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0364A - 파이펫 - Google Patents

파이펫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0364A
KR20140100364A KR1020130013596A KR20130013596A KR20140100364A KR 20140100364 A KR20140100364 A KR 20140100364A KR 1020130013596 A KR1020130013596 A KR 1020130013596A KR 20130013596 A KR20130013596 A KR 20130013596A KR 20140100364 A KR20140100364 A KR 20140100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ap
ring
pipette
in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석
송근국
이효근
박효림
최형길
Original Assignee
에스디 바이오센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디 바이오센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디 바이오센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3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0364A/ko
Publication of KR20140100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3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Abstract

본 발명은 캡부의 상부에 캡부 통공을 구비하고, 팁부의 주입부에서 부터 유입관부를 통해 캡부 통공까지 관통되어 있어서, 팁부를 액체에 담그고 캡부의 통공을 오픈(open)하면 모세관현상에 의해 액체가 팁부로부터 유입관부를 따라 유입되어 파이펫 내로 들어오게 되며, 캡부의 통공을 막고 캡부를 누르면 파이펫 내의 액체가 유입관부로부터 토출되게 되는 파이펫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팁부와 몸체부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 장착되되 유입관부 통공을 구비한 유입관부, 상기 유입관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캡부를 구비하는 파이펫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부는 유입관 상부와 유입관 하부로 이루어지되, 유입관 상부와 유입관 하부의 외측면의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며, 유입관 상부과 유입관 하부의 내경은 동일하며, 상기 캡부는 상부 중앙부에 캡부 통공을 구비하며, 팁부에 위치된 팁부 통공에서부터, 유입관부 통공을 거쳐, 캡부 통공에 이르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파이펫의 캡부 통공이 열려진 상태에서 팁부를 용액 저류조의 용액에 담가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용액이 유입관부 내로 들어오게 된 상태에서, 캡부 통공을 막고 용액 저류조로부터 파이펫을 꺼내어 위치를 이동시키면, 파이펫 내의 용액이 떨어짐없이 이동된다.

