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9421A - 원격 통신 회선 내에서의 장애 식별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원격 통신 회선 내에서의 장애 식별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9421A
KR20140109421A KR1020147018918A KR20147018918A KR20140109421A KR 20140109421 A KR20140109421 A KR 20140109421A KR 1020147018918 A KR1020147018918 A KR 1020147018918A KR 20147018918 A KR20147018918 A KR 20147018918A KR 20140109421 A KR20140109421 A KR 20140109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lt
transfer function
determining
frequency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8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4819B1 (ko
Inventor
사비에르 다덴네
베노이트 드루그하그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40109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8Indicating faults in circuits or apparatus
    • H04M3/085Fault lo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46Monitoring;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04M11/062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us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for speech and oth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6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means for applying test signals or for measuring
    • H04M3/28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 H04M3/30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for subscriber's lines, for the local loop
    • H04M3/305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for subscriber's lines, for the local loop testing of physical copper line parameters, e.g. capacitance or resistance
    • H04M3/306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for subscriber's lines, for the local loop testing of physical copper line parameters, e.g. capacitance or resistance for frequencies above the voice frequency, e.g. xDSL line qual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0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OAM&P
    • H04M2203/056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OAM&P non-invasive testing, i.e. in operation testing without service interru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Locating Faul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통신 회선(13) 내에서의 장애(59)의 식별(53, 73)을 위한 방법(45)에 관한 것인데, 본 방법(45)은 원격 통신 회선(13)의 전달 함수를 특징짓는 제1 측정 데이터(Hlog)를 결정하는 단계(49)를 포함한다. 회선(13)의 작동을 중단시키지 않고서 원격 통신 회선(13)상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기존 DSL 시스템들과 같은 기존 시스템과 연계하여 쉽게 구현될 수 있는 원격 통신 회선(13) 내에서의 장애(59)의 식별을 위한 방법(45)을 제공하기 위해서, 방법(45)은 전달 함수의 진동들의 적어도 하나의 주기성 간격(Δf1, Δf2)을 결정하는 단계(55)를 추가로 포함하고 장애(59)는 상기 결정(55)에 따라 식별되는 것이 제안된다.

Description

원격 통신 회선 내에서의 장애 식별을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IDENTIFICATION OF AN IMPAIRMENT WITHIN A TELECOMMUNICATION LINE}
본 발명은 원격 통신 회선 내에서의 장애(impairment) 식별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은 원격 통신 회선 내에서의 장애 식별을 위한 장애 식별 장치 및 장애 식별을 위한 방법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DSL(Digital Subscriber Lines)에서 SELT(Single Ended Line Testing)를 수행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SELT는 가입자 회선의 한 쌍의 도전체에서의 장애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허용하는 반사계 기반 측정(reflectometry-based measurement) 절차들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장애는 가입자 회선상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반사한다. 그러므로, 해당 장애의 위치는 가입자 회선의 단일 종단으로부터 장애까지 진행하고 나서 DSL의 해당 단일 종단으로 돌아오는 신호 전파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SELT는 특정 시험 신호가 가입자 회선상에서 전송될 것을 요구하고 가입자 회선의 정상 동작은 SELT 동안 중단되어야만 한다. 그러므로, SELT는 가입자 회선에 대한 반복적인 또는 자동적인 시험들에 잘 맞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DSL 시스템들은 전형적으로 DELT(Dual Ended Line Testing)을 위한 절차들을 제공한다. DELT는 DSL의 상이한 종단 점들에 연결된 두 개의 노드에 의해, 예를 들어 액세스 노드 및 고객 댁내 장비(Customer Premises Equipment, CPE)의 일부인 노드에 의해 실행된다. DELT의 결과들은, 예를 들어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에 의해 가입자 회선의 종단 점들에서의 노드들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선의 정상 작동을 중단하지 않고서 원격 통신 회선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기존 DSL 또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시스템들과 같은 기존 시스템들과 연계하여 쉽게 구현될 수 있는, 원격 통신 회선 내에서의 장애 식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원격 통신 회선 내에서의 장애 식별을 위한 방법, 청구항 12에 따른 장애 식별 장치, 및 청구항 15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의해 달성된다.
실시예에 따라, 원격 통신 회선 내에서의 장애 식별을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원격 통신 회선의 전달 함수를 특징짓는 제1 측정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방법은 전달 함수의 진동들의 적어도 하나의 주기성 간격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장애는 상기 검출에 따라 식별된다. 실시예에서, 방법은 제1 측정 데이터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주기성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 및/또는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주기성 간격에 따라 장애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을 구현할 때, 측정 데이터가 원격 통신 회선의 정상 작동을 중단하지 않고서 획득될 수 있는데, 즉 데이터 전송이 측정 데이터의 획득 동안 계속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은 회선이 연결된 네트워크 구성 요소로부터, 예를 들어 액세스 노드 또는 고객 댁내 노드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검색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이 네트워크 구성 요소는 회선을 작동시키는 동안의 특정 국면 동안, 예를 들어 동기화 국면 동안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저장하기 위한 측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측정 데이터는 계속적으로 생성되고 및/또는 갱신된다. 그러므로, 원격 통신 회선은, 가능하게는 데이터 전송 품질이 예를 들어 고객의 주의를 끌 만한 범위로 감소되기 전에, 임의의 장애를 검출하기 위해 자동적으로 및/또는 반복해서 체크될 수 있다.
