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3036A -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 - Google Patents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3036A
KR20140123036A KR20140127173A KR20140127173A KR20140123036A KR 20140123036 A KR20140123036 A KR 20140123036A KR 20140127173 A KR20140127173 A KR 20140127173A KR 20140127173 A KR20140127173 A KR 20140127173A KR 20140123036 A KR20140123036 A KR 20140123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reference signal
uplink
sounding reference
ser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27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2839B1 (ko
Inventor
박규진
노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40127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839B1/ko
Publication of KR20140123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04L25/0226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sounding signals per 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04L5/0035Resource allocation in a cooperative multipoint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Abstract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 및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은 단말이 상향링크 채널을 추정하는 방법으로서, 서빙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채널 추정을 위한 제1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 외에 추가적으로 인접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채널 추정을 위한 제2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는 단계; 상기 제1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를 토대로 생성한 제1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를 토대로 생성한 제2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를 상기 인접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METHOD FOR ESTIMATING UPLINK CHANNEL}
본 발명은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물 지능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의 도입 및 스마트 폰의 보급으로 인해 무선 접속을 요하는 단말의 수가 급증하고 있다. 이로 인해 단말 별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요구 또한 급증하고 있다. 이런 환경에서 무선 사업자들은 할당된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높은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해 기지국을 디지털 유닛(Digital Unit, 이하 'DU'라 통칭함)과 라디오 유닛(Radio Unit, 이하 'RU'라 통칭함)로 분리하여 각각의 RU가 독립적인 셀을 형성함으로써 주파수 재사용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RU들 간의 전송 파워 불균형으로 인해 각각의 RU들이 커버하는 셀 사이즈가 다양하게 나타나는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이하 ' Het-Net'라 통칭함) 시나리오가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Het-Net에서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한 단말에게도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보장하기 위한 RU들 간의 다양한 협력 통신 기법 및 상ㅇ하향 링크간 커버리지 불균형으로 인한 독립적 상ㅇ하향 링크 경로 설정(즉, 임의의 단말을 위한 하향 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트랜스미션 포인트(Transmission Point, 이하 'TP'라 통칭함)로서의 RU와 해당 단말로부터 상향 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리셉션 포인트(Reception Point, 이하 'RP'로 통칭함)로서 RU가 독립적으로 설정도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이처럼 진화된 협력 통신 방안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임의의 한 단말과 접속된 서빙 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채널 측정 뿐 아니라, 해당 단말과 인접한 기지국들과의 상향링크 채널 측정 방안이 필요하다.
특히,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한 단말의 상향 및 하향 링크 데이터 전송률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콤프 시나리오(CoMP scenario)에서는 인접한 기지국 간의 협력 통신 기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때,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한 단말의 경우 협력 통신을 위해 인접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의 3GPP LTE/LTE-A 시스템에서는 임의의 단말은 자신이 접속을 맺은 셀의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채널 추정을 위해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상향링크 채널 상태 측정을 위한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이하 'SRS'로 통칭함)를 전송하도록 정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향링크 채널 상태 측정을 위한 SRS의 경우, 해당 단말이 속한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설정된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로 통칭함) 파라미터(parameter)들에 의해 단말로부터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되었다. 이러한 RRC 파라미터는 셀-특정 SRS 서브프레임(cell-specific SRS subframe) 및 SRS 대역(bandwidth)과, 단말-특정 SRS 대역(UE-specific SRS bandwidth), 호핑 패턴(hopping pattern), 프리퀀시 도메인 포지션(frequency domain position), 피어리어디시티(periodicity), 서브프레임 컨피거레이션(subframe configuration), 안테나 컨피거레이션(antenna configuration), 베이스 시퀀스 인덱스(base sequence index) 및 사이클릭 쉬프트 인덱스(cyclic shift index) 등이 있다.
단말은 셀-특정 파라미터(cell-specific parameter)가 만족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대역(subframe/bandwidth) 영역 내에서 단말-특정 파라미터(UE-specific parameter)에 따라 SRS를 전송한다.
따라서,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한 단말의 SRS 전송을 서빙 기지국 뿐만 아니라 인접 기지국에서도 수신함으로써 해당 단말과 인접 셀과의 상향링크 채널 측정을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즉, 협력 통신을 위한 다중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채널 측정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SRS 설정 정보를 인접 기지국과 공유함으로써, 인접 기지국에서도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SRS는 단말이 속한 기지국의 물리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 이하 'PCI'라 통칭함)를 토대로 생성되므로, PCI가 다른 인접 기지국은 서빙 기지국에서 생성된 SRS를 수신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Het-Net에서 인접 셀 간의 셀 크기가 상이하게 나타나는 경우, 서빙 기지국에서의 수신 타이밍을 기반으로 상향링크 동기 정보(Timing Allocation, 이하 'TA'로 통칭함)를 설정한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가 인접 기지국에 동기가 맞아서 수신될지 여부도 불투명하다.
이처럼, SRS 설정 정보는 서빙 기지국의 파라미터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SRS 설정 정보를 인접 기지국과 공유하더라도 인접 기지국이 SRS를 수신하려면, 적어도 다음의 두가지 조건을 추가적으로 만족해야 한다.
