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6680A - Vehicle Detecting System Having Steady-State Surveillancing Function - Google Patents

Vehicle Detecting System Having Steady-State Surveillanc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6680A
KR20140116680A KR1020130031566A KR20130031566A KR20140116680A KR 20140116680 A KR20140116680 A KR 20140116680A KR 1020130031566 A KR1020130031566 A KR 1020130031566A KR 20130031566 A KR20130031566 A KR 20130031566A KR 20140116680 A KR20140116680 A KR 20140116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ensor unit
signal
park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5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태암
Original Assignee
(주)에스디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디시스템 filed Critical (주)에스디시스템
Priority to KR1020130031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6680A/en
Publication of KR20140116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68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king lot vehicle detecting system sensing a vehicle (10) parked on each parking surface (R) in a parking lot with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R)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 parts (120) to sense each vehicle (10) parked on a corresponding parking surface by being arranged in each parking surface (R); a control part (130) which collects a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each sensor part (120) by being connected to each sensor part (120) installed in each parking surface (R), and judges whether each sensor part operates normally in accordance to each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parts (120); and a display part (140) to display a normal operation state and an abnormal operation state of each sensor part (120) separately.

Description

센서의 비정상동작 감시 기능이 구비된 주차면 차량감지 시스템{Vehicle Detecting System Having Steady-State Surveillancing Function} {Vehicle Detecting System Having Steady-State Surveillancing Function}

본 발명은 센서의 비정상동작 감시 기능이 구비된 주차면 차량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차장의 각 주차면마다 설치되는 센서부의 정상동작 여부를 통합적으로 판단하여, 이물질에 의한 센서창 가림 등의 센서 외부요인 또는 센서회로 단선 등의 센서 내부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센서부의 비정상동작 상태를 감시하는 주차면 차량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space vehicle detection system having an abnormal operation monitoring function of a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lot vehicle detection system for monitoring an abnormal operation state of a sensor unit which may be caused by an external factor of a sensor such as a sensor or a sensor disconnection line.

대형마트, 백화점 및 대형병원 등의 대형빌딩 내에는 건물 규모에 따라 주차면도 다수 개가 배치된다. 따라서, 대형 주차장은 복수 개의 주차영역으로 구획하고 각 주차영역 및 각 주차면별로 고유 코드번호를 부여하여 운전자가 본인의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large buildings such as large marts, department stores, and large hospitals, a large number of parking lots are arranged depending on the building size. Accordingly, the large parking lo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king areas, and a unique code number is assigned to each parking area and each parking surface, so that the driver can accurately identify the parked position of the vehicle.

또한, 최근에는 주차장에 배치된 각 주차면마다 해당 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각 주차면의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를 취합하여 각 층별 또는 주차영역별로 주차가능 대수 및 주차가능한 주차면의 위치를 산출하여 주차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이용되고 있다.In addition, recently,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parked vehicle on each parking surface disposed on the parking lot is installed, and the detection signals detected from the detection sensors on each parking surface are collected to be parked for each floor or parking area And is used to calculate the number of the parking lots and the position of the parkable parking surface to provide parking guide information.

그러나, 주차장은 다수 대의 차량이 빈번하게 이동하는 환경적 요인에 따라 분진이 발생할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분진이나 수분 또는 차량오일 등의 이물질이 감지센서의 센서창에 흡착되거나 쓰레기나 쇼핑카트 등의 장애물이 센서창을 가리는 경우 상기 이물질 및 장애물을 차량으로 오감지하여 감지신호가 전송될 수 있었다. 더욱이, 야외 주차장인 경우 겨울철 강우, 강설 등의 이유로 센서창에 눈이 적설되거나 얼음이 결빙되어 상기 이물질과 마찬가지로 오감지에 따른 감지신호가 전송됨에 따라 감지센서가 구동되어도 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을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하였다.However, in the parking lot, it is inevitable that dust will be generated according to environmental factors in which a large number of vehicles frequently move, and foreign matter such as dust, moisture or vehicle oil is adsorbed on the sensor window of the detection sensor, When the sensor window is covered, the foreign object and the obstacle are mistakenly detected as a vehicle, and a detection signal can be transmitted. Furthermore, in the case of an outdoor parking lot, due to rainfall or snowfall in the winter, the sensor window is snowed or ice is frozen, so that a sensing signal is transmitted according to a new sensation as in the case of the foreign object, I could not detect it.

한편, 상기 감지센서가 주차블럭에 설치되는 경우, 주차하는 차량의 타이어와 주차블럭 간의 빈번한 충돌에 의해 충격이 감지센서로 전달되면서 감지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센서회로에 단선이 발생하거나 회로를 구성하는 센서소자들이 파손되어 감지센서가 구동되지 못하였다.Meanwhile, when the detection sensor is installed in the parking block, the shock is transmitted to the detection sensor due to frequent collision between the tire of the parking vehicle and the parking block, so that a disconnection occurs in the sensor circuit for driving the sensor, The sensor elements were broken and the sensor could not be driven.

