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9405A - Push-pull assay and gate valve having the push-pull assay - Google Patents

Push-pull assay and gate valve having the push-pull ass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9405A
KR20140119405A KR1020130034970A KR20130034970A KR20140119405A KR 20140119405 A KR20140119405 A KR 20140119405A KR 1020130034970 A KR1020130034970 A KR 1020130034970A KR 20130034970 A KR20130034970 A KR 20130034970A KR 20140119405 A KR20140119405 A KR 20140119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ush
guide
opening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49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60181B1 (en
Inventor
김도완
신경원
박정훈
김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티에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티에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티에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30034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181B1/en
Publication of KR20140119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94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1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26Apparatus for sealing, encapsulating, glassing, decapsulating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16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separating the sealing faces or for pressing them together
    • F16K3/18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separating the sealing faces or for pressing them together by movement of the closur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F16K51/02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igh-vacuum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liding Valve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push-pull assembly performing a stable push-pull motion, an opening valve including the same, and a gate valve including the same. The push-pull assembly includes a fixed body part, a moving body part, a moving shaft part, a bellows part, and multiple guide parts. The fixed body part has a side combined with the valve body, a body accepting groove formed on a side, and a body through hole connected to the body accepting groove. The moving body part is placed in the body accepting groove to perform a push-pull motion along an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and has multiple guide accepting grooves on a side facing the fixed body part. The moving shaft part is placed in the body through hole while having a shape elongat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and moves a ceiling plate follow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body part by being combined with the ceiling plate. The bellows part is placed in the body through hole to cover the moving shaft part, is combined with the fixed body part and the moving body part, and is contracted and expanded depending on the movement of the moving body part. The guide parts are combined with the fixed body part to be matched with each of the guide accepting grooves and guide the moving body part to move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Thus, as the guide parts guide the movement of the moving body part (320), the push-pull motion is stably performed.

Description

푸쉬-풀 조립체 및 이를 갖는 게이트 밸브{PUSH-PULL ASSAY AND GATE VALVE HAVING THE PUSH-PULL ASSAY}PUSH-PULL ASSEMBLY AND GATE VALVE HAVING THE PUSH-PULL ASSEMBLY

본 발명은 푸쉬-풀(push-pull) 조립체 및 이를 갖는 게이트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판이 출입되는 공정챔버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는 푸쉬-풀 조립체 및 이를 갖는 게이트 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sh-pull assembly and a gate valve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sh-pull assembly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 opening of a process chamber in which a substrate enters and exits, and a gate valve having the same .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LCD) 기판이나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의 대부분은 진공 상태에서 진행된다. 따라서, 상기 LCD 기판이나 상기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을 수행하는 장비는 진공 장비가 대부분이며, 이러한 진공 장비에는 내부의 진공을 유지하기 위하여 진공 펌프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진공 장비를 상기 진공 장비의 외부 또는 다른 진공 장비와 격리시키기 위해 게이트 밸브(Gate Valve)가 구비된다.Generally, most of the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substrate or a semiconductor device proceed in a vacuum state. Therefore, most of the equipment for performing the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LCD substrate or the semiconductor device is a vacuum equipment, and a vacuum pump is used for maintaining vacuum inside the vacuum equipment. A gate valve is provided to isolate the vacuum equipment from the outside of the vacuum equipment or other vacuum equipment.

이러한 게이트 밸브는 일반적으로 하우징, 개폐 밸브 및 승강 구동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진공 장비와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진공 장비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와 마주하는 제1 개구 및 상기 제1 개구와 대응되는 제2 개구를 갖는다. 상기 개폐 밸브는 상기 제1 및 제2 개구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개폐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 구동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고,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개폐 밸브와 결합되고, 상기 개폐 밸브가 상기 제1 및 제2 개구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개폐 밸브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Such a gate valve generally includes a housing, an opening / closing valve, and a lift driving module. The housing has a first opening facing the gate formed in the vacuum equipment and a second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ning. The open / close valve may open / clos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Wherein the lift driving module is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and a part of the lift driving module is coupled to the opening / closing valve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opening / closing valve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개폐 밸브는 밸브 몸체, 실링 플레이트 및 복수의 푸쉬-풀(push-pull) 조립체들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 몸체는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 구동모듈과 결합되어 상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실링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제1 및 제2 개구들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푸쉬-풀 조립체들은 상기 실링 플레이트 및 상기 밸브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실링 플레이트를 푸쉬-풀 운동시킨다.The on-off valve also includes a valve body, a sealing plate, and a plurality of push-pull assemblies. The valve body may be disposed in the housing and coupled with the elevation drive module to be movabl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sealing plate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in the housing. The push-pull assemblies are disposed between the sealing plate and the valve body to push-pull the sealing plate.

한편, 상기 푸쉬-풀 조립체들 각각은 고정 몸체부, 이동 몸체부 및 이동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몸체부는 상기 밸브 몸체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일측면에 몸체 수용홈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 몸체부는 상기 몸체 수용홈에 배치되어 개폐 이동방향을 따라 푸쉬-풀 운동을 수행한다. 상기 이동축부는 상기 고정 몸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실링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 몸체부와 결합되고, 상기 이동 몸체부의 운동에 따라 상기 실링 플레이트를 이동시킨다.Meanwhile, each of the push-pull assemblies may include a fixed body portion, a movable body portion, and a movable shaft portion. The fixed body portion is fixedly coupled to the valve body, and a body receiving groove is formed on the one side surface. The moving body is disposed in the body receiving groove to perform a push-pull motion along an opening / closing moving direction. The moving shaft portion is disposed to penetrate the fixed body portion, one end thereof is engaged with the sealing plate, the other end is coupled with the moving body portion, and the sealing plate is mov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body portion.

그러나, 상기 이동 몸체부는 상기 개폐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외부 충격 등의 여러 요인으로 흔들리며 이동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이동축부도 함께 흔들릴 수 있다. 이러한 이동축부의 흔들림은 상기 실링 플레이트가 안정적인 푸쉬-풀 운동을 수행하는데 방해 요인으로 작용될 뿐만 아니라 마찰에 의한 파티클을 발생시킬 수 있다.However, when the movable body part moves along the opening / closing movement direction, it can move shaking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an external impact, and as a result, the moving shaft part can also be shaken together. Such shaking of the moving shaft can not only act as an obstacle to the stable push-pull movement of the sealing plate but also generate particles due to fric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안정적인 푸쉬-풀(push-pull)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푸쉬-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ush-pull assembly capable of performing a stable push-pull motion.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 푸쉬-풀 조립체를 구비한 게이트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te valve having the push-pull assemb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푸쉬-풀 조립체는 밸브 몸체에 결합되어 실링 플레이트를 개폐 이동방향을 따라 푸쉬-풀(push-pull) 운동시킬 수 있는 장치로, 고정 몸체부, 이동 몸체부, 이동축부, 밸로우즈부 및 복수의 가이드부들을 포함한다.The push-pull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is coupled to a valve body and can push-pull the seal plate along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direction. The push-pull assembly includes a fixed body portion, A shaft portion, a bellows portion, and a plurality of guide portions.

상기 고정 몸체부는 일측면이 상기 밸브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일측면에 몸체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 수용홈과 연결되도록 몸체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 몸체부는 상기 몸체 수용홈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 이동방향을 따라 푸쉬-풀 운동을 수행하고, 상기 고정 몸체부와 마주하는 일면에 복수의 가이드 수용홈들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축부는 상기 개폐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상기 몸체 관통홀에 배치되고, 상기 실링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이동 몸체부의 운동에 따라 상기 실링 플레이트를 이동시킨다. 상기 밸로우즈부는 상기 이동축부를 감싸도록 상기 몸체 관통홀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몸체부 및 상기 이동 몸체부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이동 몸체부의 운동에 따라 수축 및 팽창된다. 상기 가이드부들은 상기 가이드 수용홈들과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 몸체부와 결합되고, 상기 이동 몸체부가 상기 개폐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가이드한다.One side of the fixed body is coupled to the valve body, a body receiving groove is formed on the one side surface, and a body through hole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body receiving groove. The moving body portion is disposed in the body receiving groove to perform a push-pull movement along the opening and closing moving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guide receiving grooves are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fixed body portion. The moving shaft portion is disposed in the body through-hole in a shape elongated along the opening / closing movement direction, and is engaged with the sealing plate to move the sealing plate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moving body portion. The bellows portion is disposed in the body through-hole so as to surround the moving shaft portion, and is engaged with the fixed body portion and the moving body portion, respectively, and contracted and expanded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moving body portion. The guide portions are engaged with the fixed body por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guide receiving grooves, respectively, and guide the movable body portion to move along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direction.

상기 푸쉬-풀 조립체는 상기 개폐 이동방향을 따라 푸쉬(push) 운동을 수행한 상기 이동 몸체부가 풀(pull) 운동을 수행하도록 상기 이동 몸체부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력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ush-pull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restoring force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restoring force to the moving body so that the moving body portion performing the pushing motion along the opening and closing moving direction performs a pulling motion.

상기 복원력 제공부는 상기 가이드부들을 각각 감싸도록 상기 고정 몸체부 및 상기 이동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 몸체부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가이드 스프링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storing force providin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guide springs that are disposed between the fixed body and the movable body to enclose the guide units, respectively, and provide restoring force to the movable body.

이와 다르게, 상기 복원력 제공부는 상기 밸로우즈부를 감싸도록 상기 고정 몸체부 및 상기 이동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 몸체부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축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restoring force providing unit may include a shaft spring that is disposed between the fixed body and the movable body to enclose the bellows, and provides a restoring force to the movable body.

상기 이동 몸체부는 상기 밸브 몸체의 내부 주입홀을 통해 인가된 공압에 의해 상기 푸쉬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몸체부는 상기 공압이 상기 밸브 몸체의 내부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면서, 상기 복원력 제공부에 의해 상기 풀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 수용홈에 의해 형성된 상기 고정 몸체부의 측벽에는 상기 내부 배출홀과 연결되어 상기 공압을 상기 내부 배출홀로 배출시키는 측벽 배기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moving body may perform the pushing motion by a pneumatic pressure applied through the inner injection hole of the valve body. Also, the moving body may perform the pulling motion by the restoring force providing portion while the pneumatic pressure is discharged through the inner discharge hole of the valve body. At this time, the side wall of the fixed body formed by the body receiving groove may be formed with a side wall exhaust hole connected to the internal discharge hole to discharge the air pressure to the internal discharge hole.

상기 가이드부들은 상기 이동축부를 중심으로 동심원을 그리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의 개수는 4개 이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 수용홈은 상기 개폐 이동방향을 높이로 하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이동 몸체부는 상기 몸체 수용홈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guide portions may be arranged concentrically around the moving shaft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number of the guide portions may be four or more. At this time, the body receiving groove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height of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and the moving body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ody receiving groove.

상기 가이드부들 각각은 가이드 핀 및 가이드 마찰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고정 몸체부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이드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 몸체부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가이드 마찰 방지부는 상기 가이드 핀 및 상기 가이드 수용홈 사이에서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가이드 핀의 일단부를 감싸도록 배치된다.Each of the guide portions may include a guide pin and a guide friction preventing portion. The guide pin is fixedly coupled to the fixed body part, and at least a part of the guide pin is inserted into the guide receiving groov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movable body part. The guide friction preventing portion is disposed to surround one end of the guide pin so as to reduce a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guide pin and the guide receiving groove.

