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2149A - 보강토 블록 - Google Patents

보강토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2149A
KR20140122149A KR20130040887A KR20130040887A KR20140122149A KR 20140122149 A KR20140122149 A KR 20140122149A KR 20130040887 A KR20130040887 A KR 20130040887A KR 20130040887 A KR20130040887 A KR 20130040887A KR 20140122149 A KR20140122149 A KR 20140122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soil block
reinforcing soil
portions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0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수
Original Assignee
김두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수 filed Critical 김두수
Publication of KR20140122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1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18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18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setting wall or ceiling slabs or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02D2200/1657Shapes polygonal made from singl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이 발명에 따른 문양석 보강토 블록(200)은, 본체는 세멘트 재질로 이루어지며 전체 모양은 사다리꼴이고, 토지의 절개부나 경사면에서 토사의 유출 및 붕괴 방지용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이 발명의 보강토 블록(200)은,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 모양의 전면부(50); 위 전면부(50)와 반대 방향에 위치하며 전면부(60)와 세로 길이는 같으나 가로 길이는 전면부(50)의 가로 길이보다 짧은 후면부(30); 위 전면부(50) 양끝과 후면부(30) 양끝 사이를 서로 연결시켜 주는 두 개의 연결부(10); 위 두 연결부(10)의 중간부를 가로방향으로 서로 연결시켜 주는 중심부(60); 위 전면부(50), 중심부(60) 및 연결부(10)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공간부(42); 위 후면부(30), 중심부(60) 및 연결부(10)에 의해 형성되는 제2 공간부(43); 위 두 연결부(10)에 각각 하나씩 소정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 가운데 하나는 보강토 블록들(200)을 절반씩 겹쳐 쌓기할 때 바로 옆 보강토 블ㄹ록00')의 위 제1 공간부(42)에 끼워지고 다른 하나는 그 반대쪽의 바로 옆 보강토 블록(200'')의 위 제1 공간부(42)에 끼워져서 보강토 블록들(200)(200')(200'')이 서로 움직이지 않도록 해주는 제1 돌기부(40); 위 제1 돌기부(40)와 같은 높이와 크기로 위 후면(30)부의 가운데에 형성되어 위 보강토 블록의 야적시 블록의 균형을 잡아주기 위한 제2 돌기부(45); 위 전면부(50)에 소정의 결합수단(70)을 매개하여 부착되는 판재수단(20); 위 전면부(50)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보강수단(15)(16); 및 위 판재수단(20)의 이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보강수단(15')(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강토 블록{Retaining block}
이 발명은 보강토 블록에 대한 것이다. 특히 이 발명은 고유의 다양한 자연적인 색상을 갖는 문양석, 대리석 및 타일로 만들어진 보강토 블록에 대한 것으로 옹벽 등의 일반적인 보강재의 역할뿐만 아니라 보강재로 완성된 옹벽의 미적인 면까지 보강한 보강토 블록에 대한 것이다.
종래에는 세멘트 재질의 보강토 블록이 쓰였다. 그러나 이러한 세멘트 재질의 보강토 블록은 구조적인 면에서는 만족스러웠지만 이러한 보강토 블록으로 시공된 옹벽, 축대 등의 미적인 면까지는 만족시켜주지 못했다. 그래서 시공이 끝난 뒤 세멘트 재질의 보강토 블록 표면에 페인트로 그림을 그려주거나, 타일을 붙여주거나, 아니면 세멘트 보강토 블록의 표면에 일부 색을 가미하여 이들 보강토 블록의 조합에 의해 시공면의 미적인 면을 강조하는 것이 전부였다. 그러나 이러한 보강토 블록이 도시미관을 살리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이 있었다. 그래서 도시미관이 중요한 곳에서는 보강토 블록 공사가 끝난 뒤 타일공사를 추가적으로 시행하거나, 그림을 그려넣는 작업을 통하여 미적으로 부족한 부분을 보강해오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일은 이중으로 공사비가 들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부담이 갔고, 시공시간도 많이 걸렸다.
