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2529A - evaporator for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 Google Patents

evaporator for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2529A
KR20140102529A KR1020130015986A KR20130015986A KR20140102529A KR 20140102529 A KR20140102529 A KR 20140102529A KR 1020130015986 A KR1020130015986 A KR 1020130015986A KR 20130015986 A KR20130015986 A KR 20130015986A KR 20140102529 A KR20140102529 A KR 20140102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ice
tube
pipe
produc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9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창덕
안재복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15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2529A/en
Publication of KR20140102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52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vaporator for generating ice in a water purifier having an ice maker. More specifically, the evaporator for the water purifier having the ice maker includes: a first refrigerant pipe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pipes on one side of the outside, while flowing a refrigerant to the inside through a refrigerant influx portion formed on one side; and a second refrigerant pipe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to insert respective insertion pipe of the first refrigerant pipe, and a plurality of ice-making members prepared on one side of the top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 By manufacturing the ice-making members into a dual pipe shape, the defect rate during manufacturing processes can be remarkably reduced.

Description

얼음정수기용 증발기 및 그 증발기를 이용한 얼음생성방법{evaporator for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vaporator for an ice water purifier and an ice making method using the evaporator,

본 발명은 얼음 정수기에서 얼음을 생성시키는 증발기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증발기의 얼음생성부재를 이중관 형상으로 제작하여 생산과정에서의 불량률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얼음 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 및 그 증발기를 이용한 얼음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vaporator for generating ice in an ice water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uble pipe type evaporator for an ice water purifier which can reduce the defective rate in the production process by manufacturing the ice generating member of the evaporator into a double pipe shape and a method of generating ice using the evaporator.

기존의 얼음 정수기용 증발기들은 대게, 핑거형상의 얼음생성부재를 사용하여 얼음을 생성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얼음 정수기용 증발기(1)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2는 종래 얼음 정수기용 증발기(1)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은 종래 얼음 정수기용 증발기(1)의 부분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Conventional evaporators for ice water purifiers usually produce ice using finger-shaped ice-generating members.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vaporator 1 for a conventional ice water purifier.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vaporator 1 for a conventional ice water purifier. 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evaporator 1 for an ice water purifier.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얼음 정수기용 증발기(1)는 냉매관(2)과 냉매관(2)의 홀(9)에 삽입되어 용접되는 얼음생성부재(4), 그리고, 핑거형상의 얼음생성부재(4) 내에 삽입, 용접되어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분리판(6), 분리판(6)을 얼음생성부재(4) 내부에 용접시키기 위한 용가재(7), 얼음생성부재(4)의 하부 끝단면과 냉매관(2) 사이를 용접시키기 위한 링형 용가재(8) 등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 to 3, a conventional evaporator 1 for an ice water purifier includes an ice generating member 4 inserted into a hole 9 of a refrigerant pipe 2 and a refrigerant pipe 2 and welded thereto, A separating plate 6 for inserting and welding into the finger-shaped ice-generating member 4 to partition the internal space, a filler 7 for welding the separating plate 6 to the inside of the ice-producing member 4, And a ring-type filler material 8 for welding betwee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coolant pipe 4 and the refrigerant pipe 2, and the like.

도 4a는 종래 용접전 얼음생성부재(4)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종래 링형 용가재(8)가 끼워진 상태의 용접전 얼음생성부재(4)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5a는 종래 얼음 정수기용 증발기(1)의 냉매관(2)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5b는 종래 얼음 정수기용 증발기(1) 냉매관(2)의 홀(9)에 얼음생성부재(4)가 부착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 4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ice-producing member 4 before welding, and FIG. 4B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ce-producing member 4 before welding in a state where a conventional ring-type spark plug 8 is fitted. 5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nt pipe 2 of the evaporator 1 for the conventional ice water purifier. 5B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ice producing member 4 is attached to the hole 9 of the refrigerant pipe 2 of the evaporator 1 of the conventional ice water purifier.

도 4a, 도 4b,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판(6)을 탄성이 있는 2개의 용가재(7)에 의해 얼음생성부재(4) 내부에 얼음생성부재(4)와 나란하게 설치되게 됨을알 수 있다. 또한, 얼음생성부재(4) 외주면에 ring형 용가재(8)를 낀 후 냉매관(2)의 홀(9) 위에 안치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런 결합상태에서 얼음생성부재(4) 내에 설치된 용가재(7)와 ring형 용가재(8)가 녹아 분리판(6)이 얼음생성부재(4)와 냉매관(2)에 견고하게 용접될 수 있도록 열을 가하게 된다. The separation plate 6 is divided into the ice producing member 4 and the ice producing member 4 by the elastic two fillers 7 as shown in Figs. 4A, 4B, 5A and 5B, As shown in FIG. The ring-shaped filler material 8 is put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ce-producing member 4, and then put on the hole 9 of the refrigerant pipe 2. The melted material 7 and the ring-like filler material 8 provided in the ice producing member 4 are melted in such a combined state so that the separating plate 6 is firmly welded to the ice producing member 4 and the refrigerant pipe 2 So that heat can be applied.

