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0583A - 건물의 바닥 시공구조 - Google Patents

건물의 바닥 시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0583A
KR20140110583A KR1020130025183A KR20130025183A KR20140110583A KR 20140110583 A KR20140110583 A KR 20140110583A KR 1020130025183 A KR1020130025183 A KR 1020130025183A KR 20130025183 A KR20130025183 A KR 20130025183A KR 20140110583 A KR20140110583 A KR 20140110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plate
sound absorbing
water pipe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5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규
Original Assignee
최창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규 filed Critical 최창규
Priority to KR1020130025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0583A/ko
Publication of KR20140110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바닥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효율을 높이고 층간소음을 없앨 수 있으며 적은 전문인력으로 건축시공을 할 수 있게 하는 건물의 바닥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건물의 슬래브(S) 상면을 덮도록 깔리는 베이스 시트(1), 상기 베이스 시트(1)의 상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목재로 된 장선재(3); 합성수지로써 발포성형된 판재를 재단하여 상기 장선재(3)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게 되는 제1흡음재(5); 상기 장선재(3)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되, 상기 장선재(3)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
Figure pat00007
"형태의 일정한 단면을 가지는 온수관설치대(7); 상기 온수관설치대(7) 상면에 빈틈이 없도록 설치 고정되는 상판체(19)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상판체(19)와 제1흡음재 사이에 공기층(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물의 바닥 시공구조{Structure For Construction Floor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의 바닥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일러의 열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적은 인력으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층간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건물의 바닥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국내의 일반주택의 실내 바닥에는 실내의 난방을 위하여 온수배관이 설치된다. 보일러에 의해 가열된 온수는 온수배관을 순환하여 바닥을 가열하게끔 되어 있다. 보통의 경우 미장공사를 통해 온수배관을 바닥에 매설하게 되는데, 이에 의하면 온수배관은 콘크리트를 가열함으로써 간접적으로 방안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보일러를 가동하여도 냉방이 즉시로 따뜻해지지는 아니한다. 보일러를 정지시키고 장시간 외출하는 경우에도 콘크리트가 보유하게 된 축열은 손실되는 것이며 이것은 낭비적 요소라고 볼 수 있다.
한편,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등의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층간소음은 많은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겪는 문제중 하나이다. 층간소음에 따른 문제는 사회적 문제로 확대되기도 한다. 층간소음을 해결하고자 하는 여러 방안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실제 적용되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으며 여전히 해결되어야 할 문제가 있다. 건물의 시공방법을 설계할 때에는 시공자재나 인력 등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고찰되어야 한다.
층간소음을 저감시키기는 방안으로는 바닥 슬래브에 흡음성 소재로 된 바닥재를 설치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는 통상 구조체의 바닥에 흡음재를 적층하는 방법으로 시공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적층구조는 천장고를 낮게 하는 문제가 있으며 자재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국내 특허출원 제10-2005-0071953호는 층간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장선과 장선 사이의 홈에 흡음재를 개입시키는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건물의 층고를 낮추는 방안이 될 수는 있겠지만 흡음 효과에는 의문이 있다.
한편 근래 미장기술자 등 전문인력의 수급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인력수급의 문제는 시공계획에 차질을 주기도 한다. 따라서 적은 전문인력으로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시공구조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에 온수배관을 설치하는 난방장치에 있어서 열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공동주택에서의 층간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건물의 바닥 시공구조를 제공하되, 시공이 용이하여 전문인력의 노동력이 없이도 작업할 수 있는, 건물 바닥의 조립식 시공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건물의 바닥 슬래브 상면을 덮도록 깔리는 베이스 시트,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목재로 된 장선재; 상기 장선재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되, 상기 장선재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
Figure pat00001
"형태의 일정한 단면을 가지는 온수관설치대; 합성수지로써 발포성형된 판재를 재단하여 상기 장선재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게 되는 제1흡음재; 상기 온수관설치대 상면에 빈틈이 없도록 설치 고정되는 상판체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상판체와 제1흡음재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바닥 시공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상판체는 단면이 "
Figure pat00002
"로 절곡 형성된 금속 재질의 커버판과, 상기 커버판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합판으로 된 상판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온수관설치대의 사이에 상기 온수관설치대의 높이에 대하여 1/3 ~ 2/3의 두께를 갖는 제2흡음재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흡음재 상면에는 열반사필름이 도포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온수관설치대는 바닥판, 측판, 측판에서 측방향을 향해 직각으로 연장된 평판 및 평판 가장자리에서 하방향을 향해 연장된 절곡판을 포함하되;
