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5775A - Composite phase difference plate and composite polarizing plate using same - Google Patents

Composite phase difference plate and composite polarizing plate us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5775A
KR20140105775A KR1020147017239A KR20147017239A KR20140105775A KR 20140105775 A KR20140105775 A KR 20140105775A KR 1020147017239 A KR1020147017239 A KR 1020147017239A KR 20147017239 A KR20147017239 A KR 20147017239A KR 20140105775 A KR20140105775 A KR 20140105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film
retardation
layer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72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00806B1 (en
Inventor
마사시 후지나가
사토시 나가야스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05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7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8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5Multifunctional compensa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메트)아크릴계 수지층(14)을 최표면에 갖는 제1 위상차판(10)의 (메트)아크릴계 수지층(14)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31) 및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위상차판(18)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접착제층(31)은, 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와 분자 내에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경화성 성분으로 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형성하며, 그 두께를 10 ㎛ 이하로 한 복합 위상차판(20)이 제공된다. 편광 필름(42)의 한 면에 이 복합 위상차판(20), 다른 면에 보호 필름(44)을 적층하여 복합 편광판(50)으로 된다. An adhesive layer 31 composed of a cured product of an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a (meth) acrylic resin layer 14 are laminated on a (meth) acrylic resin layer 14 of a first retardation plate 10 having a (meth) And a second retardation film 18 made of a cycloolefin resin film are laminated in this order. The adhesive layer 31 is formed by laminating an N-substituted (meth) acrylamide and a compound having a (meth) acryloyloxy group in the molecule Is formed of a curabl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curable component and a composite retardation plate (20) having a thickness of 10 m or less is provided. The composite retardation plate 20 is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polarizing film 42 and the protective film 44 is laminated on the other side to form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50.

Description

복합 위상차판 및 그것을 이용한 복합 편광판{COMPOSITE PHASE DIFFERENCE PLATE AND COMPOSITE POLARIZING PLATE USING SAME}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retardation plate and a composite polariz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메트)아크릴계 수지층을 갖는 위상차판과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위상차판이 적층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복합 위상차판 및 이것을 편광판과 조합한 복합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retardation plate suitably used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which a retardation plate comprising a (meth) acrylic resin layer and a retardation film composed of a cycloolefin-based resin film are laminated, and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in which the retardation plate is combined with a polarizing plate .

액정 표시 장치는, 소비 전력이 적고, 저전압으로 동작하며, 경량이고, 박형인 등의 특징을 살려, 각종 표시용 디바이스에 이용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셀, 편광판, 위상차판, 집광 시트, 확산 필름, 도광판, 광반사 시트 등의 많은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구성 필름의 장수를 줄이거나, 필름 또는 시트의 두께를 얇게 하거나 함으로써, 생산성이나 경량화, 명도의 향상 등을 목표로 한 개량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BACKGROUND ART [0002]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are used in various display devices, taking advantage of features such as low power consumption, low voltage operation, light weight, and thinness.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composed of many materials such as a liquid crystal cell, a polarizing plate, a retardation plate, a condensing sheet, a diffusion film, a light guide plate, and a light reflection sheet. Therefore, improvements have been actively made aiming at improvement in productivity, light weight, and brightness by reducing the number of constituent films or reducing the thickness of a film or a sheet.

위상차판은, 수지 필름의 연신에 의해서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연신에 의해서 수지의 주쇄는 연신축에 모이게 되는데, 측쇄에 부피가 큰 기를 갖지 않는 수지는, 연신축 방향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어, 그 방향이 지상축으로 된다. 이러한 수지는, 양의 굴절률 이방성을 갖는 수지라고 불리며, 그 수지로 형성되는 위상차판은, 양의 위상차판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 양의 위상차판으로서 최근에는, 광탄성 계수가 작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의 연신 필름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측쇄에 부피가 큰 기를 갖는 수지는, 그 측쇄 방향, 즉 연신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기 때문에, 연신축 방향이 진상축으로 된다. 이러한 수지는, 음의 굴절률 이방성을 갖는 수지라고 불리며, 그 수지로 형성되는 위상차판은, 음의 위상차판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 음의 굴절률 이방성을 갖는 수지로서, 스티렌을 주된 구성 단위로 하는 스티렌계 수지나, 아크릴산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를 주된 구성 단위로 하는 (메트)아크릴계 수지가 예전부터 알려져 있다. In many cases, the retarder is produced by stretching a resin film. The main chain of the resin is gathered at the elongation axis by stretching. The resin having no bulky group in the side chain has the maximum refractive index in the stretching axis direction, and the direction becomes the slow axis. Such a resin is called a resin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index anisotropy, and a retardation plate formed of the resin is sometimes referred to as a positive retardation plate. Recently, a stretched film of a cycloolefin resin having a small photoelastic coefficient has been widely used as a positive retardation plate. On the other hand, in a resin having a bulky group in the side chain, the refractive index in the side chain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retching axis becomes maximum, so that the stretching axis direction becomes the fast axis. Such a resin is called a resin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index anisotropy, and a retardation plate formed of the resin is sometimes called a negative retardation plate. As a resin having negative refractive index anisotropy, styrene type resin having styrene as a main constituent unit and (meth) acrylic type resin having acrylic acid ester or methacrylic acid ester as a main constituent unit have been known heretofore.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위상차의 발현성이 작다. 한편으로 스티렌계 수지는, 위상차의 발현성이 크지만, 내약품성이나 기계적 강도 등에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양자를 조합시키는 시도도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 제4770176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스티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1층의 양면에 (메트)아크릴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2층이 공압출에 의해서 적층되어 있는 수지 다층 필름에, 연신을 실시하여 면내 위상차를 부여하여, 위상차판으로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2009-175222호 공보(특허문헌 2)에는,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수지 다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위상차판을, 접착제층을 통해 편광 필름에 적층하여, 복합 편광판으로 함에 있어서, 위상차판과 접착제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개재시킴으로써, 양자의 접착력을 높이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The (meth) acrylic resin has a low appearance of retardation. On the other hand, the styrene-based resin exhibits a large retardation manifestation, but has problems such as chemical resistance and mechanical strength. So, there is an attempt to combine both. For example, Japanese Patent No. 4770176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resin multilayer film in which a second layer of a (meth) acrylic resin composition on both sides of a first layer made of a styrenic resin is laminated by coextrusion, Stretching is performed to give an in-plane retardation to form a retarder.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9-175222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laminated polarizing plate in which a retardation plate made of a resin multilayer film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s laminated on a polarizing film through an adhesive layer, And a primer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thereby enhancing the adhesive strength of both.

또한,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위상차판은, 광학 보상의 관점에서 2장 이상의 필름을 적층하여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일반적으로는 작업성의 관점에서, 이들 필름의 접착에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점착제가 이용된다.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2010-217870호 공보(특허문헌 3)에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를 대표예로 하는 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1 위상차판에, 점착제층을 통해,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3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제2 위상차판을 적층하고, 그 제1 위상차판 측에서 접착제층을 통해 편광 필름에 적층하여, 복합 편광판으로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Further, in the case of a retarder applied to a liquid crystal display, two or more films may be laminated and used from the viewpoint of optical compensation. In this case, in general, from the viewpoint of workability,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de of an acrylic resin is used for bonding these films.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0-217870 (Patent Document 3) discloses a method in which a first retardation plate made of an olefin resin having a cycloolefin resin as a typical example, Layered second retardation plate is laminated and laminated on the polarizing film through the adhesive layer on the first retardation plate side to form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한편, 2 종류의 피착물을, 자외선을 대표예로 하는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접착제로 접착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 제2805225호 공보(특허문헌 4)에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의 성형품끼리, 또는 그 성형품을 그것과는 다른 재료에 접착하기 위해서, 아크릴계의 반응성 모노머 또는 반응성 올리고머와 광중합개시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로 양자를 접합시킨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2005-62443호 공보(특허문헌 5)에는, 유리를 대표예로 하는 투명 기판과,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등의 유기 고분자 재료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을, 아크릴계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시키고, 자외선 조사에 의해 그 접착제를 경화시켜, 접착제층의 두께를 10 ㎛ 이하로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known to adhere two kinds of adherends to each other with an adhesive which is cured by irradiation with an active energy ray, which is a typical example of ultraviolet rays. For example, Japanese Patent No. 2805225 (Patent Document 4) discloses a process for producing a cycloolefin-based resin, which includes a reactive monomer or a reactive oligomer having an acrylic group and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 order to bond the molded article of the cycloolefin- A method of curing an adhesive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after bonding the two with an ultraviolet curing type adhesive is described.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Kokai) No. 2005-62443 (Patent Document 5) discloses a method in which a transparent substrate, which is a typical example of glass, a retardation film made of an organic polymer material such as a cycloolefin resin, and an adhesive made of an acrylic ultraviolet- , And the adhesive is cured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rays to make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10 m or less.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과 (메트)아크릴계 수지 필름과의 접합에, 상기 특허문헌 3에 개시된 것과 같은 점착제를 이용하는 경우, 적정한 점착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적어도 15 ㎛ 정도의 점착제층의 두께가 필요하여, 액정 패널 내지 액정 표시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함에 있어서 하나의 애로가 되고 있다. 또한, 점착제층을 얇게 하는 시도도 있지만,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과 (메트)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두께 10 ㎛ 이하의 점착제로 접합시킨 경우에는, 점착력이 충분하지 않아, 그 적층 위상차판 자체, 그 적층 위상차판을 편광 필름에 붙인 복합 편광판, 또는 그 복합 편광판을 액정 셀 유리에 붙인 액정 패널이 고온에 노출된 경우에, 필름의 수축을 충분히 다 흡수할 수 없어, 필름과 점착제층 사이에 들뜸이나 박리, 발포 등의 불량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었다. In the case of us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3 for bonding a cycloolefin-based resin film and a (meth) acrylic resin film,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at least about 15 μm is required in order to maintain a proper pressure- It is an obstacle in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panel or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en the cycloolefin resin film and the (meth) acrylic resin film are bonded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having a thickness of 10 占 퐉 or less, the adhesive force is not sufficient, and the laminated retardation plate itself, When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having a retardation plate attached to a polarizing film or a liquid crystal panel having a compound polarizing plate bonded to a liquid crystal cell glass is exposed to a high temperature, the film can not sufficiently absorb shrinkage and peeling or peeling occurs between the film and the pressure- , Defects such as foaming may occur.

한편으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과 (메트)아크릴계 수지 필름과의 접합에, 아크릴계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접착제로서 이용하여, 자외선 조사에 의해서 경화시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시판되는 아크릴계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단독으로 이용하더라도, 충분한 접착력을 얻기가 어려웠다.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conceivable to use acrylic-based ultraviolet-curing resin as an adhesive for curing the cycloolefin-based resin film and the (meth) acrylic-based resin film and to cure them by ultraviolet irradiation. However, commercially available acrylic- It was difficult to obtain a sufficient adhesive force.

본 발명의 과제는, (메트)아크릴계 수지층을 최표면에 갖는 위상차판의 그 (메트)아크릴계 수지층에,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위상차판을 적층하여 복합 위상차판으로 함에 있어서, (메트)아크릴계 수지층과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면서, 그 막 두께를 10 ㎛ 이하로 하는 데에 있다. Disclosure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tardation plate comprising a cycloolefin resin film laminated on the (meth) acrylic resin layer of a retardation plate having a (meth) acrylic resin layer on its outermost surface, )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acrylic resin layer and the cycloolefin-based resin film while keeping the film thickness to 10 m or less.

본 발명의 또 하나의 과제는, 이렇게 해서 얻어지는 복합 위상차판을,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편광 필름의 한쪽의 면에 접합하여, 각 층의 접착력이 충분한 동시에, 박육화가 도모된 복합 편광판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which is obtained by bonding the composite retardation plate thus obtained to one surface of a polarizing film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on a polyvinyl alcohol resi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comprising:

연구 결과, 경화성 성분으로서, 특정한 2 종류의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을 조합시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하여, 이것을 접착제로 하면, (메트)아크릴계 수지 필름과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 사이에서 높은 접착력을 얻을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has been found that a combination of two specific (meth) acrylic compounds as the curable component to form an active energy ray 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using this as an adhesive can provide a high adhesion strength between the (meth) acrylic resin film and the cycloolefin resin film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메트)아크릴계 수지층을 최표면에 갖는 제1 위상차판의 그 (메트)아크릴계 수지층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 및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위상차판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 및 분자 내에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경화성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상기한 접착제층은, 10 ㎛ 이하의 두께를 갖는 복합 위상차판이 제공된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 acrylic resin layer of the first retardation plate having the (meth) acrylic resin layer on the outermost surface is provided with an adhesive layer comprising a cured product of the active energy ray- And the second retardation film made of a film are laminated in this order. The abov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is characterized by containing N-substituted (meth) acrylamide and a compound having a (meth) acryloyloxy group in its molecule as a curing component And the above-mentioned adhesive layer is provided with a composite retardation plate having a thickness of 10 mu m or less.

이 복합 위상차판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하나의 경화성 성분인 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는, 하기 식(I) In this compound phase difference plate, N-substituted (meth) acrylamide, which is one of the curing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Figure pct00001
(I)
Figure pct00001
(I)

(식에서, Q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Q2는 수소 원자 혹은 탄소수 1~6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Q3은 수산기를 갖더라도 좋은 탄소수 1~6의 알킬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Q2와 Q3은 하나가 되어, 이들이 결합하는 질소 원자와 함께, 산소 원자를 고리 구성원으로서 갖더라도 좋은 5원환 혹은 6원환을 형성한다)(Wherein Q 1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 methyl group, Q 2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6 carbon atoms, Q 3 represents an alkyl group having 1 to 6 carbon atoms which may have a hydroxyl group, or Q 2 and Q 3 together form a 5-membered ring or a 6-membered ring which may be taken together with the nitrogen atom to which they are bonded and the oxygen atom as a ring member)

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Is preferable.

또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또 하나의 경화성 성분인 분자 내에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화합물은, 하기 식(II) The compound having a (meth) acryloyloxy group in the molecule, which is another curing component constituting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Figure pct00002
(II)
Figure pct00002
(II)

(식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1~6의 알킬기를 나타낸다)(Wherein R 1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 methyl group, and R 2 represents an alkyl group having 1 to 6 carbon atoms)

으로 나타내어지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Is preferably an alkyl (meth) acrylat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상기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경화성 성분의 전체량을 기준으로, 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를 60~80 중량%, 및 분자 내에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40~2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와 상기 식(II)으로 나타내어지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조합을 채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상기 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를 60~80 중량% 및 상기 식(II)으로 나타내어지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40~2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contains 60 to 80% by weight of N-substituted (meth) acrylamide and 40 to 80% by weight of a compound having a (meth) acryloyloxy group in the molecule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curable component. By weight to 20% by weight. When a combination of the N-substituted (meth) acrylamide represented by the formula (I) and the alkyl (meth) acrylate represented by the formula (II) is employed, 60 to 80% by weight of the substituted (meth) acrylamide and 40 to 20% by weight of the alkyl (meth) acrylate represented by the formula (II).

이들 복합 위상차판에 있어서, 제1 위상차판은,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단독 필름으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메트)아크릴계 수지층에 더하여, 다른 수지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발현층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도,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위상차판은, 위에서 규정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통해, (메트)아크릴계 수지층에 접합된다. 그 때문에, 제1 위상차판을 적층 필름으로 구성하는 경우, (메트)아크릴계 수지층이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에 점착되는 최표면으로 되도록 한다. In these composite retardation plates, the first retardation plate may be composed of a single film of a (meth) acrylic resin, but it may be composed of a laminated film including a retardation developing layer made of another resin in addition to the (meth) acrylic resin layer You may. In this case also,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made of the cycloolefin-based resin film is bonded to the (meth) acrylic resin layer through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specified above. Therefore, when the first retardation plate is constituted by a laminated film, the (meth) acrylic resin layer is made to be the outermost surface to be adhered to the cycloolefin-based resin film.

제1 위상차판을 상기와 같은 적층 필름으로 구성하는 경우, (메트)아크릴계 수지층은 통상 120℃ 이하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데, 위상차 발현층은, 120℃ 이상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수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높은 유리 전이 온도를 실현하는 동시에 음의 굴절률 이방성을 갖는 수지로 한다는 관점에서, 위상차 발현층은 스티렌계 수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트)아크릴계 수지층은 고무 입자를 함유하는 것이 필름 제막성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When the first retardation plate is constituted by the laminated film as described above, the (meth) acrylic resin layer usually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120 ° C or lower, and the retardation layer is composed of a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120 ° C or higher . From the viewpoint of realizing such a high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at the same time being a resin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index anisotropy, it is preferable that the retardation developing layer is made of a styrenic resin. Further, the (meth) acrylic resin layer is advantageous from the viewpoint of film formability in that it contains rubber particles.

제1 위상차판은 특히, 상기 위상차 발현층의 양면에, (메트)아크릴계 수지층을 형성한 3층 구성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경우, 위상차 발현층 및 그 양면에 형성되는 (메트)아크릴계 수지층은 각각의 두께를 10~100 ㎛ 정도의 범위로 할 수 있다. It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that the first retardation plate has a three-layer structure in which a (meth) acrylic resin layer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tardation developing layer. In this case, the phase difference-generating layer and the (meth) acrylic resin layer formed on both surfaces thereof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10 to 100 mu m.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편광 필름의 한쪽의 면에, 제2 접착제층을 통해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호 필름이 적층되고, 편광 필름의 다른 쪽의 면에는, 제3 접착제층을 통해 상기한 어느 한 복합 위상차판이, 그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 측에서 적층되어 있는 복합 편광판도 제공된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otective film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is laminated on one side of a polarizing film o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on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through a second adhesive layer,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in which any one of the above-mentioned composite retardation plates is laminated on the side of the cycloolefin based resin film through a third adhesive layer is also provided.

이 복합 편광판은, 액정 셀과 조합하여, 액정 표시 패널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복합 편광판은, 그 복합 위상차판 측, 즉 (메트)아크릴계 수지층을 갖는 제1 위상차판 측에서 액정 셀에 접합된다. 그래서, 이 액정 표시 패널은, 액정 셀과, 상기한 복합 편광판을 구비하고, 그 복합 편광판은, 그 복합 위상차판 측에서 액정 셀에 접합된 것으로 된다. This composite polarizing plate can be combined with a liquid crystal cell to form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n this case,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is bonded to the liquid crystal cell on the side of the compound phase difference plate, that is, on the side of the first retardation plate having the (meth) acrylic resin layer. Thus, this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comprises a liquid crystal cell and the above-mentioned composite polarizing plate, and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is bonded to the liquid crystal cell on the side of the composite retardation plate.

본 발명에 따르면, (메트)아크릴계 수지층을 포함하는 제1 위상차판과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위상차판이 점착제를 통하여 접합되어 있는 종래의 복합 위상차판과 비교하여, 두께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복합 위상차판, 나아가서는 액정 패널의 박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과 (메트)아크릴계 수지층과의 밀착성도 양호하다. INDUSTRIAL APPLIC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a conventional composite retardation plate in which a first retardation plate including a (meth) acrylic resin layer and a second retardation plate comprising a cycloolefin based resin film are bonded via an adhesiv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composite retarder, and furthermore, the thickness of the liquid crystal panel. Also, the adhesion between the cycloolefin resin film and the (meth) acrylic resin layer is go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위상차판의 바람직한 층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편광판의 바람직한 층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referable layer configuration of a composite reta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referable layer configuration of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복합 위상차판][Composite retardation plate]

본 발명의 복합 위상차판은, (메트)아크릴계 수지층을 최표면에 갖는 제1 위상차판의 그 (메트)아크릴계 수지층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을 통해,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위상차판이 적층된 것이다. 여기서, 제1 위상차판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위상차판에 점착되는 최표면이 (메트)아크릴계 수지층으로 되어 있고, 위상차가 발현된 것이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단독 필름이라도 좋고, (메트)아크릴계 수지층에 더하여, 다른 수지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발현층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이라도 좋다. 그 중에서도, (메트)아크릴계 수지와는 다른 수지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발현층의 한 면 또는 양면에, (메트)아크릴계 수지층이 형성되어, 위상차가 발현된 것임이 바람직하다. The composite retardation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site retardation plate comprising a (meth) acrylic resin layer of a first retardation plate having a (meth) acrylic resin layer on its outermost surface, an adhesive layer composed of a cured product of an active energy ray- And a second retardation plate made of an olefin-based resin film. Here, the first retardation plate may be one whose top surface is a (meth) acrylic resin layer adhered to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made of a cycloolefin-based resin film and having a phase difference. Specifically, it may be a single film of a (meth) acrylic resin, or may be a multilayer film including a retardation-releasing layer made of another resin in addition to a (meth) acrylic resin layer. Among them, it is preferable that a (meth) acrylic resin layer is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retardation developing layer made of a resin different from the (meth) acrylic resin, so that the retardation is expressed.

여기서 말하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란, 「배경기술」의 항에도 기재한 것과 같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주된 구성 단위로 하는 수지이다. 또한 「(메트)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어느 것이라도 좋음을 의미하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란, 아크릴산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에스테르의 어느 것이라도 좋음을 의미한다. 그 밖에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로일」 등이라고 할 때의 「(메트)」도 같은 취지이다. As used herein, the term "(meth) acrylic resin" is a resin having a (meth) acrylic acid ester as a main constituent unit, as described in the section "BACKGROUND ART". The term "(meth) acrylic acid" means that any of acrylic acid and methacrylic acid may be used, and "(meth) acrylic acid ester" means any of acrylic acid ester and methacrylic acid est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th)" when "(meth) acrylamide", "(meth) acrylate", "(meth) acryloyl"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위상차판의 바람직한 층 구성의 예를 도 1에 개략 단면도로 도시했다. 도 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복합 위상차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메트)아크릴계 수지층을 포함하는 제1 위상차판(10)에, 접착제층(31) 및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위상차판(18)을 이 순서로 적층하여, 본 발명의 복합 위상차판(20)이 구성된다. 그리고 접착제층(31)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로 형성된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1 위상차판(10)은, 위상차 기능의 발현에 주로 기여하는 위상차 발현층(12)의 양면에, (메트)아크릴계 수지층(14, 15)이 형성된 상태로 되어 있다. An example of a preferable layer configuration of the composite reta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a schematic sectional view in Fig. The compound phase differenc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n adhesive layer 31 and a second retardation film 18 made of a cycloolefin resin film are laminated in this order on a first retardation plate 10 including a (meth) acrylic resin layer And laminated to form the composite retard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layer 31 is formed of a cured product of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In the example shown in this figure, the first retardation film 10 is formed in such a state that (meth) acrylic resin layers 14 and 15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tardation film 12 mainly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retardation function .

