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1966A - 모든 디지털 송신기 잡음 정정 - Google Patents

모든 디지털 송신기 잡음 정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1966A
KR20140111966A KR1020140027190A KR20140027190A KR20140111966A KR 20140111966 A KR20140111966 A KR 20140111966A KR 1020140027190 A KR1020140027190 A KR 1020140027190A KR 20140027190 A KR20140027190 A KR 20140027190A KR 20140111966 A KR20140111966 A KR 20140111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tter
receiver
channe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4393B1 (ko
Inventor
파르틱 프라트
피다 안토니 포브스
Original Assignee
아날로그 디바이시즈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날로그 디바이시즈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아날로그 디바이시즈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140111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75Circuits with means for limiting noise, interference or distor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04B1/52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 H04B1/525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with means for reducing leakage of transmitter signal in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2Neutralising, balancing, or compensation arrangements
    • H04B1/123Neutralising, balancing, or compensation arrangements using adaptive balancing or compensation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23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for simultaneous baseba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1Suppression of signals in the return path, i.e. bidirectional control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Transceiver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송신기-수신기의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신호들 내의 비선형 송신기 신호 왜곡의 모든 디지털 모델은 왜곡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 다음, 추정된 왜곡은 수신된 신호의 신호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소거될 수 있다. 디지털 비선형 모델은 공식 또는 변환을 송신기-수신기의 송신기에서 송신되는 디지털화된 버전의 신호들에 적용함으로써 비선형 왜곡 항들을 추정하는 추정기 회로의 일부일 수 있다. 혼합기는 비선형 항들이 수신기 주파수에서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착신 신호로부터 나중에 감산될 수 있도록 추정된 비선형 항들의 주파수를 송신기 주파수에서 떨어진 곳으로 시프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회로들 및 방법들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모든 디지털 송신기 잡음 정정{ALL DIGITAL TRANSMITTER NOISE CORRECTION}
전이중 RF(radio frequency) 송신기-수신기들 및 송수신기들은 RF 신호들을 동시에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었다. 전형적으로, 송신 대역들 및 수신 대역들은 발신 송신기 신호들로부터 간섭을 수신기에서 최소화하기 위해 서로 오프셋되었다. 송신 대역들이 수신 대역들과 상이하지만, 송신된 신호로부터의 성분들은 간섭을 야기하는 수신기에서의 수신된 신호들로 여전히 누설될 수 있다. 이러한 간섭은 수신기가 더 약한 신호들을 수신하는 감소된 능력을 갖도록 수신기의 감도를 감소시켰다.
수신된 신호로 누설되는 성분들은 송신기-수신기 회로들의 비선형 특성들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기 증폭기들은 발신 신호들을 선형 증폭하도록 설계되었지만, 실제로 제조 및 다른 제한들은 발신 신호의 상이한 성분들의 비선형 증폭을 야기하였다. 이러한 비선형 증폭은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착신 신호들을 왜곡하였다. 다른 경우들에서, 신호 샘플링 동안의 비선형 근사 오차들과 같은 송신기-수신기 회로들의 다른 비선형 특성들은 또한 수신된 신호들을 왜곡하였다.
수신기에서 왜곡을 최소화하는 기존 해결법들은 비선형 항들을 제거하고 필터 적응 및 수렴 레이트들을 향상시키는 부가 필터들을 포함함으로써 이러한 회로들의 선형성을 향상시키고 왜곡의 비선형 소스들을 감소시키는 것에 집중하였다. 이러한 향상들 및 부가 필터들은 더 많은 전력을 소모하는 부가 요소들을 갖는 더 크고 더 고가의 회로들을 야기하였다. 더 크고, 더 고가이며, 더 많은 전력을 소모하는 회로들은 스마트폰들, 태블릿들, 및 다른 이동 RF 디바이스들과 같은 더 적은 전력을 소모하도록 설계된 더 작은 크기의 휴대용 디바이스들에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기존 해결법들은 또한 다수의 송신기들 및 하나 이상의 수신기들을 포함하는 시스템들에 적합하지 않다. 다수의 송신기들을 갖는 시스템들에서, 각각의 수신기에서의 신호들은 단지 하나보다 많은 송신기로부터의 발신 신호들에 의해 왜곡될 수 있다. 다수의 송신기 시스템들에서 왜곡을 최소화하는 기존 회로들은 이러한 더 작은 휴대용 배터리 전원 디바이스들에 비해 너무 크고, 고가이며, 전력 소모적이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더 작은 휴대용 디바이스들 내의 송신기들 및 수신기들은 지정된 신호 대역에서의 이용가능 채널들의 서브세트만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이 이용가능 채널들의 서브세트만을 사용하는 경우들에서, 신호 대역의 미사용 채널들에서의 임의의 왜곡은 수신된 착신 채널들로부터 제거될 필요가 없다. 기존 해결법들은 미사용 채널들에 포함하는 전체 신호 대역으로부터 왜곡들을 제거하는 것에 집중하였다. 따라서, 해결법들은 미사용 채널들에서 왜곡들을 제거하기 위해 추가 처리 시간 및 전력을 필요로 했지만, 그렇게 할 필요는 없었다.
수신된 신호들에서 송신기 신호 왜곡을 비용 효율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는 더 작은 저전력 송신기 잡음 정정 회로에 대한 요구가 있다. 활성 채널들만으로부터 및/또는 다수의 송신기들로부터 왜곡들을 제거할 수 있는 휴대용 디바이스들에 적절한 더 작은 저전력 송신기 잡음 정정 회로에 대한 요구가 또한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제 1 예시적 회로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제 2 예시적 회로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제 3 예시적 회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제 4 예시적 회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예시적 방법들을 도시한다.
전이중 RF 송신기-수신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송신기-수신기의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들에서의 비선형 송신기 신호 왜곡의 모든 디지털 모델은 왜곡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 다음, 추정된 왜곡은 수신된 신호의 신호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소거될 수 있다. 디지털 비선형 모델은 송신기-수신기에서 송신되는 신호들의 디지털화된 버전에 공식 또는 변환을 적용함으로써 비선형 왜곡 항들을 추정하는 추정기 회로의 일부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비선형 왜곡을 추정하고 소거하기 위해 모든 디지털 회로조직을 사용하는 것은 또한 더 적은 전력을 소모하는 더 작고 더 비용 효율적인 잡음 정정 회로들의 개발 및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송신기 및 수신기가 상이한 주파수들에서 동작하는 그러한 경우들에서, 혼합기는 비선형 항들이 수신기 주파수에서의 착신 신호들로부터 이후에 감산될 수 있도록 송신된 신호들의 추정된 비선형 항들의 주파수를 송신기 주파수에서 떨어진 곳으로 시프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혼합기는 송신기 주파수와 수신기 주파수 사이의 오프셋에 기초하여 추정된 비선형 항들을 중간 주파수로 시프트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비선형 항들이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착신 신호들의 상응하는 부분과 시간 정렬될 때까지 주파수 시프트된 추정 비선형 항들은 지연 유닛에서 지연될 수 있다. 이것은 비선형 항들이 상응하는 송신기 간섭 항들을 포함하는 수신된 신호들의 상응하는 부분으로부터 감산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데시메이터는 추정된 비선형 항들을 수신된 착신 신호들의 것과 매칭하는 주파수로 다운샘플링할 수 있다.