그리고 종래에는 시공 후 먼지가 끼면 물청소를 할 수가 없었다. 그리고 세멘트 블록 표면에 입힌 색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퇴색하여 외관이 지저분해 졌다. 그래서 이러한 점을 해결할 수 있는 보강토 블록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황익현의 등록특허 제10-0272803호 (2000.08.30 등록) "다공성 다짐콘크리트 포장 표면층의 미적(美的) 처리방법"은 이 분야와 관련되는 기술이기는 하나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알려주지는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의 신규성은 위 특허에 대해 유지된다고 볼 수 있다.
이 발명은 위에서 언급된 종래 보강토 블록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심미감, 구조적 강도, 시공의 편리성과 경제성, 시공 후 유지관리 및 보수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보강토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의 다른 목적과 장점은 아래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른 보강토 블록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본체는 세멘트 재질로 이루어지며 전체 모양은 사다리꼴이고, 토지의 절개부나 경사면에서 토사의 유출 및 붕괴 방지용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강토 블록에서,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 모양의 전면부;
위 전면부와 반대 방향에 위치하며 전면부와 세로 길이는 같으나 가로 길이는 전면부의 가로 길이보다 짧은 후면부;
위 전면부 양끝과 후면부 양끝 사이를 서로 연결시켜 주는 두 개의 연결부;
위 두 연결부의 중간부를 가로방향으로 서로 연결시켜 주는 중심부;
위 전면부, 중심부 및 연결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공간부;
위 후면부, 중심부 및 연결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2 공간부;
위 두 연결부에 각각 하나씩 소정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 가운데 하나는 보강토 블록들을 절반씩 겹쳐 쌓기할 때 바로 옆 보강토 블록의 위 제1 공간부에 끼워지고 다른 하나는 그 반대쪽의 바로 옆 보강토 블록의 위 제1 공간부에 끼워져서 보강토 블록들이 서로 움직이지 않도록 해주는 제1 돌기부;
위 제1 돌기부와 같은 높이와 크기로 위 후면부의 가운데에 형성되어 위 보강토 블록의 야적시 블록의 균형을 잡아주기 위한 제2 돌기부;
위 전면부에 소정의 결합수단을 매개하여 부착되는 판재수단;
위 전면부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보강수단; 및
위 판재수단의 이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보강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에서, 위 판재수단은 문양석, 대리석 및 타일 가운데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위 결합수단은 석재본드 또는 타일본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위 제1 결합보강수단은 소정 폭의 깊이 또는 높이를 갖고 서로 나란히 형성된 다수개의 직선형의 제1 오목부 또는 제1 돌기부이거나 또는 서로 병렬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제1 직선형 또는 제1 곡선형 스크래취들이거나 또는 평평한 전면부의 표면 가운데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위 제2 결합보강수단은 소정 폭의 깊이 또는 높이를 갖고 서로 나란히 형성된 다수개의 직선형의 제2 오목부 또는 제2 돌기부이거나 또는 서로 병렬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제2 직선형 또는 제2 곡선형 스크래취들이거나 또는 평평한 판재수단의 뒷표면 가운데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위 제1 결합보강수단 가운데 하나와 제2 결합보강수단 가운데 하나의 결합에 의해 전면부와 판재수단이 결합되며, 제1 결합보강수단의 제1 오목부는 제2 결합보강수단의 제2 볼록부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결합시 제2 볼록부가 제1 오목부에 끼워지며, 제1 결합보강수단의 제1 볼록부도 제2 결합보강수단의 제2 오목부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결합시 제1 볼록부가 제2 오목부에 끼워지며, 이때 제1 볼록부와 제2 오목부 쌍이 또는 제2 볼록부촤 제1 오목부 쌍이 서로 결합하는 경우 제1 및 제2 오목부에만 결합수단을 사용해도 판재수단과 전면부의 결합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위 보강토 블록 표면을 필요시 물로 세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위 보강토 블록의 시공후 필요시 보강토 블록 본체는 그대로 두고 판재수단만 제거한 뒤 다른 판재수단으로 교체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실시로 인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첫째, 시공 뒤 필요할 때마다 물청소가 가능하여 언제나 깨끗한 상태의 시공면을 볼 수 있어서 도시미관에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문양석의 자연색을 사용하므로 시간이 흘러도 시공면의 색이 바라지 않는다.
셋째, 별도의 타일작업, 페인트작업, 보강작업 등이 필요없어서 경제적이다.
