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2756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2756A
KR20140112756A KR1020130027212A KR20130027212A KR20140112756A KR 20140112756 A KR20140112756 A KR 20140112756A KR 1020130027212 A KR1020130027212 A KR 1020130027212A KR 20130027212 A KR20130027212 A KR 20130027212A KR 20140112756 A KR20140112756 A KR 20140112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area
mode
user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0773B1 (ko
Inventor
김지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7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773B1/ko
Priority to PCT/KR2013/002904 priority patent/WO2014142382A1/en
Priority to US13/888,677 priority patent/US9019170B2/en
Publication of KR20140112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2Head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changing the viewing angle properties, e.g. widening the viewing angle, adapting the viewing angle to the view di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9G2340/145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related to small scree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Abstract

본 명세서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미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이 커브드(curved) 된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커브드 된 영역 중 일부 영역을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의 부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미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이 커브드(curved) 된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커브드 된 영역 중 일부 영역을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의 부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관련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가 논의되고 있다. 또한, 상용화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도 출시되고 있다.
다만, 기술적 과도기이기 때문에, 근래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전면에 활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보다는 일부분에 활용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일부분이 커브드(curved) 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가 커브드 된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전면에 위치한 사용자는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을 모두 볼 수 없고 일부분만 볼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커브드 된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을 다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커브드 된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서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다르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오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다르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 실시예는, 커브드 된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는, 커브드 된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커브드 된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분하고, 구분한 디스플레이 영역 중 일부 영역을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의 부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커브드 된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서, 커브드 된 디스플레이 영역을 부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용하는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을 다르게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위치를 센싱하고, 센싱 결과에 따른 신호를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센서 유닛과,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법선이 제 1 방향을 향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과 인접하고 커브드(curved) 된 영역을 포함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과 인접하고 커브드(curved) 된 영역을 포함하며 법선이 제 2 방향을 향하는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함, 상기 센서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방향을 디텍팅 하고, 상기 사용자의 방향이 상기 제 1 방향인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로 진입하되,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의 부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용하는 모드이고, 상기 사용자의 방향이 상기 제 2 방향인 경우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로 진입하되,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의 부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용하는 모드일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법선이 제 1 방향을 향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과 인접하고 커브드(curved) 된 영역을 포함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과 인접하고 커브드(curved) 된 영역을 포함하고, 법선이 제 2 방향을 향하는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함, 센서 유닛을 통해 센싱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방향을 디텍팅 하는 단계와, 상기 디텍팅 한 방향이 상기 제 1 방향인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와, 이때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의 부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용하는 모드임, 상기 디텍팅 한 방향이 상기 제 2 방향인 경우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의 부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용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커브드 된 디스플레이 영역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커브드 된 디스플레이 영역을 전면 또는 측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부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공통으로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오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서, 커브드 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콘텐츠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커브드 된 디스플레이 영역을 부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용하는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위치따라 커브드 된 디스플레이 영역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는, 이하 목차에서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5는 경사도에 따라 다르게 디스플레이 영역이 구분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 1 디스플레이 모드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7은 제 2 디스플레이 모드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8은 제 1 디스플레이 모드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제 2 디스플레이 모드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사용자의 위치 관계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드가 제 1 디스플레이 모드와 제 2 디스플레이 모드 간에 스위칭 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된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와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하는 설정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더욱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명세서가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다만, 도 1은 일 실시예로서,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모듈을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 모듈을 추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센서 유닛(120), 스토리지 유닛(130), 커뮤니케이션 유닛(140) 및 프로세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프로세서(150)에서 실행되는 콘텐츠,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세서(15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커브드(curved) 