상기 절곡판은 상기 온수관설치대의 중심부를 향해 1~3mm 높이로 돌출된 압박부와, 상기 온수관의 외면 일부에 접하여 감쌀 수 있도록 하방향으로 갈수록 측판을 향해 경사진 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온수관이 온수관설치대를 통해 상판체 및 방안 공기에 열을 전달하게 되므로 보다 빠른 시간에 방안 공기를 가열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열손실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즉 온수관에서 발생되는 열을 공기층이 직접 흡수하여 간직함으로써 열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흡음재와 더불어 공기층이 마련됨으로써 위에서 발생되는 각종 소음과 진동이 슬래브를 통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이 크게 감소된다. 또한 기성의 소재를 이용하여 상판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미장공사를 필요로 하지 아니한다. 따라서 전문인력이 없이도 신속하게 건물의 바닥공사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닥 시공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닥 시공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온수관설치대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동시에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슬래브(S)는 건물의 층을 구분하는 것으로서, 1개 층의 바닥을 형성한다. 슬래브(S)는 통상 철근 콘크리트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철골구조나 목조주택인 경우는 철골이나 목재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부직포로 된 베이스 시트(1)가 슬래브(S) 위에 먼저 깔리게 된다. 베이스 시트(1)는 그 두께에 따라 1겹 또는 2겹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방수처리된 폼매트가 깔릴 수도 있다. 나일론이나 기타 합성수지 시트가 베이스 시트(1)로 이용될 수도 있다.
장선재(3)가 베이스 시트(1)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장선재(3)를 슬래브(S)에 고정시킬 필요성은 없으나 장선재(3) 및 바닥의 상태에 따라 벽돌못으로 띄엄띄엄 고정시킬 수도 있다. 장선재(3)는 30×30mm의 규격을 갖는 각목재가 적당하며 설치 간격은 300 ~ 500mm 가 적당하다.
이격 설치된 장선재(3) 사이마다 제1흡음재(5)가 면밀하게 설치된다. 제1흡음재(5)는 폴리우레탄을 발포성형한 것으로서 장선재(3)의 높이와 유사한 두께(T)를 갖는 판형 소재로서, 장선재(3)의 배치 간격에 대응되는 폭으로 절단한 다음 사용할 수도 있고 현장에서 절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스티로폼이 제1흡음재(5)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제1흡음재(5)의 두께(T)에 따라 후술되는 공기층(9)의 두께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장선재(3)의 상면에는 온수관설치대(7)가 장선재(3)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 고정된다. 온수관설치대(7)는 보일러용 온수관(P)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층(9, 도 2 참조)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기도 하다. 공기층(9)은 상부에서 전달되는 소음이나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온수관설치대(7)는 열전달률이 높은 금속 소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아연도금판재를 절곡 성형하거나, 알루미늄을 압출 성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온수관설치대(7)는 내측에 온수관(P)을 끼워넣을 수 있도록 온수관안착부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
Figure pat00003
"형태의 일정한 단면을 가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온수관설치대(7)는 바닥판(11), 측판(13), 측판(13)에서 내측을 향해 직각으로 연장된 평판(15) 및 평판(15) 가장자리에서 중심부를 향해 직각으로 연장된 절곡판(17)을 포함한다. 평판(15)은 나사못을 고정시키기에 적당한 폭을 가진다. 이러한 구조는 강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이후 설명되는 상판체(19)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온수관설치대(7)는 다양한 단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판(17)은 온수관설치대(7)의 중심부를 향해 1~3mm 높이로 돌출된 압박부(21)와 온수관(P)의 외면 일부, 특히 어깨부위에 접하여 감쌀 수 있도록 하방향으로 갈수록 측판을 향해 경사진 밀착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온수관(P)을 끼울 때 찰칵하면서 끼워져 안정감 있게 설치 및 고정시킬 수 있고, 온수관(P)이 온수관설치대(7) 내부에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밀착부(23)를 통해 온수관(P)의 열이 외부로 잘 전달되게 할 수 있다.
온수관설치대(7)와 장선재(3)가 교차하는 부위에 제1나사못(25)을 고정시킴으로써 온수관설치대(7)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하면 온수관(P)은 온수관설치대(7)를 통해 외부로 열전달을 하게 된다. 온수관설치대(7)는 통상 금속 재질로 되어 있으므로 열전달속도가 빨라 신속하게 방안으로 열을 전달하게 한다.
온수관설치대(7) 위에는 상판체(19)가 빈틈없이 고정된다. 상판체(19)는 기존의 미장공사에 의해 형성되는 바닥층에 대응되는 구성요소이다. 상판체(19)는 단면이 "
Figure pat00004
"로 절곡 형성된 커버판(29)과, 커버판(29)에 끼워지는 상판본체(3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판(29)은 아연도금판을 절곡 성형한 것으로서 제2나사못(33)을 이용하여 온수관설치대(7) 위에 고정될 수 있다. 제2나사못(33)은 특히 온수관설치대(7)의 평판(15)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온수관설치대(7) 사이의 공간에 온수관설치대(7)의 높이(H)에 대하여 1/3 ~ 2/3의 높이를 이루는 제2흡음재(35)가 설치될 수 있다. 제2흡음재(35)는 제1흡음재(5)와 동일한 소재일 수 있다. 그러므로 온수관설치대(7)의 높이(H)에 대하여 1/3 ~2/3의 높이에 해당하는 공기층(9)이 마련되게 된다. 이 공기층은 위에서 전달되는 소음, 진동이 슬래브(S)까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여 제1,2흡음재(5,35)와 함께 층간소음을 줄이는데 큰 작용을 한다.
제2흡음재(35)의 상면에는 열반사를 위한 열반사필름(37)이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열반사시트(37)는 알루미늄 또는 은으로 코팅된 필름일 수 있다.
상판본체(31)는 일반 합판일 수 있으며, 커버판(29)의 폭에 맞추어 미리 재단된 것일 수 있다. 상판본체(31)는 커버판(29)에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으나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끼워맞춰 놓기만 할 수도 있다. 상판체(19)의 상면에는 장판지, 타일, 마루 등의 최종 바닥재(39)가 설치 고정된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1 : 베이스 시트 3 : 장선재
5, 35 : 제1,2흡음재 7 : 온수관설치대
9 : 공기층 11 : 바닥판
13 : 측판 15 : 평판
17 : 절곡판 19 : 상판체
21 : 압박부 23 : 밀착부
25,33 : 제1,2나사못
29 : 커버판 31 : 상판본체
37 : 열반사필름 39 : 바닥재
P : 온수관 S : 슬래브(slab)