즉, 이물질에 의한 센서창 가림 등의 센서 외부요인 또는 센서회로 단선 등의 센서 내부요인에 의해 감지센서가 비정상동작 상태로 동작하게 되어 정확한 주차안내 정보 제공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ensor is operated in an abnormal operation state due to an external factor of the sensor such as obstruction of the sensor window due to a foreign substance, or an internal factor of the sensor such as disconnection of the sensor circuit.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관리자가 각 주차면에 설치된 감지센서별로 일일이 검사회로를 연결하여 테스트함으로써 각 감지센서의 정상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이 경우 주차장 전체의 감지센서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며, 특히 대형 건물과 같이 수백대의 주차면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감지센서의 동작상태 검사를 위한 막대한 비용 및 시간이 할애되어야 하므로 유지관리 비용이 과대해지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administrator can check the normal operation state of each sensing sensor by connecting and testing each sensing circuit for each sensing sensor installed on each parking surface. In this case, A large amount of manpower and time are required. Especially, when hundreds of parking lots are arranged like a large building, huge cost and time are required to check the operation state of the sensing sensor, which causes another problem that the maintenance cost becomes excessive .

공개특허 공보 제2005-0082273호(2005.08.23),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0082273 (Aug. 23, 2005),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a car stopper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차장의 각 주차면마다 설치되는 센서부의 감지신호 또는, 상기 센서부의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제어부의 테스트동작 신호를 이용하여, 이물질 및 장애물에 의한 센서창 가림 등의 센서 외부요인 또는 센서회로 단선 등의 센서 내부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센서부의 비정상동작 상태를 감시하는 주차면 차량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normal operation of a sensor unit, And monitoring an abnormal operation state of the sensor unit which may be caused by an external factor of the sensor such as obstruction of the sensor window due to foreign substances and an obstacle or an internal factor of the sensor such as disconnection of the sensor circui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복수 개의 주차면(R)이 배치된 주차장 내에서 각 주차면(R)별로 주차되는 차량(10)을 감지하는 주차면 차량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각 주차면(R)별로 배치되어 해당 주차면(R)에 주차된 차량(10)을 각각 감지하는 복수 개의 센서부(120); 각 주차면(R)에 설치된 복수 개의 센서부(120)와 각각 신호연결되어 각 센서부(120)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를 취합하며, 상기 복수 개의 센서부(120)의 각 감지신호에 따라 각 센서부(120)의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130); 및 각 센서부(120)의 정상동작 상태 및 비정상동작 상태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하는 주차면 차량감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rking surface vehicle detection system for detecting a vehicle (10) parked for each parking surface (R) in a parking lot in which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R) A plurality of sensor units (120) arranged to detect a vehicle (10) parked on the parking space (R), respectively; The sensor unit 12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ensor units 120 installed on each parking surface R and collects the sensing signals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s 120. In accordance with the sensing signals of the plurality of sensor units 120, A controller 130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ensor unit 120 operates normally or not; And a display unit (140) for displaying the normal operation state and the abnormal operation state of each sensor unit (120) separately.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30)는, 임의의 주차면(R)에 설치된 복수 개의 센서부(120a,120b)에서 동시에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정상동작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며, 하나의 센서부(120a)에서는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나 다른 하나의 센서부(120b)에서는 기설정된 일정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다른 하나의 센서부(120b)는 센서 외부요인에 의한 비정상동작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면 차량감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nsing signal is simultaneously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 units 120a and 120b provided on a certain parking surface R,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at the sensing signal is in a normal operation state, If the sensing signal is not received by the sensor unit 120a but is continuously received by the other sensor unit 120b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more, the other sensor unit 120b may perform an abnormal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is detecte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30)는, 임의의 주차면(R)에 설치된 복수 개의 센서부(120a,120b)에서 동시에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정상동작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며, 하나의 센서부(120a)에서는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나 다른 하나의 센서부(120b)에서는 기설정된 일정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하나의 센서부(120a)로 테스트동작 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센서부(120a)의 정상동작 여부를 확인하되, 해당 센서부(120a)로부터 상기 테스트동작 신호에 대한 피드백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하나의 센서부(120a)는 정상동작 상태이고 다른 하나의 센서부(120b)는 센서 외부요인에 의한 비정상동작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며, 해당 센서부(120a)로부터 상기 테스트동작 신호에 대한 피드백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하나의 센서부(120a)는 센서 내부요인에 의한 비정상동작 상태이고 다른 하나의 센서부(120b)는 정상동작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면 차량감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nsing signal is simultaneously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 units 120a and 120b provided on a certain parking surface R,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at the sensor unit 120a is in a normal operation state, When the sensor unit 120a of the sensor unit 120a does not receive a sensing signal but the sensor unit 120b consecutively receives a sensing signal ove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sensor unit 120a transmits a test operation signal to the sensor unit 120a When the sensor 120a receives a feedback signal for the test operation signal from the sensor unit 120a, the one sensor unit 120a is in a normal operation state and the other sensor unit 120a is in the normal operation state. It is determined that the sensor 120a is in an abnormal operation state due to an external factor of the sensor. If the feedback signal for the test operatio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20a, In normal operation by the sensor to an internal factor of the state and the other of the sensor unit (120b) is provided with a parking surface vehicle det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the normal operation.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주차장의 각 주차면마다 설치되는 센서부의 감지신호 또는, 상기 센서부의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제어부의 테스트동작 신호를 이용하여, 이물질 및 장애물에 의한 센서창 가림 등의 센서 외부요인 또는 센서회로 단선 등의 센서 내부요인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센서부의 비정상동작 상태를 감시할 수 있으므로, 비정상동작 상태를 보이는 센서부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가 가능하며 신뢰성있는 주차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First, by using a sensing signal of a sensor unit installed on each parking surface of a parking lot or a test operation signal of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ensor unit is operating normally, external factors such as sensor window blindness due to foreign substances and obstacles,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abnormal operation state of the sensor part which may occur according to the internal factors of the sensor such as circuit disconnec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take measures against the sensor part showing the abnormal operation state and to provide reliable parking guidance information.

