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5271A - 전신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전신 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5271A
KR20140105271A KR1020130019308A KR20130019308A KR20140105271A KR 20140105271 A KR20140105271 A KR 20140105271A KR 1020130019308 A KR1020130019308 A KR 1020130019308A KR 20130019308 A KR20130019308 A KR 20130019308A KR 20140105271 A KR20140105271 A KR 20140105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ocket
crankshaft
wheel
driving force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수
Original Assignee
임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수 filed Critical 임정수
Priority to KR1020130019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5271A/ko
Priority to TW102112501A priority patent/TWI519333B/zh
Priority to US13/868,312 priority patent/US20140243160A1/en
Priority to CN201310156146.0A priority patent/CN104001313A/zh
Priority to EP14155910.4A priority patent/EP2769753A1/en
Publication of KR20140105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2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75Apparatus used for exercising upper and lower limbs simultaneously
    • A63B23/03591Upper and lower limb moving in phase, i.e. right foot mov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ight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 A63B22/0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by simultaneously exercising arms and legs, e.g. diagonally in anti-phase
    • A63B22/00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by simultaneously exercising arms and legs, e.g. diagonally in anti-phase the exercises for arms and legs being functionally independ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 A63B22/0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by simultaneously exercising arms and legs, e.g. diagonally in anti-pha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 A63B22/00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with particular movement of the arms provided by handles moving otherwise than pivoting about a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pla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63B2022/06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use
    • A63B2022/0647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use for cycling in a standing position, i.e. without a seat or support for the trun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22Resisting devices with rotary bodies
    • A63B21/225Resisting devices with rotary bodies with fly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95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on hands and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두 팔과 두 다리를 모두 사용하는 전신 운동법을 안정하고도 편리하게 실행할 수 있는 전신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손잡이를 가지는 제1 크랭크 아암 및 제1 스프로킷이 장착되는 제1 크랭크축; 페달을 가지는 제2 크랭크 아암, 제2 스프로킷 및 제3 스프로킷이 장착되는 제2 크랭크 축; 바퀴 및 종동 스프로킷이 장착되는 종동 축; 제1 크랭크축 및 제2 크랭크축의 회전력을 상호간에 대하여 전달하여 제1 크랭크축과 제2 크랭크축이 연동하도록 제1 스프로킷과 제2 스프로킷에 맞물리는 제1 구동력 전달수단; 제2 크랭크축의 회전력을 종동 축으로 전달하여 종동 축을 회전시키도록 제2 스프로킷과 제3 스프로킷에 맞물리는 제2 구동력 전달수단; 제1 크랭크 축 및 제2 크랭크 축이 설치되는 프레임; 종동 축이 설치되는 브래킷; 및, 프레임 및 브래킷이 고정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신 운동 기구{A TOTAL BODY 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전신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팔과 두 다리를 모두 사용하는 전신 운동법을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이면서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전신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기후에 관계없이 실내에서 간편하고도 효과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개발된 공지의 대표적인 운동기구로서, 예를 들어 실내 자전거(Indoor cycle), 스텝퍼(stepper) 및 일립티컬 트레이너(elliptical trainer)등은 모두 페달을 사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중, 실내 자전거는 통상적인 자전거의 프레임을 베이스에 고정하고 바퀴가 지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설치하였으므로, 페달을 밟아 운동부하인 바퀴가 공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실내에서도 자전거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종래의 실내 자전거는 페달을 발로 밟아 바퀴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발생되는 부하로 하체에 운동효과를 부여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전체적인 구조 및 작용효과는 하체운동에만 집중되어 있어서 상체에 대해서는 거의 운동 효과가 없었다.
실내 자전거에 관한 종래기술로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20069호 (2001.03.15 공개), 특허 제10-0766426호 (2007.10.12 공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77360호 (2009.07.15 공개), 등록실용신안 제20-0334981호 (2003.12.03 공고), 등록실용신안 제20-0348843호 (2004.05.03 공고),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5768호 (2008.11.28 공개) 등 다수가 있다.
