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3429A - 발목관절보조기 - Google Patents

발목관절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3429A
KR20140103429A KR1020130016759A KR20130016759A KR20140103429A KR 20140103429 A KR20140103429 A KR 20140103429A KR 1020130016759 A KR1020130016759 A KR 1020130016759A KR 20130016759 A KR20130016759 A KR 20130016759A KR 20140103429 A KR20140103429 A KR 20140103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shoe
ankle joint
sol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6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9374B1 (ko
Inventor
박인식
복수경
Original Assignee
박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식 filed Critical 박인식
Priority to KR1020130016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374B1/ko
Publication of KR20140103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8Joint supports, e.g. instep supports
    • A43B7/20Ankle-joint support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4Insertions or other supports preventing the foot canting to one side , preventing supination or pro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사용자가 착용시 신발창 내에서 발 바닥의 적어도 일부를 받쳐주도록 발 길이방향으로 길고 평평하게 형성되는 수평부, 사용자가 착용시 신발의 갑피 내에서 갑피 자체 혹은 다리나 발에 의해 지지되며 하단부가 이 수평부와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수평부를 지지하며 펴진 발목 관절에서 발을 구부러진 상태로 복원시키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발목관절보조기에 있어서, 수평부는 착용자의 발을 기준으로 할 때, 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틈새에 의해 적어도 앞쪽이 좌우측의 두 부분으로 구분되어 좌우측 폭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관절보조기와 이를 내장하는 신발 및 그 제작 방법이 개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목관절보조기는 기존의 비교적 견고한 신발 구조를 이용하면 지지부가 비교적 작게 형성되어도 충분히 기능을 할 수 있고, 발목관절보조기의 지지부가 신체를 압박하는 힘 자체도 줄어들며, 신발의 겹구조 속에 내장되므로 자체가 신체 사이즈에 정확하게 들어맞을 필요는 없어서 일정 범위에서 프리 사이즈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재료비도 절감될 수 있다.

Description

발목관절보조기, 이를 구비하는 신발 및 그 제작 방법{ankle foot orthoses, shoes having the ankle foot orthoses and method of making the shoes}
본 발명은 발목관절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족(foot drop) 현상의 문제점을 완화할 수 있는 발목관절보조기와 이를 일체형으로 구비하는 신발 및 그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리나 족부 이상으로 인한 장애를 치료, 교정하기 위한 다양한 의료보조장치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다리나 족부의 장애 가운데 하나인 하수족(Drop foot)은 보행 동안 족관절(발목관절)의 자동적 배굴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을 충분히 들어올리지 못하는 병증을 주로 의미한다.
하수족 환자들은 발을 제대로 들어올릴 수 없으므로 보행시 발을 끌게 되거나 옆으로 큰 궤적을 이루면서 부자연스럽게 보행을 하게 된다.
이러한 하수족은 뇌혈관과 관련된 사고나 척수 손상 혹은 발과 관련된 신경근육시스템에서 근육을 활성화시키는데 요구되는 근육과 신경의 손상, 대개 총비골신경손상으로 초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하수족의 문제를 해결 혹은 경감하기 위한 몇 가지 기술들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런 기술들은 선행기술문헌(등록특허 10-0975991)에 언급된 것과 마찬가지로, 하수족 환자가 신발과는 별개로 보조장비로서 도5와 같은 발목관절보조기를 발에 먼저 장착한 후 신발을 착용하도록 하거나 혹은 발목관절보조기를 신발 내부에 넣은 후 신발끈을 조여서 착용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런 기술들에 따르면 하수족 환자들은 외출시마다 도5와 같은 발목관절보조기를 착용하고 그 상태로 다시 신발을 신게 되어 상당한 불편함이 있고, 신발과 발목관절보조기를 별개로 맞추어 구입하여 사용하므로 번거롭고, 비용면에서도 부담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앞서 언급된 선행기술문헌에서는 발목관절보조기를 구비한 신발을 제공하고 발목관절보조기는 신발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선행기술문헌의 방식은 단순히 발목관절보조기와 신발의 사이즈를 서로 맞추어 잘 들어맞게 하고, 발목관절보조기와 신발의 결합이 용이하게 신발 구성을 일부 변경한 것으로, 종래의 방식과 근본적으로 차이를 가지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이런 구성은 발목관절보조기를 착탈할 수 있어야 한다는 기준 관점에 따른 것이나 이런 한계로 인하여 발목관절보조기가 신발과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고정이 견고하지 못하면 착용중에 발목관절보조기가 신발 내에서 유격에 의한 움직이면서 착용자가 불편하게 되고,
또한 이 과정에서 고정부가 쉽게 손상될 수 있었다. 신발과 발목관절보조기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서는 결합 개소를 늘리거나 결합부 면적을 늘려야 하지만 이럴수록 결합하기 위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여전히 다리에 발목관절보조기를 결합하여 지지하게 되므로 지지부와 다리의 결합부위가 부분적으로 압박을 받지 않도록 크고 넓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 되고 신발 밖으로 드러나기 쉬웠다.
