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7976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넷 연결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넷 연결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7976A
KR20140107976A KR1020130022291A KR20130022291A KR20140107976A KR 20140107976 A KR20140107976 A KR 20140107976A KR 1020130022291 A KR1020130022291 A KR 1020130022291A KR 20130022291 A KR20130022291 A KR 20130022291A KR 20140107976 A KR20140107976 A KR 20140107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period
internet connection
traffic
packet
sta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3402B1 (ko
Inventor
윤강진
지앙웨이 쉬
강현진
김길연
박용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2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402B1/ko
Priority to EP14757063.4A priority patent/EP2962426B1/en
Priority to US14/193,179 priority patent/US10136376B2/en
Priority to PCT/KR2014/001679 priority patent/WO2014133357A1/en
Publication of KR20140107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976A/ko
Priority to US16/195,039 priority patent/US1079149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6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1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conne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0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03Access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04W36/1446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wherein at least one of the networks is unlicen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통신 방식과 제2통신 방식 중 하나를 사용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이 미리 설정된 각 시구간 별로 송수신되는 패킷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트래픽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트래픽 패턴을 기반으로 인터넷 연결 상태를 예측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넷 연결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INTERNET CONNECTION ST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넷 연결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동 단말이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에 초기 접속한 경우에만 DNS(Domain Name System) ping 또는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ping을 이용하여 인터넷 연결 상태를 판단한다. 따라서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하는 중에 인터넷 연결에 문제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또한 이동 단말은 인터넷 연결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해당 AP의 수신 신호 강도가 충분히 강한 경우 다른 AP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로 전환하지 않으므로 기존에는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체감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기존에는 특정 이동 단말 사용자에게만 제공되는 응용(application) 프로그램 또는 특정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기반으로, AP의 인터넷 연결 상태에 따라 Wi-Fi 네트워크와 셀룰러 네트워크 간의 전환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특정 이동 단말 사용자에게만 국한되어 사용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넷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P의 접속 초기뿐만 아니라 해당 AP를 사용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하는 중에도 인터넷 연결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인터넷 연결이 끊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체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통신 방식과 제2통신 방식 중 하나를 사용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이 인터넷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각 시구간 별로 송수신되는 패킷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트래픽 패턴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트래픽 패턴을 기반으로 인터넷 연결 상태를 예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른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통신 방식과 제2통신 방식 중 하나를 사용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이 인터넷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패킷 송수신이 중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패킷 송수신이 중지된 경우 DNS(Domain Name System) 서버로 미리 설정된 개수의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DNS 서버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인터넷 연결 상태를 예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통신 방식과 제2통신 방식 중 하나를 사용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패킷을 송수신하는 무선부와, 미리 설정된 각 시구간 별로 송수신되는 패킷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트래픽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트래픽 패턴을 기반으로 인터넷 연결 상태를 예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른 장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통신 방식과 제2통신 방식 중 하나를 사용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패킷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부와, 상기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패킷 송수신이 중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패킷 송수신이 중지된 경우 DNS(Domain Name System) 서버로 미리 설정된 개수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부를 제어하고, 상기 DNS 서버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인터넷 연결 상태를 예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P의 접속 초기뿐만 아니라 해당 AP를 사용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하는 중에도 인터넷 연결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인터넷 연결이 끊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 연결에 문제가 생긴 경우 빠른 네트워크 변경을 통해 사용자가 인터넷 서비스를 끊김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체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연결 체크부의 동작을 개략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P 접속 초기에 인터넷 연결 상태를 체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P에 접속된 상태에서 인터넷 연결 상태를 체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래픽 패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하는 중에 인터넷 연결 상태를 체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룰러 네트워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 별로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전환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 별로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전환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이동 단말(100),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102) 및 DNS(Domain Name Server) 서버(104)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단말(100)은 셀룰러(cellular) 통신 및 비인가 대역의 무선 통신 등과 같은 다수개의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다중 모드 단말이다. 상기 셀룰러 통신은 3G 통신이나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비인가 대역의 무선 통신은 Wi-Fi(Wireless Fidelity) 통신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비인가 대역에서 사용되는 무선 통신을 Wi-Fi 통신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이동 단말(100)은 상기 이동 단말(100)의 위치에 대응하는 셀의 기지국(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상기 셀룰러 통신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Wi-Fi 통신은 상기 AP(102)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상기 AP(102)는 상기 이동 단말(100)에 인접한 다수의 AP들 중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단말(100)이 사용하는 AP는 상기 이동 단말(100)의 위치, 수신 신호 강도 및 네트워크 상태 등에 따라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 단말(100)은 상기 AP(102)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 사용자가 인터넷 서비스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AP(102)에 대한 ping 테스트를 수행한다. 상기 ping 테스트는 인터넷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수행되는 것으로서, 일 예로 DNS ping 테스트 또는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ping 테스트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두 가지 ping 테스트 중 DNS ping 테스트가 수행되는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DNS ping 테스트는 상기 DNS 서버(104)와의 연결을 체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DNS 서버(104)의 주소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100)은 상기 AP(102)를 통해 상기 DNS 서버(104)로 미리 설정된 개수의 ping 명령어(이하 'ping'이라 칭함)를 송신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DNS 서버(104)로부터 응답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이동 단말(100)은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DNS 서버(104)로부터 응답이 있는 경우, 상기 AP(102)를 통한 인터넷 연결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AP(102)에 대한 접속을 계속 유지한다. 이와 달리, 상기 이동 단말(100)은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DNS 서버(104)로부터의 응답이 없는 경우 상기 AP(102)를 통한 인터넷 연결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AP(102)에 대한 접속을 해제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100)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접속할 다른 AP를 검색한다.
