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7727A - Usn 기반 조선소 대형장비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Usn 기반 조선소 대형장비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7727A
KR20140107727A KR1020130020592A KR20130020592A KR20140107727A KR 20140107727 A KR20140107727 A KR 20140107727A KR 1020130020592 A KR1020130020592 A KR 1020130020592A KR 20130020592 A KR20130020592 A KR 20130020592A KR 20140107727 A KR20140107727 A KR 20140107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hipyard
equipment
shipbuilding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경환
이혁
강래원
권상준
김성구
Original Assignee
아이리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리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리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0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7727A/ko
Publication of KR20140107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7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1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cooperation between machine tools, manipulators and conveyor or other workpiece supply system, workcel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network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SN 기반 조선소 대형장비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USN 기반 조선소 대형장비 모니터링 방법은 조선소의 각 현장에 다수로 배치되어 각종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고소차와 같은 조선소 대형장비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가 USN을 통해 일괄적이고 통합적으로 검출되어 관리 및 분석되고, 관리자나 현장의 작업자에게 조선소 대형장비 관련정보가 실시간으로 제공됨에 따라 장비관리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한편, 장비 이상발생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USN 기반 조선소 대형장비 모니터링 방법은 조선소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조선소용 대형장비 각각에 설치되어 각 조선소용 대형장비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를 검출하게 되는 복수개의 위치센서와 상태정보 검출센서로 이루어지는 위치검출 USN 모듈과 상태정보 검출 USN 모듈, 조선소 전체영역을 구획하고 있는 복수의 분할영역 내에 각각 배치되어 분할영역 내의 각 위치센서와 각 상태정보 검출센서와 무선통신하여 분할영역 내의 각 조선소용 대형장비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를 전달받아 수집하게 되는 복수개의 M2M 중계기, M2M 중계기와 무선통신하여 수집된 전체 조선소용 대형장비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를 전달받게 되는 기지국, 기지국과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으로 연결되어 전체 조선소용 대형장비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관리하게 되고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로부터 분석정보를 산출하게 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는 시스템 구축단계와; 조선소의 관리자에 의해 운용되는 관리자 단말기를 구비하여 관리자 단말기와 관리서버가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하고,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각 조선소용 대형장비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 및 분석정보가 출력되면서 관리자에 의해 각 조선소용 대형장비가 원격으로 모니터링되도록 하는 관리자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Description

USN 기반 조선소 대형장비 모니터링 방법{Monitoring mehtod based on USN for large equipment of shipyard}
본 발명은 USN 기반 조선소 대형장비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조선소의 각 현장에 다수로 배치되어 각종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고소차와 같은 조선소 대형장비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가 USN을 통해 일괄적이고 통합적으로 검출되어 관리 및 분석되고, 관리자나 현장의 작업자에게 조선소 대형장비 관련정보가 실시간으로 제공됨에 따라 장비관리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한편, 장비 이상발생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USN 기반 조선소 대형장비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선소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선박 건조는 각종 소재가 다양한 장비를 통해 운반, 가공, 조립되면서 수행되는데, 이와 같은 선박 건조 작업을 모니터링하고, 각종 장비, 장치, 기구, 물품 등의 위치정보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관리 및 통제가 원활하고 안정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조선소 모니터링 시스템이 현재 개발되어 구축되고 있다. 