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3160A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3160A
KR20140113160A KR1020130028207A KR20130028207A KR20140113160A KR 20140113160 A KR20140113160 A KR 20140113160A KR 1020130028207 A KR1020130028207 A KR 1020130028207A KR 20130028207 A KR20130028207 A KR 20130028207A KR 20140113160 A KR20140113160 A KR 20140113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mage object
quality
downloaded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7930B1 (ko
Inventor
나성채
나창주
김정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8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930B1/ko
Priority to US14/073,630 priority patent/US9116565B2/en
Priority to EP13198682.0A priority patent/EP2779660A1/en
Priority to CN201410096532.XA priority patent/CN104052793B/zh
Publication of KR20140113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45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the reformatt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only on part of the stream, e.g. a region of the image or a time seg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buffer management, e.g. video decoder buffer or video display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터치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제1 이미지 객체 및 제2 이미지 객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다음에 다운로드 가능한 컨텐츠와 관련된 상기 제2 이미지 객체가 상기 제1 이미지 객체에 인접하게 이동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다운로드 완료되는 즉시 상기 제2 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의 기능이 증대됨에 따라, 단말기는 외부의 다른 전자기기 및컨텐츠 제공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단말기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는 기능(예,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 다운로드)이 지원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다운로드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품질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와 연관된 다른 컨텐츠가 미리 선택될 수 있도록 하여 다음 컨텐츠를 즉시 이어서 다운로드 또는 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터치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제1 이미지 객체 및 제2 이미지 객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 이미지 객체에 인가되는 제1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품질을 변경하기 위한 제1 제어명령을 수행하고, 다음에 다운로드 가능한 컨텐츠와 관련된 상기 제2 이미지 객체가 상기 제1 이미지 객체에 인접하게 이동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다운로드 완료되는 즉시 상기 제2 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제2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이미지 객체는 복수의 구간으로 이루어지며, 각 구간에는 상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가 출력되고, 상기 제2 이미지 객체는 상기 제1 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연관된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이미지 객체 및 상기 제2 이미지 객체가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네트워크 상태 변경 이벤트,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 이벤트, 및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 완료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이미지객체에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 및 상기 컨텐츠의 품질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자가 더 표시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자에서 상기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제1 속성이 변경되면, 기 설정된 기준에 근거하여 상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품질을 변경하고 상기 표시자에서 상기 컨텐츠의 품질 정보를 나타내는 제2속성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자는 상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다운로드 진행 정보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 대한 네트워크 상태를 수신하고, 수신된 네트워크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품질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컨테츠의 품질은 컨텐츠의 화질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통신모드에서 제2 통신모드로 변경되면 상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화질을 하이(high) 상태에서 로우(low) 상태로 변경하고, 제2통신모드에서 제1통신모드로 변경되면 상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화질을 로우(low) 상태에서 하이(high)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컨테츠의 품질은 컨텐츠의 프레임 수에 의해 결정되고,상기 제어부는, 제1 통신모드에서는 상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프레임 수를 기설정된 최대값으로 하고, 제2 통신모드에서는 상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프레임 수를 기설정된 임계값으로 하여 상기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통신모드는 무료망이고, 상기 제2 통신모드는 유료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통신모드는 네트워크 연결 상태가 좋은 경우이고, 제2 통신모드는 네트워크 연결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다운로드 완료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상기 제2 이미지 객체의 형상을 변경하거나 하이라이팅 효과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터치 제스처는 상기 제2이미지 객체에 대한 터치가 상기 제1이미지 객체가 표시된 영역으로 이동하는 터치 앤 드래그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터치 제스처에 의하여 상기 제2 이미지객체가 상기 제1 이미지객체의 일 단에 접합되게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미지객체에 현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컨텐츠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 컨트롤러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터치에 의하여 상기 제1 컨트롤러가 상기 제1 이미지객체의 일 영역으로 이동되면, 상기 일 영역에 대응하는 컨텐츠 구간의 컨텐츠 품질을 현재 네트워크 상태에 대응하는 컨텐츠 품질로 출력 또는 다운로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미지 객체와 상기 제2 이미지 객체가 접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미지객체와 상기 제2 이미지객체의 경계영역에 제2 컨트롤러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터치에 의하여 상기 제2 컨트롤러가 상기 제1 이미지객체의 일 영역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2 이미지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들을 상기 제1이미지객체의 구간들 위에 오버랩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1이미지 객체를 밀어내고 상기 제2 이미지 객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컨트롤러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이미지객체의 컨텐츠 구간부터 다운로드를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미지 객체에 인가되는 제3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다음에 다운로드 가능한 추천 컨텐츠들과 관련된 제3이미지 객체들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미지객체 및 상기 제3 이미지객체 중 어느 하나에 인가되는 제4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다음 다운로드 가능한 컨텐츠의 품질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미지객체의 일 구간에 대한 터치가 제1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일 구간에 대응하는 컨텐츠 구간부터 다운로드를 중지하고 상기 제1이미지객체를 제1부분 및 제2부분으로 분리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제1이미지객체가 제1부분 및 제2부분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2부분에 대한 터치가 제2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중지된 다운로드를 계속하고 상기 제1부분 및 제2부분을 접합하여 상기 제1이미지객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와 통신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제1이미지객체를 출력하는 단계와; 다음 다운로드 가능한 컨텐츠와 관련된 제2이미지 객체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이미지객체에 대한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품질을 변경하는 제1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이미지 객체에 대한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제1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즉시 상기 제2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는 제2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은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품질을 출력된 다운로드 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고 컨텐츠 품질의 유연한 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은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와 연관된 다른 컨텐츠를 미리 선택하여 프리 버퍼링해 둠으로써 다음 컨텐츠를 이어서 다운로드하거나 또는 출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대기시간이 절약된다.
