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9490A -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9490A
KR20140119490A KR1020130035215A KR20130035215A KR20140119490A KR 20140119490 A KR20140119490 A KR 20140119490A KR 1020130035215 A KR1020130035215 A KR 1020130035215A KR 20130035215 A KR20130035215 A KR 20130035215A KR 20140119490 A KR20140119490 A KR 20140119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light emitting
current path
path
driv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5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덕
케이신 나가오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5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9490A/ko
Publication of KR20140119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94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H05B45/48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having LEDs organised in strings and incorporating parallel shun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사 노이즈 저감을 위한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원으로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동일 전위를 가지는 전류 경로;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류 경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스위치 소자를 제어하여 상기 전류 경로를 주기적으로 전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Apparatus for driving light emitting diode}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사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스위칭 전원에 있어서, 도통 상태에 있는 스위칭 소자를 오프(off) 시키기 위해서는 MOSFET의 게이트 전위를 빠르게 방전시키거나(스위칭 소자가 MOSFET인 경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바이어스를 빠르게 역 바이어스 상태로 바꾸게 된다(스위칭 소자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경우).
그런데, 그 과정 중에 스위칭 소자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빠르게 변화하게 되며 트랜스포머의 입력 권선에 고주파의 노이즈(noise)를 생성시킨다.
또한, 클램프 회로에서의 출력 정류 다이오드의 스위칭 특성 등에 의해 발생하는 각종의 고주파의 노이즈들은 트랜스포머의 출력 권선이나 입력 권선에 전달되어 선로를 통해 공기 중으로 고주파의 노이즈를 방사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은 방사되는 노이즈의 레벨은 법의 규정에서 정한 레벨 이하로 관리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방사되는 노이즈의 레벨을 규정치 이내로 낮추기 위하여 특정한 권선의 양단에 캐패시터와 저항으로 구성된 고주파 잡음 제거 회로를 추가함으로써 발생하는 노이즈 성분을 흡수하거나, 입력 선로나 출력 선로에 페라이트 비드를 추가하여 노이즈의 방사를 차단하는 방안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고주파 잡음제거 회로는 손실을 발생시켜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을 가지며, 부품 수의 증가로 인해 소형화를 저해하고 원가가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는 전원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에 있어서, 방사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제 1관점으로서, 본 발명은,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원으로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동일 전위를 가지는 전류 경로;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류 경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스위치 소자를 제어하여 상기 전류 경로를 주기적으로 전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주기적인 전류 경로의 전환은 상기 전류 경로에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류 경로는, 접지 라인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류원은, 교류 전원에 연결되고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플라이백 컨버터일 수 있다.
이러한 플라이백 컨버터는, 상기 트랜스포머의 1차 측 권선의 제 1단에 연결되고, 상기 교류 전원에 연결되는 정류부; 상기 1차 측 권선의 제 2단과 상기 전류 경로 사이에 연결되는 전력 제어 소자; 및 상기 전력 제어 소자를 제어하는 제 1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라이백 컨버터는, 상기 전력 제어 소자와 전류 경로 사이에 위치하는 전류 검출 저항; 및 상기 전류 검출 저항에 연결된 전류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플라이백 컨버터는, 상기 1차 측 권선의 제 1단과 정류부 사이에는 EMI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류 경로의 선택 시간의 비율은, 상기 EMI 필터의 노이즈 레벨이 최소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 소자의 수는 상기 전류 경로의 수보다 하나 적을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제 2관점으로서, 본 발명은, 1차 측 권선을 가지고, 2차 측 권선을 가지는 트랜스포머; 상기 트랜스포머의 1차 측 권선의 제 1단에 연결되고, 교류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트랜스포머의 1차 측 권선의 제 2단에 연결되는 전력 제어 소자; 상기 스위치의 제어를 위한 스위치 제어부; 상기 스위치로부터 상기 정류부를 연결하며, 적어도 둘 이상의 경로를 가지는 전류 경로; 상기 둘 이상의 전류 경로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 소자; 상기 스위치 소자를 제어하여 상기 전류 경로를 주기적으로 전환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 측 권선에 연결되는 발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주기적인 전류 경로의 전환은 상기 전류 경로에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에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전류 경로는, 접지 라인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력 제어 소자와 전류 경로 사이에 위치하는 전류 검출 저항; 및 상기 전류 검출 저항에 연결된 전류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1차 측 권선의 제 1단과 정류부 사이에는 EMI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류 경로의 선택 시간의 비율은, 상기 EMI 필터의 노이즈 레벨이 최소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먼저, 두 개 이상의 전류 경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구성은 스위칭 전원을 포함하는 전원 회로에서 발생하는 방사 노이즈(Radiation noise)를 저감시킬 수 있다.
