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7769A -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7769A
KR20140107769A KR1020130021719A KR20130021719A KR20140107769A KR 20140107769 A KR20140107769 A KR 20140107769A KR 1020130021719 A KR1020130021719 A KR 1020130021719A KR 20130021719 A KR20130021719 A KR 20130021719A KR 20140107769 A KR20140107769 A KR 20140107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cher
classroom
contents
class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순일
Original Assignee
(주)천재교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천재교육 filed Critical (주)천재교육
Priority to KR1020130021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7769A/ko
Publication of KR20140107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7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비스 서버, 다수의 교사 단말기, 다수의 학생 단말기 및 다수의 교실 내에 구비된 교실 서버가 유/무선 네트워크 망으로 연결되어, 교사가 수업전에 교과서 종류별 및 단원별로 수업안을 설계할 수 있도록 사용이 용이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며, 생성된 수업안을 해당 교실의 교실 서버로 미리 전송하여 저장하고, 해당 수업시간에 필요한 학습콘텐츠를 교실서버가 해당 교사 단말기 및 학생 단말기에 자동으로 전송함으로써, 교사 및 학생들이 수업에 필요한 학습콘텐츠를 다운받기 위해 일일이 서비스 서버에 접속할 필요가 없으며, 콘텐츠 다운로드 시간의 최소화를 유도하고, 수업의 출석 및 학업 성취도를 손쉽고 간편하게 평가할 수 있어, 효율적인 학습을 제공할 수 있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과서 종류별 및 단원별로 유닛화된 다수개의 콘텐츠를 제공하며, 교사로부터 설계하고자 하는 수업안의 단원을 입력받아 그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고, 상기 추출하여 제공된 콘텐츠를 교사가 시간상 순서를 정하여 배열할 경우 이를 조합하여 수업안으로 생성하는 서비스 서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수업안을 설계하는 교사 단말기, 각각의 교실 마다 구비되어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되며, 상기 교사 단말기에 의해 설계된 수업안 및 수업안 따른 콘텐츠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전송받아 저장하는 다수개의 교실 서버 및 상기 수업안에 따른 학생의 학습결과를 상기 교실 서버로 전송하는 다수개의 학생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서비스 서버, 상기 교사 단말기, 상기 다수개의 교실 서버 및 상기 다수개의 학생 단말기는 유/무선 네트워크 망으로 연결되고, 상기 교실 서버는, 해당 교실 수업에 따른 수업안 및 수업안에 따른 콘텐츠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미리 전송받아 저장하며, 상기 교사 단말기 및 다수의 학생 단말기가 접속할 경우, 각각 단말기의 인증과정을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된 교사 단말기 및 다수의 학생 단말기에 상기 미리 전송받아 저장된 수업안에 따른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A system and the method for designing customized learning material}
본 발명은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비스 서버, 다수의 교사 단말기, 다수의 학생 단말기 및 다수의 교실 내에 구비된 교실 서버가 유/무선 네트워크 망으로 연결되어, 교사가 수업전에 교과서 종류별 및 단원별로 수업안을 설계할 수 있도록 사용이 용이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며, 생성된 수업안을 해당 교실의 교실 서버로 미리 전송하여 저장하고, 해당 수업시간에 필요한 학습콘텐츠를 교실서버가 해당 교사 단말기 및 학생 단말기에 자동으로 전송함으로써, 교사 및 학생들이 수업에 필요한 학습콘텐츠를 다운받기 위해 일일이 서비스 서버에 접속할 필요가 없으며, 콘텐츠 다운로드 시간의 최소화를 유도하고, 수업의 출석 및 학업 성취도를 손쉽고 간편하게 평가할 수 있어, 효율적인 학습을 제공할 수 있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교육환경이 디지털 환경으로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교과서가 보급되는가 하면, 여러 가지 멀티미디어 기기를 활용한 교육 환경도 빠른 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또한, 교육 매체의 측면에서도 인터넷, 멀티미디어 자료의 적극적 활용을 통한 학습 효과의 증대를 꾀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도는 초, 중, 고, 대학 또는 편입학을 위해 특정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학습이나 사내 교육 분야에서 많이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모둠수업이나 특별수업의 경우를 제외하고 실제 교실 수업에서 이러한 정보통신 기기 및 학습자료가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초기에는 다양한 수업용 컨텐츠 및 학습자료의 부재가 원인으로 지적되었으나 요즘은 다양한 학습 동영상이나 플래쉬 등의 자료를 인터넷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상황임을 고려하면 교사들이 구한 학습 동영상이나 학습 자료를 수업 시간에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도구가 없다는 것이 문제점이다.
또한, 해당 학습 자료에 적합한 자료를 수집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그 양이 방대하여 내용을 일일이 파악하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종래의 수업안 설계 저작도구들은 개별 파일 위주로 편집만 제공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식의 콘텐츠를 모아서 수업안을 작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어도브(adobe)사의 플래시(Flash) 또는 어도브(adobe)사의 프리미어(Premier) 프로그램 등의 전문 개발자들이 사용하는 복잡한 프로그램을 이용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어 비전문가인 일반 교사들이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더불어 현재 학교에 보급되어 있는 디지털 교과서나 멀티미디어 기기는 교사와 학생 간에 실시간으로 양방향 통신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디지털교과서의 경우, CD 등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종이에 인쇄된 상태가 아니라,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여 볼 수 있다는 것 정도이므로, 교사가 각 학생 자리로 이동하여 직접 지도하지 않고서는 교사와 학생간의 양방향 통신이 어렵다.
