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1685A - 톤백 - Google Patents

톤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1685A
KR20140121685A KR20130038228A KR20130038228A KR20140121685A KR 20140121685 A KR20140121685 A KR 20140121685A KR 20130038228 A KR20130038228 A KR 20130038228A KR 20130038228 A KR20130038228 A KR 20130038228A KR 20140121685 A KR20140121685 A KR 20140121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binding
opening groove
body part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8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우섭
Original Assignee
진우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우섭 filed Critical 진우섭
Priority to KR20130038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1685A/ko
Publication of KR20140121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16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4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self-locking integral or attached closure elements, e.g.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톤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학원료, 곡물, 비료 등과 같은 분말재를 충진한 후 정해진 장소에 토출하는 톤백을 보관 및 이송시, 그 톤백 내부에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간편하게 정해진 장소에 분말재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톤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톤백은, 분말로 이루어진 다양한 분말재(10)가 내부에 충진되도록 공간을 갖고 상부가 개구되는 내피개구홈(112)을 갖는 내피백(110)과, 상기 내피백(110)의 외면을 감싸면서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되는 외피개구홈(122)을 갖는 외피백(120)을 갖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상기 내피개구홈(112)에 형성되어 내부를 밀폐 가능하게 하는 밀폐부(200); 상기 몸체부(100)의 상기 외피개구홈(122)에 형성되어 상기 외피개구홈(122)을 결속하는 결속부(300); 및 상기 내피백(110) 하부의 하면과 상기 외피백(120) 하부의 상면이 상호 융착되면서 상기 몸체부(100)의 하부가 개구된 상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바닥면(450)과, 상기 바닥면(450)과 실(30)에 의해 박음질로 연결되면서 상기 바닥면(450)의 개구된 부위를 폐쇄하는 연결면(410)을 갖고, 상기 실(30)이 제거되면 상기 연결면(410)이 상기 몸체부(100)의 하면에서 이탈되어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충진된 상기 분말재(10)가 외부로 토출 되도록 하는 토출부(4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톤백{TON BAG}
본 발명은 톤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학원료, 곡물, 비료 등과 같은 분말재를 충진한 후 정해진 장소에 토출하는 톤백을 보관 및 이송시, 그 톤백 내부에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간편하게 정해진 장소에 분말재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톤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톤백이라는 것은 1톤 이상의 내용물을 담는 포대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통상 곡물류도 이러한 톤백에 담아서 이동하거나 보관할 때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톤백에는 화학원료, 곡물, 비료 등과 같은 분말 형태의 내용물이 적재, 보관, 운반, 포장되어 사용되게 되고, 통상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자루 형태로 만들어지며, 외부백의 내부에 추가적인 내부백이 구비되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소금이나 염화칼슘과 같은 제설용 제설제도 톤백에 담긴 상태로 창고에 보관하였다가 필요시에는 사용하게 된다.
이때, 제설제가 담긴 톤백은 작업자가 들 수 없는 상당한 중량을 가지기 때문에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제설차량의 적재함으로 옮겨서 개봉한 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작업자가 제설차량의 적재함에 올라가 톤백의 하단부를 낫이나 칼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일일이수작업으로 절개하여 개봉 되게 함으로써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인부가 톤백을 수작업으로 절개할 때 톤백 하단부를 절개하기 때문에 상당한 낙하하중을 받고 있는 내부 분말재가 순간적으로 쏟아지게 되므로 매우 위험하고 이에 따른 안전사고가 발생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톤백의 내부에 분말재를 충진 시킨 후 보관 또는 이동시 이중으로 이루어진 내부백과 외부백의 상부를 별도로 일일이 묶어 사용해야하고, 이렇게 상부가 묶인다 하더라도 완전이 밀봉되지 않아 내부로 습기가 침투하여 분말재가 경화되거나 그 기능을 온전히 하지 못하고 훼손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 10-1080204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톤백 내부에 충진된 분말재에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톤백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톤백은, 내부에 분말재가 충진 된 톤백을 보관 이동시 톤백을 완전히 밀봉되도록 하면서도, 그 밀봉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톤백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톤백은, 톤백 내부에 분말재를 충진하고 밀봉한 후 그 분말재가 지정된 장소에 간편하게 토출 되도록 하는 톤백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톤백은, 분말로 이루어진 다양한 분말재(10)가 내부에 충진되도록 공간을 갖고 상부가 개구되는 내피개구홈(112)을 갖는 내피백(110)과, 상기 내피백(110)의 외면을 감싸면서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되는 외피개구홈(122)을 갖는 외피백(120)을 갖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상기 내피개구홈(112)에 형성되어 내부를 밀폐 가능하게 하는 밀폐부(200); 상기 몸체부(100)의 상기 외피개구홈(122)에 형성되어 상기 외피개구홈(122)을 결속하는 결속부(300); 및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충진된 