스테퍼는 좌우의 페달을 교대로 밟으면서 산이나 계단을 오르는 행위를 모방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으로서, 베이스에 피벗, 또는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한 쌍의 페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테퍼에 관한 종래기술로서는, 대한민국 특허 제10-370816호 (2003.03.28 공고), 등록실용신안 제20-419097호 (2006.06.15 공드)등을 들 수 있다.
일립티컬 트레이너는, 인간의 보행시의 발의 궤적과 흡사하게 페달이 타원형의 궤적을 따라 움직이도록 구성된 운동기구로서, 페달의 운동에 연동하여 앞뒤로 요동하는 핸들 바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전신 운동을 의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핸들 바는 사용자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을 주된 기능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체에 대한 운동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부하는 사실상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일립티컬 트레이너에 관한 종래기술로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90642호(2005.07.25 공고), 등록실용신안 제20-235047호(2001.09.25공고)등과, 미국특허 제6,482,130호 및 제6,146,313호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실내용 운동 기구들은 일부 전신 운동을 지향하고 있다고 선전되거나 인식되고 있지만, 구조적으로 페달을 이용한 하체쪽의 운동이 주로 행해지도록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상체운동 효과는 상대적으로 미미한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내에서 효과적으로 전신 운동을 할 수 있는 전신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그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손잡이를 가지는 제1 크랭크 아암 및 제1 스프로킷이 장착되는 제1 크랭크축; 페달을 가지는 제2 크랭크 아암, 제2 스프로킷 및 제3 스프로킷이 장착되는 제2 크랭크 축; 바퀴 및 종동 스프로킷이 장착되는 종동 축; 제1 크랭크축 및 제2 크랭크축의 회전력을 상호간에 대하여 전달함으로써 제1 크랭크축과 제2 크랭크축이 연동하도록 제1 스프로킷 및 제2 스프로킷에 맞물리는 제1 구동력 전달수단; 제2 크랭크축의 회전력을 종동 축으로 전달하여 종동 축을 회전시키도록 제2 스프로킷과 제3 스프로킷에 맞물리는 제2 구동력 전달수단; 제1 크랭크 축 및 제2 크랭크 축이 설치되는 프레임; 종동 축이 설치되는 브래킷; 및, 프레임 및 브래킷이 고정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전신 운동 기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스프로킷, 제2 스프로킷, 제3 스프로킷 및 종동 스프로킷의 외주에는 기어가 형성되며, 제1 구동력 전달수단 및 제 2 구동력 전달수단은 타이밍벨트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스프로킷, 제2 스프로킷, 제3 스프로킷 및 종동 스프로킷의 외주에는 기어가 형성되며, 제1 구동력 전달수단 및 제 2 구동력 전달수단은 체인벨트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구동력 전달수단의 궤도 및 장력을 제어하기 위한 가이드 아이들러가 제1 구동력 전달수단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각각 접하도록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프레임은 안장을 장착할 수 있는 안장 장착부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프레임이 고정식 손잡이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신 운동 기구는 바퀴에 부하를 인가하는 부하 인가수단 및 부하 제어수단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바퀴의 재료는 금속이며, 부하 인가수단은 바퀴에 자력을 인가하는 자력발생수단이다.
바람직하게는, 부하 인가수단은 바퀴에 마찰력을 인가하는 패드이다.