둘째, 각 센서부의 감지신호가 통합적으로 취합되어 각 센서부별 정상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부에 일괄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각 센서부별로 검사회로를 연결하여 정상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 절차가 불필요하여 유지관리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Secondly, since the sensing signals of the respective sensor units are integrally combined and the normal operation state of each sensor unit can be collective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 test for checking the normal operation state by connecting the inspection circuit for each sensor unit This eliminates the need for procedures and can significantly reduce maintenance costs.

셋째, 각 주차면별로 배치되어 해당 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을 각각 감지하는 복수 개의 센서부를 통해, 하나의 센서부가 비정상동작 상태를 보이더라도 다른 하나의 센서부가 정상적인 동작상태에 따른 차량 감지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비정상동작 상태에 따른 감지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다.Third, even if one sensor unit displays an abnormal operation state through a plurality of sensor units arranged for each parking surface and each sensing a parked vehicle on the parking surface, the other sensor unit transmits a vehicle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 normal operation stat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etection gap according to the abnormal operation state.

넷째, 각 센서부의 정상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동작 신호를 각 센서부별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센서부의 피드백 신호를 기초로 하여 각 센서부의 정상동작 상태 또는 비정상동작 상태를 판단하므로 보다 정확한 각 센서부의 동작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Fourth, a test operation signal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each sensor unit is operating normally is transmitted for each sensor unit, and a normal operation state or an abnormal operation state of each sensor unit is determined based on the feedback signal of the sensor unit. The operating status can be monitor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각 센서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센서부의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가 주차면에 주차되는 차량을 감지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면 차량감지 시스템의 세부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면 차량감지 시스템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inciple for determining whether a sensor unit is normally operated according to a sensing signal of each sensor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principle of sensing a vehicle parked on a parking space by a sensor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parking side vehicl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inciple of a parking side vehicl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면 차량감지 시스템은, 주차장의 각 주차면(R)마다 설치되는 복수 개의 센서부(120)의 각 감지신호 또는, 상기 센서부(120)의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제어부(130)의 테스트동작 신호를 이용하여, 이물질 및 장애물에 의한 센서창 가림 등의 센서 외부요인 또는 센서회로 단선 등의 센서 내부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센서부의 비정상동작 상태를 감시하는 차량감지 시스템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센서부(120), 제어부(130) 및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The parking side vehicl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whether or not the sensing signals of the plurality of sensor units 120 provided for each parking surface R of the parking lot or the normal operation of the sensor unit 120 The abnormal operation state of the sensor unit which may occur due to external factors such as sensor window blindness due to foreign materials and obstacles or internal sensor factors such as disconnection of the sensor circuit is monitored using the test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 unit 130 for determining The vehicle detection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 units 120, a control unit 130, and a display unit 140 as shown in FIGS. 1 to 3.

상기 복수 개의 센서부(120)는, 각 주차면(R)별로 배치되어 해당 주차면(R)에 주차된 차량(10)을 각각 감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차량(10)을 감지한 감지신호는 유,무선 통신수단으로 신호연결된 제어부(130)로 전송되어, 각 주차면(R)에 대한 차량 유무에 따라 주차안내 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기초데이터로 이용됨은 물론, 각 센서부(120)의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초데이터로 이용된다.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 units 120 is a component arranged for each parking surface R and detects each of the parked vehicles 10 on the corresponding parking surface R. The sensing signal sensed by the vehicle 10 And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30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nd used as basic data for calculating the parking guid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vehicle for each parking surface R, And is used as basic data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operate.

여기서, 상기 센서부(120)가 주차장 내에서 각 주차면(R)별로 배치됨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주차면(R)마다 지면에 설치되어 주차시 차량(10)의 과진입을 제한하는 주차블럭(1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 해당 주차면(R)의 상부(천정, 또는 천정 시설물 등)에 배치되거나 벽면 및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2, the sensor unit 120 is disposed on the ground for each parking surface R as shown in FIG. 2, so that when the vehicle 10 is parked, (Ceiling, ceiling or the like) of the parking surface R or may be disposed on the wall surface and the floor surface, as a matter of course.

