플로우 영역에 도입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언더플로우에서의 미세 물질 또는 미세 입자의 추가적인 저감이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생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펙스의 영역에 있어서, 수류는 분리된 층의 재소용돌이 또는 완전한 혼합을 최소화하기 위해 와류에 축방향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대상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사이클론을 작동하는 방법이며, 배리어 유체 스트림 및 공급 슬러리는 안정화되자마자 하이드로사이클론 내에서 함께 더 안내된다.
이러한 경우에, 배리어 유체 유동 및 공급 슬러리 유동은 혼합된 후에 유동 분리기에 의해 다시 분리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분리된 유동은 하이드로사이클론으로부터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언더플로우 및 오버플로우는 하이드로사이클론을 동일한 방향으로 빠져나간다.
바람직하게, 세정수 또는 희석수는 예를 들어 언더플로우 노즐 내의 중앙에 배치된 유입관을 통해 언더플로우 노즐의 영역에 주입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사이클론이 4개의 도면에 의해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사이클론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통한 개략적인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사이클론을 통한 유입 영역에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사이클론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통한 개략적인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유동 분리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사이클론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통한 개략적인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유동 분리기를 갖는 하이드로사이클론의 상세를 도시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각 경우에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시한다.
원통형 유입 영역 및 원추형 분리 영역을 갖는 하이드로사이클론이 하기에서 예시로서 다루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원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수한 원통형 또는 순수한 원추형인 원심 분리기 또는 사이클론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사이클론(1)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 하이드로사이클론(1)은 유입 영역(2) 및 이 유입 영역에 인접하는 분리 영역(3)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유입 영역(2)은 원통형 형태를 갖고, 분리 영역(3)은 원추형 형태를 갖는다. 공급 슬러리(6)는 접선방향 유입구(4)를 통해 하이드로사이클론(1)에 공급된다. 공급 슬러리(6)는 예를 들어 석고 현탁액일 수 있다. 분리 영역(3)은 조대 물질 또는 조대 입자의 배출을 위한 언더플로우 노즐(8)을 구비한다. 특정의 경량 또는 미세립 부분은 하이드로사이클론(1)의 내부로 침지관의 형태로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오버플로우 노즐(9)을 통해 오버플로우(12)로서 배출될 수 있다. 접선방향 유입구(4)에 부가하여, 하이드로사이클론(1)은 또한 여기서는 마찬가지로 접선방향으로 유입 영역(2)에 공급되는 배리어 유체 스트림(7)을 위한 추가의 유입구(5)(도 2에 도시됨)를 갖는다. 배리어 유체(7)는 예를 들어 물, 알코올 또는 오일이다. 배리어 유체 스트림(7) 및 공급 슬러리(6)는 하이드로사이클론(1)에 공급되어 분리되고, 박판(10)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박판(10)은 예를 들어 금속으로 제조된 원통형의 벽이 얇은 구성요소이다. 순수한 배리어 유체 유동(7)은 박판(10)의 하단부(13)에서 사실상의 현탁액 유동(공급 슬러리(6))과 만난다. 이것은 배리어 유체(7)의 유동 및 공급 슬러리(6)의 유동이 안정한 형태가 되자마자 일어난다.
2개의 체적 유동(6, 7)이 혼합된 후에, 배리어층(7)을 통한 중량 부분(조대 물질)의 침전 이동이 개시된다. 이것에 의해, 언더플로우(11)에서의 미세 물질이 감소된다. 원추형 분리 영역(3)에서의 유동 경로는 종래의 하이드로사이클론에서와 같이 이루어진다.
박판(10)은, 여기서는 공급 슬러리(6)와 배리어 유체 유동(7) 사이의 연결부를 형성하는 보상 오리피스(17)를 구비하며, 그에 따라 배리어 유체(7)와 현탁액(6) 사이의 압력 보상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상 구멍은 또한 유입구(5)의 영역 내에 구상될 수도 있다.