상기 푸쉬-풀 조립체는 상기 실링 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축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실링 플레이트를 상기 이동축부에 결합시키는 플레이트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ush-pull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plate coupl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sealing plate and the moving shaft part and coupling the sealing plate to the moving shaft part.

상기 밸로우즈부는 수축 팽창부, 상단 결합부 및 하단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축 팽창부는 상기 이동축부를 감싸도록 상기 몸체 관통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 몸체부의 운동에 따라 수축 및 팽창된다. 상기 상단 결합부는 상기 수축 팽창부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고정 몸체부와 결합된다. 상기 하단 결합부는 상기 일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수축 팽창부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 몸체부와 결합된다.The bellows portion may include a contraction expansion portion, an upper coupling portion, and a lower coupling portion. The shrinking / expanding portion is disposed in the body through hole so as to surround the moving shaft portion, and is contracted and expand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body portion. The upper joint par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hrinking and expanding part and is engaged with the fixed body part. And the lower end engag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contraction expanding portion facing the one end portion and is engaged with the moving body portion.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를 상기 이동축부에 결합시키는 축 결합나사는 상기 이동축부를 관통하여 상기 이동 몸체부와 결합되어, 상기 이동축부를 상기 이동 몸체부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축부는 상기 축 결합나사에 의해 상기 이동 몸체부와 결합될 때, 상기 하단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여 상기 이동 몸체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The shaft coupling screw for coupling the plate coupling portion to the moving shaft portion may be coupled with the moving body portion through the moving shaft portion, and the moving shaft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moving body portion. At this time, when the movable shaft portion is engaged with the movable body portion by the shaft coupling screw,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end engagement portion can be pressed and fixed to the movable body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밸브는 하우징 및 개폐 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다. 상기 개폐 밸브는 상기 하우징에 배치된 밸브 몸체, 상기 하우징의 개구와 대응되는 실링 플레이트, 및 상기 실링 플레이트를 개폐 이동방향을 따라 푸쉬-풀(push-pull) 운동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푸쉬-풀 조립체를 포함한다.A gate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and an opening / closing valve. The housing has at least one opening.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valve includes a valve body disposed in the housing, a sealing plate corresponding to an opening of the housing, and at least one push-pull member capable of push- Assembly.

상기 푸쉬-풀 조립체는 고정 몸체부, 이동 몸체부, 이동축부, 밸로우즈부 및 복수의 가이드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몸체부는 일측면이 상기 밸브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일측면에 몸체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 수용홈과 연결되도록 몸체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 몸체부는 상기 몸체 수용홈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 이동방향을 따라 푸쉬-풀 운동을 수행하고, 상기 고정 몸체부와 마주하는 일면에 복수의 가이드 수용홈들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축부는 상기 개폐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상기 몸체 관통홀에 배치되고, 상기 실링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이동 몸체부의 운동에 따라 상기 실링 플레이트를 이동시킨다. 상기 밸로우즈부는 상기 이동축부를 감싸도록 상기 몸체 관통홀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몸체부 및 상기 이동 몸체부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이동 몸체부의 운동에 따라 수축 및 팽창된다. 상기 가이드부들은 상기 가이드 수용홈들과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 몸체부와 결합되고, 상기 이동 몸체부가 상기 개폐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가이드한다.The push-pull assembly includes a fixed body portion, a movable body portion, a moving shaft portion, a bellows portion, and a plurality of guide portions. One side of the fixed body is coupled to the valve body, a body receiving groove is formed on the one side surface, and a body through hole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body receiving groove. The moving body portion is disposed in the body receiving groove to perform a push-pull movement along the opening and closing moving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guide receiving grooves are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fixed body portion. The moving shaft portion is disposed in the body through-hole in a shape elongated along the opening / closing movement direction, and is engaged with the sealing plate to move the sealing plate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moving body portion. The bellows portion is disposed in the body through-hole so as to surround the moving shaft portion, and is engaged with the fixed body portion and the moving body portion, respectively, and contracted and expanded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moving body portion. The guide portions are engaged with the fixed body por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guide receiving grooves, respectively, and guide the movable body portion to move along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direction.

이와 같이 푸쉬-풀 조립체 및 이를 갖는 게이트 밸브에 따르면, 가이드부들이 이동 몸체부의 가이드 수용홈들과 각각 대응되도록 고정 몸체부와 결합되어, 상기 이동 몸체부의 운동을 가이드함에 따라, 상기 이동 몸체부가 개폐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외부 충격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이동 몸체부에 의해 함께 이동하는 이동축부의 흔들림을 억제하여, 실링 플레이트가 안정적으로 푸쉬-풀 운동을 수행할 수 있고, 마찰에 의한 소음 또는 파티클을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ush-pull assembly and the gate valve having the push-pull assembly, the guide portions are coupled with the fixed body por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guide receiving grooves of the movable body portion, and by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vable body por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shaking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an external impact when moving along the moving direction. Accordingly, the shaking of the moving shaft portion moved together by the moving body portion is suppressed, so that the sealing plate can stably perform the push-pull motion, and the noise or particles due to friction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가이드부들을 각각 감싸도록 배치된 가이드 스프링들이 푸쉬(push) 운동을 수행한 상기 이동 몸체부로 풀(pull) 운동을 위한 복원력을 제공함에 따라, 상기 이동 몸체부가 안정적으로 풀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guide springs arranged to respectively surround the guide portions provide a restoring force for the pulling motion to the moving body portion that has performed the pushing motion, the moving body portion performs the full motion stably .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게이트 밸브를 분해해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게이트 밸브 중 개폐 밸브 및 공압 전송모듈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개폐 밸브 및 공압 전송모듈을 실링 플레이트 측으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개폐 밸브 및 공압 전송모듈을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개폐 밸브 및 공압 전송모듈을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개폐 밸브 및 공압 전송모듈을 C-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공기가 주입되어 실링 플레이트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공압 전송모듈 중 공압 주입유닛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게이트 밸브에서 회전축 하우징부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D 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의 게이트 밸브에서 제1 측면판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E 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의 게이트 밸브가 동작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밸브 중 개폐 밸브 및 공압 전송모듈을 실링 플레이트 측으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개폐 밸브 및 공압 전송모듈을 F-F'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개폐 밸브 및 공압 전송모듈을 G-G'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개폐 밸브 및 공압 전송모듈을 H-H'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서 공기가 주입되어 실링 플레이트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ate valv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ate valve of Fig. 1 in an exploded state.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gate valve of FIG. 1 and an open / close valve and a pneumatic transfer module.
4 is a front view of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and the air pressure transfer module of FIG. 3 viewed from the sealing plate side.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open / close valve and the pneumatic pressure transmission module of Fig.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the open / close valve and the air pressure transfer module of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n / close valve and the pneumatic conveyance module of Fig. 4 taken along the line C-C '.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ir is injected and a sealing plate is moved in FIG.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pneumatic injection unit of the pneumatic conveyance module of Fig. 3;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rotation shaft housing part is removed from the gate valve of FIG.
Fig. 11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D in Fig. 10; Fig.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side plate is separated from the gate valve of FIG. 1; FIG.
1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E in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equence in which the gate valve of FIG. 1 is operated.
15 is a front view of the gate valv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viewed from the sealing plate side.
1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F 'of the open / close valve and the air pressure transfer module of Fig. 15;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n / close valve and the air pressure transfer module of FIG. 15 taken along line G-G '.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n / close valve and the air pressure transfer module of FIG. 15 taken along line H-H '.
1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ir is injected and a sealing plate is moved in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ing" or "having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 1>&Lt; Example 1 >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게이트 밸브를 분해해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게이트 밸브 중 개폐 밸브 및 공압 전송모듈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ate valve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ate val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a transmission module is shown in a perspective view.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밸브는 하우징(100), 개폐 밸브, 공압 전송모듈(400) 및 회전 구동모듈(5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 밸브는 밸브 몸체(200), 실링(sealing) 플레이트(300a) 및 복수의 푸쉬-풀(push-pull) 조립체들(30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3, the gate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housing 100, an on-off valve, a pneumatic transfer module 400, and a rotation drive module 500. At this time, the on-off valve may include a valve body 200, a sealing plate 300a, and a plurality of push-pull assemblies 300.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개폐 밸브 및 상기 공압 전송모듈(400) 등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제공하고, 어느 한 진공 장비와 인접하여 배치되거나 두 진공 장비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진공 장비의 게이트와 마주하는 전면 개구(112) 및 상기 전면 개구(11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후면 개구(122)를 갖는다. 이때, 상기 전면 및 후면 개구들(112, 122)은 기판 이동방향(I1)에 따라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면 및 후면 개구들(112, 122) 사이에는 기판 또는 소자가 이동하는 기판 이동통로가 형성되어 있다.The housing 100 provides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the open / close valve and the pneumatic conveyance module 400, and may be disposed adjacent to any vacuum device or disposed between two vacuum devices. The housing 100 has a front opening 112 facing the gate of the vacuum apparatus and a rear opening 122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opening 112. At this time, the front and rear openings 112 and 122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substrate moving direction I1, and a substrate or an element moves between the front and rear openings 112 and 122 A substrate moving path is formed.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100)은 서로 수직하게 교차하는 제1, 제2 및 제3 방향들(D1, D2, D3)을 따라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직육면체 형상은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housing 100 ma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formed alo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s D1, D2, and D3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may be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D1).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전면 개구(112)가 형성된 전면판(110), 상기 전면판(11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후면 개구(122)가 형성된 후면판(120), 상기 전면판(110)과 상기 후면판(120)의 좌우측부를 연결하는 제1 측면판(130)과 제2 측면판들(130, 140), 및 상기 전면판(110)과 상기 후면판(120)의 상하측부를 연결하는 상측판(150)과 하측판(160)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housing 100 includes a front plate 110 having the front opening 112 formed therein, a rear plate 120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plate 110 and having the rear opening 122 formed therein, A first side plate 130 and second side plates 130 and 140 for connecting the front plate 110 and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rear plate 120, An upper side plate 150 and a lower side plate 160 that connect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120 to each other.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측판(150) 및 상기 하측판(160)은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면판들(130, 140)은 상기 제2 방향(D2)을 따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전면판(110) 및 상기 후면판(120)은 상기 제3 방향(D3)을 따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 이동방향(I1)은 상기 제3 방향(D3)과 평행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side plates 150 and 160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130 and 140 are disposed in the first direction D1, The front plate 110 and the rear plate 120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long the second direction D2. The front plate 110 and the rear plate 120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long the third direction D3. In addition, the substrate moving direction I1 may be parallel to the third direction D3.

도 4는 도 3의 개폐 밸브 및 공압 전송모듈을 실링 플레이트 측으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개폐 밸브 및 공압 전송모듈을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개폐 밸브 및 공압 전송모듈을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FIG. 4 is a front view of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and the air pressure transfer module of FIG. 3 viewed from the sealing plate side,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the open / close valve and the pneumatic transfer module of Fig.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밸브 몸체(200)는 상기 하우징(100) 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00)과 대응하여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밸브 몸체(200)는 전면부(210), 후면부(220), 제1 측면부(230), 제2 측면부(240), 상면부(250) 및 하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2 to 6, the valve body 200 may be disposed in the housing 100 and may have a shape elongated along the first direction D1 corresponding to the housing 100 .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valve body 200 includes a front portion 210, a rear portion 220, a first side portion 230, a second side portion 240, an upper surface portion 250, and a lower surface portion 260 .

