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1518A - 수용가 전력 사용 요금 최소화를 위한 에너지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용가 전력 사용 요금 최소화를 위한 에너지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1518A
KR20140121518A KR1020130037275A KR20130037275A KR20140121518A KR 20140121518 A KR20140121518 A KR 20140121518A KR 1020130037275 A KR1020130037275 A KR 1020130037275A KR 20130037275 A KR20130037275 A KR 20130037275A KR 20140121518 A KR20140121518 A KR 20140121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
storage device
power
energy storag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7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3391B1 (ko
Inventor
김종율
김슬기
김응상
전진홍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37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3391B1/ko
Publication of KR20140121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1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가 전력 사용 요금 최소화를 위한 에너지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력 차등 요금제 기반에서 전력수요관리용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제어를 통해 수용가 전력 사용 요금을 최소화하는 에너지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등 전력 요금제 기반에서 수용가 연계점 수전 전력 패턴을 수용가 전력 사용 패턴에 맞추어 최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수용가는 기존 전력 사용 패턴을 유지하면서도 전력 사용 요금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전체 계통 운영의 안정성 및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용가 전력 사용 요금 최소화를 위한 에너지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Minimize power usage rates for energy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수용가 전력 사용 요금 최소화를 위한 에너지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력 차등 요금제 기반에서 전력수요관리용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제어를 통해 수용가 전력 사용 요금을 최소화하는 에너지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력 수급 문제 해결을 위한 전력 차등 요금제는 전력의 사용 시간대에 따라 다른 요금 단가를 적용함으로써 가격 신호에 대한 소비자의 적극적 반응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최대전력 수요 감축 및 일간 부하 평준화를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전력 고정 요금제 방식을 대신하여 다양한 형태로 확대 적용되고 있다.
위 전력 차등 요금제 기반에서 수용가의 전력 사용 요금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요금 단가가 높은 중부하 시간대의 전력 사용은 최소화하고, 요금 단가가 낮은 경부하 시간대의 전력 사용은 최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산업계에서는 전력 사용이 생산활동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고, 상업 시설 역시 냉난방 부하의 감축이 판매활동과 관련되어 있는 등 임의로 전력 수요 패턴을 변화시킨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여의치 않은 경우가 존재한다. 종래의 부하를 직접 제어하여 전력 수요를 관리하는 방식 역시 위 문제의 적절한 해결 수단이 될 수 없음은 물론이다.
한편, 최근에는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면서 위 에너지 저장장치의 수용가 전력수요관리를 위한 적용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그 구체적 통합 운영방법에 대한 개발은 현재까지도 미미한 수준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전력 차등 요금제 기반에서 전력수요관리용 에너지 저장장치의 계획적 실시간 충방전 제어를 통해 수용가의 전력 소비 형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전력 사용 요금을 최소화하는 수용가 에너지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차등 요금제 기반에서의 수용가 에너지 저장장치 충방전 제어를 통해 전력 요금을 최소화하는 수용가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수용가의 시간대 별 예측 부하 정보 및 시간대 별 전력 요금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부하 정보 및 상기 요금 정보에 기초하여 수용가의 소비 전력 요금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운영 계획을 수립하는 계획 수립부 및 수립한 상기 운영 계획에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획 수립부는 상기 부하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대 별 연계점 수전 전력 예측치를 산정하되, 상기 시간대 별 연계점 수전 전력 예측치와 이에 대응되는 시간대 별 전력 요금을 곱한 값의 일간 합산량이 최소가 되도록 상기 시간대 별 연계점 수전 전력 예측치를 산정하고, 상기 시간대 별 연계점 수전 전력 예측치에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일간 충방전 운영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획 수립부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동작 제한을 위한 제약 조건으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용량 제약 조건, SOC(state of charge)의 운전범위 제약 조건, 계약전력 초과금지 제약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약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획 수립부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효율을 고려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일간 충방전 운영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한편, 실시간으로 연계점 수전 전력을 모니터링하는 감시부를 더 포함하되,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대 별 연계점 수전 전력 예측치 및 상기 감시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되는 연계점 