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0679A -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0679A
KR20140110679A KR1020130067908A KR20130067908A KR20140110679A KR 20140110679 A KR20140110679 A KR 20140110679A KR 1020130067908 A KR1020130067908 A KR 1020130067908A KR 20130067908 A KR20130067908 A KR 20130067908A KR 20140110679 A KR20140110679 A KR 20140110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information
item
display de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7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회
조정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4156771.9A priority Critical patent/EP2775668A3/en
Priority to US14/201,111 priority patent/US20140259060A1/en
Priority to CN201410085839.XA priority patent/CN104038833A/zh
Publication of KR20140110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6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사용자가 서버가 제공하는 UI를 통해 서버에 의해 미리 정해진 기능 뿐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추가 가능한 기능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 가능한 사용자 입력부와;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중 서버에 의해 미리 정해진 제1기능에 대응하는 UI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UI 정보를 토대로 제1기능에 대응하는 제1항목과, 복수의 기능 중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추가 가능한 제2기능에 대응하는 제2항목을 포함하는 제1UI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제1UI의 제2항목이 선택되면, 제2항목에 대응하는 제2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SERVER AND CONTROL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서버가 제공하는 UI(User Interface: UI)를 통해 서버가 제공하는 기능 뿐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HAVi(Home Audio-Video Interoperability), UPnP(Universal Plug and Play) 등과 같은 많은 산업 표준 단체들에 의해 홈 네트워크 기술의 향상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홈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RUI(Remote User Interface)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RUI 기술은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쳐를 기반으로 한 것으로, RUIS(Remote User Interface Server: RUIS)가 네트워크를 통해 TV 등과 같은 RUIC(Remote User Interface Client: RUIC)에 UI를 제공하면 RUIC가 RUIS로부터 UI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줌으로서 사용자가 RUIC에서 RUIS가 제공하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통칭한다.
이러한 RUI 기술은 특성 상 사용자가 RUI를 통해 RUIS가 제공하는 기능을 이용할 수 있지만, RUIC는 RUI를 표시하거나 컨텐츠를 재생하는 등과 같이 RUI 기술 상에 미리 정의된 제한된 기능만을 하게 된다.
예를 들면, 종래의 일반적인 RUI 시스템에 따르면, RUIS가 미리 설정된 기능 또는 컨텐츠(이하, '기능'이라 함)가 표시된 UI 페이지와 해당하는 컨텐츠를 RUIC에 제공하면, RUIC는 표시 화면에 UI 페이지를 표시한다. 즉, RUIC는 RUIS가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UI 페이지를 수신하여 그대로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는 RUIS를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업체 또는 RUIC 제조업체에서 제공하는 리모컨을 통해 UI 페이지의 기능을 선택한다.
RUIC는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리모컨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RUIS에 전달하고, RUIS로부터 전달되는 정보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하는 등의 제한된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이러한 RUI 시스템은 RUIS에서 미리 설정된 기능이 표시된 UI 페이지를 일방적으로 제공하여 RUIC에 표시한다. 따라서, RUIS 입장에서 보면, RUIS가 RUIC에 보여질 UI의 제어권을 가지므로 RUIS가 원하는 UI를 제공하는 데는 문제가 없지만, RUIC 입장에서는 UI 페이지에 표시된 기능 외에 RUIC에 의해 추가 가능한 기능을 사용자에게 노출시킬 수 없다. 그 결과, 사용자는 RUI 페이지가 RUIC의 표시 화면에 표시될 때 RUIS가 제공하는 기능과 RUIC에 의해 추가 가능한 기능을 동시에 비교하여 선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UI 페이지에 표시된 기능 외에 RUIC에 의해 추가 가능한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리모컨을 통해 RUIC의 표시화면에 대한 신호 입력을 RUIS에서 RUIC로 절환하여 RUIC가 제공하는 UI를 표시화면에 가져와서 필요한 기능을 선택해야 한다. 또 사용자가 다시 RUIS가 제공하는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리모컨을 통해 RUIC의 표시화면에 대한 신호 입력을 RUIC에서 RUIS로 절환하여 RUIS가 제공하는 UI를 표시화면에 가져와서 필요한 기능을 선택해야 한다. 그 결과, 사용자는 RUIS가 제공하는 기능 또는 RUIC가 제공하는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각각 대응하는 UI화면으로 절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RUI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RUIS로부터 제공되는 UI 페이지에 RUIC에 의해 추가 가능한 기능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UI를 통해 서버에 의해 미리 정해진 기능과 TV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추가 가능한 기능을 동시에 보여주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번거로운 별도의 조작 없이 두 가지 기능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양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 가능한 사용자 입력부와;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중 서버에 의해 미리 정해진 제1기능에 대응하는 UI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UI 정보를 토대로 제1기능에 대응하는 제1항목과, 복수의 기능 중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추가 가능한 제2기능에 대응하는 제2항목을 포함하는 제1UI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제1UI의 제2항목이 선택되면, 제2항목에 대응하는 제2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UI 정보는 스크립트 기반 UI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스크립트 기반 UI 정보에 기초한 UI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UI페이지 내의 스크립트가 동작할 때 제2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웹 브라우저에 제공하는 플러그 인을 실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어부는 서버에 적어도 제2기능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제2항목을 포함하는 제1UI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2항목을 포함하는 