나아가,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에 대한 미리보기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하여 다음에 다운로드할 컨텐츠들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운로드를 시작하거나 중지할 구간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컨텐츠 제공 서버간의 통신망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컨텐츠 제공 서버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이미지객체를 이용하여 현재 네트워크 상태에 따른 컨텐츠 품질로 컨텐츠의 특정 구간을 다운로드 또는 출력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2이미지객체를 이용하여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와 연관된 컨텐츠를 다운로드 또는 출력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네트워크 상태 변경시 사용자 제스처에 의하여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품질을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컨텐츠 다운로드 완료시 사용자 제스처에 의하여 다음 다운로드 할 컨텐츠를 이어서 다운로드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다음 다운로드 가능한 추천 컨텐츠들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이미지객체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중지 또는 재개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이미지객체 및/또는 제2이미지객체를 이용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컨텐츠의 구간을 선택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해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터(navigator), 태블릿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다른 서버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감지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요소들(110~190)에 대해 차례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그리고,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기,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문자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것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카메라(121)에 의해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 모드, 녹음 모드, 음성선택 모드 등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통화 모드에서 마이크(122)에 의해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가 입력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 및 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140)는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위치, 방위, 가속, 감속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감지부(140)는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
감지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와 디스플레이부(151)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스크린’으로 호칭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것에 대응하는 신호들은 터치 제어기(미도시됨)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터치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처리된 신호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감지 대상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감지 대상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근접 센서(141)로 분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는 감지 대상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감지 대상이 터치 스크린상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터치 스크린 상에 감지 대상이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의 유무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이러한 근접 터치 유무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에 출력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킨다.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3), 알람부(154) 및 햅틱 모듈(15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촬영된 영상, 수신된 영상, UI 또는 GUI 등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또는 디스플레이 소자)는 그것을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할 수 있는데, 이러한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본체에서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본체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위치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위치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호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선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3)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4)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성 출력 모듈(153)은 알람부(154)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5)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5)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5)이 발생시키는 진동의 세기,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터치 스크린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에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라고 칭함)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상에서의 필기 입력 및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선택하는 패턴 선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들(processors), 제어기들(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들(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인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촉각을 이용하여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각 정보는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3차원 입체영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시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및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고 호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과 입력창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출력창과 입력창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에는 전화 번호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가 출력될 수 있다. 소프트키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숫자가 출력창에 표시된다. 조작 유닛이 조작되면 출력창에 표시된 전화 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되거나 출력창에 표시된 텍스트가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는 터치 스크롤(scroll)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 및 터치 패드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본체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실행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일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2a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및 일 측면이 도시되고, 도 2b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및 타 측면이 도시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본체를 구비한다. 다만, 이동 단말기(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본체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위치할 수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본체,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 도 1 참조),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된 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 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위치하고, 타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 1 사용자 입력부(131) 및 마이크(122)가 위치한다. 제 2 사용자 입력부(132) 및 인터페이스(170)는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기 위해 조작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또는 제 2 조작 유닛들(131, 132)은 다양한 명령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 2 조작 유닛(132)은 음향 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선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의 후면, 즉, 리어 케이스(102)에는 후면 카메라(121´)가 추가 장착될 수 있다. 후면 카메라(121´)는 전면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갖고, 전면 카메라(121)와 다른 화소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121)는 저 화소를 갖도록 구성되고, 후면 카메라(121´)는 고 화소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 통화 시에 전면 카메라(121)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상대방에 전송하는 경우 전송 데이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반면, 후면 카메라(121´)는 고 화질의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들(121, 121´)은 회전 또는 팝업(pop-up) 되도록 단말기 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 및 거울(124) 후면 카메라(121´)에 인접하는 곳에 추가 위치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사용자가 후면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낸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후면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는 경우, 사용자의 얼굴을 비춘다.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후면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 위치할 수 있다. 후면 음향 출력부(152´)는 전면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통화 시에 스피커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는 통화를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 위치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구성하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본체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본체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 도 2a 참조)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드(135)에도 시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후면 디스플레이부가 추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전면 디스플레이부(151) 및 후면 디스플레이부 양면에서 출력되는 정보는 터치 패드(13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컨텐츠 제공 서버간의 통신망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동 단말기와 컨텐츠 제공 서버간의 통신망은 예를 들어 전자기기 및 IP(Internet Protocol)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PC, 휴대폰, 태블릿, 랩탑, 텔레비전 등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기는 Nod B 기지국을 통해 RNC 제어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RNC(Radio Network Controller) 제어국은 무선망 제어국이라고도 불린다. RNC 제어국은 비동기 방식 국제 이동 통신시스템의 무선 자원 관리를 위한 기능과 무선 가입자망에서의 기지국에 대한 관리 및 무선망 제어부와 다른 망 요소 간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RNC 제어국으로 전송된 데이터는 네트워크를 통해 IP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패킷 네트워크 및 서킷 네트워크로 분류될 수 있다.
즉, 전자기기로부터 IP 서버로 무선 통신이 연결될 때, 데이터가 패킷 단위로 쪼개지며, 패킷마다 다른 경로를 통해 IP 서버로 전송되는 경우, 데이터는 패킷 네트워크를 통해 IP 서버로 전송된다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의 전송 시, 데이터 패스(data path)가 다른 패킷들과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반면, 전자기기로부터 IP 서버로 무선 통신이 연결될 때, 데이터가 무선 통신의 개시부터 해제 시까지 같은 경로를 통해 IP 서버로 전송되는 경우, 데이터는 서킷 네트워크를 통해 IP 서버로 전송된다. 이 경우, 데이터의 전송 시, 정해진 데이터 패스가 전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패킷 네트워크는 SGSN 및 GGSN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은 패킷 교환 지원 노드라고도 불린다. SGSN은 서비스 지역 내에서 이동국과의 데이터 패킷 전달을 담당하는 노드를 의미한다. SGSN은 패킷의 라우팅 및 전송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SGSN의 위치 레지스터는 SGSN에 등록된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사용자의 위치 정보, 사용자 프로파일(예를 들어, 국제 이동국 식별 번호(IMSI))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은 패킷 관문 지원 노드라고도 불린다. GGSN은 GPRS 기간망과 외부 패킷 데이터 망 간의 접속 기능을 담당하는 노드를 의미한다. GGSN은 SGSN으로부터 수신되는 GPRS 패킷을 적당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DP) 형식으로 변환하여 IP 서버로 전송하고, 착신 패킷 데이터의 PDP 주소를 수신자의 전 지구적 이동 통신 시스템(GSM) 주소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GGSN은 SGSN의 위치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SGSN의 주소와 사용자 프로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서킷 네트워크는 MSC(Mobile Switching Center)를 포함한다. MSC는 모바일 스위칭 센터라고도 불리며, 전체 시스템을 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MSC는 RNC 제어국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IP 서버로 전송될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MSC는 전자기기의 이동성과 주파수 자원의 효율적 운용에 필요한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MSC는 Nod B 기지국으로부터 발신 또는 착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Nod B 기지국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조정하는 중앙 통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는 전자기기로부터 Nod B 기지국을 통해 RNC 제어국으로 전송되며, RNC 제어국으로 전송된 데이터는 패킷 네트워크 및 서킷 네트워크를 통해 IP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컨텐츠 제공 서버의 개념도의 개념도이다.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컨텐츠 제공 서버(200)와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100a, 100b, 100c, 100d)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기기는 앞서 도 3a와 살펴본 것과 같이, 이동 단말기, 랩탑, 텔레비전 등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기 중 적어도 하나 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물리적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하는 전자기기(100a, 100b, 100c, 100d)들에 저장된 다양한 정보를 가상화 기술로 통합하여 제공할 수 있는 대용량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대용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인터넷 가상 데이터센터에서 분산처리고, 다시 가공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100a, 100b, 100c, 100d)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를 인터넷과 연결된 데이터 중앙 컴퓨터(또는 중앙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기기를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200)에 접속하면, 언제든지 중앙 컴퓨터에 저장된 스프트웨어 또는 데이터를 다시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컨텐츠 제공 서버(200)와 접속하는 전자기기(100a, 100b, 100c, 100d)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구비하고 있으며, 구비된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200)와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100a, 100b, 100c, 100d)와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Wireless Network을 통해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기기(100a, 100b, 100c, 100d)와 컨텐츠 제공 서버(200)가 Wireless Network를 통해 접속하기 위해서는 Wireless Network은 Wi-Fi(Wireless-Fidelity), 3G(Generation) 통신방식, 4G(Generation) 통신방식,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 BT(BlueTooth) 통신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컨텐츠 제공 서버(200)와 전자기기가 '접속'한다는 것은 전자기기(100a, 100b, 100c, 100d) 및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호 "페어링(Pairing), 동기화(synchronization) 또는 커넥션(connection)한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이는 전자기기(100a, 100b, 100c, 100d) 및 컨텐츠 제공 서버(300) 간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상태, 다시 말해, 유효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연결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컨텐츠 제공 서버(200)와 전자기기(100a, 100b, 100c, 100d) 간의 접속은 컨텐츠 제공 서버(200) 및 전자기기(100a, 100b, 100c, 100d) 중 적어도 일 측에서의 요청에 근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동시에 복수개의 전자기기(100a, 100b, 100c, 100d)와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요청에 근거하여, 어느 한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다른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도 3b,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다운로드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한편, 이하의 실시 예에서 전자기기는 이동 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이동 단말기는 앞서 도 1, 도 2a 및 도 2b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1, 도 3b,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제1 이미지 객체를 출력한다(S410).