따라서 교사가 교사용 단말기를 통하여 수업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교사의 시야에 벗어나므로 학생들의 수업참가가 저조해지고, 학생들의 반응을 교사가 즉시 알 수 없어서 효과적인 수업이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교사가 교사용 단말기의 위치를 벗어날 경우, 콘텐츠의 제어가 불가능해 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교사 및 학생 등은 수업에 필요한 각종 콘텐츠를 저장 받기 위해서, 매 시기마다 콘텐츠가 저장된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실시간 다운로드를 받고 이를 자신이 필요한 교과과정에 활용하는 방식을 취함에 따라, 서비스 서버의 트래픽 흐름이 양호하지 못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게 되며, 전체적인 콘텐츠 다운로드 시간, 콘텐츠의 실행시간 등이 필요 이상으로 길어짐에 따라 수업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서비스 서버, 다수의 교사 단말기, 다수의 학생 단말기 및 다수의 교실 내에 구비된 교실 서버가 유/무선 네트워크 망으로 연결되어, 교사가 수업전에 교과서 종류별 및 단원별로 수업안을 설계할 수 있도록 사용이 용이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며, 생성된 수업안을 해당 교실의 교실 서버로 미리 전송하여 저장하고, 해당 수업시간에 필요한 학습콘텐츠를 교실서버가 해당 교사 단말기 및 학생 단말기에 자동으로 전송함으로써, 교사 및 학생들이 수업에 필요한 학습콘텐츠를 다운받기 위해 일일이 서비스 서버에 접속할 필요가 없으며, 콘텐츠 다운로드 시간의 최소화를 유도하고, 수업의 출석 및 학업 성취도를 손쉽고 간편하게 평가할 수 있어, 효율적인 학습을 제공할 수 있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발명은, 교과서 종류별 및 단원별로 유닛화된 다수개의 콘텐츠를 제공하며, 교사로부터 설계하고자 하는 수업안의 단원을 입력받아 그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고, 상기 추출하여 제공된 콘텐츠를 교사가 시간상 순서를 정하여 배열할 경우 이를 조합하여 수업안으로 생성하는 서비스 서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수업안을 설계하는 교사 단말기, 각각의 교실 마다 구비되어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되며, 상기 교사 단말기에 의해 설계된 수업안 및 수업안 따른 콘텐츠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전송받아 저장하는 다수개의 교실 서버 및 상기 수업안에 따른 학생의 학습결과를 상기 교실 서버로 전송하는 다수개의 학생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서비스 서버, 상기 교사 단말기, 상기 다수개의 교실 서버 및 상기 다수개의 학생 단말기는 유/무선 네트워크 망으로 연결되고, 상기 교실 서버는, 해당 교실 수업에 따른 수업안 및 수업안에 따른 콘텐츠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미리 전송받아 저장하며, 상기 교사 단말기 및 다수의 학생 단말기가 접속할 경우, 각각 단말기의 인증과정을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된 교사 단말기 및 다수의 학생 단말기에 상기 미리 전송받아 저장된 수업안에 따른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교사 단말기가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한 후, 서비스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이용하여 수업안을 설계하는 단계,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설계된 수업안 및 수업안에 따른 콘텐츠를 해당 교실의 교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교사 단말기 및 학생 단말기가 해당 교실의 교실 서버에 접속하였을 경우, 교실 서버는 상기 교사 단말기 및 학생 단말기의 인증과정을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수행하는 단계 및 인증 완료된 교사 단말기 및 학생 단말기에 상기 수업안 및 수업안에 따른 콘텐츠를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은, 해당 수업시간에 필요한 학습 콘텐츠를 교실서버가 해당 교사 단말기 및 학생 단말기에 자동으로 전송함으로써, 교사 및 학생들이 수업에 필요한 학습콘텐츠를 다운받기 위해 일일이 서비스 서버에 접속할 필요가 없으며, 콘텐츠 다운로드 시간의 최소화를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교사는 교실 내 어디에 위치하든 교실의 스크린에 재생되는 학습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음에 따라, 교사의 자유로운 이동성 확보가 가능해짐과 동시에 학생과의 보다 긴밀한 수업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지며, 교사와 학생간은 물론 학생과 학생간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해져 학생들간의 협업, 공유, 참여 등 다양한 형태의 학습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진다.
더불어, 교과서 종류별 및 단원별로 유닛화 된 다수의 콘텐츠와 함께 사용이 용이한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함에 따라 실시간으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수업안을 설계할 수 있으며, 유닛화 된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교과목, 학년, 단원에 상관없이 콘텐츠들을 자유롭게 결합할 수 있고, 교사가 보유한 콘텐츠 및 웹링크를 통해 외부에서 개발된 다양한 웹프로그램 또는 웹서비스까지 결합할 수 있어 수업안의 다양화 및 신속한 설계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서버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브라우져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은,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신청에 따른 수업안 설계 및 교사 인증을 수행하는 서비스 서버(200)와,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하여 교과서 종류별 및 단원별로 유닛화 된 다수의 콘텐츠를 이용하여 수업안을 설계하는 교사 단말기(100), 각각의 교실마다 구비되어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되며, 상기 교사 단말기(100)에 의해 설계된 수업안 및 수업안에 따른 콘텐츠를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서 전송받아 저장하는 다수개의 교실 서버(300) 및 상기 수업안에 따른 학생의 학습결과를 상기 교실 서버(300)로 전송하는 다수개의 학생 단말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서비스 서버(200), 교사 단말기(100), 다수개의 교실 서버(300) 및 다수개의 학생 단말기(400)는 각각 유/무선 네트워크 망으로 연결됨에 따라, 교사는 교사 단말기(100)를 통해 교과서 종류별 및 단원별로 유닛화 된 다수의 콘텐츠를 이용하여 수업안을 사전에 설계할 수 있으며, 교실 서버(300)는 해당 교실 수업에 따른 수업안 및 수업안에 따른 콘텐츠를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서 미리 전송받아 저장하고, 상기 교사 단말기(100) 및 다수의 학생 단말기(400)가 접속할 경우, 미리 전송받아 저장된 수업안에 따른 콘텐츠를 자동으로 전송함에 따라 교사를 비롯한 학생들 개개인이 일일이 수업에 필요한 콘텐츠를 전송받아 저장할 필요가 없으며, 콘텐츠 다운로드 시간의 최소화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교실 서버(300)에 저장된 수업안 및 수업안에 따른 콘텐츠는 교사 단말기(100)의 제어하에 교실에 구비된 스크린에 재생됨에 따라, 교사의 자유로운 이동성 확보를 통해 학생과의 보다 긴밀한 수업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진다.
먼저 교사 단말기(100)는,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하여 종류별 및 단원별로 유닛화 된 다수의 콘텐츠를 이용하여 수업안을 설계하고, 교실 서버(300)에 접속하여 인증이 완료될 경우, 교실 서버(300)에 저장된 수업안 및 수업안에 따른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 장치로서, 타블렛 PC, 노트북, 이동통신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을 포함한다.
학생 단말기(400)는 교실 서버(300)에 접속하여 인증이 완료될 경우, 해당 수업에 필요한 콘텐츠가 자동으로 다운로드되어 저장되며, 해당 수업이 완료되면 해당 수업에 대한 학습결과를 교실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러한 학생 단말기(400)는 유/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 장치로서, 데스크탑, 타블렛 PC, 노트북, 이동통신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을 포함한다.
교실 서버(300)는 각각의 교실마다 구비되어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되며,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수업안 및 수업안에 따른 콘텐츠를 전송받아 저장한다. 또한, 교실 서버(300)에 접속한 교사 단말기(100) 및 학생 단말기(400)의 인증과정을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수행하고, 인증과정이 완료된 교사 단말기(100) 및 다수의 학생 단말기(400) 간의 질의 및 응답이 가능하도록 양방향 통신을 제공한다.
