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3453A - 영상 처리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처리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3453A
KR20140103453A KR1020130016832A KR20130016832A KR20140103453A KR 20140103453 A KR20140103453 A KR 20140103453A KR 1020130016832 A KR1020130016832 A KR 1020130016832A KR 20130016832 A KR20130016832 A KR 20130016832A KR 20140103453 A KR20140103453 A KR 20140103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artifact
corner
pixel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6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6686B1 (ko
Inventor
박문산
박철우
백윤기
신경주
타다시 아미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6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686B1/ko
Priority to US13/963,906 priority patent/US9760981B2/en
Publication of KR20140103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453A/ko
Priority to US15/678,936 priority patent/US1027586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73Deblurring; Sharpe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2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local oper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5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for correcting amplitude versus frequency characteristic
    • H04N5/208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for correcting amplitude versus frequency characteristic for compensating for attenuation of high frequency components, e.g. crispening, aperture distortion corr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172Image enhancement details
    • G06T2207/20192Edge enhancement; Edge preserv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영상 처리부는 에지 강화부, 아티팩트 검출부 및 영상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는 입력 영상 데이터 내의 물체의 에지부를 강조한다. 상기 아티팩트 검출부는 상기 에지부에 인접한 영역에서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검출한다. 상기 보상부는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보상한다. 이에 따라, 물체의 에지부를 강조하면서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제거하여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처리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처리 방법{IMAGE PROCESSING PART,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CESSING IMAG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 처리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는 영상 처리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화소 전극을 포함하는 제1 기판, 공통 전극을 포함하는 제2 기판 및 상기 기판들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또는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화소 전극 및 공통 전극을 포함하는 제1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는 제2 기판 및 상기 기판들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두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에 전계를 생성하고, 이 전계의 세기를 조절하여 액정층을 통과하는 빛의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얻는다.
패널 구동부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제공한다.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입력 영상 내의 물체의 에지부가 불명확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불명확한 물체의 에지부를 강조하는 보정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에지부의 특정 부분이 필요 이상으로 강조되는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Corner Outlier Artifact)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 처리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영상 처리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는 에지 강화부, 아티팩트 검출부 및 영상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는 입력 영상 데이터 내의 물체의 에지부를 강조한다. 상기 아티팩트 검출부는 상기 에지부에 인접한 영역에서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검출한다. 상기 보상부는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보상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티팩트 검출부는 2행 2열로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화소 중 계조 값이 가장 큰 제1 화소를 검출하고,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2 내지 제4 화소의 계조 값의 차이가 로우 스레스홀드 값보다 클 때, 상기 제1 화소가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갖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티팩트 검출부는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2 내지 제4 화소의 계조 값의 차이가 상기 로우 스레스홀드 값보다 크고 하이 스레스홀드 값보다 작을 때, 상기 제1 화소가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갖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티팩트 검출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로우 스레스홀드 값 및 상기 하이 스레스홀드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상부는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갖는 화소 및 상기 화소와 일 방향으로 이웃하는 복수의 화소를 타겟 화소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상부는 상기 타겟 화소들에 대해 각각 1행 3열의 보상 매트릭스를 적용하여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상 매트릭스는 (1/3, 1/3, 1/3)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상 매트릭스는 (1/4, 1/2, 1/4)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상부는 상기 타겟 화소들에 대해 각각 3행 3열의 보상 매트릭스를 적용하여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상 매트릭스는
Figure pat00001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상 매트릭스는
Figure pat00002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로우 패스 필터링부 및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내의 상기 물체의 상기 에지부를 검출하기 위한 하이 패스 필터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지 강화부는 상기 로우 패스 필터링 결과 및 상기 하이 패스 필터링 결과를 합산하여 상기 에지를 강조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게이트 구동부, 데이터 구동부 및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에 데이터 전압을 제공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입력 영상 데이터 내의 물체의 에지부를 강조하는 에지 강화부, 상기 에지부에 인접한 영역에서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검출하는 아티팩트 검출부 및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보상하는 보상부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티팩트 검출부는 2행 2열로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화소 중 계조 값이 가장 큰 제1 화소를 검출하고,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2 내지 제4 화소의 계조 값의 차이가 로우 스레스홀드 값보다 클 때, 상기 제1 화소가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갖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티팩트 검출부는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2 내지 제4 화소의 계조 값의 차이가 상기 로우 스레스홀드 값보다 크고 하이 스레스홀드 값보다 작을 때, 상기 제1 화소가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갖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상부는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갖는 화소 및 상기 화소와 일 방향으로 이웃하는 복수의 화소를 타겟 화소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은 입력 영상 데이터 내의 물체의 에지부를 강조하는 단계, 상기 에지부에 인접한 영역에서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검출하는 단계는 2행 2열로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화소 중 계조 값이 가장 큰 제1 화소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2 내지 제4 화소의 계조 값의 차이가 로우 스레스홀드 값보다 클 때, 상기 제1 화소가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갖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가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갖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2 내지 제4 화소의 계조 값의 차이가 상기 하이 스레스홀드 값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보상하는 단계는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갖는 화소 및 상기 화소와 일 방향으로 이웃하는 복수의 화소를 타겟 화소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영상 처리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처리 방법에 따르면, 물체의 에지부를 강조하면서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제거하여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타이밍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에지 처리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에지 처리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3의 보상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3의 보상부에서 사용하는 보상 매트릭스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보상부에서 사용하는 보상 매트릭스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에지 처리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 구동부는 타이밍 컨트롤러(200), 게이트 구동부(3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및 데이터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에 이웃하여 배치되는 주변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 및 상기 게이트 라인들(GL)과 상기 데이터 라인들(DL)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단위 화소들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상기 데이터 라인들(DL)은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다.