이때, 단계(S410)의 선행 단계로서, 무선 통신부(110)는 예를 들어,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400)와 접속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선택된 특정 컨텐츠의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서비스 요청 메시지, 예를 HTTP 요청 메시지를 웹서버에 전송하고, 웹서버는 HTTP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의 위치 및 컨텐츠 명칭의 정보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 예 HTTP 응답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100)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속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선택된 특정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기 위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200)에 해당 컨텐츠의 다운로드 요청을 전송한다.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영상(동영상, 이미지), 음악, 기타 소프트 웨어, 또는 전자문서 등일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상기 다운로드 요청 한 컨텐츠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선택된 컨텐츠, 예를 들어 동영상 파일을 일정 간격으로 프레임 추출하고, 추출된 프레임들을 순서대로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컨텐츠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썸네일 이미지(thumbnail image)는 컨텐츠의 특정 내용이나 영상을 원래 크기보다 작게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MPEG으로 부호화된 비디오의 프레임을 복호화한 다음, 복원된 프레임을 직접 축소하는 방법과, 인트라 프레임(Intra Frame)의 DC값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상기 프레임은 헤더(header)와 데이터로 구성되며, 이와 같은 프레임의 종류에는 예를 들어, I(Intra) 프레임, P(Predictive) 프레임, B(Bi-directionary predictive) 프레임의 3가지로 구분된다. 프레임의 기본 골격은 헤더와 데이터로 이루어지는데, 상기한 3가지 프레임은 헤더의 정의만이 서로 다르다. 여기서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에 의해 추출된 프레임이 특정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단계(S410)에서,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에 출력되는 제1 이미지 객체는 복수의 구간으로 이루어지며, 각 구간에는 상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가 출력된다. 여기에서,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컨텐츠 제공 서버(200)에 의해 제공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이미지 객체(41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에, 예를 들어 하부 영역에 출력되며 복수의 구간(401~409)으로 이루어진다. 컨텐츠의 구간과 대응되는 각 구간(401~409)에는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가 출력된다. 또한, 제1 이미지 객체(415)에서 첫번째 구간(A)은 다운로드 완료된 이전 컨텐츠이고 이후의 구간들(B)은 현재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에 대응된다.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면, 다운로드 완료된 구간(401~406)에는 각 구간에서의 컨텐츠 품질에 관한 텍스트 정보(410a~410e)가 표시된다. 또한, 제1 이미지 객체(415)의 일 지점에는 현재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컨텐츠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자(418)가 더 표시된다. 또한, 제1 이미지 객체(415)의 일 구간(407)에는 다운로드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자(415)가 표시된다. 여기에서, 다운로드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자(415)에는 네트워크 상태가 유료망/무료망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와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화질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에는 다음에 다운로드 가능한 컨텐츠와 관련된 제2 이미지 객체가 출력된다(S420).
여기에서, 제2 이미지 객체(420)는 상기 제1 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연관된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한 사람들이 이어서 다운로드한 다른 컨텐츠, 제1 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다음 시리즈, 사용자의 기호도의 분석 결과 추천된 컨텐츠 등과 같은 기설정된 기준에 의하여 컨텐츠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제1 이미지 객체와 제2 이미지 객체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기설정에 따라 예를 들어 크기, 형상, 및 출력영역 중 적어도 하나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상기 제2 이미지 객체(420)가 제1 이미지 객체(401~409)와 평행한 방향으로 인접하게 출력된 예시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부(151)의 다른 영역,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단에 출력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제1 이미지 객체와 제2 이미지 객체가 출력되는 조건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어부(180)는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제1이미지 객체와 상기 제2 이미지 객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네트워크 상태 변경 이벤트,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 이벤트, 그리고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 완료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제1 이미지 객체와 제2 이미지 객체가 출력되는 시점은 상기한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상태 변경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는 제1 이미지 객체만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 이벤트 또는 컨텐츠의 다운로드 완료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1 이미지 객체와 제2 이미지 객체를 모두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제1 이미지 객체와 제2 이미지 객체가 출력된 상태에서, 제1 이미지객체에 대한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51)는 상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품질을 변경하기 위한 제1 제어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S430).
여기에서, 제1 이미지객체에 대한 터치 제스처는 제1 이미지객체의 특정 구간(또는 영역)에 대한 터치 제스처, 제1 이미지객체에 출력된 컨트롤러를 이용한 터치 제스처, 특정 방향의 터치 제스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제1 이미지객체(401~409)에서 다운로드 진행중인 구간(407)을 제1방향(예, 아래방향)으로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품질을 고품질(예, 고화질)로 하여 출력 또는 다운로드할 수 있다. 반면 다운로드 진행중인 구간(407)을 제2방향(예, 위방향)으로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품질을 저품질(예, 저화질)로 하여 출력 또는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5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컨텐츠의 위치를 나타낸 표시자(418)를 특정 구간(402)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151)는 출력 또는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품질을 저품질(Low)에서 고품질(HD)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표시자(418)가 이동된 특정 구간(402)에대응하는 컨텐츠를 바로 시청하기를 원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컨텐츠의 품질을 고품질(HD)서 저품질(Low)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즉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제1 이미지 객체와 제2 이미지 객체가 출력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이미지 객체 상기 제1 이미지 객체에 인접하게 이동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완료된 후 즉시 상기 제2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는 제2 제어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S440).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제2 이미지 객체를 상기 제1 이미지 객체에 접합시키는 터치 제스처가 감지된 경우에 상기 제2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다운로드 완료되면 즉시 상기 제2 이미지 객체를 제1 이미지 객체쪽으로 자동 이동시키면서, 상기한 제2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품질을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서 컨텐츠 품질의 유연한 선택이 가능하고, 연관된 다른 컨텐츠를 미리 선택하여 버퍼링해 둘 수 있어서 다른 컨텐츠의 출력 또는 다운로드시 대기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도 3b, 및 도 6을 참조하여 현재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컨텐츠 품질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보다 자세하게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이미지 객체를 이용하여 현재 네트워크 상태에 따른 컨텐츠 품질로 컨텐츠의 특정 구간을 다운로드하거나 또는 출력하기 위한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6에서, 상기 제1 이미지 객체의 각 구간(501~508)에는 제1 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가 출력된다. 또, 상기 제1 이미지 객체에는 컨텐츠의 다운로드 진행 정보를 나타낸 표시자(515)가 표시된다. 또한, 제1 이미지 객체에서 다운로드 완료된 구간(501~505)에는 각 구간에서의 컨텐츠 품질 정보(510a)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컨텐츠의 품질이 저품질인 경우에는 'L(또는 Low)'로 표시하고 고품질인 경우에는 'H(또는 HD)'로 표시한다.