등록특허 제10-0975991호, 명칭: 보행보조신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발목관절보조기와 신발이 구분되어 오는 착용의 불편함, 외관상의 드러남,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발목관절보조기 일체형 신발과 그 제작 방법, 그에 특히 적합한 구성을 가지는 발목관절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목관절보조기는,
사용자가 착용시 신발창 내에서 발 바닥의 적어도 일부를 받쳐주도록 발 길이방향으로 길고 평평하게 형성되는 수평부, 사용자가 착용시 신발의 갑피 내에서 갑피 자체 혹은 다리나 발에 의해 지지되며 하단부가 상기 수평부와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평부를 지지하며 펴진 발목 관절에서 발을 구부러진 상태로 복원시키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발목관절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는 착용자의 발을 기준으로 할 때, 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틈새에 의해 적어도 앞쪽이 좌우측의 두 부분으로 구분되어 좌우측 폭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목관절보조기에서 틈새는 수평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수평부가 좌우측 두 부분으로 완전히 분리되고, 상기 지지부도 상기 수평부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상기 수평부의 좌우측 부분과 각각 연결되도록 분기되는 것이 자연스러운 변형이 가능하고 변형시 주변부분의 스트레스도 적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수평부와 연결되는 곳의 연결부와 다리에 고정되는 나머지 부분인 고정부로 구분되고, 연결부는 고정부나 수평부에 비해 탄성복원력이 더 좋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평부와 지지부는 동일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특히 주형(mold)을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목관절보조기를 구비하는 신발은,
착용시 발 바닥의 적어도 일부를 받쳐주는 수평부, 착용시 한쪽이 다리에 고정되며 다른 쪽이 상기 수평부와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평부를 지지하며 펴진 발목 관절에서 발을 구부러진 상태로 복원시키는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부는 착용자의 발을 기준으로 할 때, 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틈새에 의해 적어도 앞쪽이 바람직하게는 전체 길이가 좌우측의 두 부분으로 구분되어 좌우 폭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발목관절보조기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부는 신발의 창구조 가운데 제일 아래쪽의 밑창보다는 위쪽이면서 발이 닫는 제일 위쪽의 깔창이나 안창 혹은 중창보다는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는 신발 갑피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외부에서 볼 때 드러남이 없도록 내장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신발에서, 발목관절보조기의 지지부를 더 잘 고정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 주변에는 갑피의 내피와 외피를 고정 체결하는 재봉부나 접착부가 보강될 수 있고, 지지부는 수평부의 좌측 및 우측 모두를 지지하기 위해 복수 개소에서 각각 해당 연결부를 통해 수평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발에서 수평부의 좌우측 두 부분을 벌어진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 좌우측 두 부분 주변에는 이 좌우측 부분을 신발창의 창구조 사이에 고정 체결하기 위한 재봉부나 접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발 제조 방법은, 신발 밑창을 준비하는 밑창 준비 단계, 신발 갑피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발목관절보조기의 지지부를 설치하여 만든 갑피 부분을 준비하는 갑피 준비 단계, 발목관절보조기를 설치하여 만든 갑피 부분에서 하부로 드러난 수평부를 신말 밑창 위에 배치시키는 1차 결합 단계, 밑창을 제외한 바닥창 요소 가령 중창을 수평부 위에 놓고 상기 밑창과 서로 고정되도록 고정설치하는 2차 결합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갑피와 밑창의 결합은 주로 1차 결합 단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에서 1차 혹은 2차 결합 단계에서 수평부 좌, 우측을 서로 벌어진 상태로 상기 밑창 혹은 상기 중창에 재봉이나 접착제 혹은 타카로 고정시키는 고정 작업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신발에서 발목관절보조기의 지지부는 일차적으로 신발 내피와 외피 사이에서 신발 자체의 구조에 의해 지지되며, 착용자가 신발을 신으면 당연히 착용자의 족부나 다리도 지지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여 항상 실질적으로 신발 구조와 착용자 신체의 의해 지지된다.
