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0727A -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0727A
KR20140100727A KR20130013812A KR20130013812A KR20140100727A KR 20140100727 A KR20140100727 A KR 20140100727A KR 20130013812 A KR20130013812 A KR 20130013812A KR 20130013812 A KR20130013812 A KR 20130013812A KR 20140100727 A KR20140100727 A KR 20140100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group
touch screen
images
ti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13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윤석
나성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13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0727A/ko
Priority to US13/924,224 priority patent/US9055214B2/en
Priority to EP13189623.5A priority patent/EP2765767B1/en
Publication of KR20140100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727A/ko
Priority to US14/705,836 priority patent/US971015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using a single imaging device like a video camera for tracking the absolute position of a single or a plurality of objects with respect to an imaged reference surface, e.g. video camera imaging a display or a projection screen, a table or a wall surface, on which a computer generated image is displayed or projec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6Insert-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04N1/215Recording a sequence of still pictures, e.g. burst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2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attached to the image data, e.g. file header, transmitted message header, information on the same page or in the same computer file as th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1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grid, e.g. sorted out by channel and broadcast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 H04N21/815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comprising still images, e.g. texture, background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2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2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like, e.g. ID code, index, title, part of an image, reduced-siz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47Data linking a set of images to one another, e.g. sequence, burst or continuous capture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3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4Storage or retrieval of pre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 H04N2201/3277The additional information being stored in the same storage device as the imag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동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전자 기기가 소정의 위치에서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영상 촬영을 반복하는 경우, 반복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하나의 그룹으로 구성하고, 그룹 타이틀을 추천하기 위한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영상 촬영을 반복하기만 하면, 촬영 상황에 따른 그룹 타이틀이 추천됨으로써, 촬영된 영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보다 편리한 방법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 각종 전자 기기와 관련된 하드웨어 기술 및 소프트웨어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전자 기기는 다양한 정보를 빠르게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모든 영상을 촬영한 후, 저장된 촬영 영상을 보면서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영상을 편집하거나, 관리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했다.
따라서, 사용자가 영상을 촬영하는 중 또는 영상 촬영 후, 다양한 조건들에 의해 효율적으로 영상을 편집하거나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발 및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영상 촬영 중, 촬영되는 복수의 영상을 촬영하는 다양한 조건에 기초하여 그룹화하고, 그룹 이미지의 타이틀을 추천할 수 있는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기 촬영되어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를 간편한 조작으로 다양한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그룹화하고, 그룹 이미지를 식별하기 위한 타이틀을 해당 그룹 이미지에 제공할 수 있는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전자 기기는, 카메라; 터치 스크린; 위치 정보 모듈; 및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여 영상 촬영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프리뷰(preview)를 표시하는 프리뷰 영역(preview region) 및 영상 촬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영역(control region)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위치 정보 모듈을 통해 획득되는 위치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존재하는 동안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상기 프리뷰를 촬영하는 경우,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를 그룹화하고, 그룹 이미지를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후보 타이틀(title)의 목록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영역은, 상기 프리뷰를 캡쳐하는 캡쳐 커맨드 영역,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영역 및 마지막으로 촬영된 영상의 썸 네일 이미지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범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보 타이틀의 목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타이틀을 상기 제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타이틀을 상기 제어 영역 중 마지막으로 촬영된 영상의 썸 네일 이미지 영역에 매칭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썸 네일 이미지 영역에 매칭되어 표시된 선택된 타이틀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타이틀을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지막으로 촬영된 영상의 썸 네일 이미지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타이틀로 그룹화된 복수의 이미지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 이미지를 그룹별로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타이틀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영상이 촬영되는 경우, 상기 촬영되는 영상을 상기 선택된 타이틀에 대응하는 그룹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의 썸 네일 이미지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썸 네일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그룹 이미지의 썸 네일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룹 이미지에 소정의 타이틀이 매핑되어 있음을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그룹 이미지에 대응하는 썸 네일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후보 타이틀(title)의 목록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촬영 모드에 진입한 후 상기 영상 촬영 모드가 종료될 때 까지 상기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상기 프리뷰를 촬영하는 경우, 상기 후보 타이틀의 목록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전자 기기는, 카메라; 터치 스크린; 