추정된 비선형 항들이 수신된 착신 신호들의 주파수에 있고 상응하는 비선형 간섭 항을 포함하는 수신된 착신 신호들의 상응하는 부분과 동기화되면, 추정된 비선형 항들은 수신된 착신 신호들로부터 잡음 항을 제거하기 위해 수신된 착신 신호들로부터 감산될 수 있다.
적응 엔진은 잡음 항이 감산기에 의해 제거된 후 디지털화된 송신 및 수신 신호들을 수신된 신호들과 비교하는 일부 경우들에 제공될 수도 있다. 그 다음, 적응 엔진은 비교에 기초하여 비선형성 모델의 에러를 추정하고 그 다음 에러를 더 감소시키기 위해 비선형성 모델에 대한 갱신된 계수들을 생성할 수 있다. 적응 엔진은 에러가 제거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최소화될 때까지, 에러를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보간기는 언더샘플링으로 인한 에일리어싱(aliasing)을 회피하기 위해 송신된 아날로그 RF 신호들의 디지털화된 버전을 더 높은 주파수로 보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보간기는 송신된 신호의 언더샘플링의 가능성이 전혀 없는 그러한 경우들에서 사용될 필요가 없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추정기 회로는 공식 또는 변환을 비선형성 모델에 따른 송신된 아날로그 RF 신호들의 디지털화된 버전에 적용함으로써 비선형 간섭 항들을 추정할 수 있다. 상이한 타입들의 비선형성 모델들은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비선형성 모델은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신호들을 간섭할 수 있는 송신된 신호에서 비선형 항들을 모델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선형 항들은 그것이 송신기에 의해 송신되기 전에 송신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력 증폭기에 의해 야기되는 예상된 비선형성들에 기초하여 모델링될 수 있다.
다른 비선형 항들은 전치 왜곡 회로들, 증폭기들, 및/또는 다른 소스들에 의해 야기되는 송신기 베이스밴드 신호들 내의 비선형성들과 같이, 모델링될 수도 있다. 적용되는 임의의 전치 왜곡은 이상적으로 어떤 잔여 왜곡도 남기지 않아야 하지만, 실제로 이것은 전형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잔여 왜곡은 수신기를 감도 저하시킬 수 있는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신호들로 누설될 수 있다. 추정기 회로는 그것이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이러한 잔여 왜곡을 모델링할 수 있다. 베이스밴드 비선형성들은 일부 경우들에서 모델링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송신된 베이스밴드 신호들의 전치 왜곡이 전혀 없거나 최소의 전치 왜곡이 있다면, 베이스밴드 비선형성들의 모델링은 발생할 필요가 없다.
다른 타입들의 비선형 상호 변조 왜곡 및 간섭은 모델링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다른 타입들의 비선형 항들은 송신기로부터의 누설이 수신기 프런트 엔드에서 제 2, 제 3 또는 일반적으로 임의의 차수 왜곡을 통해 수신된 베이스밴드 신호들에 혼합될 때 송신기와 상호 변조하는 외부 블로커 또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상호 변조 항들, 비선형성 및 비선형 간섭 항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타입의 비선형 간섭 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비선형 신호 왜곡 모델은 비선형 항들에 더하여 선형 항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선형 항들은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모드에서의 주파수 변화의 효과들과 같이, 특정 선형 함수들을 모델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클록킹 스퍼스(clocking spurs) 또는 샘플링 이미지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 송신기에 의해 야기되는 임의의 다른 타입들의 신호 왜곡은 수신된 신호들 상에서 왜곡의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 모델링될 수도 있다. 모델링의 결과들은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왜곡들을 소거하고 제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추정기 회로가 비선형 송신기 베이스밴드 신호 왜곡을 모델링하는 경우들에서, 비선형성은 이하의 방정식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추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1)
위에 방정식 (1)에서, I는 발신 디지털 신호의 동위상 성분을 나타낼 수 있고, Q는 발신 디지털 신호의 이위상 성분을 나타낼 수 있고, j는 허수 단위를 나타낼 수 있고, α 및 β는 신호 베이스밴드 왜곡 모델의 모델 계수들을 나타낼 수 있고, m은 연관된 변수의 현재의 (0) 및 이전의 (1,2,..., MBB) 값들에 상응하는 지수(0에서 MBB까지)를 나타낼 수 있고, k는 k=1이 선형 항을 지칭하고, k=2가 제 2 차 항을 지칭하는 등등인 비선형성의 차수를 나타낼 수 있고, n은 이산 시간 또는 경우에 기초한 시간 지수를 나타낼 수 있으며, x는 모델링된 비선형 송신기 베이스밴드의 출력을 나타낼 수 있다.
추정기 회로가 송신기로부터의 비선형 왜곡을 수신기에서 모델링하는 경우들에서, 비선형 왜곡은 이하의 방정식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추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2)
위의 방정식(2)에서, α는 송신기 신호 왜곡 모델의 모델 계수들을 나타낼 수 있고, m1 및 m2는 관련 변수의 상이한 현재의 (0) 및/또는 이전의 (1,2,..., MBB) 값들을 비교하기 위한 변수(m)의 상이한 지수들을 나타낼 수 있으며, y는 수신기에서 송신기로부터의 모델링된 비선형 왜곡의 출력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m1=m2=0인 경우, 이 때 지수 n-m1-m2=n는 이전의 값들을 갖지 않는 현재 샘플 지수에 상응한다. 항 m1은 RF 엔벨로프의 메모리 깊이 또는 |x(n-m1)|와 같은 진폭 변조 항을 지칭할 수도 있는 한편, 항 m2은 진폭 변조 |x(n-m1)|와 복소수 엔벨로프 항들 x(n-m1-m2) 사이의 교차 항을 지칭할 수 있다.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모델링 방정식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경우들에서, 볼테라 급수 또는 메모리 다항식 함수는 방정식들 (1) 및/또는 (2) 대신에 또는 이들에 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송신기(185) 및 수신기(186)를 포함하는 전이중 라디오에 대한 제 1 예시적 모든 디지털 잡음 정정 회로(100)를 도시한다. 회로(100)에서, 송신기(185)에서 송신될 발신 디지털 신호는 ADC(analog-digital converter)(181)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발신 디지털 신호의 카피는 추정기 회로(120)로 라우팅될 수도 있다.
추정기 회로(120)는 송신기(185)로부터의 비선형 왜곡을 전이중 라디오의 수신기(186)에서 모델링하는 필터 및/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비선형성 신호 왜곡 모델(121)을 포함할 수 있다. 비선형 왜곡은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송신기에서 송신되는 발신 디지털 신호의 카피의 분석에 기초하여 모델링될 수 있다.
혼합기(130)는 추정기 회로(120)에 결합될 수 있다. 혼합기(130)는 추정기 회로의 출력을 주파수 오프셋 신호와 혼합할 수 있다. 이러한 혼합은 추정기 회로 출력을 라디오의 송신 주파수와 수신 주파수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중간 주파수 오프셋으로 시프트할 수 있다.
감산기(160)는 혼합기(130) 및 수신된 착신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코드로 변환하는 ADC(190)에 결합될 수 있다. 감산기(160)는 주파수 시프트된 추정기 회로 출력을 수신기 및 변환기에서 수신되는 디지털화된 착신 신호로부터 ADC(190)에서의 디지털 코드로 감산할 수 있다. 이러한 감산은 수신된 착신 신호에서 송신기로부터 모델링된 비선형 왜곡을 소거할 수 있다.
