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5353A - 모바일기기를 통해 의료기기의 피검시료 검사결과를 목적지에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기기를 통해 의료기기의 피검시료 검사결과를 목적지에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5353A
KR20140105353A KR1020130073314A KR20130073314A KR20140105353A KR 20140105353 A KR20140105353 A KR 20140105353A KR 1020130073314 A KR1020130073314 A KR 1020130073314A KR 20130073314 A KR20130073314 A KR 20130073314A KR 20140105353 A KR20140105353 A KR 20140105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tination
medical
result
test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3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2851B1 (ko
Inventor
이성화
권세도
이종립
이창섭
최성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20140156203 priority Critical patent/EP2770452A1/en
Priority to US14/188,011 priority patent/US10411794B2/en
Priority to CN201410062465.XA priority patent/CN104008517A/zh
Publication of KR20140105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353A/ko
Priority to US14/588,266 priority patent/US1040478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a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를 통해 의료기기의 피검시료 검사결과를 목적지에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기기를 통해 의료기기의 피검시료 검사결과를 목적지에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의료기기가 피검시료를 검사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기기가 상기 의료기기로부터 검사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기기가 상기 검사결과를 전송할 목적지를 알려주는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기기가 상기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지로 상기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기기가 수신한 최적의 목적지(환자가 이송되는 목적지)로 환자 검사결과가 전송되므로, 미리 지정된 목적지(최적의 목적지가 아닌 목적지)로 환자가 이송되지 아니함으로써 검사결과 전송 자체가 무용지물이 되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이 해소된다. 또한, 피검자에 대한 검사결과와 의료기기에 대한 정도 검사결과가 분리되어 전송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의료기기의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의료기기의 정도 검사결과가 반영된 환자 검사결과가 의료진에게 제공될 수 있어 의료진이 잘못된 검사결과를 신뢰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의료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기기를 통해 의료기기의 피검시료 검사결과를 목적지에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OF TRANSMITTING EXAMINATION RESULT OF SPECIMEN FROM MEDICAL DEVICE TO DESTINATION THROUGH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를 통해 의료기기의 피검시료 검사결과를 목적지에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IT)과 보건 의료를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나 질병에 대한 예방, 진단, 치료, 사후 관리 등의 보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헬스(U-Health) 개념의 보급으로 병원 내외에서 활용되는 의료기기들도 점차 네크워크로 연결되는 추세이다. 그런데 검사 및 진단 기능을 제공하는 의료기기가 병원과 같은 의료기관 밖(구급차 또는 간이 진료소 등)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네트워크를 통한 의료기관과의 연결이 어렵거나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었다. 즉 의료기기가 제공하는 검사결과는 전화나 프린트된 종이를 통해 간접적으로 의료진에 전달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의료기관에 직접 전달되더라도 지정된 병원으로만 한정된 검사결과가 전송되는 한계가 있었다. 검사결과를 의료기기로부터 의료기관에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종래기술은, 의료기기와 구급차 내의 휴대폰이 블루투스로 연결되어 휴대폰이 의료기기로부터 검사결과를 수신하고 휴대폰에 수신된 검사결과 데이터가 미리 지정된 의료기관에 단순히 전달되는 형태이다. 즉, 종래기술은 휴대폰이 의료기기로부터의 검사결과를 지정된 의료기관으로 단순히 중간 전달해 주는 것에 불과하다. 그래서 구급차로 이송되는 환자가 지정된 병원이 아닌 다른 병원으로 이송되는 경우에는 미리 수행된 검사결과 전송이 무용지물이 되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더불어 의료기기는 항상 일정한 수준의 성능을 유지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정도관리가 중요하며 의료기기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정도관리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권장한다. 그런데 구급차 환경의 경우 환자 검사결과가 전달되어야 할 곳은 환자가 이송될 병원이지만 정도관리 검사결과가 전달되어야 할 곳은 의료기기를 관리하는 곳이며 이 두 곳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방서 구조센터에서 구급차를 운용하고 환자가 이송될 곳은 불특정 다수의 병원이라면 정도관리 검사결과와 환자 검사결과는 각각 분리되어 전송되어야만 한다.
