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3763A -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3763A
KR20140113763A KR1020130026310A KR20130026310A KR20140113763A KR 20140113763 A KR20140113763 A KR 20140113763A KR 1020130026310 A KR1020130026310 A KR 1020130026310A KR 20130026310 A KR20130026310 A KR 20130026310A KR 20140113763 A KR20140113763 A KR 20140113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service
monitoring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3384B1 (ko
Inventor
이형교
Original Assignee
나이스알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스알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이스알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6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384B1/ko
Publication of KR20140113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6Transaction verification involving fraud or risk level assessment in transaction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50/00Postage metering systems
    • G06Q2250/90Specialized function perform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모니터 요원의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모니터링 서버는 단말기가 접속하면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인증을 수행한 후, 단말기에 해당하는 모니터요원이 참여 가능한 프로젝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참여 가능한 프로젝트의 서비스 지점들 중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주소 정보를 기초로 인접한 지점 정보를 선별하여 단말기로 전송하고, 서비스 모니터링 동안 모니터링 대상 지점의 위치 정보와 단말기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한 단말기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지 파악하며, 서비스 모니터링 종료 후 녹취된 내용을 수신하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Description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Service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융회사나 공공기관 등의 각 지점에서 일반 고객이나 민원인 등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평가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금융기관이나 공공기관 등의 서비스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모니터 요원들이 일반 고객 또는 민원인을 가장하여 방문 후 서비스를 받으면서 평가를 수행한다. 그러나 모니터 요원들에 의한 각 서비스 평가의 객관성을 뒷받침하기 어려울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방문 없이 평가 결과를 위조하거나, 평가할 전체 서비스의 체험없이 일부만을 체험한 후 전체를 체험한 것처럼 날조하여 평가 결과를 내더라도 이를 확인할 방법이 없다.
특허공개공보 제2012-0085496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모니터 요원이 실제 서비스 지점을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으면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지 파악하고, 모니터링 수행 내용을 서버에 저장함으로써 모니터 요원의 평가 결과를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의 일 예는, 단말기의 현 위치정보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주소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정보 또는 상기 주소정보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지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지점 정보에서 서비스 모니터링을 수행할 지점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받은 서비스 지점의 위치와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가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받기 위하여, 서비스 모니터링 동안에 상기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파악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모니터링 동안 상기 단말기의 녹음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모니터링 동안 녹음된 내용을 모니터링 대상 서비스 지점의 정보와 함께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서버에서의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의 일 예는, 단말기로부터 주소 정보 또는 단말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소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기초로 주변에 위치한 서비스 지점을 검색하여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지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를 통해 선택된 지점의 위치 정보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한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두 위치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일정 범위 내인지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서비스 모니터링 녹음 내용을 수신하여, 상기 모니터링 대상 지점의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서버에서의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의 다른 일 예는, 서비스 모니터링을 수행할 프로젝트의 이름을 포함하는 기본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트에 해당하는 서비스 지점을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트에 참여할 모니터 요원의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단말기가 접속하면 상기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인증을 수행한 후, 상기 단말기에 해당하는 모니터요원이 참여 가능한 프로젝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참여 가능한 프로젝트의 서비스 지점들 중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주소 정보를 기초로 인접한 지점 정보를 선별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서 선택된 지점의 위치 정보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한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지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에서의 서비스 모니터링 동안 녹취된 내용을 수신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니터 요원이 서비스 모니터링 대상 지점에 실제 방문하여 모니터링하고 있는지를 실시간 파악할 수 있어 모니터링 평가의 위변조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 요원의 모니터링 과정을 녹음하여 서버에 저장함으로써 모니터 요원의 평가내용을 사후적으로 검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모니터링을 위한 전체 시스템 개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요원의 단말기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서버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서버에서의 프로젝트 생성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름 모니터링 서버에서의 프로젝트와 모니터 요원의 맵핑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모니터링를 위한 단말기 화면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모니터링을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각 모니터 요원들은 단말기(100,102,104)를 소지하고 있으며 그 단말기(100,102,104)를 통해 중앙의 모니터링 서버(120)와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모니터 요원들이 소지한 단말기(100,102,104)는 녹음 기능을 외장 또는 내장한 개인 휴대 단말기로서 유무선 네트워크(110)를 통해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단말을 포함하며, 그 일 예로 스마트폰이 있다.