된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으로, 센서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주변 환경을 센싱 하고, 센싱 결과에 따른 신호를 프로세서(15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120)은 사용자 입력을 센싱 하고, 센싱 결과에 따른 신호를 프로세서(150)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유닛(120)은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은, 중력(gravity) 센서, 지자기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적외선 센서, 기울임(inclination) 센서, 밝기 센서, 고도 센서, 후각 센서, 온도 센서, 뎁스 센서, 압력 센서, 밴딩 센서, 오디오 센서, 비디오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및 터치 센서 등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120)은 상술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통칭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환경을 센싱하여, 프로세서(150)가 그에 따른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센싱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환경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근접 센서, 이미지 센서 등의 다양한 센서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근처에 위치한 사용자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센서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엘리먼트로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터치 센서티브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110)으로 터치 인풋과 같은 사용자 입력을 센싱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50)는 센서 유닛(120)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통한 센싱 결과에 따른 신호를 프로세서(15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수신한 신호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되는 구성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프로세서(150)는 센서 유닛(120)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입력 신호로서 전달받고,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행되는 각 단계나 동작이 사용자 입력에 의해 시작되거나 진행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입력 신호 및 제어 신호가 생성되는 과정은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아도 상술한 과정에 대한 설명이 포함된 것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프로세서가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구성 유닛을 제어한다고 표현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동일시하여 설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토리지 유닛(130)은 오디오, 사진, 동영상,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130)은 플래시 메모리, RAM(Random Access Memory), SSD(Solid State Drive) 등의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공간을 나타낸다. 스토리지 유닛(130)은 센서 유닛(120)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버퍼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스토리지 유닛(130)은 커뮤니케이션 유닛(140)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스토리지 유닛(130)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출력하기 위한 버퍼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스토리지 유닛(13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상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커뮤니케이션 유닛(140)은 외부 디바이스와 다양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유닛(14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콘텐츠, 애플리케이션 등의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커뮤니케이션 유닛(14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상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외,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장치는 오디오 입출력 유닛 또는 파워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미도시)은 스피커, 이어폰 등의 오디오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오디오 출력 유닛은 프로세서(150)에서 실행되는 콘텐츠 또는 프로세서(15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출력 유닛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상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파워 유닛(미도시)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의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파워 소스로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파워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엘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엘리먼트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커브드 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측에만 커브드 된 영역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도 2와 달리,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측 및 타측에 커브드 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커브드 된 영역을 특정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측에만 커브드 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대표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아래 방향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평면인 디스플레이 영역(310) 및 커브드 된 디스플레이 영역(320, 330)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인 디스플레이 영역(31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고, 커브드 된 디스플레이 영역(320, 33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에 위치한 경우, 사용자는 평면인 디스플레이 영역(310) 및 커브드 된 디스플레이 영역(320, 330) 중 일부 영역(320)만 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에 위치한 경우, 사용자는 커브드 된 디스플레이 영역(320, 330)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브드 된 디스플레이 영역(320, 330) 중 일부 영역(320)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에 위치하는지, 측면에 위치하는지 관계없이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영역이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위치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볼 수 있는 커브드 된 디스플레이 영역(320)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더 넓은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4의 (a)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측면도이고, 도 4의 (b)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정면도이다. 특히, 도 4의 (a)는 도 4의 (b)의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아래 방향에 대한 측면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법선이 제 1 방향(410a)을 향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410), 제 1 디스플레이 영역(410)과 인접하고 커브드 된 영역을 포함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420)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420)과 인접하고, 커브드 된 영역을 포함하며 법선이 제 2 방향(430a)을 향하는 제 3 디스플레이 영역(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방향(410a)은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뒷면에서 정면으로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도 4의 (a)에서 제 3 방향(430a)은 제 1 방향(410a)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방향으로 직각을 이루는 형태로 도시하였지만, 제 3 방향(430a)은 디스플레이 영역의 곡률로 인해 제 1 방향(410a)과 다르면 족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브드 된 영역(420, 430)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420) 및 제 3 디스플레이 영역(430)으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420) 및 제 3 디스플레이 영역(430)이 동일한 사이즈를 가지고, 제 2 디스플레이 영역(420)이 제 1 디스플레이 영역(410) 및 제 3 디스플레이 영역(430)과 인접하도록 영역을 나눌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접선에 대한 법선의 평균 각도의 범위에 따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420)이 제 1 디스플레이 영역(410) 및 제 3 디스플레이 영역(430)과 인접하도록 영역을 나눌 수 있다. 그에 따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420)의 접선에 대한 법선의 평균 각도를 가지는 법선의 방향(420a)은 제 1 방향(410a) 및 제 3 방향(430a)과 다를 수 있다.
