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6251A - 민들레 건조 분말 및 민들레 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민들레 건조 분말 및 민들레 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6251A
KR20140106251A KR1020130020563A KR20130020563A KR20140106251A KR 20140106251 A KR20140106251 A KR 20140106251A KR 1020130020563 A KR1020130020563 A KR 1020130020563A KR 20130020563 A KR20130020563 A KR 20130020563A KR 20140106251 A KR20140106251 A KR 20140106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ndelion
drying
far
dried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8721B1 (ko
Inventor
김성문
강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양구화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양구화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양구화동
Priority to KR1020130020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721B1/ko
Publication of KR20140106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적외선을 가해 건조된 민들레 건조 분말 및 이를 함유하는 민들레 차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할 경우, 민들레의 기능성이 극대화된 민들레 건조 분말 및 이를 함유하는 민들레 차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민들레 건조 분말 및 민들레 차의 제조방법{Method for the production of dried dandelion powder and tea therefrom}
본 발명은 민들레 건조 분말 및 이를 함유하는 민들레 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적외선을 가해 건조된 민들레 건조 분말 및 이를 함유하는 민들레 차에 관한 것이다.
민들레(Taraxacum spp.)는 국화과의 여러 해살이 풀로 예로부터 포공영이라는 약재로 불렸고, 청열해독(淸熱害毒, 열을 내리고 독소를 풀어줌)과 소종배농(消腫排膿, 종기처럼 뭉친 것을 풀어주고 고름을 배출)의 효능이 있어, 여드름, 결막염, 중이염, 위궤양 등 각종 염증질환에 사용되어온 약재이다. 민들레는 약초보다 일반 꽃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최근 그 효능이 연구되면서 수은, 납과 같은 중금속, 다이옥신 등 환경호르몬에 대한 민들레의 해독효과가 과학적으로 입증되고 있다.
민들레는 비타민 A와 칼륨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테르핀 성분은 항균, 항염, 항암예방 등의 기능을 갖추고 있을 뿐 아니라 꽃 추출물의 루테올린(luteolin)과 루테올린-7-글루코사이드(luteolin-7-glucoside)가 나이트릭 옥사이드 신타아제(nitric oxide synthase), 사이클로옥시제나아제-2(cyclooxygenase-2)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항산화 활성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민들레 뿌리에는 주요 고미물질인 타락사신(taraxacin), 이눌린(inulin)이 풍부하고, 카로티노이드(carotenoid) 성분인 타라잔틴(taraxathin), 트리테르펜(triterpene) 성분인 타락솔(taraxol), 타락사스테롤(taraxasterol) 등이 소화선을 자극하여 소화를 원활하게 하고, 간기능을 향상시키며 담즙분비를 촉진시켜 지방소화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식품 및 약용적 이용에 있어 안전성 면에서도 민들레는 GRAS(generally recognized as safe) 등급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예로부터 독성이 없기 때문에 사용량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부작용에 대한 기록도 없다.
최근 허브산업이 활성화되고 수경 야채 및 새싹채소들의 보급 확대됨에 따라 쌈채소나 샐러드 채소에 서양민들레가 많이 이용되고 있어, 그 전국적인 분포현황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인지도가 낮고 아직까지 개발되지 않은 미개발 소재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표준화되고 목적 부합적인 재배법이 개발되고, 활성물질의 분리 및 동정, 활성물질의 약리작용 메카니즘 구명 및 가공기술의 개발이 이루어진다면 우수한 식품 소재가 될 수 있다.
