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2814A - 옵션 필터링 기반의 핸드라이팅 변환인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옵션 필터링 기반의 핸드라이팅 변환인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2814A
KR20140112814A KR1020130027364A KR20130027364A KR20140112814A KR 20140112814 A KR20140112814 A KR 20140112814A KR 1020130027364 A KR1020130027364 A KR 1020130027364A KR 20130027364 A KR20130027364 A KR 20130027364A KR 20140112814 A KR20140112814 A KR 20140112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option
filtering
area
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to KR1020130027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2814A/ko
Publication of KR20140112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8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기반의 스마트 단말장치에서 텍스트와 그림을 터치 드로잉으로 입력할 때 이렇게 입력된 정보를 사용자의 소망에 따라 정리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점에 착안한 것으로, 드로잉 데이터의 일부를 텍스트로 인식하여 변환하는 과정에서 변환인식 범위와 색상을 옵션으로 지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합당한 드로잉 데이터만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게 되는 옵션 필터링 기반의 핸드라이팅 변환인식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드로잉을 통해 작성한 드로잉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의 의도에 합치하는 일부만을 선별하여 정규 텍스트로 변환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정보가 생성될 때에는 핸드라이팅으로 빠르게 입력하고 나중에 천천히 정리할 수 있도록 하여 그때그때 처해진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판단하여 핸드라이팅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학교 수업중이나 회의 시간에 각종 정보를 터치 드로잉으로 빠르게 입력하고 이후의 여유있는 시간에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드로잉 내용을 정리하기에 편리한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드로잉 입력과 선택적 텍스트 변환을 위한 일련의 조작이 터치 드로잉으로 구현되므로 일관적인 조작 시나리오를 유지할 수 있고 입력장치의 구성도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옵션 필터링 기반의 핸드라이팅 변환인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METHOOF PROVIDING HANDWRITING RECOGNITION BASED ON OPTION FILITERING,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상에서 옵션 필터링 기반의 핸드라이팅 변환인식 방법, 그리고 옵션 필터링 기반의 핸드라이팅 변환인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터치기반의 스마트 단말장치에서 텍스트와 그림을 터치 드로잉으로 입력할 때 이렇게 입력된 정보를 사용자의 소망에 따라 정리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점에 착안한 것으로, 드로잉 데이터의 일부를 텍스트로 인식하여 변환하는 과정에서 변환인식 범위와 색상을 옵션으로 지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합당한 드로잉 데이터만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게 되는 옵션 필터링 기반의 핸드라이팅 변환인식 기술에 관한 것이다.
아이폰이나 아이팟, 아이패드와 같은 스마트 단말은 휴대가 가능하면서 무선 네트워크 기능을 이용하여 음성이나 영상 통화가 가능하고 각종 데이터를 저장 내지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스마트 단말은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플레이, 방송 수신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터치스크린을 장착하여 사용자가 터치입력으로 기능을 작동시키거나 드로잉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단말에 인터넷 서핑과 같은 각종의 응용 프로그램을 위해 텍스트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가상키보드가 활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10)의 터치스크린(11) 화면에 소프트웨어 UI로 이루어진 가상키보드(12)를 표시하고 손가락으로 터치하는 방식으로 텍스트를 입력한다. 이러한 가상키보드 방식은 스마트 단말(10)에서 텍스트를 입력하는 방식으로서 매우 효과적인 반면,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를 가릴 뿐만 아니라 문자입력 속도가 느리고 텍스트만 입력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에 따라, 스마트 단말에서는 터치 드로잉이 마련되어 있다. 터치 펜을 사용하여 터치스크린 상에 그림을 그리듯이 조작하는 방식인데, 과거에는 터치 드로잉은 상당히 조악한 수준의 그림을 그리거나 간단한 메모를 급하게 하는 용도에 불과하다고 여겨졌으나, 애플의 아이패드 시리즈와 삼성전자의 갤럭시 노트 시리즈에서는 터치 드로잉 기능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어 고품질의 드로잉이 가능하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도 2]는 스마트 단말(10)에서 터치 드로잉으로 정보를 입력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사용자의 실력에 따라서는 이처럼 고품질의 드로잉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 향후로도 터치 드로잉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는 점점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터치 드로잉을 수행하면 전체가 하나의 이미지 파일(단일 드로잉 데이터)로서 인식되어 처리된다.
