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1368A -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용 여기 장치 및 차량의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의 여기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용 여기 장치 및 차량의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의 여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1368A
KR20140101368A KR1020147016058A KR20147016058A KR20140101368A KR 20140101368 A KR20140101368 A KR 20140101368A KR 1020147016058 A KR1020147016058 A KR 1020147016058A KR 20147016058 A KR20147016058 A KR 20147016058A KR 20140101368 A KR20140101368 A KR 20140101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system
braking force
excitation
energy consumption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6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0997B1 (ko
Inventor
요흔 마이어
외륵 리트뮐러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101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1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18Connection thereof to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62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characterised by specified functions of the control system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5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 hydraulic system, e.g. a master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60T7/1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operated upon collapse of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20/00Monitoring, detecting driver behaviour; Signalling thereof; Counteracting thereof
    • B60T2220/04Pedal travel sensor, stroke sensor; Sensing brake requ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oy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28)용 여기 장치(10)에 관한 것으로서,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정 가능한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12)에 동반 조정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는 자석(14)과,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12)에 배치된 자석(14)의 동반 조정을 통해 자석(14)과 전도체(16) 사이에서 작동되는 상대 운동의 경우 유도 전압이 유도될 수 있는 전도체(16)와,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28)이 유도 전압 또는 여기 신호를 이용해 제1 에너지 소비 모드로부터 제2 에너지 소비 모드로 제어되도록 유도 전압 또는 유도 전압의 고려 하에 생성된 여기 신호를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28)에 출력할 수 있는 출력 장치(18)를 구비하며, 이때 자석(14)은 변속기 장치(20)를 이용해, 자석(14)이 동반 조정을 통해 회전 운동(22)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조정 가능한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12)에 동반 조정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12)의 여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용 여기 장치 및 차량의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의 여기 방법{EXCITATION DEVICE FOR A BRAKE SYSYEM COMPONENT OF A VEHICLE AND METHOD FOR EXCITING AT LEAST ONE BRAKE SYSTEM COMPONENT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용 여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의 여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헌 DE 101 23 730 A1호에는 작동 부재 위치의 안전한 전달을 위한 시스템, 위치 조정기 및 수신 장치가 설명된다. 상기 시스템은 여기 장치를 포함하고, 센서 채널 내에서 여기를 위해 허용된 신호를 인식하고 나서 수면 모드로부터 완전히 활성화된 작동 모드로 추가 구성부품들을 제어하도록 설치된다. 여기를 위해 허용된 신호는 페달에 동반 조정되도록 선형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자석을 통해 센서 채널 내로 유도된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을 갖는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용 여기 장치, 제9항의 특징을 갖는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용 제동력 부스터 장치, 제10항의 특징을 갖는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용 브레이크 기기, 및 제12항의 특징을 갖는 차량의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의 여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을 여기하도록 이용될 수 있는 유도 전압 또는 상응하는 유도 전류를 유도하기 위해, 자석이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과 함께 동반 조정됨으로써 회전 운동으로 변위될 수 있는 방식으로, 변속기 장치를 이용해 조정 가능한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에 동반 조정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거나/배치되는 자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유도 전압을 유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이미 변속기 장치를 이용해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과 동반 조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자석도 이용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자석으로써 이미 종래 방식으로 다른 기능을 위해 이용되는 자석을 이용할 수 있는 여기 장치의 형성을 구현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현 가능한 자석의 다기능성으로 인해 여기 장치용으로만 이용되는 자석이 생략될 수 있다. 이는 설치 공간의 절약과 여기 기능을 실행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을 갖는 차량의 장착 비용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등 스위치가 없는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여기 기능 형성도 가능하게 한다. 전기 기계식 제동력 부스터를 구비한 브레이크 시스템의 경우 브레이크등 스위치는 빈번하게 절약된다. 이로써 이러한 경우에 절약된 브레이크등 스위치는 제공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을 활성화하기 위해 이용될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서도 본 발명을 이용해 유도 전압 또는 여기 신호가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의 구성부품에 여기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그래서 전기 기계식 제동력 부스터도 여기될 수 있다. 이는 모든 내부 센서들이 비활성화 모드로/수동으로 제공되고 활성화 신호/여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도 보장된다.