경제적 문화적 수준 향상에 따른 웰빙문화의 영향으로 소비자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건강 기능성 소재 개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의 시장규모는 비약적으로 성장 중이나, 작물로서의 민들레의 기능성이나 가공품 개발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위한 기반 조성은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0-0028190호(공개일자 2010. 03. 12)에는, "채취한 민들레를 흐르는 물에 입과 뿌리를 깨끗이 씻어서 완전히 건조시키는 1단계와; 건조된 민들레 약 8 키로 그램과 약 10리터의 물을 가열용기에 넣고 밀봉하는 2단계와; 가열시 증발하는 수증기를 냉각기로 통과시켜서 생성된 응축수가 가열용기로 유입되는 상태에서 섭씨 100~110℃의 온도로 7~8시간 가열하는 3단계와; 상기 가열한 민들레를 배수성이 양호한 삼베포대기에 넣고 원심분리기 또는 압출기를 이용하여 민들레 속의 수액을 추출하는 4단계와; 가열시 증발하는 수증기를 냉각기로 통과시켜서 생성된 응축수가 가열용기로 유입되는 상태에서 혼합된 내용물을 섭씨 100~110℃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살균 가열하는 5단계와; 섭씨 60~70℃의 온도에서 7~8시간 가열 숙성하는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들레 가공 방법 및 민들레 즙"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민들레 가공품으로서, 상품성이 우수한 민들레 차를 개발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민들레 뿌리에 80~120℃의 원적외선을 가해 건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들레 건조 분말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건조는 바람직하게 0.5~2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민들레 뿌리에 80~120℃의 원적외선을 가해 건조된 민들레 건조 분말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들레 차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건조는, 바람직하게 0.5~2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좋다. 차는 건조된 건조 분말을 티백 등에 담아 상품화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민들레가 갖고 있는 약리작용과 항산화성을 극대화하고자 건조방법을 원적외선 건조방법으로 처리한 후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민들레에 원적외선 처리를 통해서 페놀성 화합물과 항산화 관련 성분들의 변화를 알아본 결과, 증숙 처리한 시료보다는 열풍 건조한 민들레가 높은 함량과 활성을 보였으며, 증숙이나 열풍건조에 비해 원적외선 처리한 민들레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은 열풍 건조 제품보다 원적외선 건조 민들레가 2.7~3.3배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다. 또한, 원적외선 조사만으로 건조 민들레 제품을 제조할 경우, 98℃에서 90분간 원적외선 조사를 하는 것이 높은 페놀성 성분과 민들레의 기능성 성분을 얻기에 바람직하였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할 경우, 민들레의 기능성(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이 극대화된 민들레 건조 분말 및 민들레 차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AB, HD, FIR, S-HD 및 S-FIR 간의 갈색도 차이를 보여준다. AB: 음건, HD: 열풍 건조, FIR: 원적외선 건조, S-HD: 초기 1시간 동안 증숙 처리 및 24시간 동안 열풍 건조, S-FIR: 초기 1시간 동안 증숙 처리 및 1시간 동안 원적외선 건조.
도 2는 다양한 건조 유형에 따른 건조 민들레의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이다. Ambient: 음건, HD: 열풍 건조, FIR: 원적외선 건조, S-HD: 초기 1시간 동안 증숙 처리 및 24시간 동안 열풍 건조, S-FIR: 초기 1시간 동안 증숙 처리 및 1시간 동안 원적외선 건조.
도 3은 원적외선 조사 시간에 따른 건조 민들레의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이다. *FIR : 원적외선 건조.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 실시예 1: 다양한 조건별로 본 발명 민들레 추출물의 제조]
실험을 위해 2012년 강원도 양구에서 재배된 민들레를 구입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민들레 뿌리를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한 후 열풍 건조기와 원적외선 건조기 (한국에너지기술, Seoul, Korea)를 이용하여 열풍과 원적외선 건조를 하였다.
열풍건조 조건은 80℃, 100℃, 120℃에서 24시간 건조하였으며, 원적외선 건조조건은 80℃, 100℃, 120℃에서 1시간 건조하여 실시예 샘플을 제조하였다. 또한, 열풍건조 또는 원적외선 건조 전에 1시간 동안 증숙 처리를 거친 시료도 실시예 샘플로 준비하였다.
한편, 상기 건조 조건별 시료들을 마쇄한 후, 민들레 분말 2g에 80% 메탄올 200ml을 가하여 환류냉각법으로 2시간 동안 80℃에서 2회 반복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각각의 추출물은 여과지(Whatman No.2)에 감압여과한 후 Rotary vacuum evaporator(Eyela N-100, Tokyo, Japan)로 40℃에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하기 실험을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건조 조건별 색도변화 관찰]
관능적 품질에 대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는 식품의 색이다. 가열처리와 같은 다양한 가공공정 중에서 생성되는 갈변물질의 경우 다양한 기능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갈변물질의 경우 주로 가열처리 시 당과 아미노산의 중합반응으로 생성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가열처리의 온도 및 가열 시간이 길어질수록 갈변에 관련된 가용성 성분은 감소하고 갈변물질의 생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가열처리 공정에서 생성되는 일부 갈변물질의 경우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본 실험에서 마쇄한 건조 민들레 분말의 색도는 색차계(MinoltaCR-10, Osaka, Japan)를 사용하여 명도(L), 적색도(a), 황색도(b)를 측정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샘플들의 색차를 나타내었다.
