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4525A -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 - Google Patents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4525A
KR20140114525A KR1020130028367A KR20130028367A KR20140114525A KR 20140114525 A KR20140114525 A KR 20140114525A KR 1020130028367 A KR1020130028367 A KR 1020130028367A KR 20130028367 A KR20130028367 A KR 20130028367A KR 20140114525 A KR20140114525 A KR 20140114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flow guiding
air flow
air
flow guide
gui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7658B1 (ko
Inventor
이행건
Original Assignee
이행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행건 filed Critical 이행건
Priority to KR1020130028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658B1/ko
Publication of KR20140114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4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2Roof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1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for guiding air around a cur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1Ventilation with exhausting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4Natural ventilation using conv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10Weather information or foreca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ro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2Weather protecting means, e.g. against wind, rain or sn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고정다이(110)와, 복수의 기류안내부재(120, 130)와, 덮개(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복수의 기류안내부재(120, 130)는 고정다이(110) 스페이서(151, 152, 153)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121, 131)와 설치부(121, 131)에서 내향 상부로 만곡 형성되고 중앙에는 배기통과구(123, 133)가 형성되어 있는 기류 유도부(122, 132)로 구성되며, 덮개(140)는 스페이서(151)를 설치하기 위한 외주부(141)와, 외주부(141)에서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덮개바디(142)로 구성되며, 상하로 이웃하는 기류 유도부(122, 132) 사이로 유입되는 유도공기의 유속이 빨라지도록 하부 기류안내부재(130)의 기류 유도부(132)는 상부로 올라갈수록 기울기가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부 기류안내부재(120)의 기류 유도부(122)의 기울기는 하부 기류안내부재(130)의 기류 유도부(132)의 기울기보다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의하면, 유도공기의 유속이 빨라져서 배출공기의 흐름이 더욱더 빨라져서 배기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No Power Fixed type Ventilator for Improving Ventilation Performance}
본 발명은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류 유도부 사이로 유입되는 유도공기의 유속이 빨라지도록 구성하여 배기성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측면에서 불어들어오는 유도공기가 배기공기와 충돌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여 기류 충돌에 의한 배기공기의 흐름 약화라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벤틸레이터는 아파트 등의 화장실이나 주방의 렌지후드의 배기덕트 상단이나 공장의 지붕의 굴뚝 상단에 장착되어 연소가스나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것이다.
벤틸레이터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479390호에 의한 벤틸레이터가 알려져 있다.
도 14에는 등록특허 제10-0479390호에 의한 벤틸레이터의 단면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벤틸레이터는, 건물의 굴뚝(1)이나 지붕의 환기구 등에 결합되는 통형상의 받침부(10)와, 이 받침부(10) 상부에 스페이서(40)에 의해 이격설치되며 중앙에 개구부(22)가 형성된 중간 기류안내판(20)과, 이 중간 기류안내판(20)의 상부에 스페이서(40)에 의해 이격설치되며 둘레부에는 공기유도부(34)가 형성된 상단 기류안내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간 기류안내판(20)의 개구부(22) 둘레에는 상측으로 직각절곡된 빗물유입 방지턱(50)이 형성되고, 이 빗물유입방지턱(50)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스페이서(40)가 거치되는 수평면부(26)가 형성되고, 이 수평면부(26)의 둘레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공기유도부(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서, 환기구내로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벤틸레이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중간기류안내판 사이로 들어오는 기류로 인하여 배기공기는 일견 원활하게 배기되지만, 한편으로는 중간기류안내판의 공기유도부의 구조 때문에 배기공기가 중간기류안내판 사이로 들어오는 유도기류와 충돌하여서 유체 저항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기류 충돌로 인하여 역류가 발생하고 배기공기의 흐름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었다.
