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9806A - 샴푸 볼에 부착되는 두부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샴푸 볼에 부착되는 두부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9806A
KR20140109806A KR1020140021149A KR20140021149A KR20140109806A KR 20140109806 A KR20140109806 A KR 20140109806A KR 1020140021149 A KR1020140021149 A KR 1020140021149A KR 20140021149 A KR20140021149 A KR 20140021149A KR 20140109806 A KR20140109806 A KR 20140109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head support
head
shampoo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헤이 후지모토
겐타로 나카야마
Original Assignee
다카라 벨몬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라 벨몬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라 벨몬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09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8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6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in the form of bowls or similar open containers
    • A45D19/08Adaptations of wash-basins
    • A45D19/10Backward lavabos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종래의 두부 지지장치에 있어서는, 경부에 가까운 목덜미부의 세발 시에 있어서, 후두부에 두부 지지부재가 당접된 상태가 유지되어 있으므로, 통상의 세발 시에 세발자는 경부에 가까운 목덜미보다도 멀어진 두부를 손으로 두부 지지부재로부터 멀어진 위치까지 들어올려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샴푸 볼(1)에 형성되어 있는 피세발자의 경부를 받는 만곡부에 근접한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샴푸 볼의 내측에 고정한 고정부재(21)와, 이 고정부재에 대해 회동이 자유롭게 축 지지된 회동 부재(22)와, 이 회동 부재의 수평부에 있어서의 상기 만곡부로부터 멀어진 위치에 형성된 두부 지지부재(22c)와, 상기 회동 부재를 회동하여 상기 두부 지지부재가 아래쪽으로 변이한 위치에서 상기 회동 부재의 회동을 정지시키는 스톱퍼 기구(5)로 구성된 샴푸 볼에 부착되는 두부 지지장치이다.

Description

샴푸 볼에 부착되는 두부 지지장치{HEAD SUPPORT ATTACHED TO A SHAMPOO BOWL}
본 발명은, 백 샴푸(샴푸 볼에 피시술자가 반듯하게 누운 상태로 세발을 행함) 자세로 세발을 행할 때에, 피시술자의 경부(頸部)를 경부 지지부로 지지하고, 그 경부에 가까운 후두부를 두부(頭部) 지지부재로 지지함으로써 안락한 자세로 세발을 해 받을 수 있고, 또한 목덜미부의 세발 시에는 상기 두부 지지부재를 상기 경부 지지부보다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며 또한 이동 후의 상태를 고정함으로써, 경부에 가까운 후두부의 세발이 용이하게 행해지도록 한 샴푸 볼에 부착되는 두부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의 샴푸 볼에 부착되는 두부 지지장치로서는, 일본국 특허 제4616762호의 발명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샴푸 볼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대략 반주(半周)에 걸쳐 형성된 단부의 중앙에 샤워 헤드가 부착되며 또한 상기 단부의 좌우에 온도조절 손잡이(knob)와 지수(止水) 손잡이가 부착되고, 상기 샤워 헤드와 대향되는 내주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두부 지지장치의 고정부재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측에 회동부재가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되고, 이 회동부재의 중앙 근처에 피시술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두부 지지부재가 고정되고, 또한, 상기 회동부재의 상단 양측에 돌출되어 있는 축에 피시술자의 목 뒷부분을 지지하는 경부 지지부재가 상기 축에 대해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두부 지지부재와 경부 지지부재의 상부에는 젤이나 발포재 등의 쿠션재를 우레탄 등의 부재로 피복한 두부받이와, 경부받이가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상기 경부 지지부재와 상기 두부 지지부재가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한 구조로 한 이유로서는, 피시술자의 경부와 후두부와의 고저차 및 형상에 있어서의 개인차가 있어도 경부 지지부재와 두부 지지부재가 독립적으로 회동시켜서 피시술자의 경부가 압박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통을 주는 일이 없도록 하였다.
