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0236A - 보안모드 자동전환 기능이 구비된 인터넷 전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보안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안모드 자동전환 기능이 구비된 인터넷 전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보안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0236A
KR20140100236A KR1020130013305A KR20130013305A KR20140100236A KR 20140100236 A KR20140100236 A KR 20140100236A KR 1020130013305 A KR1020130013305 A KR 1020130013305A KR 20130013305 A KR20130013305 A KR 20130013305A KR 20140100236 A KR20140100236 A KR 20140100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harging
unit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임
Original Assignee
박정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임 filed Critical 박정임
Priority to KR1020130013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0236A/ko
Publication of KR20140100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2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일반 전화모드와 보안모드로 구분되어 동작하며, 상기 보안모드로 동작시 외부침입이 감지되면 주변영상을 촬영하여 통신망(10)을 통해 전송하는 인터넷 전화기에 있어서, 케이스(110)의 전면(111)에는 화면창(120)과 입력수단(130)이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110)의 배면(112)에는 외부 침입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부(140)와 주변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50)가 배치되는 통신단말(100); 및 상기 통신단말(100)이 거치되기 위한 거치홈(210)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홈(210)의 내부에는 상기 통신단말(100)에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단자부(220)가 배치된 충전거치대(200);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홈(210)에 안착되는 통신단말(100)의 일측 부분에는 상기 충전단자부(2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말단자부(160)가 구비되며, 상기 통신단말(100)은 상기 충전단자부(220)와 단말단자부(160)의 전기적 접속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일반 전화모드 또는 보안모드로 전환되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전화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보안모드 자동전환 기능이 구비된 인터넷 전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보안서비스 시스템{Internet Telephone Having Automatic Conversion Function For Security Mode And, Security Service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보안모드 자동전환 기능이 구비된 인터넷 전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보안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전화모드와 보안모드로 구분되어 동작하며, 상기 보안모드로 동작시 외부침입이 감지되면 주변영상을 촬영하여 통신망을 통해 미리 설정된 클라이언트 모바일로 전송함으로써 클라이언트가 즉각적으로 외부침입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비된 보안모드 자동전환 기능이 구비된 인터넷 전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보안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에는 외부침입을 감시하기 위해 내부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CCTV 등의 보안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CCTV 장치의 경우 별도로 카메라, 영상 저장장치를 설치 및 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초기 설치비용이 크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통상적으로 실내에 설치되는 전화기에 카메라 및 감지센서를 장착하고, 평상시에는 일반적인 전화기로 이용하다가 외출시와 같이 보안 기능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보안모드로 동작시켜 감지센서에서 외부침입을 감지하면 자동적으로 카메라를 구동시켜 실내의 영상이 촬영되도록 하는 동작하는 보안 기능이 구비된 전화기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보안 기능이 구비된 전화기의 경우에는 상기 CCTV 장치와 비교하여 초기 설치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외출시에 보안기능이 동작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해당 전화기의 단말기의 입력버튼을 수차례 조작하여 여러 메뉴선택 단계를 거쳐 보안모드로 설정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클라이언트가 상기 보안모드로의 설정을 잊고 외출할 경우 보안기능을 사용하지 못해 실내 보안유지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전화기에 장착된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예상되는 외부침입 경로를 지향하도록 전화기의 배치상태를 매번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2009-0066003호(2009.06.23), 이동 단말기 충전 기능이 포함된 방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기의 입력버튼을 조작할 필요없이 통신단말기의 배면이 전방을 향한 상태로 충전거치대의 거치홈에 거치시키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보안모드로 전환되어 보안기능이 활성화되도록 동작하는 보안모드 자동전환 기능이 구비된 인터넷 전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보안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터넷 전화기와 통신망을 통해 네트워크 연결된 클라이언트 모바일을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상기 인터넷 전화기를 보안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카메라 및 감지센서의 