이와 같은 조선소 모니터링 시스템은 장비, 장치, 기구, 물품 등의 모니터링 대상체에 적용되는 복수개의 센서나 복수개의 전자태그를 구비하고, 각 센서나 전자태그로부터 센싱 대상체의 상태정보나 위치정보를 전송받는 메인 관리서버를 통해 센싱 대상체에 대한 관리나 통제가 수행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센서, 전자태그와 메인 관리서버 사이에 별도의 중계기를 설치하여 다량의 센서나 전자태그로부터 전송되는 센싱 대상체 상태정보나 위치정보가 원활하게 메인 관리서버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조선소 모니터링 시스템은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나 전자태그와 메인 관리서버 간 통신 안정성이 높지 않아 정보 공유 신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메인 관리서버를 운용하는 관리자에 의해 조선소 현장이 모니터링되는 것임에 따라, 장비 이상 발생시 신속한 대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위치검출 USN 모듈, 상태정보검출 USN 모듈과 M2M 중계기 간 와이파이 통신, M2M 중계기와 기지국 간 LTE 통신,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으로 연결된 기지국과 관리서버 간 통신으로 위치정보와 상태정보가 전달되는 한편, 관리자 단말기와 작업자 단말기가 관리서버와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으로 연결되어 위치정보, 상태정보, 분석정보를 전달받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축되도록 함으로써 조선소의 각 현장에 다수로 배치되어 각종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고소차와 같은 조선소 대형장비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가 USN을 통해 일괄적이고 통합적으로 검출되어 관리 및 분석되고, 관리자나 현장의 작업자에게 조선소 대형장비 관련정보가 실시간으로 제공됨에 따라 장비관리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한편, 장비 이상발생시 조선소 현장의 작업자가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USN 기반 조선소 대형장비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조선소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조선소용 대형장비 각각에 설치되어 각 조선소용 대형장비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를 검출하게 되는 복수개의 위치센서와 상태정보 검출센서로 이루어지는 위치검출 USN 모듈과 상태정보 검출 USN 모듈, 조선소 전체영역을 구획하고 있는 복수의 분할영역 내에 각각 배치되어 분할영역 내의 각 위치센서와 각 상태정보 검출센서와 무선통신하여 분할영역 내의 각 조선소용 대형장비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를 전달받아 수집하게 되는 복수개의 M2M 중계기, 상기 M2M 중계기와 무선통신하여 수집된 전체 조선소용 대형장비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를 전달받게 되는 기지국, 상기 기지국과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으로 연결되어 전체 조선소용 대형장비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관리하게 되고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로부터 분석정보를 산출하게 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는 시스템 구축단계와; 조선소의 관리자에 의해 운용되는 관리자 단말기를 구비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와 관리서버가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각 조선소용 대형장비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 및 분석정보가 출력되면서 관리자에 의해 각 조선소용 대형장비가 원격으로 모니터링되도록 하는 관리자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USN 기반 조선소 대형장비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USN 기반 조선소 대형장비 모니터링 방법은 조선소의 특정 분할영역에 위치한 작업자가 소지하게 되고 상기 관리서버와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으로 연결되는 작업자 단말기를 통해 작업자가 위치한 분할영역에 위치된 조선소용 대형장비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 및 분석정보가 출력되면서 작업자에 의해 특정 분할영역에 위치한 조선소용 대형장비가 모니터링되도록 하는 작업자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USN 기반 조선소 대형장비 모니터링 방법에서 상기 작업자 단말기는 조선소용 대형장비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 및 분석정보의 출력과 관리가 수행되는 조선소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USN 기반 조선소 대형장비 모니터링 방법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조선소용 대형장비의 상태정보로부터 고장유무 정보를 산출하여 조선소용 대형장비의 고장발생이 추정될 시 이상발생 알림메시지를 생성시키고,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 상기 이상발생 알림메시지를 PUSH 방식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의한 USN 기반 조선소 대형장비 모니터링 방법에 의하면, 위치검출 USN 모듈, 상태정보검출 USN 모듈과 M2M 중계기 간 와이파이 통신, M2M 중계기와 기지국 간 LTE 통신,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으로 연결된 기지국과 관리서버 간 통신으로 위치정보와 상태정보가 실시간으로 전달되고, 관리자 단말기와 작업자 단말기가 관리서버와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으로 연결되어 위치정보, 상태정보, 분석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게 되므로, 조선소의 각 현장에 다수로 배치되어 각종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고소차와 같은 조선소 대형장비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가 USN을 통해 일괄적이고 통합적으로 검출되어 관리되고 분석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USN 기반 조선소 대형장비 모니터링 방법은 관리자나 현장의 작업자에게 조선소 대형장비 관련정보가 실시간으로 제공되므로, 장비관리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한편, 장비 이상 발생시 조선소 현장의 작업자가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N 기반 조선소 대형장비 모니터링 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N 기반 조선소 대형장비 모니터링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조선소의 고소차에 적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N 기반 조선소 대형장비 모니터링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는 조선소의 고소차에 적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N 기반 조선소 대형장비 모니터링 방법의 작업자 모니터링 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USN 시스템, 조선소, 조선소용 대형장비, 고소차, M2M 중계기, 기지국, 서버, 센서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N 기반 조선소 대형장비 모니터링 방법은 도 1에서와 같이 시스템 구축단계, 관리자 모니터링 단계, 작업자 모니터링 단계를 거쳐 수행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N 기반 조선소 대형장비 모니터링 방법은 조선소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대형장비인 고소차(2)의 모니터링에 적용되는데, 본 발명의 USN 기반 조선소 대형장비 모니터링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스템 구축단계는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조선소에 