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0429A -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0429A
KR20140110429A KR1020130024721A KR20130024721A KR20140110429A KR 20140110429 A KR20140110429 A KR 20140110429A KR 1020130024721 A KR1020130024721 A KR 1020130024721A KR 20130024721 A KR20130024721 A KR 20130024721A KR 20140110429 A KR20140110429 A KR 20140110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luid
adjustment
lifting
patient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9800B1 (ko
Inventor
김경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원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원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원메디칼
Priority to KR1020130024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800B1/ko
Publication of KR20140110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21/04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는 환자를 부양 지지하는 매트리스유닛 및 매트리스유닛이 안착되고, 매트리스유닛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베이스유닛을 포함하고, 베이스유닛은, 매트리스유닛이 안착되는 지지유닛 및 매트리스유닛이 제1방향으로 절첩되도록 지지유닛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BED FOR PATIENT CARING}
본 발명은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구적으로 플렉시블한 링크 구조를 사용하여 침대의 매트리스유닛을 기울여 환자의 자세를 변환시킴으로써, 침대를 사용하는 환자에게 발생되는 배압 현상을 방지하고, 환자의 욕창을 방지할 수 있는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천적 장애, 후천적 장애 및 질병 등으로 인해 자신의 신체를 스스로 제어하지 못하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함께 공존하며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은 자신의 신체를 스스로 제어하지 못하므로, 주변인에게 도움을 받아야만 한다.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은 대부분 중풍환자, 신체 일부 또는 전부가 마비된 환자, 신체장애인, 중환자,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 등과 같은 환자이다.
이때, 환자는 스스로 배변 또는 배뇨를 해결하지 못하는 사람들로써, 보호자 또는 간병인이 배변 또는 배뇨 등의 배설물을 처리해야만 한다.
또한, 환자는 장시간 침상에 누워있어야 하므로, 장시가 같은 자세가 지속되기 때문에 혈액 순환 및 신진대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압박을 받는 신체 부위에 욕창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욕창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마다 환자가 누워있는 자세를 변환시켜 압박을 받는 신체 부위의 부담을 해소시켜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환자가 바로 누운 상태에서 욕창이 주로 발생하는 등 및 엉덩이의 압박부담을 덜어주기 위하여, 일정 시간마다 좌측이나 우측을 향하여 옆으로 눕는 자세를 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최근에는 인접한 셀부재가 교차로 팽창 및 수축되는 것에 의해 환자가 수평자세를 유지하면서도 하중이 매트리스의 특정 부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욕창 방지용 매트리스가 개발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20162호 (2003. 03. 08. 공개, 발명의 명칭 : 욕창방지용 침대) 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구적으로 플렉시블한 링크 구조를 사용하여 침대의 매트리스유닛을 기울여 환자의 자세를 변환시킴으로써, 침대를 사용하는 환자에게 발생되는 배압 현상을 방지하고, 환자의 욕창을 방지할 수 있는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는 환자를 부양 지지하는 매트리스유닛; 및 상기 매트리스유닛이 안착되고, 상기 매트리스유닛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베이스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유닛은, 상기 매트리스유닛이 안착되는 지지유닛; 및 상기 매트리스유닛이 제1방향으로 절첩되도록 상기 지지유닛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조절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매트리스유닛이 안착되는 베이스지지부; 상기 베이스지지부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베이스연장부; 및 상기 베이스지지부의 타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베이스연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조절유닛은, 상기 지지유닛에 결합되는 조절축부; 상기 조절축부에 결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가 상기 조절축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안착부를 승강시키는 조절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절구동부는, 상기 안착부의 승강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조절피벗부; 및 상기 구동력에 의해 상기 지지유닛 또는 상기 안착부에서 피벗 운동되는 조절전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절구동부는, 상기 조절전달부에 링크 결합되어 상기 안착부를 승강시키는 조절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절구동부는, 상기 안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조절유닛은, 상기 조절축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조절축부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조절가이드부; 및 상기 조절축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조절축부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조절제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안착부의 수평 상태를 유지시키는 수평지지부; 상기 안착부의 경사 상태를 유지시키는 경사지지부; 및 상기 수평지지부와 상기 경사지지부를 연결하여 상기 조절축부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조절경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유닛은, 상기 매트리스유닛이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절첩되도록 상기 제1조절유닛 또는 상기 지지유닛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조절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조절유닛은, 상기 제1조절유닛 또는 상기 지지유닛에 결합되는 조절축부; 상기 조절축부에 결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가 상기 조절축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안착부를 승강시키는 조절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유닛은, 상기 지지유닛을 승강시키는 승강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유닛은, 바닥에 지지되는 승강지지부; 및 상기 지지유닛과 상기 승강지지부를 연결하여 상기 지지유닛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지지유닛의 승강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승강피벗부; 및 상기 구동력에 의해 상기 승강지지부 또는 상기 지지유닛에서 피벗 운동되는 승강전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승강전달부에 링크 결합되어 상기 지지유닛을 승강시키는 승강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매트리스유닛은, 상기 환자를 부양시키는 부양유닛; 및 상기 부양유닛을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냉온조절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부양유닛은, 유체에 의해 상기 환자를 부양시키는 다수의 부양셀부; 및 상기 부양셀부에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발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부양유닛은, 상기 유체가 이동되도록 상기 부양셀부와 상기 유체발생부를 연결하는 커넥팅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냉온조절유닛은, 유체가 지그재그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조절유로부가 형성된 조절바디부; 및 상기 조절유로부에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발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냉온조절유닛은, 상기 유체가 이동되도록 상기 조절유로부와 상기 유체발생부를 연결하는 커넥팅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체발생유닛은, 상기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압력을 발생시키는 유체펌핑부; 상기 유체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열전소자; 상기 압력에 의해 상기 유체가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이동유로부; 및 상기 이동유로부를 통과한 상기 유체가 저장되는 감압탱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커넥팅부는, 상기 유체가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유로부가 형성된 제1커넥터부; 상기 유체가 이동되도록 상기 제1유로부에 결합되는 연결부; 상기 제1유로부와 연통되는 제2유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커넥터부; 상기 제2유로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피스톤부; 및 상기 제2유로부에서 상기 개폐피스톤부를 탄성 지지하는 개폐탄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개폐피스톤부를 가압하는 연결돌부;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커넥터부는, 상기 연결부가 삽입 지지되는 제1바디부; 및 상기 개폐피스톤부가 상기 제2유로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상기 제1바디부에 결합되는 제2바디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커넥터부에는, 상기 제2유로부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개폐피스톤부를 지지하는 개폐지지부;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는 기구적으로 플렉시블한 링크 구조를 사용하여 침대의 매트리스유닛을 기울여 환자의 자세를 변환시킴으로써, 침대를 사용하는 환자에게 발생되는 배압 현상을 방지하고, 환자의 욕창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베이스유닛의 각도 변환 동작과 유체의 압력 조절 중 적어도 베이스유닛의 각도 변환 동작을 통해 매트리스유닛의 상하 각도 또는 좌우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환자의 자세를 변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트리스부유닛의 일부가 손상되더라도 환자의 2차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정상 호흡 유무를 감지함으로써, 환자의 호흡이 일정하지 않을 경우, 신속하게 주변인(간병인과 담당의사와 가족 등)에게 호흡 이상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트리스유닛에 공급되는 유체를 가열 또는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에게 저체온증 또는 고체온증이 발생할 경우, 환자의 체온을 유지시킬 수 있고, 2차 또는 3차로 발생할 수 있는 환자의 위험 요소를 억제 또는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를 매트리스유닛에 공급할 때, 안정적인 유체 파형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열전소자와 이에 대응되는 다수의 유로를 통해 냉방과 난방의 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 또는 냉각되는 유체의 유로를 지그재그로 형성함은 물론 복층 구조의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유체의 가열 또는 냉각 속도를 향상시키고, 유체의 이동에 따른 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 또는 냉각된 유체가 저장되는 감압탱크부를 통해 매트리스유닛에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 파형을 평준화시키고, 매트리스유닛의 부양셀부를 원활하게 부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의 가열과 냉각이 동시에 이루어짐에 따라 발생되는 이슬 맺힘 현상에 대해 수분을 제거할 수 있고, 수분에 의한 유체발생부의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상 침대를 사용하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의 피부에 건조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고,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에게서 욕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를 도시한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발생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체발생부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체발생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체발생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체발생부의 이동유로부와 열전소자의 배치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넥팅부를 도시한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넥팅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유닛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절유닛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절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조절유닛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조절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유닛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조절유닛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조절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조절유닛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9와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조절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조절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2와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조절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케어용 저상 침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를 도시한 분해도로써,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는 매트리스유닛(1)과, 베이스유닛(2)을 포함한다.