Description

파이펫{Pipette}
본 발명은 캡부의 상부에 캡부 통공을 구비하고, 팁부의 주입부에서 부터 유입관부를 통해 캡부 통공까지 관통되어 있어서, 팁부를 액체에 담그고 캡부의 통공을 오픈(open)하면 모세관현상에 의해 액체가 팁부로부터 유입관부를 따라 유입되어 파이펫 내로 들어오게 되며, 캡부의 통공을 막고 캡부를 누르면 파이펫 내의 액체가 유입관부로부터 토출되게 되는 파이펫에 관한 것이다.
파이펫은 실험실 등에서 소량의 액체를 재거나 할 때 쓰는 작은 관으로, 몸체부에 용량을 표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파이펫은 정확하게 계량된 부피를 갖는 액체 샘플을 운반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생물학관련 실험을 하는 사람들의 주된 도구이다.
종래의 파이펫은, 파이펫내로 액체 흡입시에는 피스톤 조립체가 피이펫본체 내에서 하향으로 이동하여, 팁의 유입관으로 액체를 흡입하도록 상향으로 이동하고, 파이펫내 액체 분배시에는 피스톤 조립체가 하향으로 이동하여 액체를 분배한다. 피스톤은 흡입시보다는 분배시에 하측 방향으로 더 이동하며, 이러한 초과 이동으로 전체 액체 샘플을 확실히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마이크로파이펫의 경우, 한번 파이펫으로 취하는 용량은 파이펫 머리부분의 돌리는 손잡이로 조절하며, 팁은 일회용이다. 마이크로 파이펫을 사용할때 주의 점은, 파이펫의 눈금범위 밖으로 돌리 않아야 하며, 누르다 걸리는 곳까지가 정확한 용량이고 더 눌러지는 것은 잔류용량을 불어내기 위한 것이며, 용액을 취할 때와 옮길 때는 천천히 버튼을 조작해여 하며, 용액이 담긴 상태로 파이펫을 거꾸로 세우지 않아야 하며, 유기용매를 다룰 ?는 특히 조심해야만 하며, 파이펫팅시에는 눈 앞에서 시행함이 원칙이다.
종래의 파이펫은 팁만 바꾸어서 사용하기 때문에 혈액 등을 다룰때 문제가 있고, 또한 일회용으로 하기에는 너무 가격이 비싸고, 복잡하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가격이 저렴하며, 일회용으로 사용가능하며, 사용이 편리한 파이펫이 요망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캡부의 상부에 캡부 통공을 구비하고, 팁부로부터 유입관부를 통해 캡부의 통공까지 관통되어 있어서, 팁부를 액체에 담그고 캡부의 통공을 오픈(open)하면 모세관현상에 의해 액체가 유입관부를 따라 유입되어 파이펫 내로 들어오게 되며, 캡부의 통공을 막고 캡부를 누르면 파이펫 내 액체가 유입관부에서 토출되게 되는 파이펫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위해, 본 발명은, 팁부와 몸체부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 장착되되 유입관부 통공을 구비한 유입관부, 상기 유입관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캡부를 구비하는 파이펫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부는 유입관 상부와 유입관 하부로 이루어지되, 유입관 상부와 유입관 하부의 외측면의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며, 유입관 상부과 유입관 하부의 내경은 동일하며, 상기 캡부는 상부 중앙부에 캡부 통공을 구비하며, 팁부에 위치된 팁부 통공에서부터, 유입관부 통공을 거쳐, 캡부 통공에 이르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입관 하부에는 하부링, 제2스프링지지관, 제2스프링이 장착되되, 하부링은 유입관 하부의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하부링의 위에 제2스프링지지관이 장착되고, 상기 제2스프링지지관 위에 제2스프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스프링은, 유입관 상부와 유입관 하부의 단차에 의해 형성된 벽인, 유입관 상부의 저면외벽과, 제2스프링지지관의 상면 사이에 위치된다.
유입관 상부에 제1스프링 지지링, 제1스프링, 상부링이 장착되되, 상부링은 몸체부의 상단부의 원형 통공에 고정, 장착되고, 제1스프링 지지링은 상기 상부링의 아래에, 상부링과 이격되어, 유입관 상부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상부링과 상기 제1스프링 지지링의 사이에 제1스프링이 장착된다.
상기 상부링의 내측에는 유입관 상부가 위치되기 위한 상부링 통공을 구비하며, 외주면에는 홈을 구비하여, 상기 홈이 몸체부의 상단부의 원형 통공의 가장자리에 끼워지도록 이루어진다.
캡부 통공의 내경은 유입관부 통공의 내경과 같으며, 유입관 상부의 외경이 유입관 하부의 외경보다 크다.
하부링은 팁부의 내측 바닥위에 놓인다.
몸체부의 하부와 팁부의 상부에 나사산을 구비하여 결합되거나, 몸체부의 하부와 팁부 중의 하나에 턱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에 홈을 구비하여 결합된다.