바람직하게는, 부하 제어수단은 자력발생수단을 바퀴쪽으로 접근시키는 와이어 및, 자력발생수단을 바퀴로부터 후퇴시키는 인장력을 발휘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부하 제어수단은 자력발생수단을 바퀴쪽으로 접근시키는 와이어 및, 자력발생수단을 바퀴로부터 후퇴시키는 압축력을 발휘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부하 제어수단은 패드를 바퀴쪽으로 밀착하도록 잡아당기는 와이어 및, 패드를 바퀴로부터 후퇴시키는 인장력을 발휘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팔로는 제1 크랭크 축을 구동하고, 다리로는 제2 크랭크 축을 구동하며, 제1 구동력 전달수단에 의하여 제1 크랭크 축과 제2 크랭크 축이 상호 연동되고, 결과적으로 제1 크랭크 축과 제2 크랭크 축의 회전력의 합력이 운동부하로서의 바퀴를 회전시키도록 전신 운동 기구가 구성되기 때문에, 매우 효과적으로 안전하게 전신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아이들러를 채택함으로써 제1 구동력 전달수단의 궤도가 하체와 상체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각도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안정된 자세에서 효과적으로 전신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부하인가 수단 및 부하제어 수단을 채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임의로 운동부하를 증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장 및 고정식 손잡이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실내자전거 운동기구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의 내부를 나타내는 부분절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에 있어서 제1 크랭크 축, 제2 크랭크 축, 제3 크랭크 축 및 종동 축의 구동력 전달체계를 구성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에 있어서 부하 인가수단 및 부하 제어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신 운동 기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신 운동 기구(100)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전신 운동 기구(100)는 전체적으로 그의 외관이 종래의 실내 자전거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지면에 안정적으로 전신 운동 기구(100)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110)를 가진다.
도면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전신 운동 기구(100)의 특징적인 요부 구성에 관한 구조의 대부분이 하우징(120)내에 수납된 것으로 도시되어 되지만, 하우징(120)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미관상 또는 편의상 제공되는 것에 불과하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안장(71) 및 고정 손잡이(80)가 장착되어 있지만, 안장(71) 및 고정 손잡이(80)는 본 발명의 전신 운동 기구(100)를 종래의 실내 자전거와 같은 용도로 사용할 때 이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부구성은 아니다.
도2는 하우징(120)을 제거된 상태의 본원 발명의 전신 운동 기구(10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에 있어서 제1 크랭크 축, 제2 크랭크 축, 제3 크랭크 축 및 종동 축의 구동력 전달체계를 구성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전신 운동 기구(100)의 베이스(110)에는 프레임(60) 및 브래킷(61)이 설치된다. 프레임(60)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그의 하부 끝단으로부터 대략 중간부까지는 베이스(110)로부터 수직으로 직립하고 중간부로부터 상부 끝단까지는 전방을 향하여 대략 45도 정도로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프레임(60)의 상부 끝단 근방에는 공지의 베어링 수단 등을 통하여 제1 크랭크축(10)이 장착된다. 제1 크랭크축(10)의 좌우 양쪽에는 제1 크랭크 아암(12)이 각각 설치되며, 제1 크랭크 아암(12)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1)가 각각 구비된다. 제1 크랭크축(10)에는 또한 제1 스프로킷(13)이 장착되며, 제1 스프로킷(13)의 외주에는 기어가 형성된다.
사용자가 손잡이(11)를 잡고 제1 크랭크 아암(12)을 회동함으로써 제1 크랭크축(10)이 회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서 제1 스프로킷(13)도 회동하게 된다.
프레임(60)의 하부 대략 중간 부분에는 공지의 베어링 수단 등을 통하여 제2 크랭크축(10)이 장착된다. 제2 크랭크 축(20)의 좌우 양단에는 제2 크랭크 아암(22)이 각각 설치되며, 제2 크랭크 아암(22)에는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페달(21)이 각각 구비된다. 제2 크랭크 축(20)에는 또한 제2 스프로킷(23)과 제3 스프로킷(24)이 장착되며, 제2 스프로킷(23)은 제3 스프로킷(24)보다 상대적으로 지름이 작으며, 이들 제2 스프로킷(23) 및 제3 스프로킷(24)의 외주에도 기어가 형성된다.
사용자가 페달(21)을 밟아 제2 크랭크 아암(22)을 회동함으로써 제2 크랭크 축(20)이 회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제2 스프로킷(23) 및 제3 스프로킷(24)도 회동하게 된다.