한편, 상기 이동 단말(100)은 상기 ping 테스트를 사용하는 법 외에 트래픽 송수신 패턴에 따라 인터넷 연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이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액세스 포인트(102)는 상기 이동 단말(100)이 상기 Wi-Fi 통신을 기반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액세스 포인트(102)는 상기 DNS 서버(104)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이동 단말(100)에게 송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DNS 서버(104)를 통해 인터넷 망으로 송신한다.
상기 DNS 서버(104)는 외부 인터넷 망과 상기 액세스 포인트(102)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 단말(100)로부터 요청된 인터넷 서비스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102)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100)로 전달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이동 단말(100)의 내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100)은 제어부(200), 무선부(2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4), 메모리(216) 및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무선부(210),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4), 메모리(216) 및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무선부(210)는 상기 이동 단말(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구성부로서, 셀룰러 통신을 기반으로 패킷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과 Wi-Fi 통신을 기반으로 패킷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4)는 사용자의 키입력을 위한 키입력부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입력부와 표시부는 물리적으로 구분되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4)에 포함될 수 있으나, 터치 스크린과 같이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부의 형태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4)에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4)는 셀룰러 통신과 Wi-Fi 통신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일 예로, Wi-Fi 인터페이스 및 셀룰러 인터페이스 등)와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216)는 상기 이동 단말(100)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일 예로, 상기 메모리(216)는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이미지나 데이터 또는 동영상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인터넷 연결 상태 체크 과정에 따라 발생하는 여러 가지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인터넷 연결 상태 체크 과정 및 네트워크 전환 과정(예를 들어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Wi-Fi 네트워크로의 전환 또는, Wi-Fi 네트워크에서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전환)을 수행한다. 한편, 도 2에서는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가 독립적인 하나의 구성부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의 동작은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상기 이동 단말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의 구체적인 동작을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연결 체크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300 단계에서 Wi-Fi 인터페이스가 온(ON)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Wi-Fi 인터페이스가 온(ON)되었음은 Wi-Fi 통신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며, 상기 Wi-Fi 인터페이스가 오프(OFF)되었음은 Wi-Fi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상기 Wi-Fi 인터페이스가 오프(OFF)된 경우, 320 단계로 진행하여 셀룰러 네트워크로 접속을 시도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상기 Wi-Fi 인터페이스가 온(ON)된 경우, 302 단계로 진행하여 이용 가능한 AP를 스캔 할 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와 같은 스캔 동작은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AP를 검출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상기 이용 가능한 AP를 스캔하지 않을 경우, 320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 접속을 시도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상기 이용 가능한 AP를 스캔할 경우, 304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이용 가능한 AP를 스캔하고 스캔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4)에 상기 스캔 결과로서 접속 가능한 AP들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면 306 단계에서 상기 표시된 접속 가능한 AP들 중 하나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308 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AP에 대한 인터넷 연결 가능성을 체크한다. 이어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310 단계에서 상기 체크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된 AP에 의해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상기 선택된 AP에 의해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경우, 312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AP에 접속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상기 선택된 AP에 의해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314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스캔 결과를 기반으로 다른 AP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316 단계에서 상기 다른 AP가 존재하는 경우, 318 단계에서 상기 다른 AP로 접속을 시도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상기 316 단계에서 상기 다른 AP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320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 접속을 시도한다.
한편, 상기 도 3에서 308 단계 이후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P 접속 초기에 인터넷 연결 상태를 체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과정은 AP 접속 초기에 수행되는 인터넷 연결 가능성 확인 및 네트워크 전환 과정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400 단계에서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도 3의 306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AP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AP에 접속한다. 이어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402 단계에서 DNS 서버로 미리 설정된 개수의 ping을 송신한다.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404 단계에서 하나 이상의 ping이 성공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상기 미리 설정된 개수의 ping에 대한 응답이 하나 이상 수신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ping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상기 하나 이상의 ping이 성공한 경우, 406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AP를 인터넷 서비스를 위해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상기 하나 이상의 ping이 성공하지 않은 경우 즉, 모든 ping이 실패한 경우, 408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AP에 대한 연결을 해제한다.
