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4951A - 오피스 문서의 동영상 기반 변환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오피스 문서의 동영상 기반 변환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4951A
KR20140114951A KR1020130028866A KR20130028866A KR20140114951A KR 20140114951 A KR20140114951 A KR 20140114951A KR 1020130028866 A KR1020130028866 A KR 1020130028866A KR 20130028866 A KR20130028866 A KR 20130028866A KR 20140114951 A KR20140114951 A KR 20140114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ffice
document
conversion
image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용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to KR1020130028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4951A/ko
Publication of KR20140114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49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피스 문서를 다수의 디바이스에서 제한없이 뷰잉할 수 있도록 동영상 기반으로 변환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일반적인 스마트 디바이스에 각종 오피스 뷰어를 종류별로 빠짐없이 설치한다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점에 착안한 것으로서, 오피스 문서를 일차적으로 개별 페이지 별로 이미지 데이터(예: JPEG 포맷)로 변환한 뒤에 이렇게 생성된 일련의 이미지 데이터를 시리즈로 연결하여 일종의 동영상 포맷으로 변환 제공함으로써 동영상 재생모듈을 구비한 디바이스라면 제한없이 오피스 문서를 읽을 수 있도록 해주는 오피스 문서의 동영상 기반 변환제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피스 문서의 동영상 기반 변환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METHOD OF PROVIDING VIDEO CONVERSION OF OFFICE DOCUM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오피스 문서를 다수의 디바이스에서 제한없이 뷰잉할 수 있도록 동영상 기반으로 변환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일반적인 스마트 디바이스에 각종 오피스 뷰어를 종류별로 빠짐없이 설치한다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점에 착안한 것으로서, 오피스 문서를 일차적으로 개별 페이지 별로 이미지 데이터(예: JPEG 포맷)로 변환한 뒤에 이렇게 생성된 일련의 이미지 데이터를 시리즈로 연결하여 일종의 동영상 포맷으로 변환 제공함으로써 동영상 재생모듈을 구비한 디바이스라면 제한없이 오피스 문서를 읽을 수 있도록 해주는 오피스 문서의 동영상 기반 변환제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다양한 형식의 오피스 파일이 존재한다.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의 DOC, PPT, XLS 등의 파일이 대표적인데, 그 외에도 대한민국의 한컴오피스는 HWP 파일을 사용하고 아크로벳에서는 PDF 파일을 사용하며 오픈오피스에서는 ODB, ODS, ODG, ODT 등의 파일을 사용한다.
이처럼 다양한 형식의 오피스 파일이 혼재되고 있기에 디바이스는 이들 소프트웨어를 구매하여 설치하고 있거나, 적어도 이들 파일을 볼 수 있는 뷰어 프로그램은 설치하고 있어야 한다. 이처럼 여러가지 뷰어 프로그램을 설치한다는 것은 일반적인 개인용컴퓨터에서는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지만 스마트 디바이스에서는 상당한 부담이 된다. 그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오피스 파일을 읽는다는 것은 매우 곤란한 일로 인식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 강의를 중심으로 컨텐츠를 책자가 아닌 동영상의 형식으로 제공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웹 브라우저에 동영상 재생 소프트웨어가 플러그인으로 제공되므로 디바이스에서는 별달리 준비하지 않아도 되고, 컨텐츠를 전달하는 효과도 탁월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동영상을 제작하려면 특수한 촬영 프로그램을 이용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컨텐츠 재생시간 이상의 녹화시간을 요구하는 어려움이 있다. 즉, 2시간의 러닝 타임을 갖는 동영상 파일을 제작하려면 2시간 이상을 영상 녹화에 투자해야 하는 것이다.
또한, 동영상 파일은 파일 사이즈가 너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2시간의 러닝 타이을 갖는 동영상 파일이라면 퀄리티에 따라 수백 MB 내지 수 GB의 파일 사이즈를 갖는다. 반면, 2시간 정도 살펴볼 분량의 오피스 파일이라면 수 MB 정도면 충분하다. 이처럼 동영상 포맷은 정보전달 효과에 비해 스토리지를 지나치게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정보에 비해 데이터 파일 사이즈가 매우 크다는 점도 일반적인 개인용컴퓨터에서는 그리 문제될 것이 없지만 스마트 디바이스에서는 상당한 부담이 된다.