매트리스유닛(1)은 환자를 부양 지지하고, 베이스유닛(2)은 매트리스유닛(1)이 안착된다. 여기서, 베이스유닛(2)은 매트리스유닛(1)의 각도를 변경시킴에 따라 환자의 자세를 변환시킬 수 있다.
지금부터는 매트리스유닛(1)의 구성과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발생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체발생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체발생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체발생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체발생부의 이동유로부와 열전소자의 배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넥팅부를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넥팅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유닛(1)은 부양유닛(10)과, 냉온조절유닛(11)으로 구분할 수 있다.
부양유닛(10)은 베이스유닛(2)으로부터 환자를 부양시킨다.
부양유닛(10)은 부양셀부(110)와, 유체발생부(130)를 포함하고, 커넥팅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양셀부(110)는 다수 개가 상호 결합되어 감압탱크부(1360)에 저장되는 유체에 의해 부양된다. 부양셀부(110)는 유체발생부(130)의 제어공압부(1390)의 동작에 따라 인접한 두 부양셀부(110)가 상호 교대로 부양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부양셀부(110)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미도시)이 관통 형성되어 부양셀부(110) 내부의 유체가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부양셀부(110)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다수 개가 상호 결합되어 유체발생부(130)의 감압탱크부(1360)에 저장되는 유체에 의해 부양될 수 있다. 또한, 부양셀부(110)의 부양 또는 부양셀부(110)의 통기공(미도시)에서 배출되는 기체에 의해 부양셀부(110)와 접촉되는 사용자에게 욕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예로, 부양셀부(110)는 유체가 충진되는 다수의 에어쿠션부로 구성될 수 있고, 에어쿠션부가 삽입되는 메모리쿠션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부양셀부(110)는 몸통부양셀과, 엉덩이부양셀과, 다리부양셀로 구분할 수 있다.
몸통부양셀은 다수 개가 상호 연결되어 환자의 상체 부분을 지지한다.
엉덩이부양셀은 몸통부양셀에 결합되고, 다수 개가 상호 연결되어 환자의 엉덩이 부분과 환자의 허리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분을 지지한다.
다리부양셀은 엉덩이부양셀에 결합되고, 다수 개가 상호 연결되어 사용자의 다리 부분을 지지한다. 다리부양셀은 한 쌍이 상호 이격되어 처리삽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처리삽입구는 환자의 배변을 처리할 수 있는 배변처리장치(미도시)가 삽입되어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양유닛(10)은 연결관과, 조절유닛과, 커버부재와, 리모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관은 유체발생부(130)에서 발생된 유체가 부양셀부(110)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연결관을 통해 개별의 부양셀부(110)와 유체발생부(130)가 상호 연통되어 유체발생부(130)에서 발생되는 유체를 개별의 부양셀부(110)에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연결관과 부양셀부(110)는 연결커넥터를 통해 연결됨으로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고,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며, 유체의 간섭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관과 연결커넥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유체발생부에서 발생된 유체를 부양셀부(110)에 안정되게 전달할 수 있다.
조절유닛은 다수의 부양셀부(110) 중 어느 하나의 부양셀부(110)에 연결되어 부양셀부(110)의 내부 압력을 조절한다.
그러면, 유체가 부양셀부(110)에 공급될 때, 조절유닛은 부양되는 부양셀부(110)의 부양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유체에 의해 부양셀부(1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조절유닛은 체크밸브와 압력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체크밸브는 부양셀부(110)에 공급되는 유체의 역류를 방지한다. 체크밸브는 부양셀부(110)에 유체를 공급하는 연결관에 구비될 수 있다.
압력조절부재는 부양셀부(110) 중 어느 하나의 부양셀부(110)에 연결되고, 부양셀부(110)의 부양 상태를 유지한다.
압력조절부재는 부양셀부(110)에 설정된 임계 압력보다 높아지는 경우, 부양셀부(110)에 공급된 유체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부양셀부(110)의 부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압력조절부재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부양셀부(110)의 부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커버부재는 부양셀부(110)를 감싸 보호한다. 커버부재는 상판부재와, 하판부재로 구성되고, 지퍼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상판부재와 하판부재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리모콘은 유체발생부(13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유체발생부(130)를 조작할 수 있다. 리모콘은 사용자 또는 사용자를 보살피는 간병인이 유체발생부(130)를 직접 조작하지 않더라도 원거리에서 유체발생부(130)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리모콘을 사용하여 사용자 또는 간병인이 외부에 응급 상황을 전달할 수 있다.
유체발생부(130)는 부양셀부(110)에 유체를 공급한다.
유체발생부(130)는 부양셀부(110)에 공급되는 유체를 가열 또는 냉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유체발생부(130)에서 공급되는 유체는 기체 또는 액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체발생부(130)는 유체펌핑부(1310)와, 열전소자(1340)와, 이동유로부(1330)와, 감압탱크부(136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펌핑부(1310)는 유체가 이동되기 위한 압력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부양셀부(110)에 공급되는 유체는 기체 중 대기 중의 공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발생부(130)에는 유체펌핑부(1310)의 동작에 따라 대기 중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133)가 유체펌핑부(1310)와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유체펌핑부(1310)는 피벗바(1312)와, 자성체(1313)와, 변환구동부(1314)와, 다이어프램부(1315)를 포함할 수 있다.
피벗바(1312)는 피벗축(131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자성체(1313)는 피벗바(1312)에 구비된다. 자성체(1313)는 피벗바(1312)의 단부에 결합 고정될 수 있고, 영구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변환구동부(1314)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변화되는 극성이 자성체(1313)와 반응하여 피벗바(1312)를 피벗 운동시킨다.
다이어프램부(1315)는 피벗바(1312)의 피벗 운동에 따라 유체를 이동유로부(1330)에 공급한다. 다이어프램부(1315)는 피벗바(1312)의 피벗 운동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되면서 유체를 이동유로부(1330)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다이어프램부(1315)는 유체가 이동유로부(1330)로 이동되는 펌핑유로(1316)와, 피벗바(1312)의 피벗 운동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되면서 유체를 이동유로부(1330)로 이동시키는 신축부(1317)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부(1315)는 신축부(1317)의 수축 또는 이완에 따라 압력이 발생되어 유체가 펌핑유로(1316)로 안정되게 흡입될 수 있음은 물론 펌핑유로(1316)의 유체를 이동유로부(133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예로, 신축부(1317)와 피벗바(1312)는 펌핑유로(1316)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구비되어 일측의 신축부(1317)가 수축되면 타측의 신축부(1317)는 이완되도록 각각의 피벗바(1312)를 피벗 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가 안정되게 펌핑유로(1316)에 흡입될 수 있고, 펌핑유로(1316)에 흡입되는 유체의 파형을 안정화시켜 유체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열전소자(1340)는 유체펌핑부(1310)의 동작에 따라 이동되는 유체를 가열 또는 냉각시킨다.
