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8470A -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8470A
KR20140108470A KR1020130022392A KR20130022392A KR20140108470A KR 20140108470 A KR20140108470 A KR 20140108470A KR 1020130022392 A KR1020130022392 A KR 1020130022392A KR 20130022392 A KR20130022392 A KR 20130022392A KR 20140108470 A KR20140108470 A KR 20140108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providing
advertisement content
contents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3198B1 (ko
Inventor
한민호
손상목
고영관
최용주
정영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2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198B1/ko
Publication of KR20140108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2Period of advertisement exp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upon schedul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개시한다. 즉, 광고컨텐츠와 관련하여 제공보장횟수를 설정하며,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사용자장치에서 상기 광고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하고, 상기 광고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이 확인되는 경우에 상기 광고컨텐츠의 수신확인횟수를 누적하여 갱신하며, 상기 광고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점에 확인되는 누적된 상기 광고컨텐츠의 수신확인횟수가 상기 제공보장횟수 미만인 경우에만 상기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에 제공함으로써, 광고컨텐츠 제공과 관련하여 광고주와 약속된 물량을 보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ADVERTISEM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광고컨텐츠의 제공과 관련하여 광고주가 요구하는 물량을 다수의 광고제공장치에서 나누어 제공하는데 있어서, 각 광고제공장치에서 광고주와 약속된 물량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자장치에서 광고컨텐츠를 수신하였음이 확인되는 수신확인횟수가 광고주가 요구하는 물량 미만인 경우에만 광고컨텐츠를 추가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광고컨텐츠 제공 방식의 경우, 제공하고자 하는 광고컨텐츠 전체물량을 다수의 광고제공장치에서 동일한 물량으로 나누어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관련하여, 광고컨텐츠를 나누어 제공하는 다수의 광고제공장치에서는 제공된 광고컨텐츠의 물량이 각각에 할당된 목표물량에 도달하는 경우에 광고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하도록 동작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 광고컨텐츠 제공 방식은 다수의 광고제공장치 중 일부에서 오류 또는 장애 등이 발생하는 경우, 제공한 광고컨텐츠 전체물량이 목표량을 초과하거나, 목표량보다 부족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광고컨텐츠와 관련하여 제공보장횟수를 설정하며,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사용자장치에서 상기 광고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하고, 상기 광고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이 확인되는 경우에 상기 광고컨텐츠의 수신확인횟수를 누적하여 갱신하며, 상기 광고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점에 확인되는 누적된 상기 광고컨텐츠의 수신확인횟수가 상기 제공보장횟수 미만인 경우에만 상기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에 제공함으로써, 광고컨텐츠 제공과 관련하여 광고주 또는 광고매체와 약속된 물량을 보장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광고제공장치는, 광고컨텐츠와 관련하여 제공보장횟수를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에 제공하는 제공부;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사용자장치에서 상기 광고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하고, 상기 광고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이 확인되는 경우에 상기 광고컨텐츠의 수신확인횟수를 누적하여 갱신하는 확인부; 및 상기 광고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점에 확인되는 누적된 상기 광고컨텐츠의 수신확인횟수가 상기 제공보장횟수 미만인 경우에만 상기 제공부에서 상기 광고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고컨텐츠는, 상기 광고제공장치가 아닌 적어도 하나의 다른 광고제공장치로부터 함께 제공되며, 상기 확인부는, 상기 광고제공장치로부터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사용자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광고제공장치로부터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사용자장치 모두에서 상기 광고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고제공장치는, 상기 광고컨텐츠를 저장하는 2 이상의 스케줄링장치 중 하나만을 선택하여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부는, 상기 2 이상의 스케줄링장치 각각으로부터 상기 광고컨텐츠의 저장과 관련한 이벤트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2 이상의 스케줄링장치 중 상기 이벤트정보가 가장 먼저 수신되는 특정 스케줄링장치 하나만을 선택하여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은, 2 이상의 광고제공장치가 광고컨텐츠와 관련하여 제공보장횟수를 설정하는 설정단계; 상기 2 이상의 광고제공장치가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사용자장치에서 상기 광고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2 이상의 광고제공장치가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사용자장치에서 상기 광고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하고, 상기 광고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이 확인되는 경우에 상기 광고컨텐츠의 수신확인횟수를 누적하여 갱신하는 확인단계; 상기 광고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점에 