장애 식별은 통신 회선이 장애를 가지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장애는 전달 함수가 몇몇 진동들을 나타내면 검출된다. 전달 함수가 어떤 진동들도 나타내지 않으면, 이후 방법은 회선이 어떤 장애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식별은 전달 함수에서의 진동들의 주기성 간격에 따라 원격 통신 회선 내에서의 장애 위치를 추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방법은 장애의 위치를 추정하지 않고서 주기성 간격에 따라 장애를 검출한다. 전달 함수에서의 주기성들은 장애 위치에서의 전송 모드 변환에 의해 야기된다. 적어도 하나의 주기성 간격은 원격 통신 회선의 종단 점으로부터의 장애의 거리에 의존한다. 그러므로, 장애와 종단 점 사이의 거리는 주기성 간격에 따라 추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장애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서 그로부터 추정되는 거리가 측정될 원격 통신 회선의 종단 점을 결정하기 위해, 방법은 전송 회선의 종단 점들에서의 잡음 수준을 특징짓는 제2 측정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잡음 수준들을 서로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장애 위치만이 추정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장애 위치가 추정될 뿐만 아니라 장애 유형도 결정된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식별은 측정 데이터, 양호하게는 제1 측정 데이터에 따라 장애 유형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장애 유형은 전달 함수의 적어도 하나의 극값(extremum)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실시예는 극값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특정 장애의 유형은 전달 함수 진동들의 최대 및/또는 최소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형을 결정하기 위한 하기 접근법들이 적용될 수 있다.
- 단선(open wire)(이것은 직렬 저항의 특별한 경우임)을 포함하는 직렬 저항이 전달 함수의 극소값들(local minima)이 적어도 본질적으로 전달 함수의 주기성 간격의 배수들에 대응하는 주파수들에 위치하면 검출될 수 있고,
- 단선을 포함하는 직렬 저항은 또한 전달 함수의 극대값들(local maxima)이 적어도 본질적으로 주기성 간격의 절반의 홀수 배들에 대응하는 주파수들에 위치하면 검출될 수 있고,
- 단락 회로(이것은 분로 저항(shunt resistance)의 특별한 경우임)를 포함하는 분로 저항은 전달 함수의 극소값들이 적어도 본질적으로 주기성 간격의 절반의 홀수 배들에 대응하는 주파수들에 위치하면 검출될 수 있고,
- 단락 회로를 포함하는 분로 저항은 또한 전달 함수의 극대값들이 적어도 본질적으로 전달 함수의 주기성 간격의 배수들에 대응하는 주파수들에 위치하면 검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네 가지 상기 접근법 중 적어도 하나 및 이러한 접근법들의 임의의 조합이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장애의 유형을 결정하는 것은 전달 함수와 장애 없는 원격 통신 회선의 참조 전달 함수 사이의 차이가 주파수에 따라 변하면 용량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장애의 유형을 결정하는 것은 전달 함수와 참조 전달 함수 사이의 차이의 런(run)에 따라 직렬 용량과 병렬 용량(shunt capacitance) 간에 구별하는 것을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상기 장애의 유형을 결정하는 것은 차이가 주파수에 따라 감소하면 직렬 용량을 검출하고 및/또는 차이가 주파수에 따라 증가하면 병렬 용량의 형태로 장애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장애의 유형을 결정하는 것은 전달 함수의 진동들의 진폭이 주파수에 따라 변하면 용량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장애의 유형을 결정하는 것은 전달 함수의 진동들의 진폭의 런에 따라 직렬 용량과 병렬 용량 간에 구별하는 것을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상기 장애의 유형을 결정하는 것은 전달 함수의 진동들의 진폭이 주파수에 따라 감소하면 직렬 용량을 검출하고 및/또는 진폭이 제1 주파수 범위에서 주파수에 따라 증가하고 제2 주파수 범위 - 제1 주파수 범위는 제2 주파수 범위보다 더 낮은 주파수를 포함함 - 에서 주파수에 따라 감소하면 병렬 용량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병렬 용량은, 진폭이 먼저 주파수에 따라 증가하고 이후 더 높은 주파수들에서 천천히 감소하기 시작하면 검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원격 통신 회선 내에서의 장애 식별을 위한 장애 식별 장치가 제공되는데, 여기서 장치는 원격 통신 회선의 전달 함수를 특징짓는 제1 측정 데이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여기서 컨트롤러는 전달 함수의 진동들 및 이러한 진동들의 적어도 하나의 주기성 간격을 검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장애는 상기 검출에 따라 식별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컨트롤러는 그 실시예들이 여기서 기술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양호하게는 프로그래밍된다. 컨트롤러는 컴퓨터일 수 있다. 컨트롤러는 프로세서 및 기억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억 소자는 프로세서가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동할 때 방법을 실행하는 식으로 프로그래밍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장치는 원격 통신 회선에 연결된 네트워크 구성 요소의 일부분, 양호하게는 액세스 노드 또는 고객 댁내 노드(customer premises node)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장치는 네트워크 또는 이것의 부분에 연결 가능한 스테이션이다. 액세스 노드는 DSL 액세스 노드일 수 있다. 고객 댁내 노드는, 예를 들어 DSL 모뎀이거나 또는 DSL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양호하게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기억 매체가 제공되는데, 여기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상에서 구동될 때 방법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기억 매체는, 예를 들어 광학적 또는 자성 디스크, 반도체 기억장치 및 그와 유사한 것일 수 있다. 게다가 서버가 제공될 수 있는데, 이 서버로부터 프로그램이, 예를 들어 인터넷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검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 및 추가의 장점들이 도면들에서 도시되고 이후에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통신 네트워크를 보여준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의 원격 통신 회선 내에서의 장애 식별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보여준다;
도 3은 차동 전송 모드 및 공통 전송 모드를 포함하는 원격 통신 회선을 따른 신호 경로들을 보여준다;
도 4는 원격 통신 회선에서의 직렬 저항 및 단선의 경우에서의 원격 통신 회선의 전달 함수를 보여준다;
도 5는 원격 통신 회선의 도전체와 접지 사이의 분로 저항과 단락 회로의 경우에서의 전달 함수를 보여준다;
도 6은 원격 통신 회선에서의 직렬 용량의 경우에서의 전달 함수를 보여준다;
도 7은 원격 통신 회선의 도전체와 접지 사이의 병렬 용량의 경우에서의 전달 함수를 보여준다.