일본국 특허 제4616762호
그런데 상기한 구조의 두부 지지장치에 있어서는, 경부에 가까운 목덜미부의 세발시에 있어서, 후두부에 두부 지지부재가 당접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있으므로, 통상의 세발시에 세발자는 경부에 가까운 목덜미부보다도 멀어진 두부를 손으로 두부 지지부재로부터 멀어진 위치까지 들어올려 행하지 않으면 안 되고, 파마 시술의 중간 세발시에 로드와 두부 지지부재가 상호 간섭되는 일이 있으며, 게다가, 산성컬러 시술 후의 세발 시에 두부 지지부재에 의해 두피에 컬러제가 부착되는 일도 있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경부에 가까운 목덜미부의 세발 시에는 상기 두부 지지부재만을 후두부보다 아래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세발자가 피세발자의 후두부를 들어올리는 일 없이 세발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파마 시술의 중간 세발 시에 로드와 두부 지지부재가 상호 간섭되는 일 없이 시술이 행해질 수 있고, 나아가 산성컬러 시술 후의 세발 시에 두부 지지부재에 의하며 두피가 착색되는 일이 없는 샴푸 볼에 부착되는 두부 지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샴푸 볼에 부착되는 두부 지지장치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것으로, 청구항 1의 수단은, 샴푸 볼에 형성되어 있는 피세발자의 경부를 받는 만곡부에 근접한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샴푸 볼의 내측에 고정한 고정부재와, 이 고정부재에 대해 회동이 자유롭게 축 지지된 회동부재와, 이 회동부재의 수평부에 있어서의 상기 만곡부로부터 멀어진 위치에 형성된 두부 지지부재와,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켜 상기 두부 지지부재가 변이한 위치에서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을 고정시키는 스톱퍼 기구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수단은, 상기한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 기구는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부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스톱퍼 핀으로서, 이 스톱퍼 핀의 일단측을 밀어 넣음으로써, 이 스톱퍼 핀의 타단측이 상기 회동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부에 당접되어 상기 두부 지지부재가 아래쪽으로 변이한 위치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수단은, 상기한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의 위쪽에 회동이 자유롭게 피세발자의 경부를 받는 경부 지지부재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회동부재를 회동하여 상기 두부 지지부재가 아래쪽으로 변이한 위치에서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을 고정하도록 하였으므로, 피세발자의 후두부로부터 두부 지지부재를 이동시켜 후두부측에 공간이 생겨서, 목덜미부분의 세발이나, 파마 시술의 중간 세발시 및 산성컬러 시술후의 세발시에 두피가 착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부 지지부재를 변이하였을 때에 회동부재를 정지시키기 위한 스톱퍼 구조로서, 스톱퍼 핀을 밀어 넣음으로써 이 스톱퍼 핀의 선단이 회동부재에 당접되어 회동을 저지할 수 있는 구조로 하였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코스트가 염가이며 또한 장기간의 사용에도 견딜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두부 지지부재와 일체적으로 경부 지지부재를 부착하며 또한 두부 지지부재와 경부 지지부재가 상호 독립적으로 회동하므로, 상기 고저차나 개인차가 있어도 두부 지지부재는 후두부에 핏트된 상태로 세발을 해 받을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두부 지지부재를 샴푸 볼에 부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두부 지지부재의 확대도이고, (a)는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 (b)는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제2 실시예의 두부 지지부재를 나타내고, (a)는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 (b)는 두부 지지부재를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잠근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도 3(a)의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 (b)는 두부 지지부재를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잠근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샴푸 볼에 부착되는 두부 지지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 1, 도 2와 함께 설명한다.
1은 샴푸 볼로 하고, 1a는 온도 조절마개를 부착하기 위한 온도 조절마개용 베이스부(台部), 1b는 샤워 호스를 삽입하기 위한 호스 삽입용 베이스부이다. 그리고 도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상기 온도 조절마개용 베이스부(1a)와 대향되는 부위에는 지수마개를 부착하기 위한 지수마개용 베이스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샴푸 볼(1)에는 피세발자의 경부를 올려놓기 위한 만곡부(1c)가 형성되고, 이 만곡부(1c)에는, 젤이나 발포재 등의 쿠션재를 우레탄 등으로 피복한 경부받이 쿠션재(1d)가 부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두부 지지장치(2)의 상세를 도 2와 함께 설명한다.