상기 제1 스프로킷(13)과 제2 스프로킷(23)의 외주에 형성된 기어에는, 제1 스프로킷(13)과 제2 스프로킷(23)의 사이에서 제1 크랭크축(10) 및 제2 크랭크축(20)의 회전력을 상호간에 전달하여 연동하기 위한 제1 구동력 전달수단(40)이 맞물려진다. 제1 구동력 전달수단(40)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스프로킷(13)과 제2 스프로킷(23)의 외주에 형성된 기어에 대응하는 기어가 그의 내주부에 형성된 타이밍 벨트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체인 벨트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제1 스프로킷(13)과 제2 스프로킷(23)의 외주에 형성되는 기어에 맞물릴 수 있는 구성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제1 구동력 전달수단(40)으로서의 타이밍 벨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궤도에 있어서, 프레임이 절곡되는 부분에는 가이드 아이들러(42)가 제1 구동력 전달수단(40)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접하도록 프레임(60)에 장착된다. 가이드 아이들러(42)는 제1 구동력 전달수단(40)의 궤도가 전체 프레임(60)의 형상을 추종하도록 장착되는 것이며, 제1 구동력 전달수단(40)이 느슨해지지 않도록 장력을 조절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어서, 가이드 아이들러(42) 사이의 간격은 제1 스프로킷(13) 및 제2 스프로킷의 지름으로 정의될 수 있는 제1 구동력 전달수단(40)의 궤도폭보다 약간 좁게 형성된다.
한편, 베이스(110)상에는 브래킷(61)이 고정적으로 설치되며, 이 브래킷(61)에는 종동 축(30)이 공지의 베어링 수단 등을 이용하여 설치된다. 종동 축(30)에는 공지의 실내 자전거기구에 사용되는 운동부하로서의 바퀴(32) 및, 종동 스프로킷(32)이 장착된다.
종동 스프로킷(32)에는 그의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 스프로킷(24)과 종동 스프로킷(32)의 외주에 각각 형성된 기어에는, 제3 스프로킷(24)의 회전력을 종동 스프로킷(32)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2 구동력 전달수단(50)이 맞물린다. 상기 제1 구동력 전달수단(40)과 마찬가지로 제2 구동력 전달수단(50)은 타이밍 벨트 또는 체인벨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3 스프로킷(24)과 종동 스프로킷(32)의 외주에 형성되는 기어에 맞물릴 수 있는 구성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제2 구동력 전달수단(50)에 의하여 제2 구동축(20)의 회전력이 제3 스프포킷(24)으로부터 종동 스프로킷(32)으로 전달되고, 종동 스프로킷(32)의 회전에 따라 종동 축(30)에 장착된 바퀴(31)도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60)에는 그의 절곡부 부근에 안장(71)을 장착할 수 있는 안장 장착부(70)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안장(71)은 본 발명의 전신 운동 기구(100)를 종래의 실내 자전거의 용도로 사용할 때 사용자가 앉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60)에는 상부 끝단 부근에 고정식 손잡이(80)가 장착되어 있다. 이 고정식 손잡이(80)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전신 운동 기구(100)를 실내 자전거의 용도로 사용할 때 페달(21)을 회동함에 있어 상체가 좌우로 요동하지 않도록 양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전신 운동 기구(100)에는, 운동부하인 바퀴(31)가 지면에 닿지 않은 상태에 있으므로, 바퀴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는 충분한 운동효과를 보기 어렵기 때문에, 바퀴에 부하를 인가하는 부하 인가수단(90)과, 인가되는 부하량을 제어할 수 있는 부하 제어수단(91)이 사용된다.
부하 인가수단(90)은, 예를 들어 상기 바퀴(31)의 재질이 금속인 경우 바퀴(31)에 대하여 인력을 가하는 자력발생수단(901)을 포함할 수 있다. 자력발생수단(901)은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의 어느 것도 사용이 가능하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퀴의 외주부를 따라서 바퀴의 원호 형상에 대응하는 더 큰 지름의 동심원의 일부 원호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력발생수단(901)은 바퀴(31)에 근접할수록 강한 인력이 작용하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가 부하 제어수단(91)을 사용하여 바퀴(31)로부터의 자력발생수단(901)의 거리를 제어함으로써 자신에게 적합하도록 운동 부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하 제어수단(91)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자력발생수단(901)에 연결된 와이어(93)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 부하 제어수단을 조작하여 와이어(93)를 잡아 당겨서 자력발생수단(901)이 바퀴(31)에 대하여 접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미설명 부호(94)는 인장 스프링으로서, 자력발생수단(901)이 바퀴(31)에 접근해 감에 따라 강한 인장력을 발휘하며, 자력발생수단(901)을 바퀴(31)로부터 후퇴시키고자 하는 경우, 부하 제어수단(91)으로 와이어(93)를 느슨하게 풀면 인장스프링(94)의 인장력이 자력발생수단(901)의 인력에 대항하여 자력발생수단(901)을 바퀴(31)로부터 멀어지도록 후퇴시킬 수 있다.