이러한 터치 드로잉 방식은 사용자가 마치 종이에 필기를 하듯이 익숙한 형태로 빠르게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텍스트, 그림, 도표 등을 모두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결과물이 하나의 드로잉 데이터이므로 사후 관리나 데이터 처리가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터치 드로잉으로 정보를 입력하는 터치 드로잉 모드와 가상키보드에서 텍스트를 입력하는 가상키보드 모드를 둘다 지원하는 정보입력 어플리케이션이 제시되었으나,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빈번하게 입력모드를 전환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그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스마트 단말에서 터치 드로잉 방식과 가상키보드 방식의 장점은 모두 취하면서 이들의 단점은 극복해낸 효율적인 방식의 정보입력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터치스크린 장치 및 상기 터치스크린 장치의 핸드라이팅 입력 방법(특허출원 10-2011-0132710호)
2. 스마트폰의 문자입력창에 핸드라이팅 이미지를 입력하여 통신하는 방법(특허출원 10-2013-0010182호)
3. 손과 손가락을 감지하는 표면과 그 위에 사용하는 동적 텍스트 입력 방법(특허출원 10-2011-0098551호)
4. 핸드라이팅 인식용 장치 및 방법(특허출원 10-2006-7023041호)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기반의 스마트 단말장치에서 텍스트와 그림을 터치 드로잉으로 입력할 때 이렇게 입력된 정보를 사용자의 소망에 따라 정리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드로잉 데이터의 일부를 텍스트로 인식하여 변환하는 과정에서 변환인식 범위와 색상을 옵션으로 지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합당한 드로잉 데이터만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게 되는 옵션 필터링 기반의 핸드라이팅 변환인식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옵션 필터링 기반의 핸드라이팅 변환인식 방법은, 터치신호 감지수단(14a)이 드로잉 UI에서 이루어지는 터치 드로잉을 식별하는 제 1 단계; 드로잉 데이터 생성수단(14b)이 그 감지된 터치 드로잉에 대응하여 드로잉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 단계; 영역옵션 설정수단(14c)이 터치 드로잉 입력에 대응하여 드로잉 데이터 중에서 텍스트로 변환할 영역옵션을 설정하는 제 3 단계; 영역옵션 설정수단(14c)이 드로잉 데이터 중에서 영역옵션에 대응되는 부분을 변환타겟 드로잉 데이터로 식별하는 제 4 단계; 색상옵션 설정수단(14d)이 드로잉 데이터 중에서 텍스트로 변환할 부분을 색상으로 특정하는 색상옵션을 설정하는 단계; 색상옵션 설정수단(14d)이 변환타겟 드로잉 데이터로부터 색상옵션에 불합치하는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 문자인식 필터링 수단(14e)이 변환타겟 드로잉 데이터에 대해 문자인식을 통해 텍스트 변환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단말제어부(12)가 문자인식으로 텍스트 변환된 결과를 드로잉 UI에 반영하여 표시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드로잉 UI에서 이루어지는 터치 드로잉을 식별하는 터치신호 감지수단(14a); 그 감지된 터치 드로잉에 대응하여 드로잉 데이터를 생성하는 드로잉 데이터 생성수단(14b); 터치 드로잉 입력에 대응하여 드로잉 데이터 중에서 텍스트로 변환할 영역옵션을 설정하는 영역옵션 설정수단(14c); 드로잉 데이터 중에서 텍스트로 변환할 부분을 색상으로 특정하는 색상옵션을 설정하고 변환타겟 드로잉 데이터로부터 색상옵션에 불합치하는 부분을 제거하는 색상옵션 설정수단(14d); 변환타겟 드로잉 데이터에 대해 문자인식을 통해 텍스트 변환을 수행하는 문자인식 필터링 수단(14e); 문자인식으로 텍스트 변환된 결과를 드로잉 UI(A)에 반영하여 표시하는 단말제어부(1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핸드라이팅 변환인식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영역옵션 설정수단(14c)이 드로잉 UI에서 영역필터링 터치궤적(t1)의 터치 드로잉을 인식하면 영역필터링 터치궤적(t1)의 내부를 영역옵션으로 설정하고, 색상옵션 설정수단(14d)은 영역필터링 터치궤적(t1)의 색상 설정을 인식하면 영역필터링 터치궤적(t1)의 색상을 색상옵션으로 설정하며, 문자인식 필터링 수단(14e)이 영역필터링 터치궤적(t1)의 터치 드로잉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이벤트가 감지되지 않으면 변환타겟 드로잉 데이터에 대해 문자인식을 통해 텍스트 변환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드로잉을 통해 작성한 드로잉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의 의도에 합치하는 일부만을 선별하여 정규 텍스트로 변환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정보가 생성될 때에는 핸드라이팅으로 빠르게 입력하고 나중에 천천히 정리할 수 있도록 하여 그때그때 처해진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판단하여 핸드라이팅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학교 수업중이나 회의 시간에 각종 정보를 터치 드로잉으로 빠르게 입력하고 이후의 여유있는 시간에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드로잉 내용을 정리하기에 편리한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드로잉 입력과 선택적 텍스트 변환을 위한 일련의 조작이 터치 드로잉으로 구현되므로 일관적인 조작 시나리오를 유지할 수 있고 입력장치의 