또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판(6)의 하부 끝단면과 냉매관(2) 사이에 접촉된 면 역시 용접부위(A)가 되어 서로 결합되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6은 종래 얼음 정수기용 증발기(1)에서 냉매(3)의 흐름을 나타낸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7a는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도 6의 A-A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관(2)으로 유입된 냉매(3)는 분리판(6)에 의해 얼음생성부재(4) 내부에 구획된 공간을 흐르고 난 후 다시 냉매관(2)으로 유입되고, 다음에 설치된 얼음생성부재(4)로 유입되면서 순차적으로 얼음생성부재(4) 내부를 유동하면서, 트레이부재(40)에 저장된 물과 열교환되며 얼음(5)을 생성하게 된다. As shown in FIGS. 5A and 5B, the surfaces of the lower end of the separator plate 6 and the coolant pipe 2 are also welded to each other. 6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the flow of the refrigerant 3 in the evaporator 1 for the conventional ice water purifier. Fig. 7A also show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6, which is normally operated. 6 and 7A, the refrigerant 3 flowing into the refrigerant pipe 2 flows through the partitioned space inside the ice producing member 4 by the separator 6, 2 and flows into the ice-producing member 4, which sequentially flows through the ice-producing member 4 while exchanging heat with the water stored in the tray member 40, thereby generating ice 5 .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제작하는 경우 분리판(6)이 얼음생성부재(4)와 냉매관(2)에 잘 용접되기 매우 어려워 분리판(6)과 냉매관(2)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기 쉽다. 도 7b는 분리판(6)과 냉매관(2), 분리판(6)과 얼음생성부재(4) 사이에 틈이 발생된 경우의 도 6의 A-A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틈새가 발생하면 냉매(3)는 얼음생성부재(4)로 흘러가는 대신 분리판(6)과 냉매관(2) 틈새를 통해 흘러가게 되어 소음이 발생함과 동시에 얼음생성부재(4)로 적정냉매가 통과하지 못함으로 얼음생성부재(4)에 얼음(5)이 잘 생성되지 않는다.However, if the separator plate 6 is manufactured by this method,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separator plate 6 to be welded well to the ice generating member 4 and the refrigerant pipe 2, and thus a clearance is likely to be generated between the separator plate 6 and the refrigerant pipe 2. 7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6 when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separator plate 6, the refrigerant pipe 2, the separator plate 6, and the ice producing member 4. 6, when the clearance is generated, the refrigerant 3 flows into the space between the separator plate 6 and the refrigerant pipe 2 instead of flowing to the ice producing member 4, so that noise is generated Ice 5 is not generated in the ice-producing member 4 because the proper refrigerant can not pass through the ice-producing member 4. [

또한, 종래 얼음 정수기용 증발기(1)는 냉매관(2)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냉매(3)가 얼음생성부재(4)로 유입되므로, 냉매관(2)의 냉매 유입부와 근접한 첫단에 위치한 얼음생성부재(4)를 유동하는 냉매(3)의 온도, 상태와 냉매관(2)의 냉매 배출부에 근접하여 위치한 얼음생성부재(4)를 유동하는 냉매(3)의 온도, 상태가 서로 달라 균일한 얼음(5)을 생성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Since the refrigerant 3 flows into the ice producing member 4 sequenti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pipe 2 in the evaporator 1 for the ice water purifier in the related art, The temperature and condition of the refrigerant 3 flowing through the ice producing member 4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ice producing member 4 and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3 flowing in the ice producing member 4 located near the refrigerant discharging portion of the refrigerant pipe 2, There is a problem that uniform ice 5 can not be generat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75060호Korea Patent No. 1075060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138200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1-13820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분리판을 사용하는 대신, 얼음생성부재보다 작은 직경의 원통관을 얼음생성부재에 삽입하여 이중관 형상으로 제작하여 제작공정이 간단해지고 용접의 용이성이 대폭 향상되어 불량률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얼음정수기용 증발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c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vaporator for an ice water purifier which can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greatly improve the ease of welding, thereby drastically reducing the defective rate.

또한 기존의 증발기의 경우 냉매는 얼음생성부재를 따라 순차적으로 흐르기 때문에 냉매가 가장 먼저 흐르는 얼음생성부재(2상 포화냉매)와 제일 마지막으로 흐르는 얼음생성부재(과열 증기냉매) 사이에 냉매의 온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생성되는 얼음의 질이 균일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냉매가 열음생성부재를 따라 병렬로 분산되어 흐르기 때문에 각 얼음생성부재에 동일한 상태의 냉매가 흘러갈 수 있어 보다 균일한 상태의 얼음을 생산할 수 있는 얼음정수기용 증발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efrigerant flows sequentially along the ice producing member in the conventional evaporator,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between the ice producing member (two-phase saturated refrigerant) in which the refrigerant first flows and the ice producing member (superheated steam refrigerant) 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frigerant is dispersed and flows in parallel along the heat-dissipating member, the refrigerant in the same state can flow into each of the ice-producing member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vaporator for an ice water purifier which is capable of producing ice in one state.