확인되는 누적된 상기 광고컨텐츠의 수신확인횟수가 상기 제공보장횟수 미만인 경우 상기 광고컨텐츠를 다수의 사용자장치에 제공하는 제공단계; 및 상기 다수의 사용자장치가 상기 2 이상의 광고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설정단계 이전에, 상기 2 이상의 광고제공장치가 상기 광고컨텐츠를 저장하는 2 이상의 스케줄링장치 중 하나만을 선택하여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선택수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광고제공장치의 동작 방법은 광고컨텐츠와 관련하여 제공보장횟수를 설정하는 설정단계;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사용자장치에서 상기 광고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하고, 상기 광고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이 확인되는 경우에 상기 광고컨텐츠의 수신확인횟수를 누적하여 갱신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광고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점에 확인되는 누적된 상기 광고컨텐츠의 수신확인횟수가 상기 제공보장횟수 미만인 경우에만 상기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에 제공하는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고컨텐츠는, 상기 광고제공장치가 아닌 적어도 하나의 다른 광고제공장치로부터 함께 제공되며, 상기 확인단계는, 상기 광고제공장치로부터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사용자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광고제공장치로부터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사용자장치 모두에서 상기 광고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설정단계 이전에, 상기 광고컨텐츠를 저장하는 2 이상의 스케줄링장치 중 하나만을 선택하여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단계는, 상기 2 이상의 스케줄링장치 각각으로부터 상기 광고컨텐츠의 저장과 관련한 이벤트정보를 수신하는 이벤트정보수신단계; 및 상기 2 이상의 스케줄링장치 중 상기 이벤트정보가 가장 먼저 수신되는 특정 스케줄링장치 하나만을 선택하여 상기 특정 스케줄링장치로부터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선택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은 상기 2 이상의 광고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다수의 사용자장치; 및 상기 광고컨텐츠와 관련하여 제공보장횟수를 설정하며,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사용자장치에서 상기 광고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하고, 상기 광고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이 확인되는 경우에 상기 광고컨텐츠의 수신확인횟수를 누적하여 갱신하며, 상기 광고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점에 확인되는 누적된 상기 광고컨텐츠의 수신확인횟수가 상기 제공보장횟수 미만인 경우에만 상기 광고컨텐츠를 상기 다수의사용자장치에 제공하는 2 이상의 광고제공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스템은, 상기 광고컨텐츠를 저장하는 2 이상의 스케줄링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2 이상의 광고제공장치는, 상기 2 이상의 스케줄링장치 중 하나만을 선택하여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의하면, 광고컨텐츠의 제공과 관련하여 광고주가 요구하는 물량을 다수의 광고제공장치에서 나누어 제공하는데 있어서, 각 광고제공장치에서는 사용자장치에서 광고컨텐츠를 수신하였음이 확인되는 수신확인횟수가 광고주가 요구하는 물량 미만인 경우에만 광고컨텐츠를 추가 제공함으로써, 광고컨텐츠 제공과 관련하여 광고주와 약속된 물량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제공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제공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은, 광고주로부터 등록된 광고컨텐츠를 다수의 광고제공장치(200)에서 분할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다수의 스케줄링장치(100), 및 광고컨텐츠를 스케줄링장치(100)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장치(300)에 제공하는 다수의 광고제공장치(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은, 전술한 구성 이외에 광고주에 의해 등록된 광고컨텐츠를 스케줄링장치(100)에 전달하기 위한 광고저장장치(40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스케줄링장치(100)는 광고주로부터 등록된 광고컨텐츠를 다수의 광고제공장치(200)에서 나누어 제공할 수 있도록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서버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광고저장장치(400)에 광고주로부터 광고컨텐츠가 등록되는 경우에 광고컨텐츠의 제공과 관련하여 광고주가 요구하는 물량을 다수의 광고제공장치(200)에서 나누어 제공할 수 있도록 스케줄링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광고제공장치(200)는 사용자장치(300)에 광고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광고 서버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스케줄링장치(100)로부터 광고컨텐츠가 전달되는 경우에 광고컨텐츠의 제공과 관련하여 광고주가 요구하는 물량 한도 내에서, 전달된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300)에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장치(300)는 광고매체(예: 어플리케이션)를 실행하여, 광고매체의 실행화면에 광고제공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광고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디바이스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 개인용컴퓨터(PC), 노트북, 테블릿 PC, 및 PDA,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광고매체의 실행이 가능한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컨텐츠의 제공과 관련하여 광고주가 요구하는 물량을 다수의 광고제공장치(200)에서 동일한 물량으로 나누어 사용자장치에 각각 제공하기 위한 분산 처리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수의 광고제공장치(200) 중 특정 광고제공장치에서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광고컨텐츠의 전체물량에서 장애가 발생한 특정 광고제공장치에 할당된 광고컨텐츠 할당물량만큼을 제공할 수 없게 된다.