설명 및 도면들은 본 발명의 원리를 단순히 예시할 뿐이다. 따라서, 당업자들은 여기에 명시적으로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더라도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그것의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여러 구성들을 생각해낼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모든 예들은,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 및 본 기술분야를 발전시키는 데에 본 발명자가 기여한 개념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주기 위한 교육적 목적으로만 주로 명백히 의도되었으며, 그러한 특정적으로 기재된 예들 및 조건들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고 해석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들, 양태들 및 실시예들을 기재한 모든 진술과 이들의 구체적인 예들은 이들의 균등물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도 1은 원격 통신 회선(13)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11)를 보여준다. 원격 통신 회선(13)은 전기적 도전체들(15a, 15b)의 쌍(15)을 갖는데, 이 쌍(15)의 제1 종단(16)은 액세스 노드(17)라고도 언급되는 네트워크(11)의 네트워크 측 말단 노드에 연결되고, 이 쌍(15)의 제2 종단(18)은 네트워크(11)의 단말 측 말단 노드(19)에 연결된다. 단말 측 말단 노드(19)는 네트워크(11)의 고객 댁내 장비(CPE)(21)의 일부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원격 통신 회선(13)은 DSL(Digital Subscriber Line), 예를 들어, ADSL, VDSL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액세스 노드(17)는 DSLAM(DSL Access Multiplexer) 또는 또 다른 유형의 DSL 액세스 노드일 수 있다. 단말 측 말단 노드(19)는 DSL 모뎀이거나 DSL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DSL에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11)는 다른 유형의 원격 통신 회선(13), 예를 들어 PLC(Power Line Communication)를 위한 전력 선을 포함한다.
액세스 노드(17)는 쌍(15)의 제1 종단(16)이 연결되는 제1 모뎀 회로(23)를 갖는다. 게다가, 액세스 노드(17)는 액세스 노드(17)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적응된 제1 컨트롤러(25)를 갖는다. 실시예에서, 제1 컨트롤러(25)는 프로세서(27),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기억 소자(29), 예를 들어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하는 프로그램가능 컴퓨터이다.
단말 측 말단 노드(19)는 쌍(15)의 제2 종단(18)이 연결되는 제2 모뎀 회로(33)를 포함한다. 게다가, 단말 측 말단 노드(19)는 제2 컨트롤러(31)를 포함한다. 제2 컨트롤러(31)는 제1 컨트롤러(25)와 동일한 기본 구성을 가질 수 있는데, 즉 제2 컨트롤러(31)는 프로그램가능 컴퓨터이고 프로세서(27) 및/또는 기억 소자(29)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쌍(15)의 적어도 일부분은 바인더(35)의 일부분이고, 추가적 도전체 쌍들(37)과 병렬로 연장한다. 바인더(35)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접지될 수 있는, 전기적 도전성의 양호하게는 금속성의 차폐물(38)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네트워크(11)는, 스테이션(39)이 노드들(17, 19) 중 적어도 하나와, 양호하게는 액세스 노드(17)와 통신할 수 있도록 노드들(17, 19) 중의 적어도 하나에 예를 들어 상호 연결망(41)을 통해 연결된 선택 사항인 스테이션(39)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션(39)은 제3 컨트롤러(43)를 포함한다. 제3 컨트롤러(43)는 제1 컨트롤러(25)와 동일한 기본 구성을 가질 수 있는데, 즉 제3 컨트롤러(43)는 프로그램가능 컴퓨터일 수 있고, 프로세서(27) 및/또는 기억 소자(29)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스테이션(39)은 서버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 PDA와 같은 핸드헬드 컴퓨터 또는 셀 전화기, 기타 등등일 수 있다.