상기 분말재(10)가 외부로 토출 되도록 하는 토출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내피백(110) 하부의 하면과 상기 외피백(120) 하부의 상면이 상호 융착되면서 상기 몸체부(100)의 하부가 개구된 상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바닥면(450)과, 상기 바닥면(450)과 실(30)에 의해 박음질로 연결되면서 상기 바닥면(450)의 개구된 부위를 폐쇄하는 연결면(410)을 갖고, 상기 실(30)이 제거되면 상기 연결면(410)이 상기 몸체부(100)의 하면에서 이탈되어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충진된 상기 분말재(10)가 외부로 토출 되도록 하는 토출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내피백(110)의 상부와, 상기 내피백(110)의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외피백(120)이 상호 부분적으로 융착 되면서 실(30)에 의해 박음질 되어 상기 몸체부(100)의 측면과 상면의 경계를 이루는 경계면(150)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내피백(110)의 하부와, 상기 내피백(110)의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외피백(120)이 상호 부분적으로 융착 되면서 상기 실(30)에 의해 박음질 되어 상기 몸체부(100)의 측면과 상면의 경계를 이루는 지지면(160)을 포함하고, 상기 경계면(150)과 상기 지지면(160)은, 박음질 된 형태가 상호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다.
상기 밀폐부(200)는, 상기 내피백(110)의 상기 내피개구홈(112)의 상부에 기둥형태로 연결 구비되는 투입구(210)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부(300)는, 상기 외피백(120)의 상기 외피개구홈(122)의 상부에 상기 투입구(210)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투입구(210)를 감싸는 결속구(310)를 포함한다.
상기 밀폐부(200)는, 상기 내피백(110)의 내부가 외부로부터 밀폐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투입구(210)의 상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딩지퍼(220)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구(210)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절첩선(230)과, 상기 절첩선(230)을 따라 포개지도록 절첩 되는 절첩면(2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투입구(210)는, 상기 절첩선(230)을 따라 절첩 되는 상기 절첩면(240)이 절첩 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투입구(210)와 상기 내피백(110)을 상호 연결하며 형성되는 벨크로(250)가 더 포함된다.
상기 결속부(300)는, 상기 결속구(310)의 상부에 배치되되, 평 단면이 절개된 원형을 갖는 튜브 형태의 결속관(320)과, 상기 결속구(310)의 상부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결속관(320)의 외면을 감싸는 수용면(330)과, 선단과 말단이 상기 결속관(320)의 외부에 노출되고, 그 선단과 말단 사이 부분이 상기 결속관(320)의 내부로 진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결속끈(340)과, 상기 결속끈(340)의 선단과 말단을 동시에 감싸면서 상기 결속끈(340) 상에서 상기 수용면(330)을 가압하는 조임편(3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밀폐부(200)는, 상기 내피개구홈(112)의 인접한 위치의 상기 내피백(110) 외면에 별도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투입구(210)와 상기 결속구(31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구(210)가 접힐 경우 상기 투입구(210)를 덮으면서 감싸는 덮개(2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토출부(400)는, 상기 내피백(110) 하부의 하면과 상기 외피백(120) 하부의 상면이 상호 융착되면서 상기 몸체부(100)의 하부가 개구된 상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바닥면(450)과, 상기 바닥면(450)과 실(30)에 의해 박음질로 연결되면서 상기 바닥면(450)의 개구된 부위를 폐쇄하는 연결면(410)을 포함하고, 상기 실(30)이 제거되면 상기 연결면(410)이 상기 몸체부(100)의 하면에서 이탈되어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충진된 상기 분말재(10)가 외부로 토출 된다.
상기 연결면(410)은, 상기 연결면(410) 사방의 둘레를 이루는 테두리(412)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테두리(412)가 상기 바닥면(450)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실(30)에 의해서만 상기 바닥면(450)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톤백은,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 톤백 내부에 충진된 분말재에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여 분말재가 변형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톤백은,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 톤백을 내부와 외부로 밀봉하면서도 그 밀봉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톤백은,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 톤백의 내부에 충진 된 분말재가 지정된 장소에 간편하게 토출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능률을 높이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톤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톤백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톤백의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톤백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톤백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톤백의 또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화학원료, 곡물, 비료 등과 같은 분말재를 충진한 후 정해진 장소에 토출하는 톤백을 보관 및 이송시, 그 톤백 내부에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간편하게 정해진 장소에 분말재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톤백 [특히, 밀폐부 ]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톤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톤백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톤백(ton bag)은 내부에 화학원료, 비료, 곡물 등 분말로 이루어진 다양한 분말재(10)가 1톤 이상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자루이다.