스위칭 동작을 하는 전력 제어 소자(F1)를 포함하는 전원 회로는 방사 노이즈를 발생시키기 쉬운데, 이러한 방사 노이즈는 아래와 같은 두 원리를 이용하여 저감시킬 수 있다.
먼저, 방사 노이즈의 판정은 피크값(Peak value; PV)을 이용하지 않고 쿼지 피크값(Quasi-peak value; QPK)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이러한 쿼지 피크값은 일정한 시정수를 가지고 시간으로 적분한 값이다.
또한, 대전류가 흐르는 그라운드(GND) 라인을 변경하면 방사 노이즈의 주파수 또는 값이 변화하게 된다. 이는 그라운드 라인에 의해 그 전류 루프(Current loop) 면적이나 기생 용량 또는 기생 임피던드(Impedance)가 다르기 때문이다.
이러한 원리를 조합시키고, 위에서 설명한 전류 경로를 주기적으로 전환시킴으로써 큰 피크값을 작은 쿼지 피크값으로 변환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스위칭 전원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에서 방사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류 경로를 전환시키는 스위치 소자를 제어하는 제어부는, IC화 될 수 있으므로 제작 비용의 증가는 적다.
도 1은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는 도 1과 같은 구성에 의한 타이밍 차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도 1의 회로의 PCB 배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도 1의 회로의 EMI 방사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도 1의 회로에서 다른 듀티 비를 갖는 경우의 타이밍 차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7은 도 6과 같은 구성에 의한 타이밍 차트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여러 가지 수정 및 변형을 허용하면서도, 그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들로 예시되어 나타내어지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개시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오히려 본 발명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과 합치되는 모든 수정, 균등 및 대용을 포함한다.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on)"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제1, 제2 등의 용어가 여러 가지 요소들, 성분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지역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요소들, 성분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지역들은 이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1)를 포함하는 발광부(100)와, 이 발광부(100)에 정전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로서 전류원(200)을 포함한다.
이때, 전류원(200)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동일 전위를 가지는 전류 경로(201, 20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두 개 이상의 전류 경로(201, 202)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 소자(F2)와, 이 스위치 소자(F2)를 제어하여 이러한 전류 경로(201, 202)를 주기적으로 전환시키는 제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류 경로(201, 202)는 전류원(200)의 접지 라인(ground line)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주기적인 전류 경로의 전환은 해당 전류 경로(201, 202)에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에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전류원(100)은, 교류 전원(220)에 연결되고 트랜스포머(T)를 포함하는 플라이백 컨버터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플라이백 컨버터는, 트랜스포머(T)의 1차 측 권선(P)의 제 1단(P1)과 교류 전원(220) 사이에 연결되는 정류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정류부(230)는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교류 전원(220)을 직류 전원(DC)으로 정류한다. 이러한 정류부(230)는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반파 정류회로, 전파 정류회로, 브리지 전파 정류회로, 반파 배전압 정류회로 또는 전파 배전압 정류회로와 같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이러한 정류부(230)로서 브리지 정류회로를 이용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브리지 정류회로는 교류 전압 펄스를 전파 정류할 수 있다. 이하, 정류부(230)는 브리지 정류회로를 이용하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플라이백 컨버터는, 트랜스포머(T)의 1차 측 권선(P)의 제 2단(P2)과 전류 경로(201, 202) 사이에 연결되는 전력 제어 소자(F1) 및 이 전력 제어 소자(F1)를 제어하는 제 1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 제어 소자(F1)로서는 MOSFET(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 소자가 이용될 수 있고, 또한 바이 폴라 트랜지스터(bi-polar transistor)가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플라이백 컨버터는, 전력 제어 소자(F1)와 전류 경로(201, 202) 사이에 위치하는 전류 검출 저항(R1) 및 이 전류 검출 저항(R1)에 연결된 전류 검출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제어부(240) 및 전류 검출부(250)는 하나의 제어 IC(280)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플라이백 컨버터는, 1차 측 권선(P)의 제 1단(P1)과 정류부(230) 사이에 위치하는 EMI 필터(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EMI 필터(260)는 전자기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을 줄여주기 위한 것으로서, 정류부(230)와 연결되는 하나의 인덕터(L1)와, 이 인덕터(L1)의 양단에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두 개의 캐패시터(C2, C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트랜스포머(T1)의 주권선(P)에는 제 1단(P1)과 제 2단(P2) 사이에 스너버(snubber) 회로(27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이러한 스너버 회로(270)는 EMI 필터(260)와 트랜스포머(T1)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스너버 회로(270)는 트랜스포머(T1) 권선의 인덕턴스 부하를 릴레이 또는 반도체 스위칭 소자(트랜지스터, FET, 싸이리스터 등)를 이용하여 온(on)/오프(off) 시킬 때 발생하는 과도전압을 억제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스너버 회로(270)는 서로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4)와 저항(R2), 그리고 저항(R2)에 연결되는 다이오드(D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광부(100)는 트랜스포머(T)의 보조권선(S)에 다이오드(D1)와 출력 캐패시터(C1)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상과 같은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에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두 개 이상의 전류 경로(201, 202)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구성은 스위칭 전원을 포함하는 전원 회로에서 발생하는 방사 노이즈(Radiation noise)를 저감시킬 수 있다.