각 단위 화소는 스위칭 소자(미도시), 상기 스위칭 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액정 캐패시터(미도시) 및 스토리지 캐패시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 화소들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200)는 외부의 장치(미도시)로부터 입력 영상 데이터(RGB1) 및 입력 제어 신호(CONT)를 수신한다.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는 적색 영상 데이터, 녹색 영상 데이터 및 청색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는 마스터 클럭 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는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20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RGB1) 및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제1 제어 신호(CONT1), 제2 제어 신호(CONT2), 제3 제어 신호(CONT3) 및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20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1 제어 신호(CONT1)를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에 출력한다. 상기 제1 제어 신호(CONT1)는 수직 개시 신호 및 게이트 클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20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2 제어 신호(CONT2)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한다. 상기 제2 제어 신호(CONT2)는 수평 개시 신호 및 로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20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RGB1)를 근거로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200)는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20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3 제어 신호(CONT3)를 생성하여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에 출력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200)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200)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제1 제어 신호(CONT1)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게이트 신호들을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에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표시 패널(100)에 직접 실장(mounted)되거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 형태로 상기 표시 패널(10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주변부에 집적(integrated)될 수 있다.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200)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제3 제어 신호(CONT3)에 응답하여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생성한다.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는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제공한다.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은 각각의 데이터 신호(DATA)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다.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200) 내에 배치되거나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200)로부터 상기 제2 제어 신호(CONT2) 및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입력 받고,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로부터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입력 받는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상기 데이터 라인(DL)에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쉬프트 레지스터(미도시), 래치(미도시), 신호 처리부(미도시) 및 버퍼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는 래치 펄스를 상기 래치에 출력한다. 상기 래치는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일시 저장한 후 상기 신호 처리부에 출력한다.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디지털 형태인 상기 데이터 신호(DATA) 및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근거로 아날로그 형태의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버퍼부에 출력한다. 상기 버퍼부는 상기 데이터 전압의 레벨이 일정한 레벨을 갖도록 보상하여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상기 데이터 라인(DL)에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표시 패널(100)에 직접 실장되거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 형태로 상기 표시 패널(10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주변부에 집적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타이밍 컨트롤러(2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200)는 에지 처리부(220), 영상 변환부(240) 및 신호 생성부(260)를 포함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논리적으로 구분하였을 뿐, 하드웨어적으로 구분한 것은 아니다.
상기 에지 처리부(22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RGB1)를 수신한다. 상기 에지 처리부(22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RGB1) 내의 물체의 에지 부분을 처리하여 보정 영상 데이터(RGB2)를 생성한다.
상기 에지 처리부(220)는 상기 보정 영상 데이터(RGB2)를 상기 영상 변환부(240)에 출력한다.
상기 에지 처리부(220)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영상 변환부(240)는 상기 에지 처리부(220)로부터 보정 영상 데이터(RGB2)를 수신한다.
상기 영상 변환부(240)는 상기 보정 영상 데이터(RGB2)의 계조를 보정하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형식에 맞도록 상기 보정 영상 데이터(RGB2)를 재배치하여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한다. 상기 데이터 신호(DATA)는 디지털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영상 변환부(240)는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 변환부(240)는 색 특성 보상부(미도시) 및 능동 캐패시턴스 보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색 특성 보상부는 계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색 특성 보상(Adaptive Color Correction, ACC)을 수행한다. 상기 색 특성 보상부는 감마 곡선을 이용하여 상기 계조 데이터를 보상할 수 있다.
상기 능동 캐패시턴스 보상부는 이전 프레임 데이터와 현재 프레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프레임 데이터의 계조 데이터를 보정하는 능동 캐패시턴스 보상(Dynamic Capacitance Compensation, DCC)을 수행한다.