1) 복수의 셀에서 수신 가능한 SRS 시퀀스 및 자원 할당 방안 제공
2) 셀 경계 지역에서 서빙 셀과 인접 셀 간 동일한 상향 링크 동기 TA, Timing Alignment) 적용이 가능하거나, 혹은 단말에서 복수의 상향 링크 동기(TA) 설정 방안 제공
이와 같이, 종래의 단일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채널 추정만을 고려한 SRS 전송 기법은 콤프 시나리오(CoMP scenario) 및 HetNet에서 다양한 협력 통신 기법을 지원하기 위한 충분한 상향링크 채널 추정 결과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제한된 시나리오에 한정한 복수의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채널 추정 기법은 그 적용 범위가 좁아지게 되므로 다양한 셀 디플로이먼트 시나리오(cell deployment scenario)에서 적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링크 채널 추정 기법에 대한 설계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서빙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타이밍 동기 정보인 TA1 값과 인접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타이밍 동기 정보인 TA2 값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최근 일반화된 셀 구조인 Het-Net에서는 셀 간 커버리지의 차이로 인해 셀 간 하향링크 동기가 일치할 경우에도 상향링크의 프라퍼게이션 딜레이(propagation delay)의 차이에 따라 셀 간 상향링크 동기에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인접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채널 추정을 위한 참조 신호를 전송할 경우에도, 우선적으로 인접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동기 정보인 TA2 값을 획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순차적 사운딩 참조 신호 전송 기법을 이용하여 다중 셀의 상향링크 채널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은 단말이 상향링크 채널을 추정하는 방법으로서, 서빙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채널 추정을 위한 제1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 외에 추가적으로 인접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채널 추정을 위한 제2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는 단계; 상기 제1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를 토대로 생성한 제1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를 토대로 생성한 제2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를 상기 인접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할당받는 단계는,
단말 특정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제2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할당받는 단계는,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아이디가 포함된 단말 특정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가 상기 제2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할당받는 단계는,
단말 특정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지시자가 정의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비주기적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의 트리거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시자를 이용하여 상기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가 상기 제2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할당받는 단계 이전에,
상기 서빙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동기 정보인 제1 상향링크 동기 정보 외에 추가적으로 상기 인접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동기 정보인 제2 상향링크 동기 정보 를 할당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상향링크 동기 정보를 할당받는 단계는,
물리 랜덤 접속 채널 프리엠블을 상기 인접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상향링크 동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접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랜덤 접속 리소스 할당 정보가 포함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랜덤 접속 리소스 할당 정보에 따라 생성된 물리 랜덤 접속 채널 프리엠블을 상기 인접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상향링크 동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상향링크 동기 정보가 포함된 랜덤 접속 채널 응답 메시지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접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랜덤 접속 리소스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랜덤 접속 리소스 할당 정보에 따라 생성된 물리 랜덤 접속 채널 프리엠블을 상기 인접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상향링크 동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제2 상향링크 동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할당받는 단계는,
물리 랜덤 접속 채널 프리엠블을 상기 인접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서빙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동기 정보인 제1 상향링크 동기 정보 외에 추가적으로 상기 인접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동기 정보인 제2 상향링크 동기 정보 및 상기 제2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접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랜덤 접속 리소스 할당 정보가 포함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랜덤 접속 리소스 할당 정보에 따라 생성된 물리 랜덤 접속 채널 프리엠블을 상기 인접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상향링크 동기 정보 및 상기 제2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가 포함된 랜덤 접속 채널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접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랜덤 접속 리소스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랜덤 접속 리소스 할당 정보에 따라 생성된 물리 랜덤 접속 채널 프리엠블을 상기 인접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상향링크 동기 정보 및 상기 제2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가 포함된 상위 계층 시그널링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를 토대로 생성한 상기 제1 상향링크 동기 정보에 따른 상기 제1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접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를 토대로 생성한 상기 제2 상향링크 동기 정보에 따른 상기 제2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상기 인접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은, 서빙 기지국이 상향링크 채널을 추정하는 방법으로서, 단말로부터 물리 랜덤 접속 채널 프리엠블을 수신하는 단계; 및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서빙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동기 정보인 제1 상향링크 동기 정보 외에 추가적으로 인접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동기 정보인 제2 상향링크 동기 정보를 상기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상향링크 동기 정보 아이디 영역이 포함된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제2 상향링크 동기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셀 중첩 정도에 따라 결정된 두 개 이상의 상향링크 동기 정보 아이디 영역이 설정된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제2 상향링크 동기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답 메시지는,
랜덤 접속 채널 응답 메시지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은, 상기 서빙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채널 추정을 위한 제1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 외에 추가적으로 인접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채널 추정을 위한 제2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를 상기 단말에게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를 상기 단말에게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 인지 또는 상기 제2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인지를 구분하기 위한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아이디 정보 영역이 포함된 단말 특정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제2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를 상기 단말에게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를 토대로 생성된 상기 제1 상향링크 동기 정보에 따른 제1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를 토대로 상향링크 채널을 추정한 결과를 기지국 제어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인접 기지국의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으로서, 서빙 기지국이 할당한 정보에 따라 생성된 물리 랜덤 접속 채널 프리엠블을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물리 랜덤 접속 채널 프리엠블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과 인접 기지국 간의 상향링크 동기 정보를 측정하여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상향링크 동기 정보에 따라 생성된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를 이용하여 추정한 상향링크 채널 추정 결과를 기지국 제어 장치에게 리포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는,
상기 서빙 기지국이 할당한 상기 인접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채널 추정을 위한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 및 상기 상향링크 동기 정보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은 서빙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채널 추정을 위한 제1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 외에 추가적으로 인접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채널 추정을 위한 제2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를 단말에게 할당하고, 상기 제1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를 토대로 생성한 제1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향링크 채널을 추정하는 서빙 기지국; 상기 제2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를 토대로 생성한 제2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향링크 채널을 추정하는 인접 기지국; 및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상향링크 채널을 추정한 결과 및 상기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상향링크 채널을 추정한 결과를 이용하여 셀간 협력 통신을 위한 멀티-상향링크 채널을 추정하는 기지국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는 제1 상향링크 동기 정보에 따라 생성되고, 상기 제2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는 제2 상향링크 동기 정보에 따라 생성되며,
상기 서빙 기지국은, 상기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상향링크 동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물리 랜덤 접속 프리엠블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제2 상향링크 동기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빙 기지국은,
상기 제2 상향링크 동기 정보 및 상기 제2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가 포함된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빙 기지국은,
상향링크 동기 정보 아이디 영역이 포함된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제2 상향링크 동기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빙 기지국은,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아이디가 포함된 단말 특정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제2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빙 기지국은,
단말 특정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한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를 구분하기 위한 지시자가 포함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상기 인접 기지국은,
동일한 기지국 제어 장치 또는 서로 다른 기지국 제어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상기 인접 기지국은,
각각의 독립된 셀을 형성하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이고,
상기 기지국 제어 장치는,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상기 인접 기지국과 연결되어 기지국 제어 관리 기능을 수행하며 통신 국사에 집중 설치되는 가상 서버로 구현되는 클라우드 기반의 기지국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상기 인접 기지국은,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한 단말에 대한 셀간 협력 통신 그룹에 포함되는 각각의 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크기의 셀 커버리지를 가지는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상기 인접 기지국이 중첩적으로 배치되는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상기 인접 기지국은,
매크로 셀 및 상기 매크로 셀 내에 상기 매크로 셀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셀 반경을 가지는 복수의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이 접속한 서빙 셀과의 상향 링크 채널 추정 뿐만 아니라, 인접 셀과의 상향 링크 채널 추정을 위한 SRS 설정 및 전송 방안에 따른 것이다. 이를 위해 서빙 셀과의 상향 링크 채널 추정을 위한 제 1 SRS 설정과 별도로 인접 기지국과의 상향 링크 채널 추정을 위한 제 2 SRS 설정 방안 및 설정된 제 1 SRS와 제 2 SRS에 대한 단말의 전송 방안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Het-Net) 및 콤프 시나리오(CoMP scenario)에서 범용적으로 적용 가능한 멀티-상향링크 채널 추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복수의 기지국에서 측정한 상향링크 채널 추정 결과를 바탕으로 단말의 협력 통신 지역(셀 경계 지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간 독립적 경로 설정 방안, 특히 상향링크 경로 재설정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반 채널 추정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기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클라우드 기반의 기지국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빙 기지국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접 기지국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동기 정보(TA) 획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동기 정보(TA) 획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RACH 프리엠블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타겟 단말 결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겟 단말 결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겟 단말 결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eNode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eNode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클라우드 기반의 기지국 구조를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빙 기지국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접 기지국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은 각기 다른 크기의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를 가지는 제1 기지국(100) 및 제2 기지국(200)이 중첩적으로 배치되는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Het-Net)이다. 여기서, 두 개의 기지국만을 도시하였으나, 복수개의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는 제1 기지국(100)의 서비스 대상 지역인 매크로 셀(Macro Cell)(300) 및 제2 기지국(200)의 서비스 대상 지역인 스몰 셀(Small Cell)(400)이 중첩된다. 스몰 셀(400)은 매크로 셀(300) 보다 작은 지역을 커버한다. 하나의 매크로 셀(300) 내에는 복수의 스몰 셀(400)이 존재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매크로 셀(300) 내에는 분산된 저전력 리모트 라디오 헤드(Remote Radio Heads, 이하 ' RRH'라 통칭함)에 의한 피코 셀(Pico Cell), 마이크로 셀(Micro cell), 펨토 셀(Femto Cell)과 같은 스몰 셀(400)이 중첩되어 나타난다.
