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0656A - 탄성체가 구비된 프리앰프 케이스 - Google Patents

탄성체가 구비된 프리앰프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0656A
KR20140120656A KR1020130036757A KR20130036757A KR20140120656A KR 20140120656 A KR20140120656 A KR 20140120656A KR 1020130036757 A KR1020130036757 A KR 1020130036757A KR 20130036757 A KR20130036757 A KR 20130036757A KR 20140120656 A KR20140120656 A KR 20140120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tar
elastic body
preamplifier
housing memb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덕
Original Assignee
(주)덕진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덕진기업 filed Critical (주)덕진기업
Priority to KR1020130036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0656A/ko
Publication of KR20140120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6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2Releasable fastening devices locking by rot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체가 구비된 프리앰프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타 외부에 손상이 가해지는 볼트 또는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기타와 프리앰프 케이스 간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여 기타의 상품 가치를 높이는 것은 물론, 프리앰프 생산과 상기 프리앰프를 기타에 장착시에 소요되는 공정시간 및 생산단가 등이 감소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한 탄성체가 구비된 프리앰프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프리앰프 케이스는 기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삽입 장착되며, 상기 기타의 음량 및 음질을 조절할 수 있도록 내부에 제어부가 구비된 프리앰프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기타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부재 및 상기 하우징부재 양측에 대칭형으로 탄성 복원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부재가 상기 기타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탄성체가 구비된 프리앰프 케이스{Preamp Case}
본 발명은 탄성체가 구비된 프리앰프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타 외부에 손상이 가해지는 볼트 또는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기타와 프리앰프 케이스 간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여 기타의 상품 가치를 높이는 것은 물론, 프리앰프 생산과 상기 프리앰프를 기타에 장착시에 소요되는 공정시간 및 생산단가 등이 감소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한 탄성체가 구비된 프리앰프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타에 장착되는 프리앰프(Preamp)는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를 통해 기타의 음량이나 음질을 외부에서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볼륨 및 튜너 등과 같은 스위치들이 노출되어 사용된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로 본원 출원인에 의해 특허등록된 제10-0408783호 '기타 프리앰프 하우징의 장착구조'의 구성을 살펴보면, 그 구성은 외부하우징(10)은 기타몸통(GB)의 외측에 걸리도록 하우징본체(11)보다 돌출된 상부단턱(12)이 형성되고, 양내측에 구비된 조절볼트(13)의 하단과 결합되어 상기 조절볼트(13)를 조임방향으로 회동하면 상단이 기타몸통(GB)의 내부하측에 고정되도록 회동하며 상승하고, 반대로 조절볼트(13)를 풀림방향으로 회동하면 하강함과 동시에 하우징본체(11)의 양측에 형성된 요홈(110)에 회동으로 삽입되며 기타몸통(GB)에 용이하게 탈착하도록 한 하우징홀더(1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기타몸체에 볼트나 나사 등을 이용하는 체결수단을 이용하지 않아 기타의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기타몸통과 편리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내부 및 외부하우징의 2중 구성을 취함으로 인하여 제작하는데 필요한 생산단가가 높아지는 것은 물론, 2중 구성에 따른 복수의 조립공정으로 인하여 조립공정시간의 소요가 많은 문제점이 있어 대량생산시에 용이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내부 및 외부하우징의 2중 구성을 취하지 않고도 기타의 상품 가치는 보존하여 탈부착이 용이할 수 있음은 물론, 프리앰프 케이스를 제작하는 생산단가비용이나 그 조립에 따른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프리앰프 하우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프리앰프 케이스는 기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삽입 장착되며, 상기 기타의 음량 및 음질을 조절할 수 있도록 내부에 제어부가 구비된 프리앰프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기타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부재 및 상기 하우징부재 양측에 대칭형으로 탄성 복원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부재가 상기 기타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재는 전체적으로 함 형상을 가지며, 양측에 상기 탄성체의 탄성 복원에 의해 상기 개구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상부 외면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단턱부 및 상기 단턱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면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천공 형성된 가이드 홀 및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부 일부가 상기 가이드 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일측은 상기 탄성체와 고정 결합하여 상기 탄성체 및 상기 단턱부에 의해 상기 개구부와 끼움 결합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코일스프링, 토션스프링, 판 스프링 및 이형스프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타에 볼트 또는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기타와 프리앰프 케이스 간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여 기타의 상품 가치를 높이는 것은 물론, 프리앰프 생산과 상기 프리앰프를 기타에 장착시에 소요되는 생산단가나 그 조립을 위한 공정시간 등이 감소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타에 장착되는 프리앰프 케이스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프리앰프 케이스가 장착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프리앰프 케이스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프리앰프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5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프리앰프 케이스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도 8의 (a)(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프리앰프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프리앰프 케이스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프리앰프 케이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100)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프리앰프 케이스는 크게 외부에서 기타(10)의 음량 및 음질을 조절할 수 있도록 내부에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되며, 기타(10)에 천공 형성된 개구부(11)에 삽입되는 하우징부재(110)와 