도 1은 종래에 의료기기가 피검시료 검사결과를 목적지에 전송하는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의료기기(101)가 피검시료를 검사하고 그 검사결과를 중계기(103)로 보내면 중계기(103)가 미리 지정된 병원(병원A)으로 해당 검사결과를 전송한다. 의료기기(101)와 중계기(103)가 병원 밖에 위치하는 구급차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의료기기(101)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중계기(103)로 검사결과를 전송하고 중계기(103)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미리 지정된 병원으로 검사결과를 전달한다. 중계기(103)는 휴대폰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구급차로 이송되는 환자가 지정된 병원이 아닌 다른 병원으로 이송되면 미리 수행된 검사결과 전송이 무용지물이 되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기기를 통해 의료기기의 피검시료 검사결과를 효과적으로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기기가 검사결과가 전송될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지로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기기가 의료기기로부터 수신한 검사결과가 피검자의 생체시료 검사결과인지 의료기기의 정도관리 검사결과인지 여부를 구별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경우 생체시료 검사결과와 정도관리 검사결과는 서로 다른 목적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바일기기를 통해 의료기기의 피검시료 검사결과를 목적지에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의료기기가 피검시료를 검사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기기가 상기 의료기기로부터 검사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기기가 상기 검사결과를 전송할 목적지를 알려주는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기기가 상기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지로 상기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피검시료는 피검자로부터 추출된 생체시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검사결과 전송시 피검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피검시료는 의료기기의 정도(精度)관리 검사를 위한 정도관리 물질(관리 혈청)이나 전자시료(electronic QC MATERIA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바일기기는 의료기기로부터 수신한 검사결과가 피검자의 생체시료 검사결과인지 의료기기의 정도관리 검사결과인지 여부를 구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목적지는 의료기관서버, 의료정보 수집기관의 서버 및 개별 의료진의 모바일기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의료기관서버 및 상기 의료정보 수집기관의 서버는 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의료기관서버 및 상기 의료정보 수집기관의 서버는 검사결과를 개별 의료진의 모바일기기에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목적지 정보는 응급상황관리서버로부터 자동으로 수신되거나 상기 모바일기기에 직접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목적지 정보는 소정 목적지로 디폴트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소정 목적지는 의료기기관리서버, 의료기관서버 및 의료정보 수집기관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목적지 정보는 목적지의 URL, IP 주소, Email 주소 및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바일기기와 상기 목적지는 인터넷 네트워크, Email 네트워크, 무선 통신 네트워크, SMS 네트워크 및 MMS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의료기기의 정도 검사는 의료기기가 소정 주기마다 자동으로 수행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의료기기의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판단은 의료기기가 자동으로 수행하거나 상기 목적지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의료기기가 상기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는 경우, 피검자에 대한 검사결과에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 목적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바일기기와 상기 의료기기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바일기기는 휴대폰 또는 구급차에 설치된 단말기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의료기기의 피검시료 검사결과를 목적지에 전송하는 모바일기기는, 상기 의료기기로부터 피검시료의 검사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검사결과를 전송할 목적지를 알려주는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지로 상기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피검시료는 피검자로부터 추출된 생체시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검사결과 전송시 피검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피검시료는 의료기기의 정도(精度)관리 검사를 위한 정도관리 물질(관리 혈청)이나 전자시료(electronic QC MATERIA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바일기기는 의료기기로부터 수신한 검사결과가 피검자의 생체시료 검사결과인지 의료기기의 정도관리 검사결과인지 여부를 구별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목적지는 의료기관서버, 의료정보 수집기관의 서버 및 개별 의료진의 모바일기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의료기관서버 및 상기 의료정보 수집기관의 서버는 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의료기관서버 및 상기 의료정보 수집기관의 서버는 검사결과를 개별 의료진의 모바일기기에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목적지 정보는 응급상황관리서버로부터 자동으로 수신되거나 상기 모바일기기에 직접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목적지 정보는 소정 목적지로 디폴트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소정 목적지는 의료기기관리서버, 의료기관서버 및 의료정보 수집기관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목적지 정보는 목적지의 URL, IP 주소, Email 주소 및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바일기기와 상기 목적지는 인터넷 네트워크, Email 네트워크, 무선 통신 네트워크, SMS 네트워크 및 MMS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의료기기가 상기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는 경우, 피검자에 대한 검사결과에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 목적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바일기기와 상기 의료기기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바일기기는 휴대폰 또는 구급차에 설치된 단말기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바일기기를 통해 의료기기의 피검시료 검사결과를 목적지에 전송하는 의료기기는, 피검시료를 삽입하는 시료 삽입부; 상기 피검시료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검사 결과를 처리하는 검사 처리부; 및 상기 모바일기기로 상기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기기는 상기 검사결과를 전송할 목적지를 알려주는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지로 상기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피검시료는 피검자로부터 추출된 생체시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검사결과 전송시 피검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피검시료는 의료기기의 정도(精度)관리 검사를 위한 정도관리 물질(관리 혈청)이나 전자시료(electronic QC MATERIA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바일기기는 의료기기로부터 수신한 검사결과가 피검자의 생체시료 검사결과인지 의료기기의 정도(精度)관리 검사결과인지 여부를 구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목적지는 의료기관서버, 의료정보 수집기관의 서버 및 개별 의료진의 모바일기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의료기관서버 및 상기 의료정보 수집기관의 서버는 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의료기관서버 및 상기 의료정보 수집기관의 서버는 검사결과를 개별 의료진의 모바일기기에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목적지 정보는 응급상황관리서버로부터 자동으로 수신되거나 상기 모바일기기에 직접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목적지 정보는 소정 목적지로 디폴트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소정 목적지는 의료기기관리서버, 의료기관서버 및 의료정보 수집기관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목적지 정보는 목적지의 URL, IP 주소, Email 주소 및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바일기기와 상기 목적지는 인터넷 네트워크, Email 네트워크, 무선 통신 네트워크, SMS 네트워크 및 MMS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의료기기의 정도 검사는 의료기기에 의해 소정 주기마다 자동으로 수행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의료기기의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판단은 의료기기가 자동으로 수행하거나 상기 목적지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의료기기가 상기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는 경우, 피검자에 대한 검사결과에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 목적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바일기기와 상기 의료기기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바일기기는 휴대폰 또는 구급차에 설치된 단말기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바일기기를 통해 의료기기의 피검시료 검사결과를 목적지에 전송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모바일기기가 수신한 최적의 목적지(환자가 이송되는 목적지)로 환자 검사결과가 전송되므로, 미리 지정된 목적지(최적의 목적지가 아닌 목적지)로 환자가 이송되지 아니함으로써 검사결과 전송 자체가 무용지물이 되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이 해소된다. 또한, 피검자에 대한 검사결과와 의료기기에 대한 정도 검사결과가 분리되어 전송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의료기기의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의료기기의 정도 검사결과가 반영된 환자 검사결과가 의료진에게 제공될 수 있어 의료진이 잘못된 검사결과를 신뢰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의료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자세한 설명과 그에 수반되는 도면들의 결합으로 쉽게 이해될 수 있으며, 참조 번호(reference numerals)들은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elements)를 의미한다.