또한, 법선의 평균 각도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곡률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브드 된 디스플레이 영역 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에 위치한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오기 위한 곡률에 대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오기 위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접선에 대한 법선의 각도 범위를 곡률에 대한 정보에 따라 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사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도 5는 경사도에 따라 다르게 디스플레이 영역이 구분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경사도가 없는 디스플레이 영역(510) 및 경사가 급하게 커브드 된 디스플레이 영역(520, 530)을 포함한 실시예이다. 도 5의 (b)는 경사도가 없는 디스플레이 영역(540) 및 경사가 완만하게 커브드 된 디스플레이 영역(550, 560)을 포함한 실시예이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커브드 된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마주보고 있는 사용자는 평면인 제 1 디스플레이 영역과 커브드 된 영역 중 시야에 들어오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만 볼 수 있다. 사용자는 커브드 된 영역 중 시야에 들어오지 않는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을 볼 수 없다.
그에 따라, 도 5의 (a)의 경우, 사용자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510)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520)을 볼 수 있고, 제 3 디스플레이 영역(530)은 볼 수 없다. 또한, 도 5의 (b)의 경우, 사용자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540)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550)은 볼 수 있고, 제 3 디스플레이 영역(560)은 볼 수 없다.
이와 같이, 경사가 급할수록, 전면에 있는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커브드 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사이즈는 줄어든다. 그에 따라, 도 5의 (a)에 도시된 제 2 디스플레이 영역(520)의 사이즈는 도 5의 (b)에 도시된 제 2 디스플레이 영역(550)의 사이즈 보다 작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다른 관점에서 도 5를 살펴보면, 도 5의 (a)는 커브드 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곡률이 일정한 경우이고, 도 5의 (b)는 커브드 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곡률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의 일 실시예이다.
도 5의 (a)와 같이 곡률이 일정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브드 된 디스플레이 영역을 일정한 크기로 나눔으로써, 제 2 디스플레이 영역(520)과 제 3 디스플레이 영역(530)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도 5의 (b)와 같이 곡률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엔, 전면에서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선에 들어오는 곡률 범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디스플레이 영역(550)과 제 3 디스플레이 영역(560)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텍팅 한 사용자의 방향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에서 가장 넓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볼 수 있도록,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520)을 사용자 위치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 영역(510)의 부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용하거나, 제 3 디스플레이 영역(530)의 부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550)을 사용자 위치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 영역(540)의 부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용하거나, 제 3 디스플레이 영역(560)의 부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방향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드를 다르게 조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을 다르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방향이 제 1 방향인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로 진입하고, 사용자의 방향이 제 2 방향인 경우,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520 or 550)을 제 1 디스플레이 영역(510 or 540)의 부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용하는 모드이다. 또한,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520 or 550)을 제 3 디스플레이 영역(530 or 560)의 부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용하는 모드이다. 이에 대해선,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제 1 디스플레이 모드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6의 (a)는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의 (b)는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6의 (a)에 도시된 측면도는 도 6의 (b)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아래 방향에 대한 측면도이다.
여기서, 제 1 디스플레이 영역(610)은 법선이 제 1 방향을 향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으로서, 제 1 방향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서 정면 방향일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의 맞은편에서 디스플레이 된 이미지 데이터를 보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사용자의 시선을 제 1 방향에서 디텍팅 하면,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는 커브드 된 디스플레이 영역 중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오는 일부 영역(620)을 제 1 디스플레이 영역(610)에 대한 부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용하는 모드이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커브드 된 디스플레이 영역 중 부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용할 영역을 구분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오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610) 및 부가 디스플레이 영역(620)에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오는 디스플레이 영역(630)에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제 1 디스플레이 영역(610) 이외에 제 2 디스플레이 영역(620)까지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는 동일한 이미지 데이터를 더 크게 볼 수 있다.
도 7은 제 2 디스플레이 모드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7의 (a)는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의 (b)는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7의 (a)에 도시된 측면도는 도 7의 (b)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아래 방향에 대한 측면도이다.