둘째, 종래의 벤틸레이터는 배기공기가 덮개(상부기류안내판)의 상면에 부딪혀서 옆으로 배출되는 구조였고, 덮개(상부기류안내판)를 통과해서 직상방으로 흘러나가는 기술은 없었기 때문에 배기 성능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의 목적은,
첫째, 하부 기류안내부재의 기류 유도부가 상부로 올라갈수록 기울기가 커지도록 형성함으로써, 베르누이의 유속 정리에 의해서 상하로 이웃하는 기류 유도부 사이로 유입되는 유도공기의 유속이 빨라지도록 하여 배출공기의 흐름이 더욱더 빨라져서 배기성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고,
둘째, 상부 기류안내부재의 기류 유도부의 기울기는 하부 기류안내부재의 기류 유도부의 기울기보다 완만하게 형성함으로써, 덮개에서 반사되어서 외부로 흘러나가는 배출공기의 유출구를 커게하여 배출공기의 유출 저항이 작아져서 배기성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며,
셋째, 하부 기류안내부재의 기류 유도부의 상단이 바로 위에 설치된 기류안내부재의 설치부와 거의 같은 높이로 되게 형성함으로서, 측면에서 불어들어오는 유도공기가 배기공기와 충돌하는 것을 막을 수 있어서 기류 충돌에 의한 배기공기의 흐름 약화라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며,
넷째, 덮개에 배출개구를 형성함으로써, 배출공기가 기류의 방향을 바꾸지 않고 직상방으로 바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와 같이 덮개에 반사되어서 배출되는 경우보다 배기 성능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하며,
다섯째, 배출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함으로써, 강수가 없는 통상적인 경우에는 도어를 열어서 배기하여서 배출 성능을 향상시키면서도, 비나 눈이 오는 경우에는 도어를 닫아서 제품 내부로 비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섯째, 비나 눈이 오는 것을 센서에 의해서 감지하여 강수 유무에 따라서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는, 공장, 건물, 비닐 하우스, 화장실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굴뚝이나 환기구 등[이하, 배기통과구로 총칭함]에 설치되어서 배기통과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에 있어서,
배기통과구에 설치되고, 배기통과구와 연통되도록 축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고정다이와, 상기 고정다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기류안내부재와, 상기 기류안내부재의 상부에 스페이서에 의해서 이격 설치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기류안내부재는 고정다이 스페이서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에서 내향 상부로 만곡 형성되고 중앙에는 배기통과구가 형성되어 있는 기류 유도부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기류안내부재 상호 간은 스페이스에 의해서 이격 설치되며,
상기 덮개는 스페이서를 설치하기 위한 외주부와, 상기 외주부에서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덮개바디로 구성되며,
상기 기류안내부재는 상기 덮개의 바로 아래에 구비되는 상부 기류안내부재와, 상기 상부 기류안내부재의 아래에 구비되는 하부 기류안내부재로 구성되며,
상하로 이웃하는 기류 유도부 사이로 유입되는 유도공기의 유속이 빨라지도록 상기 하부 기류안내부재의 기류 유도부는 상부로 올라갈수록 기울기가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부 기류안내부재의 기류 유도부의 기울기는 하부 기류안내부재의 기류 유도부의 기울기보다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하부 기류안내부재의 기류 유도부가 상부로 올라갈수록 기울기가 커지도록 형성함으로써, 베르누이의 유속 정리에 의해서 상하로 이웃하는 기류 유도부 사이로 유입되는 유도공기의 유속이 빨라지도록 하여 배출공기의 흐름이 더욱더 빨라져서 배기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부 기류안내부재의 기류 유도부의 기울기는 하부 기류안내부재의 기류 유도부의 기울기보다 완만하게 형성함으로써, 덮개에서 반사되어서 외부로 흘러나가는 배출공기의 유출구를 커게하여 배출공기의 유출 저항이 작아져서 배기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하부 기류안내부재의 기류 유도부의 상단이 바로 위에 설치된 기류안내부재의 설치부와 거의 같은 높이로 되게 형성함으로서, 측면에서 불어들어오는 유도공기가 배기공기와 충돌하는 것을 막을 수 있어서 기류 충돌에 의한 배기공기의 흐름 약화라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덮개에 배출개구를 형성함으로써, 배출공기가 기류의 방향을 바꾸지 않고 직상방으로 바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와 같이 덮개에 반사되어서 배출되는 경우보다 배기 성능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배출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함으로써, 강수가 없는 통상적인 경우에는 도어를 열어서 배기하여서 배출 성능을 향상시키면서도, 비나 눈이 오는 경우에는 도어를 닫아서 제품 내부로 비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비나 눈이 오는 것을 센서에 의해서 감지하여 강수 유무에 따라서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의 공기 흐름 동작도 및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고정다이(110)를 제외한 상태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의 공기 흐름 동작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있어서 도어(171)가 닫힌 경우의 공기 흐름 동작도 및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의 공기 흐름 동작도 및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도어(172)가 닫힌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있어서 도어(172)가 닫힌 경우의 공기 흐름 동작도 및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의 