상기 신호 생성부(260)는 입력 제어 신호(CONT)를 수신한다.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기초로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의 구동 타이밍을 조절하기 위한 상기 제1 제어 신호(CONT1)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구동 타이밍을 조절하기 위한 상기 제2 제어 신호(CONT2)를 생성한다. 상기 신호 생성부(26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기초로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의 구동 타이밍을 조절하기 위한 상기 제3 제어 신호(CONT3)를 생성한다.
상기 신호 생성부(260)는 상기 제1 제어 신호(CONT1)를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에 출력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CONT2)를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하며, 상기 제3 제어 신호(CONT3)를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에 출력한다.
도 3은 도 2의 에지 처리부(22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에지 처리부(220)를 이용한 영상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3의 보상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3의 보상부에서 사용하는 보상 매트릭스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에지 처리부(220)는 로우 패스 필터(221), 하이 패스 필터(222), 에지 강화부(223), 아티팩트 검출부(224) 및 보상부(225)를 포함한다.
상기 로우 패스 필터(221)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RGB1)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RGB1)를 로우 패스 필터링한다 (단계 S100). 상기 로우 패스 필터링에 의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RGB1) 내에서 계조 변화의 급격한 슬로프가 완화된다. 그에 의해 입력 영상 데이터(RGB1)가 나타내는 영상의 노이즈들이 제거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로우 패스 필터링을 통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RGB1) 내의 물체의 에지부는 전반적으로 불명확해질 수 있다.
상기 하이 패스 필터(222)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RGB1) 내의 상기 물체의 에지부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RGB1)를 하이 패스 필터링한다 (단계 S200). 상기 하이 패스 필터링에 의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RGB1) 내의 물체의 에지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계조 데이터의 값이 검출된다.
상기 에지 강화부(223)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RGB1) 내의 물체의 에지부를 강조한다 (단계 S300). 상기 에지 강화부(223)는 상기 로우 패스 필터(221)에서 수행한 상기 로우 패스 필터링 결과 및 상기 하이 패스 필터(222)에서 수행한 상기 하이 패스 필터링 결과를 합산할 수 있다. 상기 로우 패스 필터링된 상기 입체 영상 데이터(RGB1)는 영상 내의 노이즈가 감소하였으나, 상기 물체의 에지부가 전반적으로 불명확해지게 된다. 상기 로우 패스 필터링된 상기 입체 영상 데이터(RGB1)에 상기 하이 패스 필터링 결과를 합산하면 상기 입체 영상 데이터(RGB1) 내의 상기 물체의 에지부가 전반적으로 뚜렷하게 강조된다.
그러나, 상기 에지 강화부(223)의 에지 강화 처리에 의해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는 상기 에지 강화 처리에 의해 상기 물체의 에지가 강조되면서, 원래 물체의 에지는 실선 형상이나, 상기 물체의 에지가 계단 형상으로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아티팩트 검출부(224)는 상기 물체의 에지부에 인접한 영역에서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아티팩트 검출부(224)는 각 화소 단위로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티팩트 검출부(224)는 각 화소가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갖는지 갖지 않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아티팩트 검출부(224)는 2행 2열의 매트릭스 형상의 커널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아티팩트 검출부(224)는 2행 2열로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화소 (P1, P2, P3, P4) 중 계조 값이 가장 큰 하나의 화소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티팩트 검출부(224)는 argmax(Pi-mean(Pi))의 함수를 이용하여 Q 화소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20). 여기서, argmax는 argument of the maximum의 의미로, f(x)가 최대인 x값을 의미한다. mean은 평균을 구하는 함수를 의미한다. 또한, i는 1 내지 4의 값을 갖는다. 즉, 상기 Q 화소는 화소의 값과 제1 내지 제4 화소의 평균 값의 차가 가장 큰 화소 찾는다. 예를 들어, 제1 화소(P1)가 200계조, 제2 화소(P2)가 10계조, 제3 화소(P3)가 10계조, 제4 화소(P4)가 20계조일 때, mean(Pi)는 60계조이고, argmax(Pi-mean(Pi))는 제1 화소(P1)이다.
상기 아티팩트 검출부(224)는 상기 Q 화소(예컨대 P1)의 계조 값과 나머지 화소들(예컨대 P2, P3, P4)의 계조 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검출할 수 있다 (단계 S440).