여기서, 제 3 디스플레이 영역(710)은 법선이 제 2 방향을 향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으로서, 제 2 방향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방향일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의 맞은편에서 디스플레이 된 이미지 데이터를 보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후면에서 전면 방향을 제 1 방향이라고 할 때, 제 1 방향에 대하여 측면으로 90도 가량 이동한 방향을 제 2 방향이라 할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사용자의 시선을 제 2 방향에서 디텍팅 하면,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는 커브드 된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 1 방향에서도 공통적으로 보이는 일부 영역(720)을 제 3 디스플레이 영역(710)에 대한 부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용하는 모드이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커브드 된 디스플레이 영역 중 부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용할 영역을 구분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오는 디스플레이 영역(730)에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제 3 디스플레이 영역(710)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720)에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700)가 제 3 디스플레이 영역(710) 이외에 제 2 디스플레이 영역(720)까지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는 동일한 이미지 데이터를 더 크게 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main user interface)와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peripheral user interface)가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일 실시예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설명한다.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홈 화면과 같이 기존에 제공되던 유저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는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이벤트 및 노티스를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로서, 커브드 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어 광고 기능, 알람 기능 등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제 1 디스플레이 모드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방향에 사용자의 정면을 디텍팅 하면,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즉, 도 8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사용자의 방향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 방향인 경우이다.
이때, 제 1 방향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에서 후면으로의 방향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서 정면으로의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방향은 평면인 제 1 디스플레이 영역(810)의 법선과 동일 방향일 수 있다.
사용자의 방향이 제 1 방향임을 디텍팅 한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 영역(810)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820)에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하고, 제 3 디스플레이 영역(830)에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즉, 제 2 디스플레이 영역(820)을 제 1 디스플레이 영역(810)의 부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800)의 정면에 위치한 사용자의 시야에 대응하여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더 큰 화면을 이용하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제 2 디스플레이 모드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90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방향에 사용자의 정면을 디텍팅 하면,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즉, 도 9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사용자의 방향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방향인 경우이다.
이때, 제 2 방향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의 방향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타측면에서 일측면으로의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방향은 제 1 방향과 다르고, 제 1 방향으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약 90도 정도 회전한 방향일 수 있다.
사용자의 방향이 제 2 방향임을 디텍팅 한 디스플레이 장치(900)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 영역(910)에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하고, 제 2 디스플레이 영역(920) 및 제 3 디스플레이 영역(930)에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즉, 제 2 디스플레이 영역(920)을 제 3 디스플레이 영역(930)의 부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900)의 측면에 위치한 사용자의 시야에 대응하여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측면에 디스플레이 된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를 확대된 사이즈로 볼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디스플레이 모드 또는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로 진입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방향을 디텍팅 할 수 있다. 사용자의 방향은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을 의미한다. 