구성도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서 가상키보드로 텍스트를 입력하는 방식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스마트 단말에서 터치 드로잉으로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옵션 필터링 기반의 핸드라이팅 변환인식 방법이 구현되는 스마트 단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 단말에서 옵션 필터링 기반의 핸드라이팅 변환인식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에서의 스마트 단말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옵션 필터링 기반의 핸드라이팅 변환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옵션 필터링 기반의 핸드라이팅 변환인식 방법이 구현되는 스마트 단말(10)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 단말(10)에서 옵션 필터링 기반의 핸드라이팅 변환인식을 위해 수행되는 과정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단말(10)은 터치스크린(11), 단말제어부(12), 저장부(13), 드로잉/텍스트 필터링 모듈(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중에서 드로잉/텍스트 필터링 모듈(14)은 터치신호 감지수단(14a), 드로잉 데이터 생성수단(14b), 영역옵션 설정수단(14c), 색상옵션 설정수단(14d), 문자인식 필터링 수단(14e)을 구비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모듈' 및 '수단'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으로서 프로그램 코드와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한다.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지 않음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1)은 손가락이나 터치 펜을 통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그에 따라 사용자 조작을 해석하는 모듈이다.
저장부(13)는 스마트 단말(10)이 동작하기 위한 각종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모듈로서 램(RAM), 롬(ROM), 플래시메모리, MRAM(자성체 램), PRAM(상변화 램), FRAM(강유전체 램), 웹디스크, 클라우드 디스크 등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말제어부(12)는 터치스크린(11)에서 드로잉을 구현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터치 드로잉을 입력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그리고, 단말제어부(12)는 본 발명에 따른 옵션 필터링 기반의 핸드라이팅 변환인식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드로잉/텍스트 필터링 모듈(14)을 시스템 메모리 상으로 로딩한다.
이하에서는 드로잉/텍스트 필터링 모듈(14)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10)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드로잉/텍스트 필터링 모듈(14)은 터치신호 감지수단(14a), 드로잉 데이터 생성수단(14b), 영역옵션 설정수단(14c), 색상옵션 설정수단(14d), 문자인식 필터링 수단(14e)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단말(10)에서 터치 드로잉을 활용하여 상당히 많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정보에는 텍스트, 그림, 그래프, 사인 등이 혼재되어 있다. 이중에서 어느 부분이 텍스트이고 어느 부분이 그림 부분인지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식별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의 중간을 살펴보면, "마법의 나무, 영생의 나무" 부분과 "기존에 있는 ~ 동화 & 판타지" 부분은 텍스트 정보를 입력한 것으로 생각되고, 그 위 아래의 "Concept", "WHY", "FANTASY", "Point" 부분은 텍스트라기 보다는 그림이나 일종의 강조마크를 표시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사항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는 자동 식별이 매우 곤란하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드로잉/텍스트 필터링 모듈(14)은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드로잉 데이터에 대해서 사용자의 의도에 합치하도록 일부를 선별하여 필터링하고 텍스트로 변환 인식한다.
터치신호 감지수단(14a)은 터치스크린(11)에 구현된 드로잉 UI(A) 상으로 제공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이벤트 및 그로 인한 각종의 터치궤적을 식별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대응하여 터치신호 감지수단(14a)은 일련의 터치 이벤트와 그 종류를 식별한다.
드로잉 데이터 생성수단(14b)은 드로잉 UI(A) 상에서 이루어지는 터치 조작에 대응하도록 드로잉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필기 분량에 대응하는 상당히 많은 드로잉 데이터가 생성되고, [도 3]에는 핸드라이팅 터치궤적(t2)에 대응하는 드로잉 데이터가 생성된다. 일반적으로 드로잉 어플리케이션은 색상을 설정하는 메뉴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핸드라이팅 터치궤적(t2)에 색상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핸드라이팅 터치궤적 중에서 "풍선1 풍선2"에 대해서는 색상정보가 포함된다.
