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9156A -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다중화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다중화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9156A
KR20140119156A KR1020147023691A KR20147023691A KR20140119156A KR 20140119156 A KR20140119156 A KR 20140119156A KR 1020147023691 A KR1020147023691 A KR 1020147023691A KR 20147023691 A KR20147023691 A KR 20147023691A KR 20140119156 A KR20140119156 A KR 20140119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nt
physical downlink
user
grants
multiple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7128B1 (ko
Inventor
이페이 유안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유에스에이)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유에스에이) 인크. filed Critical 지티이 (유에스에이) 인크.
Publication of KR20140119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9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5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hybrid frequency-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T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groups of terminals or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2Arrangements for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e.g. by allocating physical layer transmission capac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5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source usage poli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향상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과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로, 또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 시분할 다중화(TDM)로 다중화된다. FDM 모드는 그 서브프레임에 오직 UL 그랜트만을 갖는 사용자들에게 적용한다. 상이한 사용자들의 UL 그랜트들의 크로스 인터리빙되고, 물리적 자원 블록들 전체(제 1 슬롯 및 제 2 슬롯)를 통해 FDM으로 송신된다. 크로스 인터리빙된 UL 그랜트들을 위한 주파수 자원들은 분산된다. TDM + FDM은 그 서브프레임에 DL 그랜트만을 갖거나, 또는 DL 그랜트 및 UL 그랜트 모두를 갖는 사용자들에게 적용한다. DL/UL 그랜트(혼합될 수 있음)는 TDM + FDM으로 물리적 자원 블록들의 제 1 슬롯에서만 송신되며, 이러한 물리적 자원 블록들의 제 2 슬롯은 그 사용자들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에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다중화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MULTIPLEXING}
본 발명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다중화 및 연관된 블라인드 디코딩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 간의 자원 다중화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무선 통신 표준 및 시스템은 제한된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시스템 처리량을 최대화하기 위해 복잡한 스케줄링 방식에 의존한다. 4G 셀룰러 표준은, 자원 스케줄링이 다운링크 전송 및 업링크 전송 양자 모두에 필요한 경우,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을 특별히 포함한다. 스케줄링은 집중화된 방식으로 기지국에서 이루어지고, 스케줄링 그랜트(scheduling grant)는 다운링크 전송 또는 업링크 전송을 위한 것일 수 있다. 다운링크 그랜트 및 업링크 그랜트 양자 모두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에서 송신된다. "다운링크 제어 채널" 앞의 형용사 "물리적"은, 이러한 제어 시그널링이 매우 빈번하게, 즉, 1 ms 마다, 발생하여, 채널의 고속 페이딩에 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빈번한 시그널링은 동적 링크 적응에 있어서 아주 중대하지만, 이의 오버헤드가 높다는 점에서, 특히 셀 에지에서의 이동 단말기의 경우, 비용이 매우 많이 든다. 따라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오버헤드에 대한 제한이 있어야 하므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충분한 물리적 자원들이 존재한다.
3 GPP LTE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은 다운링크 데이터를 운반하는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과 시간 다중화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물리적 제어 채널은 처음 몇 개의 OFDM 심볼들 전체를 점유하고, 이는 전체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있다. 상이한 사용자들의 다운링크 그랜트 및 업링크 그랜트가 인코딩되고, 변조되고, 크로스 인터리빙되며, PDCCH용으로 지정된 OFDM 심볼들에 맵핑된다. PDCCH의 설계 원칙은, 1) DL/UL 그랜트의 초기 디코딩을 허용하도록 처음 몇 개의 OFDM 심볼들에 PDCCH를 집중시키고, 2) PDCCH의 강력한 디코딩을 보장하는 것이다. 크로스 인터리빙 및 전체 시스템 대역폭에 걸친 확산의 목적은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및 간섭을 랜덤화하고, 견고성을 달성하는 것이다.