본 발명의 목적은 얼음정수기용 증발기에 있어서, 일측에 형성된 냉매유입부를 통해 내부로 냉매가 유입되며, 외면 일측에 구비된 복수의 삽입관을 갖는 1차 냉매관; 및 하부 일측에 1차 냉매관의 삽입관 각각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홀 및 삽입홀에 대응되는 상부 일측 위치에 구비되는 복수의 얼음생성부재를 갖는 2차 냉매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로서 달성될 수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vaporator for an ice water purifier, comprising: a primary refrigerant tube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tubes installed at one side of a refrigerant inlet to a refrigerant inlet through a refrigerant inlet formed at one side; And a secondary coolant pipe having a plurality of ice generating member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upper sid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s, and an insertion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side to insert insertion pipes of the primary coolant pipes, respectively, And can be achieved as a double tube type evaporator.

1차냉매관으로 유입된 냉매는 각각의 삽입관으로 유입되고, 얼음생성부재측으로 유입되어 2차 냉매관의 냉매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primary refrigerant pipe flows into each of the insertion pipes, flows into the ice producing member side,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refrigerant discharging unit of the secondary refrigerant pipe.

삽입관은 1차 냉매관에 서로 병렬로 구비되며, 얼음생성부재는 2차 냉매관에 서로 병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insertion tubes may be provid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the primary refrigerant tube and the ice producing members may be provid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the secondary refrigerant tube.

1차 냉매관과 2차 냉매관은 내부에 물이 저장된 트레이부재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primary refrigerant pipe and the secondary refrigerant pipe may be installed in a tray member in which water is stored.

얼음생성부재 내부로 유입된 냉매는 얼음생성부재 외면에 접촉된 물과 열교환되어 물의 열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ice producing member is heat-exchanged with the water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ice producing member to absorb the heat of the water.

얼음생성부재는 핑거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the ice-generating member may be formed in a finger shape.

얼음생성부재의 내면과 삽입관의 외면 사이는 특정간격 이격되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ice-generating membe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tub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specific distance.

삽입관의 상부측에는 유입된 냉매를 얼음생성부재 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삽입관 배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an inlet pipe outlet for discharging the introduced refrigerant to the ice producing member side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let pipe.

복수의 삽입관은 1차 냉매관과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복수의 얼음생성부재는 2차 냉매관과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insertion tubes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rimary refrigerant tube, and the plurality of ice producing members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ary refrigerant tube.

삽입관의 길이방향과 1차 냉매관의 길이방향은 서로 수직이고, 얼음생성부재의 길이방향과 2차 냉매관의 길이방향은 서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tube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imary refrigerant tube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ce producing member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ary refrigerant tube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1차 냉매관으로 냉매를 유입시키기 위한 냉매공급수단 및 트레이부재로 물을 공급시키기 위한 물공급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 refrigerant supply means for introducing the refrigerant into the primary refrigerant pipe, and a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water to the tray member.

냉매공급수단을 제어하여 1차 냉매관으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고, 물공급수단을 제어하여 트레이부재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refrigerant supply unit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primary refrigerant pipe and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unit to control the flow rate of water supplied to the tray member.

얼음생성부재의 상부와 삽입관의 상부는 서로 특정이격거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upper portion of the ice-generating member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insertion tube may have a specific distance from each other.

또 다른 카테고리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얼음정수기용 증발기를 이용한 얼음생성방법에 있어서, 냉매가 냉매유입부를 통해 1차 냉매관으로 유입되는 단계; 유입된 냉매가 1차 냉매관에 구비된 복수의 삽입관 각각으로 유입되는 단계; 삽입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냉매가 2차 냉매관에 구비된 얼음생성부재 각각으로 유입되는 단계; 얼음생성부재로 유입된 냉매가 얼음생성부재 외부의 물의 열을 흡수하는 단계; 및 냉매가 2차 냉매관의 냉매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를 이용한 얼음생성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As another categor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ice using an evaporator for an ice water purifier, comprising the steps of: introducing a refrigerant into a primary refrigerant tube through a refrigerant inlet; Flowing the introduced refrigerant into each of a plurality of insertion tubes provided in the primary refrigerant tube; Introducing the refrigerant discharged through the inlet tube outlet into each of the ice producing members provided in the secondary refrigerant tube; Absorbing the heat of water outside the ice-producing member by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ice-producing member; And discharging the refrigerant through the refrigerant discharging portion of the secondary refrigerant pipe. The ice making method using the double pipe type evaporator for the ice water purifier can be achieved as described above.