저역 통과 필터(182)는 ADC(181)에 결합될 수 있고 미리 결정된 차단 주파수보다 더 높은 발신 신호의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을 ADC(181)에서 감쇠시킬 수 있다. 혼합기(183)는 저역 통과 필터(182) 및 필터링된 아날로그 신호의 주파수를 베이스밴드 주파수로부터 발신 필터링된 아날로그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송신 주파수로 시프트하도록 선택되는 발진 신호에 결합될 수 있다. 전력 증폭기(184)는 송신기 안테나를 구동하기 위해 저전력 RF 신호로부터 고전력 신호로 시프트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혼합기(183)에 결합될 수 있다. 송신기(185)는 고전력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전력 증폭기(184)에 결합될 수 있다.
수신기(186)는 미리 결정된 수신 대역에서 착신 RF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기(186) 증폭기(187)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는 수신기(186) 및/또는 그것의 안테나에 의해 캡처되는 착신 RF 신호들을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일 수 있다.
증폭기(187)는 혼합기(188)에 결합될 수 있다. 혼합기(188)는 증폭된 착신 신호의 주파수를 수신된 착신 신호를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미리 결정된 베이스밴드 수신기 주파수로 시프트하도록 선택되는 발진 신호에 결합될 수 있다.
저역 통과 필터(189)는 혼합기(188)에 결합될 수 있고 미리 결정된 차단 주파수보다 더 높은 주파수 시프트된 수신 착신 신호들을 감쇠시킬 수 있다. ADC(190)는 아날로그 필터링된 착신 신호들을 디지털 코드들로 변환하기 위해 저역 통과 필터(189)에 결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 1은 직접적 송신기-수신기 아키텍처를 예시하지만, 모든 디지털 잡음 정정 원리들 및 추정기 회로들, 혼합기들, 및 감산기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구성요소들은 슈퍼헤테로다인, 고정 IF(intermediate frequency), LIF(low intermediate frequency), 및/또는 VLIF(very low intermediate frequency) 아키텍처들를 포함하는 다른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 아키텍처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송신기(285) 및 수신기(286)를 포함하는 전이중 라디오에 대한 제 2 예시적 모든 디지털 잡음 정정 회로(200)를 도시한다. 회로(200)에서, 송신기(285)에서 송신될 발신 디지털 신호는 ADC(analog-digital converter)(281)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발신 디지털 신호의 카피는 보간기(210) 및/또는 적응 엔진(270)로 라우팅될 수도 있다.
보간기(210)는 에일리어싱을 방지하기 위해 착신 신호의 대역으로 나누어지는 발신 디지털 신호 또는 발신 디지털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보간할 수 있다. 보간기(210)는 언더샘플링이 저주파수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그러한 경우들에서 발신 디지털 신호의 샘플링 주파수를 부스팅할 수 있다. 보간기는 추정기 회로(220)에 결합될 수 있다.
추정기 회로(220)는 하나 이상의 비선형성 신호 왜곡 모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모델들(221 및 222)을 포함할 수 있다. 비선형 모델(221)은 필터 및/또는 송신기(185)로부터의 비선형 왜곡을 전이중 라디오의 수신기(186)에서 모델링하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비선형 모델(221)은 필터 및/또는 송신기(185)에서의 송신 전에 베이스밴드 신호의 비선형 왜곡을 모델링하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비선형 왜곡은 베이스밴드 신호 경로 내의 왜곡의 증폭기들 또는 다른 소스들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비선형 모델(222)은 송신기(285)와 수신기(286) 사이의 비선형 신호 왜곡을 모델링할 수 있다. 비선형 왜곡은 아날로그 신호로 이후에 변환되고 송신기(285)에서 송신되는 발신 디지털 신호의 카피의 분석에 기초하여 모델링될 수 있다. 비선형 모델들(221 및 222) 둘 다가 사용되는 그러한 경우들에서, 추정기 회로(220)는 전이중 라디오의 송신기(285)와 수신기(286) 사이의 비선형성을 모델링하기 전에 송신기 베이스밴드 비선형성을 우선 모델링할 수 있다. 송신기 베이스밴드 비선형성 모델(221)의 출력은 송신기-수신기 비선형성 모델(222)에 대한 입력으로 사용될 수 있다.
혼합기(230)는 추정기 회로(220)에 결합될 수 있다. 혼합기(230)는 추정기 회로(220)의 출력을 주파수 오프셋 신호와 혼합할 수 있다. 이러한 혼합은 추정기 회로 출력을 무선 기기의 송신 주파수와 수신 주파수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중간 주파수 오프셋으로 시프트할 수 있다.
지연 유닛(240)은 혼합기(230)에 결합될 수 있다. 지연 유닛(240)은 추정기 회로 출력이 감산기(260)에서의 착신 신호의 상응하는 부분과 동기화될 때까지 추정기 회로 출력을 지연시킬 수 있다.
제 1 데시메이터(250)는 혼합기(230)와 감산기(260)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 데시메이터(250)는 감산기(260)가 착신 신호로부터 다운샘플링된 추정기 출력을 감산하기 전에, 혼합된 추정기 회로 출력을 수신된 착신 신호의 주파수로 또는 다른 미리 결정된 출력 주파수로 다운샘플링할 수 있다.
제 2 데시메이터(291)는 감산기(260)와 수신기(286)에서의 수신된 착신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코드로 변환하는 ADC(290)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제 2 데시메이터(250)는 감산기(260)가 데시메이트된 디지털화 착신 신호로부터 데시메이트된 추정기 출력을 감산하기 전에, 디지털화된 수신 착신 신호를 제 1 데시메이터(250)의 것과 매칭하는 미리 결정된 출력 주파수로 다운샘플링할 수 있다. 이러한 감산은 송신기로부터의 모델링된 비선형 왜곡을 수신된 착신 신호에서 소거할 수 있다.
저역 통과 필터(282)는 ADC(281)에 결합될 수 있고 미리 결정된 차단 주파수보다 더 높은 발신 신호의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을 ADC(281)에서 감쇠시킬 수 있다. 혼합기(283)는 저역 통과 필터(282) 및 필터링된 아날로그 신호의 주파수를 베이스밴드 주파수로부터 필터링된 발신 아날로그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송신 주파수로 시프트하도록 선택되는 발진 신호에 결합될 수 있다. 전력 증폭기(284)는 송신기 안테나를 구동하기 위해 시프트된 신호를 저전력 RF 신호로부터 고전력 신호로 증폭하기 위해 혼합기(283)에 결합될 수 있다. 송신기(285)는 고전력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전력 증폭기(284)에 결합될 수 있다.
수신기(286)는 착신 RF 신호들을 미리 결정된 수신 대역에서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기(286)는 증폭기(287)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는 수신기(286) 및/또는 그것의 안테나에 의해 캡처되는 착신 RF 신호들을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일 수 있다.
증폭기(287)는 혼합기(288)에 결합될 수 있다. 혼합기(288)는 증폭된 착신 신호의 주파수를 수신된 착신 신호를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미리 결정된 베이스밴드 수신기 주파수로 시프트하도록 선택되는 발진 신호에 결합될 수 있다.
