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1885A -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 - Google Patents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1885A
KR20140111885A KR1020130026357A KR20130026357A KR20140111885A KR 20140111885 A KR20140111885 A KR 20140111885A KR 1020130026357 A KR1020130026357 A KR 1020130026357A KR 20130026357 A KR20130026357 A KR 20130026357A KR 20140111885 A KR20140111885 A KR 20140111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stand
storage space
lower cover
shelf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체
Priority to KR1020130026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1885A/ko
Publication of KR20140111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8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2Portable toilet tables; Wash cabinet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2Soap boxes or recept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3Combined cabinets and wash bas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기 하부에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는, 급수밸브로부터의 물을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세면기와; 상기 세면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세면기를 지지하는 세면대 상판과; 상기 세면기 및 상기 세면대 상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적어도 배수관을 가리도록 형성되되, 적어도 일 측면에 수납공간이 마련된 하부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Washstand with Storage Space}
본 발명은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면기 하부에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혹은 기타 공공장소 등에 설치되는 세면대는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수도관에 연결되는 급수밸브와, 상기 급수밸브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거나 혹은 상기 급수밸브로부터의 물이 바닥으로 직접 흐르지 않도록 중간에서 이를 배수구로 안내하는 세면기를 구비한다.
이러한 세면대는 주로 욕실 등에 설치되는데, 욕실에는 샴푸나 바디워시, 혹은 청소용품과 같은 다양한 물품들이 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물품을 정리 및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면기 하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함에 의하여 공간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한,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급수밸브로부터의 물을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세면기와; 상기 세면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세면기를 지지하는 세면대 상판과; 상기 세면기 및 상기 세면대 상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적어도 배수관을 가리도록 형성되되, 적어도 일 측면에 수납공간이 마련된 하부커버;를 포함하는,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수납공간은, 상기 하부커버의 적어도 일 측면에서 돌출되는 수납선반과, 상기 수납선반에 거치되는 물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선반은 상기 하부커버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바는, 상기 수납선반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이종의 물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공간은 적어도 상기 하부커버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공간은 적어도 상기 하부커버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공간은 상기 하부커버의 바닥면이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수납선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는, 상기 세면기의 상면에 형성된 홈과, 상기 홈 상에 거치된 비누선반을 포함하는 비누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는, 상기 홈의 측면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비누선반이 안착되는 단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누선반은, 다수의 봉체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는 형태로 결합되어 바닥면을 통해 배수가 가능한 봉선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세면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커버의 적어도 일 측면에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를 제공함에 의하여, 공간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를 전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를 전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를 전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를 전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100)는, 급수밸브(112)와 결합되는 세면기(110)와, 상기 세면기(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세면대 상판(120)과, 상기 세면기(110) 및 세면대 상판(1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 측면에 수납공간(140)이 마련되는 하부커버(130)를 포함한다.
세면기(110)는 급수밸브(112)로부터의 물을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세면기(110)의 바닥면에는 배수관(미도시)과 연결되는 배수구(114)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114)에는 탈착 가능한 배수마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세면기(110)에는 비누거치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급수밸브(112)에 인접한 영역의 세면기(110)의 상면에는, 상기 세면기(110)의 상면에 형성되며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오목하게 성형되는 홈(116a)과, 상기 홈(116a)의 측면 상부에 형성된 단차부(116b)와, 상기 단차부(116b) 상에 안착되는 비누선반(116c)을 포함하는 비누거치대(116)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비누거치대(116)는 세면기(110)의 상면에 형성되는 홈(116a) 상에 거치되며, 홈(116a)의 측면 상부에 단차부(116b)가 형성되면 비누선반(116c)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비누선반(116c)이 홈(116a)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수납하기에 유리하다.
또한, 비누선반(116c)은, 상기 세면기(110)와는 다른 물질, 예컨대 스테인리스 스틸 등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봉체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는 형태로 결합되어 바닥면을 통해 배수가 가능한 봉선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비누선반(116c)의 바닥면을 통해 배수가 가능해져 물고임을 방지하고 비누거치대(116)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세면대 상판(120)은 세면기(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세면기(110)를 지지한다. 이러한 세면대 상판(120)은 세면기(110)의 바닥면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세면기(110)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하부커버(130)는, 세면기(110) 및 세면대 상판(1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적어도 배수관(미도시)을 가리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수관을 가리는 측면을 구비한다. 예컨대, 하부커버(130)는 배수관이나 수도관 등을 가릴 수 있도록 형성되어 심미적 효과를 높이면서 세면대(100)를 위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에서 하부커버(130)의 적어도 일 측면에는 샴푸나 바디워시, 혹은 청소용품 등과 같은 다양한 물품들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140)이 마련된다.
수납공간(140)은, 일례로, 하부커버(130)의 적어도 일 측면에서 돌출되는 수납선반(140a)과, 상기 수납선반(140a)에 거치되는 물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바(140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공간(140)은 하부커버(130)의 적어도 일 측면 하부에서 돌출되는 수납선반(140a)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수납선반(140a)은 하부커버(130)의 바닥면이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수납선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수납공간(140)은 하부커버(130)의 적어도 일 측면의 중상부에 배치되도록 변경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수납선반(140a)은 일례로, 하부커버(1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고정바(140b)는, 일례로 수납선반(140a)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이종의 물질, 예컨대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물질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바(140a)는 수납선반(140a)의 바닥면에서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돌출부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세면대 상판(120), 하부커버(130) 및/또는 수납선반(140a)은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세면기(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커버(130)의 적어도 일 측면에 수납공간(140)을 구비한 세면대(100)를 제공함에 의하여, 공간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세면대(100)는 그 바닥면이 욕실의 바닥면에 접하도록 설치되거나, 혹은 욕실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가지고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수납공간(140)의 물고임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측벽(150)을 제외한 하부커버(130)의 나머지 측면들, 예컨대 전면과 더불어 좌,우 양 측면 모두에 수납공간(140)을 형성함에 의해 보다 넓은 수납공간을 확보하는 예를 개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같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를 전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편의상, 도 4 내지 도 6을 설명할 때,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 또는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100')에 있어서, 수납공간(140')은 하부커버(130')의 좌,우 양측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납공간(140')은 하부커버(130')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돌출된 수납선반(140a')과, 상기 수납선반(140a')에 결합되는 고정바(140b')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바(140b')의 일 측은 일례로 수납선반(140a')의 바닥면에 결합되고, 다른 측은 하부커버(13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수납공간(140')이 형성되는 하부커버(130)의 측면은 오목하게 함몰된 위치에 배치되어 수납선반(140a')이 세면대 상판(120)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납공간(140')을 확보하면서도 상기 수납공간(140')에 의해 세면대(100)가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하부커버(130')의 형상을 포함하여 세면대(100')의 형상은 심미적 효과나 사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수납공간(140')이 형성되지 않는 하부커버(130')의 일 측면, 즉 전면은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내측으로 비스듬하게 성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를 전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편의상, 도 7 내지 도 9에서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 혹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 또는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100")에 있어서, 수납공간(140")은 하부커버(130")의 전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납공간(140")은 하부커버(13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된 수납선반(140a")과, 상기 수납선반(140a")에 결합되는 고정바(14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수납공간(140")이 형성되는 하부커버(130)의 전면은 오목하게 함몰된 위치에 배치되어 수납선반(140a")이 적어도 세면대 상판(120)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구현되고, 하부커버(130")의 양 측면은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내측으로 비스듬하게 성형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를 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9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수납공간(140, 140', 140")이 일체로 형성된 세면대(100, 100', 100")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다양한 형태의 세면대에 적용될 수 있음을 명시하는 바이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100', 100": 세면대 110: 세면기
112: 급수밸브 114: 배수구
116: 비누거치대 120: 세면대 상판
130, 130', 130": 하부커버 140, 140', 140": 수납공간
140a, 140a', 140a": 수납선반 140b, 140b', 140b": 고정바
150: 측벽