얼음생성부재의 내면과 삽입관의 외면 사이는 특정간격 이격되어 지고, 물의 열을 흡수하는 단계에서, 냉매는 얼음생성부재의 내면과 상기 삽입관의 외면 사이공간을 따라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inner surface of the ice-generating membe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tub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step of absorbing the heat of water, the refrigerant flows along the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ice- have.

냉매공급수단에 의해 상기 1차 냉매관으로 냉매를 유입시키는 단계 및 물공급수단에 의해 트레이부재로 물을 공급시키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introducing the refrigerant into the primary refrigerant pipe by the refrigerant supply means and a step of supplying water to the tray member by the water supply means.

제어부에 의해 냉매공급수단이 제어되어, 1차 냉매관으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이 조절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primary refrigerant pipe by controlling the refrigerant supply means by the control unit.

따라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분리판을 사용하는 대신, 얼음생성부재보다 작은 직경의 원통관을 얼음생성부재에 삽입하여 이중관 형상으로 제작하여 제작공정이 간단해지고 용접의 용이성이 대폭 향상되어 불량률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stead of using the separator, the circular tub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ice produc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ice producing member to form a double tube, And the defective rate can be drastically reduced.

또한 기존의 증발기의 경우 냉매는 얼음생성부재를 따라 순차적으로 흐르기 때문에 냉매가 가장 먼저 흐르는 얼음생성부재(2상 포화냉매)와 제일 마지막으로 흐르는 얼음생성부재(과열 증기냉매) 사이에 냉매의 온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생성되는 얼음의 질이 균일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냉매가 열음생성부재를 따라 병렬로 분산되어 흐르기 때문에 각 얼음생성부재에 동일한 상태의 냉매가 흘러갈 수 있어 보다 균일한 상태의 얼음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since the refrigerant flows sequentially along the ice producing member in the conventional evaporator,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between the ice producing member (two-phase saturated refrigerant) in which the refrigerant first flows and the ice producing member (superheated steam refrigerant) 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frigerant is dispersed and flows in parallel along the heat-dissipating member, the refrigerant in the same state can flow into each of the ice-producing members, It is possible to produce ice in one state.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appreciate that various other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 얼음 정수기용 증발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얼음 정수기용 증발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 얼음 정수기용 증발기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4a는 종래 용접전 얼음생성부재의 사시도,
도 4b는 종래 링 용가재가 끼워진 상태의 용접전 얼음생성부재의 사시도,
도 5a는 종래 얼음 정수기용 증발기의 냉매관의 사시도,
도 5b는 종래 얼음 정수기용 증발기 냉매관의 홀에 얼음생성부재가 부착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6은 종래 얼음 정수기용 증발기에서 냉매의 흐름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7a는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도 6의 A-A 단면도,
도 7b는 분리판과 냉매관, 분리판과 얼음생성부재 사이에 틈이 발생된 경우의 도 6의 A-A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의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를 이용한 얼음 생성방법의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매의 흐름을 나타낸 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evaporator for an ice water purifier,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evaporator for an ice water purifier.
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evaporator for an ice water purifier,
4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ice-producing member before welding,
Fig. 4B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welding ice producing member in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ring-
5A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nt tube of an evaporator for a conventional ice water purifier,
5B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state where an ice producing member is attached to a hole of a conventional evaporator refrigerant tube for an ice water purifier,
6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flow of a refrigerant in an evaporator for a conventional ice water purifier,
FIG. 7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6,
FIG. 7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6 when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separator plate, the refrigerant pipe, the separator plate, and the ice-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uble pipe type evaporator for an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uble pipe type evaporator for an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double-tube evaporator for an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generating ice using a double pipe type evaporator for an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double pipe type evaporator for a water purifier, illustrating a flow of a refriger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a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a case where the other par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In addition, the inclusion of an elemen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but may in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1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1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100)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double-tube evaporator 100 for an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uble pipe type evaporator 100 for an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al pipe evaporator 100 for an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dual pipe evaporator 100 for an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100)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형성된 냉매유입부(13)를 통해 내부로 냉매(3)가 유입되며, 외면 일측에 구비된 복수의 삽입관(11)을 갖는 1차 냉매관(10); 및 하부 일측에 상기 1차 냉매관(10)의 삽입관(11) 각각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홀(22) 및 상기 삽입홀(22)에 대응되는 상부 일측 위치에 구비되는 복수의 얼음생성부재(4)를 갖는 2차 냉매관 (20)등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8 to 10, a double pipe type evaporator 100 for an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rigerant inlet port 13 formed at one side thereof for introducing refrigerant 3 therein, A primary refrigerant tube (10)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tubes (11) provided at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And an insertion hole 22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to insert the respective insertion tubes 11 of the primary refrigerant tube 10 and a plurality of ice producing members 4), and the like.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100)에 의해, 1차냉매관(10)으로 유입된 상기 냉매(3)는 각각의 삽입관(11)으로 유입되고, 그 후 냉매(3)는 얼음생성부재(4) 측으로 유입되며 2차 냉매관(20)의 냉매배출부(21)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즉, 종래 얼음정수기용 증발기(100)와는 달리 얼음생성부재(4)를 냉매관(10, 20)에 용접할 필요가 없고, 별도의 분리판을 얼음생성부재(4)와 냉매관(10,20)에 용접하는 과정이 필요없게 된다. 또한, 각각의 삽입관(11)과 1차 냉매관(10)은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각각의 얼음생성부재(4)와 2차 냉매관(20)이 일체형으로 구성되므로, 종래 얼음정수기용 증발기(100)와 같이, 분리판에 틈새가 생겨 얼음생성부재(4)로 냉매(3)가 유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refrigerant (3) introduced into the primary refrigerant pipe (10) can be introduced into each of the insertion pipes (10) through the double pipe type evaporator (100) for the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n the refrigerant 3 flows into the ice producing member 4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refrigerant discharging unit 21 of the secondary refrigerant pipe 20. Unlike the evaporator 100 for the conventional ice water purifier, it is not necessary to weld the ice generating member 4 to the refrigerant pipes 10 and 20, and a separate separating plate is provided between the ice producing member 4 and the refrigerant pipes 10, 20 are not necessary. In addition, since each of the insertion pipe 11 and the primary refrigerant pipe 10 are integrally formed and each of the ice producing member 4 and the secondary refrigerant pipe 20 are integrally formed, the conventional ic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refrigerant 3 can not flow into the ice producing member 4 due to a gap in the separating plate,