다만, 사용자의 방향은 사용자의 정면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방향만을 의미하는 것을 아니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정면으로의 방향일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얼굴, 사용자의 눈, 사용자의 정면 등을 디텍팅 함으로써, 사용자의 방향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근접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획득한 이미지에서 사용자를 디텍팅 하거나, 사용자의 얼굴 또는 사용자의 눈을 디텍팅 하여 사용자의 방향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얼굴이나 사용자의 눈을 디텍팅 하여 사용자의 방향을 아는 경우,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유사한 장점이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근접 센서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근접한 사용자의 위치를 알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가 결정한 사용자의 방향이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과 일치할 수도 있고,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만,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그립(grip)한 상태인지 여부 등을 함께 디텍팅 하면,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위치를 다양한 방법으로 디텍팅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의 위치를 디텍팅 하는 방법은 특정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위치를 디텍팅 하는 것에서 나아가, 사용자의 위치 변화를 디텍팅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디텍팅 하여 사용자의 위치 변화를 알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 변화를 디텍팅 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모드를 바꿀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사용자의 위치 관계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 1 방향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의 법선 방향, 제 2 방향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의 법선 방향인 경우에 대한 일 실시예이다. 다만,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영역의 곡률 또는 경사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방향이 제 1 방향이면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로 진입하고, 제 2 방향이면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사용자의 방향을 디텍팅 하며, 변화된 사용자의 방향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사용자의 방향이 제 1 방향으로부터 제 2 방향으로 0도(°)에서 30도 범위(1110, 이하 '제 1 범위'라 한다) 이내이면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로 진입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이미 제 1 디스플레이 모드이고, 사용자의 방향이 제 1 범위(1110) 이내에서 변하였으면 디스플레이 모드를 따로 변경하지 않는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사용자의 방향이 제 1 방향으로부터 제 2 방향으로 60도에서 90도 범위(1120, 이하 '제 2 범위'라 한다) 이내이면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로 진입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이미 제 2 디스플레이 모드이고, 사용자의 방향이 제 2 범위(1120) 이내에서 변하였으면 디스플레이 모드를 따로 변경하지 않는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사용자의 방향이 제 1 방향으로부터 제 2 방향으로 30도에서 60도 범위(1130, 이하 '제 3 범위'라 한다) 이내이면 스위치 오버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스위치 오버 모드는 제 1 디스플레이 모드 및 제 2 디스플레이 모드간 스위칭 하는 모드이다. 따라서, 스위치 오버 모드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디스플레이 모드 또는 제 2 디스플레이 모드일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사용자의 방향이 제 1 범위(1110)에 속하다가 제 3 범위(1130)에 속하는 것을 디텍팅 하면, 제 1 방향으로부터 제 2 방향으로 제 1 각도보다 클 때 제 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로 스위칭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사용자의 방향이 제 2 범위(1120)에 속하다가 제 3 범위(1130)에 속하는 것을 디텍팅 하면, 제 1 방향으로부터 제 2 방향으로 제 2 각도보다 작을 때 제 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로 스위칭 할 수 있다.
이때, 제 1 각도 및 제 2 각도는 제 3 범위(1130)에 속하고, 제 1 각도는 제 2 각도보다 클 수 있다. 즉, 제 1 각도 및 제 2 각도는 제 1 방향으로부터 제 2 방향으로 30도 내지 60도 범위에 속하고, 제 1 각도 및 제 2 각도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 의해 더 큰 값을 가지도록 기 설정될 수 있다.
제 1 방향에서 제 2 방향으로, 제 1 각도는 50도, 제 2 각도는 40도로 기 설정된 경우를 일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제 1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디텍팅 한 사용자의 방향이 제 3 범위(1130)에 있으면, 스위치 오버 모드로 진입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사용자의 방향이 제 1 방향에서 제 2 방향으로 30도에서 50도 이내이면 계속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를 유지하다가, 사용자의 방향이 50도보다 커지면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로 스위칭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스플레이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사용자의 방향이 제 1 방향에서 제 2 방향으로 50도이면, 제 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로 스위칭 할 수 있다.
이와 비교하여, 제 2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디텍팅 한 사용자의 방향이 제 3 범위(1130)에 있으면, 스위치 오버 모드로 진입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사용자의 방향이 제 1 방향에서 제 2 방향으로 40도에서 60도 이내이면 계속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를 유지하다가, 사용자의 방향이 40도보다 작아지면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로 스위칭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디스플레이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사용자의 방향이 제 1 방향에서 제 2 방향으로 40도이면, 제 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로 스위칭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각도, 제 2 각도는 제 1 방향에서 제 2 방향으로 30도 내지 60도 이내에서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제 1 각도는 제 2 각도보다 커야 한다.
