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1634A - 얼음과 물을 별도로 배출하는 얼음 정수장치 - Google Patents

얼음과 물을 별도로 배출하는 얼음 정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1634A
KR20140101634A KR1020130015022A KR20130015022A KR20140101634A KR 20140101634 A KR20140101634 A KR 20140101634A KR 1020130015022 A KR1020130015022 A KR 1020130015022A KR 20130015022 A KR20130015022 A KR 20130015022A KR 20140101634 A KR20140101634 A KR 20140101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tray
water
making
vertical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0355B1 (ko
Inventor
이은영
Original Assignee
이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영 filed Critical 이은영
Priority to KR1020130015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0355B1/ko
Publication of KR20140101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1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음과 물을 별도로 배출하는 얼음 정수장치에 있어서, 특히 얼음 제빙 트레이를 상하로 승하강시키면서 잔수를 배출하도록하고, 이 과정에서 제빙된 얼음을 슬라이딩 도어를 통해 얼음 저장고로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과 물을 별도로 배출하는 얼음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냉매에 의해 얼음을 생성시키는 냉매관(11) 및 상기 냉매관에 다수개 설치되는 침지관(1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냉매관(11)을 통해 공급된 냉매가 침지관(12)으로 공급되어 침지관(12)의 외측을 통해 얼음이 생성되는 얼음 제빙 시스템(10)과; 상기 얼음 제빙 시스템의 하단에 설치되며, 얼음을 제작하기 위한 원수가 삽입되며, 일측에 배출구를 갖는 트레이(20)와; 상기 제빙 트레이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트레이를 상하로 승하강 하도록 구동동력을 제공하는 트레이 승하강 수단(30)과; 상기 트레이(20)의 측면에 설치되어 트레이가 하강하면 얼음 제빙 시스템의 하단부로 위치되어 얼음 제빙 시스템으로부터 토출되는 얼음을 넘겨받아 저장통으로 인가하는 얼음 슬라이딩 도어(5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얼음과 물을 별도로 배출하는 얼음 정수장치{An Ice Filtering Unit}
본 발명은 얼음과 물을 별도로 배출하는 얼음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얼음 제빙 트레이를 상하로 승하강시키면서 잔수를 배출하도록하고, 이 과정에서 제빙된 얼음을 슬라이딩 도어를 통해 얼음 저장고로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과 물을 별도로 배출하는 얼음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 정수기는 정수된 물을 저장하고, 이 정수를 냉각하거나 가열하여 사용자에게 냉수 및 온수를 공급하는 것으로, 각각의 저장수조가 구비되어 일정시간 저장하여 필요에 따라 공급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다시 말해, 정수가 저장되는 정수수조와 냉수가 저장되는 냉수수조 및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수조로 구비되며, 정수는 냉수수조와 온수수조에 이동과정에서 냉수시스템과 온수시스템을 거치게 된다.
최근에 들어, 이러한 냉온 정수기에 얼음을 생성시킬 수 있는 제빙시스템이 더 구비된 얼음 정수기가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어 냉수와 온수는 물론, 얼음을 제공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정수구조의 얼음 생성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정수구조의 얼음 생성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얼음 정수기의 제빙시스템(1)은 제빙수가 담겨지는 제빙수조(2)와 이 제빙수조(2)에 담겨진 제빙수에 다수의 침지관(4)이 침지되어 내부를 따라 이동되는 냉매에 의해 얼음을 생성시키는 냉매관(3)이 구비된다.
그리고 제빙수조(2)의 하측에는 경사진 그릴(7)을 상단에 갖는 리턴저장부(6)가 구비되고, 그릴(7)의 경사진 하단부에는 얼음저장부(8)가 구비된다.
다수의 침지관(4)이 제빙수조(2)에 담겨진 제빙수에 침지된 상태에서 냉매관(3)에 냉매를 공급하여 얼음을 생성시킨 후, 구동모터(5)에 의해 제빙수조(2)를 리턴저장부(6)의 그릴(7) 상측으로 회전시켜 제빙수조(2)에 담겨진제빙수와 얼음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제빙수는 그릴(7)을 통과하여 제빙수저장부(6)에 저장되고, 얼음은 그릴(7)에 걸린 후, 그 경사에 의해 얼음저장부(8)로 이동되어 저장된다.