제1UI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제2항목을 포함하는 제1UI에 관한 정보는 비트맵 기반 UI 또는 스크립트 기반 UI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되는 제2기능에 관한 정보는 제2기능의 개수, 명칭, ID, 카테고리, 관련 키워드, 중요도, 구동정보, 변수정보, 및 표시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기능은 어플리케이션 또는 컨텐트에 의한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2항목이 선택되면, 제2기능의 세부항목을 포함하는 제2UI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표시되는 제2UI에서 제1기능의 영상 및/또는 오디오를 더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출력되는 영상 및/또는 오디오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은 서버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중 서버에 의해 미리 정해진 제1기능에 대응하는 UI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UI 정보에 기초한 제1기능에 대응하는 제1항목과, 복수의 기능 중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추가 가능한 제2기능에 대응하는 제2항목을 포함하는 제1UI를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1UI의 제2항목을 선택하는 단계와; 제2항목에 대응하는 제2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UI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스크립트 기반 UI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스크립트 기반 UI 정보에 기초한 UI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UI를 표시하는 단계는 UI페이지 내의 스크립트가 동작할 때 제2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웹 브라우저에 제공하는 플러그 인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서버에 적어도 제2기능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제2항목을 포함하는 제1UI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2항목을 포함하는 제1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제2항목을 포함하는 제1UI에 관한 정보는 비트맵 기반 UI 또는 스크립트 기반 UI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되는 제2기능에 관한 정보는 적어도 제2기능의 개수, 명칭, ID, 카테고리, 관련 키워드, 중요도, 구동정보, 변수정보, 및 표시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항목을 선택하는 단계는 제2항목이 선택되면, 제2기능의 복수의 세부항목을 포함하는 제2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항목을 선택하는 단계는 표시되는 제2UI에서 제1기능의 영상 및/또는 오디오를 더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항목을 선택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출력되는 영상 및/또는 오디오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컨텐트에 의한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상에 따르면, 서버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중 서버에 의해 미리 정해진 제1기능에 대응하는 UI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저장된 UI 정보와 통신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행가능 기능 정보를 토대로 제1기능에 대응하는 제1항목과,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중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추가 가능한 제2기능에 대응하는 제2항목을 포함하는 제1UI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UI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행가능 기능 정보는 적어도 제2기능의 개수, 명칭, ID, 카테고리, 관련 키워드, 중요도, 구동정보, 변수정보, 및 표시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제2항목이 선택되면 제2항목에 대응하는 제2기능을 수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에 요청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생성된 제1UI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할 때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계정 정보 및 서버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제2기능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하는 API 또는 서버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RUI 프로토콜 확장을 통해 요청 및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상에 따르면, 서버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행가능 기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중 저장된 서버에 의해 미리 정해진 제1기능에 대응하는 UI 정보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행가능 기능 정보를 토대로 제1기능에 대응하는 제1항목과,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중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추가 가능한 제2기능에 대응하는 제2항목을 포함하는 제1UI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제1UI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제2 항목이 선택될 때 제2항목에 대응하는 제2기능을 수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행가능 기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적어도 제2기능의 개수, 명칭, ID, 카테고리, 관련 키워드, 중요도, 구동정보, 변수정보, 및 표시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요청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하는 API 또는 서버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RUI 프로토콜 확장을 통해 제2항목에 대응하는 제2기능을 수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서비스 제공 서버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는 UI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의 일 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UI 생성 프로그램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UI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UI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서비스 제공 서버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UI를 제공하는 방식의 일 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 및 서비스 제공 서버(2)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와 서비스 제공 서버(2)는 네트워크(3)를 통하여 상호 연결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기기로서, 예컨대, TV, 컴퓨터 등과 같은 영상을 표시하는 기기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명령은, 사용자의 행위 등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가 소정 동작을 수행할 것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사용자의 명령은 리모컨의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리모컨신호 또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일 수 있다.