Claims (10)

  1. 급수밸브로부터의 물을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세면기와;
    상기 세면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세면기를 지지하는 세면대 상판과;
    상기 세면기 및 상기 세면대 상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적어도 배수관을 가리도록 형성되되, 적어도 일 측면에 수납공간이 마련된 하부커버;를 포함하는,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은, 상기 하부커버의 적어도 일 측면에서 돌출되는 수납선반과, 상기 수납선반에 거치되는 물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바를 포함하는,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선반은 상기 하부커버와 일체로 형성되는,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는, 상기 수납선반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이종의 물질로 구현되는,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은 적어도 상기 하부커버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은 적어도 상기 하부커버의 전면에 형성되는,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은 상기 하부커버의 바닥면이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수납선반으로 구현되는,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면기의 상면에 형성된 홈과, 상기 홈 상에 거치된 비누선반을 포함하는 비누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측면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비누선반이 안착되는 단차부;를 더 포함하는,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선반은, 다수의 봉체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는 형태로 결합되어 바닥면을 통해 배수가 가능한 봉선반으로 구현되는,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
KR1020130026357A 2013-03-12 2013-03-12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 KR201401118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357A KR20140111885A (ko) 2013-03-12 2013-03-12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357A KR20140111885A (ko) 2013-03-12 2013-03-12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885A true KR20140111885A (ko) 2014-09-22

Family

ID=51757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357A KR20140111885A (ko) 2013-03-12 2013-03-12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188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5010B1 (ko) 세면대 설치 겸용 선반유닛
JP2008297824A (ja) シンク
US20070056862A1 (en) Angled Soap Dish
KR20140111885A (ko) 수납공간을 구비한 세면대
JP6084466B2 (ja) 幼児用手洗い台
JP5276617B2 (ja) 浴室ユニット
JP2009007907A (ja) 流し台
KR101237737B1 (ko) 모듈식 가변형 욕실시스템
JP2008291582A (ja) 手洗装置
KR20140005029U (ko) 비누거치대를 구비한 세면대
JP2018096181A (ja) シンク
KR200348699Y1 (ko) 세면대
KR200450962Y1 (ko) 세면대
KR20160003078U (ko) 욕실용 다용도 코너선반
JP2018161201A (ja) 浴室用カウンター
KR20190069833A (ko) 물 비누를 포함한 세면대
JP2017055842A (ja) 洗面カウンター
JP2012157594A (ja) 浴室用パーティション
JP2010075311A (ja) フロアーキャビネット及び洗面化粧台
KR200418634Y1 (ko) 비누 받침대
KR200473356Y1 (ko) 비누받침대
KR200368916Y1 (ko) 세면대
JP2001212011A (ja) コーナー用洗面台
JP3126913U (ja) 磁石を有するコップ
KR200416936Y1 (ko) 세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