이러한 톤백은 종이, 가죽,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분말재(10)를 수용한 채로 이동 보관한 후 지정된 장소에 토출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톤백은, 분말로 이루어진 다양한 분말재(10)가 내부에 충진 되도록 공간을 갖는 몸체부(100)를 갖는다.
이러한 상기 몸체부(100)는, 상부가 개구되는 내피개구홈(112)을 갖는 내피백(110)과, 상기 내피백(110)의 외면을 감싸면서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되는 외피개구홈(122)을 갖는 외피백(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00)는 종이, 가죽,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에 충진 되는 상기 분말재(10)의 종류에 따라 상기 내피백(110)과 상기 외피백(120)의 내면에 각각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의 코팅층(미도시)이 코팅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원기둥 형태 또는 사각 기둥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피백(110)은, 상기 분말재(10)가 상기 내피백(110)의 내부로 진입한 후 외부의 이물질이 진입되는 것을 차단한 채로 상기 분말재(10)를 보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외피백(120)은, 상기 내피백(110)의 외면을 감싸면서 상기 내피백(110)의 내부에 충진 된 상기 분말재(10)가 더욱 견고하게 보관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몸체부(100)의 이동시 상기 내피백(110)이 상기 분말재(10)의 중량에 의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에 상기 분말재(10)를 충진 한 후, 상기 몸체부(100)를 밀폐함으로써 상기 분말재(10)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100)의 상기 내피개구홈(112)에 형성되어 내부를 밀폐 가능하게 하는 밀폐부(20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밀폐부(200)를 통해 상기 내피백(110)이 밀폐된 후, 상기 외피백(120)은 고무,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결속끈(340)을 통해 개구된 부위가 조여지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몸체부(100)의 상기 외피개구홈(122)에 형성되어 상기 외피개구홈(122)을 결속하는 결속부(300)가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에 충진 된 상기 분말재(10)는, 보관 및 이동 후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상기 몸체부(100)의 하면에 형성되는 토출부(400)를 통해 상기 분말재(10)를 토출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토출부(400)는, 상기 내피백(110) 하부의 하면과 상기 외피백(120) 하부의 상면이 상호 융착되면서 상기 몸체부(100)의 하부가 개구된 상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바닥면(450)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토출부(400)는, 상기 바닥면(450)과 실(30)에 의해 박음질로 연결되면서 상기 바닥면(450)의 개구된 부위를 폐쇄하는 연결면(410)을 갖고, 상기 실(30)이 제거되면 상기 연결면(410)이 상기 몸체부(100)의 하면에서 이탈되어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충진된 상기 분말재(10)가 외부로 토출 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바닥면(450)과 상기 연결면(410)은, 상기 내피백(110)과 상기 외피백(120)이 상호 융착 되어 완성될 수 있고, 상기 연결면(410)의 면적은 상기 바닥면(450)의 개구된 부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면(410)은, 상기 바닥면(450)과 동일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내피백(110)의 상부와, 상기 내피백(110)의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외피백(120)이 상호 부분적으로 융착 되면서 상기 실(30)에 의해 박음질 되어 상기 몸체부(100)의 측면과 상면의 경계를 이루는 경계면(150)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내피백(110)의 하부와, 상기 내피백(110)의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외피백(120)이 상호 부분적으로 융착 되면서 상기 실(30)에 의해 박음질 되어 상기 몸체부(100)의 측면과 상면의 경계를 이루는 지지면(16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경계면(150)과 상기 지지면(160)은, 상호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다.