상기 전면부(210)는 상기 전면 개구(112)와 대응되고, 상기 푸쉬-풀 조립체(300)들을 수용하기 위한 조립체 수용홈(2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면부(220)는 상기 전면부(210)에 대향하고 상기 후면 개구(122)와 대응되며, 상기 전면 및 후면 개구들(112, 122) 사이에 형성된 상기 기판 이동통로를 오픈시키기 위한 기판 통과홈(2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판 통과홈(222)의 바닥에는 기판 대향면(222a)이 형성되어 있다.The front portion 210 corresponds to the front opening 112 and an assembly receiving groove 212 for receiving the push-pull assemblies 300 is formed. The rear portion 220 is opposed to the front portion 210 and corresponds to the rear opening 122. The rear portion 220 includes a substrate passage groove for opening the substrate moving passage form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openings 112, (222) may be formed. At this time, a substrate facing surface 222a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ubstrate passing groove 222.

상기 제1 측면부(230)는 상기 제1 측면판(130)과 대응되고, 상기 제2 측면부(240)는 상기 제1 측면부(230)에 대향하고 상기 제2 측면판(140)과 대응된다.The first side surface portion 230 corresponds to the first side surface plate 130 and the second side surface portion 240 corresponds to the first side surface portion 230 and corresponds to the second side surface plate 140.

상기 상면부(250)는 상기 상면판(150)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면부(260)는 상기 상면부(250)에 대향하고 상기 하면판(160)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The upper surface portion 250 is disposed to face the upper surface plate 150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260 is disposed to face the upper surface portion 250 and to face the lower surface plate 160.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 몸체(200)에는 상기 제1 측면부(230)와 상기 조립체 수용홈(212)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조립체 수용홈(212)으로 공압을 주입하는 복수의 내부 주입홀들(232)과, 상기 제1 측면부(230)와 상기 조립체 수용홈(212)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조립체 수용홈(212)으로부터 공압을 배출시키는 복수의 내부 배출홀들(234)이 형성될 수 있다.The valve body 2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ternal injection holes 212 for connecting the first side surface portion 230 and the assembly receiving groove 212 to inject air into the assembly receiving groove 212, And a plurality of internal discharge holes 234 for connecting the first side surface portion 230 and the assembly receiving recess 212 and discharging the air pressure from the assembly receiving recess 212 may be formed.

상기 내부 주입홀들(232)은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내부 배출홀들(234)은 상기 내부 주입홀들(232)과 대응되게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injection holes 23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irst direction D1 so that the inner injection holes 234 ar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injection holes 232 And may be spaced apart along the direction D1.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부(210)에 형성된 상기 조립체 수용홈(212)의 바닥에는 공압이 주입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공압 수용홈들(21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압 수용홈들(212a)은 상기 내부 주입홀들(232)과 대응되게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주입홀들(232)은 상기 제1 측면부(230)와 상기 공압 수용홈들(212a)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공압 수용홈들(212a) 각각으로 공압을 주입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pneumatic pressure receiving grooves 212a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assembly receiving groove 212 formed in the front portion 210 to form a space for pneumatic injection. The pneumatic pressure receiving grooves 212a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irst direction D1 to correspond to the internal injection holes 232. [ Therefore, the inner injection holes 232 can connect the first side surface portion 230 and the pneumatic pressure receiving grooves 212a to inject pneumatic pressure into the respective pneumatic pressure receiving grooves 212a.

한편, 상기 밸브 몸체(200)는 후술될 상기 회전 구동모듈(50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밸브 몸체(200)의 회전축 방향은 상기 제1 방향(D1)과 평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valve body 200 may be rotated by the rotation driving module 500 to be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the rotation axis direction of the valve body 200 may be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D1.

도 7은 도 4의 개폐 밸브 및 공압 전송모듈을 C-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공기가 주입되어 실링 플레이트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n / close valve and the air pressure transfer module of FIG. 4 taken along the line C-C ', and FIG. 8 is a sectional view of the state where the air is injected and the sealing plate is moved.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실링 플레이트(300a)는 상기 전면 개구(112)와 대응되도록 상기 밸브 몸체(200)의 전면부(210)에 배치되고, 상기 전면 개구(112)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 개구(112)보다 큰 면적으로 갖되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실링 플레이트(300a)에는 상기 전면 개구(112)를 폐쇄할 때, 상기 전면판(110)의과 밀봉을 향상시키도록 오링(O-ring)과 같은 밀봉 부재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3 to 8, the sealing plate 300a is disposed on the front portion 210 of the valve body 200 so as to correspond to the front opening 112, The front opening 112 has a larger area than the front opening 112 and is formed in a corresponding shape. A sealing member such as an O-ring may be attached to the sealing plate 300a to improve sealing with the front plate 110 when the front opening 112 is closed.

상기 푸쉬-풀 조립체들(300)은 상기 전면부(210)의 조립체 수용홈(212)에 배치되어 고정된다. 상기 푸쉬-풀 조립체들(300)은 후술될 상기 공압 전송모듈(400)로부터 제공된 공압에 의해 상기 실링 플레이트(300a)를 상기 개폐 이동방향(I2)을 따라 이동시키고, 그 결과 상기 실링 플레이트(300a)는 상기 개폐 이동방향(I2)으로의 운동에 의해 상기 전면 개구(112)를 개폐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 이동방향(I2)은 상기 제3 방향(D3)과 평행할 수 있다.The push-pull assemblies 300 are disposed and fixed in the assembly receiving recess 212 of the front portion 210. The push-pull assemblies 300 move the sealing plate 300a along the opening / closing movement direction I2 by the air pressure provided from the pneumatic pressure transmitting module 400 to be described later, Can open / close the front opening 112 by movement in the opening / closing movement direction I2. At this time, the opening / closing movement direction I2 may be parallel to the third direction D3.

예를 들어, 상기 푸쉬-풀 조립체들(300) 각각은 고정 몸체부(310), 이동 몸체부(320), 이동축부(330), 밸로우즈(bellows)부(340), 플레이트 결합부(350), 복수의 가이드부들(360) 및 복원력 제공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each of the push-pull assemblies 300 includes a fixed body 310, a moving body 320, a moving shaft 330, a bellows portion 340, a plate engaging portion 350 ), A plurality of guide portions 360, and a restoring force providing portion 370.

상기 고정 몸체부(310)는 일측면이 상기 밸브 몸체(20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 몸체부(310)는 상기 조립체 수용홈(212)에 배치되어 상기 일측면이 상기 조립체 수용홈(212)의 바닥면과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 몸체부(310)의 일측면과 상기 조립체 수용홈(212)의 바닥면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212b)가 삽입 배치되어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One side of the fixed body 310 is fixedly coupled to the valve body 200. Specifically, the fixed body portion 310 is disposed in the assembly receiving groove 212, and one side of the fixed body portion 310 is engaged with and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ssembly receiving groove 212. At this time,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212b is inserted between one side of the fixed body part 31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assembly receiving groove 212 to improve the coupling force.

또한, 상기 고정 몸체부(310)의 일측면에는 상기 이동 몸체부(320)를 수용하기 위한 몸체 수용홈(312)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 수용홈(312)과 연결되도록 몸체 관통홀(314)이 상기 실링 플레이트(300a)에 대응되게 형성된다.A body receiving groove 312 for receiving the moving body 32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ed body 310 and a body through hole 314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body receiving groove 312. [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ealing plate 300a.

상기 이동 몸체부(320)는 상기 몸체 수용홈(312)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 이동방향(I2)을 따라 푸쉬-풀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 몸체부(320)는 상기 밸브 몸체(200)의 내부 주입홀(232)을 통해 상기 공압 수용홈(212a)으로 주입된 공압을 통해 푸쉬(push)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몸체부(320)는 상기 공압 수용홈(212a)을 통해 주입된 공압이 상기 밸브 몸체(200)의 내부 배출홀(234)을 통해 배출되면서, 후술될 상기 복원력 제공부(370)에 의해 풀(pull)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 수용홈(312)에 의해 형성된 상기 고정 몸체부(310)의 측벽(316)에는 상기 내부 배출홀(234)과 연결되어 상기 공압을 상기 내부 배출홀(234)로 배출시키는 측벽 배기홀(318)이 형성될 수 있다.The moving body 320 may be disposed in the body receiving groove 312 to perform a push-pull motion along the opening / closing moving direction I2. Specifically, the moving body 320 may perform a pushing motion through the pneumatic pressure injected into the pneumatic pressure receiving groove 212a through the inner injection hole 232 of the valve body 200. The pneumatic pressure injected through the pneumatic pressure receiving groove 212a of the moving body 320 is discharged through the internal discharge hole 234 of the valve body 200 and is supplied to the restoring force providing unit 370, To perform a pull motion. The side wall 316 of the fixed body part 310 formed by the body receiving groove 312 is connected to the internal discharge hole 234 to discharge the pneumatic pressure to the internal discharge hole 234, A hole 318 may be form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몸체부(310)와 마주하는 상기 이동 몸체부(320)의 일면에는 후술될 상기 가이드부들(360)을 각각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 수용홈들(326)이 형성된다.A plurality of guide receiving grooves 326 for accommodating the guide portions 360 to be described later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oving body portion 320 facing the fixed body portion 310 .

한편, 상기 고정 몸체부(310)의 몸체 수용홈(312)은 상기 개폐 이동방향(I2)을 높이로 하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이동 몸체부(320)는 상기 몸체 수용홈(312)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body receiving groove 312 of the fixed body 31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direction I2 as an elevation and the moving body 320 may include a body receiving groove 312,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이동 몸체부(320)의 외측면에는 상기 고정 몸체부(310)의 측벽(316)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몸체 마찰 방지부(328), 예를 들어 부쉬(bush)가 배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body friction preventing portion 328 for reducing frictional force with the side wall 316 of the fixed body portion 310 is formed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moving body portion 320. For example, Can be disposed.

상기 이동축부(323)는 상기 이동 몸체부(322)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고정 몸체부(321)의 축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실링 플레이트(300a)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이동축부(323)는 상기 이동 몸체부(322)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ving shaft portion 323 protrudes from the moving body portion 322 and passes through the shaft through hole of the fixed body portion 321 and is coupled to the sealing plate 300a. At this time, the moving shaft portion 323 is preferably protruded from the center of the moving body portion 322.

상기 이동축부(330)는 상기 개폐 이동방향(I2)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상기 몸체 관통홀(312)에 배치된다. 상기 이동축부(330)는 상단면이 상기 실링 플레이트(300a)와 결합되고, 상기 상단면과 대향하는 하단면이 상기 이동 몸체부(320)와 결합되며, 상기 이동 몸체부(320)의 운동에 따라 상기 실링 플레이트(300a)를 이동시킨다.The moving shaft 330 is disposed in the body through-hole 312 in a shape elongated along the opening / closing movement direction I2. The upper end of the moving shaft 330 is coupled to the sealing plate 300a and the lower end of the moving shaft 330 is coupled to the moving body 320. The lower end of the moving shaft 330 is coupled to the moving body 320, Thereby moving the sealing plate 300a.

