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7055A - 배수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 Google Patents

배수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7055A
KR20140107055A KR1020130021577A KR20130021577A KR20140107055A KR 20140107055 A KR20140107055 A KR 20140107055A KR 1020130021577 A KR1020130021577 A KR 1020130021577A KR 20130021577 A KR20130021577 A KR 20130021577A KR 20140107055 A KR20140107055 A KR 20140107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pump
pump case
filter
pump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3655B1 (ko
Inventor
정운석
정민호
장삼용
이승목
백광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1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655B1/ko
Priority to EP14156376.7A priority patent/EP2772582B1/en
Priority to US14/190,766 priority patent/US9657428B2/en
Publication of KR20140107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20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2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628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8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specially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F05B2260/303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with a bayonet coupling

Abstract

본 발명은 펌프필터를 착탈하는 구조를 개선한 배수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캐비닛, 터브, 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펌프케이스, 상기 터브로부터 유입된 세탁수의 이물질을 걸러주며 펌프케이스에 대해 착탈 가능한 펌프필터, 펌프필터의 일측에 결합되여 상기 펌프필터를 회전시키는 펌프필터 헤드를 포함하며, 펌프필터 헤드는, 펌프케이스의 일측과 맞물려 결합된 제1상태와 펌프케이스에서 해제된 제2상태를 가지는 제1헤드, 제1헤드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1헤드와 별개로 회전 가능한 제2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펌프필터가 펌프케이스에 대해 완전히 잠기었는지의 여부를 감성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펌프케이스에 대해 펌프필터가 완전히 잠기지 않아 발생하는 누수에 따른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수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Drain Pump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수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펌프필터를 착탈하는 구조를 개선한 배수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전력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탁하는 기계로서, 일반적으로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와,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와, 회전조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와, 터브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와, 터브 내의 세탁수를 강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펌프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배수펌프는 세탁수가 수용되는 세탁수 유입실과 배수펌프실을 구비한 펌프케이스와, 펌프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펌핑모터를 가진다. 펌프케이스의 내부에는 세탁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펌프필터가 설치되고, 배수펌프실에는 펌핑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임펠러가 설치된다.
펌핑모터에 의해 임펠러가 회전하면 터브 내의 세탁수는 세탁수 유입실로 유입되고, 세탁수 유입실로 유입된 세탁수는 펌프필터를 통과한 후 배수펌프실로 흡입되며, 배수펌프실에 도달한 세탁수는 임펠러에 의해 배수펌프의 외부로 강제 배출된다.
세탁수가 펌프필터를 지나는 과정에서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펌프필터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펌프필터를 펌프케이스로부터 인출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펌프필터를 펌프케이스에 삽입할 수 있다. 다만, 펌프필터 삽입 시 펌프필터가 펌프케이스에 삽입되어 완전히 체결되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없어 누수가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펌프필터의 삽입 여부를 소비자가 지각할 수 있도록 펌프필터의 착탈 구조를 개선한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캐비닛, 내부에 세탁수를 수용하도록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해 세탁수 유입실과 배수 펌프실이 마련되는 펌프케이스, 상기 터브로부터 유입된 세탁수의 이물질을 걸러주며 상기 펌프케이스에 대해 착탈 가능한 펌프필터, 상기 펌프필터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펌프필터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펌프필터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펌프필터 헤드는, 상기 펌프 케이스의 일측과 맞물려 결합된 제1상태와 상기 펌프 케이스에서 해제된 제2상태를 가지는 제1헤드, 상기 제1헤드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1헤드와 별개로 회전 가능한 제2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헤드는 내측에 상기 제2헤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헤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헤드는 내측에 상기 제1헤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헤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헤드와 상기 제2헤드는 소정 간격 이상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상기 제1헤드와 상기 제2헤드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헤드와 상기 제2헤드의 접촉으로 인한 소음과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헤드 돌출부는 적어도 3개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헤드 돌출부와 상기 제1헤드 돌출부 사이의 간격은 균등할 수 있다.