배치되는 고소차(2)와 같은 복수개의 조선소용 대형장비(1) 각각에 설치되어 각 조선소용 대형장비(1)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를 검출하게 되는 복수개의 위치센서(11)와 상태정보 검출센서(21)로 이루어지는 위치검출 USN 모듈(10)과 상태정보검출 USN 모듈(20), 조선소 전체영역을 구획하고 있는 복수의 분할영역 내에 각각 배치되어 분할영역 내의 각 위치센서(11)와 각 상태정보 검출센서(21)와 무선통신하여 분할영역 내의 각 조선소용 대형장비(1)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를 전달받아 수집하게 되는 복수개의 M2M 중계기(30), 복수개의 M2M 중계기(30)와 무선통신하여 수집된 전체 조선소용 대형장비(1)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를 전달받게 되는 기지국(40), 기지국(40)과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으로 연결되어 전체 조선소용 대형장비(1)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관리하게 되고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로부터 분석정보를 산출하게 되는 관리서버(50)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100)을 구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위치센서(11)로는 GPS 수신기(111), 자이로 센서(gyro sensor)(112)가 사용되고, 상태정보 검출센서(21)로는 유류잔량 측정센서(211), 전류 측정센서(212), 전압 측정센서(213), 유압 측정센서(214)가 사용ㄷ된. 유류잔량 측정센서(211)로는 유량센서가 사용될 수 있고, 유압 측정센서(214)로는 압력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전류 측정센서(212)를 통해 조선소용 대형장비(1)에 대한 전원인가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검출 USN 모듈(10)의 위치센서(11)와 상태정보검출 USN 모듈(20)의 상태정보 검출센서(21) 및 M2M 중계기(30)는 지그비 통신기나 와이파이 통신기를 구비하여 지그비 통신하거나 와이파이 통신으로 상호간 무선통신을 수행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센서(11), 상태정보 검출센서(21)와 M2M 중계기(30)는 와이파이 통신기를 구비하여 상호간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한다. M2M 중계기(30)와 기지국(40)은 LTE 통신기를 구비하여 상호간 LTE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관리서버(50)는 각 조선소용 대형장비(1)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가 저장되어 관리되는 통합DB(51)와; 조선소용 대형장비(1)의 위치정보 이력으로부터 조선소용 대형장비(1)의 위치추적정보, 속도정보, 이동방향정보 등을 산출하게 되고, 조선소용 대형장비(1)의 상태정보로부터 전원인가유무 정보, 유류잔량정보, 전압정보, 유압정보, 고장유무 정보, 조선소용 대형장비 운용이력정보 등을 산출하게 되는 분석모듈(52)을 구비하게 된다.
관리자 모니터링 단계는 조선소의 관리자에 의해 운용되는 관리자 단말기(70)를 구비하여 관리자 단말기(70)와 관리서버(50)가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하고, 관리자 단말기(70)를 통해 각 조선소용 대형장비(1)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 및 분석정보가 출력되면서 관리자에 의해 각 조선소용 대형장비가 원격으로 모니터링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관리자 단말기(70)는 관리자가 위치한 공간에 설치되는 컴퓨터(71)가 사용된다.
작업자 모니터링 단계는 도 4에서와 같이 조선소의 특정 분할영역에 위치한 작업자가 소지하게 되고 관리서버(50)와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으로 연결되는 작업자 단말기(60)를 통해 작업자가 위치한 분할영역에 위치된 조선소용 대형장비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 및 분석정보가 출력되면서 작업자에 의해 특정 분할영역에 위치한 조선소용 대형장비가 모니터링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작업자 단말기(60)로는 조선소용 대형장비(1)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 및 분석정보의 출력과 관리가 수행되는 조선소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65)이 설치되는 스마트 폰(61), 스마트 패드, 태블릿 PC 등의 스마트 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서버(50)는 조선소용 대형장비(1)의 상태정보로부터 고장유무 정보를 산출하여 조선소용 대형장비(1)의 고장발생이 추정될 시 이상발생 알림메시지를 생성시키고, 작업자 단말기(60)로 이상발생 알림메시지를 PUSH 방식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현장의 작업자에게 조선소 대형장비 관련정보가 실시간으로 제공되므로, 장비관리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한편, 장비 이상 발생시 조선소 현장의 작업자가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N 기반 조선소 대형장비 모니터링 방법은 위치검출 USN 모듈(10), 상태정보검출 USN 모듈(20)과 M2M 중계기(30) 간 와이파이 통신, M2M 중계기(30)와 기지국(40) 간 LTE 통신,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으로 연결된 기지국(40)과 관리서버(50) 간 통신으로 위치정보와 상태정보가 실시간으로 전달되고, 관리자 단말기(70)와 작업자 단말기(60)가 관리서버(50)와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으로 연결되어 위치정보, 상태정보, 분석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게 되므로, 조선소의 각 현장에 다수로 배치되어 각종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고소차(2)와 같은 조선소용 대형장비(1)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가 USN을 통해 일괄적이고 통합적으로 검출되어 관리되고 분석되는 특징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N 기반 조선소 대형장비 모니터링 방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조선소용 대형장비 2 : 고소차
10 : 위치검출 USN 모듈 11 : 위치센서
111 : GPS 수신기 112 : 자이로센서
20 : 상태정보 검출 USN 모듈 21 : 상태정보 검출센서
211 : 유류잔량 측정센서 212 : 전류 측정센서
213 : 전압 측정센서 214 : 유압 측정센서
30 : M2M 중계기 40 : 기지국
50 : 관리서버 51 : 통합DB
52 : 분석모듈 60 : 작업자 단말기
61 : 스마트폰 65 : 조선소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
70 : 관리자 단말기 71 : 관리자 컴퓨터
100 : USN 기반 조선소 대형장비 모니터링 방법

Claims (4)

