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2390A - 이어폰 접이장치 및 그 조립체 - Google Patents

이어폰 접이장치 및 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2390A
KR20140112390A KR1020140007727A KR20140007727A KR20140112390A KR 20140112390 A KR20140112390 A KR 20140112390A KR 1020140007727 A KR1020140007727 A KR 1020140007727A KR 20140007727 A KR20140007727 A KR 20140007727A KR 20140112390 A KR20140112390 A KR 20140112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band
groove
elastic member
buckle
fix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텡 후앙
Original Assignee
제트복스 어쿠스틱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트복스 어쿠스틱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제트복스 어쿠스틱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40112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3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 접이장치 및 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이어폰 접이장치는 제1헤드밴드, 제2헤드밴드, 베이스, 회전축, 탄성부재 및 버튼을 포함한다. 그 중, 버튼은 베이스의 수용홈에 위치하고 탄성부재에 저촉하며 가압부와 버클을 포함하고, 탄성부재가 연장길이일 경우 탄성부재는 버튼을 압착하여 버클이 끼움 블록에 끼우도록 하고, 제2헤드밴드와 제1헤드밴드는 동축 위치에 위치하며, 가압부를 압착할 경우, 탄성부재는 압축길이로 되어 버클이 끼움 블록에서 이탈되도록 하고, 제2헤드밴드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헤드밴드와 제1헤드밴드가 나란히 위치되게 한다.

Description

이어폰 접이장치 및 그 조립체{EARPHONE FOLDING DEVICE AND ASSEMBLY THEREOF}
본 발명은 접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어폰 접이장치 및 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비디오 엔터테인먼트 및 오디오/비디오 기기의 사용이 날로 보급되고 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고품질의 오디오/비디오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도 많은 기능을 추가하였다. 그 중, 일반적인 헤드장착식 이어폰을 예로 하면, 헤드부에 장착하여 지지 작용을 하기 위한 헤드밴드를 구비하는데 사용 완료 후 일반적으로 걸어두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헤드장착식 이어폰은 부피가 크고 또한 헤드밴드 및 귀마개에 있어서, 사용자가 이어폰을 내려놓을 때 헤드밴드와 분리된 2개의 귀마개는 부피가 너무 커서 공간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휴대 및 수납에도 불편을 초래하기 때문에 헤드장착식 이어폰의 구조에 접이, 스위치 등 작용을 발휘하는 어셈블리를 추가함으로써 수납의 편리성과 제품의 부가적 가치를 향상시키는 것은 당업자들이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로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어폰 접이장치 및 그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헤드장착식 이어폰이 음악 감상 기능만 제공할 수 있고 수납이 용이하도록 접이 등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헤드밴드, 제2헤드밴드, 베이스, 회전축, 탄성부재 및 버튼을 포함하는 이어폰 접이장치를 제공한다. 그 중, 버튼은 베이스의 수용홈에 위치하고 탄성부재에 저촉하며 가압부와 버클을 포함하는데 탄성부재가 연장길이일 경우 탄성부재는 버튼을 압착하여 버클이 끼움 블록에 끼우도록 하고, 제2헤드밴드와 제1헤드밴드가 동축 위치에 위치하여 가압부를 압착할 때 탄성부재는 압축길이로 되어 버클이 끼움 블록에서 이탈되도록 하며, 제2헤드밴드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헤드밴드와 제1헤드밴드가 나란히 위치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헤드밴드, 제2헤드밴드, 베이스, 회전축, 탄성부재, 버튼, 제1커버 및 제2커버를 포함하는 이어폰 접이조립체를 제공한다. 그 중, 버튼은 베이스의 수용홈에 위치하고 탄성부재에 저촉되며 가압부와 버클을 포함하는데 탄성부재가 연장길이일 경우, 탄성부재는 버튼을 압착하여 버클이 끼움 블록에 끼우도록 하고, 제2헤드밴드와 제1헤드밴드는 동축 위치에 위치하여 가압부를 압착할 때 탄성부재는 압축길이로 되어 버클이 끼움 블록에서 이탈하도록 하며, 제2헤드밴드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헤드밴드와 제1헤드밴드가 나란히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제1커버는 제1헤드밴드에 연결되고 제1커버의 다방향 회전을 실현하기 위한 제1회전장치를 포함하고, 제2커버는 제2헤드밴드에 연결되어 제2커버의 다방향 회전을 실현하기 위한 제2회전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어폰 접이장치에 따르면, 버튼 스위치의 편리한 조작에 의해 제1헤드밴드와 제2헤드밴드를 쉽게 잠그거나 열릴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회전축에 의해 제2헤드밴드가 접혀 제1헤드밴드와 나란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하며 또한 제1회전장치와 제2회전장치를 이용하여 다방향 회전의 제1커버와 제2커버를 제공함으로써 부피를 축소시키고 수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외관 예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부 분해 예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각도의 일부 분해 예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버튼을 누르지 않을 때의 일부 단면 예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버튼을 누를 때의 일부 단면 예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버튼의 일부 단면 예시도(1)이고,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버튼의 일부 단면 예시도(2)이고,
도8은 본 발명의 회전 헤드밴드의 일부 분해 예시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회전 커버의 외관 예시도(1)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회전 커버의 외관 예시도(2)이다.
