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9727A - 기밀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창호 - Google Patents

기밀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9727A
KR20140109727A KR1020130024087A KR20130024087A KR20140109727A KR 20140109727 A KR20140109727 A KR 20140109727A KR 1020130024087 A KR1020130024087 A KR 1020130024087A KR 20130024087 A KR20130024087 A KR 20130024087A KR 20140109727 A KR20140109727 A KR 20140109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frames
window frame
mo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덕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덕창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덕창호
Priority to KR1020130024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9727A/ko
Publication of KR20140109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7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16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used as a seal between the floor and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건물에 고정되는 창문틀프레임과 상기 창문틀프레임에서 이동가능하고 창유리를 구비하는 창문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문프레임은 두개의 수직프레임과 상부 및 하부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에 보강프레임을 구비하여 창문틀프레임과 창문프레임 간의 기밀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창호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보강프레임과 하부 보강프레임을 이용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킬 뿐만아니라, 창문프레임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기밀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창호{Confidentiality of omproved window}
본 발명은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건물에 고정되는 창문틀프레임과 상기 창문틀프레임에서 이동가능하고 창유리를 구비하는 창문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문프레임은 두개의 수직프레임과 상부 및 하부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에 보강프레임을 구비하여 창문틀프레임과 창문프레임 간의 기밀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창호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현대의 건물은 실내공간과 실외공간을 구분하고, 시야 확보와 채광성을 확보하는 창유리를 구비하는 창호를 과거의 건물에 비하여 넓은 면적으로 설치 시공하는 추세이다. 또한 최근의 창호 기술은 상기와 같이 건물에 시공되는 창호의 안정성 및 에너지 효율성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중에 있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내력벽으로 이용되는 콘크리트 또는 금속재질의 벽체에 비하여, 에너지 효율성이 다소 부족한 유리,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창호는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창문틀프레임과 창문프레임 간의 기밀성, 방음성, 단열성 및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919994호는 레일이 구비된 창틀과, 상기 창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창문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드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문의 수평프레임에는 두개의 롤로가 장착되도록 격벽을 사이에 두고 한쌍의 롤러유입부(25)가 형성되고, 상기 창틀에는 상기 롤러를 지지하도록 상기 롤러에 대응되는 갯수로 두개의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의 외주면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다수의 차단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창틀과 레일의 연결부위는 상기 롤러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창문의 하중에 견디도록 양측으로 보강부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은 상기 레일의 사이로 일정 깊이만큼 삽입되게 돌출되며, 상기 롤러유입부를 이루는 내측차단판 및 외측차단판의 내측면과 상기 격벽의 양측면에는 각각 모헤어홈이 형성되고, 상기 모헤어홈에는 상기 레일의 차단돌기에 접촉되게 모헤어가 삽입설치되며, 상기 격벽의 선단부에 차단재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재삽입홈에는 상기 창틀의 내측 상부면에 접촉되게 차단재가 삽입결합되는 것으로서, 창틀과 창문 사이의 틈새를 더욱 긴밀하게 차단하였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 제10-1134319호는 창틀과, 유리창을 결합하고 상기 창틀의 레일에 안착하는 호차를 양측의 레일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레일홈에 결합하고 상기 양측의 레일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T형 내측요홈에 모헤어를 결합한 창문프레임이 슬라이드 개폐가능케 설치되는 좌, 우창문으로 구성된 슬라이드 창호에 있어서, 상기 T형 내측요홈을 상기 양측의 레일프레임의 끝단부에 T형 단부요홈으로 형성하고 이에 조립되어 상기 레일홈에 삽입되는 상기 창틀의 레일 양측의 외측면의 높이를 2/3 이상으로 접촉하는 모헤어를 결합한 방풍몰딩을 조립하고, 상기 T형 단부요홈에 조립되고 상기 레일프레임의 단부에서 상기 좌우 창문프레임의 창문이 만나는 상기 창틀의 레일 간에 형성된 활주공간의 폭 1/2을 메우는 모헤어를 구비한 바람막이 몰딩을 더 구비하여 효과적인 방음 및 방풍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999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4319호
본 발명은 창호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일반적인 창호는 차단부재로서 솔로 이루어진 모헤어, 방풍몰딩과 고정부 및 보강부를 이용하여 창문틀프레임과 창문프레임의 기밀성을 향상시키려 했으나, 이는 창문프레임의 무게만 증가시켜 무거워진 창문프레임에 의해서 창틀프레임까지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건물에 고정되는 창문틀프레임(10)과, 상기 창문틀프레임(11)에서 이동가능하고 창유리(40)를 구비하는 창문프레임(20)으로 구성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문프레임은 두개의 수직프레임(21a)(21b)과 상부 및 하부프레임(22)(23)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22)(23)은 레일대응프레임(24a)(24b)과 몸체프레임(25a)(25b)으로 각각 구성되며, 상기 상부프레임(22)의 레일대응프레임(24a)의 내부에 상부 보강프레임(30);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레일대응프레임(24b)의 내부에 하부 보강프레임(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밀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창호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기밀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창호는 상부 보강프레임과 하부 보강프레임을 이용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킬 뿐만아니라, 창문프레임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밀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창호를 나타내는 전체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C'의 확대도.