유동 화살표는 배리어 유체 유동(7) 및 공급 슬러리(6)가 가능한 한 적게 서로 혼합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에 따라, 배리어 유체 유동(7)은 원추형 분리 영역(3)의 벽에 대해 배리어 유체층(7)을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세정수 또는 희석수(15)는 분리 영역(3) 또는 언더플로우 영역에 추가적으로 도입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언더플로우(11)에서의 미세 물질의 체적비는 더욱 감소될 수 있다.
오버플로우 노즐(9)의 입구 오리피스(14)는, 여기서는 박판(10)의 단부(13) 아래의 영역에서 종단된다. 배리어 유체 유동(7) 및 공급 슬러리(6)의 각 체적비에 따라서, 중량 부분(조대 물질)의 분리는 거의 뚜렷하게 규정될 것이다.
도 2는 유입구의 영역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사이클론(1)을 통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는 것은 공급 슬러리(6)를 위한 접선방향 유입구(4) 및 배리어 유체층(7)을 위한 접선방향 유입구(5)이다. 이러한 2개의 유입구(4, 5)는 여기서는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유입 영역(2) 내로 인도된다.
도 3은 하이드로사이클론(1)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하이드로사이클론(1)의 원추형 분리 영역(3)은 단차형 확대부를 구비하며, 이러한 단차형 확대부를 통해 배리어 유체(7)가 투여된다. 이러한 경우에, 공급 슬러리(6) 및 배리어 유체(7)는, 여기서는 동시에 사이클론 하우징(18)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박판(10)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박판(10)은 여기서는 원추형으로 형성된다. 배리어 유체 스트림(7)은 하이드로사이클론(1)에 접선방향으로 공급된다.
도 4는 세정수 또는 희석수(15)가 언더플로우 노즐(8) 내로 돌출하는 유입관(16)을 통해 투여되는 하이드로사이클론(1)을 도시한다. 유입관(16)은 언더플로우 노즐(8) 내의 중앙에 배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사이클론(1)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에, 유동 분리기(19)는 박판(10) 아래에 배치된다. 박판(10)은 여기서는 하이드로사이클론 벽(18)에 의해 형성되지만,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설계될 수도 있다. 배리어 유체 스트림(7)은 유동 분리기(19)에 의해 공급 슬러리(6)로부터 다시 분리되며, 그에 따라 침전 갭(22)을 통해 배리어 유체 스트림(7) 내로 침전한 조대 물질이 공급 슬러리(6) 내로 다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조대 물질이 풍부한 배리어 유체 유동(7)은 유동 분리기(19)와 외측 벽(20) 사이에서 하이드로사이클론(1)으로부터 하방으로 유동하며, 그에 따라 언더플로우(11)를 형성한다. 조대 물질이 없는 공급 슬러리(6)는 오버플로우(12)로서 하이드로사이클론(1)으로부터 상방으로 유동한다. 침전 갭(22)은 바람직하게 조정가능하며, 이에 의해 분리하는 입자 사이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 6은 유동 분리기(19)를 갖는 하이드로사이클론(1)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박판(10), 침전 갭(22) 및 유동 분리기(19)를 도시한다. 이러한 하이드로사이클론(1)은 병류 원리로 작동한다. 이러한 경우에, 조대 물질(21)이 없는 공급 슬러리(6), 즉 오버플로우(12')는 조대 물질(21)이 풍부한 언더플로우(11)와 동일한 방식으로 하이드로사이클론(1)을 하방으로 빠져나간다. 병류 원리로 작동하는 이러한 하이드로사이클론(1)(오버플로우(12') 및 언더플로우(11)가 동일한 방향으로 배출됨)은 바람직하게 원통형 구성을 갖는데, 이것은 유동 관련 이점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낼 뿐이다.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복수의 추가의 유입구(5)가 배리어 유체 스트림(7)을 위해 제공되는 다른 실시예를 포함한다. 이러한 하이드로사이클론에서는, 배리어 유체가 복수의 단계로 투여될 것이다.