이어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410 단계에서 다른 이용 가능한 AP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상기 다른 이용 가능한 AP가 존재하는 경우, 414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AP로 연결을 시도한다. 이때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상기 해당 AP에 대해서도 상기 400 단계 이하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인터넷 연결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달리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상기 다른 이용 가능한 AP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416 단계에서 셀룰러 네트워크로 전환함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 전환함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방식은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 전환함을 화면에 표시하거나 소리로 나타내는 방식 및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 전환할지 여부를 사용자에 확인받는 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이어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418 단계에서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 접속을 시도한다.
이하 이동 단말이 AP에 접속된 상태에서 인터넷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네트워크를 전환하는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P에 접속된 상태에서 인터넷 연결 상태를 체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과정은 이동 단말에서 AP를 사용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 중에 수행되는 인터넷 연결 가능성 확인 및 네트워크 전환 과정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500 단계에서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응용(application) 및 네트워크 계층의 트래픽을 감지하여 트래픽 송수신이 완료되지 않고 중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상기 트래픽 송수신이 중지된 경우, 502 단계로 진행하여 마지막 DNS ping이 수행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NLast)이 경과했는지 판단한다. 이어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상기 마지막 DNS ping이 수행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506 단계에서 DNS 서버로 미리 설정된 개수(N1)의 ping을 송신함으로써 인터넷 연결 가능성을 확인한다.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508 단계에서 하나 이상의 ping이 성공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ping이 성공한 경우 현재 접속 중인 AP를 계속적으로 사용한다. 이에 반해,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하나 이상의 ping이 성공되지 않은 경우 즉, 모든 ping이 실패된 경우, 510 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는 중인 AP에 대한 접속을 해제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512 단계에서 다른 이용 가능한 AP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514 단계에서 다른 이용 가능한 AP가 존재하는 경우, 516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AP로 접속을 시도한다. 즉,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해당 AP에 대한 인터넷 연결 가능성을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기반으로 해당 AP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AP로 사용한다.
한편,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상기 다른 이용 가능한 AP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Wi-Fi 통신을 사용할 수 없음을 판단하고 셀룰러 네트워크로 전환할 것을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518 단계에서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 전환함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520 단계에서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 접속을 시도한다.
도 5에서는 트래픽 송수신이 중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인터넷 연결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과는 달리, 트래픽 패턴을 기반으로 인터넷 연결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트래픽 패턴을 기반으로 인터넷 연결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은 트래픽 송수신이 중단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없는 경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트래픽 패턴은 일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래픽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트래픽 패턴은 각 시구간 별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트래픽 존재 여부에 따라 6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상태(Status) 1은 t, t-Nt1, t-Nt2 (t=특정시점, Nt1< Nt2) 시구간 동안 상향링크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으며, t 시구간 동안에는 하향링크 트래픽이 존재하고, t-Nt1, t-Nt2 시구간 동안에는 하향링크 트래픽이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트래픽 패턴을 나타낸다. 상태 2는 t, t-Nt1, t-Nt2 시구간 동안 상향링크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으며, t, t-Nt1 시구간 동안에는 하향링크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고, t-Nt2 시구간 동안에는 하향링크 트래픽이 존재하는 트래픽 패턴을 나타낸다. 상태 3은 t, t-Nt1, t-Nt2 시구간 동안 상향링크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으며, t 시구간 동안에는 하향링크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고, t-Nt1 시구간 동안에는 하향링크 트래픽이 존재하고, t-Nt2 시구간 동안에는 하향링크 트래픽이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트래픽 패턴을 나타낸다.
상태 4는 t, t-Nt1 시구간 동안 상향링크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으며, t-Nt2 시구간 동안에는 상향링크 트래픽이 존재하고, t 시구간 동안 하향링크 트래픽이 존재하고, t-Nt1, t-Nt2 시구간 동안 하향링크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 트래픽 패턴을 나타낸다. 상태 5는 t, t-Nt1 시구간 동안 상향링크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거나 존재하며, t-Nt2 시구간 동안에는 상향링크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고, t, t-Nt1 시구간 동안 하향링크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고, t-Nt2 시구간 동안에는 하향링크 트래픽이 존재하는 트래픽 패턴을 나타낸다. 상태 6은 t, t-Nt1, t-Nt2 시구간 동안 상향링크 트래픽 및 하향링크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 트래픽 패턴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6가지 트래픽 패턴 별로 인터넷 연결 상태가 판단될 수 있으며, 트래픽 패턴 별로 예상될 수 있는 인터넷 연결 상태는 다음 표 1과 같이 나타날 수 있다.