컨트롤러들(25, 31 또는 43) 중 적어도 하나는 원격 통신 회선(13) 내에서, 특히 도전체들(15a, 15b)의 쌍(15) 내에서의 장애 식별을 위한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이 목적을 위해, 컨트롤러들(25, 31, 43) 중 적어도 하나가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동할 때 방법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방법은 액세스 노드(17)상에서, 스테이션(39)상에서, 또는 단말 측 말단 노드(19)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기억 소자(29)상에 저장될 수 있다. 게다가, 컴퓨터 프로그램은 자성 또는 광학적 디스크 또는 반도체 기억 매체와 같은 임의 유형의 데이터 기억 매체상에 저장될 수 있다. 게다가,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양호하게는 인터넷상에서 전송용 서버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방법(45)을 상세히 보여준다. 방법(45)은 원격 통신 회선(13), 특히 쌍(15)에게 관련된 측정들을 검색하기 위한 측정 블록(47)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측정 블록(47)은 제1 측정 데이터 Hlog의 검색을 위한 단계(49)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측정 데이터 Hlog는 쌍(15)의 2개의 종단(16, 18) 사이의 전달 함수의 크기를 양호하게는 로그 스케일(logarithmic scale)로 특징짓는다. 예를 들어, 제1 측정 데이터 Hlog는 각각의 값이 쌍(15)을 통하여 전송될 신호의 상이한 주파수에 대응하는 다수 값(multiple values)의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측정 블록(47)은 액세스 노드(17) 및/또는 단말 측 말단 노드(19)로부터 제2 측정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51)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측정 데이터는 제1 잡음 수준 값 N1 및 제2 잡음 수준 값 N2를 포함한다. 제1 잡음 수준 값 N1은 쌍(15)의 제1 종단(16)에서의 잡음 수준을 특징짓는다. 제2 잡음 수준 값 N2는 쌍(15)의 제2 종단(18)에서의 잡음 수준을 특징짓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측정 데이터 Hlog 및/또는 제2 측정 데이터 N1, N2는 액세스 노드(17) 및 단말 측 말단 노드(19)에 의해 수행되는 DELT(Dual Ended Line Testing) 절차에 의하여 생성된다. 단계(49)는 제1 측정 데이터 HLog를 검색하고 단계(51)는 제2 측정 데이터 N1, N2를 검색한다. 특히, 액세스 노드(17)와 단말 측 말단 노드(19)가 아니라 상이한 노드(예를 들어 스테이션 39)상에서 방법(45)을 실행할 때, 통신 프로토콜이 제1 및/또는 제2 측정 데이터 Hlog, N1, N2를 상호 접속망(41)을 통하여 해당 노드에게 전송하는 데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통신 프로토콜은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이다. 즉, 스테이션(39)은 SNMP를 사용하여 액세스 노드(17)로부터 제1 측정 데이터 Hlog 및/또는 제2 측정 데이터 N1, N2를 검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DELT 절차는 회선(13)과 제1 및 제2 모뎀 회로들(23, 33)의 작동의 특정 국면 동안 수행되는데, 이 동안에 제1 모뎀 회로(23)와 제2 모뎀 회로(33)의 서로의 동기화가 일어난다. 동기화는 예를 들어 액세스 노드(17) 또는 CPE(21)의 파워 업(power up) 동안 또는 제1 모뎀 회로(23)와 제2 모뎀 회로(33) 사이의 연결의 일시적 중단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액세스 노드(17) 및/또는 단말 측 말단 노드(19)는 국부적으로 DELT 동안 생성된 제1 측정 데이터 Hlog 및/또는 제2 측정 데이터 N1, N2를 저장할 수 있어서, 방법(45)이 차후에 이들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들(49 및 5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병렬로 수행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들(49 및 51)은 서로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실행된다.
방법(45)은 쌍(15)이 장애를 가지는지를 결정하고 장애의 위치를 추정하는 위치 파악 블록(localization block)(53)을 포함한다. 위치 파악 블록(53)은 측정 블록(47) 후에 실행될 수 있다. 위치 파악 블록(53)의 단계(55)는 장애가 검출되었다면 장애의 가능한 위치들 P1, P2를 추정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두 개의 가능한 위치 P1, P2가 노드들(17, 19) 사이의 쌍(15)의 전달 함수의 주기성에 따라 검출된다. 위치 파악 블록(53)의 단계(57)는 장애의 최종 추정 위치 P로서 가능한 위치들 P1, P2 중 하나를 선택한다. 이 목적을 위해, 단계(57)는 잡음 수준들 N1, N2를 서로 비교하고, 이 비교에 기초하여 가능한 위치들 P1, P2 중 어느 것이 추정 위치 P로서 선택되어야 하는지를 판정한다. 다른 종단보다 장애에 더 가깝게 위치한 회선(13)의 종단에서의 잡음 수준 N1, N2가 회선(13)의 다른 종단에서의 잡음 수준 N2, N1보다 더 높을 것이다. 그러므로, 단계(57)는 가장 큰 잡음 수준 N1, N2를 갖는 회선(13)의 종단(16, 18)을 결정하고 해당 종단(16, 18)에 가장 가까운 가능 위치 P1, P2를 추정 위치 P로서 선택한다.
단계(57)에 의하여, 장애의 위치는 매우 정확하게 추정될 수 있다. 그러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방법(45)은 단계(57)를 포함하지 않고 위치 파악 블록(53)이 가능한 위치들 P1, P2로부터 최종 추정 위치 P를 선택하지 않고서 가능한 위치들 P1, P2만을 결정한다.
도 3은 장애(59)를 갖는 회선(13)을 도식적으로 보여준다. L1은 회선(13)의 제1 종단(16)과 장애(59) 사이의 거리를 표시한다. L2는 회선(13)의 제2 종단(18)과 장애(59) 사이의 거리를 표시한다. L = L1 + L2는 회선(13)의 전체 길이, 즉 쌍(15)의 전체 길이를 표시한다.
도 3에 도시된 화살표는 상이한 전송 모드들에 따라 회선(13)상에서 전송되는 신호 Vs 의 상이한 전파로들에 대응한다. 도 3의 상부에, 차동 모드(differential mode) D가 묘사된다. 공통 모드 C가 하부에 보여진다. 차동 모드 D에서, 회선(13)의 양쪽 종단들(16, 18)은 종단 저항들 Rc에 의해 종단된다. 신호 Vs 는 차동 모드 D에서 회선의 쌍(15) 내로 공급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회선(13)이 공통 모드 C에 적용될 의도는 아니기 때문에, 도 3의 하부에서의 회선(13)의 부분은 개방된다. 그러므로, 공통 모드 C에서 전송되는 신호는 종단되지 않는다.