즉, 상기 경계면(150)과 상기 지지면(160)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몸체부(10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경계면(150)과 상기 지지면(160)은 상기 몸체부(100)의 형태를 형성하기도 하지만, 상기 내피백(110)과 외피백(120)이 상호 견고하게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병행하여 수행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경계면(150)과 상기 지지면(160)은, 상기 내피백(110)과 외피백(120)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분말재(10)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분말재(10)를 더욱 견고하게 보관 및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밀폐부(200)는, 상기 내피백(110)의 상기 내피개구홈(112)의 상부에 기둥형태로 연결 구비되는 투입구(210)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부(300)는, 상기 외피백(120)의 상기 외피개구홈(122)의 상부에 상기 투입구(210)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투입구(210)를 감싸는 결속구(3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결속부(300)는, 상기 결속끈(340)의 선단과 말단을 동시에 감싸면서 상기 결속끈(340) 상에서 유동 되면서 상기 결속끈(340)이 상기 결속구(310)의 개구 된 상부를 조이도록 하는 조임편(350)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분말재(10)는 상기 몸체부(100)의 상기 투입구(210)를 통해 상기 내피백(110)의 내부로 진입되어 충진 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분말재(10)가 상기 내피백(110)의 내부로 진입되어 충진 되면 상기 투입구(210)는 밀폐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피백(110)의 내부로 진입되어 충진 된 후 밀폐된 채로 보관되는 상기 분말재(1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지정된 위치에서 상기 토출부(400)를 통해서 상기 몸체부(100)의 외부로 토출 되게 된다.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분말재(10)가 상기 내피백(110)의 내부로 진입되어 충진 된 후 상기 투입구(210)를 밀폐하기 위해서, 상기 투입구(210)의 상부에는, 상기 내피백(110)의 내부가 외부로부터 밀폐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투입구(210)를 개폐하는 슬라이딩지퍼(220)가 형성된다.
즉, 상기 분말재(10)가 상기 투입구(210)를 통해 상기 내피백(110)으로 진입시에는 상기 투입구(210)에서 상기 슬라이딩지퍼(220)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투입구(210)를 열게 된다.
반대로, 상기 분말재(10)가 상기 내피백(110)으로 충진 되면 상기 투입구(210)에서 상기 슬라이딩지퍼(220)를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투입구(210)를 폐쇄하게 된다.
특히, 상기 투입구(210)의 형태는 상기 분말재(10)가 상기 투입구(210)를 통해 상기 내피백(110)으로 원활하게 진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 상부가 하부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폐부(200)를 통해 상기 내피백(110)이 밀폐된 후, 상기 외피백(120)의 상기 결속부(300)의 상기 결속끈(340)이 상기 결속구(310)를 조임으로써, 상기 결속구(310)는 상기 투입구(210)에 견고하게 밀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밀폐부(200)와 결속부(300) 및 토출부(400)에 대한 내용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톤백의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도 3을 살펴보면,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에 상기 분말재(10)를 충진 한 후, 상기 몸체부(100)를 밀폐함으로써 상기 분말재(10)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100)의 상기 내피개구홈(112)에 형성되어 내부를 밀폐 가능하게 하는 밀폐부(20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밀폐부(200)를 통해 상기 내피백(110)이 밀폐된 후, 상기 외피백(120)은 고무,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결속끈(340)을 통해 개구된 부위가 조여지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몸체부(100)의 상기 외피개구홈(122)에 형성되어 상기 외피개구홈(122)을 결속하는 결속부(300)가 형성된다.
상기 밀폐부(200)는, 상기 내피백(110)의 상기 내피개구홈(112)의 상부에 기둥형태로 연결 구비되는 투입구(2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결속부(300)는, 상기 외피백(120)의 상기 외피개구홈(122)의 상부에 상기 투입구(210)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투입구(210)를 감싸는 결속구(3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말재(10)가 상기 내피백(110)의 내부로 진입되어 충진 된 후 상기 투입구(210)를 밀폐하기 위해서, 상기 투입구(210)의 상부에는, 상기 내피백(110)의 내부가 외부로부터 밀폐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투입구(210)를 개폐하는 슬라이딩지퍼(220)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투입구(210)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절첩선(230)과, 상기 절첩선(230)을 따라 포개지도록 절첩 되는 절첩면(24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절첩선(230)과 상기 절첩면(240)은, 상기 슬라이딩지퍼(220)를 통해 밀폐된 상기 내피백(110)을 이중으로 밀폐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다수 개의 상기 절첩선(230)을 따라 접히는 상기 절첩면(240)으로 인해 상기 투입구(210)는 접히면서 포개지게 되어 상기 투입구(210)의 외부에서 이물질이 상기 내피백(110)의 내부로 진입되는 것을 견고하게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절첩선(230)을 따라 상기 절첩면(240)이 포개져 상기 투입구(210)가 접히게 된 후, 상기 결속구(310)는 상기 결속끈(340)에 의해 조여져 상기 투입구(210)의 상부를 감싸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톤백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도 4를 살펴보면, 밀폐부(200)는,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에 상기 분말재(10)를 충진 한 후, 상기 몸체부(100)를 밀폐하게 된다.