상태 트래픽 패턴 예상 인터넷 연결 상태
1 현재 시점에 수신 패킷 존재 연결
2 현재 시점과 이전 Nt1 시간 동안 수신 패킷 없음
이전 Nt2시간 동안 수신 패킷 존재
연결 의심됨
3 현재 시점에 수신 패킷 없음
이전 Nt1 시간 동안 수신 패킷 존재
다음 시점에 연결 상태 판단
4 현재 시점과 이전 Nt2 시간 동안 수신 패킷 없음
이전 Nt2 시간 동안 송신 패킷 존재
연결 상태 의심됨
5 현재 시점과 이전 Nt2 시간 동안 수신 패킷 없음
현재 시점과 이전 Nt1 시간 동안 송신 패킷 존재
다음 시점에 연결 상태 판단
6 현재 시점과 이전 Nt1 시간 동안 송수신 패킷 없음 인터넷 연결 상태 판단 불필요
상기 표 1의 내용을 기반으로 인터넷 연결 가능성을 확인하고 네트워크를 전환하는 과정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하는 중에 인터넷 연결 상태를 체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AP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하는 동안 특정 시구간 마다 트래픽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상기 체크 결과에 따라 700 단계에서 트래픽 상태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변경된 트래픽 상태가 상태 1, 3, 5 중 하나인 경우 724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변경된 트래픽 상태가 상태 6인 경우 다시 700 단계로 되돌아 간다. 그리고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상기 변경된 트래픽 상태가 상태 2,4 중 하나인 경우 702 단계로 진행하여, 마지막 DNS ping이 수행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Nlast)이 경과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704 단계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706 단계에서 DNS 서버로 미리 설정된 개수(N1)의 ping을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708 단계에서 하나 이상의 ping이 성공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상기 하나 이상의 ping이 성공한 경우 다시 700 단계로 되돌아가 트래픽 상태를 체크하고, 모든 ping이 실패한 경우 710 단계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AP에 대한 접속을 해제한다.
이어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712 단계에서 다른 이용 가능한 AP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714 단계에서 상기 다른 이용 가능한 AP가 존재하는 경우, 716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AP로의 접속을 시도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상기 다른 이용 가능한 AP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718 단계에서 셀룰러 네트워크로 전환함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720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시도한다.
한편,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700 단계에서 상기 변경된 트래픽 상태가 상태 1, 3, 5 중 하나인 경우 724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시구간 동안의 평균 데이터량을 체크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726 단계에서 상기 평균 데이터량이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평균 데이터 처리량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 728 단계에서 마지막 DNS ping이 수행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Nlast)이 경과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인터넷 연결 체크부(218)는 730 단계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앞서 설명한 710 단계 이후의 동작을 수행한다.
Wi-Fi 네트워크는 특정 사업자에게 할당되지 않고 미리 정의된 요구 사항을 만족하는 모든 개체가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방된 주파수 대역이 사용되는 네트워크로서 그에 대한 사용 비용이 요구되지 않는다. 하지만, 셀룰러 네트워크는 오로지 허가 받은 사업자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이 사용되는 네트워크로서 그에 대한 사용 비용이 요구된다. 따라서 Wi-Fi 네트워크에서 셀룰러 네트워크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사용에 따른 과금의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과금의 문제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일 예로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룰러 네트워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8의 (a)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한 인터넷 연결 상태가 좋지 않으며 다른 AP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가 셀룰러 네트워크로 전환하는 기능을 사용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를 보이고 있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메뉴를 선택하지 않을 경우 인터넷 연결 상태가 좋지 않더라도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전환은 수행되지 않는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메뉴를 선택할 경우, 도 8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은 메뉴가 사용자에게 제시될 수 있다.
도 8의 (b)는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전환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전환 메뉴와 수동 전환 메뉴를 보이고 있다. 상기 자동 전환 메뉴가 선택되면, 사용자의 선택없이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전환이 자동으로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수동 전환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전환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행된다.