(어떤 장애들도 없는) 온전한 회선의 경우에, 신호 Vs 는 (도 3의 좌측상에서의) 제1 회선(13)의 제1 종단(16)으로부터 (도 3의 우측상에서의) 회선의 제2 종단(18)까지 직접적으로 제1 경로(화살표 61)를 따라서 차동 모드 D에서만 경로를 따라 전파할 것이다. 그러나, 장애(59)는 회선(13) 내에서의 모드 변환을 야기한다. 결과적으로, 신호 Vs 의 에너지 일부분은 차동 모드 D로부터 공통 모드 C로 전송되고, 회선(13)의 양쪽 종단들(16, 18)로 반사된다. 회선(13)이 공통 모드 C에 대하여 종단되지 않기 때문에, 회선(13)의 종단들(16, 18)은 공통 모드 신호들을 반사한다. 장애(59)에 도착하는 공통 모드 신호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응 차동 모드 신호들로 변환되어, 회선의 종단들(16, 18)에 전송되고, 여기서 이들은 종단된다. 결과적으로, 장애(59)는 제1 종단(16)으로부터 장애(59)를 통과하여, 제2 종단(18)에 걸쳐서, 장애(59)로 돌아가고 회선의 제2 종단(18)에서 끝나는 제2 경로(화살표 63)를 도입한다. 제3 경로(화살표 65)는 회선의 제1 종단(16)에서 시작하고, 장애(59)를 통과해 나아가고, 제1 종단(16)으로 복귀하고, 다시 장애(59)를 통과해 나아가고, 회선(13)의 제2 종단(18)에서 끝난다.
회선(13)의 제2 종단(18)에서의 수신 신호 Vr은 3개의 상이한 전파로(61, 63, 65)를 따라 전파되는 신호 Vs의 중첩에 대응한다(즉 Vr = Vr1 + Vr2 + Vr3). 페이저들이 하기와 같이 회선(13)의 제2 종단(18)에서의 신호들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회선(13)의 제2 종단(18)에서의 신호는 아래와 같이 쓰여질 수 있다:
Figure pct00002
상기 수학식에서,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는 제각기 공통 및 차동 모드들에 대한 전파 상수들이다. 이런 상수들의 실수부는 신호 감쇠에 책임이 있는 한편, 그 허수부는 위상 속도에 관계된다. T 는 모드들 간에 전달되는 신호들의 진폭들을 기술하는 인자이다. 따라서, 총 신호의 진폭은 진동 함수(괄호들 간의 제2 항의 진폭)에 의해 변조되는 감쇠 지수(decaying exponential)(제1 항의 진폭)로 구성된다.
그러면,
Figure pct00005
인 사실을 이용하여 - 여기서 f 는 주파수이고, v 는 위상 속도임 -, 두 개의 지수에 대한 주파수에서의 주기성들은 하기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
그래서, Hlog 진동들의 주기성을 결정한 후, 2개의 거리 L1, L2가 알려진다. 그러나, 표현 Vs 가 L1 및 L2에서 대칭적이기 때문에 장애의 위치에 대한 모호성이 있고, 따라서 L1 및 L2가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서 교환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단계(55)는 L1 및 L2 값들에 관한 두 개의 가능한 가정에 따라 두 개의 가능한 위치 P1, P2를 결정한다.
도 4는 어떤 장애도 없는 경우에 로그 스케일로 전달 함수의 크기 형태로 측정 데이터 Hlog를 보여준다(곡선 67). 게다가 측정 데이터 Hlog가 단선의 형태로 장애(59)가 있는 경우(곡선 69) 및 500 옴 직렬 저항의 형태로 장애(59)가 있는 경우에(곡선 71) 보여진다. 단선 장애는 직렬 저항 장애의 특별한 경우로 간주된다. 장애(59)가 있을 때 결정된 측정 데이터 Hlog는 상기 기술된 진동들을 갖는다. 방법(45)의 단계(55)는 측정 데이터 Hlog를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진동들을 결정한다. 도시된 예에서, 제각기 Δf1 =1000 kHz 및 Δf2 = 333 kHz 주기성을 갖는 두 개의 진동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수학식들을 이용하면, 단계 55는 ν = 2·108 m/s 를 가정하면, 값들 L1 = 100 m 및 L2 = 300 m를 계산한다.
그러나, 이 해답은 유일하지 않다. L1 = 300 m 및 L2 = 100 m가 또한 상기 수학식들에 대한 유효한 해답이다. 그러므로, 장애(59)의 두 개의 가능한 위치 P1, P2가 있다. 장애(59)는 제1 종단(16)으로부터 P1 = 100 m 떨어져 위치하거나 또는 제1 종단(16)으로부터 P2 = 300 m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계(57)는 잡음 수준 값들 N1, N2에 기초하여 가능한 위치들 P1, P2로부터 장애(59)의 가장 가능한 위치 P를 선택한다. 양호하게는, 단계(57)는 잡음 수준 값들 N1, N2를 서로 비교하고, 두 개의 잡음 수준 값 N1, N2 중에서 가장 큰 잡음 수준값 Nmax를 결정한다. 그러면 단계(57)는 가장 큰 잡음 수준 값 Nmax를 가진 종단들(16, 18)에 가장 가까운 가능한 위치 P1, P2를 장애의 가장 가능한 추정 위치 P로서 선택한다.