또한, 이러한 통신 시스템은 인접한 셀 간의 협력 통신을 통해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한 단말의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률을 높이고자 하는 협력형 멀티-포인트 시나리오(CoMP scenario, Coordinated Multi-Point scenario) 3, 4를 도입한 클라우드 기반의 기지국 구조일 수 있으며, 도 2와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클라우드 기반의 기지국 구조는 일반적인 기지국이 디지털 유닛(Digital Unit, 이하, 'DU'라 통칭함)(800) 및 라디오 유닛(Radio Unit, 이하, 'RU'라 통칭함)(900)으로 분리되어 있다.
일반적인 기지국은 DU(800) 및 RU(900) 각각에 대응하는 처리부를 하나의 물리적 시스템 내에 포함하고, 하나의 물리적 시스템이 서비스 대상 지역에 설치된다. 이에 반하여 클라우드 기반의 기지국 구조에 따르면, DU(800) 및 RU(900)가 물리적으로 분리되고, RU(900)만 서비스 대상 지역에 설치된다. 그리고 하나의 DU(800)가 각각의 독립적인 셀을 형성하는 복수의 RU(900)에 대한 제어 관리 기능을 가진다. 이때, DU(800)와 RU(900)는 광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DU(800)는 기지국의 디지털 신호 처리 및 자원 관리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파트로서, 코어 시스템(미도시)에 연결된다. 그리고 주로 인터넷 데이터 센터(IDC, Internet Data Center) 등과 같은 통신 국사에 집중화되어 설치된다. 또한, DU(800)는 가상화 기술을 통해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와이브로(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기술을 하나의 DU(800)에 소프트웨어적으로 적용해 다수의 DU(800)가 하나처럼 운용될 수도 있다.
또한, RU(900)는 기지국의 무선 신호 처리 부문의 전파신호를 증폭해 안테나로 방사하는 파트이다. 즉, RU(900)는 DU(800)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주파수 대역에 따라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1 기지국(100) 및 제2 기지국(200)은 도 2의 RU(900)로 구현된다. 그리고 eNB, RU, RRH(Remote Radio Heads)라 칭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제어 장치(500)는 도 2의 DU(800)로 구현된다. 그리고 제1 기지국(100) 및 제2 기지국(200)과 연결되어 이들을 관리한다.
여기서, 제1 기지국(100) 및 제2 기지국(200)은 단일 기지국 제어 장치(500)에 의해 관리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제1 기지국(100) 및 제2 기지국(200)은 서로 다른 기지국 제어 장치(500)에 의해 각각 관리될 수도 있다.
협력형 멀티-포인트(CoMP) 시나리오에 따르면,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한 단말(600)은 인접 기지국(200)과의 상향링크 채널을 추정하도록 요구받는다.
여기서,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한 단말(600)은 제1 셀(300)에 위치하나 제2 셀(400)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지역에 위치한 단말로 정의한다. 이러한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한 단말(600)은 제2 셀(400)의 중심에 위치한 단말(700)이 제2 기지국(200)과만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과 달리 현재 접속된 제1 기지국(100) 뿐만 아니라 인접 기지국인 제2 기지국(200)과도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한 단말(600)을 기준으로 제1 기지국(100)은 서빙 기지국이라 기술하고, 제2 기지국(200)은 인접 기지국이라 기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한 단말(600)은 서빙 기지국(100)으로부터 하향링크 물리 채널 및 물리 신호를 수신한다(①). 여기서, 하향링크 물리 채널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을 포함한다. 그리고 물리 신호는 CRS(Common Reference Signal),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CSI 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DM RS(DeModulation-Reference Signal) 등을 포함한다.
또한,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한 단말(600)은 단말(600)과 서빙 기지국(100) 간의 상향링크 채널 상태 및 단말(600)과 제2 기지국(200)과의 상향링크 채널 상태에 따라 상향링크 물리 채널 및 물리 신호를 서빙 기지국(100)으로 전송하도록 설정하거나 또는 제2 기지국(200)으로 전송(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향링크 물리 채널은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을 포함하고, 물리 신호는 SRS(Sounding Reference Signal)를 포함한다.
이때,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한 단말(600)은 서빙 기지국(100)으로부터 데디케이티드(dedicated) 랜덤 접속 채널(Random Access Channel, 이하 'RACH'라 통칭함) 리소스(resource) 설정 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데디케이티드 RACH 리소스 설정 신호는 단말(600)이 인접 셀과의 상향링크 채널 추정을 위한 리소스 할당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데디케이티드 RACH 리소스 설정 신호는 서빙 기지국(100)이 기지국 제어 장치(500)의 지시에 따라 멀티-상향링크(multi-uplink) 추정 대상인 타겟 단말로 전송된다.
여기서, 타겟 단말은 기지국 제어 장치(500)가 결정한 멀티-상향링크(multi-uplink) 추정 대상 단말을 말하며, 결국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한 단말(600)이 된다. 이때, 멀티-상향링크 채널 추정은 타겟 단말(600)과 둘 이상의 기지국 간의 상향링크 채널 추정이라 정의한다. 그리고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한 단말(600)은 타겟 단말로 통칭하기로 한다.
한편, 타겟 단말(600)은 데디케이티드 RACH 리소스 설정 신호에 따라 인접 기지국(200)으로 물리 랜덤 접속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이하 'PRACH'라 통칭함) 프리엠블(preamble)을 전송한다. 그러면, 인접 기지국(200)은 PRACH 프리엠블을 토대로 타겟 단말(600)과의 상향링크 채널 상태를 추정하여 기지국 제어 장치(500)에게 리포트한다.
또한, 타겟 단말(600)은 데디케이티드 RACH 리소스 설정 신호에 따라 서빙 기지국(100)에게도 PRACH 프리엠블을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서빙 기지국(100)은 PRACH 프리엠블을 토대로 타겟 단말(600)과의 상향링크 채널 상태를 추정하여 기지국 제어 장치(500)에게 리포트 한다.
그러면, 기지국 제어 장치(500)는 서빙 기지국(100) 및 인접 기지국(200)으로부터 리포트된 각각의 상향링크 채널 상태를 토대로 멀티-상향링크 채널 추정을 수행한다.