이러한 얼음 정수기의 제빙시스템(1)에 의해 냉수와 온수는 물론, 얼음도 제공받을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트레이를 직접 회전시켜서 제빙된 얼음 및 잔수를 외부로 출력하기 때문에 장치가 복잡해지고, 아울러 얼음 및 잔수가 동시에 제빙수 저장부에 출력되기 때문에 제빙수가 얼음 표면에 묻을 수 밖에 없어 양질의 제빙어음을 추출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트레이를 승하강시키는 과정에서 배출수를 외부로 출력하도록하고, 이때 제빙 얼음은 슬라이딩 도어를 통해 별도로 얼음 저장부로 유동시키도록 함으로서 양질의 제빙얼음을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냉매에 의해 얼음을 생성시키는 냉매관(11) 및 상기 냉매관에 다수개 설치되는 침지관(1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냉매관(11)을 통해 공급된 냉매가 침지관(12)으로 공급되어 침지관(12)의 외측을 통해 얼음이 생성되는 얼음 제빙 시스템(10)과; 상기 얼음 제빙 시스템의 하단에 설치되며, 얼음을 제작하기 위한 원수가 삽입되는 트레이(20)와; 상기 제빙 트레이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트레이를 상하로 승하강 하도록 구동동력을 제공하는 트레이 승하강 수단(30)과; 상기 트레이(20)의 측면에 설치되어 트레이가 하강하면 얼음 제빙 시스템의 하단부로 위치되어 얼음 제빙 시스템으로부터 토출되는 얼음을 넘겨받아 저장통으로 인가하는 얼음 슬라이딩 도어(5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트레이 승하강 수단(30)은, 트레이와 접속하기 위한 링크(31)와, 트레이에 설치되는 제 1 힌지축(32)과, 몸체에 설치되는 제 2 힌지축(33)을 포함하며, 회전에 의해서 링크(31)를 승하강시켜 트레이(20)를 상하로 유동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 1 힌지축은, 트레이를 경사로 유동시키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트레이 이동 레일(40)에 결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얼음 슬라이딩 도어(50)는, 제 1 수직바(51) 및 제 2 수직바(52)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수직바(51) 및 제 2 수직바(52) 연결지점에 스파이럴 스프링부(53)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부(53)는, 고정축(53a)과, 유동축(53b)과, 스파이럴 스프링(53c)으로 구성하되, 유동축(53b)에 제 1 수직바(51) 및 제 2 수직바(52)가 연결되어 고정축(53a)을 기준으로 유동축(53b)이 움직일때 스파이럴 스프링(53)이 탄성력을 축적하고, 유동축(53b)을 정지시키면 스파이럴 스프링(53)의 탄성력이 작동하여 원래 자리로 복귀시키도록 힘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배출구는, 배수펌프를 통해 연결되어 트레이의 내부의 물을 강제로 외부로 배출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도어가 열리면서 중력에 의해서 수동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트레이를 승하강시키는 과정에서 배출수를 외부로 출력하도록하고, 이때 제빙 얼음은 슬라이딩 도어를 통해 별도로 얼음 저장부로 유동시키도록 함으로서 양질의 제빙얼음을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얼음 정수장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얼음 정수장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파이얼 스프링부 상세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얼음 정수장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파이얼 스프링부 상세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크게 얼음 제빙 시스템(10)과, 트레이(20)와, 트레이 승하강 수단(30)과, 트레이 이동레일(40)과, 얼음 슬라이딩 도어(50)와, 얼음 저장고(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얼음 제빙 시스템(10)은 냉매에 의해 얼음을 생성시키는 냉매관(11) 및 상기 냉매관에 다수개 설치되는 침지관(1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냉매관(11)을 통해 공급된 냉매가 침지관(12)으로 공급되어 침지관(12)의 외측을 통해 얼음이 생성된다.
상기 트레이(20)는 얼음을 제작하기 위한 원수가 삽입되는 것으로 침지관(12)을 담궈서 상기 침지관(12)의 외측으로 얼음이 형성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20)는 일측에 배수관(21)을 설치하여 하강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추관을 출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트레이 승하강 수단(30)은 회전몸체(30a)와, 회전몸체 및 트레이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링크(31)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는 트레이의 제 1 힌지축(32) 및 몸체의 제 2 힌지축(33)에 결합하며, 회전에 의해서 링크(31)를 승하강시켜 제 1 힌지축이 결합된 트레이(20)를 상하로 유동시킨다.