도1, 도2,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어폰 접이장치(10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이어폰 접이장치(100)는 주로 제1헤드밴드(11), 제2헤드밴드(21), 베이스(31), 회전축(41), 탄성부재(51) 및 버튼(61)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어폰 접이장치(100)는 헤드장착식 이어폰의 멀티미디어 부품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이어폰 접이장치(100)는 제1커버(81)와 제2커버(91)를 구비하고, 일반적인 음성 출력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제1헤드밴드(11)는 반호형의 장식판인데 본 실시예에서 제1헤드밴드(11) 내에는 제1고정시트(12)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고정시트(12)는 탄성기능을 가진 얇은 철편으로서, 인성을 가지고 있어 단열을 방지하고 또한 연장 또는 단축하는 작용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고정시트(12)의 일단은 제1만곡부(13)를 구비하고, 제1만곡부(13)에는 샤프트홀(131)이 관통되어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제2헤드밴드(21)는 반호형의 장식판인데 본 실시예에서 제2헤드밴드(21) 내에는 제2고정시트(22)와 끼움 블록(23)이 설치되어 있고, 제2고정시트(22)는 탄성기능을 가진 얇은 철편으로서, 인성을 가지고 있어 단열을 방지하며 또한 연장 또는 단축하는 작용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고정시트(22)의 일단은 제2만곡부(25)를 구비하고, 제2만곡부(25)에는 샤프트홀(251)이 관통되어 있다.
도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2헤드밴드(21)의 일단에는 루프(26)가 끼워 있고, 루프(26)는 주로 상부 덮개(261)와 하부 덮개(262)로 구성된다.
도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끼움 블록(23)은 원기둥체로서 루프(26)중(즉, 끼움 블록(23)과 루프(26)의 분리 어셈블리)에 설치되고, 제2고정시트(22)는 상부 덮개(261)와 하부 덮개(262) 사이에 위치하며, 하부 덮개(262)에는 전환부(263)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제2만곡부(25)와 대응되며, 전환부(263)에는 샤프트홀(264)이 관통되어 있고 제2만곡부(25)의 샤프트홀(251)과 대응된다.
끼움 블록(23)이 원기둥체인 것에 관한 전술한 설명은 예에 불과하고 일부 실시태양에서 도6을 참조하면 끼움 블록(23)은 하부 덮개의 벽면이 돌출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제2헤드밴드(21)는 하부 덮개(262)의 전환부(263)에 위치하는 위치제한홈(24)을 더 구비하고, 여기서 위치제한홈(24)은 반호형의 오목홈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2헤드밴드(21)는 상부 덮개(261)와 하부 덮개(262)의 측단(즉, 홀 타이프를 형성함)에 위치하는 관통홈(27)을 더 구비하고, 끼움 블록(23)은 관통홈(27)의 내측에 위치한다.