즉, 타겟 단말(600)이 현재 접속한 서빙 기지국(100)과의 상향링크 채널 뿐만 아니라, 인접 기지국(200)과의 상향링크 채널을 추정함으로써, 타겟 단말(600)이 셀간 하향링크 협력 통신이 필요한 지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하여 셀간 하향링크 협력 통신 구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타겟 단말(600)의 핸드오버를 구현할 수 있다. 또는 타겟 단말(600)의 상향링크 경로 재설정(UL Path redirection) 구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향링크 경로 재설정은 하향 링크는 서빙 기지국(100)과 유지한 채 상향링크만 인접 기지국(200)으로 전송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제, 서빙 기지국(100), 인접 기지국(200), 기지국 제어 장치(500) 및 단말(600)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서빙 기지국(100)은 통신부(110), 메모리(130) 및 프로세서(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부(110)는 프로세서(15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한다. 통신부(110)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5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5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메모리(130)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램버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동기식 DRAM, 정적 RAM 등의 RAM과 같은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50)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150)와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중앙처리유닛(CPU, Central Processing Unit)이나 기타 칩셋(chipset),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15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50)는 할당부(151), 상향링크 동기 관리부(153), 채널 추정부(155) 및 보고부(157)를 포함한다.
여기서, 할당부(151)는 기지국 제어 장치(500)의 멀티-상향링크 채널 추정 지시에 따라 타겟 단말(600)에게 데디케이티드 RACH 리소스를 할당한다.
상향링크 동기 관리부(153)는 서빙 기지국(100)과 타겟 단말(600) 간의 상향링크 채널 추정을 위한 동기 정보인 제1 상향링크 동기 정보(Timing Allocation, 이하 'TA1'이라 통칭함) 외에 추가적으로 인접 기지국(200)과 타겟 단말(600) 간의 상향링크 채널 추정을 위한 동기 정보인 제2 상향링크 동기 정보(이하, 'TA2'라 통칭함)를 타겟 단말(600)에게 제공한다.
채널 추정부(155)는 타겟 단말(600)로부터 수신되는 제1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이하 '제1 SRS'라 통칭함)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채널 상태를 추정한다.
이때, 채널 추정부(155)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 통칭함)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서빙 기지국(100)과 타겟 단말(600) 간의 상향링크 채널 추정을 위한 제1 SRS 설정 파라미터를 타겟 단말(600)에게 할당한다.
또한, 채널 추정부(155)는 제1 SRS 설정 파라미터 외에 추가적으로 인접 기지국(200)과 타겟 단말(600) 간의 상향링크 채널 추정을 위한 제2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이하 '제2 SRS'라 통칭함) 설정 파라미터를 타겟 단말(600)에게 할당한다.
보고부(157)는 채널 추정부(155)로부터 상향링크 채널 추정 결과를 전달받아 기지국 제어 장치(500)에게 전송한다. 또한, 보고부(157)는 타겟 단말(600)로부터 수신되는 하향링크 채널 추정 결과를 수신하여 기지국 제어 장치(500)에게 전송한다.
다음, 도 4를 참조하면, 인접 기지국(200)은 통신부(210), 메모리(230) 및 프로세서(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부(210)는 프로세서(25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한다. 통신부(210)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프로세서(25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25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메모리(230)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램버스 DRAM, 동기식 DRAM, 정적 RAM 등의 RAM과 같은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230)는 프로세서(250)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250)와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중앙처리유닛이나 기타 칩셋,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25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50)는 상향링크 동기 관리부(251), 채널 추정부(253), 보고부(255) 및 셀간섭 측정부(257)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향링크 동기 관리부(251)는 타겟 단말(600)로부터 데디케이티드 PRACH 프리엠블이 수신되면, TA2를 측정한 후 서빙 기지국(100)에게 전송한다.
채널 추정부(253)는 기지국 제어 장치(500)로부터 멀티-상향링크 채널 추정 지시를 수신한다. 그리고 타겟 단말(600)로부터 제2 SRS가 수신되면 상향링크 채널 상태를 추정한다.
보고부(255)는 채널 추정부(253)로부터 전달받은 상향링크 채널 추정 결과를 기지국 제어 장치(500)에게 전송한다. 또한, 타겟 단말(600)로부터 수신되는 하향링크 채널 추정 결과를 기지국 제어 장치(500)에게 전송한다. 또한, 셀간섭 측정부(257)로부터 전달받은 셀간섭 신호를 기지국 제어 장치(500)에게 전송한다.
셀간섭 측정부(257)는 주변 셀로 인한 간섭(interference) 신호를 측정한다. 즉 백홀(backhaul) 망을 통해 특정 상향링크 대역(UL band)에서 기 정의된 기준에 따라 강한 간섭 신호를 측정한다.
다음,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 제어 장치(500)는 통신부(510), 메모리(530) 및 프로세서(550)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부(510)는 프로세서(55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한다. 통신부(510)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530)는 프로세서(55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55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메모리(530)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램버스 DRAM, 동기식 DRAM, 정적 RAM 등의 RAM과 같은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530)는 프로세서(550)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550)와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550)는 중앙처리유닛이나 기타 칩셋,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55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550)는 타겟 결정부(551), 지시부(553) 및 처리부(555)를 포함한다.
타겟 결정부(551)는 멀티-상향링크 채널 측정 지시가 필요한 타겟 단말(600)을 결정한다.
이때, 타겟 결정부(551)는 측정 리포트 기반으로 타겟 단말(600)을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셀룰러 시스템에서는 주파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채널 의존적 스케줄링을 위해 타겟 단말(600)이 하향링크 채널에 대한 채널 추정 결과를 주기적으로 혹은 비주기적으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인 PUCCH를 통해 채널 품질 표시기(CQI, Channel Quality Information) 또는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를 리포팅(reporting)하도록 정의되어있다.
또한, 이와 별도로 타겟 단말(600)의 이동에 따른 핸드오버 지원을 위해 특정 상황 예를들어, 서빙 셀(300)과의 하향링크 채널 추정 결과가 기 정의된 임계값 이하가 되면, 타겟 단말(600)은 현재 접속을 맺고 있는 서빙 셀(300) 뿐만 아니라 인접 셀(400)에 대한 하향링크 채널 추정 결과를 측정 리포트 알알씨 시그널링(measurement report RRC signaling)의 형태로 PUSCH를 통해 전송하도록 정의되어 있다.
따라서, 타겟 결정부(551)는 이러한 PUCCH를 통한 채널 품질 표시기(CQI) 또는 채널 상태 정보(CSI) 리포팅 혹은 PUSCH를 통한 측정 리포트 알알씨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한 하향링크 채널 추정 결과를 토대로 멀티-상향링크 채널 추정이 필요한 타겟 단말(600)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타겟 결정부(551)는 인접 기지국 요청 기반으로 타겟 단말(600)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인접 기지국(200)으로부터 셀간섭 신호를 수신하여 셀간섭이 측정되는 상향링크 대역에 스케줄링된 타겟 단말(600)에 대해 멀티-상향링크 채널 추정을 결정할 수 있다.