이처럼 스마트 디바이스는 개인용컴퓨터에 비해 상당한 제약이 있는데, 특히 다양한 형식의 오피스 문서를 읽어서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점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접근법에 있어서도 뷰어 프로그램을 빠짐없이 설치한다거나 강의 동영상을 배포하는 것과는 궤를 달리하는 훨씬 고효율의 방식이 요망된다.
따라서,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다양한 형식의 오피스 파일을 볼 수 있도록 해주면서도 스마트 디바이스의 리소스를 감안하여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문서를 시간 영역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특허출원 10-2007-0110975호)
2. 메일본문과 첨부파일의 휴대폰 전송시스템(특허출원 10-2007-0052240호)
3. 오피스 프로그램에서 이미지 코드를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특허출원 10-2004-010235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오피스 문서를 다수의 디바이스에서 제한없이 뷰잉할 수 있도록 동영상 기반으로 변환 제공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스마트 디바이스에 각종 오피스 뷰어를 종류별로 빠짐없이 설치한다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점에 착안한 것으로서, 오피스 문서를 일차적으로 개별 페이지 별로 이미지 데이터(예: JPEG 포맷)로 변환한 뒤에 이렇게 생성된 일련의 이미지 데이터를 시리즈로 연결하여 일종의 동영상 포맷으로 변환 제공함으로써 동영상 재생모듈을 구비한 디바이스라면 제한없이 오피스 문서를 읽을 수 있도록 해주는 오피스 문서의 동영상 기반 변환제공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피스 문서의 동영상 기반 변환제공 방법은, 변환제공 단말(10)이 오피스 문서를 식별하는 단계; 변환제공 단말(10)이 그 식별된 오피스 문서에 대한 동영상 포맷변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변환제공 단말(10)의 이미지 변환수단(14a)이 오피스 문서를 구성하는 페이지 별로 이미지 데이터로 랜더링함으로써 일련의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변환제공 단말(10)의 동영상 변환수단(14b)이 일련의 이미지 데이터를 연결하여 동영상 오피스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오피스 문서의 동영상 기반 변환제공 방법은, 변환제공 단말(10)이 동영상 오피스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스토리지 서버(30, 40)로 업로드하는 단계; 영상구현 단말(50)이 스토리지 서버(30, 40)에 접속하여 문서 리스트 중에서 특정의 오피스 문서를 선택하는 단계; 스토리지 서버(30, 40)가 그 선택된 오피스 문서에 대응하는 동영상 오피스 파일을 영상구현 단말(50)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피스 문서의 동영상 기반 변환제공 방법은, 문서저작 단말(60)이 오피스 문서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스토리지 서버(30, 40)로 업로드하는 단계; 영상구현 단말(50)이 네트워크를 통해 스토리지 서버(30, 40)에 접속하여 문서 리스트 중에서 오피스 문서를 선택하는 단계; 스토리지 서버(30, 40)가 그 선택된 오피스 문서를 변환제공 단말(10)로 제공하는 단계; 변환제공 단말(10)이 오피스 문서를 구성하는 페이지 별로 이미지 데이터로 랜더링하여 일련의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변환제공 단말(10)이 일련의 이미지 데이터를 연결하여 동영상 오피스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변환제공 단말(10)이 그 생성된 동영상 오피스 파일을 스토리지 서버(30, 40)로 리턴하는 단계; 스토리지 서버(30, 40)가 그 리턴된 동영상 오피스 파일을 영상구현 단말(50)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동영상 오피스 파일의 생성 단계는, 동영상 변환수단(14b)이 일련의 이미지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링크시켜 동영상 오피스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동영상 변환수단(14b)이 순차적으로 링크된 이미지 데이터 간의 시간간격을 설정하는 단계; 동영상 변환수단(14b)이 동영상 오피스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표준 동영상 파일의 형식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이상과 같은 오피스 문서의 동영상 기반 변환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오피스 문서의 동영상 기반 변환제공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혼재하는 다양한 형식의 오피스 문서를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간편하게 볼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오피스 문서를 동영상으로 변환함에 있어서 촬영 방식이 아닌 랜더링/시리얼라이제이션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동영상 변환 시간이 획기적으로 