두부 지지장치(2)는, 샴푸 볼(1)의 상기 경부받이 쿠션재(1d)에 근접한 위치의 내면측에 고정되는 수평부(21a) 및 이 수평부(21a)의 양단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된 수직부(21b)가 형성된 U자형상의 고정부재(21)와, 이 고정부재(21)의 수직부(21a)의 상단에 있어서 축 지지되는 수직부(22a)가 형성된 U자형상의 회동부재(22)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21)에 대해 회동부재(22)는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회동부재(22)의 수평부(22b)의 2 개소에 위쪽을 향해 돌출된 두부 지지부재(22c)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두부 지지부재(22c)에 젤이나 발포재 등의 쿠션재를 우레탄 등으로 피복한 두부받이 쿠션재(22d)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1)에 있어서의 좌우 어느 한쪽의 수직부(21a)에는 후술하는 스톱퍼 핀(21c)이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22)를 회동시켜 두부 지지부재(22c)가 하향으로 회동한 상태에 있어서, 이 회동부재(22)의 수직부(22a)에 스톱퍼 핀(21c)을 당접시킴으로써, 두부 지지부재(22c)가 수평 위치까지 되돌아가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부받이 쿠션재(1d)와, 두부 지지장치(2)에 있어서의 두부받이 쿠션재(22d)의 높이는 대략 같은 높이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피세발자가 의자에 앉아 반듯하게 누운 상태에서 경부를 경부받이 쿠션재(1d)로 지지한 상태로 후두부가 두부받이 쿠션재(22d)에 경부가 수평을 유지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목덜미부분을 제외한 세발시에는 안락한 상태에서의 세발을 받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목덜미 부분의 세발이나 파마시술의 중간 세발시 및 산성컬러 시술 후의 세발시에 두피가 착색되는 것을 방지할 때에는, 세발자가 회동부재(22)를 고정부재(21)에 대해 두피받이 쿠션재(22d)를 아래방향(피세발자의 후두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스톱퍼 핀(21c)을 밀어 넣어 회동부재(22)의 수직부(22a)에 당접시켜 고정함으로써, 목덜미부의 세발, 파마시술의 중간 세발시에 있어서의 로드와 두부받이 쿠션재(22d)와의 간섭 및 산성컬러 시술 후의 세발시에 두피로의 착색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는, 두부 지지부재(22c)와 쿠션재(22d)와의 중량에 의해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피세발자가 경부를 뒤쪽으로 변이시키지 않으면 후두부에 쿠션재(22d)가 당접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고정부재(21)의 수직부(21a)와 회동부재(22)의 수직부(22a)와의 사이에 스프링재를 부착하여, 이 스프링재에 의해 쿠션재(22d)를 수평 위치까지 회동시켜서 피세발자의 후두부가 쿠션재(22d)에 의해 당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b)의 부호 21d는, 상기 스프링재에 의해 회동부재(22)가 수평 상태를 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로서, 이 돌기(21d)에 회동부재(22)의 수평부(22b)를 당접시킴으로써 쿠션재(22d)를 수평상태로 유지한다.
다음으로,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는 피세발자의 경부의 지지는 샴푸 볼(1)에 부착한 경부받이 쿠션재(1d)로 행하고, 두부의 지지는 두부 지지장치(2)에서 행하는 것이나, 제2 실시예에서는 경부받이와 두부받이를 하나의 부재로 행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삼푸 볼에 부착되는 두부 지지장치의 상세를 도 3, 도 4와 함께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샴푸 볼(1)에 두부 지지장치(3)를 부착한 상태를 개시하고 있지 않으나, 상기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두부 지지장치(2)를 부착한 위치의 샴푸 볼(1)의 내측에 부착한다. 그리고 제2 실시예에서는 경부받이 쿠션재(1d)는 존재하지 않는다.
두부 지지장치(3)는, 샴푸 볼(도시생략)에 있어서의 샤워 헤드와 대향하는 위치의 내측에 고정되는 수평부(31a) 및 이 수평부(31a)의 양단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된 수직부(31b)가 형성된 U자형상의 고정부재(31)와, 이 고정부재(31)의 수직부(31a)의 상단에 있어서 축 지지되는 수직부(32a)가 형성된 U자형상의 회동부재(22)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21)에 대해 회동부재(22)는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동부재(32)의 수평부(32b)의 중앙근처에 2개의 두부 지지부재(32c)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두부 지지부재(32c)에는 젤이나 발포재 등의 쿠션재를 우레탄 등으로 피복한 두부받이 쿠션재(32d)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부(32a)의 선단에는 후술하는 경부 지지부재(4)를 회동이 자유롭게 축 지지하기 위한 축 지지용 돌기(32e)가 부착되어 있다.