상기 트레이 이동레일(40)은 트레이(20)가 경사지게 상하로 유동시 제 1 힌지축(32)이 경사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한다.
상기 얼음 슬라이딩 도어(50)는 제 1 수직바(51) 및 제 2 수직바(52)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수직바(51) 및 제 2 수직바(52) 연결지점에 스파이럴 스프링부(53)를 장착하여 트레이(20)가 하강하면 스파이럴 스프링부(53)이 펼쳐지면서 하강하여 제 1 수직바(51) 및 제 2 수직바(52)가 경사지게 변형되면서 침지관(12)으로부터 탈거되는 제빙 얼음을 내려받아 얼음저장고로 유도한다. 그리고, 트레이(20)가 상승하면 트레이(20)가 얼음 슬라이딩 도어(50)를 수직하게 세우게 되고, 이에 따라 스파이럴 스프링부(53)이 감기면서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부(53)는 고정축(53a)과, 유동축(53b)과, 스파이럴 스프링(53c)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유동축(53b)에 제 1 수직바(51) 및 제 2 수직바(52)가 연결되어 고정축(53a)을 기준으로 유동축(53b)이 움직일때 스파이럴 스프링(53)이 탄성력을 축적하고, 유동축(53b)을 정지시키면 스파이럴 스프링(53)의 탄성력이 작동하여 원래 자리로 복귀시키도록 힘을 제공한다.
상기 얼음 저장고(60)는 얼음 슬라이딩 도어(50)의 일단에 설치되면 얼음 슬라이딩 도어(50)를 통해 공급되는 제빙 얼음(1)을 임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얼음 제빙 시스템(10)과, 트레이(20)와, 트레이 승하강 수단(30)과, 트레이 이동레일(40)과, 얼음 슬라이딩 도어(50)와, 얼음 저장고(60)로 이루어지는바, 얼음 제빙 시스템(10)의 하부에 트레이(20)가 설치되고, 트레이(20)의 하단에 트레이 승하강 수단(30)이 설치된다.
이때 트레이(20)에는 제 1 힌지축(32)이 설치되고, 트레이 승하강 수단(30)의 회전몸체(30a)에는 제 2 힌지축(33)이 설치되며, 상기 제 1 힌지축(32) 및 제 2 힌지축(33)은 링크(31)에 의해 상호 연결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힌지축(32)은 트레이 이동 레일(40)에 설치되며, 이에 따라 제 1 힌지축(32)은 곧바로 하강하지 않고 트레이 이동 레일(40)을 따라 경사지게 승하강 하게 된다.
상기 얼음 슬라이딩 도어(50)는 트레이(20)의 일측에 설치되며, 스파이럴 스프링부(53)를 포함하고 이루어지므로 트레이(20)가 하강시에 스파이럴 스프링력에 의해서 하강하고, 트레이(20)가 상승하면 다시 수직하게 세워지면서 스파이럴 스프링(53c)이 감기게 된다.
그리고, 얼음 저장고(60)는 얼음 슬라이딩 도어(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얼음 슬라이딩 도어(50)로부터 출력되는 얼음을 임시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파이럴 스프링(spiral spring)은 산업 전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줄자, 차량의 안전벨트장치, 청소기와 같은 전자제품의 전선릴 등에 마련되는 자동 권취장치에 탄성 변형력 저장부재로 이용되어 줄자, 벨트, 전선의 권출 시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을 저장하고 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저장된 탄성 변형력(탄성 복원력)에 의해 줄자, 벨트, 전선이 신속하게 되감기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53c)을 얼음 슬라이딩 도어에 적용하여 외력이 제공되면 탄성 변형력을 저장하고, 외력이 제거되면 타성 변형력을 외부로 표출되어 얼음 슬라이딩 도어(50)가 움직여서 경사진 상태로 변형되도록 유도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얼음 제빙 시스템(10)과, 트레이(20)와, 트레이 승하강 수단(30)과, 트레이 이동 레일(40)과, 얼음 슬라이딩 도어(50)와, 얼음 저장고(60)를 구비하는바, 상기 얼음 제빙 시스템(10)은 냉매관(11) 및 침지관(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트레이(20)에는 원수가 담겨진 상태이고 침지관(12)이 트레이(2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얼음 제빙 시스템(10)을 가동하여 냉매관(11) 및 침지관(12)에 냉매를 공급하여 트레이에 담긴 원수가 냉매관(11)의 외측에 접촉되면서 얼음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트레이(20) 내부에서 얼음을 생성시키는 기술개념을 종래와 동일하며, 아울러 얼음을 탈거시키는 기술개념도 종래와 동일하다. 즉, 본 발명은 얼음을 생성시키는 것이나 얼음을 탈거시키는 것은 종래의 기술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트레이(20) 내부에서 얼음 제작이 완료되면, 트레이(20)에는 잔수가 남아 있는 상태가 된다.