스위칭 동작을 하는 전력 제어 소자(F1)를 포함하는 전원 회로는 방사 노이즈를 발생시키기 쉬운데, 이러한 방사 노이즈는 아래와 같은 두 원리를 이용하여 저감시킬 수 있다.
먼저, 방사 노이즈의 판정은 피크값(Peak value; PV)을 이용하지 않고 쿼지 피크값(Quasi-peak value; QPK)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이러한 쿼지 피크값은 일정한 시정수를 가지고 시간으로 적분한 값이다.
또한, 대전류가 흐르는 그라운드(GND) 라인을 변경하면 방사 노이즈의 주파수 또는 값이 변화하게 된다. 이는 그라운드 라인에 의해 그 전류 루프(Current loop) 면적이나 기생 용량 또는 기생 임피던드(Impedance)가 다르기 때문이다.
이러한 원리를 조합시키고, 위에서 설명한 전류 경로(201, 202)를 주기적으로 전환시킴으로써 큰 피크값을 작은 쿼지 피크값으로 변환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스위칭 전원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에서 방사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기적인 전류 경로(201, 202)의 전환은 해당 전류 경로에 전류가 흐르고 있지 않을 때에 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류 경로(201, 202)로 전류가 흐르는 시간의 비율은 EMI 노이즈 레벨이 최소가 되도록 임의의 비율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전류 경로(201, 202)를 전환시키는 스위치 소자(F2)의 게이트가 온(on) 되었을 때의 그라운드 라인은 제 1경로(201)와, 제 2경로(202)의 두 개가 된다.
도 2는 전력 제어 소자(F1)의 게이트 전압, 전류 검출 저항(R1) 전압 및 스위치 소자(F2)의 게이트 전압을 고려한 타이밍 차트(Timing chart)를 도시하고 있다.
스위치 소자(F2)의 게이트는 전력 제어 소자(F1)의 게이트에 비하여 듀티(Duty) 50 %로 인가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 소자(F2) 및 이 스위치 소자(F2)를 제어하는 제어부(210)의 작동에 의하여 제 1경로(201)로만 전류가 흐르는 경우와, 제 1경로(201) 및 제 2경로(202)로 동시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가 반복적으로 행하여지게 된다.
이때, 스위치 소자(F2)의 스위칭은 전력 제어 소자(F1)가 오프(off) 되었을 때에 행하여 지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전력 제어 소자(F1)가 온(on) 되어 있을 때에 스위치 소자(F2)를 변화시키면 급격한 전류 변화에 의하여 EMI가 악화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위치 소자(F2)의 스위칭 주기(A)는 전력 제어 소자(F1)의 스위칭 주기(B)와 다르게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에서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의 PCB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경로(201)에 더하여, 스위치 소자(F2)에 의하여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제 2경로(202)가 별도로 구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제 2경로(202)는 PCB 상에서 제 1경로(201)와 반대 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 외의 사항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4에서는 도 1과 같은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의 EMI 방사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서, C 선은 EMI 방사의 합격 여부 판정선을 나타낸다. 여기서 30 MHz 부근에 위치하는 첫 번째 피크(301)를 가지는 레벨과 100 MHz 부근에 위치하는 두 번째 피크(302)를 가지는 레벨 모두 합격 여부 판정선 이하의 값을 가지므로 방사 노이즈에 문제가 없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스위칭 동작을 하는 전력 제어 소자(F1)를 포함하는 전원 회로에 있어서, 방사 노이즈를 저감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스위치 소자(F2)를 제어하는 제어부(210)는, 전력 제어 소자(F1)를 제어하는 제 1제어부(240) 및/또는 전류 검출부(250)와 함께 IC화 될 수 있으므로 제작 비용의 증가는 적다.