앞서도 말한 것과 같이, (메트)아크릴계 수지 그 자체는, 음의 굴절률 이방성을 지니고, 연신에 의해 음의 위상차판을 부여하기 때문에, 그 단독 필름을 제1 위상차판(10)으로 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위상차 발현층(12)과 한쪽의 (메트)아크릴계 수지층(15)을 생략하고, (메트)아크릴계 수지층(14)만으로, 제1 위상차판(10)으로 할 수 있다. 단, 역시 앞서 말한 것과 같이, (메트)아크릴계 수지 그 자체는, 위상차의 발현성이 작기 때문에, 위상차 발현층(12)과 조합한 형태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위상차 발현층(12)의 한 면에 (메트)아크릴계 수지층(14)을 형성한 상태, 바꿔 말하면, 도 1에 있어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위상차판(18)에서 떨어져 위치하는 (메트)아크릴계 수지층(15)을 생략한 상태에서, 제1 위상차판(10)으로 할 수도 있다. 단,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위상차 발현층(12)의 양면에, (메트)아크릴계 수지층(14, 15)을 형성한 상태로 하면, 각각의 (메트)아크릴계 수지층(14, 15)이 위상차 발현층(12)의 보호층의 역할도 하므로 바람직하다. 이하, 복합 위상차판(20)을 구성하는 제1 위상차판(10), 제2 위상차판(18) 및 양자를 점착하는 접착제층(31)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접착제에 관해서 순서대로 설명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eth) acrylic resin itself has a negative refractive index anisotropy and gives a negative retardation film by stretching, the single film can be used as the first retardation film 10. 1, the phase difference developing layer 12 and the (meth) acrylic resin layer 15 are omitted, and only the (meth) acrylic resin layer 14 is used as the first retardation film 10 . However, as mentioned above, since the (meth) acrylic resin itself has a small retardation manifestation, it is preferably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retardation developing layer 12. In this case, a state in which the (meth) acrylic resin layer 1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tardation developing layer 12, in other words, the second retardation film 18 made of the cycloolefin resin film in Fig. 1 The first retardation plate 10 may be used in a state in which the (meth) acrylic resin layer 15 located therebetween is omitted. However, when the (meth) acrylic resin layers 14 and 15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tardation developing layer 12 as shown in FIG. 1, the (meth) acrylic resin layers 14 and 15 ) Serves also as a protective layer of the phase difference manifestation layer 12. Hereinafter, the adhesive used for forming the first retardation plate 10,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18, and the adhesive layer 31 that adheres to each other will be described in order.

[제1 위상차판][First retardation plate]

복합 위상차판(20)을 구성하는 제1 위상차판(10)은,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바람직하게는, 위상차 발현층(12)과 그 한 면(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위상차판(18)이 접합되는 쪽)에 적층된 (메트)아크릴계 수지층(14)을 구비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위상차 발현층(12)과 그 양면에 적층된 (메트)아크릴계 수지층(14, 15)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위상차 발현층(12)의 한 면 또는 양면에 (메트)아크릴계 수지층을 형성하는 경우, 위상차 발현층(12)은, 예컨대 스티렌계 수지로 구성할 수 있다. 스티렌계 수지는, 측쇄에 부피가 큰 페닐기를 갖기 때문에, 일축 연신했을 때에 연신축과 직교하는 방향(면내에서 연신축과 직교하는 방향 및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 커져, 음의 굴절률 이방성을 보인다. 또한, 위상차의 발현성도 크다. 그래서, 스티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은, 음의 위상차판을 부여하기 위한 위상차 발현층(12)으로서 적합하다. 음의 위상차판이란, 면내의 최대 굴절률 방향(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nx, 면내에서 그것과 직교하는 방향(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ny,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nz로 했을 때, nz≒nx>ny의 관계를 지니고, Nz 계수가 대략 0(제로)인 필름이다. 여기서, Nz 계수는 다음 식(1)으로 정의된다. 1, the first retardation plate 10 constituting the composite retardation plate 20 preferably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etardation layer 12 and one surface thereof (the second retardation layer 12 made of a cycloolefin resin film, (Meth) acrylic resin layer 14 laminated on the retardation layer 12 and the (meth) acrylic resin layer 14 laminated on both sides thereof (more specifically, 14 and 15, respectively. When the (meth) acrylic resin layer is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retardation developing layer 12 as described above, the retardation developing layer 12 can be made of, for example, a styrene resin. Since the styrene-based resin has a bulky phenyl group in the side chain, the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retching axis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retching axis and the thickness direction in the plane) becomes large when uniaxially stretched, and exhibits a negative refractive index anisotropy. In addition, the occurrence of phase difference is also significant. Thus, the film made of the styrene-based resin is suitable as the retardation-generating layer 12 for imparting a negative retardation plate. The negative retardation film is a film in which the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of the maximum refractive index (slow axis direction) in the plane is n x , the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fast axis direction) is n y and the refractive index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n z , n z ≒ n x > n y , and the N z coefficient is approximately 0 (zero). Here, the N z coefficient is def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Nz 계수=(nx-nz)/(nx-ny) (1)N z coefficient = (n x -n z ) / (n x -n y ) (1)

스티렌계 수지는, 스티렌 또는 그 유도체의 단독 중합체일 수 있는 것 외에, 스티렌 혹은 그 유도체와 다른 공중합성 모노머와의, 2원 또는 그 이상의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스티렌 유도체란, 스티렌에 치환기가 결합된 화합물이며, 예컨대, o-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o-에틸스티렌 및 p-에틸스티렌과 같은 알킬스티렌; 히드록시스티렌, tert-부톡시스티렌, 비닐안식향산, o-클로로스티렌 및 p-클로로스티렌과 같은, 스티렌의 벤젠핵에 수산기, 알콕시기, 카르복실기, 할로겐 등이 도입된 치환 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스티렌 또는 스티렌 유도체에 비환상 올레핀 모노머 및 환상 올레핀 모노머를 공중합시킨 3원 공중합체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스티렌계 수지는, 내열성의 관점에서, 스티렌 또는 스티렌 유도체와, 아크릴로니트릴, 무수말레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부타디엔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모노머와의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마찬가지로 내열성의 관점에서, 스티렌계 수지(위상차 발현층(12))는 120℃ 이상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tyrene-based resin may be a homopolymer of styrene or a derivative thereof, or may be a copolymer of styren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copolymerizable monomer other than styrene or a derivative thereof. The styrene derivative is a compound in which a substituent is bonded to styrene,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lkyl styrenes such as o-methylstyrene, m-methylstyrene, p-methylstyrene, 2,4-dimethylstyrene, ; Substituted styrenes such as hydroxystyrene, tert-butoxystyrene, vinylbenzoic acid, o-chlorostyrene and p-chlorostyrene, in which a benzene nucleus of styrene has a hydroxyl group, an alkoxy group, a carboxyl group, a halogen and the like. A ternary copolymer obtained by copolymerizing a styrene or styrene derivative with a cyclic olefin monomer and a cyclic olefin monomer may also be used. Among them, the styrene-based resin is preferably a copolymer of styrene or a styrene derivative with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acrylonitrile, maleic anhydride, methyl methacrylate and butadiene in view of heat resistance, Similarly, from the viewpoint of heat resista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yrene-based resin (phase difference-generating layer 12)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120 캜 or higher.

위상차 발현층(12), 특히 스티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발현층(12)은, 그 두께가 10~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10 ㎛ 미만이면, 연신에 의해서 충분한 위상차 값이 발현되기 어렵다. 한편, 두께가 100 ㎛를 넘으면, 위상차판의 충격 강도가 약해지기 쉬운 동시에, 외부 응력에 의한 위상차 변화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phase difference developing layer 12, particularly the phase difference developing layer 12 made of a styrene series resin, is 10 to 100 탆. When the thickness is less than 10 mu m, a sufficient retardation value is hardly expressed by stretching. 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ckness exceeds 100 탆, the impact strength of the retarder tends to be weak, and the phase difference due to external stress tends to increase.

(메트)아크릴계 수지층(14, 15)을 구성하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로서는, 예컨대,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또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단독 중합체나,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 구체적으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또한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 구체적으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등을 각각 들 수 있다. 이러한 (메트)아크릴계 수지에는, 범용의 (메트)아크릴계 수지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수지로서, 내충격 (메트)아크릴 수지라고 불리는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Examples of the (meth) acrylic resin constituting the (meth) acrylic resin layers 14 and 15 include a homopolymer of an alkyl methacrylate or an alkyl acrylate, a copolymer of an alkyl methacrylate and an alkyl acrylate And the like. Specific examples of the methacrylic acid alkyl ester include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propyl methacrylate and the like. Specific examples of the acrylic acid alkyl ester include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and propyl acrylate, . Commercially available (meth) acrylic resins may be used for such (meth) acrylic resins. As the (meth) acrylic resin, a so-called impact (meth) acrylic resin may be used.

(메트)아크릴계 수지층(14, 15)을 위상차 발현층(12)에 적층함으로써, 제1 위상차판(10)의 내약품성 및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층더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메트)아크릴계 수지층(14, 15)에 고무 입자를 함유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고무 입자는 아크릴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아크릴계 고무 입자란, 부틸아크릴레이트나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모노머를, 다작용성 모노머의 존재 하에 중합시켜 얻어지는 고무 탄성을 갖는 입자이다. 아크릴계 고무 입자는, 이러한 고무 탄성을 갖는 입자가 단층으로 형성된 것이라도 좋고, 고무 탄성층을 적어도 1층 갖는 다층 구조체라도 좋다. 다층 구조의 아크릴계 고무 입자로서는, 상기와 같은 고무 탄성을 갖는 입자를 핵으로 하고, 그 둘레를 경질의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계 중합체로 덮은 것, 경질의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계 중합체를 핵으로 하고, 그 둘레를 상기와 같은 고무 탄성을 갖는 아크릴계 중합체로 덮은 것, 또한 경질의 핵의 둘레를 고무 탄성의 아크릴계 중합체로 덮고, 또한 그 둘레를 경질의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계 중합체로 덮은 것 등을 들 수 있다. 탄성층으로 형성되는 고무 입자는 그 평균 직경이 통상 50~400 nm 정도의 범위에 있다.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hemical resistance and mechanical strength of the first retardation film 10 by laminating the (meth) acrylic resin layers 14 and 15 on the retardation developing layer 12.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mechanical strength, it is also preferable to include rubber particles in the (meth) acrylic resin layers 14 and 15. The rubber particles are preferably of acrylic type. Here, the acrylic rubber particles are rubber-elastic particles obtained by polymerizing an acrylic monomer containing an acrylic acid alkyl ester as a main component such as butyl acrylate or 2-ethylhexyl acrylate in the presence of a polyfunctional monomer. The acrylic rubber particles may be a single layer of such rubber-elastic particles, or a multi-layer structure having at least one rubber elastic layer. As the acrylic rubber particles having a multilayered structure, those having rubber elastic particles as mentioned above as the nuclei and covering the periphery thereof with a hard methacrylic acid alkyl ester polymer, those having a hard methacrylic acid alkyl ester polymer as a nucleus , The periphery of which is covered with an acrylic polymer having rubber elasticity as described above or the case where the periphery of a hard core is covered with a rubber elastic acrylic polymer and the periphery thereof is covered with a hard methacrylic acid alkyl ester polymer . The average diameter of the rubber particles formed of the elastic layer is usually in the range of about 50 to 400 nm.

(메트)아크릴계 수지층(14, 15)에 있어서의 고무 입자의 함유량은, (메트)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당 통상 5~50 중량부 정도이다. (메트)아크릴계 수지 및 아크릴계 고무 입자는 이들을 혼합한 상태로 시판되고 있기 때문에, 그 시판 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고무 입자가 배합된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시판 제품의 예로서, 스미토모가가쿠(주)에서 판매하고 있는 "HT55X"나 "테크놀로이 S001" 등을 들 수 있다. "테크놀로이 S001"은 필름 형태로 판매되고 있다. The content of the rubber particles in the (meth) acrylic resin layers 14, 15 is usually about 5 to 5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h) acrylic resin. (Meth) acrylic resin and acrylic rubber particles are commercially available in the form of a mixture thereof. Therefor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thereof can be used. Examples of commercially available (meth) acrylic resins containing acrylic rubber particles include "HT55X" and "Technoloy S001" sold by Sumitomo Chemical Co., "Technoloy S001" is sold in film form.

상기와 같은 고무 입자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120℃ 이하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데, 본 발명에서는, 유리 전이 온도가 110℃ 이하인 (메트)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The (meth) acrylic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rubber particles as described above generally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120 ° C or low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meth) acrylic resin compositio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110 ° C or lower is preferably used .

상술한 것과 같이, 위상차 발현층(12)의 유리 전이 온도는 1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한편, (메트)아크릴계 수지층(14, 15)의 유리 전이 온도는 120℃ 이하, 특히 1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자의 유리 전이 온도가 겹치지 않고, 위상차 발현층(12) 쪽이 (메트)아크릴계 수지층(14, 15)보다도 높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후술하는 공압출에 의한 위상차판의 제조가 보다 용이하게 되기 때문이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retardation developing layer 12 is 120 DEG C or higher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meth) acrylic resin layer 14 or 15 is 120 DEG C or lower, particularly 110 DEG C or lower desirable.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of the two resins do not overlap and that the retardation developing layer 12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higher than that of the (meth) acrylic resin layers 14 and 15. This is because the production of a retardation plate by co-extrusion described below is made easier.

(메트)아크릴계 수지층(14, 15)의 두께는 10~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thickness of the (meth) acrylic resin layers 14 and 15 is preferably 10 to 100 탆.

복합 위상차판(20)은, 예컨대, 위상차 발현층(12)을 형성하는 수지와, (메트)아크릴계 수지층(14, 15)을 형성하는 수지를 각각 공압출한 후, 위상차 발현층으로 되는 층에 면내 위상차를 부여하기 위한 연신 처리를 함으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위상차 발현층(12)을 형성하는 수지 및 (메트)아크릴계 수지층(14, 15)을 형성하는 수지로 각각 따로따로 단층 필름을 제작한 후, 히트 라미네이션에 의한 열융착에 의해 적층 필름을 얻은 후, 연신 처리를 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제작할 수 있다. 연신은, 원하는 면내 위상차 값을 얻을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세로 일축 연신, 텐타 가로 일축 연신, 동시 이축 연신, 축차 이축 연신 등일 수 있다.The composite retardation plate 20 is obtained by co-extruding, for example, a resin for forming the retardation developing layer 12 and a resin for forming the (meth) acrylic resin layers 14 and 15, In-plane retardation to the retardation film. Further, a single layer film is separately prepared from the resin forming the phase difference manifestation layer 12 and the resin forming the (meth) acrylic resin layer 14, 15, and then laminated films are formed by heat fusion by heat lamination. And then stretching the coated film. The stretchin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a desired in-plane retardation value can be obtained. For example, it may be longitudinal uniaxial stretching, tenter horizontal uniaxial stretching,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and sequential biaxial stretching.

복합 위상차판(20)은, 상술한 것과 같이, 바람직하게는 위상차 발현층(12)의 양면에 (메트)아크릴계 수지층(14, 15)이 적층된 3층 구조로 된다. 이 경우, 이들 (메트)아크릴계 수지층은 거의 동일한 두께로 할 수 있다. 3층 구조로 함으로써, 위상차판의 기계 강도 및 내약품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3층 구조로 한 경우의 총 막 두께는 30~200 ㎛, 바람직하게는 30~1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30~100 ㎛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composite retardation plate 20 preferably has a three-layer structure in which (meth) acrylic resin layers 14 and 15 are laminated on both surfaces of the retardation developing layer 12. In this case, these (meth) acrylic resin layers can have almost the same thickness. By having a three-layer structure, the mechanical strength and chemical resistance of the retarder can be further improved. In the case of a three-layer structure, the total film thickness is 30 to 200 mu m, preferably 30 to 150 mu m, more preferably 30 to 100 mu m.

제1 위상차판(10)은, 면내 위상차(Re)가 20~120 nm의 범위에 있는 것, 또한 앞의 식(1)으로 정의되는 Nz 계수가 -2를 넘고 -0.5 미만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면내 위상차(Re)는, 면내의 복굴절률에 필름의 두께를 곱한 값이며, 앞의 식(1)에 관련하여 정의한 면내 이축 방향의 굴절률 nx 및 ny와, 필름의 두께 d를 이용하여, 하기 식(2)으로 정의된다. 또한, 두께 방향의 위상차(Rth)는, 두께 방향의 복굴절률에 필름의 두께를 곱한 값이며, 면내 이축 방향의 굴절률 nx 및 ny, 두께 방향의 굴절률 nz 및 필름의 두께 d를 이용하여, 하기 식(3)으로 정의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retardation plate 10 has an in-plane retardation Re in the range of 20 to 120 nm and that the Nz coefficient defined by the above formula (1) is in the range of more than -2 and less than -0.5 desirable. The in-plane retardation Re is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in-plane birefringence of the film by the thickness of the film. Using the in-plane biaxial refractive indexes n x and n y defined in relation to the formula (1) Is def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2). The retardation (R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thickness direction birefringence index by the thickness of the film. The refractive indexes n x and n y in the in- plane biaxial direction, the refractive index n z in the thickness direction, , And is def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3).

면내 위상차 값(Re)=(nx-ny)×d (2)Plane retardation value Re = (n x -n y ) x d (2)

두께 방향의 위상차 값(Rth)=〔(nx+ny)/2-nz〕×d (3)The retardation value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Rth) = [(n x + n y) / 2-n z ] × d (3)

면내 위상차(Re)나 두께 방향 위상차(Rth) 또 Nz 계수는 시판되는 각종 위상차계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위상차나 Nz 계수는, 가시광의 중심 부근, 예컨대, 500~600 nm 사이의 임의 파장에 있어서의 값이면 되는데,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측정 파장을 기재하지 않을 때는, 파장 590 nm에 있어서의 값으로 한다. The in-plane retardation Re, th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and the Nz coefficient can be obtained by various commercially available phase difference systems. The phase difference or the Nz coefficient may be a value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visible light, for example, between 500 and 600 nm. In this specification, when the measurement wavelength is not specifically described, the value is set to a value at a wavelength of 590 nm.

[제2 위상차판][Second retardation plate]

본 발명의 복합 위상차판(20)을 구성하는 제2 위상차판(18)은,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위상차판(10)의 최표면에 형성된 (메트)아크릴계 수지층(14)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31)을 통해 적층된다. 여기서, 제2 위상차판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으로 구성된다.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란, 예컨대, 노르보르넨이나 다환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와 같은 환상 올레핀(시클로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의 유닛을 갖는 열가소성의 수지이며, 열가소성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라고도 불린다. 이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는, 상기 시클로올레핀의 개환 중합체나 2종 이상의 시클로올레핀을 이용한 개환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이어도 좋고, 시클로올레핀과, 쇄상 올레핀이나, 비닐기와 같은 중합성 이중 결합을 갖는 방향족 화합물 등과의 부가 중합체라도 좋다.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에는 극성기가 도입되어 있어도 좋다. 1,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18 constituting the composite retardation plat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eth) acrylic resin layer 14 formed on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first retardation plate 10, Through an adhesive layer 31 made of a cured product of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Here, the second retarder comprises a cycloolefin-based resin film. The cycloolefin-based resin is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unit of a monomer comprising a cyclic olefin (cycloolefin) such as norbornene or a polycyclic norbornene-based monomer, and is also referred to as a thermoplastic cycloolefin-based resin. The cycloolefin resin may be a hydrogenated product of a ring-opening polymer of the above cycloolefin or a ring-opening copolymer using two or more cycloolefins, and may be an aromatic compound having a polymerizable double bond such as a cycloolefin, a chain olefin, May be used. A polar group may be introduced into the cycloolefin-based resin.

시클로올레핀과, 쇄상 올레핀 및/또는 비닐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과의 공중합체로 하는 경우, 쇄상 올레핀으로서, 에틸렌이나 프로필렌 등을, 또한 비닐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로서,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핵알킬 치환 스티렌 등을 각각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공중합체에 있어서, 시클로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의 유닛은, 50 몰% 이하여도 좋으며, 그 경우 바람직하게는 15~50 몰% 정도가 된다. 특히, 시클로올레핀, 쇄상 올레핀 및 비닐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삼원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제2 위상차판을 구성하는 경우, 시클로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의 유닛의 함유량은, 상술한 것과 같이 비교적 적은 양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쇄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의 유닛의 함유량은 통상 5~80 몰%이며, 비닐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의 유닛의 함유량은 통상 5~80 몰%이다. When a cycloolefin is a copolymer of an aromatic compound having a chain olefin and / or a vinyl group, ethylene or propylene may be used as the chain olefin, and aromatic compounds having a vinyl group such as styrene,? -Methylstyrene, Styrene, and the like can be used, respectively. In such a copolymer, the unit of the monomer comprising cycloolefin may be 50 mol% or less, an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y about 15 to 50 mol%. Particularly, when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is constituted by using a ternary copolymer comprising a cycloolefin, a chain olefin and an aromatic compound having a vinyl group, the content of the unit of the monomer composed of cycloolefin is set to a relatively small amount as described above . In this case, the content of the unit of the monomer composed of the chain olefin is usually 5 to 80 mol%, and the content of the unit of the monomer composed of the aromatic group having the vinyl group is usually 5 to 80 mol%.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로서 적절한 시판 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독일의 TOPAS ADVANCED POLYMERS GmbH에서 생산되고, 일본에서는 폴리플라스틱(주)에서 판매하고 있는 "TOPAS", JSR(주)에서 판매하고 있는 "아톤", 닛폰제온(주)에서 판매하고 있는 "제오노아"(ZEONOR) 및 "제오넥스"(ZEONEX), 미쓰이가가쿠(주)에서 판매하고 있는 "아펠"(이상 모두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를 제막하여 필름으로 하기 위해서는, 용제 캐스트법이나 용융 압출법 등, 공지된 방법이 적절하게 이용된다. Suitabl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as the cycloolefin-based resin can be used. For example, TOPAS manufactured by TOPAS ADVANCED POLYMERS GmbH in Germany, TOPAS sold by Polyplastics in Japan, ATON sold by JSR, and Zeon sold by Nippon Zeon Co., ZEONOR "and" Zeonex "sold by Mitsui Chemicals, Inc., and" Arpel "(all trade names) sold by Mitsui Chemicals, Inc. Known methods such as a solvent casting method and a melt extrusion method are suitably used for film formation of such cycloolefin-based resin.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에 일축 연신 또는 이축 연신을 실시하여 위상차를 부여하여, 위상차판으로 된다. 이때의 연신 배율은 통상 1.1~5배, 바람직하게는 1.1~3배이다. 연신에 의해서 얻어지는 위상차판은 얇은 쪽이 바람직하지만, 지나치게 얇으면 강도가 저하되어, 가공성이 뒤떨어지는 경향이 있고, 한편 지나치게 두꺼우면,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복합 위상차판 내지 복합 편광판의 중량이 커지거나 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아,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2 위상차판의 두께는 통상 5~150 ㎛, 나아가서는 10~100 ㎛, 특히 15~80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ycloolefin-based resin film is subjected to uniaxial stretching or biaxial stretching to give a retardation to form a retarder. The draw ratio at this time is usually 1.1 to 5 times, preferably 1.1 to 3 times. The retardation plate obtained by stretching is preferably thin, but if it is too thin, the strength tends to deteriorate and the workability tends to be poor. On the other hand, if it is too thick, transparency deteriorates or the weight of the compound retardation plate or complex polarizer increases . From this viewpoint, the thickness of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made of the cycloolefin-based resin is preferably 5 to 150 占 퐉, more preferably 10 to 100 占 퐉, particularly preferably 15 to 80 占 퐉.