상기 하우징부재(110) 외부에 탄성 복원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개구부(11)를 통해 삽입된 하우징부재(110)가 기타(10)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고정구비되는 탄성체(1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기타(10)를 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경우에 따라 바이올린 등과 같은 현악기에도 사용가능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부재(110)는 기타(10)의 음량 및 음질을 조절할 수 있는 제어부가 구비되며, 기타(10)의 개구부(11)를 통해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기 위한 구성으로 몸체(111), 단턱부(113) 및 걸림홈(115)을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111)는 내부에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된 사각의 함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면에 제어부와 서로 연결된 스위치(S)들이 몸체(111)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에서 사용자가 기타(10)의 음량 및 음질을 조절할 수 있도록 천공 형성된 다수의 스위치 노출공(111a)을 포함한다. 이때 스위치 노출공(111a)을 통해 노출되는 스위치(S)들은 일 예로, 음량을 조절하는 볼륨(volume)과 음질을 조절하기 위한 베이스(bass), 미들(middle), 트래블(treble) 및 튜너(tuner) 등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턱부(113)는 몸체(111) 상부 외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연장된 하면이 기타(10) 외면에 안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개구부(11)를 통해 몸체(111)가 기타(10)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탄성체(120)와 함께 개구부(11)에 삽입된 몸체(111)가 기타(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걸림홈(115)은 단턱부(113)의 일측 또는 양측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손톱 또는 도구 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기타(10)의 개구부(11)에 삽입된 하우징부재(110)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120)는 기타(10)의 개구부(11)를 통해 삽입된 하우징부재(110)가 기타(10)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탄성 복원에 의해 하우징부재(110)를 기타(1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탄성체(120)는 몸체(111) 양측에 서로 대칭형으로 구비되며, 외측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절곡부(121)가 절곡 형성되어 하우징부재(110)가 개구부(11)에 삽입시에 탄성 복원되어 하우징부재(110)가 기타(10)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절곡부(121)의 경사각은 상기 절곡부(121)의 수평기준선(B)을 중심으로 하여 하부경사각(d2)보다 상부경사각(d1)이 더 작게 형성함으로써, 개구부(11)에 삽입된 몸체(111)가 단턱부(113)와 함께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탄성체(1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 이외에 판 스프링 또는 이형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하우징부재(110)에 구비될 수 있으며, 프리앰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케이스(130)에도 탄성체(120)가 구비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프리앰프 케이스의 작용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탄성체가 구비된 프리앰프 케이스(100)를 준비한다.
그 다음, 기타(10)에 천공 형성된 개구부(11)에 몸체(111)를 삽입하면, 상기 몸체(111)의 양측에 구비된 탄성체(120)가 개구부(11)의 끝단(11a)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하우징부재(110)가 기타(10)에 고정 장착하게 된다.
즉, 몸체(111) 하부로부터 시작하여 개구부(11)에 삽입되면, 몸체(111) 양측에 각각 구비된 탄성체(120)가 개구부(11)의 끝단(11a)에 가이드 되어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거나 좁아지면서 단턱부(113)의 하면이 기타(10) 외면에 안착할 수 있을 때까지 삽입되고, 단턱부(113)가 기타(10) 외면에 안착함과 동시에 탄성체(120)가 개구부(11)의 끝단(11a)에 지지되어 하우징부재(110)가 기타(10)에 고정 장착하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타(10)에 장착된 프리앰프의 유지보수 등의 이유로 분리시에는 단턱부(113)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걸림홈(115)을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핀 등의 사물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분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프리앰프 케이스(100)는 탄성체(120)를 이용하여 기타(10)에 형성된 개구부(11)를 통해 탈부착이 가능하여 기타(10)의 상품가치를 보존하며, 프리앰프 케이스(100)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감축할 수 있음은 물론, 그에 따른 조립공정 시간도 단축되어 대량생산에 더욱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프리앰프 케이스의 제2실시예(200)를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프리앰프 케이스의 제2실시예(200)에서는 전술한 제1실시예(100)에서의 하우징부재(110)에 형성된 걸림홈(115)을 통해 기타(10)와 탈부착하는 방법과는 다르게 도 8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몸체(111)의 가이드 홀(117)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탄성체(120)와 고정결합하는 손잡이(119)를 수평방향으로 이동 즉, 탄성 복원시켜 제1실시예(100)와는 달리 더욱 용이하게 프리엠프 케이스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하우징부재(110)는 가이드 홀(117) 및 손잡이(119)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홀(117)은 몸체(111) 상면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천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119)는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ㄴ'자로 절곡 형성되어 각각의 가이드 홀(117)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손잡이(119)의 상부 일부가 상기 가이드 홀(117)에 관통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손잡이(119)는 일측이 탄성체(120)와 고정 결합하여 상기 탄성체(120)에 의해 탄성 복원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2실시예(200)는 작용관계로 가이드 홀(117)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119)를 탄성체(120)의 탄성 복원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몸체(111)에 형성된 걸림턱(113) 및 손잡이(119)와 함께 개구부(11)의 끝단(11a)에 안정적으로 끼움 결합함으로써, 프리앰프 케이스가 용이하게 기타(10)에 탈부착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200)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프리앰프 케이스는 전술한 제1실시예(100)에서 사용자의 신체 또는 도구를 이용하여 기타(10)와 몸체(111)를 분리시에 기타(10)의 표면에 흠집이 생길 수 있는 경우를 방지하여 기타(10)의 상품품질을 높이는 것은 물론, 사용자가 용이하게 몸체(111)의 가이드 홀(117)에 노출된 손잡이(119)를 기타(10) 외부에서 탄성체(120)에 의해 탄성 복원시켜 개구부(11)를 통해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200)에서의 탄성체(120)는 판스프링도 가능하지만, 코일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기타 11: 개구부
100: 제1실시예 110: 하우징부재
111: 몸체 113: 단턱부
115: 걸림홈 117: 가이드 홀
119: 손잡이 120: 탄성체
121: 절곡부 130: 배터리 케이스
200: 제2실시예 S: 스위치