또한, 1차 냉매관(10)과 상기 2차 냉매관(20)은 내부에 물이 저장된 트레이부재(40) 내에 설치되어 지게 된다. 그리고, 얼음생성부재(4) 내부로 유입된 냉매(3)는 얼음생성부재(4) 외면에 접촉된 물과 열교환되어 물의 열을 흡수하여 얼음생성부재(4)의 외부 끝단 측으로 얼음이 생성되게 된다. In addition, the primary refrigerant pipe 10 and the secondary refrigerant pipe 20 are installed in the tray member 40 in which water is stored. The coolant 3 introduced into the ice producing member 4 is heat-exchanged with the water contacted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ice producing member 4 to absorb the heat of the water to generate ice at the outer end side of the ice producing member 4 do.

또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냉매관(10)으로 유입된 냉매(3)는 동시에 각각의 삽입관(11) 측으로 유입되어 삽입관(11) 각각이 삽입된 얼음생성부재(4) 내부로 유입되게 되므로, 균일한 온도의 냉매(3)가 얼음생성부재(4)로 유입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달리, 균일한 온도의 냉매(3)가 공급되게 됨으로써 얼음생성부재(4) 외면에서 균일한 상태의 얼음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8 to 10, the refrigerant 3 introduced into the primary refrigerant pipe 10 simultaneously flows into the side of each of the insertion tubes 11, so that each of the insertion tubes 11 generates ice The refrigerant 3 can be flowed into the ice-generating member 4 at a uniform temperature. Therefore, unlike the conventional case, the coolant 3 having a uniform temperature is supplied,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duce ice in a uniform stat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ce producing member 4.

이러한 얼음생성부재(4)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핑거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얼음생성부재(4)의 내면과 삽입관(11)의 외면 사이는 특정간격 이격되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8 to 10, the ice-generating member 4 is formed into a finge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urther, the inner surface of the ice-generating member 4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tube 1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specific distance.