및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여 영상 촬영 모드에 진입하고, 상기 영상 촬영 모드에서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소정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경우,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를 그룹화하고, 그룹화된 이미지를 대표하는 타이틀(title)을 미리 정해진 기준에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전자 기기는, 터치 스크린; 및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이미지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각 그룹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타이틀을 부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은, 영상 촬영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프리뷰 이미지를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위치 정보 모듈을 통해 획득되는 위치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존재하는 동안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복수의 영상이 촬영되는 경우,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를 그룹화하는 단계; 및 그룹 이미지를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후보 타이틀의 목록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영상 촬영 중, 촬영되는 복수의 영상을 촬영하는 다양한 조건에 기초하여 그룹화하고, 그룹 이미지의 타이틀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 촬영되어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를 간편한 조작으로 다양한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그룹화하고, 그룹 이미지를 식별하기 위한 타이틀을 해당 그룹 이미지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이 촬영되는 위치를 고려하여, 해당 위치에서 촬영되는 영상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그룹 이미지의 타이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효과로 인하여,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자 기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영상 촬영 모드에서,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S11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그룹 이미지의 타이틀이 부여된 경우, 그룹 이미지에 접근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이미지의 타이틀이 부여된 경우, 그룹 이미지에 접근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 내지 도 16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복수의 이미지에 그룹 타이틀을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7은, 복수의 이미지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경우, 그룹 이미지의 타이틀이 부여된 이미지를 식별하기 식별 표시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그룹 이미지의 식별 표시를 이용하여 그룹 이미지의 표시를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2 내지 도 28은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기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 기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아이템의 선택, 실행 및 제어를 위한 새로운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전자 기기의 터치스크린에 복수의 아이템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양손으로 상기 터치스크린의 임의의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제공된다.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아이템들이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컬러가 대응된 제1 제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상기 복수의 아이템과 상기 복수의 컬러의 대응관계를 알리기 위해, 상기 복수의 아이템들 각각에 대해 대응되는 컬러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컬러가 대응된 상기 제1 제어 영역을 통해 상기 복수의 아이템들 각각을 선택하거나, 실행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컬러가 대응된 상기 제1 제어 영역을 손가락으로 문지르듯이 드래그하면, 손가락이 지나가는 위치에 표시된 컬러에 대응되는 아이템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제어 영역과는 다른 위치에 제공되는, 후술하는 제2 제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 영역은, 상기 제1 제어 영역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복수의 아이템을 내비게이팅하기 위한 기능이 할당되거나, 상기 제1 제어 영역을 통해 선택된 특정 아이템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이 할당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 영역과 상기 제2 제어 영역은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통해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거나 실행하거나 제어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1 제어 영역 및 상기 제2 제어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가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자 기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전자 기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전자 기기를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 기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전자 기기(100)와 전자 기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전자 기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전자 기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전자 기기(100)의 개폐 상태, 전자 기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전자 기기의 방위, 전자 기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전자 기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전자 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 기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전자 기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전자 기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전자 기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전자 기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어폰잭(116)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잭(116)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출력되는 음향을 들을 수 있다.
알람부(153)는 전자 기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전자 기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전자 기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전자 기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 기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전자 기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전자 기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전자 기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전자 기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전자 기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전자 기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전자 기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전자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전술한 근접 센서(141)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는 근접 센서(141)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같은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된 상기 근접센서(141)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근접 터치되는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이하 "근접 깊이"라고 함)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에 포인터가 접근할 때 근접신호가 출력되는 거리를 검출거리라고 하는데, 간단하게는 상기 검출거리가 서로 다른 근접센서를 복수로 사용함으로써 각 근접센서에서 출력되는 근접신호를 비교하면 상기 근접 깊이를 알 수 있다.