예를 들어, 상기 아티팩트 검출부(224)는 상기 Q 화소(예컨대 P1)의 계조 값과 나머지 화소들(예컨대 P2, P3, P4)의 계조 값의 차이가 로우 스레스홀드 값(THL)보다 큰 경우, 상기 Q 화소(예컨대 P1)가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갖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 때, 상기 Q 화소(예컨대 P1)는 상기 2행 2열의 행렬 내에서 상기 Q 화소를 제외한 모든 화소들(예컨대 P2, P3, P4)의 계조 값의 차이들(예컨대 P1-P2, P1-P3, P1-P4) 모두가 상기 로우 스레스홀드 값(THL)보다 큰 경우, 상기 Q 화소(예컨대 P1)가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갖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Q 화소가 나머지 화소들에 비해 일정 정도(THL)를 초과하여 밝은 경우, 상기 Q 화소는 보상이 필요한 화소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Q 화소가 나머지 화소들에 비해 일정 정도(THL) 이상으로 밝을 경우, 상기 Q 화소에 의해 물체부의 에지부에서는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가 발생할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상기 아티팩트 검출부(224)는 상기 로우 스레스홀드 값(THL)뿐만 아니라 하이 스레스홀드 값(THH)도 함께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티팩트 검출부(224)는 상기 Q 화소(예컨대 P1)의 계조 값과 나머지 화소들(예컨대 P2, P3, P4)의 계조 값의 차이가 로우 스레스홀드 값(THL)보다 크고, 하이 스레스홀드 값(THH)보다 작은 경우, 상기 Q 화소(예컨대 P1)가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갖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 때, 상기 Q 화소(예컨대 P1)는 상기 2행 2열의 행렬 내에서 상기 Q 화소를 제외한 모든 화소들(예컨대 P2, P3, P4)의 계조 값의 차이들(예컨대 P1-P2, P1-P3, P1-P4) 모두가 상기 로우 스레스홀드 값(THL)보다 크고 상기 하이 스레스홀드 값(THH)보다 작은 경우, 상기 Q 화소(예컨대 P1)가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갖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Q 화소가 나머지 화소들에 비해 일정 정도(THL)를 초과하여 밝으면서, 지나친 정도(THH)로 밝지는 않은 경우, 상기 Q 화소는 보상이 필요한 화소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Q 화소가 나머지 화소들에 비해 하이 스레스홀드 값(THH)을 초과하여 밝은 경우, 상기 Q 화소 인근 영역은 텍스트를 표시하는 영역에 해당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상기 하이 스레스홀드 값(THH)을 적절히 설정하여,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RGB1) 내에서의 물체를 표시하는 부분과 텍스트를 표시하는 부분을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물체의 에지부에 대해서는 보상을 적용하고, 텍스트에 대해서는 보상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이 스레스홀드 값(THH) 및 상기 로우 스레스홀드 값(THL)은 고정된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이 스레스홀드 값(THH) 및 상기 로우 스레스홀드 값(THL)은 제조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아티팩트 검출부(224)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RGB1) 전체에 대해 순차적으로 상기 2행 2열의 커널을 적용하여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보상부(225)는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보상한다 (단계 S500). 상기 보상부(225)는 상기 아티팩트 보상을 적용할 타겟 화소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보상부(225)는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갖는 화소 및 상기 화소와 일 방향으로 이웃하는 복수의 화소를 타겟 화소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타겟 화소들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a에서 2행 2열로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화소들(P1 내지 P4) 중 1행 1열의 제1 화소(P1)가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갖는 경우, 상기 보상부(225)는 상기 제1 화소(P1), 상기 제1 화소(P1)와 상부로 이웃하는 제5 화소(P5) 및 상기 제5 화소(P5)와 상부로 이웃하는 제6 화소(P6)를 타겟 화소로 설정한다.
도 5b에서 2행 2열로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화소들(P1 내지 P4) 중 1행 2열의 제2 화소(P2)가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갖는 경우, 상기 보상부(225)는 상기 제2 화소(P2), 상기 제2 화소(P2)와 상부로 이웃하는 제7 화소(P7) 및 상기 제7 화소(P7)와 상부로 이웃하는 제8 화소(P8)를 타겟 화소로 설정한다.
도 5c에서 2행 2열로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화소들(P1 내지 P4) 중 2행 1열의 제3 화소(P3)가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갖는 경우, 상기 보상부(225)는 상기 제3 화소(P3), 상기 제3 화소(P3)와 하부로 이웃하는 제9 화소(P9) 및 상기 제9 화소(P9)와 하부로 이웃하는 제10 화소(P10)를 타겟 화소로 설정한다.