또한, 제 1 범위(1110), 제 3 범위(1130) 및 제 2 범위(1120)의 경계에 있는 각도는 설정한 바에 따라 속하는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0)가 디텍팅 한 사용자의 방향이 제 1 방향으로 제 2 방향으로 30도인 경우, 제 1 범위(1110)에 속한다고 결정할 수도 있고 제 3 범위(1130)에 속한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즉, 미리 설정한 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위치가 변하는 것을 가정할 때,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시야에 보이는 디스플레이 영역은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방향에 따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의 조정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3 범위(1130)에 위치한 사용자를 디텍팅 한 경우, 제 1 각도 또는 제 2 각도가 되기 전에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하는 영역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1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드가 제 1 디스플레이 모드와 제 2 디스플레이 모드 간에 스위칭 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텍팅 한 사용자의 방향에 따라 도 11의 (a)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 모드일 수 있고, 도 11의 (b)와 같이 제 2 디스플레이 모드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방향이 변화하는 것을 디텍팅 하여 제 1 디스플레이 모드와 제 2 디스플레이 모드 간에 스위칭 할 수도 있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1110)을 제공하고,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에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112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디스플레이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1130)을 제공하고, 제 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에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1140)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1110)를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축소하고,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1120)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까지 확장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의 크기는 축소되어도, 사용자가 볼 수 없는 부분이 생기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달리,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1110)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동하고,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1120)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까지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볼 수 없는 부분이 생기지만,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의 크기는 그대로인 장점이 있다. 특히,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의 가장 자리는 빈 공간이거나 쓸데없는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 경우가 많아서,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동시켜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 일부 영역이 디스플레이 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겪는 불편함은 거의 없을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1130)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까지 확장하고,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1140)를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축소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달리,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1130)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까지 이동하고,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1140)를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2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된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와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121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거나, 현재 작업 중인 내용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홈 화면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실행 화면, 콘텐츠 실행 화면 등을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1210)를 통해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1210)는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1220)보다 더 큰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사용할 수 있다.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1220)는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이벤트 및 노티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게 알려야 할 이벤트(예를 들어, 작업 완료, 문자 송수신 완료, 메일 송수신 완료 등)를 디텍팅 하면,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1220)를 통해 알릴 수 있다.
또한,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1220)는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1210)보다 작은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사용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되는 콘텐츠의 중요도가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1210)보다 떨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커브드 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광고, 퀵 메뉴,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텍스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텍스팅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는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1210)를 통해 제공하고, 그 외, 검색 메뉴, 홈 화면으로의 이동 메뉴,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으로 숏컷 기능을 제공하는 아이콘을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122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디스플레이 하는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속성을 변경한 오브젝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1210)를 통해 텍스팅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경우, 텍스트를 수신하면,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1220)에 아이콘이나 별도의 텍스트 수신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1210)를 통해 텍스팅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경우,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1220)에 현재 텍스팅 서비스를 이용 중임을 알 수 있도록 텍스팅 서비스와 관련된 아이콘 등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즉,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디스플레이 하는 오브젝트는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위젯, 파일 등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태스크를 의미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속성을 변경한 오브젝트는 태스크에 대응하는 아이콘 등일 수 있다.
한편, 지금까지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 영역의 곡률, 경사도 등에 따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분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하는 설정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설정 인터페이스(13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제 2 디스플레이 영역(1310)의 사이즈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설정 인터페이스(13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제 2 디스플레이 영역(1310)과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선을 조정할 수 있고, 조정을 위한 인디케이터(1320)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제 2 디스플레이 영역(1310)에 대한 줌 인(zoom-in) 또는 줌 아웃(zoom-out) 입력을 디텍팅 하면, 제 2 디스플레이 영역(1310)의 사이즈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제 2 디스플레이 영역(1310)과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선에 대한 드래그(drag) 입력을 디텍팅 하면, 제 2 디스플레이 영역(1310)과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의 사이즈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각도에 따라, 보기 편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도 4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방향을 디텍팅 할 수 있다(S1400). 사용자의 방향은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미지 센서 등을 통해 사용자의 얼굴, 사용자의 눈 등을 디텍팅 하여 사용자의 방향을 디텍팅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방향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사용자까지 방향 또는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까지 방향일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텍팅 한 방향을 판단한다(S1410).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텍팅 한 방향이 제 1 방향인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1420). 제 1 방향은 앞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법선이 제 1 방향을 향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제 1 디스플레이 영역과 인접하고 커브드 된 영역을 포함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과 인접하고 커브드 된 영역을 포함하며 법선이 제 2 방향을 향하는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은 평면일 수 있으며, 제 2 방향은 제 1 방향과 다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브드 된 영역의 곡률, 경사도, 법선의 각도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 및 도 8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로 진입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의 부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9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텍팅 한 방향을 판단한 결과(S1410), 디텍팅 한 방향이 제 1 방향이 아닐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텍팅 한 방향이 제 2 방향인 경우,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1440).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의 부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용하는 모드이다.