도 1은 종래에 의료기기가 피검시료 검사결과를 목적지에 전송하는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모바일기기를 통해 의료기기의 피검시료 검사결과를 목적지에 전송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모바일기기를 통해 의료기기의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모바일기기를 통해 의료기기의 피검시료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모바일기기를 통해 의료기기의 정도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의료기기의 검사결과를 목적지에 전송하는 모바일기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모바일기기를 통해 검사결과를 목적지에 전송하는 의료기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에서 의료기기 검사결과 전송 애플리케이션이 동작중인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에서 의료기기 검사결과 전송 애플리케이션이 동작중인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입력 완료’ 버튼을 누른 후 도 8에 도시된 목적지 리스트에 추가된 목적지(병원F)가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도 9의 화면에서 ‘전송 설정’ 버튼을 누른 후 나타나는 전송 설정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항목 중 Email 네트워크로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경우, Email 네트워크를 통해 피검자(환자) 검사결과와 정도 검사결과를 모두 전송할지 여부를 설정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항목 중 SMS 네트워크로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경우, SMS 네트워크를 통해 피검자(환자) 검사결과와 정도 검사결과를 모두 전송할지 여부를 설정할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4는 의료기기의 정도 검사결과가 팝업 윈도우(Popup Window) 형태로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모바일기기를 통해 의료기기의 피검시료 검사결과를 목적지에 전송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의료기기(201)는 구급차에 설치되는 단말기 형태이며 모바일기기(203)는 휴대폰이나 구급차에 설치되는 단말기 형태이다. 도 2에 도시된 시스템은, 도 6에 도시된 모바일기기(600)와 도 7에 도시된 의료기기(700) 사이에서 수행되는 동작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6 및 7에 도시된 구성들에 관해 기술된 내용은 도 2에 도시된 개략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의료기기(201)가 피검시료를 검사한 후 그 검사결과를 모바일기기(203)로 전송한다. 의료기기(201)와 모바일기기(203)는 블루투스, 무선 통신 네트워크 등 다양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특정 네트워크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모바일기기(203)에 전송되는 검사결과는 피검자의 생체시료 검사결과 또는 의료기기의 정도(精度) 검사결과이다. 피검자의 생체시료 검사결과의 경우 모바일기기(203)가 목적지에 그 검사결과를 전송하기 전에 응급상황관리서버(205)로부터 검사결과를 전송할 목적지를 알려주는 목적지 정보를 수신한다.
모바일기기(203)는 수신한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지(병원A~병원C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병원)로 해당 검사결과를 전송한다. 모바일기기(203)와 목적지는 인터넷 네트워크, Email 네트워크, 무선 통신 네트워크, SMS 네트워크 및 MMS 네트워크 등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목적지 정보는 응급상황관리서버(205)로부터 수신되지 않고 사용자가 모바일기기(203)에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이 때, 목적지 정보에는 목적지의 URL, IP 주소, Email 주소 및 전화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목적지에 전송되는 검사결과에는 피검자에 대한 상태 정보가 함께 부가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피검자에 대한 상태 정보라 함은 응급대원이 피검자(환자)의 상태를 관찰하고 기술한 정보를 지칭하며, 피검자에 대한 검사결과와 함께 목적지의 의료진이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피검자로부터 추출된 생체시료는 혈액 등 다양한 생체시료가 이에 해당될 수 있고, 의료기기의 정도관리 검사를 위한 피검시료는 관리혈청이나 전자시료(electronic QC MATERIAL, electronic quality control)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모바일기기(203)는 의료기기(201)로부터 수신한 검사결과가 피검자의 생체시료 검사결과인지 의료기기의 정도관리 검사결과인지 여부를 구별할 수 있다. 피검자의 생체시료 검사결과가 전송되는 목적지는 의료기관서버, 의료정보 수집기관의 서버, 개별 의료진의 모바일기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의료기관서버나 의료정보 수집기관의 서버는 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서버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의료기관서버나 의료정보 수집기관의 서버가 검사결과를 수신한 후 개별 의료진의 모바일기기에 이를 재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피검자의 생체시료 검사결과는 어느 하나의 목적지(가령, 병원A)로만 전송될 수도 있고 다수의 목적지(가령, 병원A~병원C)fh 전송될 수도 있다. 의료기기(201)의 정도 검사결과가 전송되는 목적지는 의료기기관리서버(207)가 해당될 수 있고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목적지 정보는 의료기기관리서버(207)에 대한 정보로 디폴트로 설정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의료기관서버나 의료정보 수집기관의 서버들에도 정도 검사결과가 전송될 수 있다. 의료기기(201)의 정도 검사는 의료기기(201)가 소정 주기마다 자동으로 수행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의료기기(201)의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판단은 의료기기(201)가 자동으로 수행하거나 의료기기관리서버(207)와 같은 목적지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의료기기(201)가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는 경우, 피검자에 대한 검사결과에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 목적지에 전송할 수도 있다. 