또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관(11) 각각의 상부측에는 유입된 냉매(3)를 얼음생성부재(4) 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삽입관 배출구(12)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8 to 10, an insertion tube outlet 12 for discharging the introduced refrigerant 3 to the ice producing member 4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each of the insertion tubes 11 Able to know.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100)는 복수의 삽입관(11)은 1차 냉매관(10)과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진다. 또한, 복수의 얼음생성부재(4)는 2차 냉매관(20)과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관(11)의 길이방향과 1차 냉매관(10)의 길이방향은 서로 수직이고 얼음생성부재(4)의 길이방향과 2차 냉매관(20)의 길이방향은 서로 수직으로 형성되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double pipe type evaporator 100 for an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insertion pipes 11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rimary refrigerant pipe 10. Further, the plurality of ice-generating members 4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condary refrigerant pipe 20. 8 to 10,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tube 11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imary refrigerant tube 10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ce-producing member 4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ary refrigerant tube 10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20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100)는 1차 냉매관(10)으로 냉매(3)를 유입시키기 위한 냉매공급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트레이부재(4)의 물유입구(41)를 통해 트레이부재(40) 내로 물을 공급시키기 위한 물공급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ual pipe type evaporator 100 for an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frigerant supply unit for introducing the refrigerant 3 into the primary refrigerant pipe 10, And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water into the tray member 40 through the water inlet 41 of the tray member 40.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100)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러한 냉매공급수단을 제어하여 1차 냉매관(10)으로 유입되는 냉매(3)의 유량을 조절하고, 물공급수단을 제어하여 트레이부재(40)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The dual pipe evaporator 100 for an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to control the refrigerant supply unit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3 flowing into the primary refrigerant pipe 10 And the flow rate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tray member 40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means.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100)는, 얼음생성부재(4)의 상부와 삽입관(11)의 상부와는 서로 특정이격거리를 갖도록, 삽입관(11)이 얼음생성부재(4)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double pipe type evaporator 100 for an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ice-producing member 4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insertion tube 11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Is inserted into the ice-generating member 4.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생성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얼음생성방법은 앞서 언급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100)를 이용한 것이다. Hereinafter, a method of generating 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method of generating ice is using the dual pipe evaporator 100 for the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100)를 이용한 얼음 생성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매(3)의 흐름을 나타낸 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100)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ice using the dual pipe evaporator 100 for an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double pipe type evaporator 100 for a water purifier, showing a flow of a refrigerant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냉매(3)가 냉매유입부(13)를 통해 1차 냉매관(10)으로 유입되게 된다(S1).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냉매(3)는 냉매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며 제어부에 의해 1차 냉매관(10)으로 유입되는 냉매(3)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First, the refrigerant 3 flows into the primary refrigerant pipe 10 through the refrigerant inlet 13 (S1). As described above, the refrigerant 3 is supplied by the refrigerant supply unit and can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3 flowing into the primary refrigerant pipe 10 by the control unit.

1차 냉매관(10)으로 유입된 냉매(3)는 1차 냉매관(10)에 구비된 복수의 삽입관(11) 각각으로 유입되게 된다(S2).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복수의 삽입관(11)이 1차 냉매관(10)의 상부측으로 병렬로 배열되어 구비되므로, 균일한 온도, 상태의 냉매(3)가 동시에 복수의 삽입관(11)으로 유입되게 된다. The refrigerant 3 flowing into the primary refrigerant tube 10 flows into each of the plurality of insertion tubes 11 provided in the primary refrigerant tube 10 at step S2.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lurality of insertion tubes 11 are arranged in parallel on the upper side of the primary refrigerant tube 10, the refrigerant 3 of uniform temperature and state can be simultaneously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insertion tubes 11, .

그리고, 삽입관(11) 각각의 배출구를 통해 냉매(3)가 배출되어 2차 냉매관(20)에 일체형으로 구비된 복수의 얼음생성부재(4) 각각으로 유입되게 된다(S3).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삽입관(11)의 상부측과 얼음생성부재(4)의 상부측은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있어, 삽입관(11)에서 배출된 냉매(3)는 얼음생성부재(4)의 내부 상측으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얼음생성부재(4)로 유입된 냉매(3)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관(11)의 외면과 얼음생성부재(4)의 내면 사이의 공간을 따라 흐르게 된다. The refrigerant 3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of each of the insertion tubes 11 and flows into each of the plurality of ice generating members 4 integrally formed in the secondary refrigerant tube 20 at step S3.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side of the insertion tube 11 and the upper side of the ice producing member 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so that the refrigerant 3 discharged from the insertion tube 11 flows into the ice producing member 4, As shown in Fig. The refrigerant 3 flowing into the ice producing member 4 flows along the sp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tube 1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ice producing member 4, as shown in Fig.

이러한 과정에서 얼음생성부재(4)로 유입된 냉매(3)는 얼음생성부재(4) 외부에 존재하는 물의 열을 흡수하게 되면서, 얼음생성부재(4)의 외면으로 얼음이 생성되기 시작한다(S4).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냉매(3)는 균일한 상태로 병렬로 배열된 삽입관(11)으로 동시에 유입되어 얼음생성부재(4)로 배출되므로 얼음생성부재(4)에서 균일한 상태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process, the coolant 3 introduced into the ice-producing member 4 absorbs the heat of water present outside the ice-producing member 4, and ice starts to be gener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ce-producing member 4 S4). As described above, the refrigerant 3 flows into the insertion tube 11 arranged in parallel in a uniform state at the same time and is discharged to the ice producing member 4, so that the ice producing member 4 can uniformly discharge the ice .