제어부(151)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에 대한 네트워크 상태를 수신하고, 수신된 네트워크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품질을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제1 이미지 객체의 구간(505)에서 고품질('H')로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는 중, 네트워크 상태에 장애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구간(505)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저품질('L')로 다운로드 한다.
컨테츠의 품질이 컨텐츠의 화질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 네트워크 상태가 제1통신모드에서 제2통신모드로 변경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화질을 하이(high) 상태에서 로우(low)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반면, 네트워크 상태가 제2통신모드에서 제1통신모드로 변경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화질을 로우(low) 상태에서 하이(high)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신모드'라 함은 예를 들어, '3G 모드', '4G 모드' 또는 'WiFi모드' 등 현재 무선 통신부(110)가 어느 무선 통신 망에 접속되었는지를 표현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3G 통신망에 접속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가 3G 통신모드로 설정되었다고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제1통신모드가 3G와 같은 무료망이면, 제2통신모드는 Wifi와 같은 유료망을 가리킨다.
또한, 제1통신모드가 네트워크 연결 상태가 좋은 경우이면 제2통신모드는 네트워크 연결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을 가리킨다. 여기에서, 네트워크 연결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란, 네트워크의 연결이 장애로 인해 잠깐씩 끊어지는 경우도 포함된다.
한편, 컨테츠의 품질이 컨텐츠의 프레임 수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80)는, 제1통신모드(예, 네트워크 연결 상태가 좋은 경우)에서는 상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프레임 수를 기설정된 최대값(예, 초당 60프레임)으로 하고, 제2통신모드(예, 네트워크 연결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서는 상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프레임 수를 기설정된 임계값(예, 초당 15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제1 이미지 객체의 특정 구간에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품질이 변경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해당 구간에 기설정된 알림효과를 더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구간(505)에서 컨텐츠 품질이('H -> L') 변경된 경우 컨텐츠 품질 정보를 나타내는 객체(510e) 주변에 하이라이팅 효과를 출력하거나 해당 구간(505)의 썸네일 이미지를 줌-아웃시켜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이미지객체에 현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컨텐츠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 컨트롤러를 터치에 따라 이동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에 의하여 상기 제1 컨트롤러가 상기 제1 이미지객체의 일 영역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일 영역에 대응하는 컨텐츠 구간의 컨텐츠 품질을 현재 네트워크 상태에 대응하는 컨텐츠 품질로 하여 다운로드 한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현재 네트워크 상태가 유효하여(또는 연결 상태가 좋아서) 구간(504)에서 컨텐츠 품질을 고품질('H')로 다운로드 하는 중에, 구간(504)에 위치한 제1 컨트롤러(518)를 일영역(502)으로 이동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구간(502)에서의 컨텐츠 품질을 고품질로 변경하여('L -> H') 컨텐츠를 출력 및/또는 다운로드한다.
이와 같이, 구간(502)에서 컨텐츠 품질이 변경된 것에 응답하여, 제어부(180)는 컨텐츠 품질 정보를 나타내는 객체(510b) 주변에 하이라이팅 효과를 출력하고, 컨텐츠 품질을 나타내는 텍스트 정보를 변경한다('L -> H'). 이와 함께, 상기 제어부(180)는 제1 컨트롤러(518)가 이동한 구간(502)에 대응하는 컨텐츠 구간에서부터 다시 다운로드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6에서 현재 네트워크 상태가 유효하여(또는 연결 상태가 좋아서), 구간(504)에서 컨텐츠 품질을 고품질('H')로 다운로드 하는 중에 구간(504)에 위치한 제1 컨트롤러(518)를 일영역(506)으로 이동시킨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구간(502)에서의 컨텐츠 품질을 고품질로('H') 하여 컨텐츠를 출력 및/또는 다운로드한다. 이때, 아직 다운로드 되지 않은 구간(505)에 대한 다운로드는 스킵(skip)된다.
이와 같이, 현재 네트워크 상태가 좋은 경우에 제1 이미지객체의 제1 컨트롤러(518)를 다른 영역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전에 저품질로 다운로드된 구간을 자동으로 고품질로 다시 출력/다운로드할 수 있고, 출력/다운로드를 원하지 않는 구간은 스킵(skip)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품질 정보를 구간별로 표시하고, 현재 네트워크 상태가 좋으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간을 자동으로 고품질로 출력/다운로드 하는 제어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지금부터는, 도 1, 도 3b, 및 도 8을 참조하여,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품질을 선택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방법를 살펴본다. 이와 관련하여, 도 8은 네트워크 상태 변경시 사용자 제스처에 의하여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품질을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에 제1 이미지 객체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와 상기 컨텐츠의 품질 정보를 동시에 나타내는 표시자를 제1 이미지 객체에 더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컨텐츠의 다운로드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자(815)에서, '길이'는 다운로드 진행 정도를, '색깔'은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의 품질을, '위치'는 네트워크 상태가 무료망(예, 3G)인지 또는 유료망(예, Wifi)인지를 각각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표시자(815)에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제1속성(예, 색깔)이 변경되는 것에 응답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품질을 변경하고, 상기 표시자(815)에서 컨텐츠의 품질 정보를 나타내는 제2속성(예, 위치)을 대응되게 변경한다.
여기에서, 기설정된 기준은 설정부(미도시)에 의해 네트워크 상태가 변경되면 자동으로 대응되는 컨텐츠 품질로 변경하도록 설정된 경우이거나 또는 표시자(815)에 대한 터치에 의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네트워크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컨텐츠 품질을 자동으로 대응되게 변경하는 것은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제1 이미지 객체에 대한 터치에 의하여 컨텐츠 품질을 변경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네트워크 상태가 무료망에서 유료망으로 변하는 것에 대응하여, 제어부(180)는 표시자(815)의 색깔을 예를 들어 '파랑'(a)에서 '빨강'(b)으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사용자가 표시자(815)의 색깔이 변경됨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표시자(815)를 제1방향(예, 아래방향)으로 터치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품질을 고품질에서 저품질로 변경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 표시자(815)에 제1방향(예, 아래방향)의 플리킹(flicking)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자(815)의 위치를 예를 들어'위'(815a)에서 '아래'(815b)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이후의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품질을 저품질로 계속 다운로드한다.
한편, 네트워크 상태가 유료망에서 다시 무료망으로 변하는 경우에도 상기 기술한 것과 유사하게 진행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컨테츠의 품질이 컨텐츠의 화질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네트워크 상태가 제1통신모드에서 제2통신모드로 변경되면, 표시자(815)에 대한 제1방향(예, 아래방향)의 플리킹(flicking) 터치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화질을 하이(high) 상태에서 로우(low)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컨테츠의 품질이 컨텐츠의 프레임 수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제1통신모드(예, 네트워크 연결 상태가 좋은 경우)에서는 표시자(815)에 대한 위방향의 플리킹(flicking) 터치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프레임 수를 기설정된 최대값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제2통신모드(예, 네트워크 연결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서 표시자(815)에 대한 아래 방향의 플리킹(flicking) 터치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프레임 수를 기설정된 임계값으로 하여 상기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테츠의 품질이 컨텐츠의 프레임 수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80)는 제1 이미지 객체의 구간들에 컨텐츠의 FPS 정보(초당 프로임 수)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서, 사용자가 컨텐츠를 빨리 다운로드 하고 싶으면, 네트워크 상태와 관계 없이 FPS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자(미도시)에 대한 터치입력(예, 플리킹 터치입력)을 통해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FPS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FPS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자에 제1방향(예, 아래방향)의 플리킹(flicking)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것에 응답하여,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프레임 수를 플리킹한 만큼 감소시키거나 또는 기설정된 임계값(예, 초당 15프레임)으로 변경하여 다운로드하고, FPS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자(미도시)의 표시를 대응되게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반면, FPS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자에 제2방향(예, 위방향)의 플리킹(flicking) 터치입력이 인가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프레임 수를 플리킹한 만큼 증가시켜서(예, 최대 초당60프레임)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고, FPS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자(미도시)의 표시를 대응되게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품질을 표시된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컨텐츠의 품질에 대한 사용자의 유연한 선택이 가능하다.