도 5d에서 2행 2열로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화소들(P1 내지 P4) 중 2행 2열의 제4 화소(P4)가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갖는 경우, 상기 보상부(225)는 상기 제4 화소(P4), 상기 제4 화소(P4)와 하부로 이웃하는 제11 화소(P11) 및 상기 제11 화소(P11)와 하부로 이웃하는 제12 화소(P12)를 타겟 화소들로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상부(225)가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갖는 화소 및 상기 화소와 일 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화소 (총 3개의 화소)를 타겟 화소로 설정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보상부(225)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갖는 화소 및 상기 화소와 일 방향으로 이웃하는 4개의 화소 (총 5개의 화소)를 타겟 화소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겟 화소의 길이는 상기 표시 패널(100) 내에서 상기 화소의 위치에 따라 가변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보상부(225)는 상기 타겟 화소들에 대해 각각 1행 3열의 보상 매트릭스(매트릭스 A)를 적용하여 보상을 수행한다. 상기 보상 매트릭스(A)는 (A11, A12, A13)의 값을 갖는다. 상기 보상 매트릭스(A)는 상기 타겟 화소(TP) 및 상기 타겟 화소(TP)와 좌우로 이웃한 2개의 화소들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타겟 화소(TP)의 보상 값은 상기 보상 매트릭스(A)의 1행 1열의 값(A11)과 상기 타겟 화소(TP)의 좌측 화소의 계조의 곱, 상기 보상 매트릭스(A)의 1행 2열의 값(A12)과 상기 타겟 화소(TP)의 계조의 곱 및 상기 보상 매트릭스(A)의 1행 3열의 값(A13)과 상기 타겟 화소(TP)의 우측 화소의 계조의 곱을 합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보상 매트릭스(A)는 평균 필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상 매트릭스(A)는 (1/3, 1/3, 1/3)일 수 있다. 즉, 상기 타겟 화소(TP)의 보상 값은 상기 타겟 화소(TP) 및 상기 타겟 화소(TP)와 좌우로 이웃한 2개의 화소의 평균값이 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보상 매트릭스(A)는 가우시안 필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상 매트릭스(A)는 (1/4, 1/2, 1/4)일 수 있다.
상기 보상부(225)는 상기 타겟 화소(TP)에 보상 매트릭스(A)를 적용하여 상기 타겟 화소(TP)의 계조 값을 보상한다. 상기 보상 매트릭스(A)에 의해 상기 타겟 화소(TP)의 계조 값들은 주변 화소들의 값에 접근하도록 블러링(blurring)되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물체의 에지부에 인접하여 발생하는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가 감소된다.
상기 에지 처리부(220)는 YCbCr의 색 공간에서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지 처리부(220)는 Y, Cb, Cr의 색성분 중 휘도 성분에 해당하는 Y성분에 대해 상기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지 처리부(220)는 RGB 형태의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RGB1)를 YCbCr 형태로 변환하는 제1 색 공간 변환부 및 YCbCr의 색 공간에서 로우 패스 필터링, 하이 패스 필터링, 에지 강화, 아티팩트 보상을 수행한 영상 데이터를 RGB 형태로 변환하는 제2 색 공간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내의 물체의 에지부가 강조되고, 상기 에지부 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가 감소하여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보상부에서 사용하는 보상 매트릭스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은 에지 처리부의 보상부에 적용되는 보상 매트릭스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6의 표시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 구동부는 타이밍 컨트롤러(200), 게이트 구동부(3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및 데이터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200)는 에지 처리부(220), 영상 변환부(240) 및 신호 생성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에지 처리부(220)는 로우 패스 필터(221), 하이 패스 필터(222), 에지 강화부(223), 아티팩트 검출부(224) 및 보상부(225)를 포함한다.
상기 보상부(225)는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보상한다. 상기 보상부(225)는 상기 아티팩트 보상을 적용할 타겟 화소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보상부(225)는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갖는 화소 및 상기 화소와 일 방향으로 이웃하는 복수의 화소를 타겟 화소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타겟 화소들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상부(225)는 상기 타겟 화소들에 대해 각각 3행 3열의 보상 매트릭스(매트릭스 B)를 적용하여 보상을 수행한다. 상기 보상 매트릭스(B)는
Figure pat00003
의 값을 갖는다. 상기 보상 매트릭스(B)는 상기 타겟 화소(TP) 및 상기 타겟 화소(TP)와 좌우상하, 대각방향으로 이웃한 8개의 화소들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타겟 화소(TP)의 보상 값은 상기 보상 매트릭스(B)의 1행 1열의 값(B11)과 상기 타겟 화소(TP)의 상좌방향 대각 화소의 계조의 곱, 상기 보상 매트릭스(B)의 1행 2열의 값(B12)과 상기 타겟 화소(TP)의 상부 화소의 계조의 곱, 상기 보상 매트릭스(B)의 1행 3열의 값(B13)과 상기 타겟 화소(TP)의 상우방향 대각 화소의 계조의 곱, 상기 보상 매트릭스(B)의 2행 1열의 값(B21)과 상기 타겟 화소(TP)의 좌측 화소의 계조의 곱, 상기 보상 매트릭스(B)의 2행 2열의 값(B22)과 상기 타겟 화소(TP)의 계조의 곱, 상기 보상 매트릭스(B)의 2행 3열의 값(B23)과 상기 타겟 화소(TP)의 우측 화소의 계조의 곱, 상기 보상 매트릭스(B)의 3행 1열의 값(B31)과 상기 타겟 화소(TP)의 하좌방향 대각 화소의 계조의 곱, 상기 보상 매트릭스(B)의 3행 2열의 값(B32)과 상기 타겟 화소(TP)의 하부 화소의 계조의 곱 및 상기 보상 매트릭스(B)의 3행 3열의 값(B33)과 상기 타겟 화소(TP)의 하우방향 대각 화소의 계조의 곱을 합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보상 매트릭스(B)는 평균 필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상 매트릭스(B)는
Figure pat00004
일 수 있다. 즉, 상기 타겟 화소(TP)의 보상 값은 상기 타겟 화소(TP) 및 상기 타겟 화소(TP)와 상하좌우 및 대각방향으로 이웃한 8개의 화소의 평균값이 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보상 매트릭스(B)는 가우시안 필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상 매트릭스(B)는
Figure pat00005
일 수 있다.