목적지의 의료진은 피검자에 대한 검사결과에 부가하여 표시된 정도 검사결과를 참조함으로써 피검자에 대한 검사결과의 신뢰성을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모바일기기를 통해 의료기기의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6에 도시된 모바일기기(600)와 도 7에 도시된 의료기기(7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6 및 7에 도시된 구성들에 관해 기술된 내용은 도 3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단계 301에서, 의료기기는 검사 대상이 되는 시료(이하, ‘피검 시료’라고 함)를 검사한다. 피검 시료는 일반적으로 피검자의 신체로부터 추출한 다양한 생체 조직이 포함될 수 있다. 대표적인 피검 시료는 피검자의 혈액이 해당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검자로부터 추출한 생체 조직 이외에도 의료기기의 검사대상이 될 수 있는 시료이면 무엇이든지 피검 시료가 될 수 있다. 의료기기의 정도(精度)관리 검사를 위한 피검시료는 정도관리 물질(관리 혈청)이나 전자시료(electronic QC MATERIAL)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의료기기의 정도 검사는 의료기기가 소정 주기마다 자동으로 수행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 303에서, 모바일기기는 의료기기로부터 검사결과를 수신한다. 의료기기는 피검시료를 검사한 후 그 검사결과를 모바일기기로 전송한다. 의료기기와 모바일기기는 WIFI, 블루투스, 무선 통신 네트워크 등 다양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특정 네트워크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모바일기기에 전송되는 검사결과는 피검자의 생체시료 검사결과 또는 의료기기의 정도 검사결과이다. 모바일기기는 의료기기로부터 수신한 검사결과가 피검자의 생체시료 검사결과인지 의료기기의 정도관리 검사결과인지 여부를 구별할 수 있다.
단계 305에서, 모바일기기는 검사결과를 전송할 목적지를 알려주는 목적지 정보를 수신한다. 피검자의 생체시료 검사결과의 경우 모바일기기가 목적지에 그 검사결과를 전송하기 전에 응급상황관리서버로부터 검사결과를 전송할 목적지를 알려주는 목적지 정보를 수신한다. 목적지 정보는 응급상황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되지 않고 사용자가 모바일기기에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이 때, 목적지 정보는 목적지의 URL, IP 주소, Email 주소 및 전화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 307에서, 모바일기기는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지로 검사결과를 전송한다. 피검자의 생체시료 검사결과가 전송되는 목적지는 의료기관서버, 의료정보 수집기관의 서버, 개별 의료진의 모바일기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의료기관서버나 의료정보 수집기관의 서버는 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서버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의료기관서버나 의료정보 수집기관의 서버가 검사결과를 수신한 후 개별 의료진의 모바일기기에 이를 재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피검자의 생체시료 검사결과는 어느 하나의 목적지(가령, 병원A)로만 전송될 수도 있고 다수의 목적지(가령, 병원A~병원C)에 전송될 수도 있다. 의료기기의 정도 검사결과가 전송되는 목적지는 의료기기관리서버가 해당될 수 있고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목적지 정보는 의료기기관리서버로 디폴트로 설정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의료기관서버나 의료정보 수집기관의 서버들에도 정도 검사결과가 전송될 수 있고, 사용자가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목적지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모바일기기와 목적지는 인터넷 네트워크, Email 네트워크, 무선 통신 네트워크, SMS 네트워크 및 MMS 네트워크 등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의료기기의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판단은 의료기기가 자동으로 수행하거나 의료기기관리서버와 같은 목적지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의료기기가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는 경우, 피검자에 대한 검사결과에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 목적지에 전송할 수도 있다. 목적지에 전송되는 검사결과에는 피검자에 대한 상태 정보가 함께 부가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피검자에 대한 상태 정보라 함은 응급대원이 피검자(환자)의 상태를 관찰하고 기술한 정보를 지칭하며, 피검자에 대한 검사결과와 함께 목적지의 의료진이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모바일기기를 통해 의료기기의 피검시료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개략도는, 도 6에 도시된 모바일기기(600)와 도 7에 도시된 의료기기(7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6 및 7에 도시된 구성들에 관해 기술된 내용은 도 4에 도시된 개략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의료기기는 피검 시료를 검사한다. 피검 시료는 일반적으로 피검자의 신체로부터 추출한 다양한 생체 조직이 포함될 수 있다. 대표적인 피검 시료는 피검자의 혈액이 해당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검자로부터 추출한 생체 조직 이외에도 의료기기의 검사대상이 될 수 있는 시료이면 무엇이든지 피검 시료가 될 수 있다. 의료기기의 정도(精度) 검사를 위한 피검시료는 정도관리 물질(관리 혈청)이나 전자시료(electronic QC MATERIAL)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의료기기의 정도 검사는 의료기기가 소정 주기마다 자동으로 수행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모바일기기는 의료기기로부터 검사결과를 수신한다. 의료기기는 피검시료를 검사한 후 그 검사결과를 모바일기기로 전송한다. 의료기기와 모바일기기는 WIFI, 블루투스, 무선 통신 네트워크 등 다양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특정 네트워크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모바일기기에 전송되는 검사결과는 피검자의 생체시료 검사결과 또는 의료기기의 정도 검사결과이다. 모바일기기는 의료기기로부터 수신한 검사결과가 피검자의 생체시료 검사결과인지 의료기기의 정도관리 검사결과인지 여부를 구별할 수 있다.