이제부터는, 도 1, 도 3b, 도 7a 내지 도 7f, 및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현재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와 연관된 다른 컨텐츠를 계속 이어서 출력 및/또는 다운로드 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7a 내지 도 7f는 상기한 제2이미지객체를 이용하여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와 연관된 컨텐츠를 출력/다운로드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18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다운로드 완료되면 상기 제1 이미지 객체(701~708)와 상기 제2 이미지 객체(720)를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에 팝업시킨다.
이때, 상기 제1 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다운로드 완료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상기 제2 이미지 객체의 형상을 변경하고 하이라이팅 효과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이미지 객체를 이전과 다른 크기로 하여 출력하거나 제2 이미지 객체 주변에 깜빡임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완료되었음이 인지됨과 동시에 제2 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계속해서 출력 및/또는 다운로드할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시각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제2 이미지 객체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이미지 객체에 대한 터치가 상기 제1이미지 객체가 표시된 영역으로 이동하는 터치 앤 드래그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 앤 드래그가 감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이미지객체를 상기 제1 이미지객체의 일 단에 접합되게 이동시킨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제2 이미지 객체가 출력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스스로 상기 제1 이미지 객체로 이동하여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완료된 후 제1 이미지 객체와 상기 제2 이미지 객체가 접합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제2 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즉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의 다운로드는 패킷단위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패킷의 송수신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패킷을 일시적으로 버퍼(buffer)에 저장하는 버퍼링 작업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패킷이 수신되면 1바이트의 헤더와 데이터유닛을 순서대로 수신 버퍼(buffer)에서 버퍼링하고, 헤더로부터 패킷의 길이를 독출하여 확인된 길이만큼 데이터를 수신 버퍼로부터 읽어들인다.
이와 같은 버퍼링 작업은 컨텐츠를 출력/다운로드하기 전에 소정의 버퍼링 시간을 요구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다음 다운로드 할 컨텐츠를 미리 선택하거나 다운로드 즉시 선택되도록 구현함으로써 버퍼링 작업에 소요되는 대기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예, 미리 컨텐츠 스트림을 제공받아 프리 버퍼링을 수행하거나 이어서 다운로드하므로 버퍼링이 지연되지 않는다).
한편, 제어부(151)는 제2 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다운로드 되는 동안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미지 객체와 제2 이미지 객체를 디스플레이부(151)로부터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터치가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제1 이미지객체(701~708)와 상기 제2 이미지객체(720)의 경계영역에 제2 컨트롤러(730)를 출력한다. 제2 컨트롤러(730)는 제1 이미지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제2 이미지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시각적으로 구별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컨트롤러(730)가 출력된 상태에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에 의하여 상기 제2 컨트롤러(730)가 상기 제1 이미지객체의 일 영역으로 이동됨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제2 이미지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들(721~727)을 제1이미지객체의 구간들(702~707) 위에 오버랩하여 출력한다.
즉, 제2 컨트롤러(730)에 이동에 대응하여 제1 이미지객체의 일부 구간들(702~707)에는 접힘 효과가 적용되고, 제2 이미지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구간들(721~727)은 펼침 효과가 적용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 컨트롤러(730)가 출력된 상태에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에 의하여 상기 제2 컨트롤러(730)가 상기 제1 이미지객체의 일 영역으로 이동됨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들(721~727)을 상기 제1이미지 객체(702~707)를 밀어내고 상기 제2 이미지 객체에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에 현재 출력되는 컨텐츠의 위치는 제1표시자(718)에 의해 표시되며, 제1표시자(718)가 이동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현재 출력되는 컨텐츠의 이동된 위치에 대응하는 컨텐츠(즉, 제2 이미지 객체의 특정 구간의 컨텐츠)로 화면 전환시킬 수 있다.
제2 컨트롤러(730)가 이동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컨트롤러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이미지객체의 컨텐츠 구간부터 다운로드를 계속한다. 제2 이미지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다운로드 진행 정도는 제2표시자(715)에 의해 표시된다.
도 7c를 참조하면, 출력된 제2 이미지객체의 구간들(731~737) 중 일 구간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터치된 구간(733)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하고, 제2 이미지객체의 구간(733)에 현재 출력되는 컨텐츠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표시자(718)를 출력한다.
제2 이미지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다운로드 완료되면, 제어부(180)는 제2 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연관된 새로운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740)를 출력하고, 새로운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740)를 제2 이미지객체의 일 단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썸네일 이미지(740)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출력/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한편, 도 7d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터치가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제2 이미지객체(721~727)와 상기 썸네일 이미지(740)의 경계영역에 제3 컨트롤러(750)를 출력한다. 제3 컨트롤러(750)의 이동과 관련된 설명은 위에서 설명한 제2 컨트롤러(730)의 이동과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제3 컨트롤러(750)의 이동에 따라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컨트롤러(750)와 제2 컨트롤러(730)가 겹쳐지는 경우가 있다.
제3 컨트롤러(750)와 제2 컨트롤러(730)가 겹쳐져서 출력된 상태에서, 여기에 터치가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컨트롤러(750)와 제2 컨트롤러(730) 사이에 접혀진 이전 제1 이미지 객체를 대표하는 이미지(702~708)와 이전 제2 이미지 객체를 대표하는 이미지(721~727)를 현재 제1 이미지 객체와 구별되는 영역(예, 상단)에 출력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이전 다운로드완료된 컨텐츠들의 썸네일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7f는 이전 제1 이미지 객체를 대표하는 이미지(702~708)와 이전 제2 이미지 객체를 대표하는 이미지(721~727)가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예를 들어, 특정 이미지 터치, 겹친 컨트롤러들을 핀치-아웃(pinch-out)하는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들을 순서대로 출력한다.
한편, 도 9a 및 도 9b는 다음에 다운로드 할 컨텐츠를 선택하여 이어서 다운로드하는 제어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이미지 객체(901~909)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제1 이미지 객체(901~909)와 제2 이미지 객체(92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팝업시킨다
팝업된 제2 이미지 객체(920)가 사용자의 플리킹(flicking) 터치입력 또는 기설정에 따라 제1 이미지 객체(901~909)의 일 단에 접합되면, 제어부(180)는 제2 이미지 객체(920)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기 시작한다. 이때, 제2 이미지 객체(920)에 대응하는 컨텐츠는 계속해서 고품질('HD') 다운로드 된다. 한편, 다운로드 진행 정도는 표시자(915)에 의해 표시된다.
도 9b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제1 이미지 객체(901~909)와 접합된 제2 이미지 객체(920)가 다운로드 되고 있는 상태를 출력한 예시이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51)에 현재 출력되는 컨텐츠의 위치는 컨트롤러(918)에 의해 표시된다.