상기 밀폐부(200)의 슬라이딩지퍼(220)가 내피백(110)의 내피개구홈(112)에 구비된 투입구(210)의 상부를 밀폐하게 되면, 외피백(120)의 외피개구홈(122)에 구비된 결속부(300)의 결속구(310)가 결속끈(340)에 의해 조여지면서 상기 결속구(310)는 상기 투입구(210)의 상면에 밀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투입구(210)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절첩선(230)과, 상기 절첩선(230)을 따라 포개지도록 절첩 되는 절첩면(24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절첩선(230)과 상기 절첩면(240)은, 상기 슬라이딩지퍼(220)를 통해 밀폐된 상기 내피백(110)을 이중으로 밀폐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다수 개의 상기 절첩선(230)을 따라 접히는 상기 절첩면(240)으로 인해 상기 투입구(210)는 접히면서 포개지게 되어 상기 투입구(210)의 외부에서 이물질이 상기 내피백(110)의 내부로 진입되는 것을 견고하게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투입구(210)는, 상기 절첩선(230)을 따라 절첩 되는 상기 절첩면(240)이 절첩 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투입구(210)와 상기 내피백(110)을 상호 연결하며 형성되는 벨크로(250)를 더 포함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절첩선(230)을 따라 상기 절첩면(240)이 포개져 상기 투입구(210)가 접히게 되면, 상기 벨크로(250)가 상기 투입구(210)와 상기 내피백(110)를 상호 연결되면서 상기 투입구(210)가 접힌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벨크로(250)를 통해, 상기 투입구(210)가 접힌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면서 상기 투입구(210)의 외부에서 상기 내피백(110)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추가 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절첩선(230)을 따라 상기 절첩면(240)이 포개져 상기 투입구(210)가 접히고, 상기 벨크로(250)를 통해 상기 투입구(210)가 접힌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결속구(310)는 상기 결속끈(340)에 의해 조여져 상기 투입구(210)의 상부를 감싸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톤백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 5를 살펴보면, 몸체부(100)의 외피백(120)에는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외피개구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외피개구홈(122)은 결속부(300)에 의해 조여지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결속부(300)는, 밀폐부(200)의 투입구(210)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투입구(210)를 감싸는 결속구(310)를 갖는다.
더불어, 상기 결속부(300)는, 상기 결속구(310)의 상부에 배치되되, 평 단면이 절개된 원형을 갖는 튜브 형태의 결속관(320)과, 상기 결속구(310)의 상부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결속관(320)의 외면을 감싸는 수용면(330)을 포함한다.
상기 결속관(320)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상기 결속관(320)이 생략될 경우, 상기 수용면(320)의 내부에는 상기 결속끈(340)이 배치되게 된다.
상기 수용면(330)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기 결속구(310)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말리도록 형성될 수 있고, 외측으로 노출되게 말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결속부(300)는, 선단과 말단이 상기 결속관(320)의 외부에 노출되고, 그 선단과 말단 사이 부분이 상기 결속관(320)의 내부로 진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결속끈(340)과, 상기 결속끈(340)의 선단과 말단을 동시에 감싸면서 상기 결속끈(340) 상에서 상기 수용면(330)을 가압하는 조임편(35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결속구(310)는, 상기 외피개구홈(122)를 중심으로 상 방향으로 다수 개가 절개되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결속구(3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수용면(330)도 상기 결속구(310)의 상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결속구(310)가 다수 개로 절개되는 것은, 상기 조임편(350)이 상기 수용면(330)을 가압함으로 인해 상기 결속구(310)가 상기 외피개구홈(122)을 감쌀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조임편(350)은, 상기 결속끈(340)의 외면을 가압하면서 밀착되어 상기 조임편(350)이 상기 결속끈(340) 상에서 상기 수용면(330)을 가압하면서 유동 된 후 그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결속구(310)는, 상기 조임편(350)과 상기 수용면(330) 및 상기 결속끈(340)에 의해 조여지면서 상기 외피개구홈(122)을 감싸면서 덮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밀폐부(200)는, 상기 내피개구홈(112)의 인접한 위치의 상기 내피백(110) 외면에 별도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투입구(210)와 상기 결속구(31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구(210)가 접힐 경우 상기 투입구(210)를 덮으면서 감싸는 덮개(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260)는, 상기 투입구(210)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투입구(210)의 외면을 감싸면서 상기 투입구(210)의 외부를 견고하게 밀폐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덮개(260)는, 상기 내피백(110) 및 외피백(12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투입구(210)의 외면을 감싸면서 상기 투입구(210)의 외부를 견고하게 밀폐할 수 있다면 그 크기와 형태 또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 당연하다.