상기 보상부(225)는 상기 타겟 화소(TP)에 보상 매트릭스(B)를 적용하여 상기 타겟 화소(TP)의 계조 값을 보상한다. 상기 보상 매트릭스(B)에 의해 상기 타겟 화소(TP)의 계조 값들은 주변 화소들의 값에 접근하도록 블러링(blurring)되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물체의 에지부에 인접하여 발생하는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가 감소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내의 물체의 에지부가 강조되고, 상기 에지부 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가 감소하여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에지 처리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은 에지 처리부의 아티팩트 검출부의 동작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6의 표시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 구동부는 타이밍 컨트롤러(200), 게이트 구동부(3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및 데이터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200)는 에지 처리부(220), 영상 변환부(240) 및 신호 생성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에지 처리부(220)는 로우 패스 필터(221), 하이 패스 필터(222), 에지 강화부(223), 아티팩트 검출부(224) 및 보상부(225)를 포함한다.
상기 로우 패스 필터(221)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RGB1)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RGB1)를 로우 패스 필터링한다 (단계 S100).
상기 하이 패스 필터(222)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RGB1) 내의 상기 물체의 에지부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RGB1)를 하이 패스 필터링한다 (단계 S200).
상기 에지 강화부(223)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RGB1) 내의 물체의 에지부를 강조한다 (단계 S300).
상기 아티팩트 검출부(224)는 상기 물체의 에지부에 인접한 영역에서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아티팩트 검출부(224)는 각 화소 단위로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티팩트 검출부(224)는 각 화소가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갖는지 갖지 않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아티팩트 검출부(224)는 2행 2열의 매트릭스 형상의 커널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아티팩트 검출부(224)는 2행 2열로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화소 (P1, P2, P3, P4) 중 계조 값이 가장 큰 하나의 화소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티팩트 검출부(224)는 argmax(Pi-mean(Pi))의 함수를 이용하여 Q 화소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2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티팩트 검출부(224)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RGB1)를 분석하여 상기 로우 스레스홀드 값(THL) 및 상기 하이 스레스홀드 값(THH)을 결정한다 (단계 S430). 따라서, 상기 로우 스레스홀드 값(THL) 및 상기 하이 스레스홀드 값(THH)은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RGB1)에 따라 가변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RGB1)의 표시 영상 내에서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의 발생 빈도가 높은 경우, 상기 로우 스레스홀드 값(THL)은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RGB1)의 표시 영상 내에서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의 발생 빈도가 낮은 경우, 상기 로우 스레스홀드 값(THL)은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티팩트 검출부(224)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RGB1) 내에 텍스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로우 스레스홀드 값(THL) 및 상기 하이 스레스홀드 값(THH)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RGB1)의 표시 영상 내에 텍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하이 스레스홀드 값은 상기 텍스트에 해당하는 부분의 계조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RGB1)의 표시 영상이 전반적으로 밝은 경우, 상기 로우 스레스홀드 값 및 상기 하이 스레스홀드 값은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RGB1)의 표시 영상이 전반적으로 어두운 경우, 상기 로우 스레스홀드 값 및 상기 하이 스레스홀드 값은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아티팩트 검출부(224)는 상기 Q 화소의 계조 값과 나머지 화소들의 계조 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검출할 수 있다 (단계 S440).