감시방향을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보안모드 자동전환 기능이 구비된 인터넷 전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보안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일반 전화모드와 보안모드로 구분되어 동작하며, 상기 보안모드로 동작시 외부침입이 감지되면 주변영상을 촬영하여 통신망(10)을 통해 전송하는 인터넷 전화기에 있어서, 케이스(110)의 전면(111)에는 화면창(120)과 입력수단(130)이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110)의 배면(112)에는 외부 침입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부(140)와 주변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50)가 배치되는 통신단말(100); 및 상기 통신단말(100)이 거치되기 위한 거치홈(210)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홈(210)의 내부에는 상기 통신단말(100)에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단자부(220)가 배치된 충전거치대(200);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홈(210)에 안착되는 통신단말(100)의 일측 부분에는 상기 충전단자부(2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말단자부(160)가 구비되며, 상기 통신단말(100)은 상기 충전단자부(220)와 단말단자부(160)의 전기적 접속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일반 전화모드 또는 보안모드로 전환되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전화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단말단자부(160)는, 상기 케이스(110)의 전면(111)이 전방을 향한 상태로 상기 거치홈(210)에 거치될 때 상기 충전단자부(220)에 접속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전면 접속단자(161)와, 상기 케이스(110)의 배면(112)이 전방을 향한 상태로 거치홈(210)에 거치될 때 상기 충전단자부(220)에 접속되는 배면 접속단자(162)를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통신단말(100)은, 상기 전면 접속단자(161)와 충전단자부(220)가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하면 상기 일반 전화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배면 접속단자(162)와 충전단자부(220)가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하면 자동적으로 보안모드로 전환되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전화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충전거치대(200)는, 상기 통신망(10)을 통해 네트워크 연결된 클라이언트 모바일(3)로부터 수신된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거치홈(210)에 거치된 통신단말(100)의 감시방향(A)을 조절하기 위한 감시영역 조절부(2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감시영역 조절부(230)는, 상기 충전거치대(200)의 일부 또는 전체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틸트동작부(250) 및, 상기 충전거치대(200)의 일부 또는 전체를 측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스위블 동작부(260)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전화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일반 전화모드와 보안모드로 구분되어 동작하며, 상기 보안모드로 동작시 외부침입이 감지되면 주변영상을 촬영하여 통신망(10)을 통해 외부침입 이벤트 및 주변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인터넷 전화기(1); 및 상기 통신망(10)을 통해 상기 외부침입 이벤트 및 주변영상 정보를 취합하여 저장하며, 상기 외부침입 이벤트가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클라이언트 모바일(3)로 저장된 주변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메인서버(2);를 포함하되, 상기 인터넷 전화기(1)는, 외부침입을 감지하여 주변영상을 촬영하는 통신단말(100) 및, 상기 통신단말(100)이 거치되면서 통신단말(100)의 단말단자부(16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통신단말(100)에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단자부(220)가 배치된 충전거치대(200)를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통신단말(100)은 상기 충전단자부(220)와 단말단자부(160)의 전기적 접속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일반 전화모드 또는 보안모드로 전환되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일반 전화모드와 보안모드로 구분되어 동작하며, 상기 보안모드로 동작시 외부침입이 감지되면 주변영상을 촬영하여 통신망(10)을 통해 외부침입 이벤트 및 주변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인터넷 전화기(1); 상기 통신망(10)을 통해 상기 외부침입 이벤트 및 주변영상 정보를 취합하며 상기 인터넷 전화기(1)의 동작 설정정보를 수신하는 메인서버(2); 상기 인터넷 전화기(1)를 통해 음성 및 영상통화하거나 메세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간사업자 통신망을 제공하고, 상기 메인서버(2)로부터 외부침입 이벤트 및 주변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외부침입 이벤트가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클라이언트 모바일(3)로 저장된 주변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기간사업자 통신서버(4);를 포함하되, 상기 인터넷 전화기(1)는, 외부침입을 감지하여 주변영상을 촬영하는 통신단말(100) 및, 상기 통신단말(100)이 거치되면서 통신단말(100)의 단말단자부(16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통신단말(100)에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단자부(220)가 배치된 충전거치대(200)를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통신단말(100)은 상기 충전단자부(220)와 단말단자부(160)의 전기적 접속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일반 전화모드 또는 보안모드로 전환되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인터넷 전화기를 보안모드로 설정하기 위해 입력버튼을 조작할 필요없이, 통신단말의 단말단자부와 충전거치대의 충전단자부의 전기적 접속상태에서 따라 자동적으로 일반 전화모드 또는 보안모드로 전환되어 동작되므로, 동작 모드의 설정이 간소화되는 등 사용자의 편의가 극대화된다.