영역옵션 설정수단(14c)은 드로잉 UI(A) 상에 구현된 드로잉 데이터 중에서 텍스트로 변환할 영역옵션을 터치 드로잉으로 설정한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드로잉 데이터 중에서 어느 부분을 텍스트로 변환할 것인지에 관한 영역옵션을 설정하는 것이다. 영역옵션도 터치 드로잉으로 입력되는데,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터치 드로잉에 의해 영역필터링 터치궤적(t1)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텍스트 변환을 위한 영역옵션이 설정된다.
즉, 영역옵션 설정수단(14c)은 드로잉 UI(A)에서 텍스트 변환을 원하는 부분을 터치 드로잉함으로써 [도 4]와 같이 마치 종이 위에 형광펜으로 영역을 마킹한 것처럼 표시한다. 영역옵션 설정수단(14c)은 영역필터링 터치궤적(t1)에 의해 영역옵션을 설정하고 그에 따라 드로잉 데이터 중에서 영역옵션에 합치되는 부분, 즉 영역필터링 터치궤적(t1)의 내부에 존재하는 드로잉 데이터를 변환타겟 드로잉 데이터로 설정한다.
색상옵션 설정수단(14d)은 드로잉 UI(A) 상에 구현된 드로잉 데이터 중에서 텍스트로 변환할 부분을 색상으로 특정함으로써 변환타겟 드로잉 데이터를 추가로 한정한다. 일 실시예로는 영역필터링 터치궤적(t1)의 색상을 특정함으로써 그에 매칭되는 부분만 변환 대상에 포함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영역필터링 터치궤적(t1)을 터치 드로잉하고 터치업 이벤트가 감지되면 색상옵션 설정수단(14d)은 영역필터링 터치궤적(t1)에 대한 색상 설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색상옵션 설정수단(14d)은 색상선택 메뉴(CS)을 터치스크린(11)에 구현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색상을 특정한다. [도 5]에서는 사용자가 색상선택 메뉴(CS)에서 연두색을 선택하였기에 영역필터링 터치궤적(t1)이 연두색으로 형성되었다. 한편, 순서를 약간 달리한 구현 예로서, 색상선택 메뉴(CS)에서 색상을 먼저 특정한 후에 영역필터링 터치궤적(t1)을 드로잉하는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드로잉 데이터를 처음에 생성할 때부터 사용자는 텍스트로 변환하려는 부분은 미리 생각해둔 색상으로 설정해가며 터치 드로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서는 사용자가 "풍선1 풍선2"를 터치 드로잉으로 입력할 때 터치 펜 색상을 연두색으로 설정해두었다.
문자인식 필터링 수단(14e)은 드로잉 데이터 중에서 그 설정된 옵션(영역옵션, 색상옵션)에 의해 필터링 특정된 변환타겟 드로잉 데이터에 대해 문자인식을 통해 텍스트 변환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문자인식 필터링 수단(14e)은 영역필터링 터치궤적(t1)을 특정한 이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예: 3초) 동안 아무런 이벤트가 없는 경우에는 옵션설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른 변환타겟 드로잉 데이터에 대해 텍스트 변환을 수행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옵션만 설정된 상태에서 문자인식 필터링 수단(14e)이 문자인식 변환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반면,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옵션과 색상옵션이 모두 설정된 상태에서 문자인식 필터링 수단(14e)이 문자인식 변환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와 [도 7]을 참조하면 색상옵션에 의해 "풍선3"의 드로잉 데이터가 변환타겟 드로잉 데이터에서 제외되었고, 그에 따라 문자인식 변환 결과에도 드로잉 상태로 남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옵션 필터링 기반의 핸드라이팅 변환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드로잉/텍스트 필터링 모듈(14)의 터치신호 감지수단(14a)은 드로잉 UI(A)에서 이루어지는 터치 드로잉을 식별하고, 드로잉 데이터 생성수단(14b)은 그 감지된 터치 드로잉에 대응하여 드로잉 데이터를 생성한다(S11). 이때, 드로잉 데이터 생성수단(14b)은 드로잉 데이터를 일반적으로 단일 이미지로 저장한다.
단계(S11) 이후, 드로잉/텍스트 필터링 모듈(14)의 영역옵션 설정수단(14c)은 사용자의 터치 드로잉 입력에 대응하여 드로잉 UI(A) 상에 구현된 드로잉 데이터 중에서 텍스트로 변환할 영역옵션을 설정한다(S12). 즉, 드로잉 UI(A)에 도시된 드로잉 데이터 중에서 어느 부분을 텍스트로 변환할 것인지에 관한 영역옵션을 설정하는 것이다.