저역 통과 필터(289)는 혼합기(288)에 결합될 수 있고 미리 결정된 차단 주파수보다 더 높은 주파수 시프트된 수신 착신 신호들을 감쇠시킬 수 있다. ADC(290)는 아날로그 필터링된 착신 신호들을 디지털 코드들로 변환하기 위해 저역 통과 필터(289)에 결합될 수 있다.
적응 엔진(270)은 추정기 회로(220), 감산기(260)에 대한 수신된 착신 신호 입력, 감산기(260)의 출력, 보간기(210) 및/또는 추정기 회로(220)에 대한 입력에 결합될 수 있다. 적응 엔진(270)은 감산기(260)의 출력을(디지털화된 착신 신호로부터 혼합된 추정기 회로 출력을 감산한 후) 디지털화된 착신 신호 및 발신 디지털 신호와 비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응 엔진(270)은 비교에 기초하여 추정기 회로(220)에서의 모델링된 비선형성의 에러를 식별할 수 있다. 적응 엔진(270)은 식별된 에러를 감소시키기 위해 추정기 회로(220)에서, 모델들(221 및/또는 222)과 같은, 하나 이상의 비선형성 모델들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비선형성 모델 계수를 수정할 수 있다.
적응 엔진(270)은 감산기(260)의 출력을 디지털화된 착신 신호 및 발신 디지털 신호와 반복적으로 비교하고 식별된 에러가 최소화될 때까지 추정기 회로(220)에서 적어도 하나의 비선형성 모델 계수를 수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식별된 에러는 에러가 더 이상 검출가능하지 않을 때 또는 에러가 미리 결정된 에러 임계값 아래로 내려갈 때, 최소화될 수 있다.
도 3은 송신기(385) 및 수신기(386)를 포함하는 전이중 라디오에 대한 제 3 예시적 모든 디지털 잡음 정정 회로(300)를 도시한다. 회로(300)에서, 송신기(385)에서 송신될 발신 디지털 신호는 ADC(analog-digital converter)(381)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발신 디지털 신호의 카피는 채널 스플리터(305)와 같은 채널화 회로에서 채널화될 수도 있으며, 이는 발신 디지털 신호를 채널 바이 채널 기초로 분리 채널들로 분리하고 그 다음 각각의 채널을 개별적으로 출력함으로써, 발신 디지털 신호를 분리 채널들(채널들 ch0 내지 chN로 도시됨)로 채널화할 수 있다.
추정기 회로(320), 혼합기(330) 및 감산기(360)는 하나 이상의 채널들 각각에 제공될 수 있다. 추정기 회로(320)는 디지털화된 발신 신호가 ADC(381)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기 전에, 디지털화된 발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ADC(381)에 결합될 수 있다. 추정기 회로(320)는 비선형 신호 왜곡 모델(321)을 포함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각각의 채널들에 대한 송신기(385)와 수신기(386) 사이에 비선형 신호 왜곡을 모델링할 수 있다. 추정기 회로(320)는 각각의 채널들에 대한 커스터마이즈된(customized) 모델링 왜곡을 출력할 수 있다. 혼합기(330) 및 감산기(360)는 각각의 채널들에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혼합기(330)는 추정기 회로(320)에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혼합기(330)는 추정기 회로(320)의 출력을 각각의 채널에 대한 각각의 채널에 대한 주파수 오프셋 신호로 혼합할 수 있다.
각각의 감산기(360)는 각각의 채널에 대한 혼합기(330)에 결합될 수 있고 ADC(390)에 결합되는 DDC(digital downconverter)(392)와 같은, 채널화 회로에 의해 출력되는 각각의 채널에 대한 채널화된 디지털화 착신 신호로부터 각각의 채널에 대한 혼합된 추정기 회로 출력을 감산할 수 있다. DDC(392)는 수신된 착신 신호가 착신 디지털 신호를 채널 바이 채널 기초로 분리 채널들로 분리하고 그 다음 각각의 채널을 개별적으로 출력함으로써 분리 채널들(채널들 ch0 내지 chN으로 도시됨)로 ADC(390)에서의 디지털 코드로 변환된 후에, 수신기(386)로부터 수신된 착신 신호를 채널화할 수 있다.
추정기 회로(320)는 하나 이상의 비선형성 신호 왜곡 모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모델들(321, 221, 및 222)을 포함할 수 있다. 지연 유닛(240) 및 데시메이터(250)와 같은 지연 유닛들 및/또는 데시메이터는 추정된 왜곡을 수신된 신호의 상응하는 부분과 동기화하며/하거나 감산기(360)가 착신 신호로부터 다운샘플링된 추정기 출력을 감산하기 전에 각각의 채널에 대한 혼합된 추정기 회로 출력을 수신된 착신 신호의 주파수 또는 다른 미리 결정된 출력 주파수로 다운샘플링하기 위해 채널 바이 채널 기초로 각각의 혼합기(330)에 결합될 수 있다.
제 2 데시메이터는 디지털화된 수신 착신 신호를 미리 결정된 출력 주파수로 다운샘플링하기 위해 채널 바이 채널 기초로 감산기(360)와 DDC(392)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저역 통과 필터(382)는 ADC(381)에 결합될 수 있고 미리 결정된 차단 주파수보다 더 높은 발신 신호의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을 ADC(381)에서 감쇠시킬 수 있다. 혼합기(383)는 저역 통과 필터(382) 및 필터링된 아날로그 신호의 주파수를 베이스밴드 주파수로부터 필터링된 발신 아날로그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송신 주파수로 시프트하도록 선택되는 발진 신호에 결합될 수 있다. 전력 증폭기(384)는 송신기 안테나를 구동하기 위해 시프트된 신호를 저전력 RF 신호에서 고전력 신호로 증폭하도록 혼합기(383)에 결합될 수 있다. 송신기(385)는 고전력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전력 증폭기(384)에 결합될 수 있다.
수신기(386)는 미리 결정된 수신 대역에서 착신 RF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기(386)는 증폭기(387)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는 수신기(386) 및/또는 그것의 안테나에 의해 캡처되는 착신 RF 신호들을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일 수 있다.
증폭기(387)는 혼합기(388)에 결합될 수 있다. 혼합기(388)는 증폭된 착신 신호의 주파수를 수신된 착신 신호를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미리 결정된 베이스밴드 수신기 주파수로 시프트하도록 선택되는 발진 신호에 결합될 수 있다.
저역 통과 필터(389)는 혼합기(388)에 결합될 수 있고 미리 결정된 차단 주파수보다 더 높은 주파수 시프트된 수신 착신 신호들을 감쇠시킬 수 있다. ADC(390)는 아날로그 필터링된 착신 신호들을 디지털 코드들로 변환하기 위해 저역 통과 필터(389)에 결합될 수 있다.
적응 엔진(370)은 하나 이상의 채널들에 대한 추정기 회로(320), 각각의 감산기(360)에 입력되는 채널화된 수신된 착신 신호의 하나 이상의 채널들, 하나 이상의 채널들에 대한 감산기(360)의 출력, 및/또는 하나 이상의 채널들에 대한 추정기 회로(320)에 대한 입력에 결합될 수 있다. 적응 엔진(370)은 채널 바이 채널 기초로, 채널에 대한 감산기(360)의 출력을(디지털화된 착신 신호로부터 혼합된 추정기 회로 출력을 감산한 후) 채널에 대한 디지털화된 착신 신호 및 채널에 대한 발신 디지털 신호와 비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응 엔진(370)은 비교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채널들에 대한 추정기 회로(320)에서 모델링된 비선형성의 에러를 식별할 수 있다. 적응 엔진(370)은 식별된 에러를 감소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채널들의 추정기 회로(320)에서 모델(321)과 같은 하나 이상의 비선형성 모델들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비선형성 모델 계수를 수정할 수 있다.