각 건조 조건별 민들레의 분말 색도를 측정해 본 결과, 대조군으로 사용된 음건분말의 밝기를 나타내는 명도값(L)과 적색도(a), 황색도(b)의 값은 각각 86.9, -1.0, 14.0이었다.
열풍건조시킨 민들레분말의 명도값(L)은 80℃에서 83.7, 100℃에서 73.1, 120℃에서 57.9로 건조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보였으며, 80℃, 100℃, 120℃에서 적색도(a) 값은 각각 0.0, 6.3, 11.3으로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황색도(b) 값은 각각 18.4, 29.6, 27.7로 100℃까지 증가하다가 120℃에서 약간 감소하였다.
원적외선 건조한 민들레 분말의 명도값(L)은 80℃, 100℃, 120℃에서 각각 75.9, 45.6, 33.7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명도값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적색도(a)의 값은 각각 5.1, 12.5, 6.7로 80℃와 120℃에서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100℃에서는 12.5로 높은 적색도를 나타내었다. 황색도(b)의 값은 80℃에서 24.0, 100℃에서 23.8 그리고 120℃에서 12.2로 온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표 1, 도 1).
[표 1]
건조된 민들레 샘플의 색도값 변화
Figure pat00001
1) L: Degree of whiteness (0 black ↔ +100 white), a: Degree of redness (-80 green ↔ +100 red), b: Degree of yellowness (-80 blue ↔ +70 yellow)
2) HD: 24시간 열풍 건조.
3) FIR: 1시간 원적외선 건조.
4) S-HD: 초기 1시간 동안 증숙 처리 및 24시간 동안 열풍 건조.
5) S-FIR: 초기 1시간 동안 증숙 처리 및 1시간 동안 원적외선 건조.
한편, 도 1은 AB, HD, FIR, S-HD 및 S-FIR 간의 갈색도 차이를 보여준다. AB: 음건(ambient), HD: 열풍 건조, FIR: 원적외선 건조, S-HD: 초기 1시간 동안 증숙 처리 및 24시간 동안 열풍 건조, S-FIR: 초기 1시간 동안 증숙 처리 및 1시간 동안 원적외선 건조.
[실험예 2: 건조 유형별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조사]
(1) 총 폴리페놀 함량 차이
총 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페놀성 물질이 포스포모라이브페이트(phosphomolybdate)와 반응하여 청색을 나타내는 현상을 이용한 Folin-Denis법을 약간 변형시켜 측정하였다. 즉, 추출액 0.2 ml을 시험관에 취하여 증류수 1.8 ml을 첨가하여 2 ml로 만든 후, 여기에 0.2 ml의 1M Folin-ciocalteau phenolreagent를 첨가하여 잘 혼합하고 3분간 실온에서 방치하였다. 3분 후 10 % Na2CO3 포화용액 0.4 ml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증류수 1.4 ml을 첨가하여 총 4 ml로 만든 후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하여 상층액을 7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총 폴리페놀 화합물은 탄닌산(tannic acid)을 이용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함량을 구하였다(Hagerman A, Harvey-Mueller I, Makkar HPS (2000) Quantification of tannins in tree folige a laboratory manual. FAO/IAEA. Vienna).
각 건조조건별 폴리페놀 함량은 표 2와 같이 나타났다. 열풍 건조한 민들레에서 음건(ambient)한 대조군의 폴리페놀 함량은 9.4 mg/g으로 나타났고, 80℃에서 11.15 mg/g, 100℃에서 17.22 mg/g, 120℃ 건조에서 33.43 mg/g으로 나타났으며, 건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폴리페놀 함량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원적외선 건조한 민들레에서 음건한 민들레는 7.89 mg/g의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냈으며, 80, 100, 120℃에서 각각 12.73, 27.01, 45.20 mg/g의 함량을 나타냈다. 원적외선 건조 또한 열풍건조와 마찬가지로 건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나타내었으며, 같은 온도 조건이라도 열풍건조보다 원적외선 건조가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다.