지시부(553)는 서빙 기지국(100) 및 인접 기지국(200)에게 멀티-상향링크 채널 추정을 지시한다.
처리부(555)는 서빙 기지국(100) 및 인접 기지국(200)으로부터 타겟 단말(600)과의 상향링크 채널 추정 결과를 각각 수신하여 멀티-상향링크 채널 추정을 수행한다. 즉 각각의 상향링크 채널 추정 결과를 비교 및 분석하여 셀간 하향링크 협력 통신 구현 여부, 타겟 단말(600)의 핸드오버 여부, 타겟 단말(600)의 상향링크 경로 재설정 구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 도 6을 참조하면, 타겟 단말(600)은 통신부(610), 메모리(630) 및 프로세서(650)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부(610)는 프로세서(65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한다. 통신부(610)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30)는 프로세서(65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65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메모리(630)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램버스 DRAM, 동기식 DRAM, 정적 RAM 등의 RAM과 같은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630)는 프로세서(650)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650)와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650)는 중앙처리유닛이나 기타 칩셋,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65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650)는 상향링크 동기 획득부(651), 상향링크 채널 관리부(653) 및 하향링크 채널 관리부(65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향링크 동기 획득부(651)는 서빙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한 데디케이티드 RACH 리소스 설정 신호에 따라 PRACH 프리엠블을 생성하여 서빙 기지국(100) 및 인접 기지국(200)으로 전송하여 서빙 기지국(100)으로부터 TA1 외에 추가적으로 TA2를 획득한다.
상향링크 채널 관리부(653)는 서빙 기지국(100)으로부터 제1 SRS 설정 파라미터 외에 추가적으로 제2 SRS 설정 파라미터를 서빙 기지국(100)으로부터 할당받는다. 그리고 제1 SRS 설정 파라미터 및 TA1에 따른 제1 SRS를 생성하여 서빙 기지국(100)으로 전송한다. 또한, 제2 SRS 설정 파라미터 및 TA2에 따른 제2 SRS를 생성하여 인접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1 SRS 및 제2 SRS는 순차적으로 전송된다.
하향링크 채널 관리부(655)는 서빙 기지국(100)과의 하향링크 채널을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서빙 기지국(100)으로 전송한다. 이때, 하향링크 채널 추정 결과가 기 정의된 기준값 이하일 경우, 서빙 기지국(100)으로 하향링크 채널 추정 결과를 리포트할 수 있다.
또한, 하향링크 채널 관리부(655)는 인접 기지국(200)과의 하향링크 채널을 추정하여 인접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내용을 토대로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을 실시예 별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도 1 ~ 도 6의 구성과 연계하여 설명하며,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동기 정보(TA) 획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지국 제어 장치(500)의 타겟 결정부(551)는 멀티-상향링크 채널 추정이 필요한 타겟 단말(600)을 결정한다(S101).
여기서, 타겟 단말(600)은 기지국 제어 장치(500) 자신이 관리하는 둘 이상의 기지국들 간의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는 기지국 제어 장치(500) 자신 및 다른 기지국 제어 장치가 관리하는 둘 이상의 기지국들 간의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단말일 수 있다.
다음, 기지국 제어 장치(500)의 지시부(553)는 S101 단계에서 결정된 타겟 단말(600)이 현재 접속된 서빙 기지국(100) 및 인접 기지국(200)으로 멀티-상향링크 채널 추정 지시(Initiation of multi-UL channel measurement)를 전송한다(S103, S105).
다음, 서빙 기지국(100)의 할당부(151)는 타겟 단말(600)에게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명령(PDCCH order)을 전송함으로써, 임의 접속 절차(Random Access Procedure)를 지시한다(S107).
이때,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명령(PDCCH order)은 RACH 리소스 할당 정보를 포함하며, 포맷은 PDCCH format 1A이다. 여기서, PDCCH format 1A는 타겟 단말(600)의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RNTI, 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로 스크램블링(scrambling)된다.
또한, RACH 리소스 할당 정보는 PRACH 프리엠블 인덱스(preamble index, 6 bits) 및 PRACH 마스크 인덱스(Mask Index, 4 bits)를 포함한다.
그러면, 타겟 단말(600)의 상향링크 동기 획득부(651)는 S107 단계에서 수신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명령(PDCCH order)로부터 추출한 RACH 리소스 할당 정보에 따라 PRACH 프리엠블을 생성하여 서빙 기지국(100)으로 전송한다(S109).
이때, 타겟 단말(600)의 상향링크 동기 획득부(651)는 PRACH 프리엠블 인덱스 정보 영역을 통해 설정된 PRACH 프리엠블을 PRACH 마스크 인덱스를 통해 설정된 PRACH 리소스 인덱스(resource index)를 통해 PRACH 구성(configuration) 정보에 따라 전송한다.
여기서, PRACH 구성(configuration) 정보는 서빙 기지국(100)의 셀 특정(cell-specific) 시스템 정보를 통해 수신된다. 그리고 PRACH 구성 인덱스(PRACH configuration index), PRACH -주파수오프셋(PRACH -FrequencyOffset), RACH-루트-시퀀스(RACH_ROOT_SEQUENCE)를 포함한다.
그러면, 서빙 기지국(100)의 상향링크 동기 관리부(153)는 TA1을 측정한다(S111). 그리고 RACH 응답(Response) 메시지에 포함시켜 타겟 단말(600)로 전송한다(S113).
또한, 타겟 단말(600)의 상향링크 동기 획득부(651)는 S107 단계에서 수신한 PRACH 리소스 할당 정보에 따라 생성한 PRACH 프리엠블을 인접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S115).
여기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명령(PDCCH order) 및 PRACH 구성(configuration) 정보는 타겟 단말(600)이 현재 접속(connection)을 맺고 있는 서빙 기지국(100)에서 설정된 값이다. 따라서, 인접 기지국(200)은 서빙 기지국(100)의 셀 특정 PRACH 구성(cell-specific PRACH configuration) 정보 및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명령(PDCCH order)을 통해 타겟 단말(600)에게 할당된 프리엠블 인덱스(preamble index) 및 PRACH 마스크 인덱스(Mask Index)값을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인접 기지국(200)의 상향링크 동기 관리부(251)는 서빙 기지국(100)의 할당부(151)로부터 타겟 단말(600)에게 할당된 프리엠블 인덱스(preamble index) 및 PRACH 마스크 인덱스(Mask Index)값을 사전에 획득할 수 있다. 혹은, 서빙 기지국(100)의 할당부(151)는 타겟 단말(600)에게 할당된 프리엠블 인덱스(preamble index) 및 PRACH 마스크 인덱스(Mask Index)값을 기지국 제어 장치(500)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다음, 인접 기지국(200)의 상향링크 동기 관리부(251)는 TA2를 측정한다(S117). 그리고 서빙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S119).
그러면, 서빙 기지국(200)의 상향링크 동기 관리부(153)는 S119 단계에서 수신한 TA2를 RACH 응답(Response) 메시지에 포함시켜 타겟 단말(600)에게 전송한다(S121).