둘째, 카메라 및 감지센서부가 배치된 통신단말의 배면이 전방을 향한 상태로 충전거치대의 거치홈에 거치시키는 것만으로 보안모드로 자동적으로 전환됨과 동시에, 카메라 및 감지센서부의 감시방향이 전방을 향하게 되므로 보안모드로의 설정 후 상기 감시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전화기의 배치상태를 매번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인터넷 전화기와 통신망을 통해 네트워크 연결된 클라이언트 모바일을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인터넷 전화기를 보안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외출시 보안모드로의 설정을 잊은 경우에도 외부에서 보안모드 전환을 제어하여 인터넷 전화기에 의한 감시공백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상기 충전거치대에는 통신망을 통해 네트워크 연결된 클라이언트 모바일의 설정정보에 따라 충전거치대에 거치된 통신단말의 감시방향을 조절하는 감시영역 조절부가 구비되어, 상기 충전거치대에 통신단말의 전면이 전방을 향한 상태로 거치된 경우에는 상기 통신단말의 감시방향을 전방 또는 예상되는 외부 침입경로를 지향하도록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보안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기의 통신단말이 배면이 전방을 향한 상태로 충전거치대에 거치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의 전면이 전방을 향한 상태로 충전거치대에 거치되면서 통신단말의 전면 접속단자와 충전거치대의 충전단자부가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부분 절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의 배면이 전방을 향한 상태로 충전거치대에 거치되면서 통신단말의 배면 접속단자와 충전거치대의 충전단자부가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부분 절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감시영역 조절부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안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랙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안서비스 시스템의 신호정보의 흐름을 나타낸 개략도,
도 1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간사업자 통신서버가 구비된 보안서비스 시스템의 신호정보의 흐름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기(1)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기(1)는, 보안모드로 설정하기 위해 입력수단(130)을 조작할 필요없이 통신단말(100)의 단말단자부(160)와 충전거치대(200)의 충전단자부(220)의 전기적 접속상태에서 따라 자동적으로 일반 전화모드 또는 보안모드로 전환되어 동작되는 보안모드 자동전원 기능이 구비된 인터넷 전화기(1)로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단말(100) 및 충전거치대(20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통신단말(100)은, 통신망(10)을 통해 일반적인 음성 및 영상 통화, 메세지(SMS,MMS)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장치로서, 케이스(110)의 전면(111)에는 통신단말(100)의 동작상태 및 각종 설정상태가 표시되는 화면창(120) 및 입력버튼과 같이 사용자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수단(130)이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110)의 배면(112)에는 외부 침입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부(140) 및 주변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50)가 배치된다. 여기서, 감지센서부(140)는 열감지센서 및 적외선감지센서와 같이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이며, 상기 카메라(150)가 배치되는 케이스(110)의 배면(112)에는 필요에 따라 영상촬영시 조명을 제공하는 후레쉬 등의 조명부(15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에는 벨소리 또는 스피커 음성통화가 구현되도록 소정의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부(113)가 배치되며, 상기 감지센서부(140)와 카메라(150)는 같은 방향으로 감지방향 및 촬영방향이 지향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조명부(151)는 외부침입 감지시 카메라(150)가 자동적으로 동작되는 경우 함께 발광 구동하여 외부 침입자로 하여금 경각심이 느끼게 하거나 야간과 같이 시야 확보가 제한되는 경우 촬영 조명을 제공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기(1)는 통상의 무선전화기와 같이 통신단말(100) 내에 충전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충전거치대(200)에 거치되면서 충전전원이 공급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통신단말(100)의 일측에는 상기 충전전원이 인가되는 단말단자부(160)가 배치된다.