감소하였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러닝 타임에 비해 동영상 파일의 데이터 사이즈가 획기적으로 작기 때문에 스마트 디바이스의 한정된 시스템 리소스 하에서도 무리없이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피스 문서의 동영상 기반 변환제공 방법이 구현되는 변환제공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피스 문서의 동영상 기반 변환제공 기술이 구현되는 전체 시스템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피스 문서의 동영상 기반 변환제공 기술이 구현되는 전체 시스템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파일 포맷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피스 문서의 동영상 기반 변환제공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피스 문서의 동영상 기반 변환제공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피스 문서의 동영상 기반 변환제공 방법이 구현되는 변환제공 단말(10)의 상세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피스 문서의 동영상 기반 변환제공 기술이 구현되는 전체 시스템의 두가지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변환제공 단말(10)은 사용자 UI부(11), 단말 제어부(12), 저장부(13), 포맷변환 모듈(14), 송수신부(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포맷변환 모듈(14)은 이미지 변환수단(14a)과 동영상 변환수단(14b)을 구비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으로서 프로그램 코드와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한다.
단말 제어부(12)는 사용자 UI부(11)를 통해 구현된 오피스 프로그램 상에서 오피스 문서를 작성하거나 저장부(13)에 미리 저장된 오피스 문서 중에서 특정의 선택신호에 따라 열기 조작을 수행한다. 이때, 선택신호는 사용자 UI부(11)를 통해 사용자가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저장부(13)는 비휘발성 메모리(NVM)로서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데이터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래시메모리, MRAM(자성체 램), PRAM(상변화 램), FRAM(강유전체 램), 웹디스크, 클라우드 디스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 제어부(12)는 사용자 UI부(11)를 통해 사용자가 신규문서 작성완료 요청을 하거나 기저장된 오피스 문서에 대한 선택 요청, 또는 오피스 문서에 대한 새이름으로 저장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포맷변환 모듈(14)을 웨이크업한다. 이하에서는 포맷변환 모듈(14)을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라 변환제공 단말(10)이 수행하는 프로세스에 대해서 살펴본다.
이미지 변환수단(14a)은 오피스 문서를 페이지 별로 이미지 데이터(예: JPEG 파일)로 랜더링하여 저장부(13)에 저장한다. 페이지 별로 이미지 데이터로 랜더링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채택될 수 있는데, 페이지를 캡처하거나 이미지 프린팅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영상 변환수단(14b)은 이미지 변환수단(14a)에 의해 페이지 별로 생성된 일련의 이미지 데이터를 동영상 파일로 변환함으로써 동영상 오피스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부(13)에 저장한다. 일련의 이미지 데이터로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방식도 다양하게 채택될 수 있는데, GIF 애니메이션, MPEG2, MPEG4, H.264 등과 같은 여러 동영상 기술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중에서 GIF 애니메이션은 가장 바람직하지 않은데, 이는 현재 스마트 단말에 GIF 애니메이션 뷰어가 거의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GIF 애니메이션 기술을 채택하게 되면 다시 스마트 단말에 GIF 애니메이션 뷰어를 설치해야 하는 부담이 생기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MPEG이나 H.264 기술을 채택하여 AVI 파일이나 XVID 파일을 생성하는 것도 본 발명에는 바람직하지 않다. 이들 기술에 의하면 1분당 6 MB 정도의 동영상 데이터가 생성되므로 2시간 정도 살펴볼 분량의 오피스 파일을 동영상으로 생성하면 약 720 MB의 동영상 파일이 생성된다. 이처럼 대용량 데이터는 스마트 단말의 한정된 리소스를 감안하면 바람직하지 않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련의 이미지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링크시키는 형태로 동영상 오피스 파일을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페이지 사이에 별달리 화면 변화가 없기 때문이다. 이때 이미지 데이터 사이의 시간 간격(Ti)은 일률적으로 지정하거나 사용자 UI부(11)를 통해 사용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활용하여 차등적으로 설정한다.