경부 지지부재(4)는 피시술자의 경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고, 중앙부가 오목부로 형성되어 있어 양단의 구멍(4a)이 상기 축 지지용 돌기(32e)에 끼워넣어져 회동이 자유롭게 축 지지되어 있다. 상기 경부 지지부재(4)는 회동부재(31)의 축 지지용 돌기(32e)에 회동이 자유롭게 축 지지되는 경도가 높은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에 젤이나 발포재 등의 쿠션재를 우레탄 등으로 피복한 경부받이 쿠션재(4b)에 의해 피세발자의 경부에 아픔을 주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5는 상기 회동부재(32)를 회동하여 두부받이 쿠션재(32d)를 아래방향(피세발자의 후두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변위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스톱기구이고, 상기 두부받이 쿠션재(32d)를 아래방향으로 변위한 상태로 고정함으로써 피세발자의 목덜미 부분의 세발이나 파마 시술의 중간 세발시에 쿠션재(32d)가 방해되는 일이 없다. 또한, 산성컬러의 시술 후의 세발 시에 두피가 착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그 스톱퍼기구의 구체예에 대해 설명하면, 고정부재(31)의 수직부(32a)에 관통구멍(32f)을 형성하고, 이 관통구멍(32f)에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톱퍼 핀(5)을 삽입하여, 두부받이 쿠션재(32d)를 아래방향으로 회동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스톱퍼 핀(5)을 끼워 넣음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또한, 두부받이 쿠션재(32d)를 아래방향으로 회동할 필요가 없는 경우(피세발자의 후두부를 지지하여 세발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톱퍼 핀(5)을 외측으로 인출함으로써, 두부받이 쿠션재(32d)는 피세발자의 후두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톱퍼 핀(21c)도 같은 구조이다.
다음으로, 목덜미 부분의 세발이나, 파마시술의 중간 세발 시 및 산성컬러 시술 후의 세발 시에 두피가 착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두부받이 쿠션재(32d)를 최대로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고정할 필요가 있다. 즉, 상기 스톱퍼 핀(5)을 밀어 넣어 회동부재(32)의 수직부(32a)에 당접시켜 고정함으로써, 목덜미부의 세발, 파마시술의 중간 세발 시에 있어서의 로드와 두부받이 쿠션재(32d)와의 상호 간섭 및 산성컬러 시술 후의 세발 시에 두피에 대한 착색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스톱퍼 핀(5)의 구체 예로서는, 상기 고정부재(31)의 수직부(32a)에 형성한 관통구멍(32f)에 나사구멍을 형성한 암나사관을 삽입하고, 이 암나사관의 양단으로부터 숫나사를 나합함으로써, 숫나사의 팽출 두부로 빠져나감을 방지하며 또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스톱퍼 핀(5)을 외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회동부재(32)는 풀리로 회동 가능하게 되고, 또한 스톱퍼 핀(5)을 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회동부재(32)의 수직부(32a)의 측면에 당접되어 회동부재(32)는 회전이 스톱된다.
그리고 상기 설명한 회동부재(32)의 회동을 고정시키는 스톱기구로서는, 상기한 스톱퍼 핀(5)에 의해 행하는 것은 일례로서, 상기 관통구멍(32f)에 어느 정도의 마찰로 회전 가능한 회전축의 일단(수직부(32a)의 외측)에 손잡이를 부착하고, 회전축의 타단(수직부(32a) 측)에 타원형상이나 삼각형 등의 회전축의 회전 시에 회전축으로부터 수직부(32a)까지의 거리가 변화하는 회전판을 부착하고, 상기 손잡이를 회전하여 회전판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판으로부터 수직부(32a)와의 간격이 커지고 회전부재(32)의 회전이 자유롭게 행해지거나, 회전판이 수직부(32a)에 당접되어 회전부재(32)의 회동을 스톱시키는 스톱퍼기구 등의 여러 가지 구조인 것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피세발자가 반듯하게 누운 상태로 경부를 경부 지지부재(4)의 경부받이 쿠션재(4b)에 경부 뒷부분이 탄성적으로 올려지고, 또한 두부 지지부재(3)의 두부 지지부재(32c)의 두부받이 쿠션재(32d)에 올려지며 또한, 피세발자의 후두부와 경부 뒷부분과의 고저차 혹은 형상에 있어서의 개인차가 있는 경우에는, 두부 지지부재(32c)와 경부 지지부재(4)가 독립적으로 회동하므로, 상기 고저차나 개인차가 있어도 두부 지지부재(32c)는 후두부에 핏트되며, 또한 경부 지지부재(4)는 경부 뒷부분에 핏트된 상태로 되어 피세발자가 불쾌감이나 고통을 느끼는 일이 없이 쾌적한 세발 자세로 세발을 받는 것이 가능하다.