이에, 장애가 발생한 광고제공장치를 확인하고, 장애가 발생한 광고제공장치의 광고컨텐츠 할당물량만큼의 광고컨텐츠를 추가 제공하기 위한 처리 로직이 필요하게 된다.
즉, 다수의 광고제공장치(200) 각각에서는 기본적으로 자신에게 할당된 광고컨텐츠 할당물량만큼의 광고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기본로직 이외에, 광고제공장치(200) 상호 간에 현재상태(Live)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각 광고제공장치(200)의 광고컨텐츠 할당물량을 변경 설정하기 위한 로직이 추가되어야 한다.
그러나, 다수의 광고제공장치(200) 간의 유기적 관계를 구축을 통해 상호 간에 현재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기초로 광고컨텐츠 할당물량을 가변 설정하기 위한 전술한 로직 이중화의 경우 복잡한 처리 로직이 요구되어, 그 효율성 측면에서 한계점이 있다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광고컨텐츠의 제공과 관련하여 광고주가 요구하는 물량(이하, 제공보장횟수)을 다수의 광고제공장치(200)에서 나누어 제공하는데 있어서, 광고컨텐츠 제공과 관련하여 광고주와 약속된 물량을 초과하거나, 내지는 모자라는 상태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스케줄링장치(100)와 이와 연동된 다수의 광고제공장치(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나 이들 상호 간은 모두 동일한 동작 특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수의 스케줄링장치(100) 중 제1스케줄링장치(100a)와 제2스케줄링장치(100b)만을 언급하여 설명하며, 그리고 다수의 광고제공장치(200)중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 제2광고제공장치(200b)만을 언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스케줄링장치(100)는 광고주로부터 등록된 광고컨텐츠를 광고제공장치(20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스케줄링장치(100a) 및 제2스케줄링장치(100b)는 광고저장장치(400) 상에 광고컨텐츠가 등록되는 경우, 광고저장장치(400)로부터 등록된 광고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때, 제1스케줄링장치(100a) 및 제2스케줄링장치(100b) 모두는 광고저장장치(400)로부터 동일한 광고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제1스케줄링장치(100a) 및 제2스케줄링장치(100b) 모두가 동일한 광고컨텐츠를 저장하는 것은, 제1스케줄링장치(100a) 및 제2스케줄링장치(100b) 중 하나가 장애 발생 등으로 인해 광고컨텐츠 제공과 관련한 스케줄링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을 대비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1스케줄링장치(100a) 및 제2스케줄링장치(100b)는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 제2광고제공장치(200b)에 저장된 광고컨텐츠를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광고컨텐츠에는 광고주가 요구하는 광고제공횟수가 맵핑된 상태로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 제2광고제공장치(200b)에 전달되게 된다.
이는,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 제2광고제공장치(200b)에서 전달된 광고컨텐츠를 광고제공횟수 한도 내에서 사용자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제1스케줄링장치(100a) 및 제2스케줄링장치(100b) 각각은 광고컨텐츠의 저장과 관련한 이벤트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 제2광고제공장치(200b)의 접속을 유도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1스케줄링장치(100a) 및 제2스케줄링장치(100b) 각각은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 제2광고제공장치(200b) 중 하나의 광고제공장치에 대해서만 광고컨텐츠를 전달하게 된다.
이는,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 제2광고제공장치(200b) 각각을 대상으로 동일한 광고컨텐츠가 중복되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광고제공장치(200)는 스케줄링장치(100)로부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 제2광고제공장치(200b) 각각은 제1스케줄링장치(100a) 및 제2스케줄링장치(100b) 중 하나로부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게 된다.
또한, 광고제공장치(200)는 광고컨텐츠와 관련하여 제공보장횟수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 제2광고제공장치(200b) 각각은 제1스케줄링장치(100a) 또는 제2스케줄링장치(100b)로부터 광고컨텐츠가 수신되는 경우, 광고컨텐츠와 관련하여 제공보장횟수를 설정하게 된다.
이때,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 제2광고제공장치(200b) 모두는 광고컨텐츠와 관련한 동일한 제공보장횟수를 설정함으로써, 설정된 제공보장횟수 한도 내에서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300)에 제공하게 된다.
또한, 광고제공장치(200)는 제공된 광고컨텐츠에 대한 수신확인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 제2광고제공장치(200b) 각각은 설정된 제공보장횟수 한도 내에서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300)에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기 제공된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300)에서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하는 수신확인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광고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이 확인되는 경우마다 상기 광고컨텐츠의 수신확인횟수를 누적하여 갱신하게 된다.