본 발명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과 같은 브레이크 작동 구성부품을 작동할 경우에 생성되는 유도 신호/여기 신호를 통해,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 예컨대 제동력 부스터를 스위치온/여기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이전에 수동 상태로 제공된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은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의 작동에 의해 간단하고 신뢰할만하게 능동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특히 여기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해, 내부 센서들 중 하나의 센서가 능동으로 제공될 필요가 없어서 전류를 소모하지 않으면서, 내부의 유도 생성된 신호를 통해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의 스위치온/여기가 가능하다.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은, 제2 에너지 소비 모드로부터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의 제2 에너지 소비와는 상이한 제1 에너지 소비 모드로부터의 제1 에너지 소비를 포함한다. 예컨대 제1 에너지 소비 모드로부터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은 제2 에너지 소비 모드로부터와는 다른 수의 하부 유닛들이 활성화될 수 있다. 제1 에너지 소비 또는 제2 에너지 소비는 제1 에너지 소비 모드 또는 제2 에너지 소비 모드로 제어된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의 시간에 따라 평균화된 소모 에너지를 의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은 유도 전압 또는 여기 신호를 이용해 제1 에너지 소비를 갖는 제1 에너지 소비 모드로부터 제1 에너지 소비에 비해 증가된 제2 에너지 소비를 갖는 제2 에너지 소비 모드로 제어 가능하다. 특히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은 유도 전압 또는 여기 신호를 이용해 제1 에너지 소비 모드로서의 비활성화/수면 모드로부터 제2 에너지 소비 모드로서의 활성화/완전 능동 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자석은 제동력 부스터 장치의 전동기 영구 자석 및/또는 회전자 위치 센서의 영구 자석일 수 있다. 이는 달리 표현하면,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을 스위치온하기 위해 활성화 펄스로서 생성된 전압 펄스를 이용하기 위해, 브레이크 작동 부재를 작동함으로써 전동기 또는 회전자 위치 센서가 제너레이터로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자석은, 브레이크 작동 부재에 가해지는 운전자 제동력이 주 브레이크 실린더의 하나 이상의 조절 가능한 피스톤에 전달될 수 있게 하는, 입력 로드(rod)에서 변속기 장치를 이용해, 동반 조정 가능한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으로서 동반 조정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자석을 위해 종래의 방식으로 빈번하게 이미 변속기 장치를 통해 입력 로드와 연결된 로드가 이용될 수 있다. 이로써, 종래 기술에 따라 여기 기기로서만 이용되는 자석이 절약된다.
다른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도 전압 또는 여기 신호를 이용해 제동력 부스터 장치, ABS 장치, ESP 장치, 플런저 장치, 전기 파워 스티어링, CAN 네트워크 및/또는 부스트 네트워크가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으로서 제1 에너지 소비 모드로부터 제2 에너지 소비 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여기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비용이 저렴한 일 실시예에서, 전도체는 제동력 부스터 장치의 하나 이상의 구동 라인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전도체는 회전자 위치 센서의 하나 이상의 위치 고정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전도체를 위해 종래의 방식으로 브레이크 시스템 내의 기존 구성부품들이 이용될 수 있다.
선행 단락들에서 설명된 장점들은 상응하는 여기 장치를 갖는 제동력 부스터 장치에서도 보장된다.
또한 상기 언급된 장점들은, 상기 유형의 여기 장치와 조정 가능한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을 갖는 브레이크 기기에서 구현되는데, 상기 제동력 전달 구성 부품에는 여기 장치의 자석이 조정 가능한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과의 동반 조정을 통해 회전 운동으로 변위될 수 있는 방식으로, 여기 장치의 자석이 변속기 장치를 이용해 동반 조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추가로 장점들은 상기 유형의 여기 장치, 상응하는 제동력 부스터 장치, 또는 상응하게 형성된 브레이크 기기를 구비한 브레이크 시스템을 이용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을 여기하기 위해 상응하는 방법도 상술된 장점들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과 장점들은 하기에서 도면에 의해 설명된다.
도 1은 여기 장치의 제1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여기 장치의 제2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여기 장치의 제3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차량의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의 여기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에는 여기 장치의 제1 실시예의 개략도가 도시된다.