부하인가수단(90)은 이와 같은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부하 인가수단(90)의 다른 예로서, 예를 들면 자력발생수단(901)을 바퀴(31)의 안쪽에 원호형상으로 설치하고, 압축스프링(94)을 사용하여 자력발생수단(901)을 바퀴로 향하여 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압축스프링(94)에 의한 압축력에 대항하여 와이어(93)로 자력발생수단(901)을 바퀴(31)로부터 후퇴시킴으로써, 바퀴에 작용하는 부하로서의 자력을 제어할 수 있다.
부하 인가수단(90)의 다른 실시예로서, 바퀴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패드를 채택하고, 자력이 아닌 물리적인 마찰력에 의하여 부하를 인가하도록 할 수도 있다. 패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부하 제어수단(91)인 와이어(93) 및 스프링(94)에 의하여 부하량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신 운동 기구(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전신 운동 기구(100)를 이용하여 운동을 하기 위하여 양쪽 발로 페달(21)을 밟고 양손으로 손잡이(11)를 잡으면, 통상의 경기용 자전거를 탄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속을 위하여 안장에서 일어나 페달을 급속하게 상하로 밟는 것과 같은 자세가 취해지게 된다.
사용자의 발로 페달(21)을 밟게 되면 제2 크랭크축(20)이 회동하고, 따라서 제2 크랭크 축(20)에 설치된 제2 스프로킷(23)에 맞물려 있는 제1 구동력 전달수단(40)으로 구동력이 전달되며, 이 구동력은 제1 스프로킷(13)을 통하여 제1 크랭크 축(10)을 회전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파지하고 있는 손잡이(11)를 회전하게 되면 제1 크랭크 축(10)도 회동하게 되지만, 제1 크랭크 축(10)과 제2 크랭크 축(20)은 제1 구동력 전달수단(40)에 의하여 상호 연동되고 있으므로, 결국 제1 크랭크 축(10)과 제2 크랭크 축(20)은 사용자의 팔과 다리의 운동에 의한 합력에 의하여 회동하게 된다.
이러한 합력은 제2 크랭크 축(20)에 장착된 제3 스프로킷(24)에 맞물려 있는 제2 구동력 전달수단(50)으로 전달되며, 이 합력으로서의 구동력은 제2 구동력 전달수단(50)에 맞물려 있는 종동 스프로킷(32)으로 전달되어 종동 축(30)을 회전시키며, 따라서 최종적으로는 종동 축(30)에 장착된 운동부하로서의 바퀴(31)를 회전시킴으로써 팔과 다리를 동시에 사용하는 전신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가 더 많은 운동부하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부하 제어수단(91)을 조작하여 부하 인가수단(90)에 연결된 와이어(93)를 잡아 당김으로써 바퀴(31)에 대하여 부하 인가수단(90)을 접근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서 운동량을 증가하게 된다. 한편, 운동부하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부하 제어수단(91)을 조작하여 부하 인가수단(90)에 연결된 와이어(93)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복귀 스프링(94)이 인장력을 발휘하여 부하 인가수단(90)을 바퀴(31)로부터 후퇴시키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에 따르면, 인간의 팔다리를 고르게 이용하는 전신 운동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좌우 어느 한 쪽의 페달(21)과 손잡이(11) 및, 다른 쪽의 페달(21)과 손잡이(11)가 병진(竝進)운동, 소위 싱크로나이즈 되는(synchronized)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제1 크랭크축(10)과 제2 크랭크축(20)이 동일한 위상으로 정렬함으로써, 좌측의 팔다리를 동시에 운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혹은 좌측 팔→좌측 다리→우측팔→우측다리의 순으로 손잡이와 페달이 회전운동하도록 제1 크랭크축(10) 및 제2 크랭크축(20)을 정렬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구태여 상기와 같이 병진 운동하는 방식으로 제1 크랭크 축(10)과 제2 크랭크축(20)을 정렬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양 크랭크 축이 90도, 180도 또는 27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 구동되도록 조정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의 순서와 전혀 다른 순서로 손잡이와 페달이 회전운동하도록,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한 것임은 자명함과 동시에, 제품의 제조시 또는 사용시 필요에 따라서 크랭크축을 임의로 정렬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다.