적응 엔진(370)은 감산기(360)의 출력을 채널 바이 채널 기초로 디지털화된 착신 신호 및 발신 디지털 신호와 반복적으로 비교하고 각각의 채널에 대한 식별된 에러가 최소화될 때까지 추정기 회로(220)에서 각각의 채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비선형성 모델 계수를 수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식별된 에러는 에러가 더 이상 검출가능하지 않을 때 또는 에러가 미리 결정된 에러 임계 아래로 내려갈 때, 최소화될 수 있다.
도 4는 2개 이상의 송신기들(485) 및 수신기들(486)을 포함하는 전이중 라디오에 대한 제 4 예시적 모든 디지털 잡음 정정 회로(400)를 도시한다. 2개의 교차 결합된 송신기-수신기 회로들(401 및 402)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는 회로(400)에서, 이의 각각은 도 1, 도 2, 및/또는 도 3에서의 구성된 회로들(100, 200, 및/또는 300)에 기초할 수 있다.
송신기-수신기 회로들(401 및 402) 각각은 ADC들(481 및 490), 필터들(482 및 489), 혼합기들(483 및 488), 증폭기들(484 및 487), 송신기(485), 및 수신기(486)를 포함할 수 있다. 저역 통과 필터(482)는 ADC(481)에 결합될 수 있고 미리 결정된 차단 주파수보다 더 높은 발신 신호의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들을 ADC(481)에서 감쇠시킬 수 있다. 혼합기(483)는 저역 통과 필터(482) 및 필터링된 아날로그 신호의 주파수를 베이스밴드 주파수로부터 각각의 송신기에서 필터링된 발신 아날로그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송신 주파수로 시프트하도록 선택되는 발진 신호에 결합될 수 있다. 전력 증폭기(484)는 송신기 안테나를 구동하기 위해 시프트된 신호를 저전력 RF 신호에서 고전력 신호로 증폭하도록 혼합기(483)에 결합될 수 있다. 송신기(485)는 고전력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전력 증폭기(484)에 결합될 수 있다.
수신기(486)는 미리 결정된 수신 대역에서 착신 RF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기(486)는 증폭기(487)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는 수신기(486) 및/또는 그것의 안테나에 의해 캡처되는 착신 RF 신호들을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일 수 있다.
증폭기(487)는 혼합기(488)에 결합될 수 있다. 혼합기(488)는 증폭된 착신 신호의 주파수를 수신된 착신 신호를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미리 결정된 베이스밴드 수신기 주파수로 시프트하도록 선택되는 발진 신호에 결합될 수 있다.
저역 통과 필터(489)는 혼합기(488)에 결합될 수 있고 미리 결정된 차단 주파수보다 더 높은 주파수 시프트된 수신 착신 신호들을 감쇠시킬 수 있다. ADC(490)는 아날로그 필터링된 착신 신호들을 디지털 코드들로 변환하기 위해 저역 통과 필터(489)에 결합될 수 있다.
송신기-수신기 회로들(401 및 402) 각각은 송신기-수신기 회로들의 수와 동등한 각각의 회로(401 및 402) 내의 다수의 잡음 정정 회로들(41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2개의 회로(401 및 402)가 있고 따라서 2개의 잡음 정정 회로(415)는 각각의 송신기-수신기 회로(401 및 402)에 제공된다. 각각의 잡음 소거 회로(415)는 추정기 회로(420), 혼합기(430), 및 감산기(460)를 포함할 수 있다.
n이 2개 이상인 n개의 수의 송신기-수신기 회로가 있다면, 이 때 n개의 송신기-수신기 회로 각각은 n개의 추정기 회로, 혼합기, 및 감산기를 포함할 수 있다. n개의 추정기 회로(420) 각각은 각각의 회로(401 또는 402)에 대한 ADC(481) 및/또는 그것의 각각의 혼합기(430)에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회로(401 및 402)에 대한 n개의 감산기(460) 각각은 n개의 회로(401 및 402) 중 유일한 회로에 대한 ADC(490)의 디지털 출력에 결합될 수 있어, 회로들(401 및 402) 각각 내의 송신기(485)로부터의 모델링된 비선형 송신기 왜곡은 수신기들(486) 각각에서 디지털화된 수신 착신 신호로부터 감산된다.
도 3에 도시되고 도 3에 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n개의 송신기-수신기 회로는 그들의 착신 및 발신 신호들을 채널화했다면, 이 때 n개의 송신기-수신기 회로 각각은 각각의 활성 채널에 대한 n개의 추정기 회로, 혼합기, 및 감산기를 가질 수 있다. n개의 추정기 회로 각각은 각각의 회로에 대한 신호 스플리터의 각각의 채널 출력에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활성 채널에 대한 감산기는 각각의 회로에 대한 디지털 다운변환기의 각각의 채널 출력에 결합될 수 있다.
적응 엔진들(270 및/또는 370)과 같은 적응 엔진은 모델에서의 에러를 더욱 감소시키기 위해 추정기 회로들에서 하나 이상의 모델 계수들을 수정하도록 도 2 및 도 3에 관하여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멀티 송신기-수신기 실시예들에서의 추정기 회로들 각각일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잡음 소거 회로(400)는 2개 이상의 수신기들(485) 및 송신기들(486)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들(485) 각각은 수신된 착신 아날로그 RF 신호를 디지털 코드로 변환하는 각각의 ADC(490)에 결합될 수 있다. 송신기들(486) 각각은 송신을 위해 발신 디지털 코드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각각의 ADC(481)에 결합될 수 있다.
잡음 소거 회로(400)는 2개 이상의 디지털 잡음 정정 회로들(415)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잡음 정정 회로(415)는 적어도 하나의 잡음 정정 회로(415)가 각각의 송신기 ADC(481)와 각각의 수신기 ADC(490) 사이에 결합된 상태에서, 감산기(460)에 결합된 혼합기(430)에 결합되는 추정기 회로(42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추정기 회로(420)는 각각의 송신기(485)에서 송신되는 발신 신호의 디지털화된 버전에 기초하여 각각의 송신기(485)와 각각의 수신기(486) 사이에 비선형 신호 왜곡을 모델링할 수 있다. 각각의 혼합기(430)는 각각의 추정기 회로(420)의 출력을 각각의 주파수 오프셋 신호와 혼합할 수 있다. 각각의 감산기(460)는 각각의 수신기 ADC(490)에서 디지털화되는 착신 신호로부터 각각의 추정기 회로(420)로부터의 혼합된 추정기 회로 출력을 감산할 수 있다.
도 5는 상이한 실시예들에서의 예시적 방법들을 도시한다. 박스(501)에서,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착신 RF 신호들 및 RF 송신기에서의 송신을 위한 발신 신호들은 디지털화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상이한 수신기들에서 수신되는 상이한 착신 무선 주파수(RF) 신호들 및 상이한 송신기들에서의 송신을 위한 상이한 발신 RF 신호들은 디지털화될 수 있다.