모니터링 서버(120)는 각 모니터 요원들의 단말기(100,102,104)에 모니터링을 수행할 해당 지점의 정보를 제공해주며, 모니터 요원이 선택한 모니터링 대상 지점에 직접 방문하여 모니터링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실시간 검증할 뿐만 아니라 모니터링 결과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요원이 소지한 단말기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니터 요원의 단말기(100)는 인증부(210), 프로젝트 선택부(220), 지점 선택부(230), 위치 파악부(240) 및 녹음부(250)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부(터치스크린 등), 마이크, 스피커, 통신모듈 등의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기의 이러한 일반적 구성 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만을 제시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각 구성은 별도의 하드웨어 모듈로 구현되어 단말기에 내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말기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의 형태(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앱) 등)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도 7(a)와 같이 스마트폰의 앱을 동작시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인증부(210)는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모니터 요원 및 해당 단말기가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 모니터링 서버에 접속하여 인증한다. 예를 들어, 인증부(210)는 도 7(b)와 같이 아이디/패스워드 기반의 인증(또는 공인인증서를 통한 인증 등)과 단말기 식별정보(예를 들어, 단말기 전화번호, 단말기 MAC 주소 정보 등)를 모니터링 서버에 전송하여 인증받는다.
프로젝트 선택부(220)는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모니터링을 수행할 다양한 프로젝트(예를 들어, 특정 금융상품 모니터링 또는 특정 콜 센터 모니터링 등)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하고(도 7(c)), 지점 선택부(230)는 사용자가 선택된 프로젝트에 해당하는 지점들의 정보를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화면상에 표시한다(도 7(f)). 도 7(c) 및 도 7(d)를 참조하면, 프로젝트 선택부(220)는 계층적 검색을 통해 상위 프로젝트로부터 세부 프로젝트로 검색하면서 모니터 요원이 원하는 특정 프로젝트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위치 파악부(240)는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파악한다. 위치 파악부(240)는 GPS(Global Position System)를 이용한 위치 파악뿐만 아니라 무선 기지국 등을 이용한 위치 파악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지점 선택부(230)는 위치 파악부(240)에 의해 파악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 주변의 지점 정보만을 수신하여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위치 파악부(240)는 서비스 모니터링이 해당 지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비스 모니터링 동안 위치 정보를 일정 주기로 모니터링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녹음부(250)는 모니터 요원에 의한 모니터링 동안 단말기의 녹음기능을 활성화시켜 서비스 내용을 녹음한다. 그리고 모니터링이 종료되면 녹음된 내용을 모니터링 서버에 자동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모니터링 동안, 모니터링 대상 지점의 직원이 모니터링이 되고 있음을 눈치채지 못하도록 단말기(100)의 화면상에는 아무런 표시가 나타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에 별도의 메뉴 아이콘을 부여한 후 모니터 요원이 그 메뉴를 선택하면 단말기(100)의 화면을 숨기며, 다시 화면을 터치하거나 단말기(100)의 기타 버튼을 누르면 화면을 다시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한 인증요청을 모니터링 서버(120)에 전송한다(S300). 단말기(100)가 모니터링 서버(120)에 최초 접속하는 경우, 모니터링 서버(120)는 단말기 식별정보와 함께 사용자 인증 정보(아이디/패스워드 인증)를 함께 수신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하고, 이후 단말기의 접속시에는 사용자 인증 정보 없이 단말기 식별정보만을 수신하여 인증한다(S305).