도 1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여기 장치(10)는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정 가능한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12)에 동반 조정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거거나/배치된 자석(14)을 포함한다. 추가로 여기 장치(10)는 하나 이상의 전도체(16)를 포함하며, 전도체 내에는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12)에 배치된 자석(14)의 동반 조정을 통해 작동되는, 자석(14)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전도체(16) 사이의 상대 운동의 경우에 유도 전압이 유도될 수 있다. 이는 달리 표현하면, 이러한 전도체가 자석(14)의 동반 조정을 통해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12)과 함께 하나 이상의 (위치 고정된) 전도체(12)에 대해 조정됨으로써 유도 전압이 유도된다는 것이다.
여기 장치(10)는 유도된 유도 전압 또는 유도 전압의 고려 하에 생성된 여기 신호가 브레이크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에 출력될 수 있는 출력 장치(18)도 포함한다. 이로써,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이 유도 전압 또는 여기 신호를 이용해 제1 에너지 소비 모드로부터 제1 에너지 소비 모드와 상이한 제2 에너지 소비 모드로 제어 가능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은 유도 전압 또는 여기 신호를 이용해 제1 에너지 소비를 갖는 제1 에너지 소비 모드로부터 제1 에너지 소비에 비해 증가된 제2 에너지 소비를 갖는 제2 에너지 소비 모드로 제어 가능하다. 특히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은 유도 전압 또는 여기 신호를 이용해 제1 에너지 소비 모드로서 비활성화/수면 모드에서 제2 에너지 소비 모드로서 활성화/완전 능동 모드로 제어 가능할 수 있다.
자석이 동반 조정을 통해 회전 운동(22)으로 변위될 수 있는 방식으로, 자석(14)은 조정 가능한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12)에서 변속기 장치(20)를 이용해 동반 조정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변속기 장치(20)는, 변속기 장치(20)를 이용해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12)의 선형 운동(24)이 자석(14)의 회전 운동(22)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변속기 장치(20)는 변속기일 수 있다. 그러나 변속기 장치(20)의 구현 가능한 실시예는 변속기 또는 변속기와 유사한 장치의 특정한 형태에 제한되지 않음을 언급하고자 한다.
이로써 여기 장치(10)를 위해 선형 운동 - 회전 운동 - 전환 부재를 통해 변속기 장치(20)로서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12)과 연결되어 있는 자석(14)이 이용될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자석(14)이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12)과 종종 연결된다. 이로써 이미 브레이크 시스템 내에서 기존의/이용된 자석(14)은 여기 장치(10)를 구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로써 여기 장치(10)를 위해 이용되는 자석(14)은 추가로 여전히 종래의 방식으로 실행되는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다. 여기 장치(10)에서 구현되는 자석(14)의 다기능성을 통해 비용이 저렴하고 그리고/또는 설치 공간이 절약되는 여기 장치를 갖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자석(14)은 제동력 부스터 장치(28)의 전동기(26)의 영구 자석일 수 있다. 종래의 방식으로 예컨대 PSM 모터와 같은 전동기(26)의 영구 자석은, 변속기 장치(20)를 통해, 추가의 브레이크 보조력이 전동기(26)를 이용해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12)에 가해질 수 있도록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12)과 자주 연결된다. 동시에 일반적으로, 전동기(26)의 자석(14)은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12)의 조정 시에 적어도 운전자의 제동력을 이용해 회전 운동(22)으로 자동으로 동반 변위되는 것이 보장된다. 이로써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간단한 방식으로 브레이크 시스템에 형성 가능하다.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12)은 예컨대 입력 로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자석(14)은 변속기 장치(20)를 이용해, 자석(14)이 입력 로드로서 형성된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12)의 선형 운동(24)을 통해 회전 운동(22)으로 변위되도록 입력 로드에 배치될 수 있거나/배치된다. 이때 입력 로드는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12)을 의미할 수 있고, 브레이크 작동 부재(30)에 가해지는 운전자 제동력은 상기 입력 로드를 통해 브레이크 시스템의 주 브레이크 실린더(32)의 조정 가능한 하나 이상의 피스톤에 전달 가능하다. 브레이크 작동 부재(30)는 예컨대 브레이크 페달일 수 있다. 