박스(502)에서, 디지털화된 착신 및 발신 RF 신호들은 채널 바이 채널 기초로 하나 이상의 채널들로 채널화되고 분할될 수 있다.
박스(503)에서,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의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비선형 신호 왜곡은 적어도 하나의 채널화된 발신 신호들의 분석에 기초하여 모델링될 수 있다. 하나보다 많은 송신기 및 수신기가 있는 경우들에서, 비선형 왜곡은 송신기들 각각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화된 발신 신호들의 분석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의 각각의 송신기들과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들 사이에 모델링될 수 있다.
박스(504)에서,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의 모델링된 왜곡은 송신기 및 수신기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각주파수들의 차이에 기초하여 모델링된 왜곡을 오프셋하는 오프셋 신호와 혼합될 수 있다. 하나보다 많은 송신기 및 수신기가 있는 경우들에서, 모델링된 비선형 왜곡은 각각의 송신기 및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각주파수들의 차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의 각각의 송신기들과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사이에 모델링된 비선형 왜곡을 오프셋하는 오프셋 신호와 혼합될 수 있다.
박스(505)에서, 오프셋된 모델링 왜곡은 채널화된 착신 RF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로부터 감산될 수 있다. 하나보다 많은 송신기 및 수신기가 있는 경우들에서, 오프셋된 모델링 비선형 왜곡은 각각의 송신기들 및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각각의 채널화된 착신 RF 신호로부터 감산될 수 있다.
박스(506)에서, 디지털화된 발신 신호들은 박스(503)에서 비선형 왜곡을 모델링하는 것 이전에 보간될 수 있다.
박스(507)에서, 비선형 송신기 베이스밴드 신호 왜곡은 박스(503)에서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에 비선형 왜곡을 모델링하기 전에 적어도 하나의 채널화된 발신 신호들의 분석에 기초하여 모델링될 수 있다. 박스(503)에서의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비선형 왜곡의 모델링은 박스(507)에서의 송신기 베이스밴드 신호 왜곡의 모델링의 결과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박스(508)에서, 오프셋된 모델링 비선형 왜곡은 박스(509)에서 오프셋된 모델링 비선형성을 데시메이트하기 전에 오프셋된 모델링 비선형 왜곡이 채널화된 착신 RF 신호의 상응하는 부분과 시간 정렬될 때까지 지연될 수 있다.
박스(509)에서, 오프셋된 모델링 비선형 왜곡은 박스(505)에서 감산을 수행하기 전에 데시메이트될 수 있다.
박스(510)에서, 박스(505)에서의 감산의 출력은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대한 채널화된 착신 신호 및 채널화된 발신 신호와 비교될 수 있다.
박스(511)에서, 적어도 채널에 대한 에러를 모델링하는 것은 비교에 기초하여 식별될 수 있다.
박스(512)에서, 적어도 하나의 비선형성 모델 계수는 식별된 에러를 감소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대한 모델링에서 수정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들로 제공되었다. 그것은 소모적이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시된 정확한 형태들에 제한하지 않는다. 변경들 및 변형들이 위의 교시들을 고려하여 가능하거나 본 발명과 일관되는 실시예들을 실행하는 것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착신 신호들의 채널화는 디지털 다운 변환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지만 다른 경우들에서 채널화는 디지털 다운 변환기에 의한 다운 변환과 관계 없이 수행될 수 있다.

Claims (20)

  1. 회로로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송신기에서 송신되는 발신 디지털 신호의 분석에 기초하여 수신기에서 송신기로부터의 비선형 신호 왜곡을 모델링하는 추정기 회로;
    상기 추정기 회로의 출력을 주파수 오프셋 신호와 혼합하고 상기 추정기 회로 출력을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중간 주파수 오프셋으로 시프트하는 혼합기; 및
    상기 혼합기에 결합되고 상기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디지털화된 착신 신호로부터 상기 주파수 시프트된 추정기 회로 출력을 감산하는 감산기를 포함하는 회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정기에 결합되고 상기 착신 신호의 대역으로 분류되는 발신 디지털 신호의 일부를 보간하는 보간기;
    상기 혼합기에 결합되고 상기 추정기 회로 출력이 상기 감산기에서 상기 착신 신호의 상응하는 부분과 동기될 때까지 상기 추정기 회로 출력을 지연시키는 지연 유닛; 및
    상기 혼합기와 상기 감산기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감산기가 상기 착신 신호로부터 상기 다운샘플링된 추정기 출력을 감산하기 전에 상기 혼합된 추정기 회로 출력을 상기 착신 신호의 주파소로 다운샘플링하는 데시메이터를 더 포함하는 회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정기 회로는 전이중 라디오의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비선형성을 모델링하기 전에 송신기 베이스밴드 비선형성을 모델링하며, 송신기 베이스밴드 비선형성 모델의 출력은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 사이의 비선형성의 모델링을 위한 입력으로 사용되는 회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추정기 회로는,
    (i) 송신기 베이스밴드 비선형성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기 식과 같이 모델링하며:
    Figure pat00003
    , I는 상기 발신 디지털 신호의 동위상 성분이고, Q는 상기 발신 디지털 신호의 이위상 성분이고, j는 허수 단위이고, α 및 β는 상기 모델링된 송신기 베이스밴드 비선형성의 모델 계수들이고, m은 연관된 변수들의 값들의 지수를 나타내고, k는 비선형성의 차수를 나타내고, n은 시간 지수를 나타내며, x는 상기 모델링된 송신기 베이스밴드 비선형성의 출력이고;
    (ii)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 사이의 비선형성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기 식과 같이 모델링하며:
    ,
    Figure pat00004
    , α는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 사이의 상기 모델링된 비선형성의 모델 계수들을 지칭하고, m1 및 m2는 변수(m)의 상이한 지수들을 지칭하며, y는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 사이의 상기 모델링된 비선형성의 출력인 회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정기 회로 및 상기 감산기에 결합되는 적응 엔진으로서,
    상기 디지털화된 착신 신호로부터 상기 혼합된 추정기 회로 출력을 감산한 후에 상기 감산기의 출력을 상기 디지털화된 착신 신호 및 상기 발신 디지털 신호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추정기 회로에서 상기 모델링된 비선형성의 에러를 식별하며;
    상기 식별된 에러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추정기 회로에서 적어도 하나의 비선형성 모델 계수를 수정하도록 구성되는 사이 적응 엔진을 더 포함하는 회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적응 엔진은 상기 감산기의 출력을 상기 디지털화된 착신 신호 및 상기 발신 디지털 신호와 반복적으로 비교하고 상기 식별된 에러가 최소화될 때까지 상기 추정기 회로에서 적어도 하나의 비선형성 모델 계수를 수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회로.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추정기 회로 및 상기 감산기에 결합되는 적응 엔진으로서,
    상기 디지털화된 착신 신호로부터 상기 혼합된 추정기 회로 출력을 감산한 후에 상기 감산기의 출력을 상기 디지털화된 착신 신호 및 상기 발신 디지털 신호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추정기 회로에서 상기 모델링된 비선형성 각각의 에러를 식별하며;
    상기 식별된 에러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추정기 회로에서 각각의 모델의 적어도 하나의 비선형성 모델 계수를 수정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적응 엔진을 더 포함하는 회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상기 수신기;
    상기 송신기에 결합되는 전력 증폭기;
    상기 전력 증폭기에 결합되고 상기 발신 디지털 신호를 상기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제 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상기 수신기와 상기 감산기 수신기 사이에 결합되는 제 2 ADC로서, 상기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착신 신호를 디지털화하는 상기 제 2 ADC;
    상기 수신기와 상기 제 2 ADC 사이에 결합되는 혼합기로서, 상기 착신 신호를 발진 신호와 혼합하는 상기 혼합기;
    상기 수신기와 상기 혼합기 사이에 결합되는 무선 주파수 증폭기; 및
    상기 혼합기와 상기 제 2 ADC 사이에 결합되는 저역 통과 필터를 더 포함하는 회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신 디지털 신호 및 상기 디지털화된 착신 신호를 채널 바이 채널 기초로 분할하고 각각의 채널을 개별적으로 추력하는 채널화 회로; 및
    복수의 추정기 회로들, 혼합기들, 및 감산기들과, 각각의 채널에 대한 추정기 회로, 혼합기, 및 감산기를 더 포함하며,
    각각의 추정기 회로는 각각의 채널에 대한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비선형 비선형 신호 왜곡을 모델링하고,