넷째,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경제적이다.
다섯째, 시공표면이 석재이므로 종래 세멘트 재질의 경우보다 수명이 훨씬 길다.
여섯째, 다양한 색상의 문양석을 사용할 수 있어서 도시미관을 밝게 해 줄 수 있다.
일곱째, 물 세척이 가능하다.
여덟째, 타일을 보강토 블록 표면에 사용할 경우 더 다양한 문양표현이 가능하여 심미감이 향상된다.
도 1a는 이 발명에 따른 보강토 블록 본체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
도 1b는 이 발명에 따른 보강토 블록 본체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
도 1c는 이 발명에 따른 보강토 블록 본체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
도 1d는 이 발명에 따른 보강토 블록 본체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
도 1e는 이 발명에 따른 보강토 블록 본체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
도 2a는 도 1a 내지 도 1e에 적용되는 이 발명에 따른 판재수단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
도 2b는 도 1a 내지 도 1e에 적용되는 이 발명에 따른 판재수단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
도 2c는 도 1a 내지 도 1e에 적용되는 이 발명에 따른 판재수단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
도 2d는 도 1a 내지 도 1e에 적용되는 이 발명에 따른 판재수단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
도 2e는 도 1a 내지 도 1e에 적용되는 이 발명에 따른 판재수단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
도 3a는 도 1a의 블록 본체와 도 2a의 판재수단을 이용한 이 발명에 따른 보강토 블록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
도 3b는 도 1b의 블록 본체와 도 2b의 판재수단을 이용한 이 발명에 따른 보강토 블록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
도 3c는 도 1c의 블록 본체와 도 2c의 판재수단을 이용한 이 발명에 따른 보강토 블록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
도 3d는 도 1d의 블록 본체와 도 2d의 판재수단을 이용한 이 발명에 따른 보강토 블록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
도 3e는 도 1e의 블록 본체와 도 2e의 판재수단을 이용한 이 발명에 따른 보강토 블록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
도 4는 이 발명에 따른 보강토 블록을 이용해 축대를 쌓은 경우의 예시도.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보강토 블록 본체의 구성 및 동작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발명에 따른 보강토 블록(200)은 크게 본체(100)와 판재수단(20)으로 이루어진다. 이 발명에서는 본체(100)와 판재수단(20)을 다양하게 구성하고, 이들의 결합에 의해 더 다양한 구성의 보강토 블록이 얻어진다.
1. 보강토 블록 본체의 구성
도 1a는 이 발명에 따른 보강토 블록 본체(100)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본체(100)는 세멘트 재질로 이루어지며 전체 모양은 사다리꼴이고, 토지의 절개부나 경사면에서 토사의 유출 및 붕괴 방지용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발명의 보강토 블록 본체(100)는,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 모양의 전면부(50); 위 전면부(50)와 반대 방향에 위치하며 전면부(50)와 세로 길이는 같으나 가로 길이는 전면부(50)의 가로 길이보다 짧은 후면부(30); 위 전면부(50) 양끝과 후면부(30) 양끝 사이를 서로 연결시켜 주는 두 개의 연결부(10); 위 두 연결부(10)의 중간부를 가로방향으로 서로 연결시켜 주는 중심부(60); 위 전면부(50), 중심부(60) 및 연결부(10)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공간부(42); 위 후면부(30), 중심부(60) 및 연결부(10)에 의해 형성되는 제2 공간부(43); 위 두 연결부(10)에 각각 하나씩 소정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 가운데 하나는 보강토 블록들(200)을 서로 절반씩 겹쳐 쌓기할 때 바로 옆 보강토 블록(200')의 위 제1 공간부(42')에 끼워지고 다른 하나는 그 반대쪽의 바로 옆 보강토 블록(200'')의 위 제1 공간부(42'')에 끼워져서 보강토 블록들(200)(200')(200'')이 서로 움직이지 않도록 해주는 제1 돌기부(40); 위 제1 돌기부(40)와 같은 높이와 크기로 위 후면부(30)의 가운데에 형성되어 위 보강토 블록(200)의 야적시 블록(200)의 수평방향 균형을 잡아주기 위한 제2 돌기부(45); 위 전면부(50)에 소정의 결합수단(70)을 매개하여 부착되는 판재수단(20); 위 전면부(50)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보강수단(15); 및 위 판재수단(20)의 이면(20')에 형성되는 제2 결합보강수단(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전면부(50)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제1 결합보강수단 즉 오목부(15)가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들(15)은 판재수단(20)과 전면부(5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70)의 결합력을 보강해주기 위한 수단이다. 이 오목부(15)들이 있음으로 해서 이 틈새에 결합수단(예로서 석재본드 또는 타일본드)(70)이 삽입되어 보다 강력한 접착력이 발생하게 된다.