상기 제1헤드 돌출부와 상기 제2헤드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는 일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헤드 경사부와 상기 제2헤드 경사방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 시에 서로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헤드부는 상기 제2헤드 돌출부가 유동성을 가지도록 상기 제2헤드 돌출부와 근접하도록 마련되는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헤드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상기 펌프케이스에 대해 상기 제1헤드가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헤드의 외측에는 파지 가능한 핸들부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펌프필터와 상기 펌프케이스와의 마찰을 완충하며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펌프필터 헤드의 후면에 결합되는 씰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필터가 상기 펌프케이스 내측으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펌프필터와 접촉하는 상기 펌프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분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펌프케이스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펌프필터의 착탈시 필요한 힘을 감소시키기 위해 두께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오목하게 마련되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캐비닛과, 터브와,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를 펌핑하는 배수펌프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는, 세탁수 유입실과 배수 펌프실이 마련되는 펌프케이스, 상기 터브로부터 유입된 세탁수의 이물질을 걸러주며 상기 펌프케이스에 대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착탈가능한 펌프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펌프필터는, 상기 펌프케이스에 삽입되는 는프필터 바디, 상기 펌프필터 바디가 상기 펌프케이스에 대해 정상적으로 결합되었는지의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펌프필터 바디의 전방에 결합되어 소리를 발생하는 펌프필터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상기 펌프필터 헤드는, 상기 펌프케이스에 결합되는 제1헤드와, 상기 제1헤드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헤드를 포함하며, 제1헤드가 상기 펌프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헤드에 대해 상기 제2헤드가 별개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2헤드의 별개 회전에 의해 상기 펌프필터 헤드에서 소리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헤드가 상기 제1헤드에 대해 회전 시, 청각적 또는 촉각적 변화를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헤드는 내측에 상기 제2헤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헤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헤드는 내측에 상기 제1헤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헤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헤드가 상기 펌프 케이스에 대해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헤드와 상기 제2헤드의 사이에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1헤드와 상기 제2헤드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헤드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상기 펌프 케이스와의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이 마련되며, 상기 펌프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상기 걸림턱과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펌프필터와 상기 펌프케이스와의 마찰을 완충하며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펌프필터 헤드와 상기 펌프케이스 사이에 결합되는 씰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세탁수를 수용하는 펌프케이스, 상기 펌프케이스 내측의 이물질을 걸러주며 상기 펌프 케이스에 대해 착탈 가능하도록 바디와 헤드를 포함하는 펌프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펌프필터 헤드는 상기 펌프케이스와 결합하는 제1헤드, 상기 제1헤드의 전방에 결합되며, 상기 제1헤드가 상기 펌프케이스와 결합된 후에 추가적으로 회전이 가능한 제2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를 제공한다.
상기 제1헤드는 상기 펌프케이스와의 결합을 위한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펌프케이스는 상기 제1헤드와의 결합을 위한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헤드는 내측에 상기 제2헤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헤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헤드는 내측에 상기 제1헤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헤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헤드와 상기 제2헤드의 사이에는 상기 제1헤드와 상기 제2헤드의 균형 유지를 위한 탄성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펌프필터가 펌프케이스에 대해 완전히 잠기었는지의 여부를 감성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펌프케이스에 대해 펌프필터가 완전히 잠기지 않아 발생하는 누수에 따른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세탁기의 배수펌프와 배수호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펌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펌프에서 펌프필터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펌프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필터의 제2헤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필터의 제1헤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필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은 B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씰링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씰링부재가 결합된 배수펌프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서 세탁기의 배수펌프와 배수호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20)와,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조(30)와, 회전조(30)를 구동하는 모터(40)를 구비한다.
캐비닛(10)은 복수의 프레임(10a, 10b, 10c)을 포함하며, 프레임은 캐비닛(10)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프레임(10a)과, 측면과 후면을 형성하는 측면프레임(10c)과, 하면을 이루는 하면프레임(10b)으로 구성된다.