여기서, 'TA ID' 정보 영역이 RACH 응답(Response)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타겟 단말(600)의 상향링크 동기 획득부(651)는 'TA ID' 정보 영역을 확인하여 RACH 응답(Response) 메시지에 포함된 TA가 TA1인지 또는 TA2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TA ID' 정보 영역은 서빙 기지국(100) 및 인접 기지국(200)에 대해서만 즉 하나의 상향링크 대역(UL band)내에서 2개의 TA(TA1값과 TA2값)만 설정 가능하도록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TA ID' 정보 영역의 크기(size)는 1 비트(bit)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TA ID' 정보 영역은 타겟 단말(600)이 저장할 수 있는 TA값의 개수 혹은 셀에서 설정할 수 있는 TA값의 개수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값을 설정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두 개 이상의 TA값의 개수 임의의 기지국에서 셀 중첩 정도에 따라 셀-특정 시스템 정보(cell-specific system information)를 통해 설정된다. 이처럼 두 개 이상의 TA값을 설정할 경우, TA의 설정 가능 개수인 N값에 따라 'TA ID' 정보 영역의 크기는 log2N bit(s)로 결정될 수 있다.
이처럼, S101 단계~ S121 단계에 따르면, 3GPP LTE/LTE-A 시스템에서 정의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명령(PDCCH order) 기반의 랜덤 접속 절차를 이용하여 인접 기지국(200)으로 PRACH 프리엠블을 전송하도록 하고, 이를 기반으로 TA2값을 측정하여 서빙 기지국(200)을 통해 타겟 단말(600)에게 알려줄 수 있다.
다음,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동기 정보 획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기지국 제어 장치(500)의 타겟 결정부(551)는 멀티-상향링크 채널 추정이 필요한 타겟 단말(600)을 결정한다(S201).
다음, 기지국 제어 장치(500)의 지시부(553)는 S201 단계에서 결정된 타겟 단말(600)이 현재 접속된 서빙 기지국(100) 및 인접 기지국(200)으로 멀티-상향링크 채널 추정 지시를 전송한다(S203, S205).
다음, 서빙 기지국(100)의 할당부(151)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RACH 리소스 할당 정보를 타겟 단말(600)에게 전송한다(S207). 이때,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로 통칭함)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다음, 타겟 단말(600)의 상향링크 동기 획득부(651)는 S207 단계에서 획득한 RACH 리소스 할당 정보에 따라 생성한 PRACH 프리엠블을 서빙 기지국(100)으로 전송한다(S209).
그러면, 서빙 기지국(100)의 상향링크 동기 관리부(153)는 TA1을 측정한다(S211). 그리고 상위 계층 시그널링 응답 메시지에 TA1을 포함시켜 타겟 단말(600)로 전송한다(S213). 이때, 상위 계층 시그널링 응답 메시지는 RRC 응답(Response) 메시지를 포함한다.
또한, 타겟 단말(600)의 상향링크 동기 획득부(651)는 S207 단계에서 수신한 RACH 리소스 할당 정보에 따라 생성한 PRACH 프리엠블을 인접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S215).
다음, 인접 기지국(200)의 상향링크 동기 관리부(251)는 TA2를 측정한다(S217). 그리고 서빙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S219).
그러면, 서빙 기지국(200)의 상향링크 동기 관리부(153)는 S219 단계에서 수신한 TA2를 포함하는 RRC 응답(Response) 메시지를 타겟 단말(600)에게 전송한다(S221).
여기서, 타겟 단말(600)의 상향링크 동기 획득부(651)가 PRACH 프리엠블을 생성하는 과정은 도 9와 같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각 단계는 도 8의 S207 단계와 S209 단계 사이에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RRC 시그널링을 실시예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RACH 프리엠블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타겟 단말(600)의 상향링크 동기 획득부(651)는 서빙 기지국(100)으로부터 RRC 시그널링 메시지를 수신한다(S301).
다음, 타겟 단말(600)의 상향링크 동기 획득부(651)는 S301 단계에서 수신한 RRC 시그널링 메시지가 인접 기지국(200)의 셀-특정 PRACH 구성(cell-specific PRACH configuration) 정보를 포함하는지를 판단한다(S303).
이때, 포함된 경우라면, 타겟 단말(600)의 상향링크 동기 획득부(651)는 셀-특정 PRACH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RRC 시그널링 메시지에 포함된 RACH 리소스 할당 정보 즉 PRACH 프리엠블 인덱스 및 PRACH 마스크 인덱스를 해석한다(S305).
반면, 포함되지 않은 경우라면, 타겟 단말(600)의 상향링크 동기 획득부(651)는 사전에 서빙 기지국(100)의 셀 특정(cell-specific) 시스템 정보를 통해 수신된 PRACH 구성(configuration) 정보를 기반으로 RACH 리소스 할당 정보를 해석한다(S307).
다음, 타겟 단말(600)의 상향링크 동기 획득부(651)는 S301 단계에서 수신한 RRC 시그널링 메시지가 TA ID 영역을 포함하는지를 판단한다(S309).
이때, 포함된 경우라면, 타겟 단말(600)의 상향링크 동기 획득부(651)는 ID 별로 RACH 리소스 할당 정보를 확인한다(S311).
다음, S311 단계에서 확인한 정보를 토대로 TA ID 별 PRACH 프리엠블을 생성한다(S313).
반면, 포함되지 않은 경우라면, S305 단계 또는 S307 단계에서 해석한 결과를 토대로 PRACH 프리엠블을 생성한다(S315).
한편, 도 10 및 도 11를 참고하여 SRS를 이용하여 멀티-상향링크 채널을 추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도 10 ~ 도 11에 기재된 각 단계는 도 7 및 도 8의 각 단계 이후에 포함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주기적 SRS를 전송하는 경우의 실시예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사전에 RRC 시그널링을 통해 서빙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한 제1 SRS 설정 파라미터에 따른 기 정의된 주기가 도래(S401)하면, 타겟 단말(600)의 상향링크 채널 관리부(653)는 서빙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한 TA1 및 제1 SRS 설정 파라미터에 따른 주기적 제1 SRS를 생성한다(S403).
여기서, 제1 SRS 설정 파라미터는 사전에 RRC 시그널링을 통해 서빙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한 단말-특정 제1 SRS 구성 파라미터(UE-specific SRS configuration parameter)를 포함한다.
그리고 타겟 단말(600)의 상향링크 채널 관리부(653)는 서빙 기지국(100)에게 주기적 제1 SRS를 전송한다(S405).
그러면, 서빙 기지국(100)의 채널 추정부(155)는 주기적 제1 SRS를 토대로 상향링크 채널을 추정한다(S407). 그리고 서빙 기지국(100)의 보고부(157)는 기지국 제어 장치(500)에게 S407 단계의 채널 추정 결과를 리포트한다(S409).
또한, 서빙 기지국(100)의 채널 추정부(155)는 TA2를 획득한 타겟 단말(600)에게 단말-특정 RRC 시그널링(UE-specific RRC signaling)을 통해 추가적인 제2 SRS 설정 파라미터를 할당한다(S411).