증숙 처리한 민들레의 폴리페놀 함량은 음건한 대조군이 5.5 mg/g을 나타내었으며, 증숙 처리 후, 열풍으로 건조한 민들레의 함량은 80, 100, 120℃의 증숙 온도 증가에 따라 각각 7.46, 7.68, 9.13 mg/g의 함량으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폴리페놀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증숙 처리 후, 원적외선으로 건조한 민들레의 폴리페놀 함량은 80, 100, 120℃에서 각각 9.61, 8.69, 7.59 mg/g으로 증숙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상기 실험 결과를 정리하자면, 원적외선 건조 민들레의 폴리페놀 함량은 다른 건조처리에 비해 모든 온도에서 높은 함량들을 보였으며, 120℃ 원적외선 건조 민들레의 폴리페놀 함량이 45.20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2)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추출액 0.5 ml에 10% 알루미늄 나이트레이트(aluminum nitrate) 용액 0.1 ml과 1 M 포타슘 아세테이트(potassium acetate) 용액 0.1 ml을 첨가하고, 총 5 ml이 되도록 80% 에탄올 4.3 ml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40분간 반응시킨 후 4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검량곡선은 퀘르세틴(quercetin)을 이용하여 작성하였다(Park CK, Jeon BS, Yang JW (2003) The chemical components of Korean Ginseng. Food Ind. and Nut. 8: 10-23).
열풍 건조한 민들레에서 음건(ambient)한 대조군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18 mg/g으로 나타났으며, 80, 100, 120℃의 건조에서 각각 1.20, 1.45, 3.48 mg/g의 함량을 나타냈다. 이는 폴리페놀의 함량과 마찬가지로 건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증가를 보였다.
원적외선 건조 민들레에서 음건한 대조군은 1.21 mg/g의 함량을 보였고, 80℃에서 1.50 mg/g, 100℃에서 3.46 mg/g, 120℃에서 7.59 mg/g으로, 열풍과 같이 건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증가를 보였으며, 열풍 건조에 비해 높은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다.
증숙 처리한 민들레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음건한 대조군에서 1.08 mg/g의 함량을 나타내었고, 증숙 처리 후, 열풍으로 건조한 민들레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80, 100, 120℃에서 각각 1.36, 1.25, 1.34 mg/g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증숙 처리 후, 원적외선으로 건조한 민들레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80, 100, 120℃에서 각각 1.29, 1.28, 1.24 mg/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플라보노이드의 함량도 전반적으로 폴리페놀의 함량과 비슷한 패턴을 보였다. 원적외선 처리군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120℃ 원적외선 건조에서 7.59 mg/g으로 가장 높은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다(표 2).
[표 2]
건조 유형에 따른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Figure pat00002
1) HD: 24시간 열풍 건조.
2) FIR: 1시간 원적외선 건조.
3) S-HD: 초기 1시간 동안 증숙 처리 및 24시간 동안 열풍 건조.
4) S-FIR: 초기 1시간 동안 증숙 처리 및 1시간 동안 원적외선 건조.
[실험예 2: 원적외선 조사 시간에 따른 총 폴리 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조사]
(1) 원적외선 조사 시간에 따른 총 폴리 페놀 함량
원적외선 건조 민들레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음건(ambient)에서 0.28 mg/g 이었지만, 원적외선 건조의 시간에 따른 민들레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60분 처리에서 32.51 mg/g, 90분에서 39.51 mg/g 그리고 120분에서 47.13 mg/g으로 나타나, 원적외선 처리시간이 증가할수록 폴리페놀의 함량이 증가하였다(표 3).
(2) 원적외선 조사 시간에 따른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음건(ambient)이 0.42 mg/g, 열풍 건조 제품이 0.58 mg/g의 함량을 보였고, 120분 원적외선 처리한 민들레에서 2.48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어 음건보다 5.9배 열풍건조 제품보다 4.3배 정도 높은 함량을 보였다.
원적외선 처리시, 60분과 90분 원적외선 처리한 민들레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42, 2.07 mg/g을 보였다. 원적외선 건조 시간에 따른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시간이 증가할수록 그 함량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표 3).
[표 3]
원적외선 처리 시간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Figure pat00003
1) FIR: 98℃에서 원적외선 건조 처리.
2) Heat treatment: 98℃에서 열풍 건조 처리.