도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31)는 주로 상부판(311)과 하부판(312)으로 구성되고, 단면의 투영으로 볼 때 상부판(311)과 하부판(312)은 대략 대향하는 L자형을 나타내고, 전체적으로 볼 때 C자형의 클립을 형성한다. 또한, 베이스(31)는 제1고정시트(12)와 제2고정시트(22) 사이를 연결하고,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31)의 일단은 수용홈(32)을 구비하고, 수용홈(32) 내측에는 버튼(61)의 가압부(62)를 향하는 끼움홈(321)을 구비하며, 베이스(31)의 다른 일단에는 회전홈(34)(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즉 상부판(311)과 하부판(312) 사이의 슬롯)이 더 설치되어 있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31)에는 제2헤드밴드(21)의 위치제한홈(24)에 위치하는 슬라이더(33)가 더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33)가 위치제한홈(24)의 제1위치(P1)에 위치할 경우(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헤드밴드(21)와 제1헤드밴드(11)는 동축 위치(O)에 위치하고, 슬라이더(33)가 위치제한홈(24)의 제2위치(P2)에 위치할 경우(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헤드밴드(21)와 제1헤드밴드(11)는 나란하게 위치한다.
베이스(31)에 슬라이더(33)가 설치되어 있고 제2헤드밴드(21)에 위치제한홈(24)이 설치되어 있는 방식에 대한 전술한 설명은 예에 불과하고, 일부 실시태양에서 베이스(31)에는 위치제한홈(24)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제2헤드밴드(21)에는 슬라이더(33)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회전축(41)은 피벗 어셈블리인데, 여기서 회전축(41)은 주로 나사대(42)와 나사(43)로 구성되고, 나사대(42)와 나사(43)는 샤프트홀(131/251/264)을 통과하여 서로 결합된다. 회전축(41)으로 베이스(31)를 관통하고 제1고정시트(12)와 제2고정시트(22)를 피벗 연결한다.
도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51)는 압축 스프링으로서, 수용홈(32)에 위치한다. 탄성부재(51)가 압축 스프링인 것은 예에 불과하고, 일부 실시태양에서 탄성부재(51)는 고무, 리드 등 기타 탄성 어셈블리일 수 있다.
도2 및 도4를 참조하면, 버튼(61)은 수용홈(32) 내에 위치하여 운동하고, 버튼(61)의 일면은 탄성부재(51)에 저촉되는데, 여기서 버튼(61)은 주로 가압부(62)와 버클(63)로 구성되고, 그 중 가압부(62)는 돌출 블록 구조로서 수용홈(32) 밖으로 돌출되어 눌림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버클(63)은 후크형 구조로서 베이스(31) 측단의 커팅홀(35) 밖으로 연장되고, 본 실시예에서 가압부(62)와 버클(63)은 일체 성형으로 제작된다.
상기 설명에 따른 버튼(61)의 변위방식은 직접 수용홈(32) 내로 출입하여 버클(63)이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유도하는 것이지만(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변위방식은 예에 불과하고, 일부 실시태양에서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버튼(61)의 변위방식은 회전하여 버클(63)이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유도하는 방식일 수 있고, 버튼(61)과 수용홈(32) 사이에 샤프트부(65) 구조를 설치하여 서로 연결하게 할 수 있고, 샤프트부(65) 구조는 가압부(62)와 버클(63) 사이에 위치하며, 가압부(62)가 압력을 받을 경우 다른 일단의 버클(63)이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샤프트부(65) 구조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버클(63)이 마주 설치된 끼움 블록(23)에서 더욱 이탈하게 되는데, 여기서 끼움 블록(23)은 하부 덮개의 벽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제1헤드밴드(11)와 제2헤드밴드(21)를 열거나 잠그는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
도3을 참조하면, 가압부(62)에는 수용홈(32)을 향하는 오목홈(621)이 더 설치되어 있고, 탄성부재(51)의 일단은 오목홈(621)에 위치하는데, 여기서 수용홈(32) 내에 설치된 끼움홈(321)은 가압부(62)를 향하고, 탄성부재(51)의 다른 일단은 끼움홈(321)에 위치한다.