유입관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유리 재질로 이루어진다.
파이펫의 캡부 통공이 열려진 상태에서 팁부를 용액 저류조의 용액에 담가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용액이 유입관부 내로 들어오게 된 상태에서, 캡부 통공을 막고 용액 저류조로부터 파이펫을 꺼내어 위치를 이동시키면, 파이펫 내의 용액이 떨어짐없이 이동된다.
본 발명의 파이펫에 의하면, 캡부의 상부에 캡부 통공을 구비하고, 팁부의 유입관부에서 부터 캡부 통공까지 관통되어 있어서, 팁부를 액체에 담그고 캡부의 통공을 오픈(open)하면 모세관현상에 의해 액체가 유입관부를 따라 유입되어 파이펫 내로 들어오게 되며, 캡부의 통공을 막고 캡부를 누르면 파이펫 내는 유입관부에서 토출되게 된다.
본 발명의 파이펫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가격이 저렴하며, 일회용으로 사용가능하며,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파이펫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파이펫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입관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파이펫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파이펫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파이펫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파이펫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파이펫(10)은 캡부(100), 상부링(130), 제1스프링(150), 제1스프링 지지링(170), 제2스프링(190), 유입관부(200), 제2스프링지지관(270), 하부링(290), 몸체부(300), 팁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캡부(100)는 유입관부(200)의 상단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부 중앙에 캡부 통공(110)을 구비한다. 캡부 통공(110)의 내경은 유입관부(200)의 내경과 같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캡부 통공(110), 유입관부(200)의 통공, 팁부(400)의 통공이 이어져, 즉, 캡부 통공(110)부터 팁부(400)까지 통공을 이룬다.
유입관부(200)는 몸체부(300)와 팁부(400)가 결합되어 이룬 하우징부의 내부에 장착되며, 내부에 유입관 통공(210)을 구비하여, 용액이 유입되는 관이다. 유입관부(200)는 유입관 상부(230)와 유입관 하부(250)로 이루어지며, 유입관 상부(230)의 외경이 유입관 하부(250)의 외경보다 크도록 이루어지며, 유입관 상부(230)와 유입관 하부(250)의 내경은 동일하다. 유입관 상부(230)의 상부에 제1스프링 지지링(170), 제1스프링(150), 상부링(130)이 장착되고, 유입관 하부(250)는 하부링(290), 제2스프링지지관(270), 제2스프링(190)이 장착되어, 몸체부(300)와 팁부(400)가 결합되어 이룬 하우징부의 내측에 위치된다.
상부링(130)은 몸체부(300)의 상단부, 즉 몸체부(300)의 상단 통공에 고정, 장착되며, 상부링(130)의 내측에는 유입관 상부(230)가 위치된다. 상부링(130)은 내측에 통공을 구비하며, 외주면에는 홈을 구비하여, 상기 홈이 몸체부(300)의 상부의 원형 통공의 가장자리에 끼워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스프링 지지링(170)은 유입관 상부(230)에 고정, 장착되되, 상부링(130)보다 아래에 위치된다.
제1스프링(150) 상부링(130)과 제1스프링 지지링(170)사이에 위치된다. 제1스프링(150)은 캡부(100)가 눌러짐에 의해 과도하게 유입관부(200)가 아래로 내려가거나, 아니면 캡부(100)가 눌러짐이 풀어졌을때, 과도하게 유입관부(200)가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한 스프링이다.
유입관 하부(250)의 밑에는 하부링(290)이 장착되고, 그 위에 제2스프링지지관(270)이 장착되고, 그 위에 제2스프링(190)이 장착되며, 하부링(290)은 팁부(400)의 내측 바닥에 접하게 된다.
제2스프링(190)은, 유입관 하부(250)에 장착되되, 유입관 상부(230)와 유입관 하부(250)의 단차에 의해 형성된 벽, 즉, 유입관 상부의 저면외벽(235)과 제2스프링지지관(270)의 상면 사이에 위치된다. 제2스프링(190)은, 유입관부(200)가 아래로 내려가는 정도를 조절한다.