동영상 변환수단(14b)은 이렇게 일련의 이미지 데이터를 이어붙여서 생성한 동영상 오피스 파일에 대해 메타데이터를 MPEG4나 H.264 형식으로 생성한 동영상 파일의 외형을 갖추어 생성하는데, 이렇게 하면 스마트 디바이스에 장착된 표준 규격에 따른 동영상 플레이어가 재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동영상 플레이어에서 재생속도를 조절하거나 가로 스크롤바에서 앞으로 30초 가기나 뒤로 30초 가기를 수행함으로써 적절한 속도로 오피스 파일을 읽는다.
한편, 단말 제어부(12)는 동영상 오피스 파일을 네트워크(20)를 통해 웹하드 서버(30)나 클라우드 서버(40)(이하, '스토리지 서버'라 함)로 전송한다. 이후, 영상구현 단말(50)은 영상 플레이어를 이용하여 동영상 파일로 표현된 오피스 파일을 화면에 구현한다.
[도 2]에서 변환제공 단말(10)은 신규 생성하거나 기저장된 오피스 파일에 대해 예컨대 새이름으로 저장(save as) 메뉴를 통해 동영상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나서, 변환제공 단말(10)은 이렇게 변환 저장된 동영상 오피스 파일을 네트워크(20)를 통해 스토리지 서버(30, 40)로 업로드 전송하며, 이를 통해 영상구현 단말(50)은 스토리지 서버(30, 40)로부터 동영상 오피스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재생한다.
[도 3]에서 문서저작 단말(60)은 일반적인 오피스 문서(예: DOC, PPT, XLS, HWP, PDF, ODB, ODS, ODG, ODT 등)를 생성하여 네트워크(20)를 통해 스토리지 서버(30, 40)로 업로드 전송한다. 이후에, 영상구현 단말(50)이 네트워크를 통해 이들 오피스 파일을 선택하면, 스토리지 서버(30, 40)는 먼저 오피스 파일을 변환제공 단말(10)로 제공하여 동영상 오피스 파일을 생성하고 이어서 동영상 오피스 파일을 영상구현 단말(50)로 전송한다. 스토리지 서버(30, 40)는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해 영상구현 단말(50)이 일반적인 개인용컴퓨터인지 아니면 스마트 디바이스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오피스 파일을 그대로 제공할지 아니면 동영상 오피스 파일로 변환하여 제공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피스 문서의 동영상 기반 변환제공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도 2]의 시스템 구성에 대응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변환제공 단말(10)의 단말 제어부(12)가 사용자 UI부(11)를 통해 구현된 오피스 프로그램 상에서 오피스 문서를 작성하거나 저장부(13)에 미리 저장된 오피스 문서에 대한 사용자 UI부(11)로부터 수신된 선택신호에 따른 파일오픈을 수행한다(S11).
단계(S11) 이후, 포맷변환 모듈(14)은 단말 제어부(12)에 의해 웨이크-업되어 사용자 UI부(11)로부터 단계(S11)에서 신규문서로 작성되거나 열어진 오피스 문서에 대한 동영상 포맷변환 요청을 수신한다(S12).
단계(S12) 이후, 포맷변환 모듈(14)의 이미지 변환수단(14a)은 단계(S11)에서 신규문서로 작성되었거나 기저장되었다가 선택되어 오픈된 오피스 문서에 대하여 개별 페이지 별로 이미지 데이터로 랜더링하여 일련의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부(13)에 저장한다(S13).
단계(S13) 이후, 포맷변환 모듈(14)의 동영상 변환수단(14b)은 단계(S13)에서 페이지 별로 저장된 일련의 이미지 데이터를 시리얼로 연결함으로써 동영상 오피스 파일을 생성한다(S14).