도 1b는 이 발명에 따른 보강토 블록 본체(100)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준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면부(50)의 표면에 다수의 선형 스크래취들(18)이 서로 병렬로 배열되어 있다. 이 스크래취들(18)의 목적도 역시 결합수단(70)에 의해 판재수단(20)이 전면부(50)에 강력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다.
도 1c는 이 발명에 따른 보강토 블록 본체(100)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준다. 이 예에서는 스크래취들(19)이 곡선형인 것이 제2실시예와 차이점이다.
도 1d는 이 발명에 따른 보강토 블록 본체(100)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 실시예는 전면부(50)에 아무런 추가적인 구성이 이루어져 있지 아니하다. 즉 이 실시예는 평평한 전면부(50)를 갖고 있다.
도 1e는 전면부(50)에 다수의 돌기부(16)가 형성되어 있는 제5 실시예를 보여준다.
2. 판재수단의 구성
도 2a는 도 1a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이 발명에 따른 판재수단(20)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여준다. 물론 도 2a는 도 1b 내지 도 1e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 예에서는 판재수단(20)의 이면(20')에 다수개의 볼록부(15')가 형성된다. 따라서 볼록부(15')와 오목부(15)는 서로 끼워지게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b는 도 1b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이 발명에 따른 판재수단(20)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여준다. 물론 도 2b는 도 1a 내지 도 1e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 예에서는 판재수단(20)의 이면(20')에 다수개의 선형 스크래취들(18')이 서로 병렬로 배열되어 있다. 이 스크래취들(18')의 목적도 역시 결합수단(70)에 의해 판재수단(20)이 전면부(50)에 강력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다.
도 2c는 도 1c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이 발명에 따른 판재수단(20)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를 보여준다. 물론 도 2c는 도 1a 내지 도 1e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 예에서는 판재수단(20)의 이면(20')에 다수개의 곡선형 스크래취들(19')이 서로 병렬로 배열되어 있다. 이 스크래취들(19')의 목적도 역시 결합수단(70)에 의해 판재수단(20)이 전면부(50)에 강력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다.
도 2d는 도 1d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이 발명에 따른 판재수단(20)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를 보여준다. 물론 도 2d는 도 1a 내지 도 1e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 예에서는 판재수단(20)과 전면(50)이 결합수단(70)에 의해 강력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2e는 도 1e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이 발명에 따른 판재수단(20)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를 보여준다. 물론 도 2e는 도 1a 내지 도 1e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 예에서는 판재수단(20)의 이면부에 다수개의 오목부(16')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오목부(16')는 본체(50) 표면의 볼록부(16)들과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서로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강력한 결합력이 얻어진다.
3. 보강토 블록의 구성
도 3a는 도 1a의 블록 본체(100)와 도 2a의 판재수단(20)을 이용한 이 발명에 따른 보강토 블록(200)의 예를 보여준다. 이 예에서는 전면부(50)의 오목부(15)에 돌기부(15')가 삽인된 상태의 예시도를 보여준다.
도 3b는 도 1b의 블록 본체(100)와 도 2b의 판재수단(20)을 이용한 이 발명에 따른 보강토 블록(200)의 예를 보여준다. 이 예에서는 전면부(50)의 직선형 스크래취(18)와 이면(20')의 직선형 스크래취(18') 사이에 결합수단(70)을 써서 본체 전면부(50)와 판재수단(20)이 결합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 3c는 도 1c의 블록 본체(100)와 도 2c의 판재수단(20)을 이용한 이 발명에 따른 보강토 블록(200)의 예를 보여준다. 이 예에서는 전면부(50)의 곡선형 스크래취(19)와 이면(20')의 곡선형 스크래취(19') 사이에 결합수단(70)을 써서 본체 전면부(50)와 판재수단(20)이 결합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 3d는 도 1d의 블록 본체(100)와 도 2d의 판재수단(20)이 결합한 보강토 블록(200)의 예를 보여준다.