이때, 도 10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디스플레이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방향 변화를 디텍팅 할 수 있다(S1450).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방향 변화를 디텍팅 하면,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1420). 또한, 제 1 디스플레이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방향 변화를 디텍팅 할 수 있다(S1430).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방향 변화를 디텍팅 하면,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1440).
다시 말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방향으로부터 제 2 방향까지 0도에서 30도 이내(제 1 범위), 60도에서 90도(제 2 범위) 및 30도에서 60도(제 3 범위)를 나눌 수 있다. 이때, 제 1 디스플레이 모드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범위 이내에서 사용자의 방향 변화를 디텍팅 하더라도,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를 유지한다. 반면에, 제 1 범위에서 제 3 범위로 사용자의 방향 변화를 디텍팅 하면 스위치 오버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스위치 오버 모드는 제 1 디스플레이 모드 및 제 2 디스플레이 모드 간 스위칭 하는 모드로서 기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면 모드를 스위칭 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 오버 모드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방향이 제 1 방향에서 제 2 방향으로 제 1 각도보다 커지면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로 스위칭 할 수 있다.
또한, 제 2 디스플레이 모드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범위 이내에서 사용자의 방향 변화를 디텍팅 하더라도,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를 유지한다. 반면에, 제 2 범위에서 제 3 범위로 사용자의 방향 변화를 디텍팅 하면 스위치 오버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 오버 모드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방향이 제 1 방향에서 제 2 방향으로 제 2 각도보다 작아지면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로 스위칭 할 수 있다.
이때, 제 1 각도 및 제 2 각도는 제 1 방향으로부터 제 2 방향으로 30도 내지 60도 범위에 속하고, 제 1 각도는 제 2 각도보다 크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 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 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가 있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 유닛 120 센서 유닛
130 스토리지 유닛 140 커뮤니케이션 유닛
150 프로세서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를 센싱하고, 센싱 결과에 따른 신호를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센서 유닛;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법선이 제 1 방향을 향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과 인접하고 커브드(curved) 된 영역을 포함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과 인접하고 커브드(curved) 된 영역을 포함하며 법선이 제 2 방향을 향하는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함; 및
    상기 센서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방향을 디텍팅 하고,
    상기 사용자의 방향이 상기 제 1 방향인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로 진입하되,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의 부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용하는 모드이고,
    상기 사용자의 방향이 상기 제 2 방향인 경우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로 진입하되,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의 부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용하는 모드인,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방향이, 상기 제 1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으로 0도에서 30도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로 진입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방향이, 상기 제 1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으로 60도에서 90도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로 진입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방향이, 상기 제 1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으로 30도 내지 60도 범위 이내인 경우, 스위치 오버 모드로 진입하되,
    상기 스위치 오버 모드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드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드간 스위칭 하는 모드로서, 스위치 오버 모드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디스플레이 모드 또는 제 2 디스플레이 모드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스위치 오버 모드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방향이 상기 제 1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으로 제 1 각도보다 클 때,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로 스위칭 하고, 상기 사용자의 방향이 상기 제 1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으로 제 2 각도보다 작을 때,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로 스위칭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각도 및 상기 제 2 각도는 상기 제 1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으로 30도 내지 60도 범위에 속하고, 상기 제 1 각도는 상기 제 2 각도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을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1 디스플레이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영역에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main user interface)를 제공하고,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에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peripheral 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축소하고, 상기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까지 확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동하고, 상기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이벤트 및 노티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광고, 퀵 메뉴,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디스플레이 하는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속성을 변경한 오브젝트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2 디스플레이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main user interface)를 제공하고,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에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peripheral 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까지 확장하고, 상기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축소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동하고, 상기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에 대한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을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법선이 제 1 방향을 향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과 인접하고 커브드(curved) 된 영역을 포함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과 인접하고 커브드(curved) 된 영역을 포함하며 법선이 제 2 방향을 향하는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함;
    센서 유닛을 통해 센싱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방향을 디텍팅 하는 단계;