    각각의 혼합기는 상기 각각의 채널에 대한 추정기 회로의 출력을 상기 각각의 채널에 대한 주파수 오프셋 신호와 혼합하며,
    각각의 감산기는 상기 각각의 채널에 대한 혼합기에 결합되고 상기 채널화 회로에 의해 출력되는 각각의 채널에 대한 채널화된 디지털화 착신 신호로부터 상기 각각의 채널에 대한 혼합된 추정기 회로 출력을 감산하는 회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2 ADC에 결합되고 분리 출력들에서 상기 디지털화된 착신 신호를 다운변환하고 채널화하는 디지털 다운변환기; 및
    복수의 혼합기들 및 감산기들과, 각각의 채널에 대한 혼합기 및 감산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추정기 회로는 각각의 채널에 대한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 사이의 비선형성을 모델링하고 상기 모델링된 비선형성을 상기 각각의 채널에 대한 각각의 혼합기로 출력하며,
    각각의 혼합기는 상기 각각의 채널에 대한 추정기 회로의 출력을 상기 각각의 채널에 대한 주파수 오프셋 신호와 혼합하고,
    각각의 감산기는 상기 각각의 채널에 대한 혼합기에 결합되고 상기 디지털 다운변환기에 의해 출력되는 각각의 채널에 대한 채널화된 디지털화 착신 신호로부터 상기 각각의 채널에 대한 혼합된 추정기 회로 출력을 감산하는 회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각각의 채널에 대한 상기 추정기 회로 및 상기 감산기에 결합되는 적응 엔진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대한 혼합된 추정기 회로 출력을 감산한 후에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감산기의 출력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대한 채널화된 착신 신호 및 발신 신호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채널에 대한 추정기 회로에서 상기 모델링된 비선형성의 에러를 식별하며;
    상기 식별된 에러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대한 추정기 회로에서 적어도 하나의 비선형성 모델 계수를 수정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적응 엔진을 더 포함하는 회로.
  12. 청구항 10의 n≥2 수의 회로들을 포함하는 멀티 송신기-수신기 잡음 소거 회로로서, 청구항 10의 n 회로들 각각은,
    각각의 활성 채널에 대한 n 추정기 회로들, 혼합기들, 및 감산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활성 채널에 대한 n 추정기 회로들 각각은 상기 각각의 회로에 대한 신호 스플리터의 각각의 채널 출력에 결합되며;
    상기 각각의 활성 채널에 대한 감산기는 상기 각각의 회로에 대한 디지털 다운변환기의 각각의 채널 출력에 결합되는 멀티 송신기-수신기 잡음 소거 회로.
  13. 잡음 소거 회로로서,
    각각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수신기들;
    각각의 ADC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송신기들; 및
    복수의 디지털 잡음 정정 회로들로서, 각각의 잡음 정정 회로는 감산기에 결합된 혼합기에 결합되는 추정기 회로와, 상기 송신기들과 상기 수신기 ADC들 각각 사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잡음 정정 회로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디지털 잡음 정정 회로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추정기 회로는 각각의 송신기에서 송신되는 발신 신호의 디지털화된 버전에 기초하여 각각의 송신기와 각각의 수신기 사이의 비선형 신호 왜곡을 모델링하고,
    각각의 혼합기는 상기 각각의 추정기 회로의 출력을 각각의 주파수 오프셋 신호와 혼합하며,
    각각의 감산기는 상기 각각의 수신기 ADC에서 디지털화되는 착신 신호로부터 상기 추정기 회로부터의 혼합된 추정기 회로 출력을 감산하는 잡음 소거 회로.
  14. 방법으로서,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착신 무선 주파수(RF) 신호들 및 RF 송신기에서의 송신을 위한 발신 신호를 디지털화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화된 착신 및 발신 신호들을 채널화하는 단계;
    상기 채널화된 발신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분석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의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 사이의 비선형 신호 왜곡을 모델링하는 단계;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각주파수들의 차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의 모델링된 왜곡을 상기 모델링된 왜곡을 오프셋하는 오프셋 신호와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화된 착신 RF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로부터 상기 상기 오프셋된 모델링 왜곡을 감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비선형 왜곡을 모델링하기 전에 상기 디지털화된 발신 신호들을 보간하는 단계; 및
    상기 감산 전에 상기 오프셋된 모델링 비선형 왜곡을 데시메이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된 모델링 비선형 왜곡을 데시메이션하기 전에 상기 오프셋된 모델링 비선형 왜곡이 상기 채널화된 착신 RF 신호의 상응하는 부분과 시간 정렬될 때까지 오프셋된 모델링 비선형 왜곡을 지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 사이의 비선형 왜곡을 모델링하기 전에 상기 채널화된 발신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분석에 기초하여 비선형 송신기 베이스밴드 신호 왜곡을 모델링하는 단계; 및
    상기 모델링된 비선형 송신기 베이스밴드 신호 왜곡의 결과를 사용하여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 사이의 비선형 왜곡을 모델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비선형 왜곡을 모델링하기 전에 상기 디지털화된 발신 신호를 보간하는 단계;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 사이의 비선형 왜곡을 모델링하기 전에 상기 채널화된 발신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분석에 기초하여 비선형 송신기 베이스밴드 신호 왜곡을 모델링하는 단계;
    상기 모델링된 비선형 송신기 베이스밴드 신호 왜곡의 결과를 사용하여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 사이의 비선형 왜곡을 모델링하는 단계;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 사이의 모델링된 비선형 왜곡이 상기 채널화된 착신 RF 신호의 상응하는 부분과 시간 정렬될 때까지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 모델링된 비선형 왜곡을 지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지연의 종료 후에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 사이의 지연된 모델링 비선형 왜곡을 데시메이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청구항 14에 있어서,
    복수의 수신기들에서 수신되는 복수의 착신 무선 주파수(RF) 신호들 및 복수의 RF 송신기들에서의 송신을 위한 복수의 발신 신호들을 디지털화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화된 착신 및 발신 신호들 각각을 채널화하는 단계;
    상기 송신기들 각각에서 상기 채널화된 발신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분석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의 상기 송신기들 각각과 상기 수신기들 중 적어도 하나 사이의 비선형 왜곡을 모델링하는 단계;
    각각의 송신기 및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각주파수들의 차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의 상기 송신기들 각각과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사이의 모델링된 비선형 왜곡을 상기 모델링된 비선형 왜곡을 오프셋하는 오프셋 신호와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각각의 채널화된 착신 RF 신호로부터 상기 송신기들 각각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사이의 오프셋된 모델링 비선형 왜곡을 감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감산의 출력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대한 채널화된 착신 신호 및 채널화된 발신 신호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채널에 대한 모델링 에러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에러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대한 모델링에서 적어도 하나의 비선형성 모델 계수를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40027190A 2013-03-12 2014-03-07 모든 디지털 송신기 잡음 정정 KR1016243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796,236 2013-03-12
US13/796,236 US9048900B2 (en) 2013-03-12 2013-03-12 All digital transmitter noise corr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966A true KR20140111966A (ko) 2014-09-22
KR101624393B1 KR101624393B1 (ko) 2016-06-07

Family

ID=50151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190A KR101624393B1 (ko) 2013-03-12 2014-03-07 모든 디지털 송신기 잡음 정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48900B2 (ko)