미리 제막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더욱 위상차가 부여된 상태로 시판되고 있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도 있다. 이들 중, 위상차가 부여되기 전의 필름이라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위상차판의 원반(原反) 필름으로서, 또한 위상차가 부여된 것이라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위상차판 그 자체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시판 제품의 예를 들면, 닛폰제온(주)에서 판매하고 있는 "제오노아필름", JSR(주)에서 판매하고 있는 "아톤필름", 세키스이가가쿠고교(주)에서 판매하고 있는 "에스시나" 및 "SCA40"(이상 모두 상품명) 등이 있다. There is also a cycloolefin-based resin film that is preliminarily formed and, in some cases, commercially available in a state where a further retardation is imparted. Among them, if the film is a film before imparting a retardation, as long as it has a retardation as the original film of the second retardation fil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m may be used as the second retardation film itself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Examples of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of such cycloolefin-based resin films include "Zeonoah Film" sold by Nippon Zeon Co., Ltd., "Aton Film" sold by JSR Corporation, Sekisui Igaku Kogyo Co., And "SCA40" (all trade names).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은,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잔존 용매, 안정제, 가소제, 노화방지제, 대전방지제 및 자외선흡수제와 같은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서 함유하여도 좋다. 또한, 표면 거칠기를 작게 하기 위해서 레벨링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The cycloolefin-based resin film may contain additives such as a residual solvent, a stabilizer, a plasticizer, an anti-aging agent, an antistatic agent and an ultraviolet absorber if necessary, as long a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aired. Further, a leveling agent may be contained in order to reduce surface roughness.

본 발명에 있어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위상차판(18)은, 면내 위상차(Re)가 30~150 nm의 범위에 있는 것, 또한 앞의 식(1)으로 정의되는 Nz 계수가 1을 넘고 2 미만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18 made of a cycloolefin-based resin film has an in-plane retardation Re in the range of 30 to 150 nm and an Nz coefficient defined by the foregoing formula (1) 1 > and less than 2.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위상차판은, 이하에 상술되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메트)아크릴계 수지층을 포함하는 제1 위상차판에 점착된다. 양자를 점착함에 있어서는,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메트)아크릴계 수지층을 포함하는 위상차판 및/또는 그것에 접합되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접착 표면에,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프레임(화염) 처리, 비누화 처리, 프라이머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적절하게 실시하여도 좋다. 이하, (메트)아크릴계 수지층을 포함하는 위상차판과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과의 점착에 이용되는 접착제에 관해서 설명한다.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made of the cycloolefin based resin film is adhered to the first retardation plate including the (meth) acrylic resin layer using the adhesive described below.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veness, the adhesive surface of the retardation plate containing the (meth) acrylic resin layer and / or the cycloolefin resin film bonded thereto is subjected to plasma treatment, corona treatment, ultraviolet ray irradiation treatment, A surface treatment such as a frame (flame) treatment, a saponification treatment, a primer treatment or the like may be appropriately carried out. Hereinafter, the adhesive used for adhesion between the retarder including the (meth) acrylic resin layer and the cycloolefin resin film will be described.

[제1 위상차판과 제2 위상차판을 점착하는 접착제][Adhesive for sticking the first retardation plate and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위상차판(10)의 최표면이 되는 (메트)아크릴계 수지층(14)과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위상차판(18)과의 점착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이용된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를 받아 경화하는 화합물, 즉 경화성 성분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는, 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와, 분자 내에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경화성 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채용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on between the (meth) acrylic resin layer 14, which is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first retardation film 10, and the second retardation film 18 made of a cycloolefin resin film, A resin composition is used. The active energy ray curable resin composition contains a compound capable of curing upon irradiation with an active energy ray, that is, a curable component.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mposition comprising N-substituted (meth) acrylamide and a compound having a (meth) acryloyloxy group in its molecule as a curing component is employed.

〈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 ≪ N-substituted (meth) acrylamide &

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는, N-위치에 치환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아미드이다. 그 치환기의 전형적인 예는, 더욱 치환되어 있더라도 좋은 알킬기인데, (메트)아크릴아미드의 질소 원자와 함께 고리를 형성하고 있어도 좋고, 이 고리는, 탄소 원자 및 (메트)아크릴아미드의 질소 원자에 더하여, 산소 원자를 고리 구성원으로서 갖더라도 좋다. 또한, 그 고리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에는, 알킬이나 옥소(=O)와 같은 치환기가 결합하고 있어도 좋다. 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는 일반적으로, (메트)아크릴산 또는 그 염화물과 1급 또는 2급 아민과의 반응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다. N-substituted (meth) acrylamide is a (meth) acrylamide having a substituent at the N-position. A typical example of the substituent is an alkyl group which may be further substituted, and may form a ring together with the nitrogen atom of (meth) acrylamide. In addition to the carbon atom and the nitrogen atom of (meth) acrylamide, An oxygen atom may be contained as a ring member. A substituent such as alkyl or oxo (= O) may be bonded to the carbon atom constituting the ring. N-substituted (meth) acrylamides can generally be prepared by the reaction of (meth) acrylic acid or its chloride with a primary or secondary amine.

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는 특히 상기 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를 나타내는 상기 식(I)에 있어서, Q2가 알킬기일 때 및 Q3이 수산기를 갖더라도 좋은 알킬기일 때, 각각의 알킬기는, 탄소수 3 이상이면 직쇄라도 분기되어 있어도 좋다. Q3이 수산기를 갖는 알킬기일 때, 히드록시알킬기가 이것에 해당한다. Q2와 Q3은 하나가 되어, 이들이 결합하는 질소 원자와 함께, 산소 원자를 고리 구성원으로서 갖더라도 좋은 5원환 또는 6원환을 형성할 때, 이 5원환 또는 6원환의 예를, N-위치에서 카르보닐(C=O)로 연결되는 기의 형태로 들면, 1-피롤리디닐(C4H8N-), 2-옥사졸리디논-3-일(C2H4OC(=O)N-), 피페리디노(C5H10N-), 모르폴리노(C2H4OC2H4N-) 등이 있다. The N-substituted (meth) acrylamide is particularly preferably represented by the above formula (I). In the above formula (I) representing a suitable N-substituted (meth) acrylamide, when Q 2 is an alkyl group and Q 3 is an alkyl group which may have a hydroxyl group, . When Q 3 is an alkyl group having a hydroxyl group, this corresponds to a hydroxyalkyl group. Q 2 and Q 3 are taken together to form a 5-membered ring or a 6-membered ring when they form a 5-membered or 6-membered ring which may have an oxygen atom as a ring member, together with the nitrogen atom to which they are bonded, (C 4 H 8 N-), 2-oxazolidinone-3-yl (C 2 H 4 OC (= O) (C 5 H 10 N-), morpholino (C 2 H 4 OC 2 H 4 N-), and the like.

식(I)에 상당하고, Q2가 수소 원자이며, Q3이 알킬기인 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의 구체적인 예로서, N-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tert-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헥실(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이 있다. 마찬가지로 Q2 및 Q3이 함께 알킬기인 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의 구체적인 예로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이 있다. 마찬가지로 Q2가 수소 원자이고, Q3이 수산기를 갖는 알킬기인 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의 구체적인 예로서, N-히드록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이 있다. 또한, 식(I)에 있어서의 Q2와 Q3은 하나가 되어, 이들이 결합하는 질소 원자와 함께, 5원환 또는 6원환을 형성하는 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의 구체적인 예로서, N-아크릴로일피롤리딘, 3-아크릴로일-2-옥사졸리디논, 4-아크릴로일모르폴린, N-아크릴로일피페리딘, N-메타크릴로일피페리딘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도, N-히드록시메틸아크릴아미드나 N-(2-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와 같은, N-히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가 특히 바람직하다. Specific examples of the N-substituted (meth) acrylamides corresponding to the formula (I), Q 2 being a hydrogen atom and Q 3 being an alkyl group include N-methyl (meth) acrylamide, N- , N-isopropyl (meth) acrylamide, N-butyl (meth) acrylamide, N-tert-butyl (meth) acrylamide and N-hexyl (meth) acrylamide. Similarly, specific examples of N-substituted (meth) acrylamides wherein Q 2 and Q 3 together are an alkyl group include N, N-dimethyl (meth) acrylamide, N, N-diethyl (meth) acrylamide and the like. Examples of N-substituted (meth) acrylamides wherein Q 2 is a hydrogen atom and Q 3 is an alkyl group having a hydroxyl group include N-hydroxymethyl (meth) acrylamide, N- (2-hydroxyethyl) Methacrylamide, N- (2-hydroxypropyl) (meth) acrylamide, and the like. Specific examples of N-substituted (meth) acrylamides in which Q 2 and Q 3 in formula (I) are united to form a 5-membered ring or a 6-membered ring together with the nitrogen atom to which they are bonded are N- Acryloylpyrrolidine, 3-acryloyl-2-oxazolidinone, 4-acryloylmorpholine, N-acryloylpiperidine, N-methacryloylpiperidine and the like. Among them, N-hydroxyalkyl (meth) acrylamides such as N-hydroxymethylacrylamide and N- (2-hydroxyethyl) acrylamide are particularly preferable.

그 밖에, N-도데실(메트)아크릴아미드와 같은, 장쇄 알킬을 갖는 N-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나, N-(메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에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프로폭시메틸)아크릴아미드 및 N-(부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와 같은, N-(알콕시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도,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성 성분을 구성하는 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로서 이용할 수 있다. Other examples include N-alkyl (meth) acrylamides having long chain alkyl such as N-dodecyl (meth) acrylamide, N- (methoxymethyl) acrylamide, N- (ethoxymethyl) N- (alkoxyalkyl) (meth) acrylamides such as N- (propoxymethyl) acrylamide and N- (butoxymethyl) acrylamide can also be used as N-substituted Meth) acrylamide.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화합물〉 ≪ Compound having (meth) acryloyloxy group >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또 하나의 경화성 성분이 되는 분자 내에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화합물은, 분자 내에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적어도 1개 갖는 각종의 것일 수 있으며, 이하 단순히 「(메트)아크릴레이트」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나,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을 2종 이상 반응시켜 얻어지고, 분자 내에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적어도 2개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이 이것에 해당한다. The compound having a (meth) acryloyloxy group in the molecule which is another curable component of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may be various ones having at least one (meth) acryloyloxy group in the molecule, May also be referred to as " (meth) acrylate ". Specifically, a (meth) acryloyloxy group having at least one (meth) acryloyloxy group in the molecule or a compound obtained by reacting two or more kinds of compounds having a functional group and having at least (Meth) acrylate oligomer having two (meth) acrylate oligomers.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에는, 분자 내에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1개 갖는 일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분자 내에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2개 갖는 이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분자 내에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3개 이상 갖는 삼작용성 이상의 다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있다. (Meth) acrylate monomers include monofunctional (meth) acrylate monomers having one (meth) acryloyloxy group in the molecule, difunctional (meth) acrylate monomers having two (meth) acryloyloxy groups in the molecule (Meth) acryloyloxy groups in the molecule and a trifunctional or higher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monomer having three or more (meth) acryloyloxy groups.

이들 중에서도, 일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특히, 상기 식(II)으로 나타내어지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나타내는 상기 식(II)에 있어서, R2가 알킬기일 때, 그 알킬기는, 탄소수 3 이상이면 직쇄라도 분기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식(II)으로 나타내어지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구체예를 들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er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도 메틸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Among these, monofunctional (meth) acrylate monomers are preferable, and alkyl (meth) acrylates represented by the above formula (II) are particularly preferable. In the formula (II) representing an alkyl (meth) acrylate, when R 2 is an alkyl group, the alkyl group may be straight-chain or branched if it has 3 or more carbon atoms. Specific examples of the alkyl (meth) acrylate represented by the formula (II) include methyl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isopropyl (meth) acrylate, butyl (meth) Butyl (meth) acrylate, and tert-butyl (meth) acrylate. Of these, methyl acrylate is particularly preferable.

또한,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알킬기의 탄소수가 더 많은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아랄킬(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테르펜알코올의 (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아미노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2-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카르비톨(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알코올 부위에 에테르 결합을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도, 일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 이용할 수 있다. (Meth) acrylates such as benzyl (meth) acrylate, isobornyl (meth) acrylate such as benzyl (meth) acrylate, (Meth) acrylates of terpene alcohols such as N, N-dimethylaminoethyl (meth) acrylate, and aminoalkyl (meth) acrylates such as 2-phenoxyethyl (meth) acrylate, ethylcarbitol (Meth) acrylate having an ether bond at an alcohol moiety such as phenoxypolyethylene glycol (meth) acrylate and phenoxypolyethylene glycol (meth) acrylate can also be used as monofunctional (meth) acrylates.

또한, 알코올 부위에 수산기를 갖는 일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나, 알코올 부위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일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도 이용할 수 있다. 알코올 부위에 수산기를 갖는 일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구체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 또는 3-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알코올 부위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일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구체예를 들면, 2-카르복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1-[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산, 1-[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헥사히드로프탈산, 1-[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호박산, 4-[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멜리트산 등이 있다. Further, monofunctional (meth) acrylate having a hydroxyl group at the alcohol moiety or monofunctional (meth) acrylate having a carboxyl group at the alcohol moiety may be used. Specific examples of the monofunctional (meth) acrylate having a hydroxyl group at the alcohol moiety include 2-hydroxyethyl (meth) acrylate, 2- or 3-hydroxypropyl (meth) acrylate, 2-hydroxybutyl (Meth) acrylate, 2-hydroxy-3-phenoxypropyl (meth) acrylate, trimethylolpropane mono (meth) acrylate and pentaerythritol mono (meth) acrylate. Specific examples of the monofunctional (meth) acrylate having a carboxyl group at the alcohol moiety include 2-carboxyethyl (meth) acrylate, 1- [2- (meth) acryloyloxyethyl] phthalic acid, 1- [ (Meth) acryloyloxyethyl] hexahydrophthalic acid, 1- [2- (meth) acryloyloxyethyl] succinic acid and 4- [2- (meth) acryloyloxyethyl] trimellitic acid. .

이상은 분자 내에 1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화합물의 예이지만, 분자 내에 복수 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다작용성 화합물도, 경화성 성분으로서 이용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될 수 있다. 다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에는, 앞서도 말한 것과 같이, 분자 내에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2개 갖는 이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분자 내에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3개 이상 갖는 삼작용성 이상의 다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을 2종 이상 반응시켜 얻어지고, 분자 내에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적어도 2개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이 있다. 이하에 이들 모노머나 올리고머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Is an example of a compound having one (meth) acryloyloxy group in the molecule, but a polyfunctional compound having a plurality of (meth) acryloyloxy groups in the molecule may also be a (meth) acrylate used as a curing component have. As described above, the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includes a bifunctional (meth) acrylate monomer having two (meth) acryloyloxy groups in the molecule, a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monomer having three or more (Meth) acrylate oligomer having at least two (meth) acryloyloxy groups in the molecule, obtained by reacting two or more kinds of compounds having a trifunctional or higher functional (meth) acrylate monomer and a functional group. These monomers and oligomers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below.

이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대표적인 것으로서, 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류,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류, 할로겐 치환 알킬렌글리콜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류, 지방족 폴리올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류, 수첨 디시클로펜타디엔 또는 트리시클로데칸디알칸올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류, 디옥산글리콜 또는 디옥산디알칸올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류, 비스페놀 A 또는 비스페놀 F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류, 비스페놀 A 또는 비스페놀 F의 에폭시디(메트)아크릴레이트류 등을 들 수 있다. Typical examples of the bifunctional (meth) acrylate monomers include alkylene glycol di (meth) acrylates, polyoxyalkylene glycol di (meth) acrylates, di (meth) acrylates of halogen-substituted alkylene glycols, Di (meth) acrylates of aliphatic polyols, di (meth) acrylates of hydrogenated dicyclopentadiene or tricyclodecanedialcohol, di (meth) acrylates of dioxane glycol or dioxanedialcohol, bis Di (meth) acrylates of alkylene oxide adducts of bisphenol F, and epoxy di (meth) acrylates of bisphenol A or bisphenol F, and the like.

이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린산네오펜틸글리콜에스테르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2,2-비스[4-{2-(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2-(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에톡시}시클로헥실]프로판, 수첨 디시클로펜타디에닐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3-디옥산-2,5-디일디(메트)아크릴레이트〔별칭: 디옥산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알데히드와 트리메틸올프로판과의 아세탈화물〔화학명: 2-(2-히드록시-1,1-디메틸에틸)-5-에틸-5-히드록시메틸-1,3-디옥산〕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3,5-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More specific examples of the bifunctional (meth) acrylate monomers include 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1,3-butanediol di (meth) acrylate, 1,4-butanediol di (meth) (Meth) acrylate, neopentyl glycol di (meth) acrylate, trimethylol propane d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di (meth) acrylate, Acrylate, di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diprop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triprop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di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poly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polyprop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polytetram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hydroxypivalic acid neopentyl glycol ester Di (meth) acrylate, 2,2-bis [4- {2- (2- (meth) acryloyloxyethoxy) ethoxy} (Meth) acryloyloxyethoxy) ethoxy} cyclohexyl] propane, hydrogenated dicyclopentadienyl (meth) acrylate, tricyclodecane dimethanol di (meth) acrylate, 1,3-dioxane Acrylate], an acetal compound of hydroxypivalaldehyde and trimethylolpropane [chemical name: 2- (2-hydroxy-1-hydroxyethyl) (1-dimethylethyl) -5-ethyl-5-hydroxymethyl-1,3-dioxane], 1,3,5-tris (2-hydroxyethyl) isocyanurate Di (meth) acrylate, and the like.

삼작용성 이상의 다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대표적인 것은, 3가 이상의 지방족 폴리올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이다. 그 구체예를 들면, 글리세린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Representative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monomers having a trifunctional or higher functionality are poly (meth) acrylates of tri- or higher aliphatic polyols.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glycerin tri (meth) acrylate, trimethylol propane tri (meth) acrylate, ditrimethylol propane tri (meth) acrylate, ditrimethylol propane tetra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tetra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tetra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penta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hexa have.

그 밖에, 3가 이상의 할로겐 치환 폴리올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의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의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1,1,1-트리스[2-{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에톡시]프로판, 1,3,5-트리스[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도, 다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될 수 있다.Other examples include tri (meth) acrylates of tri- or more halogen-substituted polyols, tri (meth) acrylates of alkylene oxide adducts of glycerin, tri (meth) acrylates of alkylene oxide adducts of trimethylolpropane, , 1-tris [2- {2- (meth) acryloyloxyethoxy} ethoxy] propane, 1,3,5-tris [2- (meth) acryloyloxyethyl] isocyanurate,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monomers.

한편,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이 있다. On the other hand, (meth) acrylate oligomers include urethane (meth) acrylate oligomers, polyester (meth) acrylate oligomers and epoxy (meth) acrylate oligomers.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란, 분자 내에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적어도 2개 가지는 동시에, 우레탄 결합(-NHCOO-)을 갖는 화합물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분자 내에 1개의 수산기 및 적어도 1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각각 갖는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의 우레탄화 반응 생성물이나, 폴리올류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얻어지는 말단 이소시아나토기 함유 우레탄 화합물과, 분자 내에 1개의 수산기 및 적어도 1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각각 갖는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의 우레탄화 반응 생성물 등일 수 있다.The urethane (meth) acrylate oligomer refers to a compound having at least two (meth) acryloyloxy groups in the molecule and having a urethane bond (-NHCOO-). Specifically, a urethanation reaction product of a hydrox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onomer having a hydroxyl group and at least one (meth) acryloyloxy group in a molecule with a polyisocyanate, or a polyol is reacted with a polyisocyanate (Meth) acrylate monomer having a hydroxyl group and at least one (meth) acryloyloxy group each having a hydroxyl group in the molecul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urethanization reaction product of the resulting isocyanato group-containing urethane compound.

상기 우레탄화 반응에 이용되는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 구체적으로는,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hydrox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onomer used in the urethanization reaction include 2-hydroxyethyl (meth) acrylate, 2-hydroxypropyl (meth) acrylate, 2- Acrylate, trimethylolpropane d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hexa (meth) acrylate, (Meth) acrylate, and the like.

이러한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의 우레탄화 반응에 사용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 구체적으로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류를 수소 첨가하여 얻어지는 화합물, 예컨대, 수소 첨가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나 수소 첨가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디벤질벤젠트리이소시아네이트, 이들 중의 디이소시아네이트류를 다량화시켜 얻어지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polyisocyanate used in the urethanization reaction with such a hydrox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onomer include hexamethylene diisocyanate, lysine diisocyanate, isophorone diisocyanate, di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 tolylene diisocyanate, A compound obtained by hydrogenating xylylene diisocyanate and aromatic diisocyanate such as hydrogenated tolylene diisocyanate, hydrogenated xylylene diisocyanate, triphenylmethane triisocyanate, dibenzyl benzene triisocyanate, and diisocyanates thereof in a large amount And polyisocyanates obtained by polymerization.