한편, 스위치 소자(F2)의 게이트와 전력 제어 소자(F1)의 게이트의 듀티 비가 50 % 이외인 경우도 방사 노이즈를 충분히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는 스위치 소자(F2)의 게이트가 전력 제어 소자(F1)의 게이트에 대하여 듀티 33 %인 경우의 타이밍 차트를 나타내고 있다.
즉, 스위치 소자(F2)가 오프(off)인 경우, 제 1경로(201)로만 전류가 흐르고, 스위치 소자(F2)가 온(on)인 경우에는 제 1경로(201) 및 제 2경로(202)로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 비율이 2:1의 비율로 행하여지게 된다.
이러한 듀티 비율은 실제 EMI 측정 결과를 기초로 하여 설정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도 1에 비하여 두 개의 경로(203, 204)가 더 추가되고, 따라서 이 두 경로(203, 204)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 소자(F3, F4) 및 제어부(211, 212)를 추가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러한 이 두 경로(203, 204), 스위치 소자(F3, F4) 및 제어부(211, 212) 이외에도 더 많은 경로, 스위치 소자 및 제어부가 더 추가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전류 경로가 증가된 만큼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방사 노이즈의 조정이 더 용이해질 수 있다.
즉, 제 2경로(202)와 평행한 그라운드 라인으로서 제 3경로(203)가 추가되고, 이 제 3경로(203)를 통하여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 소자(F3)와 이 스위치 소자(F3)를 제어하는 제어부(211)가 추가된다.
이에 더하여, 제 3경로(203)와 평행한 그라운드 라인으로서 제 4경로(204)가 추가되고, 이 제 4경로(204)를 통하여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 소자(F4)와 이 스위치 소자(F4)를 제어하는 제어부(212)가 추가된다.
그 외의 구성은 도 1에서 도시하는 상태와 동일할 수 있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추가되는 경로와, 이에 해당하는 스위치 소자 및 제어부의 수는 동일하며, 전력 제어 소자(F1)를 함께 고려한다면, 전체 스위치 소자의 수는 전류 경로의 수보다 하나 적을 수 있다.
도 7에서는 도 6과 같은 구성에 의한 타이밍 차트를 나타내고 있다.
즉, 두 개의 스위치 소자(F3, F4)가 추가된 상태에서, 이들을 제어하는 게이트 전압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로를 제어하는 총 세 개의 스위치 소자(F2, F3, F4)는 서로 번갈아 구동될 수 있다. 즉, 서로 순서를 달리하여 온(on) 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전력 제어 소자(F1)가 온 되는 최초 펄스에서 제 2경로(202)를 온 시키는 스위치 소자(F2)가 함께 작동한다. 이때, 제 1경로(201) 및 제 2경로(202)를 통하여 전류가 흐른다.
이 다음의 전력 제어 소자(F1)가 온 되는 펄스에서는 나머지는 모두 오프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 1경로(201)만을 통하여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후, 전력 제어 소자(F1)가 온 되는 다음 펄스에서는 제 1경로(201)와 함께 제 3경로(203)를 통하여 전류가 함께 흐르게 된다.