열전소자(1340)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일측면은 발열하여 온도가 상승되고, 타측면은 흡열하여 온도가 낮아지는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가 나타나는 것으로, 양측면이 기설정된 온도차를 나타낸다.
여기서, 온도가 상승되는 열전소자(1340)의 일측면은 발열면이라 하고, 온도가 낮아지는 열전소자(1340)의 타측면은 냉각면으로 정의한다.
이동유로부(1330)는 유체펌핑부(1310)에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유체가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이동유로부(1330)에는 열전소자(1340)가 구비되어 이동유로부(1330)에서 이동되는 유체는 열전소자(1340)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될 수 있다.
이동유로부(1330)는 온열유로부(1330a)와, 냉열유로부(1330b)로 구분할 수 있다.
온열유로부(1330a)는 열전소자(1340)에 의해 가열되는 유체가 이동되고, 냉열유로부(1330b)는 열전소자(1340)에 의해 냉각되는 유체가 이동된다. 그러면, 분기관(1320)을 통해 유체펌핑부(1310)의 유체가 온열유로부(1330a)와 냉열유로부(1330b)에 각각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열전소자(1340)는 온열유로부(1330a)와 냉열유로부(1330b)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발열면은 온열유로부(1330a)에 구비되고, 냉각면은 냉열유로부(1330b)에 구비됨으로써, 하나의 열전소자(1340)를 통해 온열유로부(1330a)를 이동하는 유체는 가열하고, 냉열유로부(1330b)를 이동하는 유체는 냉각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유로부(1330)는 이동관로부(1333)와, 제1방열부(1331)와, 제2방열부(13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관로부(1333)는 유체펌핑부(1310)의 동작에 따라 유체가 이동된다.
제1방열부(1331)는 다수 개가 이동관로부(1333)에 이격 배열된다.
제2방열부(1332)는 제1방열부(1331)와 마주보도록 이동관로부(1333)에 돌출 형성되고, 제1방열부(1331)와 교대로 배열된다.
그러면, 이동관로부(1333)에서 이동되는 유체는 제1방열부(1331)와 제2방열부(1332)에 의해 이동 경로가 전환되면서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제1방열부(1331)와 제2방열부(1332)를 통한 방열 효과로 이동관로부(1333)에서는 유체의 가열 또는 냉각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제1방열부(1331)와 제2방열부(1332)의 배열에 따라 이동관로부(1333)에서 이동되는 유체에 의한 소음과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이동유로부(1330)는 이동관로부(1333)를 복수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유로부(1330)는 연통관로부(13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통관로부(1334)는 유체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켜 복수의 이동관로부(1333)에서 인접한 이동관로부(1333)를 상호 연통시킨다.
이에 따라 유체가 이동유로부(1330)를 이동하는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고, 유체가 제1방열부(1331)와 제2방열부(1332)에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유체의 가열 또는 냉각 효율을 증가시킴은 물론 유체의 이동에 따른 소음과 진동을 안정되게 흡수할 수 있다.
감압탱크부(1360)는 이동유로부(1330)를 통과한 유체가 저장된다. 감압탱크부(1360)는 이동유로부(1330)를 거치면서 열전소자(1340)를 통해 가열 또는 냉각된 유체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감압탱크부(1360)에는 저장되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감압조절부(1361)가 구비될 수 있다.
감압조절부(1361)는 감압탱크부(1360)에 저장되는 유체의 압력이 기설정된 값보다 커지게 되면 유체를 배출시킬 수 있다.
감압조절부(1361)의 구성에 따라 감압탱크부(1360)에 저장되는 유체의 압력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감압탱크부(1360)의 압력 상승에 따라 유체발생부(1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감압탱크부(1360)에는 접속부(131)가 구비될 수 있다. 접속부(131)는 감압탱크부(1360)와 부양셀부(110)를 연결하여 감압탱크부(1360) 내부의 유체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접속부(131)는 후술하는 제어공압부(1390)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접속부(131)는 후술하는 커넥팅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발생부(130)는 전환밸브부(1350)와, 단열부(1370)와, 수분제거부(1380)와, 제어공압부(13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환밸브부(1350)는 이동유로부(1330)에 연결되고, 유체펌핑부(1310)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감압탱크부(1360)에 전달하거나 유체를 배출시킨다.
여기서, 이동유로부(1330)가 온열유로부(1330a)와 냉열유로부(1330b)로 구분됨에 따라 전환밸브부(1350)는 온열유로부(1330a)에 연결되는 제1밸브부(1351)와, 냉열유로부(1330b)에 연결되는 제2밸브부(1352)로 구분하여 온열유로부(1330a)와 냉열유로부(1330b)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일예로, 전환밸브부(1350)는 유체펌핑부(1310)와 이동유로부(13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면, 유체펌핑부(1310)에서 공급되는 유체는 온열유로부(1330a)와 냉열유로부(1330b) 중 어느 하나로만 이동되어 감압탱크부(13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압탱크부(1360)에 저장된 유체는 부양셀부(110)에 전달되고, 나머지 유체는 배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환밸브부(1350)는 이동유로부(1330)와 감압탱크부(13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면, 온열유로부(1330a)와 냉열유로부(1330b)를 이동하는 유체 중 어느 하나만이 감압탱크부(13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열유로부(1330a)와 냉열유로부(1330b)를 이동하는 유체 중 감압탱크부(1360)에 저장되는 유체는 부양셀부(110)에 전달되고, 온열유로부(1330a)와 냉열유로부(1330b)를 이동하는 유체 중 배출되는 유체는 열전소자(1340)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열부(1370)는 이동유로부(1330)와 감압탱크부(1360)를 감싸 이동되는 유체를 단열한다. 단열부(1370)는 이동유로부(1330)에서 가열 또는 냉각된 유체를 단열함으로써, 유체의 온도가 변화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단열부(1370)는 전환밸브부(1350)를 감싸 이동되는 유체를 단열할 수 있다.
여기서, 단열부(1370)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이동유로부(1330)와 감압탱크부(1360)와 전환밸브부(1350)를 감싸 유체를 단열할 수 있다.
수분제거부(1380)는 이동유로부(1330)와 감압탱크부(13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온도 편차에 의해 발생되는 수분을 배출시킨다. 열전소자(1340)를 통한 유체의 가열과 냉각에 따라 발생되는 온도 편차에 의한 이슬 맺힘 현상으로 수분이 발생될 때, 수분제거부(1380)는 수분을 배출시킬 수 있다.
수분제거부(1380)는 수분포집부(1381)와, 수분흡수부(1382)와, 건조부(1383)를 포함할 수 있다.
수분포집부(1381)는 이동유로부(1330)와 감압탱크부(13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온도 편차에 의해 발생되는 수분이 수용된다.
수분흡수부(1382)는 수분포집부(1381)에 구비되어 수분을 흡수한다.
건조부(1383)는 수분흡수부(1382)에 흡수된 수분을 배출시킨다. 건조부(1383)는 수분흡수부(1382)에 흡수된 수분을 증발시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건조부(1383)의 동작에 따라 수분흡수부(1382)가 건조해지거나 건조부(1383)에 의한 수분제거부(1380) 또는 유체발생부(130)의 오동작을 억제 또는 방지하기 위해 수분포집부(1381)에는 기설정된 양의 수분이 수용될 수 있다.
수분제거부(1380)는 이동유로부(1330)와 감압탱크부(1360)와 전환밸브부(13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온도 편차에 의해 발생되는 수분을 배출시킬 수 있다.