또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에 의해 말단 이소시아나토기 함유 우레탄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폴리올류로서는, 지방족 또는 지환식의 폴리올 외에,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지방족 또는 지환식의 폴리올로서, 구체적으로는,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디메틸올헵탄, 디메틸올프로피온산, 디메틸올부티르산, 글리세린, 수첨 비스페놀 A 등을 들 수 있다. As the polyol for producing the terminal isocyanato group-containing urethane compound by the reaction with the polyisocyanate, a polyester polyol, a polyether polyol and the like can be used in addition to the aliphatic or alicyclic polyol. Specific examples of the aliphatic or alicyclic polyol include 1,4-butanediol, 1,6-hexanediol, eth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tri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neopentyl glycol, trimethylolethane, , Ditrimethylol propane, pentaerythritol, dipentaerythritol, dimethylolheptane, dimethylol propionic acid, dimethylol butyric acid, glycerin, hydrogenated bisphenol A and the like.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은, 상기한 폴리올류에 다염기성 카르복실산 또는 그 무수물을 탈수 축합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화합물이다. 다염기성 카르복실산 및 그 무수물의 구체예를, 무수물일 수 있는 것에 「(무수)」라는 표시를 붙여 예로 들면, (무수)호박산, 아디프산, (무수)말레산, (무수)이타콘산, (무수)트리멜리트산, (무수)피로멜리트산, (무수)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헥사히드로(무수)프탈산 등이 있다. The polyester polyol is a compound obtained by dehydration condensation reaction of a polybasic carboxylic acid or an anhydride thereof with the above polyols. Specific examples of the polybasic carboxylic acid and its anhydride may be anhydrides which may be anhydrides, for example, succinic acid, adipic acid, (maleic anhydride) maleic acid, (anhydrous) itaconic acid , (Anhydrous) trimellitic acid, (anhydrous) pyromellitic acid, (anhydrous) phthalic acid, isophthalic acid, terephthalic acid, and hexahydrophthalic anhydride.

폴리에테르폴리올은, 폴리알킬렌글리콜 외에, 상기한 폴리올류 또는 비스페놀류에, 알킬렌옥사이드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폴리올 등일 수 있다. The polyether polyol may be a polyoxyalkylene-modified polyol obtained by reacting an alkylene oxide with the above polyol or bisphenol in addition to the polyalkylene glycol.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란, 분자 내에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적어도 2개 가지는 동시에,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메트)아크릴산, 다염기성 카르복실산 또는 그 무수물 및 폴리올의 탈수 축합 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탈수 축합 반응에 이용되는 다염기성 카르복실산 또는 그 무수물의 구체예를, 무수물일 수 있는 것에 「(무수)」라는 표시를 붙여 예로 들면, (무수)호박산, 아디프산, (무수)말레산, (무수)이타콘산, (무수)트리멜리트산, (무수)피로멜리트산, 헥사히드로(무수)프탈산, (무수)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등이 있다. 또한 탈수 축합 반응에 이용되는 폴리올의 구체예를 들면,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디메틸올헵탄, 디메틸올프로피온산, 디메틸올부티르산, 글리세린, 수첨 비스페놀 A 등이 있다. The polyester (meth) acrylate oligomer means a compound having at least two (meth) acryloyloxy groups in the molecule and having an ester bond. Specifically, it can be obtained by a dehydration condensation reaction of (meth) acrylic acid, a polybasic carboxylic acid or an anhydride thereof, and a polyol. Specific examples of the polybasic carboxylic acid or its anhydride used in the dehydration condensation reaction may be an anhydride which is labeled with "(anhydrous)",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succinic acid, adipic acid, (anhydrous) maleic acid , (Anhydrous) phthalic acid, (anhydrous) phthalic acid, isophthalic acid, terephthalic acid, and the like. Specific examples of the polyol used in the dehydration condensation reaction include 1,4-butanediol, 1,6-hexanediol, eth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tri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neopentyl glycol, trimethylolethane, trimethyl Dipentaerythritol, dipentaerythritol, dimethylolheptane, dimethylolpropionic acid, dimethylolbutyric acid, glycerin, hydrogenated bisphenol A, and the like.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란, 폴리글리시딜에테르와 (메트)아크릴산과의 부가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말하며, 역시 분자 내에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적어도 2개 갖고 있다. 이 부가 반응에 이용되는 폴리글리시딜에테르의 구체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A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이 있다. The epoxy (meth) acrylate oligomer is obtained by the addition reaction of polyglycidyl ether and (meth) acrylic acid, and also has at least two (meth) acryloyloxy groups in the molecule. Specific examples of the polyglycidyl ether used in this addition reaction include 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tri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1,6-hexanediol diglycidyl ether Sebac ether, bisphenol A diglycidyl ether, and the like.

〈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와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양적 비율〉<Quantitative Ratio of N-Substituted (Meth) Acrylamide and (Meth) Acrylate>

본 발명에서는, 이상 설명한 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와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경화성 성분으로서 병용하는 것인데, 이들의 양적 관계는, 양자를 포함하고, 그 밖에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를 받아 경화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는 그것도 포함하는, 경화성 성분 전체의 양을 기준으로, 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를 60~80 중량%, 나아가서는 70~80 중량%, 그리고 (메트)아크릴레이트를 20~40 중량%, 나아가서는 20~30 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 및 상기 식(II)으로 나타내어지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경화성 성분 전체의 양을 기준으로, 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의 비율이 60~80 중량부, 나아가서는 70~80 중량%, 그리고 식(II)으로 나타내어지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비율이 20~40 중량%, 나아가서는 20~30 중량%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을 대표예로 하는 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의 비율이, 경화성 성분 전체 중에서 60 중량%를 밑돌고, 바꿔 말하면, 식(I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을 대표예로 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비율이, 경화성 성분 전체 중에서 40 중량%을 상회하면,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에 대한 접착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을 대표예로 하는 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의 비율이, 경화성 성분 전체 중에서 80 중량%을 넘고, 바꿔 말하면, 식(I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을 대표예로 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비율이, 경화성 성분 전체 중에서 20 중량%를 하회하면, (메트)아크릴계 수지층을 포함하는 위상차판에 대한 접착력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N-substituted (meth) acrylamide and (meth) acrylate are used in combination as a curing component in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their quantitative relationship includes both (Meth) acrylamide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60 to 80% by weight, more preferably 70 to 8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curable component, including the compound which cures upon irradiation with an active energy ray, , And 20 to 40%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20 to 30% by weight, of the (meth) acrylate. Similarly, in the case of using the N-substituted (meth) acrylamide represented by the above formula (I) and the alkyl (meth) acrylate represented by the above formula (II), on the basis of the total amount of the curing component, (Meth) acrylamide is 60 to 8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70 to 80 parts by weight, and the proportion of the alkyl (meth) acrylate represented by the formula (II) is 20 to 40 parts by weight, By weight, more preferably 20 to 30% by weight. The proportion of the N-substituted (meth) acrylamide represented by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I) is less than 60% by weight in the total of the curing components, in other words,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II) (Meth) acrylate exceeds 40% by weight in the entire curable component, the adhesive strength to the cycloolefin-based resin film tends to be lower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oportion of the N-substituted (meth) acrylamide represented by the formula (I) is more than 80% by weight in the entire curable component, in other words,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When the proportion of the (meth) acrylate is below 20% by weight in the entire curable component, the adhesive force to the retarder including the (meth) acrylic resin layer tends to decrease.

〈광라디칼 중합개시제〉 &Lt; Photo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gt;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이상 설명한 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 및 (메트)아크릴레이트를 경화성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이들은 모두 라디칼 중합성의 화합물이기 때문에, 이 조성물에는 광라디칼 중합개시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라디칼 중합개시제는,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의 중합을 시작할 수 있는 것이면 되며, 종래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광라디칼 중합개시제의 구체예를 들면, 아세토페논, 3-메틸아세토페논, 벤질디메틸케탈, 1-(4-이소프로필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및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과 같은 아세토페논계 개시제; 벤조페논, 4-클로로벤조페논 및 4,4'-디아미노벤조페논과 같은 벤조페논계 개시제; 벤조인프로필에테르 및 벤조인에틸에테르와 같은 벤조인에테르계 개시제; 4-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과 같은 티오크산톤계 개시제; 그 밖에, 크산톤, 플루오레논, 캄파퀴논, 벤즈알데히드, 안트라퀴논 등이 있다.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contains the above-described N-substituted (meth) acrylamide and (meth) acrylate as a curable component, and since they are all radical polymerizable compounds, the composition contains a photo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 The photo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any one capable of initiating polymerization of the radical polymerizable compound by irradiation with an active energy ray, and conventionally known ones can be used. Specific examples of the photo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acetophenone, 3-methylacetophenone, benzyldimethylketal, 1- (4-isopropylphenyl) -2-hydroxypropyl- Acetophenone based initiators such as -1- [4- (methylthio) phenyl-2-morpholinopropane-1-one and 2-hydroxy-2-methyl-1-phenylpropan-1-one; Benzophenone based initiators such as benzophenone, 4-chlorobenzophenone and 4,4'-diaminobenzophenone; Benzoin ether initiators such as benzoin propyl ether and benzoin ethyl ether; Thioxanthone initiators such as 4-isopropylthioxanthone; In addition, there are xanthone, fluorenone, camphorquinone, benzaldehyde, anthraquinone, and the like.

광라디칼 중합개시제의 배합량은, 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 및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5~20 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1~6 중량부이다. 광라디칼 중합개시제의 양이 적으면, 경화가 불충분하게 되어, 기계적 강도나 접착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광라디칼 중합개시제의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경화성 수지 조성물 중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져, 얻어지는 복합 위상차판의 내구 성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The blending amount of the photo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is usually 0.5 to 20 parts by weight, preferably 1 to 6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radically polymerizable compound containing N-substituted (meth) acrylamide and (meth) acrylate Wealth. If the amount of the photo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is small, the curing becomes insufficient, and mechanical strength and adhesiveness tend to be lowered. On the other hand, if the amount of the photo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is excessively large, the amount of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und in the curable resin composition becomes relatively small, and the durability of the resultant composite retarder may deteriorate.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는 그 밖의 임의 성분〉 &Lt; Other optional components that can be incorporated into the curable resin composition &gt;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광증감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광증감제를 배합함으로써 라디칼 중합의 반응성이 향상되어, 접착제층의 기계적 강도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광증감제는, 380 nm보다 긴 파장에 극대 흡수를 갖는 화합물이면 되며, 예컨대, 카르보닐 화합물, 유기 유황 화합물, 과황화물, 레독스계 화합물, 아조 및 디아조 화합물, 할로겐 화합물, 안트라센계 화합물, 광환원성 색소 등을 들 수 있다. 광증감제가 될 수 있는 카르보닐 화합물의 예를 들면,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및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과 같은 벤조인 유도체; 벤조페논, 2,4-디클로로벤조페논, o-벤조일안식향산메틸,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및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과 같은 벤조페논계 화합물; 2-클로로티오크산톤 및 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과 같은 티오크산톤 유도체; 2-클로로안트라퀴논 및 2-메틸안트라퀴논과 같은 안트라퀴논 유도체; N-메틸아크리돈 및 N-부틸아크리돈과 같은 아크리돈 유도체 등이 있다. 안트라센계 화합물은, 안트라센의 9위와 10위에 알콕시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광증감제로 될 수 있는 안트라센계 화합물의 예를 들면, 9,10-디프로폭시안트라센, 2-메틸-9,10-디프로폭시안트라센, 2-에틸-9,10-디프로폭시안트라센, 9,10-디부톡시안트라센, 2-메틸-9,10-디부톡시안트라센, 2-에틸-9,10-디부톡시안트라센 등이 있다. 이들 광증감제는, 각각 단독으로 이용하더라도 좋고, 2종 이상 혼합하여 이용하더라도 좋다. 광증감제를 배합하는 경우, 그 양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전체를 100 중량부로 하여, 통상 0.1~20 중량부 정도이다. The active energy ray curable resin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a photosensitizer, if necessary. By adding the photosensitizer, the reactivity of the radical polymerization is improved, and the mechanical strength and adhesion of the adhesive layer can be improved. The photosensitizer may be any compound having a maximum absorption at a wavelength longer than 380 nm. Examples of the photosensitizer include carbonyl compounds, organic sulfur compounds, persulfides, redox compounds, azo and diazo compounds, halogen compounds, anthracene compounds, And a photoreducible dye. Examples of carbonyl compounds that can be photosensitizers include benzoin derivatives such as benzoin methyl ether, benzoin isopropyl ether and 2,2-dimethoxy-2-phenylacetophenone; Benzophenone compounds such as benzophenone, 2,4-dichlorobenzophenone, methyl o-benzoylbenzoate, 4,4'-bis (dimethylamino) benzophenone and 4,4'-bis (diethylamino) benzophenone; Thioxanthone derivatives such as 2-chlorothioxanthone and 2-isopropylthioxanthone; Anthraquinone derivatives such as 2-chloro anthraquinone and 2-methyl anthraquinone; Acridone derivatives such as N-methyl acridone and N-butyl acridone, and the like. The anthracene compound preferably has an alkoxy group at the 9th position and the 10th position of the anthracene, and examples of the anthracene compound which can be a photosensitizer include 9,10-dipropoxyanthracene, 2-methyl-9,10- Dihydroxy anthracene, 9,10-dibutoxyanthracene, 2-methyl-9,10-dibutoxyanthracene, 2-ethyl-9,10-dibutoxyanthracene, etc., have. These photosensitizer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When the photosensitizer is blended, the amount thereof is usually about 0.1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entire active energy ray curable compound.

또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대전 방지 성능을 부여하기 위한 대전방지제를 함유하더라도 좋다. 대전방지제로서, 공지된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양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 이외의 유기 양이온을 갖는 이온성 화합물,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 이외의 유기 음이온을 갖는 이온성 화합물, 도전성 무기 입자, 도전성 고분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대전방지제의 배합 비율은, 원하는 특성에 맞춰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는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전체를 100 중량부로 하여, 통상 0.1~10 중량부 정도이다.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may contain an antistatic agent for imparting antistatic properties. As the antistatic agent, various known ones can be used. For example, cationic surfactants, anionic surfactants, nonionic surfactants, ionic compounds having organic cations other than the cationic surfactants, ionic compounds having organic anions other than the anionic surfactants, conductive inorganic particles, conductive polymers, etc. Can be used. The mixing ratio of these antistatic agents can be suitably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desired characteristics, and is generally about 0.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the active energy ray curable compound.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고분자에 통상 사용되고 있는 공지된 고분자 첨가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예컨대, 페놀계나 아민계 등의 일차 산화방지제, 유황계의 이차 산화방지제, 장애형 아민계 광안정제(HALS),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벤조에이트계 등의 자외선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may contain a known polymer additive commonly used in polymers. Examples thereof include primary antioxidants such as phenol and amine type, secondary sulfur antioxidants,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s (HALS), benzophenone, benzotriazole, and benzoate.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는 레벨링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이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메트)아크릴계 수지층을 최표면에 갖는 제1 위상차판 또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위상차판에 도포함에 있어서, 발림성이 부족한 경우에는, 레벨링제를 배합함으로써 습윤성을 개선할 수 있다. 레벨링제에는, 실리콘계, 불소계, 폴리에테르계, 아크릴 공중합물계, 티타네이트계 등, 레벨링 효과를 갖는 각종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레벨링제의 배합 비율은,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1 중량부 정도이다. A leveling agent may be added to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When the curable resin composition is applied to the first retardation plate having the (meth) acrylic resin layer on the outermost surface or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composed of the cycloolefin-based resin film, when the releasability is insufficient, Can be improved. As the leveling agent, various compounds having a leveling effect such as a silicone type, a fluorine type, a polyether type, an acrylic copolymer type, a titanate type and the like can be used. The blending ratio of the leveling agent is about 0.01 to 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tive energy ray curable compound contained in the curable resin composition.

또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용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용제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의 용해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된다.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용제로서는, n-헥산 및 시클로헥산과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류; 톨루엔 및 크실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부탄올과 같은 알코올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및 시클로헥사논과 같은 케톤류; 초산메틸, 초산에틸 및 초산부틸과 같은 에스테르류;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및 부틸셀로솔브와 같은 셀로솔브류; 염화메틸렌 및 클로로포름과 같은 할로겐화탄화수소류 등을 들 수 있다. 용제의 배합 비율은, 성막성 등의 가공 상의 목적에 따른 점도 조정이나 채용하는 도공 방식에 있어서의 최적의 점도 범위 등의 관점에서 적절하게 결정된다. In addition,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may contain a solvent as required. The solvent is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solubility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urable resin composition. Commonly used solvents include aliphatic hydrocarbons such as n-hexane and cyclohexane; Aromatic hydrocarbons such as toluene and xylene; Alcohols such as methanol, ethanol, propanol, isopropanol and butanol; Ketones such as acetone, methyl ethyl ketone, methyl isobutyl ketone and cyclohexanone; Esters such as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and butyl acetate; Cellosolve such as methylcellosolve, ethylcellosolve and butylcellosolve; And halogenated hydrocarbons such as methylene chloride and chloroform. The compounding ratio of the solvent is suitably determined in view of adjustment of the viscosity depending on processing purposes such as film forming property and an optimum viscosity range in the coating system employed.

접착제층(31)을 형성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제1 위상차판(10) 및 제2 위상차판(18)의 점착면 중 어느 면에 도공되고, 이것에 또 한쪽의 위상차판을 적층한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도공에는, 예컨대, 닥터 블레이드, 와이어 바, 다이 코터, 콤마 코터, 그라비아 코터 등, 여러 가지 도공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The active energy ray 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forming the adhesive layer 31 is coated on either the adhesive surface of the first retardation plate 10 or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18 and another retardation plate is laminated thereon do. For coating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various coating methods such as doctor blade, wire bar, die coater, comma coater, and gravure coater can be used.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이용하는 광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파장 400 nm 이하에 발광 분포를 갖는, 예컨대, 저압 수은등, 중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케미컬 램프, 블랙라이트 램프, 마이크로파 여기 수은등, 메탈할라이드 램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의 광조사 강도는 조성물마다 다르지만, 중합개시제의 활성화에 유효한 파장 영역의 조사 강도가 10~2,500 mW/㎠인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의 광조사 강도가 지나치게 작으면, 반응이 충분히 진행될 때까지 드는 시간이 길어지고, 반대로 그것이 지나치게 크면, 램프로부터 복사되는 열 및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중합시의 발열에 의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황변이나 점착되는 필름의 열화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의 광조사 시간은, 역시 조성물마다 제어되는 것이며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조사 강도와 조사 시간의 곱으로서 나타내어지는 적산 광량이 10~2,500 mJ/㎠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의 적산 광량이 지나치게 작으면, 중합개시제 유래의 활성종의 발생이 충분하지 않아, 얻어지는 접착제층의 경화가 불충분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적산 광량이 지나치게 크면, 조사 시간이 매우 길아져, 생산성 향상에는 불리한 것으로 된다. The light source used for the irradiation of the active energy ra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 light source having a light emission distribution with a wavelength of 400 nm or less such as a low pressure mercury lamp, a medium pressure mercury lamp, a high pressure mercury lamp, Lamps and the like can be used. Although the light irradiation intensity to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varies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rradiation intensity in the wavelength range effective for activation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10 to 2,500 mW / cm 2. If the light irradiation intensity to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is too small, the time required for the reaction to proceed sufficiently is prolonged. On the contrary, if it is excessively large, heat and active energy radiated from the lamp , There is a possibility of causing yellowing of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or deterioration of the adhesive film. The light irradiation time for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is also controlled for each composition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o set the accumulated light quantity as a product of irradiation intensity and irradiation time to be 10 to 2,500 mJ / cm 2 Do. If the amount of accumulated light in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is too small, the generation of active species derived from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not sufficient, and the curing of the resulting adhesive layer may be insufficient. If the accumulated light amount is too large, the irradiation time becomes very long, which is disadvantageous to the productivity improvement.

[복합 편광판][Composite Polarizer]

도 1에 층 구성의 예를 도시한 본 발명의 복합 위상차판(20)은, 편광판과 조합하여 복합 편광판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편광판의 바람직한 층 구성의 예를 도 2에 개략 단면도로 도시했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편광 필름(42)의 한쪽의 면에, 제2 접착제층(32)을 통해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호 필름(44)이 적층되고, 편광 필름(42)의 다른 쪽의 면에, 제3 접착제층(33)을 통해, 도 1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복합 위상차판(20)이, 그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위상차판(18) 측에서 적층되어, 복합 편광판(50)이 구성된다. 복합 위상차판(20)의 편광 필름(42)에 접합된 면과 반대쪽의 면에는, 통상, 액정 셀 등의 다른 부재에 접합시키기 위한 점착제층(46)이 형성되고, 그 외측에는, 다른 부재에의 접합까지 점착제층(46)의 표면을 가착(假着) 보호하는 세퍼레이터(48)가 설치된다. 한편, 도 2에서는, 각 층의 관계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일부의 층을 이격시켜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인접하는 각 층이 접촉하여, 밀착 접합되어 있다. 이하, 복합 편광판(50)을 구성하는 각 부재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하지만, 복합 위상차판(20) 및 그것을 구성하는 각 부재는, 도 1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기 때문에, 이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The composite retardation film 20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layer structure in Fig. 1, can be combined with a polarizing plate to form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An example of a preferable layer configuration of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a schematic sectional view in Fig. As shown in this figure, a protective film 44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is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polarizing film 42 through the second adhesive layer 32, and the other side of the polarizing film 42 The composite retardation plate 2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is laminated on the side of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18 made of the cycloolefin based resin film via the third adhesive layer 33, (50).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46 for bonding to another member such as a liquid crystal cell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mpound retarder 20 opposite to the surface bonded to the polarizing film 42, A separator 48 for adhering and protecting the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46 is provided. On the other hand, in Fig. 2, in order to make the relationship of each layer easy to understand, some of the layers are shown apart from each other, but actually, adjacent layer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Hereinafter,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since the compound retarder 20 and the members constituting it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their description is omitted.