Claims (15)

  1. 공급 슬러리(6)를 위한 접선방향 유입구(4)를 갖는 유입 영역(2), 및 상기 유입 영역(2)에 이어지고 중량 물질 또는 조대 입자의 배출을 위한 언더플로우 노즐(8)을 구비하는 추가의 분리 영역(3)을 구비하는 하이드로사이클론(1)에 있어서,
    배리어 유체 스트림(7)의 공급을 위한 추가의 유입구(5)가 제공되며, 상기 배리어 유체(7) 및 공급 슬러리(6)는 상기 하이드로사이클론(1) 내에서 혼합가능하며, 또한 상기 배리어 유체(7) 및 공급 슬러리(6)는 혼합되기 전에, 박판(10)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사이클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유체 스트림(7)은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유입구(5)를 통해 유입 영역(2)에 접선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사이클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5)는 배리어 유체 스트림(7)을 분리 영역(3)에 접선방향으로 공급하고, 상기 하이드로사이클론(1)에서는 단차형 확대부가 혼합 지점에 제공되고, 그에 따라 하이드로사이클론 벽(18)이 상기 박판(1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사이클론.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10)은 분리 영역(3) 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사이클론.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슬러리(6)의 유동 방향에서 보아 상기 박판(10) 이후에 유동 분리기(19)가 배치되며, 상기 유동 분리기에 의해 혼합된 배리어 유체 스트림(7) 및 공급 슬러리(6)가 다시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사이클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10)과 상기 유동 분리기(19) 사이의 거리는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사이클론.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유체 스트림(7)은 언더플로우(11)를 형성하고, 중량 물질이 없는 공급 슬러리(6)는 오버플로우(12, 1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사이클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플로우(11) 및 상기 오버플로우(12')는 상기 하이드로사이클론(1)으로부터 하방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사이클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사이클론(1)은 본래 원통형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사이클론.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영역(3) 또는 언더플로우 영역에는 추가의 세정수 또는 희석수(15)가 도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사이클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세정수 또는 희석수(15)는 언더플로우 노즐(8) 내로 돌출하는 유입관(16)을 통해 공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사이클론.
  12.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하이드로사이클론(1)을 작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유체 스트림(7) 및 상기 공급 슬러리(6)는 배리어 유체 유동(7) 및 공급 슬러리 유동(6)이 안정화되자마자 상기 하이드로사이클론(1) 내에서 함께 더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사이클론 작동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유체 유동(7) 및 상기 공급 슬러리 유동(6)은 혼합된 후에 유동 분리기(19)에 의해 다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사이클론 작동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2개의 분리된 유동(11, 12')은 하이드로사이클론(1)으로부터 하방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사이클론 작동 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플로우 노즐(8)에는 세정수 또는 희석수(15)가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사이클론 작동 방법.