LTE-A 릴레이에서, 릴레이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R-PDCCH)[1]로 불리는 새로운 물리적 제어 채널이 릴레이 백홀 링크에 도입된다. R-PDCCH는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PDSCH) 영역의 일부 자원들을 취한다. R-PDCCH는 2개의 슬롯들로 구성된 물리적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의 쌍 전체, 또는 오직 1개의 슬롯의 PRB를 점유할 수 있다. 2개의 슬롯들 모두가 R-PDCCH 의해 점유되는 경우, R-PDCCH와 PDSCH 간의 다중화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로 불린다. 오직 1개의 슬롯(특히, 제 1 슬롯)이 R-PDCCH에 의해 점유되는 경우, R-PDCCH와 PDSCH 간의 다중화는 시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 +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로 불린다. 디코딩 레이턴시를 줄이기 위해, 릴레이 백홀 링크를 위한 DL 그랜트는 오직 PRB 쌍(들) 중 제 1 슬롯(들)에서만 송신될 수 있는 반면에, 릴레이 백홀 링크를 위한 UL 그랜트는 오직 PRB 쌍(들) 중 제 2 슬롯(들)에서만 송신될 수 있다. R-PDCCH는 상이한 릴레이 노드들을 통해 크로스 인터리빙, 또는 비크로스 인터리빙될 수 있다. 크로스 인터리빙된 R-PDCCH의 경우, 오직 공통 기준 신호(common reference signal; CRS)만이 복조에 이용될 수 있다. 디코딩 견고성이 상위 고려 사항인 경우 크로스 인터리빙된 R-PDCCH는 PDCCH와 많이 유사하다. CRS 복조로 인해, 크로스 인터리빙된 R-PDCCH는 PDCCH와 유사하게, 빔포밍(beamforming)으로 이익을 얻을 수 없다. 크로스 인터리빙은 또한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 이득을 막는다. 그에 반해서, 비크로스 인터리빙된 R-PDCCH의 설계 원칙은 빔포밍 및 주파수 선택적 이득을 이용하는 것이고, 여기서,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가 선호된다. DMRS는 R-PDCCH 또는 PDSCH를 포함하는 물리적 자원 블록들에만 존재하고, R-PDCCH 또는 PDSCH와 같은 프리코딩을 거친다. 그러므로, 프리코딩은 R-PDCCH에 완전히 투명하다. 즉, 송신기에서 이용되는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나타내기 위한 별도의 시그널링이 필요 없다.
종래의 셀룰러 네트워크는 주로 매크로 기지국으로 구성되고, 매크로 기직구의 송신 전력 및 안테나 이득은 동일하다. 사이트 간 거리가 거의 일정하고 네트워크 격자는 매우 균일하다. 시스템 용량에 대한 빠르게 증가하는 수요는, 매크로로부터의 트래픽을 오프로드하고 핫스팟에서의 처리량을 증가시키도록 소형 기지국(remote radio head; RRH)인 피코, 펨토 노드들과 같은 다수의 저전력 노드들의 배치를 유발한다. 매크로, 소형 기지국, 피코 및 펨토 셀들의 혼합은 소위 이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HetNet)를 구성한다. PDSCH와 같은 데이터 채널들뿐만 아니라, PDCCH와 같은 제어 채널들에 대한 간섭 시나리오는 HetNet에서 더욱 복잡해진다. HetNet 배치에서 PDSCH를 위한 몇 가지 간섭 조정 방식이 존재하는데, 이들 중 하나는 직교 자원들이 셀 에지 근처의 사용자들에게 할당되는 경우 부분적으로 주파수를 재활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전체 시스템 대역폭을 점유하기 때문에, PDCCH에 이용될 수 없다. 다른 HetNet 시나리오에서, 소형 기지국(RRH)은 매크로 셀과 같은 셀 ID를 갖기 때문에, 사용자들에게 투명하게 나타난다. 투명한 RRH는 매크로 안테나와 RRH를 통한 동적 공동 전송(joint transmission)에 의해 시스템 처리량을 상당히 개선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커버리지 영역 내의 모든 스케줄링된 사용자들에 의해 공유되는 PDCCH에 대한 제한된 자원으로 인한 문제를 갖는다. 즉, PDCCH의 어떠한 셀 분할 이득도 없다. 그래서, PDCCH의 용량을 개선시키고 HetNet에서의 강한 간섭을 완화시키기 위한 강력한 동기가 존재한다. 향상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ePDCCH로 불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다중화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태에 따라, 본 발명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간의 자원 다중화 방법을 포함한다.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그랜트(DL 그랜트) 및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그랜트(UL 그랜트)를 포함한다. 방법은 2가지 경우의 자원 맵핑을 포함한다. 1) 상이한 사용자들의 UL 그랜트들의 크로스 인터리빙 및 이들을 2개의 슬롯들에 걸쳐있는 한 세트의 물리적 자원 블록들에 맵핑. 어떠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도 이러한 물리적 자원 블록들에서 송신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그래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간의 다중화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이다. 2) 사용자의 DL 그랜트와 UL 그랜트(존재한다면)의 혼합 및 이들을 물리적 자원 블록들의 제 1 슬롯(들)에 맵핑. 여기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은 물리적 자원 블록들의 제 2 슬롯들에서 송신될 수 있다.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간의 다중화는 시분할 다중화(TDM) +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이다.