또한, 상기 센서부(120)는 해당 주차면(R)에 주차되는 차량(10)을 감지하기 위해 열 적외선 이미지 센서, 초음파 센서, RFID 및 루프 센서 및, 차량(10)의 영상을 촬영 및 분석하여 차량(10) 여부를 판단하는 CCTV 등의 감지수단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 밖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차량(10)을 감지하여 이에 따른 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센서이면 이에 적용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a thermal infrared image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 RFID and a loop sensor for sensing the vehicle 10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R, And a sensing means such as a CCTV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10 is a vehicle can be used. In additi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 sensor capable of sensing a vehicle 10 and outputting a sensing signal according to the sensed signal is applicable can do.

그리고, 도면에는 각 주차면(R)별로 두 개의 센서부(120a,120b)가 배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센서에 의한 감지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3개 이상의 센서부(120)가 배치될 수도 있다.Although two sensor units 120a and 120b are disposed for each parking surface R in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More than three sensor units 120 may be disposed in order to minimize sensing space .

이하에서는, 제1센서부(120a) 및 제2센서부(120b)가 주차블럭(110)에 각각 배치되어 해당 주차면(R)으로 진입하는 차량(10)을 동시에 감지하는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it will be exemplified that the first sensor unit 120a and the second sensor unit 120b are disposed at the parking block 110 and simultaneously detect the vehicle 10 entering the corresponding parking surface R .

상기 제어부(130)는, 각 주차면(R)에 설치된 복수 개의 센서부(120a,120b)와 각각 신호연결되어 각 센서부(120)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를 취합하며, 상기 복수 개의 센서부(120a,120b)의 감지신호에 따라 각 센서부(120a,120b)의 비정상동작 상태를 감시하여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구성으로서, 상기 제어부(130)는 임의의 주차면(R)에 설치된 복수 개의 센서부(120a,120b)에서 동시에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각 센서부(120)는 모두 정상동작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130 collects sensing signals received from the respective sensor units 120 by signal connection with a plurality of sensor units 120a and 120b provided on each parking surface R, The control unit 130 monitors the abnormal operation state of each of the sensor units 120a and 120b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plurality of sensors 120a and 120b, When the sensing signals are simultaneously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s 120a and 120b, it is determined that all the sensor units 120 are in a normal operation state.

반면에, 하나의 센서부(120a)에서는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나 다른 하나의 센서부(120b)에서는 기설정된 일정횟수 이상으로 연속적으로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다른 하나의 센서부(120b)는 분진, 수분, 차량오일, 쓰레기, 쇼핑카트, 적설 및 결빙 등의 이물질 및 장애물이 센서창에 흡착되거나 센서창을 가리면서 발생되는 센서 외부요인에 의한 비정상동작 상태인것으로 판단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nsing signal is not received by one sensor unit 120a but the sensing signal is continuously received by the other sensor unit 120b ove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t is judged that the foreign matter and the obstacle such as water, vehicle oil, garbage, shopping cart, snow and ice are adsorbed on the sensor window or an abnormal operation state due to the external factor of the sensor generated by covering the sensor window.

하기의 [표 1]을 참고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주차면(R)에는 주차블럭(110)의 측부에 두 개의 제1센서부(120a) 및 제2센서부(120b)가 각각 배치되어 각 센서부(120a,120b)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는 제어부(130)로 각각 전송되고, 비정상동작 상태로 판단하기 위해 기설정된 일정횟수는 3회일 경우, 1회차 및 2회차에서 제2센서부(120b)는 모두 감지신호를 전송하고 제1센서부(120a)는 감지신호를 미전송하였으나 3회차에서 상기 제1센서부(120a)가 감지신호를 전송하였으므로 제어부(130)는 1회차와 2회차에서 제1센서부(120a)로부터 감지신호가 전송되지 않은 것은 일시적인 감지오차 또는 감지오류 등에 의한 일시적인 비정상동작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디스플레이부(140)로 비정상 동작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Referring to Table 1 below, as shown in FIG. 2, on a certain parking surface R, two first sensor portions 120a and a second sensor portion 120b ar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parking block 110, The sensor unit 120b and the sensor unit 120a and 120b are respectively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30. When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s three to determine the abnormal operation state, The second sensor unit 120b transmits the sensing signal and the first sensor unit 120a does not transmit the sensing signal. However, since the first sensor unit 120a transmits the sensing signal in the third rotation,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at the first sensor unit 120a does not transmit the sensing signal in the first and second sensor units 120a, 120b, 120c, 120c, Lt; / RTI >

각 센서부(120)의 차량감지에 따른 감지신호 테이블표The detection signal table table
감지 횟수

Number of detections

제1센서부(120a)

The first sensor unit 120a,

제2센서부(120b)

The second sensor unit 120b,

1회

1 time

X

X

O

O

2회

Episode 2

X

X

O

O

3회

3rd time

O

O

O

O

4회

4 times

O

O

X

X

5회

5 times

X

X

O

O

6회

6 times

X

X

O

O

7회

7 times

X

X

O

O

8회

8 times

X

X

O

O



...