이하, 본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명령은 리모컨의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리모컨 신호인 것으로 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는 TV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사용자의 명령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의 입력으로 지칭한다.
네트워크(3)는 디스플레이 장치(1)와 서비스 제공 서버(2)가 사용자의 입력 및 제공 컨텐츠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하여 통신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장치나 인프라를 포함하며, 유선 및/또는 무선의 네트워크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2)는 네트워크(3)에 연결되어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에게 소정의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RUIS(Remote User Interface Server: RUIS)로서, 예컨대, RVU 서버, DIRCETV 서버, IP TV 서버, 스마트 셋톱박스, 스마트 폰, 스마트패드, PC, 노트북 PC 등과 같은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기를 포함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2)는 RUIC(Remote User Interface Client: RUIC)인 디스플레이 장치(1)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가 수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중 컨텐츠 제공 서버(2)에 의해 미리 정해진 제1기능에 대응하는 UI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기능은 예컨데 여러가지 컨텐츠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거나 재생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서버(2)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로 전송되는 UI 정보는 스크립트 기반 UI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크립트 기반 UI 정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의 웹 브라우저에서 동작할 수 있는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를 임베디드한 UI 페이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서비스 제공 서버(2)로부터 제공된 UI 정보를 토대로 제1기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항목(103a ;도 6 참조)과, 디스플레이 장치(2)가 수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중 디스플레이 장치(1)에 의해 추가 가능한 제2기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항목(104a ;도 6 참조)을 포함하는 제1UI(100; 도 6 참조)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UI(100)를 표시한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어부(14; 도 3 참조)에 의해 UI 생성 프로그램(16)을 실행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UI 생성 프로그램(16)은, 스크립트 기반 UI 정보에 기초한 자바스크립트를 임베디드한 UI 페이지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웹 브라우저(18), 제2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자(19), 및 UI페이지 내의 스크립트가 동작할 때 제2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서비스 관리자에게 요청하고 서비스 관리자(19)로부터 받은 제2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스크립트에 적용하여 제2기능에 대응하는 제2항목(104a)을 표시할 수 있도록 웹 브라우저에 제공하는 플러그 인(20)을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1UI(100)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다.
제1UI(100)는 제1기능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101), 제1기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항목(103a)을 표시하는 제1영역(103), 제2기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항목(104a)을 표시하는 제2영역(104), 및 제1UI(100)의 컨텐츠 내용을 설명하는 텍스트 영역(10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UI(100)의 구성은 제2기능에 대응하는 제2항목(104a)을 표시하는 제2 영역(104)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RUI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2 영역(104)에 배치되는 제2항목(104a)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2항목(104a)은 아이콘 형태, 예컨데, 서브네임를 포함하는 아이콘 형태, 텍스트를 포함하는 아이콘 형태, 또는 웹사이트에 링크된 아이콘 형태로 표시되어, 리모컨을 통한 사용자의 기능 선택에 관한 입력에 의해 선택될 때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어부(14)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기능의 세부항목을 포함하는 제2UI(104a')를 표시하거나 해당 기능을 바로 실행 또는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제2항목(104a)의 제2기능은 어플리케이션 또는 컨텐트에 의해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제2UI(104a')로 표시되는 스마트 TV 허브 기능일 수 있다.