그러므로, 월형과 같은 기존의 비교적 견고한 신발 구조를 이용하면 지지부가 비교적 작게 형성되어도 충분히 기능을 할 수 있고, 지지를 위해 발목관절보조기의 지지부가 신체를 압박하는 힘 자체도 줄어들고, 힘이 신발을 통해 분산된 형태로 신체에 작용하여 압박의 느낌은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신발에서 발목관절보조기의 지지부는 외관으로 드러나지 않으므로 여러 갈래로 나뉘어 신발 갑피 속에 분산 설치될 수 있으므로 발목관절보조기는 균형적으로 발의 기능을 보조하고, 내구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발목관절보조기는 신발과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신발의 겹구조 속에 내장되므로 신발이 착용자의 신체 사이즈(발 크기)에 맞다면 발목관절보조기 자체가 신체 사이즈에 정확하게 들어맞을 필요는 없고, 비록 크기가 작아도 발목 관절을 구부러진 상태로 복원시키는 역할만 할 수 있으면 되므로, 여러 사이즈의 신발에 공통된 사이즈의 발목관절보조기를 내장시켜 사용할 수 있어서 신발과 결합시키기 위한 발목관절보조기는 일정 범위에서 프리 사이즈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어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고, 사이즈도 작게 만들 수 있어서 재료비도 절감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목관절보조기를 나타내는 사시 사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루는 신발에서 발목관절보조기의 수평부가 신발의 창구조를 이루는 밑창과 중창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사시 사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화 형태의 신발을 나타내는 측면 사진,
도5는 종래의 발목관절보조기를 나타내는 사시 사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발목관절조기의 일 실시예에서 구성은 크게 두 부분, 즉, 수평부(10)와 지지부(20)로 구분될 수 있다. 수평부(10)는 신발에 내장될 때 신발의 창 구조 속에 들어가 신발 창과 함께 신발 착용자의 발 바닥을 받치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20)는 신발에 내장될 때 신발의 갑피 구조 속에 들어가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할 때 한쪽 즉 상부 쪽이 갑피와 함께 사용자 다리에 의해 지지되며 다른 쪽 즉 하부 쪽이 수평부(10)와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수평부(10)를 지지하며 펴진 발목 관절에서 발을 구부러진 상태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5에 나타난 종래의 발목관절보조기와 비교할 때 가장 큰 차이는 수평부(10)가 착용자의 발을 기준으로 할 때, 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틈새(11)에 의해 전체가 좌측 및 우측의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좌우 폭방향으로 힘을 받으면 틈새(11)가 벌어지면서 수평부(10)는 좌우로 더 큰 폭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발목관절보조기와 비교할 때, 이 실시예에서는 수평부(10)의 길이가 발 전체의 길이에 비해 짧고, 종래의 경우 수평부(110)가 발바닥 전체의 형태를 따르지만, 발바닥의 굴곡이나 형태를 따르기 보다는 하나의 골격으로 간단하고 단순한 형상을 가져 몰드를 형성할 때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수평부(10)와 비슷하게, 지지부(20)도 수직으로 형성된 부분의 길이가 전체적으로 짧고, 종래에는 신발과 별개로 사용될 수 있어서 직접 다리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 밴드(130)나 기타 체결 구조를 가졌으나 본 발명에서는 갑피 속에 설치되고 갑피 자체가 발과 다리에 의해 전체적으로 지지되므로 특별히 다리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구조를 가지지 않는다. 단, 지지부(20)에서도 수평부(10)가 연결되는 아래쪽의 연결부(21)는 수평부(10)의 서로 분리된 좌측과 우측을 각각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씩을 포함하여 복수의 가지(23)를 가진다. 연결부(21)는 발목 관절의 기능 보조를 위해 발 뒤꿈치 쪽에 집중하여 형성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본 실시예의 수평부(10)와 지지부(20)는 탄성복원력이 우수한 단일 플라스틱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며 주로 몰드를 통해 일체로 형성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의 연결부를 지지부의 고정부 및 수평부와 별도의 탄성복원력이 더 우수한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재질면에서도 플라스틱 외에 탄성 강재, 탄소섬유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나타낸다.