이때, 상기 결속관(320)은 소성을 갖는 금속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결속관(320)으로 소성을 갖는 금속이 사용됨으로써, 상기 결속끈(340)으로 상기 결속구(310)의 상부를 조이게 되면, 상기 결속관(320)은 형태를 변형시켜 상기 결속구(310)의 개구된 부위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폐쇄될 수 있고,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속끈(340)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결속관(320)의 형태변형과 상기 조임편(350)을 통한 상기 결속끈(340)의 조임으로 상기 결속구(310)는 견고하게 상기 외피개구홈(122)을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결속관(320)은, 평 단면이 절개된 원형을 갖는 튜브 형태를 형성하거나 또는 다수 개의 관 형태로 절개되어 내부로 상기 결속끈(340)에 의해 꿰어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속끈(340)은, 상기 결속구(310)를 조임으로써 폐쇄하고 상기 조임편(350)을 통해 상기 결속구(310)의 개구된 부위가 조여진 후 상기 수용면(330)의 외부로 노출배치된 두 가닥의 상기 결속끈(340)이 상호 묶여 지면서 상기 결속구(310)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결속끈(340)이 상기 결속구(310)를 조임으로써 상기 외피개구홈(122)을 폐쇄하게 되면 상기 결속구(310)의 내면은 상기 투입구(210)의 외면을 덮고 있는 상기 덮개(260)의 외면에 밀착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결속부(300)는, 상기 밀폐부(200)를 통해 상기 내피백(110)이 밀폐된 후, 상기 결속부(300)의 상기 결속끈(340)이 결속관(320)을 변형시켜 상기 결속구(310)를 조임으로써, 상기 결속구(310)는 상기 투입구(210)에 견고하게 밀착되면서 상기 투입구(210)의 상부를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속구(310)가 상기 투입구(210)의 외면을 감싸는 상기 덮개(260)의 외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투입구(210)는 상기 덮개(260)와 상기 결속구(310)를 통해 이중으로 폐쇄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결속부(300)는 상기 외피백(120)의 개구된 부위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면적으로 폐쇄하여 상기 투입구(210)와 더불어 이중으로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를 견고하게 밀폐하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톤백의 또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도 6을 살펴보면, 도 6은 상기 몸체부(100)의 하면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의 내피백(110) 내부에는 분말재(10)가 충진 된다.
이렇게 상기 내피백(110) 내부에 충진 되었던 상기 분말재(10)는 상기 몸체부(100)의 하면에 형성되는 토출부(400)를 통해 작업자가 설정해 놓은 위치에 상기 분말재(10)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내피백(110)의 하부와, 상기 내피백(110)의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외피백(120)이 상호 부분적으로 융착 되면서 상기 실(30)에 의해 박음질 되어 상기 몸체부(100)의 측면과 상면의 경계를 이루는 지지면(160)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상기 토출부(400)는, 상기 내피백(110) 하부의 하면과 상기 외피백(120) 하부의 상면이 상호 융착되면서 상기 몸체부(100)의 하부가 개구된 상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바닥면(450)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토출부(400)는, 상기 바닥면(450)과 실(30)에 의해 박음질로 연결되면서 상기 바닥면(450)의 개구된 부위를 폐쇄하는 연결면(410)을 갖고, 상기 실(30)이 제거되면 상기 연결면(410)이 상기 몸체부(100)의 하면에서 이탈되어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충진된 상기 분말재(10)가 외부로 토출 되도록 한다.
즉, 상기 내피백(110)의 내부로 진입되어 충진 된 후 밀폐된 채로 보관되는 상기 분말재(1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지정된 위치에서 상기 토출부(400)를 통해서 상기 몸체부(100)의 외부로 토출 되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결면(410)과 상기 바닥면(450)을 상호 연결하는 상기 실(30)이 제거되면서 상기 연결면(410)은 상기 바닥면(450)에서 이탈되게 되고, 상기 내피백(110)의 내부에 충진 된 상기 분말재(10)가 상기 바닥면(450)의 개구된 부를 통해 상기 몸체부(100)의 외부로 토출 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실(30)에는, 작업자가 상기 실(30)의 일부를 파지한 채로 잡아당기면서 상기 실(30)이 상기 바닥면(450)에서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파지실(32)이 연장형성된다.