도 5는 도 2의 'D'의 확대도.
도 6은 도 3의 'E'의 부분확대 사시도.
본 발명은 건물에 고정되는 창문틀프레임과 창유리를 구비하는 창문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문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 프레임에 보강프레임을 설치하여 창문틀프레임과 창문프레임간의 기밀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건물에 고정되는 창문틀프레임(10)과, 상기 창문틀프레임(10)에서 이동가능하고 창유리(60)를 구비하는 창문프레임(20)으로 구성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문프레임은 두개의 수직프레임(21a, 21b)과 상부 및 하부프레임(30, 40)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30, 40)은 레일대응프레임(32, 42)과 몸체프레임(31, 41)으로 각각 구성되며, 상기 상부프레임(30)의 레일대응프레임(32)의 내부에 상부 보강프레임(33);과 상기 하부프레임(40)의 레일대응프레임(42)의 내부에 하부 보강프레임(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본 발명의 창호는 건물에 고정되는 창문틀프레임(10)과 상기 창문틀프레임(10) 내에서 이동 또는 지지되고, 창유리(60)를 구비하는 창문프레임(20)으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창호를 말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창문틀프레임(10)은 상부 창문틀프레임, 하부 창문틀프레임 및 상기 상부 창문틀프레임의 양측 말단과 상기 하부 창문틀프레임의 양측 말단에 각각 연결되어 체결되는 한 쌍의 측부 창문틀프레임이 상호 체결된 형태를 일컫는 종래 '창문틀'의 구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창문틀프레임을 칭함이고, 본 발명에 의한 창문틀프레임(10)은 네 쌍의 창문틀프레임 말단이 각각 순차적으로 상호 체결되어 통상의 격자형 '창문틀' 하나를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창문틀프레임(10)은 건물에 체결되는 몸체프레임(11)과, 창문프레임(20)과 상접가능한 고무(80)를 말단에 구비하는 레일프레임(12)이 일정의 높이를 갖으며 몸체프레임(11)의 일정위치에서 창문프레임(20) 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몸체프레임(11)은 건물의 벽면(건물의 천장벽, 측벽 및 바닥벽)과 대응체결되는 구성으로서, 서로 다른 몸체프레임의 측부가 몸체프레임(11)의 측부에 연결부재(50)로서 연결되어 실내의 공간성 및 단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중 몸체프레임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실내공간 측으로는 일정의 높이를 갖는 내부프레임(13)을 구비하여 몸체프레임(11) 내에서 이동 또는 지지되는 창문프레임에 대한 사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하며, 실외공간 측으로는 일정의 높이를 갖는 외부프레임(14)을 구비하여 외력에 대한 창문프레임(20)의 안전성을 확보하거나, 방충망이 체결된 방충망프레임을 이동 또는 고정가능하도록 체결할 수도 있다.