즉, 교실 서버(300)는 교실 서버에 접속한 교사 단말기(100) 및 다수의 학생 단말기(400)를 그룹핑(Grouping)하여 하나의 네트워크망으로 구축하고, 교사 단말기(100)가 다수의 학생 단말기(400) 각각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공하며, 이에 따라 1:1 혹은 1:N 혹은 N:N 방식으로 자유롭게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양방향 통신을 통해 교사와 학생간은 다양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키보드 입력을 통한 기본적인 채팅, 쪽지는 물론 콘텐츠를 캡쳐한 화면에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질문 또는 답변을 작성한 이미지 파일 등의 데이터 교환도 가능하다. 또한, 교사 단말기(100)는 다수의 학생 단말기(400) 중 하나의 학생 단말기를 선택하여, 선택된 학생 단말기의 화면이 교실 내에 구비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더불어, 교실 서버(300)는 교실 내 자리 배치도 및 그 자리에 위치하는 학생 정보를 교사 단말기(100) 및 학생 단말기(400)에 전송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교사 및 학생들은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교사 및 학생의 자리를 선택하여 채팅, 쪽지, 파일 전송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교실 서버(300)는 해당 수업시간에 교실 서버에 접속한 학생 단말기(400)의 인증과정을 통해 각 학생의 출결정보를 추출할 수 있게 되며, 학생 단말기(400)로부터 전송받은 학습결과를 일괄적으로 취합한 뒤, 서비스 서버(200)로 상기 출결정보와 학습결과를 전송함에 따라, 서비스 서버(200)가 해당 학생에 대한 출결관리와 학습 성취도를 산출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서비스 서버(200)는 교사로부터 설계하고자 하는 수업안의 단원을 입력받아, 그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콘텐츠를 교사가 시간상 순서를 정하여 배열할 경우, 이를 조합하여 수업안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학생별로 수업의 출석 및 학업 성취도를 통계하여 교사 및 해당 학생에게 제공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 서버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를 웹브라우저 형식으로 제공하는 웹서비스 모듈과, 교사가 시간상 순서를 정하여 배열한 콘텐츠들을 조합하여 수업안을 생성하는 수업안 생성 모듈, 교사별로 생성한 수업안을 누적하고 관리하는 수업안 관리 모듈, 교사의 요청에 따라 웹서비스 모듈을 통해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는 콘텐츠 편집툴을 제공하고, 편집된 콘텐츠를 별도의 콘텐츠로 생성하는 콘텐츠 관리 모듈, 학생별 출석 및 학습결과를 누적 및 관리하는 학생 관리 모듈, 교사 인증을 수행하는 고객관리부 및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서비스 서버는 교사가 교사 단말기를 통한 서비스 서버에 회원가입 시 입력한 교사의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교사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교과서 종류별 및 단원별로 유닛화된 다수개의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교과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와, 교사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콘텐츠 또는 상기 콘텐츠 관리 모듈을 통해 교과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가 편집되어 새롭게 생성된 콘텐츠를 교사별로 저장하는 교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수업안 생성 모듈을 통해 생성된 수업안을 교사별로 저장하는 수업안 데이터베이스와, 별도의 공유게시판을 통해 업로드되는 게시물을 저장하는 공유게시판 데이터베이스, 웹서비스 모듈을 통해 제공되는 각 메뉴에 대한 설명 및 서비스에 대한 가이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가이드 정보 데이터베이스, 각각의 교실마다 구비된 교실 서버의 고유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교실 서버 데이터베이스 및 학생별 고유 정보가 저장된 학생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서비스 서버의 세부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망은 그 종류에 있어서 특정한 제약을 받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적용 분야에 따라서 적절히 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단히 넓은 지역을 담당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건물 하나 정도의 지역을 담당하는 경우에는 건물의 내부망, 예컨대 케이블망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서비스 서버 및 다수개의 교실 서버가 유/무선 네트워크망에 연결되는 방식이나, 교사 단말기 및 학생 단말기가 유/무선 네트워크망에 연결되는 방식에 대해서 어떠한 제약도 가하지 않는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서버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서버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를 웹브라우저 형식으로 제공하는 웹서비스 모듈(210)과, 교사가 시간상 순서를 정하여 배열한 콘텐츠들을 조합하여 수업안을 생성하는 수업안 생성 모듈(212), 교사별 생성한 수업안을 누적하고 관리하는 수업안 관리 모듈(214), 교사의 요청에 따라 웹서비스 모듈(210)을 통해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는 콘텐츠 편집툴을 제공하고, 편집된 콘텐츠를 별도의 콘텐츠로 생성하는 콘텐츠 관리 모듈(216), 학생별 출석 및 학습결과를 누적 및 관리하는 학생 관리 모듈(218), 교사 인증을 수행하는 고객관리부(220) 및 통신부(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서비스 서버는 교사가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의 서비스 서버에 회원가입 시 입력한 교사의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교사 정보 데이터베이스(224)와, 교과서 종류별 및 단원별로 유닛화 된 다수개의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교과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6)와, 교사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콘텐츠 또는 상기 콘텐츠 관리 모듈(216)을 통해 교과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6)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가 편집되어 새롭게 생성된 콘텐츠를 교사별로 저장하는 교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8)와, 상기 수업안 생성 모듈을 통해 생성된 수업안을 교사별로 저장하는 수업안 데이터베이스(230)와, 별도의 공유게시판을 통해 업로드되는 게시물을 저장하는 공유게시판 데이터베이스(232), 웹서비스 모듈(210)을 통해 제공되는 각 메뉴에 대한 설명 및 서비스에 대한 가이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가이드 정보 데이터베이스(234), 각각의 교실마다 구비된 교실 서버의 고유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교실 서버 데이터베이스(236) 및 학생별 고유 정보가 저장된 학생 정보 데이터베이스(2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웹서비스 모듈(210)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교사에게 수업안을 설계 및 편집할 수 있는 서비스와 콘텐츠 추가 및 편집 서비스, 생성된 수업안 또는 콘텐츠를 공유하여 다른 교사들과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를 웹브라우저 형식으로 제공한다. 또한, 웹서비스 모듈(210)은 현재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대한 가이드 정보 또는 현재 마우스가 위치한 메뉴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별도의 창 또는 현재 마우스가 위치한 화면에 중첩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초보자도 손쉽게 자신이 원하는 형태의 수업안을 설계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수업안 생성 모듈(212)은, 교사가 웹서비스 모듈(210)을 통해 선택한 콘텐츠들을 시간상 순서를 정하여 배열할 경우, 이를 조합하여 수업안으로 생성하며, 별도의 파일 형태로 전환하여 수업안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한다. 이때, 수업안 생성 모듈(212)에서 설계된 수업안은 교사 정보 데이터베이스(224)에 저장된 수업 스케쥴에 맞춰 누적되어 저장될 수도 있으며, 교사는 수업안 및 수업안에 따른 콘텐츠가 교사 단말기 및 학생 단말기로 전송되는 예약시간을 설정해 놓을 수도 있다.
수업안 관리 모듈(214)은 상기 수업안 생성 모듈(212)을 통해 생성 또는 편집된 수업안을 교사별로 누적 및 관리하여 교사가 자신이 생성한 수업안을 필요에 따라 수정 및 재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수업안 관리 모듈(214)은 교사가 생성한 수업안의 공유 유무를 웹서비스 모듈(210)을 통해 설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수업안을 공유할 수 있도록 제공하며, 수업안 생성 모듈(212)을 통해 교사가 기 설정한 수업안을 다른 교사들과 함께 협동하여 만들 수 있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
더불어, 수업안 관리 모듈(214)은 설계된 수업안 및 수업안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통신부(222)를 통해 해당 교실의 교실 서버로 전송한다. 이때, 설계된 수업안 및 수업안에 해당하는 콘텐츠는 해당 교사의 수업 시간 전에, 콘텐츠의 전송이 원활한 시간대를 스스로 판단하여 각각 전송할 수도 있으며, 해당 교실의 하루 수업 스케쥴에 필요한 수업안 및 수업안에 해당하는 콘텐츠만을 해당 교실의 교실 서버로 일괄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콘텐츠 관리 모듈(216)은, 교사의 요청에 따라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는 편집툴을 상기 웹서비스 모듈(210)을 통해 제공하며, 교사가 편집툴을 통해 편집한 콘텐츠를 교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8)에 별도로 저장하여 이를 수업안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때, 콘테츠는 교과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6)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뿐만 아니라 해당 교사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및 웹링크를 통해 외부의 웹페이지도 모두 포함한다.