하면프레임(10b)은 전면에 상측으로 절곡되어 전면프레임(10a)과 결합되는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전면부에는 회전조(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11)가 형성된다. 투입구(11)는 캐비닛(10)의 전면부에 설치된 도어(12)에 의해 개폐된다.
터브(20)는 댐퍼(25)에 의해 지지된다. 댐퍼(25)는 캐비닛(10)의 내측 저면과 터브(20)의 외면을 연결한다.
터브(20)의 상부에는 터브(20)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50)이 설치된다. 급수관(50)의 일측은 외부 급수원(미도시)과 연결되고, 급수관(50)의 타측은 세제 공급장치(52)와 연결된다.
세제 공급장치(52)는 연결관(54)을 통해 터브(20)와 연결된다. 급수관(5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 공급장치(52)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된다.
회전조(30)는 원통부(31)와, 원통부(31)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면판(32)과, 원통부(31)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판(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면판(32)에는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개구(32a)가 형성되고, 후면판(33)에는 모터(40)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41)이 연결된다.
회전조(30)의 둘레에는 세탁수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34)이 구비되어 회전조(30)의 내부 공간과 터브(20)의 내부 공간이 연통된다.
회전조(30)의 내주면에는 회전조(30)가 회전할 때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리프터(35)가 설치된다.
회전조(30)와 모터(40) 사이에는 구동축(41)이 배치된다. 구동축(41)의 일단은 회전조(30)의 후면판(33)에 연결되고, 구동축(41)의 타단은 터브(20)의 후벽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모터(40)가 구동축(41)을 구동하면, 구동축(41)에 연결된 회전조(30)가 구동축(4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터브(20)의 후벽에는 구동축(4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 하우징(42)이 설치된다. 베어링 하우징(42)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터브(20)를 사출 성형할 때 터브(20)의 후벽에 인서트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42)과 구동축(41) 사이에는 구동축(41)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복수의 베어링(43)이 설치된다.
세탁 행정 시에 모터(40)는 회전조(30)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저속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회전조(30)의 내부의 세탁물이 상승, 낙하하는 운동을 반복하면서 세탁물로부터 오염물이 제거된다.
탈수 행정 시에 모터(40)가 회전조(30)를 일방향으로 고속 회전시키면 세탁물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로부터 물이 분리된다.
캐비닛(10)의 내측 하부에는 터브(20)에 저장되어 있는 세탁수를 펌핑하는 배수펌프(100)가 설치된다. 배수펌프(100)를 지난 세탁수는 배수호스(60)를 통해 세탁기 외부로 배출된다.
배수펌프(100)는 하면프레임(10b)의 돌출부와 전면프레임(10a)의 하단의 겹쳐지는 부분에 마련된 관통홀을 통해 캐비닛(10)의 전면으로 노출된다.
배수호스(60)는 캐비닛(10) 내부의 다른 부품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호스와이어(92), 호스홀더(91)들에 의해 캐비닛(10)의 내부에 결합되며, 호스가이드(90)에 의해 캐비닛(10)의 외부로 안내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펌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펌프에서 펌프필터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펌프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펌프(100)는 세탁수 유입실(111), 배수펌프실(130) 및 순환실(120)을 가지는 펌프케이스(110)와, 세탁수 유입실(111)에 삽입되는 펌프필터(160)를 구비한다. 배수펌프실(130)과 순환실(120)은 세탁수 유입실(11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펌프케이스(110)의 순환실(120)의 일측에는 순환펌프(121)가 배치되고, 순환펌프(121)에는 순환임펠러(미도시)가 연결된다. 순환임펠러(미도시)는 순환실(120) 내에 배치된다.
순환실(120)의 상단에는 세탁수를 터브(20) 내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구(123)가 순환실(120)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순환구(123)에는 순환관(80)이 연결된다.
순환펌프(121)에 의해 순환임펠러(미도시)가 회전하면서 세탁수 유입실(111) 내의 세탁수를 축방향으로 흡입한다. 순환실(120)은 세탁수 순환의 역할 외에 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순환실(120)에서 세탁수의 유동에 따른 압력강하에 의한 압력차를 이용하여 공기와 세탁수를 혼합시킴으로써 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다. 버블은 순환임펠러(미도시)에 의해 순환구(123)와 순환관(80)을 통해 터브(20) 내부로 유입된다.