상기 충전거치대(200)는, 통신단말(100)이 직립 배치된 상태로 거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며, 상기 통신단말(100)을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회로(미도시)가 내부에 회로구성되어 상용전원 등의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통신단말(100)을 충전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통신단말(100)이 거치되기 위한 거치홈(210)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홈(210)의 내부에는 통신단말(100)에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단자부(220)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거치홈(210)은 통신단말(100)의 전면(111)이 전방을 향한 상태로 거치될 때에는 화면창(120)에 표시된 내용이 전방에서 보다 용이하게 식별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112)이 전방을 향한 상태로 거치될 때에는 감지센서부(140) 및 카메라(150)에 의한 감시영역이 보다 먼거리까지 도달하도록 일정각도(θ)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통신단말(100)이 충전거치대(200)의 충전단자부(220)와 통신단말(100)의 단말단자부(160)의 전기적 접속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일반 전화모드 또는 보안모드로 전환되어 동작되는데,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단말(100)은 상기 충전단자부(220)과 단말단자부(160)의 전기적 접속상태를 감지하는 접속감지부(170)와, 상기 접속감지부(170)의 감지신호에 따라 통신단말(100)의 모드설정 상태를 제어하는 모드제어부(18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거치홈(210)에 안착되는 통신단말(100)의 일측 부분에는 상기 충전단자부(2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말단자부(16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말단자부(1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전면(111)이 전방을 향한 상태로 거치홈(210)에 거치될 때 충전단자부(220)에 접속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전면 접속단자(161)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10)의 배면(112)이 전방을 향한 상태로 거치홈(210)에 거치될 때 충전단자부(220)에 접속되는 배면 접속단자(16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접속감지부(170)는 전면 접속단자(161)과 충전단자부(220)이 접속될 때와 배면 접속단자(162)과 충전단자부(220)이 접속될 때를 구분하여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모드제어부(180)로 전송하고, 상기 모드제어부(180)는 전면 접속단자(161)와 충전단자부(220)가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하면 일반 전화모드로 동작하며, 배면 접속단자(162)와 충전단자부(220)가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하면 자동적으로 보안모드로 전환되어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충전단자부(220)는 거치홈(210)의 저면상에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제1충전단자(221)와 제2충전단자(222)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단말단자부(160)는 상기 제1충전단자(221)와 제2충전단자(222)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2개가 배치되되 각각의 위치에는 하나의 전면 접속단자(161)와 하나의 배면 접속단자(162)가 근접 배치되며, 상기 제1충전단자(221)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하나의 전면 접속단자(161)와 하나의 배면 접속단자(162)는 통신단말(100)이 전면(111)이 전방을 향해 거치될 때와 배면(112)이 전방을 향해 거치될 때에 각각 선택적으로 상기 제1충전단자(221)와 접속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충전단자(222)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다른 하나의 전면 접속단자(161)와 배면 접속단자(162)는 통신단말(100)의 전면(111)이 전방을 향해 거치될 때와 배면(112)이 전방을 향해 거치될 때에 각각 선택적으로 상기 제2충전단자(222)와 접속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단자부(220)에는 통신단말(100)이 거치홈(210)에 거치되면서 전면 접속단자(161) 또는 배면 접속단자(162)가 제1충전단자(221) 및 제2충전단자(222)와 접속될 때 상기 전면 접속단자(161)와 배면 접속단자(162) 사이에 형성된 단자홈에 삽입되면서 전면 접속단자(161)와 배면 접속단자(162)를 전기적으로 이격시킴과 동시에 단말단자부(160)와 충전단자부(220)간의 접속동작을 가이드하며 충전거치대(200)에 거치된 통신단말(100)의 거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접속 가이드부(23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단말(100)의 전면(111)이 전방을 향한 상태로 거치홈(210)에 거치되는 경우, 통신단말(100)의 일측에 배치된 2개의 전면 접속단자(161) 중 하나의 전면 접속단자(161)는 제1충전단자(221)와 접속되고 다른 하나의 전면 접속단자(161)는 제2충전단자(222)와 접속되며, 접속감지부(170)가 전면 접속단자(161)와 충전단자부(220)의 접속상태를 감지하여 모드제어부(180)로 감지신호를 전달하면 상기 모드제어부(180)는 통신단말(100)의 전면(111)이 전방을 향해 거치된 것으로 판단하여 일반 전화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한다.