팁부(400)는 내측에 팁부 통공(410)을 구비하며, 몸체부(300)의 하부와 팁부(400)의 상부가 결합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몸체부(300)의 하부와 팁부(400)의 상부에 나사산을 구비하여 결합할 수도 있고, 몸체부(300)의 하부와 팁부(400) 중의 하나에 턱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에 홈을 구비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팁부(40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경우에 따라서 팁부(400) 내부는 친수성 처리 및 헤파린 (혈액응고 방지) 처리를 해서, 혈액 샘플을 빨아들이는데 용이하도록 이루어져 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부링(130), 제1스프링 지지링(170), 하부링(290)은 고무재질, 실리콘 재질,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유입관부의 단면도이다.
유입관부(200)는 유입관 상부(230)와 유입관 하부(250)로 이루어지며, 유입관 상부(230)의 외경이 유입관 하부(250)의 외경보다 크도록 이루어지며, 유입관 통공(210)은 일정한 내경을 가지므로, 유입관 상부(230)와 유입관 하부(250)의 내경은 동일하다. 유입관부(20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리 재질도 사용이 가능하다.
통공(110, 210, 410)은 액체면에 음압을 가하는 수단으로, 모세관현상, 사이펀의 원리에 의해 액체 면에 작용된 음압에 따라 액체가 유입관부(200)를 따라 올라오거나 내려가게 한다.
캡부 통공(110)이 열려진 상태에서 팁부(400)를 용액에 담그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용액이 유입관부(200) 내로 소정량의 용액이 들어오게 되며, 이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캡부 통공(110)을 막고, 용액이 담견진 통인 용액 저류조로부터 파이펫을 꺼내면, 파이펫 내의 용액이 아래로 떨어짐 없이, 상기 용액 저류조로부터 꺼내지게 되며, 파이펫의 캡부 통공(110)를 손가락으로 계속 막은 채로, 파이펫을 소정 위치에 위치시키고, 캡부 통공(110)을 열게 되면, 유입관부(200) 내의 용액이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이렇게 함에 의해, 간단한 구조로, 파이펫(10) 내의 용액이 아래로 떨어짐 없이 원하는 위치로 파이펫(10) 내의 용액을 옮길 수 있다.
캡부 통공(110)이 열려진 상태에서 팁부(400)를 용액에 담그고, 모세관현상, 사이펀의 원리에 의해 용액이 유입관부(200) 내로 용액이 들어오게 되며, 캡부 통공(110)을 막거(close)나, 열거(open)나, 또는 캡부 통공(110)을 막은 채로 캡부(100)를 누름에 의해, 유입관부(200) 내의 용액의 량을 소정량이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캡부 통공(110)을 막음에 의해 유입관부(200) 내의 용액이 밖으로 흘러 나오지 않고 용액을 옮길 수 있으며, 캡부 통공(110)을 열음에 의해 유입관부(200) 내의 용액이 밖으로 흘러나오게 된다.
도 4는 도 1의 파이펫의 분해사시도이다.
파이펫(10)은 팁부(400)와 몸체부(300)를 결합하여, 하우징부를 만들며, 상기 하우징부의 내, 즉, 팁부(400)의 내측에 하부링(290)을 장착한다.
유입관부 하부(250)에 제1스프링(150)을 장착하고, 그 밑에 제2스프링지지관(270)을 장착하고, 유입관부 상부(230)에는 제1스프링 지지링(170)을 장착하고, 그 위에 제2스프링(190)을 장착하며, 이렇게 제1스프링(150), 제2스프링(190) 등이 장착된 유입관부(200)를, 하우징부내에 장착한다.
하우징부내에 장착된, 유입관부 상부(230)에 상부링(130)을 끼운 후, 상기 상부링(130)의 외주면의 홈에, 몸체부(300)의 상부의 원형 통공의 가장자리에 끼워, 고정, 장착한다.
상부링(130)이 고정, 장착된 유입관부 상부(230)의 끝에 캡부(100)를 장착한다.
본 발명의 파이펫은 구조가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1회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방법이 간단하고 편리하며, 가격이 저렴하고, 보다 소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파이펫 100 : 캡부
110 : 캡부 통공 130 : 상부링
150 : 제1스프링 170 : 제1스프링 지지링
190 : 제2스프링 200 : 유입관부
210 : 유입관 통공 230 : 유입관 상부
235 : 저면외벽 250 : 유입관 하부
270 : 제2스프링지지관 290 : 하부링
300 : 몸체부 400 : 팁부
410 : 팁부 통공