모바일기기는 검사결과를 전송할 목적지를 알려주는 목적지 정보를 수신한다. 피검자의 생체시료 검사결과의 경우 모바일기기가 목적지에 그 검사결과를 전송하기 전에 응급상황관리서버로부터 검사결과를 전송할 목적지를 알려주는 목적지 정보를 수신한다. 목적지 정보는 응급상황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되지 않고 사용자가 모바일기기에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이 때, 목적지 정보는 목적지의 URL, IP 주소, Email 주소 및 전화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모바일기기는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지로 검사결과를 전송한다. 목적지에 전송되는 검사결과에는 피검자에 대한 상태 정보가 함께 부가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피검자에 대한 상태 정보라 함은 응급대원이 피검자(환자)의 상태를 관찰하고 기술한 정보를 지칭하며, 피검자에 대한 검사결과와 함께 목적지의 의료진이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피검자의 생체시료 검사결과가 전송되는 목적지는 의료기관서버, 의료정보 수집기관의 서버, 개별 의료진의 모바일기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의료기관서버나 의료정보 수집기관의 서버는 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서버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의료기관서버나 의료정보 수집기관의 서버가 검사결과를 수신한 후 개별 의료진의 모바일기기에 이를 재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피검자의 생체시료 검사결과는 어느 하나의 목적지(가령, 병원A)로만 전송될 수도 있고 다수의 목적지(가령, 병원A~병원C)에 전송될 수도 있다. 모바일기기와 목적지는 인터넷 네트워크, Email 네트워크, 무선 통신 네트워크, SMS 네트워크 및 MMS 네트워크 등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모바일기기를 통해 의료기기의 정도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개략도는, 도 6에 도시된 모바일기기(600)와 도 7에 도시된 의료기기(7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6 및 7에 도시된 구성들에 관해 기술된 내용은 도 5에 도시된 개략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의료기기는 피검 시료를 검사한다. 의료기기의 정도(精度) 관리 검사를 위한 피검시료는 정도관리 물질(관리 혈청)이나 전자시료(electronic QC MATERIAL)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의료기기의 정도 검사는 의료기기가 소정 주기마다 자동으로 수행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모바일기기는 의료기기로부터 검사결과를 수신한다. 의료기기는 피검시료를 검사한 후 그 검사결과를 모바일기기로 전송한다. 의료기기와 모바일기기는 블루투스, 무선 통신 네트워크 등 다양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특정 네트워크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모바일기기에 전송되는 검사결과는 의료기기의 정도 검사결과이다(모바일기기는 의료기기로부터 수신한 검사결과가 피검자의 생체시료 검사결과인지 의료기기의 정도 관리 검사결과인지 여부를 구별할 수 있음).
모바일기기는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지로 검사결과를 전송한다. 의료기기의 정도 검사결과가 전송되는 목적지는 의료기기관리서버가 해당될 수 있고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목적지 정보는 의료기기관리서버로 디폴트로 설정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의료기관서버나 의료정보 수집기관의 서버들에도 정도 검사결과가 전송될 수 있고, 사용자가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목적지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모바일기기와 목적지는 인터넷 네트워크, Email 네트워크, 무선 통신 네트워크, SMS 네트워크 및 MMS 네트워크 등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의료기기의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판단은 의료기기가 자동으로 수행하거나 의료기기관리서버와 같은 목적지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의료기기가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는 경우, 피검자에 대한 검사결과에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 목적지에 전송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의료기기의 검사결과를 목적지에 전송하는 모바일기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모바일기기는 판단 및 처리부, 송신부, 수신부,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수신부(603)는 의료기기로부터 피검시료의 검사결과를 수신하고, 검사결과를 전송할 목적지를 알려주는 목적지 정보를 수신한다. 의료기기와 모바일기기는 블루투스, 무선 통신 네트워크 등 다양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특정 네트워크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모바일기기에 전송되는 검사결과는 피검자의 생체시료 검사결과 또는 의료기기의 정도 검사결과이다. 피검자의 생체시료 검사결과의 경우 모바일기기가 목적지에 그 검사결과를 전송하기 전에 응급상황관리서버로부터 검사결과를 전송할 목적지를 알려주는 목적지 정보를 수신한다. 목적지 정보는 응급상황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되지 않고 사용자가 입력부(607)를 통해 모바일기기에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이 때, 목적지 정보는 목적지의 URL, IP 주소, Email 주소 및 전화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판단 및 처리부(601)는 의료기기로부터 수신한 검사결과가 피검자의 생체시료 검사결과인지 의료기기의 정도 관리 검사결과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송신부(605)는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지로 검사결과를 전송한다. 피검자의 생체시료 검사결과가 전송되는 목적지는 의료기관서버, 의료정보 수집기관의 서버, 개별 의료진의 모바일기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의료기관서버나 의료정보 수집기관의 서버는 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서버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의료기관서버나 의료정보 수집기관의 서버가 검사결과를 수신한 후 개별 의료진의 모바일기기에 이를 재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피검자의 생체시료 검사결과는 어느 하나의 목적지(가령, 병원A)로만 전송될 수도 있고 다수의 목적지(가령, 병원A~병원C)에 전송될 수도 있다. 의료기기의 정도 검사결과가 전송되는 목적지는 의료기기관리서버가 해당될 수 있고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목적지 정보는 의료기기관리서버로 디폴트로 설정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의료기관서버나 의료정보 수집기관의 서버들에도 정도 검사결과가 전송될 수 있고, 사용자가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목적지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모바일기기와 목적지는 인터넷 네트워크, Email 네트워크, 무선 통신 네트워크, SMS 네트워크 및 MMS 네트워크 등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의료기기의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판단은 의료기기가 자동으로 수행하거나 의료기기관리서버와 같은 목적지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의료기기가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는 경우, 피검자에 대한 검사결과에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 목적지에 전송할 수도 있다. 목적지에 전송되는 검사결과에는 피검자에 대한 상태 정보가 함께 부가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피검자에 대한 상태 정보라 함은 응급대원이 피검자(환자)의 상태를 관찰하고 기술한 정보를 지칭하며, 피검자에 대한 검사결과와 함께 목적지의 의료진이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모바일기기를 통해 검사결과를 목적지에 전송하는 의료기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의료기기는 검사 처리부, 송신부 및 시료삽입부를 포함한다.