학생 관리 모듈(218)은 교실 서버로부터 전송받는 수업별 학생들의 학습결과를 해당 학생의 학생 정보 데이터베이스(238)에 저장함과 동시에 해당 학생의 과목별, 학급별, 학년별 등 다양한 형태의 학습결과를 통계 내어 학생 또는 교사가 필요할 경우마다 열람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통신부(222)는 교사 단말기 및 학생 단말기와 각각의 교실별로 구비된 교실 서버와의 유/무선 통신을 담당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교사 정보 데이터베이스(224)에는 교사의 고유 ID, 비밀번호, 성명, 교과과목, 교사인증번호(EPKI 또는 GPKI) 및 해당 교사의 수업 스케쥴이 저장된다. 이에 따라, 교사는 교사 단말기를 통해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ID와 비밀번호를 통한 로그인 과정을 수행하고, 자신이 원하는 교과 단원에 맞춰 수업안을 설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수업 스케쥴에 맞춰 수업안을 설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수업 스케쥴에는 수업일자, 수업시간, 수업교실, 해당 과목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교사 정보 데이터베이스(224)에는 교사가 친구로 등록한 친구목록이 등록되어 있어, 등록된 친구에 한정하여 해당 교사가 생성한 콘텐츠 및 수업안을 공유할 수도 있으며, 하나의 수업안을 다수가 협동하여 만들 수도 있다.
학생 정보 데이터베이스(238)에는 학생의 고유 ID, 비밀번호, 성명, 학년, 반, 번호, 부모님 연락처, 담임교사 정보를 포함한 고유정보가 저장되며, 해당 학생의 출결상황과 학습결과가 누적되어 저장된다. 이에 따라, 교사들은 교사의 선택에 따라 과목별, 학생별, 반별, 학년별, 전체 인원별로 출결상황 및 학습상황을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교과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8)에는 교과서 종류별 및 단원별로 유닛화된 다수개의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콘텐츠는 별도의 전문가들에 의해 기 생성된 콘텐츠로서, 이미지, 텍스트, 음성, 동영상, 플래시 또는 이들이 조합된 데이터 형태일 수 있다.
교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8)에는 교사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콘텐츠 또는 상기 콘텐츠 관리 모듈(216)을 통해 교과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6)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가 편집되어 새롭게 생성된 콘텐츠를 교사별로 저장한다. 또한, 교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8)에는 교사가 교과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6) 및 공유게시판 데이터베이스(232)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들을 스크랩한 정보를 저장하여 교사가 필요할 때마다 손쉽게 로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들은 콘텐츠를 생성한 프로그램을 교사가 인식할 수 있도록, 아크로벳(PDF), 아래한글(HWP), 마이크로소프트 워드(DOC), 엑셀(XLS), 파워포인트(PPT), 메모장(TXT), 포토샵(PSD), 플래쉬(FLV), 이미지(JPG), 웹주소(HTM) 등의 아이콘으로 표시된다. 또한, 콘텐츠들은 콘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미리보기 위한 이미지 파일을 포함하여 저장됨으로써, 교사가 해당 콘텐츠의 종류 및 파일형식에 관계없이 해당 콘텐츠의 내용을 미리 열람할 수 있게 한다.
수업안 데이터베이스(230)에는 상기 수업안 생성 모듈(212)을 통해 생성된 수업안을 교사별로 저장하며, 공유게시판 데이터베이스(232)는 별도의 공유게시판을 통해 업로드 되는 게시물을 저장한다.
가이드정보 데이터베이스(234)에는 웹서비스 모듈(210)을 통해 제공되는 각 메뉴에 대한 설명 및 서비스에 대한 가이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 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플래시, 음성, 영상 또는 이들이 조합된 데이터 형태일 수 있으며, 현재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대한 가이드 정보 또는 현재 마우스가 위치한 메뉴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별도의 창 또는 현재 마우스가 위치한 화면에 중첩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초보자도 손쉽게 자신이 원하는 형태의 수업안을 설계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은, 먼저 교사가 교사 단말기를 통해 서비스 서버에 접속되면(S312), 서비스 서버의 웹서비스 모듈은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의 메인화면창을 교사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314).
상기 메인화면창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상단부에 회원가입 또는 로그인 단계에 사용되는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기재하는 텍스트 박스부(510)와, 화면중앙의 화면표시부(530) 및 화면 상단의 메뉴표시부(5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메뉴표시부(520)는 수업안을 생성할 수 있는 '수업안 생성하기'메뉴와, 교사가 직접 콘텐츠를 생성하고, 편집할 수 있는 '콘텐츠 생성하기' 메뉴와, 생성된 수업안을 열람할 수 있는 '내 수업안 보기'메뉴 및 본인 또는 다른 교사가 생성한 수업안 및 콘텐츠를 공유하고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수업안 공유하기'메뉴를 포함한다.
이어서, 서비스 서버의 웹서비스 모듈은 교사가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의 미회원 가입인일 경우, 화면 좌측의 회원가입버튼을 통해 제공되는 회원가입창을 디스플레이하여 교사로부터 고유정보를 입력받고, 고객관리부는 이를 교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해당 교사의 회원가입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고객관리부는 교사의 고유아이디, 비밀번호, 성명, 교과목, 수업스케쥴, 교사인증번호(EPKI 또는 GPKI) 등을 포함한 교사의 고유정보를 입력받는다.
이와 반대로, 교사가 기회원 가입인일 경우, 웹서비스 모듈은 화면 좌측의 텍스트 박스부를 통해 교사로부터 고유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받은 후 로그인 버튼을 선택받고, 고객관리부는 교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교사 정보와 상기 교사로부터 입력받은 고유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매칭시켜 교사 인증을 수행한다. 이때, 고객관리부는 교사의 정확한 신원확인을 위한 별도의 인증단계를 더 추가할 수도 있다(S316).
이어서, 웹서비스 모듈은 교사로부터 메뉴표시부의 '수업안 생성하기' 메뉴를 선택받은 경우(S318), 교사가 자신이 생성하고자 하는 수업안에 맞는 수업설계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도 6과 같이, 교사의 수업스케쥴에 대응되는 교과서 종류를 우선 배치하여 화면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의 메뉴표시부(520)는 국어, 수학, 영어 등의 교과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메뉴화 되어 있으며, 화면표시부(530)에는 교과목에 따른 학년별 및 저자별 교과서 목록을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교과서 목록의 디스플레이는, 해당 교사의 수업스케쥴에 대응하여 우선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어과목을 1학년부터 3학년까지 가르키는 교사가 노미숙 저자의 교과서를 사용한다고 가정할 경우, 교사가 '수업안 생성하기'메뉴를 선택하면, 노미숙 저자의 1학년부터 3학년까지의 국어교과서가 우선적으로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이어서, 교사로부터 교과서 종류를 선택받으면(S320), 웹서비스 모듈은 사용자가 만들고자 하는 수업안의 단원을 선택받는다(S322). 즉, 교사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미숙 저자의 1학년 1학기 교과서를 선택하였을 경우, 좌측에 교과서의 대단원 목록이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며, 교사가 대단원의 목록을 선택할 경우, 선택된 대단원에 속하는 중단원이 디스플레이되어 교사가 만들고자 하는 수업안의 단원들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단원들의 메뉴화는 기본적으로 교과서 목차에 따라 계층화될 수 있으나, 교사의 요청에 따라 교과서 페이지에 기반하여 교사가 스스로 단원을 생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이미 수업안이 생성된 단원은 별도의 아이콘(710)이 표시됨으로써, 교사가 원치않는 수업안의 중복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웹서비스 모듈은 교사로부터 선택받은 단원의 수업안을 생성할 수 있도록 수업안 생성 화면을 제공한다(S324). 수업안 생성 화면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사가 수업안을 설계할 수 있는 수업 설계 화면(810)과, 필요한 콘텐츠를 로딩시키는 콘텐츠 로딩 화면(820)으로 나뉜다. 이에 따라, 교사는 콘텐츠 로딩 화면(820)에 나타난 콘텐츠를 수업 설계 화면(810)에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함으로써 손쉽게 교사가 원하는 콘텐츠만 선택 가능하며, 수업 설계 화면(810)에 배열된 콘텐츠를 드래그를 통해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이동하여 정렬시킴으로써 손쉽게 교사가 원하는 콘텐츠의 순서대로 구성된 수업안을 설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업안 생성 화면은 교사가 설계하고자 하는 수업안 단원에 맞춰, 콘텐츠 사용빈도가 높은 콘텐츠들을 우선적으로 수업 설계 화면(810) 및 콘텐츠 로딩 화면(820)에 배열해놓을 수도 있다.