수전전력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동작 및 충방전 전력량을 실시간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차등 요금제 기반에서의 수용가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제어를 통해 전력 요금을 최소화하는 수용가 에너지 관리 방법은, (a) 수용가의 시간대 별 예측 부하 정보 및 시간대 별 전력 요금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부하 정보 및 상기 요금 정보에 기초하여 수용가의 소비 전력 요금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운영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및 (c) 수립한 상기 운영 계획에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부하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대 별 연계점 수전 전력 예측치를 산정하되, 상기 시간대 별 연계점 수전 전력 예측치와 이에 대응되는 시간대 별 전력 요금을 곱한 값의 일간 합산량이 최소가 되도록 상기 시간대 별 연계점 수전 전력 예측치를 산정하는 단계 및 (b-2) 상기 시간대 별 연계점 수전 전력 예측치에 기초하여 수용가 에너지 저장장치의 일간 충방전 운영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c-1) 실시간 연계점 수전 전력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c-2) 상기 시간대 별 연계점 전력 예측치 및 상기 실제 연계점 수전 전력치에 기초하여 수용가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동작 및 충방전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c-3) 상기 결정에 따라 실시간으로 수용가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 일간 충방전 운영 계획은 상기 계획 실시일의 전일에 수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차등 요금제 기반에서 수용가 연계점 수전 전력 패턴을 수용가 전력 사용 패턴에 맞추어 최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수용가는 기존 전력 사용 패턴을 유지하면서도 전력 사용 요금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전체 계통 운영의 안정성 및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개괄적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에너지 저장장치의 일간 최적 운전 계획 수립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량 결정을 위한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에너지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수용가 전력 사용 요금 최소화를 위한 에너지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전력 차등 요금제 기반에서 전력 공급망에 연계되는 전력수요관리용 에너지 저장장치의 수용가 시간대 별 예측 부하 정보 및 시간대 별 전력 요금 정보에 기초한 계획적 충방전 제어를 통해 수용가 전력 사용 요금을 최소화하는 에너지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개괄적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에너지 관리 시스템(100)은 수용가(20)로의 전력 공급을 위한 전력 공급망(10) 및 상기 전력 공급망(10)에 연계된 수용가 에너지 저장장치(30)의 전력 공급 관련 상태를 감시하고 수용가(20)의 시간대 별 예측 부하 정보 및 시간대 별 전력 요금 정보에 기초하여 수립되는 수용가 에너지 저장장치(30)의 충방전 운영 계획에 따라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30) 및 상기 전력 공급망(1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수용가 전력 사용 요금을 최소화한다.
이때,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30)의 충방전 운영 계획은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30)의 충전 비용은 절감하고 방전 효과는 극대화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30)의 충방전 운영 계획은 전력 요금이 낮은 시간대를 이용해 충전하고, 전력 피크 타임 등 전력 요금이 높은 시간대에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30)를 이용하여 수용가(20) 전력을 공급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위 전력 피크 타임 등 전력 공급망(10)의 전력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는 전력 공급망(10)에 연계되는 디지털 전력량계(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수용가 에너지 관리 시스템(100)은 분산 전원(40) 예컨대, 태양광 발전기, 풍력 발전기, 디젤 발전기, 마이크로 터빈 및 연료 전지 등이 상기 전력 공급망(10)에 연계되는 마이크로 그리드(Microgrid) 환경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30)는 전력의 저장 및 필요시 전력 충방전 수행이 가능한 수단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그 일 예로 BESS(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SMES(Superconducting Magnetic Energy Storage), 플라이 휠 및 슈퍼 커패시터 일 수 있으며,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30)는 수용가(20) 전력 수요 관리를 위해 개별 수용가에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에너지 관리 시스템(100)의 구성 및 수용가 전력 사용 요금 최소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에너지 관리 시스템(100)은 정보 수집부(110), 계획 수립부(120), 제어부(130) 및 감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집부(110)는 수용가용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운영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수용가의 시간대 별 예측 부하 정보 및 시간대 별 전력 요금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시간대 별 예측 부하는 수용가의 시간대 별 예측 수요 전력을 지칭하는 것으로, 해당 수용가의 이전 전력 사용 기록을 종합하여 상기 정보 수집부(110)에서 직접 산출하거나 유무선 통신망 또는 네트워크 망 등을 통해 수용가로부터 시간대 별 예정 소비 전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으로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시간대 별 전력 요금은 전력 수요 관리를 위해 실시되는 전력 차등 요금제 기반에서의 매 시간대 별 전력 사용 단가에 대한 정보를 지칭하는 것으로, 전력 거래와 관련된 기관 예컨대, 전력 거래소로 이에 대한 자료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방법 등의 적절한 방법을 통해 수집할 수 있다.