이때, 제1광고제공장치(200a)는 자신이 제공한 광고컨텐츠뿐만 아니라 제2광고제공장치(200b)에서 제공한 광고컨텐츠에 대한 수신확인을 함께 수행하게 되며, 제2광고제공장치(200b) 경우도 마찬가지로 자신이 제공한 광고컨텐츠뿐만 아니라 제1광고제공장치(200a)에서 제공한 광고컨텐츠에 대한 수신확인을 함께 수행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장치(300)는 제1광고제공장치(200a) 또는 제2광고제공장치(200b)로부터 수신되는 광고컨텐츠가 표시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Click)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제1광고제공장치(200a) 또는 제2광고제공장치(200b) 모두에 제공함으로써,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 제2광고제공장치(200b)로 하여금 광고컨텐츠에 대한 수신확인을 동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 제2광고제공장치(200b) 각각에서 광고컨텐츠에 대한 수신확인을 직접 수행하는 구성을 제안하고 있으나,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 제2광고제공장치(200b)와는 별도의 장치(예: 이력정보저장장치)에서 광고컨텐츠에 대한 수신확인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구성 또한 가능할 것이다.
또한, 광고제공장치(200)는 설정된 제공보장횟수 한도 내에서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3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 제2광고제공장치(200b) 각각은 설정된 제공보장횟수 한도 내에서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300)에 제공하기 위해 광고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점에 확인되는 누적된 상기 광고컨텐츠의 수신확인횟수가 상기 제공보장횟수 미만인 경우에만 상기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300)에 제공하게 된다.
이때,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 제2광고제공장치(200b) 각각은 누적된 수신확인횟수가 제공보장횟수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 상태를 광고주가 요구하는 제공보장횟수만큼 광고컨텐츠가 전달되지 않은 상태로 인지함으로써,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300)에 추가 제공하게 된다.
반면,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 제2광고제공장치(200b) 각각은 누적된 수신확인횟수가 제공보장횟수와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 상태를 광고주가 요구하는 제공보장횟수만큼 광고컨텐츠가 이미 전달된 상태로 인지함으로써,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300)에 추가 제공하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제공장치(200)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전술한 제1광고제공장치(200a) 및 제2광고제공장치(200b)는 상호 동일한 구성을 갖는바,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광고제공장치(200a)의 구성을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제공장치(200a)는 광고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210), 광고컨텐츠와 관련한 제공보장횟수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부(220), 광고컨텐츠에 대한 수신확인을 수행하기 위한 확인부(230) 및 광고컨텐츠의 제공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제어부(240) 및 광고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제공부(25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전술한 수신부(210), 설정부(220), 확인부(230), 제어부(240) 및 제공부(250)를 포함하는 제1광고제공장치(200a)의 각 구성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수신부(210)는 스케줄링장치(100)로부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신부(210)는 제1스케줄링장치(100a) 및 제2스케줄링장치(100b) 중 하나로부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수신부(210)는 제1스케줄링장치(100a) 및 제2스케줄링장치(100b)로부터 광고컨텐츠의 저장과 관련하여 브로드캐스팅되는 이벤트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광고컨텐츠가 저장되었음을 인지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수신부(210)는 제1스케줄링장치(100a) 또는 제2스케줄링장치(100b) 중에서 이벤트정보가 먼저 수신되는 스케줄링장치에 하나에만 접속함으로써, 접속된 스케줄링장치로부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게 된다.
이는,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 제2광고제공장치(200b) 각각이 제1스케줄링장치(100a) 및 제2스케줄링장치(100b) 모두로부터 광고컨텐츠를 중복하여 수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설정부(220)는 광고컨텐츠와 관련하여 제공보장횟수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정부(220)는 제1스케줄링장치(100a) 또는 제2스케줄링장치(100b)로부터 광고컨텐츠가 수신되는 경우, 광고컨텐츠와 관련하여 제공보장횟수를 설정하게 된다.
이때, 설정부(220)는 광고컨텐츠와 관련한 제2광고제공장치(200b)와 동일한 제공보장횟수를 설정함으로써, 설정된 제공보장횟수 한도 내에서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300)에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광고컨텐츠와 관련하여 최초 광고주가 요구하는 제공보장횟수가 100회인 경우, 설정부(220)는 제2광고제공장치(200b)와 동일하게 광고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제공보장횟수를 100회로 설정하게 된다.
여기서,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 제2광고제공장치(200b) 모두에서 동일한 광고컨텐츠를 저장하고, 광고주가 요구하는 제공보장횟수를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은,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 제2광고제공장치(200b) 중 하나가 장애 발생 등으로 인해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함이다.