  1. 조선소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조선소용 대형장비 각각에 설치되어 각 조선소용 대형장비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를 검출하게 되는 복수개의 위치센서와 상태정보 검출센서로 이루어지는 위치검출 USN 모듈과 상태정보 검출 USN 모듈, 조선소 전체영역을 구획하고 있는 복수의 분할영역 내에 각각 배치되어 분할영역 내의 각 위치센서와 각 상태정보 검출센서와 무선통신하여 분할영역 내의 각 조선소용 대형장비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를 전달받아 수집하게 되는 복수개의 M2M 중계기, 상기 M2M 중계기와 무선통신하여 수집된 전체 조선소용 대형장비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를 전달받게 되는 기지국, 상기 기지국과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으로 연결되어 전체 조선소용 대형장비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관리하게 되고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로부터 분석정보를 산출하게 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는 시스템 구축단계와;
    조선소의 관리자에 의해 운용되는 관리자 단말기를 구비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와 관리서버가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각 조선소용 대형장비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 및 분석정보가 출력되면서 관리자에 의해 각 조선소용 대형장비가 원격으로 모니터링되도록 하는 관리자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 기반 조선소 대형장비 모니터링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조선소의 특정 분할영역에 위치한 작업자가 소지하게 되고 상기 관리서버와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으로 연결되는 작업자 단말기를 통해 작업자가 위치한 분할영역에 위치된 조선소용 대형장비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 및 분석정보가 출력되면서 작업자에 의해 특정 분할영역에 위치한 조선소용 대형장비가 모니터링되도록 하는 작업자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 기반 조선소 대형장비 모니터링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단말기는 조선소용 대형장비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 및 분석정보의 출력과 관리가 수행되는 조선소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 기반 조선소 대형장비 모니터링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조선소용 대형장비의 상태정보로부터 고장유무 정보를 산출하여 조선소용 대형장비의 고장발생이 추정될 시 이상발생 알림메시지를 생성시키고,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 상기 이상발생 알림메시지를 PUSH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 기반 조선소 대형장비 모니터링 방법.
KR1020130020592A 2013-02-26 2013-02-26 Usn 기반 조선소 대형장비 모니터링 방법 KR201401077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592A KR20140107727A (ko) 2013-02-26 2013-02-26 Usn 기반 조선소 대형장비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592A KR20140107727A (ko) 2013-02-26 2013-02-26 Usn 기반 조선소 대형장비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727A true KR20140107727A (ko) 2014-09-05

Family

ID=51755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592A KR20140107727A (ko) 2013-02-26 2013-02-26 Usn 기반 조선소 대형장비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77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895A (ko) * 2019-10-31 2021-05-10 정우돈 곤돌라 운영 관리 시스템
KR20220061599A (ko) * 2020-11-06 2022-05-13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위치정보 기반 대기시간 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895A (ko) * 2019-10-31 2021-05-10 정우돈 곤돌라 운영 관리 시스템
KR20220061599A (ko) * 2020-11-06 2022-05-13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위치정보 기반 대기시간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7178B2 (en) Server rack for improved data center management
KR101712563B1 (ko) 시설물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3941139A (zh) 基于物联网技术的漏电监测保护系统
KR20150112049A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긴급구난 시스템
CN104345719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危险源监控方法及系统
RU2015101174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эксплутационных характеристик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вагона
JP685967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40107728A (ko) Usn 기반 조선소 대형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CN104700228A (zh) 基于安卓的公共管廊巡检管理系统
KR20140107727A (ko) Usn 기반 조선소 대형장비 모니터링 방법
KR101917805B1 (ko) 변전설비 시공 현장의 실시간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353928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크레인 관리 장치
JP2010026907A (ja) 検針システム
JP2017219926A (ja) センサシステム
KR101517820B1 (ko) 발전플랜트 현장 정비지원 스마트카트
CN102938191B (zh) 特种设备应急救援系统及方法
KR20160099902A (ko) 부품 수명관리 시스템
JP6545379B2 (ja) エレベーターの状態情報通信装置及び遠隔監視システム
JP5695225B1 (ja) 通信管理システム及び通信管理方法
EP2757803B1 (en) Field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CN105629857A (zh) 一种用于监控飞行训练设备环境的系统
CN104880645A (zh) 基于物联网技术的漏电监测保护系统
KR101651063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위치인식 기반의 원격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N104316165A (zh) 变电站异响短信预警系统
CN103595785A (zh) 一种车载加固服务器的云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