또한, 사용자가 굳이 전신 운동을 원하지 않고 종래의 실내 자전거 운동을 원하는 경우, 안장(71)에 앉아서 고정식 손잡이(80)를 잡고 페달(21)만을 사용하여 운동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페달(21)의 회동에 따라서 제2 스프로켓(23)에 맞물린 제1 및 제2 구동력 전달수단(40),(50)이 함께 구동력을 전달하게 되며, 따라서 제1 스프로켓(13) 및 종동 스프로켓(32)이 회전함으로써 제1 크랭크 축(10)과 바퀴(31)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근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10 : 제1 크랭크축
11 : 손잡이
12 : 제1 크랭크 아암
13 : 제1 스프로킷
20 : 제2 크랭크 축
21 : 페달
22 : 제2 크랭크 아암
23 : 제2 스프로킷
24 : 제3 스프로킷
30 : 종동 축
31 : 바퀴
32 : 종동 스프로킷
40 : 제1 구동력전달수단
50 : 제2 구동력전달수단
60 : 프레임
61 : 브래킷
70 : 안장 장착부
71 : 안장
80 : 고정식 손잡이
90 : 부하 인가수단
91 : 부하 제어수단
93 : 와이어
901 : 자력발생수단

Claims (12)

  1. 손잡이(11)를 가지는 제1 크랭크 아암(12) 및 제1 스프로킷(13)이 장착되는 제1 크랭크축(10);
    페달(21)을 가지는 제2 크랭크 아암(22), 제2 스프로킷(23) 및 제3 스프로킷(24)이 장착되는 제2 크랭크 축(20);
    바퀴(31) 및 종동 스프로킷(32)이 장착되는 종동 축(30);
    상기 제1 크랭크 축(10) 및 제2 크랭크 축(20)의 회전력을 상호간에 대하여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1 크랭크축(10)과 제2 크랭크축(20)이 연동하도록 상기 제1 스프로킷(13)과 제2 스프로킷(23)에 맞물리는 제1 구동력전달수단(40);
    상기 제2 크랭크 축(20)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 축(30)으로 전달하여 상기 종동 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 스프로킷(23)과 제3 스프로킷(24)에 맞물리는 제2 구동력전달수단(50);
    상기 제1 크랭크 축(10) 및 상기 제2 크랭크 축(20)이 설치되는 프레임(60);
    상기 종동 축(30)이 설치되는 브래킷(61); 및,
    상기 프레임(60)및 상기 브래킷(61)이 고정되는 베이스부(110)
    를 포함하는 전신 운동 기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로킷(13), 제2 스프로킷(23), 제3 스프로킷(24) 및 종동 스프로킷(32)의 외주에는 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구동력 전달수단(40) 및 제2 구동력 전달수단(50)은 타이밍 벨트인 전신 운동 기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로킷(13), 제2 스프로킷(23), 제3 스프로킷(24) 및 상기 종동 스프로킷(32)의 외주에는 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구동력 전달수단(40) 및 제 2 구동력 전달수단(50)은 체인벨트인 전신 운동 기구.