확인부(230)는 제공된 광고컨텐츠에 대한 수신확인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부(230)는 설정된 제공보장횟수 한도 내에서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300)에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기 제공된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300)에서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하는 수신확인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광고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이 확인되는 경우마다 상기 광고컨텐츠의 수신확인횟수를 누적하여 갱신하게 된다.
이때, 확인부(230)는 제1광고제공장치(200a)에서 제공한 광고컨텐츠뿐만 아니라 제2광고제공장치(200b)에서 제공한 광고컨텐츠에 대한 수신확인을 함께 수행하게 된다.
제어부(240)는 설정된 제공보장횟수 한도 내에서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300)에 제공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설정된 제공보장횟수 한도 내에서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300)에 제공하기 위해 광고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점에 확인되는 누적된 상기 광고컨텐츠의 수신확인횟수가 상기 제공보장횟수 미만인 경우에만 제공부(250)로 하여금 상기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300)에 제공하게 된다.
즉, 제어부(240)는 광고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점에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 제2광고제공장치(200b) 모두로부터 이미 제공된 광고컨텐츠에 대한 누적된 수신확인횟수가 광고주가 요구하는 제공보장횟수를 초과하는 지를 확인한다.
이때, 제어부(240)는 누적된 수신확인횟수가 제공보장횟수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 상태를 광고주가 요구하는 제공보장횟수만큼 광고컨텐츠가 전달되지 않은 상태로 인지함으로써, 제공부(250)로 하여금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300)에 추가 제공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 제2광고제공장치(200b) 모두에서 광고컨텐츠와 관련한 제공보장횟수를 100회로 설정하여 광고컨텐츠를 제공하는 상태를 가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광고제공장치(200a)에서 광고컨텐츠를 30회 이미 제공한 상태에서, 누적된 제공보장횟수가 60회로 확인되는 경우, 이는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는 별도로 제2광고제공장치(200b)에서 광고컨텐츠를 30회 추가 제공한 상태임을 나타내게 된다.
이 경우,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 제2광고제공장치(200b)에서는 누적된 제공보장횟수가 광고컨텐츠와 관련한 제공보장횟수 미만이므로 광고주가 요구하는 제공보장횟수를 만족시키기 위해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300)에 추가 제공하게 된다.
또한, 제1광고제공장치(200a)에서 광고컨텐츠를 50회 이미 제공한 상태에서, 누적된 제공보장횟수가 50회로 확인되는 경우, 이는 광고컨텐츠를 함께 제공하는 제2광고제공장치(200b)가 장애 발생 등으로 인해 광고컨텐츠 제공하지 못하는 상태임을 나타내게 된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제1광고제공장치(200a)에서는 누적된 제공보장횟수가 광고컨텐츠와 관련한 제공보장횟수 미만이므로 광고주가 요구하는 제공보장횟수를 만족시키기 위해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300)에 추가 제공하게 된다.
반면, 제어부(240)는 누적된 수신확인횟수가 제공보장횟수와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 상태를 광고주가 요구하는 제공보장횟수만큼 광고컨텐츠가 이미 전달된 상태로 인지함으로써, 제공부(250)로 하여금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300)에 추가 제공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 제2광고제공장치(200b) 모두에서 광고컨텐츠와 관련한 제공보장횟수를 100회로 설정하여 광고컨텐츠를 제공하는 상태를 가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광고제공장치(200a)에서 광고컨텐츠를 50회 이미 제공한 상태에서, 누적된 제공보장횟수가 100회로 광고보장횟수와 동일한 상태로 확인되는 경우, 이는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는 별도로 제2광고제공장치(200b)에서 정상적으로 광고컨텐츠를 50회 추가 제공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 제2광고제공장치(200b)에서는 광고주가 요구하는 제공보장횟수만큼 광고컨텐츠가 이미 전달된 상태임을 인지함으로써,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300)에 추가 제공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광고컨텐츠의 제공과 관련하여 광고주가 요구하는 물량을 다수의 광고제공장치에서 나누어 제공하는데 있어서, 각 광고제공장치에서는 사용자장치에서 광고컨텐츠를 수신하였음이 확인되는 수신확인횟수가 광고주가 요구하는 물량 미만인 경우에만 광고컨텐츠를 추가 제공함으로써, 광고컨텐츠 제공과 관련하여 광고주와 약속된 물량을 초과하거나, 내지는 약속된 물량보다 부족한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제1스케줄링장치(100a) 및 제2스케줄링장치(100b)는 광고저장장치(400) 상에 광고컨텐츠가 등록되는 경우, 광고저장장치(400)로부터 등록된 광고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게 된다(S110)
이때, 제1스케줄링장치(100a) 및 제2스케줄링장치(100b) 모두는 광고저장장치(400)로부터 동일한 광고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제1스케줄링장치(100a) 및 제2스케줄링장치(100b)는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 제2광고제공장치(200b)에 저장된 광고컨텐츠를 전달하게 된다(S120-S140)
이때, 제1스케줄링장치(100a) 및 제2스케줄링장치(100b) 각각은 광고컨텐츠의 저장과 관련한 이벤트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 제2광고제공장치(200b)의 접속을 유도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1스케줄링장치(100a) 및 제2스케줄링장치(100b) 각각은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 제2광고제공장치(200b) 중 하나의 광고제공장치에 대해서만 광고컨텐츠를 전달하게 된다.