본 발명에 따라, UL 그랜트들의 크로스 인터리빙은 그 서브프레임에 UL 그랜트들만을 갖는 사용자들에게 적용된다. DL 그랜트와 UL 그랜트의 혼합은 그 서브프레임에서 DL 그랜트만을 갖거나, DL 그랜트 및 UL 그랜트 양자 모두를 갖는 사용자들에게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는 먼저 물리적 자원 블록들의 제 1 슬롯들에서 DL 그랜트 및 UL 그랜트를 블라인드 디코딩하도록 시도할 것이다. 어떠한 그랜트도 검출되지 않으면, 사용자는 물리적 자원 블록들의 제 1 슬롯 및 제 2 슬롯에서 UL 그랜트를 블라인드 디코딩하도록 시도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크로스 인터리빙된 UL 그랜트들을 위한 물리적 자원 블록들 및 혼합된 DL/UL 그랜트를 위한 물리적 자원 블록들은 분리되어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크로스 인터리빙된 UL 그랜트들을 위한 물리적 자원 블록들은 주파수를 통해 분산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및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그랜트들을 포함하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갖는 시스템을 포함한다. 시스템은 상이한 사용자들의 UL 그랜트들을 크로스 인터리빙하고, 이들을 물리적 자원 블록들의 양자의 슬롯들에 맵핑하는 것, 사용자의 DL/UL 그랜트들을 혼합하고, 이들을 물리적 자원 블록들의 제 1 슬롯에 맵핑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다중화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향상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및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자원 다중화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1) 주파수 도메인 간섭 조정을 용이하게 하고, 2) 빔포밍/프리코딩 이득 및 주파수 선택도 이득을 이용하고, 3) 디코딩 레이턴시를 줄이며, 4) 제어 채널 디코딩의 특정 견고성을 보장하도록, 향상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에 대한 4개의 주요 설계 원칙들을 고려한다. 주파수 도메인 간섭 조정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간의 FDM 다중화에 의해 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전체 자원 블록들(제 1 슬롯 및 제 2 슬롯)에 UL 그랜트를 놓음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이한 셀들은 간섭을 피하기 위해 UL 그랜트들에 대해 상이한 물리적 자원 블록들을 구성할 수 있다. 빔포밍/프리코딩 이득 및 주파수 선택도 이득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간에 TDM + FDM 다중화를 허용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동일한 프리코딩을 이용하여,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의 경우처럼 동일한 자원 블록들에 DL/UL 그랜트를 놓음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물리적 자원 블록들의 제 1 슬롯에 오직 DL 그랜트만을 제한함으로써 디코딩 레이턴시는 작게 유지될 수 있다. UL 그랜트 디코딩의 특정 견고성은 상이한 사용자들의 UL 그랜트들의 크로스 인터리빙 및 물리적 자원 블록들의 주파수 분산적 할당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UL 그랜트들의 크로스 인터리빙은 또한 패킹 효율(packing efficiency)을 증가시키고, 이는 제어 채널 용량을 개선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예에 나타나 있다. 이 서브프레임에 스케줄링된 5명의 사용자들(사용자 1 내지 사용자 5)이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들을 포함한다. 레거시 PDCCH(짙은 회색 영역)에 속하지 않는 자원 영역에 집중한다. 밝은 회색 영역이 향상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ePDCCH) 전송에 이용된다. 사용자 1은 오직 DL 그랜트만을 갖는다. 사용자 2는 DL 그랜트 및 UL 그랜트 양자 모두를 갖는다. 사용자 3, 사용자 4, 및 사용자 5는 오직 UL 그랜트만을 갖는다. 사용자 1의 DL 그랜트는 자원 블록의 제 1 슬롯에서 송신되고, 제 2 슬롯은 사용자 1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에 이용된다. 사용자 1은 또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인접 자원 블록(제 1 슬롯 및 제 2 슬롯 양자 모두)을 이용한다. 사용자 2의 DL 그랜트 및 UL 그랜트는 혼합되어 2개의 자원 블록들의 제 1 슬롯에서 송신된다. 사용자 2의 다운링크 데이터는 이러한 2개의 자원 블록들의 제 2 슬롯에서 송신된다. 사용자 1 및 사용자 2의 DL/UL 그랜트는 이들의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과 동일한 방식으로, 빔포밍/프리코딩 이득 및 주파수 선택도 이득을 지닐 수 있다. 사용자 3, 사용자 4, 및 사용자 5의 UL 그랜트는 크로스 인터리빙되고, 2개의 자원 블록들의 제 1 슬롯 및 제 2 슬롯 양자 모두에 맵핑된다. 이러한 2개의 자원 블록들은 디코딩 견고성을 위해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제공하도록 분산된 주파수이다.