세탁수 유입실(111)의 전면에는 펌프필터(140, 150)가 장착되어 터브(20)에서 유입된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펌프필터(160)는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헤드(140)와 바디(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펌프필터(160)가 펌프케이스(110)에 장착되면 펌프필터(160)의 바디(150)가 펌프케이스(110)의 세탁수 유입실(111) 내부에 수용된다. 펌프필터 바디(150)는 내벽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순환실(120)과 연통되는 내벽은 세탁수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중공이 형성되지 않으며, 배수펌프실(130)과 연통되는 내벽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순환실(120)쪽으로 이동하지 않고, 배수펌프실(130) 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헤드(140)는 제1헤드(143)와 제2헤드(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헤드(143)가 펌프케이스(110)에 결합되며, 제2헤드(142)는 제1헤드(143)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제1헤드(143)와 제2헤드(142)의 사이에는 탄성부재(144)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헤드(143)의 측면에는 펌프필터(160)가 펌프케이스(110)에 결합되도록 하는 제1나사산(143g)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헤드(142)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헤드(14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핸들부(141)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헤드(143)와 바디(150)의 사이에는 씰링부재(145)가 결합될 수 있다. 씰링부재(145)는 펌프필터(160)와 펌프케이스(110)와의 마찰을 완충하며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된다. 씰링부재(145)는 유연한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우레탄으로 마련될 수 있다.
세탁수 유입실(111)의 전방에는 펌프필터(16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입구부(112)가 형성되고, 입구부(112)의 테두리에는 펌프필터(160)의 제1나사산(143g)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2나사산(113)이 형성된다.
도 2를 참고하면, 펌프필터(160)의 헤드(140)는 하면프레임(10b)과 전면프레임(10a)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통해 캐비닛(10)의 전면으로 노출된다. 전면프레임(10a)에는 관통홀을 덮는 커버(미도시)가 결합된다.
사용자는 커버(미도시)를 열어 노출된 펌프필터(160)의 헤드(140)를 핸들부(141)를 잡고 회전하여, 펌프필터(160)를 배수펌프(100)에서 분리한 후 펌프필터(160)를 교체 또는 청소할 수 있다. 펌프필터(160)는 펌프케이스(110)에 대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착탈 가능하다.
펌프케이스(110)의 순환실(120)과 배수펌프실(130)의 외측 하단에 펌프케이스(110)를 하면프레임(10b)의 돌출부분과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122, 132)이 형성된다. 체결부재(미도시)가 하면프레임(10b)의 돌출부분을 통해 체결공(122, 132)에 체결되면, 하면프레임(10b)의 돌출부분과 펌프케이스(110)가 결합된다.