상기 계획 수립부(120)는 수집한 수용가의 시간대 별 예측 부하 정보 및 시간대 별 전력 요금 정보에 기초하여 수용가 소비 전력 요금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운영 계획을 수립한다. 이때, 상기 계획은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동작 및 충방전량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여 수립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관리의 편의를 위하여 일(日) 단위로 수립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에너지 저장장치의 최적 운전 계획 수립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운영 계획은 수집한 수용가의 시간대 별 예측 부하 정보(301) 및 시간대 별 전력 요금 정보(303)에 기초하여 수립하며, 부가적으로 수용가 에너지 저장장치의 물리적 특성(305) 및 제약 조건(307) 요소를 더 반영하여 수립할 수 있다.
상기 제약 조건(307)은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물리적 특성에 기초한 수용가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조건으로, 예컨대 에너지 저장장치의 용량 제약 조건, 가용 SOC(state of charge)의 범위 제약 조건, 계약 전력 초과금지 제약 조건일 수 있으며,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물리적 특성 정보는 상기 정보 수집부(110)를 통해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상기 계획 수립부(120)는 사전 설정되는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전제로 상기 부하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대 별 연계점 수전 전력 예측치를 산정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간대 별 연계점 수전 전력 예측치를 수용가 전력 요금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시간대 별 연계점 수전 전력 예측치와 이에 대응되는 시간대 별 전력 요금을 곱한 값의 일간 합산량이 최소가 되도록 산정(309)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간대 별 연계점 수전 전력 예측치는 전력 공급망으로부터의 수용가 수전 전력 및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 충전을 위한 수전 전력이 포함된 수치로서, 상기 시간대 별 연계점 수전 전력 예측치에 기초하여 수용가 에너지 저장장치의 일간 충방전 운영 계획을 수립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물리적 특성으로 충방전 효율을 더 고려하여 실제와 구체적으로 부합하는 계획을 수립(311)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수립된 상기 수용가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운영 계획에 따라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 방전을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시간대 별 연계점 수전 전력 예측치의 실제 해당 시간대의 연계점 수전 전력치와의 오차에 기초하여 수용가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동작 및 충방전량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실시간으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을 제어함을 통해 실제와 구체적으로 부합하는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관리 시스템(100)은 실시간으로 연계점 수전 전력, 수용가 부하 사용 전력를 모니터링하는 감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시부(140)는 전술한 제약 조건 설정 및 이의 부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수용가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관련 상태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량 결정을 위한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계획 수립부(120)에서 산정한 시간대 별 연계점 수전 전력 예측치(P_PCC_Ref)에 상기 감시부(140)를 통해 확인되는 실제 해당 시간대 연계점 수전 전력치(P_PCC)를 차감한 값을 비례 적분기(PI, Proportional Intergral)의 입력으로 하고, 상기 비례 적분기로부터의 출력값을 수용가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량(P_ESS_Ref)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결정된 상기 수용가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량(P_ESS_Ref)을 해당 수용가 에너지 저장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는 수신한 상기 충방전량(P_ESS_Ref) 정보에 기초하여 충방전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제어부(130)를 통한 수용가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제어가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전력 요금 최소화를 위한수용가 에너지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에너지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에너지 관리 방법을 단계별로 살펴보면, 먼저 본 발명 정보 수집부(110)를 통해 수용가 시간대 별 예측 부하 정보 및 수용가 시간대 별 전력 요금 정보를 수집한다(S501).