제어공압부(1390)는 감압탱크부(1360)와 부양셀부(110) 사이에 구비되어 부양셀부(110)의 부양 여부를 선택한다. 제어공압부(1390)의 동작에 따라 다수의 부양셀부(110)가 교대로 부양될 수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301은 유체발생부(13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이고, 하우징(1301)에는 제어공압부(1390)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미설명 부호 P는 유체발생부(13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이다. 전원부(P)는 외부 전원과 유체발생부(130)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전원부(P)는 베이스유닛(2)의 제1조절유닛(21)과, 제2조절유닛(22)과, 승강유닛(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미설명 부호 C는 유체발생부(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제어부(C)는 유체발생부(130)에서 변환구동부(1314)와, 열전소자(1340)와, 전환밸브부(1350)와, 감압조절부(1361)와, 수분제거부(1380)와, 제어공압부(13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C)는 유체발생부(130)에서 변환구동부(1314)와, 열전소자(1340)와, 전환밸브부(1350)와, 감압조절부(1361)와, 수분제거부(1380)와, 제어공압부(1390)가 상호 연동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C)는 열전소자(1340)에 인가되는 전원의 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C)는 제1조절유닛(21)과, 제2조절유닛(22)과, 승강유닛(2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유체발생부(130)의 동작을 살펴보면, 전원부(P)에 의해 변환구동부(1314)에 전원이 인가되면 변화되는 극성에 의해 피벗바(1312)가 피벗 운동되고, 다이어프램부(1315)의 신축부(1317)가 수축 또는 이완되면서 펌핑유로(1316)의 유체를 이동유로부(1330)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변환구동부(1314)의 극성 변화는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전원부(P)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으로 열전소자(1340)는 발열면에서 온도가 상승되고, 냉각면에서 온도가 하강한다. 이에 따라 온열유로부(1330a)를 따라 이동되는 유체는 가열되고, 냉열유로부(1330b)를 따라 이동되는 유체는 냉각된다.
여기서, 열전소자(1340) 또는 열전소자(1340)에 인가되는 전원은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이동유로부(1330)와 열전소자(13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좀더 자세하게, 도 6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열유로부(1330a)와 냉열유로부(1330b)는 일렬로 배열되고, 교대로 배열된다. 이때, 온열유로부(1330a)와 냉열유로부(1330b) 사이에 열전소자(1340)가 구비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이동유로부(1330)를 배열함에 있어서, 열전소자(1340)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열전소자(1340)를 통한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이동유로부(1330)는 무한궤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이동유로부(1330)가 홀수로 형성되는 경우, 온열유로부(1330a)와 냉열유로부(1330b)는 교대로 배열되고, 이동유로부(1330) 중 어느 하나는 더미유로부(1330c)로 구분된다. 이때, 인접한 두 이동유로부(1330) 사이에는 열전소자(1340)가 구비된다.
그러면, 더미유로부(1330c)에는 열전소자(1340)의 발열면과 냉각면이 공존함에 따라 더미유로부(1330c)를 이동하는 유체는 실질적으로 온도 변화가 없게 된다.
더미유로부(1330c)가 구비되는 경우, 전환밸브부(1350)는 더미밸브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미유로부(1330c)는 전환밸브부(1350)의 더미밸브부(미도시) 동작에 따라 더미유로부(1330c)에 전달되는 유체를 차단하거나, 더미유로부(1330c)에서 이동되는 유체가 배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모든 이동유로부(1330)에서 열전소자(1340)가 결합되는 두 면을 모두 가열하거나 냉각할 수 있으므로, 열전소자(1340)를 통한 유체의 가열 성능 또는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열된 유체와 냉각된 유체를 택일하여 사용함에 따라 유체의 가열 또는 냉각 작용에 대해 열전소자(1340)의 방열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이동유로부(1330)는 무한궤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이동유로부(1330)가 짝수로 구분되는 경우, 온열유로부(1330a)와 냉열유로부(1330b)는 교대로 배열된다. 이때, 인접한 두 이동유로부(1330) 사이에는 열전소자(1340)가 구비된다.
다수의 이동유로부(1330)가 짝수로 형성되는 경우, 상술한 더미유로부(미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동유로부(1330)에서 이동되는 유체의 사용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든 이동유로부(1330)에서 열전소자가 결합되는 두 면을 모두 가열하거나 냉각할 수 있으므로, 열전소자(1340)를 통한 유체의 가열 성능 또는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열된 유체와 냉각된 유체를 택일하여 사용함에 따라 유체의 가열 또는 냉각 작용에 대해 열전소자(1340)의 방열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가열된 유체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열전소자(1340)에 전원을 인가하고, 전환밸브부(1350)의 제1밸브부(1351)와 제2밸브부(1352)가 동작되면, 제1밸브부(1351)에 의해 유체펌핑부(1310)와 온열유로부(1330a)와 감압탱크부(1360)가 연결되어 가열된 유체가 감압탱크부(1360)에 저장되고, 제2밸브부(1352)의 동작에 의해 유체펌핑부(1310)와 냉열유로부(1330b)를 차단하거나, 냉열유로부(1330b)를 이동하는 유체를 배출시킬 수 있다.
그러면, 가열된 유체가 감압탱크부(1360)에 저장되고, 제어공압부(1390)의 동작에 따라 연결관을 통해 부양셀부(110)에 공급할 수 있다.
반대로, 냉각된 유체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열전소자(1340)에 전원을 인가하고, 전환밸브부(1350)의 제1밸브부(1351)와 제2밸브부(1352)가 동작되면, 제2밸브부(1352)에 의해 유체펌핑부(1310)와 냉열유로부(1330b)와 감압탱크부(1360)가 연결되어 냉각된 유체가 감압탱크부(1360)에 저장되고, 제1밸브부(1351)의 동작에 의해 유체펌핑부(1310)와 온열유로부(1330a)를 차단하거나, 온열유로부(1330a)를 이동하는 유체를 배출시킬 수 있다.
그러면, 냉각된 유체가 감압탱크부(1360)에 저장되고, 제어공압부(1390)의 동작에 따라 연결관을 통해 부양셀부(110)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지 않는 경우, 전환밸브부(1350)의 제1밸브부(1351)와 제2밸브부(1352)가 동작되면, 유체펌핑부(1310)와 온열유로부(1330a)와 냉열유로부(1330b)와 감압탱크부(1360)가 모두 연결되어 유체펌핑부(1310)에서 공급되는 유체는 감압탱크부(1360)에 저장된다. 이때, 열전소자(1340)에 전원이 인가되기도 하고, 열전소자(134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기도 한다.
그러면, 유체는 감압탱크부(1360)에 저장되고, 제어공압부(1390)의 동작에 따라 연결관을 통해 부양셀부(110)에 공급할 수 있다.
일예로, 도 6의 (c)와 같은 이동유로부(1330)와 열전소자(1340)의 배치에서는 열전소자(1340)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도 전환밸브부(1350)가 동작되면, 더미밸브부(미도시)의 동작에 따라 유체펌핑부(1310)와 더미유로부(1330c)와 감압탱크부(1360)가 연결됨으로써, 가열 또는 냉각되지 않은 유체는 감압탱크부(1360)에 저장되고, 제어공압부(1390)의 동작에 따라 연결관을 통해 부양셀부(110)에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환밸브부(1350)와 제어공압부(13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커넥팅부(120)는 유체가 이동되도록 부양셀부(110)와 유체발생부(130)를 연결한다.