배수펌프실(130)에는 배수호스(60)가 연결되고, 배수호스(60)는 순환임펠러(미도시)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를 캐비닛(10)의 외부로 안내하여 배수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필터의 제2헤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필터의 제1헤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필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필터 헤드(140)는 제1헤드(143)와 제2헤드(142)를 포함한다. 제1헤드(143)는 펌프케이스(110)에 대해 결합 가능하다. 제1헤드(143)가 펌프케이스(110)의 일측과 맞물려 결합된 상태를 제1상태로 정의하고, 펌프케이스(110)의 일측에서 해제된 상태를 제2상태로 정의한다. 제2헤드(142)는 제1헤드(143)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1상태에서 제1헤드(143)와 별개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제1헤드(143)가 펌프케이스(110)에 결합된 경우, 제2헤드(142)는 제1헤드(143)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제1헤드(143)의 내측에는 제2헤드(142)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헤드 돌출부(143c)가 마련되며, 제2헤드(142)의 내측에는 제1헤드(143)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헤드 돌출부(142b)가 마련될 수 있다. 제1헤드 돌출부(143c)와 제2헤드 돌출부(142b)로 인해 제1헤드(143)에 대해 제2헤드(142)가 회전할 때 사용자가 청각, 촉각을 이용하여 제2헤드(142)가 제1헤드(143)에 대해 회전한다는 것을 감성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면에 제2헤드 돌출부(142b)는 6개 마련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3개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제2헤드 돌출부(142b)의 수가 적어지는 경우, 제1헤드 돌출부(143c)와 접촉하여 발생하는 청각적, 촉각적 효과가 줄어들 수 있으며, 제2헤드 돌출부(142b)의 수가 과도한 경우, 제2헤드(142)의 크기가 커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3개 내지 6개 마련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제2헤드(142)는 제2헤드 돌출부(142b)와 근접하도록 마련되는 슬릿(142c)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릿(142c)은 제2헤드 돌출부(142b)가 제2헤드(142)에 대해 유동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에 따라, 제2헤드 돌출부(142b)가 제1헤드 돌출부(143c)와 접촉하면서 제2헤드(142)가 회전하여도 제2헤드 돌출부(142b)가 파손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2헤드 돌출부(142b)의 3면을 둘러싸도록 슬릿(142c)이 마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헤드 돌출부(143c)는 제1헤드(143)의 내측에 균등한 간격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헤드(143)의 중앙부에 마련되는 제1헤드 보스(143a)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헤드홀(143f)에 탄성부재(145)가 삽입될 수 있다. 탄성부재(145)는 제1헤드홀(143f)에 대해 돌출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헤드(143)와 제2헤드(142)가 결합되는 경우, 탄성부재(145)에 의해 제1헤드(143)와 제2헤드(142)는 일정 간격 이상 이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측에 위치하는 제2헤드(142)가 제1헤드(143)에 대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145)에 의해 제1헤드(143)와 제2헤드(142)가 접촉함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과 접촉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탄성부재(145)로 코일 스프링이 사용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링 스프링, 접시형 스프링, 판 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헤드(142)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제2헤드홀(142a)과 제1헤드(143)의 바닥면 사이의 간격(d1)은 제1상태에서 0.4mm 일 수 있다. 즉, 제1헤드(143)와 펌프케이스(1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헤드(143)와 제2헤드(142) 사이에는 0.4mm 의 간격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제2헤드(142)가 제1헤드(143)에 대해 유동성을 가지면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1상태에서 제1헤드 돌출부(143c)와 제2헤드 돌출부(142b)는 적어도 일부분이 겹쳐지는 영역이 생긴다. 제1상태에서 제1헤드 돌출부(143c)와 제2헤드 돌출부(142b)가 겹쳐지는 길이(d2)는 1.07mm 내지 1.17mm일 수 있다.
또한, 제1헤드(143)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펌프케이스(110)에 대해 헤드(140)를 결합시키기 위한 걸림턱(143e)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펌프케이스(110)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걸림턱(143e)과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115)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헤드(143)의 가장자리부에는 제1헤드(143)와 제2헤드(142)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143d)가 마련될 수 있다.