도 1에서, 제 1 슬롯에서의 DL/UL 그랜트를 위한 물리적 자원 블록들의 수는 3이다. 제 1 슬롯 및 제 2 슬롯 양자 모두에서의 UL 그랜트를 위한 물리적 자원 블록의 수는 2이다. 이러한 수 및 위치는 상위 계층에 의해 구성된다.
사용자 1 내지 사용자 5는 먼저 3개의 자원 블록들의 제 1 슬롯에서의 DL/UL 그랜트를 블라인드 디코딩하도록 시도한다. DL/UL 그랜트 디코딩에 오류가 없다고 가정하면, 사용자 1은 다운링크 데이터가 2개의 인접한 자원 블록들에서 송신될 것임을 나타내는 DL 그랜트를 검출한다. 이러한 DL 그랜트가 물리적 자원 블록들 중 하나를 점유한다는 것을 사용자 1이 알기 때문에, 이러한 2개의 자원 블록들에서의 나머지 전체 3개의 슬롯들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디코딩하도록 진행한다. 사용자 2는, DL 그랜트 및 UL 그랜트의 검출 시에, 2개의 인접한 자원 블록들에서의 나머지 전체 2개의 슬롯들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디코딩하도록 진행한다. 제 1 슬롯의 디코딩 이후에, 사용자 3, 사용자 4 및 사용자 5는 자신들의 DL/UL 그랜트를 검출하지 않는다. 그런 다음, 이들은 2개의 자원 블록들의 양자의 슬롯들에서의 크로스 인터리빙된 UL 그랜트들을 블라인드 디코딩하도록 시도한다. 이들의 UL 그랜트들의 검출 시에, 사용자 3, 사용자 4, 및 사용자 5는 다음 몇 개의 서브프레임들에서의 UL 데이터 전송을 준비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새로운 방법 및 시스템의 많은 변경 및 대안들은 오직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Claims (21)

  1. 2가지 경우의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다중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1) 상이한 사용자들의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그랜트들(UL 그랜트들)을 크로스 인터리빙(cross-interleaving)하고, 이들을 제 1 슬롯 및 제 2 슬롯의 물리적 자원 블록들 전체에 맵핑하는 경우로서, 여기에서 어떠한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도 송신되는 것이 허용되지 않으며, 이 경우,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간의 자원 다중화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이고;
    2) 사용자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그랜트(DL 그랜트)와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그랜트(존재한다면, UL 그랜트)를 혼합하고, 이들을 물리적 자원 블록들의 제 1 슬롯에 맵핑하는 경우로서, 여기에서, 제 2 슬롯은 이 사용자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에 이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간의 자원 다중화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 시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인 것인,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다중화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UL 그랜트는, 이 사용자가 그 서브프레임에 UL 그랜트만을 갖는 경우, 다른 사용자의 UL 그랜트들과 크로스 인터리빙되고, 제 1 슬롯 및 제 2 슬롯 모두에서 송신되는 것인,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다중화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UL 그랜트는, 이 사용자의 UL 그랜트가 제 1 슬롯에서만 송신되는 경우, 다른 사용자의 UL 그랜트들과 크로스 인터리빙되지 않는 것인,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다중화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UL 그랜트는, 이 사용자가 그 서브프레임에 DL 그랜트(따라서, DL 데이터 전송)도 갖는 경우, 제 1 슬롯에서만 송신되는 것인,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다중화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는 먼저 한 세트의 물리적 자원 블록들의 제 1 슬롯에서 DL/UL 그랜트를 블라인드 디코딩하도록 시도할 것이고, 어떠한 것도 검출되지 않으면, 사용자는 한 세트의 물리적 