커넥팅부(120)는 제1커넥터부(121)와, 연결부(122)와, 제2커넥터부(123)와, 개폐피스톤부(126)와, 개폐탄성부(1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넥터부(121)는 유체가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유로부(121-1)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커넥터부(121)는 유체발생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22)는 유체가 이동되도록 제1유로부(121-1)에 결합된다. 연결부(122)는 제1유로부(121-1)와 연통되는 중공의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단부에는 개폐피스톤부(126)를 가압하기 위한 연결돌부(12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넥터부(121)와 연결부 사이에는 제1유로부(121-1)에서 이동되는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폐부(128)가 구비될 수 있다. 밀폐부(128)는 제1커넥터부(121)와 연결부(122)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커넥터부(123)는 제1유로부(121-1)와 연통되는 제2유로부(123-2)가 형성된다. 제2커넥터부(123)는 제1커넥터부(121)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커넥터부(123)는 부양셀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커넥터부(123)는 제2유로부(123-2)가 형성되는 제1바디부(124)와, 제1바디부(124)에 결합되고 개폐피스톤부(126)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바디부(125)로 구분할 수 있다.
제1바디부(124)와 제2바디부(125) 사이에는 제2유로부(123-2)에서 이동되는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폐부(128)가 구비될 수 있다. 밀폐부(128)는 제1바디부(124)와 제2바디부(125)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커넥터부(123)에는 제2유로부(123-2)의 폐쇄 상태에서 개폐피스톤부(126)를 지지하는 개폐지지부(123-2)가 구비될 수 있다. 개폐지지부(123-2)는 연결부(122)의 연결돌부(122-1)가 삽입됨에 따라 개폐피스톤부(126)를 가압하여 제2유로부(123-2)를 개방시킬 수 있다. 개폐지지부(123-2)는 제2커넥터부(123)에서 제1바디부(124) 또는 제2바디부(125)에 구비될 수 있다.
개폐피스톤부(126)는 제2유로부(123-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개폐탄성부(127)는 제2유로부(123-2)에서 개폐피스톤부(126)를 탄성 지지한다.
그러면, 제1커넥터부(121)와 제2커넥터부(123)의 결합 동작에 따라 연결부(122)의 연결돌부(122-1)는 개폐지지부(123-2)에 삽입되면서 개폐피스톤부(126)를 가압하므로, 개폐탄성부(127)는 수축되고, 제1유로부(121-1)와 제2유로부(123-2)가 연통되어 유체발생부(130) 측의 유체를 부양셀부(110) 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커넥터부(121)와 제2커넥터부(123)의 분리 동작에 따라 연결부(122)의 연결돌부(122-1)가 개폐지지부(123-2)에서 이탈되므로, 개폐피스톤부(126)는 개폐탄성부(127)의 탄성복원력으로 이완되어 개폐지지부(123-2)에 지지되고, 제2유로부(123-2)가 폐쇄되어 유체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냉온조절유닛(11)은 부양유닛(10)을 가열 또는 냉각시킨다. 또한, 냉온조절유닛(11)은 부양유닛(10)에 누워있는 환자의 체온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일예로, 냉온조절유닛(11)은 부양유닛(10)과 환자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냉온조절유닛(11)은 베이스유닛(2)과 부양유닛(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냉온조절유닛(11)은 조절바디부(140)와, 유체발생부(130)를 포함하고, 커넥팅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절바디부(140)는 유체가 지그재그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조절유로부(141)가 형성된다. 조절바디부(140)는 시트 형태의 판재 한 쌍을 겹쳐 형성함에 따라 한 쌍의 판재 사이에 조절유로부(141)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유체발생부(130)는 조절유로부(141)에 유체를 공급한다. 여기서, 유체발생부(130)에서 공급되는 유체는 기체 또는 액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조절바디부(140)의 조절유로부(141)에 공급되는 유체는 액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발생부(130)에는 유체펌핑부(1310)의 동작에 따라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부(133)가 유체펌핑부(1310)와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유체발생부(130)는 부양셀부(110)에 유체를 공급하는 부양유닛(10)의 유체발생부(130)와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냉온조절유닛(11)의 유체발생부(130)에 공급되는 유체는 액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넥팅부(120)는 유체가 이동되도록 조절유로부(141)와, 유체발생부(130)를 연결한다.
커넥팅부(120)는 부양셀부(110)와 유체발생부(130)를 연결하는 부양유닛(10)의 커넥팅부(120)와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면, 제1커넥터부(121)와 제2커넥터부(123)의 결합 동작에 따라 연결부(122)의 연결돌부(122-1)는 개폐지지부(123-2)에 삽입되면서 개폐피스톤부(126)를 가압하므로, 개폐탄성부(127)는 수축되고, 제1유로부(121-1)와 제2유로부(123-2)가 연통되어 유체발생부(130) 측의 유체를 조절유로부(141) 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커넥터부(121)와 제2커넥터부(123)의 분리 동작에 따라 연결부(122)의 연결돌부(122-1)가 개폐지지부(123-2)에서 이탈되므로, 개폐피스톤부(126)는 개폐탄성부(127)의 탄성복원력으로 이완되어 개폐지지부(123-2)에 지지되고, 제2유로부(123-2)가 폐쇄되어 유체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베이스유닛(2)의 구성과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유닛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절유닛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절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조절유닛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조절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유닛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유닛(2)은 지지유닛(20)과, 제1조절유닛(21)을 포함하고, 제2조절유닛(22)과, 승강유닛(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유닛(20)은 매트리스유닛(1)이 안착된다. 지지유닛(20)은 매트리스유닛(1)의 부양셀부(110) 또는 조절바디부(140)가 안착될 수 있다.
지지유닛(20)은 베이스지지부(203)와, 제1베이스연장부(201)와, 제2베이스연장부(202)를 포함할 수 있고, 베이스가이드부(2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지지부(203)는 매트리스유닛(1)에서 부양셀부(110) 또는 조절바디부(140)가 안착될 수 있다. 베이스지지부(203)는 종횡으로 배열 결합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베이스지지부(203)는 복수 개가 상호 결합되는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베이스연장부(201)는 베이스지지부(203)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베이스연장부(201)는 베이스지지부(203)의 일측에 탈부착됨에 따라 베이스지지부(203)에 안착되는 부양셀부(110) 또는 조절바디부(140)의 크기에 대응하여 지지유닛(20)의 전체 길이가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제2베이스연장부(202)는 베이스지지부(203)의 타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베이스연장부(202)는 베이스지지부(203)의 타측에 탈부착됨에 따라 베이스지지부(203)에 안착되는 부양셀부(110) 또는 조절바디부(140)의 크기에 대응하여 지지유닛(20)의 전체 길이가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베이스가이드부(204)는 베이스지지부(203)와, 제1베이스연장부(201)와, 제2베이스연장부(202) 중 적어도 베이스지지부(203)에 결합되어 매트리스유닛(1)의 각도 변화에 대응하여 환자가 매트리스유닛(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지지부(203)를 중심으로 머리를 포함하는 환자의 상체가 위치하는 제1베이스연장부(201) 측을 상부 방향으로 하고, 베이스지지부(203)를 중심으로 다리를 포함하는 환자의 하체가 위치하는 제2베이스연장부(202) 측을 하부 방향으로 하며, 베이스지지부(203)를 중심으로 환자의 좌측을 좌측 방향으로 하고, 베이스지지부(203)를 중심으로 환자의 우측을 우측 방향으로 한다.
제1조절유닛(21)은 매트리스유닛(1)이 제1방향으로 절첩되도록 지지유닛(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방향은 상부 방향에서 환자의 상체가 기울어지는 방향이거나, 하부 방향에서 환자의 하체가 기울어지는 방향이다.
다른 예로, 제1방향은 좌측 방향에서 환자의 좌측이 기울어지는 방향이거나, 우측 방향에서 환자의 우측이 기울어지는 방향일 수 있다.