[실험예 3: DPPH(Diphenylpicrylhydrazyl)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1) 열풍건조 조건별 DPPH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천연 항산화제와 항산화 효소는 유용물질로서 부가가치가 높을 뿐만 아니라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기구를 이해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특정물질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에서 DPPH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법은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대량으로 측정이 가능한 방법이다. 이 물질은 라디칼을 갖는 물질 중에서 비교적 안정한 화합물로 메탄올 용액에서 보라색으로 발색된다. 하지만, 항산화 활성을 갖는 물질을 만나면 항산화 물질이 DPPH 자유 라디칼을 소거시켜 탈색되는데, 이점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쉽게 측정할 수 있고, 실제 항산화 활성과도 연관성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DPPH에 의한 항산화 활성 측정은 민들레추출액 1 ml을 취하여 0.15 mM DPPH 메탄올 용액 4 ml을 가한 후, 볼텍싱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 (%)은 시료 첨가구와 무 첨가구의 흡광도 차를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수학식 1]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 (%) = [(1-A/B)%] (여기서, A: 시료의 흡광도, B: 대조구의 흡광도)
건조 조건별 민들레추출물의 DPPH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의 차이를 보면 도 2와 같이 나타났다. 열풍 건조한 민들레의 DPPH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은 음건한 대조군에서 3.79%의 소거 활성을 보였으나, 80℃에서 5.35%, 100℃에서 14.94% 그리고 120℃에서 34.19%로 나타났다. 건조 온도가 증가할수록 라디칼 소거 활성 또한 증가함을 볼 수 있었다. 가장 높은 소거 활성을 보인 120℃ 건조군은 음건에 비해 약 9배가 증가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원적외선 건조한 민들레의 DPPH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은 음건한 대조군에서 3.2%의 소거 활성을 보였고, 80℃ 원적외선 건조에서 12.98%, 100℃ 건조에서 35.29% 그리고 120℃ 건조에서 78.47%의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다. 원적외선 건조 또한 열풍건조와 마찬가지로 건조 온도가 증가할수록 높은 소거 활성이 나타났다. 가장 높은 소거 활성을 보인 원적외선 120℃ 건조의 소거 활성은 음건에 비해 약 25배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120℃ 열풍건조에 비해 약 2.3배가 높은 DPPH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다.
증숙처리한 민들레에서의 DPPH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은 다소 낮은 소거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음건한 대조군에서 2.2%의 소거활성이 나타났다. 증숙 후 열풍건조한 민들레에서는 80℃에서 2.65%, 100℃에서 2.54% 그리고 120℃에서 3.75%의 소거활성을 보였는데, 음건한 대조군에 비해 증숙 처리 시 건조 온도가 증가할수록 소거활성도 증가하지만 그 증가폭이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숙 후 원적외선 건조한 민들레에서는 80℃에서 3.79%, 100℃에서 3.49% 그리고 120℃에서 3.34%으로 음건에 비해 약간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났다. 하지만, 증가폭이 크지 않았으며, 증숙 후 열풍 건조한 민들레와 반대로 증숙 온도가 증가할수록 소거활성이 약간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DPPH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 또한 열풍과 증숙처리한 민들레에 비해 원적외선 건조한 민들레가 높게 나타났다. 이로부터 원적외선 처리에 의해 항산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건조 유형에 따른 건조 민들레의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이다. Ambient: 음건, HD: 열풍 건조, FIR: 원적외선 건조, S-HD: 초기 1시간 동안 증숙 처리 및 24시간 동안 열풍 건조, S-FIR: 초기 1시간 동안 증숙 처리 및 1시간 동안 원적외선 건조.
(2) 원적외선 조사 시간에 따른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 조사
건조 시간에 따른 민들레의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을 보면, 음건에서 3.27%로 매우 낮았으며, 열풍건조 제품은 21.12%를 나타냈다. 이에 반해 98℃ 원적외선 건조한 민들레 추출물의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은 60분에서 57.42%, 90분에서 61.26% 그리고 120분에서 70.08%의 높은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다. 원적외선 조사시간이 증가할수록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원적외선 처리 시간의 증가에 의해 항산화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도 3).
한편, 도 3은 원적외선 조사 시간에 따른 건조 민들레의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이다. *FIR : 98℃ 원적외선 건조.

Claims (4)

  1. 민들레 뿌리에 80~120℃의 원적외선을 가해 건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들레 건조 분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0.5~2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들레 건조 분말.
  3. 민들레 뿌리에 80~120℃의 원적외선을 가해 건조된 민들레 건조 분말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들레 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0.5~2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들레차.