상기 수동 전환 메뉴가 선택된 상태에서 인터넷 연결 상태가 좋지 않아 Wi-Fi 네트워크에서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 전환해야 할 상황이 발생되면, 도 8의 (c)에 나타난 바와 같은 알림창이 표시될 수 있다. 도 8의 (c)에 나타난 알림창은 사용자에게 Wi-Fi 네트워크를 통한 인터넷 연결 상태가 좋지 않음을 알려줌과 아울러, 사용자가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 전환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도 8의 (c)에 표시된 "확인" 및 "취소" 버튼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전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 별로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전환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a)에 나타난 메뉴에서 사용자가 Wi-Fi 네트워크를 통한 인터넷 연결 상태가 좋지 않으며 다른 AP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가 셀룰러 네트워크로 전환하는 기능을 선택할 경우, 도 9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은 메뉴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9의 (b)에서 먼저 사용자의 선택을 받지 않지 않고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전환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자동 전환 메뉴가 선택된 경우, 추가적으로 응용 프로그램 별로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전환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특정 응용 프로그램(일 예로, APP1 및 APP3)이 선택되면,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되는 동안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전환은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응용 프로그램들(APP2 및 APP N)은 도 8의 (c)에 나타난 바와 같은 알림창 등을 통해 사용자의 선택을 받아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전환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시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전환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시될 수 있다. 이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 별로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전환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a) 및 (b)에서는 도 9의 (a) 및 (b)에서와 다르게, 사용자가 셀룰러 네트워크로 전환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통신 방식과 제2통신 방식 중 하나를 사용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이 인터넷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각 시구간 별로 송수신되는 패킷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트래픽 패턴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트래픽 패턴을 기반으로 인터넷 연결 상태를 예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인터넷 연결 상태 모니터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된 인터넷 연결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를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인터넷 연결 상태 모니터링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P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예측된 인터넷 연결 상태가 인터넷 연결 상태를 체크해야 함을 나타내는 경우 DNS(Domain Name System) 서버로 미리 설정된 개수의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DNS 서버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현재 접속하고 있는 AP에 대한 연결을 해제하고 다른 이용 가능한 AP를 상기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할 AP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인터넷 연결 상태 모니터링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DNS 서버로 미리 설정된 개수의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은,
    미리 설정된 시구간 동안의 평균 데이터 처리량을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평균 데이터 처리량이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평균 데이터 처리량이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DNS 서버로 상기 미리 설정된 개수의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인터넷 연결 상태 모니터링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이용 가능한 AP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통신 방식 및 상기 제2통신 방식 중 상기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 방식과 상이한 통신 방식이 사용되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인터넷 연결 상태 모니터링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패턴은 다수의 트래픽 상태 정보 중 하나에 대응되는 트래픽 패턴을 나타내며,
    상기 다수의 트래픽 상태 정보는 가장 최근 시구간인 제1시구간 동안 수신되는 패킷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제1트래픽 상태 정보와, 상기 제1시간 및 상기 제1시구간보다 제1시간 앞선 제2시구간 동안 수신되는 패킷이 존재하지 않으며, 상기 제1시구간보다 제2시간 앞선 제3시구간 동안에 수신되는 패킷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제2트래픽 상태 정보와, 상기 제1시구간 동안 수신되는 패킷이 존재하지 않으며 상기 제2시구간 동안 수신되는 패킷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제3트래픽 상태 정보와, 상기 제1시구간과 상기 제3시구간 동안 수신되는 패킷이 존재하지 않으며 상기 제3시구간 동안 송신되는 패킷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제4트래픽 상태 정보와, 상기 제1시구간과 상기 제3시구간 동안 수신되는 패킷이 존재하지 않으며 상기 제1시구간과 상기 제3시구간 동안 송신되는 패킷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제5트래픽 상태 정보와, 상기 제1시구간과 상기 제3시구간 동안 송수신되는 패킷이 없음을 나타내는 제6트래픽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넷 연결 상태 모니터링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연결 상태를 예측하는 과정은,
    상기 생성된 트래픽 패턴이 상기 제2트래픽 상태 정보 및 상기 제4트래픽 상태 정보 중 하나에 대응되는 경우, DNS(Domain Name System) 서버와의 신호 송수신을 통해 인터넷 연결 상태를 체크해야 하는 상태임을 예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인터넷 연결 상태 모니터링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연결 상태를 예측하는 과정은,
    상기 생성된 트래픽 패턴이 상기 제1트래픽 상태 정보, 상기 제3트래픽 상태 정보 및 제5트래픽 상태 정보 중 하나에 대응되는 경우, 평균 데이터 처리량을 기반으로 인터넷 연결 상태를 체크해야 하는 상태임을 예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인터넷 연결 상태 모니터링 방법.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통신 방식과 제2통신 방식 중 하나를 사용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이 인터넷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패킷 송수신이 중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패킷 송수신이 중지된 경우 DNS(Domain Name System) 서버로 미리 설정된 개수의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DNS 서버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인터넷 연결 상태를 예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인터넷 연결 상태 모니터링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된 인터넷 연결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를 변경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용 가능한 다른 AP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다른 AP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다른 AP를 상기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할 AP로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다른 AP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통신 방식 및 상기 제2통신 방식 중 상기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 방식과 상이한 통신 방식이 사용되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인터넷 연결 상태 모니터링 방법.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통신 방식과 제2통신 방식 중 하나를 사용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패킷을 송수신하는 무선부와,
    미리 설정된 각 시구간 별로 송수신되는 패킷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트래픽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트래픽 패턴을 기반으로 인터넷 연결 상태를 예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측된 인터넷 연결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를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측된 인터넷 연결 상태가 인터넷 연결 상태를 체크해야 함을 나타내는 경우 DNS(Domain Name System) 서버로 미리 설정된 개수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부를 제어하고, 상기 DNS 서버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현재 접속하고 있는 AP에 대한 연결을 해제하고 다른 이용 가능한 AP를 상기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할 AP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시구간 동안의 평균 데이터 처리량을 체크하고, 상기 평균 데이터 처리량이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평균 데이터 처리량이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DNS 서버로 상기 미리 설정된 개수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부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이용 가능한 AP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통신 방식 및 상기 제2통신 방식 중 상기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 방식과 상이한 통신 방식이 사용되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패턴은 다수의 트래픽 상태 정보 중 하나에 대응되는 트래픽 패턴을 나타내며,
