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8415A - 중앙부에 혼합기 공급을 통한 부상화염 예혼합 연소기 - Google Patents

중앙부에 혼합기 공급을 통한 부상화염 예혼합 연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8415A
KR20140108415A KR1020130020993A KR20130020993A KR20140108415A KR 20140108415 A KR20140108415 A KR 20140108415A KR 1020130020993 A KR1020130020993 A KR 1020130020993A KR 20130020993 A KR20130020993 A KR 20130020993A KR 20140108415 A KR20140108415 A KR 20140108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passage
nozzle
combustion
combustio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0344B1 (ko
Inventor
김호근
임지혁
최진훈
노우진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0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344B1/ko
Publication of KR20140108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5/00Disposition of burners with respec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to one another; Mounting of burners in combustion apparatus
    • F23C5/08Disposition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23D14/82Preventing flashback or blowb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9/00Safety arrangements
    • F23D2209/10Flame flash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중앙부에 혼합기 공급통한 부상화염 예혼합 연소기가 개시된다. 예혼합 연소기는 적어도 하나의 예혼합연소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예혼합연소노즐은 외부실린더벽: 상기 외부실린더벽 내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공기 및 연료가 혼합된 제1 혼합유체가 통과하는 1차통로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제2 혼합유체가 통과하는 중앙통로를 갖는 내부실린더벽; 및 상기 1차통로에 구비된 1차스월러;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연료 노즐의 화염의 중앙부를 부상시킴으로써 노즐 중앙부의 열적 손상을 방지하고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중앙부에 혼합기 공급을 통한 부상화염 예혼합 연소기 {LIFTED FLAME PREMIXED COMBUSTOR BY SUPPLYING FUEL AIR MIXTURE TO CENTER NOZZLE}
본 발명은 연료와 공기가 미리 혼합된 혼합유체를 연소실로 공급하여 화염을 형성하는 예혼합 연소기에 관한 것이다.
가스 연료를 사용하는 연소 방식은 연료 및 공기를 분리해서 공급하는 확산화염 방식, 적용 목적에 따라 연료에 공기를 혼합하여 공급하는 예혼합 화염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화염들은 화염 안정성과 질소산화물(NOx), 일산화탄소(CO) 등의 오염 물질 발생 측면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예혼합 화염 방식은 비혼합 화염방식보다 화염길이가 짧고 당량비의 조절을 통한 낮은 화염 온도로 인하여 NOx 및 CO 배출 지수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장점을 활용하기 위해 최근 가스터빈 및 보일러 등을 비롯한 대부분의 실용 연소기에 예혼합 연소 방식의 적용이 시도되고 있다.
화염 온도를 낮추어 NOx배출을 낮추는 방법은 연료와 압축공기를 연소 전에 균일하게 혼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메인 연료 노즐의 주위에 스월러가 채용된 예혼합 연소기가 사용된다. 스월러에 의해 압축공기는 선회한다.
스월러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메인 연료 노즐에는 노즐홀이 마련되어 연료가 노즐홀로부터 주입되어 스월러를 통과한 공기와 혼합되어 공기-연료 혼합물을 이룬다.
연료는 기체 또는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공기-연료 혼합물을 '혼합유체'라 칭한다.