도4를 참조하면, 이어폰을 사용할 때, 즉 제1헤드밴드(11)와 제2헤드밴드(21)가 동축 위치(O)에 위치할 때 탄성부재(51)는 연장길이이고, 탄성부재(51)의 일단은 버튼(61)을 눌러 버클(63)이 끼움 블록(23)에 끼우도록 하며(즉, 버튼(61)의 버클(63)이 관통홈(27)에 들러가 끼움 블록(23)을 끼움), 도5를 참조하면 이어폰을 접을 때, 즉 가압부(62)를 누를 때 탄성부재(51)가 압축길이로 되게 하고 버클(63)이 끼움 블록(23)에서 이탈되도록 하는데, 그 다음 회전축(41)을 중심으로 제2헤드밴드(21)를 회전하여 제2헤드밴드(21)와 제1헤드밴드(11)가 나란하게 위치하는 상태로 되게 한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제2헤드밴드(21)와 제1헤드밴드(11)가 동축 위치(O)에 위치할 때 제1만곡부(13)는 제2만곡부(25)와 중첩되어 회전홈(34)에 위치하게 되고, 제2헤드밴드(21)와 제1헤드밴드(11)가 나란히 위치할 때 제2만곡부(25)는 회전홈(34)에 노출된다(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음).
도1, 도9 및 도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어폰 접이조립체(200)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와 제1실시예의 가장 큰 차이점은 이어폰 접이조립체(200)의 제1커버(81)는 제1회전장치(82)를 더 구비하고, 제2커버(91)는 제2회전장치(92)를 더 구비하며, 제1커버(81)와 제2커버(91)는 모두 양방향 회전 작용을 가지고 있다.
도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1커버(81)는 원형 커버로서 내부에 단일체 구조(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커버(81)는 제1헤드밴드(11)를 연결하기 위한 제1회전장치(82)를 구비하는데, 여기서 제1회전장치(82)는 주로 양축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9 및 도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1회전장치(82)의 메인축(83) 부분은 제1헤드밴드(11)와 연결되고 제1헤드밴드(11)와 동축 위치에 위치하여 제1커버(81)가 메인축(83)을 중심으로 제1방향(R1)으로 회전되게 함으로써 제1커버(81)의 각도를 조정하여 귀에 밀착하게 하거나 수납되도록 하고, 제1커버(81)를 조정하여 제1헤드밴드(11)와 일치되도록 하게 한다.
도9 및 도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1회전장치(82)의 서브축(84) 부분은 제1헤드밴드(11)의 내측 단부에 연결되어 제1커버(81)가 서브축(84)을 중심으로 제2방향(R2)으로 회전하게 함으로써 제1커버(81)의 각도를 조정하여 수납되도록 하고, 제1커버(81)를 조정하여 제1헤드밴드(11)에 접근시켜 접이 수납의 목적을 달성하고, 제1회전장치(82)에 의해 다방향으로 제1커버(81)를 회전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9 및 도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2커버(91)는 원형 커버로서 내부에 단일체 구조(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커버(91)는 제2헤드밴드(21)를 연결하기 위한 제2회전장치(92)를 구비하는데, 여기서 제2회전장치(92)는 주로 양축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9 및 도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2회전장치(92)의 메인축(93) 부분은 제2헤드밴드(21)와 연결되고 제2헤드밴드(21)와 동축 위치에 위치하여 제2커버(91)가 메인축(93)을 중심으로 제1방향(R1)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제2커버(91)의 각도를 조정하여 귀에 밀착되거나 수납되도록 하고, 제2커버(91)를 조정하여 제2헤드밴드(21)와 일치되도록 하게 한다.