그러나 여기 장치의 형성 가능성은 입력 로드에 배치될 수 있는 자석(14)에 국한되지 않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하나 이상의 전도체(16)는 제동력 부스터 장치(28)의 하나 이상의 구동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제동력 부스터 장치(28)의 전자 제어장치(34) 내에 이미 존재하는 구성부품이 하나 이상의 전도체(16)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전도체(16)의 다른 형성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이로써 도 1에 개략적으로 재현되는 실시예는 여기 장치(10)가 통합된 전기 기계식 제동력 부스터를 구현한다. 이로써 운전자에 의한 브레이크 작동 부재(30)의 작동은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12)으로서 형성된 입력 로드를 포함하는, 작동 부재와 맞물려 있는 구동부의 구동을 일으킨다. 변속기 장치(20)를 통해 구동부와 연결되는 자석(14)은 회전 운동(22)으로 변위되고, 구동 라인으로서도 이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전도체(16) 내에서 제너레이터로서 유도 전압을 유도한다. 출력 장치(18)는 예컨대 모터 클램프에서 전압 펄스로서 유도 전압을 검출할 수 있고, 이러한 전압 펄스를 이용해 여기 신호로서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을 제1 에너지 소비 모드로부터 제2 에너지 소비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이는 특히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의 여기로서 규정될 수 있다.
유도 전압 또는 여기 신호를 이용해 예컨대 제동력 부스터 장치(28), ABS 장치, ESP 장치, 플런저 장치, 전기 파워 스티어링, CAN 네트워크 및/또는 부스트 네트워크가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으로서 비활성화 모드로부터 활성화 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열거되는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들 이외에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도 출력 장치(18)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해 제어/여기 가능하다.
도 2에는 여기 장치의 제2 실시예의 개략도가 도시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제동력 부스터 장치(28)의 전동기(26)의 영구 자석으로서 형성되는 여기 장치(10)의 자석(14)은, 여기 장치(10)의 자석(14)이 변속기 장치(20)를 이용해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12)과 동반 조정 가능하도록, 입력 로드로서 형성되고 조정 가능한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12)에 배치된다. 이때 자석(14)은 조정 가능한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12)과 동반 조정됨으로써 회전 운동(22)으로 변위될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브레이크 시스템은 적어도 여기 장치(10)와 조정 가능한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12)에 의해 구현 가능하고, 상기 시스템에는 이미 상술된 장점들이 보장된다.
입력 로드로서 형성되는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12)에 의해 구동부가 작동 방향으로서 브레이크를 거는 방향(40)으로만 보조되면서 작동할 수 있을지라도, 이미 상술된 장점들이 도 2의 실시예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로써 바람직한 기술이 브레이크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고, 브레이크 작동 부재(30)와 주 브레이크 실린더(32) 사이에서 상기 브레이크 시스템의 입력 로드는 동반 조정 가능한 슬리브(42)에 의해 동축 또는 비동축으로 안내된다. 브레이크를 거는 방향(40)으로, 다시 말해 브레이크 작동 부재(30)로부터 주 브레이크 실린더(32)로 입력 로드를 변위시킴으로써, 동반 조정 가능한 슬리브(42)의 조정 운동이 주 브레이크 실린더(32)에 작용함으로써, 주 브레이크 실린더(32)쪽 슬리브의 측면에 배치된 반동 스프링(44)이 압축된다. [반동 스프링(44)을 이용해 브레이크 작동 부재(32)는 운전자에 의한 작동 이후에 다시 초기 위치로 돌아올 수 있다.]
탄성 멈춤부(46)는 반동 스프링(44)으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슬리브(42)의 측면에 형성된다. 반동 스프링(44)이 압축되는, 운전자에 의한 브레이크 작동 부재(30)의 작동은 주 브레이크 실린더(32)를 작동시키고 탄성 멈춤부(46)를 이완시킨다. 이때 구동부와 맞물린 슬리브(42)는 브레이크를 거는 방향(40)으로 운동한다. 이러한 브레이크를 거는 방향(40)으로의 슬리브(42)의 운동이 자석(14)의 회전 운동(22)을 일으킴으로써, 하나 이상의 도체(16) 내에서 유도 전압이 유도되고, 상기 유도 전압은 재생 전압 펄스로서 모터 클램프에서 검출/증명 가능하다. 그리고 나서 전압 펄스는 여기 신호로서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을 활성화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로써 비활성화 제동력 부스터 장치(28)에서 구동부와 맞물린 자석(14)의 재생 작동을 통해 여기 신호가 신뢰할만하게 생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여기 장치의 제3 실시예의 개략도가 도시된다.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여기 장치(48)에서 유도 전압/여기 신호의 생성/유도를 위해 센서의 자석(50)이 이용된다.