이때, 추가적인 제2 SRS 설정 파라미터는 단말-특정 SRS 구성 파라미터(UE-specific SRS configuration parameter)들을 모두 포함한다. 즉, 셀-특정 SRS 서브프레임(cell-specific SRS subframe) 및 SRS 대역(bandwidth)과, 단말-특정 SRS 대역(UE-specific SRS bandwidth), 호핑 패턴(hopping patten), 프리퀀시 도메인 포지션(frequency domain position), 피어리어디시티(periodicity), 서브프레임 컨피거레이션(subframe configuration), 안테나 컨피거레이션(antenna configuration), 베이스 시퀀스 인덱스(base sequence index) 및 사이클릭 쉬프트 인덱스(cyclic shift index)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특정 RRC 시그널링(UE-specific RRC signaling)이 기존에 설정된 서빙 기지국(100)과의 제1 SRS 설정 파라미터에 대한 재구성 정보인지 또는 인접 기지국과(200)의 제2 SRS 설정 파라미터인지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구분을 위해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특정 RRC 시그널링(UE-specific RRC signaling)은 SRS ID 정보 영역을 포함하여 제1 SRS 설정 파라미터에 대한 재구성 정보 인지 또는 제2 SRS 설정 파라미터인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SRS ID 정보 영역은 상기의 TA ID 정보 영역을 재활용하거나, 혹은 SRS 시퀀스 생성을 위한 VCID(Virtual Cell I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분을 위해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S411 단계는 도 7의 S121 단계 또는 도 8의 S221 단계에 병합될 수 있다. 즉 RACH 응답 메시지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 메시지에 제2 SRS 설정 파라미터가 TA2와 함께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제2 SRS 설정 파라미터를 구분하기 위한 별도의 지시자는 필요없다.
한편, 타겟 단말(600)의 상향링크 채널 관리부(653)는 S411 단계에서 수신한 제2 SRS 설정 파라미터에 따른 주기가 도래(S413)하면, 서빙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한 TA2 및 제2 SRS 설정 파라미터에 따른 주기적 제2 SRS를 생성한다(S415). 그리고 S415 단계에서 생성한 주기적 제2 SRS를 인접 기지국(200)에게 전송한다(S417).
그러면, 인접 기지국(200)의 채널 추정부(253)는 주기적 제2 SRS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채널을 추정한다(S419). 그리고 인접 기지국(200)의 보고부(255)는 S419 단계에서 추정한 결과를 기지국 제어 장치(500)에게 리포트한다(S421).
그러면, 기지국 제어 장치(500)의 처리부(555)는 S409 단계에서 리포트된 추정 결과 및 S421 단계에서 리포트된 추정 결과를 이용하여 멀티-상향링크 채널을 추정한다(S419). 즉 기지국 제어 장치(500)의 처리부(555)는 S409 단계에서 리포트된 추정 결과 및 S421 단계에서 리포트된 추정 결과를 비교 및 분석하여 셀간 하향링크 협력 통신 구현 여부, 단말(600)의 핸드오버 여부, 단말(600)의 상향링크 경로 재설정 구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SRS 및 제2 SRS는 trigger type 0으로 설정된 주기적 SRS로서 주기적으로 반복해서 전송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비주기적 SRS를 실시예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타겟 단말(600)의 상향링크 채널 관리부(653)는 사전에 RRC 시그널링을 통해 서빙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한 제1 SRS 설정 파라미터 및 TA1에 따른 비주기적 제1 SRS를 생성한다(S501).
다음, S501 단계에서 생성한 비주기적 제1 SRS를 서빙 기지국에게 전송한다(S503).
다음, 서빙 기지국(100)의 채널 추정부(155)는 S503 단계에서 수신한 비주기적 제1 SRS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채널을 추정한다(S505). 그리고 추정 결과를 기지국 제어 장치(500)에게 리포트한다(S507).
한편, 서빙 기지국(100)의 채널 추정부(155)는 TA2를 획득한 타겟 단말(600)에게 단말-특정 RRC 시그널링(UE-specific RRC signaling)을 통해 추가적인 제2 SRS 설정 파라미터를 할당한다(S509). 이때, 도 10의 S411 단계에서 할당되는 정보와 동일하나 트리거 타입(trigger type)=1로 설정된다.
다음, 서빙 기지국(100)의 채널 추정부(155)는 PDCCH를 통해 비주기적 SRS 전송을 위한 트리거링 정보를 전송(S511)하는데, 이때, 제1 SRS에 대한 비주기적 전송을 요청하는지 또는 제2 SRS에 대한 비주기적 전송을 요청하는지를 나타내는 신호 타입 지시자를 포함시킨다. 이때, 신호 타입 지시자는 1 비트 인디케이션(bit indication) 정보 영역이 PDCCH에 추가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혹은, 도 10에서 설명한 내용과 마찬가지로, PDCCH는 트리거링 정보만을 포함하도록 하고, 단말-특정 RRC 시그널링에서 SRS ID를 이용하여 제1 SRS에 대한 비주기적 전송을 요청하는지 또는 제2 SRS에 대한 비주기적 전송을 요청하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혹은, S509 단계는 도 7의 S121 단계 또는 도 8의 S221 단계에 병합될 수 있다. 즉 RACH 응답 메시지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 메시지에 제2 SRS 설정 파라미터가 TA2와 함께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제2 SRS 설정 파라미터를 구분하기 위한 별도의 지시자는 필요없다.
다음, 타겟 단말(600)의 상향링크 채널 관리부(653)는 S511 단계에서 수신한 PDCCH를 통해 SRS 종류를 확인한다(S513).
다음, 타겟 단말(600)의 상향링크 채널 관리부(653)는 TA2 및 제2 SRS 설정 파라미터에 따른 비주기적 제2 SRS를 생성한다(S515). 그리고 인접 기지국(200)에게 전송한다(S517).
다음, 인접 기지국(200)의 채널 추정부(253)는 비주기적 제2 SRS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채널을 추정한다(S519). 그리고 인접 기지국(200)의 보고부(255)는 S519 단계에서 추정한 결과를 기지국 제어 장치(500)에게 리포트한다(S521).
그러면, 기지국 제어 장치(500)의 처리부(555)는 S507 단계에서 리포트된 추정 결과 및 S521 단계에서 리포트된 추정 결과를 이용하여 멀티-상향링크 채널을 추정한다(S523).
한편, 도 7, 도 8에서 기지국 제어 장치(500)의 타겟 결정부(551)가 멀티-상향링크 채널 추정이 필요한 타겟 단말을 결정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타겟 단말 결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타겟 단말(600)의 하향링크 채널 관리부(655)는 현재 접속중인 서빙 셀의 하향링크 채널을 추정(S601)한다. 그리고 상향링크 제어 채널(PUCCH)을 통해 추정 결과를 서빙 기지국(100)에게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리포트한다(S603).