[편광 필름][Polarizing Film]

편광 필름(42)은, 구체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것이다. 이색성 색소의 흡착 전, 흡착 중 또는 흡착 후의 어느 한 시점에 일축 연신을 실시함으로써,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 중의 이색성 색소를 연신 방향으로 배향시킬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초산 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폴리초산 비닐계 수지로서는, 초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초산 비닐 외에, 초산비닐과 이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예컨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초산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불포화 술폰산류, 상기 에틸렌을 비롯한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olarizing film 42 is adsorbed and aligned on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The dichroic dye in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can be oriented in the stretching direction by performing uniaxial stretching before, during, or after the adsorption of the dichroic dye.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obtained by saponifying a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Examples of the polyvinyl acetate resin include polyvinyl acetate which is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as well as copolymers of vinyl acetate and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therewith, such as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xamples of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with vinyl acetate includ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unsaturated sulfonic acids, olefins such as ethylene, vinyl ethers, acrylamides having an ammonium group, and the like.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100 몰%, 바람직하게는 98 몰% 이상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더라도 좋으며, 예컨대,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부티랄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10,000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1,500~5,000의 범위 내이다. The saponification degre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ually 85 to 100 mol%, preferably 98 mol% or more. The polyvinyl alcohol resin may be modified, for example, polyvinyl formal modified with aldehydes, polyvinyl acetal, polyvinyl butyral, and the like. The polymerization degre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ually in the range of 1,000 to 10,000, preferably 1,500 to 5,000.

이러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막한 것이 편광 필름의 원반 필름으로서 이용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막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 공지된 적절한 방법으로 제막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원반 필름의 막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10~150 ㎛ 정도이다. Such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used as the original film of the polarizing film. The method of form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formed by a conventionally known appropriate method. The thickness of the original film made of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for example, about 10 to 150 占 퐉.

편광 필름은, 통상,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여 그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염색 처리 공정), 이색성 색소가 흡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붕산 처리 공정), 및 이 붕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 후에 수세하는 공정(수세 처리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The polarizing film is usually formed by a process of dyeing a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with a dichroic dye and adsorbing the dichroic dye (dyeing process), a process of treating a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adsorbed with a dichroic dye with an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Boric acid treatment step), and a step of washing with water after the treatment with the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water washing step).

또한 일축 연신도 실시되지만,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일축 연신은, 염색 처리 공정 전에 행하더라도 좋고, 염색 처리 공정 중에 행하더라도 좋고, 염색 처리 공정 후에 행하더라도 좋다. 일축 연신을 염색 처리 공정 후에 행하는 경우, 이 일축 연신은, 붕산 처리 공정 전에 행하더라도 좋고, 붕산 처리 공정 중에 행하더라도 좋다. 물론, 이들의 복수 단계에서 일축 연신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축 연신은, 원주 속도가 다른 이격된 롤 사이에 필름을 통과시키는 방법으로 행하더라도 좋고, 열롤로 필름을 사이에 끼우는 방법으로 행하더라도 좋다. 또한, 대기 중에서 연신을 하는 건식 연신이어도 좋고, 용제로 팽윤시킨 상태에서 연신을 하는 습식 연신이어도 좋다. 연신 배율은 통상 3~8배 정도이다. The uniaxial stretching may also be carried out, but the uniaxial stretching of the polyvinyl alcohol based resin film may be carried out before the dyeing treatment step, during the dyeing treatment step, or after the dyeing treatment step.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uniaxial stretching after the dyeing treatment step, the uniaxial stretching may be performed before the boric acid treatment step or during the boric acid treatment step.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uniaxial stretching in a plurality of such steps. The uniaxial stretching may be carried out by passing the film between spaced rolls having different circumferential speeds or by sandwiching the film with a thermal roll. Further, dry drawing may be used in which drawing is performed in the air, or may be wet drawing in which drawing is performed in a state of being swollen with a solvent.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usually about 3 to 8 times.

염색 처리 공정은,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를 함유하는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행해진다. 이색성 색소로서, 구체적으로는 요오드 또는 이색성 유기 염료가 이용된다. 이색성 유기 염료에는, C.I. DIRECT RED 39 등의 디스아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이색성 직접 염료, 트리스아조나 테트라키스아조 등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이색성 직접 염료가 포함된다. 한편,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염색 처리 전에 물에의 침지 처리를 실시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yeing treatment step is carried out, for example, by immers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dichroic dye. As the dichroic dye, iodine or a dichroic organic dye is specifically used. The dichroic organic dyes include C.I. DIRECT RED 39 and the like, and dichromatic direct dyes composed of compounds such as trisazo or tetrakisazo.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subjected to immersion treatment in water before the dyeing treatment.

이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하는 경우, 통상은 요오드 및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침지하여 염색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이 수용액에 있어서의 요오드의 함유량은, 물 100 중량부당 통상 0.01~1 중량부이며, 요오드화칼륨의 함유량은, 물 100 중량부당 통상 0.5~20 중량부이다. 이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하는 경우, 염색에 사용되는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20~40℃이며, 또한, 이 수용액에의 침지 시간(염색 시간)은 통상 20~1,800초 동안이다. When iodine is used as the dichroic dye, a method in which a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is dipped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iodine and potassium iodide is generally employed. The content of iodine in this aqueous solution is usually 0.01 to 1 part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and the content of potassium iodide is usually 0.5 to 2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When iodine is used as the dichroic dye, the temperature of the aqueous solution used for dyeing is usually 20 to 40 占 폚, and the immersion time (dyeing time) in this aqueous solution is usually 20 to 1,800 seconds.

한편, 이색성 색소로서 이색성 유기 염료를 이용하는 경우, 통상은 수용성의 이색성 유기 염료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침지하여 염색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이 수용액에 있어서의 이색성 유기 염료의 함유량은, 물 100 중량부당 통상 1×10-4~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10-3~1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3~1×10-2 중량부이다. 이 수용액은, 황산나트륨 등의 무기염을 염색 조제로서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이색성 색소로서 이색성 유기 염료를 이용하는 경우, 염색에 사용되는 염료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20~80℃이며, 또한, 이 수용액에의 침지 시간(염색 시간)은 통상 10~1,800초 동안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a dichroic organic dye is used as the dichroic dye, a method in which a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is dipped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water-soluble dichroic organic dye is generally employed. The content of the dichroic organic dye in this aqueous solution is usually 1 x 10-4 to 10 parts by weight, preferably 1 x 10-3 to 1 part by weight, more preferably 1 x 10-3 To 1 x 10 -2 parts by weight. The aqueous solution may contain an inorganic salt such as sodium sulfate as a dyeing aid. When a dichroic organic dye is used as the dichroic dye, the dye aqueous solution used for dyeing usually has a temperature of 20 to 80 캜, and the immersion time (dyeing time) in the aqueous solution is usually 10 to 1,800 seconds.

붕산 처리 공정은, 이색성 색소로 염색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행해진다. 붕산 수용액에 있어서의 붕산의 함유량은, 물 100 중량부당 통상 2~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12 중량부이다. 상술한 염색 처리 공정에 있어서의 이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한 경우에는, 이 공정에서 이용하는 붕산 수용액은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붕산 수용액에 있어서의 요오드화칼륨의 함유량은, 물 100 중량부당 통상 0.1~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12 중량부이다. 붕산 수용액에의 침지 시간은, 통상 60~1,200초 동안, 바람직하게는 150~600초 동안,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400초 동안이다. 붕산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5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0~85℃, 보다 바람직하게는 60~80℃이다. The boric acid treatment step is carried out by immers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dyed with a dichroic dye into an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The boric acid content in the boric acid aqueous solution is usually 2 to 15 parts by weight, preferably 5 to 12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In the case where iodine is used as the dichroic dye in the dyeing treatment step described above, the aqueous boric acid solution used in this step preferably contains potassium iodide. In this case, the content of potassium iodide in the aqueous boric acid solution is usually 0.1 to 15 parts by weight, preferably 5 to 12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The immersing time in the aqueous boric acid solution is usually 60 to 1,200 seconds, preferably 150 to 600 seconds, more preferably 200 to 400 seconds. The temperature of the boric acid aqueous solution is usually 50 占 폚 or higher, preferably 50 to 85 占 폚, and more preferably 60 to 80 占 폚.

계속되는 수세 처리 공정에서는, 상술한 붕산 처리 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예컨대 물에 침지함으로써 수세 처리한다. 수세 처리에 있어서의 물의 온도는 통상 5~40℃이며, 침지 시간은 통상 1~120초 동안이다. 수세 처리 후에는 통상 건조 처리가 실시되어, 편광 필름을 얻을 수 있다. 건조 처리는, 예컨대, 열풍 건조기나 원적외선 히터 등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건조 처리의 온도는 통상 30~100℃, 바람직하게는 50~80℃이다. 건조 처리 시간은 통상 60~600초 동안, 바람직하게는 120~600초 동안이다. In the subsequent water washing treatment step, the polyvinyl alcohol based resin film after the boric acid treatment is subjected to water washing treatment, for example, by immersing it in water.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n the water washing treatment is usually 5 to 40 占 폚, and the immersion time is usually 1 to 120 seconds. After the washing treatment, the drying treatment is usually carried out to obtain a polarizing film. The drying treatment can be performed using, for example, a hot air dryer or a far infrared heater. The temperature of the drying treatment is usually 30 to 100 占 폚, preferably 50 to 80 占 폚. The drying treatment time is usually from 60 to 600 seconds, preferably from 120 to 600 seconds.

이상과 같이 하여, 일축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편광 필름을 제작할 수 있다. 이 편광 필름의 두께는 5~40 ㎛ 정도로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 polarizing film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aligned on a uniaxially stretch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can be produced.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may be about 5 to 40 mu m.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호 필름][Protective film made of thermoplastic resin]

상술한 대로, 편광 필름(42)의 한쪽의 면에, 복합 위상차판(20)을 구성하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위상차판(18)을 접합하고, 편광 필름(42)의 반대쪽의 면에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별도의 보호 필름(44)을 접합할 수 있다. 보호 필름(44)도 접착제를 통해 편광 필름(42)에 접합된다. 보호 필름(44)은, 예컨대, 초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 당분야에서 종래부터 보호 필름의 형성 재료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적절한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양산성이나 접착성의 관점에서, 이들 중에서도 초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을 보호 필름(44)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처리층의 설치 용이성 및 광학 특성의 관점에서도, 초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이 보호 필름(44)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18 made of a cycloolefin resin film constituting the composite retardation plate 20 is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42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protective film 44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can be bonded to the surface. The protective film 44 is also bonded to the polarizing film 42 through an adhesive. The protective film 44 is widely used as a material for forming a protective film in the related art, for example, a cellulose acetate resin, a polyolefin resin, an acrylic resin, a polyimide resin, a polycarbonate resin, And the like. Among these, from the viewpoints of mass productivity and adhesiveness, it is preferable to use a cellulose acetate resin film as the protective film 44. A cellulose acetate resin film is preferably used as the protective film 44 from the standpoint of ease of installation of the surface treatment layer and optical properties.

초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은, 셀룰로오스의 부분 또는 완전 초산에스테르화물로 이루어지는 필름이며, 예컨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초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으로서는, 적절한 시판 제품, 예컨대, 후지필름(주)에서 판매하고 있는 "후지태크 TD80", "후지태크 TD80UF" 및 "후지태크 TD80UZ", 코니카미놀타옵트(주)에서 판매하고 있는 "KC8UX2M", "KC8UY" 및 "KC4UEW" 등(이상 모두 상품명)을 이용할 수 있다. The cellulose acetate based resin film is a film made of a cellulose part or a completely acetic acid esterified product,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triacetyl cellulose film and a diacetyl cellulose film. Fuji Tach TD80UF ", "Fuji Tach TD80UZ ", and Konica Minolta Opt Co., Ltd., which ar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such as those sold by Fuji Film Co., Quot; KC8UY2 ", "KC8UY ", and" KC4UEW "

편광 필름(42)과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호 필름(44)은 후술하는 적절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된다. 양자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양자의 접착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플레임(화염) 처리, 비누화 처리, 프라이머 처리 등,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표면 처리를 적절하게 실시하여도 좋다. 보호 필름(44)을 초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으로 구성하고, 후술하는 수계 접착제를 이용하여 편광 필름(42)에 점착하는 경우에는, 그 초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에 실시하는 바람직한 표면 처리의 하나로서, 비누화 처리를 예로 들 수 있다. 비누화 처리는, 수산화나트륨이나 수산화칼륨과 같은 알칼리의 수용액에 필름을 침지함으로써 행해진다. The polarizing film 42 and the protective film 44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are bonded together using a suitable adhesive described later.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veness of both, a surface for improving adhesiveness, such as a plasma treatment, a corona treatment, an ultraviolet ray irradiation treatment, a flame treatment, a saponification treatment, a primer treatment or the like, The treatment may be appropriately carried out. When the protective film 44 is composed of a cellulose acetate resin film and is adhered to the polarizing film 42 using an aqueous adhesive agent described later, as one of preferable surface treatments to be performed on the cellulose acetate resin film, For example. The saponification treatment is carried out by immersing the film in an aqueous solution of an alkali such as sodium hydroxide or potassium hydroxide.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호 필름(44)은 얇은 쪽이 바람직하지만, 지나치게 얇으면 강도가 저하되어, 가공성이 뒤떨어지는 경향이 있고, 한편 지나치게 두꺼우면,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복합 편광판(50)의 중량이 커지거나 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아, 보호 필름(44)의 두께는 통상 10~200 ㎛, 바람직하게는 20~1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30~100 ㎛이다. If the protective film 44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is thin, the strength is lowered and the workability tends to deteriorate. If the thickness is excessively large, the transparency may be deteriorated or the weight of the composite polarizer 50 Tends to increase. From this viewpoint,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44 is usually 10 to 200 占 퐉, preferably 20 to 150 占 퐉, and more preferably 30 to 100 占 퐉.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호 필름(44)은, 편광 필름(42)에 점착되는 면과 반대쪽의 면에, 방현 처리, 하드코트 처리, 대전 방지 처리, 반사 방지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The protective film 44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may be subjected to surface treatment such as antiglare treatment, hard coat treatment, antistatic treatment and antireflection treatment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to which the polarizing film 42 is adhered.

[편광 필름과 보호 필름 및 복합 위상차판을 점착하는 접착제][Polarizing Film, Protective Film, and Adhesive for Sticking the Compound Phase Difference Plate]

편광 필름(42)과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호 필름(44)과의 점착 및 편광 필름(42)과 복합 위상차판(20)을 구성하는 제2 위상차판(18)과의 점착에는 접착제가 이용된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편광 필름(42)과 보호 필름(44) 사이에 제2 접착제층(32)이, 또한 편광 필름과 제2 위상차판(18) 사이에 제3 접착제층(33)이 각각 형성된다. 이 때문에 이용하는 접착제는, 양자에 대하여 접착력을 발현하는 것이면 되며, 예컨대, 접착제 성분을 물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수계 접착제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화성 접착제를 들 수 있다. 편광 필름(42)의 표면이 친수성인 것을 고려하면, 접착제 성분을 물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수계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수계 접착제는, 경화 후의 접착제층을 얇게 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수계 접착제의 주성분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나 우레탄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제2 접착제층(32)과 제3 접착제층(33)을 구성하는 접착제는,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좋지만, 적정한 접착성을 얻을 수 있으면 같은 것을 이용하는 쪽이 작업 효율의 관점에서는 유리하다.An adhesive is used for adhesion between the polarizing film 42 and the protective film 44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and for adhesion between the polarizing film 42 and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18 constituting the composite retardation plate 20. [ 2, a second adhesive layer 32 is provided between the polarizing film 42 and the protective film 44, and a third adhesive layer 32 is provided between the polarizing film and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18, (33) are formed. For this reason, any adhesive may be used as long as it exhibits an adhesive force to both. Examples thereof include an aqueous adhesive in which an adhesive component is dissolved or dispersed in water, and a curable adhesive containing an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und. Considering that th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42 is hydrophilic, an aqueous adhesive in which the adhesive component is dissolved or dispersed in water is preferable. The aqueous adhesive is also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that the adhesive layer after curing can be made thin. As the main component of the water-based adhesive, polyvinyl alcohol resin, urethane resin, or the like can be used. On the other hand, the adhesives constituting the second adhesive layer 32 and the third adhesive layer 33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but it is advantageous from the viewpoint of working efficiency to use the same adhesive as long as proper adhesiveness can be obtained.

수계 접착제의 주성분으로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그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초산 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폴리초산 비닐계 수지는, 초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초산 비닐 외에, 초산비닐 및 이것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라도 좋다. 초산비닐에 공중합되는 다른 단량체로서, 예컨대,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불포화 술폰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제에 이용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적정한 중합도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4 중량% 농도의 수용액으로 했을 때에, 점도가 4~50 mPa·sec의 범위 내, 나아가서는 6~30 mPa·sec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When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ed as the main component of the water-based adhesive,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obtained by saponifying a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The polyvinyl acetate resin may be a c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therewith, in addition to polyvinyl acetate which is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Examples of other monomers copolymerized with vinyl acetate includ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unsaturated sulfonic acids, olefins, vinyl ethers, and acrylamides having an ammonium group.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used for the adhesive preferably has an appropriate degree of polymerization. For example, when the aqueous solution has a concentration of 4% by weight, the viscosity of the polyvinyl alcohol resin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4 to 50 mPa · sec,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6 to 30 mPa · sec Is more preferable.

접착제에 이용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일반적으로 80 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90 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제에 이용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가 낮으면, 얻어지는 접착제층의 내수성이 불충분하게 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The degree of saponific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used in the adhesive is preferably 80 mol% or more, more preferably 90 mol% or more. When the degree of saponific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used for the adhesive agent is low, the water resistance of the resulting adhesive layer tends to become insufficient.

접착제에는 변성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적합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서, 아세트아세틸기 변성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음이온 변성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양이온 변성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변성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이용하면, 접착제층의 내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기 쉽다. The 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preferably used as the adhesive. Examples of the suitable 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nclude an acetacetyl-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n anion-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nd a cation-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Use of such a 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tends to provide an effect of improving the water resistance of the adhesive layer.

아세트아세틸기 변성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 골격을 구성하는 수산기 외에, 아세트아세틸기(CH3COCH2CO-)를 갖는 것으로, 그 밖의 아실기, 예컨대 아세틸기 등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 이 아세트아세틸기는, 전형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을 구성하는 수산기의 수소 원자가 치환된 상태로 존재한다. 아세트아세틸기 변성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을 디케톤과 반응시키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아세트아세틸기 변성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반응성이 높은 작용기인 아세트아세틸기를 가지므로, 접착제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The acetacet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has an acetacetyl group (CH 3 COCH 2 CO-) in addition to the hydroxyl group constituting the polyvinyl alcohol skeleton and may have another acyl group such as an acetyl group . This acetacetyl group is typically present in a state in which the hydrogen atom of the hydroxyl group constituting the polyvinyl alcohol is substituted. The acetacet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 resin can be produced, for example, by reacting polyvinyl alcohol with a diketone. Since the acetacet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has an acetacetyl group which is a highly reactive functional group, it is preferable in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adhesive layer.

아세트아세틸기 변성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에 있어서의 아세트아세틸기의 함유량은, 0.1 몰% 이상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여기서 말하는 아세트아세틸기의 함유량이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에 있어서의 수산기, 아세트아세틸기 및 그 밖의 아실기(아세틸기 등)의 합계량에 대한 아세트아세틸기의 몰분률을 백분률로 표시한 값이며, 「아세트아세틸화도」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에 있어서의 아세트아세틸화도가 0.1 몰%를 하회하면, 접착제층의 내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불충분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에 있어서의 아세트아세틸화도는, 0.1~40 몰% 정도, 나아가서는 1~20 몰%, 특히 2~7 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세트아세틸화도가 40 몰%를 넘으면, 내수성 향상 효과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The content of the acetacetyl group in the acetacet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so long as it is 0.1 mol% or more. The content of the acetacetyl group referred to herein is a value obtained by expressing the molar fraction of the acetacetyl group as the percentage of the total amount of the hydroxyl group, the acetacetyl group and the other acyl group (such as the acetyl group) in the polyvinyl alcohol resin , &Quot; degree of acetacetylation &quot; When the degree of acetacetylation in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less than 0.1 mol%,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ater resistance of the adhesive layer tends to be insufficient. The degree of acetacetylation in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preferably about 0.1 to 40 mol%, more preferably 1 to 20 mol%, particularly preferably 2 to 7 mol%. When the degree of acetacetylation exceeds 40 mol%,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ater resistance tends to be small.

음이온 변성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 골격을 구성하는 수산기 외에, 음이온성기, 전형적으로는 카르복실기(-COOH) 또는 그 염을 갖는 것으로, 그 밖의 아실기, 예컨대 아세틸기 등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 이 음이온 변성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예컨대, 음이온성기(전형적으로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를 초산비닐에 공중합시키고, 이어서 비누화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양이온 변성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 골격을 구성하는 수산기 외에, 양이온성기, 전형적으로는 3급 아미노기 또는 4급 암모늄기를 함유하는 것으로, 그 밖의 아실기, 예컨대 아세틸기 등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 이 양이온 변성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예컨대, 양이온성기(전형적으로는 3급 아미노기 또는 4급 암모늄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를 초산비닐에 공중합시키고, 이어서 비누화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The anion-denatur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has an anionic group, typically a carboxyl group (-COOH) or a salt thereof in addition to the hydroxyl group constituting the polyvinyl alcohol skeleton, and even if it has other acyl groups such as an acetyl group good. The anion-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can be produced, for example, by copolymerizing an unsaturated monomer having an anionic group (typically a carboxyl group) with vinyl acetate followed by saponification. On the other hand, the cation-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contains a cationic group, typically a tertiary amino group or a quaternary ammonium group, in addition to the hydroxyl group constituting the polyvinyl alcohol skeleton, and other acyl groups such as an acetyl group and the like You can have it. The cation-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can be produced, for example, by copolymerizing an unsaturated monomer having a cationic group (typically, a tertiary amino group or a quaternary ammonium group) with vinyl acetate followed by saponification.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접착제는, 상술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2종 이상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고, 또한, 폴리초산비닐의 완전 또는 부분 비누화물과 같은 미변성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및 변성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양쪽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 The adhesive to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two or more kinds of modified polyvinyl alcohol resins as mentioned above and may also include unmodified polyvinyl alcohol resins such as completely or partially saponified polyvinyl acetate, And a vinyl alcohol-based resin.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제는, 수용액의 형태로 이용되기 때문에, 그 농도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가 1~20 중량부의 범위 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15 중량부, 나아가서는 1~10 중량부, 특히 2~10 중량부의 범위 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용액 중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농도가 지나치게 작으면, 접착성이 저하되기 쉬운 경향이 있고, 한편 그 농도가 지나치게 크면, 얻어지는 편광판의 광학 특성이 저하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이 접착제에 이용되는 물은, 순수, 초순수, 수돗물 등일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형성되는 접착제층의 균일성 및 투명성을 유지한다는 관점에서는, 순수 또는 초순수가 바람직하다. 또한, 메탄올이나 에탄올 등의 알코올을 접착제 수용액에 가할 수도 있다.Since the adhesive contain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s a main component is used in the form of an aqueous solution, the concentration thereof is preferably such that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in the range of 1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And more preferably 1 to 15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1 to 10 parts by weight, particularly 2 to 10 parts by weight.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n the aqueous solution is too small, the adhesiveness tends to be lower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centration is too large,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tends to be lowered. The water used for the adhesive may be pure water, ultrapure water, tap water or the lik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pure water or ultrapure water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maintaining the uniformity and transparency of the formed adhesive layer. Alcohol such as methanol or ethanol may be added to the aqueous adhesive solution.