도 3e는 도 1e의 블록 본체(100)와 도 2e의 판재숟ㄴ(20)이 결합한 보강토 블록(200)의 예를 보여준다. 볼록부(16)가 오목부(16')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있어서 강력한 결합력이 얻어진다.
그리고 도 4는 이 발명에 따른 보강토 블록들(200)을 이용해 축대를 쌓은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처럼 이 발명에 의한 보강토 블록(200)을 이용하면 원하는 그림을 다양한 색상으로 그릴 수 있고, 이 색상이 천역색이므로 시간이 지나도 변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필요할 때마다 물로 청소를 해 줄 수 있어서 항상 깔끔한 생태로 벽면을 유지할 수 있어서 도시 미관에 좋다.
한편 위에서는 주로 위 판재수단(20)으로 문양석을 언급했으나 문양석 외에 대리석과 타일도 판재수단(20)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판재수단(20)과 본체(100)의 결합수단(70)으로는 석재본드 또는 타일본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발명에서 사용되는 문양석은 다양한 색을 가지며 이 색들은 자연에 의해 형성되어 색감이 변동되지 않고, 필요시 보강토 블록(200) 표면을 물로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의 보강토 블록(200)에서는 필요시 판재수단(20)을 본체(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서 설치되어 있는 본체(100)에 다른 색상의 판재수단(20)을 부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이처럼 이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위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이 발명은 위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이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발명에 따른 보강토 블록은 절개지 등에서 토사 유출 또는 붕괴 방지용 공사 등을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도시 미관이 중시되는 곳에서는 그 효용가치가 높다.
10: 연결부
15,15': 오목부
16,16': 볼록부
18,18': 직선형 스크래취
19,19': 곡선형 스크래취
20: 판재수단 정면
20': 판재수단 이면
30: 후면부
40,45: 돌기부
42,43: 공간부
50: 전면부
60: 중심부
70: 결합수단
100: 본체
200,200',200'': 보강토 블록

Claims (8)

  1. 본체는 세멘트 재질로 이루어지며 전체 모양은 사다리꼴이고, 토지의 절개부나 경사면에서 토사의 유출 및 붕괴 방지용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강토 블록에서,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 모양의 전면부;
    위 전면부와 반대 방향에 위치하며 전면부와 세로 길이는 같으나 가로 길이는 전면부의 가로 길이보다 짧은 후면부;
    위 전면부 양끝과 후면부 양끝 사이를 서로 연결시켜 주는 두 개의 연결부;
    위 두 연결부의 중간부를 가로방향으로 서로 연결시켜 주는 중심부;
    위 전면부, 중심부 및 연결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공간부;
    위 후면부, 중심부 및 연결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2 공간부;
    위 두 연결부에 각각 하나씩 소정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 가운데 하나는 보강토 블록들을 절반씩 겹쳐 쌓기할 때 바로 옆 보강토 블록의 위 제1 공간부에 끼워지고 다른 하나는 그 반대쪽의 바로 옆 보강토 블록의 위 제1 공간부에 끼워져서 보강토 블록들이 서로 움직이지 않도록 해주는 제1 돌기부;
    위 제1 돌기부와 같은 높이와 크기로 위 후면부의 가운데에 형성되어 위 보강토 블록의 야적시 블록의 균형을 잡아주기 위한 제2 돌기부;
    위 전면부에 소정의 결합수단을 매개하여 부착되는 판재수단;
    위 전면부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보강수단; 및
    위 판재수단의 이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보강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블록.
  2. 제 1항에서, 위 판재수단은 문양석, 대리석 및 타일 가운데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블록.
  3. 제 1항에서, 위 결합수단은 석재본드 또는 타일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블록.
  4. 제 1항에서, 위 제1 결합보강수단은 소정 폭의 깊이 또는 높이를 갖고 서로 나란히 형성된 다수개의 직선형의 제1 오목부 또는 제1 돌기부이거나 또는 서로 병렬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제1 직선형 또는 제1 곡선형 스크래취들이거나 또는 평평한 전면부의 표면 가운데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블록.