도 2에서는 예컨대 3개의 근접 깊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141)가 배치된 터치스크린의 단면이 예시되고 있다. 3개 미만 또는 4개 이상의 근접 깊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완전히 접촉되는 경우(d0)에는 접촉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1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이상 d2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2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2 거리 이상 d3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3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그리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3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근접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근접거리 및 근접 위치 등에 따라 상기 근접 터치를 다양한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다양한 입력 신호에 따른 다양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스크린(151)으로 가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151)은, 정보 표시 기능과 정보 입력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 또한 본 문서에서 언급되는 터치는, 접촉 터치와 근접 터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전자 기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전자 기기(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100)의 제어부(180)는, 영상 촬영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S110).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제어부(180)는 카메라(도 1의 121)를 구동하고, 영상 촬영 모드에 진입한다.
도 4는 영상 촬영 모드에서,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영상 촬영 모드에서, 영상 촬영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촬영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프리뷰 이미지(P)와, 상기 프리뷰 이미지(P)를 캡쳐하기 위한 제어 영역(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영역(C)은, 상기 프리뷰 이미지(P)를 캡쳐하는 캡쳐 커맨드 영역(C2), 상기 프리뷰 이미지(P)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영역(C1) 및 마지막으로 촬영된 영상의 썸 네일 이미지 영역(C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리뷰 이미지(P)는 터치 스크린(151)의 전체 영역에 표시되고, 상기 제어 영역(C)은 상기 프리뷰 이미지(P)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영상 촬영 모드에서,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S120).
상기 미리 정해진 횟수는, 2번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전자 기기(100)가 동일한 장소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동일한 장소라 함은, 상기 전자 기기(100)가 제1 시점에서 획득된 제1 위치와 제2 시점에서 획득된 제2 위치가 소정의 반경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 시점에서 획득된 전자 기기(100)의 제1 위치와 제2 시점에서 획득된 전자 기기(100)의 제2 위치는 동일한 장소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특정 지역에 여행을 가서, 상기 특정 지역에서 복수의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특정 지역에서 복수회의 영상이 촬영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이미지를 하나의 그룹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성된 그룹 이미지에 대한 타이틀을 부여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S12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어부(180)는 전자 기기(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11).
제어부(180)는 도 1의 위치 정보 모듈(115)을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과 동시에, 위치 정보 모듈(예를 들어, GPS) 기능이 온(on)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상기 영상 촬영 모드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어 영역(C)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 정보 모듈이 온(on) 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식별 표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런 후, 제어부(180)는, 상기 획득된 위치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112).
즉, 제어부(180)는 현재 획득되는 전자 기기(100)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반경 범위 내에서 이동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전자 기기(100)가 특정 지역에서 이동하면서, 카메라를 한번 구동한 상태에서, 2회 이상 영상을 캡쳐하는 경우, 캡쳐된 영상을 동일한 그룹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그룹 타이틀을 제안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소정의 장소에서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카메라를 통해 영상이 촬영되는 경우,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를 그룹화할 수 있다(S130).
그리고, 제어부(180)는 그룹 이미지를 식별하기 위한 후보 타이틀(Title)을 추천할 수 있다(S1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여 촬영된 영상을 자동으로 그룹화할 수 있고, 또한, 그룹 이미지에 대하여 상기 소정의 조건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적절한 그룹 타이틀이 해당 그룹 이미지에 자동으로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영상 촬영 모드에서 카메라(도 1의 121)를 통해 입력되는 제1 프리뷰 이미지(P1)를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어 영역(C) 중 캡쳐 커맨드 영역(C2)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1 프리뷰 이미지(P1)를 캡쳐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캡쳐된 제1 프리뷰 이미지(P1')는 축소되어 마지막으로 촬영된 영상의 썸 네일 이미지 영역(C1)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새로운 제2 프리뷰 이미지(P2)를 프리뷰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1 프리뷰 이미지(P1)와 제2 프리뷰 이미지(P2)가 획득될 때의 전자 기기(100)의 위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장소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프리뷰 이미지(P2)에 대하여 캡쳐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동일한 장소에서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예를 들어, 2회) 영상이 촬영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동일한 장소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복수의 영상이 촬영될 수 있다.