단계(S14) 이후, 단말 제어부(12)는 동영상 오피스 파일을 네트워크(20)와 연결된 스토리지 서버(30, 40)로 업로드하고, 이를 통해 영상구현 단말(50)이 동영상 오피스 파일을 화면에 구현한다(S15). 단계(S15)의 실시예로서 영상구현 단말(50)이 스토리지 서버(30, 40)에 접속하여 문서 리스트 중에서 특정의 오피스 문서를 선택하고, 그에 대응하여 스토리지 서버(30, 40)는 오피스 문서에 대응하는 동영상 오피스 파일을 영상구현 단말(50)로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피스 문서의 동영상 기반 변환제공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도 3]의 시스템 구성에 대응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문서저작 단말(60)이 일반적인 오피스 문서(예: DOC, PPT, XLS, HWP, PDF, ODB, ODS, ODG, ODT 등)를 생성하여 네트워크(20)를 통해 스토리지 서버(30, 40)로 업로드한다(S21).
단계(S21) 이후, 영상구현 단말(50)이 네트워크(20)를 통해 이들 오피스 문서를 선택한다(S22). 즉, 영상구현 단말(50)이 스토리지 서버(30, 40)에 접속하여 문서 리스트 중에서 특정의 오피스 문서를 선택한다.
그에 따라, 스토리지 서버(30, 40)는 예컨대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해 영상구현 단말(50)이 일반적인 개인용컴퓨터인지 아니면 스마트 디바이스인지를 판단한다(S23).
단계(S23)의 판단 결과, 일반적인 개인용컴퓨터인 경우라면, 스토리지 서버(30, 40)는 그 선택된 오피스 문서를 그대로 영상구현 단말(50)로 제공하고(S28)그에 따라 영상구현 단말(50)에서는 오피스 프로그램 또는 뷰어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오피스 문서를 화면에 표시한다(S29).
단계(S23)의 판단 결과, 스마트 디바이스인 경우라면, 스토리지 서버(30, 40)는 그 선택된 오피스 문서를 먼저 변환제공 단말(10)로 전송함으로써(S24) 변환제공 단말(10)이 오피스 문서를 동영상 오피스 파일로 변환하여 스토리지 서버(30, 40)로 리턴하도록 한다(S25). 이어서, 스토리지 서버(30, 40)는 동영상 오피스 파일을 영상구현 단말(50)로 제공하고(S26), 영상구현 단말(50)에서는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동영상 오피스 파일을 재생한다(S27).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된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스: 변환제공 단말
11: 사용자 UI부
12: 제어부
13: 저장부
14: 포맷변환 모듈
14a: 이미지 변환수단
14b: 동영상 변환수단
20: 네트워크
30: 웹하드 서버
40: 클라우드 서버
50: 영상구현 단말
60: 문서저작 단말

Claims (6)

  1. 변환제공 단말(10)이 오피스 문서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변환제공 단말(10)이 상기 식별된 오피스 문서에 대한 동영상 포맷변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변환제공 단말(10)의 이미지 변환수단(14a)이 상기 오피스 문서를 구성하는 페이지 별로 이미지 데이터로 랜더링함으로써 일련의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변환제공 단말(10)의 동영상 변환수단(14b)이 상기 일련의 이미지 데이터를 연결하여 동영상 오피스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피스 문서의 동영상 기반 변환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환제공 단말(10)이 상기 동영상 오피스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스토리지 서버(30, 40)로 업로드하는 단계;
    영상구현 단말(50)이 상기 스토리지 서버(30, 40)에 접속하여 문서 리스트 중에서 특정의 오피스 문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스토리지 서버(30, 40)가 상기 선택된 오피스 문서에 대응하는 동영상 오피스 파일을 상기 영상구현 단말(50)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피스 문서의 동영상 기반 변환제공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오피스 파일의 생성 단계는,
    상기 동영상 변환수단(14b)이 상기 일련의 이미지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링크시켜 동영상 오피스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변환수단(14b)이 상기 순차적으로 링크된 이미지 데이터 간의 시간간격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변환수단(14b)이 상기 동영상 오피스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표준 동영상 파일의 형식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피스 문서의 동영상 기반 변환제공 방법.