    상기 다수의 트래픽 상태 정보는 가장 최근 시구간인 제1시구간 동안 수신되는 패킷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제1트래픽 상태 정보와, 상기 제1시간 및 상기 제1시구간보다 제1시간 앞선 제2시구간 동안 수신되는 패킷이 존재하지 않으며, 상기 제1시구간보다 제2시간 앞선 제3시구간 동안에 수신되는 패킷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제2트래픽 상태 정보와, 상기 제1시구간 동안 수신되는 패킷이 존재하지 않으며 상기 제2시구간 동안 수신되는 패킷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제3트래픽 상태 정보와, 상기 제1시구간과 상기 제3시구간 동안 수신되는 패킷이 존재하지 않으며 상기 제3시구간 동안 송신되는 패킷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제4트래픽 상태 정보와, 상기 제1시구간과 상기 제3시구간 동안 수신되는 패킷이 존재하지 않으며 상기 제1시구간과 상기 제3시구간 동안 송신되는 패킷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제5트래픽 상태 정보와, 상기 제1시구간과 상기 제3시구간 동안 송수신되는 패킷이 없음을 나타내는 제6트래픽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트래픽 패턴이 상기 제2트래픽 상태 정보 및 상기 제4트래픽 상태 정보 중 하나에 대응되는 경우, DNS(Domain Name System) 서버와의 신호 송수신을 통해 인터넷 연결 상태를 체크해야 하는 상태임을 예측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트래픽 패턴이 상기 제1트래픽 상태 정보, 상기 제3트래픽 상태 정보 및 제5트래픽 상태 정보 중 하나에 대응되는 경우, 평균 데이터 처리량을 기반으로 인터넷 연결 상태를 체크해야 하는 상태임을 예측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1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통신 방식과 제2통신 방식 중 하나를 사용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패킷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부와,
    상기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패킷 송수신이 중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패킷 송수신이 중지된 경우 DNS(Domain Name System) 서버로 미리 설정된 개수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부를 제어하고, 상기 DNS 서버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인터넷 연결 상태를 예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측된 인터넷 연결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를 변경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용 가능한 다른 AP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다른 AP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다른 AP를 상기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할 AP로 결정하고, 상기 다른 AP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통신 방식 및 상기 제2통신 방식 중 상기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 방식과 상이한 통신 방식이 사용되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KR1020130022291A 2013-02-28 2013-02-28 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넷 연결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2023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291A KR102023402B1 (ko) 2013-02-28 2013-02-28 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넷 연결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EP14757063.4A EP2962426B1 (en) 2013-02-28 2014-02-28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internet connection st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4/193,179 US10136376B2 (en) 2013-02-28 2014-02-28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internet connection st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4/001679 WO2014133357A1 (en) 2013-02-28 2014-02-28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internet connection st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6/195,039 US10791492B2 (en) 2013-02-28 2018-11-19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internet connection st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291A KR102023402B1 (ko) 2013-02-28 2013-02-28 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넷 연결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976A true KR20140107976A (ko) 2014-09-05
KR102023402B1 KR102023402B1 (ko) 2019-09-23

Family

ID=51389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291A KR102023402B1 (ko) 2013-02-28 2013-02-28 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넷 연결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136376B2 (ko)
EP (1) EP2962426B1 (ko)
KR (1) KR102023402B1 (ko)
WO (1) WO20141333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50280A1 (en) * 2014-08-15 2016-02-18 Smart Technologies Ulc Wireless Access Point for Facilitating Bidirectional, Application-Layer Communication Among Computing Devices
JP6395540B2 (ja) * 2014-09-25 2018-09-26 株式会社東芝 連携システム、プログラム
CN106034319A (zh) * 2015-03-19 2016-10-1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无线接入点的连接方法及装置
CN105263196A (zh) * 2015-08-31 2016-01-2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连接状态提示方法和装置
KR102356968B1 (ko) * 2015-09-01 2022-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장치와의 연결 방법 및 장치
US10015278B2 (en) * 2015-09-11 2018-07-0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Adaptive scheduling and orchestration in a networked environment
US11883202B2 (en) 2015-09-22 2024-01-30 Medtronic,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10307600B2 (en) 2015-09-22 2019-06-04 Medtronic,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10536886B2 (en) * 2015-12-18 2020-01-14 Lenovo (Beijing) Limited Network shar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CN108377532B (zh) * 2016-11-16 2019-08-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连接方法、控制面节点以及用户设备
JP7148454B2 (ja) 2019-04-24 2022-10-05 京セラ株式会社 通信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KR20220017252A (ko) * 2020-08-04 2022-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인터페이스 전환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627191B1 (en) * 2022-03-04 2023-04-11 Oversec, Uab Network connection management
US11647084B1 (en) 2022-03-04 2023-05-09 Oversec, Uab Virtual private network connection management with echo packets
US11558469B1 (en) * 2022-03-04 2023-01-17 Oversec, Uab Virtual private network connection status detection
US11665141B1 (en) 2022-03-04 2023-05-30 Oversec, Uab Virtual private network connection status dete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44498A1 (en) * 2004-05-06 2007-01-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es Co. Ltd. Internet connection terminal apparatus and internet connection status determining method
US20110116417A1 (en) * 2009-11-16 2011-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ing interval of activesync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20120003976A1 (en) * 2010-05-05 2012-01-05 Vodafone Ip Licensing Limited Communication network selection
US20120057578A1 (en) * 2010-09-07 2012-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validity of wifi conn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4238B1 (en) * 1998-06-19 2003-07-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dapting a connection state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BR9815914A (pt) 1998-06-19 2001-02-20 Ericsson Telefon Ab L M Processos para uso em comunicações de dados em pacote e em um sistema de comunicações, e, controlador e aparelho em um sistema de comunicações.