본 발명 계획 수립부(120)는 수집한 수용가의 시간대 별 예측 부하 정보 및 시간대 별 전력 요금 정보에 기초하여 수용가 소비 전력 요금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운영 계획을 수립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운영 계획의 수립은 상기 시간대 별 예측 부하 정보에 기초하여 수립하되, 시간대 별 연계점 수전 전력 예측치와 이에 대응되는 시간대 별 전력 요금을 곱한 값의 일간 합산량이 최소가 되도록 상기 시간대 별 연계점 수전 전력 예측치를 산정하는 단계(S503) 및 상기 시간대 별 연계점 수전 전력 예측치에 기초하여 수용가 에너지 저장장치의 일간 충방전 운영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S505)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가 에너지 장치의 일간 충방전 운영 계획은 수용가 에너지 저장장치의 물리적 특성 및 상기 물리적 특성에 기초한 충방전 제약 조건을 더 고려하여 실제와 구체적으로 부합하는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한편, 보다 정확한 상기 수용가 시간대 별 예측 부하 정보 및 상기 수용가 시간대 별 전력 요금 정보의 수집과 관리의 편의를 위해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 일간 충방전 운영 계획은 상기 계획의 실시일 전일에 수립할 수 있다.
본 발명 제어부(130)는 수립한 상기 수용가 에너지 저장장치의 일간 충방전 운영 계획에 따라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을 실시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제어는 실제와 구체적으로 부합하는 상기 계획의 실시를 위해 실시간 연계점 수전 전력을 모니터링하는 단계(S507), 상기 시간대 별 연계점 전력 예측치 및 상기 실제 연계점 수전 전력치에 기초하여 수용가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동작 및 충방전량을 결정하는 단계(S509), 상기 결정에 따라 실시간으로 수용가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S511)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9)

  1. 전력 차등 요금제 기반에서의 수용가 에너지 저장장치 충방전 제어를 통해 전력 요금을 최소화하는 수용가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수용가의 시간대 별 예측 부하 정보 및 시간대 별 전력 요금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부하 정보 및 상기 요금 정보에 기초하여 수용가의 소비 전력 요금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운영 계획을 수립하는 계획 수립부; 및
    수립한 상기 운영 계획에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용가 에너지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획 수립부는,
    상기 부하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대 별 연계점 수전 전력 예측치를 산정하되, 상기 시간대 별 연계점 수전 전력 예측치와 이에 대응되는 시간대 별 전력 요금을 곱한 값의 일간 합산량이 최소가 되도록 상기 시간대 별 연계점 수전 전력 예측치를 산정하고,
    상기 시간대 별 연계점 수전 전력 예측치에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일간 충방전 운영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에너지 관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계획 수립부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동작 제한을 위한 제약 조건으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용량 제약 조건, SOC(state of charge)의 운전범위 제약 조건, 계약전력 초과금지 제약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약 조건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에너지 관리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계획 수립부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효율을 고려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일간 충방전 운영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에너지 관리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연계점 수전 전력을 모니터링하는 감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대 별 연계점 수전 전력 예측치 및 상기 감시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되는 연계점 수전전력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동작 및 충방전 전력량을 실시간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에너지 관리 시스템.
  6. 전력 차등 요금제 기반에서의 수용가 에너지 저장장치 충방전 제어를 통해 전력 요금을 최소화하는 수용가 에너지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수용가의 시간대 별 예측 부하 정보 및 시간대 별 전력 요금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부하 정보 및 상기 요금 정보에 기초하여 수용가의 소비 전력 요금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운영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및
    (c) 수립한 상기 운영 계획에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용가 에너지 관리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부하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대 별 연계점 수전 전력 예측치를 산정하되, 상기 시간대 별 연계점 수전 전력 예측치와 이에 대응되는 시간대 별 전력 요금을 곱한 값의 일간 합산량이 최소가 되도록 상기 시간대 별 연계점 수전 전력 예측치를 산정하는 단계; 및
    (b-2) 상기 시간대 별 연계점 수전 전력 예측치에 기초하여 수용가 에너지 저장장치의 일간 충방전 운영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에너지 관리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실시간 연계점 수전 전력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c-2) 상기 시간대 별 연계점 전력 예측치 및 상기 실제 연계점 수전 전력치에 기초하여 수용가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동작 및 충방전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c-3) 상기 결정에 따라 실시간으로 수용가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에너지 관리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 일간 충방전 운영 계획은 상기 계획 실시일의 전일에 수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에너지 관리 방법.
