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2425A - 패트병 - Google Patents

패트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2425A
KR20140102425A KR1020130015664A KR20130015664A KR20140102425A KR 20140102425 A KR20140102425 A KR 20140102425A KR 1020130015664 A KR1020130015664 A KR 1020130015664A KR 20130015664 A KR20130015664 A KR 20130015664A KR 20140102425 A KR20140102425 A KR 20140102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bottle
carbonated
discharge port
bott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범상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15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2425A/ko
Publication of KR20140102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4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6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with closable apertures at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5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dispensing valves actuated by the receptacle to be fi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패트병은, 패트병 본체; 상기 패트병 본체의 하단에 설치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패트병 본체의 하단에 토출구와 토출 밸브를 설치하여 상기 토출 밸브에 의해 탄산음료를 반복 음용하면서도 탄산음료의 청량감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패트병{Pat bottle}
본 발명은 패트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산음료의 청량감을 보존할 수 있는 패트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트병은 경질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제조된 것으로, 투명하면서도 매우 가벼워 음료 용기로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패트병은 물, 음료 등의 각종 액체를 담아서 보관할 수 있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물, 음료 등을 수용하는 몸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 상단에 연장되어 병목이 형성되며, 병목 상측에 형성된 개구부에 결합되는 마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패트병에 관한 대표적인 예가 하긴 특허문헌 1(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에 도시한 종래기술의 패트병(2)에 탄산음료를 주입하여 마개로 개구부를 폐쇄하게 된다. 이때, 탄산음료를 음용하기 위해 패트병의 마개를 개방하면 탄산음료에 포한된 탄산이 휘산된다.
이 때문에, 탄산음료를 바로 마시지 않고 패트병의 마개를 오래 개방하게 되면 탄산이 휘산되어 탄산음료의 청량감이 사라지게 된다.
더욱이, 탄산음료를 음용한 패트병은 음용한 음료만큼의 공간으로 탄산음료의 탄산이 휘산되어 버리기 때문에 차후에 다시 마시기 위해 마개를 개방하면 휘산된 탄산이 패트병의 외부로 배출되어 탄산음료의 맛이 저하된다.
또한, 탄산이 휘산된 기체는 상승하려는 성질을 가지게 되어 마개를 개방할 때마다 탄산이 패트병 외부로 배출되어 탄산음료의 청량감 보존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탄산음료를 반복 음용하면서 탄산음료의 청량감을 보존할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패트병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10778호(2000.11.07.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탄산음료를 반복 음용하면서도 탄산의 휘산을 최대한 억제하여 탄산음료의 청량감을 보존할 수 있는 패트병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패트병은, 패트병 본체; 상기 패트병 본체의 하단에 설치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트병 본체에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에 토출구가 연통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구에는 유로를 개폐하는 토출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트병에 따르면, 패트병 본체의 하단에 토출구와 토출 밸브를 설치하여 상기 토출 밸브에 의해 탄산음료를 반복 음용하면서도 탄산음료의 청량감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탄산의 상승하려는 성질을 이용하여 패트병 하단에 형성된 토출 밸브로의 탄산의 휘산을 최대한 억제하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패트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트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트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트병(P)은, 탄산음료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패트병 본체(100)와, 상기 패트병 본체(100)의 하단에 설치되어 탄산음료가 토출되는 토출구(2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패트병 본체(100)의 하부에는 절개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110)에 토출구(200)가 연통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200)에는 유로를 개폐하는 토출 밸브(300)가 설치된다. 상기 토출 밸브(30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함에 따라 토출구(200)의 유로를 개폐하게 된다.
이러한 토출 밸브(300)는 공지된 수도 꼭지 및 밸브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구성 및 동작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패트병 본체(100)는 마개(101)가 구비된 형태로 구성되거나 마개가 구비되지 않도록 폐쇄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패트병 본체(100)의 하단에 토출 밸브(300)를 설치하여 상기 토출 밸브(300)에 의해 탄산음료를 반복 음용하면서도 탄산음료의 청량감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탄산의 상승하려는 성질을 이용하여 패트병 하단에 형성된 토출 밸브(300)로의 탄산의 휘산을 최대한 억제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P - 패트병 100 - 패트병 본체
200 - 토출구 300 - 토출 밸브

Claims (3)

  1. 패트병 본체; 및
    상기 패트병 본체의 하단에 설치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트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트병 본체에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에 토출구가 연통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트병.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에는 유로를 개폐하는 토출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트병
KR1020130015664A 2013-02-14 2013-02-14 패트병 KR201401024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664A KR20140102425A (ko) 2013-02-14 2013-02-14 패트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664A KR20140102425A (ko) 2013-02-14 2013-02-14 패트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425A true KR20140102425A (ko) 2014-08-22

Family

ID=51747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664A KR20140102425A (ko) 2013-02-14 2013-02-14 패트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24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58375A (zh) 用于保存液体内容物的容器
KR101515423B1 (ko) 첨가물 투입 병마개
KR20150135994A (ko) 바닥을 통해 음료 주입이 이루어지는 음료 용기
KR200473800Y1 (ko) 맥주잔
KR101376289B1 (ko) 혼합음료제조키트
EP2225165B1 (en) Bottle with cap which keeps the liquid contained in it effervescent and fresh even after partial consumption of the liquid
KR20140102425A (ko) 패트병
KR20170052358A (ko) 음료 용기
KR100840436B1 (ko) 탄산가스 주입용 압력용기 일체형 냉장고
BR102014025747A2 (pt) dispositivo para servir líquido gaseificado com válvula para introdução de co2
KR200411882Y1 (ko) 빨대 용기마개
KR101188111B1 (ko) 음료 용기
KR20160022166A (ko)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
KR101331508B1 (ko) 알콜 및 탄산음료병 마개
KR20190030379A (ko) 탄산이 덜 빠지는 페트병
KR200331138Y1 (ko) 탄산음료 용기
KR200344567Y1 (ko) 음료 용기
KR200469336Y1 (ko) 거품발생체가 구비된 맥주컵
KR20100011713U (ko) 위생캔
KR200251343Y1 (ko) 컵 겸용 마개
KR200177616Y1 (ko) 두개의 방(공간)으로 나눈 외두병과 쌍두병
KR20080000056U (ko) 병뚜껑
KR200359480Y1 (ko) 음료용기
KR200244231Y1 (ko) 더블형 1.5리터 페트병
KR200396029Y1 (ko) 가스 누출 방지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