1: 샴푸 볼
1c: 만곡부
21: 고정부재
22: 회동부재
22b: 수평부
5: 스톱퍼 핀 (스톱퍼 기구)

Claims (3)

  1. 샴푸 볼에 형성되어 있는 피세발자의 경부를 받치는 만곡부에 근접한 위치에 있어서의 샴푸 볼의 내측에 고정한 고정부재와, 이 고정부재에 대해 회동이 자유롭게 축 지지된 회동 부재와, 이 회동 부재의 수평부에 있어서의 상기 만곡부로부터 멀어진 위치에 형성된 두부 지지부재와, 상기 회동 부재를 회동하여 상기 두부 지지부재가 변이한 위치에서 상기 회동 부재의 회동을 고정시키는 스톱퍼 기구에 의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볼에 부착되는 두부 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 기구는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부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스톱퍼 핀으로서, 이 스톱퍼 핀의 일단 측을 밀어넣음으로써, 이 스톱퍼 핀의 타단 측이 상기 회동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부에 당접되어 상기 두부 지지부재가 아래쪽으로 변이한 위치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볼에 부착되는 두부 지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부재의 위쪽에 회동이 자유롭게 피세발자의 경부를 받는 경부 지지부재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볼에 부착되는 두부 지지장치.
KR1020140021149A 2013-03-06 2014-02-24 샴푸 볼에 부착되는 두부 지지장치 KR201401098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44543A JP5807814B2 (ja) 2013-03-06 2013-03-06 シャンプーボールに取付けられる頭部支持装置
JPJP-P-2013-044543 2013-03-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806A true KR20140109806A (ko) 2014-09-16

Family

ID=51458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149A KR20140109806A (ko) 2013-03-06 2014-02-24 샴푸 볼에 부착되는 두부 지지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807814B2 (ko)
KR (1) KR20140109806A (ko)
CN (1) CN1040268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86856B (zh) * 2020-12-25 2022-10-25 奥佳华智能健康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洗头床头托及洗头床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313A (ja) * 1982-07-21 1984-01-28 松下電工株式会社 椅子
JPH088676Y2 (ja) * 1991-03-30 1996-03-13 タカラベルモント株式会社 椅子、特に理美容椅子におけるヘッドレスト装置
JPH11244031A (ja) * 1998-02-27 1999-09-14 Hiroyuki Inoue 寝台型洗髪器具の洗髪容器用補助具、寝台型洗髪器具の洗髪容器
JP2003102535A (ja) * 2001-09-28 2003-04-08 Sanyo Electric Co Ltd 自動洗髪機
JP4555632B2 (ja) * 2004-08-27 2010-10-06 タカラベルモント株式会社 理美容用椅子
JP4673736B2 (ja) * 2005-12-09 2011-04-20 タカラベルモント株式会社 シャンプーボール装置
JP4616762B2 (ja) * 2005-12-09 2011-01-19 タカラベルモント株式会社 シャンプーボールに取付けられる頭部支持装置
JP3120306U (ja) * 2006-01-06 2006-03-30 友義 高 後頭部支持補助具
CN200962940Y (zh) * 2006-09-28 2007-10-24 王淑芹 一种方便洗发盆
JP2010178980A (ja) * 2009-02-06 2010-08-19 Takara Belmont Co Ltd 洗髪ボール装置
EP2371235A1 (en) * 2010-03-31 2011-10-05 Sanyo Electric Co., Ltd. Automatic hair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71533A (ja) 2014-09-22
CN104026847A (zh) 2014-09-10
CN104026847B (zh) 2019-01-15
JP5807814B2 (ja) 2015-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5677B1 (ko) 절첩 가능한 팔걸이가 구비된 의자
KR20140109806A (ko) 샴푸 볼에 부착되는 두부 지지장치
US10231532B2 (en) Cervical spine and head supporting device
KR101603998B1 (ko) 요추의 지지위치가 가변되는 의자
JP4616762B2 (ja) シャンプーボールに取付けられる頭部支持装置
JP3210374U (ja) マッサージ機
KR200452979Y1 (ko) 보조거울장치
KR20190047879A (ko) 겨드랑이 지지체
KR101226242B1 (ko) 미용의자의 머리 받침대
KR200245184Y1 (ko) 샴푸용 의자
KR101042100B1 (ko) 머리 받침구
JP4673736B2 (ja) シャンプーボール装置
JP3241585U (ja) シャンプーボウル用着脱具
KR101062216B1 (ko) 의자
JPH0350771Y2 (ko)
KR20160078932A (ko) 애완동물 미용 장치
KR101446461B1 (ko) 의자 조립체
KR200342262Y1 (ko) 변기 겸용 접이식 세발의자
KR20120095208A (ko) 헤어아이론
KR20130004262U (ko) 팝콘 받침을 구비하는 의자
KR102273164B1 (ko) 높이 조절기능을 가지는 베개
JP2008080054A (ja) 多機能台
KR200233921Y1 (ko) 샴푸용 의자
KR101920427B1 (ko) 이동식 변기
CN206062643U (zh) 一种可调节的座椅靠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