이후, 트레이 승하강 수단(30)의 회전몸체(30a)를 구동시키게 되면 회전몸체(30a)의 회전에 상응하여 링크(31)가 유동한다.
상기에서 링크(31)가 유동하게 되면 제 1 힌지축(32)을 구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트레이(20)가 하강하게 된다.
상기 제 1 힌지축(32)은 트레일 이동 레일(40)에 의해서 움직임이 제한되는바, 트레일 이동 레일(40)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트레이는 경사진 방향으로 하향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트레이(20)의 좌측에는 얼음 슬라이딩 도어(50)가 설치되어 있는바, 트레이(20)의 이동과 함께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이후, 트레이(20)가 최하단부로 이동하게 되면 얼음 슬라이딩 도어(50)가 경사진 방향으로 고정되며, 이때 침지관(12)에 매달린 제빙 얼음(1)을 탈거시키고, 탈거된 제빙 얼음(1)은 얼음 슬라이딩 도어(50)를 통해 굴러서 얼음 저장고(60)로 유입된다.
이때, 트레이(20) 몸체의 일측에는 잔수 배출구(21)가 형성되어 있는바, 아래로 하강한 상태에서 잔수 배출구(21)를 개방하여 물을 배출시킨다. 물을 배출시키는 방법은 배수펌프를 연결시켜 강제로 배출시킬 수도 있고, 외부 장치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도어가 열리면서 수동으로 배출시킬 수 도 있다. 이러한 배출방법은 매우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빙 얼음(1)만이 얼음 슬라이딩 도어를 통해 별도로 추출되고, 또한 트레이에 남겨진 잔수도 별도로 추출할 수 있어 양질의 제빙 얼음만이 얼음 저장고에 임시 저장된다.
이후, 트레이 승하강 수단(30)을 구동하여 링크(31)를 상승시키게 되면 제 1 힌지축(32)이 트레이 이동 레일(40)을 따라 경사지게 상승하면서 얼음 제빙 시스템 (10)위치로 복귀하여 다시 얼음을 얼릴 수 있는 준비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트레이(20)에 슬라이딩 접촉되어 있는 얼음 슬라이딩 도어(가 자연스럽게 유동하면서 수직 상태로 배치되고, 동시에 스파이럴 스프링이 감기면서 회전력을 저장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잔수의 배출과 제빙 얼음의 배출을 별도로 진행하게 되므로 보다 양질의 제빙 얼음을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0: 얼음 제빙 시스템
20: 트레이
30: 트레이 승하강 수단
40: 트레이 이동레일
50: 얼음 슬라이딩 도어
60: 얼음 저장고

Claims (6)

  1. 냉매에 의해 얼음을 생성시키는 냉매관(11) 및 상기 냉매관에 다수개 설치되는 침지관(1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냉매관(11)을 통해 공급된 냉매가 침지관(12)으로 공급되어 침지관(12)의 외측을 통해 얼음이 생성되는 얼음 제빙 시스템(10)과;
    상기 얼음 제빙 시스템의 하단에 설치되며, 얼음을 제작하기 위한 원수가 삽입되며, 일측에 배출구를 갖는 트레이(20)와;
    상기 제빙 트레이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트레이를 상하로 승하강 하도록 구동동력을 제공하는 트레이 승하강 수단(30)과;
    상기 트레이(20)의 측면에 설치되어 트레이가 하강하면 얼음 제빙 시스템의 하단부로 위치되어 얼음 제빙 시스템으로부터 토출되는 얼음을 넘겨받아 저장통으로 인가하는 얼음 슬라이딩 도어(5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과 물을 별도로 배출하는 얼음 정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승하강 수단(30)은,
    회전몸체(30a)와, 회전몸체 및 트레이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링크(31)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는 트레이의 제 1 힌지축(32) 및 몸체의 제 2 힌지축(33)에 결합하며, 회전에 의해서 링크(31)를 승하강시켜 제 1 힌지축이 결합된 트레이(20)를 상하로 유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과 물을 별도로 배출하는 얼음 정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축(32)은,
    트레이를 경사로 유동시키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트레이 이동 레일(4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과 물을 별도로 배출하는 얼음 정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슬라이딩 도어(50)는,
    제 1 수직바(51) 및 제 2 수직바(52)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수직바(51) 및 제 2 수직바(52) 연결지점에 스파이럴 스프링부(53)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과 물을 별도로 배출하는 얼음 정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부(53)는,