단계(S12) 이후, 드로잉/텍스트 필터링 모듈(14)의 영역옵션 설정수단(14c)은 드로잉 데이터 중에서 영역옵션에 대응되는 부분을 변환타겟 드로잉 데이터로 식별한다(S13). 즉,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영역옵션 설정수단(14c)은 영역필터링 터치궤적(t1)에 의해 영역옵션을 설정하고 그에 따라 드로잉 데이터 중에서 영역옵션에 합치되는 부분, 즉 영역필터링 터치궤적(t1)의 내부에 존재하는 드로잉 데이터를 변환타겟 드로잉 데이터로 설정한다.
단계(S13) 이후, 드로잉/텍스트 필터링 모듈(14)의 색상옵션 설정수단(14d)은 드로잉 UI(A) 상에 구현된 드로잉 데이터 중에서 텍스트로 변환할 부분을 색상으로 특정하는 색상옵션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S1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필터링 터치궤적(t1)을 드로잉한 후에 색상을 특정함으로써 색상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단계(S14)의 판단 결과 색상옵션이 설정된 경우에는 색상옵션 설정수단(14d)은 앞서 단계(S13)에서 식별된 변환타겟 드로잉 데이터로부터 색상옵션에 불합치하는 부분을 제거한다(S15). 즉, 변환타겟 드로잉 데이터 중에서 색상옵션, 즉 영역필터링 터치궤적(t1)의 색상과 매칭되는 부분만 변환타겟 드로잉 데이터의 텍스트 변환 대상에 포함시킨다.
그리고 나서, 드로잉/텍스트 필터링 모듈(14)의 문자인식 필터링 수단(14e)은 드로잉 데이터 중에서 앞서 단계(S12, S14)에서 설정된 옵션(영역옵션, 색상옵션)에 의해 필터링 특정된 변환타겟 드로잉 데이터에 대해 문자인식을 통해 텍스트 변환을 수행한다.
단계(S17) 이후, 단말제어부(12)는 이렇게 문자인식을 통해 텍스트로 변환된 결과를 드로잉 UI(A)에 반영한다. [도 6]과 [도 7]은 이처럼 터치 드로잉에 대해 문자인식 결과가 반영된 모습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된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 스마트 단말
11: 터치스크린
12: 단말제어부
13: 저장부
14: 드로잉/텍스트 필터링 모듈
14a: 터치신호 감지수단
14b: 드로잉 데이터 생성수단
14c: 영역옵션 설정수단
14d: 색상옵션 설정수단
14e: 문자인식 필터링 수단

Claims (10)

  1. 터치신호 감지수단(14a)이 드로잉 UI에서 이루어지는 터치 드로잉을 식별하는 제 1 단계;
    드로잉 데이터 생성수단(14b)이 상기 감지된 터치 드로잉에 대응하여 드로잉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 단계;
    영역옵션 설정수단(14c)이 터치 드로잉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드로잉 데이터 중에서 텍스트로 변환할 영역옵션을 설정하는 제 3 단계;
    상기 영역옵션 설정수단(14c)이 상기 드로잉 데이터 중에서 상기 영역옵션에 대응되는 부분을 변환타겟 드로잉 데이터로 식별하는 제 4 단계;
    문자인식 필터링 수단(14e)이 상기 변환타겟 드로잉 데이터에 대해 문자인식을 통해 텍스트 변환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단말제어부(12)가 상기 문자인식으로 텍스트 변환된 결과를 드로잉 UI에 반영하여 표시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옵션 필터링 기반의 핸드라이팅 변환인식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와 상기 제 5 단계 사이에 수행되는,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옵션 필터링 기반의 핸드라이팅 변환인식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영역옵션 설정수단(14c)이 드로잉 UI에서 영역필터링 터치궤적(t1)의 터치 드로잉을 인식하면 상기 영역필터링 터치궤적(t1)의 내부를 상기 영역옵션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 필터링 기반의 핸드라이팅 변환인식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색상옵션 설정수단(14d)은 상기 영역필터링 터치궤적(t1)의 색상 설정을 인식하면 상기 영역필터링 터치궤적(t1)의 색상을 상기 색상옵션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 필터링 기반의 핸드라이팅 변환인식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제 5 단계는 상기 문자인식 필터링 수단(14e)이 상기 영역필터링 터치궤적(t1)의 터치 드로잉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이벤트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변환타겟 드로잉 데이터에 대해 문자인식을 통해 텍스트 변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 필터링 기반의 핸드라이팅 변환인식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옵션 필터링 기반의 핸드라이팅 변환인식 방법을 수행하는 핸드라이팅 변환인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7. 드로잉 UI에서 이루어지는 터치 드로잉을 식별하는 터치신호 감지수단(14a);
    상기 감지된 터치 드로잉에 대응하여 드로잉 데이터를 생성하는 드로잉 데이터 생성수단(14b);
    터치 드로잉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드로잉 데이터 중에서 텍스트로 변환할 영역옵션을 설정하는 영역옵션 설정수단(14c);
    상기 변환타겟 드로잉 데이터에 대해 문자인식을 통해 텍스트 변환을 수행하는 문자인식 필터링 수단(14e);
    상기 문자인식으로 텍스트 변환된 결과를 드로잉 UI(A)에 반영하여 표시하는 단말제어부(12);
    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옵션 필터링 기반의 핸드라이팅 변환인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 데이터 중에서 텍스트로 변환할 부분을 색상으로 특정하는 색상옵션을 설정하고 상기 변환타겟 드로잉 데이터로부터 상기 색상옵션에 불합치하는 부분을 제거하는 색상옵션 설정수단(14d);
    을 더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 필터링 기반의 핸드라이팅 변환인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영역옵션 설정수단(14c)이 드로잉 UI(A)에서 영역필터링 터치궤적(t1)의 터치 드로잉을 인식하면 상기 영역필터링 터치궤적(t1)의 내부를 상기 영역옵션으로 설정하고,