이상에서는 현재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와 연관된 다른 컨텐츠를 이어서 출력 및/또는 다운로드하고 이들의 다운로드 상태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지금부터는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다음에 다운로드 가능한 복수의 추천 컨텐츠들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다음 다운로드 가능한 추천 컨텐츠들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살펴본다.
제어부(180)는 제1 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다운로드 중지/다운로드 완료된 후 즉시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된 터치 입력에 따라, 다음에 다운로드 가능한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 즉 제2 이미지 객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제2 이미지 객체가 출력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제2 이미지 객체에 인가되는 제3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다음 다운로드 가능한 추천 컨텐츠들에 대응하는 제3이미지 객체들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한다.
여기에서, 제3 터치 제스처는 출력된 제2 이미지 객체를 제1방향(예, 위/아래 방행)으로 플리킹(flicking) 터치입력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미지 객체에 위방향의 플리킹(flicking)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제어부(180)는 플리킹(flicking) 터치입력한 만큼 또는 기설정된 개수만큼 다음 다운로드 가능한 추천 컨텐츠들(1020~1980)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시킨다.
여기에서, 다음 다운로드 가능한 추천 컨텐츠들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전 다운로드한 컨텐츠와 연관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업로드 날짜 순서, 이전 다운로드한 컨텐츠를 본 사람들이 이어서 다운로드한 컨텐츠, 많은 사람들이 추천한 컨텐츠 등과 같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출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음 다운로드 가능한 추천 컨텐츠들의 리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이들의 다운로드 품질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0b를 참조하면, 이와 같이 제2 이미지객체와 다운로드 가능한 추천 컨텐츠들(1020~1980)을 나타내는 제3 이미지객체가 출력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에 대하여 제4 터치 제스처, 예를 들어 제2방향(왼쪽/오른쪽방향)의 플리킹(flicking)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다음 다운로드 가능한 컨텐츠의 품질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플리킹(flicking) 터치입력한 만큼 또는 기설정된 개수만큼 다음 다운로드 가능한 컨텐츠의 품질모드(1020, 1020a,1020b)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품질모드는, 예를 들어 컨텐츠의 흑백 모드, 원본 모드, 고화질 모드, 저화질 모드, 적은 프레임 수 모드, 높은 프레임 수 모드 중 하나 이상의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컨텐츠의 품질(예, 화질, 프레임수)이 좋지 않더라도 컨텐츠를 빨리 다운로드 받고 싶은 경우에는 예를 들어 흑백 모드, 저화질 모드, 적은 프레임 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깨끗한 화질로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고 싶은 경우에는 고화질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끊김이 없는 자연스러운 영상을 다운로드 받고 싶은 경우에는 높은 프레임 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특정 품질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다음 다운로드 가능한 컨텐츠의 품질을 이전 컨텐츠의 품질과 동일하게 하여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품질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임의로 설정 및/또는 변경시킨 컨텐츠 품질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다음 다운로드 가능한 복수의 추천 컨텐츠들의 리스트와 선택가능한 품질모드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특정 구간을 다운로드 중지/재개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11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1 이미지객체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중지 또는 재개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 개념도이다.
제어부(180)는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하는 제1 이미지객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시킨다.
제1 이미지객체가 출력된 상태에서, 제1 이미지객체의 일 구간에 대한 터치가 제1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일 구간에 대응하는 컨텐츠 구간부터 다운로드를 중지한다. 이와 함께,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이미지객체를 제1부분 및 제2부분으로 분리시켜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이미지객체의 구간(1106)이 다운로드 되는 중에, 구간(1106)에 대한 제1방향(왼쪽->오른쪽)으로 플리킹(flicking)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다운로드를 즉시 중단하고, 제1 이미지객체를 구간(1106)이전과 구간(1106)이후의 두 부분으로 분리시킨다.
한편, 제1 이미지객체의 구간(1105)이 다운로드 되는 중에, 구간(1106)에 대한 제1방향(왼쪽->오른쪽)으로 플리킹(flicking)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구간(1105)에 대응하는 컨텐츠 구간까지는 다운로드하고, 구간(1106)부터는 다운로드를 중단한다. 다운로드가 중단되면, 제어부(180)는 제1 이미지객체를 마찬가지로 구간(1105)이전과 구간(1105)이후의 두 부분으로 분리시킨다.
이때, 제어부(180)는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분리된 구간(1105)을 사라지게 할 수 있고, 소정 터치에 따라 다시 나타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분리된 구간(1105)에 위/아래로 플리킹(flicking)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것에 응답하여 분리된 구간(1105)을 삭제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이미지객체가 제1부분 및 제2부분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분리된 구간에 대응하는 제2부분에 대한 터치가 제2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즉, 구간(1106)에 대한 제2방향(오른쪽->왼쪽)으로 플리킹(flicking)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중지된 다운로드를 재개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분리된 제1부분과 제2부분을 접합하여 하나의 제1이미지객체로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의하면,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하여 다운로드를 시작하거나 중지할 구간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는 편의가 제공된다.
한편,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가 완료되기 전에, 사용자는 현재 다운로드 되는 또는 나중에 다운로드 될 컨텐츠를 스트림 다운로드으로 먼저 시청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하에서는, 도 1, 도 3b, 및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제1이미지객체 및/또는 제2이미지객체를 이용하여 시청할 구간을 선택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살펴본다.
도 12a 및 도 12b는 제1이미지객체 및/또는 제2이미지객체를 이용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컨텐츠의 구간을 선택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 특정 컨텐츠 다운로드 요청이 송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특정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들을 이동 단말기(100)로 먼저 전송할 수 있다. 제1 이미지 객체에는 이와 같은 썸네일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된다.
제어부(180)는, 제1 이미지객체에 현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컨텐츠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 컨트롤러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제1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다.
터치에 의하여 상기 제1 컨트롤러가 상기 제1 이미지객체의 일 영역으로 이동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일 영역에 대응하는 컨텐츠 구간의 컨텐츠 품질을 현재 네트워크 상태에 대응하는 컨텐츠 품질로 스트림 다운로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현재 네트워크 상태에 대응하는 컨텐츠 품질로 상기 일 영역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한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제1 이미지 객체의 제1 컨트롤러가 구간(1204)에서 구간(1207)으로 이동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구간(1207)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구간(1205)의 다운로드를 중지하고 제1 컨트롤러가 이동한 구간(1207)에 대응하는 컨텐츠부터 스트림 다운로드 한다.
예를 들어, 현재는 컨텐츠가 구간(1204)까지만 다운로드 되었지만, 사용자가 구간(1205, 1206)은 스킵하고 구간(1207)부터 시청하고 싶은 경우, 제1 컨트롤러를 구간(1207)으로 이동시키면, 구간(1207)에서부터 스트림 다운로드되고 스트림 데이터가 바로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다.