예를 들어, 상기 이동축부(330)는 상기 이동 몸체부(320)의 중심에 배치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몸체부(320)의 일면에는 상기 이동축부(330)와의 결합을 위한 축 돌기부(32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이동축부(330)의 하단면에는 상기 축 돌기부(322)를 수용하는 돌기 결합홈(33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moving shaft portion 330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moving body portion 320 and coupled thereto. A shaft protrusion 322 for coupling with the moving shaft 330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oving body 320 and a shaft protrusion 322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moving shaft 330. [ A protrusion coupling groove 332 may be formed.

상기 밸로우즈부(325)는 상기 이동축부(232)의 외곽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개폐 이동방향(I2)으로의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고, 상기 수용공간(321a)과 상기 고정 몸체부(321)의 외부 사이를 밀봉하여 공기의 흐름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밸로우즈부(325)는 상기 스프링에 감싸여지도록 상기 스프링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bellows portion 325 is dispos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moving shaft portion 232 and is capable of shrinking and expanding in the opening and closing moving direction I2 and the bellows portion 325 is form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321a and the fixed body portion 321 ) To block the flow of air. At this time, the bellows portion 325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spring so as to be wrapped around the spring.

상기 밸로우즈부(340)는 상기 이동축부(330)를 감싸도록 상기 몸체 관통홀(314)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몸체부(310) 및 상기 이동 몸체부(320)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이동 몸체부(320)의 운동에 따라 수축 및 팽창된다. 이때, 상기 밸로우즈부(340)는 상기 몸체 수용홈(312)의 수용공간과 상기 고정 몸체부(310)의 외부 사이를 밀봉하여 공기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The bellows portion 340 is disposed in the body through hole 314 so as to surround the moving shaft portion 330 and is coupled to the fixed body portion 310 and the moving body portion 320, And contracts and expands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body portion 320. At this time, the bellows part 340 may seal the space betwee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ody receiving groove 312 and the outside of the fixed body part 310 to block the flow of air.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350)는 상기 실링 플레이트(300a) 및 상기 이동축부(3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실링 플레이트(300a)를 상기 이동축부(330)에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350)는 상기 이동축부(330)의 상단면에 일차적으로 나사 결합되고, 상기 실링 플레이트(300a)가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350)와 이차적으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The plate engaging portion 350 is disposed between the sealing plate 300a and the moving shaft 330 to couple the sealing plate 300a to the moving shaft 330. More specifically, the plate engaging portion 350 is screwed to the upper end of the moving shaft 330, and the sealing plate 300a is secondarily screwed to the plate engaging portion 350 have.

상기 가이드부들(360)은 상기 가이드 수용홈들(326)과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 몸체부(310)와 결합되고, 상기 이동 몸체부(320)가 상기 개폐 이동방향(I2)을 따라 이동되도록 가이드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들(360)은 상기 이동축부(330)를 중심으로 동심원을 그리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 이상의 가이드부들(360)이 상기 동심원을 그리며 일정 간격마다 배치될 수 있다.The guide portions 360 are engaged with the fixed body portion 310 so as to correspond to the guide receiving grooves 326 and the guide bodies 360 are engaged with the guide bodies 326 so that the movable body portion 320 is moved along the opening / do. At this time, the guide portions 360 may be arranged concentrically around the moving shaft 33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four or more guide portions 360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form of concentric circles.

상기 가이드부들(360) 각각은 가이드 핀(362) 및 가이드 마찰 방지부(3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362)은 상기 개폐 이동방향(I2)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갖고, 상단부가 상기 고정 몸체부(310)에 삽입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상단부와 대향하는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이드 수용홈(326)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 몸체부(32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가이드 마찰 방지부(364)는 상기 가이드 핀(362)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핀(362) 및 상기 가이드 수용홈(326) 사이에서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예를 들어 부쉬(bush)일 수 있다.Each of the guide portions 360 may include a guide pin 362 and a guide friction preventing portion 364. The guide pin 362 has a shape elongated along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direction I2 and has an upper end inserted and fixed to the fixed body 310 and at least a part of a lower end opposite to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fixed body 310, And is inserted into the guide receiving groove 326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movable body 320. The guide friction preventing portion 364 is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lower end of the guide pin 362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guide pin 362 and the guide receiving groove 326. For example, It can be a bush.

상기 복원력 제공부(370)는 상기 개폐 이동방향(I2)을 따라 푸쉬(push) 운동을 수행한 상기 이동 몸체부(320)가 풀(pull) 운동을 수행하도록 상기 이동 몸체부로 복원력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복원력 제공부(370)는 상기 밸로우즈부(340)를 감싸도록 상기 고정 몸체부(310) 및 상기 이동 몸체부(3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 몸체부(320)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축 스프링(37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동 몸체부(320)의 일면에는 상기 축 스프링(372)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축스프링 수용홈(324)이 형성될 수 있다.The restoring force providing portion 370 provides restoring force to the moving body portion so that the moving body portion 320 performing the pushing motion along the opening and closing moving direction I2 performs a pulling motion. At this time, the restoring force providing portion 370 is disposed between the fixed body portion 310 and the moving body portion 320 so as to surround the bellows portion 340, and provides the restoring force to the moving body portion 320 And a shaft spring 372 for rotating the shaft 372. At this time, a shaft spring receiving groove 324 for receiving a part of the shaft spring 372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oving body 320.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밸로우즈부(340)는 수축 팽창부(342), 상단 결합부(344) 및 하단 결합부(3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축 팽창부(342)는 상기 이동축부(330)를 감싸도록 상기 몸체 관통홀(314)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 몸체부(320)의 운동에 따라 수축 및 팽창된다. 상기 상단 결합부(344)는 상기 수축 팽창부(342)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고정 몸체부(310)와 결합된다. 상기 하단 결합부(346)는 상기 상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수축 팽창부(342)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축 돌기부(322)를 관통하여 상기 이동 몸체부(320)와 결합된다.In this embodiment, the bellows portion 340 may include a constriction expanding portion 342, an upper engaging portion 344, and a lower engaging portion 346. The shrinking / expanding part 342 is disposed in the body through-hole 314 so as to surround the moving shaft part 330 and is contracted and expand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body part 320. The upper engaging portion 344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traction expanding portion 342 and is engaged with the fixed body portion 310. The lower end engaging portion 346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traction bulge portion 342 facing the upper end portion and is coupled with the moving body portion 320 through the axial projection portion 322.

또한,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300a)를 상기 이동축부(330)에 결합시키는 축 결합나사(334)는 상기 이동축부(330)를 관통하여 상기 이동 몸체부(320)와 결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이동축부(330)를 상기 이동 몸체부(3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축부(330)는 상기 축 결합나사(334)에 의해 상기 이동 몸체부(320)와 결합될 때, 상기 하단 결합부(346)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여 상기 이동 몸체부(320)에 고정시킬 수 있다.The shaft coupling screw 334 for coupling the plate coupling portion 300a to the moving shaft portion 330 can be coupled with the moving body portion 320 through the moving shaft portion 330, The moving shaft portion 330 may be coupled to the moving body portion 320. At this time, when the movable shaft part 330 is engaged with the movable body part 320 by the shaft coupling screw 334,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end engaging part 346 is pressed to move the movable body part 320, .

한편, 상기 푸쉬-풀 조립체들(300)은 상기 밸브 몸체(200)의 회전축 방향, 예를 들어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N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N이 짝수일 경우, 상기 복수개의 푸쉬-풀 조립체들(300)은 후술될 제1 회전축 유닛(510)에 인접한 N/2 개의 푸쉬-풀 조립체들(300)로 구성된 제1 그룹과, 후술될 제2 회전축 유닛(520)에 인접한 N/2 개의 푸쉬-풀 조립체들(300)로 구성된 제2 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push-pull assemblies 3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rotation axis of the valve body 200, for example, in the first direction D1. If N is an even number, the plurality of push-pull assemblies 300 may include a first group of N / 2 push-pull assemblies 300 adjacent to a first rotating shaft unit 510, And a second group of N / 2 push-pull assemblies 300 adjacent to a second rotary shaft unit 5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회전 구동모듈(500)은 상기 개폐 이동방향(I2)이 상기 기판 이동방향(I2)과 일치시키거나 일치시키지 않도록 상기 밸브 몸체(200)를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회전 구동모듈(500)은 제1 회전축 유닛(510), 제2 회전축 유닛(520) 및 회전 구동유닛(5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on driving module 500 rotates the valve body 200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direction I2 does not coincide with or match the substrate moving direction I2.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rotation drive module 500 may include a first rotation axis unit 510, a second rotation axis unit 520, and a rotation drive unit 530.

상기 제1 회전축 유닛(510)은 상기 밸브 몸체(200)의 일단부와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밸브 몸체(200)의 일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하우징(100)의 일면부와 상기 밸브 몸체(20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The first rotating shaft unit 510 is fixedly coupled to one end of the valve body 200 and is fixed to one surface of the housing 100 facing the one end of the valve body 200, As shown in Fig.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회전축 유닛(510)은 상기 밸브 몸체(200)의 상면부(250)와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상면판(150)에 형성된 상측홀(152)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 회전축 유닛(51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와 외부가 밀봉되도록 상기 상면판(150)의 상측홀(152)에 결합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rotary shaft unit 510 is coupled with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250 of the valve body 200, and is rotatably coupled with the upper hole 152 formed in the upper surface plate 150. [ do. The first rotary shaft unit 51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hole 152 of the top plate 150 so that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are sealed.

상기 제2 회전축 유닛(520)은 상기 밸브 몸체(200)의 일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밸브 몸체(200)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밸브 몸체(200)의 타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하우징(100)의 타면부와 상기 밸브 몸체(20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The second rotating shaft unit 520 is fixed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valve body 200 facing the one end of the valve body 200 and is fixed to the housing body 200 facing the other end of the valve body 200. [ So that the valve body 200 can be rotated.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2 회전축 유닛(520)은 상기 밸브 몸체(200)의 하면부(260)와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하면판(160)에 형성된 하측홀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 회전축 유닛(52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와 외부가 밀봉되도록 상기 하면판(160)의 하측홀에 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rotary shaft unit 520 is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260 of the valve body 200,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hol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plate 160. At this time, the second rotary shaft unit 52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hole of the bottom plate 160 so that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are sealed.

한편, 상기 제1 회전축 유닛(510)의 내부에는 외부의 공압 발생장치(미도시)에서 생성된 공압을 주입하기 위한 제1 공압 주입홀, 및 상기 공압 발생장치로 공압을 배출시키기 위한 제1 공압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회전축 유닛(520)의 내부에는 상기 공압 발생장치에서 생성된 공압을 주입하기 위한 제2 공압 주입홀, 및 상기 공압 발생장치로 공압을 배출시키기 위한 제2 공압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meantime, a first pneumatic injection hole for injecting pneumatic pressure generated in an external pneumatic pressure generator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first rotary shaft unit 510, and a first pneumatic injection hole for pneumatic pressure- A discharge hole may be formed. In addition, a second pneumatic injection hole for injecting pneumatic pressure generated by the pneumatic pressure generator is formed in the second rotary shaft unit 520, and a second pneumatic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pneumatic pressure by the pneumatic pressure generator .