제2UI(104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기능의 세부항목만을 표시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제2기능의 세부항목에 추가하거나 제2기능의 세부항목과 별도로 제1기능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더 포함하거나 및/또는 제1기능에 대응하는 오디오를 더 출력하는 혼합 형태로 구성될 있다. 후자의 경우, 제2UI(104a')는 리모컨을 통한 사용자의 기능 선택에 관한 입력에 따라 출력되는 제1기능의 영상 및/또는 오디오의 재생, 정지, 소거, 크기/세기 조절 등이 제어부(14)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항목(104a)은 사용자가 해당 기능을 사용한 후 종료하는 경우, 제어부(14)에 의해 제1UI 페이지(100)로 돌아가거나 서비스 제공 서버(2)의 명령을 기다리는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2항목(104a)는 도 6의 예에서 제1UI(100)의 부분을 구성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제2항목(104a)의 배열, 형태, 구성은 도 6에 관하여 설명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항목(104a)은 제1UI(100)의 배경부분 또는 다음 페이지에서 실행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해당 항목을 포함하는 서비스 화면이 제1UI 페이지 위에 오버레이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기능 선택에 관한 사용자의 입력, 즉, 리모컨을 통해 입력되는 리모컨 신호가 있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의 입력이 서비스 제공 서버(2)에 의해 미리 결정된 제1기능에 대한 것인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 의해 추가 가능한 제2기능에 대한 것인 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제1기능에 관한 것일 경우 기존 루틴대로 그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2)로 전송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2)는 선택된 제1항목(103a)에 대응하는 제1기능을 구동하는 데 필요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계정 정보 및/또는 서버의 상태 정보를 함께 수신된 제어명령정보에 응답하는 제1기능에 대한 구동 요청을 디스플레이 장치(1)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서비스 제공 서버(2)로부터의 구동 요청에 따라 사용자 계정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인증 후 해당 기능을 구동하도록 동작한다.
한편, 사용자의 입력이 디스플레이 장치(1)에 의해 추가 가능한 제2기능에 관한 것일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는 UI 생성 프로그램(16)의 플러그 인(20)을 통해 해당 기능을 구동하도록 동작한다.
제1 및 제2항목(103a, 104a)의 제1 및 제2기능은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1)가 제공하는 API를 통해 구동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와 서비스 제공 서버(2) 사이의 RUI 프로토콜 확장을 통해 그 구동에 필요한 정보 전달과 구동 요청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가 서비스 제공 서버(2)로부터 제공되는 UI를 통해 사용자에게 서비스 제공 서버(2)에 의해 미리 정해진 제1기능 뿐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1)에 의해 추가 가능한 제2기능을 동시에 보여주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두 가지 기능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RUI 시스템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RUI 페이지에 표시된 제1기능 외에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추가 가능한 제2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 서버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모컨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화면에 대한 신호 입력을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절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하는 UI를 표시화면으로 가져와야 하는 번거로움과, 다시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미리 결정된 제1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리모컨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화면에 대한 신호 입력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절환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UI를 표시화면에 가져와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진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동작수행부(11), 사용자 입력부(12), 통신부(13) 및 제어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저장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작수행부(11)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고유의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1)가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 동작수행부(11)는, 신호수신부(111), 영상처리부(112) 및 디스플레이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동작수행부(11)는 디스플레이 장치(1)가 구현된 제품에 고유한 기능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신호수신부(111)는 방송신호 송신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신호에 포함된 영상신호를 수신하거나, DVD플레이어, BD플레이어 등의 영상기기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거나, PC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거나,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의 모바일기기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거나,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신호를 수신하거나, USB저장매체와 같은 저장매체에 저장된 영상컨텐츠를 영상신호로서 입력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12)는 신호수신부(111)에 의해 수신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영상처리부(112)는 디코딩, 이미지 인핸싱, 스케일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영상처리부(112)에 의해 처리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13)가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며, LCD, PDP, OLED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12)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부(12)는, 예컨대, 리모컨(도시하지 않음), 및 리모컨으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키입력정보를 포함하는 리모컨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신호수신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사용자 입력부(12)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키입력정보를 생성하는 조작패널로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13)는 네트워크(3)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2)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3)는 제어부(14)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 및 그 분석결과에 관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2)와 주고 받는다.
제어부(14)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동작수행부(11)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4)는 통신부(13)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2)로부터 UI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UI 정보(151)를 저장부(15)에 저장한다. 제어부(14)는 사용자 입력부(12)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2)와 연결에 관한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면, 저장된 UI 정보(151)를 토대로 제1기능에 대응하는 제1항목(103a)과, 디스플레이 장치(1)가 수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중 디스플레이 장치(1)에 의해 추가 가능한 제2기능에 대응하는 제2항목(104a)을 포함하는 제1UI(100)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UI(100)를 표시하도록 동작수행부(11)의 영상처리부(112)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13)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4)는 CPU를 포함하며, 제어프로그램(도시하지 않음)과 UI 생성 프로그램(16)을 실행하여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제어프로그램과 UI 생성 프로그램(16)을 저장하기 위한 플래시메모리 등의 비휘발성의 메모리와, CPU가 신속히 액세스할 수 있도록 저장된 제어프로그램과 UI 생성 프로그램(16)의 적어도 일부를 로딩하는 DDR과 같은 휘발성의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의 제어프로그램과 UI 생성 프로그램(16)은 각각 동작수행부(1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내용과 저장된 UI 정보(151)를 토대로 제1항목(103a)과 제2항목(104a)을 포함하는 UI(100)를 생성하기 위한 내용으로 프로그램된다.