제1헤드 돌출부(143c)와 제2헤드 돌출부(142b) 중 적어도 하나는 일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42f, 143f)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헤드 돌출부(143)와 제2헤드 돌출부(142)는 각각 경사부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헤드 경사부(143f)와 제2헤드 경사부(142f)는 제2헤드(142)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항으로 회전 시에 서로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헤드(142)의 회전 시, 제2헤드 돌출부(142b)가 제1헤드 돌출부(143c)를 지나가면서 제2헤드 경사부(142f)와 제1헤드 경사부(143f)가 접촉한다. 경사부(142f, 143f)로 인해 적은 힘으로도 제2헤드 돌출부(142b)가 제1헤드 돌출부(143c)를 지나갈 수 있어 제2헤드(142)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경사부(142f, 143f)는 수평면에 대해 45ㅀ 기울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가 헤드(140)를 회전시킬 때, 제1헤드(143)의 걸림턱(143e)과 펌프케이스(110)의 접촉부(115)가 접촉하여 제1헤드(143)와 펌프케이스(110)가 결합되는 제1상태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헤드(143)는 펌프케이스(110)에 대해 더 이상 회전하지 않는다. 이후, 사용자가 헤드(140)를 회전시키면, 제2헤드(142)가 제1헤드(143)에 대해 회전하며, 제2헤드(142)의 제2헤드 돌출부(142b)와 제1헤드(143)의 제1헤드 돌출부(143c)의 접촉으로 인해 사용자는 청각적, 촉각적 자극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제1헤드(143)와 펌프케이스(110)가 결합되기 전인 제2상태에서는 제1헤드(143)와 제2헤드(142)가 함께 펌프케이스(110)에 대해 회전하기 때문에 청각적, 촉각적 자극을 사용자가 느낄 수 없으나, 제1헤드(143)가 펌프케이스(110)에 결합된 제1상태에서는 제1헤드(143)는 회전하지 않으며, 제2헤드(142)만 제1헤드(143)에 대해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1헤드 돌출부(143c)와 제2헤드 돌출부(142b)의 접촉으로 인한 청각적, 촉각적 자극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으며, 펌프필터(140, 150)가 완전히 체결되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펌프필터(160)가 펌프케이스(110)에 결합되면 제1헤드 돌출부(143c)와 제2헤드 돌출부(142b)의 마찰로 인하여 "따라락" 소리가 발생하여 사용자가 펌프필터(160)의 결합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펌프필터(160)의 불완전한 체결로 인해 배수펌프(100)로부터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B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필터(160)와 접촉하는 펌프케이스(110)의 적어도 일부분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펌프케이스 경사면(11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펌프필터(160)를 착탈할 때 필요한 힘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펌프필터 바디(150)와 펌프케이스(110) 사이에는 누수 방지와 충격, 소음을 완화하기 위한 씰링부재(145)가 위치할 수 있다. 씰링부재(145)는 유연성 있는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펌프케이스(110)에 펌프 필터(160)가 삽입되기 전에는 점선으로 도시한 형상이나, 펌프케이스(110)에 삽입된 후에는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형상이 변화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씰링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씰링부재가 결합된 배수펌프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씰링부재(154)는 두께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오목하게 마련되는 오목부(154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펌프필터(160)의 착탈시 필요한 힘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펌프필터(160)가 펌프케이스(110)로 삽입되기 전 씰링부재(154)는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으나, 펌프필터(160)가 펌프케이스(110)로 삽입된 후의 씰링부재(154)는 실선과 같이 오목부(154a)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오목부(154a)로 인해 씰링부재(154)와 펌프케이스(110)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펌프 필터(160)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세탁기 10: 캐비닛
20: 터브 30: 회전조
60: 배수호스 100: 배수펌프
110: 펌프케이스 111: 세탁수 유입실
120: 배수펌프실 140: 펌프필터 헤드
141: 핸들부 142: 제2헤드
142b: 제2헤드 돌출부 143: 제1헤드
143c: 제1헤드 돌출부 144: 탄성부재
145: 씰링부재 160: 펌프필터

Claims (25)

  1. 캐비닛;
    내부에 세탁수를 수용하도록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해 세탁수 유입실과 배수 펌프실이 마련되는 펌프케이스;
    상기 터브로부터 유입된 세탁수의 이물질을 걸러주며, 상기 펌프케이스에 대해 착탈 가능한 펌프필터;
    상기 펌프필터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펌프필터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펌프필터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펌프필터 헤드는,
    상기 펌프케이스의 일측과 맞물려 결합된 제1상태와, 상기 펌프케이스에서 해제된 제2상태를 가지는 제1헤드;