Claims (12)

  1. 팁부와 몸체부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 장착되되 유입관부 통공을 구비한 유입관부, 상기 유입관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캡부를 구비하는 파이펫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부는 유입관 상부와 유입관 하부로 이루어지되, 유입관 상부와 유입관 하부의 외측면의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며, 유입관 상부과 유입관 하부의 내경은 동일하며,
    상기 캡부는 상부 중앙부에 캡부 통공을 구비하며,
    팁부에 위치된 팁부 통공에서부터, 유입관부 통공을 거쳐, 캡부 통공에 이르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펫.
  2. 제1항에 있어서,
    유입관 하부에는 하부링, 제2스프링지지관, 제2스프링이 장착되되,
    하부링은 유입관 하부의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하부링의 위에 제2스프링지지관이 장착되고, 상기 제2스프링지지관 위에 제2스프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펫.
  3. 제2항에 있어서, 제2스프링은,
    유입관 상부와 유입관 하부의 단차에 의해 형성된 벽인, 유입관 상부의 저면외벽과, 제2스프링지지관의 상면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펫.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입관 상부에 제1스프링 지지링, 제1스프링, 상부링이 장착되되,
    상부링은 몸체부의 상단부의 원형 통공에 고정, 장착되고,
    제1스프링 지지링은 상기 상부링의 아래에, 상부링과 이격되어, 유입관 상부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상부링과 상기 제1스프링 지지링의 사이에 제1스프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펫.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링의 내측에는 유입관 상부가 위치되기 위한 상부링 통공을 구비하며, 외주면에는 홈을 구비하여, 상기 홈이 몸체부의 상단부의 원형 통공의 가장자리에 끼워지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펫.
  6. 제1항에 있어서,
    캡부 통공의 내경은 유입관부 통공의 내경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펫.
  7. 제2항에 있어서,
    유입관 상부의 외경이 유입관 하부의 외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펫.
  8. 제2항에 있어서,
    하부링은 팁부의 내측 바닥위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펫.
  9. 제1항에 있어서,
    몸체부의 하부와 팁부의 상부에 나사산을 구비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펫.
  10. 제1항에 있어서,
    몸체부의 하부와 팁부 중의 하나에 턱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에 홈을 구비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펫.
  11. 제1항에 있어서,
    유입관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유리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펫.
  12. 제4항에 있어서,
    파이펫의 캡부 통공이 열려진 상태에서 팁부를 용액 저류조의 용액에 담가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용액이 유입관부 내로 들어오게 된 상태에서,
    캡부 통공을 막고 용액 저류조로부터 파이펫을 꺼내어 위치를 이동시키면, 파이펫 내의 용액이 떨어짐없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펫.
KR1020130013596A 2013-02-06 2013-02-06 파이펫 KR201401003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596A KR20140100364A (ko) 2013-02-06 2013-02-06 파이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596A KR20140100364A (ko) 2013-02-06 2013-02-06 파이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364A true KR20140100364A (ko) 2014-08-14

Family

ID=51746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596A KR20140100364A (ko) 2013-02-06 2013-02-06 파이펫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03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557U (ko) * 2013-10-15 2015-04-23 에스디 바이오센서 주식회사 파이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557U (ko) * 2013-10-15 2015-04-23 에스디 바이오센서 주식회사 파이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0253B1 (ko) 피펫
US5460782A (en) Automatic filling micropipette with dispensing means
US20160245729A1 (en) Bodily fluid sampler
US20120132015A1 (en) Method of Sampling Specimen, Test Method and Dropping Pipette and Specimen Sampler to be Used Therein
RU2020117208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образцов жидкостей
US20160339421A1 (en) Quantitative pipette
JP2014514538A (ja) 毛細管における液体流れ制御
KR101553041B1 (ko) 스포이드
KR20140100364A (ko) 파이펫
JPH0463739B2 (ko)
KR200489369Y1 (ko) 파이펫
EP2406008A1 (en) Dilution tip
JP6622050B2 (ja) 毛細管、試料採取具、及び試料採取器
WO2012111287A1 (ja) 検体容器およびノズルチップ容積調節体
CN113597340B (zh) 试样容器和帽
US201200244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fluid from a container and into a fluid receptacle
JPWO2018055675A1 (ja) ピペット装置
CN113677436A (zh) 试样容器及帽
JP6196089B2 (ja) 試薬容器用移し替え容器および分析装置用容器セット
JP2017049034A (ja) 試験容器のキャップ開閉補助装置
US20210394191A1 (en) Universal stand for holding capillary and transfer pipettes
KR200307299Y1 (ko) 약액 흘러넘침 방지를 위한 스포이트 일체형 시약병
CN218359321U (zh) 一种偏心吸滴头
AU20112606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ainder-less uptake of liquids from vessels
US9480984B2 (en) Device for standard preparation of urinary sediment for urine analysis (Mono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725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204

Effective date: 201710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