...


...

※ O : 감지신호 전송, X : 감지신호 미전송
※ O: Sense signal transmission, X: Sense signal not transmitted

또한, 3회차에서는 양 센서부(120a,120b)에서 모두 감지신호가 동시에 전송되었으므로 제어부(130)는 양 센서부(120a,120b) 모두 정상동작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후, 4회차에서 제1센서부(120a)은 감지신호를 전송하였으나, 제2센서부(120b)에서 감지신호를 미전송한 것은, 1회차와 2회차에서의 제1센서부(120a)와 마찬가지로 일시적인 비정상동작 상태에 따른 감지신호인 것으로 판단하여 비정상 동작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In addition, since the sensing signals are simultaneously transmitted from both the sensor units 120a and 120b in the third rotation,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at both the sensor units 120a and 120b are in a normal operation state. The reason why the first sensor unit 120a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in the fourth rotation but the second sensor unit 120b has not transmitted the detection signal is that the first sensor unit 120a and the second sensor unit 120a in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is a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 temporary abnormal operation state and the abnormal operation signal is not transmitted.

그러나, 5회차 내지 8회차에서 제1센서부(120a)는 모두 감지신호를 미전송하였으나, 제2센서부(120b)는 3회 이상(4회) 연속적으로 감지신호가 전송되었으므로, 제어부(130)는 상기 제2센서부(120b)가 이물질 및 장애물이 센서창이 흡착되거나 가리면서 발생되는 센서 외부요인에 의한 비정상동작 상태인것으로 판단하게 되어, 디스플레이부(140)로 상기 제2센서부(120b)에 대한 비정상 동작신호를 전송한다.However, since the first sensor unit 120a has not transmitted the detection signal in the fifth to eighth times, the second sensor unit 120b has transmitted the detection signal continuously three times or more (four times) The second sensor unit 120b determines that the foreign object and the obstacle are in an abnormal operation state due to an external factor of the sensor generated when the sensor window is sucked or obstructed and the second sensor unit 120b ) In response to an abnormal operation signal.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일정횟수 이상으로 감지신호가 수신된 제2센서부(120b)를 센서 외부요인에 의한 비정상동작 상태를 판단하여 디스플레이부(140)로 제2센서부(120b)의 비정상동작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비정상 동작신호를 전송하게되는데, 이때, 상기 제1센서부(120a)에서 5회차 내지 8회차에서 모두 감지신호를 미전송하게 된 것이 센서소자 파손을 포함한 센서회로 단선 등의 센서 내부요인에 의한 것일 경우, 각 센서부(120a,120b)에 대한 동작상태를 오판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e abnormal operation state of the second sensor unit 120b, which receives the sensing signal at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more, by the external factors of the sensor, The first sensor unit 120a transmits an abnormal operation signal to indicate an abnormal operation state of the sensor unit 120b. At this time, if the sensor signal is not transmitted in five to eight consecutive times in the first sensor unit 120a, It may happen that the operation state of each of the sensor units 120a and 120b is mistaken.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면 차량감지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임의의 주차면(R)에 설치된 복수 개의 센서부(120a,120b)에서 동시에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정상동작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며, 하나의 제1센서부(120a)에서는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나 다른 하나의 제2센서부(120b)에서는 기설정된 일정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바로 제2센서부(120b)를 센서 외부요인에 의한 비정상동작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지 않고 상기 제1센서부(120a)로 테스트동작 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제1센서부(120a)의 정상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한다.4, the controller 130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 units 120a, 120b provided on a certain parking surface R to prevent such a situation. In this case, The second sensor unit 120b determines that the first sensor unit 120a is in the normal operation state and the second sensor unit 120b does not receive the sensing signal in the first sensor unit 120a, The first sensor unit 120a transmits a test operation signal to the first sensor unit 120a without determining that the second sensor unit 120b is in an abnormal operation state due to external factors of the sensor, 120a in the normal operation mode.

여기서, 상기 제1센서부(120a)로부터 상기 테스트동작 신호에 대한 피드백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센서부(120a)는 정상동작 상태이고 다른 하나의 제2센서부(120b)는 센서 외부요인에 의한 비정상동작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Here, when the feedback signal for the test oper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sensor unit 120a, the first sensor unit 120a is in a normal operation state and the second sensor unit 120b is in the normal operation state,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ng state is abnormal.

반면에, 상기 제1센서부(120a)로부터 상기 테스트동작 신호에 대한 피드백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센서부(120a)는 센서 내부요인에 의한 비정상동작 상태이고 다른 하나의 제2센서부(120b)는 정상동작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feedback signal for the test operatio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first sensor unit 120a, the first sensor unit 120a is in an abnormal operation state due to an internal factor of the sensor, 120b are in a normal operating state.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데이터송수신부(131), 테스트신호 발생부(132), 정상동작 판단부(133), 피드백신호 수신부(134) 및 데이터베이스(135)를 포함하여 구비된다.3, the control unit 130 includes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31, a test signal generation unit 132, a normal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133, a feedback signal reception unit 132, (134) and a database (135).