KR1020147025174A 2012-02-10 2013-02-08 사이클론 언더플로우에서 미세 물질을 저감시킨 하이드로사이클론 KR201401230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177/2012 2012-02-10
ATA177/2012A AT511837B1 (de) 2012-02-10 2012-02-10 Hydrozyklon mit feinstoffabreicherung im zyklonunterlauf
PCT/EP2013/000380 WO2013117342A1 (de) 2012-02-10 2013-02-08 Hydrozyklon mit feinstoffabreicherung im zyklonunterlau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093A true KR20140123093A (ko) 2014-10-21

Family

ID=47754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5174A KR20140123093A (ko) 2012-02-10 2013-02-08 사이클론 언더플로우에서 미세 물질을 저감시킨 하이드로사이클론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150040761A1 (ko)
EP (1) EP2812121B1 (ko)
JP (1) JP6031124B2 (ko)
KR (1) KR20140123093A (ko)
CN (1) CN104105548B (ko)
AR (1) AR089943A1 (ko)
AT (1) AT511837B1 (ko)
AU (1) AU2013218344A1 (ko)
CA (1) CA2864034C (ko)
CL (1) CL2014002074A1 (ko)
IN (1) IN2014DN07470A (ko)
PL (1) PL2812121T3 (ko)
RS (1) RS60391B1 (ko)
WO (1) WO2013117342A1 (ko)
ZA (1) ZA2014059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7832A1 (en) * 2012-11-16 2014-05-22 Corning Incorporated Integrated cyclone separation device
US9616431B2 (en) 2013-02-25 2017-04-11 Sable Sand Solutions Inc. Sand separator
AT516734B1 (de) 2015-04-15 2016-08-15 Andritz Ag Maschf Verfahren zur Quecksilberabtrennung aus Wäschersuspensionen
AT516856B1 (de) * 2015-08-21 2016-09-15 Andritz Ag Maschf Hydrozyklon mit Feinstoffabreicherung im Zyklonunterlauf
CN106118775A (zh) * 2016-06-29 2016-11-16 长春汽车燃气发展有限公司 一种天然气脱水装置
CN107243419B (zh) * 2016-11-22 2023-09-26 询莱流体技术(上海)有限公司 一种旋风分离器
PL3417944T3 (pl) * 2017-06-22 2020-11-16 Metso Minerals Industries, Inc. Separator hydrocyklonowy
CN109395519B (zh) * 2018-11-28 2023-05-23 兰州大学 车载移动式城市空气净化装置
FI128719B (en) * 2019-05-02 2020-10-30 Andritz Oy Vortex cleaner reject chamber and vortex cleaner
CN110038355B (zh) * 2019-05-10 2023-09-08 潍坊智滤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装置、系统及应用
JP7039666B1 (ja) 2020-09-16 2022-03-22 リックス株式会社 スラリ回収装置
CN113090245B (zh) * 2021-04-19 2022-06-07 华东理工大学 一种天然气水合物井下旋流排序分离装置及方法
CN113273540B (zh) * 2021-06-11 2024-01-16 广州创领水产科技有限公司 一种池塘循环水处理器及使用方法
CN113856337A (zh) * 2021-11-03 2021-12-31 沧州万润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旋流脱水除尘器以及含尘水汽脱水脱尘系统
CN114570118B (zh) * 2022-05-06 2022-07-26 北京石油化工学院 一种多级多段分离作用协同集成的管式气液分离器
JP7395691B1 (ja) 2022-10-24 2023-12-11 リックス株式会社 付着物除去装置および付着物除去方法ならびにスラリ回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7397A (en) * 1969-04-09 1970-04-21 William R Robinson Hydrocyclone unit
FR2409076A1 (fr) * 1977-11-22 1979-06-15 Soc Lab Sarl Perfectionnements aux procedes et appareils pour le traitement centrifuge des fluides renfermant des impuretes en suspension
JPS54128060A (en) * 1978-03-28 1979-10-04 Ereko Kk Method of separating solid heavy minute foreign matter and light minute foreign matter from liquid and its device
JPS6090054A (ja) * 1983-10-21 1985-05-21 Tooyo:Kk パルプ懸濁液の除塵装置
GB2158741B (en) * 1984-05-14 1988-08-17 Hydro Int Ltd Separation of components of a fluid mixture
US4652363A (en) * 1984-11-01 1987-03-24 Miller Francis G Dual feed hydrocyclone and method of separating aqueous slurry
US4696737A (en) * 1986-02-28 1987-09-29 The Bauer Bros. Co. Fiber recovery elutriating hydrocyclone
FR2629371B1 (fr) * 1988-03-29 1991-05-17 Stumm Eric Dispositif de depoussierage de gaz industriels par separateurs mecaniques - pneumatiques