장애(59)의 위치 P를 결정하는 것 외에도, 장애(59)의 식별은 장애(59)의 유형을 결정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방법(45)은 예를 들어 위치 파악 블록(53) 후에 실행될 수 있는 분류 블록(73)을 포함한다(도 2를 보시오). 장애(59)의 가능한 유형들은 회선(13)의 도전체들(15a, 15b) 중 하나 내에서의 직렬 저항, 도전체(15a, 15b)와 접지(38) 또는 기타 도전체들(37) 간의 분로 저항, 도전체들(15a, 15b) 내의 직렬 용량, 및 도전체들(15a, 15b)과 접지(38) 또는 기타 도전체들(37) 간의 병렬 용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의 인자 T는 장애의 유형에 좌우된다. 순수하게 저항성 장애는 실수 값 T를 낳는다. 직렬 용량 또는 병렬 용량과 같은 용량성 성분을 가진 장애는 인자 T의 영이 아닌 허수부로 이어진다. 직렬 장애는 음의 값 T를 야기하고 병렬 장애는 양의 값 T를 야기한다.
T가 실수이고 양의 값이라고 가정하여, Vs 의 둘째 항의 극대값들은 두 개의 지수가 실수이고 양의 값인 경우, 즉
Figure pct00008
또는
Figure pct00009
인 경우 발생할 수 있다.
극대값들이 발생하는 주파수 fmax 의 조건들은
Figure pct00010
또는
Figure pct00011
이다.
이것은 양의 실수 값 인자 T에 대해, 회선(13)의 전달 함수의 극대값들은 주파수 주기성들 Δf1, Δf2의 배수들에 대응하는 주파수들 fmax 에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Vs 의 두번째 항의 극소값들은 두 개의 지수가 실수이고 음의 값일 때 발생하고, 하기 주파수들에 대응한다.
Figure pct00012
또는
Figure pct00013
이것은 양의 실수값 인자 T에 대해, 전달 함수의 극소값들은 주파수 주기성들의 절반의 홀수 배들에 대응하는 주파수들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인자 T가 음의 값이라면, 극소값들 및 극대값들의 위치들은 반전된다.
용량성 장애의 경우에는, T의 허수부는 두 개의 지수에서의 위상 시프트에 대응하여, 주파수 축을 따른 극값들(local extrema)의 시프트를 낳는다. 그러므로 용량성 유형의 장애는 극값들의 위치에 의하여 저항성 장애로부터 구별될 수 있다.
하기에서, 방법(45)이 주파수 스케일에서의 전달 함수의 극소값들의 절대 위치에 따라 장애 유형을 결정하는 예시적 접근법이 기술된다. 분류 블록(73)은 전달 함수의 극소값들을 결정하는 단계(75)를 갖는다. 방법(45)에 따라, 제1 브랜치(77)가 단계(75) 후에 실행된다. 이 제1 브랜치(77)는 극소값들의 위치가 적어도 본질적으로 주기성들 Δf1, Δf2의 배수들에 대응하는지를 체크한다. 만약 그렇다면(Y), 이후 방법(45)은 장애(59)가 직렬 저항인 것을 검출한다(단계 78). 그렇지 않다면(N), 제2 브랜치(79)가 실행된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 직렬 저항의 경우에 전달 함수(69, 71)를 보여줌 -, 극소값들은 주기성 Δf1 =1000 kHz 및 Δf2 = 333 kHz의 배수들, 예를 들어 333 kHz, 666 kHz, 1000 kHz, 1333 kHz, 1666 kHz, 2000 kHz, 등등인 주파수들에서 발생한다.
제2 브랜치(79)는 극소값들이 적어도 본질적으로 주기성들의 절반의 홀수 배들, 즉 Δf1/2 및 Δf2/2의 홀수 배들에 대응하는지를 체크한다. 만약 그렇다면(Y), 이후 방법(45)은 단계(81)에서 장애(59)가 도전체(15a, 15b)와, 접지(38) 또는 또 다른 도전체(37) 사이의 분로 저항인 것을 검출한다. 도 5는 도전체들(15a, 15b) 중 하나에서의 접지로의 단락 회로의 경우에서의 전달 함수(곡선 83) 및 도전체들(15a, 15b) 중 하나와 접지 사이의 저항성 경로의 경우에서의 전달 함수(곡선 85)를 보여준다. 극소값들은 주기성들 Δf1 =1000 kHz 및 Δf2 = 333 kHz 의 절반의 홀수 배들, 예를 들어 166.5 kHz, 499.5 kHz, 832.5 kHz, 1165.6 kHz, 등등인 주파수들에서 발생한다.
제2 브랜치(79)가 극소값들이 적어도 본질적으로 주기성들(N)의 절반의 홀수 배들에 대응하는 것을 검출하지 않는다면, 이후 제3 브랜치(87)가 실행된다. 제3 브랜치(87)는 실제 전달 함수와 어떤 장애(59)도 없는 경우의 전달 함수(67) 사이의 차이 δ가 주파수에 따라 감소하는지를 체크한다. 만약 그렇다면(Y), 이후 직렬 용량 형태에서의 장애(59)가 단계(89)에서 검출된다. 그렇지 않다면(N), 도전체(15a, 15b)와 접지(38) 또는 상이한 도전체 간의 병렬 용량의 형태에서의 장애(59)가 추가적 단계(91)에서 검출된다.
도 6은 도전체들(15a, 15b) 중 하나 내에서의 직렬 용량의 형태에서의 장애 경우에서의 전달 함수를 보여준다(곡선 93). 전달 함수(93)와 어떤 장애도 없는 경우의 전달 함수(참조 전달 함수 67) 간의 차이 δ는 직렬 용량의 임피던스가 주파수에 따라 감소하기 때문에 주파수에 따라 감소한다.