그러나, 종래의 예혼합기에서는 그 중앙부에서는 혼합 유체가 공급되지 않고, 스월부에만 공급되어 중앙부에 강한 재순환영역이 형성된다. 그로 인하여 중앙부에 고온부가 형성되어 열에 취약해 지고 강한 스월 유동으로 인하여 연소생성물이 재순환되어 체류시간이 길어지게 됨에 따라 질소산화물(NOx)이 다량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하 조절을 위하여 연료량을 조절하는 경우 화염 안정화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미국특허번호 US 6,502,399
본 발명의 목적은 예혼합연소노즐의 외주측에 마련된 스월부를 통하여 혼합 유체를 공급함과 아울러서, 노즐의 중앙부를 통하여 혼합유체를 공급가능토록 구성된 예혼합 연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월 강도가 낮은 스월러를 채용을 하여 스월 유동을 줄임으로써 재순환영역을 감소시키고 연소생성물의 체류시간을 감소시켜 NOx를 감소시키는 예혼합 연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예혼합연소노즐 상류측으로의 역화를 방지하는 예혼합 연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형 가스 터빈 연소기의 경우 연료 유량 조절을 다양하게 하여 부하조절 성능을 향상시키는 예혼합 연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염안정화를 높이는 예혼합 연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관점을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예혼합연소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예혼합연소노즐은 외부실린더벽; 상기 외부실린더벽 내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공기 및 연료가 혼합된 제1 혼합유체가 통과하는 1차통로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제2 혼합유체가 통과하는 중앙통로를 갖는 내부실린더벽; 및 상기 1차통로에 구비된 1차스월러;를 포함하는 예혼합 연소기가 제공된다.
예혼합 연소노즐은 상기 내부실린더벽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중앙통로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공기가 통과하는 2차통로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연료가 공급되는 연료공급로를 가지며, 상기 2차통로로 연료를 분출하는 분출홀을 갖는 연료공급부재; 및 상기 연료공급로 및 상기 1차통로를 연통시키도록 상기 2차통로에 배치된 연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예혼합 연소노즐은 상기 2차통로에 배치된 2차스월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료공급로에는 상기 연료가 상기 연결관 및 상기 분출홀로 분기되어 공급되도록 가이드하는 격벽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료는 천연가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료공급부재의 중앙에는 액체연료를 공급하는 액체연료노즐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앙통로에는 역화방지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역화방지부재는 다공판, 금속망, 소결금속판, 또는 다수의 세라믹볼이 수용된 세라믹볼수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혼합 연소기는 예혼합연소노즐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중 연소노즐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다중 연소노즐조립체는 그 중앙부에 배치된 확산화염연소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산화염연소노즐은 실린더의 내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공기를 연소실로 공급하는 환형 통로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서 연료를 상기 연소실로 분사하는 연료분사노즐; 및 상기 환형통로에 구비된 스월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예혼합 연소기의 외주측에 마련된 스월부 및 그 중앙부를 통하여 혼합유체를 공급함에 따라 연소 화염을 부상시키고, 그로 인하여 고온부 형성으로 인한 열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스월러의 스월 강도를 낮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재순환 영역을 감소시킴으로써 연소생성물의 체류시간을 감소시키고, 그 결과 NOx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노즐의 중앙부로 혼합 유체를 공급하여 연소시킴으로써 화염 구조가 넓어지게 되어 연소실의 온도분포가 균일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예혼합연소노즐의 내부에 역화방지부재를 채용하여 화염의 역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복수개의 연소노즐을 채용하여 부하변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복수의 연소 노즐을 채용하고, 그 중앙에 확산화염연소노즐을 채용하여 화염안정화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예혼합 연소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예혼합 연소기의 1차스월러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예혼합 연소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예혼합 연소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역화방지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다른 역화방지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또 다른 역화방지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또 다른 역화방지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예혼합 연소기의 다중연소노즐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예혼합 연소기의 다중연소노즐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선 XI-XI를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서로 대응하는 구성요소들에 관해서는 참조부호의 첫 번째 자리 수를 1,2,3과 같이 달리하여 표시하고, 그 작용 및 효과에 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류", "하류"와 같은 용어는 연료, 공기, 혼합유체가 연소실을 향하여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한다.
<실시 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예혼합 연소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예혼합 연소기(1)는 연소실(3)과 연소실(3)로 공기 및 연료가 혼합된 혼합 유체를 공급하는 예혼합연소노즐(10)을 포함한다.
예혼합연소노즐(10)은 외부실린더벽(11), 외부실린더벽(11)의 내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1차통로(P1)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중앙통로(ㅊ)를 갖는 내부실린더벽(14) 및 1차통로(P1)에 구비된 1차스월러(15)를 포함한다.