KR1020130020563A 2013-02-26 2013-02-26 민들레 건조 분말 및 민들레 차의 제조방법 KR101438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563A KR101438721B1 (ko) 2013-02-26 2013-02-26 민들레 건조 분말 및 민들레 차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563A KR101438721B1 (ko) 2013-02-26 2013-02-26 민들레 건조 분말 및 민들레 차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251A true KR20140106251A (ko) 2014-09-03
KR101438721B1 KR101438721B1 (ko) 2014-09-11

Family

ID=51754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563A KR101438721B1 (ko) 2013-02-26 2013-02-26 민들레 건조 분말 및 민들레 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87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2897A (zh) * 2018-07-04 2018-11-13 河北茗韵茶叶加工有限公司 蒲公英根红茶加工方法
KR20210016121A (ko) * 2019-07-31 2021-02-15 단양군(단양군농산물마케팅사업소장) 굼벵이의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건조방법 및 그 건조 방법에 따라 건조된 굼벵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분말 및 환
KR20230122714A (ko) 2022-02-15 2023-08-22 이수진 모유촉진에 도움이 되는 민들레 뿌리 및 펜넬을 활용한 블렌딩 차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662A (ko) * 2001-01-15 2001-04-06 이명호 민들레 뿌리를 건조 분말화 또는 추출액을 이용한 대용커피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2897A (zh) * 2018-07-04 2018-11-13 河北茗韵茶叶加工有限公司 蒲公英根红茶加工方法
KR20210016121A (ko) * 2019-07-31 2021-02-15 단양군(단양군농산물마케팅사업소장) 굼벵이의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건조방법 및 그 건조 방법에 따라 건조된 굼벵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분말 및 환
KR20230122714A (ko) 2022-02-15 2023-08-22 이수진 모유촉진에 도움이 되는 민들레 뿌리 및 펜넬을 활용한 블렌딩 차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8721B1 (ko) 2014-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umsri et al. Studies on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extraction and concentration of roselle (Hibiscus sabdariffa Linn.) extract.
Cassol et al. Extracting phenolic compounds from Hibiscus sabdariffa L. calyx using microwave assisted extraction
Rafiee et al.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olive leaves; a comparison with maceration.
Jin et al. Far infrared assisted kenaf leaf tea preparation and its effect on phenolic compounds, antioxidant and ACE inhibitory activity
Jan et al. Bioactive characterization of ultrasonicated ginger (Zingiber officinale) and licorice (Glycyrrhiza glabra) freeze dried extracts
Suriyavathana et al. Phyt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riticum Aestivum (wheat grass)
Janarthanan et al. Physicochemical evaluation, Phytochemical screening and chromatographic fingerprint profile of Aegle marmelos (L.) leaf extracts
Bahrin et al. Effect of processing temperature on antioxidant activity of Ficus carica leaves extract
KR101438721B1 (ko) 민들레 건조 분말 및 민들레 차의 제조방법
Khan et al.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 of some commonly used medicinal plants against lipid per-oxidation in mice brain
Waris et a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leaf extract of edible Hibiscus (Abelmoschus manihot (L.) Medik) using 1, 1-Diphenyl-2-Picryl Hydrazil (DPPH)
CN103169054A (zh) 一种紫苏去腥液
Choi et al. Extraction conditions for phenolic compounds with antioxidant activities from white rose petals
Naqvi et al. Phenolic acid content, antioxidant properties, and antibacterial potential of flowers and fruits from selected Pakistani indigenous medicinal plants
Atale et al. Phytochemical and antioxidant screening of Syzygium cumini seed extracts: a comparative study
Khattak Proximate composition, phytochemical profil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radiation processed Emblica officinalis.
Xiang et al. Effects of season, variety, and processing method on ellagic acid content in pomegranate leaves
Ali et al. Effective extraction of natural antioxidants from piper betle with the aid of ultrasound: Drying and extraction kinetics
Herdyastuti et al.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phenolic and vitamin C content of effect drying temperature in black garlic Kating type
Mohamad et al. Natural antioxidant from hibiscus sabdariffa extract: Assessments on extraction yield, antioxidant capacity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of different polarities of solvent extracts
KR101930362B1 (ko) 황칠나무 추출액,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Bagheri et al.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unripe grape (Qora)
Alyas et al. Evaluation of total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from different type of extraction technique of Helianthus tuberosus
Jang et al.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eoduck (Codonopsis lanceolata) with different aging temperatures and periods
CN110150427B (zh) 一种马齿苋芳香袋泡茶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