특히, UI 생성 프로그램(16)은 도 4에 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웹 브라우저(18), 서비스 관리자(19), 및 플러그 인(20)을 포함하도록 프로그램된다.
이때, 서비스 관리자(19)가 관리하는 제2기능과 관련된 정보는 제2기능의 수, 명칭, ID, 카테고리, 관련 키워드, 중요도, 구동 정보, 변수 정보, 및/또는 표시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를 통해 제1UI(100)에 표시된 제2항목(104a)의 구동에 관한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2)에서 사용자 인증 등과 같은 별도의 사용자의 입력을 해석해야 하는 절차가 필요 없으므로, 제어부(14)는 휘발성의 메모리에 로딩된 UI 생성 프로그램(16)의 플러그 인(20)을 통해 동작수행부(11)에 해당 기능을 구동하도록 요청하여 해당 기능을 구동하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 입력부(12)를 통해 제1항목(103a)의 구동에 관한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4)는 일반적인 루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2)에 그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정보를 송신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2)는 선택된 제1항목(103a)에 대응하는 제1기능을 구동하는 데 필요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계정 정보 및/또는 서버의 상태 정보를 함께 제1기능에 대한 구동 요청을 디스플레이 장치(1)로 전송한다. 제어부(14)는 사용자 계정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인증 후 서비스 제공 서버(2)로부터의 구동 요청에 따라 해당 기능을 구동하도록 동작수행부(11)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만일 서비스 제공 서버(2)의 사용이 미리 인증되어 있기 때문에 제1기능을 구동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등과 같은 별도의 사용자의 입력을 해석하기 위한 절차가 필요 없다면, 제어부(14)는 사용자 입력부(12)를 통해 제1항목(103a)의 구동에 관한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더라도, 위에서 설명한 제2항목(104a)의 구동에 관한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와 같이 서비스 제공 서버(2)에 제1기능에 대한 구동 요청을 전송하지 않고, UI 생성 프로그램(16)의 플러그 인(20)을 통해 동작수행부(11)에 해당 기능을 구동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제공 서버(2)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서비스 제공 서버(2)는 통신부(21), 제어부(22) 및 저장부(231)를 포함한다. 통신부(21)는 네트워크(3)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의 통신부(13)와 통신을 수행한다.
제어부(22)는 서비스 제공 서버(2)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2)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서비스 제공 서버(2)와 연결에 관한 사용자의 입력 등에 의해 통신부(2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어부(14)로부터 UI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저장부(23)에 저장된 UI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1)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2)는 통신부(2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어부(14)로부터 제2항목(104a)의 구동에 관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정보를 수신하면, 제1항목(103a)에 대응하는 제1기능을 구동하는 데 필요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계정 정보 및/또는 서버의 상태 정보를 함께 제1기능에 대한 구동 요청을 디스플레이 장치(1)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1)를 제어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어부(14)는 서비스 제공 서버(2)와 연결에 관한 사용자의 입력 등에 따라 통신부(13)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2)에 UI 정보를 요청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2)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가 수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중 서버(2)에 의해 미리 정해진 제1기능에 대응하는 UI 정보를 수신한다(S1). 수신된 UI 정보(151)는 저장부(15)에 저장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4)는 UI 생성 프로그램(16)을 사용하여 수신된 UI 정보(151)에 기초한 제1기능에 대응하는 제1항목(103a)과 디스플레이 장치(1)에 의해 추가 가능한 제2기능에 대응하는 제2항목(104a)을 포함하는 제1UI(100)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한다(S2).
그 다음, 사용자 입력부(12)에서 리모컨을 통한 사용자의 기능 선택에 관한 입력에 대응하는 리모컨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4)는 리모컨신호가 제1UI(100)에 표시된 제1항목(103a)의 구동에 관한 사용자의 입력인 지, 아니면, 제2항목(104a)의 구동에 관한 사용자의 입력인 지를 판단한다(S3).