    고정축(53a)과, 유동축(53b)과, 스파이럴 스프링(53c)으로 구성하되, 유동축(53b)에 제 1 수직바(51) 및 제 2 수직바(52)가 연결되어 고정축(53a)을 기준으로 유동축(53b)이 움직일때 스파이럴 스프링(53)이 탄성력을 축적하고, 유동축(53b)을 정지시키면 스파이럴 스프링(53)의 탄성력이 작동하여 원래 자리로 복귀시키도록 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과 물을 별도로 배출하는 얼음 정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배수펌프를 통해 연결되어 트레이의 내부의 물을 강제로 외부로 배출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도어가 열리면서 중력에 의해서 수동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과 물을 별도로 배출하는 얼음 정수장치.
KR1020130015022A 2013-02-12 2013-02-12 얼음과 물을 별도로 배출하는 얼음 정수장치 KR101520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022A KR101520355B1 (ko) 2013-02-12 2013-02-12 얼음과 물을 별도로 배출하는 얼음 정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022A KR101520355B1 (ko) 2013-02-12 2013-02-12 얼음과 물을 별도로 배출하는 얼음 정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634A true KR20140101634A (ko) 2014-08-20
KR101520355B1 KR101520355B1 (ko) 2015-05-14

Family

ID=51746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022A KR101520355B1 (ko) 2013-02-12 2013-02-12 얼음과 물을 별도로 배출하는 얼음 정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03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42662A (zh) * 2016-10-09 2017-03-29 深圳市奈士迪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制冰设备
KR20190120840A (ko) * 2018-04-16 2019-10-25 김대환 링키지 구조의 제빙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42662A (zh) * 2016-10-09 2017-03-29 深圳市奈士迪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制冰设备
CN106542662B (zh) * 2016-10-09 2019-09-13 永康市普方铝业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制冰设备
KR20190120840A (ko) * 2018-04-16 2019-10-25 김대환 링키지 구조의 제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0355B1 (ko) 2015-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04002490T2 (de) Reinigungsvorrichtung für ein Haarentfernungsgerät
IT201800002500A1 (it) Fabbricatore di ghiaccio
CN109160567A (zh) 一种具有刮板调节功能的水处理设备
KR101520355B1 (ko) 얼음과 물을 별도로 배출하는 얼음 정수장치
CN1700870A (zh) 去除毛发设备的清洁装置
CN108188216B (zh) 板材加工装置
CN107670889A (zh) 一种花洒出水孔清洁装置
CN108356653A (zh) 一种油缸内壁抛磨机
JP2018192141A (ja) 飲料供給装置
CN201497099U (zh) 空调扇
JP2020007816A (ja) 局部洗浄装置
CN108518905B (zh) 一种牛奶冰箱的供奶方法
KR100737420B1 (ko) 탈지용액의 거품 및 슬러지 제거장치
CN209621326U (zh) 一种地铁盾构渣土运输装置
US1864866A (en) Water treating and storage apparatus
JP5669490B2 (ja) 発泡性液体の充填装置
US2113972A (en) Beer cooler
CN110304782A (zh) 一种印染工业废水处理装置
CN109397104A (zh) 一种金属板氧化层去除装置
CN103670589B (zh) 抽油机
CN206067755U (zh) 轨道车辆用冷凝水排水装置
CN106267394A (zh) 血液融化箱
CN110561919B (zh) 一种电容器生产喷码设备
US524199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ling and impregnating capacitors with a capacitor oil
CN212024957U (zh) 污水处理工程用除油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