  4. 문서저작 단말(60)이 오피스 문서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스토리지 서버(30, 40)로 업로드하는 단계;
    영상구현 단말(50)이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스토리지 서버(30, 40)에 접속하여 문서 리스트 중에서 상기 오피스 문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스토리지 서버(30, 40)가 상기 선택된 오피스 문서를 변환제공 단말(10)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변환제공 단말(10)이 상기 오피스 문서를 구성하는 페이지 별로 이미지 데이터로 랜더링하여 일련의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변환제공 단말(10)이 상기 일련의 이미지 데이터를 연결하여 동영상 오피스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변환제공 단말(10)이 상기 생성된 동영상 오피스 파일을 상기 스토리지 서버(30, 40)로 리턴하는 단계;
    상기 스토리지 서버(30, 40)가 상기 리턴된 동영상 오피스 파일을 상기 영상구현 단말(50)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피스 문서의 동영상 기반 변환제공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오피스 파일의 생성 단계는,
    상기 변환제공 단말(10)의 동영상 변환수단(14b)이 상기 일련의 이미지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링크시켜 동영상 오피스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변환제공 단말(10)의 동영상 변환수단(14b)이 상기 순차적으로 링크된 이미지 데이터 간의 시간간격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변환제공 단말(10)의 동영상 변환수단(14b)이 상기 동영상 오피스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표준 동영상 파일의 형식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피스 문서의 동영상 기반 변환제공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오피스 문서의 동영상 기반 변환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오피스 문서의 동영상 기반 변환제공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30028866A 2013-03-18 2013-03-18 오피스 문서의 동영상 기반 변환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1401149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866A KR20140114951A (ko) 2013-03-18 2013-03-18 오피스 문서의 동영상 기반 변환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866A KR20140114951A (ko) 2013-03-18 2013-03-18 오피스 문서의 동영상 기반 변환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951A true KR20140114951A (ko) 2014-09-30

Family

ID=51758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866A KR20140114951A (ko) 2013-03-18 2013-03-18 오피스 문서의 동영상 기반 변환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49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98893A (zh) * 2020-11-19 2022-06-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文字的视频实现方法及系统、电子设备、存储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98893A (zh) * 2020-11-19 2022-06-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文字的视频实现方法及系统、电子设备、存储介质
CN114598893B (zh) * 2020-11-19 2024-04-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文字的视频实现方法及系统、电子设备、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90157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diting movies in distributed scalable media environment
US9852762B2 (en) User interface for video preview creation
KR100987880B1 (ko) 저해상도 미디어 자산을 편집하여 고해상도 편집된 미디어 자산을 생성하는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시스템
US886846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ublishing media content
US20140006921A1 (en) Annotating digital documents using temporal and positional modes
KR100991583B1 (ko) 편집 정보를 미디어 콘텐츠와 결합하는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시스템
US20090064005A1 (en) In-place upload and editing application for editing media assets
US20070169158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d applying dynamic media specification creator and applicator
JP2011044149A (ja) ネットワークを通じるコンテンツ提供方法及び装置、コンテンツ受信方法及び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を通じるデータバックアップ方法及び装置、バックアップデータ提供装置及びバックアップシステム
KR20050097434A (ko) 엠피브이 파일 생성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을 수행하기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
WO2007082166A2 (en) System and methods for distributed edit processing in an online video editing system
KR101950997B1 (ko) 컨텐츠 태그를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JP200802704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264746B2 (en) Content distribution system, content distribution server, content distribution method, software program, and storage medium
WO2007082169A2 (en) Automatic aggregation of content for use in an online video editing system
KR100987862B1 (ko) 미디어 콘텐츠에 편집들을 기록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999876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coding media files
KR20140114951A (ko) 오피스 문서의 동영상 기반 변환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JP2008048091A (ja) 動画タグ付けプログラム、動画タグシステム、及び動画配信方法
KR20150106472A (ko)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24008645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reception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080046918A (ko) 동영상 편집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11509016A (ja) リッチメディア提供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110130803A (ko) 다양한 유형의 디지털 콘텐츠 인식 및 플레이가 가능한 디지털 콘텐츠 플레이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09921A (ko) 슬라이드쇼 동영상 공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