자원 블록들의 제 1 슬롯 및 제 2 슬롯 모두에서 UL 그랜트를 블라인드 디코딩하도록 시도할 것인,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다중화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크로스 인터리빙된 UL 그랜트들 전송에 대하여, 그리고 혼합 DL/UL 그랜트들 전송에 대하여 물리적 자원 블록들의 세트들을 잠재적으로 별도로 구성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성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하는 것인,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다중화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크로스 인터리빙된 UL 그랜트들 전송을 위한 물리적 자원 블록들은 주파수 분산되는 것인,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다중화하는 방법.
  8.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다중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1) 상이한 사용자들의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그랜트들(UL 그랜트들)을 크로스 인터리빙하고, 이들을 제 1 슬롯 및 제 2 슬롯의 물리적 자원 블록들 전체에 맵핑하기 위한 제 1 슬롯 및 제 2 슬롯에서의 물리적 자원 블록들 - 여기에서 어떠한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도 송신되는 것이 허용되지 않으며, 이 경우,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간의 자원 다중화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임 - ; 및
    2) 사용자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그랜트(DL 그랜트)와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그랜트(존재한다면, UL 그랜트)를 혼합하고, 이들을 물리적 자원 블록들의 제 1 슬롯에 맵핑하기 위한 물리적 자원 블록들의 제 1 슬롯 - 여기에서, 제 2 슬롯은 이 사용자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에 이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간의 자원 다중화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 시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임 -
    을 포함하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다중화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UL 그랜트는, 이 사용자가 그 서브프레임에 UL 그랜트만을 갖는 경우, 다른 사용자의 UL 그랜트들과 크로스 인터리빙되고, 제 1 슬롯 및 제 2 슬롯 모두에서 송신되는 것인,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다중화하는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UL 그랜트는, 이 사용자의 UL 그랜트가 제 1 슬롯에서만 송신되는 경우, 다른 사용자의 UL 그랜트들과 크로스 인터리빙되지 않는 것인,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다중화하는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UL 그랜트는, 이 사용자가 그 서브프레임에 DL 그랜트(따라서, DL 데이터 전송)도 갖는 경우, 제 1 슬롯에서만 송신되는 것인,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다중화하는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사용자는 먼저 한 세트의 물리적 자원 블록들의 제 1 슬롯에서 DL/UL 그랜트를 블라인드 디코딩하도록 시도할 것이고, 어떠한 것도 검출되지 않으면, 사용자는 한 세트의 물리적 자원 블록들의 제 1 슬롯 및 제 2 슬롯 모두에서 UL 그랜트를 블라인드 디코딩하도록 시도할 것인,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다중화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크로스 인터리빙된 UL 그랜트들 전송에 대하여, 그리고 혼합 DL/UL 그랜트들 전송에 대하여 잠재적으로 별도로 구성된 물리적 자원 블록들의 세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성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하는 것인,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다중화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크로스 인터리빙된 UL 그랜트들 전송을 위한 물리적 자원 블록들은 주파수 분산되는 것인,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다중화하는 장치.