그리고, 얼음생성부재(4) 내부에 유입된 냉매(3)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관(11)의 외면과 얼음생성부재(4)의 내면 사이의 공간을 따라 흐르면서, 2차 냉매관(20)으로 유입되고, 2차 냉매관(20)의 냉매 배출부(21)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S5). 이러한 냉매(3)의 순환은 얼음생성이 완료될 때까지 지속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제어부는 냉매공급수단을 제어하여 냉매(3)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물공급수단을 제어하여 트레이부재(40)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The refrigerant 3 flowing into the ice producing member 4 flows along the sp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tube 1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ice producing member 4, Flows into the refrigerant pipe 20,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refrigerant discharge portion 21 of the secondary refrigerant pipe 20 (S5). In this process,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efrigerant supply unit to adjust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3, and controls the water supply unit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3 to the tray member 40 Can be controll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한것으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ed embodiments are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종래 얼음정수기용 증발기
2:냉매관
3:냉매
4:얼음생성부재
5:얼음
6:분리판
7:용가제
8:링형 용가제
9:홀
10:1차 냉매관
11:삽입관
12:삽입관 배출구
13:냉매유입부
20:2차 냉매관
21:냉매배출부
22:삽입홀
40:트레이부재
41:물유입구
100:얼음 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
A:용접부분
1: Conventional evaporator for ice water purifier
2: Refrigerant pipe
3: Refrigerant
4: Ice producing member
5: Ice
6: Split plate
7: Usage agent
8: ring type
9: Hall
10: Primary refrigerant tube
11: Insertion tube
12: Insertion tube outlet
13: Refrigerant inlet portion
20: Secondary refrigerant tube
21:
22: Insertion hole
40:
41: Water inlet
100: Double tube type evaporator for ice water purifier
A: welding part

Claims (18)

얼음정수기용 증발기에 있어서,
일측에 형성된 냉매유입부를 통해 내부로 냉매가 유입되며, 외면 일측에 구비된 복수의 삽입관을 갖는 1차 냉매관; 및
하부 일측에 상기 1차 냉매관의 삽입관 각각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홀 및 상기 삽입홀에 대응되는 상부 일측 위치에 구비되는 복수의 얼음생성부재를 갖는 2차 냉매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
In an evaporator for an ice water purifier,
A first refrigerant tube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tube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refrigerant tube; And
And a secondary refrigerant tube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side for inserting each of the insertion tubes of the primary refrigerant tube and a plurality of ice producing members provided at an upper sid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 Double tube type evaporator for water purifi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냉매관으로 유입된 상기 냉매는 각각의 삽입관으로 유입되고, 상기 얼음생성부재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2차 냉매관의 냉매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primary refrigerant tube flows into each of the insertion tubes, flows into the ice-producing member side,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refrigerant discharging portion of the secondary refrigerant tub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은 상기 1차 냉매관에 서로 병렬로 구비되며,
상기 얼음생성부재는 상기 2차 냉매관에 서로 병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sertion tube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primary refrigerant tube,
And the ice-generating members are provid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the secondary refrigerant pi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냉매관과 상기 2차 냉매관은 내부에 물이 저장된 트레이부재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imary refrigerant pipe and the secondary refrigerant pipe are installed in a tray member in which water is store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생성부재 내부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얼음생성부재 외면에 접촉된 물과 열교환되어 상기 물의 열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ice-producing member is heat-exchanged with the water conta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ce-producing member to absorb the heat of the wa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생성부재는 핑거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ce-generating member is formed in a finger shap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생성부재의 내면과 상기 삽입관의 외면 사이는 특정간격 이격되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inner surface of the ice-producing membe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tub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의 상부측에는 유입된 냉매를 상기 얼음생성부재 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삽입관 배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insertion tube outlet for discharging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ice producing member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insertion tube.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삽입관은 상기 1차 냉매관과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복수의 얼음생성부재는 상기 2차 냉매관과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insertion tubes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rimary refrigerant pipe,
Wherein the plurality of ice-generating members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ary refrigerant pi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의 길이방향과 상기 1차 냉매관의 길이방향은 서로 수직이고,
상기 얼음생성부재의 길이방향과 상기 2차 냉매관의 길이방향은 서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tube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imary refrigerant tube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Where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ce-producing member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ary refrigerant pipe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냉매관으로 냉매를 유입시키기 위한 냉매공급수단 및 상기 트레이부재로 물을 공급시키기 위한 물공급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refrigerant supply unit for introducing the refrigerant into the primary refrigerant pipe; and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to the tray member.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공급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1차 냉매관으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고, 상기 물공급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트레이부재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primary refrigerant pipe by controlling the refrigerant supply unit and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water supplied to the tray member by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unit, Double tube type evaporator for water purifi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생성부재의 상부와 상기 삽입관의 상부는 서로 특정이격거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portion of the ice-producing member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insertion tube have a specific distance from each other.
얼음정수기용 증발기를 이용한 얼음생성방법에 있어서,
냉매가 냉매유입부를 통해 1차 냉매관으로 유입되는 단계;
유입된 냉매가 1차 냉매관에 구비된 복수의 삽입관 각각으로 유입되는 단계;
삽입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냉매가 2차 냉매관에 구비된 얼음생성부재 각각으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얼음생성부재로 유입된 냉매가 얼음생성부재 외부의 물의 열을 흡수하는 단계; 및
상기 냉매가 2차 냉매관의 냉매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를 이용한 얼음생성방법.
A method of generating ice using an evaporator for an ice water purifier,
Introducing the refrigerant into the primary refrigerant pipe through the refrigerant inlet;
Flowing the introduced refrigerant into each of a plurality of insertion tubes provided in the primary refrigerant tube;
Introducing the refrigerant discharged through the inlet tube outlet into each of the ice producing members provided in the secondary refrigerant tube;
Absorbing the heat of water outside the ice-producing member by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ice-producing member; And
And discharging the refrigerant through the refrigerant discharging unit of the secondary refrigerant pipe.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생성부재는 핑거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를 이용한 얼음생성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ice-generating member is formed in a finger shape.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생성부재의 내면과 상기 삽입관의 외면 사이는 특정간격 이격되어 지고,
상기 물의 열을 흡수하는 단계에서, 상기 냉매는 상기 얼음생성부재의 내면과 상기 삽입관의 외면 사이공간을 따라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를 이용한 얼음생성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inner surface of the ice-producing membe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tub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rein the refrigerant flows along a space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ice producing member and an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tube in the step of absorbing heat of the water.
제 14항에 있어서,
냉매공급수단에 의해 상기 1차 냉매관으로 냉매를 유입시키는 단계 및 물공급수단에 의해 상기 트레이부재로 물을 공급시키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를 이용한 얼음생성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introducing the refrigerant into the primary refrigerant pipe by the refrigerant supply means; and supplying water to the tray member by the water supply means. .
제 17항에 있어서,
제어부에 의해 상기 냉매공급수단이 제어되어, 상기 1차 냉매관으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이 조절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정수기용 이중관형 증발기를 이용한 얼음생성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And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primary refrigerant pipe by controlling the refrigerant supply unit by the control unit to adjust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primary refrigerant pipe.
KR1020130015986A 2013-02-14 2013-02-14 evaporator for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KR2014010252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986A KR20140102529A (en) 2013-02-14 2013-02-14 evaporator for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986A KR20140102529A (en) 2013-02-14 2013-02-14 evaporator for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529A true KR20140102529A (en) 2014-08-22