KR1020130037275A 2013-04-05 2013-04-05 수용가 전력 사용 요금 최소화를 위한 에너지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463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275A KR101463391B1 (ko) 2013-04-05 2013-04-05 수용가 전력 사용 요금 최소화를 위한 에너지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275A KR101463391B1 (ko) 2013-04-05 2013-04-05 수용가 전력 사용 요금 최소화를 위한 에너지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518A true KR20140121518A (ko) 2014-10-16
KR101463391B1 KR101463391B1 (ko) 2014-11-21

Family

ID=51992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7275A KR101463391B1 (ko) 2013-04-05 2013-04-05 수용가 전력 사용 요금 최소화를 위한 에너지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339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858B1 (ko) * 2014-11-07 2015-05-26 주식회사 케이디티 건물의 최대 수요전력 제어 기능을 갖는 에너지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22859B1 (ko) * 2014-11-07 2015-05-26 주식회사 케이디티 건물의 목표전력 관리기능을 갖는 에너지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19008A (ko) * 2018-08-13 2020-02-21 주식회사동우유니온 동적 전력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동적 전력관리 시스템
CN111469682A (zh) * 2020-04-02 2020-07-31 国网上海市电力公司 一种基于日前计划的电动汽车实时智能充电方法
KR20210136466A (ko) 2020-05-07 2021-11-17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수소발전시스템과 연동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812B1 (ko) * 2014-12-24 2022-02-18 한국전기연구원 전기자동차를 이용한 최적수요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40009287A (ko) 2022-07-13 2024-01-22 주식회사 스마트컴퍼니 가정용 에너지 저장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2378B2 (ja) * 2007-01-25 2012-11-14 中国電力株式会社 電力貯蔵装置及びシステム
KR100953403B1 (ko) * 2008-08-06 2010-04-1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지능 자율 부하관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858B1 (ko) * 2014-11-07 2015-05-26 주식회사 케이디티 건물의 최대 수요전력 제어 기능을 갖는 에너지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22859B1 (ko) * 2014-11-07 2015-05-26 주식회사 케이디티 건물의 목표전력 관리기능을 갖는 에너지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19008A (ko) * 2018-08-13 2020-02-21 주식회사동우유니온 동적 전력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동적 전력관리 시스템
CN111469682A (zh) * 2020-04-02 2020-07-31 国网上海市电力公司 一种基于日前计划的电动汽车实时智能充电方法
CN111469682B (zh) * 2020-04-02 2021-09-17 国网上海市电力公司 一种基于日前计划的电动汽车实时智能充电方法
KR20210136466A (ko) 2020-05-07 2021-11-17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수소발전시스템과 연동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3391B1 (ko) 2014-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9069B2 (en) Power distribution management based on distributed networking protocol analytics
KR101463391B1 (ko) 수용가 전력 사용 요금 최소화를 위한 에너지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US9367052B2 (en) Managing energy assets associated with transport operations
US9514428B2 (en) Managing energy assets associated with transport operations
AU2012286588B2 (en) Power apparatus
US20190228481A1 (en) Intelligent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and energy storage systems using machine learning
KR101324483B1 (ko) 수용가용 열병합 발전 및 에너지저장 복합 시스템과 그 최적운전 방법
US20090326725A1 (en) Managing Electric Power Consumption
KR20130094925A (ko) 에너지관리시스템의 에너지 제어 방법
KR101712944B1 (ko)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충방전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KR20190000038A (ko) 전기자동차를 이용한 최적수요관리 방법 및 그 장치
JP5690619B2 (ja) エネルギ供給管理システム。
JP7142291B2 (ja) 充電方法、及び、充電システム
JP2015211516A (ja) 蓄電装置の充放電制御システム
JP6148120B2 (ja) エネルギー管理装置、エネルギー管理方法及び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JP6698371B2 (ja) 電気料金管理装置、電気料金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198696A (ja) 電力供給システム及び、電力管理方法
JP6705652B2 (ja) 蓄電池制御方法
JP6148119B2 (ja) エネルギー管理装置、エネルギー管理方法及び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Zhang et al. Studying the influence of coordinated ev charging on power system operating risk
US202303946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electricity supply from demand
JP7285492B2 (ja) 給湯方法、及び、制御装置
US11605034B1 (en) Method and system for energy savings estimation resulting from power management system deployment
JP7463856B2 (ja) 売電システム
KR101625689B1 (ko) 네트워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