GB8812310D0 (en) * 1988-05-24 1988-06-29 Rubery Owen Rockwell Ltd Attachment of components to composite members
US4969934A (en) * 1989-08-04 1990-11-1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Method for improved gas-solids separation
JPH0622706B2 (ja) * 1990-10-01 1994-03-30 フェストーアルピネ・クレムス・ゲゼルシャフト・エム・ベー・ハー 遠心分離装置
CN2136072Y (zh) * 1992-09-08 1993-06-16 青岛化工学院 旋液环流式液固分离器
CA2234952C (en) * 1995-10-18 2005-12-27 Gnesys, Inc. Hydrocyclone gas separator
CN1088628C (zh) * 1998-03-10 2002-08-07 郭瑞卿 可调自旋式中煤洗选装置
EP1069234B1 (de) * 1999-07-06 2004-05-26 Voith Paper Patent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bringen von Störstoffen aus einem Hydrozyklon
DE102004045823A1 (de) * 2004-09-22 2006-03-23 Voith Paper Patent Gmbh Verfahren zum Fraktionieren einer wässrigen Papierfasersuspension sowie Hydrozyklon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102009057079A1 (de) * 2009-02-05 2010-08-19 Akw Apparate + Verfahren Gmbh Hydrozyklonanordnung, Unterlaufdüse mit Ansatz- oder Verlängerungsstück für einen Hydrozyklon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Hydrozyklonanordnung
CN201389497Y (zh) * 2009-03-06 2010-01-27 大庆石油学院 内锥式液液分离水力旋流器
CN102225382B (zh) * 2011-04-11 2012-07-04 东北石油大学 一种溢流管壁孔式集油曲线形旋流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N2014DN07470A (ko) 2015-04-24
EP2812121B1 (de) 2020-04-01
JP6031124B2 (ja) 2016-11-24
CA2864034A1 (en) 2013-08-15
CA2864034C (en) 2018-12-18
AR089943A1 (es) 2014-10-01
PL2812121T3 (pl) 2020-08-10
CL2014002074A1 (es) 2014-12-05
RU2014132206A (ru) 2016-03-27
CN104105548B (zh) 2016-03-30
EP2812121A1 (de) 2014-12-17
AT511837B1 (de) 2013-03-15
WO2013117342A1 (de) 2013-08-15
ZA201405998B (en) 2015-12-23
RS60391B1 (sr) 2020-07-31
JP2015506837A (ja) 2015-03-05
AU2013218344A1 (en) 2014-08-21
CN104105548A (zh) 2014-10-15
US20150040761A1 (en) 2015-02-12
AT511837A4 (de) 201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23093A (ko) 사이클론 언더플로우에서 미세 물질을 저감시킨 하이드로사이클론
US6596170B2 (en) Long free vortex cylindrical telescopic separation chamber cyclone apparatus
US4927298A (en) Cyclone separat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688712B1 (ko) Fgd 석고에서의 미세 물질의 함량 저감 방법
US4578199A (en) Cyclone separators
EP2474364B1 (en) Fluid separation hydrocyclone
US20100006516A1 (en) Hydrocyclone
CA1288731C (en) Fiber recovery elutriating hydrocyclone
US643629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 mixture of a less dense liquid and a more dense liquid
FI73760B (fi) Separator foer separation av en blandning av en cellulosamassasuspension och grova, tunga partiklar.
CN101844115A (zh) 一种三产品旋流分级筛
US9884325B2 (en) Hydrocyclone with fine material depletion in the cyclone underflow
KR20180090281A (ko) 사이클론 시스템
CA1085317A (en) Centrifugal separator concentrator device and method
JP3773536B2 (ja) 滞在時間の長い逆ハイドロサイクロンクリーナ
EA036854B1 (ru) Гидроциклон
RU2588214C2 (ru) Гидроциклон с уменьшением содержания мелкозернистого материала в нижнем сливе циклона
NO20190982A1 (ko)
RU2299757C2 (ru) Фильтр-сепаратор
RU194860U1 (ru) Устройство гидроциклонного типа для разделения эмульсий
SU96931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азделени суспензий
EA036827B1 (ru) Гидроциклон
WO1999007477A1 (en) Tube trap
UA73857C2 (en) Hydrocycl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