도 7은 도전체들(15a, 15b) 중 하나와 접지 사이의 병렬 용량의 형태에서의 장애 경우에서의 전달 함수를 보여준다(곡선 95). 전달 함수(95)와 참조 전달 함수(67) 사이의 차이 δ는 주파수에 따라 감소하지 않는다. 도시된 예에서, 전달 함수들(95, 67) 사이의 차이 δ는 오히려 주파수에 따라 증가한다. 그러므로, 방법(45)은 전달 함수들(93과 67) 사이의 차이 δ 및 전달 함수들(95와 67) 사이의 차이 δ의 런에 기초하여 직렬 용량 및 병렬 용량 사이를 구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방법(45)은 전달 함수(93, 95)의 진동들의 진폭α의 런에 따라 직렬 용량과 병렬 용량 사이를 구별한다. 직렬 용량의 경우에는(곡선 93), 진폭 α는 주파수에 따라 빨리 감소한다. 병렬 용량의 경우에는(곡선 95), 진폭 α는 처음에는 주파수에 따라 증가하고 이후 더 높은 주파수들에서 천천히 감소하기 시작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달 함수에서의 극소값들의 위치들이 결정되고, 장애 유형은 이러한 위치들에 따라 결정된다. 그러나, 기타 실시예들에서 - 극소값들의 위치들에 대안적으로 또는 극소값들의 위치들에 추가하여 - 전달 함수들의 극대값들의 위치들이 결정될 수 있고, 장애 유형은 극대값들의 위치들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특히, 도시된 예시적인 방법(45)은 장애 유형이 극대값들의 위치들에 따라 결정되도록 쉽게 수정될 수 있다.
요약하면, 여기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원격 통신 회선(13)의 전달 함수에서의 진동 주기성들에 따라 원격 통신 회선(13) 내에서의 장애(59)를 식별하는(검출하는, 위치를 알아내는, 및/또는 분류하는) 것을 허용한다. 주기성들이 DELT에 의해 획득된 제1 측정 데이터 Hlog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기 때문에, 장애는 회선(13)의 정상 작동,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들을 중단하지 않고서 식별될 수 있다. 그러므로, 회선(13)은 정기적으로 장애(59)에 대해 체크될 수 있다. 장애(59)가 식별되면, 네트워크 운용자는 회선(13)을 보수하기 위해 기술자를 올바른 장소에 보낼 수 있다. 따라서, 장애(59)는 빨리 그리고 비용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Claims (15)

  1. 원격 통신 회선(13) 내에서의 장애(59)의 식별(53, 73)을 위한 방법(45)으로서,
    상기 방법(45)은 상기 원격 통신 회선(13)의 전달 함수를 특징짓는 제1 측정 데이터(Hlog)를 결정하는 단계(49)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45)은 상기 전달 함수의 적어도 하나의 주기성 간격(Δf1, Δf2) 을 결정하는 단계(5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애(59)는 상기 결정(55)에 따라 식별되는 방법(45).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45)은 상기 전달 함수의 결정된 주기성 간격(Δf1, Δf2)에 따라 상기 원격 통신 회선(13) 내에서의 상기 장애(59)의 위치(P; P1, P2)를 추정하는 단계(53)를 포함하는 방법(45).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45)은 상기 전송 회선(13)의 종단 점들(16, 18)에서의 잡음 수준을 특징짓는 제2 측정 데이터(N1, N2)를 결정하는 단계 및 이러한 잡음 수준들(N1, N2)을 서로 비교하는 단계(57)를 포함하는 방법(45).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45)은 상기 측정 데이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측정 데이터(Hlog)에 따라 상기 장애(59)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73)를 포함하는 방법(45).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59)의 유형은 상기 전달 함수의 적어도 하나의 극값(extremum)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73) 방법(45).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59)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73)는 상기 전달 함수의 극소값들이 적어도 본질적으로 상기 전달 함수의 주기성 간격(Δf1, Δf2)의 배수들에 대응하는 주파수들에 위치하면 직렬 저항 및/또는 단선을 검출하는 단계(77)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장애(59)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73)는 상기 전달 함수의 극소값들이 적어도 본질적으로 상기 주기성 간격(Δf1, Δf2)의 절반의 홀수 배들에 대응하는 주파수들에 위치하면 분로 저항 및/또는 단락 회로를 검출하는 단계(79)를 포함하는 방법(45).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59)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73)는 상기 전달 함수의 극대값들이 적어도 본질적으로 상기 전달 함수의 주기성 간격(Δf1, Δf2)의 배수들에 대응하는 주파수들에 위치하면 분로 저항 및/또는 단락 회로를 검출하는 단계(77)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장애(59)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73)는 상기 전달 함수의 극대값들이 적어도 본질적으로 상기 주기성 간격(Δf1, Δf2)의 절반의 홀수 배들에 대응하는 주파수들에 위치하면 직렬 저항 및/또는 단선을 검출하는 단계(79)를 포함하는 방법(45).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59)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달 함수(93, 95)와 장애(59) 없는 상기 원격 통신 회선(13)의 참조 전달 함수(67) 사이의 차이(δ)가 주파수에 따라 변하면 용량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45).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59)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달 함수(93, 95)와 상기 참조 전달 함수(67) 사이의 차이(δ)의 런(run)에 따라 직렬 용량과 병렬 용량을 구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45).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59)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73)는 상기 차이(δ)가 주파수에 따라 감소하면 직렬 용량을 검출하는 단계(87) 및/또는 상기 차이(δ)가 주파수에 따라 증가하면 병렬 용량의 형태의 장애를 검출하는 단계(87)를 포함하는 방법(45).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59)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달 함수(93, 95)의 진동들의 진폭(α)이 주파수에 따라 감소하면 직렬 용량을 검출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진폭(α)이 제1 주파수 범위에서는 주파수에 따라 증가하고 제2 주파수 범위에서는 주파수에 따라 감소한다면 - 상기 제1 주파수 범위는 상기 제2 주파수 범위보다 더 낮은 주파수들을 포함함 - 병렬 용량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45).