공기 흐름 동작도 및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있어서 도어(173)가 닫힌 경우의 공기 흐름 동작도 및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3 내지 도 12에 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4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고정식 벤틸레이터의 단면 구성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의 공기 흐름 동작도 및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있어서 고정다이(110)를 제외한 상태의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는, 공장, 건물, 비닐 하우스, 화장실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굴뚝이나 환기구 등[이하, 배기통과구(S)로 총칭함]에 설치되어서 배기통과구(S)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공기배출기)에 있어서, 배기통과구(S)에 설치되고, 배기통과구(S)와 연통되도록 축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고정다이(110)와, 상기 고정다이(110)에 설치되는 복수의 기류안내부재(120, 130)와, 상기 기류안내부재(120, 130)의 상부에 스페이서(151)에 의해서 이격 설치되는 덮개(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기류안내부재(120, 130)는 고정다이(110) 스페이서(151, 152, 153)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121, 131)와 상기 설치부(121, 131)에서 내향 상부로 만곡 형성되고 중앙에는 배기통과구(123, 133)가 형성되어 있는 기류 유도부(122, 132)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기류안내부재(130) 상호 간은 스페이스(152, 153)에 의해서 이격 설치되며, 상기 덮개(140)는 스페이서(151)를 설치하기 위한 외주부(141)와, 상기 외주부(141)에서 내향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덮개바디(142)로 구성되며, 상기 기류안내부재(120, 130)는 상기 덮개(140)의 바로 아래에 구비되는 상부 기류안내부재(120)와, 상기 상부 기류안내부재(120)의 아래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하부 기류안내부재(130)로 구성되며, 상하로 이웃하는 기류 유도부(122, 132) 사이로 유입되는 유도공기의 유속이 빨라지도록 상기 하부 기류안내부재(130)의 기류 유도부(132)는 상부로 올라갈수록 기울기가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부 기류안내부재(120)의 기류 유도부(122)의 기울기는 하부 기류안내부재(130)의 기류 유도부(132)의 기울기보다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하부 기류안내부재(130)의 기류 유도부(132)가 상부로 올라갈수록 기울기가 커지도록 형성 즉, 내측으로 갈수록 이웃하는 기류 유도부(132) 사이의 거리(d1)가 좁아지도록 형성하면(따라서 h2 > d1으로 됨), 베르누이의 유속 정리에 의해서 상하로 이웃하는 기류 유도부(122, 132) 사이로 유입되는 유도공기의 유속이 빨라져서 배출공기의 흐름이 더욱더 빨라져서 배기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부 기류안내부재(120)의 기류 유도부(122)의 기울기는 하부 기류안내부재(130)의 기류 유도부(132)의 기울기보다 완만하게 형성하면, 덮개(140)에서 반사되어서 외부로 흘러나가는 배출공기의 유출구가 커지므로 배출공기의 유출 저항이 작아지게 되고 따라서 배기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12에 있어서, 굴뚝이나 환기구에서 배출되는 배출공기(A1)(즉, 배출기류)는 일점쇄선으로 표시하였고, 주변의 대기에서 불어와서 배출공기(A1)의 배출을 유도하는 유도공기(A2)(즉, 유도기류)는 이점쇄선으로 표시하였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덮개(140)와 기류안내부재(120, 130)와 고정다이(110) 간의 체결구조를 간단히 살펴보면, 장볼트(161)를 스페이서(151, 152, 153)를 통해서 삽입시키고 너트(162)로 조이면 덮개(140)와 기류안내부재(120, 130)가 스페이서(151, 152, 153)에 의해서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고정되며, 고정다이(110)는 장볼트(161)의 하단에 체결된 고정브라켓(163)에 체결되어서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기류안내부재(130)의 기류 유도부(132)의 상단은 바로 위에 설치된 기류안내부재(120, 130)[상부 기류안내부재(120) 및 하부 기류안내부재(130)]의 설치부(121, 131)의 위치와 같거나 그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 기류안내부재(120)의 기류 유도부(122)의 상단은 덮개(140)의 외주부(141)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하부 기류안내부재(130)의 기류 유도부(132)의 상단이 바로 위에 설치된 기류안내부재(120, 130)[상부 기류안내부재(120) 및 하부 기류안내부재(130)]의 설치부(121, 131)와 거의 같은 높이로 되게 형성함으로서, 측면에서 불어들어오는 유도공기가 배기공기와 충돌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기류 충돌에 의한 와류 발생 및 기류 역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배기공기의 흐름 약화라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에 있어서, 덮개(140)와 그 직하방에 구비된 상부 기류안내부재(120) 간의 수직거리(h1)[외주부(141)와 상부 기류안내부재(120)의 설치부(121) 간의 거리(h1)]는 기류안내부재(120, 130)[상부 기류안내부재(120) 및 하부 기류안내부재(130)]의 설치부(121, 131) 간의 거리(h2)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제품의 전체 높이는 변하지 않으면서도 덮개(140)에 반사되어서 배출되는 배출공기가 빠져나가는 길이(h1)를 크게 할 수 있어서 배출공기의 배출이 원활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에 있어서, 