제1조절유닛(21)은 조절축부(210)와, 안착부(220)와, 조절구동부(230)를 포함하고, 슬라이딩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절축부(210)는 지지유닛(20)에서 베이스지지부(203)에 결합된다.
안착부(220)는 조절축부(210)에 결합된다.
조절구동부(230)는 안착부(220)가 조절축부(210)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안착부(220)를 승강시킨다. 조절구동부(230)는 제2조절유닛(22)과의 연동을 위해 안착부(22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조절구동부(230)는 조절피벗부(231)와, 조절전달부(233)를 포함하고, 조절연결부(2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절피벗부(231)는 안착부(220)의 승강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조절피벗부(231)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승강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조절전달부(233)는 지지유닛(20) 또는 안착부(220)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절전달부(233)는 지지유닛(20) 또는 안착부(220)에 형성되는 조절전달축부(234)를 중심으로 피벗 운동될 수 있다. 조절전달부(233)는 조절피벗부(231)의 구동력에 의해 조절전달축부(234)를 중심으로 피벗 운동하면서 안착부(22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조절구동부(230)가 조절피벗부(231)와, 조절전달부(233)를 포함하는 경우, 조절전달부(233)의 자유단부에 안착부(220)가 링크 결합됨에 따라 조절피벗부(231)의 구동력에 의해 조절전달부(233)가 조절전달축부(234)를 중심으로 피벗 운동되고, 조절전달축부(234)의 피벗 운동으로 인해 안착부(220)는 조절축부(210)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매트리스를 절첩하여 매트리스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절피벗부(231)는 조절전달부(233)의 일측에 링크 결합되거나 조절전달축부(234)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조절전달부(233)를 피벗 운동시킬 수 있다.
조절연결부(235)는 조절전달부(233)에 링크 결합되어 안착부(220)를 승강시킨다.
조절구동부(230)가 조절연결부(235)를 더 포함하는 경우, 조절연결부(235)는 조절전달부(233)에 링크 결합되어 안착부(220)를 승강시킨다. 조절연결부(235)는 조절연결축부(236)를 통해 조절전달부(233)의 타측에 링크 결합될 수 있다.
일예로, 조절피벗부(231)가 지지유닛(20)에 결합되는 경우, 조절전달부(233)의 자유단부 또는 조절연결부(235)의 자유단부는 안착부(220)에 결합되고, 조절피벗부(231)가 안착부(220)에 결합되는 경우, 조절연결부(235)의 자유단부는 지지유닛(20)에 결합된다.
슬라이딩부(240)는 조절축부(21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슬라이딩부(240)는 조절축부(21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240)는 수평지지부(241)와, 경사지지부(242)와, 조절경사부(243)로 구분할 수 있다.
수평지지부(241)는 안착부(220)의 수평 상태를 유지시킨다. 수평지지부(241)에 조절축부(210)가 위치하는 경우, 안착부(220)는 지지유닛(20)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환자가 누워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경사지지부(242)는 안착부(220)의 경사 상태를 유지시킨다. 경사지지부(242)에 조절축부(210)가 위치하는 경우, 안착부(220)는 지지유닛(20)과 경사지게 기울어지므로, 상부 방향에서 환자의 상체를 일으키거나, 하부 방향에서 환자의 하체를 일으킬 수 있다.
조절경사부(243)는 수평지지부(241)와 경사지지부(242)를 연결하여 조절축부(210)의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조절경사부(243)에서 조절축부(210)가 이동되는 경우, 안착부(220)는 지지유닛(20)에서 경사지게 기울어질 수 있다.
조절경사부(243)는 수평 상태의 안착부(220)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절축부(210)의 슬라이드 이동을 부드럽게 하고, 안착부(220)가 원활하게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다.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 매트리스유닛(1) 위에서 자세 변환이 어렵기 때문에 환자의 엉덩이 부분이나 환자의 등 전체에 압력이 가해지는 배압 현상이 발생된다. 배압에 의해 환자들은 심각한 통증을 느끼게 되고, 호흡 곤란이 발생되며, 욕창으로 발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의 자세 변환에 대해 안착부(220)가 기울어지면서 슬라이드 이동됨은 물론 슬라이딩부(240)가 수평지지부(241)와 경사지지부(242)와 조절경사부(243)로 구분됨에 따라 환자에게 발생되는 배압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안착부(220)가 기울어지면서 조절축부(210)가 조절경사부(243)를 이동함에 따라 안착부(220)가 단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보다 환자의 등에 작용하는 배압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슬라이딩부(240)는 조절가이드부(245)와, 조절제한부(247)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가이드부(245)는 조절축부(210)의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조절가이드부(245)는 수평지지부(241)와, 경사지지부(242)와, 조절경사부(243)로 구분할 수 있다.
조절제한부(247)는 조절축부(210)에서 이격되어 조절축부(21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한다.
제1조절유닛(21)을 통해 환자의 하체를 일으키는 동작에 대해 살펴보면, 조절피벗부(231)의 동작에 따라 조절전달부(233)가 피벗 운동됨에 따라 안착부(220)를 승강시킨다. 이에 따라 안착부(220)는 조절축부(210)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환자의 하체를 일으킬 수 있다.
이때, 조절축부(210)는 조절가이드부(245)에서 수평지지부(241)에 위치하였다가 조절피벗부(231)의 동작에 따라 조절경사부(243)를 거쳐 경사지지부(242)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면, 부양셀부(110)가 원활하게 절첩되고, 부양셀부(110)가 지지유닛(20)에서 밀리는 현상 또는 부양셀부(110)의 절첩 부위에서 환자를 압박하는 현상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조절제한부(247)는 안착부(220)의 최대 회동량을 제한하고, 기울어진 안착부(22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제1조절유닛(21)을 통해 환자의 상체를 일으키는 동작은 환자의 하체를 일으키는 동작과 동일한 동작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안착부(220)의 회동 각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0도 내지 90도 사이에서 회동 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제2조절유닛(22)은 매트리스유닛(1)이 제1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2방향으로 절첩되도록 제1조절유닛(21) 또는 지지유닛(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방향은 상부 방향에서 환자의 상체가 기울어지는 방향이거나, 하부 방향에서 환자의 하체가 기울어지는 방향이다.
다른 예로, 제2방향은 좌측 방향에서 환자의 좌측이 기울어지는 방향이거나, 우측 방향에서 환자의 우측이 기울어지는 방향일 수 있다.
제2조절유닛(22)은 조절축부(210)와, 안착부(220)와, 조절구동부(230)를 포함하고, 슬라이딩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조절유닛(22)은 베이스유닛(2)의 제1조절유닛(21)과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조절축부(210)는 제1조절유닛(21)의 안착부(220)에 결합되거나 지지유닛(20)의 베이스지지부(203)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조절유닛(22)을 통해 환자의 좌측을 상승시키는 동작에 대해 살펴보면, 조절피벗부(231)의 동작에 따라 조절전달부(233)가 피벗 운동됨에 따라 안착부(220)를 승강시킨다. 이에 따라 안착부(220)는 조절축부(210)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환자의 좌측을 상승시킴에 따라 누워있는 환자를 우측으로 기울일 수 있다.
이때, 조절축부(210)는 조절가이드부(245)에서 수평지지부(241)에 위치하였다가 조절피벗부(231)의 동작에 따라 조절경사부(243)를 거쳐 경사지지부(242)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면, 부양셀부(110)가 원활하게 절첩되고, 부양셀부(110)가 지지유닛(20)에서 밀리는 현상 또는 부양셀부(110)의 절첩 부위에서 환자를 압박하는 현상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조절제한부(247)는 안착부(220)의 최대 회동량을 제한하고, 기울어진 안착부(22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제1조절유닛(21)을 통해 환자의 상체를 일으키는 동작은 환자의 하체를 일으키는 동작과 동일한 동작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안착부(220)의 회동 각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0도 내지 90도 사이에서 회동 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승강유닛(23)은 바닥에 대하여 지지유닛(20)을 승강시킨다.