상기 데이터송수신부(131)는 각 센서부(120a,120b)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부(140) 및 표시부(150) 등의 외부구성으로 제어부(130)의 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테스트신호 발생부(132)는 상기와 같이 기설정된 일정횟수 이상으로 연속적으로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센서부(120)가 발생하게 되면 해당 센서부(120)로 테스트동작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한다.The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31 receives a sensing signal from each of the sensor units 120a and 120b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30 to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unit 140 and the display unit 150, The signal generating unit 132 generates and transmits a test operation signal to the sensor unit 120 when the sensor unit 120 does not continuously receive a sensing signal ove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또한, 상기 정상동작 판단부(133)는 테스트동작 신호가 전송된 센서부(120)의 피드백 신호 여부에 따라 각 센서부(120)의 정상동작 상태 또는 비정상동작 상태를 구분하여 판단하며, 상기 피드백신호 수신부(134)는 각 센서부(120)로부터 상기 테스트동작 신호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13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면 차량감지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데이터 및 각종 설정사항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다.The normal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133 determines whether the sensor unit 120 is in the normal operation state or the abnormal operation state according to the feedback signal of the sensor unit 120 to which the test operation signal is transmitted, The signal receiving unit 134 receives a feedback signal for the test operation signal from each sensor unit 120. The database 135 is a storage space for storing programming data and various setting items for driving the parking side vehicl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20)는, 제어부(130)의 테스트신호 발생부(132)로부터 테스트동작 신호를 수신하는 테스트신호 수신부(121)와, 상기 테스트동작 신호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30)의 테스트신호 수신부(121)로 전송하는 피드백신호 발생부(12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The sensor unit 12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st signal receiving unit 121 for receiving a test operation signal from the test signal generating unit 132 of the controller 130, And a feedback signal generating unit 122 for generating a feedback signa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feedback signal to the test signal receiving unit 121 of the control unit 130.

여기서, 테스트동작 신호는 센서부(120)의 센서회로가 정상적으로 회로연결되어 정상동작을 확인하기 위해 센서부(120)로 전송되는 동작 신호이며, 피드백 신호는 제어부(130)로 정상작동되고 있음을 응답하는 신호를 의미한다.Here, the test operation signal is an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to the sensor unit 120 to confirm normal operation of the sensor circuit of the sensor unit 120, and the feedback signal is normally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130 It means a signal to respond.

이때, 상기 각 센서부(120)는 센서회로의 단선없이 정상적으로 회로연결된 상태인 경우 테스트동작 신호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이상없이 전송할 것이며, 센서회로가 단선된 경우 정상적인 구동 자체가 제한되므로 상기 피드백 신호의 전송이 불가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면 차량감지 시스템에서는 센서회로 단선 등의 센서 외부요인이 발생한 경우 상기 피드백 신호가 불가한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해당 센서부(120)의 비정상동작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각 센서부(120)의 동작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each sensor unit 120 is norm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without disconnection of the sensor circuit, the feedback signal for the test operation signal will be transmitted without any abnormality. When the sensor circuit is disconnected, normal driving itself is limited, Transmission will not be possible. Therefore, in the parking plane vehicl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xternal factor of the sensor such as a sensor circuit disconnection occurs, the corresponding sensor unit 120, according to whether the feedback signal is received, The operating state of each sensor unit 120 can be determined more accurately.