덮개(140)의 외주부(141)의 반경방향 폭(w1)은 기류안내부재(120, 130)[상부 기류안내부재(120) 및 하부 기류안내부재(130)]의 설치부(121, 122)의 반경방향 폭(w2)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빗물이 벤틸레이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에 있어서, 덮개(140)의 외주부(141)는 바깥방향으로 가면서 하향 단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강한 바람이나 비에도 오랫동안 견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의 공기 흐름 동작도 및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4의 A-A선 요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도 3에 있어서 도어(171)가 닫힌 경우의 공기 흐름 동작도 및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도 6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의 공기 흐름 동작도 및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도 8에서 도어(172)가 닫힌 경우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도 8에 있어서 도어(172)가 닫힌 경우의 공기 흐름 동작도 및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의 공기 흐름 동작도 및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도 11에 있어서 도어(173)가 닫힌 경우의 공기 흐름 동작도 및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덮개(140)에는 배출공기가 기류의 방향을 바꾸지 않고 곧바로 직상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개구(14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배출공기가 기류의 방향을 바꾸지 않고 직상방으로 바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덮개에 반사되어서 배출되는 경우보다 배기 성능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배출개구(143)를 개폐하는 도어(171, 172, 173)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강수가 없는 통상적인 경우에는 도어(171, 172, 173)를 열어서 배기하여서 배출 성능을 향상시키면서도, 비나 눈이 오는 경우에는 도어(171, 172, 173)를 닫아서 제품 내부로 비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어는 다양한 형태의 도어를 채택할 수 있는데, 예컨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171a)를 타고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식 도어(171),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장치에 의해서 회동하는 회전형 도어(172),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승강하여서 배출개구(143)를 개폐하는 승강 도어(173)로 구현할 수 있으며, 어느 경우에나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며, 나아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출개구(143)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경우에나 본원발명의 도어에 해당하여서 본원발명의 기술적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에 있어서, 비 또는 눈을 포함하는 강수를 감지하는 강수감지센서(181); 상기 강수감지센서(181)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출개구(143)를 닫기(close) 위해서 상기 도어(171, 172, 173)를 닫힘 구동시키기 위한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강수감지센서(181)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171, 172, 173)를 열림 구동시키기 위한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박스(182); 상기 컨트롤박스(182)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를 기초로 상기 도어(171, 172, 173)를 슬라이딩, 회전, 승강 등으로 열림 구동이나 닫힘 구동시켜서 배출개구(143)를 여닫도록 도어 구동수단(190)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비나 눈이 오는 것을 센서에 의해서 감지하여 강수 유무에 따라서 도어(171, 172, 173)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강수감지센서(181)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이 받을 수 있는 수조(C)에 하단부가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한 쌍의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 구동수단(190)은 예컨대 실린더와 펌프로 이루어지는 공압장치나 유압장치로 구성되거나, 또는 기어박스와 모터로 이루어지는 모터구동장치로 구현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도 11 및 도 12의 경우에는 상기 도어 구동수단(190)은 컨트롤박스(182)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하는 모터(191)와, 모터(191)에 연결된 기어박스(192)와, 기어박스(192)에 연결되고 암나사가 형성된 중공부가 형성된 회전자(193)와, 상기 회전자(193)의 중공부에 나합되어서 관통 구비되어 있고 상단에는 도어(173)가 설치되어 있는 스크류봉(194)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가 와서 수조(C)에 빗물이 담기면 강수감지센서(181)에 단락전류가 흐르고, 컨트롤박스(182)는 상기 단락전류를 입력받아서 제1 제어신호를 모터(191)로 보내고, 모터(191)는 제1 제어신호에 따라서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모터(191)의 회전에 따라서 스크류봉(194)이 하강하여서 도어(173)가 닫힌다.