1차통로(P1)를 통하여 연료 및 공기가 혼합된 혼합유체가 공급되고 스월러(15)를 통해 선회류가 형성된다. 연료는 기체 연료 및 액체 연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체 연료는 천연 가스일 수 있다.
중앙통로(C)를 통하여 혼합유체가 공급되고, 1차스월러(15)를 통과한 선회류는 중앙통로(C)를 통과한 혼합 유체와 예혼합실(19)에서 만나게 되어 연료 및 공기의 혼합이 촉진된다.
혼합 연료는 이와 같이 1차통로(P1) 및 중앙통로(C)를 통해 공급됨에 따라 화염(F)의 중앙부(Fc)를 부상시킨다. 그 결과 노즐 중앙부의 열적 손상을 방지하고, 1차통로(P1)만을 통해 혼합 유체가 공급될 경우 생성되는 강한 재순환 영역(점선 표시부)을 감소시켜 NOx를 저감시킬 수 있다.
예혼합연소노즐(10)의 중앙부를 통해서도 혼합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스월러(15)의 스월강도를 예컨대 S≤0.5로 낮게 적용함으로써 낮은 스월 강도로 인하여 화염중앙부(Fc)에 재순환 영역이 감소되게 되어 노즐 중앙부의 열적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재순환 유동 영역의 감소로 인하여 연소생성물이 고온 영역에 체류하는 시간이 감소되어 NOx가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노즐(10)의 중앙부와 대응하는 측에 화염면이 존재하게 되어 넓은 화염 형태를 가지게 되어 연소실(3)의 온도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예혼합 연소기의 1차스월러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1차스월러(15)는 환형의 1차통로(P1)에 소정의 각도(θ°)로 배치된 다수의 스월베인(15a)을 포함하며, 스월베인(15a)은 외부실린더벽(11) 및 내부실린더벽(14)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연소 조건에 따라 각도(θ°) 조정이 가능토록 구성하여 스월 강도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스월베인(15a)은 보조난류발생부(15b)를 추가로 포함하여 난류발생을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보조난류발생부(15b)는 스월베인(15a)의 표면에 형성된 딤플(dimple) 또는 나선형 유로홈 등과 같이 다양하게 적용가능하다.
<실시 예2>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예혼합 연소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2예혼합연소노즐(20)은 외부실린더벽(21), 내부실린더벽(24), 1차스월러(25), 연료공급부재(26) 및 연결관(28)를 포함한다.
연료공급부재(26)는 내부실린더벽(24)의 내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환형의 2차통로(P2)를 형성하고, 2차통로(P2)에는 2차스월러(27)가 더 구비될 수다.
연료공급부재(26)는 그 내부에 연료가 공급되는 연료공급로(P3)를 형성하고, 연료공급로(P3)를 통해 공급된 연료를 2차통로(P2)로 분출하는 분출홀(26a)을 포함할 수 있다.
2차통로(P2)에는 연료공급로(P3) 및 1차통로(P1)를 연통하는 연결관(28)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연료공급부재(26)로 공급되는 연료는 천연가스와 같은 기체연료가 사용될 수 있다.
연료공급부재(26)의 연료공급로(P3)는 격벽(26c)에 의해 구획되어 연료가 분출홀(26a) 및 연결관(28)측으로 분기되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1,2차통로(P1,P2)를 통하여 공기가 흐른다. 1차통로(P1)를 흐르는 공기는 1차스월러(25)에 의해 선회류가 형성되고, 2차통로(P2)를 흐르는 공기는 2차스월러(27)에 의해 선회류가 형성된다.
2차스월러(27) 역시 1차스월러(15)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연료공급로(P3)를 통해 공급된 연료는 분출홀(26a)를 통해 2차통로(P2)를 흐르는 공기의 흐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2차통로(P2)내로 분출되어 공기와 합류한다. 이후 2차스월러(27)에 의해 공기와 합류한 혼합유체는 선회되어 혼합이 촉진된다. 이와 같이 공기와 연료가 혼합된 혼합 유체는 중앙통로(C)를 흐른다.