  15.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다중화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1) 상이한 사용자들의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그랜트들(UL 그랜트들)을 크로스 인터리빙하고, 이들을 제 1 슬롯 및 제 2 슬롯의 물리적 자원 블록들 전체에 맵핑하기 위한 제 1 슬롯 및 제 2 슬롯에서의 물리적 자원 블록들 - 여기에서 어떠한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도 송신되는 것이 허용되지 않으며, 이 경우,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간의 자원 다중화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임 - ; 및
    2) 사용자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그랜트(DL 그랜트)와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그랜트(존재한다면, UL 그랜트)를 혼합하고, 이들을 물리적 자원 블록들의 제 1 슬롯에 맵핑하기 위한 물리적 자원 블록들의 제 1 슬롯 - 여기에서, 제 2 슬롯은 이 사용자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에 이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간의 자원 다중화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 시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임 -
    을 포함하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다중화하는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UL 그랜트는, 이 사용자가 그 서브프레임에 UL 그랜트만을 갖는 경우, 다른 사용자의 UL 그랜트들과 크로스 인터리빙되고, 제 1 슬롯 및 제 2 슬롯 모두에서 송신되는 것인,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다중화하는 시스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UL 그랜트는, 이 사용자의 UL 그랜트가 제 1 슬롯에서만 송신되는 경우, 다른 사용자의 UL 그랜트들과 크로스 인터리빙되지 않는 것인,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다중화하는 시스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UL 그랜트는, 이 사용자가 그 서브프레임에 DL 그랜트(따라서, DL 데이터 전송)도 갖는 경우, 제 1 슬롯에서만 송신되는 것인,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다중화하는 시스템.
  19. 제 15 항에 있어서, 사용자는 먼저 한 세트의 물리적 자원 블록들의 제 1 슬롯에서 DL/UL 그랜트를 블라인드 디코딩하도록 시도할 것이고, 어떠한 것도 검출되지 않으면, 사용자는 한 세트의 물리적 자원 블록들의 제 1 슬롯 및 제 2 슬롯 모두에서 UL 그랜트를 블라인드 디코딩하도록 시도할 것인,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다중화하는 시스템.
  20. 제 15 항에 있어서, 크로스 인터리빙된 UL 그랜트들 전송에 대하여, 그리고 혼합 DL/UL 그랜트들 전송에 대하여 잠재적으로 별도로 구성된 물리적 자원 블록들의 세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성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하는 것인,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다중화하는 시스템.
  21. 제 15 항에 있어서, 크로스 인터리빙된 UL 그랜트들 전송을 위한 물리적 자원 블록들은 주파수 분산되는 것인,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다중화하는 시스템.