도9 및 도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2회전장치(92)의 서브축(94) 부분은 제2헤드밴드(21)의 내측 단부와 연결되어 제2커버(91)가 서브축(94)을 중심으로 제2방향(R2)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제2커버(91)의 각도를 조정하여 수납되도록 하고, 제2커버(91)를 조정하여 제2헤드밴드(21)에 접근시켜 접이 수납의 목적을 달성하고, 제2회전장치(92)에 의해 다방향으로 제2커버(91)를 회전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변경과 수식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 이어폰 접이장치
200 : 이어폰 접이조립체
11 : 제1헤드밴드
12 : 제1고정시트
13 : 제1만곡부
131 : 샤프트홀
21 : 제2헤드밴드
22 : 제2고정시트
23 : 끼움 블록
24 : 위치제한홈
25 : 제2만곡부
251 : 샤프트홀
26 : 루프
261 : 상부 덮개
262 : 하부 덮개
263 : 전환부
264 : 샤프트홀
27 : 관통홈
31 : 베이스
311 : 상부판
312 : 하부판
32 : 수용홈
321 : 끼움홈
33 : 슬라이더
34 : 회전홈
35 : 커팅홀
41 : 회전축
42 : 나사대
43 : 나사
51 : 탄성부재
61 : 버튼
62 : 가압부
621 : 오목홈
63 : 버클
65 : 샤프트부
81 : 제1커버
82 : 제1회전장치
83 : 메인축
84 : 서브축
91 : 제2커버
92 : 제2회전장치
93 : 메인축
94 : 서브축
O : 동축 위치
R1 : 제1방향
R2 : 제2방향
P1 : 제1위치
P2 : 제2위치

Claims (10)

  1. 제1고정시트를 포함하는 제1헤드밴드;
    제2고정시트와 끼움 블록을 포함하는 제2헤드밴드;
    상기 제1고정시트와 상기 제2고정시트 사이를 연결하고, 일단이 수용홈을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관통하여 상기 제1고정시트와 상기 제2고정시트를 피벗 연결되는 회전축;
    상기 수용홈에 위치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수용홈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부재에 저촉하며, 가압부와 버클을 포함하는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가 연장길이일 경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버튼을 압착하여 상기 버클이 상기 끼움 블록에 끼우도록 하고, 상기 제2헤드밴드와 상기 제1헤드밴드는 동축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가압부를 압착할 경우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길이로 되어 상기 버클이 상기 끼움 블록에서 이탈되도록 하고, 상기 제2헤드밴드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헤드밴드와 상기 제1헤드밴드가 나란히 위치하도록 하는 이어폰 접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헤드밴드는 위치제한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위치제한홈에 위치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위치제한홈의 제1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2헤드밴드와 상기 제1헤드밴드는 동축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위치제한홈의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2헤드밴드와 상기 제1헤드밴드는 나란히 위치하는 이어폰 접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다른 일단은 회전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시트는 제1만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시트는 제2만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헤드밴드와 상기 제1헤드밴드가 동축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1만곡부는 상기 제2만곡부와 중첩되어 상기 회전홈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2헤드밴드와 상기 제1헤드밴드가 나란히 위치할 때 상기 제2만곡부는 상기 회전홈에 노출되는 이어폰 접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상기 가압부는 상기 수용홈을 향하는 오목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오목홈에 위치하며, 상기 수용홈은 상기 가압부를 향하는 끼움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은 상기 끼움홈에 위치하는 이어폰 접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헤드밴드는 관통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끼움 블록은 상기 관통홈에 위치하며, 상기 버튼의 상기 버클은 상기 관통홈에 들어가 상기 끼움 블록에 끼우게 되는 이어폰 접이장치.
  6. 제1고정시트를 포함하는 제1헤드밴드;
    제2고정시트와 끼움 블록을 포함하는 제2헤드밴드;
    상기 제1고정시트와 상기 제2고정시트 사이를 연결하고 일단이 수용홈을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관통되어 상기 제1고정시트와 상기 제2고정시트를 피벗 연결되는 회전축;
    상기 수용홈에 위치하는 탄성부재;
    상기 수용홈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부재에 저촉하며 가압부와 버클을 포함하는 버튼;
    상기 제1헤드밴드와 연결되어 다방향 회전을 실현하게 하는 제1회전장치를 포함하는 제1커버; 및
    상기 제2헤드밴드와 연결되어 다방향 회전을 실현하게 하는 제2회전장치를 포함하는 제2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가 연장길이일 경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버튼을 압착하여 상기 버클이 상기 끼움 블록에 끼우도록 하고, 상기 제2헤드밴드와 상기 제1헤드밴드는 동축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가압부를 압착할 때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길이로 되어 상기 버클이 상기 끼움 블록에서 이탈되도록 하고, 상기 제2헤드밴드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헤드밴드와 상기 제1헤드밴드가 나란히 위치하도록 하는 이어폰 접이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헤드밴드는 위치제한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위치제한홈에 위치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위치제한홈의 제1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2헤드밴드와 상기 제1헤드밴드가 동축 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위치제한홈의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2헤드밴드와 상기 제1헤드밴드는 나란히 위치하게 되는 이어폰 접이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다른 일단은 회전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시트는 제1만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시트는 제2만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헤드밴드와 상기 제1헤드밴드가 동축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1만곡부는 상기 제2만곡부와 중첩되어 상기 회전홈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2헤드밴드와 상기 제1헤드밴드가 나란히 위치할 때 상기 제2만곡부는 상기 회전홈에 노출되는 이어폰 접이조립체.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상기 가압부는 상기 수용홈을 향하는 오목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오목홈에 위치하며, 상기 수용홈은 상기 가압부를 향하는 끼움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은 상기 끼움홈에 위치하는 이어폰 접이조립체.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헤드밴드는 관통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끼움 블록은 상기 관통홈에 위치하며, 상기 버튼의 상기 버클은 상기 관통홈에 들어가 상기 끼움 블록에 끼우게 되는 이어폰 접이조립체.