반면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단말(100)의 배면(112)이 전방을 향한 상태로 거치홈(210)에 거치되는 경우, 통신단말(100)의 일측에 배치된 2개의 배면 접속단자(162) 중 하나의 배면 접속단자(162)는 제1충전단자(221)와 접속되고 다른 하나의 배면 접속단자(162)는 제2충전단자(222)와 접속되며, 접속감지부(170)가 배면 접속단자(162)와 충전단자부(220)의 접속상태를 감지하여 모드제어부(180)로 감지신호를 전달하면 상기 모드제어부(180)는 통신단말(100)의 배면(112) 전방을 향해 거치된 것으로 판단하여 일반 전화모드에서 보안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가 인터넷 전화기(1)를 동작 모드로 설정함에 있어서, 상기 보안모드로 설정하기 위해 입력수단(130)을 수차례 조작할 필요없이, 통신단말(100)의 단말단자부(160)와 충전거치대(200)의 충전단자부(220)의 전기적 접속상태에서 따라 자동적으로 일반 전화모드 또는 보안모드로 전환되어 동작되므로, 동작 모드의 설정이 간소화되는 등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카메라(150) 및 감지센서부(140)가 배치된 통신단말(100)의 배면(112)이 전방을 향한 상태로 충전거치대(200)의 거치홈(210)에 거치시키는 것만으로 보안모드로 자동 전환됨과 동시에, 카메라(150) 및 감지센서부(140)의 감시방향(A)이 전방을 향하게 되므로 보안모드로의 설정 후 상기 감시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인터넷 전화기(1)의 배치상태를 매번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단말(100)은 보안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감지센서부(140)에서 인체의 움직임 즉 외부침입이 감지되면 카메라(150)를 동작시켜 주변영상이 자동적으로 촬영되도록 동작하며, 촬영된 영상은 통신망(10)으로 네트워크 연결된 클라이언트 모바일(3)로 전송되어 클라이언트가 외부침입 이벤트 정보와 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즉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기(1)는 클라이언트가 외출시와 같이 보안모드로 동작시켜야 할 경우 통신단말(100)을 배면(112)이 전방을 향하도록 충전거치대(200)에 거치시키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보안모드로 전환되어 동작되는데, 클라이언트가 통신단말(100)을 배면거치시키는 것을 잊고 외출하는 경우, 보안모드로 동작되지 않아 보안공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100)에는 도 4와 같이 통신망(10)을 통해 각종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190)가 구비되며, 상기 모드제어부(180)는 데이터 송수신부(190)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모바일(3)로부터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정보가 수신되면, 선택적으로 일반 전화모드 또는 보안모드로 전환되어 동작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클라이언트 모바일(3)은 스마트폰 및 노트북 등과 같이 통신망(10)으로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는 통신프로세서가 탑재된 통신단말을 의미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가 보안모드로 설정하지 않고 외출하는 경우, 클라이언트 모바일(3)을 이용하여 일반 전화모드에서 보안모드로 동작 모드 설정을 변경하는 설정정보를 전송하게 되면, 상기 모드제어부(180)는 수신된 설정정보에 따라 통신단말(100)이 보안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보안모드 설정 누락에 따라 보안공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가 보안모드로 설정하지 않고 외출하는 경우에도 클라이언트 모바일(3)를 이용하여 보안모드로 전환되어 동작시킬 수 있는데, 이때, 인터넷 전화기(1)가 보안모드로 동작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단말(100)의 전면(111)이 전방을 향하도록 충전거치대(200)에 거치된 경우 외부침입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부(140)와 주변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50)가 배면(112)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감시방향(A)은 충전거치대(200)의 후방을 지향하게 되어 정상적인 보안기능을 구현하기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거치대(200)는, 상기 통신단말(100)을 통해 연결된 클라이언트 모바일(3)로부터 수신된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거치홈(210)에 거치된 통신단말(100)의 감시방향(A)을 조절하기 위한 감시영역 조절부(23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시영역 조절부(230)는 충전거치대(200)의 일부 또는 전체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틸트동작부(250) 및, 상기 충전거치대(200)의 일부 또는 전체를 측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스위블 동작부(26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충전거치대(200)의 중앙에는 충전거치대(200)의 본체와 개별적으로 회동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거치홈(210)이 형성된 회동반구부(231)가 구비되며, 상기 틸트동작부(250)와 스위블 동작부(260)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각각의 구동모터(251,261)와 각 구동모터(251,261)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회동반구부(231)의 외주연에 접촉되어 상하방향 및 측방향으로 각각 회동시키는 회동롤(252,262)을 포함하여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구동모터와 