자석(50)은 영구 자석일 수 있다. 특히 자석(50)은 회전자 위치 센서(54)의 영구 자석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회전자 위치 센서(54)는 자석(50)으로서 이용되는 영구 자석을 갖는 비접촉 센서이다. 그러나 여기 장치(48)를 위한 자석(50)의 이용 가능한 형태는 여기서 언급되는 예시들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자석(50)이 선형 운동되는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12)과의 동반 조정을 통해 회전 운동(52)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자석(50)은 조정 가능한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12)에 변속기 장치(20)를 이용해 동반 조정되도록 배치 가능하거나/배치된다. 회전 운동(52)으로 변위된 자석(50)을 이용해 유도 전압이 유도될 수 있는 전도체(56)는 회전자 위치 센서(54)의 하나 이상의 위치 고정된 코일(56)을 포함한다. 출력 장치(58)는 하나 이상의 코일(56)과 전기 연결된 전자 장치이다. 전도체(56)를 위해 추가 코일이 회전자 위치 센서(54)에 배치될 수 있을지라도, 이는 비교적 저렴하게 실행 가능하다.
이로써 바람직한 여기 장치(48)는 회전자 위치 센서(54) 내로도 통합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도 이미 상술된 장점들이 신뢰할만하게 구현될 수 있다.
회전자 위치 센서(54)는 제동력 부스터 장치(28)의 하부 유닛일 수 있다. 특히 (전기 정류된) 모터(26)를 구비한 제동력 부스터 장치(28)는, 정류를 위해 모터(26)의 회전자 위치를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회전자 위치 센서(54)를 빈번하게 포함한다. 이로써 여기 장치(48)의 통합을 위해 이미 제동력 부스터 장치(28)에 존재하는 센서 시스템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회전자 위치 센서(54)는 여기 장치(48) 뿐만 아니라, 모터(26)의 회전자 위치에 관하여 정보(60)의 검출과 출력을 위한 센서로서도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자 위치 센서(54)의 다기능성으로 인해 제조 비용이 절약되고, 여기 장치(48)의 설치 공간에 대한 요구가 제한될 수 있다.
도 4에는 차량의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의 여기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가 도시된다.
방법 단계(S1)에서,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정 가능한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에 동반 조정 가능하게 배치된 자석이 제공된다. 자석의 제공은, 자석이 동반 조정을 통해 회전 운동으로 변위되는 방식으로, 조정 가능한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에 사용된 자석이 변속기 장치를 이용해 (바람직하게 선형으로)동반 조정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동시에, 이전에 또는 이후에 실행 가능한 방법 단계(S2)에서, 하나 이상의 전도체가 제공된다. 전도체의 제공은,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에 배치된 자석의 동반 조정을 통해 작동되는 자석이 전도체 사이의 상대 운동의 경우에 하나 이상의 전도체 내에서 유도 전압이 유도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방법 단계(S3)에서, 유도된 유도 전압 또는 유도 전압의 고려 하에 생성된 여기 신호는,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이 유도 전압 또는 여기 신호를 이용해 제1 에너지 소비 모드로부터 제1 에너지 소비 모드와 상이한 제2 에너지 소비 모드로 제어되도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에 출력된다. 예컨대 유도 전류 또는 여기 신호는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의 프로세서 또는 스위치 회로에 제공될 수 있다. 여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유도 전압은 여기 신호로도 전환될 수 있다.