아울러 몸체프레임(11)은 일반적인 몸체프레임과 같이 내부에 중공을 갖는 이중체의 구성을 하여, 건물에 고정 체결되어 일정의 강도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레일프레임(12)과 서로 다른 레일프레임 사이에는 기밀성을 확보하기위한 기밀부재(70)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창문프레임(20) 역시, 상부프레임(30)과 하부프레임(40) 및 상기 상부프레임(30)의 양측 말단과 상기 하부프레임(40)의 양측 말단에 각각 연결되어 체결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21a, 21b)이 상호 체결된 형태를 일컫는 종래 '창문'의 구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창문프레임을 칭함이고, 본 발명에 의한 창문프레임(20)은 네 쌍의 창문프레임(30, 40, 21a, 21b) 말단이 각각 순차적으로 상호 체결되어 내부에 창유리(60)를 구비하는 통상의 격자형 '창문' 하나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창문프레임(20)의 상부프레임(30)은 창유리(60)가 체결되는 몸체프레임(31)과, 상기 몸체프레임(31)에서 연장구성되고, 창문틀프레임(10)의 레일프레임(12)을 내재시키며 창문틀프레임(10) 방향의 말단 일정위치에는 레일프레임(12)의 측부와 상접되는 모헤어(32a)와 상기 모헤어(32a)를 체결가능한 모헤어홈(32b)을 구비하는 레일대응프레임(3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일반적인 구성을 갖아도 무방하고,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몸체프레임(31)과 레일대응프레임(32)을 일체화하거나 결합하여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창문프레임(20)의 상부프레임(30)은 레일대응프레임(32)의 내부에 서로 상접되는 모헤어(33a)와 상기 모헤어(33a)를 체결가능한 모헤어홈(33b)을 구비하는 상부 보강프레임(33)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부 보강프레임(33)은 서로 상접되는 모헤어(33a)와 상기 모헤어(33a)를 체결가능한 모헤어홈(33b)을 복수개 구비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대응프레임(32)의 내부 일측에 체결되어 상부프레임(30)의 내구성이 증가되고, 창문틀프레임(10)과 상부프레임(30) 사이의 공간이 메워져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부프레임(30)의 레일대응프레임(32)에 서로 상접되는 모헤어와 상기 모헤어를 체결가능한 모헤어홈을 복수개 구비하여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으나, 이는 단지 기밀성만을 확보하기 때문에 창문프레임(20)의 무게를 증가시켜 창문프레임(20)을 이동시킬 때 창틀프레임(10)의 레일프레임(32)에 부담을 주어 창틀프레임(10)과 창문프레임(20)을 변형시킬 수 있고, 변형이 일어난 창호에 틈이 생겨 기밀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가 일어날 수 있어,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프레임을 추가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창문프레임(20)의 하부프레임(23)은 창유리(60)가 체결되는 몸체프레임(42)과, 상기 몸체프레임(42)에서 연장구성되고, 창문틀프레임(10)의 레일프레임(12)을 내재시키며 창문틀프레임(10) 방향의 말단 일정위치에는 레일프레임(12)의 측부와 상접되는 모헤어(42a)와 상기 모헤어(42a)를 체결가능한 모헤어홈(42b)을 구비하는 레일대응프레임(42)과, 상기 레일대응프레임(42)의 내부 일정위치에 이동롤러(44a)와 상기 이동롤러(44a)가 구동될 수 있는 회동축(44b)을 포함하는 이동부재(4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는 하부프레임(40)의 레일대응프레임(42)에 이동부재(44)를 직접 설치하거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프레임을 상기 레일대응프레임(42) 내부에 추가하여 추가된 프레임에 이동부재(44)를 설치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구성된 하부보강프레임(43)의 제1하부보강프레임(43a)에 이동부재(44)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하부보강프레임(43)에 설치되는 이동부재(44)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부보강프레임(43)의 양측 말단인 제1하부보강프레임(43a, 43b) 각각에 이동부재(4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하부프레임(40)의 하부보강프레임(4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제1하부보강프레임(43a, 43b)과 상기 한쌍의 제1하부보강프레임(43a, 43b) 사이에 창틀프레임(10)의 레일프레임(12)과 대향되어 설치되는 모헤어(45a)와 상기 모헤어(45a)가 체결가능한 모헤어홈(45b)을 하부 일측에 구비하는 제2하부보강프레임(45)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하부보강프레임(43a, 43b)과 제2하부보강프레임(45)은 별도로 구성되어 결합 설치될 수 있으나, 일체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부프레임(40)의 하부보강프레임(43)에 이동부재(44)만을 구비하였을 경우, 하부보강프레임(43)과 창문틀프레임(10)과의 사이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제2하부보강프레임(45)을 이용하여 종래에 복수 개의 이동부재를 이용한 창문프레임(20)보다 기밀성을 더 확보할 수 있으며, 아울러 창유리(60)를 구비한 창문프레임(20)의 하중을 더욱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어 하부프레임(40)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연관하여, 창유리(60)를 구비한 창문프레임(20)의 하중은 이동부재(44)의 이동롤러(44a)의 이동성에 영향을 크게 미치기 때문에 이동부재(44)를 포함한 보강프레임을 제1하부보강프레임(43a, 43b) 사이, 즉, 제2하부보강프레임(45)에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미도시)
아울러, 하부보강프레임(43)의 제2하부보강프레임(45)은 창틀프레임(10) 방향 말단에 모헤어(45a)의 측부와 상접되는 모헤어와 상기 모헤어가 체결가능한 모헤어홈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미도시)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창문틀프레임 11 : 몸체프레임
12 : 레일프레임 13: 내부프레임
14 : 외부프레임 20 : 창문프레임
21a, 21b : 수직프레임 30 : 상부프레임
31, 41 : 몸체프레임 32, 42 : 레일대응프레임
32a, 33a, 42a, 45a : 모헤어 32b, 33b, 42b, 45b : 모헤어홈
33 : 상부 보강프레임 40 : 하부프레임
43 : 하부 보강프레임 43a, 43b : 제1하부보강프레임
44 : 이동부재 44a : 이동롤러
44b : 회동축 45 : 제2하부보강프레임
50 : 연결부재 60 : 창유리
70 : 기밀부재 80 : 고무

Claims (3)

  1. 건물에 고정되는 창문틀프레임(10)과, 상기 창문틀프레임(10)에서 이동가능하고 창유리(60)를 구비하는 창문프레임(20)으로 구성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문프레임은 두개의 수직프레임(21a, 21b)과 상부 및 하부프레임(30, 40)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30, 40)은 레일대응프레임(32, 42)과 몸체프레임(31, 41)으로 각각 구성되며,
    상기 상부프레임(30)의 레일대응프레임(32)의 내부에 상부 보강프레임(33);과
    상기 하부프레임(40)의 레일대응프레임(42)의 내부에 하부 보강프레임(4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창호.