회전롤의 조합된 구성을 대신하여 충전거치대(200)를 상하방향 또는 측방향으로 가압하는 유,공압 실린더 등의 구동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고, 상기 충전거치대(200)의 일부(회동반구부(231)를 개별적으로 회동시키지 않고 감시영역 조절부(230)가 충전거치대(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충전거치대(200) 자체를 상하방향 또는 측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실내에서 인터넷 전화기(1)를 배치하는 장소(거실)와 예상되는 외부침입 경로(현관문 주변 또는 창문 주변)간의 거리가 이격되거나, 충전거치대(200)가 배치된 위치에서 감시방향(A)을 상기 외부침입 경로로 지향시키기가 제한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기(1)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하나의 통신단말(100)가 개별적으로 거치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충전거치대(200)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복수 개의 충전거치대(200) 중 하나의 충전거치대(200)는 거실과 같이 일반 전화모드에서 인터넷 전화기(1)를 이용하기에 용이한 장소에 배치되며, 다른 하나의 충전거치대(200)는 현관 및 창문 주변 등과 같이 외부침입 경로를 효과적으로 지향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평상시에는 거실에 배치된 충전거치대(200)를 이용하다, 외출 시에는 외부침입 경로 상에 배치된 충전거치대(200)에 배면(112)이 전방을 향하도록 거치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감시영역을 감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기(1)를 포함하는 보안서비스 시스템의 기능 및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안서비스 시스템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전화모드와 보안모드로 구분되어 동작하며, 상기 보안모드로 동작시 외부침입이 감지되면 주변영상을 촬영하여 통신망(10)을 통해 외부침입 이벤트 및 주변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인터넷 전화기(1) 및, 상기 통신망(10)을 통해 외부침입 이벤트 및 주변영상 정보를 취합하여 저장하며, 상기 외부침입 이벤트가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클라이언트 모바일(3)로 저장된 주변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메인서버(2)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서버(2)는 인터넷 전화기(1)를 통해 클라이언트가 음성 및 영상통화하거나 문자메세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상기 외부침입 이벤트 및 주변영상 정보의 송수신에 따른 데이터 이용비용을 포함하여 전화통화나 문자메세지의 이용비용을 연산하는 과금연산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서버(2)에는 상술한 클라이언트 모바일(3)이외에 특정장소에 고정설치되며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클라이언트 PC(5)가 네트워크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단말(100)의 감지센서부(140)에서 외부침입이 감지되면 통신단말(100)은 데이터 송수신부(190)를 통해 외부침입에 대한 이벤트 정보와 카메라(150)를 통해 촬영된 주변영상 정보를 메인서버(2)로 전송하며, 상기 메인서버(2)는 수신된 이벤트 정보와 영상정보를 취합하여 저장함과 동시에 미리 설정된 클라이언트 모바일(3) 또는 클라이언트 PC(5)로 상기 이벤트 정보를 경고할 수 있는 경고 및 안내메세지와 함께 촬영된 영상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서버(2)는 클라이언트 모바일(3) 또는 클라이언트 PC(5)에서 인터넷 전화기(1)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거나 통신단말(100)의 감시방향(A)을 조절하기 위한 설정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인터넷 전화기(1)로 전송하여 일반 전화모드에서 보안모드 또는 보안모드에서 일반 전화모드로 설정을 변경되거나 감시방향(A)의 지향방향이 적절하게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모드제어부(180)는 외부침입이 감지된 경우 이외에 상기 클라이언트 모바일(3) 또는 클라이언트 PC(5)로부터 실시간 영상 촬영에 대한 설정정보가 메인서버(2)를 통해 수신되면, 외부침입과 관계없이 현재 상태에서 카메라(150)를 동작시켜 촬영된 주변영상 정보가 통신망(10)을 통해 클라이언트 모바일(3) 또는 클라이언트 PC(5)로 전달되어, 클라이언트가 실시간으로 주변영상을 원격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일반적으로 종래의 CCTV방식의 원격 영상 감시시스템의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송수신되기 때문에, 상기 네트워크망을 해킹당할 경우 의도하지 않게 제3자에 의해 상기 영상이 공개되어 사생활 및 보안감시망이 노출될 가능성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기(1)의 경우에는 평상시에는 케이스(110)의 배면(112) 즉, 카메라(150)가 설치된 측면이 후방을 향해 배치되기 때문에 네트워크 통신망이 노출되어도 벽면 등의 인터넷 전화기(1)의 후방의 영상만이 촬영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의 사생활이 촬영되거나 외부로 노출될 가능성이 최소화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안서비스 시스템을 운용하는 대상이 기간통신사업자와 같이 별도의 이동통신망이 확보되지 않는 별정통신 사업자인 경우, 상기 기간통신사업자의 기간통신망을 빌려 전화통화 및 메세지 송수신은 물론 외부침입 및 실시간 감시 이벤트 기능이 구현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안서비스 