상술된 바람직한 방법에 의해, 여기 장치용 센서 또는 전동기의 자석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자석으로서 제동력 부스터 장치의 전동기의 영구 자석 및/또는 제동력 부스터 장치의 회전자 위치 센서의 영구 자석이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3)

  1.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28)용 여기 장치(10, 48)이며,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정 가능한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12)에 동반 조절 가능하게 배치되는 자석(14, 50)과,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12)에 배치된 자석(14, 50)의 동반 조정을 통해 자석(14, 50)과 전도체(16, 56) 사이에서 작동되는 상대 운동의 경우 유도 전압이 유도될 수 있는 전도체(16, 56)와,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28)이 유도 전압 또는 여기 신호를 이용해 제1 에너지 소비 모드로부터 제1 에너지 소비 모드와 상이한 제2 에너지 소비 모드로 제어 가능하도록, 유도된 유도 전압 또는 유도 전압의 고려 하에 생성된 여기 신호를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28)에 출력할 수 있는 출력 장치(18, 58)를 구비한,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용 여기 장치에 있어서,
    자석(14, 50)은 변속기 장치(20)를 이용해, 자석(14, 50)이 동반 조정을 통해 회전 운동(22, 52)으로 변위될 수 있는 방식으로, 조정 가능한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12)에 동반 조정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용 여기 장치(10, 48).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28)은 유도 전압 또는 여기 신호를 이용해 제1 에너지 소비를 갖는 제1 에너지 소비 모드로부터 제1 에너지 소비에 비해 증가된 제2 에너지 소비를 갖는 제2 에너지 소비 모드로 제어 가능한,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용 여기 장치(10, 48).
  3.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28)은 유도 전압 또는 여기 신호를 이용해 제1 에너지 소비 모드로서의 비활성화 모드로부터 제2 에너지 소비 모드로서의 활성화 모드로 제어 가능한,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용 여기 장치(10, 48).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석(14, 50)은, 브레이크 부스터 장치(28)의 전동기(26)의 영구 자석(14) 및/또는 회전자 위치 센서(54)의 영구 자석(50)인,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용 여기 장치(10, 48).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석(14, 50)은, 브레이크 작동 부재(30)에 가해진 운전자 제동력이 주 브레이크 실린더(32)의 하나 이상의 조정 가능한 피스톤에 전달될 수 있게 하는 입력 로드에서 변속기 장치(20)를 이용해 조정 가능한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12)으로서 동반 조정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는,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용 여기 장치(10, 48).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도 전압 또는 여기 신호를 이용해, 브레이크 부스터 장치(28), ABS 장치, ESP 장치, 플런저 장치, 전기 파워 스티어링, CAN 네트워크 및/또는 부스트 네트워크가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으로서 제1 에너지 소비 모드로부터 제2 에너지 소비 모드로 제어 가능한,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용 여기 장치(10, 48).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도체(16)는 브레이크 부스터 장치(28)의 하나 이상의 구동 라인(16)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용 여기 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도체(56)는 회전자 위치 센서(54)의 하나 이상의 위치 고정된 코일(56)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용 여기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용 여기 장치(10, 48)를 구비한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용 제동력 부스터 장치(28).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용 여기 장치(10, 48)와, 조정 가능한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12)을 갖는,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용 브레이크 기기이며, 상기 구성부품에는,
    여기 장치(10, 48)의 자석(14, 50)이 조정 가능한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12)과의 동반 조정을 통해 회전 운동(22, 52)으로 변위될 수 있는 방식으로, 자석(14, 50)이 변속 장치(20)를 이용해 동반 조정 가능하게 배치된,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용 브레이크 기기.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용 여기 장치(10, 48), 제9항에 따른 제동력 부스터 장치(28), 또는 제10항에 따른 브레이크 기기를 구비한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12. 차량의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12)용 여기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정 가능한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12)에서 동반 조절 가능하게 배치된 자석(14, 50)을 제공하는 단계와,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12)에 배치된 자석(14, 50)의 동반 조정을 통해 자석(14, 50)과 전도체(16, 56) 사이에서 작동되는 상대 운동의 경우 유도 전압이 유도되는(S2) 전도체(16, 56)를 제공하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28)이 유도 전압 또는 여기 신호에 의해 제1 에너지 소비 모드로부터 제1 에너지 소비 모드와 상이한 제2 에너지 소비 모드로 제어되도록(S3),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28)에 유도 전압 또는 유도 전압의 고려 하에 생성된 여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용 여기 방법에 있어서,
    변속기 장치(20)를 이용해, 자석(14, 50)이 제공된 경우에(S1) 자석(14, 50)이 동반 조정을 통해 상대 운동(22, 52)으로 변위되는 방식으로, 조정 가능한 운전자 제동력 전달 구성부품(12)에 자석(14, 50)이 동반 조정 가능하게 배치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용 여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자석(14, 50)으로서 제동력 부스터 장치(28)의 전동기(26)의 영구 자석(14) 및/또는 회전자 위치 센서(54)의 영구 자석(50)이 사용되는,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용 여기 방법.