그러면, 서빙 기지국(100)의 보고부(157)는 S603 단계에서 수신한 추정 결과를 기지국 제어 장치(500)에게 리포트한다(S605).
다음, 기지국 제어 장치(500)의 타겟 결정부(551)는 S605 단계에서 수신한 하향링크 채널 추정 결과를 토대로 해당 단말이 멀티-상향링크 채널 추정이 필요한 타겟 단말(600)인지를 결정한다(S607).
예를 들어, 하향링크 채널 추정값이 기 정의된 임계 조건을 만족하면, 셀 경계에 위치한 단말로 판단하여 멀티-상향링크 채널 추정 지시가 필요한 단말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겟 단말 결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타겟 단말(600)의 하향링크 채널 관리부(655)는 현재 접속중인 서빙 셀의 하향링크 채널을 추정(S701)한다.
이때, 추정 결과가 기 정의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S703). 예를 들어, 단말의 이동에 따른 핸드오버 지원을 위한 특정 상황 즉 서빙 셀과의 하향링크 채널 추정 결과가 일정 임계값 이하가 될 경우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 기 정의된 조건을 만족하면, 타겟 단말(600)의 하향링크 채널 관리부(655)는 추정 결과를 상향링크 제어 채널(PUCCH)을 통해 서빙 기지국(100)에게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리포트한다(S705). 그러면, 서빙 기지국(100)의 보고부(157)는 S705 단계에서 수신한 추정 결과를 기지국 제어 장치(500)에게 리포트한다(S707).
또한, 타겟 단말(600)의 하향링크 채널 관리부(655)는 인접 셀의 하향링크 채널을 추정(S709)하고, 추정 결과를 인접 기지국(200)에게 리포트한다(S711). 그러면, 인접 기지국(200)의 보고부(255)는 S711 단계에서 수신한 추정 결과를 기지국 제어 장치(500)에게 리포트한다(S713).
그러면, 기지국 제어 장치(500)의 타겟 결정부(551)는 S707 단계 및 S713 단계에서 수신한 하향링크 채널 추정 결과를 토대로 해당 단말이 멀티-상향링크 채널 추정이 필요한 타겟 단말(600)인지를 결정한다(S715).
이처럼, 현재 접속을 맺고 있는 서빙 셀 뿐만 아니라 인접 셀에 대한 하향 링크 채널 추정 결과가 측정 리포트 알알씨 시그널링(measurement report RRC signaling)의 형태로 전송되도록 정의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겟 단말 결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인접 기지국(200)의 셀간섭 측정부(257)는 백홀(backhaul) 망을 통해 특정 상향링크 대역(UL band)에 대한 강한 셀간섭(interference) 신호가 측정(S801)되면, 측정 결과를 기지국 제어 장치(500)에게 리포트 한다(S803).
그러면, 기지국 제어 장치(500)의 타겟 결정부(551)는 S803 단계에서 리포트된 셀간섭 신호의 측정 결과를 토대로 멀티-상향링크 채널 추정이 필요한 타겟 단말(600)을 결정한다(S805).
따라서, 셀간섭(interference) 신호가 감지되는 특정 상향링크 대역에 스케쥴링된 단말에게 멀티-상향링크 채널 추정을 위한 데디케이티드 RACH 리소스(dedicated PRACH resource)를 할당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기지국이 상향링크 채널을 추정하는 방법으로서,
    서빙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물리 랜덤 접속 채널 프리엠블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빙 기지국이 상기 서빙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동기 정보인 제1 상향링크 동기 정보 외에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인접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동기 정보인 제2 상향링크 동기 정보를 추가적으로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빙 기지국이 상향링크 동기 정보 아이디 영역이 포함된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제2 상향링크 동기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빙 기지국이 셀 중첩 정도에 따라 결정된 두 개 이상의 상향링크 동기 정보 아이디 영역이 설정된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제2 상향링크 동기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랜덤 접속 채널 응답 메시지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 메시지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기지국이 상기 서빙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채널 추정을 위한 제1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 외에 추가적으로 인접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채널 추정을 위한 제2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를 상기 단말에게 할당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를 상기 단말에게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서빙 기지국이 상기 제1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 인지 또는 상기 제2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인지를 구분하기 위한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아이디 정보 영역이 포함된 단말 특정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제2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를 상기 단말에게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기지국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를 토대로 생성된 상기 제1 상향링크 동기 정보에 따른 제1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를 토대로 상향링크 채널을 추정한 결과를 기지국 제어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인접 기지국이 상기 서빙 기지국이 할당한 정보에 따라 생성된 물리 랜덤 접속 채널 프리엠블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접 기지국이 상기 물리 랜덤 접속 채널 프리엠블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상향링크 동기 정보를 측정하여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상향링크 동기 정보에 따라 생성된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를 이용하여 추정한 상향링크 채널 추정 결과를 기지국 제어 장치에게 리포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는,
    상기 서빙 기지국이 할당한 상기 인접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채널 추정을 위한 제2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설정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상향링크 동기 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
KR1020140127173A 2014-09-23 2014-09-23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 KR101862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173A KR101862839B1 (ko) 2014-09-23 2014-09-23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173A KR101862839B1 (ko) 2014-09-23 2014-09-23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067A Division KR101456700B1 (ko) 2012-09-10 2012-09-10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 및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036A true KR20140123036A (ko) 2014-10-21
KR101862839B1 KR101862839B1 (ko) 2018-05-30

Family

ID=51993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173A KR101862839B1 (ko) 2014-09-23 2014-09-23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8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0976A (ko) * 2021-02-01 2022-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38247B2 (en) * 2009-04-23 2015-01-20 Qualcomm Incorporated Sounding reference signal for coordinated multi-point op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2839B1 (ko) 201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657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transmissions in a wireless network
US11297521B2 (en) Determining and sending a measurement result performed per beam
CN105637939B (zh) 终端、基站、基站控制器及毫米波蜂窝通信方法
JP6618621B2 (ja) 非サービングキャリア周波数上でのd2d動作の適応化
JP6876150B2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通信するための無線デバイス、無線ネットワークノード、及びそれらで実行される方法
RU2619074C2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оценки мощности сигнала посредством масштабирования
KR101456700B1 (ko)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 및 통신 시스템
JP5899359B2 (ja) 通信制御方法、基地局及びユーザ端末
US1027812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small cell and apparatus for same
US10716078B2 (en) Wireless device, radio-network nod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for managing signa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6792717B2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搬送波を関連付け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5735127B2 (ja) 通信制御方法、基地局、及びユーザ端末
WO2014115459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無線基地局及びユーザ端末
EP2983423B1 (en)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US2014011931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active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KR101472101B1 (ko) 단말,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 및 통신 시스템
KR102197712B1 (ko) 셀 및 단말 디스커버리 방법
KR101862839B1 (ko)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
JP2017509225A (ja) Lteの方法および装置のための無線リソース管理(rrm)のさらに強化された非caベースのicicのためのセル交換
KR20140037692A (ko) 하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 기지국 장치 및 통신 시스템
OA18707A (en) Wireless device, radio-network nod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for managing signa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