상기 회전 구동유닛(530)은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 유닛들(510, 520)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어 상기 밸브 몸체(200)의 회전을 위한 회전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회전 구동유닛(53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별도의 도면을 이용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rotation drive unit 530 is coupled with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axis units 510 and 520 to provide rotational power for rotating the valve body 200.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otation drive unit 53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a separate drawing.

도 9는 도 3의 공압 전송모듈 중 공압 주입유닛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pneumatic injection unit of the pneumatic conveyance module of Fig. 3;

도 2 내지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공압 전송모듈(400)은 상기 실링 플레이트(300a)가 상기 개폐 이동방향(I1)에 따라 왕복 이동되도록 상기 푸쉬-풀 조립체들(300)로 공압을 주입(inlet)하거나 상기 푸쉬-풀 조립체들(300)로부터 공압을 배출(outlet)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공압 전송모듈(400)은 상기 제1 그룹의 푸쉬-풀 조립체들(300)과 대응되는 제1 전송모듈(400a) 및 상기 제2 그룹의 푸쉬-풀 조립체들(300)과 대응되는 제2 전송모듈(400b)을 포함할 수 있다.2 to 6 and 9, the pneumatic pressure transfer module 4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neumatic pressure transfer module 400 is pneumatically coupled to the push-pull assemblies 300 so that the sealing plate 300a is reciprocated in the opening / closing movement direction I1. Or pull out the pneumatic pressure from the push-pull assemblies 300. The push-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pneumatic transfer module 400 includes a first transfer module 400a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up of push-pull assemblies 300 and a second transfer module 400b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roup of push- And a second transmission module 400b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ransmission module 400b.

상기 제1 전송모듈(400a)은 상기 제1 회전축 유닛(510)에 형성된 상기 제1 공압 주입홀을 통해 제공된 공압을 상기 제1 그룹의 푸쉬-풀 조립체들(300)로 동일한 속도로 공압을 주입하거나, 상기 제1 그룹의 푸쉬-풀 조립체들(300)로부터 동일한 속도로 공압을 상기 제1 회전축 유닛(510)에 형성된 상기 제1 공압 배출홀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The first transfer module 400a injects the pneumatic pressure provided through the first pneumatic injection hole formed in the first rotary shaft unit 510 into the first group of push-pull assemblies 300 at the same speed Alternatively, pneumatic pressure may be discharged from the first group of push-pull assemblies 300 through the first pneumatic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first rotary shaft unit 510 at the same speed.

상기 제2 전송모듈(400b)은 상기 제2 회전축 유닛(520)에 형성된 상기 제2 공압 주입홀을 통해 제공된 공압을 상기 제2 그룹의 푸쉬-풀 조립체들(300)로 동일한 속도로 공압을 주입하거나, 상기 제2 그룹의 푸쉬-풀 조립체들(300)로부터 동일한 속도로 공압을 상기 제2 회전축 유닛(520)에 형성된 상기 제2 공압 배출홀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The second transfer module 400b injects the pneumatic pressure provided through the second pneumatic injection hole formed in the second rotary shaft unit 520 into the second group of push-pull assemblies 300 at the same speed Alternatively, pneumatic pressure may be discharged from the second group of push-pull assemblies 300 through the second pneumatic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second rotary shaft unit 520 at the same speed.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압 전송모듈(400)은 상기 제1 및 제2 전송모듈들(400a, 400b) 중 어느 하나만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압 전송모듈(400)은 상기 제1 전송모듈(400a)만을 구비한다고 할 때, 상기 제1 전송모듈(400a)이 상기 제1 및 제2 그룹 모두로 공압을 제공하거나 상기 제1 및 제2 그룹 모두로부터 공압을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전축 유닛(510)에만 상기 제1 공압 주입홀과 상기 제1 공압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회전축 유닛(520)에는 상기 제2 공압 주입홀과 상기 제2 공압 배출홀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neumatic pressure transmission module 400 may include onl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modules 400a and 400b. In this case, when the pneumatic pressure transmission module 400 includes only the first transmission module 400a, the first transmission module 400a may provide pneumatic pressure to both the first and second groups, The air pressure can be discharged from all of the second group. In addition, the first pneumatic injection hole and the first pneumatic discharge hole are formed only in the first rotary shaft unit 510, and the second pneumatic injection hole and the second pneumatic discharge hole May not be formed.

상기 제1 및 제2 전송모듈들(400a, 400b) 각각은 공압 주입유닛(410), 공압 배출유닛(420) 및 공압 연결유닛(430)을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modules 400a and 400b may include a pneumatic injection unit 410, a pneumatic discharge unit 420 and a pneumatic connection unit 430. [

상기 공압 주입유닛(410)은 주입 주배관부(412) 및 복수의 주입 분배배관부들(4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입 주배관부(412)는 상기 푸쉬-풀 조립체들(300)과 대응되도록 상기 밸브 몸체(200)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주입 분배배관부들(414)은 상기 주입 주배관부(412)로부터 일정 간격마다 각각 분기되어 상기 밸브 몸체(200)의 내부 주입홀들(232)과 각각 연결된다. 그 결과, 상기 주입 분배배관부들(414)은 상기 주입 주배관부(412)로부터 제공된 공압을 분기하여 상기 푸쉬-풀 조립체들(300) 각각으로 주입할 수 있다.The pneumatic injection unit 410 may include an injection main pipe part 412 and a plurality of injection distribution pipe parts 414. The injection main pipe part 412 extends along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of the valve body 200 so as to correspond to the push-pull assemblies 300. The injection distribution pipe portions 414 are branched from the injection main pipe portion 412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connected to the internal injection holes 232 of the valve body 200,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injection piping portions 414 can branch the pneumatic pressure provided from the injection main piping portion 412 and inject the pneumatic pressures into the push-pull assemblies 300, respectively.

상기 공압 배출유닛(420)은 배출 주배관부(422) 및 복수의 주입 분배배관부들(4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 주배관부(422)는 상기 푸쉬-풀 조립체들(300)과 대응되도록 상기 밸브 몸체(200)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배출 분배배관부들(424)은 상기 배출 주배관부(422)로부터 일정 간격마다 각각 분기되어 상기 밸브 몸체(200)의 내부 배출홀들(234)과 각각 연결된다. 그 결과, 상기 주입 분배배관부들(414)은 상기 푸쉬-풀 조립체들(300)로부터 배출된 공압을 상기 주입 주배관부(412)로 모아 배출시킬 수 있다.The pneumatic exhaust unit 420 may include a discharge main pipe portion 422 and a plurality of injection distribution pipe portions 424. The discharge main pipe portion 422 extends along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of the valve body 200 so as to correspond to the push-pull assemblies 300. The discharge distribution pipe portions 424 are branched from the discharge main pipe portion 422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connected to the internal discharge holes 234 of the valve body 200,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injection distribution pipe portions 414 collect the pneumatic pressure discharged from the push-pull assemblies 300 to the injection main pipe portion 412 and discharge the sam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주입 분배배관부들(412) 및 상기 내부 주입홀들(232)은 상기 푸쉬-풀 조립체들(300) 각각으로 주입되는 공압이 서로 동일한 속도, 초당 주입 공기량이 서로 동일하도록 주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입 분배배관부들(412)의 내경 지름은 상기 주입 주배관부(412)의 공압 입구, 즉 상기 제1 회전축 유닛(510) 또는 상기 제2 회전축 유닛(52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일정한 크기, 일예로 R1, R2, R3, ... , R7 순으로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주입홀들(232)의 지름도 상기 주입 주배관부(412)의 공압 입구, 즉 상기 제1 회전축 유닛(510) 또는 상기 제2 회전축 유닛(52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일정한 크기로 증가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injection dispense piping portions 412 and the inner injection holes 232 ar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pneumatic pressures injected into the respective push-pull assemblies 300 are equal to each other, Can be constructed. For example, the inner diameters of the injection piping portions 412 may be set to be constant as they are away from the pneumatic inlet of the injection main pipe portion 412, that is, the first rotary shaft unit 510 or the second rotary shaft unit 520 For example, in the order of R1, R2, R3, ..., R7. The diameter of the internal injection holes 232 is increased to a certain extent as the distance from the pneumatic inlet of the injection main pipe unit 412, that is, the first rotary shaft unit 510 or the second rotary shaft unit 520 can do.

또한, 상기 배출 분배배관부들(422) 및 상기 내부 배출홀들(234)은 상기 푸쉬-풀 조립체들(300) 각각으로부터 배출되는 공압이 서로 동일한 속도, 초당 배출공기량이 서로 동일하도록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출 분배배관부들(422)의 내경 지름은 상기 배출 주배관부(422)의 공압 출구, 즉 상기 제1 회전축 유닛(510) 또는 상기 제2 회전축 유닛(520)로부터 멀어질수록 일정한 크기로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배출홀들(234)의 지름도 상기 배출 주배관부(422)의 공압 출구, 즉 상기 제1 회전축 유닛(510) 또는 상기 제2 회전축 유닛(52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일정한 크기로 증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dispense piping portions 422 and the inner discharge holes 234 can be discharged such that the pneumatic pressures discharged from each of the push-pull assemblies 300 are equal to each other, Structure. For example, the inner diameters of the discharge distribution pipe portions 422 are set to be constant as they are away from the pneumatic outlet of the discharge main pipe portion 422, that is, the first rotary shaft unit 510 or the second rotary shaft unit 520 Size. &Lt; / RTI &gt; The diameter of the inner discharge holes 234 is increased to a certain size as the distance from the pneumatic outlet of the discharge main pipe portion 422, that is, the first rotary shaft unit 510 or the second rotary shaft unit 520 can do.

상기 공압 연결유닛(430)은 상기 제1 회전축 유닛(510) 또는 상기 제2 회전축 유닛(520)과 결합되어, 상기 공압 주입유닛(410)을 상기 제1 회전축 유닛(510) 또는 상기 제2 회전축 유닛(520)과 연결시키고, 상기 공압 배출유닛(420)을 상기 제1 회전축 유닛(510) 또는 상기 제2 회전축 유닛(520)과 연결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압 연결유닛(430)은 상기 공압 주입유닛(410)을 상기 제1 회전축 유닛(510)의 제1 공압 주입홀 또는 상기 제2 회전축 유닛(520)의 제2 공압 주입홀과 연결시키는 주입 연결홀과, 상기 공압 배출유닛(420)을 상기 제1 회전축 유닛(510)의 제1 공압 배출홀 또는 상기 제2 회전축 유닛(520)의 제2 공압 배출홀과 연결시키는 배출 연결홀을 갖는다.The pneumatic connecting unit 430 is coupled to the first rotary shaft unit 510 or the second rotary shaft unit 520 to connect the pneumatic injection unit 410 to the first rotary shaft unit 510 or the second rotary shaft unit 520, Unit 520 and connects the pneumatic discharge unit 420 to the first rotary shaft unit 510 or the second rotary shaft unit 520. [ More specifically, the pneumatic connection unit 430 connects the pneumatic injection unit 410 to the first pneumatic injection hole of the first rotary shaft unit 510 or to the second pneumatic injection hole of the second rotary shaft unit 520 And a discharge connection hole for connecting the pneumatic discharge unit 420 to the first pneumatic discharge hole of the first rotary shaft unit 510 or the second pneumatic discharge hole of the second rotary shaft unit 520 .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압 주입유닛(410)은 상기 주입 주배관부(412)와 상기 공압 연결유닛(430)의 주입 연결홀 사이를 연결시키는 주입 연결배관부(4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입 연결배관부(416)는 다양한 배관 연결수단을 통해 적어도 한 번 굴곡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neumatic injection unit 410 may further include an injection connection pipe portion 416 for connecting between the injection main pipe portion 412 and the injection connection hole of the pneumatic connection unit 430 have. At this time, the injection connection pipe portion 416 may have a structure bent at least once through various pipe connection means.