  2. 제 1항에 있어서,
    상부 보강프레임(30)은
    서로 대향되며 상접하는 모헤어(33a)와 상기 모헤어(33a)를 삽입설치 할 수 있는 모헤어홈(33b)을 창문틀프레임(31) 방향의 말단 일정위치에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창호.
  3. 제 1항에 있어서,
    하부 보강프레임(40)은
    각각의 제1하부보강프레임(43a, 43b)을 양측 말단에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제1하부보강프레임(43a, 43b)의 사이에 제2하부보강프레임(45)이 구성되고, 상기 제1하부 보강프레임(43a, 43b)은 이동롤러(44a)와 상기 이동롤러(44a)가 구동될 수 있는 회동축(44b)이 구비되며, 상기 제2하부 보강프레임(45)은 하부 일정부분에 모헤어홈(45a)과 상기 모헤어홈(45a)에 삽입설치되는 모헤어(46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창호.
KR1020130024087A 2013-03-06 2013-03-06 기밀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창호 KR201401097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087A KR20140109727A (ko) 2013-03-06 2013-03-06 기밀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087A KR20140109727A (ko) 2013-03-06 2013-03-06 기밀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727A true KR20140109727A (ko) 2014-09-16

Family

ID=51756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087A KR20140109727A (ko) 2013-03-06 2013-03-06 기밀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972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746B1 (ko) * 2016-04-20 2016-07-26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창짝의 기밀 및 단열 성능이 개선된 미서기창호
KR102469044B1 (ko) * 2022-05-04 2022-11-22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단열성 및 기밀성이 향상된 창호 시스템
KR20230083729A (ko) * 2021-12-03 2023-06-12 새론테크 주식회사 방화 및 단열기능을 갖는 미서기 이중창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746B1 (ko) * 2016-04-20 2016-07-26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창짝의 기밀 및 단열 성능이 개선된 미서기창호
KR20230083729A (ko) * 2021-12-03 2023-06-12 새론테크 주식회사 방화 및 단열기능을 갖는 미서기 이중창호
KR102469044B1 (ko) * 2022-05-04 2022-11-22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단열성 및 기밀성이 향상된 창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561B1 (ko) 폴딩도어
CN104271863A (zh) 双滑动窗
KR200465656Y1 (ko) 분할식 창호
RU2589634C1 (ru) Сдвижное окно с улучшенной герметичностью
EP2426309B1 (en) Sectional door
KR20140109727A (ko) 기밀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창호
KR200406648Y1 (ko) 내풍압용 이중 단열창
KR101365691B1 (ko) 투트랙 창호 레일과 삼중 유리가 구성된 이중 폴리아미드타입 단열구조
KR101669409B1 (ko) 강화유리문 프레임의 설치구조
US20180223589A1 (en) Insulating door and frame
KR101769180B1 (ko)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
KR101502665B1 (ko) 양개형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
KR20140085687A (ko) 프로젝트 타입의 창호 시스템
EP3498963B1 (en) Horizontally sliding window
KR20210081812A (ko) 단열 및 밀폐구조를 갖는 창호
KR101293191B1 (ko) 입면 분할 창호에 구비되는 고 기밀성 단열 중간바
KR101499623B1 (ko) 단열 창호 시스템
KR101080911B1 (ko) 창호의 중앙프레임 구조
KR20180080945A (ko) 폴딩도어의 문짝구조
KR101365692B1 (ko) 투트랙 창호 레일과 삼중 유리가 구성된 이중 아존타입 단열구조
KR101138818B1 (ko) 기밀성 및 방음성이 향상된 창호
CN101864885B (zh) 一种无吊轨、无下轨推拉门
KR101086370B1 (ko) 소음 차단구조를 구비한 이중창호
KR101249896B1 (ko) 창호용 단열 프레임
KR20160004140U (ko) 기밀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