  5. 제 1항에서, 위 제2 결합보강수단은 소정 폭의 깊이 또는 높이를 갖고 서로 나란히 형성된 다수개의 직선형의 제2 오목부 또는 제2 돌기부이거나 또는 서로 병렬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제2 직선형 또는 제2 곡선형 스크래취들이거나 또는 평평한 판재수단의 뒷표면 가운데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블록.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서, 위 제1 결합보강수단 가운데 하나와 제2 결합보강수단 가운데 하나의 결합에 의해 전면부와 판재수단이 결합되며, 제1 결합보강수단의 제1 오목부는 제2 결합보강수단의 제2 볼록부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결합시 제2 볼록부가 제1 오목부에 끼워지며, 제1 결합보강수단의 제1 볼록부도 제2 결합보강수단의 제2 오목부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결합시 제1 볼록부가 제2 오목부에 끼워지며, 이때 제1 볼록부와 제2 오목부 쌍이 또는 제2 볼록부촤 제1 오목부 쌍이 서로 결합하는 경우 제1 및 제2 오목부에만 결합수단을 사용해도 판재수단과 전면부의 결합이 유지되는 것이 특징인, 보강토 블록.
  7. 제 1항에서, 위 보강토 블록 표면을 필요시 물로 세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블록.
  8. 제 1항에서, 위 보강토 블록의 시공후 필요시 보강토 블록 본체는 그대로 두고 판재수단만 제거한 뒤 다른 판재수단으로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블록.
KR20130040887A 2013-04-03 2013-04-15 보강토 블록 KR201401221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2493 2013-04-03
KR2020130002493 2013-04-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149A true KR20140122149A (ko) 2014-10-17

Family

ID=51993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0887A KR20140122149A (ko) 2013-04-03 2013-04-15 보강토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21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065B1 (ko) * 2020-11-19 2021-10-14 공학봉 천연 대리석 및 2종류의 다른 원자재가 결합된 전면부재를 연결핀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보강토 블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065B1 (ko) * 2020-11-19 2021-10-14 공학봉 천연 대리석 및 2종류의 다른 원자재가 결합된 전면부재를 연결핀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보강토 블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6878B1 (ko) 조립식 타일 결합체
CN204875847U (zh) 一种预制装配式挡土墙
JP2006283541A (ja) 貼着仕上げ材の下地部材本体と、その貼着仕上げ材の下地部材本体を使用した仕上げ工法。
CN201184038Y (zh) 移动拼铺式天然石材复合型地板
KR20110064350A (ko) 석재 접합식 타일
CN204282152U (zh) 一种透水结构地面
KR20110002580A (ko) 자연석재를 전면에 부착한 옹벽블럭
KR20140122149A (ko) 보강토 블록
CN102003055A (zh) 一种反面带凸条或凸块或凹洞的瓷砖或装饰石材
KR102409262B1 (ko) 전면 대리석 장식패널 조립 및 교체가 가능한 보강토 옹벽블럭
CN110593041A (zh) 一种连接稳定且美观的环保砖
KR20130011230A (ko) 건설용 석재블록
CN205189002U (zh) 一种检查井组合砌块
CN203834712U (zh) 一种聚氨酯外墙防水保温板
CN206346433U (zh) 一种龙骨式的快速铺装复合板
CN110318522A (zh) 一种复合型瓷砖快速铺贴结构
CN104480828A (zh) 透水地坪伸缩缝结构及其施工方法
CN210712917U (zh) 一种劈裂挡土砌块
CN204040297U (zh) 地面、建筑墙及建筑装饰面用装饰块
WO2004072395A8 (es) Junta de dilatacion para obras de hormigon
JP3141199U (ja) 歩道用路板材
KR20200113948A (ko) 건축구조물 내ㆍ외면에 다양한 문양을 형성하는 시공방법
CN207567591U (zh) 一种互锁透水砖
CN204898466U (zh) 砖砌联合花岗岩路缘石
CN204060149U (zh) 建筑工地上的防护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121

Effective date: 20160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