Claims (4)

  1. 기타(10)에 형성된 개구부(11)를 통해 삽입 장착되며, 상기 기타(10)의 음량 및 음질을 조절할 수 있도록 내부에 제어부가 구비된 프리앰프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1)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기타(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부재(110); 및 상기 하우징부재(110) 양측에 대칭형으로 탄성 복원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부재(110)가 상기 기타(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체(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가 구비된 프리앰프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110)는
    전체적으로 함 형상을 가지며, 양측에 상기 탄성체(120)의 탄성 복원에 의해 상기 개구부(11)와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몸체(111);
    상기 몸체(111) 상부 외면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단턱부(113); 및
    상기 단턱부(113)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걸림홈(1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가 구비된 프리앰프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1)는
    상면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천공 형성된 가이드 홀(117) 및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부 일부가 상기 가이드 홀(117)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일측은 상기 탄성체(120)와 고정 결합하여 상기 탄성체(120) 및 상기 단턱부(113)에 의해 상기 개구부(11)와 끼움 결합하는 손잡이(1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가 구비된 프리앰프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120)는
    코일스프링, 토션스프링, 판 스프링 및 이형스프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가 구비된 프리앰프 케이스.
KR1020130036757A 2013-04-04 2013-04-04 탄성체가 구비된 프리앰프 케이스 KR201401206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757A KR20140120656A (ko) 2013-04-04 2013-04-04 탄성체가 구비된 프리앰프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757A KR20140120656A (ko) 2013-04-04 2013-04-04 탄성체가 구비된 프리앰프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656A true KR20140120656A (ko) 2014-10-14

Family

ID=51992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757A KR20140120656A (ko) 2013-04-04 2013-04-04 탄성체가 구비된 프리앰프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06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774U (ko) * 2016-01-25 2017-08-03 벨캣 컴퍼니 리미티드 무선 픽업
KR20180064658A (ko) * 2016-12-06 2018-06-15 유정옥 자동문용 무선수신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774U (ko) * 2016-01-25 2017-08-03 벨캣 컴퍼니 리미티드 무선 픽업
KR20180064658A (ko) * 2016-12-06 2018-06-15 유정옥 자동문용 무선수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2825B2 (en) Electronic cigarette case
US7741550B2 (en) Strainer system of snare drum and snare drum with the strainer system
JP5823792B2 (ja) ロック装置
EP2000846B1 (en) Spring hinge structure for eyewear
US10107017B2 (en) In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KR20140120656A (ko) 탄성체가 구비된 프리앰프 케이스
KR102376697B1 (ko) 현악기의 교체 가능한 픽업 지지구
CN105830146A (zh) 音调控制功能的原声吉他
US9395769B2 (en) Hard disk drive tray
KR20140125581A (ko) 도어 개폐장치
US10737369B2 (en) Nut devices for instrument stand
JP5672841B2 (ja) 弦楽器
JP6356464B2 (ja) 電気機器収納用箱体
CN103267053A (zh) 一种免用螺丝连接座
CN211264920U (zh) 一种新型古筝
CN203134351U (zh) 电吉他琴码
CN107045194A (zh) 一种磁悬浮导向瞄准镜基座
KR101367795B1 (ko) 건반 위치 조절 장치
JP3118787U (ja) メガネの左巻ネジ、右巻ネジ
WO2019090460A1 (zh) 头戴显示设备
KR20160106291A (ko) 픽업모듈블록을 갖는 전기기타
US2440887A (en) Antirattle device for windows and the like
JP2005294357A (ja) ケースの組立構造
KR200483771Y1 (ko) 매립형 가구용 손잡이
US20140312197A1 (en) Fixing element for hard disk dr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