반대로, 비나 눈이 내리지 않는 경우에는 강수감지센서(181)는 오픈되고, 컨트롤박스(182)로는 입력 전류가 없어서 컨트롤박스(182)는 제2 제어신호를 모터(191)로 보내고, 모터(191)는 제2 제어신호에 따라서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모터(191)의 역방향 회전에 따라서 스크류봉(194)이 상승하여서 도어(173)가 다시 열리게 된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7에 개시된 도어(171)에는 도어 구동수단(190)이 연결되어서 도어 구동수단(190)의 구동 제어에 의해서 도어(171)가 슬라이딩되어서 배출개구(143)을 개폐함은 물론이다.
또한, 도 8 내지 도 10에 개시된 도어(1721)에는 도어 구동수단(190)이 연결되어서 도어 구동수단(190)의 구동 제어에 의해서 도어(172)가 회전하여서 배출개구(143)을 개폐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10 : 고정다이 120 : 상부 기류안내부재
121, 131 : 설치부 122, 132 : 기류 유도부
123, 133 : 배기통과구 130 : 하부 기류안내부재
140 : 덮개 141 : 외주부
142 : 덮개바디 143 : 배출개구
151, 152, 153 : 스페이서 161 : 장볼트
162 : 너트 163 : 고정브라켓
171, 172, 173 :도어 171a: 가이드
181 : 강수감지센서 182 : 컨트롤박스
190 : 도어 구동수단 191 : 모터
192 : 기어박스 193 : 회전자
194 : 스크류봉 S : 배기통과구
A1 : 배출공기 A2 : 유도공기
C : 수조

Claims (5)

  1. 공장, 건물, 비닐 하우스, 화장실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굴뚝이나 환기구 등[이하, 배기통과구(S)로 총칭함]에 설치되어서 배기통과구(S)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에 있어서,
    배기통과구(S)에 설치되고, 배기통과구(S)와 연통되도록 축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고정다이(110)와,
    상기 고정다이(110)에 설치되는 복수의 기류안내부재(120, 130)와,
    상기 기류안내부재(120, 130)의 상부에 스페이서(151)에 의해서 이격 설치되는 덮개(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기류안내부재(120, 130)는 고정다이(110) 스페이서(151, 152, 153)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121, 131)와 상기 설치부(121, 131)에서 내향 상부로 만곡 형성되고 중앙에는 배기통과구(123, 133)가 형성되어 있는 기류 유도부(122, 132)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기류안내부재(130) 상호 간은 스페이스(152, 153)에 의해서 이격 설치되며,
    상기 덮개(140)는 스페이서(151)를 설치하기 위한 외주부(141)와, 상기 외주부(141)에서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덮개바디(142)로 구성되며,
    상기 기류안내부재(120, 130)는 상기 덮개(140)의 바로 아래에 구비되는 상부 기류안내부재(120)와, 상기 상부 기류안내부재(120)의 아래에 구비되는 하부 기류안내부재(130)로 구성되며,
    상하로 이웃하는 기류 유도부(122, 132) 사이로 유입되는 유도공기의 유속이 빨라지도록 상기 하부 기류안내부재(130)의 기류 유도부(132)는 상부로 올라갈수록 기울기가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부 기류안내부재(120)의 기류 유도부(122)의 기울기는 하부 기류안내부재(130)의 기류 유도부(132)의 기울기보다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기류안내부재(130)의 기류 유도부(132)의 상단은 바로 위에 설치된 기류안내부재(120, 130)의 설치부(121, 131)의 위치와 같거나 그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 기류안내부재(120)의 기류 유도부(122)의 상단은 덮개(140)의 외주부(141)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140)에는 배출공기가 기류의 방향을 바꾸지 않고 곧바로 직상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개구(14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출개구(143)를 개폐하는 도어(171, 172, 173)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비 또는 눈을 포함하는 강수를 감지하는 강수감지센서(181);
    상기 강수감지센서(181)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출개구(143)를 닫기(close) 위해서 상기 도어(171, 172, 173)를 닫힘 구동시키기 위한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강수감지센서(181)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171, 172, 173)를 열림 구동시키기 위한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박스(182);