상기 수업 설계 화면(810)은, 상측부터 생성하고자 하는 수업안 제목(812), 해당 수업안의 단원 위치(814), 선택한 콘텐츠를 시간순으로 배열할 수 있는 배열창(816), 배열창에 배열된 콘텐츠들을 교사 단말기로 한꺼번에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전체 다운로드' 메뉴와, 배열창을 최초 세팅된 상태로 되돌리는 '초기화' 메뉴, 수업안의 표지를 선택하여 편집할 수 있는 '표지선택' 메뉴, 생성된 수업안을 미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미리보기' 메뉴, 배열창에 시간순으로 배열된 콘텐츠를 수업안으로 저장하는 '내 수업안 저장' 메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배열창(816)에 배열된 콘텐츠들은 교사가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 명으로 변경할 수 있는 '제목수정' 메뉴와, 해당 콘텐츠를 미리 열람할 수 있는 '콘텐츠 미리보기' 메뉴와, 해당 콘텐츠를 교사 단말기로 전송받을 수 있는 '콘텐츠 다운로드' 메뉴를 포함하며, 콘텐츠 하단에 도시된 화살표를 클릭할 경우 해당 콘텐츠가 저장된 저장위치와, 원본파일명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해당 수업안의 단원 위치(814)를 클릭할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도시된 도 6의 단원선택 메뉴창이 별도로 디스플레이됨으로써, 교사가 손쉽게 설계하고자 하는 수업안의 단원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콘텐츠 로딩 화면(820)은, 콘텐츠를 로딩할 수 있는 출처 및 콘텐츠 파일 형태가 메뉴화되어 있어, 해당 교과목에 따라 필요한 콘텐츠를 손쉽게 로딩할 수 있게 한다. 먼저, '교과서 자료'일 경우, 앞서 도시된 도 8과 같이 교사가 선택한 저자의 교과서에 포함되는 콘텐츠들이 로딩되는 '내 교과서'와, 다른 저자가 저술한 동일학년의 동일과목에 포함되는 콘텐츠들이 로딩되는 '연관 교과서'로 구분된다. 이때, '내 교과서'의 자료들은 교사가 설계하고자 하는 수업안의 단원에 해당하는 콘텐츠들이 우선적으로 콘텐츠 로딩 화면에 로딩되며, 상부의 해당 콘텐츠들이 속하는 단원 위치(822)를 선택할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원선택 메뉴가 디스플레이됨으로써, 교사가 손쉽게 로딩하고자 하는 수업안의 단원에 해당하는 콘텐츠들을 불러올 수 있다.
또한, 교사가 '연관 교과서'를 선택하였을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교과목의 다른 저자 및 다른 학년의 교과서들이 교사가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되며, 교사가 이중 하나를 선택할 경우 단원선택 메뉴가 디스플레이됨으로써, 교사가 손쉽게 로딩하고자 하는 다른 교과서의 단원에 해당하는 콘텐츠들을 불러올 수 있다. 이때, 교사는 상부의 '다른 교과서 선택' 메뉴를 통하여, 교사가 설계하고자 하는 수업안의 해당 교과목이 아닌 타 교과목의 교과서에 포함되는 컨텐츠들도 불러올 수 있다.
교사가 '연관 자료' 메뉴를 선택할 경우, 웹 서비스 모듈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들을 '멀티미디어', '과목 공통', '자료나눔터' 및 '스크랩자료'로 구분하여 로딩한다. '멀티미디어' 메뉴는, 교과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동영상 콘텐츠들을 로딩하며, '과목공통' 메뉴는 교과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동영상 콘텐츠 외의 콘텐츠을 로딩하고, '자료 나눔터' 메뉴는 해당 교과목의 단원에 대한 다른 교사가 생성한 공개된 수업안들과 공유게시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콘텐츠들을 로딩하며, '스크랩 자료'는 교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저장되어 있는 교사가 스크랩 자료로 지정해놓은 콘텐츠들을 로딩한다.
교사가 'PC 자료' 메뉴를 선택할 경우, 웹 서비스 모듈은 해당 교사의 교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들을 우선 로딩하며, 교사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새로운 콘텐츠를 업로드 할 수 있는 '파일 등록' 메뉴와, 인터넷을 통한 웹페이지를 등록시킬 수 있는 '웹주소 등록' 메뉴를 제공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사가 '파일 등록' 메뉴를 선택하여 교사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선택할 경우, 선택된 콘텐츠는 교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이를 다시 재사용 및 편집할 수 있게 되며, '파일정리' 메뉴를 통해 교사별로 교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는 콘텐츠의 메모리를 한정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도록 제공함에 따라, 불필요한 데이터가 계속 저장되어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주소 등록'을 이용한 콘텐츠 업로드는 링크형태로 콘텐츠를 생성함으로써, 대용량의 불필요한 데이터가 교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교사가 '검색' 메뉴를 선택할 경우, 웹 서비스 모듈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콘테츠 내에 교사가 입력한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 콘텐츠를 검색하여 로딩한다. 이때, 검색범위는 학년별 및 콘텐츠 종류별로 선택하여 검색할 수 있다.
교사가 '가이드' 메뉴를 선택할 경우, 웹 서비스 모듈은 현재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대한 가이드 정보 또는 현재 마우스가 위치한 메뉴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별도의 창 또는 현재 마우스가 위치한 화면에 중첩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초보자도 손쉽게 자신이 원하는 형태의 수업안을 설계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 메뉴는 다른 메뉴의 선택과 상관없이, 교사의 선택에 따라 ON/OFF 상태로 유지되며, 교사가 ON상태를 선택할 경우에는 항상 현재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대한 가이드 정보 또는 현재 마우스가 위치한 메뉴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별도의 창 또는 현재 마우스가 위치한 화면에 중첩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어서, 교사가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들을 시간상으로 배열을 완료하게 되면(S326), '내 수업안 저장' 메뉴를 선택하여 해당 교과서 단원에 대한 수업안을 완성하게 된다(S328). 이렇게 완성된 수업안은 수업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S330), 교사가 원하는 폴더에 원하는 파일명으로 저장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성된 수업안은 교사가 원하는 이름을 입력한 뒤, 완성된 수업안을 타인에게 공개할지 유무를 선택하여 저장되며, 공개를 선택하여 저장할 경우 '관련자료' 메뉴를 통해 타인이 열람할 수 있도록 공유된다. 이때, 콘텐츠의 공개는 전체공개 또는 본인이 친구로 지정해놓은 별도의 그룹별로 공개가 가능함에 따라, 하나의 수업안을 다수가 협동하여 만들 수도 있다.