승강유닛(23)은 승강지지부(250)와, 승강구동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지지부(250)는 바닥에 지지된다. 승강지지부(250)에는 지지유닛(2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바퀴가 구비될 수 있다.
승강구동부(260)는 지지유닛(20)과 승강지지부(250)를 연결하여 지지유닛(20)을 승강시킨다.
승강구동부(260)는 승강피벗부(261)와, 승강전달부(263)를 포함하고, 승강연결부(2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피벗부(261)는 지지유닛(20)의 승강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승강피벗부(261)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승강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승강전달부(263)는 승강지지부(250) 또는 지지유닛(20)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승강전달부(263)는 승강지지부(250) 또는 지지유닛(20)에 형성되는 조절전달축부(234)를 중심으로 피벗 운동될 수 있다. 승강전달부(263)는 승강피벗부(261)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전달축부(264)를 중심으로 피벗 운동하면서 지지유닛(2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승강구동부(260)가 승강피벗부(261)와, 승강전달부(263)를 포함하는 경우, 승강전달부(263)의 자유단부에 지지유닛(20)이 링크 결합됨에 따라 승강피벗부(261)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전달부(263)가 승강전달축부(264)를 중심으로 피벗 운동되고, 승강전달축부(264)의 피벗 운동으로 인해 지지유닛(20)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승강될 수 있다.
여기서, 승강피벗부(261)는 승강전달부(263)의 일측에 링크 결합되거나 승강전달축부(264)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승강전달부(263)를 피벗 운동시킬 수 있다.
승강연결부(265)는 승강전달부(263)에 링크 결합되어 지지유닛(20)을 승강시킨다.
승강구동부(260)는 승강연결부(265)와 더불어 승강더미부(2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더미부(262)는 승강피벗부(261)와 지지유닛(20)이 연결되도록 양단부가 각각 승강피벗부(261)와 지지유닛(20)에 링크 결합됨으로써, 승강피벗부(261)의 구동력이 지지유닛(20)에 안정되게 전달되도록 하고, 승강되는 지지유닛(20)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승강구동부(260)가 승강연결부(265)를 더 포함하는 경우, 승강연결부(265)는 승강전달부(263)에 링크 결합되어 지지유닛(20)을 승강시킨다. 승강연결부(265)는 승강연결축부(266)를 통해 승강전달부(263)의 타측에 링크 결합될 수 있다.
일예로, 승강피벗부(261)가 승강지지부(250)에 결합되는 경우, 승강전달부(263)의 자유단부 또는 조절연결부(235)의 자유단부는 지지유닛(20)에 결합되고, 승강피벗부(261)가 지지유닛(20)에 결합되는 경우, 승강연결부(265)는 승강지지부(250)에 결합된다.
승강유닛(23)을 통해 지지유닛(20)을 상승시키는 동작에 대해 살펴보면, 승강피벗부(261)의 동작에 따라 승강전달부(263)가 피벗 운동되고, 승강연결부(265)가 지지유닛을 승강시킨다. 이에 따라, 지지유닛(20)은 승강지지부(250)에서 이격되어 상승될 수 있다.
승강유닛(23)을 통해 지지유닛(20)을 하강시키는 동작에 대해 살펴보면, 승강유닛(23)을 통해 지지유닛(20)을 상승시키는 동작과 동일한 동작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예로, 한 쌍의 승강유닛(23)이 상부 방향과 하부 방향에 각각 구비되어 개별 동작되는 경우, 지지유닛(20)을 기울일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승강유닛(23)이 상부 방향과 하부 방향에 각각 구비되어 상호 동시 동작되는 경우, 지지유닛(20)을 바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평한 상태에서 지지유닛(20)을 승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저상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에 대해 상부 방향에서 환자의 상체를 지지유닛(20)에 대하여 0도 이상 80도 이하로 상승되게 기울일 수 있다. 또한, 하부 방향에서 환자의 하체를 지지유닛(20)에 대하여 0도 이상 50도 이하로 상승되게 기울일 수 있다.
또한,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에서 환자를 지지유닛(20)에 대하여 0도 이상 45도 이하로 좌우 각각 상승되게 기울일 수 있다.
기울어지는 각도가 설정값 이상이 되는 경우, 환자의 자세 변환에 무리를 줄수 있다.
일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상 침대는 상부 방향에서 환자의 상체를 70도로 상승되게 기울일 수 있고, 하부 방향에서 환자의 하체를 20도 상승되게 기울일 수 있으며, 좌측 방향과 우측 방향에서 각각 환자의 좌측과 우측을 40도 상승되게 기울일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유닛(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조절유닛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조절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과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유닛(2)은 지지유닛(20)과, 제1조절유닛(21)을 포함하고, 제2조절유닛(22)과 승강유닛(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유닛(2)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유닛(2)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조절유닛(21)에서 조절구동부(230)는 조절피벗부(231)와, 조절전달부(233)와, 슬라이딩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피벗부(231)는 지지유닛(20)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조절전달부(233)는 양단부가 조절피벗부(231)와 안착부(220)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절전달부(233)는 조절전달축부(234)를 중심으로 피벗 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절전달부(233)는 조절축부(210)에서 이격되어 조절축부(21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240)는 지지유닛(20)에 구비되어 조절축부(210)의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조절피벗부(231)의 구동력은 조절전달축부(234)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조절전달부(233)가 피벗 운동된다.