    상기 컨트롤박스(182)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를 기초로 상기 도어(171, 172, 173)를 열림 구동이나 닫힘 구동시켜서 배출개구(143)를 여닫도록 도어 구동수단(190)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
KR1020130028367A 2013-03-18 2013-03-18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 KR101447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367A KR101447658B1 (ko) 2013-03-18 2013-03-18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367A KR101447658B1 (ko) 2013-03-18 2013-03-18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525A true KR20140114525A (ko) 2014-09-29
KR101447658B1 KR101447658B1 (ko) 2014-10-08

Family

ID=51758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367A KR101447658B1 (ko) 2013-03-18 2013-03-18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65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180B1 (ko) * 2019-07-25 2020-01-15 하리산업주식회사 역풍방지용 후드캡
CN111819400A (zh) * 2018-04-27 2020-10-23 朴泰业 无动力换气件
KR20220073528A (ko) * 2020-11-26 2022-06-0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자연환기를 위한 비닐하우스 상부 환기 장치
KR20230138702A (ko) * 2022-03-24 2023-10-05 박태업 건물 덕트용 환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903B1 (ko) 2015-12-04 2017-10-16 임낙모 축사용 배기장치
KR102159714B1 (ko) 2019-05-09 2020-09-24 이행건 흡배출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츄레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1573B1 (ko) * 1999-12-28 2002-02-07 박태업 고정식 환기구
KR100436840B1 (ko) * 2001-02-01 2004-06-23 박태업 고정식 환기구
KR100976704B1 (ko) * 2008-05-20 2010-08-18 임종갑 고정식 환기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19400A (zh) * 2018-04-27 2020-10-23 朴泰业 无动力换气件
CN111819400B (zh) * 2018-04-27 2021-08-06 朴泰业 无动力换气件
KR102067180B1 (ko) * 2019-07-25 2020-01-15 하리산업주식회사 역풍방지용 후드캡
KR20220073528A (ko) * 2020-11-26 2022-06-0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자연환기를 위한 비닐하우스 상부 환기 장치
KR20230138702A (ko) * 2022-03-24 2023-10-05 박태업 건물 덕트용 환기장치
KR20230156287A (ko) * 2022-03-24 2023-11-14 박태업 건물 덕트용 환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7658B1 (ko)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7658B1 (ko)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
CN111819400B (zh) 无动力换气件
CN101684965B (zh) 换气扇用管道盖和管道组合
CN216479098U (zh) 一种外导流式防火止回阀
US20140011440A1 (en) Vent cover
CN113864492A (zh) 一种外导流式防火止回阀
CN212617028U (zh) 无雨帽式放空防雨组件
US2641987A (en) Ventilator
KR101195061B1 (ko) 캠 구동 개폐식 전동댐퍼
KR100893073B1 (ko) 발코니 결로 방지 기능이 통합된 욕실 환기 시스템
FI120948B (fi) Alapohjan tuuletusputki
CN211671917U (zh) 一种自封闭、防倒风式禽舍屋顶通风器
CN2378669Y (zh) 变压防倒灌排气道
KR101883422B1 (ko) 공기 배출장치
JP2006194455A (ja) 換気装置
WO2017137620A1 (en) A fluid actuated vent
KR200203368Y1 (ko) 욕실환풍기의 역풍방지댐퍼
KR20030091432A (ko) 벤틸레이터
CN103244449B (zh) 换气扇
KR200375702Y1 (ko) 온실용 지붕 환풍기
KR101623921B1 (ko) 지붕 벤틸레이터
CN110274369A (zh) 阀门支架、空调外机排水装置和空调外机以及空调器
CN217300969U (zh) 一种屋顶风机
CN220417531U (zh) 一种拔气风帽
CN201314397Y (zh) 无阻流防串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