일반적인 단화들에 비해 발목관절보호기의 지지부를 설치하기 충분하고 용이하도록 발목 위쪽으로 올라오는 갑피 부분(40)이 신장되어 부츠 형태를 가진다. 이런 발목관절보호기 일체형 신발은 외관상으로는 통상의 부츠와 같은 형태를 보이고 있어 종래의 발목관절보호기를 착용하고 신발을 착용한 경우에 비해 외부의 이목으로 인한 불편함을 피할 수 있다.
이런 신발은 외부뿐 아니라 내부에서도 발목관절보호기가 보이지 않게 완전히 내장할 수 있고, 따라서, 신발을 착용할 때 발목관절보호기 부분이 신발 내면에서 돌출되어 신발 착용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신발에 발목관절보조기를 내장하는 것은 기존 신발들이 대개 겹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기존 신발의 이런 겹구조를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수평부는 신발창(30)의 밑창, 중창, 안창 등의 창구조를 이용하여, 가령 도3의 사진에서 개념적으로 나타나듯이 신발의 제일 아래쪽의 밑창(31)보다는 위쪽이면서 발이 닫는 제일 위쪽의 안창 혹은 중창(33)보다는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0)는 신발 갑피 부분(40)이 내피와 외피의 겹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하여 내피와 외피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외부에서 볼 때 드러남이 없도록 내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신발에서, 발목관절보조기의 지지부나 수평부는 이들이 내장되는 갑피 부분(40)과 신발창(30) 부분에 비해 더 작고 짧게 형성되는 것이 통상적이라고 보면, 이들이 갑피 부분 혹은 신발창 부분 속에서 움직이고 위치가 바뀔 수 있으므로 신발 내에서 이들을 더 잘 고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갑피 부분(40)의 내피와 외피사이에 지지부가 끼워진 상태로 지지부 주변에서 내피와 외피를 고정 체결하는 재봉이나 접착이 이루어져 재봉부나 접착부가 형성될 수 있고, 수평부의 서로 분리된 좌측 및 우측을 벌어진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 좌측 및 우측 각각의 주변에는 이 좌측 및 우측을 신발창(30)의 창구조 사이에 고정 체결하기 위한 재봉부나 접착부, 타카체결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제작하는 방법의 중요 단계를 포함하는 흐름도가 개시된다.
이하, 통상의 신발이 갑피 부분을 형성하고, 이 갑피 부분의 하부를 밑창의 주변부와 결합시키고, 이 상태에서 갑피 내측으로 밑창 위쪽에 중창을 결합시키는 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고려하여 각 단계들을 살펴본다.
여기서도 갑피 부분 준비 단계(S10)과 신발의 밑창 준비 단계(S20)가 별도로 각각 준비된다. 단, 갑피 부분 준비 단계(S10)에서는 발목관절보조기의 지지부가 설치된 갑피 부분을 준비한다. 이를 위해 갑피의 내피와 외피 부분을 결합시킬 때 그 사이에 지지부를 필요한 위치에 끼워서 준비한다. 지지부를 정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지지부 주변으로 추가적인 바느질이 이루어지거나 지지부를 포함하여 그 주변부에서 내피와 외피 사이에 접착제 도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 하부인 연결부와 갑피의 결합은 신발 사이즈에 따른 수평부의 좌측 및 우측의 벌어짐을 고려하여 위치를 정하지만 한편으로 연결부의 보행중의 구부러지고 복원되는 동작을 원활히 하기 위해 연결부는 그 주변의 갑피 부분과 지나치게 밀착 고정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준비된 밑창의 주변과 이미 만들어진 갑피 부분 하단을 결합시키는 1차 결합 단계(S30)가 이루어진다. 밑창과 갑피의 결합은 접착, 재봉 등 통상의 방법 및 재료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신발의 외형이 이루어진다.