이때, 조절축부(210)는 슬라이딩부(240)를 따라 이동되면서 안착부(220)는 조절축부(210)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조절유닛(22)에서 조절구동부(23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조절유닛(21)의 조절구동부(23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유닛(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조절유닛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와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조절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조절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2와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조절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유닛(2)은 지지유닛(20)과, 제1조절유닛(21)을 포함하고, 제2조절유닛(22)과 승강유닛(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유닛(2)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유닛(2)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유닛(2)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조절유닛(21)에서 조절구동부(230)는 조절연결부(235)와 더불어 조절더미부(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절더미부(232)는 조절피벗부(231)와 안착부(220)가 연결되도록 양단부가 각각 조절피벗부(231)와 안착부(220)에 링크 결합됨으로써, 조절피벗부(231)의 구동력이 안착부(220)에 안정되게 전달되도록 하고, 기울어지는 안착부(22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조절유닛(22)에서 조절구동부(230) 조절피벗부(231)와 조절전달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조절전달부(233)는 조절피벗부(231)와 안착부(220)에 링크 결합되고, 조절전달축부(234)가 생략됨에 따라 동작을 간결하게 하고, 슬라이딩부(240)에서 조절축부(210)의 슬라이드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매트리스유닛 10: 부양유닛
110: 부양셀부 120: 커넥팅부
121: 제1커넥터부 121-1: 제1유로부
122: 연결부 122-1: 연결돌부
123: 제2커넥터부 123-1: 제2유로부
123-2: 개폐지지부 124: 제1바디부
125: 제2바디부 126: 개폐피스톤부
127: 개폐탄성부 128: 밀폐부
130: 유체발생부 131: 접속부
133: 유입부 1301: 하우징
1310: 유체펌핑부 1311: 피벗축
1312: 피벗바 1313: 자성체
1314: 변환구동부 1315: 다이어프램부
1316: 펌핑유로 1317: 신축부
1320: 분기관 1330: 이동유로부
1330a: 온열유로부 1330b: 냉열유로부
1330c: 더미유로부 1331: 제1방열부
1332: 제2방열부 1333: 이동관로부
1334: 연통관로부 1340: 열전소자
1350: 전환밸브부 1351: 제1밸브부
1352: 제2밸브부 1360: 감압탱크부
1361: 감압조절부 1370: 단열부
1380: 수분제거부 1381: 수분포집부
1382: 수분흡수부 1383: 건조부
1390: 제어공압부 2: 베이스유닛
20: 지지유닛 201: 제1베이스연장부
202: 제2베이스연장부 203: 베이스지지부
204: 베이스가이드부 21: 제1조절유닛
22: 제2조절유닛 210: 조절축부
220: 안착부 230: 조절구동부
231: 조절피벗부 232: 조절더미부
233: 조절전달부 234: 조절전달축부
235: 조절연결부 236: 조절연결축부
240: 슬라이딩부 241: 수평지지부
242: 경사지지부 243: 조절경사부
245: 조절가이드부 247: 조절제한부
23: 승강유닛 250: 승강지지부
260: 승강구동부 261: 승강피벗부
262: 승강더미부 263: 승강전달부
264: 승강전달축부 265: 승강연결부
266: 승강연결축부

Claims (25)

  1. 환자를 부양 지지하는 매트리스유닛; 및
    상기 매트리스유닛이 안착되고, 상기 매트리스유닛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베이스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유닛은,
    상기 매트리스유닛이 안착되는 지지유닛; 및
    상기 매트리스유닛이 제1방향으로 절첩되도록 상기 지지유닛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조절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매트리스유닛이 안착되는 베이스지지부;
    상기 베이스지지부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베이스연장부; 및
    상기 베이스지지부의 타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베이스연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유닛은,
    상기 지지유닛에 결합되는 조절축부;
    상기 조절축부에 결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가 상기 조절축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안착부를 승강시키는 조절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동부는,
    상기 안착부의 승강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조절피벗부; 및
    상기 구동력에 의해 상기 지지유닛 또는 상기 안착부에서 피벗 운동되는 조절전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동부는,
    상기 조절전달부에 링크 결합되어 상기 안착부를 승강시키는 조절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동부는,
    상기 안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유닛은,
    상기 조절축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조절축부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조절가이드부; 및
    상기 조절축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조절축부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조절제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안착부의 수평 상태를 유지시키는 수평지지부;
    상기 안착부의 경사 상태를 유지시키는 경사지지부; 및
    상기 수평지지부와 상기 경사지지부를 연결하여 상기 조절축부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조절경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유닛은,
    상기 매트리스유닛이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절첩되도록 상기 제1조절유닛 또는 상기 지지유닛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조절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절유닛은,
    상기 제1조절유닛 또는 상기 지지유닛에 결합되는 조절축부;
    상기 조절축부에 결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가 상기 조절축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안착부를 승강시키는 조절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유닛은,
    상기 지지유닛을 승강시키는 승강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바닥에 지지되는 승강지지부; 및
    상기 지지유닛과 상기 승강지지부를 연결하여 상기 지지유닛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지지유닛의 승강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승강피벗부; 및
    상기 구동력에 의해 상기 승강지지부 또는 상기 지지유닛에서 피벗 운동되는 승강전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
  15. 제14항에 잇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승강전달부에 링크 결합되어 상기 지지유닛을 승강시키는 승강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유닛은,
    상기 환자를 부양시키는 부양유닛; 및
    상기 부양유닛을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냉온조절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
  1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유닛은,
    유체에 의해 상기 환자를 부양시키는 다수의 부양셀부; 및
    상기 부양셀부에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발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유닛은,
    상기 유체가 이동되도록 상기 부양셀부와 상기 유체발생부를 연결하는 커넥팅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조절유닛은,
    유체가 지그재그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조절유로부가 형성된 조절바디부; 및
    상기 조절유로부에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발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조절유닛은,
    상기 유체가 이동되도록 상기 조절유로부와 상기 유체발생부를 연결하는 커넥팅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
  21. 제17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발생유닛은,
    상기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압력을 발생시키는 유체펌핑부;
    상기 유체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열전소자;
    상기 압력에 의해 상기 유체가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이동유로부; 및
    상기 이동유로부를 통과한 상기 유체가 저장되는 감압탱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
  22. 제18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부는,
    상기 유체가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유로부가 형성된 제1커넥터부;
    상기 유체가 이동되도록 상기 제1유로부에 결합되는 연결부;
    상기 제1유로부와 연통되는 제2유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커넥터부;
    상기 제2유로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피스톤부; 및
    상기 제2유로부에서 상기 개폐피스톤부를 탄성 지지하는 개폐탄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개폐피스톤부를 가압하는 연결돌부;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부는,
    상기 연결부가 삽입 지지되는 제1바디부; 및
    상기 개폐피스톤부가 상기 제2유로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상기 제1바디부에 결합되는 제2바디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부에는,
    상기 제2유로부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개폐피스톤부를 지지하는 개폐지지부;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
KR1020130024721A 2013-03-07 2013-03-07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 KR101469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721A KR101469800B1 (ko) 2013-03-07 2013-03-07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721A KR101469800B1 (ko) 2013-03-07 2013-03-07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429A true KR20140110429A (ko) 2014-09-17
KR101469800B1 KR101469800B1 (ko) 2014-12-05

Family

ID=51756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721A KR101469800B1 (ko) 2013-03-07 2013-03-07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8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2531A (ko) * 2020-02-11 2021-08-20 이영국 시각장애인용 높낮이 음성 안마베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50189B (en) * 1990-11-28 1993-11-24 Nesbit Evans & Co Ltd Beds
AU690265B2 (en) * 1994-04-28 1998-04-23 Teikoku Hormone Mfg. Co., Ltd. Air mat for operating table
KR101164841B1 (ko) * 2011-10-14 2012-07-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의료용 전동 절첩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2531A (ko) * 2020-02-11 2021-08-20 이영국 시각장애인용 높낮이 음성 안마베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9800B1 (ko) 2014-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9598A (en) Patient chair system
US10265231B2 (en) Self-powered microclimate controlled mattress
US8745784B2 (en) Mattress system
US6859967B2 (en) Overlay mattress
US9089462B1 (en) Pressure ulcer management pad
US20150094623A1 (en) Deep vein thrombosis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20150059100A1 (en) Patient support
US20140173825A1 (en) Medical air mattress, method to inflate/deflate a medical air mattress and method to incline the bearing surface of a medical air mattress
JP2007175476A (ja) 温度調整マット
US20110054366A1 (en) Therapeutic pressure system
EP3107424B1 (en) Patient lifter with intraoperative controlled temperature air delivery system
US20120079656A1 (en) Patient lifter with intraoperative controlled temperature air delivery system
US8647375B2 (en) Multi-function bedside care and therapy system
EP3116349B1 (en) Pressure variable thermal adaptive microclimate surface and thermoelectric cells for microclimate surface
JP2008289654A (ja) 温度調節マットレス
JP2010075377A (ja) 温度調節マットレス
KR101469800B1 (ko) 플렉시블 자세 변환에 따른 환자 케어를 위한 저상 침대
US88264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pressure ulcers
KR100925492B1 (ko) 가변온도부를 갖는 욕창방지용 에어매트리스
US20140259400A1 (en) Patient support with microclimate management system
KR100904625B1 (ko) 욕창 방지용 매트리스의 건조장치
KR101408213B1 (ko) 일체형 냉온열 유체발생기와 이것을 이용한 매트리스
EP2869800B1 (en) Pressure ulcer management pad
KR20020094881A (ko) 척추관리기를 겸한 수면용 매트
KR20190102683A (ko) 욕창방지용 매트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