또한, 상기 공압 배출유닛(420)은 상기 배출 주배관부(422)와 상기 공압 연결유닛(430)의 배출 연결홀 사이를 연결시키는 배출 연결배관부(4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 연결배관부(426)는 다양한 배관 연결수단을 통해 적어도 한 번 굴곡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pneumatic discharge unit 420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connection pipe portion 426 connecting between the discharge main pipe portion 422 and the discharge connection hole of the pneumatic connection unit 430. At this time, the discharge connection pipe portion 426 may have a structure bent at least once through various pipe connection means.

도 10은 도 1의 게이트 밸브에서 회전축 하우징부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D 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rotation shaft housing part is removed from the gate valve of Fig. 1,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nlarged view of part D of Fig.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 구동유닛(530)은 동력 발생부(532), 감속기부(534), 회전동력 제공부(536) 및 회전위치 센싱부(538)를 포함할 수 있다.10 and 11, the rotation driving unit 530 may include a power generating unit 532, a speed reducing unit 534, a rotational power providing unit 536, and a rotational position sensing unit 538 .

상기 동력 발생부(532)는 일차 동력을 발생시키고, 예를 들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전동 모터일 수 있다. 상기 감속기부(534)는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시켜 상기 회전동력 제공부(536)로 전달한다.The power generating unit 532 may be an electric motor that generates primary power and provides rotational power, for example. The deceleration base 534 decelerat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electric motor and transmits the decelerated base 534 to the rotary power supplier 536.

상기 회전동력 제공부(536)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 유닛들(510, 520)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상기 제2 회전축 유닛(520)과 결합되고, 상기 감속기부(534)로부터 제공된 회전력을 상기 밸브 모듈(300)을 회전시키는 회전동력으로 변경하여 상기 제2 회전축 유닛(520)으로 전달한다. 즉, 상기 회전동력 제공부(536)는 상기 감속기부(534)로부터 제공된 회전력을 상기 회전동력으로 변경하는 회전축 변경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ry power supply 536 is coupled to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otary shaft units 510 and 520, for example, the second rotary shaft unit 520, The rotational force is converted into a rotational power for rotating the valve module 300 and transmitted to the second rotary shaft unit 520. That is, the rotational power providing portion 536 may include a rotation shaft changing gear that changes the rotational force provided from the reduction base portion 534 to the rotational power.

상기 회전위치 센서부(538)는 상기 제2 회전축 유닛(520)과 결합되어, 상기 밸브 몸체(200)의 회전 위치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위치 센서부(538)는 회전 돌기(538a), 제1 위치 센서(538b) 및 제2 위치 센서(538c)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otation position sensor unit 538 is coupl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unit 520 to sense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valve body 200. For example, the rotation position sensor unit 538 may include a rotation projection 538a, a first position sensor 538b, and a second position sensor 538c.

상기 회전 돌기(538a)는 상기 제2 회전축 유닛(520)과 결합되어 상기 밸브 몸체의 회전시 함께 원회전한다. 상기 제1 위치 센서(538b)는 상기 개폐 이동방향(I2)이 상기 기판 이동방향(I1)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예를 들어 상기 회전 돌기(538a)의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제1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 센서(538c)는 상기 개폐 이동방향(I2)이 상기 기판 이동방향(I2)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형성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예를 들어 상기 회전 돌기(538a)의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제2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on protrusion 538a is engaged with the second rotary shaft unit 520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valve body when the valve body rotates. The first position sensor 538b senses whether the open / close movement direction I2 coincides with the substrate movement direction I1, and detects whether the opening / closing movement direction I2 is coincident with the substrate movement direction I1. For example, 1 proximity sensor. The second position sensor 538c senses whether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direction I2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moving direction I2 and detects whether the rotation protrusion 538a is close to the substrate moving direction I2, And a second proximity sensor capable of sensing a second proximity sensor.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돌기(538a)에는 도면과 같이 한 쌍의 분기 가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위치센서(538b)는 상기 분기 가지들에 대응하여 배치된 한 쌍의 제1 근접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위치센서(538c)는 상기 분기 가지들에 대응하여 한 쌍의 제2 근접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pair of branch branches may be formed on the rotation projection 538a as shown in the figure. At this time, the first position sensor 538b may include a pair of first proximity sensor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branch branches, and the second position sensor 538c may correspond to the branch branches Pairs of second proximity sensors.

한편, 상기 동력 발생부(532)는 회전력 대신에,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일차 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회전동력 제공부(536)는 상기 일차 동력을 상기 회전 동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속기부(534)는 생략될 수 있다.In place of the rotational force, the power generating unit 532 generates a primary power that performs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and the rotational power providing unit 536 can change the rotational power of the primary power. At this time, the deceleration base 534 may be omitted.

또한, 상기 회전위치 센서부(538)는 2개의 회전 위치들을 감지하도록 2개의 위치 센서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3개 이상의 회전 위치들을 감지하도록 3개 이상의 위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rotation position sensor unit 538 includes two position sensors for sensing two rotational positions, the rotational position sensor unit 538 may include three or more position sensors for sensing three or more rotational positions .

또한, 상기 회전 구동유닛(530)은 상기 회전동력 제공부(536) 및 상기 회전위치 센싱부(538)를 감싸도록 상기 하면판(160)과 결합된 회전축 하우징부(53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 하우징부(530a)는 상기 회전동력 제공부(536) 및 상기 회전위치 센싱부(538)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rotation driving unit 530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axis housing part 530a coupled with the bottom plate 160 to surround the rotation power providing part 536 and the rotation position sensing part 538 have. At this time, the rotation shaft housing part 530a may serve a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rotation power providing part 536 and the rotation position sensing part 538.

또한, 상기 회전 구동유닛(530)은 상기 회전위치 센싱부(538)에서 센싱된 위치 센싱 신호들에 대응하여 상기 동력 발생부(532)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on drive unit 530 may further include a drive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power generation unit 532 in response to the position sensing signals sensed by the rotation position sensing unit 538 .

도 12는 도 1의 게이트 밸브에서 제1 측면판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E 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side plate is separated from the gate valve in Fig. 1, and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E in Fig.

도 2 및 도 3과,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밸브는 상기 제1 회전축 유닛(510)을 상기 밸브 몸체(200)의 일단부, 즉 상기 밸브 몸체(200)의 상면부(250)와 결합되어 고정시키는 제1 결합유닛(540), 및 상기 제2 회전축 유닛(510)을 상기 밸브 몸체(200)의 타단부, 즉 상기 밸브 몸체(200)의 하면부(260)와 결합되어 고정시키는 제2 결합유닛(5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2 and 3 and FIGS. 12 and 13, the gate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valve body 200, the valve body 200, the first rotary shaft unit 510, And the second rotating shaft unit 51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valve body 200, tha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valve body 200 260 to the second coupling unit 550. The second coupling unit 55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unit 550. [

상기 제1 결합유닛(540)은 상기 밸브 몸체(200)의 상면부(250) 및 상기 상면부(250)와 인접한 상기 후면부(220)의 일부와 결합된 제1 밸브몸체 결합부(542), 및 상기 제1 회전축 유닛(510)과 결합된 제1 회전축 결합부(5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유닛(550)은 상기 밸브 몸체(200)의 하면부(260) 및 상기 하면부(260)와 인접한 상기 후면부(220)의 일부와 결합된 제2 밸브몸체 결합부, 및 상기 제2 회전축 유닛(520)과 결합된 제2 회전축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unit 540 includes a first valve body coupling portion 542 coupled with a top surface portion 250 of the valve body 200 and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portion 220 adjacent to the top surface portion 250, And a first rotation axis coupling unit 544 coupled to the first rotation axis unit 510. [ The second coupling unit 550 includes a second valve body coupling portion coupled to a lower portion 260 of the valve body 200 and a portion of the rear portion 220 adjacent to the lower surface portion 260, And a second rotating shaft coupling unit coupled to the second rotating shaft unit 520. [

이와 같이, 상기 제1 결합유닛(540)이 상기 상면부(250) 및 이와 인접한 상기 후면부(220)의 일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2 결합유닛(550)은 상기 하면부(260) 및 이와 인접한 상기 후면부(220)의 일부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결합유닛들(540, 550)을 상기 밸브 몸체(200)에 보다 강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As such, the first coupling unit 540 is coupled to the top surface 250 and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220 adjacent thereto, and the second coupling unit 550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260 and the adjacent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units 540 and 550 can be more strongly coupled to the valve body 200 as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units 540 and 550 are coupled to a portion of the rear portion 220.

도 14는 도 1의 게이트 밸브가 동작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1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equence in which the gate valve of FIG. 1 is operated.

도 1, 도 2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 밸브는 크게 상기 전면 및 후면 개구들(112, 122) 사이에 형성된 기판 이동통로를 차단(close)시키는 게이트 닫침 모드(gate close mode), 상기 기판 이동통로를 오픈(open)시키는 게이트 열림 모드(gate open mode), 및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유지되는 정비 모드(maintenance mode)로 동작될 수 있다.1, 2 and 14, the gate valve mainly includes a gate close mode for closing a substrate transfer path form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openings 112 and 122, A gate open mode in which the substrate transfer path is opened, and a maintenance mode in which the operation is not performed.