도 6에서 1회 촬영 후, 동일한 장소에서 연속으로 2회 촬영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회 촬영된 영상을 하나의 그룹으로 구성하는 그룹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생성된 그룹 이미지의 대표 타이틀을 추천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프리뷰 이미지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후보 타이틀(T1,T2)을 포함하는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후보 타이틀(T1,T2)은 상기 전자 기기(100)가 획득하는 위치 정보, 상기 영상이 캡쳐되는 날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전술한 예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미지로 구성되는 그룹을 식별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타이틀을 제안하여 팝업 형식으로 프리뷰 이미지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후보 타이틀의 제안과 동시에, 제어 영역(C)에 선택되는 타이틀이 입력될 수 있는 타이틀 입력란(TI)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마지막으로 촬영된 영상의 썸 네일 이미지 영역(C1)의 상단에 상기 타이틀 입력란(TI)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타이틀 입력란(TI)이 표시되는 위치는 전술한 예로 한정되지 않고, 도 7에 도시된 영상 촬영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전체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타이틀 입력란(TI)은 프리뷰 이미지 영역에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 형식으로 표시되는 후보 타이틀에는 음성 녹음을 위한 제어 항목(V)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 녹을 위한 항목(V)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영상 촬영(동영상 촬영 포함) 중 사용자의 음성을 레코딩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후보 타이틀(T1,T2,V) 중 어느 하나(예를 들어, 가족 여행)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타이틀 입력란(TI)에 상기 선택된 타이틀(가족 여행)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마지막으로 촬영된 영상의 썸 네일 이미지 영역(C1)의 상단에 표시된 그룹 타이틀을 통해, 현재 촬영되고 있는 영상이 "가족 여행" 타이틀에 대응하는 그룹으로 구분되어 저장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타이틀 입력란(TI)을 선택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타이틀 입력란(TI)에 기재된 타이틀을 수정할 수 있도록 후보 타이틀 목록을 프리뷰 이미지 영역에 재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후보 타이틀 목록이 개시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후보 타이틀 목록이 프리뷰 이미지 상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한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그룹 이미지의 타이틀이 부여된 경우, 그룹 이미지에 접근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그룹 이미지의 타이틀이 부여되어 타이틀 입력란(TI)에 표시된 상태에서, 마지막으로 촬영된 영상의 썸 네일 이미지 영역(C1)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그룹 이미지의 구성 이미지들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즉, 가족 여행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이미지(I1,I2,I3,I4,I5,I6,I7)을 터치 스크린(151)에 하나의 그룹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타이틀 입력란(TI)이 제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마지막으로 촬영된 영상의 썸 네일 이미지 영역(C1)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어 저장된 전체 이미지를 터치 스크린(151)에 제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여 그룹 이미지가 구성되고, 그룹 타이틀이 타이틀 입력란(TI)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마지막으로 촬영된 영상의 썸 네일 이미지 영역(C1)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그룹으로 구성되는 이미지들만을 선별하여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카메라를 구동하고, 특정 장소에서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연속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복수회 촬영된 영상을 하나의 그룹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이미지가 그룹화되었음을 식별하기 위한 타이틀을 추천함으로써, 사용자가 복수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그룹을 구성하고 그룹 타이틀을 설정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영상이 촬영되는 환경(environment)을 고려하여, 상기 그룹에 대항 적절한 후보 타이틀을 추천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는 촬영된 영상을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상태에서, 그룹 이미지에 접근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이미지의 타이틀이 부여된 경우, 그룹 이미지에 접근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그룹 이미지가 기 설정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복수의 