Family

ID=51747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986A KR20140102529A (en) 2013-02-14 2013-02-14 evaporator for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2529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9324A (en) * 2016-07-20 2016-07-27 (주) 유앤아이 Water dispenser equipped
KR20190074572A (en) * 2017-12-20 2019-06-28 주식회사 태성 Refrigerant tube for ice-making
KR102233469B1 (en) * 2020-10-26 2021-03-29 이진구 Evaporator for ice-making and ice-making device with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9324A (en) * 2016-07-20 2016-07-27 (주) 유앤아이 Water dispenser equipped
KR20190074572A (en) * 2017-12-20 2019-06-28 주식회사 태성 Refrigerant tube for ice-making
KR102233469B1 (en) * 2020-10-26 2021-03-29 이진구 Evaporator for ice-making and ice-making device with the same
CN114484942A (en) * 2020-10-26 2022-05-13 李镇九 Evaporator for ice making with internal partition removed and ice mak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6483B2 (en) Heat exchanger for micro channel
EP2977706B1 (en) Manifold and heat exchanger having same
CN101738128B (en) Header pipe of heat exchanger with plurality of rows of flat pipes and heat exchanger
KR20140102529A (en) evaporator for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ES2684366T3 (en) Air conditioner
US10697673B2 (en) Condenser with liquid receiver
JP2014098500A (en) Shunt
RU2684688C2 (en) Shell and tube heat exchanger, package of pipes for shell and tube heat exchanger, component of the pipe of pipes, application of shell and tube heat exchanger (options)
JP2009121783A (en) Heat exchanger
JP2008008584A (en) Heat exchanger
JP6281909B2 (en) Parallel flow heat exchanger
JP2008267610A (en) Heat exchang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04309127A (en) Refrigerant condensing device
CN105485972B (en) A kind of micro-channel heat exchanger and installation method
KR20120037617A (en) Pipe connecting member of evaporator for vehicle
CN103277944A (en) Dry-type evaporator
JP2016183847A (en) Heat exchanger
KR20200142968A (en) Icemaker of water purifi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80003302U (en) Refrigerant Distributor of Air conditioner
KR101288756B1 (en) Refrigerant Distribution Pip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JP2010203747A (en) Flow divider
JP2006064246A (en) Tube for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r
JP2005207615A (en) Evaporator
JP5460212B2 (en) Heat exchanger
KR20210044758A (en) A heat exc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