KR1020140007727A 2013-03-13 2014-01-22 이어폰 접이장치 및 그 조립체 KR201401123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2204613U TWM456036U (zh) 2013-03-13 2013-03-13 耳機摺疊裝置及其總成
TW102204613 2013-03-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390A true KR20140112390A (ko) 2014-09-23

Family

ID=49031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727A KR20140112390A (ko) 2013-03-13 2014-01-22 이어폰 접이장치 및 그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270313A1 (ko)
EP (1) EP2779694A1 (ko)
KR (1) KR20140112390A (ko)
EA (1) EA201490241A1 (ko)
TW (1) TWM45603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49980A (zh) * 2015-08-20 2015-11-11 深圳市冠旭电子有限公司 头戴式耳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86569A1 (en) * 2015-04-21 2016-10-26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Sport headphones
CN105792052B (zh) * 2016-05-14 2018-07-06 歌尔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式头戴结构
US10743106B2 (en) * 2018-08-09 2020-08-11 Bose Corporation Headphone earcup mount in continuous headband-spring headphone system
WO2021030937A1 (zh) * 2019-08-16 2021-02-25 深圳前海帕拓逊网络技术有限公司 旋转支架、旋转支架的组装方法及应用该旋转支架的耳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46997B1 (fr) * 1996-03-28 1998-11-20 Pralus Charles Ensemble telephonique transformable en casque telephonique
CN101336008B (zh) * 2007-08-24 2011-12-07 中名(东莞)电子有限公司 一种旋转折叠式耳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49980A (zh) * 2015-08-20 2015-11-11 深圳市冠旭电子有限公司 头戴式耳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201490241A1 (ru) 2014-11-28
TWM456036U (zh) 2013-06-21
US20140270313A1 (en) 2014-09-18
EP2779694A1 (en)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12390A (ko) 이어폰 접이장치 및 그 조립체
US10735847B2 (en) Earphone
WO2015022765A1 (ja) ヘッドフォン型音響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10567860B2 (en) Open-close type earphone structure
US20060126882A1 (en) Earphone
US20060153414A1 (en) Earphone device having composite functions
US11303985B2 (en) Electronic device
US20070177748A1 (en) Earphone structure
CN109474864A (zh) 声音输出装置
US20150023518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wireless functionality to an audio playback device
TW201417595A (zh) 頭戴式降噪耳罩
CN106231479B (zh) 圈铁耳机
US20150139473A1 (en) Headset with ball joint allowing rotation of earpieces in multiple axes
US20210028807A1 (en) Mobile phone holder with sliding opening
TW202211695A (zh) 耳機裝置、頭戴式耳機裝置及聲音撥放裝置
CN216600030U (zh) 一种通过霍尔开关实现咪杆机械转动时耳机静音的结构
CN203326339U (zh) 取卡工具
CN112055281B (zh) 一种骨传导发声装置
JP5301401B2 (ja) ステレオマイクロホン
CN110881151B (zh) 夹持力可调式头戴耳机
KR101546236B1 (ko) 휴대용 전자기기 웨어러블 고정기구
JP3189866U (ja) ヘッドホン折り畳み装置及びそのアセンブリ
CN202218375U (zh) 一种可全方位调节的头戴式耳机
CN202218374U (zh) 一种结构改良的头戴式耳机
KR101881069B1 (ko) 힌지부를 구비하는 넥 밴드 헤드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