예를 들어, 상기 아티팩트 검출부(224)는 상기 Q 화소(예컨대 P1)의 계조 값과 나머지 화소들(예컨대 P2, P3, P4)의 계조 값의 차이가 로우 스레스홀드 값(THL)보다 큰 경우, 상기 Q 화소(예컨대 P1)가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갖는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아티팩트 검출부(224)는 상기 로우 스레스홀드 값(THL)뿐만 아니라 하이 스레스홀드 값(THH)도 함께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티팩트 검출부(224)는 상기 Q 화소(예컨대 P1)의 계조 값과 나머지 화소들(예컨대 P2, P3, P4)의 계조 값의 차이가 로우 스레스홀드 값(THL)보다 크고, 하이 스레스홀드 값(THH)보다 작은 경우, 상기 Q 화소(예컨대 P1)가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갖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보상부(225)는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보상한다 (단계 S500). 상기 보상부(225)는 상기 아티팩트 보상을 적용할 타겟 화소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보상부(225)는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갖는 화소 및 상기 화소와 일 방향으로 이웃하는 복수의 화소를 타겟 화소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타겟 화소들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상부(225)는 상기 타겟 화소들에 대해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1행 3열의 보상 매트릭스(매트릭스 A)를 적용하여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보상부(225)는 상기 타겟 화소들에 대해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3행 3열의 보상 매트릭스(매트릭스 B)를 적용하여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내의 물체의 에지부가 강조되고, 상기 에지부 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가 감소하여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부, 상기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상기 영상 처리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방법에 따르면, 물체의 에지부를 강조하면서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제거하여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표시 패널 200: 타이밍 컨트롤러
220: 에지 처리부 221: 로우 패스 필터
222: 하이 패스 필터 223: 에지 강화부
224: 아티팩트 검출부 225: 보상부
240: 영상 변환부 260: 신호 생성부
300: 게이트 구동부 4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
500: 데이터 구동부

Claims (21)

  1. 입력 영상 데이터 내의 물체의 에지부를 강조하는 에지 강화부;
    상기 에지부에 인접한 영역에서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검출하는 아티팩트 검출부; 및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보상하는 보상부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티팩트 검출부는
    2행 2열로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화소 중 계조 값이 가장 큰 제1 화소를 검출하고,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2 내지 제4 화소의 계조 값의 차이가 로우 스레스홀드 값보다 클 때, 상기 제1 화소가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갖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티팩트 검출부는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2 내지 제4 화소의 계조 값의 차이가 상기 로우 스레스홀드 값보다 크고 하이 스레스홀드 값보다 작을 때, 상기 제1 화소가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갖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티팩트 검출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로우 스레스홀드 값 및 상기 하이 스레스홀드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부는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갖는 화소 및 상기 화소와 일 방향으로 이웃하는 복수의 화소를 타겟 화소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화소들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부는
    상기 타겟 화소들에 대해 각각 1행 3열의 보상 매트릭스를 적용하여 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매트릭스는
    (1/3, 1/3,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매트릭스는
    (1/4, 1/2, 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부.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부는
    상기 타겟 화소들에 대해 각각 3행 3열의 보상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매트릭스는
    Figure pat00006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부.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매트릭스는
    Figure pat00007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로우 패스 필터링부 및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내의 상기 물체의 상기 에지부를 검출하기 위한 하이 패스 필터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지 강화부는 상기 로우 패스 필터링 결과 및 상기 하이 패스 필터링 결과를 합산하여 상기 에지를 강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부.
  14.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표시 패널에 데이터 전압을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입력 영상 데이터 내의 물체의 에지부를 강조하는 에지 강화부, 상기 에지부에 인접한 영역에서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검출하는 아티팩트 검출부 및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보상하는 보상부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아티팩트 검출부는
    2행 2열로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화소 중 계조 값이 가장 큰 제1 화소를 검출하고,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2 내지 제4 화소의 계조 값의 차이가 로우 스레스홀드 값보다 클 때, 상기 제1 화소가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갖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아티팩트 검출부는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2 내지 제4 화소의 계조 값의 차이가 상기 로우 스레스홀드 값보다 크고 하이 스레스홀드 값보다 작을 때, 상기 제1 화소가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갖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부는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갖는 화소 및 상기 화소와 일 방향으로 이웃하는 복수의 화소를 타겟 화소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입력 영상 데이터 내의 물체의 에지부를 강조하는 단계;
    상기 에지부에 인접한 영역에서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검출하는 단계는
    2행 2열로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화소 중 계조 값이 가장 큰 제1 화소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2 내지 제4 화소의 계조 값의 차이가 로우 스레스홀드 값보다 클 때, 상기 제1 화소가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갖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가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갖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2 내지 제4 화소의 계조 값의 차이가 상기 하이 스레스홀드 값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보상하는 단계는
    상기 코너 아웃트라이어 아티팩트를 갖는 화소 및 상기 화소와 일 방향으로 이웃하는 복수의 화소를 타겟 화소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방법.