이때, 현재 네트워크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는 컨텐츠 품질을 저품질('Low')로 하여 스트림 다운로드하고, 현재 네트워크 상태가 좋으면 컨텐츠 품질을 고품질('HD')로 하여 스트림 다운로드한다. 한편, 사용자가 특정 구간의 컨텐츠를 바로 시청하고 싶은 경우라면, 비록 현재 네트워크 상태가 좋더라도 상기 특정 구간에서 적어도 일부는 저품질로 하여 스트림 다운로드하고 이후 고품질로 변환하여 스트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텐츠 품질이 저품질('Low')로 변경된 경우에는 표시자(1215b)의 위치를 변경('위->아래')시켜서 사용자로 하여금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이전 다운로드 중단된 위치를 사용자가 계속 인지할 수 있도록 다운로드 중지된 구간, 예를 들어 구간(1205)에 표시자(1215a)를 그대로(예를 들어, 길이, 위치, 색상 동일하게)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12a의 (a)는 현재 네트워크 상태가 좋지 않아서 표시자(1215b)의 위치를 변경('위->아래')하여 표시한 것이다. 또한, 도 12a의 (b)는 현재 네트워크 상태가 좋아서 표시자(1215b)의 위치를 그대로('위') 표시한 것이다. 스트림 다운로드이 진행됨에 대응하여 표시자(1215b)의 길이는 점점 길어진다.
이하에서는 도 12b를 참조하여, 시청하고 싶은 컨텐츠가 다음에 다운로드 할 컨텐츠인 경우, 즉 제2 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인 경우에 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바로 출력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제어부(180)는 상기에서 설명한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제1 이미지 객체와 제2 이미지 객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시킬 수 있다.
출력된 제2 이미지 객체에 터치 제스처가 인가되면, 제어부(180)는 제2 이미지 객체를 제1 이미지 객체쪽으로 이동시켜서 제2 이미지 객체가 제1 이미지 객체의 일 단에 접합되도록 출력한다. 그에 따라, 제어부(180)는 제1 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다운로드 완료되는 즉시 제2 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이미지 객체가 제1 이미지 객체에 접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현재 디스플레이부(151) 출력된 컨텐츠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 컨트롤러(1218)를 접합된 제2 이미지 객체의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컨트롤러(1218)가 제2 이미지 객체로 이동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제1 이미지 객체의 썸네일 이미지들(1201~1208)이 제1방향(예, 왼쪽방향)으로 접혀지는 효과를 출력하고, 이와 함께 제2 이미지 객체의 썸네일 이미지들(1221~1229)을 제1방향(예, 왼쪽방향)으로 펼치는 효과를 출력한다. 이는 도 7b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출력방법과 유사하다.
이와 같이, 제2 이미지 객체의 썸네일 이미지들(1221~1229)이 펼쳐지면, 사용자는 제2 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에서 즉시 시청하고 싶은(스트림 다운로드 하고 싶은) 구간을 제1 컨트롤러(1218)를 사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즉, 도 12b를 참조하면, 제1 컨트롤러(1218)가 제2 이미지 객체의 구간(1224) 및 구간(1225) 사이의 위치로 이동된 것에 응답하여, 제어부(180)는 구간(1225)에서부터 자동으로 스트림 다운로드를 수행한다. 사용자는 구간(1225)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스트림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즉시 시청할 수 있다.
구간(1225)에서 스트림 다운로드가 진행됨에 따라, 제어부(180)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운로드의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자(1215)를 구간(1225)에 출력시킨다. 이때, 표시자(1215)의 길이, 위치, 색깔과 같은 속성들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다운로드의 진행 정보 외에, 컨텐츠의 품질 정보,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더 나타낼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 또 다른 제2 이미지 객체(1240)를 출력시키고, 또 다른 제2 이미지 객체(1240)는 터치에 따라 또는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제1 이미지 객체(1201~1208 및 1221~1228)쪽으로 이동하여 다운로드 준비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또 다른 제2 이미지 객체(1240)의 특정 구간을 시청하고 싶다면 상기에서 설명한 방식과 유사하게 제1 컨트롤러(1218)를 이동시켜서 특정 구간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펼쳐진 제2 이미지 객체(1240)의 썸네일 이미지들에서 선택된 구간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스트림 다운로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은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품질을 다운로드 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고 컨텐츠 품질의 유연한 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와 연관된 다른 컨텐츠를 미리 선택할 수 있어서 버퍼링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나아가,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하여 다음에 다운로드할 컨텐츠들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운로드를 시작하거나 중지할 구간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3)

  1.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
    터치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제1 이미지 객체 및 제2 이미지 객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다음에 다운로드 가능한 컨텐츠와 관련된 상기 제2 이미지 객체가 상기 제1 이미지 객체에 인접하게 이동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다운로드 완료되는 즉시 상기 제2 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미지 객체에 인가되는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품질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객체는 복수의 구간으로 이루어지며, 각 구간에는 상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가 출력되고,
    상기 제2 이미지 객체는 상기 제1 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연관된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이미지 객체 및 상기 제2 이미지 객체가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네트워크 상태 변경 이벤트,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 이벤트, 및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 완료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객체에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 및 상기 컨텐츠의 품질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자가 더 표시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자에서 상기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제1 속성이 변경되면, 기 설정된 기준에 근거하여 상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품질을 변경하고 상기 표시자에서 상기 컨텐츠의 품질 정보를 나타내는 제2속성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자는 상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다운로드 진행 정보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 대한 네트워크 상태를 수신하고, 수신된 네트워크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품질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츠의 품질은 컨텐츠의 화질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통신모드에서 제2 통신모드로 변경되면 상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화질을 하이(high) 상태에서 로우(low) 상태로 변경하고,
    제2통신모드에서 제1통신모드로 변경되면 상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화질을 로우(low) 상태에서 하이(high)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츠의 품질은 컨텐츠의 프레임 수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통신모드에서는 상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프레임 수를 기설정된 최대값으로 하고, 제2 통신모드에서는 상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프레임 수를 기설정된 임계값으로 하여 상기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모드는 무료망이고, 상기 제2 통신모드는 유료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모드는 네트워크 연결 상태가 좋은 경우이고, 제2 통신모드는 네트워크 연결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인 것을 특징을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다운로드 완료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상기 제2 이미지 객체의 형상을 변경하거나 하이라이팅 효과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이미지 객체에 대한 터치가 상기 제1이미지 객체가 표시된 영역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이미지객체가 상기 제1 이미지객체의 일 단에 접합되게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미지객체에 현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컨텐츠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 컨트롤러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터치에 의하여 상기 제1 컨트롤러가 상기 제1 이미지객체의 일 영역으로 이동되면, 상기 일 영역에 대응하는 컨텐츠 구간의 컨텐츠 품질을 현재 네트워크 상태에 대응하는 컨텐츠 품질로 출력 또는 다운로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미지 객체와 상기 제2 이미지 객체가 접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미지객체와 상기 제2 이미지객체의 경계영역에 제2 컨트롤러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터치에 의하여 상기 제2 컨트롤러가 상기 제1 이미지객체의 일 영역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2 이미지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들을 상기 제1이미지객체의 구간들 위에 오버랩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1이미지 객체를 밀어내고 상기 제2 이미지 객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컨트롤러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이미지객체의 컨텐츠 구간부터 다운로드를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미지 객체에 인가되는 제3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다음에 다운로드 가능한 추천 컨텐츠들과 관련된 제3이미지 객체들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미지객체 및 상기 제3 이미지객체 중 어느 하나에 인가되는 제4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다음 다운로드 가능한 컨텐츠의 품질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미지객체의 일 구간에 대한 터치가 제1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일 구간에 대응하는 컨텐츠 구간부터 다운로드를 중지하고 상기 제1이미지객체를 제1부분 및 제2부분으로 분리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이미지객체가 제1부분 및 제2부분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2부분에 대한 터치가 제2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중지된 다운로드를 계속하고 상기 제1부분 및 제2부분을 접합하여 상기 제1이미지객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3.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와 통신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제1이미지객체를 출력하는 단계;