US6434391B1 (en) * 1999-03-24 2002-08-1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pattern based managing inbound traffic in a two-way wireless messaging system
JP3636356B2 (ja) * 2000-03-31 2005-04-06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20133597A1 (en) * 2001-03-14 2002-09-19 Nikhil Jhingan Global storage system
JP4015428B2 (ja) * 2001-05-16 2007-11-28 株式会社日立コミュニケ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 インアクティビティタイマを備えた無線基地局/無線基地局制御装置、無線端末及び状態制御方法
WO2003017601A1 (en) * 2001-08-18 2003-02-27 Smallbig Technology Inc. An apparatus connected multi ip broadband line and packet routing method thereof
EP1536597B1 (en) * 2002-09-06 2015-01-21 Fujitsu Limited Radio network control apparatus
US7382755B2 (en) * 2002-10-03 2008-06-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to convey uplink traffic information
US7468947B2 (en) * 2003-03-31 2008-12-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ling data packet flows by manipulating data packets according to an actual manipulation rate
SE0301835L (sv) * 2003-06-24 2005-02-01 Infineon Technologies Ag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att minska den genomsnittliga tiden som behövs för en kommunikationsenhet att ansluta sig till ett kommunikationsnätverk
US20050097199A1 (en) * 2003-10-10 2005-05-05 Keith Woodard Method and system for scanning network devices
WO2005067635A2 (en) * 2004-01-06 2005-07-28 Hava Corp. Telephone with automatic switching between cellular and voip networks
US20050251684A1 (en) * 2004-02-02 2005-11-10 Hitachi, Ltd. Storage control system and storage control method
US7902995B2 (en) * 2004-06-30 2011-03-08 Nuri Telecom Co., Ltd. Remote meter-reading system and method using duplicated data transmission of packet data transmission and circuit data transmission
US7974253B2 (en) * 2005-03-08 2011-07-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nd using a rate indicator
JP2007033488A (ja) 2005-07-22 2007-02-08 Kyocera Mita Corp 弾性体減速装置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101113433B1 (ko) * 2005-08-01 2012-03-21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
US7920863B2 (en) * 2005-08-22 2011-04-05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network resources
WO2007024120A1 (en) * 2005-08-26 2007-03-0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requesting resource and scheduling for uplink traffic in mobile communication and apparatus thereof
KR100705585B1 (ko) * 2006-01-09 2007-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액세스 포인트의 절전장치 및 그 방법
US7990887B2 (en) * 2006-02-22 2011-08-02 Cisco Technology, Inc. Sampling test of network performance
US8275377B2 (en) * 2006-04-20 2012-09-25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handoffs between multiple networks
US9319967B2 (en) * 2006-05-15 2016-04-19 Boingo Wireless, Inc. Network access point detection and use
US8086732B1 (en) * 2006-06-30 2011-12-27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ate limiting client requests
FI20065614L (fi) * 2006-09-29 2008-03-30 Nokia Corp Lähetysaikavälin allokointi pakettiradiopalvelua varten
US7804777B2 (en) * 2006-10-31 2010-09-28 Cisco Technology, Inc. Upstream data rate estimation
US8929360B2 (en) * 2006-12-07 2015-01-06 Cisco Technology, Inc. Systems, methods, media, and means for hiding network topology
KR101298434B1 (ko) * 2007-05-07 2013-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스펙트럼 점유를 검출하는 스펙트럼검출 장치 및 스펙트럼 검출 방법
US8155081B1 (en) * 2007-05-21 2012-04-10 Marvell International Ltd. Self learning roaming optimization
US8385316B2 (en) * 2007-07-06 2013-02-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peer to peer communications timing structure
US7899003B2 (en) * 2007-08-13 2011-03-0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 of discontinuous reception (DRX) by a mobile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supporting voice-over-internet-protocol (VoIP)
US9083722B2 (en) * 2007-10-05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Session initiation protocol registration with ping
ES2385415T3 (es) * 2007-11-13 2012-07-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étodo y aparato para la transición de estado/modo
ITMI20080295A1 (it) * 2008-02-25 2009-08-26 Vodafone Omnitel Nv Apparecchiatura e metodo per la connessione di un dispositivo elettronico ad una rete di telecomunicazioni.