구체적으로, 상기 게이트 닫침 모드는 상기 밸브 몸체(200)가 회전되어 상기 개폐 이동방향(I2)이 상기 기판 이동방향(I1)과 일치할 때 동작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열림 모드는 상기 밸브 몸체(200)가 회전되어 상기 개폐 이동방향(I2)이 상기 기판 이동방향(I1)에 대해 제1 각도로 형성될 때 동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판 통과홈(222)의 바닥에 형성된 상기 기판 대향면(222a)은 상기 개폐 이동방향(I2)이 상기 기판 이동방향(I1)에 대해 제1 각도로 형성될 때, 상기 기판 이동방향(I1)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정비 모드는 상기 개폐 이동방향(I2)이 상기 기판 이동방향(I1)에 대해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로 형성될 때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정비 모드는 아무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보관 중이거나 수리가 필요할 때 동작되는 모드이다.Specifically, the gate closing mode can be operated when the valve body 200 is rotated so that the opening / closing movement direction I2 coincides with the substrate moving direction I1. The gate opening mode may be operated when the valve body 200 is rotated so that the opening / closing movement direction I2 is formed at a first angle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moving direction I1. When the opening / closing movement direction I2 is formed at a first angle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moving direction I1, the substrate opposing surface 222a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ubstrate passing groove 222 is moved in the substrate moving direction I2, (I1). The maintenance mode may be operated when the opening / closing movement direction I2 is formed at a second angle larger than the first angle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moving direction I1. The maintenance mode is a mode in which maintenance is performed without any operation, or when maintenance is requir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각도는 40도 ~ 80도의 범위, 예를 들어 약 60도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각도가 40도보다 작을 경우, 상기 개폐 이동방향(I2)을 따라 이동을 위한 각종 구성 요소들을 형성할 공간이 작아져 설계가 어려워지고, 상기 제1 각도가 80도를 넘을 경우, 상기 밸브 몸체(200)의 전체 부피가 증가되어 제조 비용이 증가하거나 보다 강한 회전 동력을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제2 각도는 80도 큰 각도, 예를 들어 90도 일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gle may range from 40 degrees to 80 degrees, for example, about 60 degrees. At this time, when the first angle is smaller than 40 degrees, a space for forming various components for moving along the opening / closing movement direction I2 is reduced, which makes design difficult. When the first angle exceeds 80 degrees , The total volume of the valve body 200 is increased to increase manufacturing costs or to provide stronger rotational power. Further, the second angle may be an angle of 80 degrees, for example, 90 degrees.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밸브의 구동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우선 상기 게이트 밸브는 상기 정비 모드로 동작되고 있다가, 상기 밸브 몸체(200)가 원하는 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게이트 열림 모드 또는 상기 게이트 닫힘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게이트 닫힘 모드에는 상기 실링 플레이트(300a)가 상기 개폐 이동방향(I2)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전면 개구(112)가 차단시키는 푸시(push) 동작과, 상기 전면 개구(112)를 오픈시키는 풀(pull) 동작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gate valve is operated in the maintenance mode, and the valve body 200 is rotated at a desired angle so that the gate opening mode or the gate Closed mode. At this time, in the gate closing mode, a pushing operation in which the sealing plate 300a moves according to the opening / closing moving direction I2 to cut off the front opening 112 and the pushing operation in which the front opening 112 is opened Can be distinguished by a pull oper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게이트 밸브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들(360)이 상기 이동 몸체부(320)의 가이드 수용홈들(326)과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 몸체부(310)와 결합되어, 상기 이동 몸체부(320)의 운동을 가이드함에 따라, 상기 이동 몸체부(320)가 개폐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외부 충격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이동 몸체부(320)에 의해 함께 이동하는 상기 이동축부(330)의 흔들림을 억제하여, 상기 실링 플레이트(350)가 안정적으로 푸쉬-풀(pull) 운동을 수행할 수 있고, 마찰에 의한 소음 또는 파티클을 감소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gate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portions 360 are coupled with the fixed body portion 310 so as to correspond to the guide receiving grooves 326 of the movable body portion 320, When the movable body 320 is moved along the opening / closing movement direction by guiding the movement of the part 320,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shaking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an external impact. Accordingly, the shaking of the moving shaft 330, which moves together with the moving body 320, is suppressed, so that the sealing plate 350 can stably perform the push-pull movement, Thereby reducing noise or particles.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게이트 밸브가 상기 밸브 몸체(200)를 회전시키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상기 게이트 닫침 모드 및 상기 게이트 열림 모드가 선택적으로 동작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 게이트 밸브가 상기 밸브 몸체(200)를 회전시키는 구조 대신에, 상기 밸브 몸체(200)를 상기 제2 방향(D2)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구조를 채용하여, 상기 게이트 닫침 모드 및 상기 게이트 열림 모드가 선택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ate closing mode and the gate opening mode are selectively operated by adopting a structure in which the gate valve rotates the valve body 200. [ However, instead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gate valve rotates the valve body 200, a structure is employed in which the valve body 200 is reciprocated in the second direction D2, The open mode can be selectively operated.

<실시예 2>&Lt; Example 2 >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밸브 중 개폐 밸브 및 공압 전송모듈을 실링 플레이트 측으로 바라본 정면도이며, 도 16은 도 15의 개폐 밸브 및 공압 전송모듈을 F-F'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5의 개폐 밸브 및 공압 전송모듈을 G-G'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18은 도 15의 개폐 밸브 및 공압 전송모듈을 H-H'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에서 공기가 주입되어 실링 플레이트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5 is a front view of the gate valv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sealing plate side, and FIG. 16 is a front view of the gate valv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G-G 'of FIG. 15, and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n / close valve and the pneumatic transfer module of FIG. And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ir is injected and the sealing plate is moved in FIG.

본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밸브는 복원력 제공부(37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14를 통해 설명한 제1 실시예의 게이트 밸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gate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gate val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4 except for the restoring force providing portion 370,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hereto,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복원력 제공부(370)는 제1 실시예에서의 축 스프링(372) 대신에 복수의 가이드 스프링들(374)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스프링들(374)은 상기 가이드부들(360)을 각각 감싸도록 상기 고정 몸체부(310) 및 상기 이동 몸체부(3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 몸체부(320)로 복원력을 제공한다.15 to 19, the restoring force providing portion 37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 springs 374 in place of the axial springs 372 in the first embodiment. At this time, the guide springs 374 are disposed between the fixed body 310 and the movable body 320 so as to enclose the guide portions 360, respectively, and provide the restoring force to the movable body 320 do.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들(360)을 각각 감싸도록 배치된 상기 가이드 스프링들(374)이 푸쉬(push) 운동을 수행한 상기 이동 몸체부(320)로 풀(pull) 운동을 위한 복원력을 균일하게 제공함에 따라, 상기 이동 몸체부(320)가 보다 안정적으로 풀(pull)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guide springs 374 arranged to surround the guide portions 360 uniformly apply the restoring force for the pull motion to the moving body portion 320 that has performed the pushing motion The moving body portion 320 can perform a more stable pull motion.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에서의 축 스프링(372)이 생략됨에 따라, 상기 밸로우즈부(340)의 수축 팽창부(342)가 수축 및 팽창을 할 때, 상기 수축 팽창부(342)의 일부분이 상기 축 스프링(372)에 의해 끼어 찢어지는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shrinkage expansion part 342 of the bellows part 340 shrinks and expands due to the omission of the shaft spring 372 in the first embodiment, a part of the shrinkage expansion part 34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defective tearing by the shaft spring 372.

한편, 상기 축 스프링(372)이 생략됨에 따라, 상기 축 스프링(327)의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해 형성된 상기 제1 실시예에서의 축스프링 수용홈(324)도 생략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이동 몸체부(320)의 일면에는 상기 밸로우즈부(340)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밸로우즈 수용홈(32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로우즈 수용홈(322a)은 상기 축 돌기부(322)의 외곽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단 결합부(344) 및 상기 수축 팽창부(342)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shaft spring 372 is omitted, the shaft spring receiving groove 324 in the first embodiment for accommodating a portion of the shaft spring 327 can be omitted. On the other hand, a bellows receiving groove 322a for receiving a part of the bellows 34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moving body 320. The bellows receiving groove 322a is formed to enclose the outer periphery of the axial projection 322 and can receive the lower end coupling portion 344 and a part of the contraction and expansion portion 342.

그러나, 본 실시예서와 달리, 상기 복원력 제공부(370)는 상기 축 스프링(372) 및 상기 가이드 스프링들(374)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However,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storing force providing portion 370 may include both the shaft spring 372 and the guide springs 374.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an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하우징 110 : 전면판
112 : 전면 개구 120 : 후면판
122 : 후면 개구 130 : 제1 측면판
140 : 제2 측면판 150 : 상측판
160 : 하측판 200 : 밸브 몸체
210 : 전면부 212 : 조립체 수용홈
212a : 공압 수용홈 212b : 결합 돌기
220 : 후면부 222 : 기판 통과홈
222a : 기판 대향면 230 : 제1 측면부
232 : 내부 주입홀 234 : 내부 배출홀
240 : 제2 측면부 250 : 상면부
260 : 하면부 300a : 실링 플레이트
300 : 푸쉬-풀 조립체 310 : 고정 몸체부
312 : 몸체 수용홈 314 : 몸체 관통홀
316 : 측벽 318 : 측벽 배기홀
320 : 이동 몸체부 322 : 축 돌기부
322a : 밸로우즈 수용홈 324 : 축스프링 수용홈
326 : 가이드 수용홈 328 : 몸체 마찰 방지부
330 : 이동축부 332 : 돌기 결합홈
334 : 축 결합나사 340 : 밸로우즈부
342 : 수축 팽창부 344 : 상단 결합부
346 : 하단 결합부 350 : 플레이트 결합부
360 : 가이드부 362 : 가이드 핀
364 : 가이드 마찰 방지부 370 : 복원력 제공부
372 : 축 스프링 374 : 가이드 스프링
400 : 공압 전송모듈 400a : 제1 전송모듈
400b : 제2 전송모듈 410 : 공압 주입유닛
412 : 주입 주배관부 414 : 주입 분배배관부
416 : 주입 연결배관부 420 : 공압 배출유닛
422 : 배출 주배관부 424 : 배출 분배배관부
426 : 배출 연결배관부 430 : 공압 연결유닛
500 : 회전 구동모듈 510 : 제1 회전축 유닛
520 : 제2 회전축 유닛 530 : 회전 구동유닛
532 : 동력 발생부 534 : 감속기부
536 : 회전동력 제공부 538 : 회전위치 센싱부
538a : 회전 돌기 538b : 제1 위치 센서
538c : 제2 위치 센서 540 : 제1 결합 유닛
550 : 제2 결합유닛 I1 : 기판 이동방향
I2 : 개폐 이동방향
100: housing 110: front plate
112: front opening 120: rear plate
122: rear opening 130: first side plate
140: second side plate 150: upper side plate
160: lower side plate 200: valve body
210: front part 212: assembly receiving groove
212a: air pressure receiving groove 212b: engaging projection
220: rear face portion 222: substrate passing groove
222a: substrate facing surface 230: first side surface
232: Internal injection hole 234: Internal discharge hole
240: second side portion 250: upper surface portion
260: lower surface portion 300a: sealing plate
300: push-pull assembly 310: fixed body portion
312: body receiving groove 314: body through hole
316: side wall 318: side wall exhaust hole
320: moving body portion 322: shaft projection portion
322a: a bellows receiving groove 324: a shaft receiving groove
326: guide receiving groove 328: body friction preventing portion
330: moving shaft portion 332: projection-engaging groove
334: shaft coupling screw 340: bellows part
342: contraction bulge 344:
346: bottom engaging portion 350: plate engaging portion
360: guide portion 362: guide pin
364: Guide friction preventing portion 370:
372: shaft spring 374: guide spring
400: Pneumatic transmission module 400a: First transmission module
400b: second transmission module 410: pneumatic injection unit
412: injection main pipe section 414: injection distribution pipe section
416: injection connection piping section 420: pneumatic exhaust unit
422: discharge main pipe portion 424: discharge distribution pipe portion
426: Discharge connection piping part 430: Pneumatic connection unit
500: rotation drive module 510: first rotation shaft unit
520: second rotary shaft unit 530: rotary drive unit
532: Power generating unit 534: Deceleration base
536: Rotational power providing unit 538: Rotational position sensing unit
538a: rotation projection 538b: first position sensor
538c: second position sensor 540: first coupling unit
550: second coupling unit I1: substrate moving direction
I2: opening / closing movement direction