KR1020147016058A 2011-12-13 2012-10-15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용 여기 장치 및 차량의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의 여기 방법 KR1019609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88350.9 2011-12-13
DE102011088350A DE102011088350A1 (de) 2011-12-13 2011-12-13 Weckvorrichtung für eine Bremssystemkomponente eines Fahrzeugs und Verfahren zum Wecken mindestens einer Bremssystemkomponente eines Fahrzeugs
PCT/EP2012/070360 WO2013087252A1 (de) 2011-12-13 2012-10-15 Weckvorrichtung für eine bremssystemkomponente eines fahrzeugs und verfahren zum wecken mindestens einer bremssystemkomponente eines fahrzeu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368A true KR20140101368A (ko) 2014-08-19
KR101960997B1 KR101960997B1 (ko) 2019-03-21

Family

ID=47045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6058A KR101960997B1 (ko) 2011-12-13 2012-10-15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용 여기 장치 및 차량의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의 여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286890B2 (ko)
EP (1) EP2790985B1 (ko)
JP (1) JP5816379B2 (ko)
KR (1) KR101960997B1 (ko)
CN (1) CN103987598B (ko)
DE (1) DE102011088350A1 (ko)
IN (1) IN2014DN03171A (ko)
PL (1) PL2790985T3 (ko)
WO (1) WO20130872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97747B2 (en) 2012-11-28 2019-12-03 Invensense, Inc. Integrated piezoelectric microelectromechanical ultrasound transducer (PMUT) on integrated circuit (IC) for fingerprint sensing
US10726231B2 (en) 2012-11-28 2020-07-28 Invensense, Inc. Integrated piezoelectric microelectromechanical ultrasound transducer (PMUT) on integrated circuit (IC) for fingerprint sensing
US9618405B2 (en) * 2014-08-06 2017-04-11 Invensense, Inc. Piezoelectric acoustic resonator based sensor
US9511994B2 (en) 2012-11-28 2016-12-06 Invensense, Inc. Aluminum nitride (AlN) devices with infrared absorption structural layer
US9114977B2 (en) 2012-11-28 2015-08-25 Invensense, Inc. MEMS device and process for RF and low resistance applications
DE102014220646A1 (de) * 2014-10-13 2016-04-1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Nutzung einer Bus-Leitung zur Übertragung alternativer Signalcodierungen
US10611356B2 (en) * 2018-03-30 2020-04-07 Veoneer Us,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ient wake up of processor controlling a motor of a brake booster subsystem
DE102020213414A1 (de) 2020-10-23 2022-04-28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m Aufwecken einer Bremsanlag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144B1 (ko) * 1995-08-14 1998-04-08 전성원 브레이크의 제동력 배가장치
KR20060006916A (ko) * 2003-04-07 2006-01-20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 및 변위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장치
KR20070022316A (ko) * 2004-05-18 2007-02-26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센서를 구비한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EP2037221A2 (de) * 2007-09-13 2009-03-18 Marquardt GmbH Drehwinkelsensor
JP2010234931A (ja) * 2009-03-31 2010-10-21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車両用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09989A1 (de) * 2000-07-28 2002-02-07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System, positionsgeber und empfangseinrichtung zur sicheren übertragung der position eines betätigungselements sowie dessen verwendung
DE10123730A1 (de) 2000-07-28 2002-03-1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System,Positionsgeber und Empfangseinrichtung zur sicheren Übertragung der Position eines Betätigungselements sowie dessen Verwendung
JP2004153924A (ja) * 2002-10-30 2004-05-27 Hitachi Ltd 永久磁石回転機