그런 다음,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 제2광고제공장치(200b) 각각은 제1스케줄링장치(100a) 또는 제2스케줄링장치(100b)로부터 광고컨텐츠가 수신되는 경우, 광고컨텐츠와 관련하여 제공보장횟수를 설정하게 된다(S150)
이때,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 제2광고제공장치(200b) 모두는 광고컨텐츠와 관련한 동일한 제공보장횟수를 설정함으로써, 설정된 제공보장횟수 한도 내에서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300)에 제공하게 된다.
나아가,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 제2광고제공장치(200b) 각각은 설정된 제공보장횟수 한도 내에서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300)에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기 제공된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300)에서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하는 수신확인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광고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이 확인되는 경우마다 상기 광고컨텐츠의 수신확인횟수를 누적하여 갱신하게 된다(S160).
이때, 제1광고제공장치(200a)는 자신이 제공한 광고컨텐츠뿐만 아니라 제2광고제공장치(200b)에서 제공한 광고컨텐츠에 대한 수신확인을 함께 수행하게 되며, 제2광고제공장치(200b) 경우도 마찬가지로 자신이 제공한 광고컨텐츠뿐만 아니라 제1광고제공장치(200a)에서 제공한 광고컨텐츠에 대한 수신확인을 함께 수행하게 된다.
이후,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 제2광고제공장치(200b) 각각은 설정된 제공보장횟수 한도 내에서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300)에 제공하기 위해 광고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점에 확인되는 누적된 상기 광고컨텐츠의 수신확인횟수가 상기 제공보장횟수 미만인 경우에만 상기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300)에 제공하게 된다(S170-S180).
이때,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 제2광고제공장치(200b) 각각은 누적된 수신확인횟수가 제공보장횟수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 상태를 광고주가 요구하는 제공보장횟수만큼 광고컨텐츠가 전달되지 않은 상태로 인지함으로써,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300)에 추가 제공하게 된다.
반면, 제1광고제공장치(200a)와 제2광고제공장치(200b) 각각은 누적된 수신확인횟수가 제공보장횟수와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 상태를 광고주가 요구하는 제공보장횟수만큼 광고컨텐츠가 이미 전달된 상태로 인지함으로써,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300)에 추가 제공하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광고제공장치(200a)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수신부(210)는 제1스케줄링장치(100a) 및 제2스케줄링장치(100b) 중 하나로부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게 된다(S210-S230).
이때, 수신부(210)는 제1스케줄링장치(100a) 및 제2스케줄링장치(100b)로부터 광고컨텐츠의 저장과 관련하여 브로드캐스팅되는 이벤트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광고컨텐츠가 저장되었음을 인지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수신부(210)는 제1스케줄링장치(100a) 또는 제2스케줄링장치(100b) 중에서 이벤트정보가 먼저 수신되는 스케줄링장치에 하나에만 접속함으로써, 접속된 스케줄링장치로부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설정부(220)는 제1스케줄링장치(100a) 또는 제2스케줄링장치(100b)로부터 광고컨텐츠가 수신되는 경우, 광고컨텐츠와 관련하여 제공보장횟수를 설정하게 된다(S240).
이때, 설정부(220)는 광고컨텐츠와 관련한 제2광고제공장치(200b)와 동일한 제공보장횟수를 설정함으로써, 설정된 제공보장횟수 한도 내에서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300)에 제공하게 된다.
그런 다음, 확인부(230)는 설정된 제공보장횟수 한도 내에서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300)에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기 제공된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300)에서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하는 수신확인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광고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이 확인되는 경우마다 상기 광고컨텐츠의 수신확인횟수를 누적하여 갱신하게 된다(S250).
이때, 확인부(230)는 제1광고제공장치(200a)에서 제공한 광고컨텐츠뿐만 아니라 제2광고제공장치(200b)에서 제공한 광고컨텐츠에 대한 수신확인을 함께 수행하게 된다.