이미지(I10,I11,I13,I14,I15,I16,I17)를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151)의 일 측면에서 시작되는 슬라이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슬라이드 입력을 따라 현재 설정된 그룹 이미지들의 대표 타이틀(GT1,GT2,GT3)을 포함하는 바(Bar)를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바(bar)에 표시된 타이틀, 예를 들어, 가족 여행(GT1), 오사카(GT2), 졸업식(GT3) 중 어느 졸업식(GT3) 이 선택되는 경우, 졸업식 때 촬영한 이미지들이 그룹핑된 그룹 이미지(I20,I22,I23,I24)를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6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복수의 이미지에 그룹 타이틀을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I30,I31,I32,I33,I34,I35,I36,I37)이 터치 스크린(151)된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151)의 일 영역에 대하여 롱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I30,I31,I32,I33,I34,I35,I36,I37)가 촬영된 날짜, 촬영 배경, 촬영 장소 등을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I30,I31,I32,I33,I34,I35,I36,I37)에 매칭할 후보 타이틀(T1,T2)의 목록(M)을 팝업 창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팝업 창에서 대표 타이틀로서, "가족 여행(T1)"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이미지(I30,I31,I32,I33,I34,I35,I36,I37)를 "가족 여행" 그룹으로 묶어서 표시할 수 있다.
도 17은, 복수의 이미지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경우, 그룹 이미지의 타이틀이 부여된 이미지를 식별하기 식별 표시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I40,I41,I42,I43,I44,I45,I46,I47,I48,I49,I50,I51)를 썸 네일 이미지 형태로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미지(I40,I41,I42,I43,I44,I45,I46,I47,I48,I49,I50,I51)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 이미지(I40,I44,I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미지 I40,I44,I46 가 각각 그룹화되어 있음을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각 썸 네일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이미지 I40,I44,I46 가 각각 그룹화되어 그룹 타이틀이 매핑되어 있음을 식별하기 위하여 그룹 이미지에 대응하는 썸 네일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7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특성이 변경되어 표시된 예로서, V1,V2,V3를 들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복수의 이미지(I40,I41,I42,I43,I44,I45,I46,I47,I48,I49,I50,I51)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스크롤 바(11)를 스크롤 영역(1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스크롤 바(11)를 이동시킴으로써, 복수의 다른 썸 네일 이미지를 터치 스크린(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그룹 이미지의 식별 표시를 이용하여 그룹 이미지의 표시를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그룹 이미지 I40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그룹 이미지 I40에 대응하는 그룹 타이틀(T1, 가족여행)을 상기 제1 그룹 이미지 I40의 상단에 표시할 수 있다. 그룹 타이틀이 표시되는 위치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제1 그룹 이미지 I40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것은 상기 제1 그룹 이미지 I40가 그룹 타이틀이 매핑되어 있음을 식별하기 위한 시각적 특징이 드러난 부분(V1)에 대한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그룹 이미지 I40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그룹 이미지 I40를 구성하는 복수의 구성 이미지들(I40a,I40b,I40c,I40d,I40e,I40f)을 펼쳐서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20을 참조하면, 스크롤 바(11)를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스크롤 바(11)가 경과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곳에 그룹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그룹 이미지의 그룹 타이틀(예를 들어, I44, Group2)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전자 기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전자 기기(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를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S210).
제어부(180)는, 미리 정해진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터치 입력은 멀티 터치 입력으로서, 핀치 줌 인(pinch zoom in) 또는 핀치 줌 아웃(pinch zoom out)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터치 입력은 전술한 핀치 입력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이미지를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구분한다(S230).