시료 삽입부(705)는 검사 대상이 되는 시료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피검 시료는 일반적으로 피검자의 신체로부터 추출한 다양한 생체 조직이 포함될 수 있다. 대표적인 피검 시료는 피검자의 혈액이 해당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검자로부터 추출한 생체 조직 이외에도 의료기기의 검사대상이 될 수 있는 시료이면 무엇이든지 피검 시료가 될 수 있다. 의료기기의 정도(精度) 관리 검사를 위한 피검시료는 정도관리 물질(관리 혈청)이나 전자시료(electronic QC MATERIAL)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의료기기의 정도 검사는 의료기기가 소정 주기마다 자동으로 수행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검사 처리부(701)는 피검 시료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검사 결과를 처리한다. 피검 시료에 대한 검사는 의료검사기기에서 일반적으로 실행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검사 결과는 검사 대상 항목, 검사 결과 수치, 검사 완료 여부, 이상 발생 여부, 위험 범위 해당 여부, 정도 검사 결과 등의 검사 내역으로 체계적으로 정리/처리된다.
송신부(703)는 피검 시료에 대한 검사 결과를 모바일기기로 전송한다. 의료기기와 모바일기기는 블루투스, 무선 통신 네트워크 등 다양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특정 네트워크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모바일기기에 전송되는 검사결과는 피검자의 생체시료 검사결과 또는 의료기기의 정도 검사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에서 의료기기 검사결과 전송 애플리케이션이 동작중인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모바일기기는 응급상황관리서버로부터 의료기기 검사결과를 전송할 목적지 정보를 수신한다. 목적지 정보는 하나 또는 복수의 목적지에 대응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목적지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 수신된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지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리스트 형태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목적지에 대한 의료기관명(병원명)과 현 위치로부터의 거리 등의 간단한 정보(803)가 리스트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응급상황관리서버의 판단에 따라 현 위치로부터의 거리나 의료기관의 특성(의료기관이 종합병원인지 여부, 응급실 구비 여부 등)을 고려한 목적지 우선순위(801)가 리스트 상에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의료기관(병원 A)으로 검사결과가 자동으로 전송될 수도 있고, 우선순위가 비교적 높은 몇 개의 의료기관(가령, 병원A, 병원B, 병원C 등 2~3개의 목적지)으로 검사결과가 자동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버튼(805)을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목적지를 수동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도 9 참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에서 의료기기 검사결과 전송 애플리케이션이 동작중인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의 화면에서 특정 버튼(805)을 동작시키면 사용자가 목적지를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목적지명, 전화번호, 주소, URL, IP주소, 이메일 주소 등의 목적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후 ‘입력 완료’ 버튼을 누르면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리스트에 새롭게 입력된 목적지(병원F)가 표시된다. 도 9의 화면에서 ‘검사결과 전송’ 버튼을 누름으로써 입력한 목적지에 검사결과를 바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도 9의 화면에서 ‘전송 설정’ 버튼을 누르면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병원F에 대한 전송 설정 화면이 나타난다. 모바일기기와 목적지는 인터넷 네트워크, Email 네트워크, 무선 통신 네트워크, SMS 네트워크, MMS 네트워크 등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들 네트워크 중 검사결과를 전송하는데 사용할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1의 예에서는, Email 네트워크와 SMS 네트워크로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설정이 도시되어 있다(각 항목 옆에 체크 표시 √를 함으로써 해당 항목의 네트워크를 통해 검사결과가 전송되도록 설정할 수 있음). Email 네트워크로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경우, Email 네트워크를 통해 피검자(환자) 검사결과와 정도 검사결과를 모두 전송할지 여부를 설정할 수도 있다(환자 검사결과 및 정도 검사결과 항목 옆에 체크 표시 √를 함으로써 해당 항목의 검사결과가 전송되도록 설정할 수 있음, 도 12 참조). 따라서 사용자가 목적지 정보를 모바일기기에 직접 입력하는 경우, 해당 목적지에 피검자 검사결과와 정도 검사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SMS 네트워크로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경우, SMS 네트워크를 통해 피검자(환자) 검사결과와 정도 검사결과를 모두 전송할지 여부를 설정할 수도 있다(환자 검사결과 및 정도 검사결과 항목 옆에 체크 표시 √를 함으로써 해당 항목의 검사결과가 전송되도록 설정할 수 있음, 도 13 참조). 따라서 사용자가 목적지 정보를 모바일기기에 직접 입력하는 경우, 해당 목적지에 피검자 검사결과와 정도 검사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의료기기의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판단은 의료기기가 자동으로 수행하거나 의료기기관리서버와 같은 목적지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의료기기가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는 경우, 피검자에 대한 검사결과에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 목적지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의료기기의 정도 검사결과가 팝업 윈도우 형태로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다(도 14 참조).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는 저장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들은, 반송파(carrier waves)나 신호들과 같이 일시적인 대상들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아야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닌 설명적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아닌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0)