KR1020147023691A 2012-01-30 2013-01-28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다중화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6671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592247P 2012-01-30 2012-01-30
US61/592,247 2012-01-30
PCT/US2013/023360 WO2013116127A1 (en) 2012-01-30 2013-01-28 Method and system for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multiplex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156A true KR20140119156A (ko) 2014-10-08
KR101667128B1 KR101667128B1 (ko) 2016-10-17

Family

ID=48905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691A KR101667128B1 (ko) 2012-01-30 2013-01-28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다중화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532350B2 (ko)
EP (2) EP2810517B1 (ko)
JP (1) JP5927307B2 (ko)
KR (1) KR101667128B1 (ko)
CN (1) CN104094662B (ko)
CA (1) CA2862674C (ko)
ES (1) ES2692161T3 (ko)
HK (1) HK1201667A1 (ko)
WO (1) WO20131161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000449D0 (en) 2010-01-12 2010-02-24 Nec Corp Relay communication system
US10271343B2 (en) * 2013-08-09 2019-04-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source allocation for mobile terminal configured for dual connectivity
KR102262183B1 (ko) * 2014-04-04 2021-06-07 뉴라컴 인코포레이티드 수신 확인 방법 및 다중 사용자 전송 방법
CN105357162B (zh) * 2014-08-22 2020-12-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号处理方法、基站和终端
CN106797240B (zh) * 2014-10-07 2021-01-12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传送数据的方法、网络节点和装置
CN106162906B (zh) * 2015-03-31 2019-01-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调度信息发送、接收方法及装置
EP3304998B1 (en) 2015-06-01 2022-08-03 Apple Inc. Latency reduction techniques for radio access networks
CN110892664A (zh) * 2017-06-15 2020-03-17 康维达无线有限责任公司 基于波束的下行链路控制信令
WO2019023849A1 (en) * 2017-07-31 2019-02-07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AND DOWNLINK AUTHORIZATIONS FOR NARROW BAND OPERATION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38208A1 (en) 1998-02-22 1999-08-25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Multicarrier transmission, compatible with the existing GSM system
WO2008096627A1 (ja) * 2007-02-05 2008-08-14 Ntt Docomo, Inc. 基地局装置、移動局、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KR101426958B1 (ko) 2007-02-06 2014-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US9191177B2 (en) * 2009-05-04 2015-11-17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feedback information for multi-carrier operation
US20110243059A1 (en) 2010-04-05 2011-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leaving data in a relay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r-pdcch)
KR101684867B1 (ko) * 2010-04-07 2016-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간 다중화 이득을 이용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CN102238650A (zh) * 2010-05-05 2011-11-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中继节点下行控制信道的传输方法及系统
EP2398180A1 (en) 2010-06-21 2011-12-21 Panasonic Corporation Configuration of uplink and downlink grant search spaces in a OFDM-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3 GPP TS 36.216,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Physical layer for relaying operation."
3GPP TSG RAN WG1 Meeting #60bis, R1-101776 (2010.04.16.).* *
3GPP TSG RAN WG1 meeting #67, R1-113919 (2011.11.1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7128B1 (ko) 2016-10-17
HK1201667A1 (en) 2015-09-04
JP2015510724A (ja) 2015-04-09
ES2692161T3 (es) 2018-11-30
CN104094662A (zh) 2014-10-08
US20150029996A1 (en) 2015-01-29
CN104094662B (zh) 2018-10-26
US9532350B2 (en) 2016-12-27
EP2810517B1 (en) 2018-08-22
CA2862674A1 (en) 2013-08-08
CA2862674C (en) 2017-05-30
EP3402115A1 (en) 2018-11-14
EP2810517A4 (en) 2015-09-16
WO2013116127A1 (en) 2013-08-08
JP5927307B2 (ja) 2016-06-01
EP2810517A1 (en)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7128B1 (ko)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다중화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90555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ignaling a location of a control channel
JP5814358B2 (ja) Ofdmベースの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上りリンクグラントサーチスペースおよび下りリンクグラントサーチスペースの構成
JP6219018B2 (ja) 無線基地局装置、ユーザ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US901408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lay backhaul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70181135A1 (en)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Design for Narrow Band Internet of Things
EP3117545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figuring csi measurements
WO2013168794A1 (ja) ブラインド復号方法、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20130250880A1 (en) Method For Search Space Configuration of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US9794968B2 (en) Communication system, mobile terminal apparatus, local area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12012088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imary uplink shared channel hopping in a wireless network
EP3879906B1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WO2013062354A9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간 간섭 조정 방법 및 장치
KR101887064B1 (ko) 하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및 전송 방법과, 사용자기기 및 기지국
JP2016536932A (ja) 無線通信における基準信号
WO2014021211A1 (ja) 無線通信方法、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5814207B2 (ja) 基地局装置及び移動端末装置
WO2019097696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Yuan et al. LTE-A relay study and related technologies
KR2014001598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Yuan et al. Physical Layer Standardization of Release 10 Re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