    상기 제1헤드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1헤드와 별개로 회전 가능한 제2헤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헤드는 내측에 상기 제2헤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헤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헤드는 내측에 상기 제1헤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헤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헤드와 상기 제2헤드는 소정 간격 이상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헤드와 상기 제2헤드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헤드와 상기 제2헤드의 접촉으로 인한 소음과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헤드 돌출부는 적어도 3개 이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헤드 돌출부와 상기 제1헤드 돌출부 사이의 간격은 균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헤드 돌출부와 상기 제2헤드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는 일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헤드 경사부와 상기 제2헤드 경사부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 시에 서로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헤드부는 상기 제2헤드 돌출부가 유동성을 가지도록 상기 제2헤드 돌출부와 근접하도록 마련되는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헤드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상기 펌프케이스에 대해 상기 제1헤드가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헤드의 외측에는 파지 가능한 핸들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필터와 상기 펌프케이스와의 마찰을 완충하며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펌프필터 헤드의 후면에 결합되는 씰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필터가 상기 펌프케이스 내측으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펌프필터와 접촉하는 상기 펌프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분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펌프케이스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펌프필터의 착탈시 필요한 힘을 감소시키기 위해 두께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오목하게 마련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5. 캐비닛과, 터브와,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를 펌핑하는 배수펌프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는,
    세탁수 유입실과 배수 펌프실이 마련되는 펌프케이스;
    상기 터브로부터 유입된 세탁수의 이물질을 걸러주며, 상기 펌프케이스에 대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착탈 가능한 펌프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펌프필터는,
    상기 펌프케이스에 삽입되는 펌프필터 바디;
    상기 펌프필터 바디가 상기 펌프케이스에 대해 정상적으로 결합되었는지의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펌프필터 바디의 전방에 결합되어 소리를 발생하는 펌프필터 헤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필터 헤드는, 상기 펌프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1헤드와, 상기 제1헤드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헤드가 상기 펌프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헤드에 대해 상기 제2헤드가 별개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헤드의 별개 회전에 의해 상기 펌프필터 헤드에서 소리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세탁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헤드가 상기 제1헤드에 대해 회전 시, 청각적 또는 촉각적 변화를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헤드는 내측에 상기 제2헤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헤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헤드는 내측에 상기 제1헤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헤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헤드가 상기 펌프 케이스에 대해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헤드와 상기 제2헤드의 사이에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1헤드와 상기 제2헤드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헤드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상기 펌프 케이스와의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이 마련되며, 상기 펌프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상기 걸림턱과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필터와 상기 펌프케이스와의 마찰을 완충하며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펌프필터 헤드와 상기 펌프케이스 사이에 결합되는 씰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2. 세탁수를 수용하는 펌프케이스;
    상기 펌프케이스 내측의 이물질을 걸러주며, 상기 펌프 케이스에 대해 착탈 가능하도록 바디와 헤드를 포함하는 펌프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펌프필터 헤드는,
    상기 펌프케이스와 결합하는 제1헤드;
    상기 제1헤드의 전방에 결합되며, 상기 제1헤드가 상기 펌프케이스와 결합된 후에 추가적으로 회전이 가능한 제2헤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헤드는 상기 펌프케이스와의 결합을 위한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펌프케이스는 상기 제1헤드와의 결합을 위한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헤드는 내측에 상기 제2헤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헤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헤드는 내측에 상기 제1헤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헤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헤드와 상기 제2헤드의 사이에는 상기 제1헤드와 상기 제2헤드의 균형 유지를 위한 탄성부재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
KR1020130021577A 2013-02-27 2013-02-27 배수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102053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577A KR102053655B1 (ko) 2013-02-27 2013-02-27 배수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EP14156376.7A EP2772582B1 (en) 2013-02-27 2014-02-24 Washing machine