  1. 모바일기기를 통해 의료기기의 피검시료 검사결과를 목적지에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기가 피검시료를 검사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기기가 상기 의료기기로부터 검사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기기가 상기 검사결과를 전송할 목적지를 알려주는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기기가 상기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지로 상기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기기의 검사결과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시료는 피검자로부터 추출된 생체시료인, 의료기기의 검사결과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결과 전송시 피검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의료기기의 검사결과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결과는 의료기기의 정도관리를 위해 관리혈청이나 전자시료를 이용한 정도관리 검사인, 의료기기의 검사결과 전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기기는 의료기기로부터 수신한 검사결과가 피검자의 생체시료 검사결과인지 의료기기의 정도 관리 검사결과인지 여부를 구별할 수 있는, 의료기기의 검사결과 전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는 의료기관서버, 의료정보 수집기관의 서버, 의료기기관리서버 및 개별 의료진의 모바일기기 중 적어도 하나인, 의료기기의 검사결과 전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서버 및 상기 의료정보 수집기관의 서버는 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서버인, 의료기기의 검사결과 전송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서버 및 상기 의료정보 수집기관의 서버는 검사결과를 개별 의료진의 모바일기기에 재전송하는, 의료기기의 검사결과 전송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정도관리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목적지 정보는 소정 목적지로 디폴트로 설정되는, 의료기기의 검사결과 전송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정보는 응급상황관리서버로부터 자동으로 수신되거나 상기 모바일기기에 직접 입력되는, 의료기기의 검사결과 전송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목적지 정보를 모바일기기에 직접 입력하는 경우, 목적지 정보에 해당하는 목적지에 피검자의 생체시료 검사결과와 의료기기의 정도관리 검사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도록 설정하는, 의료기기의 검사결과 전송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정보는 목적지의 URL, IP 주소, Email 주소 및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료기기의 검사결과 전송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기기와 상기 목적지는 인터넷 네트워크, Email 네트워크, 무선 통신 네트워크, SMS 네트워크 및 MMS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로 연결되는, 의료기기의 검사결과 전송 방법.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기의 정도관리 검사는 의료기기가 소정 주기마다 자동으로 수행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되는, 의료기기의 검사결과 전송 방법.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기의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판단은 의료기기가 자동으로 수행하거나 상기 목적지에서 수행되는, 의료기기의 검사결과 전송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기가 상기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는 경우, 피검자에 대한 검사결과에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 목적지에 전송하는, 의료기기의 검사결과 전송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기기와 상기 의료기기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의료기기의 검사결과 전송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기기는 휴대폰 또는 구급차에 설치된 단말기 형태인, 의료기기의 검사결과 전송 방법.
  19. 의료기기의 피검시료 검사결과를 목적지에 전송하는 모바일기기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기로부터 피검시료의 검사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검사결과를 전송할 목적지를 알려주는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지로 상기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의료기기의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모바일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시료는 피검자로부터 추출된 생체시료인, 의료기기의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모바일기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결과 전송시 피검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의료기기의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모바일기기.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시료는 의료기기의 정도(精度) 관리 검사를 위한 정도관리 물질(관리 혈청)이나 전자시료(electronic QC MATERIAL)인, 의료기기의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모바일기기.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기기는 의료기기로부터 수신한 검사결과가 피검자의 생체시료 검사결과인지 의료기기의 정도 관리 검사결과인지 여부를 구별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의료기기의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모바일기기.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정보는 응급상황관리서버로부터 자동으로 수신되거나 상기 모바일기기에 직접 입력되는, 의료기기의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모바일기기.
  25. 제24항에 있어서,
    목적지 정보를 모바일기기에 직접 입력하는 경우, 목적지 정보에 해당하는 목적지에 피검자의 생체시료 검사결과와 의료기기의 정도관리 검사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도록 설정하는, 의료기기의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모바일기기.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정보는 소정 목적지로 디폴트로 설정되는, 의료기기의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모바일기기.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정보는 목적지의 URL, IP 주소, Email 주소 및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료기기의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모바일기기.
  28.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기기와 상기 목적지는 인터넷 네트워크, Email 네트워크, 무선 통신 네트워크, SMS 네트워크 및 MMS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로 연결되는, 의료기기의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모바일기기.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기가 상기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는 경우, 피검자에 대한 검사결과에 정도 관리 검사결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 목적지에 전송하는, 의료기기의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모바일기기.
  3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기기와 상기 의료기기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의료기기의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모바일기기.