접착제를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시판 제품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높은 비누화도를 갖는 폴리비닐알코올로서, (주)쿠라레에서 판매하고 있는 "PVA-117H"나, 니혼고세이가가쿠고교(주)에서 판매하고 있는 "고세놀 NH-20", 아세트아세틸기 변성된 폴리비닐알코올이며, 니혼고세이가가쿠고교(주)에서 판매하고 있는 "고세파이마 Z" 시리즈, 음이온 변성된 폴리비닐알코올이며, (주)쿠라레에서 판매하고 있는 "KL-318" 및 "KM-118"이나, 니혼고세이가가쿠고교(주)에서 판매하고 있는 "고세날 T-330", 양이온 변성된 폴리비닐알코올이며, (주)쿠라레에서 판매하고 있는 "CM-318"이나, 니혼고세이가가쿠고교(주)에서 판매하고 있는 "고세파이마 K-210" 등(이상 모두 상품명)을 들 수 있다. The polyvinyl alcohol resin constituting the adhesive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from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Specific examples of the polyvinyl alcohol having a high degree of saponification include "PVA-117H" sold by Kuraray Co., Ltd. and "Goserinol NH-20" sold by Nippon Gosei Kagaku Kogyo Co., , "Acetacet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 "Koshefima Z" series sold by Nippon Kasei Kagaku Kogyo Co., Ltd., anion-modified polyvinyl alcohol, and " "Kosei T-330" sold by Nippon Kasei Kagaku Kogyo Co., Ltd., cation-modified polyvinyl alcohol, and "K-318" and "KM- Quot; CM-318 "and" Kosepaima K-210 "sold by Nippon Kasei Kagaku Kogyo Co., Ltd. (all trade names).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계 접착제에는 가교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가교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면 되며, 종래부터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에 있어서 이용되고 있는 것을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로 될 수 있는 화합물을 작용기 별로 예를 들면, 이소시아나토기(-NCO)를 분자 내에 적어도 2개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기를 분자 내에 적어도 2개 갖는 에폭시 화합물; 모노- 또는 디-알데히드류; 유기 티탄 화합물; 마그네슘, 칼슘, 철, 니켈, 아연 및 알루미늄 등의 2가 또는 3가 금속의 무기염; 글리옥실산의 금속염; 메틸올멜라민 등이 있다. A water-based adhesive contain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s a main component may contain a crosslinking agent.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a compound containing a functional group having reactivity with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nd any of those conventionally used in a polyvinyl alcohol-based adhesive may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For example, an isocyanate compound having at least two isocyanato groups (-NCO) in the molecule; An epoxy compound having at least two epoxy groups in the molecule; Mono- or di-aldehydes; An organic titanium compound; Magnesium, calcium, iron, nickel, zinc and aluminum; Metal salts of glyoxylic acid; Methylol melamine and the like.

가교제로 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과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의 아닥트체,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이들의 케토옥심 블록물 또는 페놀 블록물 등을 들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isocyanate compound as a crosslinking agent include tolylene diisocyanate, hydrogenated tolylene diisocyanate, adduct of trimethylolpropane and tolylene diisocyanate,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triphenylmethane triisocyanate, isophorone diisocyanate, Keto oxime block water or phenol block water.

가교제로 되는 에폭시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의 디- 또는 트리-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시딜아닐린, 디글리시딜아민, 폴리알킬렌폴리아민과 디카르복실산과의 반응물인 폴리아미드폴리아민에 에피클로로히드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수용성의 폴리아미드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epoxy compound to be a crosslinking agent include 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poly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di- or tri-glycidyl ether of glycerin, 1,6-hexanediol diglycidyl ether, trimethyl A water-soluble polyamide epoxy resin obtained by reacting polyamide polyamine, which is a reaction product of polyalkylene polyamine and dicarboxylic acid, with epichlorohydrin, and the like, which are obtained by reacting propylene glycol diol, oligo propane triglycidyl ether, diglycidyl aniline, diglycidyl amine, .

가교제로 되는 모노알데히드류의 구체예로서는,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고, 디알데히드류의 구체예로서는, 글리옥살, 마론디알데히드, 숙신디알데히드, 글루타르디알데히드, 말레디알데히드, 프탈디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monoaldehydes to be crosslinking agents include formaldehyde, acetaldehyde, propionaldehyde and butylaldehyde. Specific examples of dialdehydes include glyoxal, marondialdehyde, succindialdehyde, glutaraldaldehyde, Malaldehyde, phthalaldehyde, and the like.

가교제로 되는 유기 티탄 화합물은, 마쯔모토파인케미칼(주)로부터 각종의 것이 판매되고 있다. 동사의 유기 티탄 화합물에 관한 홈페이지(인터넷 <URL:http://www.m-chem.co.jp/products/products1.html>, 2011년 11월 16일 검색)로부터, 본 발명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수용성 유기 티탄 화합물을, 그 시성식, 동사가 말하는 화학명, 동사의 상품명의 순으로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As the organic titanium compound to be used as a crosslinking agent, various products are available from Matsumoto Fine Chemical Co., Ltd. (Search on November 16, 2011) of the company's organic titanium compound (Internet <URL: http: //www.m-chem.co.jp/products/products1.html>). Soluble titanium compound, the chemical formula of the water-soluble organic titanium compound, the chemical formula of the compound, the product name of the compound, and the like.

[(CH3)2CHO]2Ti[OCH2CH2N(CH2CH2OH)2]2: 동사가 말하는 화학명 「티탄디이소프로폭시비스(트리에탄올아미네이트)」, 동사의 상품명 "올가칙스 TC-400", [(CH 3) 2 CHO] 2 Ti [OCH 2 CH 2 N (CH 2 CH 2 OH) 2] 2: Chemical name company speak "titanium di-isopropoxy-bis (triethanol amino sulfonate)" The company's trade name "Olga Chicks TC-400 &quot;,&quot;

(HO)2Ti[OCH(CH3)COO-]2(NH4 +)2: 동사가 말하는 화학명 「티탄락테이트암모늄염, 동사의 상품명 "올가칙스 TC-300", (HO) 2 Ti [OCH (CH 3 ) COO - ] 2 (NH 4 + ) 2 : The chemical name "titan lactate ammonium salt"

(HO)2Ti[OCH(CH3)COOH]2: 동사가 말하는 화학명 「티탄락테이트」, 동사의 상품명 "올가칙스 TC-310" 및 "올가칙스 TC-315". (HO) 2 Ti [OCH (CH 3 ) COOH] 2 : The chemical name "titan lactate" which the company refers to, the trade names "Olga Chicks TC-310" and "Olga Chicks TC-315".

또한, 글리옥실산의 금속염은,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염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글리옥실산나트륨, 글리옥실산칼륨, 글리옥실산마그네슘, 글리옥실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The metal salt of the glyoxylic acid is preferably an alkali metal salt or an alkaline earth metal salt,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sodium glyoxylate, potassium glyoxylate, magnesium glyoxylate and calcium glyoxylate.

이들 가교제 중에서도, 상술한 수용성의 폴리아미드에폭시 수지를 비롯한 에폭시 화합물이나, 알데히드류, 메틸올멜라민, 글리옥실산의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염 등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Among these crosslinking agents, epoxy compounds including the above-mentioned water-soluble polyamide epoxy resin, and alkali metal or alkaline earth metal salts of aldehydes, methylol melamine, and glyoxylic acid are suitably used.

가교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함께 물에 용해하여 접착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이하에 말하는 것과 같이, 수용액 속에서의 가교제량은 근소하여도 되기 때문에, 물에 대하여, 예컨대 적어도 0.1 중량% 정도의 용해도를 갖는 것이면, 가교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일반적으로 수용성이라고 불릴 정도의 물에 대한 용해도를 갖는 화합물 쪽이, 본 발명에 이용하는 가교제로서는 적합하다. The crosslinking agent is preferably dissolved in water together with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to form an adhesive. However, as described below, the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n the aqueous solution may be small, so that it may be used as a crosslinking agent if it has a solubility of at least about 0.1% by weight, for example, in water. Of course, a compound having solubility in water to such an extent that it is generally referred to as water-soluble is suitable as a crosslinking agent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가교제의 배합량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종류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계되는 것인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5~60 중량부 정도, 바람직하게는 10~50 중량부이다. 이 범위에서 가교제를 배합하면, 양호한 접착성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접착제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아세트아세틸기 변성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이용되는데, 이 경우에도,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를 5~60 중량부, 나아가서는 10~50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의 배합량이 지나치게 많아지면, 접착제의 가교 반응이 단시간에 진행되어, 접착제가 조기에 겔화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포트 라이프가 극단적으로 짧아져 공업적인 사용이 곤란하게 된다. The blending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appropriately designed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nd is usually about 5 to 60 parts by weight, preferably 10 to 5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When a cross-linking agent is blended in this range, good adhesion can be obtaine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adhesive layer, an acetacet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preferably used. In this case, the cross-linking agent i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vinyl alcohol- By weight, more preferably 10 to 50 parts by weight. If the blending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excessively large, the crosslinking reaction of the adhesive proceeds in a short time, and the adhesive tends to gel early, so that the pot life is extremely shortened, making industrial use difficult.

접착제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예컨대, 실란커플링제, 가소제, 대전방지제, 미립자 등, 종래 공지된 적절한 첨가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The adhesives may be blended with conventionally known additives such as silane coupling agents, plasticizers, antistatic agents, and fine particles, as long as they do not impai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수계 접착제의 주성분으로서 우레탄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적당한 접착제의 예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아이오노머형 우레탄 수지와 글리시딜옥시기를 갖는 화합물과의 혼합물을 예로 들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아이오노머형 우레탄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골격을 갖는 우레탄 수지이며, 그 중에 소량의 이온성 성분(친수 성분)이 도입된 것이다. 이러한 아이오노머형 우레탄 수지는,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고서 직접 수중에서 유화하여 에멀젼으로 되기 때문에, 수계 접착제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폴리에스테르계 아이오노머형 우레탄 수지를 편광 필름과 보호 필름의 접착제에 이용하는 것은,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2005-070140호 공보, 일본 특허 제 4432487호 공보(=일본 특허공개 2005-181817호) 및 일본 특허공개 2005-208456호 공보에 기재되어 공지이다. When a urethane resin is used as a main component of the water-based adhesive, a mixture of a polyester-based ionomer-type urethane resin and a compound having a glycidyloxy group can be given as an example of a suitable adhesive. The polyester-based ionomer-type urethane resin referred to here is a urethane resin having a polyester skeleton, and a small amount of an ionic component (hydrophilic component) is introduced into the urethane resin. Such an ionomeric urethane resin emulsifies directly in water without using an emulsifier, so that the emulsion is suitably used for an aqueous adhesive. The use of a polyester-based ionomeric urethane resin as an adhesive for a polarizing film and a protective film is disclosed, for example, in JP-A-2005-070140, JP-A-4432487 (= Open Publication No. 2005-208456.

편광 필름(42)과 보호 필름(44) 및/또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위상차판(18)과의 점착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할 수도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이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할 수 있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은, 양이온 중합성인 것이어도 좋고, 라디칼 중합성인 것이어도 좋다.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의 예로서,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에폭시기를 갖는 에폭시 화합물,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옥세탄환을 갖는 옥세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의 예로서,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A curable adhesive containing an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und may be used for adhesion between the polarizing film 42 and the second retardation film 18 made of the protective film 44 and / or the cycloolefin-based resin film. The term &quot;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und &quot; means a compound that can be cured by irradiation with an active energy ray.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und may be cationically polymerized or radically polymerized. Examples of the cationic polymerizable compound include an epoxy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epoxy group in the molecule, and an oxetane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oxetane ring in the molecule. Examples of the radically polymerizable compound include (meth) acrylic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meth) acryloyloxy group in the molecule.

이 점착에 이용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은, 적어도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특히, 편광 필름(42)과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위상차판(18)과의 사이에서 양호한 밀착성을 보이게 된다. 또한, 에폭시 화합물을 경화성 성분으로 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는, 보호 필름(44)을 초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그것과 편광 필름(42)과의 사이에서도 양호한 밀착성을 보인다. The active energy ray curable compound used in this adhesion preferably contains at least an epoxy compound and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active energy ray curable compound to be used for the adhesion has a good balance between the polarizing film 42 and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18 made of a cycloolefin- Thereby exhibiting adhesion. When the protective film 44 is formed of a cellulose acetate resin film, the active energy ray curable adhesive containing the epoxy compound as a curable component exhibits good adhesion between the protective film 44 and the polarizing film 42.

에폭시 화합물은, 내후성이나 굴절률, 양이온 중합성 등의 관점에서, 분자 내에 방향환을 포함하지 않는 에폭시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 내에 방향환을 포함하지 않는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지환식환을 갖는 폴리올의 글리시딜에테르,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에폭시 화합물은, 예컨대, 일본 특허 제306270호 공보(=일본 특허공개 2004-245925호)에서 상세히 설명되어 있지만, 여기서도 개략을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From the viewpoints of weather resistance, refractive index, cationic polymerizability, and the like, it is preferable that the epoxy compound is composed mainly of an epoxy compound which does not contain an aromatic ring in the molecule. Examples of the epoxy compound which does not contain an aromatic ring in the molecule include glycidyl ether of a polyol having an alicyclic ring, aliphatic epoxy compound, and alicyclic epoxy compound. The epoxy compound suitably used for such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is described in detail in, for example, Japanese Patent No. 306270 (=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245925).

지환식환을 갖는 폴리올의 글리시딜에테르는, 방향족 폴리올을 촉매의 존재 하에, 가압 하에서 방향환에 선택적으로 수소화 반응을 행함으로써 얻어지는 핵수첨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을, 글리시딜에테르화한 것일 수 있다. 방향족 폴리올로서는, 예컨대,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및 비스페놀 S와 같은 비스페놀형 화합물; 페놀노볼락 수지, 크레졸노볼락 수지 및 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페놀노볼락 수지와 같은 노볼락형 수지; 테트라히드록시디페닐메탄,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및 폴리비닐페놀과 같은 다작용성 유형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방향족 폴리올의 방향환에 수소화 반응을 하여 얻어지는 지환식 폴리올에, 에피클로로히드린을 반응시킴으로써, 글리시딜에테르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지환식환을 갖는 폴리올의 글리시딜에테르 중에서도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서, 수소화된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에테르를 들 수 있다. The glycidyl ether of a polyol having an alicyclic ring may be a glycidyl etherified nucleus-hydrogenated polyhydroxy compound obtained by subjecting an aromatic polyol to a selective hydrogenation reaction to an aromatic ring under pressure in the presence of a catalyst . Examples of the aromatic polyol include bisphenol-type compounds such as bisphenol A, bisphenol F and bisphenol S; Novolak type resins such as phenol novolak resins, cresol novolac resins and hydroxybenzaldehyde phenol novolac resins; Polyfunctional type compounds such as tetrahydroxydiphenylmethane, tetrahydroxybenzophenone and polyvinylphenol, and the like. Glycidyl ether can be obtained by reacting epichlorohydrin with an alicyclic polyol obtained by hydrogenating an aromatic ring of these aromatic polyols. Among the glycidyl ethers of polyols having alicyclic rings, diglycidyl ethers of hydrogenated bisphenol A are particularly preferred.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은, 지방족 다가 알코올 또는 그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1,4-부탄디올의 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의 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의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의 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혹은 글리세린과 같은 지방족 다가 알코올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알킬렌옥사이드(에틸렌옥사이드나 프로필렌옥사이드)를 부가함으로써 얻어지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The aliphatic epoxy compound may be a polyglycidyl ether of an aliphatic polyhydric alcohol or an alkylene oxide adduct thereof. More specifically, diglycidyl ether of 1,4-butanediol; Diglycidyl ether of 1,6-hexanediol; Triglycidyl ether of glycerin; Triglycidyl ether of trimethylolpropane; Diglycidyl ether of poly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of propylene glycol; And polyglycidyl ethers of polyether polyols obtained by adding one or more alkylene oxides (ethylene oxide or propylene oxide) to aliphatic polyhydric alcohols such as 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or glycerin.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은, 지환식환에 결합한 에폭시기를 분자 내에 적어도 1개 갖는 화합물이다. 여기서, 「지환식환에 결합한 에폭시기」란, 하기 식(III)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에 있어서의 가교의 산소 원자 -O-를 의미하고, 식에서, n은 2~5의 정수이다. The alicyclic epoxy compound is a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epoxy group bonded to an alicyclic ring in the molecule. Here, the "epoxy group bonded to an alicyclic ring" means a bridging oxygen atom -O- in the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III), wherein n is an integer of 2 to 5.

Figure pct00003
(III)
Figure pct00003
(III)

이 식(III)에 있어서의 (CH2)n 중의 1개 또는 복수 개의 수소 원자를 제거한 형태의 기가 다른 화학 구조에 결합하고 있는 화합물이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로 될 수 있다. 또한, 지환식환을 형성하는 (CH2)n 중의 1개 또는 복수 개의 수소 원자는, 메틸기나 에틸기와 같은 직쇄상 알킬기로 적절하게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A compound in which one or more hydrogen atoms of the group (CH 2 ) n in the formula (III) is removed from the group bonded to another chemical structure may be an alicyclic epoxy compound. Further, one or a plurality of hydrogen atoms in (CH 2 ) n forming an alicyclic ring may be appropriately substituted with a straight chain alkyl group such as a methyl group or an ethyl group.

이상과 같은 에폭시 화합물 중에서도,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 즉, 에폭시기의 적어도 1개가 지환식환에 결합하고 있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특히, 옥사비시클로헥산환〔상기 식(III)에 있어서 n=3인 것〕이나, 옥사비시클로헵탄환〔상기 식(III)에 있어서 n=4인 것〕을 갖는 에폭시 화합물은, 경화물의 탄성율이 높고, 편광 필름과 보호 필름 사이에서 양호한 접착성을 부여하므로, 보다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하에,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를 든다. 여기서는, 우선 화합물명을 들고, 그 후, 각각에 대응하는 화학식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화합물명과 그것에 대응하는 화학식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Among the above epoxy compounds, an alicyclic epoxy compound, that is, a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epoxy group bonded to an alicyclic ring is preferable, and an oxabicyclohexane ring [in the formula (III) where n = 3 ] Or an oxabicycloheptane ring [wherein n = 4 in the formula (III)] has a high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cured product and gives good adhesion between the polarizing film and the protective film, . Specific examples of the alicyclic epoxy compound are given below. Here, the compound names are given first, and then the corresponding chemical formulas are shown, and the chemical names and corresponding chemical name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A: 3,4-epoxycyclohexylmethyl 3,4-epoxycyclohexanecarboxylate, 3,4-

B: 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B: 3,4-epoxy-6-methylcyclohexylmethyl 3,4-epoxy-6-methylcyclohexanecarboxylate,

C: 에틸렌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C: Ethylene bis (3,4-epoxycyclohexanecarboxylate),

D: 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아디페이트, D: bis (3,4-epoxycyclohexylmethyl) adipate,

E: 비스(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실메틸) 아디페이트, E: bis (3,4-epoxy-6-methylcyclohexylmethyl) adipate,

F: 디에틸렌글리콜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에테르), F: diethylene glycol bis (3,4-epoxycyclohexylmethyl ether),

G: 에틸렌글리콜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에테르), G: ethylene glycol bis (3,4-epoxycyclohexylmethyl ether),

H: 2,3,14,15-디에폭시-7,11,18,21-테트라옥사트리스피로[5.2.2.5.2.2]헨이코산, H: 2,3,14,15-diepoxy-7,11,18,21-tetraoxatrispyro [5.2.2.5.2.2] heneic acid,

I: 3-(3,4-에폭시시클로헥실)-8,9-에폭시-1,5-디옥사스피로[5.5]운데칸, I: 3- (3,4-epoxycyclohexyl) -8,9-epoxy-1,5-dioxaspiro [5.5] undecane,

J: 4-비닐시클로헥센디옥사이드, J: 4-vinylcyclohexene dioxide,

K: 리모넨디옥사이드, K: limonene dioxide,

L: 비스(2,3-에폭시시클로펜틸)에테르, L: bis (2,3-epoxycyclopentyl) ether,

M: 디시클로펜타디엔디옥사이드 등. M: dicyclopentadiene dioxide and the like.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5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에 있어서, 에폭시 화합물은, 1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In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only one epoxy compound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epoxy compounds may be used in combination.

또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는, 상기 에폭시 화합물에 더하여, 옥세탄 화합물을 함유하여도 좋다. 옥세탄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상기 접착제의 점도를 낮춰, 경화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may contain an oxetane compound in addition to the above epoxy compound. By adding the oxetane compound, the viscosity of the adhesive can be lowered and the curing rate can be increased.