US14/190,766 US9657428B2 (en) 2013-02-27 2014-02-26 Drain pump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577A KR102053655B1 (ko) 2013-02-27 2013-02-27 배수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055A true KR20140107055A (ko) 2014-09-04
KR102053655B1 KR102053655B1 (ko) 2019-12-10

Family

ID=50156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577A KR102053655B1 (ko) 2013-02-27 2013-02-27 배수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657428B2 (ko)
EP (1) EP2772582B1 (ko)
KR (1) KR1020536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4371A (ko) * 2013-12-24 2015-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466659B1 (ko) * 2015-10-07 2022-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102489664B1 (ko) * 2016-02-16 2023-01-18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세탁기
DE102016203179B3 (de) * 2016-02-29 2017-05-11 BSH Hausgeräte GmbH Wäschepflegegerät mit einer Pumpe
CN105673521B (zh) * 2016-03-23 2018-07-03 江门市地尔汉宇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可降低排水初期困气的排水泵
CN107299902B (zh) * 2016-04-15 2021-06-25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排水泵及具有该排水泵的家用电器
CN106907334B (zh) * 2017-04-18 2019-04-09 余文星 一种带有除沙功能的基坑排水泵及方法
CN107338621A (zh) * 2017-08-11 2017-11-1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过滤装置及洗衣机
KR102517220B1 (ko) 2017-12-04 2023-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CN109957946B (zh) * 2017-12-22 2023-01-06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循环过滤装置及洗衣机
DE102019117652A1 (de) * 2018-07-12 2020-01-16 BSH Hausgeräte GmbH Waschmaschine mit Hydrozyklon und Verfahren zu deren Betrieb
US11319659B2 (en) * 2018-12-28 2022-05-03 Whirlpool Corporation Button trap and sieve for a laundry appliance
CN112145414B (zh) * 2020-09-17 2022-03-08 淄博双环真空泵厂 一种真空罗茨泵
EP4190964A4 (en) * 2021-01-15 2024-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TER DEVICE AND WASHING MACHINE COMPRISING SAME
US20220290357A1 (en) * 2021-03-03 2022-09-15 Whirlpool Corporation Removable fluid pumping and filtration apparatus
EP4357516A1 (en) * 2021-12-31 2024-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nd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0397A (ko) * 2006-03-02 2007-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필터
US20110100071A1 (en) * 2009-10-29 2011-05-05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Filter Unit for Household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38174A1 (de) * 1985-10-26 1987-04-30 Licentia Gmbh Verschlussdeckel fuer die gehaeuse von flusensieben, laugenpumpen und dgl.
ES1027271Y (es) * 1993-12-16 1995-01-16 Fagor S Coop Ltda Dispositivo de cierre de una bomba de desague para electrodomesticos.
KR101114328B1 (ko) * 2004-07-08 2012-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필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0397A (ko) * 2006-03-02 2007-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필터
US20110100071A1 (en) * 2009-10-29 2011-05-05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Filter Unit for Household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655B1 (ko) 2019-12-10
US9657428B2 (en) 2017-05-23
EP2772582A1 (en) 2014-09-03
US20140238089A1 (en) 2014-08-28
EP2772582B1 (en) 201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7055A (ko) 배수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EP2479336B1 (en) Washing machine and pump filter thereof
US11035068B2 (en) Washing machine
KR20150094326A (ko) 세탁기
US8038876B2 (en) Filter assembly of washer
US9976247B2 (en) Laundry machine with versatile tub
CN107747187B (zh) 一种洗衣机
KR20080093493A (ko) 세탁기
EP2746447B1 (en) Laundry machine with discharge manifold comprising a pump assembly
KR20080002475A (ko) 세탁기의 떨림 방지 장치
CN105980621B (zh) 洗衣机
KR20090006393A (ko) 세탁기
KR101933139B1 (ko) 드럼 세탁기
EP3656910B1 (en) Washing machine
US20090229319A1 (en) Filter assembly of washer
JP4937046B2 (ja) 洗濯機
KR200459982Y1 (ko) 세탁기용 배수펌프
CN113502643B (zh) 泵马达和具有该泵马达的洗衣机
KR101309297B1 (ko) 세탁기
RU2715470C1 (ru) Прибор для ухода за бельем, содержащий насос для стирального раствора
CN108221260B (zh) 洗衣机
JP6886283B2 (ja) 洗濯機
KR20170105331A (ko) 세탁기
EP4187011A1 (en) Washing machine
KR20180136139A (ko) 벽걸이형 드럼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