Claims (16)

밸브 몸체에 결합되어 실링 플레이트를 개폐 이동방향을 따라 푸쉬-풀(push-pull) 운동시킬 수 있는 푸쉬-풀 조립체에 있어서,
일측면이 상기 밸브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일측면에 몸체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 수용홈과 연결되도록 몸체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 몸체부;
상기 몸체 수용홈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 이동방향을 따라 푸쉬-풀 운동을 수행하고, 상기 고정 몸체부와 마주하는 일면에 복수의 가이드 수용홈들이 형성된 이동 몸체부;
상기 개폐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상기 몸체 관통홀에 배치되고, 상기 실링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이동 몸체부의 운동에 따라 상기 실링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이동축부;
상기 이동축부를 감싸도록 상기 몸체 관통홀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몸체부 및 상기 이동 몸체부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이동 몸체부의 운동에 따라 수축 및 팽창되는 밸로우즈부; 및
상기 가이드 수용홈들과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 몸체부와 결합되고, 상기 이동 몸체부가 상기 개폐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부들을 포함하는 푸쉬-풀 조립체.
1. A push-pull assembly coupled to a valve body to allow push-pull movement of a sealing plate along an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direction,
A fixed body portion having one side surface coupled to the valve body, a body receiving groove formed on the one side surface, and a body through hole connected to the body receiving groove;
A movable body portion which is disposed in the body receiving groove and performs push-pull movement along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direction and has a plurality of guide receiving grooves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facing the fixed body portion;
A moving shaft disposed in the body through-hole in a shape elongated along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and coupled with the sealing plate to move the sealing plate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moving body;
A bellows portion disposed in the body through-hole to surround the moving shaft portion, the bellows portion being engaged with the fixed body portion and the moving body portion, respectively, and contracting and expand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body portion; And
And a plurality of guide portions coupled to the fixed body portion to correspond to the guide receiving grooves and guiding the movable body portion to be moved along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이동방향을 따라 푸쉬(push) 운동을 수행한 상기 이동 몸체부가 풀(pull) 운동을 수행하도록 상기 이동 몸체부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력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조립체.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storing forc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restoring force to the moving body so that the moving body part performing a pushing motion along the opening and closing moving direction performs a pulling motion A push-pull assembl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력 제공부는
상기 가이드부들을 각각 감싸도록 상기 고정 몸체부 및 상기 이동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 몸체부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가이드 스프링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조립체.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resilient force providing unit
And a plurality of guide springs disposed between the fixed body part and the movable body part to respectively surround the guide parts and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movable body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력 제공부는
상기 밸로우즈부를 감싸도록 상기 고정 몸체부 및 상기 이동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 몸체부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축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조립체.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resilient force providing unit
And a shaft spring disposed between the fixed body portion and the movable body portion to enclose the bellows portion and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movable body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몸체부는
상기 밸브 몸체의 내부 주입홀을 통해 인가된 공압에 의해 상기 푸쉬 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조립체.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moving body portion
Wherein the pushing motion is performed by pneumatic pressure applied through the inner injection hole of the valve bod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몸체부는
상기 공압이 상기 밸브 몸체의 내부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면서, 상기 복원력 제공부에 의해 상기 풀 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조립체.
6. 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movable body portion
Wherein the pneumatic pressure is discharged through the inner discharge hole of the valve body to perform the pulling motion by the restoring force providing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수용홈에 의해 형성된 상기 고정 몸체부의 측벽에는
상기 내부 배출홀과 연결되어 상기 공압을 상기 내부 배출홀로 배출시키는 측벽 배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조립체.
[7]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ide wall of the fixed body formed by the body receiving groove
And a side wall exhaust hole connected to the internal discharge hole to discharge the air pressure to the internal discharge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들은
상기 이동축부를 중심으로 동심원을 그리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조립체.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guide portions
Wherein the push-pull assembly is disposed concentrically with the moving shaft 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수용홈은 상기 개폐 이동방향을 높이로 하는 원통 형상을 갖고,
상기 이동 몸체부는 상기 몸체 수용홈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조립체.
9.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body receiving groove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the opening /
Wherein the movable body portion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ody receiving groov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개수는 4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조립체.The push-pull assembly of claim 8, wherein the number of the guide portions is four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들 각각은
상기 고정 몸체부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이드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 몸체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핀; 및
상기 가이드 핀 및 상기 가이드 수용홈 사이에서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가이드 핀의 일단부를 감싸도록 배치된 가이드 마찰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조립체.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guide portions
A guide pin fixedly coupled to the fixed body and at least a part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guide receiving groove to guide movement of the movable body; And
And a guide friction preventing portion disposed to surround one end of the guide pin to reduce a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guide pin and the guide receiv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축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실링 플레이트를 상기 이동축부에 결합시키는 플레이트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조립체.The push-pull assembly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ate engaging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sealing plate and the moving shaft portion and coupling the sealing plate to the moving shaft por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밸로우즈부는
상기 이동축부를 감싸도록 상기 몸체 관통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 몸체부의 운동에 따라 수축 및 팽창되는 수축 팽창부;
상기 수축 팽창부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고정 몸체부와 결합되는 상단 결합부; 및
상기 일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수축 팽창부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 몸체부와 결합되는 하단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조립체.
13. The apparatus of claim 12, wherein the bellows portion
A shrinking and expanding unit disposed in the body through-hole so as to surround the moving shaft part, the shrinking and expanding part contracting and expand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body part;
An upper engaging par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traction bulge and engaged with the fixed body part; And
And a lower end coupling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hrinking expansion portion facing the one end portion and coupled with the moving body port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를 상기 이동축부에 결합시키는 축 결합나사는
상기 이동축부를 관통하여 상기 이동 몸체부와 결합되어, 상기 이동축부를 상기 이동 몸체부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조립체.
14. The apparatus of claim 13, wherein the shaft coupling screw coupling the plate coupling portion to the moving shaft portion
Wherein the movable body portion is coupled with the movable body portion through the movable shaft portion, thereby coupling the movable shaft portion to the movable body por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축부는
상기 축 결합나사에 의해 상기 이동 몸체부와 결합될 때, 상기 하단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여 상기 이동 몸체부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조립체.
1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movable shaft
And wherein when the shaft coupling screw is engaged with the moving body por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engaging portion is pressed and fixed to the moving body portion.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된 밸브 몸체, 상기 하우징의 개구와 대응되는 실링 플레이트, 및 상기 실링 플레이트를 개폐 이동방향을 따라 푸쉬-풀(push-pull) 운동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푸쉬-풀 조립체를 포함하는 개폐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풀 조립체는
일측면이 상기 밸브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일측면에 몸체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 수용홈과 연결되도록 몸체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 몸체부;
상기 몸체 수용홈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 이동방향을 따라 푸쉬-풀 운동을 수행하고, 상기 고정 몸체부와 마주하는 일면에 복수의 가이드 수용홈들이 형성된 이동 몸체부;
상기 개폐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상기 몸체 관통홀에 배치되고, 상기 실링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이동 몸체부의 운동에 따라 상기 실링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이동축부;
상기 이동축부를 감싸도록 상기 몸체 관통홀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몸체부 및 상기 이동 몸체부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이동 몸체부의 운동에 따라 수축 및 팽창되는 밸로우즈부; 및
상기 가이드 수용홈들과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 몸체부와 결합되고, 상기 이동 몸체부가 상기 개폐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밸브.
A housing having at least one opening; And
A valve body disposed in the housing, a sealing plate corresponding to an opening of the housing, and at least one push-pull assembly capable of push-pulling movement of the sealing plate along an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direction Closing valve,
The push-pull assembly
A fixed body portion having one side surface coupled to the valve body, a body receiving groove formed on the one side surface, and a body through hole connected to the body receiving groove;
A movable body portion which is disposed in the body receiving groove and performs push-pull movement along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direction and has a plurality of guide receiving grooves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facing the fixed body portion;
A moving shaft disposed in the body through-hole in a shape elongated along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and coupled with the sealing plate to move the sealing plate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moving body;
A bellows portion disposed in the body through-hole to surround the moving shaft portion, the bellows portion being engaged with the fixed body portion and the moving body portion, respectively, and contracting and expand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body portion; And
And a plurality of guide portions coupled to the fixed body portion to correspond to the guide receiving grooves and guiding the movable body portion to move along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direction.
KR1020130034970A 2013-04-01 2013-04-01 Push-pull assay and gate valve having the push-pull assay KR1014601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970A KR101460181B1 (en) 2013-04-01 2013-04-01 Push-pull assay and gate valve having the push-pull ass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970A KR101460181B1 (en) 2013-04-01 2013-04-01 Push-pull assay and gate valve having the push-pull ass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405A true KR20140119405A (en) 2014-10-10
KR101460181B1 KR101460181B1 (en) 2014-11-10

Family

ID=51991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4970A KR101460181B1 (en) 2013-04-01 2013-04-01 Push-pull assay and gate valve having the push-pull ass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18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2272A (en) * 2019-05-16 2020-11-25 인베니아큐 주식회사 Pull-push device, gate valve and vacuum processing apparatus using i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244B1 (en) * 2009-07-07 2011-10-10 주식회사 에이티에스엔지니어링 Pull-push assay
KR101216604B1 (en) * 2010-05-20 2012-12-31 주식회사 에이티에스엔지니어링 Gate Valv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2272A (en) * 2019-05-16 2020-11-25 인베니아큐 주식회사 Pull-push device, gate valve and vacuum processing apparatus using 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0181B1 (en) 2014-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0866B1 (en) Shutoff valve apparatus and mass flow control device with built-in shutoff valve
CN205026183U (en) Electropneumatic converter, ooff valve and enclosed type electropneumatic converter
KR101460181B1 (en) Push-pull assay and gate valve having the push-pull assay
CN102537486A (en) Intelligent valve positioning device
US6453932B2 (en) In-line valve
CN110238872A (en) Vacuum chuck equipment
TWI428527B (en) Air-tight sealing apparatus and display-apparatus manufacturing system having the same
JP2013002502A (en) Pipe joint and pipe joint connection system
CN102474205B (en) The valve of polymer actuator and this polymer actuator of use
KR101485765B1 (en) Gate valve
EP2696120B1 (en) Pneumatic control valv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US9291161B2 (en) Compact linear actuator
CN103910318A (en) Aseptic filling valve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JP2018071554A (en) Flow passage selector valve
JP2002174180A (en) Bellows pump
US20150102250A1 (en) Flow controller
RU2215224C1 (en) Bodyless gate valve with curvilinear trajectory of motion
KR20140147345A (en) Micro pump device
CN219082392U (en) Pneumatic valve
WO2022091313A1 (en) Fluid control device
JP4566989B2 (en) Chemical supply device
CN208719643U (en) A kind of Pneumatic quick connector
Hirai et al. Micro pneumatic valves for wearable robotic systems
KR101933897B1 (en) Valve apparatus
WO2022074782A1 (en)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