  3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기기는 휴대폰 또는 구급차에 설치된 단말기 형태인, 의료기기의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모바일기기.
  32. 모바일기기를 통해 의료기기의 피검시료 검사결과를 목적지에 전송하는 의료기기에 있어서,
    피검시료를 삽입하는 시료 삽입부;
    상기 피검시료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검사 결과를 처리하는 검사 처리부; 및
    상기 모바일기기로 상기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기기는 상기 검사결과를 전송할 목적지를 알려주는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지로 상기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의료기기.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시료는 피검자로부터 추출된 생체시료인, 의료기기.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결과 전송시 피검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의료기기.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시료는 의료기기의 정도(精度) 관리 검사를 위한 정도관리 물질(관리 혈청)이나 전자시료(electronic QC MATERIAL)인, 의료기기.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기의 정도 검사는 의료기기에 의해 소정 주기마다 자동으로 수행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되는, 의료기기.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기의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판단은 의료기기가 자동으로 수행하거나 상기 목적지에서 수행되는, 의료기기.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기가 상기 정도 검사결과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는 경우, 피검자에 대한 검사결과에 정도 관리 검사결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 목적지에 전송하는, 의료기기.
  39.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기기와 상기 의료기기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의료기기.
  40.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30073314A 2013-02-22 2013-06-25 모바일기기를 통해 의료기기의 피검시료 검사결과를 목적지에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522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40156203 EP2770452A1 (en) 2013-02-22 2014-02-21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result of examination of specimen from medical device to destination through mobile device
US14/188,011 US10411794B2 (en) 2013-02-22 2014-02-24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result of examination of specimen from medical device to destination through mobile device
CN201410062465.XA CN104008517A (zh) 2013-02-22 2014-02-24 将标本的检验结果从医疗装置发送到目的地的方法和系统
US14/588,266 US10404784B2 (en) 2013-02-22 2014-12-31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result of examination of specimen from medical device to destin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67978P 2013-02-22 2013-02-22
US61/767,978 2013-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353A true KR20140105353A (ko) 2014-09-01
KR101522851B1 KR101522851B1 (ko) 2015-05-26

Family

ID=517743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881A KR101722688B1 (ko) 2013-02-22 2013-04-23 모바일기기를 통해 의료기기의 알람을 실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0130073314A KR101522851B1 (ko) 2013-02-22 2013-06-25 모바일기기를 통해 의료기기의 피검시료 검사결과를 목적지에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881A KR101722688B1 (ko) 2013-02-22 2013-04-23 모바일기기를 통해 의료기기의 알람을 실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7226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8363A1 (en) * 2015-03-19 2016-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managing personal health information and device thereof
KR20180022764A (ko) * 2018-02-27 201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 의료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4082A (ko) * 2005-05-30 2006-12-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건강 측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KR100975383B1 (ko) * 2007-10-12 2010-08-11 애트민(주) 건강관리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55002B1 (ko) * 2008-10-14 2010-04-27 주식회사 솔라시아 스마트카드웹서버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8363A1 (en) * 2015-03-19 2016-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managing personal health information and device thereof
KR20180022764A (ko) * 2018-02-27 201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 의료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2688B1 (ko) 2017-04-03
KR101522851B1 (ko) 2015-05-26
KR20140105347A (ko) 201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4784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result of examination of specimen from medical device to destination
US201402443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result of examination of specimen from medical device to destination through mobile device
US20210233628A1 (en) Patient test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9230420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larms for medical device through mobile device
US9665956B2 (en) Graphically base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generated by an instrument
EP2891999A2 (en) Cloud systems for providing health-related services in a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s thereof
CN109817322A (zh) 用于定位手持式分析设备的方法和系统
JP2009075927A (ja) 医用レポート作成システム及び医用レポート作成装置並びに医用レポート作成方法
Dighe et al. Survey of critical value reporting and reduction of false-positive critical value results
JP2016184198A (ja) 検査結果管理装置、検査結果管理方法及び検査結果管理システム
KR101522851B1 (ko) 모바일기기를 통해 의료기기의 피검시료 검사결과를 목적지에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723732B1 (ko) 의료 검사를 위한 이미지 분석 관리 방법 및 서버
Durski et al. Development, use, and impact of a global laboratory database during the 2014 Ebola outbreak in West Africa
KR20160088289A (ko) 개인으로부터 획득된 샘플들을 사용하는 질병-검사 방법, 모듈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17188135A (ja) 検査結果管理装置、及び検査結果管理方法
EP3651157A1 (en) Processing of anonymised patient data generated by a mobile medical device
KR102130098B1 (ko) 의료 영상과 관련된 장치들 간에 송수신되는 의료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9198545A (ja) 機能制御装置、医用機器及び機能制御方法
KR101185504B1 (ko) 실시간 의료 이벤트 감시 기능을 가지는 응급실 업무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140427A (zh) 医疗装置、用于控制医疗测试请求的系统、用于控制医疗测试请求的方法和存储在介质中的程序
KR101745643B1 (ko) 건강검진 결과 보안 제공 시스템
WO2021003215A1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managing and tracking of collection, processing, and movement of samples during clinical trials
KR20190078349A (ko) Iot를 활용한 의료 장비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
JP2017058885A (ja) 端末管理装置及び端末システム
US2017020632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order and notification for patient interventions based on health reco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