WO2010027495A1 (en) * 2008-09-04 2010-03-11 Trilliant Networks, Inc. A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mesh network communications using a mesh network protocol
JP5337879B2 (ja) * 2008-09-29 2013-11-06 株式会社東芝 複数のネットワークアクセスポイントの事前評価
WO2010045109A1 (en) * 2008-10-17 2010-04-22 Azuki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http data streaming
JP5189046B2 (ja) * 2009-01-21 2013-04-2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制御方法、無線基地局装置及びユーザ装置
GB2470360B (en) * 2009-05-18 2011-08-10 Skype Ltd Network access nodes
US8315844B2 (en) * 2009-09-15 2012-11-2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apparatus for comparing traffic pattern models of a complex communication system
EP2309805B1 (en) * 2009-10-11 2012-10-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ling wrong WEP key and related battery drain and communication exchange failures
US9060320B1 (en) * 2010-11-18 2015-06-16 Google Inc. Identifying trapping access points
US8750188B2 (en) * 2010-12-01 2014-06-10 Deutsche Telekom Ag System support for accessing and switching among multiple wireless interfaces on mobile devices
CA2788507C (en) * 2011-09-07 2014-10-21 Research In Motion Limited Scheduling and power saving with unscheduled service periods in a wireless system
US8204990B1 (en) * 2011-10-06 2012-06-19 James Avery Power cycler with internet connectivity monitor
US10116402B2 (en) * 2011-10-27 2018-10-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mode self-adaptation
US9942580B2 (en) * 2011-11-18 2018-04-10 At&T Intellecut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lecting encoding/decoding for streaming media
EP2786617B1 (en) * 2011-11-28 2018-07-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ffic characteristic based selection of serving base station
WO2014093910A2 (en) * 2012-12-13 2014-06-19 Devicescape Softwar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quality of experience measurement and wireless network recommend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44498A1 (en) * 2004-05-06 2007-01-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es Co. Ltd. Internet connection terminal apparatus and internet connection status determining method
US20110116417A1 (en) * 2009-11-16 2011-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ing interval of activesync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20120003976A1 (en) * 2010-05-05 2012-01-05 Vodafone Ip Licensing Limited Communication network selection
US20120057578A1 (en) * 2010-09-07 2012-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validity of wifi conn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91492B2 (en) 2020-09-29
US20190090171A1 (en) 2019-03-21
WO2014133357A1 (en) 2014-09-04
EP2962426A4 (en) 2016-10-19
KR102023402B1 (ko) 2019-09-23
US10136376B2 (en) 2018-11-20
EP2962426B1 (en) 2020-04-01
EP2962426A1 (en) 2016-01-06
US20140244839A1 (en) 2014-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797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넷 연결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US11606421B2 (en) Edge computing relocation
US10506575B2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system, device having base station functionality, and terminal
US1005152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voice data in a wireless network
EP246803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link failure recovery
CN105992238B (zh) 无线通信系统中的装置和方法
JP5413073B2 (ja)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40023427A (ko)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데이터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
JP492919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ソフトハンドオフ制御方法
JP2014525697A (ja) セルラ無線通信におけるモビリティ情報の交換
US20130059579A1 (en) Mobile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WO2014113919A1 (en) Addressing communication failure in multiple connection systems
KR20140112331A (ko) 통신 연결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JP2023052303A (ja) 端末及び通信方法
WO2022151926A1 (zh) 目标中继终端的选择方法、装置、网络设备及终端
CN105432119B (zh) 通信处理系统、通信处理方法、通信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US20160044562A1 (en) Method of switching connection to femtocell and wifi ap in sdn
KR101353275B1 (ko) 사용자 장비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간의 통신 처리 방법과 그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CN102300233B (zh) 传输间隙样式序列的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107770787B (zh) 一种确定目标运营商网络的方法和装置
WO2012097597A1 (zh) 邻区信息处理方法、切换指示方法、终端和基站
JP6729688B2 (ja) 無線中継装置、無線制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102239919B1 (ko) 무선랜 기반의 강제 로밍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장치
EP4080913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18212688A1 (en) Apparatuses, methods, computer progra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handover optimization of beamforming capable user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