판단결과, 리모컨신호가 제2항목(104a)의 구동에 관한 사용자의 입력이면 서비스 제공 서버(2)에서 사용자 인증 등과 같은 별도의 사용자의 입력을 해석해야 하는 절차가 필요 없으므로, 제어부(14)는 휘발성의 메모리에 로딩된 UI 프로그램(16)의 플러그 인(20)을 통해 동작수행부(11)에 해당 기능을 구동하도록 요청하여 해당 기능을 구동하도록 한다(S4). 제어부(14)에 의해 구동되는 제2항목(104a)의 구성 및 형태는 도 6 및 도 7과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제어부(14)에 의해 구동되는 제2항목(104a)의 구성 및 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판단결과, 리모컨신호가 제1항목(103a)의 구동에 관한 사용자의 입력이면, 제어부(14)는 기존 루틴대로, 서비스 제공 서버(2)에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정보를 송신하고(S5), 서비스 제공 서버(2)는 제어명령정보를 해석하여 제1항목(103a)에 대응하는 제1기능을 구동하는 데 필요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계정 정보 및/또는 서버 상태 정보를 함께 제1기능에 대한 구동 요청을 디스플레이 장치(1)로 전송한다. 제어부(14)는 사용자 계정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인증 후 서비스 제공 서버(2)로부터의 구동 요청에 따라 해당 기능을 구동하도록 동작수행부(11)의 동작을 제어한다(S6).
이때, 만일 서비스 제공 서버(2)의 사용이 미리 인증되어 있기 때문에 제1기능을 구동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등의 별도의 사용자의 입력을 해석하기 위한 절차가 필요 없다면, 단계(S3)에서 리모컨신호가 제1항목(103a)의 구동에 관한 사용자의 입력인 것으로 판단되더라도, 제어부(14)는 위에서 설명한 제2항목(103a)의 구동에 관한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와 같이 서비스 제공 서버(2)에 제1기능에 대한 구동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생략하고, 바로 UI 생성 프로그램(16)의 플러그 인(20)을 실행하여 동작수행부(11)에 해당 기능을 구동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도 9,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 및 서비스 제공 서버(2')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와 컨텐츠 제공 서버(2')는 네트워크(3)를 통하여 상호 연결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와 컨텐츠 제공 서버(2')는 도 1 내지 도 5와 관련하여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1) 및 컨텐츠 제공 서버(2)와 비교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 및 컨텐츠 제공 서버(2')의 제어부(14', 22')의 구성을 제외한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어부(14', 22')의 구성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어부(14')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어부(14)와 달리, 제1UI(100)를 생성하지 않고, 통신부(13)를 통해 적어도 제2기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가 수행 가능한 기능에 관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2')로 전송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의 수행가능 기능 정보는 제1 및 제2 기능, 특히, 적어도 제2기능의 수, 명칭, ID, 카테고리, 관련 키워드, 중요도, 구동 정보, 변수 정보, 및/또는 표시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저장부(15)에 미리 저장된다.
서비스 제공 서버(2')의 제어부(22')는 수신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수행가능 기능 정보와 저장부(23)에 저장된 서비스 제공 서버(2')에 의해 미리 정해진 제1기능에 대응하는 UI 정보를 토대로, 제1기능에 대응하는 제1항목(103a)과, 디스플레이 장치(1')가 수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중 제1기능에 포함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 의해 추가 가능한 제2기능에 대응하는 제2항목(104a)을 포함하는 제1UI(100', 또는 100"; 도 10 참조)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UI(100', 또는 100")를 통신부(21)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로 송신한다. 여기서, 제1UI(100', 또는 100")의 제1 및 제2항목(103a,104a)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제1 및 제2항목(103a,104a)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제1UI(100', 100")는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크립트 기반 UI일 수도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맵 기반 UI일 수도 있다. 스크립트 기반 UI일 경우, 제1UI(100')는 예컨대, HTML4에 기반한 CEA 2014 규격 UI 또는 HTML5에 기반한 DLNA RUIH 규격 UI를 포함하고, 비트맵 기반 UI일 경우, 제1UI(100")는 예컨대, RVU UI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는 CPU를 포함하며, 제어프로그램과 UI 생성 프로그램(도시하지 않음)을 실행하여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22')는 제어프로그램과 UI 생성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플래시메모리 등의 비휘발성의 메모리와, CPU가 신속히 액세스할 수 있도록 저장된 제어프로그램과 UI 생성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를 로딩하는 DDR과 같은 휘발성의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의 제어프로그램과 UI 생성 프로그램은 각각 서비스 제공 서버(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내용과 수신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수행가능 기능 정보와 저장부(23)에 저장된 미리 정해진 제1기능에 대응하는 UI 정보를 토대로 제1항목(103a)과 제2항목(104a)을 포함하는 스크립트 기반 제1UI(100') 또는 비트맵 기반의 제1UI(100")를 생성하기 위한 내용으로 프로그램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어부(14')는 통신부(13)를 통해 수신된 제1UI(100'또는 100")를 저장부(15)에 저장하도록 저장부(15)를 제어한다.