상기 복수의 이미지를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구분하는 기준은, 촬영 날짜, 촬영 장소, 촬영된 사람,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각 그룹에 대하여 그룹 타이틀을 부여할 수 있다(S240).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2 내지 도 28은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2는, 복수의 이미지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경우, 미리 정해진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복수의 이미지가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그룹화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미리 정해진 터치 입력은, 3 개의 터치 지점을 포함하는 멀티 터치 입력이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가 표시된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핀치 줌인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멀티 터치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이미지를 세 개의 그룹(G1,G2,G3)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세 개의 그룹(G1,G2,G3)에 대하여 각 그룹의 경계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각 그룹이 다른 그룹과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세 개의 그룹(G1,G2,G3)으로 그루핑된 후, 각 그룹에 포함되는 개별 이미지들에 대하여 그룹 타이틀을 설정하고, 개별 이미지에 대하여 상기 그룹 타이틀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2의 경우, 제1 그룹(G1)은 제1 이미지(Group1_1), 제2 이미지(Group1_2), 제3 이미지(Group1_3), 제4 이미지(Group1_4), 제5 이미지(Group1_5)와 같은 태그(tag)를 각 이미지에 태깅할 수 있다. 제2 그룹(G2) 및 제3 그룹(G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개별 이미지에 대하여 그룹 타이틀을 태깅하는 방법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 23은, 그룹 이미지의 그루핑 상태를 수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1 그룹(G1)을 선택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각 그룹을 구성하는 개별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에 진입한다. 상기 모드에서, 제1 그룹에 속하는 모든 이미지를 선택한 이후, 제2 그룹에 속한 제2 이미지(Gruop2_2)를 추가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제2 이미지(Gruop2_2)를 제1 그룹으로 편입할 수 있다.
도 24는, 복수의 이미지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경우, 미리 정해진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복수의 이미지가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그룹화되어 상기 터치 스크린에 그룹별로 표시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멀티 터치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이미지를 세 개의 그룹(G1,G2,G3)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각 그룹의 타이틀(Group 1, Group 2, Group 3)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각 그룹의 타이틀별로 복수의 이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그룹(Group 1)은 5 개의 구성 이미지를 포함하고, 제2 그룹(Group 2)은 2 개의 구성 이미지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해당 그룹으로 구분된 기준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아이콘(예를 들어, 달력 아이콘, 지도 아이콘 등)을 해당 그룹의 타이틀 근방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그룹이 어떠한 기준에 의해 구분되었는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4를 참조하면, 제1 그룹의 이미지들은 촬영 날짜 및 촬영 장소에 기초하여 구분되었으며, 제2 그룹의 이미지들은 촬영 장소에 의해 구분되었으며, 제3 그룹의 이미지들은 촬영 날짜에 의해 구분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이미지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경우, 그룹화 기준을 달리 설정하여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멀티 터치 줌 인 입력에 의해, 그룹을 구분하는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제1, 제2, 제3 및 제4 그룹 이미지로 구성되는 복수의 이미지에 대하여 멀티 터치 줌인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네 가지의 그룹을 네 가지 미만의 그룹으로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 터치 줌인 입력의 터치 지점을 포함하는 각 그룹을 하나의 그룹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25를 참조하면, 제1, 제2 및 제3 그룹의 일 지점을 각각의 터치 지점으로 하는 멀티 터치 줌인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 제2 및 제3 그룹을 하나의 제1 그룹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룹이 병합됨에 따라, 각 그룹의 분류기준에 사용된 식별 아이콘 또한 병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병합된 그룹에 대하여 멀티 터치 줌 아웃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그룹을 해제할 수도 있다.