한편, 연료공급로(P3)를 통해 공급된 연료는 연결관(28)을 통해 1차통로(P1)로 분출된다. 1차통로(P1)에서 합류한 혼합유체는 1차스월러(25)를 통하여 선회류가 형성됨으로써 혼합이 촉진된다.
2차통로(P2)를 통과한 혼합유체 및 1차스월러(25)를 통하여 혼합된 혼합유체는 예혼합실(29)에서 다시 합류되어 혼합된 후 연소실(3)로 공급된다.
제2예혼합연소노즐(20)을 통해서도 혼합 유체가 1차통로(P1)을 통해 노즐의 가장자리에서 공급되고 중앙통로(C)를 통해 노즐의 중앙부를 통해서 공급되어 화염(F)의 중앙부(Fc)가 부상한다.
<실시 예3>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예혼합 연소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3예혼합연소노즐(30)은 가스연료를 대신하여 액체연료를 공급하는 액체연료노즐(101)이 채용된다.
제3예혼합연소노즐(30)은 액체연료노즐(101)이 추가된 것을 제외하고 도 3의 예혼합연소노즐(2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액체연료노즐(101)은 연료공급부재(36)의 중심을 관통하여 중앙통로(C)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액체연료노즐(101)의 연료분출단(101a)은 액체연료와 공기의 혼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1차스월러(35)와 대응하거나 1차스월러(35)의 상류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제3예혼합연소노즐(30)에서는 1차통로(P1)를 통하여 공기가 공급되어 흐르고, 1차스월러(35)에 의해 공기 선회류가 형성된다.
액체연료노즐(101)을 통해 액체연료가 공급되어 중앙통로(C)내로 분출된다. 이와 같이 분출된 액체연료는 예혼합실(39)에서 공기 선회류와 합류되어 액체연료 및 공기가 혼합된 혼합 유체를 이룬다.
제3예혼합연소노즐(30)은 기체연료 및 액체연료 둘 다 공급가능토록 구성되어 다양한 연료 사용이 가능하다. 즉, 연소조건에 따라 기체연료,액체연료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기체연료, 액체연료를 모두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노즐 사용성을 향상시킨다.
다시 도 1,3 및 4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3예혼합연소노즐(10,20,30)의 중앙통로(C)에는 역화(flash back)을 방지하는 역화방지부재(103)가 채용될 수 있다.
연소실에서 분출하고 있는 가연성 혼합유체에 점화하여 생긴 화염이 연소실에서 안정화되기 위해서는 혼합유체의 연소속도와 그 유속이 균형잡혀 있을 필요가 있다. 연소속도가 크거나 유속이 작아 균형이 잡히지 않으면 화염은 혼합유체의 흐름에 역행하여 이동하는 역화가 일어날 수 있다.
역화방지부재(110)는 이러한 역화를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역화방지부재(110)는 재료, 구성 등을 달리하여 연소조건에 다양한 형태로 제작 가능하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역화방지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역화방지부재(110)는 다수의 홀(111a)이 형성된 다공판(111)이 채용될 수 있다. 다공판(111)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튼튼하고 분해 및 청소가 용이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역화방지부재(110)는 금속성 재료 예컨대, 백금,철 재료의 와이어를 엮어서 제작한 금속망(113)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열 흡수율이 좋기 공기 흐름에 대한 저항이 적은 장점이 있다.
금속망(113)은 단일층 또는 다수의 층으로 구성되고 메쉬수 등을 달리하여 역화저지 특성을 달리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역화방지부재(110)는 간격이 매우 조밀한 벽면을 이루는 소결금속판(115)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역화방지부재(110)는 하우징(117a)의 내부에 다수의 세라믹볼(117c)이 수용되는 세라믹볼수용체(117)로 구성될 수 있다.
역화방지부재(11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외에도 동일한 리본폭을 갖는 주름진 리본 및 평평한 리본을 주축을 중심으로 감아서 제작한 크림프드 메탈 리본(Crimped-metal ribbon) 타입, 평판을 나란하게 정렬하여 구성한 패러럴 플레이트(Parralel-plate) 타입 등 다양한 형태로 적용가능하다.