또한, 교사는 필요에 따라 '표지선택' 메뉴를 선택하여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업안의 표지를 선택하여 편집함으로써 자신만의 수업안 표지를 만들 수 있으며, '미리보기' 메뉴를 통해 생성된 수업안을 미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더불어, 설계된 수업안은 해당 교사의 수업 스케쥴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해당 교사는 설계된 수업안 및 수업안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교사 단말기 및 학생 단말기에 전송되는 시간을 미리 설정해 놓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학생들의 예습을 위해 하루 전에 미리 전송되도록 설정해 놓을 수도 있으며, 긴급 시험에 대한 유출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수업 전 일정시간에 맞춰 일괄 전송되도록 설정해 놓을 수도 있다.
웹서비스 모듈은 교사로부터 메뉴표시부의 '콘텐츠 생성하기' 메뉴를 선택받은 경우(S332), 교사가 직접 콘텐츠를 생성 또는 편집할 수 있도록 콘텐츠 생성 화면을 제공한다(S334). 콘텐츠 생성 화면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사가 콘텐츠를 생성 및 편집할 수 있는 콘텐츠 편집툴을 제공하는 콘텐츠 편집 화면과, 편집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로딩할 수 있는 콘텐츠 로딩 화면으로 나뉜다. 이에 따라, 교사는 콘텐츠 로딩 화면에 나타난 콘텐츠 중 하나를 콘텐츠 편집 화면으로 이동시킨 후, 콘텐츠 편집툴을 통해 교사가 원하는 형태로 편집가능하며(S336), 편집된 콘텐츠는 새로운 이름의 콘텐츠로 생성되어 교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저장된다(S338). 콘텐츠 로딩 화면은 앞서 설명한 '수업안 생성하기' 메뉴의 콘텐츠 로딩 화면과 동일한 메뉴화면으로 구성된다.
또한, 콘텐츠 생성 화면은 별도의 콘텐츠를 로딩하지 않고, 콘텐츠 편집툴을 이용하여 교사가 직접 콘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웹서비스 모듈은 교사가 더욱 쉽게 자신의 목적에 맞는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개념정리, 핵심정리, 단원별 쫑 퀴즈, 쪽지시험 등 다양한 폼을 갖춘 서식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웹서비스 모듈은 교사로부터 메뉴표시부의 '내 수업안 보기' 메뉴를 선택받은 경우(S340), 교사가 설계한 수업안 목록을 디스플레이하여 내 수업안 보기 화면을 제공한다(S342). 내 수업안 보기 화면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 교사가 생성한 폴더와, 우측에 해당 폴더에 저장된 수업안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된다. 좌측의 폴더는 좌측 하부에 위치한 '폴더관리' 메뉴를 통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폴더를 생성 및 편집, 삭제할 수 있게 된다.
수업안 리스트는 해당 수업안의 단원 위치를 함께 디스플레이하여 어떤 과목에서 필요한 수업안인지 한눈에 알 수 있게 하며, 수업안의 공개 유/무를 아이콘으로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화면 일측에는 선택한 수업안을 수업스케쥴에 맞춰 교실서버에 전송할 수 있는 '전송하기' 메뉴와, 해당 수업안의 제목 및 공개 유/무를 수정하는 '수정' 메뉴와, 선택한 수업안을 교사 단말기로 다운받을 수 있는 '다운로드' 메뉴와, 선택한 수업안을 삭제할 수 있는 '삭제'메뉴를 제공한다.
웹서비스 모듈은 교사로부터 메뉴표시부의 '수업안 공유하기' 메뉴를 선택받은 경우(S344), 공유게시판을 디스플레이하여 교사가 자신이 공유하기 원하는 콘텐츠를 업로드 하고 그에 따른 설명을 게시할 수 있도록 제공하며, 다른 교사가 작성한 게시물에 댓글 및 평가를 작성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교사들간에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제공한다(S346). 이때, 교사가 공유게시판에 등록한 게시물은 공유게시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교사는 '연관자료' 메뉴를 통해 수업안에 포함되도록 설계하거나,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 형태로 편집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서비스 서버는 설계된 수업안 및 수업안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해당 교실의 교실서버로 전송한다(S348). 이때, 서비스 서버는 설계된 수업안 및 수업안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해당 교실의 교실 서버로 해당 교사의 수업시간 전에, 학습 콘텐츠의 전송이 원활한 시간대를 판단하여 각각 전송할 수도 있으며, 해당 교실 서버가 전송받아야 할 수업모형 및 수업모형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일괄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교실 서버는 교사 단말기 및 학생 단말기가 해당 교실의 교실 서버에 접속하였을 경우, 상기 교사 단말기 및 학생 단말기의 인증과정을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수행하며(S350), 인증 완료된 교사 단말기 및 학생 단말기에 상기 수업안 및 수업안에 다른 학습 콘텐츠를 각각 전송한다(S352).
또한, 교실 서버는 인증 완료된 교사 단말기 및 학생 단말기 간의 질의 및 응답이 가능하도록 양방향 통신을 제공한다. 즉, 교실 서버는 교실 서버에 접속한 교사 단말기 및 학생 단말기를 그룹핑(Grouping)하여 하나의 네트워크망으로 구축하고, 교사 단말기가 다수의 학생 단말기 각각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공하며, 이에 따라 1:1 혹은 1:N 혹은 N:N 방식으로 자유롭게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더불어, 교실 서버는 교사 단말기가 교실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를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함에 따라(S354), 교사는 교사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실 내에 구비된 스크린을 통해 콘텐츠를 재생하고, 교실 내 어느 위치에서든 자유롭게 재생되는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수업시간에 교사의 자유로운 이동성 확보가 가능해짐과 동시에 학생과의 보다 긴밀한 수업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진다.