또한, 각 센서부(120)가 제어부(130)의 테스트동작 신호가 수신되면 차량(10)을 감지하였을 때 전송되는 감지신호와 동일한 감지신호를 출력하도록 프로그래밍된 경우, 상기 피드백 신호는 제어부(130)의 데이터송수신부(131)로 전송되는 감지신호일 수 있다.If the sensor unit 120 is programmed to output the same sensing signal as the sensing signal transmitted when the controller 130 senses the vehicle 10 when the test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ler 130 is received, To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31 of FIG.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130)의 테스트신호 발생부(132)로부터 해당 센서부(120)의 테스트신호 수신부(121)에 테스트동작 신호이 전송되면, 센서부(120)는 해당 주차면(R)에 주차된 차량(10)이 진입했을 때와 동일한 감지신호를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이에 제어부(130)는 정상동작 판단부(133)는 테스트동작 신호의 전송타이밍과 해당 센서부(120)의 감지신호가 수신된 수신타이밍을 고려하여, 유효범위 내에 감지신호가 수신된 경우 해당 센서부(120)는 정상동작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when a test opera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test signal generation unit 132 of the control unit 130 to the test signal reception unit 121 of the corresponding sensor unit 120, the sensor unit 120 transmits the test operation signal to the corresponding parking surface R To the control unit 130, the same detection signal as when the parked vehicle 10 enters. When the sensing signal is received within the effective range,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normal operation of the sensor 120 based on the transmission timing of the test operation signal and the reception timing at which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unit 120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at it is in a normal operation state.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각 센서부(120)의 정상동작 상태 및 비정상동작 상태를 구분하여 화면창에 표시하는 표시수단으로서, 제어부(130)의 비정상 동작신호를 수신하여 각 주차면(R)에 배치된 센서부(120)의 동작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40)는 제어부(130)로부터 수신된 비정상 동작신호에 대한 센서부(120)는 비정상동작 상태인 것으로 표시하며 상기 비정상 동작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센서부(120)는 정상동작 상태인 것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The display unit 140 is a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normal operation state and the abnormal operation state of each sensor unit 120 on the screen window and receives an abnormal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 unit 130, The operation state of the sensor unit 120 disposed on the display unit 120 can be displayed. That is, the display unit 140 displays the abnormal oper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130 as an abnormal operation state, and the sensor unit 120, which has not received the abnormal operation signal, As shown in FIG.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주차면(R)에는 해당 주차면(R)에 설치된 센서부(120)의 동작상태를 구분하여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50)는 제어부(130)로부터 비정상 동작신호가 전송되면 비정상동작 상태임을 나타내는 점등방식(예를 들면 적색점등)으로 점등되어 관리자가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As shown in FIG. 2, each parking surface R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150 for distinguish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sensor unit 120 provided on the corresponding parking surface R and displaying it outside. Here, when the abnormal opera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130, the display unit 150 is turned on in a lighting manner (for example, red light) indicating that the abnormal operation state is present,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easily identify the user with the naked ey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면 차량감지 시스템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주차장의 각 주차면(R)마다 설치되는 센서부(120)의 감지신호 또는, 상기 센서부(120)의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제어부(130)의 테스트동작 신호를 이용하여, 이물질 및 장애물에 의한 센서창 가림 등의 센서 외부요인 또는 센서회로 단선 등의 센서 내부요인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센서부(120)의 비정상동작 상태를 감시할 수 있으므로, 비정상동작 상태를 보이는 센서부(120)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가 가능하며 신뢰성있는 주차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parking side vehicl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120 provided for each parking surface R of the parking lot, A sensor that can be generated according to an external factor of the sensor such as obstruction of the sensor window due to foreign substances and obstacles or an internal factor of the sensor such as disconnection of the sensor circuit using the test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ler 130 The abnormal operation state of the unit 120 can be monitor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take measures against the sensor unit 120 showing an abnormal operation state and provide reliable parking guide information.

또한, 각 센서부(120)의 감지신호가 통합적으로 취합되어 각 센서부(120)별 정상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부(140)에 일괄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각 센서부별로 검사회로를 연결하여 정상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절차가 불필요하여 유지관리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각 주차면(R)별로 배치되어 해당 주차면(R)에 주차된 차량(10)을 각각 감지하는 복수 개의 센서부(120)를 통해, 하나의 센서부(120)가 비정상동작 상태를 보이더라도, 다른 하나의 센서부(120)가 정상적인 동작상태에 따른 차량 감지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비정상동작 상태에 따른 감지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다.Since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respective sensor units 120 are collectively combined and the normal operation state of each sensor unit 120 can be collective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It is possible to remarkably reduce the maintenance cost because the procedure for confirming the normal operation state is unnecessary and the vehicle 10 parked on the corresponding parking surface R is arranged for each parking surface R, Even if one sensor unit 120 shows an abnormal operation state through a plurality of sensor units 120 sensing each other, the other sensor unit 120 can transmit a vehicle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 normal operation stat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etection gap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차량 110...주차블럭
120...센서부 121...테스트신호 수신부
122... 피드백신호 발생부 130...제어부
131...데이터송수신부 132... 테스트신호 발생부
133..정상동작 판단부 134...피드백신호 수신부
135...데이터베이스 140...디스플레이부
150...표시부 R...주차면
10 ... vehicle 110 ... parking block
120 ... sensor unit 121 ... test signal receiving unit
122 ... feedback signal generating unit 130 ... control unit
131 ...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32 ... test signal generation unit
133 normal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134 feedback signal reception unit
135 ... database 140 ... display unit
150 ... Display R ... Parking surface

Claims (3)