US6991302B2 (en) * 2003-09-26 2006-01-31 Haldex Brake Products Ab Brake system with distributed electronic control units
WO2005113306A1 (de) * 2004-05-18 2005-12-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Feststellbremsanlage mit sensor
FR2878215B1 (fr) * 2004-11-25 2007-01-05 Renault Sas Dispositif de freinage electrique pour vehicule
CN200948788Y (zh) * 2006-07-06 2007-09-19 桂林思超汽车科技有限公司 车辆轮胎安全监控装置
DE102006052029B4 (de) 2006-09-22 2020-01-09 Osram Oled Gmbh Lichtemittierende Vorrichtung
US7880424B2 (en) * 2006-09-28 2011-02-01 Denso Corporation Rotary electric apparatus having rotor with field winding inducing current therethrough for generating magnetic field
JP2008095909A (ja) * 2006-10-16 2008-04-24 Hitachi Ltd 電動ブレーキ装置
US8204661B2 (en) * 2006-12-21 2012-06-19 The Boeing Company Reduced power mode for an aircraft electric brake system
DE102008064049A1 (de) * 2008-07-10 2010-01-1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KFZ-Bremsbetätigungsanordnung mit Aufwecksensorelement
JP5055336B2 (ja) * 2009-09-30 2012-10-2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ブレーキ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144B1 (ko) * 1995-08-14 1998-04-08 전성원 브레이크의 제동력 배가장치
KR20060006916A (ko) * 2003-04-07 2006-01-20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 및 변위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장치
KR20070022316A (ko) * 2004-05-18 2007-02-26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센서를 구비한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EP2037221A2 (de) * 2007-09-13 2009-03-18 Marquardt GmbH Drehwinkelsensor
JP2010234931A (ja) * 2009-03-31 2010-10-21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車両用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1088350A1 (de) 2013-06-13
JP5816379B2 (ja) 2015-11-18
CN103987598A (zh) 2014-08-13
IN2014DN03171A (ko) 2015-05-22
US20150035375A1 (en) 2015-02-05
CN103987598B (zh) 2017-01-18
EP2790985A1 (de) 2014-10-22
US10286890B2 (en) 2019-05-14
EP2790985B1 (de) 2016-02-03
PL2790985T3 (pl) 2016-06-30
KR101960997B1 (ko) 2019-03-21
JP2015501755A (ja) 2015-01-19
WO2013087252A1 (de) 201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0997B1 (ko)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용 여기 장치 및 차량의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부품의 여기 방법
US20070225890A1 (en) Parking Brake System Equipped With A Sensor
JP2013519585A (ja)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装置
EP1236607A3 (en) Motor control system
PL1613519T3 (pl) Urządzenie do kontroli pozycji i ruchu pedału hamulca
EP2039570A3 (en) Start-up control device for electric vehicle
EP1342930A3 (en) Vehicle clutch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1509744B1 (ko) 클러치 조작 시스템
KR101957621B1 (ko) 자동차의 자동 주행을 위한 조향 시스템
JP5996118B2 (ja) アクティブアクセルペダル
JP2007118934A (ja) クラッシュで作動するヘッドレスト
JP5003520B2 (ja) スタータ
US20100226793A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flow rate or the actuation frequency of a fluid pump, particularly in an electronic motor vehicle brake system
JP4524663B2 (ja) 車両用電圧制御装置
CN110249396A (zh) 双稳态的磁阀装置和用于监控该双稳态的磁阀装置的方法
CN100426160C (zh) 一种汽车手动刹车和手动加速的控制装置
CN103867621A (zh) 主动的动态振动吸收器
ATE427190T1 (de) Elektrisch angetriebenes werkzeug
KR20140101766A (ko) 직류 모터로 구동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햅틱 가속 페달 및 햅틱 가속 페달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CN113232634B (zh) 一种电动车制动踏板模拟器及制动踏板反馈控制方法
KR20130065134A (ko) 가속페달 진동장치
KR20190069879A (ko) 원격시동시 파킹 오작동 방지 방법 및 장치
JP7243477B2 (ja) 給電システム
JP2014226959A (ja) 車両用給電制御装置
FR2912979B1 (fr) Dispositif de commande du mode de fonctionnement electrique d'un groupe motopropulseur hybride de vehicule automobile, par action sur la pedale d'accelerateu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