또한, 교실 서버는 해당 수업시간에 교실 서버에 접속한 학생 단말기의 인증과정을 통해 각 학생의 출결정보를 추출할 수 있게 되며, 학생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학습결과를 일괄적으로 취합한 뒤(S356), 서비스 서버로 상기 출결정보와 학습결과를 전송함에 따라(S358), 서비스 서버가 해당 학생에 대한 출결관리와 학습 성취도를 산출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S36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100 : 교사 단말기 200 : 서비스 서버
210 : 웹서비스 모듈 212 : 수업안 생성 모듈
214 : 수업안 관리 모듈 216 : 콘텐츠 관리 모듈
218 : 학생 관리 모듈 220 : 고객관리부
222 : 통신부 224 : 교사 정보 데이터베이스
226 : 교과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228 : 교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230 : 수업안 데이터베이스 232 : 공유게시판 데이터베이스
234 : 가이드 정보 데이터베이스 236 : 교실 서버 데이터베이스
238 : 학생 정보 데이터베이스 300 : 교실 서버
400 : 학생 단말기

Claims (39)

  1. 교과서 종류별 및 단원별로 유닛화된 다수개의 콘텐츠를 제공하며, 교사로부터 설계하고자 하는 수업안의 단원을 입력받아 그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고, 상기 추출하여 제공된 콘텐츠를 교사가 시간상 순서를 정하여 배열할 경우 이를 조합하여 수업안으로 생성하는 서비스 서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수업안을 설계하는 교사 단말기;
    각각의 교실 마다 구비되어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되며, 상기 교사 단말기에 의해 설계된 수업안 및 수업안 따른 콘텐츠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전송받아 저장하는 다수개의 교실 서버; 및
    상기 수업안에 따른 학생의 학습결과를 상기 교실 서버로 전송하는 다수개의 학생 단말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서비스 서버, 상기 교사 단말기, 상기 다수개의 교실 서버 및 상기 다수개의 학생 단말기는 유/무선 네트워크 망으로 연결되고,
    상기 교실 서버는,
    해당 교실 수업에 따른 수업안 및 수업안에 따른 콘텐츠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미리 전송받아 저장하며, 상기 교사 단말기 및 다수의 학생 단말기가 접속할 경우, 각각 단말기의 인증과정을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된 교사 단말기 및 다수의 학생 단말기에 상기 미리 전송받아 저장된 수업안에 따른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실 서버는,
    상기 수업안 및 수업안에 따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는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업안 및 수업안에 따른 콘텐츠는,
    상기 교사 단말기의 제어 하에 스크린에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실 서버는,
    해당 교실의 수업시간에 인증 완료한 교사 단말기 및 다수의 학생 단말기 간의 질의 및 응답이 가능하도록 양방향 통신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과서 종류는,
    과목별, 교과서별, 학년별, 학기별 및 저자별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과서 단원은,
    교과서 목차에 따라 계층화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수업안을 설계 및 편집할 수 있는 서비스와, 콘텐츠 추가 및 편집 서비스와 생성된 수업안 또는 콘텐츠를 공유하여 다른 교사들과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를 웹브라우저 형식으로 제공하는 웹서비스 모듈;
    상기 웹서비스 모듈을 통해 교사가 선택한 콘텐츠들을 시간상 순서를 정하여 배열할 경우, 이를 조합하여 수업안으로 생성하는 수업안 생성 모듈;
    상기 수업안 생성 모듈을 통해 생성된 수업안을 교사별로 누적하고 관리하며, 수업안 및 수업안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해당 교실의 교실서버로 전송하는 수업안 관리 모듈;
    교사의 요청에 따라 상기 웹서비스 모듈을 통해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는 콘텐츠 편집툴을 제공하고, 편집된 콘텐츠를 별도의 콘텐츠로 생성하는 콘텐츠 관리 모듈;
    교사 인증을 수행하는 고객관리부;
    학생별 누적된 학습 결과를 이용하여 학생별, 반별, 학년별, 전체 인원별로 학습성취도를 통계하는 학생 관리 모듈;
    상기 교실 서버, 교사 단말기 및 학생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을 담당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부;
    교사의 고유정보 및 교사의 수업 스케쥴이 저장되어 있는 교사 정보 데이터베이스;
    교과서 종류별 및 단원별로 유닛화 된 다수개의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교과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교사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콘텐츠 또는 상기 교과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가 편집되어 새롭게 생성된 콘텐츠를 교사별로 저장하는 교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생성된 수업안이 교사별로 저장되는 수업안 데이터베이스;
    별도의 공유게시판을 통해 업로드되는 게시물을 저장하는 공유게시판 데이터베이스;
    교실 서버의 고유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교실 서버 데이터베이스; 및
    학생의 고유 정보 및 출결상황과 학습결과가 누적되어 저장되는 학생 정보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교사의 수업 스케쥴에는,
    수업일자, 수업시간, 수업교실, 해당 과목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교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교사의 고유 ID, 비밀번호, 성명, 교과과목 및 교사인증번호(EPKI 또는 GPKI)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교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교사가 지정한 다른 유저들이 친구로 등록되어 있는 친구목록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교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교사가 상기 교과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공유게시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들을 스크랩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비스 모듈은,
    교사가 수업안 설계를 요청하는 경우, 수업안 생성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업안 생성 화면은,
    교사가 수업안을 설계할 수 있는 수업 설계 화면과, 필요한 콘텐츠를 로딩시키는 콘텐츠 로딩 화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업안 생성 화면은,
    교사가 상기 콘텐츠 로딩 화면에 로딩한 콘텐츠를 수업 설계 화면에 드래그 앤 드롭함으로써 원하는 콘텐츠만을 선택한 뒤, 상기 수업 설계 화면에 배치된 콘텐츠를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시간상 순서대로 배열시킬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
  15.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업안 관리 모듈은,
    해당 교사의 수업 시간 전에, 컨텐츠의 전송이 원활한 시간대를 판단하여, 상기 설계된 수업안 및 수업안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해당 교실의 교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
  16.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업안 관리 모듈은,
    교실 서버별로 하루 수업 스케쥴에 필요한 수업안 및 수업안에 해당하는 학습 콘텐츠를 일괄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
  17.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업안 관리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생성된 수업안의 공개 유/무를 선택받아, 상기 수업안을 사용자가 지정한 일부 또는 전부에게 공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
  1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비스 모듈은,
    현재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대한 가이드 정보 또는 현재 마우스가 위치한 메뉴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별도의 창 또는 현재 마우스가 위치한 화면에 중첩되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웹서비스 모듈을 통해 제공되는 각 메뉴에 대한 설명 및 서비스에 대한 가이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가이드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
  20. 교사 단말기, 다수개의 학생 단말기, 다수개의 교실 서버 및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을 이용한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교사 단말기가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한 후, 서비스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이용하여 수업안을 설계하는 단계;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설계된 수업안 및 수업안에 따른 콘텐츠를 해당 교실의 교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교사 단말기 및 학생 단말기가 해당 교실의 교실 서버에 접속하였을 경우, 교실 서버는 상기 교사 단말기 및 학생 단말기의 인증과정을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수행하는 단계; 및
    인증 완료된 교사 단말기 및 학생 단말기에 상기 수업안 및 수업안에 따른 콘텐츠를 각각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교실 서버가 상기 학생 단말기로부터 해당 수업에 대한 학습결과를 취합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교실 서버가 상기 교사 단말기 및 학생 단말기의 인증과정을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인증완료된 교사 단말기 및 학생 단말기 간의 질의 및 응답이 가능하도록 양방향 통신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교실 서버가 상기 교사 단말기 및 학생 단말기의 인증과정을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인증완료된 교사 단말기가 교실 서버에 저장된 수업안 및 수업안에 따른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교사 단말기가 교실 서버에 저장된 수업안 및 수업안에 따른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을 경우,
    교실 서버에 저장된 수업안 및 수업안에 따른 콘텐츠를 교실 내에 구비된 스크린에 재생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25.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이용하여 수업안을 설계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교사 단말기로부터 설계하고자 하는 교과서 종류를 선택받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교과서 내의 단원을 선택받는 단계와;
    상기 선택받은 단원의 수업안을 생성할 수 있도록 수업안 생성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수업안 생성 화면을 통해 설계된 수업안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하고자 하는 교과서 종류를 선택받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교과서를 과목, 학년별, 학기별 및 저자별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하고자 하는 교과서 종류를 선택받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기 저장된 교사의 수업스케쥴에 대응되는 교과서 종류를 우선적으로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28.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교과서 내의 단원을 선택받는 단계에서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선택된 교과서 목차에 따라 교과서 내의 단원들을 계층형 구조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29.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교과서 내의 단원을 선택받는 단계에서는,