  4.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력 전달수단(40)의 궤도 및 장력을 제어하기 위한 가이드 아이들러(42)가 상기 제1 구동력 전달수단(40)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각각 접하는 전신 운동 기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60)은 안장(71)을 장착할 수 있는 안장 장착부(70)를 더 포함하는 전신 운동 기구.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60)이 고정식 손잡이(80)를 더 포함하는 전신 운동 기구.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31)에 부하를 인가하는 부하 인가수단(90) 및 부하 제어수단(91)을 더 포함하는 전신 운동 기구.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31)의 재료는 금속이며, 상기 부하 인가수단(90)이 상기 바퀴(31)에 자력을 가하는 자력발생수단(901)인 전신 운동 기구.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인가수단(90)은 상기 바퀴(31)와 마찰을 일으키는 패드인 전신 운동 기구.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제어수단(91)은 상기 자력 발생수단(901)을 바퀴(31)쪽으로 접근시키는 와이어(93) 및, 상기 자력발생수단(901)을 바퀴(31)로부터 후퇴시키는 인장력을 발휘하는 스프링(94)으로 구성되는 전신 운동 기구.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제어수단(91)은 상기 자력 발생수단(901)을 바퀴(31)쪽으로 접근시키는 와이어(93) 및, 상기 자력발생수단(901)을 바퀴(31)로부터 후퇴시키는 압축력을 발휘하는 스프링(94)으로 구성되는 전신 운동 기구.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제어수단(91)은 상기 패드를 바퀴(31)쪽으로 밀착시키는 와이어(93) 및, 상기 패드를 바퀴(31)로부터 후퇴시키는 인장력을 발휘하는 스프링(94)으로 구성되는 전신 운동 기구.
KR1020130019308A 2013-02-22 2013-02-22 전신 운동 기구 KR20140105271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308A KR20140105271A (ko) 2013-02-22 2013-02-22 전신 운동 기구
TW102112501A TWI519333B (zh) 2013-02-22 2013-04-09 全身運動設備
US13/868,312 US20140243160A1 (en) 2013-02-22 2013-04-23 Total body exercise equipment
CN201310156146.0A CN104001313A (zh) 2013-02-22 2013-04-28 全身健身器材
EP14155910.4A EP2769753A1 (en) 2013-02-22 2014-02-20 Total body exercise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308A KR20140105271A (ko) 2013-02-22 2013-02-22 전신 운동 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113A Division KR20150090003A (ko) 2015-07-20 2015-07-20 전신 운동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271A true KR20140105271A (ko) 2014-09-01

Family

ID=50150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308A KR20140105271A (ko) 2013-02-22 2013-02-22 전신 운동 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243160A1 (ko)
EP (1) EP2769753A1 (ko)
KR (1) KR20140105271A (ko)
CN (1) CN104001313A (ko)
TW (1) TWI51933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291A (ko) * 2020-10-29 2022-05-09 이광덕 상,하지 연동 재활운동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547B1 (ko) * 2014-12-08 2017-02-03 정재공 다목적 자전거 운동기구
WO2016191561A1 (en) 2015-05-27 2016-12-01 Woodway Usa, Inc. Recumbent therapeutic and exercise device
CN107952216A (zh) * 2016-10-18 2018-04-24 丹阳市丹力展览用品有限公司 一种活动手脚的健身器材
CN106420262A (zh) * 2016-11-09 2017-02-22 广东美的安川服务机器人有限公司 上下肢康复机器人
EP3409329A1 (en) 2017-02-10 2018-12-05 Woodway USA, Inc. Motorized recumbent therapeutic and exercise device
CN106798627A (zh) * 2017-03-01 2017-06-06 哈尔滨理工大学 一种手动式膝关节康复训练机构
US11904207B2 (en) 2019-05-10 2024-02-20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present a user interface representing a user's progress in various domains
US11433276B2 (en) 2019-05-10 2022-09-06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independently adjust resistance of pedals based on leg strength
US11957960B2 (en) 2019-05-10 2024-04-16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adjust pedal resistance
US11957956B2 (en) 2019-05-10 2024-04-16 Rehab2Fit Technologie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and exercise
US11801423B2 (en) 2019-05-10 2023-10-31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interact with a user of an exercise device during an exercise session
US11833393B2 (en) 2019-05-15 2023-12-05 Rehab2Fi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n exercise machine to improve completion of an exercise
US11801419B2 (en) * 2019-05-23 2023-10-31 Rehab2Fit Technologie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and exercise with multi-configurable accessories
US11896540B2 (en) 2019-06-24 2024-02-13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n exercise protocol for osteogenesis and/or muscular hypertrophy
CN115645839B (zh) * 2022-10-31 2023-04-14 无锡市第九人民医院 慢性肾脏病康复用四肢双向锻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2699A (en) * 1969-05-21 1971-03-30 Harry B Nies Bicycle exerciser with interconnected hand and foot pedals
US4402502A (en) * 1981-04-03 1983-09-06 Industrial Energy Specialists, Inc. Exerciser for disabled persons
JPS6179474A (ja) * 1984-09-26 1986-04-23 ツノダ自転車株式会社 踏込式運動器具
FI80214C (fi) * 1989-02-21 1990-05-10 Tunturipyoerae Oy Konditionsdon.