단, 이때 갑피 부분 아래로 드러나는 발목관절보조기의 수평부가 단단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수평부는 재봉이나 핀, 타카등 결합부재 설치시 갑피의 하단과 밑창 사이에 끼워져 결합부재로 함께 관통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수평부는 밑창과 갑피 하단이 서로 결합되는 주변부에서 조금 더 발 중심 방향을 향해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한다.
수평부를 밑창 위의 일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수평부의 좌우측 부분은 밑창에 접착제나 고정되거나 기타 결합부재로 주변이 고정될 수 있고, 해당 신발 사이즈에서의 발목관절보조기의 벌어진 위치를 고려하여 밑창 표면에 안착부 홈을 형성하여 수평부 좌우측 부분을 홈에 끼워넣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2차 결합 단계(S40)를 통해 중창을 결합시킨다. 중창의 결합은 통상의 신발에서의 중창의 결합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이미 신발 외관을 갖춘 상태의 신발 갑피 내측에 중창을 넣고 밑창 및 수평부 위쪽에 중창을 결합시킨다. 중창의 결합에는 통상 접착제가 이용되지만 다른 결합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고, 밑창의 상면 대신에 중창의 하면에 수평부의 안착을 위한 홈을 형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중창과 밑창 사이에 수평부를 위치시키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수평부와 밑창의 결합을 하지 않고, 중창을 결합하는 과정에서도 중창을 수평부 아래로 집어 넣어 밑창과 결합시킨 후 중창 위로 드러난 수평부 위로 안창이나 깔창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된 구성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범위 내에서 많은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형 및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수평부 11: 틈새
20: 지지부 21: 연결부
23: 가지 30: 신발창
31: 밑창 33: 중창
40: 갑피 부분
130: 체결 밴드

Claims (6)

  1. 사용자가 착용시 신발창 내에서 발 바닥의 적어도 일부를 받쳐주도록 발 길이방향으로 길고 평평하게 형성되는 수평부;
    사용자가 착용시 신발의 갑피 내에서 갑피 자체 혹은 다리나 발에 의해 지지되며 하단부가 상기 수평부와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평부를 지지하며 펴진 발목 관절에서 발을 구부러진 상태로 복원시키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발목관절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는 착용자의 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틈새에 의해 적어도 앞쪽이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으로 구분되어 폭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관절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는 상기 수평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상기 좌측 부분과 상기 우측 부분이 완전히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관절보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와 상기 지지부는 동일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관절보조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수평부와 연결되는 하단의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를 제외하고 상기 갑피 속에서 지지되는 부분인 고정부로 구분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고정부나 상기 수평부에 비해 탄성복원력이 더 좋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관절보조기.
  5. 갑피와 신발창 및 발목관절보조기를 함께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발목관절보조기는
    착용시 발 바닥의 적어도 일부를 받쳐주는 수평부, 착용시 하단이 상기 수평부와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평부를 지지하며 펴진 발목 관절에서 발을 구부러진 상태로 복원시키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부는 착용자의 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틈새에 의해 전체 길이가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이 서로 이격되고,
    상기 수평부는 상기 신발창 가운데 제일 아래쪽의 밑창보다는 위쪽이면서 깔창이나 안창 혹은 중창보다는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갑피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외부에서 볼 때 드러남이 없도록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관절보조기를 구비하는 신발.