그룹을 병합하거나, 해제하는 터치 패턴은 전술한 줌인 또는 줌 아웃 입력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26을 참조하면, 제1, 제2, 제3 및 제4 그룹으로 구분되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이후, 멀티 터치 줌 아웃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복수의 이미지를 그룹 타이틀별로 구분하여 표시하지 않고, 모든 이미지를 썸 네일 이미지로 표시하되, 그룹 타이틀이 부여된 그룹 이미지에 대해서는 디스플레이 특성(예를 들어, 모퉁이에 음영 표시 등)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그룹 이미지를 그룹화된 기준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7 내지 도 28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의 이미지가 소정의 정렬 기준에 의해 정렬될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그룹 이미지를 편집하는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그룹 기준 예를 들어, 촬영 날짜, 촬영 장소, 촬영된 인물 등을 기준으로 그룹 이미지를 정렬할 수 있다. 특히, 도 28을 참조하면, 촬영 날짜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촬영 일(day) 부터 촬영 월(month) 까지 구분 기준을 세분화할 수 있고, 세분화된 기준에 따라 그룹 이미지를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복수의 이미지를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 이미지는 각각 그룹 타이틀이 부여되어 있다.
제어부(180)는, 그룹 이미지를 편집하는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그룹 기준 예를 들어, 촬영 날짜, 촬영 장소, 촬영된 인물 등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식별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된 복수의 이미지를 상기 선택된 식별자에 대응하는 그룹 기준으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7을 참조하면, 그룹 기준으로서, 촬영 날짜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촬영 날짜를 기준으로 복수의 이미지를 배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룹 기준으로서, 촬영 날짜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촬영 날짜 중 시간, 일(day), 월(month) 기준으로 복수의 그룹 이미지를 정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복수의 그룹 이미지를 촬영 날짜 순서로 정렬함과 동시에, 그룹 이미지에 포함된 이미지의 개수에 따라 그룹 이미지로 표시되는 썸 네일 이미지의 크기를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이미지의 양이 많은 경우, 썸 네일 이미지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썸 네일 이미지는 기본적으로 "1×1"으로 표시될 수 있지만, 그룹 이미지를 표시하는 썸 네일 이미지는 "1×2","2×1","2×2","3×3" 등, 다양한 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을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기준에 따라 그룹이 구성되고, 그룹 타이틀이 부여된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에 배열된 그룹 이미지의 구성 및 배열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전자 기기 151: 디스플레이부(터치스크린)

Claims (18)

  1. 카메라;
    터치 스크린;
    위치 정보 모듈; 및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여 영상 촬영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프리뷰(preview)를 표시하는 프리뷰 영역(preview region) 및 영상 촬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영역(control region)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위치 정보 모듈을 통해 획득되는 위치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존재하는 동안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상기 프리뷰를 촬영하는 경우,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를 그룹화하고, 그룹 이미지를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후보 타이틀(title)의 목록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영역은,
    상기 프리뷰를 캡쳐하는 캡쳐 커맨드 영역,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영역 및 마지막으로 촬영된 영상의 썸 네일 이미지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범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전자 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보 타이틀의 목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타이틀을 상기 제어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타이틀을 상기 제어 영역 중 마지막으로 촬영된 영상의 썸 네일 이미지 영역에 매칭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썸 네일 이미지 영역에 매칭되어 표시된 선택된 타이틀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타이틀을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지막으로 촬영된 영상의 썸 네일 이미지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타이틀로 그룹화된 복수의 이미지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그룹 이미지를 그룹별로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타이틀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영상이 촬영되는 경우, 상기 촬영되는 영상을 상기 선택된 타이틀에 대응하는 그룹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의 썸 네일 이미지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썸 네일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그룹 이미지의 썸 네일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룹 이미지에 소정의 타이틀이 매핑되어 있음을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그룹 이미지에 대응하는 썸 네일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후보 타이틀(title)의 목록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촬영 모드에 진입한 후 상기 영상 촬영 모드가 종료될 때 까지 상기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상기 프리뷰를 촬영하는 경우, 상기 후보 타이틀의 목록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2. 카메라;
    터치 스크린; 및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여 영상 촬영 모드에 진입하고, 상기 영상 촬영 모드에서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소정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경우,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를 그룹화하고, 그룹화된 이미지를 대표하는 타이틀(title)을 미리 정해진 기준에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촬영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영상 촬영을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추천된 타이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타이틀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마지막으로 촬영된 영상의 썸 네일 이미지를 표시하는 영역에 매칭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4. 터치 스크린; 및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이미지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각 그룹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타이틀을 부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은,