사용자 입력부(12)에서 리모컨을 통한 사용자의 제1UI(100'또는 100")의 기능 선택에 관한 입력에 대응하는 리모컨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4')는 리모컨신호가 제1UI(100'또는 100" )에 표시된 제1항목(103a)의 구동에 관한 사용자의 입력인 지 또는 제2항목(104a)의 구동에 관한 사용자의 입력인 지에 관계없이 기존 루틴에 따라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2')로 송신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2')의 제어부(22')는 통신부(21)를 통해 수신된 제어명령정보에 응답하여 제1기능 또는 제2기능에 대한 구동 요청을 디스플레이 장치(1)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어부(14')는 서비스 제공 서버(2')로부터 통신부(13)를 통해 수신된 제1기능 또는 제2기능에 대한 구동 요청에 따라 동작수행부(11)에 해당 기능을 구동하도록 요청하여 해당 기능을 구동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제공 서버(2')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서비스 제공 서버(2')의 제어부(22')는 통신부(21)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의 수행가능 기능 정보를 수신한다(S1').
제어부(22')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수행가능 기능 정보와 저장부(23)에 저장된 서비스 제공 서버(2')에 의해 미리 정해진 제1기능에 대응하는 UI 정보를 토대로 제1기능에 대응하는 제1항목(103a)과, 디스플레이 장치(1')에 의해 추가 가능한 제2기능에 대응하는 제2항목(104a)을 포함하는 제1UI(100', 또는 100")를 생성한다(S2').
이어서, 제어부(22')는 생성된 제1UI(100', 또는 100")를 통신부(21)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로 송신한다(S3').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어부(14')는 통신부(13)를 통해 수신된 제1UI(100', 또는 100")를 저장부(15)에 저장함과 함께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기능선택에 관한 입력에 따라 제1항목(103a) 또는 제2항목(104a)이 선택될 때 제1항목(103a) 또는 제2항목(104a)의 선택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정보를 통신부(13)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2')에 송신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2')의 제어부(22')는 통신부(13)을 통하여 수신된 제어명령정보에 응답하여 제1기능 또는 제2기능에 대한 구동 요청을 디스플레이 장치(1)로 전송한다(S4'). 이때, 제어부(22')는 제1기능 또는 제2기능을 구동하는 데 필요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계정 정보 및/또는 서버 상태 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1)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어부(14')는 서비스 제공 서버(2')로부터 통신부(13)를 통해 수신된 제1기능 또는 제2기능에 대한 구동 요청에 따라 동작수행부(11)에 해당 기능을 구동하도록 요청하여 해당 기능을 구동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중 서버에 의해 미리 정해진 기능 뿐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추가 가능한 기능을 서버가 제공하는 UI 페이지에 표시하도록 하는 구성과 이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 결과, 사용자가 종래의 RUI 시스템에서와 같이 서버가 제공하는 기능만 국한되게 사용하지 않고, 서버의 기능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 디스플레이 장치 2,2': 서비스 제공 서버
3: 네트워크 12: 사용자 입력부
13, 21: 통신부 14, 14', 22, 22': 제어부 20: 플러그 인 100, 100', 100": 제1UI
103a: 제1항목 104a: 제2항목
104a': 제2UI 112: 영상처리부

Claims (30)

  1.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 가능한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중 상기 서버에 의해 미리 정해진 제1기능에 대응하는 UI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UI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기능에 대응하는 제1항목과, 상기 복수의 기능 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추가 가능한 제2기능에 대응하는 제2항목을 포함하는 제1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제1UI의 제2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제2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제2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I 정보는 스크립트 기반 UI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상기 스크립트 기반 UI 정보에 기초한 UI페이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UI페이지 내의 스크립트가 동작할 때 상기 제2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웹 브라우저에 제공하는 플러그 인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에 적어도 상기 제2기능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항목을 포함하는 상기 제1UI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항목을 포함하는 상기 제1UI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되는 제2기능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2기능의 개수, 명칭, ID, 카테고리, 관련 키워드, 중요도, 구동정보, 변수정보, 및 표시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능은 어플리케이션 또는 컨텐트에 의한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제2기능의 세부항목을 포함하는 제2UI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되는 제2UI에서 상기 제1기능의 영상과 오디오 중의 적어도 하나를 더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출력되는 영상과 오디오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2항목을 포함하는 상기 제1UI에 관한 정보는 비트맵 기반 UI 및 스크립트 기반 UI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서버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중 상기 서버에 의해 미리 정해진 제1기능에 대응하는 UI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UI 정보에 기초한 상기 제1기능에 대응하는 제1항목과, 상기 복수의 기능 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추가 가능한 제2기능에 대응하는 제2항목을 포함하는 제1UI를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UI의 제2항목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제2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제2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UI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스크립트 기반 UI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상기 스크립트 기반 UI 정보에 기초한 UI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UI페이지 내의 스크립트가 동작할 때 상기 제2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웹 브라우저에 제공하는 플러그 인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 적어도 상기 제2기능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항목을 포함하는 상기 제1UI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항목을 포함하는 상기 제1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되는 제2기능에 관한 정보는 적어도 상기 제2기능의 개수, 명칭, ID, 카테고리, 관련 키워드, 중요도, 구동정보, 변수정보, 및 표시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항목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2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제2기능의 복수의 세부항목을 포함하는 제2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항목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되는 제2UI에서 상기 제1기능의 영상과 오디오 중의 적어도 하나를 더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항목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출력되는 영상과 오디오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12항 내지 제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컨텐트에 의한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2항목을 포함하는 상기 제1UI에 관한 정보는 비트맵 기반 UI 및 스크립트 기반 UI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23.