모니터링 서버(120)는 단말기 식별정보를 기초로 해당 단말기가 정당하게 등록된 단말기인지 인증한 후 그 결과를 단말기(100)에 전송한다(S305,S310). 인증이 성공한 경우, 모니터링 서버(120)는 모니터링을 수행할 프로젝트 리스트를 단말기(100)에 전송한다(S315). 모니터링 서버(120)는 모니터 요원이 단말기(100)를 통해 입력한 검색어를 수신한 후 그 결과에 해당하는 프로젝트 리스트만을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도 7(c)와 같이 단말기의 검색 창에 검색어를 입력하여 모니터 요원은 해당하는 프로젝트를 검색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단말기 화면상에 표시된 프로젝트 리스트에서 특정 프로젝트를 모니터 요원으로부터 선택받는다(S320). 그리고 단말기(100)는 단말의 위치 정보 또는 모니터 요원으로부터 주소 정보를 입력받아 모니터링 서버(120)로 전송한다(S325). 모니터링 서버(120)는 사용자가 선택한 프로젝트에 해당하는 지점들 중 단말의 위치 정보 또는 주소 정보를 기초로 인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지점들에 대한 리스트를 단말기로 전송한다(S330). 실시 예에 따라, 모니터링 서버(120)는 단말기(100)로부터 위치 정보나 주소 정보를 수신함이 없이 사용자가 선택한 프로젝트에 해당하는 모든 지점들의 리스트를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단말기(100)는 모니터링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지점 리스트를 화면상에 표시하여(도 7(f)참조) 사용자가 특정 지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S335). 단말기(100)는 특정 지점의 선택 또는 별도의 모니터링 시작 버튼의 입력(도 7(g) 참조)이 있으면 모니터링을 시작하고(S340), 단말기의 녹음기능을 활성화시킨다(S345).
또한, 단말기(100)는 모니터링이 시작된 후 단말기(100)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파악(예를 들어, 1분 단위 등)하여 그 위치 정보를 모니터링 서버(120)로 전송한다(S350). 모니터링 서버(120)는 프로젝트에 해당하는 지점들의 위치 정보를 미리 알고 있다. 따라서 모니터링 서버(120)는 모니터 요원이 선택한 지점의 위치 정보와 단말기(10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두 위치가 기 설정된 일정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파악한다(S355). 만약 모니터링 동안, 지점의 위치로부터 단말기(100)의 위치가 일정 거리 벗어나면 이는 정상적인 모니터링이 아닌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모니터링의 종료(도 7(h)), 즉 모니터 종료 버튼의 입력이 있으면(S360), 단말기(100)는 녹음 기능을 종료하면, 해당 모니터링 일시, 모니터링 지점, 모니터 요원 또는 단말기 정보 등과 함께 녹음 내용을 모니터링 서버(120)로 바로 전송한다(S365). 다만 네트워크의 통신 상태에 따라 단말기가 모니터링 종료 후 바로 모니터링 서버에 녹음 내용의 전송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으므로, 단말기는 녹음 내용이 모니터링 서버에 정상적으로 전송되었는지 파악하며 정상 전송이 아닌 경우 일정 시간 경과 후 다시 자동으로 재전송되도록 하거나 모니터 요원으로 하여금 재전송할 수 있도록 정상전송되지 않은 녹음 리스트(도 7(i) 참조)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서버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니터링 서버(120)는 프로젝트 관리부(410), 모니터 요원 관리부(420), 인증부(430), 프로젝트정보 제공부(435), 모니터링 검증부(440) 및 모니터 결과 저장부(450) 등을 포함한다.