즉, 작업자가 상기 실(30)에 연장형성되는 상기 파지실(32)을 파지한 채로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실(30)이 상기 바닥면(450)에서 간편하게 제거되어 상기 내피백(110)의 내부에 충진 된 상기 분말재(10)가 상기 바닥면(450)의 개구된 부위를 통해 상기 몸체부(100)의 외부로 원활하게 토출 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파지실(32)을 잡아당기는 것으로 상기 바닥면(450)에서 실이 제거되는 것을 기존에 사용되던 시멘트포대 또는 쌀포대 등에서 사용되어 왔던 주지 관용 기술이기 때문에 그에 대한 추가적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면(410)은, 상기 연결면(410) 사방의 둘레를 이루는 테두리(412)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테두리(412)가 상기 바닥면(450)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실(30)에 의해서만 상기 바닥면(450)에 연결된다.
즉, 상기 연결면(410)은, 상기 연결면(410)의 테두리 일부가 상기 바닥면(450)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면(410)과 상기 바닥면(450)이 상기 실(30)을 통해 박음질 된 상태에서 상기 실(30)이 제거되면 상기 연결면(410)은 상기 바닥면(450)에 연결된 채로 상기 몸체부(100)의 하부를 개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연결면(410)이 상기 바닥면(450)과 완전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실(30)을 통해서 연결됨으로써, 상기 연결면(410)과 상기 바닥면(450)이 상기 실(30)을 통해 박음질 된 상태에서 상기 실(30)이 제거되면 상기 연결면(410)은 상기 바닥면(450)에서 완전하게 탈거 되면서 상기 몸체부(100)의 하부가 개방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연결면(410)이 상기 바닥면(450)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면적으로 이탈됨으로 인해 상기 몸체부(100)의 상기 내피백(110)에 충진 된 상기 분말재(10)는 상기 바닥면(450)의 개구된 부위를 통해 상기 몸체부(100)의 외부로 원활하게 토출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 톤백 내부에 충진된 분말재에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여 분말재가 변형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 톤백을 내부와 외부로 밀봉하면서도 그 밀봉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 톤백의 내부에 충진 된 분말재가 지정된 장소에 간편하게 토출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능률을 높이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분말재 30 : 실
32 : 파지실
100 : 몸체부 110 : 내피백
112 : 내피개구홈
120 : 외피백 122 : 외피개구홈
150 : 경계면 160 : 지지면
200 : 밀폐부 210 : 투입구
220 : 슬라이딩지퍼 230 : 절첩선
240 : 절첩면 250 : 벨크로
260 : 덮개
300 : 결속부 310 : 결속구
320 : 결속관 330 : 수용면
340 : 결속끈 350 : 조임편
400 : 토출부 410 : 연결면
412 : 테두리 450 : 바닥면

Claims (11)

  1. 분말로 이루어진 다양한 분말재(10)가 내부에 충진되도록 공간을 갖고 상부가 개구되는 내피개구홈(112)을 갖는 내피백(110)과, 상기 내피백(110)의 외면을 감싸면서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되는 외피개구홈(122)을 갖는 외피백(120)을 갖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상기 내피개구홈(112)에 형성되어 내부를 밀폐 가능하게 하는 밀폐부(200);
    상기 몸체부(100)의 상기 외피개구홈(122)에 형성되어 상기 외피개구홈(122)을 결속하는 결속부(300); 및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충진된 상기 분말재(10)가 외부로 토출 되도록 개구되는 토출부(400);를 포함하는 톤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내피백(110)의 상부와, 상기 내피백(110)의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외피백(120)이 상호 부분적으로 융착 되면서 실(30)에 의해 박음질 되어 상기 몸체부(100)의 측면과 상면의 경계를 이루는 경계면(150)을 포함하는 톤백.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내피백(110)의 하부와, 상기 내피백(110)의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외피백(120)이 상호 부분적으로 융착 되면서 실(30)에 의해 박음질 되어 상기 몸체부(100)의 측면과 상면의 경계를 이루는 지지면(160)을 포함하고,
    상기 경계면(150)과 상기 지지면(160)은,
    박음질 된 형태가 상호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200)는,
    상기 내피백(110)의 상기 내피개구홈(112)의 상부에 기둥형태로 연결 구비되는 투입구(210)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부(300)는,
    상기 외피백(120)의 상기 외피개구홈(122)의 상부에 상기 투입구(210)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투입구(210)를 감싸는 결속구(310)를 포함하는 톤백.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200)는,
    상기 내피백(110)의 내부가 외부로부터 밀폐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투입구(210)의 상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딩지퍼(220)를 포함하는 톤백.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210)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절첩선(230)과,
    상기 절첩선(230)을 따라 포개지도록 절첩 되는 절첩면(240)을 더 포함하는 톤백.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210)는,