EP (2) EP2779469B1 (ko)
JP (1) JP5777759B2 (ko)
KR (1) KR101624393B1 (ko)
CN (1) CN1040525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1898B2 (en) * 2013-03-13 2017-11-28 Analog Devices Global Radio frequency transmitter noise cancellation
US9225430B2 (en) * 2013-05-20 2015-12-29 Ciena Corporation Digital noise loading for optical receivers
EP2822189B1 (en) * 2013-07-01 2017-05-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igital suppression of transmitter intermodulation in receiver
GB201418814D0 (en) * 2014-10-22 2014-12-03 Analog Devices Technology Full duplex radio
US9912358B2 (en) * 2015-03-20 2018-03-06 Analog Devices Global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ransmit noise reduction at a receiver
CN104779969B (zh) * 2015-05-07 2017-03-29 电子科技大学 一种具有高动态接收机的全双工系统及其使用方法
CN104883203B (zh) * 2015-06-09 2017-05-03 珠海市杰理科技股份有限公司 射频收发机及其射频本振泄漏抑制装置
US10033413B2 (en) * 2016-05-19 2018-07-24 Analog Devices Global Mixed-mode digital predistortion
CN108540242B (zh) * 2018-01-05 2021-06-25 中国传媒大学广州研究院 一种广播发射机谐波失真指标测量方法及装置
US10985951B2 (en) 2019-03-15 2021-04-20 The Research Foundation for the State University Integrating Volterra series model and deep neural networks to equalize nonlinear power amplifiers
JP2023003777A (ja) * 2021-06-24 2023-01-1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通信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5647A1 (en) * 1999-07-28 2002-07-04 Yasuyuki Oishi Radio apparatus having distortion compensating functio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5240A (en) 1993-10-29 1996-07-09 Airnet Communications Corporation Transceiver apparatus employing wideband FFT channelizer and inverse FFT combiner for multichannel communication network
JPH07235894A (ja) 1994-02-24 1995-09-05 Antenna Giken Kk 無線通信装置の妨害波除去装置
US6819911B2 (en) 2001-04-02 2004-11-16 General Dynamics Decision Systems, Inc. Active interference suppressor utilizing recombinant transmultiplexing
US7043208B2 (en) 2002-10-15 2006-05-0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interference in a communication device
KR100746577B1 (ko) 2006-01-02 2007-08-06 최동식 간섭 제거형 무선 중계기
US8170487B2 (en) * 2006-02-03 2012-05-01 Qualcomm, Incorporated Baseband transmitter self-jamming and intermodulation cancellation device
US8290100B2 (en) 2006-08-08 2012-10-16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detection and mitigation
CN101529729A (zh) 2006-10-17 2009-09-09 交互数字技术公司 具有用于移除由发射机生成的噪声的混合型自适应干扰消除器的收发信机
US8582694B2 (en) 2007-04-30 2013-11-12 Scott R. Velazquez Adaptive digital receiver
GB0800891D0 (en) 2008-01-17 2008-02-27 Cambridge Silicon Radi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ross-talk cancellation
JP4941338B2 (ja) 2008-02-01 2012-05-30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ノイズ除去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2316166A2 (en) 2008-06-27 2011-05-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Own transmitter interference tolerant transceiver and receiving methods
US7995973B2 (en) * 2008-12-19 2011-08-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Own transmitter interference tolerant transceiver and receiving methods
US8300561B2 (en) 2008-12-30 2012-10-3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anceling distortion in full-duplex transceivers
US8744377B2 (en) 2009-12-21 2014-06-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non-linear self-jamming interference cancellation
US8880010B2 (en) 2009-12-30 2014-11-04 Qualcomm Incorporated Dual-loop transmit noise cancellation
IL206008A0 (en) 2010-05-27 2011-02-28 Amir Meir Zilbershtain Transmit rece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EP2710740A1 (en) 2011-05-20 2014-03-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ynamic cancellation of passive intermodulation interference
US8995932B2 (en) 2013-01-04 2015-03-3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ransmitter noise suppression in receiv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5647A1 (en) * 1999-07-28 2002-07-04 Yasuyuki Oishi Radio apparatus having distortion compensating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79469A1 (en) 2014-09-17
US20140269970A1 (en) 2014-09-18
EP3110017B1 (en) 2018-12-19
JP2014176097A (ja) 2014-09-22
JP5777759B2 (ja) 2015-09-09
CN104052521A (zh) 2014-09-17
US9048900B2 (en) 2015-06-02
KR101624393B1 (ko) 2016-06-07
EP3110017A1 (en) 2016-12-28
EP2779469B1 (en) 2016-09-28
CN104052521B (zh) 201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393B1 (ko) 모든 디지털 송신기 잡음 정정
US11664836B2 (en) Passive intermodulation cancellation
EP3285404B1 (en) Digital-centric full-duplex architecture
EP3210307B1 (en) Full duplex radio with tx leakage cancellation
KR102021480B1 (ko) 무선 주파수 송신기 잡음 소거
EP2332263B1 (en) Transmission noise cancellation
US10992335B2 (en) Methods and transceivers for reducing a distortion component within a baseband receive signal
US20140140250A1 (en) Method and system for mitigating the effects of a transmitted blocker and distortions therefrom in a radio receiver
JPWO2011004578A1 (ja) 非線形歪み補償受信機及び非線形歪み補償方法
CN110830076B (zh) 能够抵销内部信号泄漏的无线收发机
US9712122B2 (en) Distortion compens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Kanumalli et al. Mixed-signal based enhanced widely linear cancellation of modulated spur interference in LTE-CA transceivers
Liu et al. An architecture for capturing the nonlinear distortion of analog self-interference cancellers in full-duplex radios
Allen Nonlinear distortion in wideband radio receivers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s: Modeling and digital suppression
Vu et al. Novel distortion compensation scheme for multichannel direct RF digitization receiver
US10142041B2 (en) Homodyne receiver calibration
WO2016062576A2 (en) Full duplex radio
KR20200090658A (ko) PAPR(Peak to Average Power Ration)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들
Amin et al. Transmit and receive crosstalk cancel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