    상기 색상옵션 설정수단(14d)은 상기 영역필터링 터치궤적(t1)의 색상 설정을 인식하면 상기 영역필터링 터치궤적(t1)의 색상을 상기 색상옵션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 필터링 기반의 핸드라이팅 변환인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문자인식 필터링 수단(14e)이 상기 영역필터링 터치궤적(t1)의 터치 드로잉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이벤트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변환타겟 드로잉 데이터에 대해 문자인식을 통해 텍스트 변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 필터링 기반의 핸드라이팅 변환인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30027364A 2013-03-14 2013-03-14 옵션 필터링 기반의 핸드라이팅 변환인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1401128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364A KR20140112814A (ko) 2013-03-14 2013-03-14 옵션 필터링 기반의 핸드라이팅 변환인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364A KR20140112814A (ko) 2013-03-14 2013-03-14 옵션 필터링 기반의 핸드라이팅 변환인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814A true KR20140112814A (ko) 2014-09-24

Family

ID=51757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364A KR20140112814A (ko) 2013-03-14 2013-03-14 옵션 필터링 기반의 핸드라이팅 변환인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28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9934A1 (ko) * 2015-02-12 2016-08-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핸드라이팅 인식 방법 및 장치
CN112487220A (zh) * 2020-11-30 2021-03-12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笔记生成方法、智能终端及存储介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9934A1 (ko) * 2015-02-12 2016-08-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핸드라이팅 인식 방법 및 장치
US10438080B2 (en) 2015-02-12 2019-10-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Handwriting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CN112487220A (zh) * 2020-11-30 2021-03-12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笔记生成方法、智能终端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0634B2 (en) Video generation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KR102013331B1 (ko) 듀얼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미지 합성 장치 및 방법
KR101593573B1 (ko)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KR10231375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36938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inputs
CN106777007A (zh) 相册分类优化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102594951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0794984A (zh) 笔记记录和存储方法、装置、终端、存储介质及系统
CN104461348B (zh) 信息选取方法及装置
CN106575300A (zh) 用于识别文档中的对象的基于图像的搜索
KR102013329B1 (ko) 광학식 문자 판독기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CN107015979B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和智能终端
KR102337157B1 (ko) 전자 칠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99991A (ko) 컬러센서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3109525A1 (zh) 电子设备的快捷设置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20200225826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11491205A (zh) 视频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4708443A (zh) 截图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N105867868A (zh) 一种图片显示的方法及终端
CN113241097A (zh) 录音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KR20140112814A (ko) 옵션 필터링 기반의 핸드라이팅 변환인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WO2023284640A1 (zh) 图片处理方法和电子设备
KR20150097250A (ko) 태그 정보를 이용한 스케치 검색 시스템,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20180060116A1 (en) Execution of task instances relating to at least one application
KR20140146884A (ko) 휴대 장치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을 편집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