이 다음의 전력 제어 소자(F1)가 온 되는 펄스에서는 나머지는 모두 오프된 상태가 되어, 제 1경로(201)만을 통하여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후, 전력 제어 소자(F1)가 온 되는 다음 펄스에서는 제 1경로(201)와 함께 제 4경로(204)를 통하여 전류가 함께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전류 경로가 증가된 만큼 제어의 폭이 커지며, EMI 방사 노이즈의 조정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발광부 200: 전류원
201: 제 1경로 202: 제 2경로
210: 제 1제어부 220: 교류 전원
230: 정류부 240: 제어부
250: 전류 검출부 260: EMI 필터
270: 스너버 회로

Claims (15)

  1.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원으로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동일 전위를 가지는 전류 경로;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류 경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스위치 소자를 제어하여 상기 전류 경로를 주기적으로 전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인 전류 경로의 전환은 상기 전류 경로에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류 경로는, 접지 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원은, 교류 전원에 연결되고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플라이백 컨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백 컨버터는,
    상기 트랜스포머의 1차 측 권선의 제 1단에 연결되고, 상기 교류 전원에 연결되는 정류부;
    상기 1차 측 권선의 제 2단과 상기 전류 경로 사이에 연결되는 전력 제어 소자; 및
    상기 전력 제어 소자를 제어하는 제 1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백 컨버터는,
    상기 전력 제어 소자와 전류 경로 사이에 위치하는 전류 검출 저항; 및
    상기 전류 검출 저항에 연결된 전류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백 컨버터는, 상기 1차 측 권선의 제 1단과 정류부 사이에는 EMI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경로의 선택 시간의 비율은, 상기 EMI 필터의 노이즈 레벨이 최소가 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소자의 수는 상기 전류 경로의 수보다 하나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10. 1차 측 권선을 가지고, 2차 측 권선을 가지는 트랜스포머;
    상기 트랜스포머의 1차 측 권선의 제 1단에 연결되고, 교류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트랜스포머의 1차 측 권선의 제 2단에 연결되는 전력 제어 소자;
    상기 스위치의 제어를 위한 스위치 제어부;
    상기 스위치로부터 상기 정류부를 연결하며, 적어도 둘 이상의 경로를 가지는 전류 경로;
    상기 둘 이상의 전류 경로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 소자;
    상기 스위치 소자를 제어하여 상기 전류 경로를 주기적으로 전환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 측 권선에 연결되는 발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인 전류 경로의 전환은 상기 전류 경로에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류 경로는, 접지 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소자와 전류 경로 사이에 위치하는 전류 검출 저항; 및
    상기 전류 검출 저항에 연결된 전류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측 권선의 제 1단과 정류부 사이에는 EMI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경로의 선택 시간의 비율은, 상기 EMI 필터의 노이즈 레벨이 최소가 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KR1020130035215A 2013-04-01 2013-04-01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KR201401194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215A KR20140119490A (ko) 2013-04-01 2013-04-01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215A KR20140119490A (ko) 2013-04-01 2013-04-01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490A true KR20140119490A (ko) 2014-10-10

Family

ID=51991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5215A KR20140119490A (ko) 2013-04-01 2013-04-01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94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7814A (ko) * 2016-03-16 2017-09-26 박찬웅 스위칭 전원에서 클램프 다이오드에 의해 생성되는 잡음의 영향을 낮추는 방법과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7814A (ko) * 2016-03-16 2017-09-26 박찬웅 스위칭 전원에서 클램프 다이오드에 의해 생성되는 잡음의 영향을 낮추는 방법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1774B2 (en) Lighting power circuit with peak current limiter for EMI filter
US9166484B2 (en) Resonant converter
JP5584089B2 (ja) 力率を増加させた駆動回路
US8519631B2 (en) Constant current LED lamp
KR101786248B1 (ko)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시스템 및 방법
US8885363B2 (en) Dual-mode switching power control device
US9705404B2 (en)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 switched-mode power converter in case of break-through situations
KR20100028833A (ko) 교류 led 조광장치 및 그에 의한 조광방법
JP2010178411A (ja) 絶縁型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20160049879A1 (en) Power supply and power supplying method
Liu et al. A wide-input-range efficiency-enhanced synchronous integrated LED driver with adaptive resonant timing control
US20130285563A1 (en) Power Supply Device, Luminaire, Control Method for the Power Supply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Luminaire
US9999104B2 (en) Lighting device and luminaire
JP6950825B2 (ja) 光源点灯装置、照明器具
JP2020014325A (ja) 点灯装置、照明器具
KR20140119490A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TWI652967B (zh) 無頻閃發光二極體驅動裝置及線性穩壓方法
EP4084581A1 (en) Led driver with two output channels
US11924933B2 (en) Light driver with improved dimming profile
US20230029021A1 (en) Lighting apparatus driver
WO2021026876A1 (en) Driver module and lighting system suitable for use in a humid environment
TWM478284U (zh) 反激開關電源電路
CN104955209A (zh) 点灯电路及照明装置
KR102116835B1 (ko) Dc-dc 컨버터
JP2017174618A (ja) 電源装置および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