<실시 예4>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예혼합 연소기의 다중연소노즐조립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을 따른 예혼합 연소기(1)는 복수의 예혼합연소노즐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중연소노즐조립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더(201)의 중앙에 하나의 예혼합연소노즐(10,20 또는 30)을 배치하고, 예컨대 5개의 예혼합연소노즐(10,20, 또는 30)이 일정간격을 두고 원형으로 배치할 수 있다.
다중연소노즐조립체(200)에 채용된 각각의 예혼합연소노즐은 앞서 설명한 다양한 예혼합연소노즐(10,20,30) 중 어느 하나이다.
이와 같이 다수의 예혼합연소노즐을 채용하면 대형 가스터빈 연소기의 경우 연료 유량 조절이 다양하게 되어 부하조절 성능이 향상된다.
한편, 연소실(3) 내부에서 균일한 화염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화염이 편중되어 고온의 영역이 성장하는 것을 억제하여 NOx발생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예혼합연소노즐(10,20, 또는 30)을 채용할 경우, 각각의 예혼합연소노즐에 채용된 스월러의 강도를 다르게 채용하여 부하별로 연소 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
<실시 예5>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예혼합 연소기의 다중연소노즐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중연소노즐조립체(300)는 화염안정화를 높이기 위하여 헤더(301)의 중앙에 확산화염연소노즐(310)을 포함할 수 있다.
확산화염연소노즐(310)은 연료와 공기가 서로 다른 통로를 통하여 연소실(3)로 공급되어 안정적인 화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즉, 다중연소노즐조립체(300)는 연료와 공기를 미리 혼합하여 연소실(3)로 공급하는 예혼합연소노즐(10,20 또는 30)을 통하여 강도가 높은 화염을 형성할 수있으며, 연료와 공기가 서로 다른 통로를 통하여 연소실로 공급되어 화염을 형성하는 확산화염연소노즐(310)을 통해 안정적인 화염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선 XI-XI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며, 확산화염연소노즐(310)은 실린더(311)의 내부에 연료분사노즐(313)이 구비되고, 연료분사노즐(313) 및 실린더(311)의 사이에 형성된 환형 통로(312)에 스월러(315)가 구비된다.
연료분사노즐(313)을 통하여 연료가 공급되고, 환형통로(312)를 통하여 공기가 공급된다.
연료분사노즐(313)의 노즐홀(313a)은 스월러(315)의 하류측에 위치하여 연료를 연소실(3)로 분출한다.
환형통로(312)를 통하여 공급된 공기는 스월러(315)에 의해 선회류가 형성되어 연소실(3)로 공급되고, 연소실(3)에서 연료와 혼합된다. 이러한 연료분사방식에 의해 안정적인 화염형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 예혼합연소기 3:연소실
10,20,30: 예혼합연소노즐 11,21,31:외부실린더벽
14,24,34: 내부실린더벽 26,36:연료공급부재
26a,36a: 분출홀 28,38: 연결관
P1:1차통로 P2: 2차통로
P3: 연료공급로 C: 중앙통로
110: 역화방지부재 200,300: 다중연소노즐조립체
310: 확산화염연소노즐

Claims (12)

  1. 적어도 하나의 예혼합연소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예혼합연소노즐은,
    외부실린더벽:
    상기 외부실린더벽 내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공기 및 연료가 혼합된 제1 혼합유체가 통과하는 1차통로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제2 혼합유체가 통과하는 중앙통로를 갖는 내부실린더벽; 및
    상기 1차통로에 구비된 1차스월러를 포함하는 예혼합 연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실린더벽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중앙통로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공기가 통과하는 2차통로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연료가 공급되는 연료공급로를 가지며, 상기 2차통로로 연료를 분출하는 분출홀을 갖는 연료공급부재; 및
    상기 연료공급로 및 상기 1차통로를 연통시키도록 상기 2차통로에 배치된 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예혼합 연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차통로에 배치된 2차스월러를 더 포함하는 예혼합 연소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로에는 상기 연료가 상기 연결관 및 상기 분출홀로 분기되어 공급되도록 가이드하는 격벽이 구비된 예혼합 연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는 천연가스를 포함하는 예혼합 연소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부재의 중앙에 배치되어 액체연료를 공급하는 액체연료노즐을 더 포함하는 예혼합 연소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통로에는 역화방지부재가 더 구비된 예혼합 연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역화방지부재는 다공판, 금속망, 소결금속판, 또는 다수의 세라믹볼이 수용된 세라믹볼수용체를 포함하는 예혼합 연소기.