    상기 디텍팅 한 방향이 상기 제 1 방향인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의 부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용하는 모드임; 및
    상기 디텍팅 한 방향이 상기 제 2 방향인 경우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의 부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용하는 모드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30027212A 2013-03-14 2013-03-14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70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212A KR102070773B1 (ko) 2013-03-14 2013-03-14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13/002904 WO2014142382A1 (en) 2013-03-14 2013-04-08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3/888,677 US9019170B2 (en) 2013-03-14 2013-05-07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212A KR102070773B1 (ko) 2013-03-14 2013-03-14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756A true KR20140112756A (ko) 2014-09-24
KR102070773B1 KR102070773B1 (ko) 2020-01-29

Family

ID=51537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212A KR102070773B1 (ko) 2013-03-14 2013-03-14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70773B1 (ko)
WO (1) WO201414238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9443A (ko) * 2014-12-26 2016-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6108298A1 (ko) * 2014-12-29 201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25190A (ko) * 2015-04-21 2016-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14979A (ko) * 2015-07-31 201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US10642310B2 (en) 2016-02-25 2020-05-0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mart device for displaying seamless image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for implement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2074A1 (en) 2013-09-17 2015-03-26 Nokia Corporation Determination of an oper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29327A1 (en) * 2008-07-29 2010-02-04 Jee Hyun Ho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US20120092363A1 (en) * 2010-10-13 2012-04-19 Pantech Co., Ltd. Apparatus equipped with flexible display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20120236893A1 (en) * 2011-02-14 2012-09-20 Gabi Neubauer Semiconductor Laser Mounting for Improved Frequency Stability
US20120274575A1 (en) * 2011-04-28 2012-11-01 Solomon Mark C Display with curved area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379B1 (ko) * 2009-10-14 2016-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방법
US9117384B2 (en) * 2011-03-18 2015-08-25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bendable displa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29327A1 (en) * 2008-07-29 2010-02-04 Jee Hyun Ho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US20120092363A1 (en) * 2010-10-13 2012-04-19 Pantech Co., Ltd. Apparatus equipped with flexible display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20120236893A1 (en) * 2011-02-14 2012-09-20 Gabi Neubauer Semiconductor Laser Mounting for Improved Frequency Stability
US20120274575A1 (en) * 2011-04-28 2012-11-01 Solomon Mark C Display with curved area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9443A (ko) * 2014-12-26 2016-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6108298A1 (ko) * 2014-12-29 201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481759B2 (en) 2014-12-29 2019-11-19 Lg Electronics Inc. Bended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function of application through image displayed on sub-reg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60125190A (ko) * 2015-04-21 2016-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14979A (ko) * 2015-07-31 201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WO2017022971A1 (ko) * 2015-07-31 2017-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US10872556B2 (en) 2015-07-31 2020-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US10642310B2 (en) 2016-02-25 2020-05-0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mart device for displaying seamless image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for implemen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42382A1 (en) 2014-09-18
KR102070773B1 (ko) 202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917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109727B1 (en) Mobile terminal
KR101974652B1 (ko) 오디오 출력과 비디오 출력을 연계하여 조정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그 제어 방법
US9619061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0254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daptive edge-to-edge display system for multi-touch devices
US8884874B1 (en) Digit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60291864A1 (en) Method of interacting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4011275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03064B1 (ko)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EP3335410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notification displaying method for electronic apparatus
KR101999119B1 (ko) 펜 입력 장치를 이용하는 입력 방법 및 그 단말
TW201608456A (zh) 連續性
US2014022989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150129386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97495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EP2983075B1 (en)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20140125597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EP2687972A2 (en) Techniques for programmable button on bezel of mobile terminal
KR101861377B1 (ko) 이동 단말에서 모션 기반의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KR20150111165A (ko) 히스토리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17110A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구동 방법
KR2015002465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룹 정보 설정 방법
KR2015012297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103506A1 (en) Input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1405630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