나아가, 제어부(240)는 설정된 제공보장횟수 한도 내에서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300)에 제공하기 위해 광고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점에 확인되는 누적된 상기 광고컨텐츠의 수신확인횟수가 상기 제공보장횟수 미만인 경우에만 제공부(250)로 하여금 상기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300)에 제공하게 된다(S260-S280).
이때, 제어부(240)는 누적된 수신확인횟수가 제공보장횟수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 상태를 광고주가 요구하는 제공보장횟수만큼 광고컨텐츠가 전달되지 않은 상태로 인지함으로써, 제공부(250)로 하여금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300)에 추가 제공하도록 한다.
반면, 제어부(240)는 누적된 수신확인횟수가 제공보장횟수와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 상태를 광고주가 요구하는 제공보장횟수만큼 광고컨텐츠가 이미 전달된 상태로 인지함으로써, 제공부(250)로 하여금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300)에 추가 제공하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에 따르면, 광고컨텐츠의 제공과 관련하여 광고주가 요구하는 물량을 다수의 광고제공장치에서 나누어 제공하는데 있어서, 각 광고제공장치에서는 사용자장치에서 광고컨텐츠를 수신하였음이 확인되는 수신확인횟수가 광고주가 요구하는 물량 미만인 경우에만 광고컨텐츠를 추가 제공함으로써, 광고컨텐츠 제공과 관련하여 광고주와 약속된 물량을 초과하거나, 내지는 약속된 물량보다 부족한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따르면, 광고컨텐츠의 제공과 관련하여 광고주가 요구하는 물량을 다수의 광고제공장치에서 나누어 제공하는데 있어서, 각 광고제공장치에서는 광고주와 약속된 물량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자장치에서 광고컨텐츠를 수신하였음이 확인되는 수신확인횟수가 광고주가 요구하는 물량 미만인 경우에만 광고컨텐츠를 추가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스케줄링장치
200: 광고제공장치
210: 수신부 220: 설정부
230: 확인부 240: 제어부
250: 제공부
300: 사용자장치
400: 광고저장장치

Claims (12)

  1. 광고컨텐츠와 관련하여 제공보장횟수를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에 제공하는 제공부;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사용자장치에서 상기 광고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하고, 상기 광고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이 확인되는 경우에 상기 광고컨텐츠의 수신확인횟수를 누적하여 갱신하는 확인부; 및
    상기 광고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점에 확인되는 누적된 상기 광고컨텐츠의 수신확인횟수가 상기 제공보장횟수 미만인 경우에만 상기 제공부에서 상기 광고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제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컨텐츠는,
    상기 광고제공장치가 아닌 적어도 하나의 다른 광고제공장치로부터 함께 제공되며,
    상기 확인부는,
    상기 광고제공장치로부터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사용자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광고제공장치로부터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사용자장치 모두에서 상기 광고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제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제공장치는,
    상기 광고컨텐츠를 저장하는 2 이상의 스케줄링장치 중 하나만을 선택하여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제공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2 이상의 스케줄링장치 각각으로부터 상기 광고컨텐츠의 저장과 관련한 이벤트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2 이상의 스케줄링장치 중 상기 이벤트정보가 가장 먼저 수신되는 특정 스케줄링장치 하나만을 선택하여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제공장치.
  5. 2 이상의 광고제공장치가 광고컨텐츠와 관련하여 제공보장횟수를 설정하는 설정단계;
    상기 2 이상의 광고제공장치가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사용자장치에서 상기 광고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2 이상의 광고제공장치가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사용자장치에서 상기 광고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하고, 상기 광고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이 확인되는 경우에 상기 광고컨텐츠의 수신확인횟수를 누적하여 갱신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광고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점에 확인되는 누적된 상기 광고컨텐츠의 수신확인횟수가 상기 제공보장횟수 미만인 경우 상기 광고컨텐츠를 다수의 사용자장치에 제공하는 제공단계; 및
    상기 다수의 사용자장치가 상기 2 이상의 광고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설정단계 이전에, 상기 2 이상의 광고제공장치가 상기 광고컨텐츠를 저장하는 2 이상의 스케줄링장치 중 하나만을 선택하여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선택수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방법.