시스템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전화기(1)를 통해 음성 및 영상통화하거나 메세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간사업자 통신망을 제공하고, 상기 메인서버(2)로부터 외부침입 이벤트 및 주변영상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외부침입 이벤트가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클라이언트 모바일(3)로 저장된 주변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기간사업자 통신서버(4)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서버(2)는 통신단말(100)을 통해 외부침입 이벤트 및 주변영상 정보를 취합하며 상기 인터넷 전화기(1)의 동작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기간사업자 통신서버(4)로 전송하며, 각종 설정정보를 취합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기(1)는 상술한 바와 같은 외부침입 감시 이외에 상기 감지센서부(140)를 이용하여 화재감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감지센서부(140)로 열감지센서를 이용하고, 통신단말(100)은 감지센서부(140)에서 감지되는 열감지 정보에서 외부침입 즉 인체의 열을 인지하는 임계기준치와 실내에서 화재발생시 상승되는 화재열을 인지하는 임계기준치를 각각 구분하여 설정된 상태에서, 화재감지 임계기준치를 초과하는 열감지 정보가 수신되면, 상술한 외부침입 이벤트 및 영상촬영 방식과 동일하게, 화재발생 이벤트를 생성함과 동시에 카메라(150)를 동작시켜 주변영상을 촬영하여 통신망(10)을 통해 클라이언트 모바일(3) 및 클라이언트 PC(5)로 화재발생을 경고하는 메세지와 함께 주변영상 정보가 전달되도록 동작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화재감시 기능을 통해 클라이언트는 최단시간 내에 화재발생을 인식할 수 있어 즉각적으로 화재신고 등의 초동조치를 취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재발생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인터넷 전화기 2...메인서버
3...클라이언트 모바일 4...기간사업자 통신서버
5...클라이언트 PC 100...통신단말
110...케이스 111...전면
112...배면 150...카메라
160...단말단자부 161...전면 접속단자
162...배면 접속단자 170...접속감지부
180...모드제어부 190...데이터 송수신부
200...충전거치대 210...거치홈
220...충전단자부 221...제1충전단자
222...제2충전단자 230...접속가이드부

Claims (5)

  1. 일반 전화모드와 보안모드로 구분되어 동작하며, 상기 보안모드로 동작시 외부침입이 감지되면 주변영상을 촬영하여 통신망(10)을 통해 전송하는 인터넷 전화기에 있어서,
    케이스(110)의 전면(111)에는 화면창(120)과 입력수단(130)이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110)의 배면(112)에는 외부 침입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부(140)와 주변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50)가 배치되는 통신단말(100); 및
    상기 통신단말(100)이 거치되기 위한 거치홈(210)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홈(210)의 내부에는 상기 통신단말(100)에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단자부(220)가 배치된 충전거치대(200);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홈(210)에 안착되는 통신단말(100)의 일측 부분에는 상기 충전단자부(2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말단자부(160)가 구비되며, 상기 통신단말(100)은 상기 충전단자부(220)와 단말단자부(160)의 전기적 접속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일반 전화모드 또는 보안모드로 전환되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전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단자부(160)는, 상기 케이스(110)의 전면(111)이 전방을 향한 상태로 상기 거치홈(210)에 거치될 때 상기 충전단자부(220)에 접속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전면 접속단자(161)와, 상기 케이스(110)의 배면(112)이 전방을 향한 상태로 거치홈(210)에 거치될 때 상기 충전단자부(220)에 접속되는 배면 접속단자(162)를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통신단말(100)은, 상기 전면 접속단자(161)와 충전단자부(220)가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하면 상기 일반 전화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배면 접속단자(162)와 충전단자부(220)가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하면 자동적으로 보안모드로 전환되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전화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거치대(200)는, 상기 통신망(10)을 통해 네트워크 연결된 클라이언트 모바일(3)로부터 수신된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거치홈(210)에 거치된 통신단말(100)의 감시방향(A)을 조절하기 위한 감시영역 조절부(2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감시영역 조절부(230)는, 상기 충전거치대(200)의 일부 또는 전체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틸트동작부(250) 및, 상기 충전거치대(200)의 일부 또는 전체를 측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스위블 동작부(260)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전화기.