  6. 신발 밑창을 준비하는 밑창 준비 단계,
    신발 갑피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발목관절보조기의 지지부를 설치하여 만든 갑피 부분을 준비하는 갑피 준비 단계,
    상기 발목관절보조기를 설치하여 만든 상기 갑피 부분에서 하부로 드러난 수평부를 신말 밑창 위에 배치시키는 1차 결합 단계,
    상기 밑창을 제외한 신발창 요소를 상기 밑창 및 상기 수평부 위에 놓고 상기 밑창과 서로 고정되도록 설치하는 2차 결합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발목관절보조기를 구비하는 신발 제작 방법.
KR1020130016759A 2013-02-18 2013-02-18 발목관절보조기 KR101459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759A KR101459374B1 (ko) 2013-02-18 2013-02-18 발목관절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759A KR101459374B1 (ko) 2013-02-18 2013-02-18 발목관절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429A true KR20140103429A (ko) 2014-08-27
KR101459374B1 KR101459374B1 (ko) 2014-11-07

Family

ID=51747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6759A KR101459374B1 (ko) 2013-02-18 2013-02-18 발목관절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37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450B1 (ko) 2015-07-14 2016-12-05 (주)세아메카닉스 발목관절 보조기
KR20190106182A (ko) 2018-03-08 2019-09-18 황보숙 능동형 발목관절 보조기
WO2021096166A1 (ko) * 2019-11-14 2021-05-20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족하수 보조기
WO2022131709A1 (ko) * 2020-12-17 2022-06-23 주식회사 네오펙트 보행 보조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836Y1 (ko) 2004-10-09 2005-01-15 엠에스메디텍 정형화
KR200409793Y1 (ko) 2005-11-23 2006-03-03 주식회사 에스디씨 발과 발목에 위치하는 반사구 및 성장판의 물리적,화학적인 자극을 통한 신장 성장 촉진용 신발
KR100975991B1 (ko) * 2008-02-04 2010-08-17 안길원 보행보조신발
KR20110083782A (ko) * 2010-01-15 2011-07-21 김웅범 보행보조형 클랜작식 카본 단하지 보조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450B1 (ko) 2015-07-14 2016-12-05 (주)세아메카닉스 발목관절 보조기
KR20190106182A (ko) 2018-03-08 2019-09-18 황보숙 능동형 발목관절 보조기
WO2021096166A1 (ko) * 2019-11-14 2021-05-20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족하수 보조기
KR20210058538A (ko) * 2019-11-14 2021-05-24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족하수 보조기
WO2022131709A1 (ko) * 2020-12-17 2022-06-23 주식회사 네오펙트 보행 보조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9374B1 (ko) 2014-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6149B2 (en) Combination sock and shoe
AU2014255524B2 (en) Orthotic foot support
US7458950B1 (en) Ankle foot orthosis
US20160067075A1 (en) Foot drop device
US20120116275A1 (en) Convertible Walker Boot and Post-op Shoe
KR101709736B1 (ko) 발가락 교정기를 갖는 깔창
US9877540B2 (en) Assembly comprising a shoe, a shaped piece connected with the shoe to support the ankle, and a set of a shaped piece and fixing means for attachment to the shoe
US20140352170A1 (en) Modern dance shoe
US6926687B2 (en) Ankle-foot orthosis
KR101459374B1 (ko) 발목관절보조기
KR200480494Y1 (ko) 발가락 교정기
AU2015292252B2 (en) Functional ankle supports with improved movement and comfort
KR102416454B1 (ko) 샌들이나 슬리퍼로 변환되는 신발
KR101709735B1 (ko) 발가락 교정기
KR100975991B1 (ko) 보행보조신발
US11737510B2 (en) Toe guider device for footwear
EP1463423A1 (en) Adjustable sho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0442354Y1 (ko) 보행보조 기능을 구비한 근육 인대 보호구
CN208540816U (zh) 一种可旋转丁字鞋
KR100867845B1 (ko) 보행 보조신발
JP2012170594A (ja) 履物用ベル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履物
TW200826864A (en) Walking assistance shoes for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KR20110003819A (ko) 환자 및 장애인용 신발
JP3936943B2 (ja) 外反母趾矯正履物
CN212465119U (zh) 一种扁平足矫正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