  7. 광고컨텐츠와 관련하여 제공보장횟수를 설정하는 설정단계;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사용자장치에서 상기 광고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하고, 상기 광고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이 확인되는 경우에 상기 광고컨텐츠의 수신확인횟수를 누적하여 갱신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광고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점에 확인되는 누적된 상기 광고컨텐츠의 수신확인횟수가 상기 제공보장횟수 미만인 경우에만 상기 광고컨텐츠를 사용자장치에 제공하는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제공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컨텐츠는,
    상기 광고제공장치가 아닌 적어도 하나의 다른 광고제공장치로부터 함께 제공되며,
    상기 확인단계는,
    상기 광고제공장치로부터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사용자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광고제공장치로부터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사용자장치 모두에서 상기 광고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제공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설정단계 이전에, 상기 광고컨텐츠를 저장하는 2 이상의 스케줄링장치 중 하나만을 선택하여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제공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계는,
    상기 2 이상의 스케줄링장치 각각으로부터 상기 광고컨텐츠의 저장과 관련한 이벤트정보를 수신하는 이벤트정보수신단계; 및
    상기 2 이상의 스케줄링장치 중 상기 이벤트정보가 가장 먼저 수신되는 특정 스케줄링장치 하나만을 선택하여 상기 특정 스케줄링장치로부터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선택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제공장치의 동작 방법.
  11. 상기 2 이상의 광고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다수의 사용자장치; 및
    상기 광고컨텐츠와 관련하여 제공보장횟수를 설정하며,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사용자장치에서 상기 광고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하고, 상기 광고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이 확인되는 경우에 상기 광고컨텐츠의 수신확인횟수를 누적하여 갱신하며, 상기 광고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점에 확인되는 누적된 상기 광고컨텐츠의 수신확인횟수가 상기 제공보장횟수 미만인 경우에만 상기 광고컨텐츠를 상기 다수의사용자장치에 제공하는 2 이상의 광고제공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광고컨텐츠를 저장하는 2 이상의 스케줄링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2 이상의 광고제공장치는,
    상기 2 이상의 스케줄링장치 중 하나만을 선택하여 상기 광고컨텐츠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KR1020130022392A 2013-02-28 2013-02-28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2013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392A KR102013198B1 (ko) 2013-02-28 2013-02-28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392A KR102013198B1 (ko) 2013-02-28 2013-02-28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470A true KR20140108470A (ko) 2014-09-11
KR102013198B1 KR102013198B1 (ko) 2019-08-22

Family

ID=51755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392A KR102013198B1 (ko) 2013-02-28 2013-02-28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1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687B1 (ko) * 2017-02-03 2018-07-31 주식회사 엔에스엠지 스마트 광고 발생시스템
WO2021086495A1 (en) * 2019-10-30 2021-05-06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 and system for use of automatic content recognition to trigger dynamic ad insertion in response to repeat playout of a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608A (ko) * 2004-02-12 2005-08-10 엔에이치엔(주) 검색자의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검색 목록을 생성하고검색어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99975A (ko) * 2010-03-03 2011-09-09 (주) 위즈덤 베이글 컨텐츠의 토털 재생 횟수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608A (ko) * 2004-02-12 2005-08-10 엔에이치엔(주) 검색자의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검색 목록을 생성하고검색어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99975A (ko) * 2010-03-03 2011-09-09 (주) 위즈덤 베이글 컨텐츠의 토털 재생 횟수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687B1 (ko) * 2017-02-03 2018-07-31 주식회사 엔에스엠지 스마트 광고 발생시스템
WO2021086495A1 (en) * 2019-10-30 2021-05-06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 and system for use of automatic content recognition to trigger dynamic ad insertion in response to repeat playout of 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198B1 (ko) 201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53131A (zh) 微服务分布式限流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US10241876B1 (en) Cooperative fault tolerance and load balancing
KR101781339B1 (ko) 클라이언트를 갱신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EP2930909A1 (en) Method and scheduler for arranging applications
CN105338078A (zh) 用于存储系统的数据存储方法和装置
CN110650503B (zh) 网络接入方法、装置、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2915249A (zh) 远程地实现固件升级的方法和装置
CN102904878A (zh) 用于数据包的高效下载的方法及系统
CN106528214B (zh) 一种os的安装方法、服务器和系统
EP3280094A1 (en) Disaster recovery method, device, and system
CN102790784A (zh) 分布式缓存方法及系统、缓存解析方法及解析系统
CN106951284A (zh) 基于安卓系统应用的用户界面升级方法、装置及智能终端
CN113961311A (zh) 业务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CN103281356A (zh) 一种分发文件的方法及系统
US9954940B2 (en)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delivery network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1467132B (zh) 用于在通信网络中分配数据处理单元的方法和系统
CN108062247B (zh) 一种内存管理方法及系统
KR20140108470A (ko)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N112910987A (zh) 消息推送方法、系统、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5808268B (zh) 一种信息处理方法、电子设备及系统
US10430488B2 (en) Managing systems hosted at data centers
KR102035485B1 (ko)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N105119964A (zh) 经由物理块地址的文件存储
US11630452B2 (en) Scheduling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program update
CN106126285A (zh) 一种软件升级方法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