  4. 일반 전화모드와 보안모드로 구분되어 동작하며, 상기 보안모드로 동작시 외부침입이 감지되면 주변영상을 촬영하여 통신망(10)을 통해 외부침입 이벤트 및 주변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인터넷 전화기(1); 및
    상기 통신망(10)을 통해 상기 외부침입 이벤트 및 주변영상 정보를 취합하여 저장하며, 상기 외부침입 이벤트가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클라이언트 모바일(3)로 저장된 주변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메인서버(2);를 포함하되,
    상기 인터넷 전화기(1)는, 외부침입을 감지하여 주변영상을 촬영하는 통신단말(100) 및, 상기 통신단말(100)이 거치되면서 통신단말(100)의 단말단자부(16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통신단말(100)에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단자부(220)가 배치된 충전거치대(200)를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통신단말(100)은 상기 충전단자부(220)와 단말단자부(160)의 전기적 접속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일반 전화모드 또는 보안모드로 전환되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서비스 시스템.
  5. 일반 전화모드와 보안모드로 구분되어 동작하며, 상기 보안모드로 동작시 외부침입이 감지되면 주변영상을 촬영하여 통신망(10)을 통해 외부침입 이벤트 및 주변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인터넷 전화기(1);
    상기 통신망(10)을 통해 상기 외부침입 이벤트 및 주변영상 정보를 취합하며 상기 인터넷 전화기(1)의 동작 설정정보를 수신하는 메인서버(2);
    상기 인터넷 전화기(1)를 통해 음성 및 영상통화하거나 메세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간사업자 통신망을 제공하고, 상기 메인서버(2)로부터 외부침입 이벤트 및 주변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외부침입 이벤트가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클라이언트 모바일(3)로 저장된 주변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기간사업자 통신서버(4);를 포함하되,
    상기 인터넷 전화기(1)는, 외부침입을 감지하여 주변영상을 촬영하는 통신단말(100) 및, 상기 통신단말(100)이 거치되면서 통신단말(100)의 단말단자부(16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통신단말(100)에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단자부(220)가 배치된 충전거치대(200)를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통신단말(100)은 상기 충전단자부(220)와 단말단자부(160)의 전기적 접속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일반 전화모드 또는 보안모드로 전환되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서비스 시스템.
KR1020130013305A 2013-02-06 2013-02-06 보안모드 자동전환 기능이 구비된 인터넷 전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보안서비스 시스템 KR201401002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305A KR20140100236A (ko) 2013-02-06 2013-02-06 보안모드 자동전환 기능이 구비된 인터넷 전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보안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305A KR20140100236A (ko) 2013-02-06 2013-02-06 보안모드 자동전환 기능이 구비된 인터넷 전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보안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236A true KR20140100236A (ko) 2014-08-14

Family

ID=51746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305A KR20140100236A (ko) 2013-02-06 2013-02-06 보안모드 자동전환 기능이 구비된 인터넷 전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보안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02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0548A1 (ko) * 2015-03-05 2016-09-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디바이스에 보안 모드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0548A1 (ko) * 2015-03-05 2016-09-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디바이스에 보안 모드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3231B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auxiliary device for communication
US201300457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otice of visitor
JP5656304B1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に用いられる監視カメラシステム
JP2006279927A (ja) 監視制御装置、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5176301A (ja) 画像処理装置、ネットワークカメラ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60152594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call-triggered image taking and sending capability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5866551B1 (ja)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システムにおける監視方法
US20160247027A1 (en) Electronic door peephole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thereof
JP2007179555A (ja) 監視システム
JP2006279926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686436B1 (ko) 텔레비전전화 감시시스템
KR101009721B1 (ko) 모바일 영상 로봇 단말기
KR101616469B1 (ko) 긴급구조용 휴대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구조 방법
CA2867725C (en) Phone
JP2006222841A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
KR20140100236A (ko) 보안모드 자동전환 기능이 구비된 인터넷 전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보안서비스 시스템
JP2009290305A (ja) 来訪者モニタシステム
JP2010011488A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装置、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電話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2006019978A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装置、カメラ付き携帯電話装置のスタンド、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電話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KR20180082302A (ko) 미사용의 휴대용 정보 기기를 이용하는 모니터링 장치
JP2002199385A (ja) 監視システム
JP5887564B2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及び監視カメラシステムにおける監視方法
WO2011139840A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otice of visitor
KR20140013227A (ko) 감시 사각지대에서 동작 가능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JP2005101881A (ja) テレビドアホ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