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중 상기 서버에 의해 미리 정해진 제1기능에 대응하는 UI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된 UI 정보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행가능 기능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기능에 대응하는 제1항목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추가 가능한 제2기능에 대응하는 제2항목을 포함하는 제1UI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UI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행가능 기능 정보는 적어도 상기 제2기능의 개수, 명칭, ID, 카테고리, 관련 키워드, 중요도, 구동정보, 변수정보, 및 표시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제2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제2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제2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제1UI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할 때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계정 정보 및 상기 서버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능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하는 API 또는 상기 서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RUI 프로토콜 확장을 통해 요청 및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8.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행가능 기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중 저장된 서버에 의해 미리 정해진 제1기능에 대응하는 UI 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행가능 기능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기능에 대응하는 제1항목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추가 가능한 제2기능에 대응하는 제2항목을 포함하는 제1UI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제1UI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제2 항목이 선택될 때 상기 제2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제2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의 제어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행가능 기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적어도 상기 제2기능의 개수, 명칭, ID, 카테고리, 관련 키워드, 중요도, 구동정보, 변수정보, 및 표시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의 제어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하는 API 또는 서버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RUI 프로토콜 확장을 통해 상기 제2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제2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의 제어방법.
KR1020130067908A 2013-03-08 2013-06-13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1067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56771.9A EP2775668A3 (en) 2013-03-08 2014-02-26 Display apparatus, server and control methods thereof
US14/201,111 US20140259060A1 (en) 2013-03-08 2014-03-07 Display apparatus, server and control methods thereof
CN201410085839.XA CN104038833A (zh) 2013-03-08 2014-03-10 显示装置、服务器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13774753A 2013-03-08 2013-03-08
US61/774,753 2013-03-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679A true KR20140110679A (ko) 2014-09-17

Family

ID=51756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7908A KR20140110679A (ko) 2013-03-08 2013-06-13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06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52571A1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EP3384379B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a virtual operating system user interface on a display device
US11727441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that was advertised on a second screen device using a primary device
JP5730914B2 (ja) Webブラウザにおける双方向通信および内容制御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60210665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that was advertised on a second screen device using a primary device
EP2963935A1 (en) Multi screen display controlled by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s
US20120159338A1 (en) Media navigation via portable networked device
US10516721B2 (en) Remote process management
US10423139B2 (en) Devi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control system
US9426203B2 (en) Remote application control interface
WO2017062873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that was advertised on a second screen device using a primary device
JP6445050B2 (ja) クラウドストリーミングサービス提供方法、そのための装置及びシステム、並びにそのためのクラウドストリーミング用スクリプトコード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140259060A1 (en) Display apparatus, server and control methods thereof
KR20140110679A (ko)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96240A (ko) 사용자 동작 인식 기반의 인터랙티브 미디어 제작 시스템 및 방법
JP2013131084A (ja) コンテンツ配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