    다음 다운로드 가능한 컨텐츠와 관련된 제2이미지 객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객체에 대한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다운로드 되는 컨텐츠의 품질을 변경하는 제1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미지 객체에 대한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제1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완료된 후 즉시 상기 제2이미지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는 제2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130028207A 2013-03-15 2013-03-15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37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207A KR102037930B1 (ko) 2013-03-15 2013-03-15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14/073,630 US9116565B2 (en) 2013-03-15 2013-11-06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EP13198682.0A EP2779660A1 (en) 2013-03-15 2013-12-19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CN201410096532.XA CN104052793B (zh) 2013-03-15 2014-03-14 移动终端和控制移动终端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207A KR102037930B1 (ko) 2013-03-15 2013-03-15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160A true KR20140113160A (ko) 2014-09-24
KR102037930B1 KR102037930B1 (ko) 2019-10-30

Family

ID=50028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207A KR102037930B1 (ko) 2013-03-15 2013-03-15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16565B2 (ko)
EP (1) EP2779660A1 (ko)
KR (1) KR102037930B1 (ko)
CN (1) CN1040527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70019B2 (en) 2012-01-17 2015-06-30 Leap Moti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motion in three-dimensional space
US11493998B2 (en) 2012-01-17 2022-11-08 Ultrahaptics IP Two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chine control
US9501152B2 (en) 2013-01-15 2016-11-22 Leap Motion, Inc. Free-space user interface and control using virtual constructs
US10691219B2 (en) 2012-01-17 2020-06-23 Ultrahaptics IP Two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chine control
US9679215B2 (en) 2012-01-17 2017-06-13 Leap Moti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chine control
US8638989B2 (en) 2012-01-17 2014-01-28 Leap Moti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motion in three-dimensional space
US8693731B2 (en) 2012-01-17 2014-04-08 Leap Motion, Inc. Enhanced contrast for object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by optical imaging
US9459697B2 (en) 2013-01-15 2016-10-04 Leap Motion, Inc. Dynamic, free-space user interactions for machine control
WO2014200589A2 (en) 2013-03-15 2014-12-18 Leap Motion, Inc. Determining positional information for an object in space
US9916009B2 (en) 2013-04-26 2018-03-13 Leap Motion, Inc. Non-tactile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US10281987B1 (en) 2013-08-09 2019-05-07 Leap Motion, Inc. Systems and methods of free-space gestural interaction
US9721383B1 (en) 2013-08-29 2017-08-01 Leap Motion, Inc. Predictive information for free space gesture control and communication
US9632572B2 (en) 2013-10-03 2017-04-25 Leap Motion, Inc. Enhanced field of view to augment three-dimensional (3D) sensory space for free-space gesture interpretation
US9996638B1 (en) 2013-10-31 2018-06-12 Leap Motion, Inc. Predictive information for free space gesture control and communication
KR101710502B1 (ko) * 2014-04-01 2017-03-13 네이버 주식회사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및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DE202014103729U1 (de) 2014-08-08 2014-09-09 Leap Motion, Inc. Augmented-Reality mit Bewegungserfassung
CN106664462B (zh) 2014-08-25 2019-12-27 麦克赛尔株式会社 便携信息终端
JP6555030B2 (ja) * 2015-09-08 2019-08-07 船井電機株式会社 情報機器
KR102394620B1 (ko) * 2015-11-10 2022-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간 통신 연결 수립 방법 및 장치
US20170286561A1 (en) * 2016-04-04 2017-10-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to accelerate accessing content
CN106453572B (zh) * 2016-10-19 2019-09-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基于云服务器同步图像的方法及系统
CN106909627A (zh) * 2017-01-22 2017-06-30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内容加载方法、装置和移动设备
WO2021056364A1 (en) * 2019-09-26 2021-04-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to facilitate frame per second rate switching via touch event signals
WO2023220853A1 (zh) * 2022-05-16 2023-11-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业务运行方法、装置、芯片、存储介质和计算机程序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4620A (ko) * 2004-09-10 2007-06-21 아메리칸 칼카, 인코포레이티드 오디오 및 비디오 휴대용 출판 시스템을 위한 시스템 및방법
KR101129322B1 (ko) * 2011-11-07 2012-03-26 주식회사 유비온 네트워크 상황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재구성장치 및 그 방법
WO2012147380A1 (ja) * 2011-04-27 2012-11-01 楽天株式会社 端末装置、データ受信方法、データ受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20136093A (ko) * 2011-06-08 2012-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9403B1 (en) 1998-08-13 2002-05-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niquely identifying a customer purchase in an electronic distribution system
CN100550160C (zh) * 2005-02-18 2009-10-14 威盛电子股份有限公司 多媒体读取播放的系统与方法
US8601018B2 (en) 2006-11-08 2013-12-03 Open Invention Network,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providing web-based multimedia to a mobile phone
WO2009020640A2 (en) 2007-08-08 2009-02-12 Swarmcast, Inc. Media player plug-in installation techniques
WO2009075766A2 (en) 2007-12-05 2009-06-18 Swarmcast, Inc. Dynamic bit rate scaling
CN101267330A (zh) * 2008-04-29 2008-09-17 深圳市迅雷网络技术有限公司 播放多媒体文件的方法及装置
CN101908051A (zh) * 2009-06-03 2010-12-08 东元电机股份有限公司 网络多媒体播放方法
US8451994B2 (en) 2010-04-07 2013-05-28 Apple Inc. Switching cameras during a video conference of a multi-camera mobile device
US8902244B2 (en) 2010-11-15 2014-12-02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graphics in a video environ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4620A (ko) * 2004-09-10 2007-06-21 아메리칸 칼카, 인코포레이티드 오디오 및 비디오 휴대용 출판 시스템을 위한 시스템 및방법
WO2012147380A1 (ja) * 2011-04-27 2012-11-01 楽天株式会社 端末装置、データ受信方法、データ受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20136093A (ko) * 2011-06-08 2012-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129322B1 (ko) * 2011-11-07 2012-03-26 주식회사 유비온 네트워크 상황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재구성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16565B2 (en) 2015-08-25
EP2779660A1 (en) 2014-09-17
US20140267098A1 (en) 2014-09-18
KR102037930B1 (ko) 2019-10-30
CN104052793A (zh) 2014-09-17
CN104052793B (zh) 2018-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793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85163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영상 변환 방법
KR10175787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9581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6835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1768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9004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클라우드 시스템
KR101688145B1 (ko)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CN112398855B (zh) 应用内容跨设备流转方法与装置、电子设备
CN112394895A (zh) 画面跨设备显示方法与装置、电子设备
KR101752417B1 (ko) 이동 단말기 및 디바이스 제어방법
KR2013000182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5217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클라우드 시스템
KR10197725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클라우드 시스템
KR20130081800A (ko) 영상 수신 방법 및 영상 전송 방법
KR2013013338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17692B1 (ko) 이동 단말기
KR101598226B1 (ko) 방송 콘텐츠 관련 데이터 전송 방법, 방송 콘텐츠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7008390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11607B1 (ko)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KR10189200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클라우드 시스템
KR101897729B1 (ko) 이동 단말기
KR10189997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133160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66947B1 (ko) 이동 단말기 및 클라우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