옥세탄 화합물은,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옥세탄환(4원환 에테르)을 갖는 화합물이며, 예컨대, 3-에틸-3-히드록시메틸옥세탄, 1,4-비스[(3-에틸-3-옥세타닐)메톡시메틸]벤젠, 3-에틸-3-(페녹시메틸)옥세탄, 디[(3-에틸-3-옥세타닐)메틸]에테르, 3-에틸-3-(2-에틸헥실옥시메틸)옥세탄, 페놀노볼락옥세탄 등을 들 수 있다. 옥세탄 화합물의 배합량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전체를 기준으로, 통상 5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40 중량%이다. 옥세탄 화합물은, 시판 제품을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으며, 예컨대, 모두 도아고세이(주)에서 판매하고 있는 상품명으로, "아론옥세탄 OXT-101", "아론옥세탄 OXT-121", "아론옥세탄 OXT-211", "아론옥세탄 OXT-221", "아론옥세탄 OXT-212" 등을 들 수 있다. The oxetane compound is a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oxetane ring (4-membered ring ether) in the molecule,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3-ethyl-3-hydroxymethyloxetane, 1,4-bis [ (3-ethyl-3-oxetanyl) methyl] ether, 3-ethyl-3- Hexyloxymethyl) oxetane, phenol novolac oxetane, and the like. The blending amount of the oxetane compound is generally 50% by weight or less, preferably 10 to 4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und. The oxetane compounds ar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such as "AARON oxetane OXT-101", "AARON oxetane OXT-121", "AORON oxetane OXT- Oxetane OXT-211 "," aronoxetane OXT-221 "and" aronoxetane OXT-212 ".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가, 에폭시 화합물이나 옥세탄 화합물 등의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그 접착제에는 통상 광양이온 중합개시제가 배합된다. 광양이온 중합개시제를 사용하면, 상온에서의 접착제층의 형성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편광 필름의 내열성이나 팽창에 의한 왜곡을 고려할 필요가 감소하여, 밀착성 좋게 편광 필름과 보호 필름을 접합할 수 있다. 또한, 광양이온 중합개시제는, 빛으로 촉매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것을 혼합한 상기한 접착제는 보존 안정성이나 작업성이 우수한 것으로 된다. When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ntains a cationic polymerizable compound such as an epoxy compound or an oxetane compound, the adhesive is usually compounded with a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The use of a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makes it possible to form an adhesive layer at room temperature,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eed to consider distortion due to heat resistance and expansion of the polarizing film, and to bond the polarizing film and the protective film with good adhesion. In addition, since the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acts catalytically with light, the above-mentioned adhesive mixed with the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is excellent in storage stability and workability.

광양이온 중합개시제는, 가시광선, 자외선, X선 또는 전자선과 같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양이온종 또는 루이스산을 발생하여,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의 중합 반응을 시작하게 하는 것이다. 광양이온 중합개시제는, 어느 타입이 것이라도 좋지만, 구체적인 예를 들면,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요오드늄염이나 방향족 술포늄염과 같은 오늄염; 철-아렌 착체 등이 있다. The cationic 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generates a cationic species or a Lewis acid by irradiation of an active energy ray such as visible light, ultraviolet ray, X-ray or electron beam to initiate the polymerization reaction of the cationic polymerizable compound. Any kind of photocatalytic ion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used, an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aromatic diazonium salts; Onium salts such as aromatic iodonium salts and aromatic sulfonium salts; Iron-arene complexes and the like.

방향족 디아조늄염으로서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화합물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aromatic diazonium salt include the following compounds.

벤젠디아조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Benzene diazonium hexafluoroantimonate, benzene diazonium hexafluoroantimonate,

벤젠디아조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Benzene diazonium hexafluorophosphate,

벤젠디아조늄 헥사플루오로보레이트 등. Benzene diazonium hexafluoroborate and the like.

방향족 요오드늄염으로서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화합물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aromatic iodonium salt include the following compounds.

디페닐요오드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Diphenyl iodonium tetrakis (pentafluorophenyl) borate,

디페닐요오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Diphenyl iodonium hexafluorophosphate,

디페닐요오드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Diphenyliodonium hexafluoroantimonate, diphenyliodonium hexafluoroantimonate,

디(4-노닐페닐)요오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등. Di (4-nonylphenyl) iodonium hexafluorophosphate, and the like.

방향족 술포늄염으로서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화합물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aromatic sulfonium salts include the following compounds.

트리페닐술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Triphenylsulfonium hexafluorophosphate,

트리페닐술포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Triphenylsulfonium hexafluoroantimonate, triphenylsulfonium hexafluoroantimonate,

트리페닐술포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Triphenylsulfonium tetrakis (pentafluorophenyl) borate,

4,4'-비스(디페닐술포니오)디페닐술피드 비스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4,4'-bis (diphenylsulfono) diphenylsulfide bis hexafluorophosphate,

4,4'-비스[디(β-히드록시에톡시)페닐술포니오]디페닐술피드 비스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4'-bis [di (? - hydroxyethoxy) phenylsulfonio] diphenylsulfide bis hexafluoroantimonate,

4,4'-비스[디(β-히드록시에톡시)페닐술포니오]디페닐술피드 비스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4,4'-bis [di (? - hydroxyethoxy) phenylsulfonio] diphenylsulfide bis hexafluorophosphate,

7-[디(p-톨루일)술포니오]-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7- [di (p-toluyl) sulfonio] -2-isopropylthioxanthone hexafluoroantimonate,

7-[디(p-톨루일)술포니오]-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7- (di (p-toluyl) sulfonio] -2-isopropylthioxanthone tetrakis (pentafluorophenyl) borate,

4-페닐카르보닐-4'-디페닐술포니오-디페닐술피드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4-phenylcarbonyl-4'-diphenylsulfone-diphenylsulfide hexafluorophosphate,

4-(p-tert-부틸페닐카르보닐)-4'-디페닐술포니오-디페닐술피드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 (p-tert-butylphenylcarbonyl) -4'-diphenylsulfonio-diphenylsulfide hexafluoroantimonate,

4-(p-tert-부틸페닐카르보닐)-4'-디(p-톨루일)술포니오-디페닐술피드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등. 4- (p-tert-butylphenylcarbonyl) -4'-di (p-toluyl) sulfonio-diphenylsulfide tetrakis (pentafluorophenyl) borate and the like.

또한, 철-아렌 착체로서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화합물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iron-arene complexes include the following compounds.

크실렌-시클로펜타디에닐철(II)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Xylene-cyclopentadienyl iron (II) hexafluoroantimonate,

쿠멘-시클로펜타디에닐철(II)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Cumene-cyclopentadienyl iron (II) hexafluorophosphate,

크실렌-시클로펜타디에닐철(II)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메타나이드 등. Xylene-cyclopentadienyl iron (II) tris (trifluoromethylsulfonyl) methanide, and the like.

이들 광양이온 중합개시제는 시판 제품을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으며, 예컨대 각각 상품명으로, 닛폰가야쿠(주)에서 판매하고 있는 "카야라드 PCI-220" 및 "카야라드 PCI-620", 유니온카바이드사에서 판매하고 있는 "UVI-6990", 다이셀·사이테크(주)에서 판매하고 있는 "UVACURE 1590", (주)ADEKA에서 판매하고 있는 "아데카옵토마 SP-150" 및 "아데카옵토마 SP-170", 닛폰소다(주)에서 판매하고 있는 "CI-5102", "CIT-1370", "CIT-1682", "CIP-1866S", "CIP-2048S" 및 "CIP-2064S", 미도리가가쿠(주)에서 판매하고 있는 "DPI-101", "DPI-102", "DPI-103", "DPI-105", "MPI-103", "MPI-105", "BBI-101", "BBI-102", "BBI-103", "BBI-105", "TPS-101", "TPS-102", "TPS-103", "TPS-105", "MDS-103", "MDS-105", "DTS-102" 및 "DTS-103", 로디아사에서 판매하고 있는 "PI-2074" 등을 들 수 있다. These cationic ion polymerization initiators can be easily obtained from commercial products. Examples thereof include "Kayarad PCI-220" and "Kayarad PCI-620" sold by Nippon Kayaku Co., Ltd., Union Carbide Co., "UVACURE 1590" sold by Daicel-Cytech Co., Ltd., "Adeka Optoma SP-150" and "Adeka Optoma SP- CIP-2064S "and" CIP-2064S "sold by Nippon Soda Co., Ltd.," CI-5102 "," CIT-1370 "," CIT- DPI-101 "," DPI-102 "," DPI-103 "," DPI-105 "," MPI-103 "," MPI- "TPS-103", "TPS-105", "MDS-103", "MDS-102", "BBI-102", "BBI-103", "BBI-105" -105 "," DTS-102 "and" DTS-103 ", and" PI-2074 "sold by Rhodia.

이들 광양이온 중합개시제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더라도 좋고,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더라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방향족 술포늄염은, 300 nm 이상의 파장 영역에서도 자외선 흡수 특성을 지니므로, 경화성이 우수하고, 양호한 기계적 강도를 부여하며, 또한 편광 필름과 보호 필름 사이의 양호한 밀착성을 갖는 경화물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These photo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mong them, in particular, an aromatic sulfonium salt has an ultraviolet ray absorbing property even in a wavelength range of 300 nm or more, and thus gives a cured product having excellent curability, good mechanical strength and good adhesion between a polarizing film and a protective film It is preferably used.

광양이온 중합개시제의 배합량은, 에폭시 화합물이나 옥세탄 화합물을 포함하는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5~20 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1~6 중량부이다. 광양이온 중합개시제의 배합량이 적으면, 경화가 불충분하게 되어, 기계적 강도나 편광 필름과 보호 필름 사이의 접착성을 저하시키는 경향이 있다. 한편, 광양이온 중합개시제의 배합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경화물 중의 이온성 물질이 증가함으로써 경화물의 흡습성이 높아져, 얻어지는 접착제층의 내구 성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The blending amount of the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is usually 0.5 to 20 parts by weight, preferably 1 to 6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cationic polymerizable compound including an epoxy compound and an oxetane compound. When the blending amount of the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is small, the curing becomes insufficient, and the mechanical strength and the adhesion between the polarizing film and the protective film tend to be lowered. On the other hand, if the compounding amount of the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is too large, the amount of the ionic substance in the cured product increases, so that the hygroscopic property of the cured product is increased, and the durability of the resulting adhesive layer may be lowered.

또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는, 상기한 에폭시 화합물과 함께, 혹은 에폭시 화합물 및 옥세탄 화합물과 함께, 라디칼 중합성인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을 함유하여도 좋다.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을 병용함으로써, 접착제층의 경도나 기계적 강도를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경화성 접착제의 점도나 경화 속도 등을 더한층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메트)아크릴계 화합물로서는, 전술한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Further,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may contain, together with the above epoxy compound or epoxy compound and oxetane compound, a (meth) acrylic compound which is subjected to radical polymerization. (Meth) acrylic compound is used in combination,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hardness and mechanical strength of the adhesive layer can be expected, and further, the viscosity and the curing speed of the curable adhesive can be further easily adjusted. Examples of such (meth) acrylic compounds include the same as the above-mentioned active energy ray 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forming the adhesive layer.

제2 접착제층(32) 및/또는 제3 접착제층(33)을 구성하는 접착제는, 필요에 따라서 임의 성분을 함유하여도 좋다. 이러한 임의 성분으로서는, 먼저 제1 위상차판(10)과 제2 위상차판(18)을 점착하기 위한 접착제층(31)을 구성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는 성분으로서 설명한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The adhesive constituting the second adhesive layer 32 and / or the third adhesive layer 33 may contain optional components as required. Examples of such optional components include those described above as components which can be blended in the curable resin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31 for adhering the first retardation plate 10 and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18 .

[액정 표시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50)은, 복합 위상차판(20)의 편광 필름(42)에 점착된 면과 반대쪽의 표면, 즉 제1 위상차판(10)의 노출면에 형성된 점착제층(46)을 통해, 액정 셀에 접합되어, 액정 표시 패널로 할 수 있다. 이 액정 패널은, 백라이트 등과 조합하여 액정 표시 장치로 된다. 도 2에 도시되는 구성에 있어서, 점착제층(46)의 표면에 형성된 세퍼레이터(48)는, 액정 셀에의 접합에 앞서서 박리 제거된다. 액정 셀의 양면에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50)을 배치하여 액정 패널을 구성할 수도 있고, 액정 셀의 한 면에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50)을 배치하여 액정 패널을 구성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50)이 배치되지 않는 액정 셀의 면에는, 별도의 편광판을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구성의 액정 표시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셀이 횡전계(IPS) 모드인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5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is constituted of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f the compound retardation film 20 adhered to the polarizing film 42, Layer 46 to the liquid crystal cell to form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This liquid crystal panel is combined with a backlight to form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2, the separator 48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46 is peeled off before bonding to the liquid crystal cell. A liquid crystal panel may be constituted by disposing the complex polarizer 50 of the present invention on both sides of the liquid crystal cell or by arranging the complex polarizer 50 of the present invention on one si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In the latter case, a separate polarizing plate is generally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cell where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isposed.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re particularly effective when the liquid crystal cell is in the transverse electric field (IPS) mode.

상기한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액정 셀의 한쪽의 면에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50)을 배치하는 경우, 다른 쪽의 면에 배치되는 편광판의 액정 셀 측이 되는 투명 보호 필름은, 면내 위상차(Re)가 10 nm 이하이며, 두께 방향의 위상차(Rth)의 절대치가 15 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면내 위상차(Re)가 5 nm 이하이며, 두께 방향의 위상차(Rth)의 절대치가 10 nm 이하이다. In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escribed above, when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cell,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which becomes the liquid crystal cell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plane retardation (Re) is 10 nm or less and the absolute value of the retardation (R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15 nm or less. More preferably, the in-plane retardation (Re) is 5 nm or less and the absolute value of the retardation (R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10 nm or less.

면내 위상차(Re)가 10 nm 이하이고, 두께 방향의 위상차(Rth)의 절대치가 15 nm 이하인 투명 보호 필름에 이용하는 재료의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계 수지, 환상 올레핀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이 있다. 이들 수지로 구성되는 필름에서, 면내 및 두께 방향의 위상차가 함께 작은 것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하면 된다. Examples of the material for use in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having an in-plane retardation (Re) of 10 nm or less and an absolute value of a retardation (R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15 nm or less include cellulose resins, cyclic olefin resins, (meth)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and polypropylene resin. In the film made of these resins, those having a small retardation in the in-plane direction and in the thickness direction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에서, 함유량 내지 사용량을 나타내는 % 및 부는 특별히 양해를 구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 또한, 필름의 위상차 및 Nz 계수는, 파장 590 nm에서 측정한 값이다. 우선, (메트)아크릴계 수지층을 갖는 제1 위상차판의 제조예를 기재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way of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In the examples,% and parts representing the content or amount are based on the weight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retardation and the Nz coefficient of the film are values measured at a wavelength of 590 nm. First, a production example of a first retardation plate having a (meth) acrylic resin layer is described.

[제조예 1] 메타크릴계 수지층을 갖는 제1 위상차판의 제작 [Production Example 1] Production of a first retardation plate having a methacrylic resin layer

위상차 발현층(12)으로 되는 수지에는, 노바케미칼사에서 "다이라크 D332"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고, 유리 전이 온도가 131℃인 스티렌-무수말레산계 공중합 수지를 이용했다. 또한, (메트)아크릴계 수지층(14, 15)으로 되는 수지에는, 스미토모가가쿠(주)에서 판매하고 있는 "테크놀로이 S001"에 사용되고, 평균 입경이 200 ㎛인 아크릴계 고무 입자를 약 20% 포함하는 유리 전이 온도가 105℃인 메타크릴계 수지를 이용했다. 그리고, 스티렌-무수말레산계 공중합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의 양면에, 메타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이 형성되도록 3층 공압출을 하여, 스티렌-무수말레산계 공중합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의 두께가 80 ㎛, 그 양면에 형성되는 메타크릴계 수지층의 두께가 각각 40 ㎛가 되는 3층 구조의 수지 필름을 제작했다. 이 3층 구조의 수지 필름을 연신하여, 위상차 발현층(12)의 두께가 40 ㎛, 메타크릴계 수지층(14, 15)의 두께가 각각 20 ㎛, 합계 두께가 80 ㎛인 제1 위상차판을 제작했다. 이 위상차판은, 면내 위상차가 47.3 nm, Nz 계수가 -1.06이었다. The styrene-maleic anhydride copolymer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131 DEG C was used as the resin for the phase difference developing layer 12, which was sold under the trade name of "DAIRAQUE D332" by NOVA CHEMICAL. The resin used as the (meth) acrylic resin layer 14, 15 is used for "Technoloy S001" sold by Sumitomo Chemical Co., Ltd. and contains about 20% of acrylic rubber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00 μm Methacrylic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105 占 폚 was used. Then, the three layers co-extruded so as to form a methacrylic resin layer on both sides of the layer made of the styrene-maleic anhydride copolymer resin, and the thickness of the layer made of the styrene-maleic anhydride copolymer resin was 80 m, And a thickness of the methacrylic resin layer formed on both surfaces thereof was 40 mu m, respectively. This three-layered resin film was stretch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retardation developing layer 12 was 40 占 퐉 and the thickness of the methacrylic resin layers 14 and 15 was 20 占 퐉 and the total thickness was 80 占 퐉, . This retardation plate had an in-plane retardation of 47.3 nm and an Nz coefficient of -1.06.

이어서, 위에서 제작한 제1 위상차판을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위상차판에 점착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의 제조예를 기재한다. Next, a production example of an adhesive made of a curable resin composition used for adhering the above-prepared first retardation plate to a second retardation plate made of a cycloolefin-based resin film is described.

[제조예 2] 경화성 수지 조성물 A의 조제 [Preparation Example 2] Preparation of curable resin composition A

N-(2-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메틸아크릴레이트, BASF사에서 "이르가큐어 907"이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고, 화학명이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리폴리노프로판-1-온인 광라디칼 중합개시제, 및 도오레·다우코닝(주)에서 "SH710"이라는 상품명으로 판매하고 있는 실리콘계 레벨링제를 이하의 비율로 혼합하여, 경화성 수지 조성물 A를 조제했다. 상기한 "이르가큐어 907"는 「광라디칼 중합개시제 "이르가큐어 907"」이라고 약기한다. 또한, 상기한 "SH710"은 「실리콘계 레벨링제 "SH710"」이라고 약기한다. Methyl-1- [4- (methylthio) phenyl] acrylamide, methyl acrylate, sold under the trade name "Irgacure 907" by BASF, 2-morpholinopropane-1-one, and a silicone leveling agent sold under the trade name "SH710 " by Dow Corning Co., Ltd. were mixed in the following proportions to obtain a curable resin composition A It was prepared. The above-mentioned "Irgacure 907" is abbreviated as " photo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Irgacure 907 ". The above-mentioned "SH710" is abbreviated as "silicone leveling agent" SH710 ".

경화성 수지 조성물 ACurable resin composition A

N-(2-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80부N- (2-hydroxyethyl) acrylamide 80 parts

메틸아크릴레이트 20부Methyl acrylate 20 parts

광라디칼 중합개시제 "이르가큐어 907" 3부Photo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Irgacure 907" Part 3

실리콘계 레벨링제 "SH710" 0.2부Silicon leveling agent "SH710" 0.2 part

[제조예 3 및 4] 경화성 수지 조성물 B 및 C의 조제 [Production Examples 3 and 4] Preparation of curable resin compositions B and C

N-(2-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와 메틸아크릴레이트의 혼합 비율을 다음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2와 같은 식으로 배합하여, 경화성 수지 조성물 B 및 C를 조정했다. The curable resin compositions B and C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2 except that the mixing ratio of N- (2-hydroxyethyl) acrylamide and methyl acrylate was changed as follows.

경화성 수지 조성물 BCurable resin composition B

N-(2-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70부N- (2-hydroxyethyl) acrylamide 70 parts

메틸아크릴레이트 30부Methyl acrylate 30 parts

광라디칼 중합개시제 "이르가큐어 907" 3부Photo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Irgacure 907" Part 3

실리콘계 레벨링제 "SH710" 0.2부Silicon leveling agent "SH710" 0.2 part

경화성 수지 조성물 CCurable resin composition C

N-(2-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60부N- (2-hydroxyethyl) acrylamide 60 parts

메틸아크릴레이트 40부Methyl acrylate 40 parts

광라디칼 중합개시제 "이르가큐어 907" 3부Photo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Irgacure 907" Part 3

실리콘계 레벨링제 "SH710" 0.2부Silicon leveling agent "SH710" 0.2 part

[제조예 5] 경화성 수지 조성물 X의 조제[Preparation Example 5] Preparation of curable resin composition X

메틸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지 않고, N-(2-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의 양을 100부로 한 것 이외는, 제조예 2와 같은 식으로 배합하여, 경화성 수지 조성물 X를 조정했다. 경화성 수지 조성물 X의 배합량은 다음과 같다. The curable resin composition X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2 except that methyl acrylate was not used and the amount of N- (2-hydroxyethyl) acrylamide was changed to 100 parts. The blending amount of the curable resin composition X is as follows.

경화성 수지 조성물 XCurable resin composition X

N-(2-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100부N- (2-hydroxyethyl) acrylamide 100 parts

광라디칼 중합개시제 "이르가큐어 907" 3부Photo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Irgacure 907" Part 3

실리콘계 레벨링제 "SH710" 0.2부Silicon leveling agent "SH710" 0.2 part

[제조예 6] 경화성 수지 조성물 Y의 조제[Preparation Example 6] Preparation of curable resin composition Y

다이셀가가쿠(주)에서 "세록사이드 2021P"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고, 화학명이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인 에폭시 화합물, 도아고세이(주)에서 "아론옥세탄 OXT-221"이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고, 화학명이 비스(3-에틸-3-옥세타닐메틸)에테르인 옥세탄 화합물, 다이셀·사이테크(주)에서 "UVACURE 1590"이라는 상품명으로 판매하고 있는 4,4'-비스(디페닐술포니오)디페닐술피드 비스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계의 광양이온 중합개시제 및 실리콘계 레벨링제 "SH710"을 이하의 비율로 혼합하여, 경화성 수지 조성물 X를 조제했다. 상기한 "세록사이드 2021P"는, 「에폭시 화합물 "세록사이드 2021P"」라고 약기하고, 표에서는 「CEL 2021P」라고 더욱 약기한다. 상기한 "아론옥세탄 OXT-221"은, 「옥세탄 화합물 "아론옥세탄 OXT-221"」이라고 약기하고, 표에서는 또한 「OXT-221」이라고 약기한다. 또한, 상기한 "UVACURE 1590"은 「광양이온 중합개시제 "UVACURE 1590"」이라고 약기한다. Epoxycyclohexylmethyl 3,4-epoxycyclohexanecarboxylate, which is sold under the trade name "Suloxide 2021P " by Dai-ichi Kagaku Co., Ltd., and 3,4-epoxycyclohexylmethyl 3,4- Oxetane compound sold under the trade name AARON OXETHANE OXT-221 ", the chemical name is bis (3-ethyl-3-oxetanylmethyl) ether, trade name "UVACURE 1590 " (Diphenylsulphonio) diphenyl sulfide bishexafluorophosphate based light cation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silicone leveling agent "SH710" which are commercially available from Nippon Synthetic Chemical Industry Co., Ltd. are mixed at the following ratios to prepare a curable resin composition X was prepared. The above-mentioned " Suloxide 2021P "is abbreviated as " Epoxy Compound" Suloxide 2021P ", and abbreviated as " CEL 2021P " The above-mentioned "Aromon oxetane OXT-221" is abbreviated as "Oxetane compound" Aromon oxetane OXT-221 "and abbreviated as" OXT-221 "in the table. The above-mentioned "UVACURE 1590" is abbreviated as &quot; UVACURE 1590 &quot;

경화성 수지 조성물 Y Curable resin composition Y

에폭시 화합물 "세록사이드 2021P" 75부Epoxy Compound "Suloxide 2021P" 75 parts

옥세탄 화합물 "아론옥세탄 OXT-221" 25부Oxetane compound "Aronoxetane OXT-221" 25 parts

광양이온 중합개시제 "UVACURE 1590" 5부Gwangyang Ion Polymerization Initiator "UVACURE 1590" 5 parts

실리콘계 레벨링제 "SH710" 0.2부Silicon leveling agent "SH710" 0.2 part

이어서, 제조예 2~6에서 조제한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예 1에서 제작한 제1 위상차판에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2 위상차판을 접합하여, 복합 위상차판을 제작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낸다. Next, examples in which a composite retardation plate was produced by bonding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made of a cycloolefin-based resin to the first retardation plate produced in Production Example 1 using the curable resin compositions prepared in Production Examples 2 to 6 and A comparative example is shown.