    상기 절첩선(230)을 따라 절첩 되는 상기 절첩면(240)이 절첩 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투입구(210)와 상기 내피백(110)을 상호 연결하며 형성되는 벨크로(250)가 더 포함되는 톤백.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300)는,
    상기 결속구(310)의 상부에 배치되되, 평 단면이 절개된 원형을 갖는 튜브 형태의 결속관(320)과,
    상기 결속구(310)의 상부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결속관(320)의 외면을 감싸는 수용면(330)과,
    선단과 말단이 상기 결속관(320)의 외부에 노출되고, 그 선단과 말단 사이 부분이 상기 결속관(320)의 내부로 진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결속끈(340)과,
    상기 결속끈(340)의 선단과 말단을 동시에 감싸면서 상기 결속끈(340) 상에서 상기 수용면(330)을 가압하는 조임편(350)을 더 포함하는 톤백.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200)는,
    상기 내피개구홈(112)의 인접한 위치의 상기 내피백(110) 외면에 별도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투입구(210)와 상기 결속구(31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구(210)가 접힐 경우 상기 투입구(210)를 덮으면서 감싸는 덮개(260)를 더 포함하는 톤백.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400)는,
    상기 내피백(110) 하부의 하면과 상기 외피백(120) 하부의 상면이 상호 융착되면서 상기 몸체부(100)의 하부가 개구된 상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바닥면(450)과, 상기 바닥면(450)과 실(30)에 의해 박음질로 연결되면서 상기 바닥면(450)의 개구된 부위를 폐쇄하는 연결면(410)을 포함하고,
    상기 실(30)이 제거되면 상기 연결면(410)이 상기 몸체부(100)의 하면에서 이탈되어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충진된 상기 분말재(10)가 외부로 토출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면(410)은,
    상기 연결면(410) 사방의 둘레를 이루는 테두리(412)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테두리(412)가 상기 바닥면(450)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실(30)에 의해서만 상기 바닥면(45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
KR20130038228A 2013-04-08 2013-04-08 톤백 KR201401216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8228A KR20140121685A (ko) 2013-04-08 2013-04-08 톤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8228A KR20140121685A (ko) 2013-04-08 2013-04-08 톤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685A true KR20140121685A (ko) 2014-10-16

Family

ID=51993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8228A KR20140121685A (ko) 2013-04-08 2013-04-08 톤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16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54903A (zh) * 2017-04-18 2017-08-18 山东汇百川新材料有限公司 一种透气式碳黑吨包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54903A (zh) * 2017-04-18 2017-08-18 山东汇百川新材料有限公司 一种透气式碳黑吨包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4424A (en) End wall closure for bulk material transport bag
US4573204A (en) Slide fastener for flexible bulk container
US9968040B2 (en) Plant pollination cover bag
EP0983948B1 (en) A container, a receiving sleeve cap and a process of unloading and receiving material contained within the container
US6431753B1 (en) Bulk bag with remote discharge
US6834995B1 (en) Bulk bag having a pair of loops to secure the discharge opening in a closed position
KR20140121685A (ko) 톤백
GB2490595A (en) An exercise weight with a restraint to hold a weight within an outer case
USRE32308E (en) End wall closure for bulk material transport bag
TWI741224B (zh) 可撓性容器
JPS5940713B2 (ja) 輸送袋
CN208377386U (zh) 一种粉状物包装袋
KR20140119476A (ko) 톤백
KR101393619B1 (ko) 배출구가 이중으로 구성된 컨테이너 백용 내피 및 그를 포함한 컨테이너 백
CN205757943U (zh) 一种便携式密封防水包装袋
KR101011503B1 (ko)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컨테이너 백 구조
TW200415061A (en) Extensible storage box for two-wheeled vehicle
US20190300278A1 (en) Partitioned plastic liner bag and waste receptacle for blocking odor
KR100456188B1 (ko) 통풍 양곡마대
JP2004026202A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CN209723810U (zh) 一种帐篷组合袋
KR200294359Y1 (ko) 통풍 양곡마대
US20180111721A1 (en) Multiple Bags Within A Bag
KR20160025213A (ko) 수분사 철계 분말 포장 용기
KR900009947Y1 (ko) 곡물용 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