US5685806A (en) * 1996-07-01 1997-11-11 Yu; Hui-Nan Magnetic damping device of an exercising apparatus
US5906563A (en) * 1997-12-22 1999-05-25 Pittari; Dominic Dual exercise bike
US6612970B2 (en) * 2001-11-13 2003-09-02 John Forcillo Adjustable stationary exercise bicycle
US6273845B1 (en) * 2000-03-31 2001-08-14 Jiann Bang Liou Load applying device for exercisers
US6569063B2 (en) * 2001-07-06 2003-05-27 Tsung-Yu Chen Magnets adjusting device for bike exercisers
US20030064863A1 (en) * 2001-10-02 2003-04-03 Tsung-Yu Chen Adjustable magnetic resistance device for exercise bike
US7510512B1 (en) * 2003-12-04 2009-03-31 Michael Blake Taggett Exercise machine
US7004888B1 (en) * 2005-01-03 2006-02-28 Yen Shu Weng Exerciser having magnetic retarding device
BRPI0504243A (pt) * 2005-09-26 2007-06-05 Milton Rodrigues Fernandes equipamento para exercìcios ergométricos corporais em posição aérea
US20070296313A1 (en) * 2006-06-27 2007-12-27 Leao Wang Self-generating system for an exercise apparatus
CN201989911U (zh) * 2011-01-29 2011-09-28 吴刚 多功能健身车
CN202478485U (zh) * 2012-03-19 2012-10-10 童智勇 健身车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291A (ko) * 2020-10-29 2022-05-09 이광덕 상,하지 연동 재활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43160A1 (en) 2014-08-28
TWI519333B (zh) 2016-02-01
CN104001313A (zh) 2014-08-27
EP2769753A1 (en) 2014-08-27
TW201433332A (zh) 201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5271A (ko) 전신 운동 기구
EP2435141B1 (en) Exercise apparatus with flexible element
US5871421A (en) Arm powered treadmill
JP5351392B2 (ja) 振り子式運動装置
US7507186B2 (en) Exercise methods and apparatus with elliptical foot motion
US8133159B2 (en) Free track elliptical exercise apparatus
US20070117683A1 (en) Exercising apparatus with varying length arms
US20070099764A1 (en) Recumbent elliptical exercise apparatus
US7494449B2 (en) Adjustable drive for exercise apparatus
US20090239713A1 (en) Cyclic skating motion exercise machines
CN107185161B (zh) 脚踏组件及健身器
US11524206B2 (en) Upper and lower body push and pull exercise machine with a one directional resistance mechanism and adjustable angle
JP5806120B2 (ja) 運動補助装置
US10850157B2 (en) Exercise machine
US6077202A (en) Exercise device
KR20150090003A (ko) 전신 운동 기구
KR101093751B1 (ko) 사이클링 운동기구
US20020107112A1 (en) Physical trainer having pedals moving along an elliptical route
US20070099762A1 (en) Elliptical trainer
TWI272955B (en) Leg reciprocating exercise equipment
TWI741487B (zh) 一種驅動機構以及健身器材
TWI838819B (zh) 雙滑座式攀爬機構造
CN106861128B (zh) 同步组件及健身设备
TWI638672B (zh) Sports Equipment
TW202406601A (zh) 雙滑座式攀爬機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