[실시예 1][Example 1]

두께 25 ㎛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의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위상차판〔닛폰제온(주)에서 판매하고 있는 "제오노아필름", 면내 위상차=90 nm, 두께 방향 위상차=79 nm〕을 제2 위상차판으로서 이용하고, 그 한 면에 제조예 2에서 제작한 경화성 수지 조성물 A를 도공기〔다이이치리카(주) 제조의 바코터〕로 도공했다.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공했을 때의 막 두께는, 점도에 따라 변화되기 때문에, 바코터의 번선 번호를 바꿔, 경화 후의 막 두께가 7 ㎛가 되도록 조절했다. 이어서, 제조예 1에서 제작한 제1 위상차판의 한쪽의 면에, 상기한 경화성 수지 조성물 A의 도포막이 형성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그 도포막 측이 제1 위상차판에의 점착면으로 되도록 첨부 장치〔후지플라(주) 제조의 "LPA3301"〕를 이용하여 접합했다. 이 접합품에,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 측에서, 벨트 컨베어를 지닌 자외선 조사 장치〔램프는, 퓨젼UV시스템사 제조의 "D 벌브" 사용〕에 의해, 적산 광량이 250 mJ/㎠가 되도록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복합 위상차판을 제작했다. Plane retardation = 90 nm,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 79 nm) made of a stretched film of cycloolefine resin having a thickness of 25 mu m (Zeonoa film sold by Nippon Zeon Co., Ltd.) as a second retardation plate , And the curable resin composition A prepared in Production Example 2 was coated on one side thereof with a coating machine (bar coater manufactured by Dai-ichirika Co., Ltd.). Since the film thickness when the curable resin composition was coated changes depending on the viscosity, the number of the bar coater was changed and the film thickness after curing was adjusted to be 7 占 퐉. Then, on one surface of the first retardation plate prepared in Production Example 1, a cycloolefin resin film on which a coating film of the curable resin composition A described above was formed was placed so that the coating film side became an adhesive surface to the first retardation plate ("LPA3301" manufactured by Fuji Plasma Co., Ltd.). Ultraviolet rays were irradiated to the bonded product on the side of the cycloolefin based resin film using an ultraviolet irradiator equipped with a belt conveyor (lamp: "D bulb" manufactured by Fusion UV Systems Co., Ltd.) so that the accumulated light quantity was 250 mJ / And the curable resin composition was cured to prepare a composite retarder.

[실시예 2 및 3][Examples 2 and 3]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 후의 막 두께가 5 ㎛ 및 3 ㎛가 되도록 조절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조작하여, 복합 위상차판을 제작했다. A composite retardation plate was fabricated by operating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urable resin composition was adjusted so as to have a film thickness after curing of 5 占 퐉 and 3 占 퐉.

[실시예 4~6][Examples 4 to 6]

경화성 수지 조성물 A 대신에, 제조예 3에서 조제한 경화성 수지 조성물 B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각각 같은 식으로 조작하여, 접착제층 막 두께가 다른 3 종류의 복합 위상차판을 제작했다. Three types of compound phase difference plates having different adhesive layer thicknesses were produced by operating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s 1 to 3, respectively, except that the curable resin composition B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3 was used in place of the curable resin composition A.

[실시예 7 및 8][Examples 7 and 8]

경화성 수지 조성물 A 대신에, 제조예 4에서 조제한 경화성 수지 조성물 C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및 3과 각각 같은 식으로 조작하여, 접착제층 막 두께가 다른 2 종류의 복합 위상차판을 제작했다. Two types of compound retardation plates having different adhesive layer thicknesses were produced by the same procedures as in Examples 2 and 3 except that the curable resin composition C prepared in Production Example 4 was used in place of the curable resin composition A. [

[비교예 1~3][Comparative Examples 1 to 3]

경화성 수지 조성물 A 대신에, 제조예 5에서 조제한 경화성 수지 조성물 X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각각 같은 식으로 조작하여, 접착제층 막 두께가 다른 3 종류의 복합 위상차판을 제작했다. Three types of compound retardation plates having different adhesive layer thicknesses were produced by operating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s 1 to 3, respectively, except that the curable resin composition X prepared in Production Example 5 was used in place of the curable resin composition A.

[비교예 4~6][Comparative Examples 4 to 6]

경화성 수지 조성물 A 대신에, 제조예 6에서 조제한 경화성 수지 조성물 Y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각각 같은 식으로 조작하여, 접착제층 막 두께가 다른 3 종류의 복합 위상차판을 제작했다. Three types of compound retardation plates having different adhesive layer thicknesses were produced by operating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s 1 to 3 except that the curable resin composition Y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6 was used in place of the curable resin composition A.

[비교예 7] [Comparative Example 7]

실시예 1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두께 25 ㎛의 연신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한 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고, 거기에 두께 15 ㎛ 의 아크릴계 점착제 시트를 접합했다. 또한, 제조예 1에서 제작한 제1 위상차판의 한 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고, 그 면을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의 연신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과 반대면에 접합하여, 복합 위상차판을 제작했다. A corona treatment was applied to one surface of a stretched cycloolefin-based resin film having a thickness of 25 占 퐉 which was the same as that used in Example 1, and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thickness of 15 占 퐉 was bonded thereto. Further, a corona treatment was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retardation plate manufactured in Production Example 1, and the surface of the first retardation plate was bonded to the opposite surface of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to the oriented cycloolefin-based resin film to produce a composite retardation plate.

[접착력의 평가 시험][Evaluation test of adhesive strength]

실시예 1~8 및 비교예 1~7에서 제작한 복합 위상차판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 표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고, 이어서 그 처리면에 아크릴계 점착제 시트를 접합하여 점착제를 지닌 복합 위상차판으로 했다. 얻어진 점착제를 지닌 복합 위상차판으로부터, 폭 25 mm, 길이 약 200 mm의 시험편을 재단하고, 그 점착제면을 소다 유리에 접합한 후, 오토크레이브 속에서, 압력 5 kgf/㎠, 온도 50℃에서 20분간의 가압 처리를 하고, 또한 온도 23℃, 상대습도 60%의 분위기 하에서 1일 방치하여 양생했다. The surfaces of the cycloolefin resin films of the composite retardation plates produced in Examples 1 to 8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7 were subjected to corona treatment and then the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was bonded to the treated surface to obtain a composite retarder having an adhesive . A test piece having a width of 25 mm and a length of about 200 mm was cut from the compound retarder having the obtain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nd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urface was bonded to a soda glass and then pressed in an autoclave at a pressure of 5 kgf / Minute, followed by allowing to stand for one day in an atmosphere at a temperature of 23 캜 and a relative humidity of 60%.

이 상태에서, 만능 인장력 시험기〔(주)시마즈세이사쿠쇼 제조의 "AG-1"〕를 이용하여, 시험편의 길이 방향 일단(폭 25 mm의 한 변) 중 3층 구조의 제1 위상차판을 쥐고서, 온도 23℃, 상대습도 60%의 분위기 하에, 크로스 헤드 스피드(그립 이동 속도) 200 mm/분으로, JIS K 6854-1:1999 「접착제-박리 접착 강도 시험 방법-제1부: 90도 박리」에 준거하는 90° 박리 시험을 하여, 메타크릴계 수지층을 포함하는 제1 위상차판과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위상차판 사이의 접착력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표 1에서, 「접착력」란에 「재료 파괴」라고 되어 있는 것은, 위의 박리 시험에 있어서, 제1 위상차판과 제2 위상차판을 점착하는 접착제층에서 박리되지 않고, 제1 위상차판 및/또는 제2 위상차판의 층이 파괴되었음을 의미한다. In this state, using a universal tensile tester ("AG-1" manufactured by Shimadzu Seisakusho Co., Ltd.), a first retardation plate having a three-layer structure in one longitudinal end (one side with a width of 25 mm) JIS K 6854-1: 1999 "Adhesive-peel adhesion strength test method - Part 1: 90 degrees at a crosshead speed (grip moving speed) of 200 mm / min under an atmosphere of a temperature of 23 캜 and a relative humidity of 60% Peeling ", a 90 ° peeling tes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rst retardation plate including the methacrylic resin layer and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comprising the cycloolefin resin film.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In Table 1, the term &quot; material breakage &quot; in the &quot; adhesive force &quot; column indicates that in the above peeling test, the first retardation plate and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adhesive layer, Or the layer of the second retarder plate is broken.

예 번호
Yes No
접착제(경화성 수지 조성물과 그의 경화성 성분)Adhesive (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its curable component) 막 두께
(㎛)
Film thickness
(탆)
접착력
(N/25 mm)
Adhesion
(N / 25 mm)
기호sign HEAAHEAA MAMA CEL 2021PCEL 2021P OXT-221OXT-221 실시예 1Example 1
A

A

80%

80%

20%

20%




77 재료 파괴Material destruction
실시예 2Example 2 55 재료 파괴Material destruction 실시예 3Example 3 33 재료 파괴Material destruction 실시예 4Example 4
B

B

70%

70%

30%

30%




77 재료 파괴Material destruction
실시예 5Example 5 55 재료 파괴Material destruction 실시예 6Example 6 33 재료 파괴Material destruction 실시예 7Example 7 C
C
60%
60%
40%
40%


55 1.51.5
실시예 8Example 8 33 1.01.0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X

X


100%

100%

-

-




77 0.50.5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55 0.40.4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33 0.30.3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Y

Y






75%

75%

25%

25%
77 0.40.4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55 0.30.3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33 0.40.4 비교예 7Comparative Example 7 (아크릴계 점착제)(Acrylic adhesive) 1515 10.010.0

(각주)(footnote)

HEAA: N-(2-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HEAA: N- (2-hydroxyethyl) acrylamide

MA: 메틸아크릴레이트MA: methyl acrylate

CEL 2021P: 에폭시 화합물 "세록사이드 2021P"CEL 2021P: epoxy compound "Suloxide 2021P"

OXT-221: 옥세탄 화합물 "아론옥세탄 OXT-221"OXT-221: oxetane compound "AARON oxetane OXT-221"

표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N-(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와 메틸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을 경화성 성분으로 하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1 위상차판과 제2 위상차판을 점착함으로써, 박막화를 도모하면서,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에폭시 화합물과 옥세탄 화합물의 혼합물을 경화성 성분으로 하는 접착제를 제1 위상차판과 제2 위상차판과의 점착에 이용한 경우(비교예 4~6)에는, 충분한 접착력을 얻을 수 없다. As shown in Table 1, by adhering the first retardation plate and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using an adhesive containing a mixture of N- (2-hydroxyethyl) acrylate and methyl acrylate as a curable component, , The adhesive strength can be improved. On the other hand, when an adhesive containing a mixture of an epoxy compound and an oxetane compound as a curable component is used for adhesion between the first retardation plate and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Comparative Examples 4 to 6), sufficient adhesion can not be obtained.

10: 제1 위상차판,
12: 위상차 발현층,
14, 15: (메트)아크릴계 수지층,
18: 제2 위상차판,
20: 복합 위상차판,
31: 접착제층,
32: 제2 접착제층,
33: 제3 접착제층,
42: 편광 필름,
44: 보호 필름,
46: 점착제층,
48: 세퍼레이터,
50: 복합 편광판.
10: first retardation plate,
12: phase difference developing layer,
14, 15: a (meth) acrylic resin layer,
18: a second retardation plate,
20: Composite retarder,
31: adhesive layer,
32: second adhesive layer,
33: third adhesive layer,
42: polarizing film,
44: protective film,
46: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48: Separator,
50: Composite polarizer.

Claims (11)

(메트)아크릴계 수지층을 최표면에 갖는 제1 위상차판의 그 (메트)아크릴계 수지층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 및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위상차판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 및 분자 내에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경화성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상기 접착제층은 10 ㎛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위상차판.
(Meth) acryl-based resin layer of a first retardation plate having a (meth) acrylic resin layer on its outermost surface, an adhesive layer comprising a cured product of an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a second retardation film comprising a cycloolefin- Are stacked in this order,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contains N-substituted (meth) acrylamide and a compound having a (meth) acryloyloxy group in the molecule as a curing component,
Wherein the adhesive layer has a thickness of 10 占 퐉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는 하기 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복합 위상차판:
Figure pct00006
(I)
(식에서, Q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Q2는 수소 원자 혹은 탄소수 1~6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Q3은 수산기를 갖더라도 좋은 탄소수 1~6의 알킬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Q2와 Q3은 하나가 되어, 이들이 결합하는 질소 원자와 함께, 산소 원자를 고리 구성원으로서 갖더라도 좋은 5원환 혹은 6원환을 형성한다)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substituted (meth) acrylamide is a compound retarder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I)
Figure pct00006
(I)
(Wherein Q 1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 methyl group, Q 2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6 carbon atoms, Q 3 represents an alkyl group having 1 to 6 carbon atoms which may have a hydroxyl group, or Q 2 and Q 3 together form a 5-membered ring or a 6-membered ring which may be taken together with the nitrogen atom to which they are bonded and the oxygen atom as a ring memb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화합물은, 하기 식(II)으로 나타내어지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인 복합 위상차판:
Figure pct00007
(II)
(식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1~6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The compound having a (meth) acryloyloxy group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mpound is an alkyl (meth) acrylat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II):
Figure pct00007
(II)
(Wherein R 1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 methyl group, and R 2 represents an alkyl group having 1 to 6 carbon atom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경화성 성분의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기 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를 60~80 중량% 및 하기 식(II)으로 나타내어지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40~20 중량% 함유하는 것인 복합 위상차판:
Figure pct00008
(I)
(식에서, Q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Q2는 수소 원자 혹은 탄소수 1~6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Q3은 수산기를 갖더라도 좋은 탄소수 1~6의 알킬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Q2와 Q3은 하나가 되어, 이들이 결합하는 질소 원자와 함께, 산소 원자를 고리 구성원으로서 갖더라도 좋은 5원환 혹은 6원환을 형성한다)
Figure pct00009
(II)
(식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1~6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contains 60 to 80% by weight of N-substituted (meth) acrylamid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I) (Meth) acrylat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II): 40 to 20 wt%
Figure pct00008
(I)
(Wherein Q 1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 methyl group, Q 2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6 carbon atoms, Q 3 represents an alkyl group having 1 to 6 carbon atoms which may have a hydroxyl group, or Q 2 and Q 3 together form a 5-membered ring or a 6-membered ring which may be taken together with the nitrogen atom to which they are bonded and the oxygen atom as a ring member)
Figure pct00009
(II)
(Wherein R 1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 methyl group, and R 2 represents an alkyl group having 1 to 6 carbon atoms)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상차판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층에 더하여, 다른 수지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발현층을 포함하는 것인 복합 위상차판. The composite retard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first retardation plate comprises a retardation-developing layer made of another resin in addition to the (meth) acrylic resin lay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발현층은 120℃ 이상의 유리 전이 온도를 지니고,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층은 120℃ 이하의 유리 전이 온도를 지니는 것인 복합 위상차판. 6. The compound retarde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retardation developing layer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120 DEG C or higher and the (meth) acrylic resin layer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120 DEG C or lower.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발현층은 스티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인 복합 위상차판. The composite retarder according to claim 5 or 6, wherein the retardation-developing layer is made of a styrene-based resin.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층은 고무 입자를 함유하는 것인 복합 위상차판. The composite retard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7, wherein the (meth) acrylic resin layer contains rubber particles.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상차판은, 상기 위상차 발현층의 양면에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층을 형성한 것인 복합 위상차판. The compound retard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8, wherein the first retardation plate is formed by forming the (meth) acrylic resin layer on both surfaces of the retardation developing lay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발현층 및 그 양면에 형성되는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층은 각각 10~100 ㎛의 두께를 갖는 것인 복합 위상차판. The composite retarder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phase difference-generating layer and the (meth) acrylic resin layer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have a thickness of 10 to 100 탆.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편광 필름의 한쪽의 면에, 제2 접착제층을 통해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호 필름이 적층되고, 상기 편광 필름의 다른 쪽의 면에, 제3 접착제층을 통해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복합 위상차판이, 그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 측에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편광판. A protective film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is laminated on one side of a polarizing film o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on a polyvinyl alcohol based resin through a second adhesive layer and on the other side of the polarizing film, Wherein the composite retardation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is laminated on the side of the cycloolefin based resin film through an adhesive layer.
KR1020147017239A 2011-11-30 2012-11-28 Composite phase difference plate and composite polarizing plate using same KR10200080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61487 2011-11-30
JP2011261487 2011-11-30
PCT/JP2012/081425 WO2013081166A1 (en) 2011-11-30 2012-11-28 Composite phase difference plate and composite polarizing plate us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775A true KR20140105775A (en) 2014-09-02
KR102000806B1 KR102000806B1 (en) 2019-07-16

Family

ID=48535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7239A KR102000806B1 (en) 2011-11-30 2012-11-28 Composite phase difference plate and composite polarizing plate using sam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2013137521A (en)
KR (1) KR102000806B1 (en)
TW (1) TWI570454B (en)
WO (1) WO2013081166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415A (en) * 2015-04-10 2016-10-19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provided with same, and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manufactur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36022B2 (en) * 2014-11-28 2019-07-03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er
JP6550730B2 (en) * 2014-11-28 2019-07-31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er
JP6550251B2 (en) * 2015-03-03 2019-07-2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Adhesive film with optical film
JP6550250B2 (en) * 2015-03-27 2019-07-2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Adhesive film with optical film
JP6495067B2 (en) * 2015-03-27 2019-04-0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KR101813755B1 (en) 2015-05-28 2017-12-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olarizing film and display including the same
JP6841044B2 (en) * 2016-04-20 2021-03-10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Active energy ray-polymerizable adhesive and laminate
JP2018022026A (en) * 2016-08-03 2018-02-08 住友化学株式会社 Laminate film
JP7051342B2 (en) * 2017-09-12 2022-04-11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er
JP7082021B2 (en) * 2018-09-28 2022-06-07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ing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6873208B2 (en) * 2019-10-21 2021-05-19 日東電工株式会社 A retardation film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retardation fil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8655A (en) * 2006-03-27 2008-10-0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Optical adhesive, optical film with adhesive and image display
KR20100096011A (en) * 2009-02-23 2010-09-0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Combined polarizing plate and ips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10275373A (en) * 2009-05-26 2010-12-09 Toagosei Co Ltd Active energy ray-curable type composition for optical film or sheet and active energy ray-curable type adhesive film or shee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9731A (en) * 1999-09-20 2001-04-03 Lintec Corp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optical function member made thereof
JP3851920B1 (en) * 2005-11-25 2006-11-29 日東電工株式会社 Liquid crystal panel manufacturing method, liquid crystal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07177169A (en) * 2005-12-28 2007-07-12 Okura Ind Co Ltd Photocurable adhesive composition and laminated film using the same
JP4744496B2 (en) * 2007-04-16 2011-08-10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WO2009087942A1 (en) * 2008-01-08 2009-07-16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olarizer
JP5379409B2 (en) * 2008-02-15 2013-12-25 日東電工株式会社 Adhesive composition for optical film, adhesiv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10072448A (en) * 2008-09-19 2010-04-02 Nippon Oil Corp Adhesive for liquid crystal film, liquid crystal film, and optical element film
JP4913787B2 (en) * 2008-09-24 2012-04-11 日東電工株式会社 Adhesive for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JP5124406B2 (en) * 2008-09-24 2013-01-23 日東電工株式会社 Adhesive for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TWI493005B (en) * 2009-07-28 2015-07-21 Toagosei Co Ltd An active energy ray hardening agent composition for a plastic film or sheet
JP2011180257A (en) * 2010-02-26 2011-09-15 Sumitomo Chemical Co Ltd Optical film, coating liquid for producing the optical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film and the coating liqui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8655A (en) * 2006-03-27 2008-10-0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Optical adhesive, optical film with adhesive and image display
KR20100096011A (en) * 2009-02-23 2010-09-0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Combined polarizing plate and ips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10275373A (en) * 2009-05-26 2010-12-09 Toagosei Co Ltd Active energy ray-curable type composition for optical film or sheet and active energy ray-curable type adhesive film or she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415A (en) * 2015-04-10 2016-10-19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provided with same, and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manufactur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33548A (en) 2013-08-16
JP2018063431A (en) 2018-04-19
TWI570454B (en) 2017-02-11
JP2013137521A (en) 2013-07-11
WO2013081166A1 (en) 2013-06-06
JP6699642B2 (en) 2020-05-27
KR102000806B1 (en) 201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0806B1 (en) Composite phase difference plate and composite polarizing plate using same
JP6107991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WO2018139358A1 (en)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5296575B2 (en) Photocurable adhesive composition,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optical memb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667554B2 (en) Photocurable adhesive composition,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optical memb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586174B2 (en) Optical lamin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13160775A (en) Polarizer and optical member
JP2015040283A (en) Photocurable adhesive composition,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optical memb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6379446B2 (en) Polariz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394011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JP5782722B2 (en) Polariz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985145B2 (en) Optical lamin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6224301B2 (en) Polariz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5739002B (en) Polarizing plate
JP6377322B2 (en) Optical film laminate and composite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JP2021002052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JP6221713B2 (en) Method for producing surface-modified cycloolefin resin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JP2015114456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urface-modified cycloolefin resin film and polarizing plate
JP2016206684A (en) Polarizer and optical member
JP6229468B2 (en) Method for producing surface-modified cycloolefin resin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JP2015206967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site polarizing plate
CN116500717A (en)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6476544B2 (en) Method for producing surface-modified cycloolefin resin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