    상기 이미지의 촬영 장소 및 촬영 일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타이틀은, 상기 이미지 촬영 장소 또는 촬영 일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7. 영상 촬영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프리뷰 이미지를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위치 정보 모듈을 통해 획득되는 위치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존재하는 동안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복수의 영상이 촬영되는 경우,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를 그룹화하는 단계; 및
    그룹 이미지를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후보 타이틀의 목록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타이틀의 목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선택된 타이틀을 마지막으로 촬영된 영상의 썸 네일 이미지 영역에 매칭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30013812A 2013-02-07 2013-02-07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4010072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3812A KR20140100727A (ko) 2013-02-07 2013-02-07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US13/924,224 US9055214B2 (en) 2013-02-07 2013-06-21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13189623.5A EP2765767B1 (en) 2013-02-07 2013-10-22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4/705,836 US9710153B2 (en) 2013-02-07 2015-05-06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3812A KR20140100727A (ko) 2013-02-07 2013-02-07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727A true KR20140100727A (ko) 2014-08-18

Family

ID=49385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13812A KR20140100727A (ko) 2013-02-07 2013-02-07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9055214B2 (ko)
EP (1) EP2765767B1 (ko)
KR (1) KR201401007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17979S1 (en) * 2011-04-25 2018-05-15 Sony Corporation Display panel or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JP6168882B2 (ja) * 2013-07-04 2017-07-26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GB2531758A (en) * 2014-10-29 2016-05-04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capture mode following capture of the content
US20160216871A1 (en) * 2015-01-27 2016-07-28 Twitter, Inc. Video capture and sharing
USD805102S1 (en) 2015-01-27 2017-12-12 Twitter, Inc. Media sharing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JP6513963B2 (ja) * 2015-02-25 2019-05-15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動作方法
KR20170013555A (ko) 2015-07-28 2017-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16215A (ko) * 2015-08-03 2017-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95331A (ko) 2017-02-17 2018-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362233B2 (en) * 2017-09-12 2019-07-23 Ebay Inc. Digital image capture session and metadata association
US11265273B1 (en) * 2017-12-01 2022-03-01 Snap, Inc. Dynamic media overlay with smart widget
WO2019109223A1 (zh) * 2017-12-04 2019-06-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生成相册标题的方法及设备
CN110677586B (zh) * 2019-10-09 2021-06-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显示方法、图像显示装置及移动终端
CN113923353A (zh) * 2021-09-29 2022-01-11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34186B2 (en) 2003-04-30 2008-02-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creation of video annotations
US8270809B2 (en) 2008-08-01 2012-09-18 Apple Inc. Previewing effects applicable to digital media content
JP4636135B2 (ja) * 2008-08-04 2011-02-23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54141B1 (ko) * 2009-01-19 2018-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정보 제어 장치 및 방법
JP5552767B2 (ja) 2009-07-27 2014-07-16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処理装置、表示処理方法および表示処理プログラム
US20110029635A1 (en) * 2009-07-30 2011-02-03 Shkurko Eugene I Image capture device with artistic template design
WO2012001963A1 (ja) 2010-07-02 2012-01-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出力装置、画像出力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65767A1 (en) 2014-08-13
US20150234565A1 (en) 2015-08-20
EP2765767B1 (en) 2015-10-07
US9055214B2 (en) 2015-06-09
US20140218554A1 (en) 2014-08-07
US9710153B2 (en) 201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03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40100727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86034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247146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50106765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US1004259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4007599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4004506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4005536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20130106915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terminal
KR101951480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2007839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 패턴 인식에 따른 지도 위치 검색 방법
KR2012006216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51655A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6446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49646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
KR20150064535A (ko)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10190914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98417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70950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정보의 편집 방법
KR10164200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
KR2015002525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89458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74932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메모 저장 방법
KR2014004461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