KR1020130016832A 2013-02-18 2013-02-18 영상 처리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처리 방법 KR102056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832A KR102056686B1 (ko) 2013-02-18 2013-02-18 영상 처리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처리 방법
US13/963,906 US9760981B2 (en) 2013-02-18 2013-08-09 Image processing part,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cessing an image using the same
US15/678,936 US10275861B2 (en) 2013-02-18 2017-08-16 Image processing part,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cessing an imag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832A KR102056686B1 (ko) 2013-02-18 2013-02-18 영상 처리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453A true KR20140103453A (ko) 2014-08-27
KR102056686B1 KR102056686B1 (ko) 2019-12-18

Family

ID=51350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6832A KR102056686B1 (ko) 2013-02-18 2013-02-18 영상 처리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9760981B2 (ko)
KR (1) KR1020566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133B1 (ko) * 2013-12-30 2020-04-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방법 및 장치
DE102014008686B4 (de) * 2014-06-13 2017-04-06 Basler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arbinterpolation
KR20170001882A (ko) * 2015-06-26 2017-0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0963995B2 (en) * 2018-02-12 2021-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CN112689792A (zh) * 2018-09-13 2021-04-20 堺显示器制品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8786A (en) * 1994-09-21 1998-05-05 Ricoh Company, Ltd. Apparatus for compression using reversible embedded wavelets
KR100269125B1 (ko) * 1997-10-25 2000-10-16 윤덕용 양자화효과감소를위한영상데이터후처리방법및장치
AU717480B2 (en) * 1998-08-01 2000-03-30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Loop-filtering method for image data and apparatus therefor
JP4017312B2 (ja) * 2000-03-31 2007-12-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および記録媒体
US6822675B2 (en) * 2001-07-03 2004-11-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measuring digital video quality
KR100803132B1 (ko) 2006-04-26 2008-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이브렛 변환을 이용한 엠펙 노이즈 제거 방법 및 장치
KR101277255B1 (ko) * 2006-06-13 2013-06-26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복합 영상 신호에서의 화질 개선 방법 및 그 장치, 복합영상 신호에서의 왜곡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KR100809346B1 (ko) 2006-07-03 2008-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엣지 보정 장치 및 방법
KR100843433B1 (ko) 2006-11-22 2008-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소형 카메라 모듈의 블러링 양 측정 방법
KR101317308B1 (ko) 2007-03-07 2013-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17205A (ko) 2007-08-14 2009-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지 이동 정보를 이용한 화질 보정 장치 및 방법
KR101330665B1 (ko) 2008-02-29 2013-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하프토닝 이미지의 보정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한화상형성장치
JP5376906B2 (ja) 2008-11-11 2013-12-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特徴量抽出装置、物体識別装置及び特徴量抽出方法
TWI410943B (zh) * 2009-05-20 2013-10-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可降低動態模糊之液晶顯示裝置
JP2011133954A (ja) 2009-12-22 2011-07-07 3D Media Co Ltd エッジ抽出方法及びエッジ抽出装置
JP5439210B2 (ja) 2010-02-01 2014-03-12 日立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US8787653B2 (en) 2010-04-05 2014-07-22 Xerox Corporation Determining an orientation direction of a color edge at a pixel location in a color image
KR101679857B1 (ko) 2010-05-20 2016-11-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재깅 위치 검출 기반 보간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JP5398667B2 (ja) 2010-08-23 2014-01-29 株式会社東芝 画像処理装置
KR20120078851A (ko) 2011-01-03 2012-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선명화 방법, 이미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12340A1 (en) 2018-01-11
US10275861B2 (en) 2019-04-30
KR102056686B1 (ko) 2019-12-18
US20140232711A1 (en) 2014-08-21
US9760981B2 (en) 201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1271B2 (ja) 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およびそれを行う表示装置
JP5026619B2 (ja) 視野角によって誘発される色シフト低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4532441B2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装置及び駆動方法
KR101330396B1 (ko) 표시장치와 그의 콘트라스트 향상 방법
US10275861B2 (en) Image processing part,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cessing an image using the same
US1041651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30016141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mpensating image in a backlight local dimming system
KR20130090211A (ko) 표시 패널의 얼룩 보상 방법,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20070059077A (ko) 액정 셀의 모션 블러 감소 방법 및 시스템, 컴퓨터프로그램
JP2001343957A (ja) 液晶表示装置
US9659519B2 (en) Video-display control device for correcting a video signal and controlling a backlight
KR20170021425A (ko) 타이밍 컨트롤러,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138935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밝기 조정방법
JP2015103174A (ja) 画像処理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方法
EP2811481B1 (en) Video display control device
JP2016163099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2284613B1 (ko) 표시장치 및 그의 영상데이터 처리방법
JP6873965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映像信号処理方法
JP2018205558A (ja) 輝度制御装置および輝度制御方法
JP2012119902A (ja) 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