  12. 원격 통신 회선(13) 내에서의 장애(59)의 식별을 위한 장애 식별 장치(17, 19, 39)로서,
    상기 장치(17, 19, 39)는 상기 원격 통신 회선(13)의 전달 함수를 특징짓는 제1 측정 데이터(Hlog)를 결정(49)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25, 31, 43)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25, 31, 43)는 상기 전달 함수의 적어도 하나의 주기성 간격(Δf1, Δf2)을 결정(55)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장애(59)는 상기 결정(55)에 따라 식별되는 장치(17, 19, 39).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25, 31, 43)는 제1항 내지 제11항 중 한 항에 따른 방법(45)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프로그래밍되는 장치(17, 19, 39).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원격 통신 회선에 연결된 네트워크 소자의 일부분, 바람직하게는 액세스 노드(17) 또는 고객 댁내 노드(19), 또는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한 스테이션(39)인 장치(17, 19, 39).
  15.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저장 장치 매체(29)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45)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147018918A 2012-01-10 2012-11-19 원격 통신 회선 내에서의 장애 식별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6248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305036.1 2012-01-10
EP12305036.1A EP2615813B1 (en) 2012-01-10 2012-01-10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ication of an impairment within a telecommunication line
PCT/EP2012/072966 WO2013104453A1 (en) 2012-01-10 2012-11-19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ication of an impairment within a telecommunication l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421A true KR20140109421A (ko) 2014-09-15
KR101624819B1 KR101624819B1 (ko) 2016-05-26

Family

ID=47178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8918A KR101624819B1 (ko) 2012-01-10 2012-11-19 원격 통신 회선 내에서의 장애 식별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78986B2 (ko)
EP (1) EP2615813B1 (ko)
JP (1) JP5881863B2 (ko)
KR (1) KR101624819B1 (ko)
CN (1) CN103999441B (ko)
WO (1) WO20131044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67809B2 (en) * 2009-02-11 2014-07-0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for transmission line analysis
EP3036866A4 (en) * 2013-08-23 2017-03-29 Ikanos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ting and data collection of single ended line test on customer premises equipment
EP3064489A4 (en) * 2013-11-01 2017-06-21 Ube Industries, Ltd. Aryloyl(oxy or amino)pentafluorosulfanylbenzene compou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nd prodrug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5297B2 (en) 1998-11-03 2002-05-07 Teradyn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qualifying loops for data services
US6466649B1 (en) 1999-12-09 2002-10-15 Harris Corporation Detection of bridged taps by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US7116760B2 (en) * 2000-12-04 2006-10-03 Acterna, L.L.C. System and method for single-ended line analysis for qualification and mapping
US7023963B1 (en) * 2002-09-18 2006-04-04 Adtran, Inc. DSL line card echo canceler-based mechanism for locating telecommunication line fault
US7302379B2 (en) 2003-12-07 2007-11-27 Adaptive Spectrum And Signal Alignment, Inc. DSL system estimation and parameter recommendation
AU2006268292B2 (en) 2005-07-10 2011-03-24 Adaptive Spectrum And Signal Alignment, Incorporated DSL system estimation
US20080292064A1 (en) * 2007-05-21 2008-11-27 Xidong Wu Methods and apparatus to characterize a digital subscriber line (dsl) subscriber loop
CN101572569B (zh) * 2008-05-04 2013-01-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线路拓扑管理方法、系统及相关装置
EP2214390B1 (en) 2009-01-30 2013-01-09 Alcatel Lucent Methods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defect in a wired transmission line and systems according to such methods
US8767809B2 (en) * 2009-02-11 2014-07-0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for transmission line analy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99441B (zh) 2017-05-10
KR101624819B1 (ko) 2016-05-26
CN103999441A (zh) 2014-08-20
JP2015512169A (ja) 2015-04-23
WO2013104453A1 (en) 2013-07-18
EP2615813B1 (en) 2017-08-30
EP2615813A1 (en) 2013-07-17
JP5881863B2 (ja) 2016-03-09
US9178986B2 (en) 2015-11-03
US20140321623A1 (en) 2014-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36519B (zh) 执行环路拓扑识别的电缆或用户环路调查的方法和系统
US6876725B2 (en) Single ended line probing in DSL system
US6724859B1 (en) Method for determining subscriber loop make-up by subtracting calculated signals
JP2014506031A (ja) Dsl電気通信回線のグローバル回線特性を判定するための診断エンジンおよび診断エンジンを使用する方法
CN104365025B (zh) 用于检测电信线路内的桥接抽头的方法和设备
CN104335496A (zh) 用于双绞电话线路的基于selt的诊断方法及系统
KR101624819B1 (ko) 원격 통신 회선 내에서의 장애 식별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4317873B2 (ja) 改良されたシングルエンド回線構成識別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A2378839C (en) Improved method for determining subscriber loop make-up
CN104322044A (zh) 用于双绞电话线路的基于selt和delt的诊断方法及系统
KR101622062B1 (ko) 원격 통신 회선 내에서의 장애의 위치 파악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7302046B2 (en) Method for the detection of impedances and for the qualification of the telephone lines
WO2023179953A1 (en) Detecting a loop length change in a digital subscriber line
EP2642735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t least one bridged tap within a telecommunication 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