복수 개의 주차면(R)이 배치된 주차장 내에서 각 주차면(R)별로 주차되는 차량(10)을 감지하는 주차면 차량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각 주차면(R)별로 배치되어 해당 주차면(R)에 주차된 차량(10)을 각각 감지하는 복수 개의 센서부(120);
각 주차면(R)에 설치된 복수 개의 센서부(120)와 각각 신호연결되어 각 센서부(120)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를 취합하며, 상기 복수 개의 센서부(120)의 각 감지신호에 따라 각 센서부(120)의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130); 및
각 센서부(120)의 정상동작 상태 및 비정상동작 상태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하는 주차면 차량감지 시스템.
A parking space vehicle detection system for sensing a vehicle (10) parked for each parking space (R) in a parking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parking spaces (R) are arranged,
A plurality of sensor units (120) arranged for each parking surface (R), each sensing a vehicle (10)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R);
The sensor unit 12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ensor units 120 installed on each parking surface R and collects the sensing signals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s 120. In accordance with the sensing signals of the plurality of sensor units 120, A controller 130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ensor unit 120 operates normally or not; And
And a display unit (140) for displaying the normal operation state and the abnormal operation state of each sensor unit (120) separatel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는,
임의의 주차면(R)에 설치된 복수 개의 센서부(120a,120b)에서 동시에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정상동작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며,
하나의 센서부(120a)에서는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나 다른 하나의 센서부(120b)에서는 기설정된 일정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다른 하나의 센서부(120b)는 센서 외부요인에 의한 비정상동작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면 차량감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130,
It is determined that the sensor unit 120a or 120b installed on the arbitrary parking surface R receives a sensing signal at the same time,
If the sensing signal is not received by one sensor unit 120a and the sensing signal is continuously received by the other sensor unit 120b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more, And the vehicle is judged to be in an abnormal operating st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는,
임의의 주차면(R)에 설치된 복수 개의 센서부(120a,120b)에서 동시에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정상동작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며,
하나의 센서부(120a)에서는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나 다른 하나의 센서부(120b)에서는 기설정된 일정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하나의 센서부(120a)로 테스트동작 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센서부(120a)의 정상동작 여부를 확인하되,
해당 센서부(120a)로부터 상기 테스트동작 신호에 대한 피드백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하나의 센서부(120a)는 정상동작 상태이고 다른 하나의 센서부(120b)는 센서 외부요인에 의한 비정상동작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며,
해당 센서부(120a)로부터 상기 테스트동작 신호에 대한 피드백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하나의 센서부(120a)는 센서 내부요인에 의한 비정상동작 상태이고 다른 하나의 센서부(120b)는 정상동작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면 차량감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130,
It is determined that the sensor unit 120a or 120b installed on the arbitrary parking surface R receives a sensing signal at the same time,
If one sensor unit 120a does not receive a sensing signal but another sensor unit 120b receives a sensing signal continuously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more, the sensor unit 120a transmits a test operation signal to the one sensor unit 120a Thereby confirming whether the sensor unit 120a operates normally,
When the feedback signal for the test oper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20a, the one sensor unit 120a is in a normal operation state and the other sensor unit 120b is in an abnormal operation state due to external factors However,
If a feedback signal for the test operatio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20a, the one sensor unit 120a is in an abnormal operation state due to internal factors of the sensor and the other sensor unit 120b is in a normal operation state And the parking lot is detected as a parking lot.
KR1020130031566A 2013-03-25 2013-03-25 Vehicle Detecting System Having Steady-State Surveillancing Function KR2014011668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566A KR20140116680A (en) 2013-03-25 2013-03-25 Vehicle Detecting System Having Steady-State Surveillanc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566A KR20140116680A (en) 2013-03-25 2013-03-25 Vehicle Detecting System Having Steady-State Surveillancing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680A true KR20140116680A (en) 2014-10-06

Family

ID=51990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566A KR20140116680A (en) 2013-03-25 2013-03-25 Vehicle Detecting System Having Steady-State Surveillanc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668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104B1 (en) * 2018-09-12 2019-03-11 태승진 Parking guide system
KR20220097192A (en)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 피플카 Vehicle detection device of parking surface using micro integrated circuit and detecting method ther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104B1 (en) * 2018-09-12 2019-03-11 태승진 Parking guide system
KR20220097192A (en)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 피플카 Vehicle detection device of parking surface using micro integrated circuit and detecting method ther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077B1 (en) Fire Detection System having Preventing Malfunction
KR101703001B1 (en) Intelligent road safety fence system
JP2644844B2 (en) Distributed image recognition system
KR101567773B1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dangerous facility and controlling method
CN108482427A (en) A kind of contactless rail vehicle obstacl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curity
CN108090990A (en) Intelligent inspection system and robot
US8346500B2 (en) Self check-type flame detector
KR10092478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unting vehicle using CCTV camera, and park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140116680A (en) Vehicle Detecting System Having Steady-State Surveillancing Function
KR102088521B1 (en) Detecting system for parking of a vehicle using geomagnetic sensor
KR100883055B1 (en) Portable roadway detector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 same
KR101916660B1 (en) Apparatus for vehicle sensing using radar and infrared sensor and method thereof
KR100923155B1 (en)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with illumination sensor and Method by the same
CN112482265B (en) Barrier gate system, automatic driving vehicle and method for vehicle to pass through barrier gate
KR102093615B1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alfuction monitorung method
KR100654847B1 (en) System for guiding parking space and method for guiding parking space using the system
KR100669981B1 (en) The test method of cleaning areas for cleaning robots
KR101718762B1 (en) BLE-based Safety Management Monitoring System of Facility
JP5528313B2 (en) Intrusion detection system
KR102262398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safety of facility using rfid communication
KR200354169Y1 (en) Parking System
KR200387501Y1 (en) A Parking Unit for Park Empty Space of Building
CN106124232A (en) A kind of central air-conditioning intelligence detecting system
KR102204021B1 (en) Apparatus for lighting integrated parking status detection and display
CN112505721A (en) Vehicle access detection system based on laser rad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