프로젝트 관리부(410)는 관리자로부터 모니터링을 수행할 금융사 또는 공공기관의 이름, 해당 금융사 또는 공공기관의 특정 서비스 이름(예를 들어, 펀드 모니터링 등), 차수 등을 입력받고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프로젝트 관리부(410)는 또한 생성한 프로젝트에서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지점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선택받아 등록한다. 모니터요원 관리부(420)는 프로젝트 관리부에서 생성한 프로젝트를 수행할 모니터 요원을 관리자로부터 등록받는다. 이때 모니터 요원은 해당 프로젝트의 특정 지점별로 담당자가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모니터링 서비스를 수행할 두 개의 프로젝트가 존재하면, 경우에 따라 특정 지점(예를 들어, 지점#2)은 두 개의 프로젝트에 속하는 지점이 될 수 있다. 또한 모니터 요원이 전제 프로젝트에 대해 모두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프로젝트의 특정 지점에 대해서만 참여할 수 있도록 프로젝트가 생성될 수 있다. 도 6은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로 다양한 형태의 프로젝트 설계가 가능하다.
인증부(430)는 모니터 요원이 모니터링을 수행하고자 모니터링 서버에 접속하는 경우 접속 단말기의 인증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인증부(430)는 단말기(100)가 최초 접속인 경우에 단말기 식별정보와 함께 모니터 요원의 아이디/패스워드 인증 과정 등을 포함하여 단말기(100)를 등록하고, 최초 이후의 접속시에는 단말기 식별정보만을 수신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프로젝트정보 제공부(435)는 정상 접속한 모니터 요원의 단말기에게 프로젝트 리스트, 지점 리스트 등을 제공하여 선택받는다.
모니터링 검증부(440)는 모니터 요원에 의한 모니터링이 대상 지점에서 정상적으로 수행되고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모니터 요원의 단말기(100)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단말기 위치와 모니터링 대상 지점의 위치를 비교한다.
모니터 결과 저장부(450)는 모니터링 종료 후 모니터 요원의 단말기(100)로부터 해당 모니터링 동안의 녹음 내용을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서버에서의 프로젝트 생성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모니터링 서버(120)는 관리자가 입력한 프로젝트 이름, 차수, 서비스 내용 등의 정보를 기초로 프로젝트를 생성하고(S500), 프로젝트에 해당하는 지점들의 정보를 입력받아 프로젝트와 맵핑한다(S510). 또한 모니터링 서버(120)는 프로젝트에 참여할 모니터 요원들의 정보를 입력받아 프로젝트와 맵핑한 후(S520) 이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530). 따라서 모니터 요원이 자신이 수행할 수 있는 프로젝트 및 해당 지점의 정보를 모니터링 서버를 통해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모니터링을 위한 단말기 화면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방법이 앱으로 구현되어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단말에 구현된 경우를 가정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단말기의 화면상에 본 발명에 따른 앱이 표시되어 있으며, 모니터 요원은 그 앱을 선택하여 실행함으로써 모니터링 서비스를 시작한다. 도 7(b) 에서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한 후 모니터 요원은 모니터링을 수행할 특정 프로젝트를 선택한다. 또한 모니터 요원은 프로젝트의 해당 지점을 찾기 위하여 도 7(e)의 지점 찾기 메뉴를 선택한 후 도 7(f)의 화면을 통해 지점을 선택한다.
모니터링이 시작되면(도 7(g)) 앞서 설명한 녹음 기능이 활성화되고 주기적인 위치 정보가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되며, 모니터링이 종료되면(도 7(h)) 녹음된 내용이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된다.