Claims (4)

  1. 건물의 슬래브(S) 상면을 덮도록 깔리는 베이스 시트(1), 상기 베이스 시트(1)의 상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목재로 된 장선재(3); 합성수지로써 발포성형된 판재를 재단하여 상기 장선재(3)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게 되는 제1흡음재(5); 상기 장선재(3)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되, 상기 장선재(3)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
    Figure pat00005
    "형태의 일정한 단면을 가지는 온수관설치대(7); 상기 온수관설치대(7) 상면에 빈틈이 없도록 설치 고정되는 상판체(19)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상판체(19)와 제1흡음재(5) 사이에 공기층(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바닥 시공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체(19)는 단면이 "
    Figure pat00006
    "로 절곡 형성된 금속 소재의 커버판(29)과, 상기 커버판(29)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합판으로 된 상판본체(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바닥 시공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관설치대(7)의 사이에 상기 온수관설치대(7)의 높이에 대하여 1/3 ~ 2/3의 두께를 갖는 제2흡음재(3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바닥 시공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관설치대(7)는 바닥판(11), 측판(13), 측판(13)에서 측방향을 향해 직각으로 연장된 평판(15) 및 평판(15) 가장자리에서 하방향을 향해 연장된 절곡판(17)을 포함하되;
    상기 절곡판(17)은 상기 온수관설치대(7)의 중심부를 향해 1~3mm 높이로 돌출된 압박부(21)와, 상기 온수관(P)의 외면 일부에 접할 수 있도록 하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측판(13)을 향해 경사진 밀착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바닥 시공구조.
KR1020130025183A 2013-03-08 2013-03-08 건물의 바닥 시공구조 KR201401105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183A KR20140110583A (ko) 2013-03-08 2013-03-08 건물의 바닥 시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183A KR20140110583A (ko) 2013-03-08 2013-03-08 건물의 바닥 시공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583A true KR20140110583A (ko) 2014-09-17

Family

ID=51756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5183A KR20140110583A (ko) 2013-03-08 2013-03-08 건물의 바닥 시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05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52486A (zh) * 2018-03-27 2018-07-06 上海金洛海洋工程有限公司 模块式地板加热组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52486A (zh) * 2018-03-27 2018-07-06 上海金洛海洋工程有限公司 模块式地板加热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1055B1 (ko) 건물에서의 사용을 위한 바닥 및 천장 패널
US6188839B1 (en) Radiant floor heating system with reflective layer and honeycomb panel
US20190249425A1 (en) Multifunctional ceiling structure
WO2018158231A1 (en) A framed element and its use
KR100647908B1 (ko) 다중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소음 저감형 건식 바닥 시스템
KR101509586B1 (ko) 이중 바닥 구조의 차음 난방장치
US20140097169A1 (en) Floor heating system with flexible and stretchable anti-fracture
KR200467659Y1 (ko) 건물의 층간소음 차단을 위한 바닥구조
JP2004143927A (ja) 暖房管の配管用断熱ボ−ド
JP5931396B2 (ja) 建築物の防音構造体及び床構造
KR20140110583A (ko) 건물의 바닥 시공구조
KR20210012106A (ko) 난방용 바닥재
KR20120064390A (ko) 필름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GB2440204A (en) Acoustic flooring for underfloor heating
EP0854325A2 (en) A heat exchanger
KR102274980B1 (ko) 층간소음 방지용 건식난방 설치 구조
RU2293823C2 (ru) Здание с воздушным отоплением
JP3131958U (ja) 高機能型遮熱マット
KR101884515B1 (ko) 기능성 패널형 바닥재 및 그 패널형 바닥재를 이용한 건식 난방 시공 방법
JP4115614B2 (ja) 床暖房パネル及びその敷設方法
KR20190090105A (ko) 펄라이트를 충진재로 이용한 층간소음이 저감된 뜬바닥 구조의 시공방법
RU220132U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шумоизоляционный блок
KR101433912B1 (ko) 층간차음기능을 구비한 난방패널
GB2460420A (en) Heat transfer panel with reinforcing layer
JPH09303799A (ja) 温水床暖房放熱部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