    교사 단말기가 입력한 페이지 범위를 하나의 단원으로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30.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수업안 생성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교사 단말기가 수업안을 설계할 수 있는 수업 설계 화면과, 필요한 콘텐츠를 로딩시키는 콘텐츠 로딩 화면으로 구성된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수업안 생성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교사단말기가 상기 콘텐츠 로딩 화면에 로딩한 콘텐츠를 수업 설계 화면에 드래그 앤 드롭함으로써 원하는 콘텐츠만을 선택한 뒤, 상기 수업 설계 화면에 배치된 콘텐츠를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시간상 순서대로 배열시킬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32.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수업안 생성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교사단말기가 선택한 수업안 단원에 맞춰, 콘텐츠 사용 빈도가 높은 콘텐츠들을 우선적으로 수업 설계 화면 및 콘텐츠 로딩 화면에 배열해 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33.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수업안 생성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콘텐츠 로딩 화면을 통해 교과서 자료, 연관자료, PC자료, 검색을 통한 콘텐츠를 로딩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교과서 자료에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저자의 교과서에 포함되는 콘텐츠들이 로딩되는 내 교과서 자료와, 다른 저자가 저술한 동일학년의 동일과목에 포함되는 콘텐츠들이 로딩되는 연관 교과서 자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35.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자료에는,
    동영상 콘텐츠들이 로딩되는 멀티미디어 자료와,
    동영상 콘텐츠 외의 콘텐츠들이 로딩되는 과목 공통 자료와,
    다른 사용자가 생성한 공개된 수업안들과 별도의 공유게시판을 통해 등록된 콘텐츠들이 로딩되는 공유자료 및,
    다양한 콘텐츠들에 대해 사용자가 스크랩한 정보가 로딩되는 스크랩 자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36.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PC 자료에는,
    사용자가 편집한 별도의 콘텐츠들이 로딩되는 고객 콘텐츠 자료와,
    교사 단말기를 통해 업로드 되는 자료와,
    인터넷을 통해 등록되는 웹페이지 자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3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수업안 생성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가이드 메뉴를 별도로 제공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대한 가이드 정보 또는 현재 마우스가 위치한 메뉴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별도의 창 또는 현재 마우스가 위치한 화면에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38.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수업안 생성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콘텐츠 생성하기 메뉴를 별도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직접 콘텐츠를 생성 또는 편집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39.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수업안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교사단말기로부터 생성된 수업안의 공개 유/무를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30021719A 2013-02-28 2013-02-28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1077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719A KR20140107769A (ko) 2013-02-28 2013-02-28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719A KR20140107769A (ko) 2013-02-28 2013-02-28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769A true KR20140107769A (ko) 2014-09-05

Family

ID=51755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719A KR20140107769A (ko) 2013-02-28 2013-02-28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7769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171B1 (ko) * 2018-12-04 2019-09-27 이기택 카드 기반 교육 과정 수립 및 평가 시스템
CN110738885A (zh) * 2019-10-30 2020-01-31 北京普瑞华夏国际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未来互动课堂教学系统
KR20220022709A (ko) * 2020-08-19 2022-02-28 이우진 온라인 상에서 역량 범주화를 통한 기업가정신 교육 커리큘럼 효과성 테스트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382385B1 (ko) * 2021-09-16 2022-04-08 우석규 통합 온라인 교육 플랫폼 시스템 및 통합 온라인 교육 방법
KR102391075B1 (ko) * 2021-08-26 2022-04-28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교육용 콘텐츠 제공 및 수업자료 제작 웹사이트 관리 시스템
CN114554239A (zh) * 2022-02-23 2022-05-27 北京碧云数创科技有限公司 教学直播系统和方法
KR102530740B1 (ko) * 2022-08-10 2023-05-11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퀴즈 게임을 이용한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30075660A (ko) * 2021-11-23 2023-05-31 한국전력공사 부분방전진단 훈련 장치 및 방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171B1 (ko) * 2018-12-04 2019-09-27 이기택 카드 기반 교육 과정 수립 및 평가 시스템
CN110738885A (zh) * 2019-10-30 2020-01-31 北京普瑞华夏国际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未来互动课堂教学系统
KR20220022709A (ko) * 2020-08-19 2022-02-28 이우진 온라인 상에서 역량 범주화를 통한 기업가정신 교육 커리큘럼 효과성 테스트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423836B1 (ko) * 2021-08-26 2022-07-22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사용자 개별적으로 취약한 단원의 교육용 콘텐츠를 선별하여 제고하는 관리 시스템
KR102391075B1 (ko) * 2021-08-26 2022-04-28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교육용 콘텐츠 제공 및 수업자료 제작 웹사이트 관리 시스템
KR102423833B1 (ko) * 2021-08-26 2022-07-22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교육용 콘텐츠 관리 시스템
KR102423835B1 (ko) * 2021-08-26 2022-07-22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개인 맞춤형의 교육용 콘텐츠와 수업자료의 제작이 하나의 웹사이트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시스템
KR102423837B1 (ko) * 2021-08-26 2022-07-22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교육용 콘텐츠가 학년, 과목, 교과서명, 단원별로 필터링되어 제공되는 관리 시스템
KR102423834B1 (ko) * 2021-08-26 2022-07-22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수업자료 제작 웹사이트 관리 시스템
KR102382385B1 (ko) * 2021-09-16 2022-04-08 우석규 통합 온라인 교육 플랫폼 시스템 및 통합 온라인 교육 방법
KR20230075660A (ko) * 2021-11-23 2023-05-31 한국전력공사 부분방전진단 훈련 장치 및 방법
KR20230129214A (ko) * 2021-11-23 2023-09-07 한국전력공사 부분방전진단 훈련 장치
KR20230129213A (ko) * 2021-11-23 2023-09-07 한국전력공사 부분방전진단 훈련 장치
CN114554239A (zh) * 2022-02-23 2022-05-27 北京碧云数创科技有限公司 教学直播系统和方法
CN114554239B (zh) * 2022-02-23 2023-08-25 北京碧云数创科技有限公司 教学直播系统和方法
KR102530740B1 (ko) * 2022-08-10 2023-05-11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퀴즈 게임을 이용한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7769A (ko)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Hennessy et al. Learning from international experiences with interactive whiteboards: The role of professional development in integrating the technology
Sandars et al. Twelve tips for using digital storytelling to promote reflective learning by medical students
US10192455B2 (en) User device, server,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eparing and reproducing contents for digital less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Wenk Open educational resources (OER) inspire teaching and learning
CN106157715A (zh) 一种多媒体网络教学系统
Foulger et al. Instructors' growth in TPACK: Teaching technology-infused methods courses to preservice teachers
Havelka Mobile information literacy: Supporting students’ research and information needs in a mobile world
Fransson et al. From a student perspective, what constitutes a good (or less good) use of ICT in teaching?
Hemmig et al. The “just for me” virtual library: Enhancing an embedded eBrarian program
Tzoc Libraries and faculty collaboration: Four digital scholarship examples
Wheeler et al. “We are all distance learners now”: How distance learning informed a library team’s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Nash Moodle Course Design Best Practices: Design and Develop Outstanding Moodle Learning Experiences
KR101330715B1 (ko) 맞춤형 교수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방법
RU121627U1 (ru) Учебная социальная сеть
Upitis et al. Cadenza: An online tool for transforming music learning
Anderson et al. Life after TILT: Building an interactive information literacy tutorial
Power et al. The classroom in your pocket?
Tzoc et al. The Digital Literacy Partnership Website: Promoting interdisciplinary scholarship between faculty, students, and librarians
Gunawan et al. E-Learning through social media in the virtual learning environment
Ostashewski et al. The iPad in the classroom: Three implementation cases highlighting pedagogical activities, integration issues, an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strategies
Pietrzak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resources of the Internet in education natural sciences
Aarsvold et al. Shaping the roles of academic librarians to meet emerging demands of DH scholarship
Lowenthal Improving the design of PowerPoint presentations
Thomas Piloting a programme of training in the use of electronic resources at a university library: lessons learn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