도 7(e)에는 지점 찾기 메뉴 외에, 녹음 내용이 제대로 전송되었는지를 관리하기 위한 녹음파일관리 메뉴가 존재한다. 모니터 요원이 녹음파일관리 메뉴를 선택하면 도 7(i)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어 전송의 성공 여부가 표시되며, 전송이 성공하지 못한 녹음 내역의 경우 '재전송' 매뉴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재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단말기의 현 위치정보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주소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정보 또는 상기 주소정보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지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지점 정보에서 서비스 모니터링을 수행할 지점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받은 서비스 지점의 위치와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가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받기 위하여, 서비스 모니터링 동안에 상기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파악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모니터링 동안 상기 단말기의 녹음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모니터링 동안 녹음된 내용을 모니터링 대상 서비스 지점의 정보와 함께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모니터링의 시작 전에 상기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인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지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서비스 모니터링을 수행할 프로젝트 리스트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젝트 리스트에서 선택한 프로젝트에 해당하는 서비스 지점들 중 상기 위치정보 또는 상기 주소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 지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모니터링의 수행 결과로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녹음 내용의 전송 성공 여부를 나타내는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전송 실패의 녹음 내용에 대한 재전송 아이콘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
  5. 단말기로부터 주소 정보 또는 단말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소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기초로 주변에 위치한 서비스 지점을 검색하여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지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를 통해 선택된 지점의 위치 정보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한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두 위치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일정 범위 내인지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서비스 모니터링 녹음 내용을 수신하여, 상기 모니터링 대상 지점의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에서의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단말기 식별정보를 기초로 인증하는 단계;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전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에서의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로부터 프로젝트를 선택받은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프로젝트에 해당하는 서비스 지점들 중 상기 주소 정보 또는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 지점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에서의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
  8. 서비스 모니터링을 수행할 프로젝트의 이름을 포함하는 기본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트에 해당하는 서비스 지점을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트에 참여할 모니터 요원의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단말기가 접속하면 상기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인증을 수행한 후, 상기 단말기에 해당하는 모니터요원이 참여 가능한 프로젝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참여 가능한 프로젝트의 서비스 지점들 중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주소 정보를 기초로 인접한 지점 정보를 선별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서 선택된 지점의 위치 정보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한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지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에서의 서비스 모니터링 동안 녹취된 내용을 수신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에서의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
KR1020130026310A 2013-03-12 2013-03-12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 KR101453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310A KR101453384B1 (ko) 2013-03-12 2013-03-12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310A KR101453384B1 (ko) 2013-03-12 2013-03-12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763A true KR20140113763A (ko) 2014-09-25
KR101453384B1 KR101453384B1 (ko) 2014-10-23

Family

ID=51757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310A KR101453384B1 (ko) 2013-03-12 2013-03-12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384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137A (ko) * 2000-11-13 2002-05-18 김철수 인터넷을 통한 자녀의 수업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13058A (ko) * 2011-07-27 2013-02-06 이지현 자발적 소비자 모니터링 요원을 이용한 지역별 주유 정보 모니터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3384B1 (ko)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4564B2 (ja) モバイルデバイスの位置をモニターして報告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200342087A1 (en) Data packet generator for generating passcodes
US9952744B2 (en) Crowdsourced determination of movable device location
US20090328052A1 (en) Resource locator ve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140058770A1 (en) Method and device for issuing reservation number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KR20160087675A (ko) 휴대단말기와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기반의 위치확인을 이용한 근태관리 시스템
US20130073427A1 (en) Store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and server device
JP6394259B2 (ja) 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および認証装置
CN108256303A (zh) 电子装置、身份验证方法及存储介质
US11257043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porting and monitoring location-related activities of mobile devices
CN105074690A (zh) 用于监测生物测定数据的系统和方法
JP2007148471A (ja) サービス通知システム
WO2019061663A1 (zh) Wi-Fi热点部署优化方法、服务器及存储介质
WO2017084456A1 (zh) Wifi热点的处理方法、装置及系统
JP2016149066A (ja) 行動管理装置、情報端末、行動管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TW201710811A (zh) 設備維護管理系統、設備維護裝置及電腦程式產品
CN108291954A (zh) 电波状况地图的创建系统及其控制方法
JP6399549B2 (ja) 電子チケットの誤使用を防止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CN102457777B (zh) 一种电视网络问题分级处理方法、处理系统及电视
KR101886827B1 (ko) 출석 관리 시스템 및 출석 관리 방법
US20190295065A1 (en) Affiliated store labeling method, affiliated store labeling device, and affiliated store labeling system for wireless lan fingerprint
JP5891757B2 (ja) Rfidタグ付き情報表示媒体システム
KR101453384B1 (ko)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
JP2016035679A (ja) Poiデータ生成装置、端末装置、poiデータ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436068B2 (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nomaly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