  9. 제1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예혼합연소노즐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중연소노즐조립체를 포함하는 예혼합 연소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연소노즐조립체는 그 중앙부에 배치된 확산화염연소노즐을 더 포함하는 예혼합 연소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화염연소노즐은,
    실린더의 내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공기를 연소실로 공급하는 환형 통로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서 연료를 상기 연소실로 분사하는 연료분사노즐; 및
    상기 환형통로에 구비된 스월러를 포함하는 예혼합 연소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예혼합연소노즐의 상기 중앙통로에는 역화방지부재가 구비된 예혼합 연소기.
KR1020130020993A 2013-02-27 2013-02-27 중앙부에 혼합기 공급을 통한 부상화염 예혼합 연소기 KR101460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993A KR101460344B1 (ko) 2013-02-27 2013-02-27 중앙부에 혼합기 공급을 통한 부상화염 예혼합 연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993A KR101460344B1 (ko) 2013-02-27 2013-02-27 중앙부에 혼합기 공급을 통한 부상화염 예혼합 연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415A true KR20140108415A (ko) 2014-09-11
KR101460344B1 KR101460344B1 (ko) 2014-11-12

Family

ID=51755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993A KR101460344B1 (ko) 2013-02-27 2013-02-27 중앙부에 혼합기 공급을 통한 부상화염 예혼합 연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3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825B1 (ko) * 2022-06-29 2023-10-12 (주)충우엔지니어링 수소버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4946A (ja) * 2000-03-14 2001-09-21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燃焼器
EP2187128A4 (en) * 2007-08-10 2015-07-29 Kawasaki Heavy Ind Ltd COMBUSTION CHAMB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825B1 (ko) * 2022-06-29 2023-10-12 (주)충우엔지니어링 수소버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0344B1 (ko) 2014-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00641B1 (en) Recirculating product injection nozzle
US8707703B2 (en) Dual swirler
JP5746091B2 (ja) ローブスワーラ
CN1704574B (zh) 燃料喷嘴以及冷却燃料喷嘴的方法
JP4959620B2 (ja) 燃焼器及び燃焼器の燃料供給方法
US8327643B2 (en) Staging fuel nozzle
JP3960166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および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運転方法
US7343745B2 (en) Gas turbine combus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RU2584385C2 (ru) Впрыскивание топлива под наклоном в щелевое отверстие завихрителя
JP5380488B2 (ja) 燃焼器
US20100192583A1 (en) Non-rotational stabilization of the flame of a premixing burner
RU2611551C2 (ru) Топка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распределения топлива в топке
US20040011054A1 (en) Gas turbine combus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40060644A1 (en) Burner
JP5372815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H0587340A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用空気燃料混合器
KR20140052883A (ko) 재열 버너 장치
GB2458022A (en) Air-Blast Fuel Injection Nozzle With Diverging Exit Region
CN109654537B (zh) 一种中心燃料喷嘴
JP2009074706A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US7127899B2 (en) Non-swirl dry low NOx (DLN) combustor
KR101460344B1 (ko) 중앙부에 혼합기 공급을 통한 부상화염 예혼합 연소기
KR20160071791A (ko) 스월러 어셈블리
KR20160071792A (ko) 스월러 어셈블리
JPH04126921A (ja) 予混合型ガスタービン燃焼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